KR20200113717A -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717A
KR20200113717A KR1020190034296A KR20190034296A KR20200113717A KR 20200113717 A KR20200113717 A KR 20200113717A KR 1020190034296 A KR1020190034296 A KR 1020190034296A KR 20190034296 A KR20190034296 A KR 20190034296A KR 20200113717 A KR20200113717 A KR 20200113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contact lens
sterilization container
ligh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동현
Original Assignee
권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동현 filed Critical 권동현
Priority to KR1020190034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3717A/ko
Publication of KR20200113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1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e.g. electricity, ultrasonics or ultrafiltration
    • A61L12/06Radiation, e.g. ultraviolet or microwaves
    • A61L12/063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liqui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contact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8Aseptic sto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에 존재하는 세균 및 진균 바이러스를 멸균시킬 수 있는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콘택트렌즈를 안착시키는 멸균 용기와,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회전하는 멸균 용기 내의 콘택트렌즈로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회전부 및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가 인가되면 멸균 용기가 회전하도록 회전부를 제어하고, 멸균 용기가 회전하면 회전하는 멸균 용기 내의 콘택트렌즈로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도록 광원부를 제어하며,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고,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면 광 조사 및 멸균 용기의 회전을 중지하도록 회전부 및 광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ING CONTACT LENS}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에 존재하는 세균 및 진균 바이러스를 멸균시킬 수 있는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는, 유전적인 요인이나 외부 환경의 영향에 의해 감퇴한 눈의 시력을 교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착용 시에는 안경과 달리 직접 각막 표면에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콘택트렌즈는 안경에 의해 시력 교정 효과가 적은 심한 근시, 원시, 난시의 교정에 효율적이며 안경보다 일상생활에서 편리한 이점이 있으나, 각막에 직접 접촉한 상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다루지 않으면 오히려 눈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반드시 콘택트렌즈의 사용 전과 후에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세척한 후에 착용해야 한다.
기존에는, 콘택트렌즈를 세척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가장 일반적인 세척 방법으로서, 렌즈를 각막에서 떼어낸 다음 손바닥 위에 렌즈를 올려놓고 관리용액이나 세정액을 렌즈 위에 약 2 ~ 3방울 떨어뜨린 후 렌즈를 손가락으로 살살 문질러 세척한 다음, 다시 생리 식염수로 렌즈를 충분히 헹구어 별도 케이스에 보존액을 약 2/3정도 채워 렌즈를 담가두어 보관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세척 방법은, 손가락에 의한 세척 과정에서 콘택트렌즈가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으며, 크기가 작은 렌즈를 손으로 직접 닦기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함에 따라 렌즈 세척을 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며, 이는 착용시 인체에서 분비되는 지방질이나 각종 이물질 등이 렌즈 표면에 부착되어 시력교정 효과가 저하됨은 물론 세균이 번식하여 각막질환 등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렌즈와 세척액을 함께 수용하여 기계적으로 회전력을 가하거나 전기적으로 진동을 가하여 렌즈를 세척하도록 하는 세척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기존의 콘택트렌즈 세척 방법으로서, 휴대용 콘택트렌즈 세척기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5701 (2011.09.14)로 등록된 바 있고, 콘택트렌즈 자동 세척기가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8977 (2010.09.15)로 공개된 바 있고, 콘택트렌즈 자동 세척기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1844 (2005.11.16)로 등록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세척기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세척 방식은, 멸균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콘택트렌즈에 붙어있는 현기성 세균이나 단백질의 원인인 아메바 균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여 렌즈 착용시 결막염 및 각종 안과 질환에 노출될 수 있었다.
따라서, 콘택트렌즈에 붙어있는 단백질뿐만 아니라 세균, 진균, 바이러스, 병원균 및 박테리아를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멸균시킬 수 있는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택트렌즈가 안착된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멸균 용기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조사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멸균 용기의 광투과 영역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투과시키고 그 이외 파장대의 광을 차단하는 필터를 배치함으로써, 적은 시간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에 따라 멸균 용기의 회전 속도를 가변함으로써, 멸균 용기 및 콘택트렌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택트렌즈의 오염도에 따라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를 가변함으로써, 적은 비용 및 시간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세척 용액이 주입된 멸균 용기를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진동시킴으로써,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세척 용액이 주입된 멸균 용기를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진동시켜 세척하고, 세척된 멸균 용기에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멸균 용기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조사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세척 용액이 주입된 멸균 용기를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진동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키고 진동 및 회전하는 멸균 용기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조사함으로써, 적은 비용 및 시간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택트렌즈의 오염도에 따라 멸균 용기의 진동 세기를 가변함으로써, 적은 비용 및 시간으로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는, 콘택트렌즈를 안착시키는 멸균 용기와,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회전하는 멸균 용기 내의 콘택트렌즈로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회전부 및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가 인가되면 멸균 용기가 회전하도록 회전부를 제어하고, 멸균 용기가 회전하면 회전하는 멸균 용기 내의 콘택트렌즈로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도록 광원부를 제어하며,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고,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면 광 조사 및 멸균 용기의 회전을 중지하도록 회전부 및 광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멸균 용기는,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이 투과되는 광투과 영역을 포함하고, 멸균 용기의 광투과 영역은,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투과시키는 유리가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멸균 용기의 광투과 영역은,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투과시키고, 그 이외 파장대의 광을 차단하는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광원부는, 광원을 상기 멸균 용기에 근접하도록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광원을 멸균 용기에 근접 이동하도록 이송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는, 멸균 용기가 회전하도록 회전부를 제어할 때, 인가되는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로부터 초기 회전 속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초기 회전 속도 정보에 상응하는 초기 회전 속도로 멸균 용기가 회전하도록 회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는, 콘택트렌즈로 조사되는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광 세기에 따라 멸균 용기의 초기 회전 속도를 가변하도록 회전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는, 광을 조사하도록 광원부를 제어할 때, 인가되는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로부터 초기 출사광 세기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초기 출사광 세기 정보에 상응하는 초기 출사광 세기로 광을 조사하도록 광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는, 콘택트렌즈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광원부의 초기 출사광 세기를 가변하도록 광원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 본 발명은, 멸균 용기 내에 배치되어 콘텍트렌즈를 세척하는 세척 용액과, 멸균 용기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가 인가되면 멸균 용기가 진동하도록 진동부를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며,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이 경과하면 멸균 용기의 진동을 중지하도록 진동부를 제어하고, 멸균 용기의 진동이 중지되면 멸균 용기가 회전하도록 회전부를 제어하며, 멸균 용기가 회전하면 회전하는 멸균 용기 내의 콘택트렌즈로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도록 광원부를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며,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면 광 조사 및 멸균 용기의 회전을 중지하도록 회전부 및 광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멸균 용기가 진동하도록 진동부를 제어할 때, 인가되는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로부터 초기 진동 세기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초기 진동 세기 정보에 상응하는 초기 진동 세기로 멸균 용기가 진동하도록 진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는, 콘택트렌즈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진동부의 초기 진동 세기를 가변하도록 진동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는,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가 인가되면 멸균 용기가 진동하도록 진동부를 제어하고, 멸균 용기가 진동하면 멸균 용기가 회전하도록 회전부를 제어하며, 멸균 용기가 회전하면 회전하는 멸균 용기 내의 콘택트렌즈로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도록 광원부를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멸균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며, 미리 설정된 멸균 시간이 경과하면 광 조사 및 멸균 용기의 진동 및 회전을 중지하도록 진동부, 회전부 및 광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가 인가되면 멸균 용기가 회전하도록 회전부를 제어하고, 멸균 용기가 회전하면 회전하는 멸균 용기 내의 콘택트렌즈로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도록 광원부를 제어하며,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고,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면 광 조사 및 멸균 용기의 회전을 중지하도록 회전부 및 광원부를 제어하며, 광 조사 및 멸균 용기의 회전을 중지하면 멸균 용기가 진동하도록 진동부를 제어하고, 멸균 용기가 진동하면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며,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이 경과하면 멸균 용기의 진동을 중지하도록 진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택트렌즈 멸균 방법은, 콘택트렌즈를 멸균 용기 내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는 단계와, 회전하는 멸균 용기 내의 콘택트렌즈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단계와,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면 광 조사를 중지하는 단계와, 광 조사가 중지되면 멸균 용기의 회전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로부터 초기 회전 속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초기 회전 속도 정보에 상응하는 초기 회전 속도로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는 단계에서, 멸균 용기가 회전하면 콘택트렌즈로 조사되는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광 세기에 따라 멸균 용기의 초기 회전 속도를 가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하는 멸균 용기 내의 콘택트렌즈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로부터 초기 출사광 세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초기 출사광 세기 정보에 상응하는 초기 출사광 세기로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을 조사하는 단계에서, 광을 조사하면 콘택트렌즈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초기 출사광 세기를 가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은,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는 단계 이전에, 콘택트렌즈를 멸균 용기 내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멸균 용기 내에 상기 콘텍트렌즈를 세척하는 세척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와, 멸균 용기를 진동시키는 단계와,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이 경과하면 멸균 용기의 진동을 중지하는 단계와, 멸균 용기의 진동이 중지되면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로서, 본 발명은,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는 단계 이전에, 콘택트렌즈를 멸균 용기 내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멸균 용기 내에 상기 콘텍트렌즈를 세척하는 세척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와, 멸균 용기를 진동시키는 단계와, 멸균 용기가 진동되면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본 발명은, 멸균 용기의 회전을 중지하는 단계 이후에, 멸균 용기의 회전을 중지하면 멸균 용기를 진동시키는 단계와, 멸균 용기가 진동하면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이 경과하면 멸균 용기의 진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및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가 안착된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멸균 용기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조사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멸균 용기의 광투과 영역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투과시키고 그 이외 파장대의 광을 차단하는 필터를 배치함으로써, 적은 시간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에 따라 멸균 용기의 회전 속도를 가변함으로써, 멸균 용기 및 콘택트렌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의 오염도에 따라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를 가변함으로써, 적은 비용 및 시간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 용액이 주입된 멸균 용기를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진동시킴으로써,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 용액이 주입된 멸균 용기를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진동시켜 세척하고, 세척된 멸균 용기에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멸균 용기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조사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 용액이 주입된 멸균 용기를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진동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키고 진동 및 회전하는 멸균 용기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조사함으로써, 적은 비용 및 시간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의 오염도에 따라 멸균 용기의 진동 세기를 가변함으로써, 적은 비용 및 시간으로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 C 파장대인 약 200nm ~ 약 280nm의 단파장 광이 세균 및 진균 바이러스를 투과하면서 세균 및 진균 바이러스의 DNA 자체를 파괴하는 멸균 방식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이용한 멸균 방식으로서, 안구의 위험성 노출이나 콘택트렌즈의 변형 없이 멸균처리를 할 수 있으며, 식염수나 기타 관리용액 필요 없이 멸균을 할 수 있고, 특히 단백질까지 분해하여 며칠마다 한 번씩 단백질 제거 용액으로 녹일 필요가 없어 비용 절감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원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회전부의 회전 속도 제어 및 광원부의 광 세기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멸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원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회전부의 회전 속도 제어 및 광원부의 광 세기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는, 콘택트렌즈(100)를 안착시키는 멸균 용기(200), 멸균 용기(20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400), 회전하는 멸균 용기(200) 내의 콘택트렌즈(100)로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300), 그리고 회전부(400) 및 광원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00)는, 콘택트렌즈(100) 멸균 요청 신호가 외부로부터 인가되면 멸균 용기(200)가 회전하도록 회전부(400)를 제어하고, 멸균 용기(200)가 회전하면 회전하는 멸균 용기(200) 내의 콘택트렌즈(100)로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도록 광원부(300)를 제어하며,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고,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면 광 조사 및 멸균 용기(200)의 회전을 중지하도록 회전부(400) 및 광원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콘택트렌즈(100)가 안착된 멸균 용기(200)를 회전시키는 이유는, 회전하는 멸균 용기(200)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조사함으로써, 콘택트렌즈(100)의 전체 영역을 골고루 균일하게 멸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멸균 용기(200)는, 광원부(30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이 투과되는 광투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멸균 용기(200)의 광투과 영역은,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투과시키는 특수 유리가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멸균 용기(200)의 광투과 영역은,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투과시키고, 그 이외 파장대의 광을 차단하는 필터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처럼, 멸균 용기의 광투과 영역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투과시키고 그 이외 파장대의 광을 차단하는 필터를 배치하는 이유는, 노이즈 광을 최소화하여 적은 시간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멸균 용기(200)의 광투과 영역은, 광원부(300)의 광 출사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광원부(300)에서 멸균 용기(200)로 도달하는 광 경로를 최소화함으로써,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최대로 빠르게 수광하여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멸균 용기(200)의 광투과 영역은, 멸균 용기(200)의 전체 면적 중 약 50% 이상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그 이유는, 멸균 용기(200)의 광투과 영역이 전체 면적 중 약 50% 미만이면 수광 면적이 작아 멸균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다음, 광원부(300)는, 약 200nm ~ 약 280nm 파장대의 광을 출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광원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약 200nm ~ 약 280nm 파장대의 광을 출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광원을 포함하는 이유는, 자외선 C 파장대인 약 200nm ~ 약 280nm의 단파장 광이 세균 및 진균 바이러스를 투과하면서 세균 및 진균 바이러스의 DNA 자체를 파괴하여 멸균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이용한 멸균 방식으로서, 안구의 위험성 노출이나 콘택트렌즈의 변형 없이 멸균처리를 할 수 있으며, 식염수나 기타 관리용액 필요 없이 멸균을 할 수 있고, 특히 단백질까지 분해하여 며칠마다 한 번씩 단백질 제거 용액으로 녹일 필요가 없어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그리고, 광원부(300)는, 멸균 용기(200)의 주변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광원부(300)의 광원이 멸균 용기(200)에 배치되면 멸균 용기(200)의 회전 및 진동 등에 의한 기계적 충격 또는 세척 용액에 의한 화학적 손상 등에 의해 수명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광원부(300)는, 다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일부 광원 또는 전체 광원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멸균 용기(200)에 조사되는 약 200nm ~ 약 280nm 파장대의 광 세기 또는 광량을 최대로 증가하고자 하는 경우, 광원부(300)의 전체 광원을 동작시킬 수도 있고, 멸균 용기(200)에 조사되는 약 200nm ~ 약 280nm 파장대의 광 세기 또는 광량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경우, 광원부(300)의 전체 광원 중 하나의 광원만을 동작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광원부(300)는, 광원(310)을 멸균 용기(200)에 근접하도록 이동시키는 이송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원부(300)는,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광원을 멸균 용기(200)에 근접 이동하도록 이송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광원(310)을 멸균 용기(200)에 근접하도록 이동시키는 이송부(320)를 배치하는 이유는, 광원(310)을 멸균 용기(200)에 근접시킴으로써, 광원(310)의 구동 전류 증가 없이도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가 증가시킬 수 있어 추가적인 전력 소모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 제어부(500)는, 멸균 용기(200)가 회전하도록 회전부(400)를 제어할 때, 인가되는 콘택트렌즈(100) 멸균 요청 신호로부터 초기 회전 속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초기 회전 속도 정보에 상응하는 초기 회전 속도로 멸균 용기(200)가 회전하도록 회전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00)는, 콘택트렌즈(100)로 조사되는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광 세기에 따라 멸균 용기(200)의 초기 회전 속도를 가변하도록 회전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500)는, 측정된 광 세기에 따라 멸균 용기(200)의 초기 회전 속도를 가변할 때, 측정된 광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크면 멸균 용기(200)의 초기 회전 속도를 증가하도록 회전부(400)를 제어하고, 측정된 광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멸균 용기(200)의 초기 회전 속도를 감소하도록 회전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에 따라 멸균 용기(200)의 회전 속도를 가변하는 이유는, 멸균 용기 및 콘택트렌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가 너무 세면 멸균 효율이 높지만 멸균 용기 및 콘택트렌즈가 손상될 수 있고,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가 너무 약하면 멸균 효율이 낮지만 멸균 용기 및 콘택트렌즈의 수명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가 너무 세면 멸균 용기(200)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켜 멸균 효율을 높이면서도 멸균 용기 및 콘택트렌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측정된 광 세기에 따라 멸균 용기(200)의 초기 회전 속도를 가변할 때, 멸균 용기(200)의 주변 영역 중 제1 영역에서 측정된 광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크고 멸균 용기(200)의 주변 영역 중 제2 영역에서 측정된 광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멸균 용기(200)의 광투과 영역이 제1 영역을 지날 때 멸균 용기(200)의 초기 회전 속도를 증가하도록 회전부(400)를 제어하고, 멸균 용기(200)의 광투과 영역이 제2 영역을 지날 때 멸균 용기(200)의 초기 회전 속도를 감소하도록 회전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광원부(300)로부터 출사되는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부(500)는, 광 세기를 측정할 때, 수광부(600)에 수광되는 광을 토대로 광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처럼,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가 다른 영역에 따라 멸균 용기(200)의 회전 속도를 가변하는 이유는, 멸균 용기 및 콘택트렌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가 너무 세면 멸균 효율이 높지만 멸균 용기 및 콘택트렌즈가 손상될 수 있고,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가 너무 약하면 멸균 효율이 낮지만 멸균 용기 및 콘택트렌즈의 수명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가 센 영역에는 멸균 용기(200)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키고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가 약한 영역에는 멸균 용기(200)의 회전 속도를 느리게 감소시켜 멸균 효율을 높이면서도 멸균 용기 및 콘택트렌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광을 조사하도록 광원부(300)를 제어할 때, 인가되는 콘택트렌즈(100) 멸균 요청 신호로부터 초기 출사광 세기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초기 출사광 세기 정보에 상응하는 초기 출사광 세기로 광을 조사하도록 광원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00)는, 콘택트렌즈(100)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광원부(300)의 초기 출사광 세기를 가변하도록 광원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500)는,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광원부(300)의 초기 출사광 세기를 가변할 때,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보다 크면 광원부(300)의 초기 출사광 세기를 증가하도록 광원부(300)를 제어하고,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광원부(300)의 초기 출사광 세기를 감소하도록 광원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콘택트렌즈의 오염도에 따라 자외선 C 파장대의 출사광 세기를 가변하는 이유는, 적은 비용 및 적은 시간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콘택트렌즈의 오염도가 너무 높으면 출사광 세기에 비해 멸균율이 낮고, 콘택트렌즈의 오염도가 너무 낮으면 출사광 세기에 비해 멸균율이 너무 높아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콘택트렌즈의 오염도가 너무 높으면 출사광 세기를 증가시키고 콘택트렌즈의 오염도가 너무 낮으면 출사광 세기를 감소시켜 멸균 효율을 높이면서도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광원부(300)의 초기 출사광 세기를 가변할 때, 콘택트렌즈(100)의 전체 영역 중 제1 영역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보다 크고 콘택트렌즈(100)의 전체 영역 중 제2 영역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콘택트렌즈(100)의 제1 영역으로 광을 조사할 때 광원부(300)의 초기 출사광 세기를 증가하도록 광원부(300)를 제어하고, 콘택트렌즈(100)의 제2 영역으로 광을 조사할 때 광원부(300)의 초기 출사광 세기를 감소하도록 광원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콘택트렌즈(100)의 오염도를 센싱하는 오염도 측정 센서(70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부(500)는, 오염도를 측정할 때, 오염도 측정 센서(70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신호를 토대로 콘택트렌즈(100)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처럼, 콘택트렌즈의 오염도가 다른 영역에 따라 자외선 C 파장대의 출사광 세기를 가변하는 이유는, 적은 비용 및 적은 시간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콘택트렌즈의 오염도가 높은 영역은, 출사광 세기에 비해 멸균율이 낮고, 콘택트렌즈의 오염도가 낮은 영역은, 출사광 세기에 비해 멸균율이 너무 높아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콘택트렌즈의 오염도가 높은 영역에서 출사광 세기를 증가시키고 콘택트렌즈의 오염도가 낮은 영역에서 출사광 세기를 감소시켜 멸균 효율을 높이면서도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광원부(300)의 초기 출사광 세기를 가변할 때, 광원부(300)에 포함되는 광원이 다수 개이면 구동되는 광원의 개수를 증감하도록 광원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500)는, 광원부(300)의 초기 출사광 세기를 가변할 때, 광원부(300)에 포함되는 광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전류를 증감하도록 광원부(3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로서, 제어부(500)는, 광원부(300)의 초기 출사광 세기를 가변할 때, 광원부(300)와 멸균 용기(200) 사이의 거리를 증감하도록 광원부(300)를 이동시키는 이송부(3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가 안착된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멸균 용기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조사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멸균 용기의 광투과 영역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투과시키고 그 이외 파장대의 광을 차단하는 필터를 배치함으로써, 적은 시간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에 따라 멸균 용기의 회전 속도를 가변함으로써, 멸균 용기 및 콘택트렌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의 오염도에 따라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를 가변함으로써, 적은 비용 및 시간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이용한 멸균 방식으로서, 안구의 위험성 노출이나 콘택트렌즈의 변형 없이 멸균처리를 할 수 있으며, 식염수나 기타 관리용액 필요 없이 멸균을 할 수 있고, 특히 단백질까지 분해하여 며칠마다 한 번씩 단백질 제거 용액으로 녹일 필요가 없어 비용 절감 효과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는, 콘택트렌즈(100)를 안착시키는 멸균 용기(200), 멸균 용기(20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400), 회전하는 멸균 용기(200) 내의 콘택트렌즈(100)로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300), 멸균 용기(200) 내에 배치되어 콘텍트렌즈(100)를 세척하는 세척 용액(150), 멸균 용기(200)를 진동시키는 진동부(800), 그리고 진동부(800), 회전부(400) 및 광원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00)는, 콘택트렌즈(100) 멸균 요청 신호가 인가되면 멸균 용기(200)가 진동하도록 진동부(800)를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며,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이 경과하면 멸균 용기(200)의 진동을 중지하도록 진동부(800)를 제어하고, 멸균 용기(200)의 진동이 중지되면 멸균 용기(200)가 회전하도록 회전부(400)를 제어하며, 멸균 용기(200)가 회전하면 회전하는 멸균 용기(200) 내의 콘택트렌즈(100)로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도록 광원부(300)를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며,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면 광 조사 및 멸균 용기(200)의 회전을 중지하도록 회전부(400) 및 광원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멸균 용기(200)가 진동하도록 진동부(800)를 제어할 때, 인가되는 콘택트렌즈(100) 멸균 요청 신호로부터 초기 진동 세기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초기 진동 세기 정보에 상응하는 초기 진동 세기로 멸균 용기(200)가 진동하도록 진동부(8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00)는, 콘택트렌즈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진동부(800)의 초기 진동 세기를 가변하도록 진동부(8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세척 용액(150)이 주입된 멸균 용기(200)를 설정 시간 동안 균일하게 진동시킴으로써,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음, 제어부(500)는,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진동부(800)의 초기 진동 세기를 가변할 때,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보다 크면 진동부(800)의 초기 진동 세기를 증가하도록 진동부(800)를 제어하고,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진동부(800)의 초기 진동 세기를 감소하도록 진동부(8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100)의 오염도를 센싱하는 오염도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부(500)는, 오염도를 측정할 때, 오염도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신호를 토대로 콘택트렌즈(100)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의 오염도에 따라 멸균 용기의 진동 세기를 가변함으로써, 적은 비용 및 시간으로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500)는, 콘택트렌즈(100) 멸균 요청 신호가 인가되면 멸균 용기(200)가 진동하도록 진동부(800)를 제어하고, 멸균 용기(200)가 진동하면 멸균 용기(200)가 회전하도록 회전부(400)를 제어하며, 멸균 용기(200)가 회전하면 회전하는 멸균 용기(200) 내의 콘택트렌즈(100)로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도록 광원부(300)를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멸균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며, 미리 설정된 멸균 시간이 경과하면 광 조사 및 멸균 용기의 진동 및 회전을 중지하도록 진동부(800), 회전부(400) 및 광원부(3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세척 용액이 주입된 멸균 용기를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진동시켜 세척하고, 세척된 멸균 용기에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멸균 용기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조사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 용액이 주입된 멸균 용기를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진동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키고 진동 및 회전하는 멸균 용기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조사함으로써, 적은 비용 및 시간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제어부(500)는, 콘택트렌즈(100) 멸균 요청 신호가 인가되면 멸균 용기(200)가 회전하도록 회전부(400)를 제어하고, 멸균 용기(200)가 회전하면 회전하는 멸균 용기(200) 내의 콘택트렌즈(100)로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도록 광원부(300)를 제어하며,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고,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면 광 조사 및 멸균 용기(200)의 회전을 중지하도록 회전부(400) 및 광원부(300)를 제어하며, 광 조사 및 상기 멸균 용기의 회전을 중지하면 멸균 용기(200)가 진동하도록 진동부(800)를 제어하고, 멸균 용기(200)가 진동하면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며,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이 경과하면 멸균 용기(200)의 진동을 중지하도록 진동부(8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이용한 멸균 방식으로서, 안구의 위험성 노출이나 콘택트렌즈의 변형 없이 멸균처리를 할 수 있으며, 식염수나 기타 관리용액 필요 없이 멸균을 할 수 있고, 특히 단백질까지 분해하여 며칠마다 한 번씩 단백질 제거 용액으로 녹일 필요가 없어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멸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콘택트렌즈를 멸균 용기 내에 안착시킨다(S10).
그리고, 본 발명은, 멸균 용기를 회전시킨다(S20).
여기서, 본 발명은, 멸균 용기를 회전시킬 때,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로부터 초기 회전 속도 정보를 추출한 다음, 추출된 초기 회전 속도 정보에 상응하는 초기 회전 속도로 멸균 용기를 회전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은, 멸균 용기를 회전시킬 때, 멸균 용기가 회전하면 콘택트렌즈로 조사되는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광 세기에 따라 멸균 용기의 초기 회전 속도를 가변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측정된 광 세기에 따라 멸균 용기의 초기 회전 속도를 가변할 때, 측정된 광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크면 멸균 용기의 초기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고, 측정된 광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멸균 용기의 초기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된 광 세기에 따라 멸균 용기의 초기 회전 속도를 가변할 때, 멸균 용기의 주변 영역 중 제1 영역에서 측정된 광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크고 멸균 용기의 주변 영역 중 제2 영역에서 측정된 광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멸균 용기의 광투과 영역이 제1 영역을 지날 때 멸균 용기의 초기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고, 멸균 용기의 광투과 영역이 제2 영역을 지날 때 멸균 용기의 초기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은, 회전하는 멸균 용기 내의 콘택트렌즈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한다(S30).
여기서, 본 발명은, 회전하는 멸균 용기 내의 콘택트렌즈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할 때,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로부터 초기 출사광 세기 정보를 추출한 다음, 추출된 초기 출사광 세기 정보에 상응하는 초기 출사광 세기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을 조사할 때, 광을 조사하면 콘택트렌즈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초기 출사광 세기를 가변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초기 출사광 세기를 가변할 때,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보다 크면 초기 출사광 세기를 증가시키고,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초기 출사광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상기 초기 출사광 세기를 가변할 때, 콘택트렌즈의 전체 영역 중 제1 영역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보다 크고 콘택트렌즈의 전체 영역 중 제2 영역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콘택트렌즈의 제1 영역으로 광을 조사할 때 초기 출사광 세기를 증가시키고, 콘택트렌즈의 제2 영역으로 광을 조사할 때 초기 출사광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한다(S40).
그리고,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면 광 조사를 중지한다(S50).
이어, 본 발명은, 광 조사가 중지되면 멸균 용기의 회전을 중지한다(S60).
이처럼, 도 5의 실시예는, 콘택트렌즈가 안착된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멸균 용기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조사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를 멸균 용기 내에 안착시킨다(S10).
그리고, 본 발명은, 멸균 용기 내에 콘텍트렌즈를 세척하는 세척 용액을 주입한다(S12).
이어, 본 발명은, 멸균 용기를 진동시킨다(S14).
여기서, 본 발명은, 멸균 용기를 진동시킬 때,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로부터 초기 진동 세기 정보를 추출한 다음, 추출된 초기 진동 세기 정보에 상응하는 초기 진동 세기로 멸균 용기를 진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멸균 용기를 진동시킬 때, 멸균 용기가 진동되면 콘택트렌즈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초기 진동 세기를 가변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상기 초기 진동 세기를 가변할 때,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보다 크면 초기 진동 세기를 증가시키고,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초기 진동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한다(S16).
그리고,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이 경과하면 멸균 용기의 진동을 중지한다(S18).
이어, 본 발명은, 멸균 용기의 진동이 중지되면 멸균 용기를 회전시킨다(S20).
그리고, 본 발명은, 회전하는 멸균 용기 내의 콘택트렌즈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한다(S30).
다음,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한다(S40).
그리고,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면 광 조사를 중지한다(S50).
이어, 본 발명은, 광 조사가 중지되면 멸균 용기의 회전을 중지한다(S60).
이처럼, 도 6의 실시예는, 세척 용액이 주입된 멸균 용기를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진동시켜 세척하고 멸균 용기의 진동을 중지시킨 다음, 세척된 멸균 용기에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멸균 용기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조사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를 멸균 용기 내에 안착시킨다(S10).
그리고, 본 발명은, 멸균 용기 내에 콘텍트렌즈를 세척하는 세척 용액을 주입한다.
이어, 본 발명은, 멸균 용기를 진동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은, 멸균 용기를 진동시킬 때,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로부터 초기 진동 세기 정보를 추출한 다음, 추출된 초기 진동 세기 정보에 상응하는 초기 진동 세기로 멸균 용기를 진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멸균 용기를 진동시킬 때, 멸균 용기가 진동되면 콘택트렌즈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초기 진동 세기를 가변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상기 초기 진동 세기를 가변할 때,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보다 크면 초기 진동 세기를 증가시키고,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초기 진동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은, 멸균 용기가 진동되면 멸균 용기를 회전시킨다(S20).
그리고, 본 발명은, 회전하는 멸균 용기 내의 콘택트렌즈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한다(S30).
다음,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한다(S40).
그리고,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면 광 조사를 중지한다(S50).
이어, 본 발명은, 광 조사가 중지되면 멸균 용기의 회전을 중지한다(S60).
여기서, 멸균 용기의 진동은, 광 조사가 중지된 이후에 중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멸균 용기의 진동은, 광 조사가 중지된 이후에 멸균 용기 회전 중지와 동시에 중지돌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는, 세척 용액이 주입된 멸균 용기를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진동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키고 진동 및 회전하는 멸균 용기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조사함으로써, 적은 비용 및 시간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를 멸균 용기 내에 안착시킨다(S10).
그리고, 본 발명은, 멸균 용기 내에 콘텍트렌즈를 세척하는 세척 용액을 주입한다.
다음, 본 발명은, 멸균 용기를 회전시킨다(S20).
그리고, 본 발명은, 회전하는 멸균 용기 내의 콘택트렌즈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한다(S30).
다음,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한다(S40).
그리고,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면 광 조사를 중지한다(S50).
이어, 본 발명은, 광 조사가 중지되면 멸균 용기의 회전을 중지한다(S60).
다음, 본 발명은, 멸균 용기를 진동시킨다(S62).
여기서, 본 발명은, 멸균 용기를 진동시킬 때,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로부터 초기 진동 세기 정보를 추출한 다음, 추출된 초기 진동 세기 정보에 상응하는 초기 진동 세기로 멸균 용기를 진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멸균 용기를 진동시킬 때, 멸균 용기가 진동되면 콘택트렌즈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초기 진동 세기를 가변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상기 초기 진동 세기를 가변할 때,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보다 크면 초기 진동 세기를 증가시키고,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초기 진동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한다(S64).
그리고,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이 경과하면 멸균 용기의 진동을 중지한다(S66).
이처럼, 도 7의 실시예는, 세척된 멸균 용기에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멸균 용기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조사한 다음, 세척 용액이 주입된 멸균 용기를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진동시켜 세척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가 안착된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멸균 용기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조사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멸균 용기의 광투과 영역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투과시키고 그 이외 파장대의 광을 차단하는 필터를 배치함으로써, 적은 시간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에 따라 멸균 용기의 회전 속도를 가변함으로써, 멸균 용기 및 콘택트렌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의 오염도에 따라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를 가변함으로써, 적은 비용 및 시간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 용액이 주입된 멸균 용기를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진동시킴으로써,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 용액이 주입된 멸균 용기를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진동시켜 세척하고, 세척된 멸균 용기에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멸균 용기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조사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 용액이 주입된 멸균 용기를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진동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키고 진동 및 회전하는 멸균 용기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설정 시간동안 균일하게 조사함으로써, 적은 비용 및 시간으로 멸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의 오염도에 따라 멸균 용기의 진동 세기를 가변함으로써, 적은 비용 및 시간으로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 C 파장대인 약 200nm ~ 약 280nm의 단파장 광이 세균 및 진균 바이러스를 투과하면서 세균 및 진균 바이러스의 DNA 자체를 파괴하는 멸균 방식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이용한 멸균 방식으로서, 안구의 위험성 노출이나 콘택트렌즈의 변형 없이 멸균처리를 할 수 있으며, 식염수나 기타 관리용액 필요 없이 멸균을 할 수 있고, 특히 단백질까지 분해하여 며칠마다 한 번씩 단백질 제거 용액으로 녹일 필요가 없어 비용 절감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콘택트렌즈
200: 멸균 용기
300: 광원부
400: 회전부
500: 제어부
600: 수광부
700: 오염도 측정 센서
800: 진동부

Claims (10)

  1. 콘택트렌즈를 안착시키는 멸균 용기;
    상기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하는 멸균 용기 내의 콘택트렌즈로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그리고,
    상기 회전부 및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멸균 용기가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멸균 용기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하는 멸균 용기 내의 콘택트렌즈로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며,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광 조사 및 상기 멸균 용기의 회전을 중지하도록 상기 회전부 및 광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 용기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이 투과되는 광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200nm ~ 280nm 파장대의 광을 출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멸균 용기가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부를 제어할 때, 상기 인가되는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로부터 초기 회전 속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초기 회전 속도 정보에 상응하는 초기 회전 속도로 상기 멸균 용기가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택트렌즈로 조사되는 자외선 C 파장대의 광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광 세기에 따라 상기 멸균 용기의 초기 회전 속도를 가변하도록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할 때, 상기 인가되는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로부터 초기 출사광 세기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초기 출사광 세기 정보에 상응하는 초기 출사광 세기로 상기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택트렌즈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상기 광원부의 초기 출사광 세기를 가변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 용기 내에 배치되어 상기 콘텍트렌즈를 세척하는 세척 용액; 그리고,
    상기 멸균 용기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택트렌즈 멸균 요청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멸균 용기가 진동하도록 상기 진동부를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멸균 용기의 진동을 중지하도록 상기 진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멸균 용기의 진동이 중지되면 상기 멸균 용기가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며, 상기 멸균 용기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하는 멸균 용기 내의 콘택트렌즈로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광 조사 및 상기 멸균 용기의 회전을 중지하도록 상기 회전부 및 광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9. 콘택트렌즈를 멸균 용기 내에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회전하는 멸균 용기 내의 콘택트렌즈에 자외선 C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광 조사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광 조사를 중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광 조사가 중지되면 상기 멸균 용기의 회전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멸균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콘택트렌즈를 멸균 용기 내에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멸균 용기 내에 상기 콘텍트렌즈를 세척하는 세척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멸균 용기를 진동시키는 단계;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멸균 용기의 진동을 중지하는 단계;
    상기 멸균 용기의 진동이 중지되면 상기 멸균 용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멸균 방법.
KR1020190034296A 2019-03-26 2019-03-26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및 방법 KR20200113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296A KR20200113717A (ko) 2019-03-26 2019-03-26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296A KR20200113717A (ko) 2019-03-26 2019-03-26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717A true KR20200113717A (ko) 2020-10-07

Family

ID=72883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296A KR20200113717A (ko) 2019-03-26 2019-03-26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37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276B1 (ko) * 2021-05-24 2022-10-1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염도 관리가 가능한 렌즈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276B1 (ko) * 2021-05-24 2022-10-1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염도 관리가 가능한 렌즈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ndleman et al. Corneal cross-linking
KR102149590B1 (ko) 마스크 장치로 눈을 치료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952900B2 (en) Corneal implant systems and methods
CN102946911B (zh) 角膜接触镜片存储盒表面消毒
EP3442481B1 (en) Systems for delivering drugs to an eye
US201300601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rneal cross-linking with pulsed light
KR20170110038A (ko) 근시 제어, 향상된 초점 심도 및 노안 교정을 위한 펄스화된 플러스 렌즈 설계
JP2018526341A (ja) 光増感剤を用いた眼の処置用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838871B1 (ko) 안과용 렌즈 소독 베이스
WO2009042159A1 (en) Wearable photoactivator for ocular therapeutic applications and use thereof
JP2007152121A (ja) シリコーンヒドロゲルコンタクトレンズを滅菌する方法
Cho et al. To rub or not to rub?–effective rigid contact lens cleaning
US9282796B2 (en) UV radiation control for disinfecting of ophthalmic lenses
KR102198704B1 (ko)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KR20200113717A (ko)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및 방법
KR20100074219A (ko) 방사선에 의한 안과 렌즈의 살균 방법
KR101999247B1 (ko)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및 방법
JP2020508099A (ja) レーザー光源と処置対象組織との間の接続インターフェース
US11766356B2 (en) Micro-devices for treatment of an eye
CN110095887A (zh) 基于物理方法的角膜接触镜清洗消毒护理仪
TWI597219B (zh) 用於容納供儲存一或多個眼用鏡片之一眼用鏡片儲存盒且用於消毒眼用鏡片的基座
US20220233842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a corneal tissue
KR102174564B1 (ko) 살균 장치를 구비한 안과 장치
JP4578937B2 (ja) 検眼装置
KR101790612B1 (ko) 콘택트렌즈 패키지 용액 살균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