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500A -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500A
KR20200113500A KR1020190033749A KR20190033749A KR20200113500A KR 20200113500 A KR20200113500 A KR 20200113500A KR 1020190033749 A KR1020190033749 A KR 1020190033749A KR 20190033749 A KR20190033749 A KR 20190033749A KR 20200113500 A KR20200113500 A KR 20200113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air
module case
ai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1693B1 (ko
Inventor
민경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33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693B1/ko
Priority to AU2020246793A priority patent/AU2020246793A1/en
Priority to US17/050,258 priority patent/US11942617B2/en
Priority to PCT/KR2020/002832 priority patent/WO2020197111A1/ko
Priority to EP20778711.0A priority patent/EP3840082A4/en
Priority to JP2020558456A priority patent/JP7094386B2/ja
Priority to CN202080002900.3A priority patent/CN112154552B/zh
Publication of KR20200113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94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65Physical fire-barriers having as the main closure device materials, whose characteristics undergo an irreversible change under high temperatures, e.g. intum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7Stationary installation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6Means within the gas flow to guide the flow around one or more cells, e.g. manifolds, baffles or other barrier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3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 모듈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의 냉각을 위해 모듈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흡입부, 공기 흡입부를 통해 모듈 케이스 내부로 들어온 공기를 모듈 케이스 밖으로 내보내며, 모듈 케이스의 타측에 구비되는 공기 토출부 및 공기 토출부와 공기 흡입부 사이의 모듈 케이스 내벽에 부착되며, 소정 온도 이상에서 팽창되어 모듈 케이스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BATTERY MODULE, BATTERY R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품 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차량(EV, Electric Vehicle)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HEV, Hybrid Electric Vehicle)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이차 전지의 종류에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단위 이차 전지 셀, 즉, 단위 배터리 셀의 작동 전압은 약 2.5V ~ 4.5V이다. 따라서, 이보다 더 높은 출력 전압이 요구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배터리 팩에 요구되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수의 배터리 셀을 병렬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의 개수는 요구되는 출력 전압 또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먼저 구성하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이용하여 기타 구성요소를 추가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은 다양한 전압과 용량 요구 조건 등에 따라, 이러한 배터리 팩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배터리 랙들로 구비되는 전력 저장 장치를 구성하기도 한다.
종래 전력 저장 장치를 구성하는 배터리 모듈의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들을 수용하는 랙 컨테이너 내에 배터리 셀의 특성 상 발생될 수 있는 과열 등에 따른 화재 발생 등의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소방 시설 구조물이 구비된다.
그러나, 배터리 모듈 내에서 화재가 시작되는 경우, 신속한 화재 진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배터리 모듈 내에서 화재가 신속히 진압되지 않거나 불이 번지는 시간이 지연되지 않을 경우, 주변 배터리 모듈들로의 화재 전이가 빨라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추후 랙 컨테이너 내의 소방 시설 구조물이 동작 시점에는 이미 복구하기 어려운 피해가 발생된 이후일 가능성이 높을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화재 상황 발생 시 보다 신속한 조기 진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배터리 모듈 단위에서의 화재 진압 및 화재 확산 방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상황 발생 시 배터리 모듈 단위에서 화재 진압 및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로서,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 상기 모듈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의 냉각을 위해 상기 모듈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흡입부; 상기 공기 흡입부를 통해 상기 모듈 케이스 내부로 들어온 공기를 상기 모듈 케이스 밖으로 내보내며, 상기 모듈 케이스의 타측에 구비되는 공기 토출부; 및 상기 공기 토출부와 상기 공기 흡입부 사이의 상기 모듈 케이스 내벽에 부착되며, 소정 온도 이상에서 팽창되어 상기 모듈 케이스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시트부재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시트부재는, 각각, 상기 모듈 케이스의 전방 내벽, 후방 내벽, 양측방 내벽, 상측 내벽 및 하측 내벽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시트 부재는, 각 테두리에서 상호 실링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공기 흡입부와 상기 공기 토출부를 마주하게 상기 모듈 케이스의 양측방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공기 순환 유로가 형성되는 한 쌍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트부재와 같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마주하는 일측에 구비되며, 상호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슬릿과 인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공기 순환 유로 내부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터리 랙으로서,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수용하는 랙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랙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력 저장 장치로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화재 상황 발생 시 배터리 모듈 단위에서 화재 진압 및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터리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배터리 모듈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냉각을 위한 공기 순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소정 온도 이상 시 시트부재와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배터리 모듈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배터리 모듈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냉각을 위한 공기 순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10)은, 배터리 셀(100), 모듈 케이스(200), 공기 흡입부(300), 공기 토출부(400), 시트부재(500) 및 한 쌍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600, 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00)은, 이차 전지로서, 파우치형 이차 전지, 각형 이차 전지 또는 원통형 이차 전지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터리 셀(100)이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마련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배터리 셀(10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0)은 상호 적층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0)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케이스(200)는,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0)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모듈 케이스(200)는, 케이스 본체(210) 및 케이스 커버(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210)에는,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250)는,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210)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부(300)는, 상기 모듈 케이스(200)의 일측,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 본체(210)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0)의 냉각을 위해 상기 모듈 케이스(200)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부(400)는, 상기 공기 흡입부(300)를 통해 상기 모듈 케이스(200) 내부로 들어온 공기를 상기 모듈 케이스(200) 밖으로 내보낼 수 있게 상기 모듈 케이스(200)의 타측,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 본체(210)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재(500)는, 상기 공기 토출부(400)와 상기 공기 흡입부(300) 사이의 상기 모듈 케이스(200) 내벽에 부착되며, 소정 온도 이상에서 팽창되어 상기 모듈 케이스(200)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시트부재(500)는 소정 온도 이상에서 그 부피가 팽창될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시트부재(500)는 소정 온도 이상에서 부피가 증가하는 폼(foam) 형태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시트부재(50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시트부재(500)는, 각각, 상기 모듈 케이스(200)의 전방 내벽, 후방 내벽, 양측방 내벽, 상측 내벽 및 하측 내벽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시트부재(500)는, 상기 케이스 본체(210)의 전방 내벽, 후방 내벽, 양측방 내벽, 하측 내벽 및 상기 케이스 커버(210)의 상측 내벽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시트부재(500)는, 각 테두리에서 상호 실링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600, 700)는, 상기 공기 흡입부(300)와 상기 공기 토출부(400)를 마주하게 상기 모듈 케이스(200),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 본체(210)의 양측방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600, 700)는,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한 쌍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600, 7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트부재(500)와 같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600, 700), 또한, 소정 온도 이상에서 부피가 팽창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600, 700)는, 제1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600) 및 제2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600)는, 상기 공기 흡입부(30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0)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 순환 유로(610), 가이드 슬릿(630) 및 가이드 격벽(6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 유로(610)는, 상기 공기 흡입부(300)와 연통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0)의 적층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릿(630)은, 상기 공기 순환 유로(610)와 연통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0)을 마주하는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 슬릿(63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슬릿들(630)은, 상기 배터리 셀들(100)의 적층 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순환 유로(610) 내의 공기의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0) 측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격벽(65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격벽(650)은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슬릿(630)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공기 순환 유로(610) 내부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격벽(650)은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슬릿(630) 측으로의 보다 더 균일한 공기 유입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제2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700)는,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0)을 냉각시킨 공기를 상기 공기 토출부(400)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 순환 유로(710), 가이드 슬릿(730) 및 가이드 격벽(7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 유로(710)는, 상기 공기 토출부(400)와 연통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0)의 적층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릿(730)은, 상기 공기 순환 유로(710)와 연통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0)을 마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 슬릿(73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슬릿들(730)은, 상기 배터리 셀들(100)의 적층 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00) 측의 공기의 상기 공기 순환 유로(710) 측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격벽(75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격벽(750)은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슬릿(730)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공기 순환 유로(710) 내부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격벽(750)은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슬릿(730) 측에서 유입된 공기의 상기 공기 토출부(400) 측으로의 이동을 보다 더 균일하게 가이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격벽(750)은,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부재로써 결합되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격벽(755)이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소정 온도 이상 시 시트부재와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경우, 상기 모듈 케이스(200) 내부의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0)의 적어도 하나에서 과열 등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재 발생 시, 상기 모듈 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복수 개의 시트부재(500) 및 상기 한 쌍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600, 700)가 팽창하면서, 상기 모듈 케이스(200)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 개의 시트부재(500) 및 상기 한 쌍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600, 700)의 팽창에 따른 상기 모듈 케이스(200) 내부 공간 밀폐에 따라, 상기 공기 흡입부(300) 또는 상기 공기 토출부(400) 측에서 상기 모듈 케이스(200) 내부로의 산소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 모듈(10) 내부에서 발생된 화재가 보다 더 신속하게 진압되거나 또는 현저히 약화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모듈(10) 외부로의 열 확산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모듈(10)은, 화재 상황 발생 시, 상기 시트 부재(500) 및 상기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600, 700)를 통해, 상기 배터리 모듈(10) 단위에서 보다 신속히 화재를 조기 진압하거나 화재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배터리 랙(1)은, 앞선 실시예의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10) 및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10)을 수용하는 랙 케이스(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랙(1)은, 앞선 실시예의 상기 배터리 모듈(10)을 포함하기에, 앞선 실시예의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장점을 모두 포함하는 배터리 랙(1)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랙(1)은, 어느 하나의 배터리 모듈(10)에서 화재 상황이 발생되더라도 그 배터리 모듈(10) 단위에서 보다 더 신속하게 화재 상황이 발생된 배터리 모듈(10)의 내부를 밀폐시켜 신속합 화재 진압과 아울러 인접한 배터리 모듈(10)로의 화재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력 저장 장치(E)는, 에너지원으로서, 가정용 또는 산업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력 저장 장치(E)는, 앞선 실시예의 적어도 하나, 본 실시예의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랙(1) 및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랙(1)을 수용하는 랙 컨테이너(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력 저장 장치(E)는, 앞선 실시예의 상기 배터리 랙(1)을 포함하기에, 앞선 실시예의 상기 배터리 랙(1)의 장점을 모두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E)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화재 상황 발생 시 상기 배터리 모듈(10) 단위에서 화재 진압 및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상기 배터리 모듈(10), 이를 포함하는 상기 배터리 랙(1) 및 상기 전력 저장 장치(E)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E: 전력 저장 장치
C: 랙 컨테이너
1: 배터리 랙
10: 배터리 모듈
50: 랙 케이스
100: 배터리 셀
200: 모듈 케이스
210: 케이스 본체
250: 케이스 커버
300: 공기 흡입부
400: 공기 토출부
500: 시트부재
600: 제1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
610: 공기 순환 유로
630: 가이드 슬릿
650: 가이드 격벽
700: 제2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
710: 공기 순환 유로
730: 가이드 슬릿
750: 가이드 격벽
755: 가이드 격벽

Claims (10)

  1.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
    상기 모듈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의 냉각을 위해 상기 모듈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흡입부;
    상기 공기 흡입부를 통해 상기 모듈 케이스 내부로 들어온 공기를 상기 모듈 케이스 밖으로 내보내며, 상기 모듈 케이스의 타측에 구비되는 공기 토출부; 및
    상기 공기 토출부와 상기 공기 흡입부 사이의 상기 모듈 케이스 내벽에 부착되며, 소정 온도 이상에서 팽창되어 상기 모듈 케이스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시트부재는, 각각,
    상기 모듈 케이스의 전방 내벽, 후방 내벽, 양측방 내벽, 상측 내벽 및 하측 내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시트 부재는,
    각 테두리에서 상호 실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와 상기 공기 토출부를 마주하게 상기 모듈 케이스의 양측방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공기 순환 유로가 형성되는 한 쌍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트부재와 같은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마주하는 일측에 구비되며, 상호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공기 순환 가이드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슬릿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공기 순환 유로 내부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9. 제1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수용하는 랙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랙.
  10. 제9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장치.
KR1020190033749A 2019-03-25 2019-03-25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KR102381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749A KR102381693B1 (ko) 2019-03-25 2019-03-25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AU2020246793A AU2020246793A1 (en) 2019-03-25 2020-02-27 Battery module, battery rack comprising same and power storage device
US17/050,258 US11942617B2 (en) 2019-03-25 2020-02-27 Battery module, and battery r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PCT/KR2020/002832 WO2020197111A1 (ko) 2019-03-25 2020-02-27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EP20778711.0A EP3840082A4 (en) 2019-03-25 2020-02-27 BATTERY MODULE, BATTERY BAY COMPRISING THE SAME, AND ENERGY STORAGE DEVICE
JP2020558456A JP7094386B2 (ja) 2019-03-25 2020-02-27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ラック及び電力貯蔵装置
CN202080002900.3A CN112154552B (zh) 2019-03-25 2020-02-27 电池模块、包括电池模块的电池架以及蓄能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749A KR102381693B1 (ko) 2019-03-25 2019-03-25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500A true KR20200113500A (ko) 2020-10-07
KR102381693B1 KR102381693B1 (ko) 2022-03-31

Family

ID=7261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749A KR102381693B1 (ko) 2019-03-25 2019-03-25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42617B2 (ko)
EP (1) EP3840082A4 (ko)
JP (1) JP7094386B2 (ko)
KR (1) KR102381693B1 (ko)
CN (1) CN112154552B (ko)
AU (1) AU2020246793A1 (ko)
WO (1) WO20201971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495A (ko) * 2021-06-16 2022-12-23 비나텍주식회사 개선된 냉각 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4598B (zh) * 2021-07-29 2023-05-12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及电池包
CN114652980B (zh) * 2022-03-17 2023-01-31 安徽汉星综合能源有限公司 一种具有灭火功能的锂离子电池储能集成箱
KR102432910B1 (ko) * 2022-06-30 2022-08-18 대한시스텍주식회사 Ess 자동 소화 시스템
DE102022124281B3 (de) 2022-09-21 2023-09-2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modul und dessen Verwendung sowie Batterie und Kraftfahrzeug mit einem solchen Modu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727B1 (ko) * 2007-02-21 2008-08-19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배터리 팩
KR20120070274A (ko) * 2010-12-21 2012-06-2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40034352A (ko) * 2012-09-07 2014-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6463B2 (ja) * 2000-08-03 2008-02-1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BR0317886A (pt) 2003-01-04 2005-1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 Elemento isolante para um conjunto de bateria, montagens de elemento isolante e de conjunto de bateria, veìculo, e, métodos para isolar um conjunto de bateria em um veìculo e para manter um conjunto de bateria em um veìculo dentro de uma faixa de temperatura
JP2009021223A (ja) 2007-06-11 2009-01-29 Panasonic Corp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搭載機器
JP5313048B2 (ja) 2009-05-28 2013-10-09 タイガースポリマー株式会社 熱膨張性耐火材料および耐火成形体および防火処理方法
EP2504878A4 (en) 2009-11-09 2014-01-08 Enerdel Inc SCALABLE BATTERY MODULE
JPWO2012015002A1 (ja) 2010-07-30 2013-09-12 三洋電機株式会社 蓄電システム及び二次電池収納システムラック
JP2012230785A (ja) 2011-04-25 2012-11-22 Toyota Industries Corp 組電池の冷却構造
JP5630417B2 (ja) * 2011-10-18 2014-11-2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5993209B2 (ja) 2012-05-24 2016-09-14 タイガースポリマー株式会社 電池冷却構造
JP5933344B2 (ja) 2012-05-31 2016-06-08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KR101877999B1 (ko) * 2012-12-27 2018-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냉각장치
JP2015153616A (ja) 2014-02-14 2015-08-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バッテリパック
JP6252313B2 (ja) 2014-03-31 2017-12-27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KR20160108987A (ko) 2015-03-09 2016-09-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상변화 물질을 적용한 배터리 팩
JP6365884B2 (ja) 2015-04-14 2018-08-01 豊田合成株式会社 組電池
US10116017B2 (en) * 2015-12-18 2018-10-30 Amazon Technologies, Inc. Passive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battery
AT518161B1 (de) * 2016-02-19 2017-08-15 Avl List Gmbh Batterie
CN107437631A (zh) 2016-05-26 2017-12-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JP6894379B2 (ja) * 2016-09-30 2021-06-3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熱伝導性熱膨張性樹脂組成物、熱伝導性熱膨張性成形体、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CN107968168B (zh) 2016-10-19 2020-09-1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JP2018098074A (ja) * 2016-12-14 2018-06-2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組電池
JP2018107087A (ja) 2016-12-28 2018-07-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の冷却装置
CN207134409U (zh) 2017-09-22 2018-03-2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及电池包
KR101977208B1 (ko) 2017-09-22 2019-06-18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문서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서작성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727B1 (ko) * 2007-02-21 2008-08-19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배터리 팩
KR20120070274A (ko) * 2010-12-21 2012-06-2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40034352A (ko) * 2012-09-07 2014-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495A (ko) * 2021-06-16 2022-12-23 비나텍주식회사 개선된 냉각 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40082A4 (en) 2022-01-19
EP3840082A1 (en) 2021-06-23
AU2020246793A1 (en) 2021-05-06
CN112154552B (zh) 2023-01-06
KR102381693B1 (ko) 2022-03-31
US20210083344A1 (en) 2021-03-18
WO2020197111A1 (ko) 2020-10-01
JP2021520611A (ja) 2021-08-19
CN112154552A (zh) 2020-12-29
JP7094386B2 (ja) 2022-07-01
US11942617B2 (en) 202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1693B1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KR102033101B1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US11557808B2 (en) Battery module, battery r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battery rack
JP7154412B2 (ja) バッテリーラック及びそれを含む電力貯蔵装置
US20220102792A1 (en) Battery rack and power storage device comprising same
EP3982475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rack and power storage device comprising battery module
JP7105913B2 (ja) バッテリーラック及びそれを含む電力貯蔵装置
KR102336722B1 (ko) 배터리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KR102412085B1 (ko) 전력 저장 장치
JP2023508206A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KR20130019928A (ko) 방폭랙
KR20210004188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전력 저장 장치
KR20210112162A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이러한 배터리 랙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KR102258820B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EP4322293A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energy storage device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KR20200105315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KR20230016532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210007373A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KR20230099542A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