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268A - 중앙집중형 유닛-분산형 유닛 아키텍처에서의 통신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중앙집중형 유닛-분산형 유닛 아키텍처에서의 통신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268A
KR20200113268A KR1020207025055A KR20207025055A KR20200113268A KR 20200113268 A KR20200113268 A KR 20200113268A KR 1020207025055 A KR1020207025055 A KR 1020207025055A KR 20207025055 A KR20207025055 A KR 20207025055A KR 20200113268 A KR20200113268 A KR 20200113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quest message
network
network slice
interface set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5459B1 (ko
Inventor
잉하오 진
펑 한
항 장
웨이 탄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13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04W28/0263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involving mapping traffic to individual bearers or channels, e.g. traffic flow template [T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중앙집중형 유닛-분산형 유닛 아키텍처에서의 통신 방법, 통신 디바이스, 및 칩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P(centralized unit control plane) 엔티티에 의해, 액세스 네트워크의 CU-UP(centralized unit user plane) 엔티티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CU-CP에 의해,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후에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CU-UP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추적 영역의 아이덴티티 및 추적 영역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 및 셀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및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용량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Description

중앙집중형 유닛-분산형 유닛 아키텍처에서의 통신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본 출원은 통신 기술들의 분야에, 특히, 통신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에 관련된다.
통신 기술들의 개발로, 새로운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제안되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기지국의 기능들이 분리된다. 기지국의 일부 기능들은 중앙집중형 유닛(Centralized Unit, CU) 상에 배치되고, 다른 기능들은 분산형 유닛(Distributed Unit, DU) 상에 배치된다. 일부 사례들에서는, CU가 추가로 분리된다. 예를 들어, CU는 제어 평면 CU(CU-CP) 및 사용자 평면 CU(CU-U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는, 정상적인 통신을 어떻게 보장하는지가 고려할 가치가 있는 문제이다.
본 출원은 통신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하여, 전술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정상적인 통신을 보장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되고, 이러한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P(centralized unit control plane) 엔티티에 의해, 액세스 네트워크의 CU-UP(centralized unit user plane) 엔티티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CU-CP에 의해,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후에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CU-UP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CU-UP는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을 전송하여, CU-CP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획득한다. 이러한 사례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고려하는 것에 의해, CU-CP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참조하여 세션 또는 베어러에 대한 적절한 CU-UP를 선택하여, CU-UP가 세션 또는 베어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을 때 야기되는 세션 또는 베어러 셋업 실패를 회피하고, 통신 중단을 회피하고, 정상적인 통신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CU-UP는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을 전송하여, CU-CP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가능한 한 빨리 획득한다. 세션 또는 베어러를 셋업할 때만, CU-CP가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획득하는 것을 착수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고, 그렇게 함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들을 절약하고, 레이턴시를 회피하고, 효율적이고 정상적인 통신을 추가로 보장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추적 영역의 아이덴티티 및 추적 영역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 및 셀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및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례에서, CU-CP는 TA 입도, 셀 입도, 또는 오퍼레이터 입도로 CU-UP들 상에 배치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의 차이를 추가로 이해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정상적인 통신을 추가로 보장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용량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리소스가 격리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리소스가 공유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용량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여, CU-CP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용량 정보를 상세히 알아, 용량 정보의 오판정으로 인해 야기되는 세션 거절을 회피하고, 통신 중단을 추가로 회피하고, 통신 품질을 보장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CU-CP는,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CU-CP 및 CU-UP 양자 모두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러한 방법은, CU-CP에 의해, 부하 요청 메시지를 CU-UP에 전송하는 단계- 부하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부하 정보를 획득하라고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를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부하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의 서비스 범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서비스 범위 정보는 다음: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추적 영역의 아이덴티티, CU-UP에 접속되는 DU(distributed unit)의 아이덴티티, 또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는 CU-CP가 적절한 CU-UP를 선택하여 UE를 서비스하고 정상적인 통신을 보장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는 CU-C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는 CU-C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용량 정보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되고, 이러한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의 CU-UP(centralized unit user plane) 엔티티에 의해,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P(centralized unit control plane) 엔티티에 전송하는 단계-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CU-UP에 의해, CU-CP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추적 영역의 아이덴티티 및 추적 영역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 및 셀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및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용량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러한 방법은, CU-UP에 의해,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러한 구성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를 추가로 포함한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CU-UP에 대해,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직접 구성하여,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가 CU-CP에 대해 먼저 구성되고 다음으로 CU-UP에 전달되는 전달 프로세스를 회피하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들을 감소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러한 방법은, CU-UP에 의해, CU-CP로부터 부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부하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부하 정보를 획득하라고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를 추가로 포함한다. 추가로, 선택적으로,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자가 부하 요청 메시지에서 운반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의 서비스 범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서비스 범위 정보는 다음: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추적 영역의 아이덴티티, CU-UP에 접속되는 DU(distributed unit)의 아이덴티티, 또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통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이러한 통신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P(centralized unit control plane) 엔티티이다. 통신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CU-UP(centralized unit user plane) 엔티티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를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CU-UP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추적 영역의 아이덴티티 및 추적 영역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 및 셀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및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용량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러한 디바이스는 제2 송신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송신기는,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CU-CP 및 CU-UP 양자 모두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송신기는 부하 요청 메시지를 CU-UP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러한 부하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부하 정보를 획득하라고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선택적으로,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자가 부하 요청 메시지에서 운반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의 서비스 범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서비스 범위 정보는 다음: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추적 영역의 아이덴티티, CU-UP에 접속되는 DU(distributed unit)의 아이덴티티, 또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통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이러한 통신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CU-UP(centralized unit user plane) 엔티티이다. 이러한 통신 디바이스는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P(centralized unit control plane) 엔티티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 디바이스는 CU-CP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신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추적 영역의 아이덴티티 및 추적 영역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 및 셀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및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용량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러한 통신 디바이스는 제2 수신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수신기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수신기는 CU-CP로부터 부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러한 부하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부하 정보를 획득하라고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선택적으로,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자가 부하 요청 메시지에서 운반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의 서비스 범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서비스 범위 정보는 다음: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추적 영역의 아이덴티티, CU-UP에 접속되는 DU(distributed unit)의 아이덴티티, 또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되고, 이러한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P(centralized unit control plane) 엔티티에 의해,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러한 구성 메시지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CU-UP(centralized unit user plane) 엔티티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CU-CP에 의해, CU-UP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CU-CP에 의해,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CU-UP에 전송하는 단계- 이러한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추적 영역의 아이덴티티 및 추적 영역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 및 셀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및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CU-CP는,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CU-CP 및 CU-UP 양자 모두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러한 방법은, CU-CP에 의해, 부하 요청 메시지를 CU-UP에 전송하는 단계- 부하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부하 정보를 획득하라고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를 추가로 포함한다. 추가로, 선택적으로,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자가 부하 요청 메시지에서 운반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것인 그리고 CU-UP에 접속되는 분산형 유닛에 관한 정보가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추가로 운반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되고, 이러한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의 CU-UP(centralized unit user plane) 엔티티에 의해,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P(centralized unit control plane) 엔티티에 전송하는 단계; 및, CU-UP에 의해, CU-CP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러한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추적 영역의 아이덴티티 및 추적 영역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 및 셀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및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러한 방법은, CU-UP에 의해,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러한 구성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를 추가로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러한 방법은, CU-UP에 의해, CU-CP로부터 부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부하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부하 정보를 획득하라고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를 추가로 포함한다. 추가로, 선택적으로,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자가 부하 요청 메시지에서 운반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것인 그리고 CU-UP에 접속되는 분산형 유닛에 관한 정보가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추가로 운반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되고, 이러한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entralized unit)에 의해, 액세스 네트워크의 DU(distributed unit)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DU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이 속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통지 영역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및, CU에 의해,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DU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CU는 CU 제어 평면 CU-CP 엔티티 및 CU 사용자 평면 CU-UP 엔티티를 포함한다. CU에 의해, DU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CU-CP에 의해, DU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DU에 접속되는 CU-UP에 관한 정보가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추가로 운반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DU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용량 정보가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추가로 운반된다.
제8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되고, 이러한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의 DU(distributed unit)에 의해,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entralized unit)에 전송하는 단계-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DU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이 속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통지 영역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및, DU에 의해, CU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DU에 의해,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CU에 전송하는 단계는, DU에 의해,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CU 제어 평면 CU-CP 엔티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DU에 접속되는 CU-UP에 관한 정보가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추가로 운반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DU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용량 정보가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추가로 운반된다.
제9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되고, 이러한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entralized unit)에 의해, UE(user equipment) 컨텍스트 해제 커맨드 메시지를 액세스 네트워크의 DU(distributed unit)에 전송하는 단계; 및, CU에 의해, DU에 의해 전송되는 UE 컨텍스트 해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DU 상의 UE의 컨텍스트가 컨텍스트 해제 완료 메시지에서 운반됨 -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표시 정보가 UE 컨텍스트 해제 커맨드 메시지에서 운반되고, 이러한 표시 정보는 CU가 UE를 접속 상태로부터 비활성 상태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표시 정보가 UE 컨텍스트 해제 커맨드 메시지에서 운반되고, 이러한 표시 정보는 CU가 DU 상의 UE의 컨텍스트를 필요로 한다는 점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DU 상의 UE의 컨텍스트는 다음: UE에 대해 DU에 의해 셋업되는 베어러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 베어러의 논리 채널 구성 정보, 베어러의 논리 채널 식별 정보, 베어러의 RLC 레이어 구성 정보, MAC 레이어 구성 정보, 및 PHY 레이어 구성 정보, UE의 C-RNTI 식별 정보, 및 DU 상의 UE에 의해 액세스되는 셀에 관한 정보 또는 DU 상의 UE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0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되고, 이러한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의 DU(distributed unit)에 의해,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entralized unit)로부터 UE(user equipment) 컨텍스트 해제 커맨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DU에 의해, UE 컨텍스트 해제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DU 상의 UE의 컨텍스트가 컨텍스트 해제 완료 메시지에서 운반됨 -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표시 정보가 UE 컨텍스트 해제 커맨드 메시지에서 운반되고, 이러한 표시 정보는 CU가 UE를 접속 상태로부터 비활성 상태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표시 정보가 UE 컨텍스트 해제 커맨드 메시지에서 운반되고, 이러한 표시 정보는 CU가 DU 상의 UE의 컨텍스트를 필요로 한다는 점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DU 상의 UE의 컨텍스트는 다음: UE에 대해 DU에 의해 셋업되는 베어러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 베어러의 논리 채널 구성 정보, 베어러의 논리 채널 식별 정보, 베어러의 RLC 레이어 구성 정보, MAC 레이어 구성 정보, 및 PHY 레이어 구성 정보, UE의 C-RNTI 식별 정보, 및 DU 상의 UE에 의해 액세스되는 셀에 관한 정보 또는 DU 상의 UE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통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이러한 통신 디바이스는 제5 양태에 따른 방법에서 CU-CP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 제6 양태에 따른 방법에서 CU-UP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 제7 양태 또는 제9 양태에 따른 방법에서 CU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 또는 제8 양태 또는 제10 양태에 따른 방법에서 DU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디바이스는 제5 양태 내지 제10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서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유닛 또는 모듈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단계는 하나의 유닛 또는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사례들에서, 2개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들 또는 모듈들이 대안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전송 단계들이 동일한 유닛 또는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통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이러한 통신 디바이스는 제1 양태 또는 제5 양태에 따른 방법에서 CU-CP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 제2 양태 또는 제6 양태에 따른 방법에서 CU-UP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 제7 양태 또는 제9 양태에 따른 방법에서 CU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 또는 제8 양태 또는 제10 양태에 따른 방법에서 DU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전술한 양태들에서의 방법들에서 CU-CP, CU-UP, CU, 또는 DU의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송 및/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러한 통신 디바이스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이러한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이러한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고 있을 때, 이러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양태들에서의 방법들에서 CU-CP, CU-UP, CU, 또는 DU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칩이 제공된다. 이러한 칩은 프로세서 및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회로는 외부 디바이스와 정보를 교환하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인터페이스 회로는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전술한 양태들에서의 방법들에서 CU-CP, CU-UP, CU, 또는 DU의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인터페이스 회로는 전송 및/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러한 칩은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이러한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이러한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고 있을 때, 이러한 인터페이스 회로는 전술한 양태들에서의 방법들에서 CU-CP, CU-UP, CU, 또는 DU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이러한 명령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이러한 컴퓨터는 전술한 양태들에서의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이러한 컴퓨터는 전술한 양태들에서의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CU-DU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도면이다.
도 3은 CU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칩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 서비스 시나리오들은 본 출원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명확히 설명하도록 의도되지만,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책들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해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는 네트워크 아키텍처들이 진화하고 새로운 서비스 시나리오가 출현함에 따라,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책들이 유사한 기술적 문제에 또한 적용가능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본 출원에서의 문자 "/"는 연관된 객체들 사이의 "또는" 관계를 표시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RAN)일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는 5G 코어 네트워크(5G Core Network, 5GC)일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기지국(예를 들어, gNB)을 포함할 수 있고, gNB들은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된다. gNB는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5GC에 접속된다. 코어 네트워크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CU-DU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은 중앙집중형 유닛(Centralized Unit, CU) 및 분산형 유닛(Distributed Unit, DU)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의 기능들은 분할된다. 기지국의 일부 기능들은 CU 상에 배치되고, 기지국의 다른 기능들은 DU 상에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DU가 존재할 수 있다. 복수의 DU들이 하나의 CU를 공유하여, 비용을 절약하고 네트워크 확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U 및 DU는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F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된다. CU는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CU 및 DU의 기능들은 프로토콜 스택에 기초하여 분할될 수 있다. 가능한 방식으로,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및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레이어, 및 서비스 데이터 적응(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SDAP) 레이어가 CU 상에 배치된다.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프로토콜,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및 물리 레이어(physical layer, PHY)가 DU 상에 배치된다. 대응하여, CU는 RRC, PDCP, 및 SDAP를 처리할 수 있다. DU는 RLC, MAC, 및 PHY를 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기능 분할은 단지 예이고, 대안적으로 다른 분할 방식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CU는 RRC, PDCP, RLC, 및 SDAP를 처리할 수 있고, DU는 MAC, 및 PHY를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CU는 RRC, PDCP, RLC, SDAP, 및 MAC의 일부분(예를 들어, MAC 헤더를 추가함)을 처리할 수 있고, DU는 PHY 및 MAC의 일부분(예를 들어, 스케줄링)을 처리할 수 있다. CU 및 DU의 명칭들은 변경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는 임의의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가 본 출원에서 CU 및 DU로서 고려될 수 있다.
도 3은 CU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CU는 제어 평면 CU(CU-CP) 및 사용자 평면 CU(CU-UP)를 포함한다. CU-CP 및 CU-UP는 상이한 물리 디바이스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CU-CP 및 CU-UP는 동일한 물리 디바이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CU-CP 및 CU-UP는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E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된다. CU-CP는 기지국이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된다는 점을 표시한다. CU-CP는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F1-C 인터페이스)를 통해 DU에 접속되고, CU-UP는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F1-U 인터페이스)를 통해 DU에 접속된다. 하나의 CU-CP가 존재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CU-UP가 존재할 수 있다. 복수의 CU-UP들이 하나의 CU-CP를 공유할 수 있다. CU-CP는 제어 평면 기능을 주로 갖는다. CU-UP는 사용자 평면 기능을 주로 갖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5G 기지국에 대해, RRC 레이어는 CU-CP 상에 배치될 수 있지만, SDAP 레이어는 CU-CP 상에 배치되지 않는다. CU-CP는 PDCP 레이어의 제어 평면 기능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CU-CP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ing radio bearer, SRB)를 처리할 수 있다. SDAP 레이어는 CU-UP 상에 배치될 수 있지만, RRC 레이어는 CU-UP 상에 배치되지 않는다. CU-UP는, 예를 들어, DRB(data radio bearer)를 처리하는 PDCP 레이어의 사용자 평면 기능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도 4는 다른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기지국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동작, 관리 및 유지보수(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엔티티일 수 있다. 기지국은 CU-DU 아키텍처의 것이다. CU는 CU-CP 및 CU-UP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사항들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에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CU-CP에 접속되어, CU-CP 상의 네트워크 구성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DU에 접속되어, DU 상의 네트워크 구성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CU-UP에 접속되어, CU-UP 상의 네트워크 구성을 수행한다. 일부 사례들에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CU-UP에 접속되지 않는다. 이러한 사례에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CU-CP를 사용하여 CU-UP를 구성한다.
통신 기술들의 개발로,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 NS)의 개념이 추가로 제안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주요 타입들은, 강화된 모바일 광대역(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서비스, 대규모 머신-타입 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서비스, 및 초-신뢰성 및 저-레이턴시 통신(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서비스를 포함한다. eMBB는, 모바일 폰들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과 같은, 레이트 및 이동성에 대한 높은 요건들을 갖는 단말들을 주로 타겟으로 한다. mMTC는 큰 스케일, 낮은 이동성 및 낮은 레이트에 대한 요건들을 갖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을 주로 타겟으로 한다. URLLC는, 차량 인터넷 및 보안 정보와 같은, 레이턴시 및 신뢰성에 대한 가혹한 요건들을 갖는 서비스 또는 디바이스 타입을 주로 지칭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폰 사용자는 eMBB 타입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여, 고속으로의 다운로딩을 수행하거나 또는 4K 고화질 비디오를 시청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는 mMTC 타입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여, 소량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고 시스템 구성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동시에 액세스하여, 서비스 요건을 충족시키고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501. CU-UP가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CU-CP에 전송하고, CU-CP가 CU-UP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 이러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셋업되도록 요청되는 인터페이스는 E1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자일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자는 단일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보조 정보(single-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S-NSSAI)일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자는 대안적으로 S-NSSAI 리스트(S-NSSAI list)일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네트워크 상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기지국들은 일부 타입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을 지원하고, 다른 기지국은 다른 타입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을 지원한다. 기지국에서, CU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DU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또한 상이할 수 있다. CU에서, CU-C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또한 상이할 수 있다. 상이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속하는 세션들(예를 들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들, PDU(protocol data unit) 세션들) 또는 베어러들이 액세스 네트워크 측에 의해 상이하게 구성된다. UE에 대해 세션 또는 베어러를 셋업할 때, CU-CP는 세션 또는 베어러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적절한 CU-UP를 선택한다. CU-CP가 CU-UP에 의해 지원되는 구체적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알지 못하면, CU-CP는 세션 또는 베어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CU-UP를 선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세션 셋업이 실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CU-UP는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을 전송하여, CU-CP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획득한다. 이러한 사례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고려하는 것에 의해, CU-CP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참조하여 세션 또는 베어러에 대한 적절한 CU-UP를 선택하여, CU-UP가 세션 또는 베어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을 때 야기되는 세션 또는 베어러 셋업 실패를 회피하고, 통신 중단을 회피하고, 정상적인 통신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CU-UP는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을 전송하여, CU-CP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가능한 한 빨리 획득한다. 세션 또는 베어러를 셋업할 때만, CU-CP가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획득하는 것을 착수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고, 그렇게 함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들을 절약하고, 레이턴시를 회피하고, 효율적이고 정상적인 통신을 추가로 보장한다.
선택적으로,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추적 영역(tracking area, 줄여서 TA)의 아이덴티티 및 이러한 추적 영역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TA의 아이덴티티는 추적 영역 코드(tracking area code, TAC) 또는 추적 영역 아이덴티티(tracking area identity/identifier, TAI)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TAI는 TAC 및 PLMN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 리스트)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 및 이러한 셀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의 아이덴티티 및 이러한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등록 영역(registration area, RA)의 아이덴티티 및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RA의 아이덴티티는 등록 영역 코드(registration area code, RAC) 또는 등록 영역 아이덴티티(registration area identity/identifier, RAI)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CU-UP(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 리스트)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 및 이러한 셀이 속하는 TAI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표 1 내지 표 7은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의 7개의 예들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의 용량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용량 정보는 CU-UP의 이용가능한 리소스에 관한 정보 및/또는 CU-UP의 부하 정보, 및/또는 CU-UP의 처리 능력(처리 용량)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이용가능한 리소스는 다음: 컴퓨팅 리소스, 소프트웨어 리소스, 저장 리소스, 또는 (이용가능한 포트들의 수량과 같은) 포트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하 정보는 다음: 현재의 부하 및 CU-UP가 현재 베어링할 수 있는 부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용량 정보는 스칼라 값일 수 있다. 네트워크 측이 단말에 대해 베어러 또는 세션을 셋업할 때, CU-CP는 용량 정보를 참조하여 적절한 CU-UP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U-UP의 용량 정보에 대응하는 더 큰 값은 CU-UP의 더 강한 처리 능력을 표시한다. 다른 동일한 사례(예를 들어, 셋업될 필요가 있는 세션 또는 베어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복수의 CU-UP들 전부가 지원함)에서, CU-CP는, 서빙 CU-UP로서, 용량 정보가 더 큰 값에 대응하는 CU-UP를 선택한다.
선택적으로, CU-UP의 용량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입도로 표시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CU-UP의 용량 정보가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피드백된다. CU-UP의 용량 정보는 구체적으로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용량 정보일 수 있다.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용량 정보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CU-UP 상의 이용가능한 리소스 정보, 및/또는 처리 능력 정보, 및/또는 부하 정보이다.
상이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의 리소스들은 CU-UP 상에서 서로로부터 격리될 수 있고, 네트워크 슬라이스 입도로 더 정확하게 통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CU-UP의 전체 능력이 충분하더라도,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과부하되기 때문에 부적절한 CU-UP가 선택되는 상황을 회피한다. 예를 들어, CU-UP 1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1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2를 지원하고, 네트워크 슬라이스 1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2는 격리된 리소스들을 사용하며, 네트워크 슬라이스 1의 전체 이용가능한 리소스는 CU-UP의 전체 이용가능한 리소스의 20%를 차지하고, 네트워크 슬라이스 2의 전체 이용가능한 리소스는 CU-UP의 전체 이용가능한 리소스의 80%를 차지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1의 부하는 높고(예를 들어, 나머지 리소스는 CU-UP의 전체 이용가능한 리소스의 5%를 차지함), 네트워크 슬라이스 2의 부하는 낮다(예를 들어, 나머지 리소스는 CU-UP의 전체 이용가능한 리소스의 75%를 차지함)고 가정된다. 용량 정보가 슬라이스 입도로 표시되지 않으면, CU-CP는 CU-UP 1이 여전히 저-부하 상태에 있다고 고려한다. 사용자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1의 세션을 셋업하라고 요청하면, CU-CP는 CU-UP 1을 여전히 선택하여 사용자를 서비스하고, 결과적으로 세션 거절이 발생하고, 통신이 중단되고, 통신 품질이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사례는 용량 정보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입도로 표시될 때 회피될 수 있다.
CU-UP의 용량 정보가 표 8에 도시될 수 있다.
Figure pct00008
CU-UP는 각각의 지원되는 PLMN에 대한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용량 정보를 대안적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오퍼레이터들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공유할 때, 각각의 PLMN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CU-UP는 대응하는 용량 정보를 피드백한다. 이러한 것을 행하는 이점은 PLMN 리소스가 독립적이면, CU-CP의 오판정이 회피될 수 있다는 점이다.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는, 표 9 및 표 10을 참조한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CU-UP는 각각의 추적 영역에 대한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용량 정보를 대안적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추적 영역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대응하는 용량 정보를 피드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는, 표 11 및 표 12를 참조한다.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물론,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이 리소스를 공유하면, 전술한 용량 정보는 리소스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대한 CU-UP의 용량 정보일 수 있다.
CU-UP의 용량 정보가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운반되어, CU-CP는 CU-UP의 용량을 알게 된다. 이러한 것은 UE에 대한 CU-CP에 의해 적절한 CU-UP를 선택하는 것 또는 UE에 의해 요청되는 서비스, PDU 세션, 또는 DRB를 선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UE가 새로운 세션을 셋업하라고 요청할 때, RAN 측(CU-CP, CU-UP, 및 DU를 포함함)은, UE에 대한 관련 세션 또는 베어러를 셋업하고, 셋업될 필요가 있는 세션 또는 베어러에 리소스를 할당할 필요가 있다. CU-CP가 DU 1 및 DU 2에 접속되면, CU-CP는 CU-UP 1 및 CU-UP 2에 추가로 접속된다. 또한, DU 1은 CU-UP 1 및 CU-UP 2 각각과의 인터페이스를 갖고, DU 2는 CU-UP 1 및 CU-UP 2 각각과의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CU-CP는 CU-UP 1 또는 CU-UP 2를 선택하여 UE에 대한 세션 또는 베어러를 셋업할 필요가 있다. 선택 방식으로, CU-CP는 셋업될 필요가 있는 세션 또는 베어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CU-UP 1 및 CU-UP 2가 지원하는지를 결정한다. CU-UP 1 및 CU-UP 2 양자 모두가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면, CU-CP는 CU-UP 1 및 CU-UP 2로부터 더 강한 능력이 있는 CU-UP(예를 들어, CU-UP 1)를 추가로 선택하여 UE에 대한 베어러 또는 세션을 셋업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CU-UP들 사이의 부하가 더 균형화고, 그렇게 함으로써 네트워크의 리소스 이용을 증가시키고, 불충분한 능력이 있는 CU-UP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야기되는 세션 셋업 실패를 또한 회피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의 서비스 범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서비스 범위 정보는 다음: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추적 영역의 아이덴티티, CU-UP에 접속되는 DU(distributed unit)의 아이덴티티, 또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것인 그리고 서비스 범위 정보에 포함되는 아이덴티티는 셀 아이덴티티 또는 셀 아이덴티티 리스트일 수 있고, CU-UP가 이러한 셀들에서 단말들에 대한 베어러들을 셋업할 수 있다는 점을 표시한다. CU-UP에 접속되는 DU(distributed unit)의 것인 그리고 서비스 범위 정보에 포함되는 아이덴티티는 DU 아이덴티티 또는 DU 아이덴티티 리스트일 수 있고, CU-UP가 이러한 DU들에서 단말들에 대한 베어러들을 셋업할 수 있다는 점을 표시한다. CU-UP는 이러한 DU들과의 데이터 평면 인터페이스들을 갖는다. 범위 정보는 대안적으로 PLMN 아이덴티티일 수 있고, CU-UP가 이러한 PLMN들에서 단말들에 대한 베어러들을 셋업할 수 있다는 점을 표시한다. 범위 정보는 대안적으로 추적 영역 아이덴티티(TAC 아이덴티티 또는 TAI 아이덴티티)일 수 있고, CU-UP가 이러한 추적 영역들에서 단말들에 대한 베어러들을 셋업할 수 있다는 점을 표시한다. 물론, 범위 정보는 대안적으로 전술한 아이덴티티들, 예를 들어, PLMN 아이덴티티 + 셀(cell) 아이덴티티의 조합일 수 있고, CU-UP가 셀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그리고 PLMN에 액세스하는 단말들을 서비스하고 이들에 대한 베어러들을 셋업할 수 있다는 점을 표시한다. 물론, 범위 정보는 대안적으로, TAC 아이덴티티+PLMN 아이덴티티+셀 아이덴티티와 같은,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CU-CP가 적절한 CU-UP를 선택하여 UE를 서비스하고 정상적인 통신을 보장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셀 1에 의해 서비스되고 있다(예를 들어, UE는 셀 1로의 RRC 접속을 셋업하고 있거나 또는 셀 1로의 접속을 이미 셋업하였음). UE가 세션 또는 베어러를 셋업할 필요가 있으면, CU-CP는 서비스 범위가 셀 1을 포함하는 CU-UP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CU-CP가 서비스 범위가 셀 1을 포함하는 CU-UP를 선택하지 않으면, 세션 셋업 실패가 발생한다.
502. CU-CP가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CU-UP에 전송함-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는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임 -.
선택적으로, CU-C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가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에서 운반된다. CU-C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CU-C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자일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자는 S-NSSAI 또는 S-NSSAI 리스트일 수 있다. 사례에서, CU-C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CU-CP에 의해 서비스되는 추적 영역의 아이덴티티 및 이러한 추적 영역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CU-C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CU-C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 및 이러한 셀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CU-C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CU-C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및 이러한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CU-CP의 용량 정보가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에서 추가로 운반된다. 선택적으로, CU-CP의 용량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입도로 표시될 수 있다.
단계 501 전에, 통신 방법은 단계 503: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이 구성 정보를 CU-UP에 전송하고, CU-UP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가 구성 정보에서 운반된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OAM일 수 있다.
RAN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AMF)에 통지할 때, CU-CP는 CU-CP 및 CU-UP 양자 모두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대안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계 502 후에, 통신 방법은 단계 504: CU-CP가,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전송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CU-CP 및 CU-UP 양자 모두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한다. 즉, CU-C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및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의 교집합 세트. CU-CP는,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 또는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 또는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서 운반된다.
선택적으로, 도 5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용량 정보는 전용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대안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신 방법은 단계 505: CU-UP가 용량 정보를 CU-CP에 전송하고, CU-CP가 CU-UP로부터 이러한 용량 정보를 수신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CU-UP의 용량 정보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CU-UP의 용량 정보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용량 정보일 수 있다. 단계 504 전에, 통신 방법은 단계 506: CU-CP가 용량 요청 메시지를 CU-UP에 전송하고, CU-UP가 CU-CP로부터 이러한 용량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CU-CP는 요건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CU-UP의 용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실시예는 대안적으로 구성 업데이트 프로세스로 확장될 수 있다. 대응하여, 단계 501에서의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로 변경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CU-UP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단계 502에서의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는 구성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로 변경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성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는 CU-UP 구성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일 수 있다.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서 운반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운반되는 내용을 참조한다. 구성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에서 운반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에서 운반되는 내용을 참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601. CU-UP가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CU-CP에 전송하고, CU-CP가 CU-UP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 이러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셋업되도록 요청되는 인터페이스는 E1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단계 601에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의 용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CU-UP의 용량 정보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단계 601 전에, 통신 방법은 단계 603: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OAM이 구성 정보를 CU-CP에 전송하고, CU-CP가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이러한 구성 정보를 수신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가 이러한 구성 정보에서 운반된다.
602. CU-CP가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CU-UP에 전송함.
선택적으로, 단계 602에서, CU-CP의 용량 정보가 이러한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에서 운반될 수 있다.
통신 방법은 단계 603: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이 구성 정보를 CU-CP에 전송하고, CU-CP가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이러한 구성 정보를 수신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가 이러한 구성 정보에서 운반된다.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단계 603이 수행될 때,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단계 602에서의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에서 운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계 602 후에, 도 5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의 단계 504, 단계 505, 및 단계 506이 요건에 기초하여 대안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는 실시예는 대안적으로 구성 업데이트 프로세스로 확장될 수 있다. 대응하여, 단계 601에서의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로 변경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CU-UP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단계 602에서의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는 구성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로 변경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성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는 CU-UP 구성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일 수 있다.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서 운반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운반되는 내용을 참조한다. 구성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에서 운반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에서 운반되는 내용을 참조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701. CU-CP가 부하 요청 메시지를 CU-UP에 전송하고, CU-UP가 CU-CP로부터 이러한 부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 이러한 부하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부하 정보를 획득하라고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가 부하 요청 메시지에서 운반되어, CU-CP가 CU-UP 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부하 상태를 획득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점을 표시할 수 있다. 물론, CU-CP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의 부하 상태들을 획득할 것으로 예상하면,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의 리스트가 운반될 수 있다.
702. CU-UP가 부하 요청 응답을 CU-CP에 전송하고, CU-CP가 CU-UP로부터 이러한 부하 요청 응답을 수신함. 이러한 부하 요청 응답은 CU-UP 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부하 상태, 예를 들어,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각각의 셀에서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부하 상태를 운반할 수 있다. 부하 요청 응답에서 운반되는 구체적인 정보에 대해서는, 표 13 및 표 14를 참조한다.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셀들에 관계없이) CU-UP에 의해 지원되고 서비스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부하 상태가 이러한 부하 요청 응답에서 추가로 운반될 수 있고, 예가 표 15에 도시된다.
Figure pct00015
CU-UP는 각각의 지원되는 PLMN에 대한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부하 정보를 대안적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오퍼레이터들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공유할 때, 각각의 PLMN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CU-UP는 대응하는 부하 정보를 피드백한다. 이러한 것을 행하는 이점은 PLMN 리소스가 독립적이면, CU-CP의 오판정이 회피될 수 있다는 점이다.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는, 표 16 및 표 17을 참조한다.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CU-UP는 각각의 추적 영역에 대한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부하 정보를 대안적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추적 영역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대응하는 부하 정보를 피드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는, 표 18 및 표 19를 참조한다.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물론,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이 리소스를 공유하면, 전술한 용량 정보는 이러한 리소스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CU-UP의 부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는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되는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의 단계 502 또는 도 6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의 단계 602 후에 수행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801. DU가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CU에 전송하고, CU가 DU로부터 이러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 이러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셋업되도록 요청되는 인터페이스는 F1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DU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이 속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통지 영역(RAN Notification Area, RNA)의 식별 정보가 이러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운반될 수 있다. RNA 식별 정보는 RNA 코드(RNA Code)일 수 있다. RNA 코드는 TAC와 유사한 코드들의 그룹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RNA 식별 정보는 대안적으로 RNA 아이덴티티(RNA Identifier/Identity, RNA ID)일 수 있다. 예를 들어, RNA ID는 RNAC+PLMN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즉, RNA ID는 셀의 RNAC 및 PLMN 양자 모두를 표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RNA ID는 RNAC+TAI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즉, RNA ID는 셀의 RNAC 및 TAI 양자 모두를 표현할 수 있다. 물론, RNA 식별 정보는 대안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RNA 식별 정보는 셀이 구체적 범위 내에 속하는 RNA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셀은, RNA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것에 의해, 셀이 속하는 RNA 식별 정보를 단말에 통지할 수 있다. 복수의 셀들이 동일한 RNA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RNA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복수의 셀들이 동일한 RNA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면, 이러한 셀들은 동일한 RNA에 속한다. 복수의 셀들이 상이한 RNA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면, 이러한 셀들은 상이한 RNA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RNA 식별 정보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페이징 영역(RAN paging area, RPA)의 식별 정보라고 또한 지칭될 수 있다.
RNA는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할 수 있다. RNA가 복수의 셀들을 포함하면, 복수의 셀들은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속할 수 있다. 상이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은 동일한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일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RAT들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은 4.5G 네트워크에서의 eNB들일 수 있거나, 또는 5G 네트워크에서의 gNB들일 수 있다. RNA 내에서 이동할 때,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은 네트워크에 통지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단말은 단지 단말의 이동성에 기초하여 셀을 재선택하고 RNA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한다.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이 RNA 외부의 셀로 이동할 때, 단말은 네트워크에 통지하고 RNA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RNA 업데이트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네트워크에서의 추적 영역 업데이트(Tracking Area Update, TAU)와 유사하다.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비활성 상태라고 또한 지칭되는, 비활성 상태는 5G에서 새롭게 정의되는 통신 상태이다. 이러한 통신 상태는 독립적인 통신 상태, 즉, RRC 접속(Connected/Active) 상태와 RRC 유휴(Idle) 상태 이외의 독립적인 상태로서 이해될 수 있거나, 또는 접속 상태 또는 유휴 모드의 통신 서브상태로서 이해될 수 있다.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은 다음의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질 수 있다: A. 액세스 층(Access Stratum, AS)에서의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가 단말 측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측 양자 모두 상에서 예약됨. B. 단말이 비활성 상태로부터 RRC 접속 상태로 변경될 때, 코어 네트워크의 제어 평면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는 재활성화될 필요가 없음. 예를 들어, 기지국 측과 코어 네트워크 측 사이의 링크는 재활성화될 필요가 없다. C. 단말의 이동성이 핸드오버 대신에 셀 재선택을 통해 구현됨.
CU-DU 아키텍처에서, CU가 사용자의 접속(Connected) 상태를 비활성화(Inactive) 상태로 설정하기로 결정하면, CU는 RNA를 사용자에게 할당한다. CU가 DU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RNA ID를 알지 못하면, CU는 단지 RNA를 셀 아이덴티티 리스트로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즉, 셀 아이덴티티 리스트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RNA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사례에서, 에어 인터페이스 리소스들의 오버헤드들이 발생한다. 하나의 RNA 영역은 복수의 셀에 관련될 수 있다. 더 관련된 셀들은 더 높은 에어 인터페이스 오버헤드들을 표시한다. 본 출원에서, CU는,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을 사용하여, DU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RNA ID를 획득한다. 이러한 사례에서, CU는 RNA ID(또는 RAN ID 리스트)의 형태로 RNA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셀들이 하나의 RNA ID를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RNA ID를 사용하는 것은 셀 아이덴티티 리스트를 사용하는 것보다 에어 인터페이스 시그널링의 더 많은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CU는 DU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RNA ID를 획득하고, RNA ID (리스트)를 단말에 할당할 수 있다.
RNA 정보가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운반되는 형태가 표 20에 도시될 수 있다. 표 20에서, RNA 정보는 DU에 의해 서비스되는 RNA이고, 셀 입도에 의해 구별되지 않는다.
Figure pct00020
RNA 정보가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운반되는 형태가 표 21, 표 22, 또는 표 23에 도시될 수 있다. 표 21, 표 22, 또는 표 23에서, RNA 정보는 셀 입도에 의해 구별된다.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선택적으로, DU의 용량 정보가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운반될 수 있다. DU의 용량 정보에 대해서는, CU-UP의 용량 정보의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이러한 용량 정보는 DU의 이용가능한 리소스에 관한 정보 및/또는 DU의 부하 정보, 및/또는 DU의 처리 능력(처리 용량)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DU의 용량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입도로 표시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DU의 용량 정보가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피드백된다. DU의 용량 정보는 구체적으로 DU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용량 정보일 수 있다. DU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용량 정보는 DU 상에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DU의 이용가능한 리소스 정보, 및/또는 처리 능력 정보, 및/또는 부하 정보이다.
802. CU가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DU에 전송하고, DU가 CU로부터 이러한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
선택적으로, CU의 용량 정보가 이러한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에서 운반될 수 있다. CU의 용량 정보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CU는 CU-CP 및 CU-UP 아키텍처를 사용할 수 있다. 즉, CU는 CU 제어 평면 엔티티 CU-CP 및 CU 사용자 평면 엔티티 CU-UP를 포함한다. 단계 801에서, DU가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CU에 전송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DU가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CU-CP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응하여,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셋업되도록 요청되는 인터페이스는 F1-C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DU에 접속되는 CU-UP의 식별 정보가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추가로 운반될 수 있다. DU에 접속되는 CU-UP의 식별 정보는 CU-CP에 전송되는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운반되어, CU-CP는 DU에 접속되는 CU-UP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CU-CP는 적절한 CU-UP를 선택하여 UE를 서비스한다. 예를 들어, UE는 DU 1로부터 액세스를 얻거나 또는 DU 1에 의해 서비스되고 있다(예를 들어, UE는 DU 1로의 RRC 접속을 셋업하고 있거나 또는 DU 1로의 접속을 셋업하였다). UE가 세션 또는 베어러를 셋업할 필요가 있으면, CU-CP는 DU 1로의 F1-U 접속을 갖는 CU-UP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도 8에 도시되는 실시예는 대안적으로 구성 업데이트 프로세스로 확장될 수 있다. 대응하여, 단계 801에서의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로 변경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DU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단계 802에서의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는 구성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로 변경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성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는 DU 구성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901. CU가 사용자 장비 컨텍스트 해제 커맨드(UE context release command) 메시지를 DU에 전송하고, DU가 UE 이러한 컨텍스트 해제 커맨드 메시지를 수신함.
902. CU가 DU에 의해 전송되는 UE 컨텍스트 해제 완료(UE context release complete) 메시지를 수신하고, CU가 DU에 의해 전송되는 UE 컨텍스트 해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함. DU 상의 UE의 컨텍스트가 컨텍스트 해제 완료 메시지에서 운반된다.
선택적으로, 표시 정보가 UE 컨텍스트 해제 커맨드 메시지에서 운반되고, 이러한 표시 정보는 CU가 UE를 접속 상태로부터 비활성 상태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표시 정보는 원인(cause) 정보일 수 있거나, 또는 IE(information element)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표시 정보가 UE 컨텍스트 해제 커맨드 메시지에서 운반되고, 이러한 표시 정보는 CU가 DU 상의 UE의 컨텍스트를 필요로 한다는 점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표시 정보는 UE의 컨텍스트를 삭제하기 전에, DU가, CU에, DU 상의 UE의 컨텍스트를 전송한다는 점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정보는 IE(information element)일 수 있다.
DU 상의 UE의 컨텍스트는 다음: UE에 대해 DU에 의해 셋업되는 베어러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 베어러의 논리 채널 구성 정보, 베어러의 논리 채널 식별 정보, 베어러의 RLC 레이어 구성 정보, MAC 레이어 구성 정보, 및 PHY 레이어 구성 정보, UE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의 식별 정보, 또는 DU 상의 UE에 의해 액세스되는 셀에 관한 정보 또는 DU 상의 UE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컨텍스트는 컨테이너의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CU가 UE의 접속 상태를 비활성 상태로 변경하기로 결정할 때, CU는 UE가 UE의 컨텍스트를 해제하기 위해 캠프하는 소스 DU에게 명령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에 대해, UE가 접속 상태로 재개(resume)할 필요가 있을 때, 새로운 서빙 기지국 또는 새로운 서빙 DU는 소스 CU 또는 캠프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한다. 예들은 다음과 같다:
(1) 인터-DU(inter-DU) 및 인트라-CU(intra-CU) 이동 시나리오. 즉, 비활성 UE는 캠프된 소스 DU 1로부터 새로운 DU 2(새로운 서빙 DU)로 이동하였지만, 비활성 UE는 캠프된 소스 CU 1의 서빙 영역 밖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비활성 UE가 접속 상태로 재개할 것으로 예상할 때, CU 1은 DU 2에게 UE에 대한 컨텍스트를 셋업하라고, 예를 들어, 관련 베어러(DRB 및/또는 SRB)에 대한 구성을 셋업하라고, 리소스를 할당하라고, 그리고 사용자를 서비스하라고 요청한다. 이러한 사례에서, CU는 DU 1의 이전 컨텍스트 정보(예를 들어, 베어러의 구성 정보)를 DU 2에 통지할 필요가 있어, DU 2는 이러한 구성에 기초하여 차별화된 구성을 수행한다.
(2) 인터-DU(inter-DU) 및 인터-CU(inter-CU) 이동 시나리오. 즉, 비활성 UE는 캠프된 소스 DU 1로부터 새로운 DU 2로 이동하였고, 캠프된 소스 CU 1로부터 새로운 CU 2(새로운 서빙 CU)로 이동하였다. 비활성 UE가 접속 상태로 재개할 것으로 예상할 때, CU 2 및 DU 2는 UE에 대한 컨텍스트를 셋업하고, 예를 들어, 관련 베어러(DRB 및/또는 SRB)를 셋업하고, 그리고 사용자를 서비스한다. 이러한 사례에서, CU 2는, CU 1로부터, DU 1 및 CU 1의 컨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이전 컨텍스트 정보(예를 들어, 베어러의 구성 정보)를 요청하고, DU 1의 이전 구성 정보를 DU 2에게 통지할 필요가 있어, DU 2는 이러한 구성에 기초하여 차별화된 구성을 수행한다.
(3) 인터-액세스 네트워크(inter-RAN) 이동 시나리오. 즉, 비활성 UE는 캠프된 소스 DU 1 및 CU 1로부터 gNB 2로 이동하고, gNB 2는 CU-DU 아키텍처에 있지 않다. 비활성 UE가 접속 상태로 재개할 것으로 예상할 때, gNB 2는 UE에 대한 컨텍스트를 셋업하고, 예를 들어, 관련 베어러(DRB 및/또는 SRB)를 셋업하고, 사용자를 서비스한다. 이러한 사례에서, gNB 2는, CU 1로부터, DU 1 및 CU 1의 컨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이전 컨텍스트 정보(예를 들어, 베어러의 구성 정보)를 요청하여, gNB 2가 이러한 구성에 기초하여 차별화된 구성을 수행한다.
UE의 비활성 상태가 접속 상태로 변경될 필요가 있을 때, 새로운 서빙 노드는 캠프된 소스 DU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있지만, 캠프된 소스 기지국 또는 DU는 DU에 관련된 컨텍스트를 삭제하였다. 결과적으로, 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없다. 본 출원에서, CU는 UE의 컨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고, 이러한 컨텍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활성 사용자는 다른 DU 또는 기지국이 접속 상태로 재개할 때 이러한 컨텍스트를 획득하고 사용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정상적인 통신을 보장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해결책들을 주로 설명한다. 전술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들은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대응하는 하드웨어 구조들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포함한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해당 분야에서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예들에서의 유닛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본 출원에서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기능이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는 이러한 기술적 해결책들의 설계 제약 조건 및 구체적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해당 분야에서의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되는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CU, DU, CU-CP, CU-UP 등은 전술한 방법 예들에 기초하는 기능 유닛들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능 유닛들은 대응하는 기능들에 기초하는 분할을 통해 획득될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기능들이 하나의 기능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일한 통합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유닛 분할이 예이고, 단지 논리 기능 분할이라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실제 구현 동안 다른 분할 방식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CU-CP의 가능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000)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P(centralized unit control plane) 엔티티이다. 통신 디바이스(1000)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CU-UP(centralized unit user plane) 엔티티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103)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1000)는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CU-UP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기(101)를 추가로 포함한다.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추적 영역의 아이덴티티 및 추적 영역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 및 셀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및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용량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제2 송신기(105)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송신기(105)는,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CU-CP 및 CU-UP 양자 모두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제1 송신기(101) 및 제2 송신기(105)는 동일한 송신기일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송신기들일 수 있다.
제1 송신기(101)는 부하 요청 메시지를 CU-UP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러한 부하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부하 정보를 획득하라고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자가 부하 요청 메시지에서 운반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의 서비스 범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서비스 범위 정보는 다음: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추적 영역의 아이덴티티, CU-UP에 접속되는 DU(distributed unit)의 아이덴티티, 또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CU-UP의 가능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100)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CU-UP(centralized unit user plane) 엔티티이다. 통신 디바이스(1100)는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P(centralized unit control plane) 엔티티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113)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1100)는 CU-CP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신기(111)를 추가로 포함한다.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추적 영역의 아이덴티티 및 추적 영역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 및 셀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및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용량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1100)는 제2 수신기(115)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수신기(115)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구성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제1 수신기(111) 및 제2 수신기(115)는 동일한 송신기일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송신기들일 수 있다.
제1 수신기(111)는 CU-CP로부터 부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러한 부하 요청 메시지는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부하 정보를 획득하라고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선택적으로,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자가 부하 요청 메시지에서 운반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CU-UP의 서비스 범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서비스 범위 정보는 다음: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추적 영역의 아이덴티티, CU-UP에 접속되는 DU(distributed unit)의 아이덴티티, 또는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200)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되는 임의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에서 CU-CP, CU-UP, CU, 또는 DU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200)는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1203)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203)는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전술한 양태들에서의 방법들에서 CU-CP, CU-UP, CU 또는 DU의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1203)는 전송 및/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 디바이스(1200)는 메모리(1205)를 추가로 포함한다. 메모리(1205)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이러한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이러한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고 있을 때, 통신 인터페이스(1203)는 전술한 양태들에서의 방법들에서 CU-CP, CU-UP, CU, 또는 DU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칩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칩(1300)은 프로세서(1301) 및 인터페이스 회로(1303)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회로(1303)는 외부 디바이스와 정보를 교환하도록 구성되고, 인터페이스 회로(1303)는 프로세서(1301)에 접속되어,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되는 임의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에서 CU-CP, CU-UP, CU, 또는 DU의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 회로(1303)는 전송 및/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칩(1300)은 통신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칩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칩(1300)은 메모리(1305)를 추가로 포함한다. 메모리(1305)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이러한 명령어는 프로세서(1301)에 의해 실행된다. 이러한 명령어가 프로세서(1301)에 의해 실행되고 있을 때, 인터페이스 회로(1303)는 전술한 양태들에서의 방법들에서 CU-CP, CU-UP, CU, 또는 DU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된다.
본 출원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다음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1.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구체적으로 1.1 내지 1.7에서 다음에 열거되는 정보 중 1개 이상일 수 있다.
1.1. 네트워크 슬라이스 타입 정보. 네트워크 슬라이스 타입 정보는 강화된 모바일 광대역(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서비스, 초-신뢰성 및 저-레이턴시 통신(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및 대규모 머신-타입 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과 같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타입들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슬라이스 타입 정보는 RAN으로부터 CN으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타입을 포함하는 엔드-투-엔드 네트워크 슬라이스 타입을 추가로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R)AN 측 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타입, 또는 CN 측 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타입을 대안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1.2. 구체적 서비스에 관련된 서비스 타입 정보. 서비스 타입 정보는 비디오 서비스, 차량 인터넷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 특징, 또는 구체적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1.3.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생성하거나 또는 임대하는 고객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테넌트(tenant) 정보. 예를 들어, 고객은 Tencent 또는 State Grid이다.
1.4. 사용자 레벨과 같은 특징에 기초하여 사용자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그룹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그룹 정보.
1.5.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이 특징에 기초하여 그룹화될 수 있다는 점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슬라이스 그룹 정보. 예를 들어, UE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이 슬라이스 그룹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다른 기준에 따라 그룹화될 수 있다.
1.6.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생성되는 인스턴스의 식별자 및 특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정보.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를 표시하는 식별자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할당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와 연관된 새로운 식별자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매핑될 수 있다. 수신 측은, 이러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식별자에 의해 표시되는 구체적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를 식별할 수 있다.
1.7. 전용 코어 네트워크(dedicated core network, DCN) 식별자. 이러한 식별자는 LTE 시스템 또는 eLTE 시스템에서의 전용 코어 네트워크, 예를 들어, 사물 인터넷에서의 전용 코어 네트워크를 고유하게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DCN 식별자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에 대해 매핑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DCN 식별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에 매핑될 수 있고,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DCN 식별자에 매핑될 수 있다.
네트워크 측이, 소스 셀이 속하는 추적 영역(tracking area) 또는 등록 영역(registration area) 내에서, UE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 대해, 네트워크 측이, 소스 셀이 속하는 추적 영역 또는 등록 영역에서, UE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면, 허용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표시는 복수의 허용된(allowed)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들을 포함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2. 단일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보조 정보(single-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S-NSSAI). S-NSSAI는 적어도 슬라이스 타입/서비스 타입(slice/service type, SST) 정보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슬라이스 구별기(slice differentiator, SD)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SST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거동,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특징 및 서비스 타입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SD 정보는 SST의 보완 정보이다. SST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의 구현을 표시하면, SD는 고유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대응하고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 측이, 소스 셀이 속하는 추적 영역(tracking area) 또는 등록 영역(registration area) 내에서, UE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 대해, 네트워크 측이, 소스 셀이 속하는 추적 영역 또는 등록 영역에서, UE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면, 허용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표시는 복수개의 허용된(allowed) S-NSSAI들을 포함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3. 특징에 기초하는 그룹화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S-NSSAI 그룹 정보. 예를 들어, UE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공통 AMF의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이 S-NSSAI 그룹으로서 사용된다. NSSAI는 복수개의 S-NSSAI를 포함한다.
4. 임시 식별자(Temporary ID). 임시 식별자에 관한 정보는 CN 측 상에 이미 부착된 UE에 AMF에 의해 할당되고, 임시 ID는 AMF를 고유하게 표시할 수 있다.
5.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보조 정보((R)AN-NSSAI, R-NSSAI). 이러한 정보는 구체적 S-NSSAI의 그룹, 즉, 구체적 S-NSSAI의 그룹을 표시한다. 네트워크 측이, 소스 셀이 속하는 추적 영역(tracking area) 또는 등록 영역(registration area) 내에서, UE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 대해, 네트워크 측이, 소스 셀이 속하는 추적 영역 또는 등록 영역에서, UE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면, 허용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표시는 복수개의 허용된(allowed) R-NSSAI들의 세트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6. 허용된(allowed) NSSAI. 허용된 NSSAI는 네트워크가 단말 디바이스가 현재 등록 영역에서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는 NSSAI를 표시한다.
허용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의 구체적 인코딩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물론, 전술한 식별자들 외에도,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다른 식별자일 수 있다. 이러한 것이 본 명세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측이 UE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면, 허용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표시는 허용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표시의 리스트 형태, 예를 들어, 허용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보조 정보 리스트(allowed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list, allowed NSSAI list), 또는 허용된 단일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보조 정보 리스트(allowed 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list, allowed S-NSSAI list)로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전술한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타입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타입 및 서비스 타입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거나, 또는 서비스 타입 및 테넌트 정보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어떻게 표현하는지는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단말 디바이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을 지원하면, 단말 디바이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표시 정보는 전술한 식별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들은 5세대 모바일 통신(the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5G) 시스템 또는 추가로 개발되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기지국에서의 일부 기능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들의 시스템들에 추가로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기능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분리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스들의 시퀀스 번호들이 실행 시퀀스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스들의 실행 시퀀스들은 프로세스들의 기능들 및 내부 로직에 기초하여 결정되어야 하고,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구현 프로세스들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and/or)"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객체들을 설명하기 위한 연관성만을 설명하고 3개의 관계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의 3개의 사례들: A만 존재함, A 및 B 양자 모두 존재함, 및 B만 존재함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문자 "/"는 연관된 객체들 사이의 "또는(or)" 관계를 일반적으로 표현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때, 실시예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컴퓨터 상에 로딩되고 실행될 때,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시저들 또는 기능들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이러한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특수-목적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명령어들은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명령어들은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 섬유 또는 DSL(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무선,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방식으로 하나의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사용가능 매체,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가능 매체를 통합하는,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가능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 매체(예를 들어, DVD),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isk))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목적들, 기술적 해결책들, 및 이점들은 전술한 구체적 실시예들에서 상세히 추가로 설명된다. 전술한 설명들은 단지 본 출원의 구체적 실시예들이지,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들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임의의 수정, 등가의 대체, 개선 등은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Claims (59)

  1. 통신 방법으로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P(centralized unit control plane) 엔티티에 의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CU-UP(centralized unit user plane) 엔티티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CU-CP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후에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상기 CU-UP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상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및 상기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의 서비스 범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범위 정보는 상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셋업되도록 요청되는 인터페이스는 E1 인터페이스인 통신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S-NSSAI(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또는 S-NSSAI 리스트인 통신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의 용량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 정보는 다음: 상기 CU-UP의 이용가능한 리소스에 관한 정보, 상기 CU-UP의 부하 정보, 또는 상기 CU-UP의 처리 능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가능한 리소스는 다음: 컴퓨팅 리소스, 소프트웨어 리소스, 저장 리소스 또는 포트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U-UP의 용량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입도로 표시되는 통신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U-CP는, 코어 네트워크에,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상기 CU-CP 및 상기 CU-UP 양자 모두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U-CP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DU(distributed unit)로부터 F1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F1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상기 DU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이 속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통지 영역 RNA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RNA의 식별 정보는 RNA 코드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RNA의 식별 정보는 RNA 코드 및 PLMN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NA에 관한 정보는 셀 입도에 의해 구별되는 통신 방법.
  14. 통신 방법으로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CU-UP(centralized unit user plane) 엔티티에 의해,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P(centralized unit control plane) 엔티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CU-UP에 의해, 상기 CU-CP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상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및 상기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의 서비스 범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범위 정보는 상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셋업되도록 요청되는 인터페이스는 E1 인터페이스인 통신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S-NSSAI(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또는 S-NSSAI 리스트인 통신 방법.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의 용량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 정보는 다음: 상기 CU-UP의 이용가능한 리소스에 관한 정보, 상기 CU-UP의 부하 정보, 또는 상기 CU-UP의 처리 능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가능한 리소스는 다음: 컴퓨팅 리소스, 소프트웨어 리소스, 저장 리소스 또는 포트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CU-UP의 용량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입도로 표시되는 통신 방법.
  22.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P(centralized unit control plane) 엔티티이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CU-UP(centralized unit user plane) 엔티티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상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상기 CU-UP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기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상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및 상기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의 서비스 범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범위 정보는 상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제2 송신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기는,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상기 CU-CP 및 상기 CU-UP 양자 모두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DU(distributed unit)로부터 F1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수신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F1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상기 DU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이 속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통지 영역 RNA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RNA의 식별 정보는 RNA 코드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RNA의 식별 정보는 RNA 코드 및 PLMN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29. 제24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NA에 관한 정보는 셀 입도에 의해 구별되는 통신 디바이스.
  30.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CU-UP(centralized unit user plane) 엔티티이고,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P(centralized unit control plane) 엔티티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상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CU-CP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상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및 상기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의 서비스 범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범위 정보는 상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33.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 셋업되도록 요청되는 인터페이스는 E1 인터페이스인 통신 디바이스.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S-NSSAI(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또는 S-NSSAI 리스트인 통신 디바이스.
  35. 제30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의 용량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 정보는 다음: 상기 CU-UP의 이용가능한 리소스에 관한 정보, 상기 CU-UP의 부하 정보, 또는 상기 CU-UP의 처리 능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가능한 리소스는 다음: 컴퓨팅 리소스, 소프트웨어 리소스, 저장 리소스 또는 포트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CU-UP의 용량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입도로 표시되는 통신 디바이스.
  38. 통신 방법으로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P(centralized unit control plane) 엔티티에 의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CU-UP(centralized unit user plane) 엔티티로부터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CU-CP에 의해, 상기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후에 구성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상기 CU-UP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상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및 상기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40.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의 서비스 범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범위 정보는 상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41. 제38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의 용량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 방법.
  42. 통신 방법으로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CU-UP(centralized unit user plane) 엔티티에 의해,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P(centralized unit control plane) 엔티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CU-UP에 의해, 상기 CU-CP로부터 구성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는 상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및 상기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의 서비스 범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범위 정보는 상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45.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의 용량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 방법.
  46.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P(centralized unit control plane) 엔티티이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CU-UP(centralized unit user plane) 엔티티로부터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상기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구성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상기 CU-UP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기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의 서비스 범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범위 정보는 다음: 상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 상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추적 영역의 아이덴티티, 상기 CU-UP에 접속되는 DU(distributed unit)의 아이덴티티, 또는 상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48.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의 용량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49.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CU-UP(centralized unit user plane) 엔티티이고,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P(centralized unit control plane) 엔티티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CU-CP로부터 구성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의 서비스 범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범위 정보는 다음: 상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의 아이덴티티, 상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추적 영역의 아이덴티티, 상기 CU-UP에 접속되는 DU(distributed unit)의 아이덴티티, 또는 상기 CU-UP에 의해 서비스되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51. 제49항 또는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상기 CU-UP의 용량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52. 통신 방법으로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entralized unit)에 의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DU(distributed unit)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상기 DU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이 속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통지 영역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CU에 의해,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상기 DU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53. 통신 방법으로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DU(distributed unit)에 의해,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entralized unit)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상기 DU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이 속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통지 영역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DU에 의해, 상기 CU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54.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entralized unit)이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DU(distributed unit)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상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상기 DU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이 속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통지 영역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및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상기 DU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55. 통신 디바이스로서, 통신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DU(centralized unit)이고,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CU(centralized unit)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상기 인터페이스 셋업 요청 메시지는 상기 DU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이 속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통지 영역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CU로부터 인터페이스 셋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56. 통신 디바이스로서, 제1항 내지 제13항, 제14항 내지 제21항, 제38항 내지 제45항, 제52항, 및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57.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1항 내지 제21항, 제38항 내지 제41항, 제42항 내지 제45항, 제52항, 및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58. 통신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고 있을 때, 상기 프로세서는 제1항 내지 제21항, 제38항 내지 제45항, 제52항, 및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통신 디바이스.
  59. 칩으로서, 상기 칩은 프로세서 및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제1항 내지 제21항, 제38항 내지 제45항, 제52항, 및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칩.
KR1020207025055A 2018-02-14 2019-01-04 중앙집중형 유닛-분산형 유닛 아키텍처에서의 통신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KR102365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152264.7 2018-02-14
CN201810152264.7A CN110167051B (zh) 2018-02-14 2018-02-14 集中式单元-分布式单元架构下的通信方法、通信设备
PCT/CN2019/070363 WO2019157885A1 (zh) 2018-02-14 2019-01-04 集中式单元-分布式单元架构下的通信方法、通信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268A true KR20200113268A (ko) 2020-10-06
KR102365459B1 KR102365459B1 (ko) 2022-02-23

Family

ID=6482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055A KR102365459B1 (ko) 2018-02-14 2019-01-04 중앙집중형 유닛-분산형 유닛 아키텍처에서의 통신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330645B2 (ko)
EP (1) EP3751886B1 (ko)
JP (1) JP6988004B2 (ko)
KR (1) KR102365459B1 (ko)
CN (2) CN110167051B (ko)
BR (1) BR112020016564A2 (ko)
CA (1) CA3091172C (ko)
PL (1) PL3751886T3 (ko)
WO (1) WO20191578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6480A1 (ko) * 2022-01-17 2023-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하 밸런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cu-up 엔티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7030A1 (zh) 2019-01-16 2020-07-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注册方法及终端设备
CN111491327B (zh) * 2019-01-25 2021-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系统
CN110536331B (zh) * 2019-01-29 2023-09-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非公众网络的配置方法、装置、cu、du和基站
CN113366883B (zh) * 2019-01-29 2023-11-28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集中式单元切换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1491370B (zh) * 2019-01-29 2022-02-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网元、系统及存储介质
CN111556480B (zh) * 2019-01-31 2024-03-01 王俊 由多个运营商共享分布式网络单元的方法及系统
CN111526030B (zh) * 2019-02-03 2021-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和装置
US11984968B2 (en) 2019-02-12 2024-05-14 Nokia Technologies Oy Centralized network device change procedure
CN111726808B (zh) * 2019-03-21 2022-06-1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CN111757424B (zh) * 2019-03-29 2022-03-2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无线接入网的共享方法及装置
CN112020106B (zh) * 2019-05-28 2021-11-26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相关设备
CN112055423B (zh) * 2019-06-06 2022-09-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相关设备
CN112087783B (zh) * 2019-06-12 2023-03-31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信息交互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366276B (zh) * 2019-07-03 2022-04-1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服务化架构基站
CN114026929A (zh) * 2019-08-09 2022-02-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f1接口管理方法及装置
CN112469140A (zh) * 2019-09-09 2021-03-0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链路恢复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1066587A1 (ko) * 2019-10-01 2021-04-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에서 e2 인터페이스를 통한 서비스 가입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375517B2 (en) * 2019-10-15 2022-06-28 Altiostar Networks, Inc. End to end slic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CN114830707A (zh) * 2019-12-23 2022-07-2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US11026149B1 (en) * 2020-01-31 2021-06-01 Dish Wireles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slice access failures
WO2021189496A1 (zh) * 2020-03-27 2021-09-30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网络切片的数据传输方法及设备
CN113543311B (zh) * 2020-04-13 2023-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的无线资源控制状态的控制方法及相关装置
CN113939044A (zh) * 2020-06-29 2022-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和装置
WO2022005352A1 (en) * 2020-07-03 2022-01-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assigning data capacity to network slices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CN113965976B (zh) * 2020-07-16 2024-03-05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网络服务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CN112367392B (zh) * 2020-11-05 2023-09-05 京信网络系统股份有限公司 基站信息处理方法、存储介质、基站
CN112887124B (zh) * 2021-01-08 2023-06-16 北京星网锐捷网络技术有限公司 5g基站的配置管理方法及装置
CN117425222A (zh) * 2022-07-09 2024-01-1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通信连接建立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7676619A (zh) * 2022-08-10 2024-03-0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Ta传输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4002B2 (en) * 2008-07-28 2012-05-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emergency event alert
CN107371155B (zh) * 2016-05-13 2021-08-3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安全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10995773B (zh) * 2016-05-24 2021-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QoS控制方法及设备
CN106162730B (zh) * 2016-07-12 2019-11-15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的方法、设备及系统
US10499376B2 (en) * 2017-06-16 2019-12-03 Kt Corporation Methods for managing resource based on open interface and apparatuses thereof
US10708968B2 (en) * 2017-08-25 2020-07-07 Kt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mobility of UE and apparatus therefor
US10716096B2 (en) * 2017-11-07 2020-07-14 Apple Inc. Enabling network slicing in a 5G network with CP/UP separation
US10834668B2 (en) * 2017-11-14 2020-11-10 Ofinno, Llc AMF selection for isolated network slice
CN109842910A (zh) * 2017-11-28 2019-06-04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网络切片的处理方法及接入网网元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3-173595* *
3GPP R3-173931* *
3GPP R3-180128*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6480A1 (ko) * 2022-01-17 2023-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하 밸런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cu-up 엔티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91172A1 (en) 2019-08-22
BR112020016564A2 (pt) 2020-12-22
CN109151871A (zh) 2019-01-04
EP3751886B1 (en) 2022-03-23
EP3751886A4 (en) 2021-03-17
JP6988004B2 (ja) 2022-01-05
US20200374947A1 (en) 2020-11-26
CA3091172C (en) 2024-01-02
PL3751886T3 (pl) 2022-07-18
US11330645B2 (en) 2022-05-10
CN110167051A (zh) 2019-08-23
KR102365459B1 (ko) 2022-02-23
JP2021513803A (ja) 2021-05-27
EP3751886A1 (en) 2020-12-16
WO2019157885A1 (zh) 2019-08-22
CN109151871B (zh) 2019-08-13
CN110167051B (zh) 2024-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459B1 (ko) 중앙집중형 유닛-분산형 유닛 아키텍처에서의 통신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KR102311745B1 (ko) 통신 방법, 소스 기지국, 타깃 기지국, 코어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 장치
CN110771203B (zh) 通信方法及接入网设备、核心网设备
US20230180274A1 (en) Data scheduling method, base station, and system
CN110365727B (zh) 通信方法和相关装置
US20210153088A1 (en) Network flow measurement method, network measurement device, and control plane device
US11337124B2 (en) First base station, second base station, terminal apparatus,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9936861B (zh) 通信方法及接入网设备、终端设备、核心网设备
JP2020529784A (ja) 端末によるコア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方法、基地局および端末
CN111866905B (zh) 通信方法及相关设备
WO2020156182A1 (zh) 服务小区信息的更新方法及装置
WO2022001483A1 (zh) 信息发送方法、nr小区接入方法、接入网设备、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7425174A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CN117999815A (zh) 用于在移动期间执行网络切片替换的方法、设备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