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377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377A
KR20200112377A KR1020190032738A KR20190032738A KR20200112377A KR 20200112377 A KR20200112377 A KR 20200112377A KR 1020190032738 A KR1020190032738 A KR 1020190032738A KR 20190032738 A KR20190032738 A KR 20190032738A KR 20200112377 A KR20200112377 A KR 20200112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transmission power
base station
link
maximum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주
이상호
정의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2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2377A/ko
Priority to US16/821,226 priority patent/US11310749B2/en
Priority to PCT/KR2020/003861 priority patent/WO2020197183A1/en
Publication of KR20200112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043Mixed mode, TDM and FD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는 전자 장치와 제1대역으로 통신하는 제1기지국에서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전자 장치와 임의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전자 장치 능력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 시 제2대역을 상기 제2기지국의 추가가 필요한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동적 전력 할당이 불가능한 전자 장치인 경우 상기 제2기지국의 추가 명령과 함께 갱신된 전력 할당 값을 상기 전자 장치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갱신된 전력 할당 값은 상기 전자 장치 능력 정보와 상기 제2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전력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ELECTRONIC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이동통신 표준을 담당하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기존 4G LTE 네트워크에서 보다 빠른 속도의 데이터 전송을 제공할 수 있는 5G((3GPP NR(New Radio)) 네트워크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3GPP에서 진행하고 있는 NR 네트워크는 크게 2가지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으로 전자 장치가 NR 네트워크만을 사용하는 방식의 표준이 진행되고 있다. 두 번째 방식으로 전자 장치가 기존 4G LTE 네트워크와 함께 NR 네트워크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의 표준이 진행되고 있다. 전자 장치가 기존 4G LTE 네트워크와 NR 네트워크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기존 4G LTE 네트워크 및 NR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이 가능하다.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가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MR-DC(Multi-RAT Dual Connectivity) 환경이라 한다. MR-DC 환경의 일 예로, 제1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가 될 수 있으며, 제2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인 경우가 될 수 있다. LTE 네트워크와 NR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은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및 NE-DC(NR E-UTRA dual connectivity)를 포함할 수 있다. MR-DC 환경에서 전자 장치는 LTE 네트워크에 접속한 상태에서 NR 네트워크에 접속하거나 또는 LTE 네트워크에 접속하면서 동시에 NR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런 MR-DC 환경은 LTE 네트워크에서 정의된 이중 접속(dual connectivity)과 유사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LTE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자신의 송신 전력을 LTE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에 적절하게 할당할 수 있다. 특정한 전자 장치는 LTE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할 수 없는 전자 장치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LTE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이 가능한 전자 장치들도 상황에 따라 LTE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이 불가능한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자신의 송신 전력을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R-DC 환경 하에 있는 전자 장치에서 송신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R-DC 환경 하에 있는 전자 장치에서 전송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R-DC 환경 하에 있는 전자 장치에서 송신 전력의 효율에 적응적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제 1 RAT에 기반하여 MR-DC(multi RAT-dual connectivity) 환경의 마스터 노드(master node)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RAT에 기반하여 상기 MR-DC환경의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와 연결하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 송신 전력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상기 마스터 노드에서 허용하는 제1업-링크(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동작;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전자 장치 능력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 능력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 능력 정보는 상기 MR-DC 환경에서의 동작 여부 설정 정보와, 상기 MR-DC 환경에서의 동적 전력 할당 가능 여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노드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상기 세컨더리 노드 추가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마스터 노드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세컨더리 노드로부터 상기 세컨더리 노드에서 허용하는 제2업-링크(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마스터 노드 및 상기 세컨더리 노드와 통신 시,
상기 마스터 노드의 업-링크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과 상기 세컨더리 노드의 업-링크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이 중첩되지 않는 제1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2업-링크(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2업-링크(up-link)로의 제1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마스터 노드의 업-링크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과 상기 세컨더리 노드의 업-링크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의 적어도 일부의 시간이 중첩되는 제2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과 상기 제2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의 합이 상기 전자 장치의 최대 송신 전력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2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2업-링크(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2업-링크(up-link)로의 제2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는 전자 장치와 제1대역에서 제 1 RAT(radio access technology) 방식으로 통신하는 마스터 노드 에서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와 임의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전자 장치 능력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 시 상기 제1대역과 다른 제2대역에서 제 2 RAT(radio access technology) 방식을 지원하는 세컨더리 노드의 추가가 필요한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동적 전력 할당이 불가능한 전자 장치인 경우 상기 세컨더리 노드의 추가 명령과 함께 갱신된 전력 할당 값을 상기 전자 장치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갱신된 전력 할당 값은 상기 전자 장치 능력 정보와 상기 세컨더리 노드로의 업-링크 전력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 1 RAT(radio access technology) 및 제 2 RAT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C와 전기적으로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1 통신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C 및 상기 제 1 통신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2 통신 프로세서; 및 상기 제 1 통신 프로세서 및 상기 제 2 통신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제 1 통신 프로세서 또는 상기 제 2 통신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C와 관련된 제 1 임계 값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제 1 RAT에 기반하여 MR-DC(multi RAT-dual connectivity) 환경의 마스터 노드(master node)와 연결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 1 통신 프로세서가,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상기 마스터 노드에서 허용하는 제1업-링크(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수신된 전자 장치 능력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 능력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 능력 정보는 상기 MR-DC 환경에서의 동작 여부 설정 정보와, 상기 MR-DC 환경에서의 동적 전력 할당 가능 여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상기 세컨더리 노드 추가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세컨더리 노드 추가 명령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제 2 통신 프로세서로 상기 제 2 RAT에 접속을 지시하고, 상기 제1업-링크(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RAT와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C의 제 1 송신 전력 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상기 제 1 RAT와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C의 제 1 송신 전력 값을 상기 제 2 통신 프로세서로 제공하고,
상기 제 2 통신 프로세서가,
상기 세컨더리 노드로부터 상기 세컨더리 노드에서 허용하는 제2업-링크(up-link)로의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상기 세컨더리 노드 추가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세컨더리 노드에 접속하고, 상기 세컨더리 노드의 업링크로 데이터 전송 시,
상기 마스터 노드의 업-링크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과 상기 세컨더리 노드의 업-링크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이 중첩되지 않는 제1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2업-링크(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2업-링크(up-link)로의 제1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마스터 노드의 업-링크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과 상기 세컨더리 노드의 업-링크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의 적어도 일부의 시간이 중첩되는 제2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과 상기 제2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의 합이 상기 전자 장치의 최대 송신 전력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2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2업-링크(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2업-링크(up-link)로의 제2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R-DC 환경 하에 있는 전자 장치에서 송신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R-DC 환경 하에 있는 전자 장치가 설혹 MR-DC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기지국에 보고한 이후라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MR-DC 환경에서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기지국들로 동시에 전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R-DC 환경 하에 있는 전자 장치가 송신 전력의 효율에 따라 적응적으로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각각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개의 셀룰러 네트워크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200)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Legacy) 통신 및/또는 5G 통신의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3d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기지국(311)과 NR 네트워크의 기지국들(321, 331, 341, 351)이 혼재한 네트워크 및 그에 속한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2전자 장치(302))가 EN-DC 네트워크에 접속할 시 신호 흐름도이다.
도 5a는 LTE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LTE 네트워크가 TDD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구성을 사용하는 경우 5G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TDM 설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다운링크에 따른 업링크 전송과 5G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3전자 장치(303))가 제1기지국(예: 도 3d의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예: 도 3d의 제3기지국(331))에서 TDD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uplink 전력 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3전자 장치(303))가 제1기지국(예: 도 3d의 제1기지국(311))과 제2기지국(예: 도 3d의 제3기지국(331))에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에 기반하여 uplink에 전력 할당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터 노드 기지국(예: 도 3d의 제1기지국(311))에서 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3전자 장치(303)) 간 통신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3전자 장치(303))가 EN-DC 환경에서 통신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컨더리 노드에서 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3전자 장치(303))로 제공되는 메시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3전자 장치(303))가 EN-DC 환경에서 통신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전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은,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른 부품(예: RFI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 (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 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개의 셀룰러 네트워크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제 1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RFIC)(222), 제 2 RFIC(224), 제 3 RFIC(226), 제 4 RFIC(228), 제 1 radio frequency front end(RFFE)(232), 제 2 RFFE(234), 제 1 안테나 모듈(242), 제 2 안테나 모듈(244), 및 안테나(248)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네트워크(199)는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와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도 1에 기재된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2 네트워크(199)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제 1 RFIC(222), 제 2 RFIC(224), 제 4 RFIC(228), 제 1 RFFE(232), 및 제 2 RFFE(234)는 무선 통신 모듈(19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RFIC(228)는 생략되거나, 제 3 RFIC(226)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의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셀룰러 네트워크는 2세대(2G), 3G, 4G, 또는 long term evolution(LTE)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레거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지정된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5G 네크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는 3GPP에서 정의하는 5G 네트워크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다른 지정된 대역(예: 약 6GHz 이하)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5G 네크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단일(single)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프로세서(120), 보조 프로세서(123), 또는 통신 모듈(190)과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인터페이스(미도시)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또는 양 방향으로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를 제공하거나 받을 수 있다.
제 1 RFIC(222)는, 송신 시에,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baseband) 신호를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약 700MHz 내지 약 3GHz의 라디오 주파수(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RF 신호가 안테나(예: 제 1 안테나 모듈(242))를 통해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RFFE(예: 제 1 RFFE(232))를 통해 전처리(preprocess)될 수 있다. 제 1 RFIC(222)는 전처리된 RF 신호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 2 RFIC(224)는, 송신 시에,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Sub6 대역(예: 약 6GHz 이하)의 RF 신호(이하, 5G Sub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5G Sub6 RF 신호가 안테나(예: 제 2 안테나 모듈(244))를 통해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RFFE(예: 제 2 RFFE(234))를 통해 전처리될 수 있다. 제 2 RFIC(224)는 전처리된 5G Sub6 RF 신호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중 대응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5G Above6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의 RF 신호(이하, 5G Above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5G Above6 RF 신호가 안테나(예: 안테나(248))를 통해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제 3 RFFE(236)를 통해 전처리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전처리된 5G Above6 RF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FE(236)는 제 3 RFIC(226)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IC(226)와 별개로 또는 적어도 그 일부로서, 제 4 RFIC(2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4 RFIC(228)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중간(intermediate) 주파수 대역(예: 약 9GHz ~ 약 11GHz)의 RF 신호(이하, IF 신호)로 변환한 뒤, 상기 IF 신호를 제 3 RFIC(226)로 전달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IF 신호를 5G Above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 5G Above6 RF 신호가 안테나(예: 안테나(248))를 통해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고 제 3 RFIC(226)에 의해 IF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제 4 RFIC(228)는 IF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가 처리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FIC(222)와 제 2 RFIC(224)는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FFE(232)와 제 2 RFFE(234)는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 모듈(242) 또는 제 2 안테나 모듈(244)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모듈은 생략되거나 다른 안테나 모듈과 결합되어 대응하는 복수의 대역들의 RF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IC(226)와 안테나(248)는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에 배치되어 제 3 안테나 모듈(246)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92) 또는 프로세서(120)가 제 1 서브스트레이트(예: main PC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서브스트레이트와 별도의 제 2 서브스트레이트(예: sub PCB)의 일부 영역(예: 하면)에 제 3 RFIC(226)가, 다른 일부 영역(예: 상면)에 안테나(248)가 배치되어, 제 3 안테나 모듈(246)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RFIC(226)와 안테나(248)를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에 배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전송 선로의 길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면, 5G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되는 고주파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의 신호가 전송 선로에 의해 손실(예: 감쇄)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와의 통신의 품질 또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시예에 따르면, 안테나(248)는 빔포밍에 사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안테나 엘레멘트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3 RFIC(226)는, 예를 들면, 제 3 RFFE(236)의 일부로서, 복수개의 안테나 엘레멘트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phase shifter)(23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238)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레멘트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5G 네트워크의 베이스 스테이션)로 송신될 5G Above6 RF 신호의 위상을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238)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레멘트를 통해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5G Above6 RF 신호의 위상을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것은 전자 장치(101)와 상기 외부 간의 빔포밍을 통한 송신 또는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는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거나(예: Stand-Alone (SA)), 연결되어 운영될 수 있다(예: Non-Stand Alone (NSA)). 예를 들면, 5G 네트워크에는 액세스 네트워크(예: 5G radio access network(RAN) 또는 next generation RAN(NG RAN))만 있고, 코어 네트워크(예: next generation core(NGC))는 없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전자 장치(101)는 5G 네트워크의 액세스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레거시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예: evolved packed core(EPC))의 제어 하에 외부 네트워크(예: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레거시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정보(예: LTE 프로토콜 정보) 또는 5G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정보(예: New Radio(NR) 프로토콜 정보)는 메모리(230)에 저장되어, 다른 부품(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도 2의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도 2의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도 3a 내지 3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Legacy) 통신 및/또는 5G 통신의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300a 내지 300c)은, 레거시 네트워크 및 5G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거시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무선 접속을 지원하는 3GPP 표준의 4G 또는 LTE 기지국(372)(예를 들어, eNB(eNodeB)) 및 4G 통신을 관리하는 EPC(evolved packet core)(3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5G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무선 접속을 지원하는 New Radio (NR) 기지국(2382)(예를 들어, gNB(gNodeB)) 및 전자 장치(101)의 5G 통신을 관리하는 5GC(5th generation core)(38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은 레거시 통신 및/또는 5G 통신을 통해 제어 메시지 (control message) 및 사용자 데이터(user data)를 송신 및/또는 수수신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보안 제어(security control), 베어러 설정(bearer setup), 인증(authentication), 등록(registration), 또는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코어 네트워크(390)(예를 들어, EPC(374))간에 송신 및/또는 수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제외한 사용자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레거시(legacy) 네트워크의 적어도 일부(예: LTE 기지국(372), EPC(374))를 이용하여 5G 네트워크의 적어도 일부(예: NR 기지국(382), 5GC(384))와 제어 메시지 또는 사용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환경(300a)은 LTE 기지국(372) 및 NR 기지국(382)으로의 무선 통신 듀얼 커넥티비티(dual connectivity, DC)를 제공하고, EPC(374) 또는 5GC(384) 중 하나의 코어 네트워크(390)를 통해 전자 장치(101)와 제어 메시지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DC 환경에서, LTE 기지국(372) 또는 NR 기지국(382) 중 하나의 기지국은 MN(master node)(370)으로 작동하고 다른 하나는 SN(secondary node)(380)로 동작할 수 있다. MN(370)은 코어 네트워크(390)에 연결되어 제어 메시지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MN(370)과 SN(38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무선 자원(예를 들어, 통신 채널) 관리와 관련된 메시지를 서로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N(370)은 LTE 기지국(372), SN(380)은 NR 기지국(382), 코어 네트워크(390)는 EPC(374)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LTE 기지국(372) 및 EPC(374)를 통해 제어 메시지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고, LTE 기지국(372)과 NR 기지국(382)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N(370)은 NR 기지국(382), SN(380)은 LTE 기지국(372), 코어 네트워크(390)는 5GC(384)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LTE 기지국(372) 및 EPC(374)를 통해 제어 메시지 송신 및/또는 수신하고, LTE 기지국(372)과 NR 기지국(382)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 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5G 네트워크는 NR 기지국(382)과 5GC(384)로 구성될 수 있고, 제어 메시지 및 사용자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와 독립적으로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레거시 네트워크 및 5G 네트워크는 각각 독립적으로 데이터 송신 및/또는 수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EPC(374)는 LTE 기지국(372)을 통해 제어 메시지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5GC(384)는 NR 기지국(382)을 통해 제어 메시지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EPC(374) 또는 5GC(384) 중 적어도 하나에 등록(registration)되어 제어 메시지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EPC(374) 또는 5GC(384)는 연동(interworking)하여 전자 장치(101)의 통신을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이동 정보가 EPC(374) 및 5GC(384)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 및/또는 수신될 수 있다.
도 3d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기지국(311)과 NR 네트워크의 기지국들(321, 331, 341, 351)이 혼재한 네트워크 및 그에 속한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서로 다른 복수의 기지국들(311, 321, 331, 341, 351)을 실시예로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다른 기지국들(321, 331, 341, 351) 보다 넓은 통신 영역(310)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기지국들(321, 331, 341, 351) 보다 넓은 통신 영역(310)을 갖는 제1기지국(311)은 마스터 노드(Master Node) (예: 도 3a의 마스터 노드(370))로, 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의 기지국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기지국들(321, 331, 341, 351)은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예: 도 3a의 세컨더리 노드(380))로, 예를 들어, 5G 네트워크의의 기지국들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TE 네트워크의 기지국은 5G 네트워크의 기지국들(321, 331, 341, 351) 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네트워크의 제1기지국(311)은 통신 주파수 대역으로 약 700MHz 내지 약 3GHz의 라디오 주파수(RF)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5G 네트워크의 기지국들(321, 331, 341, 351)은 통신 주파수 대역으로 약 6GHz ~ 약 60GHz의 라디오 주파수(RF) 대역의 제1 라디오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6GHz 이하 대역의 제2라디오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할 수 있다. 이처럼 LTE 네트워크의 제1기지국(311)이 5G 네트워크의 기지국들(321, 331, 341, 351) 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을 갖기 때문에 LTE 네트워크의 제1기지국(311)의 통신 영역(310)은 NR 네트워크 기지국들(321, 331, 341, 351)의 각 통신 영역들(320, 330, 340, 350) 보다 넓은 통신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도 3d에서는 서로 다른 4개의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을 예시하였다. 도 3d에 예시한 서로 다른 4개의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모두 도 1 및 도 2에 예시한 전자 장치(101)의 구성 또는 적어도 그 일부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4개의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모두 제1기지국(311)의 제1통신 영역(310) 내에 위치하므로,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과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4개의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5G 네트워크의 기지국들(321, 331, 341, 351)에 속하는 경우 해당하는 5G 네트워크의 기지국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자 장치(301)는 제1기지국(311)의 제1통신 영역(310)에만 포함되며, 5G 네트워크의 기지국들(321, 331, 341, 351) 중 어느 기지국에도 중첩되어 포함되지 않은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전자 장치(301)는 제1기지국(311)과 LTE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의 제1통신 영역(310) 내에 위치하면서 동시에 5G 네트워크의 제2기지국(321)의 제2통신 영역(320)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전자 장치(302)는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과 LTE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5G 네트워크의 제2기지국(321)과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 또는 5G 네트워크의 제2기지국(321) 중 하나와 LTE 방식 또는 5G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3전자 장치(303)는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의 제1통신 영역(310) 내에 위치하면서 동시에 5G 네트워크의 제3기지국(331)의 제3통신 영역(330)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과 LTE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5G 네트워크의 제3기지국(331)과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 또는 5G 네트워크의 제3기지국(331) 중 하나와 LTE 방식 또는 5G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전자 장치(304)는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의 제1통신 영역(310) 내에 위치하면서 동시에 5G 네트워크의 제4기지국(341)의 제4통신 영역(340)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4전자 장치(304)는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과 LTE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5G 네트워크의 제4기지국(341)과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전자 장치(304)는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 또는 5G 네트워크의 제4기지국(341) 중 하나와 LTE 방식 또는 5G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3d의 예시에서 제2전자 장치(302)는 제1기지국(311)의 셀 경계(cell boundary or cell edge)에 위치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제4전자 장치(304)는 제2전자 장치(302)보다 제1기지국(311)에 근접한 위치의 전자장치이며, 제3전자 장치(303)보다 먼 거리에 위치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도 3d에서는 건물, 산, 둔덕, 인공적인 장애물 또는 자연적인 장애물에 의한 전파 경로의 방해가 없는 경우를 가정하면, 제1기지국(311)은 제1기지국(311)과 통신하는 전자 장치들 중 제3전자 장치(303)에 가장 적은 전력을 할당 및/또는 가장 높은 전송률을 제공할 수 있다. 동일한 가정 하에서 제1기지국(311)은 제2전자 장치(302)에 가장 많은 전력의 할당 및/또는 가장 낮은 전송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은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과 통신 시에 LTE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LTE TDD(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LTE FDD 방식만을 지원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LTE TDD 방식만을 지원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LTE FDD 방식과 LTE TDD 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이 LTE FDD 방식과 LTE TDD 방식을 모두 지원하고,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과 TDD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5G 기지국과도 TDD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5G 기지국과 TDD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TDD 방식에 따른 uplink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과 FDD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5G 기지국과도 FDD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5G 기지국과 FDD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FDD 방식에 따른 uplink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LTE FDD 방식과 LTE TDD 방식 중 하나의 방식만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과 TDD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5G 기지국들인 제2기지국(321) 내지 제5기지국(351)과도 TDD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제1기지국(311) 및 5G 기지국과 TDD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TDD 방식에 따른 uplink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과 FDD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5G 기지국들인 제2기지국(321) 내지 제5기지국(351)과도 FDD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제1기지국(311) 및 5G 기지국과 FDD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FDD 방식에 따른 동적으로 uplink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제1기지국(311)의 셀 경계(cell boundary or cell edge)에 위치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셀 경계에 위치한 제2전자 장치(302)는 제1기지국(311)으로 uplink 전송이 필요한 경우 제2전자 장치(302)는 제2전자 장치(302)가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송신에 할당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2전자 장치(302)는 제2기지국(321)으로의 uplink 전송에 송신할 전력을 할당할 수 없으므로, 제2기지국(321)으로의 uplink 송신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의 셀 경계(cell boundary or cell edge)에 위치한 제2전자 장치(302)는 제1기지국(311) 및 제2기지국(321)로의 uplink 송신을 위해 TDD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과 근접한 거리에 위치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제1기지국(311)과 인접한 거리의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으로 uplink 전송이 필요한 경우 제3전자 장치(303)에서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에 여유를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제3기지국(331)으로의 uplink 전송에 송신할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과의 거리가 가까운 또는 통신 채널이 양호한 제3전자 장치(303)는 FDD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2전자 장치(302))가 EN-DC 네트워크에 접속할 시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가 공존하는 MR-DC(Multi-RAT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제1네트워크의 기지국은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예: 도 3a의 마스터 노드(370))가 될 수 있으며, 제2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예: 도 3a의 세컨더리 노드(380))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의 신호 흐름도는 제1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제2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인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이 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MR-DC 환경의 구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EN-DC 환경에서 전자 장치가 LTE 네트워크의 기지국(예: 도 3d의 제1기지국(311))과 NR 네트워크의 기지국(예: 도 3d의 제3기지국(예: 도 3d의 제3기지국(331))의 동작을 예로 설명한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EN-DC 환경에서의 동작을 MR-DC 환경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400동작에서 제3전자 장치(303)는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 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인 제1기지국(311)의 셀 탐색(cell search)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셀 탐색 시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 및/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을 통해 MIB 및 SIB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둘 이상의 SIB를 PBCH를 통해 방송할 수 있으며, 그 중 SIB 1은 제1기지국(311) 내에 위치한 전자 장치가 제1기지국(311)에 액세스(access)하기 위한 다양한 파라미터들과 다른 SIB들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기지국(311)은 SIB 1에 자신의 영역 내에 위치한 전자 장치들의 업-링크(up-link) 최대 송신 전력(P-MaxLTE)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전자 장치(303)는 400동작에서 제1기지국(311)이 설정한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획득한 MIB, SIB 정보 및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정보를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402동작에서, 400동작의 셀 탐색을 통해 획득한 SIB 1의 정보에 기반하여 제1기지국(311)에 임의 접속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3전자 장치(303)는 402동작의 임의 접속 절차를 통해 제1기지국(311)과 연결 모드(connected mode)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과 LTE 네트워크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임의 접속 절차 이후 제1기지국(311)은 404동작에서 제3전자 장치(303)로 전자 장치 능력 정보를 요청(UE Capability enquiry)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404동작에서 전자 장치 능력 정보를 요청(UE Capability enquiry) 메시지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 능력 정보 메시지(UE Capability message or UE Capability information message)를 생성하고, 제1기지국(311)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능력 정보 메시지는 EN-DC 환경에서 서로 다른 기지국들과 동시에 접속하여 데이터 전송 시에 전력을 할당하는 방식인 동적 전력 할당(dynamic power sharing)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가 EN-DC 환경에서 LTE 기지국 및 NR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하여 통신이 가능하며, LTE 기지국 및 NR 기지국으로의 up-link 송신에 전력을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경우 UE 능력 정보 메시지에 동적 전력 할당을 지원함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가 EN-DC 환경에서 LTE 기지국 및 NR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하여 통신이 가능하지만, LTE 기지국 및 NR 기지국으로의 up-link 송신에 전력을 동적으로 할당할 수 없는 경우 전자 장치 능력 정보 메시지에 동적 전력 할당을 지원하지 않음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가 EN-DC 환경에서 LTE 기지국 및 NR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하여 통신이 가능하고, LTE 기지국 및 NR 기지국으로의 up-link 송신에 전력을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으나, 특정한 조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 LTE 기지국 및 NR 기지국으로의 up-link 송신에 전력을 동적으로 할당할 수 없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404동작에서 제3전자 장치(303)로부터 전자 장치 능력 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후 필요에 따라 406동작에서 제3전자 장치(303)로 세컨더리 노드 예를 들어 제3기지국(331)을 추가(NR cell adding)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제3전자 장치(303)로 제3기지국(331) 추가(NR cell adding)를 명령하는 경우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기지국(311)은 제3전자 장치(303)로 제3기지국(331) 추가 명령을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3전자 장치(303)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이 제3전자 장치(303)로 제3기지국(331) 추가를 명령하는 406동작의 경우는 제3전자 장치(311)로 전송할 데이터가 많은 경우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이 제3기지국(331) 추가를 명령하는 406동작의 경우는 제3전자 장치(311)로 전송할 데이터를 제3기지국(331)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의 효율이 높은 경우가 될 수 있다. 제1기지국(311)이 제3전자 장치(303)로 제3기지국(331) 추가를 명령하는 406동작의 경우는 제1기지국(311)에서 할당할 수 있는 자원이 부족하고, 제3기지국(331)에서 할당할 수 있는 자원이 많은 경우가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최대 전송 전력과 제3기지국(331)으로의 up-link 최대 전송 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최대 전송 전력을 400동작에서 설정한 값을 재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최대 전송 전력을 새롭게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최대 전송 전력을 새롭게 설정할 시 제3기지국(331)으로의 up-link 최대 전송 전력과 제3전자 장치(303)에서 사용 가능한 송신 최대 전력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최대 전송 전력을 새롭게 설정할 시 제3전자 장치(303)에서 사용 가능한 송신 최대 전력만을 고려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제3전자 장치(303)로 전송하면서 동시에 및/또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제3전자 장치(303)로 전송하기 전에 및/또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제3전자 장치(303)로 전송한 후에 제3기지국(331)으로 제3전자 장치(303)의 추가를 지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추가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추가 제어 메시지는 추가될 제3전자 장치(303)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추가 제어 메시지는 제3기지국(331)의 up-link 최대 송신 전력(P-MaxNR)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408동작에서, 406동작에서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수신된 제3기지국(331) 추가 명령에 응답하여 제3기지국(331)과 연결 설정(Connection Establishment)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408동작에서 제3기지국(331)으로 임의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408동작에서 제3기지국(331)과 연결 설정(Connection Establishment) 전에 제3기지국(331)의 셀 탐색이 완료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전자 장치(303)는 제3기지국(331)으로부터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을 통해 MIB 및 SIB를 수신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기지국(331)은 둘 이상의 SIB를 방송할 수 있으며, 그 중 SIB 1은 제3기지국(331) 내에 위치한 전자 장치(303)가 제3기지국(331)에 액세스(access)하기 위한 다양한 파라미터들과 다른 SIB들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기지국(331)은 SIB 1에 자신의 영역 내에 위치한 전자 장치들의 업-링크(up-link) 최대 송신 전력(P-MaxNR)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EN-DC 환경에서 제3전자 장치(303)는 동적 전력 할당(Dynamic Power Sharing)이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마스터 노드(311) 및 세컨더리 노드(331)로의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은 EN-DC 환경에서 각각 자신의 최대 허용 전력(power)을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적 전력 할당이 가능한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는 EN-DC 환경에서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으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정보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전자 장치(303)는 자신이 송신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으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업-링크 송신 전력을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송신 전력을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제3전자 장치(303)가 할당할 수 있는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이 23dBm인 경우 제3전자 장치(303)가 할당할 수 있는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23dBm) 내에서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정보(P-MaxLTE)와 제3기지국(331)으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정보(P-MaxNR)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업-링크 송신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으로 각각 다른 시점에 업-링크 송신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으로부터 독립적으로 결정된 각 기지국의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정보들(P-MaxLTE, P-MaxNR) 및 제3전자 장치(303)가 할당할 수 있는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P-MaxUE) 내에서 업-링크 송신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331)으로부터 동시에 업-링크 송신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331)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설정된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을 메모리(130)에 저장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331)으로부터 각각 수신된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의 합이 제3전자 장치(303)가 할당할 수 있는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의 값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331)으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의 범위 내에서 업-링크로 데이터/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331)으로부터 각각 수신된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의 합이 제3전자 장치(303)가 할당할 수 있는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을 초과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자신이 할당할 수 있는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내에서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331)으로의 업-링크에 전력을 할당(Dynamic Power Sharing)하여 데이터/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은 EN-DC 환경에서 각각 자신의 최대 허용 전력(power)을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적 전력 할당이 불가능한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는 EN-DC 환경에서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으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정보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제3전자 장치(303)가 동적 전력 할당이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마스터 노드인 제1기지국(311)은 제3전자 장치(303)와의 통신 방식을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세컨더리 노드인 제3기지국(331) 또한 제3전자 장치(303)와 제1기지국(311) 간에 설정된 TDD 방식에 맞춰 다운링크 및 업링크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세컨더리 노드인 제3기지국(331)은 제3전자 장치(303)와 제1기지국(311) 간에 설정된 TDD 방식과 무관하게 다운링크 및 업링크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3전자 장치(303)가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331)으로 동시 전송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면, 제3전자 장치(303)는 마스터 노드인 제1기지국(311)으로 데이터/제어신호의 업-링크 전송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다른 시점에서 제3전자 장치(303)는 제3기지국(331)으로 데이터/제어 메시지의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a는 LTE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가 공존하는 MR-DC(Multi-RAT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제1네트워크의 기지국은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예: 도 3a의 마스터 노드(370))가 될 수 있으며, 제2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예: 도 3a의 세컨더리 노드(380))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a는 제1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예: 도 2의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이고, 제2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예: 도 2의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인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을 MR-DC의 환경의 예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EN-DC 환경에서의 동작을 MR-DC 환경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LTE 표준 규약에서는 도 5a에 예시한 바와 같이 TDD 모드에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정의하고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첫 번째 열(510)에서는 LTE 표준 규약에서 정의하고 있는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0,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2,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3,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4,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5,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06을 예시하였으며, 두 번째 열(520)에서는 LTE 표준 규약에서 정의하고 있는 downlink-uplink switch-point periodicity의 시간을 각 uplink-downlink configuration마다 정의하였다.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0-2와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6은 5ms의 downlink-uplink switch-point periodicity를 가지며,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3-5는 10ms의 downlink-uplink switch-point periodicity를 갖는다. 세 번째 열(530)에서는 서브프레임들의 순서에 따라 Downlink(D), uplink(U) 및 special(S) 서브프레임들을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0의 경우는 참조부호 511과 같이 5ms의 downlink-uplink switch-point periodicity를 가지며, 서브프레임들의 순서는 0번째 서브프레임부터 9번째 서브프레임까지 순서대로 “D, S, U, U, U, D, S, U, U, U”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6의 경우는 참조부호 512와 같이 5ms의 downlink-uplink switch-point periodicity를 가지며, 서브프레임들의 순서는 0번째 서브프레임부터 9번째 서브프레임까지 순서대로 “D, S, U, U, U, D, S, U, U, D”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LTE 표준 규약에서 서로 다른 uplink-downlink configuration에 따라 Downlink와 Uplink의 수를 다양하게 설정함으로써 업링크 및 다운링크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에 적응적으로 uplink-downlink configuration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LTE 네트워크가 TDD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구성을 사용하는 경우 5G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TDM 설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가 공존하는 MR-DC(Multi-RAT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제1네트워크의 기지국은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예: 도 3a의 마스터 노드(370))가 될 수 있으며, 제2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예: 도 3a의 세컨더리 노드(380))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b는 제1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예: 도 2의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이고, 제2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예: 도 2의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인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을 MR-DC의 환경의 예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EN-DC 환경에서의 동작을 MR-DC 환경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LTE 기지국(예: 도 3d의 제1기지국(311))과 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3전자 장치(303))는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을 참조부호 501과 같이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0번째 서브프레임부터 9번째 서브프레임까지의 순서는 “D, S, U, U, D, D, S, U, U, D”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5G 네트워크의 기지국(예: 도 3d의 제3기지국(331))은 LTE 기지국(311)과 제3전자 장치(303) 간에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501)과 같이 설정됨에 따라 Uplink와 Downlink 구성을 5G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502)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기지국(331)은 제1기지국(311)과 제3전자 장치(303) 간에 설정된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501)에서 T00의 시점부터 T01의 시점까지가 하나의 downlink(D) 서브프레임이기 때문에 제3전자 장치(303)와 T00의 시점부터 T01의 시점까지(541)를 2개의 uplink(U) 서브프레임들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3기지국(331)은 T00의 시점부터 T01의 시점까지(541)에서 제3전자 장치(303)로 하나 또는 셋 이상의 uplink(U) 서브프레임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기지국(331)은 제1기지국(311)과 제3전자 장치(303) 간에 설정된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501)에서 T01의 시점부터 T02의 시점까지(542)가 하나의 special(S) 서브프레임이므로, 제3기지국(331)은 T01의 시점부터 T02의 시점(542)까지 제3전자 장치(303)로 2개의 downlink(D) 서브프레임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기지국(331)은 T01의 시점부터 T02의 시점까지(542) 제3전자 장치(303)로 하나 또는 셋 이상의 downlink(D) 서브프레임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기지국(331)은 제1기지국(311)과 제3전자 장치(303) 간에 설정된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501)에서 T02의 시점부터 T04의 시점까지(543)이 제3전자 장치(303)에 2개의 uplink(U) 서브프레임이 할당되었으므로, 제3기지국(331)은 제3전자 장치(303)와 T02의 시점부터 T04의 시점까지(543)에 4개의 downlink(D) 서브프레임(831)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3기지국(331)은 T02의 시점부터 T04의 시점(543)에서 제1기지국(311)의 하나의 서브프레임 단위마다 또는 2개의 서브프레임들 모두에 대하여 제3전자 장치(303)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uplink(U)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기지국(331)은 제1기지국(311)과 제3전자 장치(303) 간에 설정된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501)에서 T04의 시점부터 T05의 시점까지(544) 제3전자 장치(303)로 하나의 Downlink(D) 서브프레임이 할당되어 있으므로, 제3기지국(331)은 제3전자 장치(303)와 T04의 시점부터 T05의 시점까지(544) 하나 또는 둘 이상의 uplink(U) 서브프레임의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도 5b의 예시에서는 제3기지국(331)은 제3전자 장치(303)와 T04의 시점부터 T05의 시점까지(544)를 2개의 dlwnlink(D) 서브프레임들을 할당한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처럼 제3기지국(331)은 제3전자 장치(303)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uplink(U) 서브프레임의 설정이 가능한 서브프레임들에 대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dlwnlink(D) 서브프레임을 할당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기지국(331)이 uplink(U) 서브프레임의 설정이 가능한 서브프레임들에 대하여 dlwnlink(D) 서브프레임을 할당하는 경우는 아래의 경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첫째, 일 실시예에 따른 제3기지국(331)이 제3전자 장치(303)로부터 업링크로 전송할 데이터가 없다는 보고를 수신(예를 들어 제3전자 장치(303)의 업링크 버퍼가 비어 있는 경우)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둘째, 일 실시예에 따른 제3기지국(331)이 제3전자 장치(303)가 업링크 전송에 필요한 데이터 전송 특성 상 지연하여 전송해도 되고, 업링크 전송에 필요한 데이터의 양이 매우 적은 경우 될 수 있다.
셋째, 일 실시예에 따른 제3기지국(331)이 제3전자 장치(303)로 downlink로 전송할 데이터가 많은 경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기지국(331)이 uplink(U) 서브프레임의 설정이 가능한 서브프레임들에 대하여 dlwnlink(D) 서브프레임을 할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기지국(331)은 제1기지국(311)과 제3전자 장치(303) 간에 설정된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501)에서 T05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545) 제3전자 장치(303)로 하나의 Downlink(D) 서브프레임이 할당되어 있으므로, 제3기지국(331)은 제3전자 장치(303)와 T05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545) 하나 또는 둘 이상의 uplink(U) 서브프레임의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기지국(331)은 제1기지국(311)과 제3전자 장치(303) 간에 설정된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501)에서 T06의 시점부터 T09의 시점까지(546) 제3전자 장치(303)로 하나의 special(S) 서브프레임과 두 개의 uplink(U) 서브프레임들이 할당되어 있으므로, 제3기지국(331)은 제3전자 장치(303)와 T06의 시점부터 T09의 시점까지(546) 하나 또는 둘 이상의 downlink(D) 서브프레임의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기지국(331)은 제1기지국(311)과 제3전자 장치(303) 간에 설정된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501)에서 T09의 시점부터 T10의 시점까지(547) 제3전자 장치(303)로 하나의 downlink(D) 서브프레임 할당되어 있으므로, 제3기지국(331)은 제3전자 장치(303)와 T09의 시점부터 T10의 시점까지(547) 하나 또는 둘 이상의 downlink(D) 서브프레임의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한 방식에 기반하여 제1기지국(311)이 TDD 방식으로 제2전자 장치(302) 및/또는 제4전자 장치(304)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제2기지국(321)과 제2전자 장치(302), 제4기지국(341)과 제4전자 장치(304) 간에도 동일하게 도 5b의 방식에 따라 서브프레임을 할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전송과 제3기지국(331)의 uplink 전송이 시간적으로 직교성(orthogonality)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전송과 제3기지국(331)의 uplink 전송이 시간적으로 직교성(orthogonality)을 갖는다는 것은 상기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전송 구간과 제3기지국(331)의 uplink 전송 구간이 시간적으로 중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전송 구간과 제3기지국(331)의 uplink 전송 구간이 시간적으로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제3전자 장치(303)가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을 모두 하나의 기지국에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제1커뮤티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2의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으로 uplink 데이터 및/또는 제어신호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구간들인 T02-T04의 구간 및 T07-T09의 구간들에서 제3전자 장치(303)가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제2커뮤티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2의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3기지국(331)으로 uplink 데이터 및/또는 제어신호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구간들(541, 545, 547)에서 제3전자 장치(303)가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도 5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다운링크에 따른 업링크 전송과 5G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가 공존하는 MR-DC(Multi-RAT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제1네트워크의 기지국은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가 될 수 있으며, 제2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c는 제1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예: 도 2의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이고, 제2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예: 도 2의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인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을 MR-DC의 환경의 예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EN-DC 환경에서의 동작을 MR-DC 환경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LTE 표준 규격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3전자 장치(303))는 LTE 네트워크의 송신 여부를 4 슬롯 전에 수신되는 제어(control) 정보, 예를 들어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grant,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수신 여부를 통해 알 수 있다. 이를 도 5c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LTE 네트워크인 기지국(예: 도 3d의 제1기지국(311))은 T10부터 T11의 시점까지가 downlink(DL)의 1슬롯이 될 수 있다. 이처럼, 도 5c에 예시된 방식에 따르면, T11-T12, T12-T13, T13-T14, T14-T15, T15-T16, T16-T17 및 T17-T18까지가 모두 각각 하나의 downlink/up-link의 슬롯들이 될 수 있다. LTE 네트워크인 제1기지국(311)에서 1슬롯의 단위는 1ms가 될 수 있다. T10-T11까지의 한 슬롯을 n번째 슬롯이라 할 때, T11-T12까지의 슬롯은 n+1번째 슬롯이 될 수 있고, T12-T13까지의 슬롯은 n+2번째 슬롯이 될 수 있으며, T13-T14까지의 슬롯은 n+3번째 슬롯이 될 수 있고, T14-T15까지의 슬롯은 n+4번째 슬롯이 될 수 있으며, T15-T16까지의 슬롯은 n+5번째 슬롯이 될 수 있고, T16-T17까지의 슬롯은 n+6번째 슬롯이 될 수 있으며, T17-T18까지의 슬롯은 n+7번째 슬롯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은 downlink(551)를 통해 n번째 슬롯에서 제3전자 장치(303)로 PDCCH(Physical Data Control Channel)와 함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4슬롯 이후인 n+4번째 슬롯의 uplink(552)에서 HARQ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c에서 참조부호 561은 제1기지국(311)이 Downlink(551)를 통해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4슬롯 이후의 uplink(552)를 통해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라인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은 n번째 슬롯 이전의 슬롯에서 uplink(552)로 uplink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제1기지국(311)은 n+2번째 슬롯에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Grant를 송신할 수 있다. 제3전자 장치(303)는 Downlink(551)를 통해 n+2번째 슬롯에서 PUSCH Grant를 수신하는 경우 4슬롯 이후인 n+6번째 슬롯에서 uplink(552)를 통해 PUSCH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c에서 참조부호 562는 제1기지국(311)이 Downlink(551)를 통해 PUSCH Grant를 전송하는 경우 4슬롯 이후의 uplink(552)를 통해 PUSCH를 송신하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라인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은 downlink(551)를 통해 n+3번째 슬롯에서 제3전자 장치(303)로 PDCCH(Physical Data Control Channel)와 함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4슬롯 이후인 n+7번째 슬롯의 uplink(552)에서 HARQ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c에서 참조부호 563은 제1기지국(311)이 Downlink(551)를 통해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4슬롯 이후의 uplink(552)를 통해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라인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EN-DC 환경에 있는 제3전자 장치(303)는 5G 기지국(예: 도 3d의 제3기지국(331))과 데이터 및/또는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Uplink(553)를 통해 제3기지국(331)으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3전자 장치(303)가 FDD 방식 및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제1기지국(311)으로의 역방향 전송에 따라 제3기지국(331)으로의 Uplink(553)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은 제1기지국(311)으로부터의 Downlink(551)을 매 슬롯(1ms)마다 확인하고, 이후 4슬롯 이후에 uplink 전송이 필요한지를 확인해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전자 장치(303)은 uplink로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의 송신 시 제1기지국(311)으로의 전송 전력을 계산해야 하고, 5G 기지국인 제3기지국(331)으로 동일한 시점에 uplink로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의 송신 시 제3기지국(331)으로 송신 가능한 전력을 식별하고, 그에 기반하여 uplink 송신 전력을 설정해야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T10-T14의 시점까지는 제1기지국(311)으로 전송할 데이터 및/또는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T10-T14의 시점까지 제3기지국(331)으로 Uplink(553)를 통해 데이터 및/또는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3전자 장치(303)는 T10-T14의 시점까지 제1기지국(311)으로 전송할 데이터 및/또는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3전자 장치(303)는 제3기지국(331)으로 Uplink(553)를 통해 데이터 및/또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할 시 최대 송신 전력까지 할당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T14-T15 및 T16-T18까지 제1기지국(311)으로 전송할 데이터 및/또는 제어 메시지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T14-T15 및 T16-T18의 시점까지 제1기지국(311)의 Uplink(552)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에 최대 송신 전력 범위 내에서 전력을 할당하고, 그 외의 잉여 전력을 이용하여 제3기지국(331)으로 Uplink(553)를 통해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만일, 제3전자 장치(303)가 제1기지국(311)의 Uplink(552)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에 최대 송신 전력을 할당한 경우 제3기지국(331)으로 Uplink(553) 송신을 중지할 수 있다. 제3기지국(331)으로 Uplink(553) 송신을 중지하는 경우를 참조부호 571 및 572와 같이 예시하였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3전자 장치(303))가 제1기지국(예: 도 3d의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예: 도 3d의 제3기지국(331))에서 TDD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uplink 전력 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가 공존하는 MR-DC(Multi-RAT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제1네트워크의 기지국은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예: 도 3a의 마스터 노드(370))가 될 수 있으며, 제2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예: 도 3a의 세컨더리 노드(380))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a는 제1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예: 도 2의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이고, 제2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예: 도 2의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인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을 MR-DC의 환경의 예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EN-DC 환경에서의 동작을 MR-DC 환경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3전자 장치(303)의 uplink 최대 전력 값(또는, 최대 전력 임계 값)(600)이 특정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3전자 장치(303)는 EN-DC 환경에서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과 동시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3전자 장치(303)가 EN-DC 환경에서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과 동시에 연결된 상태이고, uplink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참조부호 601과 같이 제3전자 장치(303)는 uplink 송신 전력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가 EN-DC 환경에서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과 동시에 연결된 상태에서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TDD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기지국(311)이 uplink 및 downlink의 전송을 TDD 방식으로 설정하는 경우 제3기지국(331) 또한 uplink 및 downlink의 전송을 TDD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여 도 6a의 제3전자 장치(303)에서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제3전자 장치(303)에서 전력 할당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541 구간에서 제1기지국(311)으로부터는 downlink의 전송이 이루어지며, 제3기지국(331)으로 uplink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제3기지국(331)만 uplink의 전송이 이루어지므로, 제3전자 장치(303)는 참조부호 603과 같이 최대 송신 전력을 모두 제3기지국(331)의 NR uplink power로 할당할 수 있다. 이처럼 제3전자 장치(303)가 제3기지국(331)만 uplink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구간은 545 구간과 547 구간에 해당하므로, 545구간 및 547 구간에서 제3전자 장치(303)는 참조부호 603과 같이 최대 송신 전력을 모두 제3기지국(331)의 uplink로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543 구간에서 제1기지국(311)으로 uplink의 전송이 이루어지며, 제3기지국(331)부터는 543구간에서 downlink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543구간에서 제1기지국(311)으로 참조부호 602와 같이 최대 송신 전력을 모두 제1기지국(311)의 LTE uplink power로 할당할 수 있다. 이처럼 제3전자 장치(303)이 제1기지국(311)으로만 uplink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구간은 546 구간의 T07 시점부터 T09까지의 시점에 해당하므로, 제3전자 장치(303)는 T07 시점부터 T09까지의 시점에서 참조부호 602와 같이 최대 송신 전력을 모두 제1기지국(311)의 uplink로 할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이 T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5G 기지국인 제2기지국(예: 도 3d의 제2기지국(321), 제3기지국(331), 제4기지국(예: 도 3d의 제4기지국(341)) 및 제5기지국(예: 도 3d의 제5기지국(351))은 도 6a에서 예시한 방식에 기반하여 TDD 방식으로 uplink 및 downlink 전송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전력 할당은 도 6a에서 예시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3전자 장치(303))가 제1기지국(예: 도 3d의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예: 도 3d의 제3기지국(331))에서 FDD 방식에 기반하여 uplink에 전력 할당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3전자 장치(303)의 uplink 최대 전력 값(600)이 특정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3전자 장치(303)는 EN-DC 환경에서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331)과 동시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3전자 장치(303)이 EN-DC 환경에서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331)과 동시에 연결된 상태이고, uplink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도 6a의 참조부호 600과 같이 제3전자 장치(303)는 uplink 송신 전력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가 EN-DC 환경에서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과 동시에 연결된 상태에서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FDD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가 EN-DC 환경에서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FDD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도 제3전자 장치(303)가 TDD 방식과 같이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331)의 uplink 송신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시간에서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가 EN-DC 환경에서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331)과 동시에 연결된 상태에서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FDD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331)으로 uplink 송신이 서로 동일한(중첩된) 시간에서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3전자 장치(303)이 EN-DC 환경에서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FDD 방식으로 전송할 시 시간적으로 중첩되지 않는 경우 도 6b와 같이 각각 요구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제1커뮤티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6의 제1커뮤티케이션 프로세서(212))는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시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요청된 전력 값(611)으로 송신 전력(LTE uplink power)을 결정하여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제2커뮤티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6의 제2커뮤티케이션 프로세서(214))는 5G 기지국인 제3기지국(331)부터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시 제3기지국(331)부터 요청된 전력 값(612)으로 송신 전력(NR uplink power)을 결정하여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처럼 서로 중첩되지 않은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최대 송신 전력 값(600) 내에서 자유롭게 전력을 설정하여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가 동일한 시점에서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331)으로 동시에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의 송신이 요청된 경우 최대 송신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이 송신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이 23dBm이고, 제1기지국(311)에서 설정한 최대 송신 전력이 22dBm이며, 제3기지국(331)에서 설정한 최대 송신 전력이 23dBm인 경우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331)에서 요청된 송신 전력의 합이 제3전자 장치(303)에서 송신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을 초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전자 장치(303)에서 송신 전력의 할당에 대한 조율이 필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가 동적 전력 할당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TDD 방식으로 설정을 기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데이터의 송/수신 방식으로 TDD 방식들 중 하나의 방식이 설정되는 경우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331) 간의 전송 구간을 분리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런 경우는 제3전자 장치(303)가 동적 전력 할당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가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제1기지국(311)으로 전자 장치 능력 정보(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 제3기지국(331)이 추가된 상태에서 제1기지국(311)이 설정한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P-MaxLTE)과 제3기지국(331)이 설정한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P-MaxNR)의 합이 제3전자 장치(303)가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전자 장치(303)가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이 23dBm이고,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P-MaxLTE)이 20dBm이고, 제3기지국(331)으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P-MaxNR)의 이 20dBm인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331)으로 동시에 업-링크로 데이터/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동시 전력 값은 “PLTE + PNR = 20dBm + 20dBm = 23dBm”이 되어 제3전자 장치(303)가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 이내에서 송신이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비교예에 따르면, 이런 경우라도 제3전자 장치(303)는 전자 장치 능력 정보로 동적 전력 할당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하였기 때문에 TDD 방식으로만 동작하게 되므로, 스케줄링의 자유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가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라도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P-MaxLTE)과 제3기지국(331)으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P-MaxNR)을 고려하여 스케줄링의 자유도를 증대시키고, 데이터/제어신호의 전송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가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라도 무선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터 노드 기지국(예: 도 3d의 제1기지국(311))에서 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3전자 장치(303))와 통신 시 제어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가 공존하는 MR-DC(Multi-RAT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제1네트워크의 기지국은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예: 도 3a의 마스터 노드(370))가 될 수 있으며, 제2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 예: 도 3a의 세컨더리 노드(380))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7은 제1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예: 도 2의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이고, 제2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예: 도 2의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인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을 MR-DC의 환경의 예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EN-DC 환경에서의 동작을 MR-DC 환경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700동작에서 방송 채널을 통해 MIB 및 SIB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기지국(311)은 700동작에서 제3전자 장치(303)로부터 임의 접속(Random Access)을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임의 접속 절차가 완료된 후 702동작에서 제3전자 장치(303)로 전자 장치 능력 정보(UE Capability information)를 요청(enquiry)하고, 제3전자 장치(303)로부터 전자 장치 능력 정보(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능력 정보는 EN-DC 환경에서의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능력 정보는 EN-DC 환경에서 동적 전력 할당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EN-DC 환경에서 통신을 지원할 수 있고, 동적 전력 할당을 지원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EN-DC 환경에서 통신을 지원할 수 있고, 동적 전력 할당을 지원할 수 없는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EN-DC 환경에서 통신을 지원할 수 없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제3전자 장치(303)가 EN-DC 환경에서 통신을 지원할 수 없는 전자 장치인 경우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2의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와 그에 대응한 각 무선 모듈들(예: 도 2의 제2RFIC(224) 제2RFFE(234), 제2안테나 모듈(244), 제3안테나 모듈(246))을 갖지 않는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제3전자 장치(303)가 EN-DC 환경에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인 경우가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704동작에서 제3전자 장치(303)로부터 수신된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 기반하여 다운링크(downlink) 및 업-링크(up-link)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과 제3전자 장치(303) 간의 통신 방식은 LTE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으로 통신할 수도 있고, LTE TDD(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706동작에서 제3전자 장치(303)에 대하여 세컨더리 노드인 제3기지국(331)을 추가(add)할 필요가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제3전자 장치(303)로 고용량의 데이터를 다운링크를 통해 전송이 필요한 경우 제3전자 장치(303)에 제3기지국(331)의 추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제3전자 장치(303)로부터 고용량의 데이터를 업링크를 통해 전송이 필요한 경우 제3전자 장치(303)에 제3기지국(331)의 추가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제1기지국(311) 내에 통신할 전자 장치들의 수가 많아 자원이 부족하고, 제3전자 장치(303)가 제3기지국(331)으로 통신할 수 있는 경우 제3전자 장치(303)에 제3기지국(331)의 추가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제3기지국(331)을 추가하는 경우 제3전자 장치(303)와의 통신 효율이 증대될 시 제3전자 장치(303)에 제3기지국(331)의 추가를 결정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경우에 제1기지국(311)은 제3전자 장치(303)에 제3기지국(331)의 추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세컨더리 노드인 제3기지국(331)의 추가가 필요한 경우(706 ­ YES), 제1기지국(311)은 708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제1기지국(311)은 세컨더리 노드인 제3기지국(331)의 추가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706 ­ NO), 제1기지국(311)은 설정된 방식으로 704동작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702동작에서 전자 장치 능력 정보로, EN-DC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설정하여 전자 장치 능력 정보를 전송한 경우가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제3전자 장치(303)에 제3기지국(331)의 추가가 필요하여 708동작으로 진행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702동작에서 제3전자 장치(303)로부터 수신된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 기반하여 제3전자 장치(303)가 동적 전력 할당이 가능한 전자 장치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제3전자 장치(303)로부터 수신된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 기반하여 제3전자 장치(303)가 동적 전력 할당이 가능한 전자 장치인 경우(708동작 ­ YES) 712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제3전자 장치(303)로부터 수신된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 기반하여 제3전자 장치(303)가 동적 전력 할당이 불가능한 전자 장치인 경우(708동작 ­ NO) 710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712동작에서 제3전자 장치(303)로 세컨더리 노드인 제3기지국(331)을 추가할 것을 명령할 수 있다. 이때, 제1기지국(311)은 제3전자 장치(303)로 제3기지국(331) 추가(NR cell adding)를 명령하는 경우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기지국(311)은 제3전자 장치(303)로 제3기지국(331) 추가 명령을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3전자 장치(303)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EN-DC 환경에서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최대 송신 전력 정보를 새롭게 설정하여 제3전자 장치(303)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이전에 설정한 up-link 최대 송신 전력 정보를 그대로 설정하여 제3전자 장치(303)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712동작에서 제3전자 장치(303)로 세컨더리 노드인 제3기지국(331)을 추가할 것을 명령하면서, 세컨더리 노드인 제3기지국(331)으로 제3전자 장치(303)의 접속을 지시 및/또는 알리기(inform) 위한 메시지 또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712동작에서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제3전자 장치(303)로 전송하면서 동시에 및/또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제3전자 장치(303)로 전송하기 전에 및/또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제3전자 장치(303)로 전송한 후에 제3기지국(331)으로 제3전자 장치(303)의 추가에 따른 전자 장치 추가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추가 제어 메시지는 제3전자 장치(303)의 추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추가 제어 메시지는 추가되는 전자 장치의 정보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710동작에서 제3전자 장치(303)로 세컨더리 노드인 제3기지국(331)을 추가할 것을 명령할 수 있다. 이때, 제1기지국(311)은 제3전자 장치(303)로 제3기지국(331) 추가(NR cell adding)를 명령하는 경우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기지국(311)은 제3전자 장치(303)로 제3기지국(331) 추가 명령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3전자 장치(303)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EN-DC 환경에서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최대 송신 전력 정보를 새롭게 설정하여 제3전자 장치(303)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710동작에서 제3전자 장치(303)로 세컨더리 노드인 제3기지국(331)을 추가할 것을 명령하면서, 세컨더리 노드인 제3기지국(331)으로 제3전자 장치(303)의 접속을 지시 및/또는 알리기(inform) 위한 메시지 또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710동작에서 제3기지국(331)으로 제3전자 장치(303)의 접속을 지시 및/또는 알리기(inform) 위한 메시지 또는 신호에 제3기지국(331)에서 허용할 uplink 최대 송신 전력을 지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710동작에서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제3전자 장치(303)로 전송하면서 동시에,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제3전자 장치(303)로 전송하기 전에 및/또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제3전자 장치(303)로 전송한 후에 제3기지국(331)으로 제3전자 장치(303)의 추가에 따른 전자 장치 추가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추가 제어 메시지는 제3전자 장치(303)의 추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 추가 제어 메시지는 제3기지국(331)의 up-link 최대 송신 전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추가 제어 메시지는 추가되는 전자 장치의 정보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추가 제어 메시지는 추가되는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331)으로 uplink 동시 전송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702동작에서 수신된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 기반하여 제3전자 장치(303)의 최대 송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전자 장치(303)의 최대 송신 전력 값이 23dBm인 경우 제1기지국(311)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제3전자 장치(303)의 uplink 최대 송신 전력(P-MaxLTE)을 20dBm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제3기지국(331)으로 제3전자 장치(303)의 접속을 지시 및/또는 알리기(inform) 위한 메시지 또는 신호에 제3기지국(331)에서 허용할 uplink 최대 송신 전력(P-MaxNR)을 예를 들어, 20dBm으로 설정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710동작에서 비록 제3전자 장치(303)가 702동작에서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서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지원하지 않음으로 설정한 경우라도 EN-DC 환경에서 FDD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기지국(311)은 제3전자 장치(303)로 전송하는 세컨더리 노드 추가 명령에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과 동시에 up-link로 통신할 것을 지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과 동시에 up-link로 통신할 것을 지시할 경우 제3전자 장치(303)로부터 수신된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 기반하여 제1기지국(311)으로의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새로운 값으로 갱신하고, 제3기지국(331)으로의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제한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제3기지국(331)으로 제공하는 제어 메시지에 제3기지국(331)으로의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제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710동작에서 제3전자 장치(303)가 702동작에서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서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지원하지 않음으로 설정한 경우 TDD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1기지국(311)은 710동작에서 제3전자 장치(303)가 TDD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설정한 후, 세컨더리 노드 추가 명령과 함께 또는 별도의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303)가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과 동시에 up-link로 통신할 것을 지시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는 예컨대,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331) 각각에서 설정하는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의 합이 전자 장치 능력 정보를 통해 획득한 제3전전자 장치(303)의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인 경우가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가 제3기지국(331)을 세컨더리 노드로 추가한 이후 제1기지국(311)은 714동작에서 제3전자 장치(303)와 업링크/다운링크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제1기지국(311)은 제3전자 장치(303)가 동적 전력 할당을 지원하지 않더라도 제1기지국(311)에서 제1기지국(311)의 uplink 최대 송신 전력 및 제3기지국(331)의 uplink 최대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이를 제3기지국(331) 및 제3전자 장치(303)로 제공함으로써, TDD 방식 및/또는 FDD 방식의 제한 없이 uplink의 동시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3전자 장치(303))가 EN-DC 환경에서 통신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가 공존하는 MR-DC(Multi-RAT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제1네트워크의 기지국은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예: 도 3a의 마스터 노드(370))가 될 수 있으며, 제2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예: 도 3a의 세컨더리 노드(380))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8의 전자 장치는 제1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예: 도 2의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이고, 제2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예: 도 2의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인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with) 환경에서 동작하는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MR-DC 환경의 구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EN-DC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예로 설명한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EN-DC 환경에서의 동작을 MR-DC 환경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800동작에서 LTE 네트워크의 셀을 탐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2의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1RFIC(예: 도 2의 제1RFIC(222)), 제1RFFE(예: 도 2의 제1FRRE(232)) 및 제1안테나 모듈(예:도 2의 제1안테나 모듈(242))을 이용하여 LTE 네트워크의 셀을 탐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LTE 네트워크의 셀 탐색 동작인 800동작에서 마스터 노드인 LTE 노드의 제1기지국(예: 도 3d의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동기를 맞추고, MIB 및 SIB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SIB로부터 제1기지국(311)에서 허용하고 있는 up-link 최대 송신 전력 정보(P-MaxLTE)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MIB 및 SIB에 설정된 정보를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셀 탐색 동작 후 802동작에서 프로세서(120) 및/또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1RFIC(222), 제1RFFE(232) 및 제1안테나 모듈(242)을 이용하여 임의 접속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3전자 장치(303)는 804동작에서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1RFIC(222), 제1RFFE(232) 및 제1안테나 모듈(242)을 이용하여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전자 장치 능력 요청(UE capability enquiry)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프로세서(예:도 2의 프로세서(120) 및/또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804동작에서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전자 장치 능력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 능력 정보(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를 생성하고, 제1RFIC(222), 제1RFFE(232) 및 제1안테나 모듈(242)을 이용하여 제1기지국(31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 제3전자 장치(303)가 송신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 값(P-MaxUE)을 설정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프로세서(예:도 2의 프로세서(120) 및/또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 EN-DC 환경에서 동작 가능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및/또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마스터 노드인 제1기지국(311)과 통신하면서, NR 네트워크와 같은 제2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는 경우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 EN-DC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및/또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마스터 노드인 제1기지국(311)과 통신하면서, NR 네트워크와 같은 제2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할 수 없는 경우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 EN-DC 환경에서 동작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프로세서(120) 및/또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RFIC(222), 제1RFFE(232) 및 제1안테나 모듈(242)을 이용하여 마스터 노드인 제1기지국(311)과 통신하면서, NR 네트워크와 같은 제2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으나, 동적 전력 할당이 불가능한 경우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 동적 전력 할당이 불가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마스터 노드인 제1기지국(311)과 통신하면서, NR 네트워크와 같은 제2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으나, 동적 전력 할당이 가능한 경우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 동적 전력 할당 가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 능력 정보는 통신 가능한 주파수 대역, TDD 모드, FDD 모드의 지원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의 능력들을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804동작에서 전자 장치 능력 정보를 제1기지국(311)으로 전송한 후 806동작에서 제1기지국(311)의 제어 및/또는 스케줄링에 기반하여 제1기지국(311)과 데이터/제어 신호를 업링크/다운링크로 전송할 수 있다.
제3전자 장치(303)는 808동작에서 세컨더리 노드인 제3기지국(331)의 추가(add)를 명령하는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제1기지국(311)은 제3기지국(331)의 추가(add)를 명령하는 신호로, endc-ReleaseAndAdd-r15 메시지에서 “true”로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endc-ReleaseAndAdd-r15 메시지가 “true”로 설정된 경우 NR 네트워크의 제2셀을 추가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제3기지국(331)의 추가(add)를 명령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무선 통신 모듈(예: 도 2의 무선 통신 모듈(192)) 내에 마스터 노드와 세컨더리 노드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프로세서가 하나의 통신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 내에 마스터 노드와 세컨더리 노드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프로세서가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2의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및 제2커뮤니테키션 프로세서(예: 도 2의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3전자 장치(303)가 마스터 노드와 통신 시 제3전자 장치(303)에서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세컨더리 노드와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마스터 노드인 제1기지국(311)과 통신하는 중이므로,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2의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가 세컨더리 노드 추가를 명령하는 신호를 마스터 노드인 제1기지국(311)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식별할 수 있다.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로부터 세컨더리 노드 추가 명령을 수신하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2의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세컨더리 노드에 접속할 것을 명령하거나 또는 세컨더리 노드에 접속하도록 지시된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세컨더리 노드인 제3기지국(331)의 추가 명령을 수신한 경우(808동작 ­ YES), 제3전자 장치(303)의 프로세서(120) 및/또는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2의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2RFIC(예:도 2의 제2RFIC(224)), 제2RFFE(예:도 2의 제2RFFE(234)) 및 제2안테나 모듈(예: 도 2의 제2안테나 모듈(244))을 이용하거나 또는 제3전자 장치(303)의 프로세서(120) 및/또는 제2커뮤티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4RFIC(예: 도 2의 제4RFIC(228)), 및 제3안테나 모듈(예: 도 2의 제3안테나 모듈(246))을 이용하여 세컨더리 노드와 추가 접속을 위한 81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세컨더리 노드인 제3기지국(331)의 추가 명령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808동작 ­ NO), 제3전자 장치(303)는 806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수신된 제3기지국(331)의 추가 명령 메시지는 갱신된 제1기지국(311)의 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P-MaxLTE)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갱신된 제1기지국(311)의 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P-MaxLTE)을 메모리(130)에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갱신된 제1기지국(311)의 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P-MaxLTE)을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제3전자 장치(303)가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서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지원하지 않음으로 설정한 경우라도 EN-DC 환경에서 FDD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기지국(311)은 제3전자 장치(303)로 전송하는 세컨더리 노드 추가 명령에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으로 동시에(동일한 시간 및/또는 제1기지국(311)으로의 업-링크 타임 슬롯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제3기지국(331)으로의 업-링크 타임 슬롯에서) up-link로 통신할 것을 지시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제1기지국(311)은 제3기지국(331)으로 up-link로의 송신 전력을 제한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기지국(331)은 제3전자 장치(303)가 제3기지국(331)에 접속할 시 제3기지국(331)에서의 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P-MaxNR)을 개별적으로 각 전자장치마다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3기지국(331)은 제1기지국(311)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3전자 장치(303)로 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P-MaxNR)을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3전자 장치(303)의 프로세서(120) 및/또는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2RFIC(예:도 2의 제2RFIC(224)), 제2RFFE(234) 및 제2안테나 모듈(244)을 이용하거나 또는 제3전자 장치(303)의 프로세서(120) 및/또는 제2커뮤티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4RFIC(228), 및 제3안테나 모듈(246)을 이용하여 810동작과 같이 제3기지국(331)을 추가 접속하는 경우에 제3기지국(331)로부터 제3기지국(331)로의 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P-MaxNR)을 수신할 수 있다. 제3전자 장치(303)는 제3기지국(331)로의 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P-MaxNR)을 수신할 경우 이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기지국(331)에서의 up-link 최대 송신 전력(P-MaxNR)은 nr-SecondaryCellGroupConfig-r15 메시지의 p-NR 값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컨더리 노드에서 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3전자 장치(303))로 제공되는 메시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911 및 912의 p-NR-FR1의 필드와 p-UE-FR1의 필드가 각각 P-Max 값으로 설정될 수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p-NR-FR1 필드 값은 제1주파수 범위(FR1)의 모든 서빙 셀에 걸쳐, 이 NR 셀 그룹에서 전자 장치(UE)에 의해 사용될 최대 총 송신 전력을 제한하는 값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p-UE-FR1 필드 값은 모든 셀 그룹에 걸쳐 제1주파수 범위(FR1)의 모든 서빙 셀에서 전자 장치(UE)에 의해 사용될 최대 총 송신 전력 값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기지국(331)은 p-NR-FR1 필드 911 및 p-UE-FR1 필드 912의 값을 설정함으로써, 제3전자 장치(303)가 제3기지국(331)에 접속할 시 제3기지국(331)에서의 up-link 최대 송신 전력(P-MaxNR)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제3전자 장치(303)가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서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지원하지 않음으로 설정한 후 TDD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설정하고, 세컨더리 노드 추가 명령과 함께 또는 별도의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3전자 장치(303)가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과 동시에 up-link로 통신할 것을 지시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는 예컨대,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331) 각각에서 설정하는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의 합이 전자 장치 능력 정보를 통해 획득한 제3전전자 장치(303)의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인 경우가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810동작에서 세컨더리 노드를 추가하는 동작이 완료된 경우 812동작에서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제어 메시지를 업링크/다운링크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프로세서(120) 및/또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1RFIC(222), 제1RFFE(232) 및 제1안테나 모듈(242)을 이용하여 제1기지국(311)과 업-링크/다운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프로세서(120) 및/또는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와 제2RFIC(224), 제2RFFE(234) 및 제2안테나 모듈(244)을 이용하거나 또는 프로세서(120) 및/또는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와 제4RFIC(228), 및 제3안테나 모듈(246)을 이용하여 제3기지국(331)과 업-링크/다운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으로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서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지원하지 않음으로 보고한 상태이며, 세컨더리 제3기지국(331)의 추가가 명령된 경우에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과 동시에 up-link로 통신할 것을 지시받지 못한 경우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으로부터 각각 수신된 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들(P-MaxLTE, P-MaxNR)의 합과 제3전자 장치(303)가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으로부터 각각 수신된 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들(P-MaxLTE, P-MaxNR)의 합이 제3전자 장치(303)가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 값(P-MaxUE) 이내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에서 TDD 방식으로 설정하여 제3기지국(331)으로 up-link 송신이 불가능한 시점, 예를 들어, 제1기지국(311)로의 up-link 전송 시점과 같은 시간 구간이거나 또는 적어도 일부의 시간에서 중첩하여 제3기지국으로 up-link 전송이 필요한 경우라도 제3기지국(331)으로 up-link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기지국(311)에서 제3전자 장치(303)와 통신 방식을 TDD 방식으로 설정하여 도 5c와 같이 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T16의 시점부터 T17의 시점까지는 제3기지국(331)으로 up-link 전송이 불가능한 시점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으로부터 각각 수신된 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들(P-MaxLTE, P-MaxNR)의 합이 제3전자 장치(303)가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 값 이내일 경우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송신이 이루어지는 T16의 시점부터 T17의 시점에서 동시에 제3기지국(331)으로 up-link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다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으로부터 각각 수신된 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들(P-MaxLTE, P-MaxNR)의 합이 제3전자 장치(303)가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 값(P-MaxUE)을 초과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3전자 장치(303) 내의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3전자 장치(303)가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 값(P-MaxUE)에서 제1기지국(311)로의 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들(P-MaxLTE)을 뺀 차의 값 이내에서 제3기지국(331)로의 up-link 송신 전력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제3전자 장치(303)가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서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지원하지 않음으로 설정한 경우 TDD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설정한 후 세컨더리 노드 추가 명령과 함께 또는 별도의 제어 명령으로, 제1기지국(311) 및 제3기지국(331)과 동시에 up-link로 통신할 것을 지시한 경우일 수 있다. 이런 경우는 예컨대, 제1기지국(311)과 제3기지국(331) 각각에서 설정하는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의 합이 전자 장치 능력 정보를 통해 획득한 제3전전자 장치(303)의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인 경우가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송신이 이루어지는 T16의 시점부터 T17의 시점에서 동시에 제3기지국(331)으로 up-link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3전자 장치(303))가 EN-DC 환경에서 통신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가 공존하는 MR-DC(Multi-RAT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제1네트워크의 기지국은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예: 도 3a의 마스터 노드(370))가 될 수 있으며, 제2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예: 도 3a의 세컨더리 노드(380))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8의 전자 장치는 제1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예: 도 2의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이고, 제2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예: 도 2의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인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with) 환경에서 동작하는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MR-DC 환경의 구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EN-DC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예로 설명한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EN-DC 환경에서의 동작을 MR-DC 환경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1000동작에서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마스터 노드에서 허용하고 있는 up-link 최대 송신 전력 정보(P-MaxLTE)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LTE 네트워크의 셀을 탐색 시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수신되는 MIB 및 SIB로부터 제1기지국(311)에서 허용하고 있는 up-link 최대 송신 전력 정보(P-MaxLTE)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2의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1RFIC(예: 도 2의 제1RFIC(222)), 제1RFFE(예: 도 2의 제1FRRE(232)) 및 제1안테나 모듈(예: 도 2의 제1안테나 모듈(242))을 이용하여 LTE 네트워크의 셀을 탐색할 수 있다. 제3전자 장치(303)는 1000동작에서 수신된 MIB 및 SIB에 설정된 정보를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3전자 장치(303) 수신된 MIB 및 SIB에 설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1기지국(311)에 접속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1002동작에서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1RFIC(222), 제1RFFE(232) 및 제1안테나 모듈(242)을 이용하여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전자 장치 능력 요청(UE capability enquiry)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제3전자 장치(303)의 프로세서(예:도 2의 프로세서(120) 및/또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1002동작에서 전자 장치 능력 정보(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를 생성하고, 제1RFIC(222), 제1RFFE(232) 및 제1안테나 모듈(242)을 이용하여 제1기지국(31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 제3전자 장치(303)가 송신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 값(P-MaxUE)을 설정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프로세서(예:도 2의 프로세서(120) 및/또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 EN-DC 환경에서 동작 가능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및/또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마스터 노드인 제1기지국(311)과 통신하면서, NR 네트워크와 같은 제2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는 경우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 EN-DC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프로세서(예:도 2의 프로세서(120) 및/또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마스터 노드인 제1기지국(311)과 통신하면서, NR 네트워크와 같은 제2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할 수 없는 경우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 EN-DC 환경에서 동작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에 접속한 상태에서 제1기지국(311)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과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1004동작에서 세컨더리 노드인 제3기지국(331)의 추가(add)를 명령하는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제1기지국(311)은 제3기지국(331)의 추가(add)를 명령하는 신호로, endc-ReleaseAndAdd-r15 메시지에서 “true”로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endc-ReleaseAndAdd-r15 메시지가 “true”로 설정된 경우 NR 네트워크의 제2셀을 추가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제3기지국(331)의 추가(add)를 명령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무선 통신 모듈(예: 도 2의 무선 통신 모듈(192)) 내에 마스터 노드와 세컨더리 노드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프로세서가 하나의 통신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 내에 마스터 노드와 세컨더리 노드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프로세서가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2의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및 제2커뮤니테키션 프로세서(예: 도 2의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3전자 장치(303)가 마스터 노드와 통신 시 제3전자 장치(303)에서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세컨더리 노드와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마스터 노드인 제1기지국(311)과 통신하는 중이므로,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2의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가 세컨더리 노드 추가를 명령하는 신호를 마스터 노드인 제1기지국(311)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식별할 수 있다.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로부터 세컨더리 노드 추가 명령을 수신하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2의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세컨더리 노드에 접속할 것을 명령하거나 또는 세컨더리 노드에 접속하도록 지시된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1004동작에서 마스터 노드인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새로운 제1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P-MaxLTE)을 수신할 수 있다. 제3전자 장치(303)는 마스터 노드인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새로운 제1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P-MaxLTE)을 수신할 시, 수신된 새로운 제1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을 메모리(130)에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새로운 제1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을 메모리(130)에 갱신하여 저장하고, 갱신된 제1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1008동작에서 업-링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1008동작의 업-링크 송신 전력은 마스터 노드인 제1기지국(311)로의 업-링크 송신 전력과 세컨더리 노드인 제3기지국(331)로의 업-링크 송신 전력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1004 동작에서 새로운 제1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수신하는 경우 새로운 제1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제1기지국(311)로의 업-링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1004 동작에서 새로운 제1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1000동작에서 수신된 제1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제1기지국(311)로의 업-링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1008동작에서 제1기지국(311)로의 업-링크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결정된 업-링크 송신 전력을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가 결정하여 제공된 제1업-링크 송신 전력 및/또는 제1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과 제3기지국(331)으로의 제2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이용하여 제2업-링크의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1010동작에서 결정된 업-링크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마스터 노드인 제1기지국(311) 및/또는 세컨더리 노드인 제3기지국(331)과 통신할 수 있다.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동작(예: 도 10의 1008동작)의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1020동작에서 마스터 노드인 제1기지국(311)의 제1업-링크와 세컨더리 노드인 제3기지국(331)의 제2업-링크 간 중첩되지 않는 제1시간 구간에서 업-링크 송신 전력을 1006동작에서 수신된 제2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시간 구간은 마스터 노드인 제1기지국(311)의 제1업-링크와 세컨더리 노드인 제3기지국(331)의 제2업-링크 간 중첩되지 않는 시간 구간이므로, 마스터 노드인 제1기지국(311)의 제1업-링크 송신 전력은 1000동작 및/또는 1004동작에서 수신된 제1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제3전자 장치(303)가 송신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 내에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시간 구간에서 세컨더리 노드인 제3기지국(331)으로의 제2업-링크 송신 전력은 1006동작에서 수신된 제2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제3전자 장치(303)가 송신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 내에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1022동작에서 제1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과 제2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의 합(sum)을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제3전자 장치(303)의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1024동작에서 두 값의 합이 제3전자 장치(303)의 최대 송신 전력 이내인가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1024동작에서 두 값의 합이 제3전자 장치의 최대 송신 전력 이내인 경우(1024동작의 YES) 1026동작을 수행하고, 1024동작에서 두 값의 합이 제3전자 장치(303)의 최대 송신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1028동작(1024 동작의 NO)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1026동작에서 제1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과 제2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의 합(sum)이 제3전자 장치(303)의 최대 송신 전력 이내 이므로, 제2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제2업-링크의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1028동작에서 제1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과 제2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의 합(sum)이 제3전자 장치(303)의 최대 송신 전력을 초과하기 때문에, 제2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제2업-링크의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제3전자 장치(303)의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1028동작에서 제1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과 제2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의 합(sum)이 제3전자 장치(303)의 최대 송신 전력을 넘지 않도록 제2업-링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의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1028동작에서 제3전자 장치(303)의 최대 송신 전력에서 제1업-링크의 최대 송신 전력 값을 뺀 차의 범위 내에서 제2업-링크의 송신 전력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102, 104, 200, 301, 302, 303, 304 : 전자 장치
120 : 프로세서 130 : 메모리
146 : 어플리케이션 190 : 통신 모듈
198, 199 : 네트워크 106 : 서버
311, 321, 331, 341, 351: 기지국
310, 320, 330, 340, 350: 기지국 통신 영역

Claims (20)

  1. 제 1 RAT에 기반하여 MR-DC(multi RAT-dual connectivity) 환경의 마스터 노드(master node)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RAT에 기반하여 상기 MR-DC환경의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와 연결하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 송신 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상기 마스터 노드에서 허용하는 제1업-링크(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동작;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전자 장치 능력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 능력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 능력 정보는 상기 MR-DC 환경에서의 동작 여부 설정 정보와, 상기 MR-DC 환경에서의 동적 전력 할당 가능 여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노드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상기 세컨더리 노드 추가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마스터 노드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세컨더리 노드로부터 상기 세컨더리 노드에서 허용하는 제2업-링크(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마스터 노드 및 상기 세컨더리 노드와 통신 시,
    상기 마스터 노드의 업-링크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과 상기 세컨더리 노드의 업-링크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이 중첩되지 않는 제1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2업-링크(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2업-링크(up-link)로의 제1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마스터 노드의 업-링크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과 상기 세컨더리 노드의 업-링크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의 적어도 일부의 시간이 중첩되는 제2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과 상기 제2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의 합이 상기 전자 장치의 최대 송신 전력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2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2업-링크(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2업-링크로의 제2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에서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R-DC 환경에서의 동작 여부 설정 정보는,
    상기 MR-DC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음을 설정할 수 있음으로 설정되는, 전자 장치에서 송신 전력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R-DC 환경에서의 동적 전력 할당 가능 여부 정보는,
    상기 MR-DC 환경에서 동적 전력 할당이 불가능으로 설정되는, 전자 장치에서 송신 전력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과 상기 제2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의 합이 상기 전자 장치의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시간 구간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최대 송신 전력 값에서 상기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을 뺀 차의 값 내에서 상기 제2업-링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에서 송신 전력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노드 추가 명령 메시지와 함께 새로운 제1업-링크(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을 갱신하는 동작;
    상기 제1송신 전력 및 상기 제2송신 전력의 결정 시 상기 갱신된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이용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송신 전력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상기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 갱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갱신된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과 상기 제2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의 합을 계산하는 동작;
    상기 갱신된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과 상기 제2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의 합이 상기 전자 장치의 최대 송신 전력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2시간 구간에서 상기 마스터 노드와 상기 세컨더리 노드의 업-링크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송신 전력 제어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간 구간에서 상기 갱신된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과 상기 제2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의 합이 상기 전자 장치의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시간 구간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최대 송신 전력 값에서 상기 갱신된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을 뺀 차의 값 내에서 상기 제2업-링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송신 전력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노드와 주파수 분할 듀플레싱(Frequency Division Duplexing, FDD) 방식으로 통신하는, 전자 장치에서 송신 전력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노드와 시간 분할 듀플레싱(Time Division Duplexing, TDD) 방식으로 통신하는, 전자 장치에서 송신 전력 제어 방법.
  10.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 1 RAT(radio access technology) 및 제 2 RAT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C와 전기적으로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1 통신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C 및 상기 제 1 통신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2 통신 프로세서; 및
    상기 제 1 통신 프로세서 및 상기 제 2 통신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제 1 통신 프로세서 또는 상기 제 2 통신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C와 관련된 제 1 임계 값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제 1 RAT에 기반하여 MR-DC(multi RAT-dual connectivity) 환경의 마스터 노드(master node)와 연결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 1 통신 프로세서가,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상기 마스터 노드에서 허용하는 제1업-링크(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수신된 전자 장치 능력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 능력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 능력 정보는 상기 MR-DC 환경에서의 동작 여부 설정 정보와, 상기 MR-DC 환경에서의 동적 전력 할당 가능 여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상기 세컨더리 노드 추가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세컨더리 노드 추가 명령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제 2 통신 프로세서로 상기 제 2 RAT에 접속을 지시하고,
    상기 제1업-링크(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RAT와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C의 제 1 송신 전력 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상기 제 1 RAT와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C의 제 1 송신 전력 값을 상기 제 2 통신 프로세서로 제공하고,
    상기 제 2 통신 프로세서가,
    상기 세컨더리 노드로부터 상기 세컨더리 노드에서 허용하는 제2업-링크(up-link)로의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상기 세컨더리 노드 추가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세컨더리 노드에 접속하고,
    상기 세컨더리 노드의 업링크로 데이터 전송 시,
    상기 마스터 노드의 업-링크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과 상기 세컨더리 노드의 업-링크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이 중첩되지 않는 제1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2업-링크(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2업-링크(up-link)로의 제1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마스터 노드의 업-링크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과 상기 세컨더리 노드의 업-링크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의 적어도 일부의 시간이 중첩되는 제2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과 상기 제2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의 합이 상기 전자 장치의 최대 송신 전력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2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2업-링크(up-link) 최대 송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2업-링크(up-link)로의 제2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MR-DC 환경에서의 동작 여부 설정 정보는,
    상기 MR-DC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음을 설정할 수 있음으로 설정되는, 전자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MR-DC 환경에서의 동적 전력 할당 가능 여부 정보는,
    상기 MR-DC 환경에서 동적 전력 할당이 불가능으로 설정되는, 전자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프로세서가,
    상기 제2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과 상기 제2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의 합이 상기 전자 장치의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시간 구간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최대 송신 전력 값에서 상기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을 뺀 차의 값 내에서 상기 제2업-링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프로세서가,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상기 세컨더리 노드 추가 명령 메시지와 함께 새로운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상기 제 2 통신 프로세서로 제공하고,
    상기 제 2 통신 프로세서가,
    상기 갱신된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수신하고, 상기 제1송신 전력 및 상기 제2송신 전력의 결정 시 상기 갱신된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프로세서는,
    제2시간 구간에서 상기 갱신된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과 상기 제2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의 합이 상기 전자 장치의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시간 구간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최대 송신 전력 값에서 상기 갱신된 제1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 값을 뺀 차의 값 내에서 상기 제2업-링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노드와 주파수 분할 듀플레싱(Frequency Division Duplexing, FDD) 방식으로 통신하는, 전자 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노드와 시간 분할 듀플레싱(Time Division Duplexing, TDD) 방식으로 통신하는, 전자 장치.
  18.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는 전자 장치와 제1대역에서 제 1 RAT(radio access technology) 방식으로 통신하는 마스터 노드 에서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임의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전자 장치 능력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 시 상기 제1대역과 다른 제2대역에서 제 2 RAT(radio access technology) 방식을 지원하는 세컨더리 노드의 추가가 필요한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 능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동적 전력 할당이 불가능한 전자 장치인 경우 상기 세컨더리 노드의 추가 명령과 함께 갱신된 전력 할당 값을 상기 전자 장치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갱신된 전력 할당 값은 상기 전자 장치 능력 정보와 상기 세컨더리 노드로의 업-링크 전력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하는, 기지국에서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노드로 상기 전자 장치 정보와 상기 세컨더리 노드의 업-링크 제한 전력을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에서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전력 할당 값은 라디오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이용하는, 기지국에서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방법.

KR1020190032738A 2019-03-22 2019-03-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112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738A KR20200112377A (ko) 2019-03-22 2019-03-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16/821,226 US11310749B2 (en) 2019-03-22 2020-03-17 Transmit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in multi-rat dual connectivity based on overlap of master and secondary node transmissions
PCT/KR2020/003861 WO2020197183A1 (en) 2019-03-22 2020-03-20 Transmit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electronic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738A KR20200112377A (ko) 2019-03-22 2019-03-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377A true KR20200112377A (ko) 2020-10-05

Family

ID=7251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738A KR20200112377A (ko) 2019-03-22 2019-03-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10749B2 (ko)
KR (1) KR20200112377A (ko)
WO (1) WO202019718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836A1 (ko) * 2020-11-02 2022-05-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중 대역 통신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4034973A1 (ko) * 2022-08-09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 패널 동시 전송을 위한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909435B2 (en) 2020-11-02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ulti-band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3395B1 (en) * 2019-12-16 2022-01-11 T-Mobile Innovations Llc System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hanging dual technology antenna operation
KR20210121937A (ko) * 2020-03-31 2021-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송신 경로 설정 방법
US11917461B2 (en) * 2020-10-22 2024-02-2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easurement reporting and transmit power allocation in power-constrained environment
US11503458B1 (en) * 2021-04-30 2022-11-1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plitting for energy harvesting wireless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28585A1 (en) 2014-01-31 2016-01-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Master and Second Evolved Node B and Method Performed Thereby for Modifying a Radio Resource of the SENB with Respect to a UE Currently Being Connected to the MENB
BR112016021392B8 (pt) 2014-03-19 2024-01-23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s de operar um dispositivo sem fio, dispositivos sem fio, meio de armazenamento não transitório e portadora
KR101788479B1 (ko) 2016-12-23 2017-10-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S-LTE와 LTE-R 네트워크의 공존을 위해 eICIC 및 FeICIC 기반 협력 스케줄링을 이용하여 동일채널간섭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0531397B2 (en) * 2017-10-02 2020-01-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for uplink signal and a user equipment performing the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836A1 (ko) * 2020-11-02 2022-05-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중 대역 통신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909435B2 (en) 2020-11-02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ulti-band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24034973A1 (ko) * 2022-08-09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 패널 동시 전송을 위한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05091A1 (en) 2020-09-24
WO2020197183A1 (en) 2020-10-01
US11310749B2 (en)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237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46963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EP34546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timing i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CN110651501A (zh) 电子装置、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US107793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cell coordination for 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KR2020005963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동작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20220295413A1 (en) Panel specific ul power control
KR2020008614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EP3666030B1 (en) Method for random access based on mobility and apparatus thereof
JP2021520670A (ja) ビーム選択優先度
KR2021005686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셀 선택 방법
KR20210009730A (ko) 스플릿 베어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009734A (ko) 스플릿 베어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3003959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00073811A (ko) 세컨더리 노드 추가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41580A (ko) 듀얼 심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셀룰러 통신 전환 방법
CN114830813A (zh) 用于高效rrc状态变化的早期状态处置辅助
KR20210067441A (ko) 시스템 정보 블록에 기반하여 노드 선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EP4175343A1 (en)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210128767A (ko) Endc에서 애퍼처 스위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220030531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ual connectivit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40038519A (ko) 멀티 심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40034064A (ko) 대역폭 부분의 사용률에 기반하여 셀룰러 통신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065626A (ko)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노드를 검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30012341A (ko) 조건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