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636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636B1
KR102469636B1 KR1020190000214A KR20190000214A KR102469636B1 KR 102469636 B1 KR102469636 B1 KR 102469636B1 KR 1020190000214 A KR1020190000214 A KR 1020190000214A KR 20190000214 A KR20190000214 A KR 20190000214A KR 102469636 B1 KR102469636 B1 KR 102469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power value
information
nod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4158A (ko
Inventor
이형주
정원석
이상호
김혜정
정의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0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636B1/ko
Priority to CN201980037581.7A priority patent/CN112219426B/zh
Priority to US15/734,146 priority patent/US11528664B2/en
Priority to EP19907382.6A priority patent/EP3790326A4/en
Priority to AU2019418268A priority patent/AU2019418268B2/en
Priority to PCT/KR2019/018790 priority patent/WO2020141852A1/ko
Publication of KR20200084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636B1/ko
Priority to US18/079,368 priority patent/US1193045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5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moment of starting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ccess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 1 RAT(radio access technology)및 제 2 RAT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RFIC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C와 전기적으로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1 통신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C 및 상기 제 1 통신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2 통신 프로세서; 및 상기 제 1 통신 프로세서 및 상기 제 2 통신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제 1 통신 프로세서 또는 상기 제 2 통신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C와 관련된 제 1 임계 값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제 1 RAT에 기반하여 MR-DC(multi RAT-dual connectivity)환경의 마스터 노드(master node)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RAT에 기반하여 상기 MR-DC환경의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와 연결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 1 통신 프로세서가, 듀얼 파워 쉐어링(dual power sharing)에 관한 정보를 상기 마스터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 1 통신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RAT와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C의 제 1 송신 전력 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송신 전력 값과 관련된 제 1 정보를 상기 제 2 통신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통신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1임계 값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 2 RAT와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C의 제 2 송신 전력 값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ELECTRONIC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이동통신 표준을 담당하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기존 4G LTE 네트워크에서 보다 빠른 속도의 데이터 전송을 제공할 수 있는 5G((3GPP NR(New Radio)) 네트워크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3GPP에서 진행하고 있는 NR 네트워크는 크게 2가지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으로 전자 장치가 NR 네트워크만을 사용하는 방식의 표준이 진행되고 있다. 두 번째 방식으로 전자 장치가 기존 4G LTE 네트워크와 함께 NR 네트워크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의 표준이 진행되고 있다. 전자 장치가 기존 4G LTE 네트워크와 NR 네트워크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기존 4G LTE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이 가능하며, 또한 NR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통신이 가능하다.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가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MR-DC(Multi-RAT Dual Connectivity) 환경이라 한다. MR-DC 환경의 일 예로, 제1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가 될 수 있으며, 제2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인 경우가 될 수 있다. LTE 네트워크와 NR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은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및 NE-DC(NR E-UTRA dual connectivity)를 포함할 수 있다. MR-DC 환경에서 전자 장치는 LTE 네트워크에 접속한 상태에서 NR 네트워크에 접속하거나 또는 LTE 네트워크에 접속하면서 동시에 NR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런 MR-DC 환경은 LTE 네트워크에서 정의된 이중 접속(dual connectivity)과 유사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LTE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자신의 송신 전력을 LTE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에 적절하게 할당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자신의 송신 전력을 LTE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에 적절하게 할당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R-DC 환경 하에 있는 전자 장치에서 송신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R-DC 환경 하에 있는 전자 장치에서 전송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R-DC 환경 하에 있는 전자 장치에서 송신 전력의 효율에 적응적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본 개시의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 1 RAT(radio access technology)및 제 2 RAT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RFIC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C와 전기적으로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1 통신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C 및 상기 제 1 통신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2 통신 프로세서; 및 상기 제 1 통신 프로세서 및 상기 제 2 통신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제 1 통신 프로세서 또는 상기 제 2 통신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C와 관련된 제 1 임계 값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제 1 RAT에 기반하여 MR-DC(multi RAT-dual connectivity)환경의 마스터 노드(master node)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RAT에 기반하여 상기 MR-DC환경의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와 연결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 1 통신 프로세서가, 듀얼 파워 쉐어링(dual power sharing)에 관한 정보를 상기 마스터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 1 통신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RAT와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C의 제 1 송신 전력 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송신 전력 값과 관련된 제 1 정보를 상기 제 2 통신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통신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1임계 값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 2 RAT와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C의 제 2 송신 전력 값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R-DC 환경 하에 있는 전자 장치에서 송신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R-DC 환경 하에 있는 전자 장치에서 전송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R-DC 환경 하에 있는 전자 장치에서 송신 전력의 효율에 적응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개의 셀룰러 네트워크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200)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Legacy) 통신 및/또는 5G 통신의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3d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기지국(311)과 NR 네트워크의 기지국들(321, 331, 341, 351)이 혼재한 네트워크 및 그에 속한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2전자 장치(302))에서 데이터 송신 및 수신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2전자 장치(302))에서 uplink 자원의 할당 및 송신 전력 할당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2전자 장치(302))에서 uplink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만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LTE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5G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TDM 설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다운링크에 따른 업링크 전송과 5G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도 8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2전자 장치(302))가 도 3d도 3duplink 전력 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2전자 장치(302))가 도 3d도 3dFDD 방식에 기반하여 uplink에 전력 할당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6의 전자 장치(101))가 MRN-DC 환경에서 uplink에 대한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제어 흐름도이다.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6의 전자 장치(101))가 MRN-DC 환경에서 uplink에 대한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11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전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은,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른 부품(예: RFI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 (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 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개의 셀룰러 네트워크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제 1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RFIC)(222), 제 2 RFIC(224), 제 3 RFIC(226), 제 4 RFIC(228), 제 1 radio frequency front end(RFFE)(232), 제 2 RFFE(234), 제 1 안테나 모듈(242), 제 2 안테나 모듈(244), 및 안테나(248)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네트워크(199)는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와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도 1에 기재된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2 네트워크(199)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제 1 RFIC(222), 제 2 RFIC(224), 제 4 RFIC(228), 제 1 RFFE(232), 및 제 2 RFFE(234)는 무선 통신 모듈(19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RFIC(228)는 생략되거나, 제 3 RFIC(226)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의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셀룰러 네트워크는 2세대(2G), 3G, 4G, 또는 long term evolution(LTE)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레거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지정된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5G 네크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는 3GPP에서 정의하는 5G 네트워크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다른 지정된 대역(예: 약 6GHz 이하)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5G 네크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단일(single)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프로세서(120), 보조 프로세서(123), 또는 통신 모듈(190)과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인터페이스(미도시)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또는 양 방향으로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거나 받을 수 있다.
제 1 RFIC(222)는, 송신 시에,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baseband) 신호를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약 700MHz 내지 약 3GHz의 라디오 주파수(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RF 신호가 안테나(예: 제 1 안테나 모듈(242))를 통해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RFFE(예: 제 1 RFFE(232))를 통해 전처리(preprocess)될 수 있다. 제 1 RFIC(222)는 전처리된 RF 신호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 2 RFIC(224)는, 송신 시에,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Sub6 대역(예: 약 6GHz 이하)의 RF 신호(이하, 5G Sub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5G Sub6 RF 신호가 안테나(예: 제 2 안테나 모듈(244))를 통해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RFFE(예: 제 2 RFFE(234))를 통해 전처리될 수 있다. 제 2 RFIC(224)는 전처리된 5G Sub6 RF 신호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중 대응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5G Above6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의 RF 신호(이하, 5G Above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5G Above6 RF 신호가 안테나(예: 안테나(248))를 통해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제 3 RFFE(236)를 통해 전처리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전처리된 5G Above6 RF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FE(236)는 제 3 RFIC(226)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IC(226)와 별개로 또는 적어도 그 일부로서, 제 4 RFIC(2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4 RFIC(228)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중간(intermediate) 주파수 대역(예: 약 9GHz ~ 약 11GHz)의 RF 신호(이하, IF 신호)로 변환한 뒤, 상기 IF 신호를 제 3 RFIC(226)로 전달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IF 신호를 5G Above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 5G Above6 RF 신호가 안테나(예: 안테나(248))를 통해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고 제 3 RFIC(226)에 의해 IF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제 4 RFIC(228)는 IF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가 처리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FIC(222)와 제 2 RFIC(224)는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FFE(232)와 제 2 RFFE(234)는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 모듈(242) 또는 제 2 안테나 모듈(244)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모듈은 생략되거나 다른 안테나 모듈과 결합되어 대응하는 복수의 대역들의 RF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IC(226)와 안테나(248)는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에 배치되어 제 3 안테나 모듈(246)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92) 또는 프로세서(120)가 제 1 서브스트레이트(예: main PC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서브스트레이트와 별도의 제 2 서브스트레이트(예: sub PCB)의 일부 영역(예: 하면)에 제 3 RFIC(226)가, 다른 일부 영역(예: 상면)에 안테나(248)가 배치되어, 제 3 안테나 모듈(246)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RFIC(226)와 안테나(248)를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에 배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전송 선로의 길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면, 5G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되는 고주파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의 신호가 전송 선로에 의해 손실(예: 감쇄)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1)는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와의 통신의 품질 또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시예에 따르면, 안테나(248)는 빔포밍에 사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안테나 엘레멘트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3 RFIC(226)는, 예를 들면, 제 3 RFFE(236)의 일부로서, 복수개의 안테나 엘레멘트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phase shifter)(23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238)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레멘트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5G 네트워크의 베이스 스테이션)로 송신될 5G Above6 RF 신호의 위상을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238)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레멘트를 통해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5G Above6 RF 신호의 위상을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것은 전자 장치(101)와 상기 외부 간의 빔포밍을 통한 송신 또는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제 2 셀룰러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는 제 1 셀룰러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거나(예: Stand-Alone (SA)), 연결되어 운영될 수 있다(예: Non-Stand Alone (NSA)). 예를 들면, 5G 네트워크에는 액세스 네트워크(예: 5G radio access network(RAN) 또는 next generation RAN(NG RAN))만 있고, 코어 네트워크(예: next generation core(NGC))는 없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전자 장치(101)는 5G 네트워크의 액세스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레거시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예: evolved packed core(EPC))의 제어 하에 외부 네트워크(예: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레거시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정보(예: LTE 프로토콜 정보) 또는 5G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정보(예: New Radio(NR) 프로토콜 정보)는 메모리(230)에 저장되어, 다른 부품(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도 2의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도 2의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도 3a 내지 3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Legacy) 통신 및/또는 5G 통신의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300a 내지 300c)은, 레거시 네트워크 및 5G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거시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무선 접속을 지원하는 3GPP 표준의 4G 또는 LTE 기지국(372)(예를 들어, eNB(eNodeB)) 및 4G 통신을 관리하는 EPC(evolved packet core)(3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5G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무선 접속을 지원하는 New Radio (NR) 기지국(2382)(예를 들어, gNB(gNodeB)) 및 전자 장치(101)의 5G 통신을 관리하는 5GC(5th generation core)(38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은 레거시 통신 및/또는 5G 통신을 통해 제어 메시지 (control message) 및 사용자 데이터(user data)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보안 제어(security control), 베어러 설정(bearer setup), 인증(authentication), 등록(registration), 또는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코어 네트워크(390)(예를 들어, EPC(374))간에 송수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제외한 사용자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레거시(legacy) 네트워크의 적어도 일부(예: LTE 기지국(372), EPC(374))를 이용하여 5G 네트워크의 적어도 일부(예: NR 기지국(382), 5GC(384))와 제어 메시지 또는 사용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환경(300a)은 LTE 기지국(372) 및 NR 기지국(382)으로의 무선 통신 듀얼 커넥티비티(dual connectivity, DC)를 제공하고, EPC(374) 또는 5GC(384) 중 하나의 코어 네트워크(390)를 통해 전자 장치(101)와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DC 환경에서, LTE 기지국(372) 또는 NR 기지국(382) 중 하나의 기지국은 MN(master node)(370)으로 작동하고 다른 하나는 SN(secondary node)(380)로 동작할 수 있다. MN(370)은 코어 네트워크(390)에 연결되어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MN(370)과 SN(38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무선 자원(예를 들어, 통신 채널) 관리와 관련된 메시지를 서로 송수신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N(370)은 LTE 기지국(372), SN(380)은 NR 기지국(382), 코어 네트워크(390)는 EPC(374)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기지국(372) 및 EPC(374)를 통해 제어 메시지 송수신하고, LTE 기지국(372)과 NR 기지국(382)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N(370)은 NR 기지국(382), SN(380)은 LTE 기지국(372), 코어 네트워크(390)는 5GC(384)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기지국(372) 및 EPC(374)를 통해 제어 메시지 송수신하고, LTE 기지국(372)과 NR 기지국(382)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5G 네트워크는 NR 기지국(382)과 5GC(384)로 구성될 수 있고, 제어 메시지 및 사용자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와 독립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레거시 네트워크 및 5G 네트워크는 각각 독립적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EPC(374)는 LTE 기지국(372)을 통해 제어 메시지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5GC(384)는 NR 기지국(382)을 통해 제어 메시지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EPC(374) 또는 5GC(384) 중 적어도 하나에 등록(registration)되어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EPC(374) 또는 5GC(384)는 연동(interworking)하여 전자 장치(101)의 통신을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이동 정보가 EPC(374) 및 5GC(384)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도 3d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기지국(311)과 NR 네트워크의 기지국들(321, 331, 341, 351)이 혼재한 네트워크 및 그에 속한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3d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복수의 기지국들(311, 321, 331, 341, 351)을 실시예로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다른 기지국들(321, 331, 341, 351) 보다 넓은 통신 영역(310)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기지국들(321, 331, 341, 351) 보다 넓은 통신 영역(310)을 갖는 제1기지국(311)은 LTE 네트워크의 기지국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TE 네트워크의 기지국은 5G 네트워크의 기지국들(321, 331, 341, 351) 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네트워크의 제1기지국(311)은 통신 주파수 대역으로 약 700MHz 내지 약 3GHz의 라디오 주파수(RF)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5G 네트워크의 기지국들(321, 331, 341, 351)은 통신 주파수 대역으로 약 6GHz ~ 약 60GHz의 라디오 주파수(RF) 대역의 제1 라디오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6GHz 이하 대역의 제2라디오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할 수 있다. 이처럼 LTE 네트워크의 제1기지국(311)이 5G 네트워크의 기지국들(321, 331, 341, 351) 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을 갖기 때문에 LTE 네트워크의 제1기지국(311)의 통신 영역(310)은 NR 네트워크 기지국들(321, 331, 341, 351)의 각 통신 영역들(320, 330, 340, 350) 보다 넓은 통신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도 3d에서는 서로 다른 4개의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을 예시하였다. 도 3d에 예시한 서로 다른 4개의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모두 도 1 및 도 2에 예시한 구성 또는 적어도 그 일부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4개의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모두 제1기지국(311)의 제1통신 영역(310) 내에 위치하므로,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과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4개의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5G 네트워크의 기지국들(321, 331, 341, 351)에 속하는 경우 해당하는 5G 네트워크의 기지국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자 장치(301)는 제1기지국(311)의 제1통신 영역(310)에만 포함되며, 5G 네트워크의 기지국들(321, 331, 341, 351) 중 어느 기지국에도 중첩되어 포함되지 않은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전자 장치(301)는 제1기지국(311)과 LTE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의 제1통신 영역(310) 내에 위치하면서 동시에 5G 네트워크의 제2기지국(321)의 제2통신 영역(320)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전자 장치(302)는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과 LTE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5G 네트워크의 제2기지국(321)과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 또는 5G 네트워크의 제2기지국(321) 중 하나와 LTE 방식 또는 5G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3전자 장치(303)는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의 제1통신 영역(310) 내에 위치하면서 동시에 5G 네트워크의 제3기지국(331)의 제3통신 영역(330)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과 LTE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5G 네트워크의 제3기지국(331)과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 또는 5G 네트워크의 제3기지국(331) 중 하나와 LTE 방식 또는 5G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전자 장치(304)는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의 제1통신 영역(310) 내에 위치하면서 동시에 5G 네트워크의 제4기지국(341)의 제4통신 영역(340)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4전자 장치(304)는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과 LTE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5G 네트워크의 제4기지국(341)과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전자 장치(304)는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 또는 5G 네트워크의 제4기지국(341) 중 하나와 LTE 방식 또는 5G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3d의 예시에서 제2전자 장치(302)는 제1기지국(311)의 셀 경계(cell boundary or cell edge)에 위치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제3전자 장치는 제1기지국(311)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제4전자 장치(304)는 제2전자 장치(302)보다 제1기지국(311)에 근접한 위치이며, 제3전자 장치(303)보다 먼 거리에 위치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도 3d에서는 건물, 산, 둔덕, 인공적인 장애물 또는 자연적인 장애물에 의한 전파 경로의 방해가 없는 경우를 가정하면, 제1기지국(311)은 제1기지국(311)과 통신하는 전자 장치들 중 제3전자 장치(303)에 가장 적은 전력을 할당 및/또는 가장 높은 전송률을 제공할 수 있다. 동일한 가정 하에서 제1기지국(311)은 제2전자 장치(302)에 가장 많은 전력의 할당 및/또는 가장 낮은 전송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은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과 통신 시에 LTE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LTE TDD(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LTE FDD 방식만을 지원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은 LTE TDD 방식만을 지원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LTE FDD 방식과 LTE TDD 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이 LTE FDD 방식과 LTE TDD 방식을 모두 지원하고,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과 TDD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5G 기지국과도 TDD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5G 기지국과 TDD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TDD 방식에 따른 uplink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과 FDD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5G 기지국과도 FDD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5G 기지국과 FDD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FDD 방식에 따른 uplink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LTE FDD 방식과 LTE TDD 방식 중 하나의 방식만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과 TDD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5G 기지국들인 제2기지국(321) 내지 제5기지국(351)과도 TDD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제1기지국(311) 및 5G 기지국과 TDD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TDD 방식에 따른 uplink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과 TDD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5G 기지국들인 제2기지국(321) 내지 제5기지국(351)과도 TDD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은 제1기지국(311) 및 5G 기지국과 FDD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FDD 방식에 따른 동적으로 uplink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제1기지국(311)의 셀 경계(cell boundary or cell edge)에 위치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셀 경계에 위치한 제2전자 장치(302)는 제1기지국(311)으로 uplink 전송이 필요한 경우 제2전자 장치(302)는 제2전자 장치(302)가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송신에 할당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2전자 장치(302)는 제2기지국(321)으로의 uplink 전송에 송신할 전력을 할당할 수 없으므로, 제2기지국(321)으로의 uplink 송신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의 셀 경계(cell boundary or cell edge)에 위치한 제2전자 장치(302)는 제1기지국(311) 및 제2기지국(321)로의 uplink 송신을 위해 TDD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과 근접한 거리에 위치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제1기지국(311)과 인접한 거리의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으로 uplink 전송이 필요한 경우 제3전자 장치(303)에서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에 여유를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제3기지국(331)으로의 uplink 전송에 송신할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과의 거리가 가까운 또는 통신 채널이 양호한 제3전자 장치(303)는 FDD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2전자 장치(302))에서 데이터 송신 및 수신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에서는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가 공존하는 MR-DC(Multi-RAT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제1네트워크의 기지국은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가 될 수 있으며, 제2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의 흐름도는 제1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제2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인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이 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MR-DC 환경의 구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EN-DC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예로 설명한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EN-DC 환경에서의 동작을 MR-DC 환경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400동작에서 제2전자 장치(302)는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 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인 제1기지국(예: 도 3d의 제1기지국(311))에 RRC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400동작에서 제2전자 장치(302)는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 예를 들어, 5G 네트워크인 제2기지국(예: 도 3d의 제2기지국(321))에 RRC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전자 장치(302)는 제1기지국(311)과 먼저 RRC connect 동작을 수행한 후 제2기지국(321)과 RRC connec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제1기지국(311) 및 제2기지국(321)과 동시에 RRC connec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2전자 장치(302)는 400동작에서 제1기지국(311)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예를 들어, RSRP(received signal recevied power), SINR(signal interference noise ratio),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RQ(received signal received quality)와 제2전자 장치(302)가 제1기지국(311)로 전송했던 송신 전력 정보, 예를 들어 프리앰블(preamble)의 송신 전력, RACH(random access channel) Msg-3의 송신 전력,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의 송신 전력, PUSCH(physical uplink shard channel)의 송신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제2전자 장치(302)가 저장하는 네트워크의 수신 신호 세기 정보 및 송신 전력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제2전자 장치(302)는 402동작에서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UE capability enquiry)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자 장치(301), 제2전자 장치(302), 제3전자 장치(303) 및 제4전자 장치(304)는 각각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로부터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 제3전자 장치(303) 및 제4전자 장치(304)는 5G 네트워크의 기지국들 중 자신이 속한 5G 네트워크 기지국으로부터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전자 장치(301), 제2전자 장치(302), 제3전자 장치(303) 및 제4전자 장치(304)는 각각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로부터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후에 자신이 속한 5G 네트워크 기지국으로부터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다르면, 제1전자 장치(301), 제2전자 장치(302), 제3전자 장치(303) 및 제4전자 장치(304)는 각각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로부터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요청 메시지와 자신이 속한 5G 네트워크 기지국으로부터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요청 메시지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제2전자 장치(302)는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404동작에서 그 응답으로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예를 들어, UE capability information) 를 생성하여 해당하는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가 LTE 네트워크인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기지국(311)으로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가 5G 네트워크인 제2기지국(321)으로부터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2기지국(321)로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3전자 장치(303) 내지 제4전자 장치(304)는 각각 자신이 속한 5G 네트워크의 기지국인 제3기지국(331), 제4기지국(341)로부터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각각 자신의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하는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전자 장치(302)는 제1기지국(311)으로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를 전송한 후 5G 네트워크인 제2기지국(321)으로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LTE 네트워크인 제1기지국(311)과 5G 네트워크인 제2기지국(321)으로 동시에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에 동적 전력 할당(dynamic power sharing)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전자 장치(302)는 400동작에서 메모리(130)에 저장한 제1기지국(311)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 정보와 제1기지국(311)로의 송신 전력 정보에 기반하여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사용할 것인지 또는 사용하지 않을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제1기지국(311)이 TDD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에 동적 전력 할당(dynamic power sharing) 방식의 설정 없이 전자 장치 능력 메시지를 제1기지국(31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은 EN-DC 환경에 있는 전자 장치가 제1기지국(311)의 약전계 영역에 위치한 경우에 큰 이득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약전계에 위치한 제2전자 장치(302)는 제1기지국(311)과 통신 시 uplink 송신 시에 필요한 전력이 최대 송신 전력이거나 또는 최대 송신 전력에 근접한 값일 수 있다. LTE 약전계에 위치한 제2전자 장치(302)가 제1기지국(311)과 uplink 송신이 이루어지는 시점과 동일한 시점에 5G 기지국인 제2기지국(321)과 uplink 송신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제2전자 장치(302)가 제1기지국(311) 및 제2기지국(321)과 동시에 uplink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 제2전자 장치(302)는 제1기지국(311)의 uplink 송신에 할당한 송신 전력 외에 남는 잉여 전력만으로 제2기지국(321)과 uplink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2전자 장치(302)는 이미 제1기지국(311)의 uplink 송신에 대부분의 송신 전력을 할당한 상태이므로, 제2기지국(321)에 할당할 전력이 없거나 또는 매우 작은 값을 가질 경우가 많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전자 장치(302)는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보다 빠른 전송 속도를 가질 수 있는 제2기지국(321)으로의 uplink 송신 전력을 할당할 수 없는 경우 제2전자 장치(302)는 TDD 방식의 전력 할당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자 장치가 제1기지국(311)에 근접한 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3전자 장치(303))인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제1기지국(311) 및 제2기지국(321)과 동시에 uplink 송신을 수행하더라도 전력 할당에 문제가 없을 수 있다. 이처럼 제1기지국(311) 및 제2기지국(321)과 동시에 uplink 송신을 수행하더라도 전력 할당에 문제가 없는 경우 제3전자 장치(303)는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404동작에서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를 생성하여 LTE 네트워크인 제1기지국(311) 및/또는 NR 네트워크인 제2기지국(321)로 전송할 수 있다. 제2전자 장치(302)는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를 생성할 시,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 내에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사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 내에 새로운 필드(new field) 또는 예약된 필드(reserved field)를 이용하여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사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 따르면, 동작 406에서, 제2전자 장치(302)는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 내에 설정한 동적 전력 할당 방식에 기반하여 downlink(DL)/uplink(UL)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제1기지국(311) 및 제2기지국(321)과 downlink/uplink 데이터 송/수신 방식으로 T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TDD 전력 할당 방식에 따른 전력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제1기지국(311) 및 제2기지국(321)과 downlink/uplink 데이터 송/수신 방식으로 F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사용하여 uplink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3전자 장치(303)는 408동작에서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의 사용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동적 전력 할당을 사용하다가 TDD 전력 할당 방식으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제2전자 장치(302)가 제1기지국(311)과 근거리 또는 채널 상태가 양호한 상태에서 제1기지국(311)의 셀 에지 또는 셀 경계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채널 상태가 극히 열악해지는 경우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가 TDD 전력 할당 방식을 사용하다가 동적 전력 할당 방식으로 변경이 필요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전자 장치(302)가 제1기지국(311)의 셀 에지 또는 셀 경계 지역 도는 채널 상태가 극히 열악한 상태에서 제1기지국(311)의 근거리 또는 채널 상태가 양호한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이처럼 408동작에서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408-YES) 제2전자 장치(302)는 410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2전자 장치(302)는 410동작으로 진행하는 경우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를 새롭게 생성하고,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의 사용 여부를 변경하고,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의 전송이 필요한 시점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셀의 해제(Cell release) 후 재접속하거나 또는 TAU(Tracking Area update) 메시지를 송신해야 하는 경우 또는 RLF(Radio Link Failure)와 같이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변경한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408동작에서 전력 할당 방식의 변경이 필요한가를 식별하고, 전력 할당 방식의 변경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408 - NO) 제2전자 장치(302)는 406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2전자 장치(302))에서 uplink 자원의 할당 및 송신 전력 할당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에서는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가 공존하는 MR-DC(Multi-RAT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제1네트워크의 기지국은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가 될 수 있으며, 제2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의 흐름도는 제1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제2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인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이 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MR-DC 환경의 구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EN-DC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예로 설명한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EN-DC 환경에서의 동작을 MR-DC 환경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5의 동작은 앞서 설명한 도 4의 406동작에서 uplink의 자원 할당 및 송신 전력 할당을 위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가 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전자 장치(302)는 500동작에서 마스터 노드(MN)인 LTE 기지국(예: 도 3d의 제1기지국(311))과 세컨더리 노드(SN)인 5G 기지국(예: 도 3d의 제2기지국(321))으로 전송할 각각 uplink(UL) 자원 할당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제1기지국(311)과 제2기지국(321)로 각각 uplink 자원 할당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제1기지국(311)과 제2기지국(321)은 uplink 자원 할당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제2전자 장치(302)로 uplink grant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전자 장치(302)는 uplink grant 정보에 기반하여 uplink 전송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받을 수 있다.
제2전자 장치(302)는 502동작에서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과 설정된 통신 방식이 TDD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설정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502동작은 앞서 설명한 400동작에서 LTE 네트워크의 제1기지국(311)이 LTE TDD 방식만을 지원하는 경우 제1기지국(311)로부터 RRC 메시지를 통해 통신방식이 TDD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전자 장치(302)는 502동작에서 제1기지국(311)로부터 RRC 메시지를 통해 미리 수신하여 저장한 자원 할당방식의 정보를 이용하여 TDD 방식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502동작에서, 제2전자 장치(302)가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를 제1기지국(311)으로 송신하고, 제1기지국(311)로부터 TDD 방식을 사용함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제2전자 장치(302)는 LTE 기지국과 TDD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502동작은 제2전자 장치(302)가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수신된 자원 할당방식을 식별하는 동작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TDD 방식만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이처럼 제2전자 장치(302)가 TDD 방식만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인 경우 502동작에서 및/또는 500동작에서 바로 508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502동작에서 식별한 결과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과 제2전자 장치(302)가 TDD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502-YES) 제2전자 장치(302)는 508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전자 장치(302)는 508동작에서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과 5G 기지국인 제2기지국(321)로 uplink 송신 전력을 최대 송신 전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가 이동통신 단말이며, uplink 최대 송신 전력이 23dBm인 경우 제2전자 장치(302)는 508동작에서 uplink를 통해 제1기지국(311)으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의 전송 시 23dBm의 송신 전력을 모두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가 이동통신 단말이며, uplink 최대 송신 전력이 23dBm인 경우 제2전자 장치(302)는 508동작에서 uplink를 통해 제2기지국(321)으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의 전송 시 23dBm의 송신 전력을 모두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502동작에서 식별한 결과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과 제2전자 장치(302)가 FDD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502 - NO) 제2전자 장치(302)는 504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504동작에서 앞서 설명한 도 4의 404동작에서 설명한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에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설정하였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이 설정된 경우(504 - YES) 제2전자 장치(302)는 506동작으로 진행하고,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504 - NO) 제2전자 장치(302)는 508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506동작에서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 및 5G 기지국인 제2기지국(321)으로 uplink 송신 전력을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전자 장치(302)가 이동통신 단말이며, uplink 최대 송신 전력이 23dBm이고, 제2전자 장치(302)가 제1기지국(311) 및 제2기지국(321)으로 동시에 uplink 송신이 필요한 경우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률과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1기지국(311)과 제2기지국(321)으로 송신할 송신 전력을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101))에서 uplink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만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에서는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가 공존하는 MR-DC(Multi-RAT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제1네트워크의 기지국은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가 될 수 있으며, 제2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의 전자 장치는 제1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제2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인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with) 환경에서 동작하는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MR-DC 환경의 구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EN-DC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예로 설명한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EN-DC 환경에서의 동작을 MR-DC 환경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6의 전자 장치는 이동 통신 전자 장치가 될 수 있으며, 도 3d에서 예시한 각 전자 장치들(301, 302, 303, 304)이 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칩(chip) 또는 별도의 회로적 구성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3)는 하나의 칩(chip)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예: 도 3d의 제1기지국(311))과 제어 신호 및/또는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기지국(31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uplink 자원 할당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기지국(311)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이 uplink 자원 할당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전자 장치(302)로 전송한 Uplink grant 할당 메시지와 전력 제어 메시지(601)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2기지국(예: 도 3d의 제2기지국(321))과 제어 신호 및/또는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 능력(UE Capability)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2기지국(32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uplink 자원 할당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2기지국(321)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2기지국(321)이 uplink 자원 할당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전자 장치(302)로 전송한 Uplink grant 할당 메시지와 전력 제어 메시지(602)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제1기지국(311)로 송신하는 uplink 송신 전력과 제2기지국(321)로 송신하는 uplink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로부터 Uplink grant 할당 메시지와 전력 제어 메시지(601)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로부터 Uplink grant 할당 메시지와 전력 제어 메시지(601)를 수신하고,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부터 Uplink grant 할당 메시지와 전력 제어 메시지(602)를 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120)가 제1커뮤티케이션 프로세서(212) 및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부터 각각 Uplink grant 할당 메시지와 전력 제어 메시지(601, 612)를 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커뮤티케이션 프로세서(212) 및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각각 전력 할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으로 송신하는 uplink 송신 전력과 제2기지국(321)으로 송신하는 uplink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EN-DC 환경을 정의하고 있는 5G 통신 규약에서는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의 통신이 우선권을 가지며, 5G 기지국인 제2기지국(321)은 제1기지국(311) 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으로 송신하기 위한 uplink 송신 전력 및 제2기지국(321)으로 송신하는 uplink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결정된 제2기지국(321)로의 송신 전력을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으로 송신하기 위한 uplink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제1기지국(311)로의 결정된 송신 전력을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uplink로 송신할 수 있는 최대 전력 임계 값에서 제1기지국(311)에 할당된 송신 전력과의 차를 이용하여 제2기지국(321)으로 송신할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1)에서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전력 임계 값이 23dB인 경우이고,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가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송신 전력에 18dB를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uplink에 할당된 18dB 정보를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최대 전력 임계 값이 23dB임을 알고 있기 때문에 최대 전력 임계 값 23dB에서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가 할당한 18dB를 뺀 값이 5dB 이내에서 uplink에 송신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대 전력 임계 값은 메모리(예: 도 1 또는 도 2의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값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으로 송신하기 위한 uplink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제1기지국(311)로의 결정된 송신 전력 값과 부가 정보, 예를 들어 마진 정보를 포함하여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uplink로 송신할 수 있는 최대 전력에서 제1기지국(311)에 할당된 송신 전력 값과 마진 값을 뺀 차를 이용하여 제2기지국(321)으로 송신할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1)에서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전력 임계 값이 23dB인 경우이고,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가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송신 전력에 18dB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마진으로 2dB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uplink에 할당된 18dB와 마진 정보인 2dB를 각각 또는 두 값의 합의 정보를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최대 전력 임계 값이 23dB임을 알고 있고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가 할당한 18dB와 마진 2dB를 더한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최대 전력 임계 값 23dB에서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가 할당한 18dB와 마진 2dB를 더한 값을 뺀 3dB 이내에서 uplink에 송신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으로 송신하기 위한 uplink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제2전자 장치(302)가 uplink로 송신할 수 있는 최대 전력에서 제1기지국(311)으로 송신하기 위한 uplink 송신 전력을 뺀 값을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로부터 제공된 전력 값을 제2기지국(321)으로의 uplink 송신 전력으로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1)에서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전력 임계 값이 23dB인 경우이고,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가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송신 전력에 18dB를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최대 전력 임계 값인 23dB에서 uplink에 할당된 18dB를 뺀 5dB의 정보를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로부터 수신된 5dB 이내에서 uplink에 송신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으로 송신하기 위한 uplink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제2전자 장치(302)가 uplink로 송신할 수 있는 최대 전력에서 제1기지국(311)으로 송신하기 위한 uplink 송신 전력을 뺀 값에 추가로 마진 값을 뺀 전력 값을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로부터 제공된 전력 값을 제2기지국(321)으로의 uplink 송신 전력으로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1)에서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전력 임계 값이 23dB인 경우이고,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가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송신 전력에 18dB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마진으로 2dB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최대 전력 임계 값이 23dB에서 uplink에 할당된 18dB와 마진 정보인 2dB를 뺀 값인 3dB의 정보를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로부터 수신된 3dB 이내에서 uplink에 송신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송신 전력과 제2기지국(321)으로의 uplink 송신 전력을 매 서브프레임마다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가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송신 전력과 제2기지국(321)으로의 uplink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경우 LTE의 매 서브프레임마다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가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송신 전력과 제2기지국(321)으로의 uplink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경우 LTE의 매 서브프레임마다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송신 전력과 제2기지국(321)으로의 uplink 송신 전력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에 할당할 송신 전력의 최대 값과 제2기지국(321)으로의 uplink에 할당할 송신 전력의 최대 값을 변경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TE 네트워크인 제1기지국(311)의 허용 전력 값을 20dBm으로 설정하였으나 실제 동작 상 LTE 네트워크의 전송 전력 값이 21dBm이 필요하고, 5G 네트워크인 제2기지국(321)은 그보다 더 적은 전송 전력을 사용해도 크게 문제가 없다고 판단될 경우 제1기지국(311)과 제2기지국(321) 각각의 최대 허용 전력은 21dBm, 17dBm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제2기지국(321)로의 uplink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을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을 변경할 경우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로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을 갱신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며,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제2기지국(321)으로의 uplink에 할당할 최대 송신 전력을 갱신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로부터 제공된 전력 제어 정보, 송신 버퍼에 저장된 정보의 양, 또는 그 밖의 전송할 정보의 긴급도와 같은 다양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에 할당할 최대 송신 전력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2기지국(321)로의 uplink에 할당할 최대 송신 전력을 변경할 수 있다.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에 할당할 최대 송신 전력을 변경할 경우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제2기지국(321)으로의 uplink에 할당할 최대 송신 전력을 갱신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도 7a는 LTE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a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에서는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가 공존하는 MR-DC(Multi-RAT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제1네트워크의 기지국은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가 될 수 있으며, 제2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7a는 제1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제2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인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을 MR-DC의 환경의 예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EN-DC 환경에서의 동작을 MR-DC 환경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LTE 표준 규약에서는 도 7a에 예시한 바와 같이 TDD 모드에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정의하고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첫 번째 열(710)에서는 LTE 표준 규약에서 정의하고 있는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0,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2,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3,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4,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5,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06을 예시하였으며, 두 번째 열(720)에서는 LTE 표준 규약에서 정의하고 있는 downlink-uplink switch-point periodicity의 시간을 각 uplink-downlink configuration마다 정의하였다.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0-2와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6은 5ms의 downlink-uplink switch-point periodicity를 가지며,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3-5는 10ms의 downlink-uplink switch-point periodicity를 갖는다. 세 번째 열(730)에서는 서브프레임들의 순서에 따라 Downlink(D), uplink(U) 및 special(S) 서브프레임들을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0의 경우는 참조부호 711과 같이 5ms의 downlink-uplink switch-point periodicity를 가지며, 서브프레임들의 순서는 0번째 서브프레임부터 9번째 서브프레임까지 순서대로 "D, S, U, U, U, D, S, U, U, U"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6의 경우는 참조부호 712와 같이 5ms의 downlink-uplink switch-point periodicity를 가지며, 서브프레임들의 순서는 0번째 서브프레임부터 9번째 서브프레임까지 순서대로 "D, S, U, U, U, D, S, U, U, D"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LTE 표준 규약에서 서로 다른 uplink-downlink configuration에 따라 Downlink와 Uplink의 수를 다양하게 설정함으로써 업링크 및 다운링크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에 적응적으로 uplink-downlink configuration을 설정할 수 있다.
도 7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LTE 네트워크가 TDD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구성을 사용하는 경우 5G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TDM 설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에서는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가 공존하는 MR-DC(Multi-RAT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제1네트워크의 기지국은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가 될 수 있으며, 제2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7b는 제1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제2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인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을 MR-DC의 환경의 예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EN-DC 환경에서의 동작을 MR-DC 환경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LTE 기지국(예: 도 3d의 제1기지국(311))과 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2전자 장치(302))는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을 참조부호 701과 같이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0번째 서브프레임부터 9번째 서브프레임까지의 순서는 "D, S, U, U, D, D, S, U, U, D"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5G 네트워크의 기지국(예: 도 3d의 제2기지국(321))은 LTE 기지국(311)과 제2전자 장치(302) 간에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701)과 같이 설정됨에 따라 Uplink와 Downlink 구성을 5G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702)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기지국(321)은 제1기지국(311)과 제2전자 장치(302) 간에 설정된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701)에서 T00의 시점부터 T01의 시점까지(741)가 하나의 downlink(D) 서브프레임이기 때문에 제2전자 장치(302)와 T00의 시점부터 T01의 시점(741)까지를 2개의 uplink(U) 서브프레임들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기지국(321)은 T00의 시점부터 T01의 시점(741)까지에서 제2전자 장치(302)로 하나 또는 셋 이상의 uplink(U) 서브프레임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기지국(321)은 제1기지국(311)과 제2전자 장치(302) 간에 설정된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810)에서 T01의 시점부터 T02의 시점까지(742)가 하나의 special(S) 서브프레임이므로, 제2기지국(321)은 T01의 시점부터 T02의 시점(742)까지 제2전자 장치(302)로 2개의 downlink(D) 서브프레임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기지국(321)은 T01의 시점부터 T02의 시점까지(742) 제2전자 장치(302)로 하나 또는 셋 이상의 downlink(D) 서브프레임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기지국(321)은 제1기지국(311)과 제2전자 장치(302) 간에 설정된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810)에서 T02의 시점부터 T04의 시점까지(743)가 제2전자 장치(302)에 2개의 uplink(U) 서브프레임이 할당되었으므로, 제2기지국(321)은 제2전자 장치(302)와 T02의 시점부터 T04의 시점까지(743)를 4개의 downlink(D) 서브프레임(831)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기지국(321)은 T02의 시점부터 T04의 시점(833)에서 제1기지국(311)의 각 서브프레임 단위마다 또는 2개의 서브프레임들 모두에 대하여 제2전자 장치(302)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uplink(U)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기지국(321)은 제1기지국(311)과 제2전자 장치(302) 간에 설정된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701)에서 T04의 시점부터 T05의 시점까지(744) 제2전자 장치(302)로 하나의 Downlink(D) 서브프레임이 할당되어 있으므로, 제2기지국(321)은 제2전자 장치(302)와 T04의 시점부터 T05의 시점까지(744) 하나 또는 둘 이상의 uplink(U) 서브프레임의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도 7b의 예시에서는 제2기지국(321)은 제2전자 장치(302)와 T04의 시점부터 T05의 시점까지(744)를 2개의 dlwnlink(D) 서브프레임들을 할당한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처럼 제2기지국(321)은 제2전자 장치(302)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uplink(U) 서브프레임의 설정이 가능한 서브프레임들에 대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dlwnlink(D) 서브프레임을 할당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기지국(321)이 uplink(U) 서브프레임의 설정이 가능한 서브프레임들에 대하여 dlwnlink(D) 서브프레임을 할당하는 경우는 아래의 경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첫째,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지국(321)이 제2전자 장치(302)로부터 업링크로 전송할 데이터가 없다는 보고를 수신(예를 들어 업링크 버퍼가 비어 있는 경우)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둘째,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지국(321)이 제2전자 장치(302)가 업링크 전송에 필요한 데이터 전송 특성 상 지연하여 전송해도 되고, 업링크 전송에 필요한 데이터의 양이 매우 적은 경우 될 수 있다.
셋째,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지국(321)이 제2전자 장치(302)로 downlink로 전송할 데이터가 많은 경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기지국(321)이 uplink(U) 서브프레임의 설정이 가능한 서브프레임들에 대하여 dlwnlink(D) 서브프레임을 할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기지국(321)은 제1기지국(311)과 제2전자 장치(302) 간에 설정된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701)에서 T05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745) 제2전자 장치(302)로 하나의 Downlink(D) 서브프레임이 할당되어 있으므로, 제2기지국(321)은 제2전자 장치(302)와 T05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745) 하나 또는 둘 이상의 uplink(U) 서브프레임의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기지국(321)은 제1기지국(311)과 제2전자 장치(302) 간에 설정된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810)에서 T06의 시점부터 T08의 시점까지(746) 제2전자 장치(302)로 하나의 special(S) 서브프레임과 두 개의 Downlink(D) 서브프레임들이 할당되어 있으므로, 제2기지국(321)은 제2전자 장치(302)와 T06의 시점부터 T09의 시점까지(746) 하나 또는 둘 이상의 downlink(D) 서브프레임의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기지국(321)은 제1기지국(311)과 제2전자 장치(302) 간에 설정된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701)에서 T09의 시점부터 T10의 시점까지(747) 제2전자 장치(302)로 하나의 downlink(D) 서브프레임 할당되어 있으므로, 제2기지국(321)은 제2전자 장치(302)와 T09의 시점부터 T10의 시점까지(747) 하나 또는 둘 이상의 downlink(D) 서브프레임의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한 방식에 기반하여 제1기지국(311)이 TDD 방식으로 제3전자 장치(303) 및/또는 제4전자 장치(304)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제3기지국(331)과 제3전자 장치(303), 제4기지국(341)과 제4전자 장치(304) 간에도 동일하게 도 7b의 방식에 따라 서브프레임을 할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전송과 제2기지국(321)으로의 uplink 전송이 시간적으로 직교성(orthogonality)을 가지므로, 제2전자 장치(302)가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을 모두 하나의 기지국에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의 제1커뮤티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6의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으로 uplink 데이터 및/또는 제어신호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구간들인 T02-T04의 구간 및 T07-T09의 구간들에서 제2전자 장치(302)가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의 제2커뮤티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6의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2기지국(321)으로 uplink 데이터 및/또는 제어신호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구간들(741, 745, 747)에서 제2전자 장치(302)가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도 7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다운링크에 따른 업링크 전송과 5G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에서는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가 공존하는 MR-DC(Multi-RAT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제1네트워크의 기지국은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가 될 수 있으며, 제2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8a는 제1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제2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인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을 MR-DC의 환경의 예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EN-DC 환경에서의 동작을 MR-DC 환경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LTE 표준 규격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2전자 장치(302))는 LTE 네트워크의 송신 여부를 4 슬롯 전에 수신되는 제어(control) 정보, 예를 들어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grant,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수신 여부를 통해 알 수 있다. 이를 도 7c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c를 참조하면, LTE 네트워크인 기지국(도 3d의 제1기지국(311))은 T10부터 T11의 시점까지가 downlink(DL)의 1슬롯이 될 수 있다. 따라서 T11-T12, T12-T13, T13-T14, T14-T15, T15-T16, T16-T17 및 T17-T18까지가 모두 각각 하나의 downlink의 슬롯들이 될 수 있다. LTE 네트워크인 제1기지국(311)에서 1슬롯의 단위는 1ms가 될 수 있다. T10-T11까지의 한 슬롯을 n번째 슬롯이라 할 때, T11-T12까지의 슬롯은 n+1번째 슬롯이 될 수 있고, T12-T13까지의 슬롯은 n+2번째 슬롯이 될 수 있으며, T13-T14까지의 슬롯은 n+3번째 슬롯이 될 수 있고, T14-T15까지의 슬롯은 n+4번째 슬롯이 될 수 있으며, T15-T16까지의 슬롯은 n+5번째 슬롯이 될 수 있고, T16-T17까지의 슬롯은 n+6번째 슬롯이 될 수 있으며, T17-T18까지의 슬롯은 n+7번째 슬롯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은 downlink(751)를 통해 n번째 슬롯에서 제2전자 장치(302)로 PDCCH(Physical Data Control Channel)와 함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2전자 장치(302)는 4슬롯 이후인 n+4번째 슬롯의 uplink(752)에서 HARQ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7c에서 참조부호 761은 제1기지국(311)이 Downlink(751)를 통해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4슬롯 이후의 uplink(752)를 통해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라인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n번째 슬롯 이전의 슬롯에서 uplink(752)로 uplink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제1기지국(311)은 n+2번째 슬롯에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Grant를 송신할 수 있다. 제2전자 장치(302)는 Downlink(751)를 통해 n+2번째 슬롯에서 PUSCH Grant를 수신하는 경우 4슬롯 이후인 n+6번째 슬롯에서 uplink(752)를 통해 PUSCH를 송신할 수 있다. 도 7c에서 참조부호 762는 제1기지국(311)이 Downlink(751)를 통해 PUSCH Grant를 전송하는 경우 4슬롯 이후의 uplink(752)를 통해 PUSCH를 송신하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라인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은 downlink(751)를 통해 n+3번째 슬롯에서 제2전자 장치(302)로 PDCCH(Physical Data Control Channel)와 함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2전자 장치(302)는 4슬롯 이후인 n+7번째 슬롯의 uplink(752)에서 HARQ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7c에서 참조부호 763은 제1기지국(311)이 Downlink(751)를 통해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4슬롯 이후의 uplink(752)를 통해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라인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EN-DC 환경에 있는 제2전자 장치(302)는 5G 기지국(예: 도 3d의 제2기지국(321))와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Uplink(753)를 통해 제2기지국(321)으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전자 장치(302)가 FDD 방식 및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제1기지국(311)으로 역방향 전송에 따라 제2기지국(321)으로 Uplink(753)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제1기지국(311)로부터의 Downlink(751)을 매 슬롯(1ms)마다 확인하고, 이후 4슬롯 이후에 uplink 전송이 필요한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를 통해 제2전자 장치(302)는 uplink로 제어 신호 및/또는 데이터의 송신 시 제1기지국(311)로의 전송 전력을 계산해야 하고, 5G 기지국인 제2기지국(321)로 동일한 시점에 uplink로 제어 신호 및/또는 데이터의 송신 시 제2기지국(321)로 송신 가능한 전력을 식별하고, 그에 기반하여 uplink 송신 전력을 설정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T10-T14의 시점까지는 제1기지국(311)으로 전송할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2전자 장치(302)는 T10-T14의 시점까지 제2기지국(321)으로 Uplink(753)를 통해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전자 장치(302)는 T10-T14의 시점까지 제1기지국(311)으로 전송할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2전자 장치(302)는 제2기지국(321)으로 Uplink(753)를 통해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시 최대 송신 전력까지 할당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T14-T15 및 T16-T18까지 제1기지국(311)으로 전송할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이다. 이런 경우
제2전자 장치(302)는 T14-T15 및 T16-T18의 시점까지 제1기지국(311)의 Uplink(752)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에 최대 송신 전력 범위 내에서 전력을 할당하고, 그 외의 잉여 전력을 이용하여 제2기지국(321)으로 Uplink(753)를 통해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만일 제2전자 장치(302)는 제1기지국(311)의 Uplink(752)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에 최대 송신 전력을 할당한 경우 제2기지국(321)으로 Uplink(753) 송신을 중지할 수 있다. 제2기지국(321)으로 Uplink(753) 송신을 중지하는 경우를 참조부호 771 및 772와 같이 예시하였다.
도 8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2전자 장치(302))가 제1기지국(예: 도 3d의 제1기지국(311))과 제2기지국(예: 도 3d의 제2기지국(321))에서 TDD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uplink 전력 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에서는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가 공존하는 MR-DC(Multi-RAT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제1네트워크의 기지국은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가 될 수 있으며, 제2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8a는 제1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제2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인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을 MR-DC의 환경의 예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EN-DC 환경에서의 동작을 MR-DC 환경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2전자 장치(302)는 제품의 제조 시에 설정된 uplink 최대 전력 값(또는, 최대 전력 임계 값)(800)이 특정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전자 장치(302)는 EN-DC 환경에서 제1기지국(311)과 제2기지국(321)과 동시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전자 장치(302)가 EN-DC 환경에서 제1기지국(311)과 제2기지국(321)과 동시에 연결된 상태이고, uplink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참조부호 801과 같이 제2전자 장치(302)는 uplink 송신 전력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이처럼 제2전자 장치(302)가 EN-DC 환경에서 제1기지국(311)과 제2기지국(321)과 동시에 연결된 상태에서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TDD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기지국(311)이 uplink 및 downlink의 전송을 TDD 방식으로 설정하는 경우 제2기지국(321) 또한 uplink 및 downlink의 전송을 TDD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여 도 8a의 제2전자 장치(302)에서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의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전력 할당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741 구간에서 제1기지국(311)로부터는 downlink의 전송이 이루어지며, 제2기지국(321)으로 uplink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전자 장치(302)는 제2기지국(321)으로만 uplink의 전송이 이루어지므로, 제2전자 장치(302)는 참조부호 803과 같이 최대 송신 전력을 모두 제2기지국(321)의 uplink로 할당할 수 있다. 이처럼 제2전자 장치(302)가 제2기지국(321)으로만 uplink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구간은 745 구간과 747 구간에 해당하므로, 745구간 및 747 구간에서 제2전자 장치(302)는 참조부호 803과 같이 최대 송신 전력을 모두 제2기지국(321)의 uplink로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는 743 구간에서 제1기지국(311)로 uplink의 전송이 이루어지며, 제2기지국(321)으로부터는 743구간에서 downlink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전자 장치(302)는 743구간에서 제1기지국(311)으로 참조부호 802와 같이 최대 송신 전력을 모두 제1기지국(311)의 uplink로 할당할 수 있다. 이처럼 제2전자 장치(302)가 제1기지국(311)으로만 uplink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구간은 746 구간의 T07 시점부터 T09까지의 시점에 해당하므로, 제2전자 장치(302)는 T07 시점부터 T09까지의 시점에서 참조부호 803과 같이 최대 송신 전력을 모두 제1기지국(311)의 uplink로 할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이 T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5G 기지국인 제2기지국(321), 제3기지국(예: 도 3d의 제3기지국(331)), 제4기지국(예: 도 3d의 제4기지국(341)) 및 제5기지국(예: 도 3d의 제5기지국(351))은 도 6에서 예시한 방식에 기반하여 TDD 방식으로 uplink 및 downlink 전송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전력 할당은 도 8a에서 예시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8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전자 장치(예: 도 3d의 제2전자 장치(302))가 제1기지국(예: 도 3d의 제1기지국(311))과 제2기지국(예: 도 3d의 제2기지국(321))에서 FDD 방식에 기반하여 uplink에 전력 할당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2전자 장치(302)는 제품의 제조 시에 설정된 uplink 최대 전력 값(800)이 특정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전자 장치(302)는 EN-DC 환경에서 제1기지국(311)과 제2기지국(321)과 동시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전자 장치(302)가 EN-DC 환경에서 제1기지국(311)과 제2기지국(321)과 동시에 연결된 상태이고, uplink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도 8a의 참조부호 800과 같이 제2전자 장치(302)는 uplink 송신 전력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가 EN-DC 환경에서 제1기지국(311)과 제2기지국(321)과 동시에 연결된 상태에서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FDD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가 EN-DC 환경에서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FDD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도 제2전자 장치(302)가 TDD 방식과 같이 제1기지국(311)과 제2기지국(321)으로의 uplink 송신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시간에서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가 EN-DC 환경에서 제1기지국(311)과 제2기지국(321)과 동시에 연결된 상태에서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FDD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 제1기지국(311)과 제2기지국(321)으로 uplink 송신이 서로 동일한(중첩된) 시간에서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2전자 장치(302)가 EN-DC 환경에서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FDD 방식으로 전송할 시 시간적으로 중첩되지 않는 경우 도 8b와 같이 각각 요구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의 제1커뮤티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6의 제1커뮤티케이션 프로세서(212))는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로부터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시 제1기지국(311)로부터 요청된 전력 값(811)으로 송신 전력을 결정하여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의 제2커뮤티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6의 제2커뮤티케이션 프로세서(214))는 5G 기지국인 제2기지국(321)으로부터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시 제2기지국(321)으로부터 요청된 전력 값(812)으로 송신 전력을 결정하여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처럼 서로 중첩되지 않은 경우 제2전자 장치(302)는 최대 송신 전력 값(800) 내에서 자유롭게 전력을 설정하여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가 동일한 시점에서 제1기지국(311)과 제2기지국(321)로 동시에 uplink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의 송신이 요청된 경우 최대 송신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자 장치(302)가 송신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이 23dBm이고, 제1기지국(311)에서 설정한 최대 송신 전력이 16dBm이며, 제2기지국(321)에서 설정한 최대 송신 전력이 14dBm인 경우 제1기지국(311)과 제2기지국(321)에서 요청된 송신 전력의 합이 제2전자 장치(302)에서 송신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을 초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전자 장치(302)에서 송신 전력의 할당에 대한 조율이 필요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6의 전자 장치(101))가 EN-DC 환경에서 uplink의 전력 할당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에서는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가 공존하는 MR-DC(Multi-RAT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제1네트워크의 기지국은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가 될 수 있으며, 제2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8a는 제1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제2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인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을 MR-DC의 환경의 예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EN-DC 환경에서의 동작을 MR-DC 환경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9의 동작은 전자 장치(101)가 EN-DC 환경에서 LTE 기지국(예: 도 3d의 제1기지국(311))과 연결된 상태이며, NR 기지국(예: 도 3d의 제2기지국(321))과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의 LTE 통신 프로세서(예: 도 6의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900동작에서 LTE 통신 네트워크의 uplink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가 결정한 uplink 전력은 LTE 안테나 전력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가 LTE 안테나 전력을 결정할 시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수신된 요구 송신 전력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902동작에서 LTE 안테나 전력을 결정한 후 NR 통신 프로세서(예: 도 6의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결정된 LTE 안테나 전력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902동작에서 결정된 LTE 안테나 전력 정보 전달 시 마진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902동작에서 전자 장치(101)에서 uplink(UL)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에서 결정된 LTE 안테나 전력 값을 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902동작에서 전자 장치(101)에서 uplink(UL)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에서 결정된 LTE 안테나 전력 값 및 마진 값을 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902동작에서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로부터 LTE 안테나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NR 네트워크의 Uplink(UL)로 송신할 NR 안테나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로부터 LTE 안테나 전력 정보를 수신할 시 전자 장치(101)에서 uplink(UL)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에서 결정된 LTE 안테나 전력 값을 뺀 값의 범위 내에서 NR 안테나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로부터 LTE 안테나 전력 정보와 마진 정보를 수신할 시 전자 장치(101)에서 uplink(UL)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에서 결정된 LTE 안테나 전력과 마진 값을 뺀 값의 범위 내에서 NR 안테나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로부터 NR 네트워크의 Uplink(UL)로 송신할 수 있는 NR 안테나 최대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로부터 수신된 NR 안테나 최대 전력 정보의 범위 내에서 NR 안테나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6의 전자 장치(101))가 MR-DC 환경에서 uplink에 대한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에서는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가 공존하는 MR-DC(Multi-RAT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제1네트워크의 기지국은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가 될 수 있으며, 제2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8a는 제1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제2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인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을 MR-DC의 환경의 예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EN-DC 환경에서의 동작을 MR-DC 환경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6의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1000동작에서 제1기지국(예: 도 3d의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uplink 자원에 대한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과 초기 접속 시에 제1기지국(311)이 RRC signaling으로 전송한 정보로부터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이러한 파라미터들 중 전력을 설정할 수 있는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제1기지국(311)으로 송신할 최대 송신 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1000동작에서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자원에 대한 최대 송신 전력 값을 식별하고, 필요한 마진 전력(margin power)을 설정하고, 지시 갭(indication gap)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uplink 자원에 대한 최대 송신 전력 값에 따라 필요한 마진 전력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자원에 대한 최대 송신 전력 값에 무관하게 필요한 마진 전력을 특정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가 설정하는 지시 갭은 전력 제어 정보를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6의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제공하는 조건의 빈도를 조절하기 위한 전력 값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시 갭은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전력 제어 정보를 제공하는 빈도가 빈번한 경우 지시 갭의 값을 크게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시 갭은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uplink에 할당된 자원에 대한 송신 전력 값의 변화가 큰 경우 지시 갭의 값을 크게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시 갭은 시뮬레이션 또는 실제 전자 장치(101)가 사용되는 현장에서 전력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설정된 고정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1000동작을 완료한 후 1002동작에서 전력 제어 정보를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제어 정보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가 사용할 제1송신 전력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송신 전력 값은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가 사용할 상한 전력(upper power) 정보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송신 전력 값은 제1기지국(311)과의 채널 상태에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제어 정보는 제1송신 전력 값과 마진 전력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진 전력 값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진 전력 값은 제1기지국(311)과의 채널 상태 및/또는 전자 장치(101)의 이동 속도에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과 채널 상태의 변화가 심한 경우 마진 전력 값을 제1마진 값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제1기지국(212)과 채널 상태의 변화가 심하지 않은 경우 마진 전력 값을 제2마진 값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마진 값은 제2마진 값보다 큰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제어 정보는 전자 장치(101)에서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 값(예: 도 8a의 800)에서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가 사용할 제1송신 전력 값을 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제어 정보는 전자 장치(101)에서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 값(예: 도 8a의 800)에서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가 사용할 제1송신 전력 값과 마진 전력 값을 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가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제공하는 전력 제어 정보는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가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력 값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커뮤이케이션 프로세서(214)는 1004동작에서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로부터 제공된 전력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NR 기지국(예: 도 3d의 제2기지국(321))으로의 uplink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전자 장치(101)에서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 값과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로부터 수신된 전력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로부터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가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력 값을 전력 제어 정보로 수신하는 경우 전력 제어 정보의 범위 내에서 uplink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시 갭은 마진 전력 값과 같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예를 들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통해 TPC(Transmit Power Control)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수신된 TPC에서 uplink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명령을 수신하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uplink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때, 마진 값과 지시 갭이 동일한 경우 마진 내에서 uplink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경우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추가적인 전력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가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전력 정보를 제공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간에 전송되는 정보의 양 및 빈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지시 갭은 마진 전력 값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전력 제어 정보를 제공한 후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DCI를 통해 TPC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수신된 TPC에 기반하여 uplink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수신된 TPC에 기반하여 uplink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경우 1006동작에서 변경될 LTE uplink 송신 전력이 지시 갭에 의해 설정된 경계를 벗어났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수신된 TPC에서 uplink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명령을 수신하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uplink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지시 갭이 마진 값보다 작은 경우 마진 내에서 uplink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더라도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증가된 uplink 송신 전력이 지시 갭 이내에 있는지를 추가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만일 증가된 uplink 송신 전력이 지시 갭 이내인 경우(1006 - NO)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전력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증가된 uplink 송신 전력이 지시 갭 이내인 경우(1006 - NO) 1008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1008동작에서 LTE 기지국인 제1기지국(311)로의 uplink 송신 전력을 TPC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만일 증가된 uplink 송신 전력이 지시 갭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1006 - YES)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추가 전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1000동작에서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최대 송신 전력을 18dB로 설정될 수 있다.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1000동작에서 마진 전력으로 2dB를 설정할 수 있고, 지시 갭으로 1dB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TCP에 기반하여 제1기지국(311)로의 uplink 송신 전력이 1dB를 넘어서게 되면, 1010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1010동작에서 가드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변경될 LTE uplink 송신 전력을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새로운 LTE uplink 전력 정보만을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새로운 LTE uplink 전력 정보와 새로운 마진 전력 값을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새로운 LTE uplink 전력 정보와 새로운 마진 전력 값 및 새로운 지시 갭을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1010동작을 수행한 후 1012동작에서 구동된 가드 타이머가 만료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1012동작에서 가드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1012 - NO) 가드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1012동작에서 가드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1012 - YES) 1008동작에서 LTE uplink 송신 전력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1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예: 도 3d의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uplink의 송신 전력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기반하여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송신 전력(1111)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송신 전력 값에 마진 전력 값을 포함하여 전력 제어 정보(1113)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전력 제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적 전력 할당 방식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1기지국(예: 도 3d의 제1기지국(311))으로부터 전력 제어 명령에 따라 uplink 송신 전력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1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이전 시점에서 제1기지국(311)으로의 uplink 송신 전력(1011)에서 전력 제어 명령에 따라 uplink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도록 변경하는 경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지국(311)으로의 변경되는 uplink 송신 전력(1031)은 전력 제어 명령에 기반한 값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변경된 송신 전력 값에 부가하여 마진 전력(1112)을 부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변경된 송신 전력 값과 마진 전력(1112)을 부가한 값을 변경된 전력 제어 정보(1114)로 생성하여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 제공할 수 있다. 제2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변경된 전력 제어 정보(1114)에 기반하여 제2기지국(321)으로의 uplink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102, 104, 200, 301, 302, 303, 304 : 전자 장치
120 : 프로세서 130 : 메모리
146 : 어플리케이션 190 : 통신 모듈
198, 199 : 네트워크 106 : 서버
311, 321, 331, 341, 351: 기지국
310, 320, 330, 340, 350: 기지국 통신 영역

Claims (40)

  1. ◈청구항 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이동 통신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제1셀룰라 네트워크의 제1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제1프로세싱부 및 제2셀룰라 네트워크의 제2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제2프로세싱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제1프로세싱부는:
    상기 제1노드와 제1라디오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제1라디오 연결을 통해 상기 제1노드로부터 상기 제1라디오 연결과 관련된 제1업링크 최대 전력 값과 상기 제2노드에 대응하는 제2라디오 연결과 관련된 제2업링크 최대 전력 값을 수신하고,
    상기 제1업링크 최대 전력 값 이하의 제1전력 값을 이용하여 제1신호를 상기 제1노드로 전송하고, 및
    상기 제1전력 값에 대응하는 제1정보와 상기 제2업링크 최대 전력 값에 관련된 제2정보를 상기 제2프로세싱부로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및
    상기 제2프로세싱부는:
    상기 제1프로세싱부로부터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를 획득하고, 및
    상기 제1라디오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2라디오 연결을 통해 상기 제2노드로 제2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2업링크 최대 전력 값 이하의 제2전력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세싱부는 상기 제1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더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싱부는:
    상기 제1업링크 최대 전력 값 이하이고, 상기 제1전력 값과 상이한 값을 갖는 제3전력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라디오 연결을 통해 상기 제1노드로 제3신호를 전송하고, 및
    상기 제2전력 값에 대응하는 제3정보를 상기 제2프로세싱부로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제2프로세싱부는:
    상기 제1프로세싱부로부터 상기 제3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3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업링크 최대 전력 값 이하이고, 상기 제2전력과 다른 값을 갖는 제4전력 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4전력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라디오 연결을 통해 상기 제2노드로 제4신호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세싱부는:
    상기 제2신호 전송 후에 상기 제2노드로부터 상기 제2신호의 제2전력 값의 변경을 지시하는 명령을 수신하고, 및
    상기 명령이 수신될 시 상기 제1정보에 기반한 상기 제2전력 값을 변경하지 않도록 더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싱부는 상기 이동통신 장치가 상기 제1전력 값과 상기 제2전력 값이 의존적으로 변경되는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상기 제1노드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다이나믹 파워 쉐어링 파라미터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세싱부는:
    상기 제1노드에 의해 스케줄링된 상기 제1셀룰라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1신호의 전송 타이밍과 상기 제2노드에 의해 스케줄링된 상기 제2셀룰라 네트워크에서의 상기 제2신호의 전송 타이밍에 기반하여 상기 제2업링크 최대 전력 값보다 낮은 제4전력 값을 결정하고; 및
    상기 제2노드로 상기 제4전력 값에 기반한 제4신호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싱부는:
    상기 제1노드로부터 상기 제1라디오 연결과 관련된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duplexing, TDD)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TDD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신호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업링크 최대 전력 값은 14dBm, 17dBm, 또는 23dBm 중 하나인, 이동 통신 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싱부와 상기 제2프로세싱부는 단일 칩으로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11. 이동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제1프로세서; 및
    제2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프로세서는:
    제1셀룰라 네트워크의 제1노드와 제1라디오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제1노드로부터 제2셀룰라 네트워크의 제2노드에 대응하는 제2라디오 연결과 관련된 업링크 최대 전력 값을 수신하고, 및
    상기 업링크 최대 전력 값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제2프로세서로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제1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제2라디오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업링크 최대 전력 값보다 같거나 낮은 제1전력 값을 갖는 제1신호를 상기 제2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제1노드로 전송된 제2신호의 다른 전력 값에 기반하여 다른 정보를 생성하고; 및
    상기 다른 정보를 상기 제2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제1프로세서로부터 상기 다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다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신호를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1신호 전송이 결정될 시 상기 제1신호의 제1전력 값을 변경하고; 및
    상기 다른 정보에 기반하여 변경된 제1전력 값으로 상기 제1신호를 상기 제2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변경된 제1전력 값이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더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업링크 최대 전력 값과 상기 변경된 제1전력 값의 차가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더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제1노드와 라디오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상기 제1전력 값과 다른 전력 값이 상호간 의존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상기 제 1 노드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다이나믹 파워 쉐어링을 지시하는, 이동 통신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제1노드에 의해 스케줄링된 제1셀룰라 네트워크에서의 제1신호 전송 타이밍과 상기 제2노드에 의해 스케줄링된 제2셀룰라 네트워크에서 제2신호 전송 타이밍에 기반한 전력 값으로 제2신호를 제1노드로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제1라디오 연결 설정 동안 상기 제1노드로부터 상기 제1라디오 연결에 관련된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duplexing, TDD) 설정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고, 및
    상기 TDD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제1신호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력 값은 14dBm, 17dBm, 또는 23dBm 중 하나인, 이동 통신 장치.
  21. 제11항에 있어서,
    제3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프로세서는:
    상기 제1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제2프로세서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와 상기 제2프로세서는 하나의 단일 칩 또는 패키지로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2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와 상기 제2프로세서는 통신 프로세서들인, 이동 통신 장치.
  2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셀룰라 네트워크는 4세대 통신 네트워크 또는 LTE(long term evaluation) 통신 네트워크이며,
    상기 제2셀룰라 네트워크는 5세대 통신 네트워크 또는 뉴 라디오(new radio, NR) 통신 네트워크인, 이동 통신 장치.
  2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드는 4세대 통신 네트워크 또는 LTE(long term evaluation)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대응하고,
    상기 제2노드는 5세대 통신 네트워크 또는 뉴 라디오(new radio, NR)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이동 통신 장치.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이동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제1셀룰라 네트워크의 제1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제1프로세싱부와 제2셀룰라 네트워크의 제2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제2프로세싱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로세싱부는:
    상기 제1셀룰라 네트워크의 상기 제1노드와 제1라디오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제2셀룰라 네트워크의 상기 제2노드에 대응하는 제2라디오 연결과 관련된 업링크 최대 전력 값을 상기 제1노드로부터 수신하고, 및
    상기 제2프로세싱부로, 상기 업링크 최대 전력 값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프로세싱부는:
    상기 제1프로세싱부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제1라디오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업링크 최대 전력 값보다 낮거나 같은 제1전력을 갖는 제1신호를 상기 제2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싱부는:
    상기 제1노드로 전송되는 제2신호의 다른 전력 값에 기반하여 다른 정보를 생성하고, 및
    상기 다른 정보를 상기 제2프로세싱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프로세싱부는:
    상기 제1프로세싱부로부터 상기 다른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다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노드로 변경된 전력으로 상기 제1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세싱부는 상기 다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신호를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싱부는 상기 제1노드와 라디오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이동 통신 장치가 전력 값과 다른 전력 값이 상호간 의존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상기 제 1 노드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30. 칩 모듈에 있어서,
    제1셀룰라 네트워크의 제1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제1프로세싱부와 제2셀룰라 네트워크의 제2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제2프로세싱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로세싱부는:
    상기 제1노드와 제1라디오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제2셀룰라 네트워크의 상기 제2노드에 대응하는 제2라디오 연결과 관련된 업링크 최대 전력 값을 상기 제1노드로부터 수신하고, 및
    상기 업링크 최대 전력 값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제2프로세싱부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프로세싱부는:
    상기 제1프로세싱부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제1라디오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업링크 최대 전력 값 보다 같거나 낮은 제1전력 값을 갖는 제1신호를 상기 제2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칩 모듈.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싱부는:
    상기 제1노드로 전송되는 제2신호의 다른 전력 값에 기반하여 다른 정보를 생성하고, 및
    상기 다른 정보를 상기 제2프로세싱부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제2프로세싱부는:
    상기 제1프로세싱부로부터 상기 다른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다른 정보에 기반하여 변경된 다른 전력 값으로 상기 제1신호를 상기 제2노드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칩 모듈.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세싱부는 상기 다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신호를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칩 모듈.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싱부는 상기 칩 모듈이 상기 제1전력 값과 상기 다른 전력 값이 상호간 의존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상기 제1노드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칩 모듈.
  34. ◈청구항 3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이동 통신 장치에 있어서,
    LTE(long term evaluation)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1프로세서; 및
    뉴 라디오(new radio, NR)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2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LTE 네트워크의 제1노드와 제1라디오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LTE 네트워크로부터 업링크 전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전력 정보는 상기 NR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제2라디오 연결을 통해 신호 전송에 사용될 최대 업링크 전력 값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및
    상기 최대 업링크 전력 값에 대응하는 전력 정보를 상기 제2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전력 정보를 식별하고, 및
    상기 제1라디오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최대 업링크 전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최대 업링크 전력 값과 같거나 낮은 전력 값으로 제1신호를 상기 NR 네트워크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35. ◈청구항 3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 또는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제1라디오 연결을 통해 제2신호 전송에 사용 중인 다른 전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값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36. ◈청구항 3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전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신호를 전송할 것인지를 더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37. ◈청구항 3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전력 정보에 기반하여 변경된 전력 값이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38. ◈청구항 3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전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값과 상기 변경된 전력 값 간의 차가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더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39. ◈청구항 3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제1노드와 라디오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이동 통신 장치가 전력 값과 다른 전력 값이 상호간 의존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상기 제1노드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이동 통신 장치.
  40. ◈청구항 4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다이나믹 파워 쉐어링을 지시하는, 이동 통신 장치.

KR1020190000214A 2019-01-02 2019-01-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469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214A KR102469636B1 (ko) 2019-01-02 2019-01-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N201980037581.7A CN112219426B (zh) 2019-01-02 2019-12-31 用于控制电子装置的传输功率的装置和方法
US15/734,146 US11528664B2 (en) 2019-01-02 2019-12-31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electronic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9907382.6A EP3790326A4 (en) 2019-01-02 2019-12-31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OF ELECTRONIC DEVICE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U2019418268A AU2019418268B2 (en) 2019-01-02 2019-12-31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electronic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9/018790 WO2020141852A1 (ko) 2019-01-02 2019-12-3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18/079,368 US11930456B2 (en) 2019-01-02 2022-12-12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electronic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214A KR102469636B1 (ko) 2019-01-02 2019-01-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158A KR20200084158A (ko) 2020-07-10
KR102469636B1 true KR102469636B1 (ko) 2022-11-23

Family

ID=71406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214A KR102469636B1 (ko) 2019-01-02 2019-01-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528664B2 (ko)
EP (1) EP3790326A4 (ko)
KR (1) KR102469636B1 (ko)
CN (1) CN112219426B (ko)
AU (1) AU2019418268B2 (ko)
WO (1) WO20201418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425A (ko) * 2020-11-26 2022-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복수의 안테나들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EP4309427A1 (en) * 2021-03-19 2024-01-24 Qualcomm Incorporated Modifying transmit powers of uplink signals associated with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rats)
KR20230009015A (ko) * 2021-07-08 2023-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3149722A1 (ko) * 2022-02-04 2023-08-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력에 기반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1722B2 (en) * 2007-04-02 2011-02-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lection of an uplink carrier frequency corresponding to one of co-sited cells having different coverage areas and supporting different uplink data rates
KR101852814B1 (ko) * 2010-06-18 2018-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잔여전력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660076B2 (en) 2010-08-12 2014-02-25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scheduling reques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548398B (zh) * 2011-05-17 2017-06-13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由采用时分双工(tdd)方案的终端控制上行链路传输功率的方法及其终端装置
KR20140054082A (ko) * 2011-08-19 2014-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Rrh(remote radio head)를 포함하고 있는 매크로 셀 환경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 단말 장치
EP2854460B1 (en) 2013-09-27 2017-04-05 Sun Patent Trust Power control and power headroom reporting for dual connectivity
US10085265B2 (en) * 2014-01-30 2018-09-25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transmit power allocation and power headroom reporting by a user equipment in a multi-connectivity environment
US9357510B2 (en) 2014-03-31 2016-05-31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haring and power headroom reporting in dual connectivity scenarios
EP3200535A4 (en) * 2014-09-25 2018-02-28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O2016060242A1 (ja) * 2014-10-17 2016-04-21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基地局、および、通信方法
KR101788479B1 (ko) 2016-12-23 2017-10-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S-LTE와 LTE-R 네트워크의 공존을 위해 eICIC 및 FeICIC 기반 협력 스케줄링을 이용하여 동일채널간섭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1052809B (zh) * 2017-09-08 2024-01-16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装置及发送功率控制方法
WO2019159305A1 (ja) * 2018-02-15 2019-08-2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
US10687287B2 (en) * 2018-10-23 2020-06-16 T-Mobile Usa, Inc. Dynamic power sharing for dual connectivity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812550*
3GPP R4-18004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418268B2 (en) 2022-11-24
EP3790326A1 (en) 2021-03-10
EP3790326A4 (en) 2021-09-08
AU2019418268A1 (en) 2021-01-21
US20230104419A1 (en) 2023-04-06
US20210219240A1 (en) 2021-07-15
US11528664B2 (en) 2022-12-13
US11930456B2 (en) 2024-03-12
KR20200084158A (ko) 2020-07-10
WO2020141852A1 (ko) 2020-07-09
CN112219426A (zh) 2021-01-12
CN112219426B (zh) 2024-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963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310749B2 (en) Transmit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in multi-rat dual connectivity based on overlap of master and secondary node transmissions
US1195019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self-interference due to dual uplink operation
US11337104B2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through split bearer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
EP34546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timing i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EP3666030B1 (en) Method for random access based on mobility and apparatus thereof
US20220295413A1 (en) Panel specific ul power control
KR2020008614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KR20200043615A (ko) 통신 상태에 기반한 상향링크 선택 장치 및 방법
EP433674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i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communication network
US20210022206A1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through split bearer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
JP2020534713A (ja) 信号伝送方法及び端末デバイス
KR20220041580A (ko) 듀얼 심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셀룰러 통신 전환 방법
KR102615984B1 (ko) 안테나 설정을 조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5336201A (zh) 用于测量来自外部的通信信号的电子装置和操作其的方法
KR20220117009A (ko) 전자 장치 및 복수 심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서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방법
US20230217336A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handover on basis of state of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N114765844B (zh) 上行功率控制方法、上行功率控制处理方法及相关设备
KR20220106556A (ko) 복수 sim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40058724A (ko) Ue assistance information 메시지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40038519A (ko) 멀티 심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40034064A (ko) 대역폭 부분의 사용률에 기반하여 셀룰러 통신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5474265A (zh) 一种数据传输的调度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