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314A - 식별 디바이스를 이동체에 탈부착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식별 디바이스를 이동체에 탈부착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314A
KR20200112314A KR1020190032594A KR20190032594A KR20200112314A KR 20200112314 A KR20200112314 A KR 20200112314A KR 1020190032594 A KR1020190032594 A KR 1020190032594A KR 20190032594 A KR20190032594 A KR 20190032594A KR 20200112314 A KR20200112314 A KR 20200112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device
moving object
mobile body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2028B1 (ko
Inventor
하재준
문영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028B1/ko
Priority to DE102020102797.4A priority patent/DE102020102797A1/de
Priority to US16/782,265 priority patent/US11412379B2/en
Priority to CN202010082957.0A priority patent/CN111541461B/zh
Publication of KR20200112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H04W12/005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2Subscriber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Abstract

본 발명은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서 탈착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에서 탈착되는 방법은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 인식되어 장착되고,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서 탈착되되, 이동체 및 식별 디바이스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서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별 디바이스를 이동체에 탈부착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n Identity Device from a mobility}
본 발명은 식별 디바이스를 이동체에 탈착하거나 부착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가입자 확인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은 스마트 디바이스 및 스마트 폰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범용 가입자 확인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기술은 SIM 카드에서 발전한 형태로 이동통신시스템(GSM)이라는 SIM보다 한 단계 진화한 방식일 수 있다. 이때, USIM은 화상통화가 가능한 비동기 3세대 이동통신(WCDMA)의 단말기에 필수적으로 삽입되는 작은 크기의 칩일 수 있다. 이때, USIM은 소형 CPU와 메모리로 구성되는데, CPU는 암복호화 기능으로 사용자를 식별하고, 메모리는 부가서비스를 위한 저장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SIM 카드에 대해서 이동체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이에 대해 서술한다.
본 발명은 식별 디바이스를 이동체에 탈착하거나 부착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별 디바이스를 무단 탈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에서 식별 디바이스를 탈착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식별 디바이스를 탈착하는 방법은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 인식되어 장착되는 단계,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서 탈착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 및 식별 디바이스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서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별 디바이스가 적용된 이동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식별 디바이스가 장착되면 식별 디바이스를 인식하고,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서 탈착됨을 디텍트하되, 이동체 및 식별 디바이스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서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시스템은 이동체 및 식별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 인식되어 장착되고,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서 탈착되되, 이동체 및 식별 디바이스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서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되는 방법, 이동체 및 시스템에 대해서는 다음의 사항들이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가 턴오프된 상태이면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가 턴온 상태에서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되는 경우,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어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가 턴온 상태에서 주행 중인 경우, 식별 디바이스는 탈착이 불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와 식별 디바이스는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어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와 식별 디바이스가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이동체가 다른 디바이스로 인증 절차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고,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완료를 위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인증 절차가 완료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른 디바이스는 이동체에 등록된 디바이스 또는 이동체에 인증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증 절차는 홍채 인식, 지문 인식, 안면 인식, 음성 인식, 차량 헤드 유닛 입력, FOB 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증 절차를 위한 유저 식별 정보가 이동체에 저장되고, 인증 절차는 저장된 유저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증 절차가 완료되기 전에 이동체가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된 상태임을 디텍트하는 경우, 이동체는 식별 디바이스의 무단 탈착 여부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는 무단 탈착 여부를 외부 디바이스와 정보 교환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별 디바이스가 무단 탈착됨을 디텍트하는 경우, 이동체는 무단 탈착 관련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는 이동체가 등록된 서버 및 이동체가 등록된 모바일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가 주행 상태에서 식별 디바이스가 무단 탈착됨을 디텍트하는 경우, 이동체의 주행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주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체의 주행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에서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되는 경우, 이동체는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는 대기 모드에서 긴급 상황에 대한 동작만 수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별 디바이스를 이동체에 부착 및 탈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별 디바이스의 무단 탈착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이동체가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이동체에 식별 디바이스가 적용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이동체에서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이동체에서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이동체가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이동체가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다른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이동체 운영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내장된 식별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이동체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이동체 또는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체는 다른 이동체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는 셀룰라 통신, WAVE 통신,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또는 그 밖에 다른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다른 차량이동체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셀룰러 통신망으로서 LTE, 5G와 같은 통신망, WiFi 통신망, WAVE 통신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DSRC와 같이 이동체에서 사용되는 근거리 통신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의 통신과 관련하여, 이동체 보안을 위해 이동체 내부에 위치하는 디바이스만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과 이동체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이 분리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 내부에서는 와이파이 통신처럼 이동체 내의 일정 범위 내의 디바이스에 대해서만 보안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와 이동체 운전자의 개인 소유 디바이스는 상호 간의 통신만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체와 이동체 운전자의 개인 디바이스는 외부 통신망과 차단된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모듈은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모듈에 기초하여 이동체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동체에서 통신 방법은 다양한 방법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라 함은 이동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는 차량 (Autonomous Vehicle, Automated Vehicle 포함), 드론, 모빌리티, 팔레트, 이동 오피스, 이동 호텔 또는 PAV(Personal Air Vehicle) 일 수 있다. 또한, 이동체는 그 밖에 다른 이동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이동체에 식별 디바이스가 적용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는 사용자, 제어대상, 서비스 대상 식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가진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는 ID 기능을 가진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는 스마트 디바이스, 스마트 모듈, 사용자 식별 모듈, 식별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즉, 식별 디바이스는 하드웨어적인 구성일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는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으로 상술한 식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일 수 있다.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로서 이동체에 적용되는 SIM은 Mobility SIM (M-SIM) 또는 Vehicle SIM(V-SIM)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는 기존의 SIM과 동일하거나 호환되는 모듈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에서는 식별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서술하나, 이는 스마트 모듈, 사용자 모듈, SIM 등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식별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서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가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등을 고려하여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 폰에는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로서 USIM을 통해 스마트폰 사용자를 인식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동일한 브랜드 또는 식별 디바이스와 기기가 상호 호환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식별 디바이스만을 변경하여 해당 기기의 사용자를 구별하고, 이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체도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식별 디바이스 카드를 내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에 적용되는 식별 디바이스는 Vehicle SIM을 VSIM으로 지칭될 수 있다. 즉, 이동체에 적용되는 식별 디바이스로서 새로운 타입의 식별 디바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VSIM은 USIM 또는 다른 SIM과 호환될 수 있다. 또한, VSIM은 이동체 특성을 고려하여 다른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동체에 적용되는 식별 디바이스 카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일 예로, 도 2를 참조하면, 이동체 내부에 식별 디바이스를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도 2는 식별 디바이스가 적용되는 하나의 일 예일 뿐,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a처럼 이동체 운전석에 시각적으로 식별될 수 있는 부분에 식별 디바이스를 적용하기 위한 파트가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2b처럼 이동체 조수석의 보관함 내부에 식별 디바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의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부분에 식별 디바이스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2c처럼 이동체 내부의 미러에 식별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 내부의 미러는 이동체 주행이나 이동체의 기타 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탑승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바,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 내부의 미러에 장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2d처럼 식별 디바이스가 크래들 또는 패드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가 식별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 식별 디바이스를 사용자별로 교체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장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식별 디바이스가 크래들 또는 패드에 장착되고, 이에 기초하여 이동체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크래들 또는 패드는 마그네틱 성질에 기초하여 식별 디바이스가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다른 방식에 기초하여 식별 디바이스가 크래들 또는 패드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의 휴대성을 고려하여 식별 디바이스가 툴키나 차키와 결합된 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툴키나 차키에 식별 디바이스가 장착될 수 있고, 차키에서 탈착된 식별 디바이스를 이동체에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USIM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식별 디바이스는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또한, 식별 디바이스는 이동체에 접촉되는 부분이 존재하며, 접촉되는 부분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식별 디바이스가 차키나 툴키에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차키 또는 툴키 자체가 식별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각각의 유저는 자신의 고유한 차키 또는 툴키를 식별 디바이스로서 소유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이동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차키 또는 툴키가 식별 디바이스인 경우, 상술한 도 2처럼 이동체에 장착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차키 또는 툴키는 근거리 통신(e.g. 블루투스, 비콘, NFC)을 통해 이동체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메시지 교환을 수행하고,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개인의 고유성을 반영한 차키 또는 툴키가 식별 디바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상술한 식별 디바이스는 이동체에 장착된 기존 디바이스를 통해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에는 기존 디바이스(e.g. 하이패스 단말기, 블랙박스)가 설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식별 디바이스가 장착되기 위해 이동체에 별도의 장착부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이동체에 대한 설비가 변경되어야 하고, 추가 장착을 위한 구성 또는 부품이 필요할 수 있는바, 식별 디바이스를 장착하기 위해 기존의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장착된 기존 디바이스에 식별 디바이스가 장착될 수 있는 구성을 추가하고, 이에 기초하여 식별 디바이스가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에 포함된 기존 단자(e.g. USB 포트, 시가잭)를 통해 식별 디바이스가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식별 디바이스는 이동체에서 인증이 가능한 범위에서 어느 위치에나 적용 가능하며,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의 제어 유닛, 통신 유닛 또는 구성 부품(Parts)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체는 식별 디바이스 장착을 위한 별도의 장착부 또는 식별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식별 디바이스가 하나의 독립적인 부품으로 다른 부품과 분리된 형태로 이동체에 장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유닛, 통신 유닛 및 다른 유닛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된 형태로서 이동체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에서 제어 유닛이나 통신 유닛은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유닛일 수 있다. 이때, 식별 디바이스는 상술한 제어 유닛 및 통신 유닛으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식별 및 인증을 통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식별 디바이스는 제어 유닛이나 통신 유닛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디바이스일 수 있는바, 상술한 유닛들과 결합하여 이동체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식별 디바이스는 다른 유닛들과 일체형으로 이동체에 장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는 이동체 내부에서 내장된 식별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내장된 식별 디바이스라함은 물리적으로 이동체 내부에서 구현되거나, 이동체 동작 및 설계 과정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한다.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를 장착하기 위해 이동체의 설비 변경이나 추가 구성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비용 소모가 클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이동체에 포함된 기존 단자를 통해 식별 디바이스가 장착(또는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 이동체에 대해서도 식별 디바이스가 쉽게 적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 적용되는 경우, 이동체는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가입자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과 유사하게 이동체 역시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이동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식별 디바이스에는 해당 사용자의 운행 기록 정보, 네이게이션 설정 정보, 이동체 설정 정보, 운전석 시트 정보, 조향 정보 등 사용자에 따른 환경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이동체가 식별 디바이스를 인식하면 이동체는 식별 디바이스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체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에 의해 이동체 이용에 대한 과금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도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통신에 기초하여 과금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공유 이동체 또는 다른 이동체를 이용에 기초하여 과금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이용 시간, 운행 거리 등에 기초하여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이동체 이용 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식별 디바이스를 이동체에 적용함으로서 이동체 사용에 대한 정보에 기초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에 식별 디바이스가 적용되지 않으면,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는 식별 디바이스가 적용되어 식별 디바이스를 인식한 경우에 한해서만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일 예로, 비상시 또는 긴급 상황을 고려한 일부 주행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에 식별 디바이스가 식별 및 인증되지 않은 경우에 이동체에 대한 제어 권한이 승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가 차량인 경우, 기존에는 차량의 시동을 턴온하면 차량을 직접 제어할 수 있으나, 식별 디바이스가 적용되는 경우, 차량에 시동이 턴온되고,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및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만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체는 완전 자율 주행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수신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다만, 이동체의 경우에는 이동을 목적으로 하는 다수의 동작 및 펑션이 정의될 수 있는바, 식별 및 인증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에는 보안 상의 문제 및 사고의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이동체는 기존과 다르게 턴온되고,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식별 및 인증까지 수행한 경우에 제어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의 턴온 여부와 무관하게 식별 디바이스가 작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에는 블랙 박스 등과 같이, 기존의 다른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식별 디바이스 동작 큰 전력이 소모되는 동작이 아닐 수 있는바, 이동체의 턴온 여부와 무관하게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가 턴온되지 않은 경우에도 식별 디바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식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이동체가 턴온되지 않은 경우에 식별 디바이스가 트리거링되기 위해서 차량 소유주의 개인 디바이스를 인식하는 경우에 식별 및 인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가 턴온되지 않더라도, 이동체 내부에 운전자 또는 다른 유저가 탑승함을 인지하면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및 인증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동체가 턴온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식별 디바이스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이동체에는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임의 제거가 방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체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안 및 사고에 대한 위험이 클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경우에 식별 디바이스가 임의로 탈착되는 경우에 인증 오류에 기초하여 사고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식별 디바이스의 임의 탈착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가 턴온되기 전에 식별 디바이스는 임의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이동체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식별 디바이스 탈착이 잠금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동체를 사용하고자 하는 유저는 이동체가 턴온되기 전에 식별 디바이스를 교체하고, 유저에 맞는 식별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가 턴온된 경우, 식별 디바이스의 임의 탈착이 금지될 수 잇다. 즉, 식별 디바이스 탈착에 대한 잠금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통해, 이동체에 대한 주행 중에 식별 디바이스 탈착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가 턴온된 경우에도 이동체의 주행 여부에 따라 탈착에 대한 잠금이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가 턴온된 경우라도 이동체가 주행 중이지 않은 경우라면 별도의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 후 식별 디바이스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별도의 디바이스는 스마트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때, 유저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식별 디바이스 탈착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이동체에 제공하여 식별 디바이스 탈착에 대한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식별 디바이스 탈착에 대한 잠금이 해제되며, 이동체에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된 경우, 이동체는 턴오프 될 수 있다. 그 후, 다른 식별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경우에 다른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반면, 이동체가 턴온되어 있고, 이동체가 주행 중인 경우에는 다른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더라도 식별 디바이스 탈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가 주행 중인 경우, 자율 주행이나 통신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정보를 교환하여 주행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식별 디바이스가 임의 탈착되는 경우에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임의 탈착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이동체에서 식별 디바이스 탈착이 수행될 수 있다.(S310) 이때,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 탈착은 유저에 의해 탈착되거나 이동체가 수신하는 트리거링 동작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트리거링 동작은 버튼이 눌리거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탈착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이동체에서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되는 경우에 이동체가 턴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20) 이동체가 턴온된 경우, 이동체가 주행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30) 이때, 이동체가 턴온되어 있고, 주행 중인 경우라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보안 및 사고 위험을 고려하여 식별 디바이스는 이동체에서 탈착이 불가능할 수 있다.(S340) 반면, 이동체가 주행 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식별 디바이스 탈착을 위한 별도의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S350)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디바이스는 스마트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이동체가 주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이고,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별도의 인증이 가능한 경우라면 이동체에서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S360) 이때, 일 예로, 이동체에서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된 경우에는 이동체는 턴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반면, 상술한 바에서 이동체가 턴오프 되어 있는 상태라면 식별 디바이스는 탈착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S360)
또 다른 일 예로, 도 4를 참조하면,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서 탈착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인식 및 장착은 이동체의 턴온 여부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동체에서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되는 경우(S401), 식별 디바이스 탈착을 위한 인증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S402) 이때, 인증 절차는 다른 디바이스(e.g. 스마트폰)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에서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되는 경우, 이동체는 유저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체에서 식별 디바이스를 탈착하기 위한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이때, 식별 디바이스가 무분별하게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체는 다른 디바이스로 식별 디바이스 탈착을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다른 디바이스는 이동체에 사전에 등록되어 인증이 완료된 디바이스거나, 이동체를 통해 인증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인증된 다른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하고, 이에 기초하여 인증이 완료되면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될 수 있다.(S403) 또 다른 일 예로, 인증 절차는 이동체에 포함된 입력 장치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는 홍채 인식, 지문 인식, 안면 인식 차량 헤드 유닛 입력, FOB 키, 인터넷 사전 예약, 다른 디바이스, 서버 및 모바일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동체가 식별 디바이스 탈착을 허여하기 위한 인증은 다른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이동체 내의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인증 절차는 등록된 유저 또는 인증된 유저에 대한 고유 특징에 기초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술한 홍채 인식이나, 지문 인식 또는 암호키 등을 이용하여 인증 및 인식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이동체가 인증을 완료하여 식별 디바이스를 탈착하는 경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물리적 잠금 장치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이동체는 인증을 완료하면 유저가 식별 디바이스를 탈착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반면, 인증 절차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식별 디바이스는 탈착이 불가능할 수 있다.(S404) 이때,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의 허여없이 무단으로 탈착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4b에서 후술한다.도 4b를 살펴보면, 이동체에서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S411) 이때, 도 4a처럼 식별 디바이스 탈착을 위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S412), 이동체에서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될 수 있다.(S414) 일 예로, 이동체에서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된 경우, 이동체는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S414) 이때, 대기 모드라 함은 이동체가 턴온될 수 있지만 유저에 의해 제어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대기모드에서 긴급 상황이나 비상 조치가 필요한 경우에 한해서만 이동체를 유저가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대기 모드에서 이동체를 주차시키거나 다른 차량의 주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일부 제어만이 허용될 수 있다. 즉, 대기 모드는 유저가 긴급 상황 등을 고려한 제어만이 가능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이동체를 제어하지 못하는 상태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에서 식별 디바이스가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탈착되는 경우(S412), 이동체는 무단 탈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413) 이때, 일 예로, 이동체는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무단 탈착 여부를 디텍트할 수 있다. 즉, 이동체는 식별 디바이스가 인증없이 탈착된 경우, 식별 디바이스 탈착과 관련된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다른 디바이스는 인증된 디바이스 또는 이동체에 등록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와 식별 디바이스 사이에서 인증 오류가 발생하여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없이 탈착이 시도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경우에는 무단 탈착으로 디텍트하는 경우, 불필요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체는 식별 디바이스가 인증없이 탈착되는 경우에도 무단 탈착이 아님을 디텍트한 경우, 알림이나 권한을 제어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동체는 등록된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무단 탈착이 아님을 알려주는 정보를 수신하면 무단 탈착이 아님을 인지하여 상술한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반면, 이동체가 식별 디바이스가 인증없이 탈착되고, 다른 디바이스를 통한 인증 없이 무단 탈착임을 디텍트한 경우(S413), 이동체에 대한 권한이 제어되고, 알림이 제공될 수 있다.(S415) 일 예로, 이동체는 등록된 다른 디바이스로 무단 탈착 정보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이동체는 내부의 출력 유닛을 통해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에 대한 권한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가 무단으로 탈착된 경우, 이동체 도어에 대한 잠금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는 이동체의 구동원에 파워, 연료 또는 에너지 공급을 차단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이동체에 대한 제어 권한이 해제되어 이동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지 못하도록 하여 이동체의 이동 또는 주행을 금지하거나 제한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의 통신망에 대한 제어 권한이 해제되어 이동체를 통해 외부망과 통신을 금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되는 경우에 외부망을 통해 이동체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신망에 대한 제어 권한도 해제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4c는 이동체가 주행 중에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이동체가 주행 중에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가 주행 중인 경우, 식별 디바이스는 탈착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의 인식 오류, 이동체의 주행 사고, 무단 탈취 등과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서 탈착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S421) 이때, 일 예로, 이동체가 주행 중인 상태인바, 이동체가 턴오프되거나 제어 권한이 종료되면 사고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이동체가 주행 중에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된 경우, 이동체는 이동체의 주행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S422) 일 예로, 이동체는 주행 속도, 주행 위치, 주변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이동체의 주행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는 주행 상황에 기초하여 이동체의 제어 권한을 전환하고, 주행 완료를 수행할 수 있다.(S423)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체는 주행 상황에 기초하여 식별 디바이스의 탈착에 대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가 인증 오류에 의해 탈착된 경우, 이동체는 주행 상황을 고려하여 주행 속도를 줄이고, 이동체가 주행을 중단할 수 있는 영역으로 이동하여 주행을 중지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주행 속도는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천천히 감속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는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된 경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실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주행 완료 상황까지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일 예로, 이동체가 충돌 등의 사고에 의해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가 충돌 등에 의해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된 경우라면 이동체의 주행이 종료된 상태로 전환되고, 사고 처리를 위한 추가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는 주행 상황 및 이동체의 상태를 디텍트하고, 디텍트한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이동체는 식별 디바이스 탈착을 통해 사고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정보는 서버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사고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에서 식별 디바이스가 무단 탈착된 경우라면 이동체는 주행 상황을 판단하여 주행 종료가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하여 주행을 종료하고, 이동체 도어에 대한 권한까지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무단 탈착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식별디바이스가 무단탈착 되더라도 이동체에서의 긴급 구난 신호 전송 등의 긴급 구조 기능은 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가 이용하는 통신망에는 긴급 구조 또는 긴급 상황을 고려한 통신 능력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이동체에서 식별 디바이스가 무단 탈착되는 경우, 이동체에 대한 외부 통신망 제어 권한이 해제될 수 있다. 즉, 이동체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 다만, 상술한 경우에도 이동체에 사고가 발생하거나 긴급 상황이 존재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긴급 구조 또는 긴급 상황에 대한 기능을 유지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기존의 스마트 디바이스(e.g.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디바이스 사용자와 식별 디바이스(e.g. USIM)가 일대일로 대응되는 경우가 일반적일 수 있다. 일 예로, 유저 또는 사용자가 해외 여행이나, 스마트폰 파손 등과 같은 이유를 제외하고는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변동이 불필요할 수 있었다. 다만, 일 예로, 이동체의 경우에는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일 예로, 차량이 경우, 차량 소유주뿐만 아니라 가족 또는 지인에 의한 주행이 가능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하나의 식별 디바이스에 복수의 사용자가 등록 또는 인증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식별 디바이스에는 복수의 사용자(e.g. 차량 소유주 및 차량 소유주 가족)가 등록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사용자별로 이용하는 서비스나 해당 정보가 다를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식별 디바이스에는 복수의 사용자가 등록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경우에는 이동체가 턴온되고, 식별 디바이스가 식별 및 인증되더라도 사용자 확인을 위한 추가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추가 사용자에 대한 인증은 이동체와 사용자 소유의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소유 디바이스는 이동체가 턴온되고,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및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을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신호는 이동체와 사용자 디바이스 사이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 내부 사용자에게만 상술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해당 디바이스에서 추가 인증을 수행하고, 식별 디바이스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 중 특정 사용자가 인식되어 이동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소유 디바이스의 추가 인증은 다른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가 턴온되고,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및 인증이 완료된 경우, 이동체는 추가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차량 운전석에 위치한 사용자를 인식하고, 이에 기초하여 식별 디바이스에 등록된 사용자 중 특정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지문 인식이나 별도의 인증키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이동체가 턴온되고,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및 인증이 완료된 경우, 각각의 사용자는 지문이나 별도의 인증키(e.g.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후, 이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별도의 인증은 지문 인식, 홍채 인식, 안면 인식 차량 헤드 유닛 입력, FOB 키, 인터넷 사전 예약, 다른 디바이스, 서버 및 모바일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즉, 별도의 인증이 필요할 수 있으며, 별도의 인증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별도의 인증은 사용자에 대한 고유 특징에 기초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사용자의 이미지, 목소리 등에 대한 인식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일 예로, 스마트 디바이스의 경우,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항상 휴대할 수 있으나, 이동체의 경우에는 주기적 또는 이벤트에 기초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과금이나 이동체의 이용에 대한 설정 정보 등을 고려하여 식별 디바이스만으로 식별 및 인증을 완료하는데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처럼 식별 디바이스가 식별 및 인증을 완료한 후, 사용자를 디텍트하는 상술한 방법에 기초하여 추가 인증까지 완료한 후에 이동체가 동작되거나 제어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가 단일 사용자에 의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추가 인증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단일 사용자의 경우에는 추가 인증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및 인증이 완료된 후 이동체를 바로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는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식별 및 인증이 완료되어야만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사용자에 대한 추가 인증까지 진행되어야 이동체가 제어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 디바이스에 의한 식별 및 인증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경우, 비상 상황에서 대처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이동체가 비상 상황을 디텍트하거나 인지하는 경우, 사용자는 식별 디바이스와 무관하게 이동체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일 예로, 비상 상황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한 설정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특정 상황을 고려하여 이동체의 제어 권한이 허용될 수 있으나, 비상 상황을 제외한 다른 경우에는 식별 디바이스에 의해서 이동체가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통해, 이동체에 복수의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차량에 차량을 위한 SIM 카드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SIM 카드에서는 차량 사용을 위한 복수 개의 사용자 정보가 등록될 수 있으며,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식별 및 인증 후에 개별 사용자 확인을 통해 동작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또 다른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와 이동체 사이에서 초기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에 추가 절차가 필요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가 턴온된 후 식별 디바이스를 인식하여 이동체가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 처음 장착되는 경우에는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 및 초기 설정이 가능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추가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가 턴온된 상태에서 식별 디바이스가 처음 장착되는 경우, 이동체는 식별 디바이스가 처음 장착된 식별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식별 디바이스가 기존에 장착되었던 식별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체는 해당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 디바이스 인식을 위한 설정을 수행하고, 이에 기초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동체는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 처음 장착된 경우, 이동체는 해당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는 식별 디바이스에 포함된 고유 아이디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식별 디바이스가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는 해당 식별 디바이스와 연동되고, 인증이 완료된 디바이스(e.g. 스마트폰)를 통해 추가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는 인증이 완료된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식별 디바이스가 권한을 가진 디바이스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초기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5a를 참조하면, 이동체(510)가 식별 디바이스(520)를 처음 인식하는 경우, 식별 디바이스(520)는 이동체(510)로 식별 디바이스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510)는 식별 디바이스의 고유 식별 정보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510)는 식별 디바이스 고유 식별 정보를 인증된 디바이스(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인증된 디바이스(500)는 이동체(510)로부터 인증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인증된 디바이스(500)는 이동체(510) 소유주와 동일 사용자의 스마트폰일 수 있다. 즉, 이동체(510)는 추가 인증을 위한 정보를 인증된 디바이스(5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인증된 디바이스(500)에서는 추가 인증을 위한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인증된 디바이스(500)는 식별 디바이스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인증된 디바이스(500)는 생성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된 디바이스(500)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입력된 정보와 생성된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인증된 디바이스(500)는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폰 사용자는 이동체로부터 인증을 위한 번호를 수신하고, 이를 스마트폰에 입력함으로서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인증된 디바이스(500)는 인증 결과 정보를 이동체(5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510)는 인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인증을 완료하고, 식별 디바이스(520)와의 추가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5b를 참조하면, 이동체(510)가 식별 디바이스를 처음 인식하는 경우, 식별 디바이스(520)는 이동체(510)로 고유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520)가 전송한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체(510)는 인증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이동체(510)는 유저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식별 디바이스(520)를 인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이동체(510)의 사용자는 식별 디바이스(520)에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를 사전에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고유 식별 정보는 식별 디바이스(520)를 통해 제공되거나 별도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이동체(510)가 식별 디바이스(520)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동체(510)는 사용자에게 고유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별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로 하여금 추가 인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추가 인증은 핀 번호, 시리얼 번호 또는 그 밖의 다른 번호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동체(510)와 식별 디바이스(520)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추가 인증을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이동체가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초기 인증을 성공하는 경우, 이동체는 해당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는 해당 식별 디바이스를 다시 인식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추가 절차없이 식별 디바이스와 인증 절차를 직접 수행하여 빠르게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 처음 장착되는 경우에는 권한 확인 및 설정을 위한 추가 절차가 필요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이동체는 해당 식별 디바이스를 등록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가 턴온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및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식별 디바이스는 이동체가 턴온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는 이동체가 턴온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식별 및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이동체는 식별 디바이스 인식하고, 인식된 식별 디바이스와 식별 및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서, 이동체는 주기적으로 식별 디바이스를 인증하기 위한 신호를 이동체 내부에 전송하거나 식별 디바이스가 디텍트됨을 감지하여 식별 및 인증을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는 턴온되어 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존재를 식별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술한 식별 및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에 내장 식별 디바이스(또는 임베디드 SIM, Embedded SIM, ESIM)으로 식별 디바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ESIM은 USIM처럼 물리적인 카드가 아닌 이동체 내부에 탑재되는 디지털 SIM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SIM에 포함되는 인증 정보를 암호화해 이동체 내부에 탑재하는 SIM이 ESIM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의 ESIM에 포함된 정보는 원격 또는 기타 통신에 기초하여 수정될 수 있다. 즉, 이동체의 경우 소유주가 존재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한 인증 정보 구현이 필요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의 소유주는 쉽게 변경되지 않는 정보일 수 있는바, ESIM을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를 구현하고, 인증을 통해 이동체 운행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에 ESIM이 적용된 경우, 이동체(또는 모빌리티) 내의 인증 시스템에 기초하여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에 내장된 ESIM에 대한 인증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 디바이스, 헤드 유닛 등일 수 있다. 즉, 이동체에 내장된 ESIM에 대한 인증은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에 내장된 ESIM은 서버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인증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 디바이스는 기지국과 통신을 통해 SIM을 인식할 수 있다. 이동체의 ESIM도 유사한 방식에 기초하여 ESIM과 서버의 통신에 기초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이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에 내장된 ESIM은 D2D 방식 또는 M2M 방식에 기초하여 인증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 소유주 또는 운전자는 이동체를 주행하고자 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에 내장된 ESIM에 대한 인증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한 모바일 디바이스와 D2D 방식에 기초하여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 보안 등을 고려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인증 방식이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ESIM의 경우에는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바, 탈착 또는 탈거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일반 식별 디바이스의 경우 이동체 도난이나 기타 상황을 고려하여 이동체에서 탈착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 도난 및 강제 탈거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일 필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이동체 도난 및 강제 탈거 방지를 위한 시스템은 물리적 또는 기계적 장치로서 접근이 제한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 도난 및 강제 탈거 방지를 위한 시스템은 식별 디바이스 사용을 제한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 도난 및 강제 탈거 방지를 위한 시스템은 인증을 제한하여 별도의 동작을 금지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즉, 이동체 도난 및 강제 탈거 방지를 위한 시스템이라 함은 하드웨어적, 기계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강제 탈거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을 지칭하는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이동체에 식별 디바이스가 적용되는 경우, 식별 디바이스를 탈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로 추가 인증이 필요할 수 있다. 즉, 이동체의 식별 디바이스와 상호 인증된 다른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인증 및 확인 후에 식별 디바이스를 탈착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개인 인증을 통해 식별 디바이스 탈착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지문 인식, 홍채 인식 또는 안면 인식과 같이 사용자에 대한 고유 특징에 기초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서만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탈착은 인공 지능에 기초하여 필요한 정보가 인증된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이미지, 목소리 등에 대한 인식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탈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도 3에서처럼 이동체의 턴온 여부나 주행 여부에 따라 탈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보안 및 사고 방지를 위해 이동체 턴온 여부나 주행 여부와 무관하게 인증에 기초하여 탈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에는 주변 IoT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하고, 이에 기초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로, IoT 기기들 역시 식별 디바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일 예로, 현재는 스마트 폰에만 식별 디바이스가 적용될 수 있으나, 서로 상호 호환되고, 동일한 사용자를 식별하는 복수 개의 식별 디바이스가 스마트폰, 이동체, 가전 기기 등 복수 개의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사용자에 대한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복수의 디바이스들에게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가 식별 디바이스를 구비한 경우, 이동체는 ITS 인프라와 결합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의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동체에 식별 디바이스가 인식되고, 인식된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주변 ITS 인프라를 통해 자율 주행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인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서비스/보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동체 공유 서비스처럼 공유 서비스 등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의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ITS 인프라 또는 교통 시스템에 대한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의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서버 또는 RSU와 통신을 수행하고, 이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에서 엣지 컴퓨팅에 기초하여 교통 인프라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의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고, IoT 또는 ITS 인프라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증된 사용자에 기초하여 주행 중인 이동체 인접한 영역에 가로등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중앙 제어가 아닌 이동체의 식별 디바이스와 주변 인프라와의 인증을 통해 직접 제어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서 지연을 방지하고,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 디바이스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이동체에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인증이 수행된 경우, 이동체의 제어가 식별 디바이스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일 예로, 이동체가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인증을 완료하면, 시트, 디스플레이, 이동체 제어, 네비게이션 서비스 등과 같이 이동체 설정 정보가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식별 디바이스는 인증뿐만 아니라, 이동체 이용의 편의를 높이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 공유 시스템에서 식별 디바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공유 이동체는 주기적으로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공유 이동체에 대한 제어를 매 사용자마다 수행하는 것은 운영에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이동체 사용자를 식별하고, 이에 기초하여 이동체 제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공유 이동체에 대한 임차인은 자신의 식별 디바이스를 이동체에 장착하고, 이동체에서 식별 디바이스를 인식하면 공유 이동체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공유 서비스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 디바이스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체의 시트, 디스플레이, 조향 등과 같은 개인 설정이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공유 서비스의 경우,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이동체 이용에 대한 과금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이동체 사용을 사용자별로 구별하는 것은 기준이 불명확할 수 있는바,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각각의 개인에 대한 과금이 가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개인 이동체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경우에는 임대인의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임차인이 이동체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임대인은 식별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권한을 임차인에게 제공하고, 임차인은 허여된 제어 권한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이동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권한은 패스워드 또는 임차인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임대안 식별 디바이스와 임차인 식별 디바이스가 모두 존재할 수 있고, 이동체는 복수 개의 식별 디바이스가 인식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다른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 적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이동체 보안을 고려하여 서버에 기초하여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는 보안 인증서 및 보안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체의 식별 디바이스와 서버의 보안을 통해 보안이 인증된 경우에만 이동체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고 이동체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 적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이동체 보안을 고려하여 서버 없이 보안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는 V2X 또는 V2V 통신에 기초하여 주변 이동체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이동체 또는 디바이스는 블록 체인에 기초하여 각각의 해쉬 값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통해 상호 보안이 인증될 수 있다. 즉, 블록 체인을 통해 이동체 보안을 담보할 수 있다.
또한, 도 5c는 이동체가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이동체(510)는 이동체를 턴온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가 턴온되는 경우는 이동체의 시동이 켜지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510)가 식별 디바이스(520)를 인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식별 디바이스(5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510)에 탈부착되거나, 임베디드 형태로 내장될 수 있다. 이때, 이동체(510)가 턴온된 경우, 이동체(510)는 식별 디바이스(520)가 장착된 상태를 디텍트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호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510)와 식별 디바이스(520)의 상호 인식이 완료된 경우, 식별 디바이스(520)는 사용자 정보를 네트워크(5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53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정보를 식별 디바이스(5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인증 정보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비밀키 또는 인증키일 수 있다. 그 후, 식별 디바이스(520)는 수신한 인증 정보와 식별 디바이스(52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 응답을 네트워크(530)로 전송하고, 네트워크(530)는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그 후, 이동체(510)는 식별 디바이스(520)를 통해 네트워크(53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이동체(510)는 식별된 사용자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절차에 기초하여 식별 디바이스(520)가 부착된 이동체(510)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식별 디바이스(520)는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체에 대한 서비스가 다양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로서 차량은 현재 주행을 위해 사용되고 있으나, 각각의 사용자를 구별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동체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고, 개인 성향 또는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설정이나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식별 디바이스(520)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는 설정을 저장하고, 이를 각각의 이동체에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520)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정보는 전화번호부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네비게이션 정보, 과금 정보 및 이동체 설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510)가 식별 디바이스(520)를 통해 제어되는 경우, 이동체(510)는 식별 디바이스(520)에 기초하여 네트워크(53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510)는 스마트 디바이스(e.g. 스마트폰)과 동일하게 데이터 정보 및 음성 호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와 교환할 수 있다. 즉, 기존 스마트 디바이스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를 위해 식별 디바이스(520)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처럼 전화번호부 정보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510) 사용자는 식별 디바이스(520)에 포함된 정보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술한 동작을 고려하여 식별 디바이스(520)에는 과금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520)에서는 네트워크(530)를 통해 송수신하는 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과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530) 또는 서버는 상술한 과금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 디바이스(520)로 데이터 사용 또는 음성 호 신호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동체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공되는 서비스 및 사용하는 데이터는 식별 디바이스(520)에 기초하여 관리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520)에는 이동체 설정 정보 및 이동체 관련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51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별로 이동체(510)에 대한 설정을 다르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 설정 정보는 자율 주행 레벨 정보, 차량 시트, 계기판 모드 설정, 사용 채널, 네비게이션 설정, 개인 디바이스 설정, 미러 설정 등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 설정 정보는 운전석의 위치와 높이, 실내등의 색상과 밝기,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 위치 및 각도, 차내 온도 조정 (에어컨 및 히터) 범위, 조향장치(Steering wheel) 각도, 타이어 공기압, 변속기 설정 모드 (일반, 에코, 파워 모드 등), 무선통신 연결 모드 (WAVE, 셀룰러 등), 자율주행 기능설정 변수 범위 (속도 및 차간 간격, 차로변경 횡속도, 가속 및 감속 등) 등과 같이 다양한 운전 환경을 이용자 개인 디바이스에 설정된 운전 성향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이동체 설정 정보는 상술한 정보 이외에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동체(51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를 고려하여 이동체(510)가 제어되도록 사용자 설정 정보가 식별 디바이스(520)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이동체(51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식별 디바이스(520)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520)는 네트워크(530)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지만, 외부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510)는 상술한 바처럼 식별 디바이스(520)에 기초하여 식별 및 인증이 될 수 있으나, 보안 및 사고 위험을 고려하여 외부 통신망과 통신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식별 디바이스(520)는 근거리 통신망으로써, 이동체 내부에 존재하는 다른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동체(510)에 대한 제어는 식별 디바이스(520)에 의해 수행되더라도, 이동체인 점을 고려하여 식별 디바이스는 일정 범위 내의 특정 디바이스들과 통신 및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하나의 식별 디바이스에는 복수 개의 사용자가 등록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경우, 복수 개의 사용자에 대해서 각각의 서비스 및 데이터 사용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과금 정보도 복수 개의 사용자 각각에 설정되고 관리될 수 있다. 반면, 또 다른 일 예로, 하나의 식별 디바이스에 복수 개의 사용자에 대해서는 각각의 서비스 및 데이터 사용이 개별적을 허용될 수 있다. 다만, 서비스 및 데이터 이용에 대한 과금 정보나 데이터 이용 정보는 하나로 관리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을 고려하는 경우에 하나의 식별 디바이스에 등록된 복수 개의 사용자 각각에 대해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으나, 서비스에 대한 관리에서는 식별 디바이스 자체로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하나의 식별 디바이스에 복수 개의 사용자가 등록되는 경우에 있어서 이동체 공통 정보 및 사용자 특정 정보가 구별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식별 디바이스에 복수 개의 사용자가 등록된 경우에도 이동체 식별을 고려한 공통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이때, 공통 정보에 대해서는 각각의 사용자를 구별하는 것은 불필요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해서는 식별 디바이스가 자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상태 정보 등은 사용자마다 상이하지 않을 수 있으나, 공통 정보일 수 있다. 반면, 네비게이션 설정이나 차량 시트 설정 등은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는바, 사용자 특정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는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공통 정보 및 사용자 특정 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이동체에 복수 개의 식별 디바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복수 개의 식별 디바이스는 동일한 사용자에 대한 식별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동일한 유저가 복수 개의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이동체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복수 개의 식별 디바이스 중 특정 디바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에 대한 인식 후,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통신망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및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반면, 복수 개의 식별 디바이스 중 특정 디바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에 대한 인식 후, 이동체 내부의 특정 디바이스로서 근거리 통신망에 기초한 서비스 및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를 통해 다른 유저와 통화를 하거나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데이터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외부망과 연결이 가능한 식별 디바이스로 이동체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자율 주행 모드나 차량 보안과 관련된 사항에 대해서는 외부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특정 식별 디바이스로서 이동체 내부에서만 인식되는 서비스 및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율 주행 정보 또는 사용자 운전 패턴 분석 정보 등과 같이 사용자가 이동체를 이용하는 경우에 획득되거나 이용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외부 접근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고려하여 이동체에는 복수 개의 식별 디바이스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각각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일 예로, 이동체의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의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이동체 운행 기록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체 운행 기록을 개인별로 확인하고, 서버 또는 시스템을 통해 활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이동체 운행 정보 및 관련 정보는 이동체를 기준으로 정보가 저장되고 공유될 수 있다. 이때, 이동체에 식별 디바이스가 적용되는 경우,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고, 사용자별로 이동체 운행 정보 및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활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 운행 정보는 방문 지역 정보, 운행 거리 정보, 운전 패턴 정보, 운전 경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 운행 정보는 이동체와 관련하여 식별 디바이스 사용자를 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사용자는 식별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자신과 관련된 이동체 운행 정보를 저장하고 활용할 수 있는바, 이동체가 변경된 경우에도 관련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식별 디바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또는 ITS 인프라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자율 주행 레벨, 주변 음식점 정보,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이, 자신의 운전 패턴과 관련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해당 정보가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 6을 참조하면, 이동체(610)는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다른 디바이스는 스마트 디바이스(620), IoT에 기초한 주변 장치(630), 통신 가능한 홈 가전(640) 또는 RSU나 ITS 인프라(650)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이동체(610)는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식별 및 인증되어 사용될 수 있는바,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통신 가능한 상술한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스마트 디바이스의 식별 디바이스(e.g. USIM)은 이동체의 식별 디바이스와 호환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다른 디바이스에도 이동체와 동일하게 각각의 식별 디바이스가 장착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한명의 유저(또는 사용자)는 각각의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디바이스를 소유할 수 있다. 즉, 상술한 각각의 디바이스들에는 각각의 식별 디바이스가 장착될 수 있으며, 해당 식별 디바이스가 지시하는 사용자 정보는 동일할 수 있다. 즉, 동일 사용자가 다양한 디바이스에 동일한 사용자 아이디에 기초한 식별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동일한 사용자 아이디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체와 다른 디바이스는 연동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사용자 아이디 및 동일 유저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제어되는바,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 후, 이에 대한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각각의 디바이스는 머신 러닝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 이력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 후, 업데이트된 사용 이력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와 교환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다른 디바이스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동일한 아이디에 기초한 복수 개의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과금 정보에 대해서도 하나의 사용자 아이디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편의를 높일 수 있다.
도 7은 이동체가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체가 턴온되면 식별 디바이스를 인식할 수 있다.(S710) 일 예로, 이동체가 차량인 경우에 시동이 걸리는 경우에 이동체는 접축부를 통해 식별 디바이스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와 식별 디바이스의 인식이 완료되는 경우, 인식된 식별 디바이스를 통해 네트워크와 인증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S720) 그 후, 식별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는 인증 절차에 기초하여 인정되면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이동체가 제외될 수 있다.(S730)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에는 사용자 아이디에 기초하여 이동체 설정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체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체 동작에 대한 정보가 처리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내장된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내장된 식별 디바이스 또는 식별 디바이스는 도 8과 같이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프로파일 정보는 사용자 관련 정보 또는 이동체 사용을 위해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 보안 및 식별 디바이스의 보완을 고려하여 프로파일에 접근 가능한 구성과 이동체와 인증을 수행하는 구성이 구별될 수 있다. 즉, 내장된 식별 디바이스에서 프로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구성은 이동체 제어에 대한 정보를 프로파일에서 획득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이동체와 인증 가능한 구성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 8에 개시된 구성이 아닌 다른 구성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9는 식별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식별 디바이스(1000)는 이동체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접촉되어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접촉부(10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1000)는 식별 디바이스(1000)에 기초한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제어부(10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디바이스(1000)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교환하는 안테나부(10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어부(1020)는 상술한 접촉부(1010) 및 송수신부(10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들은 하드웨어적인 구성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일 수 있다. 즉, 실제 물리적으로 식별 디바이스(1000)에 포함되는 구성이거나, 식별 디바이스(1000)의 동작 및 펑션에 기초하여 동작되는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을 지칭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장치는 상술한 이동체, 디바이스, 서버 및 RSU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치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고, 연동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장치(1100)는 상술한 동작을 위해 프로세서(1110) 및 송수신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치는 다른 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장치는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다른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치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술한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이며,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장치(1100)는 다른 장치(e.g. 식별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장착부(1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장착부는 상술한 도 2a 내지 도 2d와 같은 형태로 이동체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장착부(1130)는 이동체 내부에서 운전석 앞단의 어느 한 영역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장착부(1130)는 이동체 내부에서 보조석 키트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장착부(1130)는 이동체 내부의 미러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장착부(1130)는 이동체 내부에서 크래들 또는 패들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즉, 장치(1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디바이스로서 식별 디바이스를 인식하기 위한 장착부(11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다른 디바이스를 인식하고,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장착부(1130)는 상술한 도 9의 장치가 장착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장착부(1130)는 도 4와 같이 이동체 내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장착부(1130)는 물리적인 구성으로 장치(1100) 내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장착부(1130)는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으로 장치(1100) 내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장착부(1130)가 장치(1100) 내부에서 구현되는 경우 상술한 바처럼 식별 디바이스도 물리적 구성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으로 장치(1100) 내에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1000 : 식별 디바이스
1010 : 접촉부
1020 : 제어부
1030 : 안테나부
1100 : 이동체
1110 : 프로세서
1120 : 송수신부
1130 : 장착부

Claims (33)

  1. 이동체에서 식별 디바이스를 탈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상기 이동체에 인식되어 장착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상기 이동체에서 탈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체 및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상기 이동체에서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식별 디바이스 탈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턴오프된 상태이면 상기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식별 디바이스 탈착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턴온 상태에서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되는 경우, 상기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어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식별 디바이스 탈착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턴온 상태에서 주행 중인 경우, 상기 식별 디바이스는 탈착이 불가능한, 식별 디바이스 탈착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와 상기 식별 디바이스는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어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식별 디바이스 탈착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와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가 다른 디바이스로 인증 절차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완료를 위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인증 절차가 완료되는, 식별 디바이스 탈착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디바이스는 상기 이동체에 등록된 디바이스 또는 상기 이동체에 인증된 디바이스인, 식별 디바이스 탈착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절차는 홍채 인식, 지문 인식, 안면 인식, 음성 인식, 차량 헤드 유닛 입력, FOB 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식별 디바이스 탈착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절차를 위한 유저 식별 정보가 상기 이동체에 저장되고, 상기 인증 절차는 상기 저장된 유저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식별 디바이스 탈착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절차가 완료되기 전에 상기 이동체가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된 상태임을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는 상기 식별 디바이스의 무단 탈착 여부를 디텍트하는, 식별 디바이스 탈착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무단 탈착 여부를 외부 디바이스와 정보 교환을 통해 수행하는, 식별 디바이스 탈착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무단 탈착됨을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는 무단 탈착 관련 정보는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식별 디바이스 탈착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이동체가 등록된 서버 및 상기 이동체가 등록된 모바일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식별 디바이스 탈착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주행 상태에서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무단 탈착됨을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의 주행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의 주행을 종료하는, 식별 디바이스 탈착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에서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되는 경우, 상기 이동체는 대기 모드로 전환되는, 식별 디바이스 탈착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긴급 상황에 대한 동작만 수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식별 디바이스 탈착 방법.
  17. 식별 디바이스가 적용된 이동체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장착되면 상기 식별 디바이스를 인식하고,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상기 이동체에서 탈착됨을 디텍트하되,
    상기 이동체 및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상기 이동체에서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이동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턴오프된 상태이면 상기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이동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턴온 상태에서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되는 경우, 상기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어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이동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턴온 상태에서 주행 중인 경우, 상기 식별 디바이스는 탈착이 불가능한, 이동체.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와 상기 식별 디바이스는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어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이동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와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가 다른 디바이스로 인증 절차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완료를 위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인증 절차가 완료되는, 이동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디바이스는 상기 이동체에 등록된 디바이스 또는 상기 이동체에 인증된 디바이스인, 이동체.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절차는 홍채 인식, 지문 인식, 안면 인식, 음성 인식, 차량 헤드 유닛 입력, FOB 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이동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절차를 위한 유저 식별 정보가 상기 이동체에 저장되고, 상기 인증 절차는 상기 저장된 유저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이동체.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절차가 완료되기 전에 상기 이동체가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된 상태임을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는 상기 식별 디바이스의 무단 탈착 여부를 디텍트하는, 이동체.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무단 탈착 여부를 외부 디바이스와 정보 교환을 통해 수행하는, 이동체.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무단 탈착됨을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는 무단 탈착 관련 정보는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이동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이동체가 등록된 서버 및 상기 이동체가 등록된 모바일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동체.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주행 상태에서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무단 탈착됨을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의 주행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의 주행을 종료하는, 이동체.
  3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에서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탈착되는 경우, 상기 이동체는 대기 모드로 전환되는, 이동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긴급 상황에 대한 동작만 수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이동체.
  33.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체; 및
    식별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상기 이동체에 인식되어 장착되고,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상기 이동체에서 탈착되되,
    상기 이동체 및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식별 디바이스가 상기 이동체에서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시스템.
KR1020190032594A 2019-02-07 2019-03-21 식별 디바이스를 이동체에 탈부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62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594A KR102662028B1 (ko) 2019-03-21 2019-03-21 식별 디바이스를 이동체에 탈부착하는 방법 및 장치
DE102020102797.4A DE102020102797A1 (de) 2019-02-07 2020-02-04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sich bewenden objekts unter verwendung einer identifizierungseinrichtung
US16/782,265 US11412379B2 (en) 2019-02-07 2020-02-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ving object using identification device
CN202010082957.0A CN111541461B (zh) 2019-02-07 2020-02-07 移动物体、控制移动物体的方法及分离识别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594A KR102662028B1 (ko) 2019-03-21 2019-03-21 식별 디바이스를 이동체에 탈부착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314A true KR20200112314A (ko) 2020-10-05
KR102662028B1 KR102662028B1 (ko) 2024-04-29

Family

ID=72809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594A KR102662028B1 (ko) 2019-02-07 2019-03-21 식별 디바이스를 이동체에 탈부착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0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07697A (zh) * 2021-03-18 2022-09-27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去中心化的车辆远程预启动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40086A1 (en) * 2013-02-25 2014-08-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ology for emergency transfer of keys for vehicle equipped with biometric access and start
US20170129454A1 (en) * 2015-11-10 2017-05-11 Unimicron Technology Corp.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living body from being locked in vehicle
US20180268406A1 (en) * 2017-03-20 2018-09-20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issuer-defined prompts and data coll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40086A1 (en) * 2013-02-25 2014-08-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ology for emergency transfer of keys for vehicle equipped with biometric access and start
US20170129454A1 (en) * 2015-11-10 2017-05-11 Unimicron Technology Corp.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living body from being locked in vehicle
US20180268406A1 (en) * 2017-03-20 2018-09-20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issuer-defined prompts and data colle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07697A (zh) * 2021-03-18 2022-09-27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去中心化的车辆远程预启动方法及系统
CN115107697B (zh) * 2021-03-18 2023-10-24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去中心化的车辆远程预启动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028B1 (ko) 202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23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ving object using identification device
US10764256B2 (en) Smart phone, vehicle control system having smart phone, and control method
US20180326947A1 (en) Operating a key fob in a car sharing system
US97544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key fob base station enabling remote car access using a nomadic device
KR101480880B1 (ko) 자물쇠 시스템의 무선 제어 및 제어 권한 전송이 가능한 전자키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EP2657917B1 (en) Electronic key registration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US202101468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ving object using identification device for a plurality of users
US110211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vehicle function control
CN110293919B (zh) 车辆控制装置
US113084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leet system using identity device
JP2019036091A (ja) 車両保安システム及び車両保安方法
US115166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ving object using master identity device and slave identity device
KR101992708B1 (ko) 차량을 제어하는 단말기 및 그의 차량 제어 방법
KR102662028B1 (ko) 식별 디바이스를 이동체에 탈부착하는 방법 및 장치
EP37399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ving object based on edge computing
KR20200112313A (ko) 식별 디바이스를 활용한 이동체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1954202B (zh) 运动物体和操作运动物体的方法及边缘计算系统
KR20200120243A (ko) 이동체에 복수 개의 식별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121004A (ko) 공유자 무선단말을 이용한 역방향 파커 공유 방법
KR20200096004A (ko) 식별 디바이스를 활용한 이동체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20094673A (ko) 휴대 단말기와 차량 단말기 및 인증 코드 등록 방법
JP2020170993A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20170134906A (ko) 공유자 무선단말을 이용한 역방향 파커 공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