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177A - Protective Cover For Wheelchair - Google Patents

Protective Cover For Wheel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177A
KR20200112177A KR1020190032231A KR20190032231A KR20200112177A KR 20200112177 A KR20200112177 A KR 20200112177A KR 1020190032231 A KR1020190032231 A KR 1020190032231A KR 20190032231 A KR20190032231 A KR 20190032231A KR 20200112177 A KR20200112177 A KR 20200112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cover
fixing band
frame member
protec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2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영배
Original Assignee
유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배 filed Critical 유영배
Priority to KR1020190032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2177A/en
Publication of KR20200112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17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8Hoods protecting the ri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over for a wheelchair and, more specifically, to a protective cover for a wheelchair, which can protect an occupant when moved outside in snowy or rainy environments or environments with severe yellow dust or fine dust and be easily detached without interfering with movement of the wheelchair. To this end, the protective cover for a wheelchair includes a cover frame member and a fastening member.

Description

휠체어용 보호 커버 {Protective Cover For Wheelchair}Protective Cover For Wheelchair {Protective Cover For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용 보호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눈 또는 비가오거나 황사 또는 미세먼지가 심한 환경에서 외부 이동시 탑승자를 보호하고 휠체어의 이동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손쉬운 탈착이 가능한 휠체어용 보호 커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over for a wheelchair, and more particularly, a protective cover for a wheelchair that is easily detachable without disturbing the movement of the wheelchair and protects the occupant when moving outside in an environment of heavy snow, rain, yellow dust or fine dust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보행이 불편한 환자, 노인 등 노약자 등이 이용하는 이동 수단으로 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노약자의 편안한 이동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필수 이동수단이다.In general, a wheelchair is a means of transportation used by the elderly such as patients with disabilities to walk, the elderly, etc., and is an essential means of transportation necessary for comfortable movement of the elderly not only inside but also outside.

그러나 종래에는 휠체어용 보호 커버가 없기 때문에 눈이나 비가 내리는 경우 휠체어 이용을 위해서는 우산을 이용하여야 하고 우산의 커버 면적이 작아서 우산을 사용하면서도 비 또는 눈으로부터 탑승자를 완전히 보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탑승자가 직접 운전하는 경우 한 손으로 우산을 들어야 하므로 동시에 휠체어 조작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ly, there is no protective cover for wheelchairs, so if it is snow or rain, an umbrella must be used for wheelchair use, and the cover area of the umbrella is small, so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protect the occupant from rain or snow while using an umbrella. When driving directl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perate a wheelchair at the same time, since you have to lift an umbrella with one hand.

이와 관련 유모차용 레인 커버가 있지만, 종래의 유모차용 레인 커버는 프레임에 결합하는 방식이라 조립 해체가 매우 어려우며, 유모차의 경우 바퀴가 작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 하부에 위치하고 탑승자가 직접 운전하지 않기 때문에 바퀴를 덮지 않는 구조이므로 프레임에 체결하는 구조가 가능하지만 휠체어는 바퀴가 측면으로 돌출되는 구조이며 탑승자가 직접 운전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바퀴까지 덮어야 하는 구조이므로 커버의 장착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There is a rain cover for stroller related to this, but it is very difficult to assemble and disassemble the conventional rain cover for stroller because it is combined with the frame. Since it is not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fasten it to the frame, but the wheelchai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heel protrudes to the side, and it is a structure that covers the wheel even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of the occupant's direct driving, so it is very difficult to mount the cover.

또한, 황사 또는 미세먼지가 심한 환경에서 이동시에도 탑승자 보호를 위한 커버가 절실한 실정이다.In addition,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a cover to protect occupants even when moving in an environment with severe yellow dust or fine dus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눈 또는 비가오거나 황사 또는 미세먼지가 심한 환경에서 외부 이동시 탑승자를 보호하고 휠체어의 이동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손쉬운 탈착이 가능한 휠체어용 보호 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tect the occupant when moving outside in an environment with heavy snow, rain, yellow dust, or fine dust, and for a wheelchair that can be easily detached without disturbing the movement of the wheelchair It is in providing a cov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보호 커버는 휠체어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속 빈 형태로 구성된 커버 프레임 부재와;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의 개방부 사이에 연결되고 휠체어와 체결되어 상기 휠체어 상에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을 부양된 상태로 고정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otective cover for a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frame member configured in a hollow shape capable of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wheelchai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stening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openings of the cover frame member and fastened to the wheelchair to fix the cover frame member on the wheelchair in a raised state.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는 하부가 개방되고 휠체어에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설치가 가능하도록 휠체어에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에 순응한 형상을 가지되; 탑승자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탑승자가 앉는 시트 상부가 반원형으로 돌출되고 발 받침대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낮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휠체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탑승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전방과 양 측면을 포함하는 3면에 투명 커버부를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형상을 유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ver frame member has a shape conform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occupant is boarded in the wheelchair so that the lower part thereof is opened and it can be installed while the occupant is in the wheelchair; In order to secure the occupant space,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on which the occupant sits protrudes in a semicircular shape and is configured to have a shape that is inclined and lowered toward the footrest; A cover including a transparent cover on three sides including the front and both sides for securing a view of the occupant while mounted on the wheelchai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cover.

상기 체결부재는 길이 조절을 통해 휠체어 시트 등받이에 삽입되어 고정 체결되는 시트고정밴드와; 상기 시트고정밴드와 일체로 연결되고, 커버 프레임 부재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커버 프레임 부재를 부양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astening member includes a seat fixing band that is inserted into the back of the wheelchair seat and fixedly fastened through length adjustmen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suppor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at fixing b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frame member to support the cover frame member in a floating state.

상기 시트 고정 밴드는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의 개방부 사이에 상기 지지 서포트와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연결 서포트와; 상기 연결 밴드와 연결되고 상기 휠체어 시트의 등받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의 고리로 형성된 고정 밴드와; 상기 연결 서포트와 고정 밴드 사이에 체결되어 길이를 조절하는 2개의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at fixing band includes two connection supports each connected to the support support between the openings of the cover frame member; A fixing b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nd and formed into a circular ring to be inserted into a backrest of the wheelchair sea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wo clips that are fastened between the connection support and the fixing band to adjust the length.

상기 고정 밴드는 원형의 고리를 가지도록 2겹의 밴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2겹의 밴드 사이의 공간이 고리를 이루고 상기 고리를 휠체어 시트의 등받이에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클립은 상기 2겹의 고정 밴드를 가압한 상태로 락 상태에 있으며,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2겹의 고정 밴드에 가압이 해제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 상태로 전환되어 휠체어 시트의 너비에 따라 길이를 조절한 뒤 상기 버튼을 놓으면 다시 락 상태로 전환되어 고정 밴드가 휠체어 시트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xing band may be composed of a two-ply band to have a circular ring, and a space between the two-ply bands forms a ring, and the ring can be inserted into a backrest of a wheelchair seat; The clip is in a locked state while pressing the two-ply fixing band, and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two-ply fixing band is released from the pressure, and the clip is switched to a length-adjustable state that allows length adjustment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wheelchair sea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button is released after adjusting the length, it is switched back to the locked state so that the fixing band can be firmly fixed to the wheelchair seat.

여기서, 상기 클립은 상기 고정 밴드의 양 단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고정 밴드를 락 상태와 길이 조절 상태로 전환하는 버튼과; 상기 탄성 버튼이 가압과 해제에 따라 2겹의 밴드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는 고정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clip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band, respectively, a button for switching the fixing band to a lock state and a length adjustment state; The elastic butt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lock for pressing or releasing the pressure of the two-ply band according to the pressing and releasing.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는 보호 프레임 커버의 전면 투명부 내부 양단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를 더 포함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ver fram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side mirror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inside of the front transparent portion of the protective frame cover.

그리고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는 야간 이동 중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외측에 야광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cover fram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luminous pad on the outside to ensure safety during night movement.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보호 커버는 휠체어 시트 등받이에 간편하게 체결될 수 있으므로 탈착이 매우 용이하고, 보호 커버가 부양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휠체어 운전에 불편없이 탑승자 보호가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otective cover for a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fastened to the back of the wheelchair seat, so it is very easy to detach and detach, and because the protective cover can be fixed in a supported state, it is excellent to protect the occupant without inconvenience in driving a wheelchair. The effect occur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보호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호 커버가 휠체어에 장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커버가 접이식으로 구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밴드를 통해 보호 커버를 휠체어에 장착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 내부에 사이드 미러가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 외측에 야광 패드가 부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tective cover for a wheel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shows that the protective cover of FIG. 1 is mounted on a wheelchair.
3 schematically shows that the protectiv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a foldable manner.
4 schematically shows a fastening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chematically shows the operation of a cli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chematically shows the mounting of the protective cover to the wheelchair through a fixing b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chematically shows a side mirror coupled to the inside of a protective c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chematically illustrates that a luminous pad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a protective c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보호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호 커버가 휠체어에 장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tective cover for a wheel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chematically illustrates that the protective cover of FIG. 1 is mounted on a wheelchair.

본 발명에 따는 보호 커버는 눈, 비, 우박 등 내리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레인 커버와 황사 또는 미세먼지가 심한 환경에서 휠체어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된다.The protectiv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as a concept encompassing a rain cover used in an environment such as snow, rain, hail, etc. and a means for protecting a wheelchair occupant in an environment of severe yellow dust or fine dust.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보호 커버는 휠체어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속 빈 형태로 구성된 커버 프레임 부재(10)와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의 개방부 사이에 연결되고 휠체어와 체결되어 상기 휠체어 상에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을 부양된 상태로 고정하는 체결 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rotective cover for a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cover frame member 10 configured in a hollow shape capable of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wheelchair and the opening of the cover frame member, and is fastened to the wheelchair to attach the cover frame member on the wheelchai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astening member 20 to be fixed in a raised state.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10)는 하부가 개방되고 휠체어에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설치가 가능하도록 휠체어에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에 순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cover frame member 10 may be manufactured in a shape conform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occupant is boarded in the wheelchair so that the lower part is opened and the occupant is installed in the wheelchair.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10)는 탑승자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탑승자가 앉는 시트 상부가 반원형으로 돌출되고 발 받침대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낮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ver frame member 1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on which the occupant sits protrudes in a semicircular shape to secure a space for the occupant, and has an inclined and lowered shape in the direction of the footrest.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10)는 휠체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탑승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전방과 양 측면을 포함하는 3면에 투명 커버부(111)를 포함하는 커버(110)와 상기 커버의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유지서포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ver frame member 10 maintains the shape of the cover 110 including the transparent cover part 111 on three surfaces including the front and both sides to secure the view of the occupant while mounted on the wheelchai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hape-maintaining support (120).

상기 커버(110)는 눈, 비 등 수분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 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ver 110 may be made of a waterproof synthetic resin or fiber to prevent moisture such as snow and rain from penetrating into the interior.

상기 형상유지서포트(120)는 상기 커버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뼈대 역할을 하는 지지틀로서 고정형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도 3과 같이 커버를 접이식으로 구성하기 위해 상기 형상유지서포트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shape maintaining support 120 is a support frame serving as a skeleton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cover, and may be configured in a fixed type, but in order to configure the cover in a foldable shape as shown in FIG. 3, the shape maintaining suppor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Can be configured.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20)는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가 휠체어에 부양된 상태로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 20 serves to fix the cover frame member in a supported state on the wheelchair.

휠체어의 경우 탑승자가 직접 휠체어를 제어하거나 보호자가 제어해야 하므로 간섭없이 보호 커버를 장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the case of a wheelchai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protective cover without interference because the occupant must directly control the wheelchair or the guardian must control the wheelchair.

특히, 휠체어는 시트 이외에 프레임이 없기 때문에 간섭없이 보호 커버를 장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보호 커버가 휠체어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부양된 상태로 체결되어 간편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wheelchair has no frame other than the seat, it is difficult to mount the protective cover without interferenc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cover is not firmly fixed to the wheelchair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but is fastened in a supported state so that it can be easily fastened. And can safely protect the occupant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4 schematically shows a fastening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20)는 길이 조절을 통해 휠체어 시트 등받이에 삽입되어 고정 체결되는 시트고정밴드(210)와 상기 시트고정밴드와 일체로 연결되고, 커버 프레임 부재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커버 프레임 부재를 부양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서포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astening memb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seat fixing band 210 and the seat fixing band to be inserted and fixedly fastened to the wheelchair seat back through length adjustment, and the cover frame memb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support 220 that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to support the cover frame member in a floating stat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고정밴드(210)는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의 개방부 사이에 상기 지지서포트(220)와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연결서포트(211)와 상기 연결 밴드와 연결되고 상기 휠체어 시트의 등받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의 고리로 형성된 고정 밴드(212)와 상기 연결 서포트와 고정 밴드 사이에 체결되어 길이를 조절하는 2개의 클립(2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at fixing band 2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nd and two connection supports 211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upport support 220 between the openings of the cover frame member and the backrest of the wheelchair sea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band 212 formed in a circular ring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and two clips 213 that are fastened between the connection support and the fixing band to adjust the length.

상기 연결서포트(211)는 상기 지지 서포트와 일체로 커버 프레임 부재가 부양한 상태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므로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강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 밴드(212)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Since the connection support 211 plays a role of supporting the cover frame member in a supported state integrally with the support support,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rigidity so that sagging does not occur, and the fixing band 212 is adjustable in length.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enable this.

상기 고정 밴드(212)는 원형의 고리를 가지도록 2겹의 밴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2겹의 밴드 사이의 공간이 고리를 이루고 상기 고리를 휠체어 시트의 등받이에 삽입할 수 있다.The fixing band 212 may be composed of a two-ply band to have a circular ring, and a space between the two-ply bands forms a ring, and the ring can be inserted into a backrest of a wheelchair seat.

여기서, 상기 클립(213)은 상기 2겹의 고정 밴드를 가압한 상태로 락 상태에 있으며,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2겹의 고정 밴드에 가압이 해제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 상태로 전환되어 휠체어 시트의 너비에 따라 길이를 조절한 뒤 상기 버튼을 놓으면 다시 락 상태로 전환되어 고정 밴드가 휠체어 시트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clip 213 is in a locked state in a state where the two-ply fixing band is pressed, and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two-ply fixing band is released from the pressure and is converted to a length-adjustable state in which the length is adjustable. When the button is released after adjusting the length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seat, it is switched back to the locked state so that the fixing band can be firmly fixed to the wheelchair seat.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5 schematically shows the operation of a cli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클립(213)은 상기 고정 밴드의 양 단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고정 밴드를 락 상태와 길이 조절 상태로 전환하는 버튼(213a)과 상기 탄성 버튼이 가압과 해제에 따라 2겹의 밴드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는 고정락(213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5, the clip 213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band, respectively, and a button 213a for switching the fixing band into a locked state and a length adjustment state and the elastic button are pressed and releas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lock (213b) for pressing or releasing the pressure of the two-ply band.

여기서, 상기 버튼(213a)은 탄성부재와 결합되어 탄성력을 가진 탄성 버튼으로 구성되고, 탄성 버튼이 눌려졌다가 놓으면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탄성 버튼은 제자리로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button 213a may be configured as an elastic button coupled with an elastic member to have an elastic force, and when the elastic button is pressed and released, the elastic button may be configured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그리고 상기 고정락(213b)은 중심부에 탄성 힌지가 결합되거 상기 탄성 버튼이 가압되는 회동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락의 일단이 상기 탄성 버튼에 으해 가압되면 타단이 상부로 회동하면서 2겹의 고정 밴드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다. In addition, the fixing lock 213b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elastic hinge is coupled to the center and the elastic button is pressed, and when one end of the fixing lock is pressed against the elastic button, the other end rotates upward and doubles. The pressure on the fixing band of the is released.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20)는 커버 프레임 부재(10)가 이동시 전후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휠체어의 발판과 맞닿는 커버 프레임 내측 양단에 결합된 발판고정밴드(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 20 may further include a footrest fixing band 23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ver frame in contact with the footrest of the wheelchair to prevent the cover frame member 10 from shaking back and forth during movement.

여기서, 상기 발판고정밴드(230)는 보호 커버가 전후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단단히 고정시킬 필요는 없으므로 탄성력을 가진 재질이면 무엇이나 가능하고, 상기 발판 고정 밴드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발판에 고정시켜 장착할 수 있다.Here, the footrest fixing band 230 does not need to be firmly fix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protective cover from shaking back and forth, so any material having elasticity is possible, and it is fixed to the footres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ootrest fixing band itself. Can be installed.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밴드를 통해 보호 커버를 휠체어에 장착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6 schematically shows the mounting of the protective cover to the wheelchair through a fixing b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보호 커버를 준비한 후 상기 휠체어 상에 위치시킨다.Referring to FIG. 6, first, a protective cover is prepared and then placed on the wheelchair.

여기서, 상기 보호 커버가 접이식으로 구성된 경우 접혀있던 보호 프레임 커버를 펼쳐서 준비한다.Here, when the protective cover is configured to be folded, the folded protective frame cover is unfolded and prepared.

그리고 상기 보호 프레임 커버(10) 내측에 연결된 체결부재의 고정밴드(212)의 고리를 통해 휠체어의 시트 등받이에 삽입한다.And it is inserted into the seat back of the wheelchair through the ring of the fixing band 212 of the fastening member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frame cover 10.

여기서, 고정밴드(212)의 고리를 휠체어 시트 등받이에 쉽게 삽입하기 위해, 시트고정밴드의 클립(213)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밴드의 고리의 너비가 휠체어 시트 등받이의 너비보다 크게 조절한 후 상기 고정밴드(212)의 고리를 상기 휠체어 시트 등받이에 삽입한다.Here, in order to easily insert the loop of the fixing band 212 into the wheelchair seat back, the width of the loop of the fixing band is adjust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wheelchair seat back using the clip 213 of the seat fixing band, and then the fixing The hook of the band 212 is inserted into the back of the wheelchair seat.

이어서, 상기 시트고정밴드의 클립(213)을 이용하여 고정밴드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밴드를 상기 휠체어 시트 등받이에 단단히 고정한다.Then,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xing band using the clip 213 of the seat fixing band, the fixing band is firmly fixed to the back of the wheelchair sea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립(213)의 버튼(213a)을 누른 후 클립을 휠체어 시트 등받이 양단에 밀착시킨 후 상기 버튼(213a)을 놓으면 고정밴드의 고리가 상기 휠체어 등받이 양단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button 213a of the clip 213 is pressed and the clip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wheelchair seat back, and the button 213a is released, the rings of the fixing band ar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wheelchair backrest. Can be fixed firmly.

상기와 같이 고정밴드(212)를 휠체어 시트 등받이에 단단히 고정하면, 상기 고정밴드(212)와 연결된 연결 서포터(211)와 지지서포터(220)에 의해 보호 커버가 휠체어로부터 부양된 상태로 체결될 수 있다.When the fixing band 212 is firmly fixed to the back of the wheelchair seat as described above, the protective cover can be fastened in a state supported from the wheelchair by the connection supporter 211 and the support supporter 220 connected to the fixing band 212. have.

따라서, 휠체어 탑승자가 휠체어를 제어하는 것에 방해를 받지 않고 보호 커버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휠체어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wheelchair even when the protective cover is mounted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wheelchair occupant controlling the wheelchair.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 내부에 사이드 미러가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7 schematically shows a side mirror coupled to the inside of a protective c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잠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커버는 눈, 비와 같은 상황에서 내부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지만, 내부 탑승자 좌우 시야에 방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사이드 미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7, the protectiv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protecting an internal occupant in situations such as snow and rain, but may further include a side mirror 130 because it may interfere with the left and right vision of the internal occupant. I can.

상기 사이드 미러(130)는 보호 프레임 커버의 전면 투명부 내부 양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미러(130)는 자유로운 각도 조절을 위해 힌지 볼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The side mirrors 130 may be installed at both ends inside the front transparent part of the protective frame cover, and the side mirrors 130 may be coupled by hinge balls for free angle adjustment.

상기 힌지 볼은 차량 거치대 등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hinge ball is a general configuration used for a vehicle holde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 외측에 야광 패드가 부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8 schematically illustrates that a luminous pad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a protective c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눈, 비가오는 야간의 경우 휠체어가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을 수 있으며 차량, 오토바이 등에 의한 추돌 사고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도 와 같이, 외측에 야광 패드(140)를 부착하여 야간 이동 중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In the case of snowy or rainy night, the wheelchair may not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and there is a risk of a collision due to a vehicle or a motorcycle. As shown in the figure, a luminous pad 140 can be attached to the outside to secure safety during night movement. have.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10 : 커버 프레임 부재 20 : 체결 부재10: cover frame member 20: fastening member

Claims (8)

휠체어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속 빈 형태로 구성된 커버 프레임 부재와;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의 개방부 사이에 연결되고 휠체어와 체결되어 상기 휠체어 상에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을 부양된 상태로 고정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보호 커버.
A cover frame member configured in a hollow shape capable of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wheelchair;
A protective cover for a wheelchair comprising a fastening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open portions of the cover frame member and fastened to the wheelchair to fix the cover frame member on the wheelchair in a raised s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는
하부가 개방되고 휠체어에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설치가 가능하도록 휠체어에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에 순응한 형상을 가지되; 탑승자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탑승자가 앉는 시트 상부가 반원형으로 돌출되고 발 받침대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낮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휠체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탑승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전방과 양 측면을 포함하는 3면에 투명 커버부를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형상을 유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보호 커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frame member
The lower part is open and has a shape conform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occupant in the wheelchair can be installed while the occupant is in the wheelchair; In order to secure the occupant space,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on which the occupant sits protrudes in a semicircular shape, and is configured to have a shape that is inclined and lowered in the direction of the footrest;
A cover including a transparent cover on three sides including the front and both sides for securing a view of the occupant while mounted on the wheelchair;
A protective cover for wheelchair comprising a support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co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길이 조절을 통해 휠체어 시트 등받이에 삽입되어 고정 체결되는 시트고정밴드와;
상기 시트고정밴드와 일체로 연결되고, 커버 프레임 부재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커버 프레임 부재를 부양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보호 커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member
A seat fixing band that is inserted into a backrest of a wheelchair seat and fixedly fastened through length adjustment;
A protective cover for a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suppor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at fixing band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frame member to support the cover frame member in a floating stat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고정 밴드는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의 개방부 사이에 상기 지지 서포트와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연결 서포트와;
상기 연결 밴드와 연결되고 상기 휠체어 시트의 등받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의 고리로 형성된 고정 밴드와;
상기 연결 서포트와 고정 밴드 사이에 체결되어 길이를 조절하는 2개의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보호 커버.

The method of claim 3,
The seat fixing band
Two connection support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upport support between the openings of the cover frame member;
A fixing b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nd and formed into a circular ring to be inserted into a backrest of the wheelchair seat;
A protective cover for a wheelchair comprising two clips that are fastened between the connection support and the fixing band to adjust the length.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밴드는
원형의 고리를 가지도록 2겹의 밴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2겹의 밴드 사이의 공간이 고리를 이루고 상기 고리를 휠체어 시트의 등받이에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클립은
상기 2겹의 고정 밴드를 가압한 상태로 락 상태에 있으며,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2겹의 고정 밴드에 가압이 해제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 상태로 전환되어 휠체어 시트의 너비에 따라 길이를 조절한 뒤 상기 버튼을 놓으면 다시 락 상태로 전환되어 고정 밴드가 휠체어 시트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보호 커버.
The method of claim 4,
The fixing band
It may be composed of a two-ply band to have a circular ring, the space between the two-ply bands forms a ring, and the ring can be inserted into a backrest of a wheelchair seat;
The clip is
The two-ply fixing band is in a locked state with the pressure pressed, and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two-ply fixing band is released from the pressure to switch to a length-adjustable state that allows length adjustment to adjust the length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wheelchair seat A protective cover for a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button is released after the button is released, it is switched back to a locked state so that the fixing band can be firmly fixed to the wheelchair sea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고정 밴드의 양 단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고정 밴드를 락 상태와 길이 조절 상태로 전환하는 버튼과;
상기 탄성 버튼이 가압과 해제에 따라 2겹의 밴드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는 고정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보호 커버.
The method of claim 5,
The clip is
Doedoe installed at each end of the fixed band,
A button for switching the fixed band to a lock state and a length adjustment state;
A protective cover for a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lock for pressing or releasing the pressure of the two-ply band according to the pressing and releasing of the elastic butt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는
보호 프레임 커버의 전면 투명부 내부 양단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를 더 포함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보호 커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frame member
A protective cover for a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side mirror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inside of the front transparent part of the protective frame co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는
야간 이동 중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외측에 야광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보호 커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frame member
A protective cover for a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uminous pad on the outside to ensure safety during night movement.
KR1020190032231A 2019-03-21 2019-03-21 Protective Cover For Wheelchair KR2020011217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231A KR20200112177A (en) 2019-03-21 2019-03-21 Protective Cover For Wheel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231A KR20200112177A (en) 2019-03-21 2019-03-21 Protective Cover For Wheel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177A true KR20200112177A (en) 2020-10-05

Family

ID=72809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231A KR20200112177A (en) 2019-03-21 2019-03-21 Protective Cover For Wheel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217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108A (en) 2021-04-30 2022-11-08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Attachable and detachable cover apparatus for wheelchai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108A (en) 2021-04-30 2022-11-08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Attachable and detachable cover apparatus for wheel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4751B2 (en) Extendable sunshade for child car seat
US5098157A (en) Width-adjustment child seat
US6652026B2 (en) Headrest secured automobile seat cover
US6089659A (en) Headrest secured automobile seat cover
US5758889A (en) Mobile people carrier with adjustable wind screen
US5538319A (en) Sun shade for an infant car seat
US5975558A (en) Adjustable shade for a stroller
US20050268377A1 (en) Head restraint device
KR20200112177A (en) Protective Cover For Wheelchair
US6402225B1 (en) Canopy windshield of stroller
US20180035814A1 (en) Detachable canopy for baby carrier
KR20200145070A (en) Protective Cover For Wheelchair
JP4361303B2 (en) Baby carriage top
US5653248A (en) Protective cover for a children's bicycle seat
KR200421621Y1 (en) Multi-purpose sun shade for baby carriage
AU2018100119A4 (en) Detachable canopy for baby carrier
KR200405744Y1 (en) motorcycle structure of having shelter from wind
KR20220009222A (en)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s and Mirrors
KR102554837B1 (en) Attachable and detachable cover apparatus for wheelchair
KR100763412B1 (en) Career for baby which a baby protection function possesses
JP2752604B2 (en) Automotive shade
KR200484575Y1 (en) Cover for baby carriage
JP2009262595A (en) Auxiliary cover for stroller
KR200266187Y1 (en) A carrier cover
KR0122489Y1 (en) Cover for a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