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222A -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s and Mirrors - Google Patents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s and Mirro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9222A KR20220009222A KR1020200087666A KR20200087666A KR20220009222A KR 20220009222 A KR20220009222 A KR 20220009222A KR 1020200087666 A KR1020200087666 A KR 1020200087666A KR 20200087666 A KR20200087666 A KR 20200087666A KR 20220009222 A KR20220009222 A KR 202200092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rror
- smartphone
- frame
- unit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05—Safety means for traffic, e.g. lights, reflectors, mirrors et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모차 또는 휠체어에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고 보호자가 영유아나 환자들의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거울을 설치함으로써, 보호자가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영유아나 환자들의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and a mirror suppor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mirror that can mount a smartphone on a stroller or wheelchair and allow the guardian to observe infants and patients, the guardian can mount the smartphone It relates to a smartphone and a mirror support device that can immediately check the condition of infants and patients at the same time.
유모차는 영유아나 어린이를 태워서 밀고 다니는 수레 장치로서, 유모차를 타는 영유아나 보호자가 다 같이 안전하고 편하게 조작할 수 있어야 하며, 견고하고 내구성이 좋아야 한다.A stroller is a wheelbarrow device that carries infants and children, and should be able to be operated safely and comfortably by both infants and their guardians, and should be strong and durable.
휠체어는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게 바퀴를 단 의자로서, 탑승하는 환자들이나 뒤에서 밀어주는 보호자가 편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안정성이 요구된다.A wheelchair is a chair with wheels so that a person with limited legs or a person with a physical disability can move while sitting, and stability is required because it should be comfortable to use by patients on board or a guardian who pushes them from behind.
이러한, 유모차와 휠체어는 통상적으로 탑승자가 진행 방향으로 앉게 되어 있어, 보호자가 영유아나 환자들의 상태를 확인하려면 매번 유모차 또는 휠체어를 정지한 상태에서 몸을 숙여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these strollers and wheelchairs, the occupants are usually seated in the moving direction, so in order to check the status of infants or patients, the guardian has to check the condition by bending the body while stopping the stroller or wheelchair each time.
특히, 유모차는 탑승하는 영유아를 보호하기 위해 덮개 또는 햇빛 가리개가 설치되어 있는데, 덮개 또는 햇빛 가리개를 사용하는 경우 보호자가 직접 영유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고 영유아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덮개 또는 햇빛 가리개를 젖혀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stroller is equipped with a cover or sunshade to protect infants and toddlers on board. There w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turn it over.
특허문헌 1은 후방 시야의 확보가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모차를 타고 있는 아이를 항상 살펴볼 수 있으면서 유모차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손쉽게 발견하여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Patent Document 1 relates to a stroller that can secure a rear view, and more specifically, it provides a stroller that allows you to easily find a vehicle approaching from the rear of the stroller and drive safely while always being able to see a child riding the stroller it's about doing
상기의 발명으로 인한 후방 시야의 확보가 가능한 유모차는 차량이나 사물을 후방 사이드미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후방 사이드미러는 탈착이 불가하고 거울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보호자가 아이의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The stroller that can secure the rear view due to the above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eck the vehicle or object through the rear side mirror, but the rear side mirror is not detachable and the mirror is fixed, so the guardian can check the condition of the child There is a difficult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모차 또는 휠체어에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고 보호자가 영유아나 환자들의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거울을 설치함으로써, 보호자가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영유아나 환자들의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를 제안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martphone can be mounted on a stroller or a wheelchair, and by installing a mirror that allows the guardian to observe infants and patients, the guardian can mount the smartphone and at the same time We propose a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that can check the condition of infants and children immediatel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모차 또는 휠체어에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고 보호자가 영유아나 환자들의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거울을 설치함으로써, 보호자가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영유아나 환자들의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by installing a mirror that can mount a smartphone on a stroller or wheelchair and allow the guardian to observe infants and patients, the guardia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that can hold a smartphone and at the same time allow checking the status of infants or patients immediatel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는 유모차 또는 휠체어에 장착될 수 있는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에 있어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지지대, 상기 본체부를 상기 지지대에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유모차 또는 휠체어에 상기 지지대를 고정되기 위해 구비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스마트폰이 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마트폰 거치부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거울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모차 또는 휠체어의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 및 거울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phone and a mirror support device that can be mounted on a stroller or a wheelchair, the main body portion, a support provided so that the main body portion can be supported, A hinge for connecting the main body to the support so that it can be rotated and a binding portion provided to fix the support to the stroller or wheelchair,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frame connected to the hinge, and a smartphone to the frame. It comprises a smartphone holder provided so as to be mounted and a mirror unit installed on th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of the stroller or wheelchair can selectively use at least one of the smartphone holder and the mirror unit. .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 및 거울부는 상기 프레임 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 및 거울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phone holder and the mirror are arranged to face in opposite directions on the frame,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use any one of the smartphone holder and the mirror in such a way that the user rotates the main body. .
상기 거울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거울부가 사용자를 향하는 상태에서 사용자를 향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거울사용모드와,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가 사용자를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거울사용모드에 비하여 높은 조도를 가지도록 상기 유모차 또는 휠체어의 전방을 밝히는 전방식별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comprising a lighting unit installed adjacent to the mirror unit, wherein the lighting unit, a mirror use mode for generating light toward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mirror unit faces the user, and the mirror in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holder faces the us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witched to any one of the front identification modes that illuminate the front of the stroller or wheelchair to have a higher illuminance compared to the use mode.
상기 거울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거울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울커버가 열려 상기 거울부가 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거울사용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거울커버가 닫혀 상기 거울부가 차폐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식별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further comprises a mirror cover installed so as to selectively shield the mirror portion, the mirror cover is opened and the mirror portion is exposed in a state that is switched to the mirror use mode, the mirror cover is closed in a state in which the mirror portion is shiel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witched to the all-type identification mode.
상기 거울부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와 같은 방향을 향하거나 반대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거울부가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와 같은 방향을 향하여 상기 거울부 및 스마트폰 거치부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동시사용모드와, 상기 거울부가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와 반대 방향을 향하여 상기 거울부 및 스마트폰 거치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선택사용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irror un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so as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smartphone holder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mirror unit and the smartphone holder are orien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martphone hol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witched to a simultaneous use mode in which the unit can be used simultaneously and a selective use mode in which the mirror unit can selectively use the mirror unit and the smartphone holder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martphone hold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는 스마트폰 거치부 및 거울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거울부로 영유아나 환자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phone and the mirror support device can selectively use any one of the smartphone holder and the mirror, and the state of infants and patients can be checked with the mirror.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는 스마트폰 거치부로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다.The smartphone and the mirror support device can mount the smartphone as a smartphone holder.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는 악세사리 장착부에 스마트폰 및 거울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악세사리를 장착할 수 있다.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may be equipped with additional accessories as well as smartphones and mirrors in the accessory mounting unit.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는 본체부가 탈착될 수 있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smartphone and the mirror support device can be used alone because the main body part is detachable.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는 보호용 고무패드를 야광 소재로 형성되어, 야간 도보 시 유모차 또는 휠체어가 쉽게 식별될 수 있다.Smartphones and mirror support devices are formed of protective rubber pads with luminous material, so that strollers or wheelchairs can be easily identified when walking at night.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야간에 전방을 밝히는 전방식별등으로 사용되거나 사용자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무드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The smart phone and the mirror support device, including the lighting unit, may be used as a front light to illuminate the front at night, or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mood light through which the user can check the st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를 유모차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를 휠체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1실시예 본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1실시예 본체부 스마트폰 거치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1실시예 본체부 거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2실시예 본체부가 닫혀진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2실시예 본체부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2실시예 본체부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3실시예 본체부가 접혀진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3실시예 본체부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3실시예 본체부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4실시예 본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4실시예 본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5실시예 본체부 거울커버가 닫혀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5실시예 본체부 거울커버가 열려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5실시예 본체부 거울커버가 닫혀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5실시예 본체부 상부에 조명 스위치를 나타내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6실시예 악세사리 연결부에 손전등 및 블랙박스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7실시예 지지대를 펼쳐서 보호자가 사용할 수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8실시예 지지대를 접어서 유모차에 보관할 수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martphone and a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n a stroller.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martphone and a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n a wheelchair.
3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martphone and a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main body of a smartphone and a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martphone holder of the first embodiment main body part of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mirro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the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second embodiment main body of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the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how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folded state of the third embodiment main body of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third embodiment main body of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third embodiment main body of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ain body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ide view showing the main body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irror cover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the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16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mirror cover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the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irror cover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the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1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showing a lighting switch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ashlight and a black box are installed in the accessory connection part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that a guardian can use by unfolding the support of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that can be stored in the stroller by folding the support of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When a part “includes” a compon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Specific details including the problem to be solved for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and the effec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to be described below.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를 유모차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를 휠체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1실시예 본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1실시예 본체부 스마트폰 거치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1실시예 본체부 거울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2실시예 본체부가 닫혀진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2실시예 본체부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2실시예 본체부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3실시예 본체부가 접혀진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3실시예 본체부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3실시예 본체부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4실시예 본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4실시예 본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5실시예 본체부 거울커버가 닫혀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5실시예 본체부 거울커버가 열려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5실시예 본체부 거울커버가 닫혀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5실시예 본체부 상부에 조명 스위치를 나타내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6실시예 악세사리 연결부에 손전등 및 블랙박스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7실시예 지지대를 펼쳐서 보호자가 사용할 수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8실시예 지지대를 접어서 유모차에 보관할 수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martphone and a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n a stroller,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martphone and a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n a wheelchair, and FIG.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martphone and a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main body of a smartphone and a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martphone and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main body part smartphone holder of a support device,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body part mirror of a smartphone and a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ront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the mirror support device is closed,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ate that the main body par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the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FIG. 9 is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show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main body par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is a plan view show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third embodiment main body portion of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third embodiment main body portion of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 front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main body of a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sid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main body portion of a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front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mirror cover of the main body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the mirror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cover, Figure 1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mirror cover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Figure 18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showing a lighting switch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flashlight and a black box in the accessory connection part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ed state, Figure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that a guardian can use by unfolding the support of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ighth embodiment of the device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that can be stored in the stroller by folding the suppor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martphone and a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10)는 본체부(100)와 지지대(200)와 힌지부(300)와 조인트(400) 및 결속부(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smartphone and
먼저, 스마트폰이 거치될 수 있고, 거울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부(100)은 보호자가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고, 영유아나 환자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힌지부(300)와 연결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거울부(120) 및 상기 프레임(110)에 스마트폰이 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마트폰 거치부(130)을 포함한다.First, a smartphone can be mounted, and the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힌지부(300)에 연결된다. 상기 프레임(110)은 단면이 팔각형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10)은 플라스틱, 알루미늄 합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거치되는 스마트폰의 크기에 따라 길이와 폭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한다. The
또한, 상기 거울부(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거울부(120)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30)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거울부(120)는 사용자가 유모차 혹은 휠체어 탑승한 영유아나 환자들을 관찰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거울부(120)는 상기 프레임(110) 모양에 따라 단면이 팔각형인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거울부(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구성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프레임(110)에 스마트폰이 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30)은 스마트폰이 고정되기 위해 구비되는 스마트폰 고정장치(131)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30)는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30)는 상기 거울부(120)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스마트폰 고정장치(131)는 상기 프레임(11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2개 설치된다. 상기 스마트폰 고정장치(131)는 사용자가 스마트폰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일측에 설치된 스마트폰 고정장치(131)는 고정된다. 즉, 상기 스마트폰 고정장치(131)는 상기 프레임(110)의 길이방향 양측 2개로 설치된 상기 스마트폰 고정장치(131) 중 어느 하나는 고정되고, 나머지 스마트폰 고정장치(131)는 상기 프레임(110)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스마트폰이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 고정장치(131)는 스마트폰과 맞닿는 부분에 고무패드(도면 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고무패드는 스마트폰을 거치 시 스마트폰 외각 테두리의 흠집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31)는 거치되는 스마트폰의 모양에 따라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30)는 스마트폰 거치 시 스마트폰의 흠집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보호용 고무패드(132)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용 고무패드(132)는 상기 프레임(110) 상에서 상기 거울부(120)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보호용 고무패드(132)는 상기 프레임(110) 모양을 따라 단면이 팔각형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보호용 고무패드(132)는 상기 프레임(110)의 가장자리 라인에서 좀 더 상기 프레임(110)의 중심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호용 고무패드(132)는 야광 소재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30)는 유모차 또는 휠체어가 야간에 쉽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호용 고무패드(132)는 상기 프레임(110)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구성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악세사리 장착을 위해 구비되는 악세사리 장착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악세사리 장착부(140)은 원통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악세사리 장착부(140)는 상기 본체부(100)에 추가적인 악세사리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악세사리 장착부(140)는 추가적인 악세사리의 형태에 따라 모양과 길이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악세사리 장착부(140)는 상기 프레임(110)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악세사리 연결부(145)를 포함한다. 상기 악세사리 연결부(145)는 상기 악세사리 장착부(140)과 상기 프레임(110) 사이를 상측과 하측 2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악세사리 연결부(145)는 상기 본체부(100)에 추가적인 악세사리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악세사리 연결부(145)는 추가적인 악세사리에 따라 개수와 길이를 달리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가 본체 힌지부(310)에 장착되기 위해 구비되는 힌지 장착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 장착부(150)는 원통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 장착부(150)는 본체 힌지부(310)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0)를 일측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힌지 장착부(150)는 본체 힌지부(3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모양과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 장착부(150)는 상기 프레임(110)에 연결되도록 하는 힌지 연결부(155)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 연결부(155)는 상기 힌지 장착부(150)과 상기 프레임(110) 사이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힌지 연결부(155)는 상기 힌지 장착부(150)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음으로, 힌지부(300)가 마련된다. 상기 힌지부(300)는 상기 본체부(100)를 일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기 본체 힌지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힌지부(310)는 상기 본체 힌지부(310)의 일측으로 상기 힌지 장착부(1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힌지부(310)는 상기 힌지 장착부(150)가 장착되는 반대 방향으로 본체 지지대(210)를 수용할 수 있는 원형의 홈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 힌지부(310)는 상기 힌지 장착부(150)가 장착되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본체 지지대(21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힌지부(310)는 원형의 홈이 형성된 부분을 측면에서 가로질러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 힌지부(310)는 일측으로 상기 힌지 장착부(150)와 연결되고, 타측으로 상기 본체 지지대(210)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0)를 상기 본체 지지대(210)에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 힌지부(310)는 상기 힌지 장착부(150) 및 상기 본체 지지대(210)가 장착될 수 있도록 모양과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Next, the hinge part 300 is provided. The hinge part 300 includes the
또한, 상기 힌지부(300)는 상기 본체 지지대(210)와 관절 지지대(220)가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관절 힌지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관절 힌지부(320)는 원통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관절 힌지부(320)는 상기 본체 지지대(210)와 상기 관절 지지대(220)를 수용할 수 있는 2개의 원형 홈이 형성된다. 상기 관절 힌지부(320)는 상기 2개의 원형 홈 중에 어느 하나에 상기 본체 지지대(21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관절 힌지부(320)는 상기 본체 지지대(210)가 설치된 나머지 원형 홈에 상기 관절 지지대(2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관절 힌지부(320)는 상기 본체 지지대(210) 및 상기 관절 지지대(220)가 장착될 수 있도록 모양과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관절 힌지부(320)는 상기 본체 지지대(210)와 상기 관절 지지대(220)가 일정 범위 내에서 일측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절 힌지부(320)는 중앙부에 지지대 결속부(520)가 장착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inge part 300 includes a
다음으로, 지지대(200)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본체 힌지부(310)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0)를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상기 본체 지지대(2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지지대(210)은 원통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 지지대(210)는 한쪽으로는 상기 본체 힌지부(310)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으로는 상기 관절 힌지부(320)와 연결된다. Next, the support 200 is provided. The support 200 includes the
또한,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관절 힌지부(320)와 연결되기 위해 구비되는 상기 관절 지지대(220)를 포함한다. 상기 관절 지지대(220)은 원통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관절 지지대(220)는 양쪽 중에 어느 한쪽으로 상기 관절 힌지부(320)와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support 200 includes the
또한, 상기 관절 지지대(220)는 상기 관절 지지대(220)의 원통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대 뚜껑(23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 뚜껑(230)은 상기 관절 지지대(220)에서 상기 관절 힌지부(320)가 연결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 뚜껑(230)은 상기 관절 지지대(220) 의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관절 지지대(220)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마개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 뚜껑(230)은 상기 관절 지지대(220)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 뚜껑(230)은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200)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합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20)와 상기 지지대 뚜껑(230)는 유모차 또는 휠체어의 크기에 따라 길이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다음으로, 조인트(400)가 마련된다. 상기 조인트(400)는 상기 관절 힌지부(320)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지지대(210)와 상기 관절 지지대(220)의 움직임을 제한되도록 한다. 즉, 상기 조인트(400)는 고정 볼트의 돌림힘에 따라 상기 본체 지지대(210)와 상기 관절 지지대(220)의 움직이는 고정력이 달라지도록 한다. Next, the joint 400 is provided. The joint 400 is provided in the
다음으로, 결속부(500)가 마련된다. 상기 결속부(500)는 상기 본체 지지대(210)가 상기 본체 힌지부(310)와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본체 결속부(51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 결속부(510)는 상기 본체 힌지부(310)와 상기 본체 지지대(2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힌지부(310)에 마련된 관통홀에 구비된 고정 볼트로 채결된다. 상기 본체 결속부(510)는 고정 볼트 풀어서 상기 본체부(100)와 연결된 상기 본체 힌지부(310)를 180도 돌려서 채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부(100)는 선택사용모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선택사용모드는 상기 거울부(120)가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30)와 반대 방향을 향하여 상기 거울부(120) 및 스마트폰 거치부(13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본체 결속부(510)를 완전히 제거하여 상기 본체부(100)를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 결속부(510)를 통해서 탈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Next, the binding unit 500 is provided. The binding part 500 includes a
또한, 상기 결속부(500)는 상기 결속부(500)를 상기 관절 지지대(2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기 지지대 결속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 결속부(520)는 상기 관절 지지대(220)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 결속부(520)는 상기 관절 지지대(220)에서 상기 지지대 뚜껑(230)과 상기 관절 힌지부(320) 사이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 결속부(520)는 유모차 또는 휠체어의 사용자가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 결속부(520)는 일부가 뚫려있는 원통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 결속부(520)는 상기 관절 지지대(220)의 외경을 감싸게 되고, 일부가 뚫려있는 부분에 고정볼트를 채결하여 고정된다. 상기 지지대 결속부(520)는 유모차 또는 휠체어의 크기에 따라 상기 관절 지지대(220)에 설치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inding part 500 includes the
또한, 상기 결속부(500)는 유모차 또는 휠체어에 고정되기 위해 구비되는 장치 결속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 결속부(530)는 유모차 또는 휠체어의 프레임을 감싸게 되고, 양측으로 볼트를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장치 결속부(530)는 상기 지지대 결속부(520)와 연결된다. 상기 장치 결속부(530)는 상기 지지대 결속부(5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장치 결속부(530)는 양측에 마련된 고정 볼트로 채결하여 유모차 또는 휠체어의 프레임에 고정된다. 상기 장치 결속부(530)는 유모차 또는 휠체어의 프레임 외경에 따라 구성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inding unit 500 includes a
이하에서는,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the mirror support device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프레임(112)와 프레임(114) 및 거울부(121)의 형상에서 차이점과 악세사리 장착부(140) 및 악세사리 연결부(145)가 삭제되었다는 차이점이 있으며, 상기 프레임(112)와 상기 프레임(114)와 상기 거울부(121)와 상기 악세사리 장착부(140) 및 상기 악세사리 연결부(145)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 1실시예와 같으므로 제 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In this embodimen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제 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프레임(112)와 프레임(114)와 거울부(121)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7 to 9 ,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프레임(112)와 상기 프레임(114)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2)와 상기 프레임(114)은 상기 프레임(110)에서 서로 분리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프레임(112)와 상기 프레임(114)은 겹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프레임(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14)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30)가 설치된 방향으로 상기 거울부(1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프레임(114)은 상기 프레임(112)과 겹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거울부(121)가 보이지 않게 된다. 상기 프레임(114)는 상기 프레임(112)의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형태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거울부(121)은 슬라이딩 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12)에 중첩이 되지 않는 범위로 형성된다. 상기 거울부(121)는 상기 프레임(112)에 중첩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부(100)는 동시사용모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동시사용모드는 상기 거울부(121)와 상기 스마트폰거치부(130)가 같은 방향을 향하여 거울과 스마트폰 거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상기 본체부(100)를 동시사용모드로 사용하여 스마트폰 거치와 영유아 또는 환자들의 상태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The
이하에서는,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3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hird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the mirror support device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프레임(116)와 프레임(118)와 악세사리 장착부(141) 및 악세사리 연결부(146)의 형상에서 차이점 있으며, 상기 프레임(116)와 상기 프레임(118)와 상기 악세사리 장착부(141) 및 상기 악세사리 연결부(146)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 1실시예와 같으므로 제 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hape of the
제 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프레임(116)와 프레임(118)와 악세사리 장착부(141) 및 악세사리 연결부(14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0 to 12 ,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프레임(116)와 상기 프레임(118)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6) 및 상기 프레임(118)는 상기 프레임(110)에서 서로 분리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프레임(116) 및 상기 프레임(118)은 겹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프레임(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악세사리 장착부(141)은 상기 프레임(110)의 높이를 따라 원통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악세사리 장착부(141)는 원통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상기 악세사리 장착부(141)는 상측으로 분리된 상기 악세사리 장착부(141)는 고정되고, 하측으로 분리된 상기 악세사리 장착부(141)는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하측으로 분리된 상기 악세사리 장착부(141)는 180도 범위로 회동될 수 있다. 즉, 하측으로 분리된 상기 악세사리 장착부(141)는 상기 프레임(116) 및 상기 프레임(118)이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18)에 마련된 상기 거울부(120)과 상기 프레임(116)에 마련된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30)이 동일한 방향을 바라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동시사용모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동시사용모드는 상기 거울부(120)와 상기 스마트폰거치부(130)가 같은 방향을 향하여 거울과 스마트폰 거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상기 본체부(100)를 동시사용모드로 사용하여 스마트폰 거치와 영유아 또는 환자들의 상태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악세사리 장착부(141)는 상기 본체부(100)에 추가적인 악세사리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악세사리 장착부(141)는 추가적인 악세사리에 따라 모양과 길이를 달리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악세사리 연결부(146)는 상기 악세사리 장착부(141)과 상기 프레임(110) 사이를 지지하도록 상측과 하측으로 2개로 형성된다. 상기 악세사리 연결부(146)은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ㄱ‘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악세사리 연결부(146)는 상기 본체부(100)에 추가적인 악세사리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The
이하에서는,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4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ourth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the mirror support device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거울부(122)의 형상에서 차이점 있으며, 상기 거울부(122)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 1실시예와 같으므로 제 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hape of the
제 4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는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거울부(122)을 포함한다.A smartphone and a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상기 거울부(122)은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30)에 마련된 상기 보호용 고무패드(132)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보호용 고무패드(132)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거울부(122)은 상기 보호용 고무패드(132) 모양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부(100)는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30)로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고, 스마트폰을 거치하지 않을 때는 상기 거울(122)로 영유아 혹은 환자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The
이하에서는,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5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ifth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the mirror support device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조명부(160)과 거울커버(170)와 거울커버 고정부재(175)와 거울커버 고정장치(180)와 거울부(126) 및 조명 스위치(190)가 포함된다는 차이점 있으며, 상기 조명부(160)과 상기 거울커버(170)와 상기 거울커버 고정부재(175)와 상기 거울커버 고정장치(180)와 상기 거울부(126) 및 상기 조명 스위치(19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 1실시예와 같으므로 제 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This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제 5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는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조명부(160)과 거울커버(170)와 거울커버 고정부재(175)와 거울커버 고정장치(180)와 거울부(126) 및 조명 스위치(190)를 포함한다.15 to 18 ,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nclude a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30) 및 거울부(126)는 상기 프레임(100) 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거울부(126)는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조명부(160)는 상기 거울부(126)의 양측으로 2개가 구비된다. 상기 조명부(160)는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조명 스위치(190)는 상기 조명부(160)를 작동되기 위해 상기 스마트폰 고정장치(131)의 후면 상기 프레임(110)에 구비된다. 상기 조명 스위치(190)는 일측 방향으로 눌렀을 때 ’ON’ 상태가 되고, 타측방향으로 눌렀을때는 ‘OFF’ 상태가 된다. 상기 거울부(126) 및 상기 조명부(160)는 상기 프레임(110)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구성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울커버(170)는 상기 거울부(126)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거울부(126)를 덮을 수 있도록 회동된다. 상기 거울커버(170)은 상기 거울부(126)의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상기 거울커버(170)은 커버를 닫았을 때는 상기 거울(126)이 보이지 않게 되며, 상기 거울커버(170)를 열었을 때는 상기 거울(126)로 영유아 혹은 환자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울커버(170)은 어떤 각도로도 고정될 수 있는 프리스탑 힌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거울커버(170)는 주간 야외의 강한 햇빛을 가려주는 그늘막의 역할을 하여, 보호자가 상기 거울부(126)를 바라볼 때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160)는 상기 거울커버(17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조명 스위치(190)의 스위치를 ’ON’ 상태로 눌렀을 때, 거울사용모드가 활성된다. 상기 거울사용모드는 상기 조명부(160)의 밝기가 감소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기 조명부(160)는 상기 거울부(126)가 영유아나 환자들을 향하는 상태에서 영유나 환자들을 향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무드등의 역할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울커버(170)는 상기 거울부(126)를 따라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거울커버(170)는 상기 거울부(126)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구성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울커버(170)는 거울커버 고정부재(175)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0)는 상기 거울커버 고정장치(180)를 포함한다. 상기 거울커버 고정부재(175)는 상기 거울커버(170)의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거울커버 고정부재(175)는 상기 거울커버 고정장치(180)에 삽입되어, 상기 거울커버(170)을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거울커버 고정장치(180)는 상기 거울부(126)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거울커버 고정장치(180)는 상기 거울커버 고정부재(175)를 수용하여 상기 거울커버 고정부재(175)를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거울커버 고정부재(175)는 상기 거울커버(170)가 회동되어 상기 거울부(126)를 덮어서 닫혔을 때 상기 거울커버 고정장치(180)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명부(160)는 상기 거울커버 고정부재(175)와 상기 거울커버 고정장치(180)가 맞물리도록 된 상태에서 상기 조명 스위치(190)의 스위치를 ‘ON’ 상태로 눌렀을 때 전방식별모드가 활성된다. 상기 전방식별모드는 상기 조명부(160)의 최대 밝기로 설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기 거울부(126)는 상기 거울커버(170)가 상기 거울부(126)의 전체를 덮고 있으므로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조명부(160)가 조명을 비춤으로써 유모차 혹은 휠체어를 야간에 사용할 때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160)은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가 사용자를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거울사용모드에 비하여 높은 조도를 가지도록 상기 유모차 또는 휠체어의 전방을 밝히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The
이하에서는,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6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ixth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the mirror support device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블랙박스(600)와 손전등(700)이 포함된다는 차이점 있으며, 상기 블랙박스(600)와 상기 손전등(7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 1실시예와 같으므로 제 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This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a
제 6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는 도 19를 참조하면, 블랙박스(600)와 손전등(7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9 ,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ncludes a
상기 블랙박스(600)은 상기 프레임(110)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악세사리 연결부(145)에 형성된다. 상기 블랙박스(600)는 상기 거울부(120) 방향 혹은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30)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블랙박스(600)는 영유아나 환자들을 상태를 녹화할 수 있고, 유모차 혹은 휠체어 운행 시 안전을 위해 전방을 녹화할 수 있다. 상기 손전등(700)은 악세사리 장착을 위해 구비되는 상기 악세사리 장착부(140)에 형성된다. 상기 손전등(700)는 상기 거울부(120) 방향 혹은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30)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손전등(700)은 야간에 영유아나 환자들을 상태를 살필 수 있고, 유모차 혹은 휠체어 운행 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The
이하에서는,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7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eventh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the mirror support device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같으므로, 제 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Since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s referred to.
제 7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는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관절 지지대(220)를 보호자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10)는 영유아나 환자들 뿐만 아니라 보호자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200)는 보호자가 사용될 수 있도록 길이를 달리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20 ,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may rotate the
이하에서는,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의 제 8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ighth embodiment of the smartphone and the mirror support device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같으므로, 제 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Since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s referred to.
제 8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는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관절 지지대(220)는 유모차 혹은 휠체어 프레임과 수평 방향이 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관절 지지대(220)는 상기 관절 힌지부(320)에 연결된 상기 본체 지지대(210)를 회전시켜 수평이 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10)는 접혀있는 상태가 됨으로써, 유모차 혹은 휠체어 프레임 방향과 수평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21 for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th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은 유모차 또는 휠체어에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고 보호자가 영유아나 환자들의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거울을 설치함으로써, 보호자가 영유아나 환자들의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을 수행한다.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unt a smartphone on a stroller or wheelchair and install a mirror that allows the guardian to observe infants and patients, so that the guardian can immediately check the status of infants or patients. It performs its function so that it can be mounted on a smartphone.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
100 : 본체부
110 : 프레임
112 : 프레임 114 : 프레임 116 : 프레임 118 : 프레임
120 : 거울부
121 : 거울부 122 : 거울부 124 : 거울부 126 : 거울부
130 : 스마트폰 거치부
131 : 스마트폰 고정장치 132 : 보호용 고무패드
140 : 악세사리 장착부
141 : 악세사리 장착부
145 : 악세사리 연결부 146 : 악세사리 연결부
150 : 힌지 장착부
155 : 힌지 연결부
160 : 조명부
170 : 거울커버
175 : 거울커버 고정부재
180 : 거울커버 고정장치
190 : 조명 스위치
200 : 지지대
210 : 본체 지지대
220 : 관절 지지대
230 : 지지대 뚜껑
300 : 힌지부
310 : 본체 힌지부
320 : 관절 힌지부
400 : 조인트
500 : 결속부
510 : 본체 결속부
520 : 지지대 결속부
530 : 장치 결속부
600 : 블랙박스
700 : 손전등10: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100: body part
110: frame
112: frame 114: frame 116: frame 118: frame
120: mirror unit
121: mirror unit 122: mirror unit 124: mirror unit 126: mirror unit
130: smartphone holder
131: smartphone fixing device 132: protective rubber pad
140: accessory mounting part
141: accessory mounting part
145: accessory connection part 146: accessory connection part
150: hinge mounting part
155: hinge connection
160: lighting unit
170: mirror cover
175: mirror cover fixing member
180: mirror cover fixing device
190: light switch
200: support
210: body support
220: joint support
230: support lid
300: hinge
310: body hinge part
320: joint hinge part
400: joint
500: binding part
510: body binding part
520: support binding part
530: device binding unit
600: black box
700 : Flashlight
Claims (5)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지지대;
상기 본체부를 상기 지지대에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유모차 또는 휠체어에 상기 지지대를 고정되기 위해 구비되는 결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스마트폰이 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마트폰 거치부;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거울부;을 포함하며,
상기 유모차 또는 휠체어의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 및 거울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
In th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that can be mounted on a stroller or wheelchair,
body part;
a support provided so that the main body can be supported;
a hinge part connecting the body part to the support so as to be able to rotate; and
a binding unit provided to fix the support to the stroller or wheelchair; including,
The body part,
a frame connected to the hinge part;
a smartphone holder provided so that the smartphone can be mounted on the frame; and
It includes; a mirror part installed on the fram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of the stroller or wheelchair can selectively use at least one of the smartphone holder and the mirror.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 및 거울부는 상기 프레임 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 및 거울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martphone holder and the mirror unit are arranged to face in opposite directions on th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use any one of the smartphone holder and the mirror unit in such a way that the user rotates the body unit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상기 거울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거울부가 사용자를 향하는 상태에서 사용자를 향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거울사용모드와,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가 사용자를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거울사용모드에 비하여 높은 조도를 가지도록 상기 유모차 또는 휠체어의 전방을 밝히는 전방식별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lighting unit installed adjacent to the mirror unit,
The lighting unit,
a mirror use mode for generating light toward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mirror unit faces the user;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witched to any one of the front identification mode to illuminate the front of the stroller or wheelchair to have a higher illuminance compared to the mirror use mode in a state where the smartphone holder faces the user.
상기 거울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거울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울커버가 열려 상기 거울부가 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거울사용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거울커버가 닫혀 상기 거울부가 차폐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식별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It further includes; a mirror cover installed to selectively shield the mirror unit;
When the mirror cover is opened and the mirror part is exposed, it is switched to the mirror use mode,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irror cover is closed to switch to the front identification mode in a state in which the mirror unit is shielded.
상기 거울부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와 같은 방향을 향하거나 반대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거울부가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와 같은 방향을 향하여 상기 거울부 및 스마트폰 거치부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동시사용모드와,
상기 거울부가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와 반대 방향을 향하여 상기 거울부 및 스마트폰 거치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선택사용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irror un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so as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smartphone holder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a simultaneous use mode in which the mirror unit and the smartphone holder can be used simultaneously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martphone holder;
Smartphone and mirror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irror unit can be switched to a selective use mode in which the mirror unit and the smartphone holder can be selectively u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martphone hold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7666A KR20220009222A (en) | 2020-07-15 | 2020-07-15 |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s and Mirro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7666A KR20220009222A (en) | 2020-07-15 | 2020-07-15 |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s and Mirro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9222A true KR20220009222A (en) | 2022-01-24 |
Family
ID=8005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7666A KR20220009222A (en) | 2020-07-15 | 2020-07-15 |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s and Mirro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09222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33734A (en) | 2010-06-07 | 2011-12-14 | 시별이 | Baby stroller capable of obtaining rear vision thereof |
-
2020
- 2020-07-15 KR KR1020200087666A patent/KR20220009222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33734A (en) | 2010-06-07 | 2011-12-14 | 시별이 | Baby stroller capable of obtaining rear vision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391931B (en) | Sunshade plate for automobile | |
US6347876B1 (en) | Lighted mirror assembly | |
CN112292311B (en) | Bicycle integrated multifunctional lighting device | |
WO2016074601A2 (en) | Lighting apparatus | |
JP6629998B2 (en) | Camping / leisure lighting device with vehicle safety warning light and fire detection function | |
US9266410B2 (en) | Portable sun visor with a plurality of attachment members | |
KR20220009222A (en) |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s and Mirrors | |
ES2348475T3 (en) | PARASOL WITH MIRROR ASSEMBLY. | |
CN215951180U (en) | Folding lamp with good use effect | |
US20220111775A1 (en) | Baby carrier and canopy locking assembly thereof | |
EP1702527A1 (en) | Shielding device for helmet | |
US20220324503A1 (en) | A carriage for transporting a child or infant | |
KR100856086B1 (en) | A sunshade and a baby carriage with sunshade on | |
KR20200145070A (en) | Protective Cover For Wheelchair | |
JP2543914B2 (en) | Vehicle interior light | |
KR101516865B1 (en) | Sun awnings | |
JP2006271859A (en) | Nursing strap | |
CN215951179U (en) | Natural light full spectrum spot lamp | |
KR102623490B1 (en) | monitor shading device | |
KR101607405B1 (en) | Sun visor of car seat for infant | |
CN214623267U (en) | Soft light cover and photographic lamp using same | |
KR200484575Y1 (en) | Cover for baby carriage | |
KR20180097959A (en) | Wheelchair | |
JP2004268725A (en) | Vanity mirror assembly and sun visor | |
KR200423267Y1 (en) | Sun visor is CD stored part for sunlight two-fold screen establishment for equiped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