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940A - 복면가수 컨텐츠를 이용한 4d상영기능이 구비된 부스형 노래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면가수 컨텐츠를 이용한 4d상영기능이 구비된 부스형 노래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940A
KR20200111940A KR1020190031619A KR20190031619A KR20200111940A KR 20200111940 A KR20200111940 A KR 20200111940A KR 1020190031619 A KR1020190031619 A KR 1020190031619A KR 20190031619 A KR20190031619 A KR 20190031619A KR 20200111940 A KR20200111940 A KR 20200111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inger
masked
booth
karaok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현
이석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리얼
정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리얼, 정동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리얼
Priority to KR1020190031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1940A/ko
Publication of KR20200111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06K9/0036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벽이 반투명 또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이용자가 출입하는 출입문이 구비되며, 방음 처리된 밀폐형 부스본체; 상기 부스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노래방기기; 상기 부스본체 내부 바닥에 구비되는 무빙수단; 상기 부스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노래시스템에서 재생되는 영상과 음원 파일에서 추출된 물리적 정보값에 대응하여 시각(빛), 청각(소리), 후각(향기), 촉각(진동) 효과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4D시스템; 상기 노래시스템에 연동하는 결제시스템; 상기 노래시스템에 연동하는 영상표시장치; 상기 이용자의 노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장치; 상기 노래시스템의 음원반주 및 이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장치; 상기 이용자의 안면 또는 안면과 신체를 촬영하는 촬영시스템;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사전제작된 복면가수의 마스크 또는 마스크와 의상 컨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컨텐츠관리부;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복면마스크 또는 복면마스크 및 의상을 이용자의 안면 또는 안면 및 신체영역에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용자의 복면가수 촬영파일과 음원파일을 전송하여 오디션 심사를 처리하는 오디션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면가수 컨텐츠를 이용한 오디션기능을 제공하는 부스형 노래방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복면가수 컨텐츠를 이용한 4D상영기능이 구비된 부스형 노래방 시스템{Booth type karaoke system equipped with 4D screening function using masked singer contents}
본 발명은 부스형 노래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래방 이용자의 얼굴과 신체 일부를 촬영하여 이용자가 선택한 복면 가수의 마스크와 의복을 화면에 표시하여 노래를 부르도록 하며, 해당 노래 뮤직비디오 등에 나타나는 현장의 상황 값(소리,향기,장소 등)을 시각, 촉각, 후각, 청각 등으로 변환하여 증강현실 방식으로 체험하면서 노래를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복면가수 컨텐츠를 이용한 4D상영기능이 구비된 부스형 노래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방이라 함은 일정 사용료를 지불하고 다수의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한 반주기 형태의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영업장소를 말하는데, 이러한 노래방 시스템은 다수의 반주용 사운드 데이터를 반주기 내 하드디스크(HDD)에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재생하며, 해당 사운드 데이터 재생과 더불어 가사와 뮤직 비디오 등과 같은 동영상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해 준다.
최근에는 상기한 오프라인 기반의 노래방 시스템을 인터넷과 접목한 온라인 기반의 노래방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는데, 이는 인터넷상의 서비스제공자로부터 최신곡의 사운드 데이터와, 이와 관련된 동영상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받는 방식으로노래방을 운영하는 사업자 입장에서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사운드 데이터, 동영상 등)를 그대로 이용할 수밖에 없으며, 컨텐츠의 품질 또한 오프라인(off line)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노래방은 노래 음원과 배경을 단순히 모니터에 표시하는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각 노래에서 나타나는 뮤직비디오 현장과 그 주변의 소리와 향기를 느끼면서 실제 가수가 된 입장에서 증강현실 체험을 할 수 있는 부스형 노래방이 요구된다.
또한, 기존의 가수 지망생의 오디션 심사는 음성 파일로 신청하거나 현장 심사를 통하여 본인의 얼굴과 외모가 드러난 상태에서 심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오디션 심사관의 편견으로 인하여 객관적인 심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제10-2003-0018509호(온라인 오디션기기 및 그 제어방법)(공개일자 2003.03.06) 한국등록특허제10-1487711호(4D 액선시스템) (2015.01.23)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노래방 이용자의 얼굴과 신체 일부를 촬영하여 이용자가 선택한 복면 가수의 마스크와 의복을 화면에 표시하여 노래를 부르도록 하면서, 해당 노래 뮤직비디오 등에 나타나는 현장의 상황 값(소리,향기,장소 등)을 시각, 촉각, 후각, 청각 등으로 변환하여 증강현실 방식으로 체험하면서 노래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실제 가수가 된 체험을 하면서 노래를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복면가수 컨텐츠를 이용한 4D상영기능이 구비된 부스형 노래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녹음된 이용자의 음원은 노래방과 연계된 기획사 서버로 전송하여 오디션 심사를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복면가수 컨텐츠를 이용한 4D상영기능이 구비된 부스형 노래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외부벽이 반투명 또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이용자가 출입하는 출입문이 구비되며, 방음 처리된 밀폐형 부스본체; 상기 부스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노래방기기; 상기 부스본체 내부 바닥에 구비되는 무빙수단; 상기 부스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노래시스템에서 재생되는 영상과 음원 파일에서 추출된 물리적 정보값에 대응하여 시각(빛), 청각(소리), 후각(향기), 촉각(진동) 효과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4D시스템; 상기 노래시스템에 연동하는 결제시스템; 상기 노래시스템에 연동하는 영상표시장치; 상기 이용자의 노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장치; 상기 노래시스템의 음원반주 및 이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장치; 상기 이용자의 안면 또는 안면과 신체를 촬영하는 촬영시스템;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사전제작된 복면가수의 마스크 또는 마스크와 의상 컨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컨텐츠관리부;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복면마스크 또는 복면마스크 및 의상을 이용자의 안면 또는 안면 및 신체영역에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용자의 복면가수 촬영파일과 음원파일을 전송하여 오디션 심사를 처리하는 오디션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면가수 컨텐츠를 이용한 오디션기능을 제공하는 부스형 노래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래방 이용자 얼굴에 마스크를 착용한 영상과 의상을 통해 복면가왕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가수가 된 상황에서 노래를 하도록 함으로써 흥미와 열정적인 노래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스크와 의상을 착용한 상태에서 녹화된 영상 및 노래 음원은 노래방과 연계된 연예기획사 서버로 전송하여 이용자의 외형적인 모습을 배재한 상태에서 객관적인 오디션 심사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스형노래방 부스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부스형노래방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4D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의한 부스형노래방의 전체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오디션 시스템도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스형노래방 부스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부스형노래방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스형노래방의 전체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오디션 시스템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외부벽이 반투명 또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이용자가 출입하는 출입문이 구비되며, 방음 처리된 밀폐형 부스본체; 상기 부스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노래방기기; 상기 부스본체 내부 바닥에 구비되는 무빙수단;
상기 부스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노래시스템에서 재생되는 영상과 음원 파일에서 추출된 물리적 정보값에 대응하여 시각(빛), 청각(소리), 후각(향기), 촉각(진동) 효과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4D시스템;
상기 노래시스템에 연동하는 결제시스템; 상기 노래시스템에 연동하는 영상표시장치; 상기 이용자의 노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장치;
상기 노래시스템의 음원반주 및 이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장치;
상기 이용자의 안면 또는 안면과 신체를 촬영하는 촬영시스템;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사전제작된 복면가수의 마스크 또는 마스크와 의상 컨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컨텐츠관리부;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복면마스크 또는 복면마스크 및 의상을 이용자의 안면 또는 안면 및 신체영역에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용자의 복면가수 촬영파일과 음원파일을 전송하여 오디션 심사를 처리하는 오디션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부스본체 20 : 노래시스템
30 : 결제시스템 40 : 영상표시장치
50 : 마이크장치 60 : 음향장치
70 : 촬영시스템 80 : 컨텐츠관리부
90 : 제어부 100 : 오디션관리부
200 : 무빙수단 300 : 4D시스템

Claims (1)

  1. 외부벽이 반투명 또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이용자가 출입하는 출입문이 구비되며, 방음 처리된 밀폐형 부스본체; 상기 부스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노래방기기; 상기 부스본체 내부 바닥에 구비되는 무빙수단;
    상기 부스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노래시스템에서 재생되는 영상과 음원 파일에서 추출된 물리적 정보값에 대응하여 시각(빛), 청각(소리), 후각(향기), 촉각(진동) 효과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4D시스템;
    상기 노래시스템에 연동하는 결제시스템; 상기 노래시스템에 연동하는 영상표시장치; 상기 이용자의 노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장치;
    상기 노래시스템의 음원반주 및 이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장치;
    상기 이용자의 안면 또는 안면과 신체를 촬영하는 촬영시스템;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사전제작된 복면가수의 마스크 또는 마스크와 의상 컨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컨텐츠관리부;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복면마스크 또는 복면마스크 및 의상을 이용자의 안면 또는 안면 및 신체영역에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용자의 복면가수 촬영파일과 음원파일을 전송하여 오디션 심사를 처리하는 오디션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면가수 컨텐츠를 이용한 오디션기능을 제공하는 부스형 노래방 시스템.
KR1020190031619A 2019-03-20 2019-03-20 복면가수 컨텐츠를 이용한 4d상영기능이 구비된 부스형 노래방 시스템 KR20200111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619A KR20200111940A (ko) 2019-03-20 2019-03-20 복면가수 컨텐츠를 이용한 4d상영기능이 구비된 부스형 노래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619A KR20200111940A (ko) 2019-03-20 2019-03-20 복면가수 컨텐츠를 이용한 4d상영기능이 구비된 부스형 노래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940A true KR20200111940A (ko) 2020-10-05

Family

ID=72809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619A KR20200111940A (ko) 2019-03-20 2019-03-20 복면가수 컨텐츠를 이용한 4d상영기능이 구비된 부스형 노래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194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509A (ko) 2001-08-30 2003-03-06 주식회사 라피 온라인용 오디션 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87711B1 (ko) 2013-11-18 2015-01-30 주식회사 레드로버 4d 액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509A (ko) 2001-08-30 2003-03-06 주식회사 라피 온라인용 오디션 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87711B1 (ko) 2013-11-18 2015-01-30 주식회사 레드로버 4d 액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nn Humanistic computing:" WearComp" as a new framework and application for intelligent signal processing
KR20200003022A (ko) Vr 시나리오에서의 롤 플레이 시뮬레이션 방법 및 단말 기기
Brar Teklife, Ghettoville, Eski: The Sonic Ecologies of Black Music in the Early 21st Century
Krauss "... And Then Turn Away?" An Essay on James Coleman
KR101918853B1 (ko) 게임 리플레이 영상 생성 시스템
KR20200111940A (ko) 복면가수 컨텐츠를 이용한 4d상영기능이 구비된 부스형 노래방 시스템
KR101809617B1 (ko) 마이콘서트시스템
KR20000054662A (ko) 인터넷 및 노래연습장을 통한 오디션 및 그 관리방법
JPH09247532A (ja) 画像合成方法および装置
Sandve Unwrapping ‘Norwegianness’: politics of difference in Karpe Diem
Schacher Hybrid Musicianship-Teaching Gestural Interaction with Traditional and Digital Instruments.
Li et al. Exploring the Use of the SoundVizVR Plugin with Game Developers in the Development of Sound-Accessible Virtual Reality Games
KR20200112740A (ko) 복면가수 콘텐츠를 이용한 보이스 배틀기능 및 오디션기능을 제공하는 부스형 노래방 시스템
Flach Film scoring today-Theory, practice and analysis
Renaud et al. 3DinMotion A Mocap Based Interface for Real Time Visualisation and Sonification of Multi-User Interactions.
Nicola A question of the sonic: problematizing Afrofuturism and its relation to Black Sound, with a case study of DJ Steloolive’s performance art
Trubert et al. Luna Park (2011): An Aesthetics of Shock
Doornbusch et al. Presence and Sound; Identifying Sonic Means to “Be there”.
KR102452633B1 (ko)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촛불집회 제공 시스템
Sá et al. A Parametric Model for Audio-Visual Instrument Design, Composition and Performance
KR20230127047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디지털 마스크를 장착한 오디션 베틀 시스템
Fleischmann et al. Murmuring Fields rehearsals: building up the mixed reality stage
O'Hagan et al. Orchestrating change: The future of orchestras post COVID-19
Bijsterveld Save Our Noise: When Sound Out of Place Deserves Our Protection
Pigott Sounds of the Projection Box: Liner Notes for a Phonographic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