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554A -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554A
KR20200111554A KR1020190031402A KR20190031402A KR20200111554A KR 20200111554 A KR20200111554 A KR 20200111554A KR 1020190031402 A KR1020190031402 A KR 1020190031402A KR 20190031402 A KR20190031402 A KR 20190031402A KR 20200111554 A KR20200111554 A KR 20200111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main body
winder
electric dri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지훈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1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1554A/ko
Publication of KR20200111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10Bundling rods, sticks, or like elongated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본체의 상부에 내장되고,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제1 홀을 통해 전동드릴의 회전축이 연결되며, 일측에 워엄이 형성된 드릴 연결부,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고, 워엄과 맞물려 상기 회전축의 회동력에 따라 구동하는 워엄힐을 내부에 구비하며, 하부에는 제1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된 와인더부, 본체의 외면 하부에 확장되어 형성된 일정 형상의 플레이트부 및 플레이트부와 힌지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제1 테이프를 유입하는 테이프 유입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가이드부, 본체의 외부에 구비되고,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제2 홀을 통해 워엄힐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테이프 가이드부를 통해 유입된 바인딩 테이프(이하 제2 테이프)를 당겨 권취하는 테이프 와인더부, 일단이 돌출부의 일면에 구비되고, 타단이 플레이트부의 일측에 장착되며, 제2 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부 및 테이프 와인더부의 아래에 위치하고, 제2 테이프가 절단된 경우, 제1 테이프를 체결하기 위해 케이블에 구비된 버클을 고정 시키는 클램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Binding device using electric drill}
본 발명은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에 체결된 바인딩 테이프의 절단 및 고정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질환을 예방하고, 작업공정을 단축 시키고자 한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는 다수 설치된 케이블(Cable)을 정렬 및 고정시키기 위한 바인딩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케이블을 정렬 및 고정시키기 위해 케이블 타이(Tie)를 사용하고 있다.
바인딩 작업은 전로가 설치되어 케이블이 포설되는 전 구간에 40~60cm 간격으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바인딩 공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바인딩 장치(1) 또는 1차 전동 바인딩 장치(2)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동 바인딩 장치(1)를 사용하는 경우, 하루 평균 약 300개 정도의 바인딩 작업을 하게 되고 최소 600회의 두드림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신체에 안좋은 영향을 주게됨과 아울러,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1차 전동 바인딩 장치(2)를 사용하는 경우, 손상된 커터의 교체가 어렵고, 바인딩 속도가 느리며, 바인딩 장비 자체 배터리의 충전단자가 안전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5279호(2009년 06월 02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케이블에 체결된 바인딩 테이프의 절단 및 고정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고, 작업공정을 단축시키고자 한 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손상된 커터의 교체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충전식 전동 드릴을 이용해 안전한 작업을 꾀하고, 바인딩 속도를 향상시켜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고자 한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더 장치는 전동 드릴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케이블에 묶어진 바인딩 테이프(이하 제1 테이프)를 체결하여 절단 및 고정하는 바인딩 장치로써, 일정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내장되고,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제1 홀을 통해 전동드릴의 회전축이 연결되며, 일측에 워엄이 형성된 드릴 연결부;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워엄과 맞물려 상기 회전축의 회동력에 따라 구동하는 워엄힐을 내부에 구비하며, 하부에는 제1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된 와인더부; 상기 본체의 외면 하부에 확장되어 형성된 일정 형상의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와 힌지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테이프를 유입하는 테이프 유입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가이드부; 상기 본체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제2 홀을 통해 상기 워엄힐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테이프 가이드부를 통해 유입된 바인딩 테이프(이하 제2 테이프)를 당겨 권취하는 테이프 와인더부; 일단이 상기 돌출부의 일면에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2 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부; 및 상기 테이프 와인더부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테이프가 절단된 경우, 상기 제1 테이프를 체결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에 구비된 버클을 고정 시키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에 의하면,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에 의하면, 라쳇 작업 및 타이 제거 공정과 같은 작업공정을 단축 시킴에 따라, 작업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에 의하면, 피로에 의한 작업속도 저하 및 휴식시간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에 의하면, 손상된 커터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고, 바인딩 장비 자체 배터리의 충전단자가 안전하기 때문에, 작업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선박용 바인딩 케이블의 결속수단을 보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의 전동 드릴과 바인딩 장치를 분리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를 구성하는 바인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를 구성하는 커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를 구성하는 클램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전동 드릴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방향을 '후방', 그 반대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테이프 와인더부가 구비된 방향을 '우방', 그 반대방향을 '좌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공통적으로 기술하고 있는 몇몇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테이프(T1)는 후술할 테이프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기 전의 테이프로써, 케이블(C)에 묶어진 바인딩 테이프를 의미한다.
제2 테이프(T2)는 후술할 테이프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고, 후술할 테이프 와인더부에 의해 당겨져 권취되는 바인딩 테이프를 의미한다.
1차 작업자는 케이블에 상기 제1 테이프를 일정간격으로 묶는 역할을 하는 작업자를 의미한다.
2차 작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를 사용하는 작업자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의 전동 드릴과 바인딩 장치를 분리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10)는 전동 드릴(100)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케이블(C)에 묶어진 바인딩 테이프(T1, 이하 제1 테이프)를 체결하여 절단 및 고정하는 것으로, 전동 드릴(100)과 바인딩 장치(20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바인드 테이프(T1,T2)는 케이블 타이(Tie)와 같이 케이블을 결속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
전동 드릴(100)은 상용화된 전동공구로써, 바인딩 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원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전동 드릴(100)은 상용 배터리 충전식 드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는 바인딩 장치(200)에 회전축(11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된다. 이를 위해, 바인딩 장치(200)는 전동 드릴(100)의 회전축이 결합 될 수 있도록, 전동 드릴(100)의 회전축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제1 홀(211)이 후면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인딩 장치(200)는 전동 드릴(100)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테이프(T1)를 체결 후 절단 및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바인딩 장치(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를 구성하는 바인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4a 및 도 4b는 본체(210)에 내장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전후방 및 좌방을 개방한 형태로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인딩 장치(200)는 본체(210), 드릴 연결부(220), 와인더부(230), 테이프 가이드부(240), 테이프 와인더부(250), 커팅부(260) 및 클램핑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210)는 일정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 또는 외부에 각 구성요소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본체(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드릴 연결부(220) 및 와인더부(230)를 내장하며, 외부에 테이프 가이드부(240), 테이프 와인더부(250), 커팅부(260) 및 클램핑부(270)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체(210)는 작업자의 휴대가 용이하도록 가벼운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 본체(210)는 경질의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체(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동 드릴(100)의 회전축(1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홀(211, 도2 참조)을 구비함과 아울러, 테이프 와인더부(250)가 와인더부(23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우측면에 제2 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홀(212)은 진동 드릴(100)에 의해 회전하는 와인더부(230)가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테이프 와인더부(250)가 와인더부(230)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장방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드릴 연결부(220)는 본체(210)의 상부에 내장되고, 본체(210)의 일면에 형성된 제1 홀(211)을 통해 전동 드릴(100)의 회전축(110)이 연결되며, 일측에 워엄(221)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드릴 연결부(220)는 일단이 전동 드릴(100)의 회전축(11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드릴 연결부(220)는 일단이 렌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1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 드릴 연결부(220)의 일단은 퀵 커플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1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드릴 연결부(220)는 전동 드릴(100)의 회전축(11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일측에 형성된 워엄(221)을 회전시킨다. 여기서, 워엄(221)은 와인더부(230)에 구비된 워엄힐(231)과 치결합되어 워엄기어를 구성하게 된다.
와인더부(230)는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고, 워엄(221)과 맞물려 상기 회전축(110)의 회동력에 따라 구동하는 워엄힐(231)을 내부에 구비하며, 하부에는 제1 탄성부재(232)가 구비되고, 일측에 돌출부(233)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와인더부(23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과 상방이 개방된 형태의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에 워엄힐(231)이 구비되고, 전방면에 돌출부(23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워엄힐(23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드릴 연결부(220)에 구비된 워엄(221)과 치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와인더부(23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돌출부(233)는 워엄힐(231)의 회전에 따라 와인더부(230)가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제2 테이프(T2)를 절단하기 위한 커팅부(260)가 연결되는 것으로, 일정 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와인더부(230)는 본체(200)의 바닥면에 형성된 가이드부(G)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바닥면과 상기 가이드부(G)의 사이에 제1 탄성부재(23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탄성부재(232)는 와인더부(23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탄성부재(232)를 단일로 구성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일 뿐, 와인더부(230)의 장력을 효율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개수이면 몇개이던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와인더부(230)는 후술할 테이프 와인더부(250)가 제2 테이프(T2)를 당겨 권취하는 경우, 일정장력 이상이 되면 길이방향으로 유동하여 후술할 커팅부(260)를 회전시키고, 일정장력 이하가 되면 제1 탄성부재(232)에 의해 재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테이프 가이드부(240)는 본체(200)의 외면 하부에 확장되어 형성된 일정 형상의 플레이트부(241)와 힌지(H)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제1 테이프(T1)를 유입하는 테이프 유입부(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테이프 가이드부(240)는 테이프 유입부(242)를 통해 유입된 제1 테이프(T1)를 후술할 테이프 와인더부(25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테이프 가이드부(240)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부(241)는 본체(200)의 우방 하부에 대략 'A'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술할 커팅부(260)의 일단이 관통하여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플레이트부(241)도 본체(200)와 마찬가지로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테이프 유입부(242)는 도면에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 테이프(T1)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전방에 일정 간격의 홈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부(242)의 전방에 형성된 홈(도면 미도시)은 바인딩 테이프 즉, 제1 테이프(T1)의 크기 및 모양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c를 참조하면, 테이프 와인더부(250)는 본체(200)의 외부에 구비되고, 본체(200)의 측면에 형성된 제2 홀(212)을 통해 워엄힐(231)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테이프 가이드부(240)를 통해 유입된 바인딩 테이프를 당겨 권취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테이프 와인더부(250)는 본체(200)의 우측면에 형성된 제2 홀(212)을 통해 와인더부(230)의 플레이트 우측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워엄힐(231)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진동 드릴(100)의 회전축(110)의 회전에 따라 테이프 유입부(242)로 유입된 바인딩 테이프를 당겨 권취하게 된다.
이때, 테이프 와인더부(250)에는 제2 테이프(T2)를 효율적으로 감을 수 있도록 일자형태의 슬릿(251)이 형성된다.
한편, 커팅부(260) 및 클램핑부(270)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를 구성하는 커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팅부(260)는 일단이 돌출부(233)의 일면에 구비되고, 타단이 플레이트부(241)의 일측에 장착되며, 제2 테이프(T2)를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팅부(260)는 플레이트부(241)의 일측에 장착되는 부분이 롤 혹은 드럼 형상의 부재 일부가 사선방향으로 절삭되어 칼날기능을 수행하는 절삭홈(도면 미도시)이 마련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장력이 걸려 있는 바인딩 테이프의 절단 시 장력손실을 줄이면서 절단면을 고르고 균일하게 절단하기 위함이다.
한편, 커팅부(260)는 돌출부(233)의 일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통상적인 홈과 돌기의 결합방식 또는 나사결합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커팅부(26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결합방식이면 어떠한 결합방식을 사용하던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커팅부(260)의 일단을 돌출부(233)와 같은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방식은 해당 분야의 기술자에겐 자명한 사실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커팅부(260)는 와인더부(230)가 길이방향으로 유동됨에 따라 회전하여 제2 테이프(T2)를 절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동 드릴(100)의 회전에 따라 테이프 와인더부(250)가 테이프 유입부(242)로 유입된 제2 테이프(T2)를 당겨 권취할 때, 일정 장력이상이 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인더부(230)가 앞으로 당겨지며, 커팅부(260)가 회전하게 되어 제2 테이프(T2)를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장력 이하가 되면 와인더부(230)가 제1 탄성부재(232)에 의해 재위치로 돌아오게 됨에 따라, 커팅부(260)도 재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 와인더부(250)를 통해 제2 테이프(T2)를 당김에 따라 발생하는 장력을 이용하여 커팅부를 회전시켜 절단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테이프 와인더부(250)에 의해 제2 테이프(T2)가 당겨져 권취됨에 따라 와인더부(230)가 앞으로 이동하여 커팅부(260)가 테이프 유입부(242)로 유입된 바인딩 테이프를 절단하는 경우, 절단 시 상기 바인딩 테이프가 꺾여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이프 유입부(242)와 플레이트부(241)사이에는 제2 탄성부재(24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를 구성하는 클램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부(270)는 테이프 와인더부(250)의 아래에 위치하고, 제2 테이프(T2)가 절단된 경우, 제1 테이프(T1)를 체결하기 위해 즉, 제1 테이프(T1)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C)에 구비된 버클(B)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클램핑부(270)는 가이드 핀(271) 및 클램핑 패드(2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 핀(271)은 본체(210)의 외면 하부에 구비되어 케이블(C)과 제1 테이프(T1)의 사이에 삽입된다. 이러한 가이드 핀(271)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본체(210)의 외면 하부에 구비된 플레이트(213)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핀(271)의 간격은 버클(B)의 간격과 대응되는 간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테이프(T2)가 절단된 상태에서 가이드 핀(271)을 버클(B)이 구비된 위치의 케이블(C)과 제1 테이프(T1)의 사이에 삽입하여 바인딩 장치(200)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클램핑 패드(272)는 플레이트부(241)의 일단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테이프 와인더부(250)에 의해 상하로 유동된다. 이러한 클램핑 패드(272)는 자기력을 갖는 일반적인 판 형태의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테이프 와인더부(250)가 회전함에 따라 눌러져 상하로 유동되는 것이다.
즉, 도 6c 내지 도 6e와 같이, 가이드 핀(271)이 케이블(C)과 제1 테이프(T1)의 사이에 삽입된 후, 전동 드릴(100)의 회전에 의해 테이프 와인더부(250)가 회전함에 따라, 아래방향으로 눌러 버클의 상단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로 인해, 버클(B)이 케이블(C) 상단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의 동작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1차 작업자는 케이블(C)에 일정간격(예를 들어 40~60cm)으로 바인딩 테이프(T1)를 묶고, 2차 작업자는 전동드릴(100)과 바인딩 장치(200)를 결합한다.
그리고, 2차 작업자는 결합된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10)에 구비된 테이프 가이드부(240) 및 테이프 와인더부(250)를 통해 제1 테이프(T1)를 체결한다.
이후, 2차 작업자는 전동 드릴(10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테이프 와인더부(250)를 통해 제2 테이프(T2)를 타이트 하게 당겨 권취한다.
제2 테이프(T2)가 일정 장력으로 인해 타이트하게 되면, 와인더부(230) 및 테이프 와인더부(25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커팅부(260)를 회전시켜 제2 테이프(T2)를 절단하게된다.
커팅부(260)가 제2 테이프(T2)를 절단한 경우, 와인더부(230)는 하부에 구비된 제1 탄성부재(232)의 장력에 의해 재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그리고 나서, 2차 작업자는 버클(B)이 배치된 위치의 케이블(C)과 제1 테이프(T1)사이의 틈에 가이드 핀(271)을 삽입한다.
이후, 전동 드릴(10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테이프 와인더부(250)를 회전시켜 클램핑 패드(272)를 누른다.
이로 인해, 버클(B)이 클램핑 패드(272)에 의해 가압되어, 케이블(C)과 제1 테이프(T1)를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에 의하면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 100: 전동 드릴
200: 바인딩장치 210: 본체
220: 드릴 연결부 230: 와인더부
240: 테이프 가이드부 250: 테이프 와인더부
260: 커팅부 270: 클램핑부
C: 케이블 B: 버클
T1: 제1 테이프 T2: 제2 테이프

Claims (4)

  1. 전동 드릴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케이블에 묶어진 바인딩 테이프(이하 제1 테이프)를 체결하여 절단 및 고정하는 바인딩 장치로써,
    일정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내장되고,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제1 홀을 통해 전동드릴의 회전축이 연결되며, 일측에 워엄이 형성된 드릴 연결부;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워엄과 맞물려 상기 회전축의 회동력에 따라 구동하는 워엄힐을 내부에 구비하며, 하부에는 제1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된 와인더부;
    상기 본체의 외면 하부에 확장되어 형성된 일정 형상의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와 힌지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테이프를 유입하는 테이프 유입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가이드부;
    상기 본체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제2 홀을 통해 상기 워엄힐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테이프 가이드부를 통해 유입된 바인딩 테이프(이하 제2 테이프)를 당겨 권취하는 테이프 와인더부;
    일단이 상기 돌출부의 일면에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2 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부; 및
    상기 테이프 와인더부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테이프가 절단된 경우, 상기 제1 테이프를 체결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에 구비된 버클을 고정 시키는 클램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와인더부는
    상기 테이프 와인더부가 상기 제2 테이프를 당겨 권취하는 경우, 일정장력 이상이 되면 길이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커팅부를 회전시키고, 일정장력 이하가 되면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의해 재위치로 돌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
  3. 청구항 2에서, 상기 테이프 유입부와 상기 플레이트부 사이에는
    상기 커팅부에 의해 상기 제2 테이프가 절단되는 경우, 상기 제2 테이프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2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
  4. 청구항 1에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본체의 외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과 상기 제1 테이프의 사이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단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테이프 와인더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는 클램핑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
KR1020190031402A 2019-03-19 2019-03-19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 KR20200111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402A KR20200111554A (ko) 2019-03-19 2019-03-19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402A KR20200111554A (ko) 2019-03-19 2019-03-19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554A true KR20200111554A (ko) 2020-09-29

Family

ID=72661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402A KR20200111554A (ko) 2019-03-19 2019-03-19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155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279A (ko) 2007-11-28 2009-06-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식 케이블타이 절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279A (ko) 2007-11-28 2009-06-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식 케이블타이 절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5834B1 (ko) 결속기
DE60109778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wirnen und spannen eines drahtes
US9144194B2 (en) Rotary cutter for brush cutter
US9186804B2 (en) Cutting tool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4156443A (en) Binding lace for an automatic binder
KR20200111554A (ko) 전동 드릴을 이용한 바인딩 장치
EP3342957B1 (en) Binding machine
DE102020117522B4 (de) Handgehaltenes bindewerkzeug
JP6358652B2 (ja) テープ巻付装置及びテープ巻付方法
CN216698643U (zh) 一种新能源汽车多规格电池包连接件
JP6598068B2 (ja) テープ巻付装置
JP6318295B1 (ja) 係船ロープ掛け替え具及び係船ウインチ
KR200453169Y1 (ko) 선박용 케이블 타이 결속장치
DE102008060812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Druchtrennen des Klebewulstes von eingeklebten Scheiben
JP2021145403A (ja) テープ巻き付けユニット
JP6319884B2 (ja) 結束装置におけるテープ巻戻り防止機構
KR101617025B1 (ko) 케이블타이 절단장치
CN219044571U (zh) 一种可缩放调节的塑料扎带
KR20030071207A (ko) 케이블 테이핑 장치
JP3235933U (ja) 刈払機用コードの取付け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る刈払機
CN209480833U (zh) 矿用卷带卷筒及包括其的皮带卷收装置
US20240106210A1 (en) Cable stripping tool
WO2024095301A1 (ja) 刈払機に取り付け可能なコードリールカセット及びそれを備える刈払機
CN215733170U (zh) 弱电工程用布线装置
KR200453168Y1 (ko) 밴딩구조를 포함한 선박 케이블 타이 결속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