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416A - 휴대폰을 이용한 공개형 전자투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폰을 이용한 공개형 전자투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416A
KR20200111416A KR1020190031054A KR20190031054A KR20200111416A KR 20200111416 A KR20200111416 A KR 20200111416A KR 1020190031054 A KR1020190031054 A KR 1020190031054A KR 20190031054 A KR20190031054 A KR 20190031054A KR 20200111416 A KR20200111416 A KR 20200111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ting
database
voter
terminal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7386B1 (ko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임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임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임팬
Priority to KR1020190031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38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30/00Voting or e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46Secure multiparty computation, e.g. millionaire problem
    • H04L2209/463Electronic v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앱을 통하여 투표를 하고,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는 비밀투표이면서도 투표자 수 확인 및 나의 투표정보와 타인의 투표정보를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를 신뢰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공개형 전자투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투표 주최측이 서버에 유권자 휴대폰번호의 해쉬값을 주소로 하여 데이터베이스A테이블에 대기상태로 저장하고 해쉬값을 유권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유권자가 휴대폰의 앱을 구동하면, 앱은 자기단말기번호를 가져와 해쉬값을 구해서 전송된 해쉬값과 비교하여 본인 확인하고, 서버에 해쉬값의 주소가 있는지 권한확인을 하여 유권자인지 확인하고, 유권자가가 기표를 하면, 유권자로부터 표시문자를 함께 받아 기표내용과 표시문자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B테이블에 저장하고, 저장된 주소값을 받아 앱 내에 저장함과 동시에 A테이블의 휴대폰번호의 해쉬값 주소에 투표행사 상태로 저장함으로써, 유권자는 비밀투표이면서도 객관적으로 조회/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공개형 전자투표 방법 및 시스템이다.

Description

휴대폰을 이용한 공개형 전자투표 방법 및 시스템{Public electronic voting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의 앱을 통하여 투표를 하고,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는 비밀투표이면서도 투표자 수 확인 및 나의 투표정보와 타인의 투표정보를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를 신뢰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공개형 전자투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요즘은 온라인으로 업무가 처리되는 관계로, 단체의 업무 진행의 많은 부분이 온라인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그러나 중요한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총회와 같은 실제 참석하여 의사 결정을 하여야 한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점은 많은 회원이나 업무특성상 여러 곳으로 분산되어 있어서 의사결정을 위한 정족수 부족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전자투표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들의 대부분은 유권자의 권한 확인을 위한 개인인증에 관련된 제안이다. 즉 주최측의 입장에서 제안된 것이고 유권자는 이를 인정해야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유권자입장에서 볼 때, 유권자 수는 몇 명이고 투표자 수는 어떻게 되며 투표결과는 어떻다 라는 전체적인 결과를 볼뿐이다. 다시 말하면 유권자 개개인의 입장에서 내 투표권이 제대로 적용되었는지, 다른 사람의 투표권이 제대로 적용되었는지를 확인할 길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폰의 앱을 통하여 투표를 하고,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는 비밀투표이면서도 투표자 수 확인 및 나의 투표정보와 타인의 투표정보를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를 신뢰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공개형 전자투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 예는 휴대폰을 이용한 공개형 전자투표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구현 예의 시스템은 투표관리서버로부터 투표ID를 발급받고 투표정보데이터베이스에 투표정보를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 A테이블에 유권자들의 휴대폰번호를 저장하는 주최자 단말기; A테이블로부터 유권자 확인을 하고, 투표정보로부터 투표정보를 가져와 보여주고, 사용자로부터 받은 기표내용과 표시문자를 데이터베이스B테이블에 저장하고, 기표사실을 데이터베이스A테이블에 저장하는 가입자 단말기; 투표 후보 정보를 저장하는 투표정보 데이터베이스; 전화번호의 해시값과 기표 유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제1테이블; 기표내용과 표시문자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제2테이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면서, 투표ID를 발급하고, 주최자 단말기와 가입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보를 업로드 다운로드 하는 투표관리서버를 포함하다.
본 다른 구현 예의 방법은 주최자단말기가 투표관리서버로부터 투표ID를 발급받는 단계; 주최자 단말기가 후보정보를 투표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주최자 단말기가 데이터베이스 A테이블에 유권자의 휴대폰번호를 해시함수로 변환하여 해시함수값을 주소로 하여 투표 대기상태임을 저장하는 단계; 주최자 단말기가 투표ID와 해시함수값을 후보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유권자 단말기는 휴대폰시스템으로부터 휴대폰번호를 불러와서 해시값을 구하고, 구한 해시값을 가진 주소가 데이터베이스 A테이블에 존재하는지 조회하여 참이면 투표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투표후보 정보를 가져와 보여주고 기표 및 표시문자를 받는 단계; 유권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기표 및 표시문자를 받으면 데이터베이스 A테이블에 기표했음을 기록하고, 데이터베이스 B테이블에 기표내용과 표시문자를 저장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 B테이블로부터 유권자 단말기로 저장된 주소값을 리턴해주는 단계; 유권자 단말기는 리턴 받은 주소값을 저장하는 단계; 주최자 단말기 또는 유권자 단말기가 요청하면 투표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비롯하여 데이터베이스 A테이블과 데이터베이스 B테이블을 모두 보여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구현 예에 따르면, 대중화된 휴대폰을 통해 간편하게 투표를 하고, 특히 데이터 저장에 있어서 해시값 및 자기만 아는 표시문자를 이용함으로써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으면서, 투표된 모든 정보 즉 나의 투표내용 확인을 포함하여 유권자수, 투표자수, 타인의 투표 정보까지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를 신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휴대폰을 이용한 공개형 전자투표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휴대폰을 이용한 공개형 전자투표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3은 투표 후보정보가 저장된 투표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예,
도 4는 투표가 개시되기 전의 데이터베이스 제A테이블의 예,
도 5는 유권자의 단말기로 발송된 메시지 창의 예,
도 6는 유권자 단말기에 나타난 후보화면, 기표입력창, 표시문자입력창이 있는 유권자 단말기의 투표화면의 예,
도 7은 투표 후 에 조회되는 데이터베이스 제A테이블의 예,
도 8은 투표 후 에 조회되는 데이터베이스 제B테이블의 예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표정보와 유권자정보를 가지고 있고 본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주최자단말기(110)와, 본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유권자단말기(120)와, 주최자단말기와 유권자단말기로부터 정보를 받고 전송하고 보관하는 투표관리서버(100)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최자단말기(110)는 투표정보와 유권자정보(112)를 가지고 있고 본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111)이 구비되어 있고, 유권자단말기(120)는 본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121)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투표관리서버(100)는 투표 ID별로 투표정보데이터베이스(101)와 데이터베이스 A테이블(102)과 데이터베이스 B테이블(103)을 가지고 있으며, 투표정보데이터베이스(101)에는 선택항목별 상세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데이터베이스 A테이블에는 유권자 전화번호 해시값과 투표유무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데이터베이스 B테이블에는 ID값과 함께 기표내용, 표시문자가 저장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이의 구현 방법을 설명하면,
주최자단말기가 투표관리서버로부터 투표ID를 발급받는 단계; 주최자단말기가 투표정보데이터베이스에 투표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주최자 단말기가 데이터베이스 A테이블에 유권자의 휴대폰번호를 해시함수로 변환하여 해시함수값을 주소로 하여 투표 대기상태임을 저장하는 단계; 주최자 단말기가 투표ID와 해시함수값을 후보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유권자 단말기는 자기 휴대폰번호를 불러와서 해시값을 구해서 해당 해시값을 가진 주소가 데이터베이스 A테이블에 존재하는지 조회하여 참이면 투표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투표정보를 가져와 보여주고 기표 및 표시문자를 받는 단계; 유권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기표 및 표시문자를 받으면 데이터베이스 A테이블에 기표했음을 기록하고, 데이터베이스 B테이블에 기표내용과 표시문자를 저장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 B테이블에 저장된 주소값을 리턴해주는 단계; 유권자 단말기는 리턴 받은 주소값을 저장하는 단계; 주최자 단말기 또는 유권자 단말기가 요청하면 투표정보데이터베이스를 비롯하여 데이터베이스 A테이블과 데이터베이스 B테이블을 모두 보여주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투표의 예는 여러 종류의 안에서 한 가지를 선택하거나, 여러 사람중에서 한사람을 선택하거나, 어떤 안에 대하여 찬반을 선택하는 등 다양한 경우가 있는데, 여기서는 여러 사람 중에서 선택하는 예를 들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휴대폰을 이용한 공개형 전자투표 시스템의 동작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하기의 모든 주최자와 유권자의 과정은 소유한 단말기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이루어 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최자는 관리서버로부터 투표ID를 발급받는다(s101). 관리서버는 또 다른 여러 투표관리를 총괄하기 때문에 지정된 ID가 필요하다.
주최자는 주최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투표정보 예를 들면 후보자별 성명, 사진, 약력 등을 후보 번호와 함께 도 3과 같이 투표정보 데이터베이스(s102)에 저장한다.
또한 주최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유권자의 휴대전화번호들을 입력하면, 어플리케이션은 휴대전화번호들의 해시값을 구하고, 해시값을 주소값으로하여, 도 4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A테이블에 투표대기(예: 0)로 하여 생성 저장한다(s103). 또한 동시에, 애플리케이션은 투표ID와 각각의 단말기의 해시값을 도 5와 같이 각각의 유권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104)
유권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공유 연결을 통해 해쉬값을 전달받으면 자기휴대번호 불러오기 기능을 통해 휴대폰 번호를 가져와서 해쉬값을 구하고 전달받은 해쉬값과 대조한다(s105). 물론 여기서 해쉬값이 다르면 진행이 중단된다. 이 경우는 다른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복사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이며, 따라서 다른 사람의 투표권 행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권자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베이스 A테이블에서 해당 해쉬값을 가진 주소가 존재하는지를 조회(s106)하여 없으면 진행이 중단된다. 이 경우는 투표권이 없는 사람이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이며, 따라서 투표권이 없는 사람의 투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모든 것이 통과되면 애플리케이션은 서버로부터 후보자 정보를 가져와 도 6과 같이 화면에 보여주고, 기표와 표시문자를 요청하게 된다(s107). 여기서 기표는 후보자중 선택하는 후보의 번호이고, 표시문자는 유권자가 혼자만 알 수 있는 임시문자를 말한다. 이 표시문자는 나중에 데이터베이스 B테이블에 저장된 나의 투표임을 알기 위한 수단이다.
애플리케이션은 유권자로부터 기표와 표시문자를 받으면(s108), 첫째로 데이터베이스 A테이블의 자기 해시값주소에 투표했음(예: 1)으로 저장하고(s109), 둘째로 데이터베이스 B테이블에 기표내용과 표시문자를 저장한다(s110). 데이터베이스B테이블로부터 저장된 주소값을 돌려받으면(s111), 유권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은 주소값을 저장(s112)한다.
이로써 모든 투표과정은 끝났고, 투표 마감이 되면 주최자나 유권자는 데이터베이스A테이블과 데이터베이스B테이블을 조회하면, 도 7과 도 8과 같은 결과를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주최자는 투표결과를 집계할 수 있고(s113), 특히 유권자들은 각자가 자기의 투표내용을 조회하여(s114) 데이터베이스A테이블에서는 투표자수를 확인하고 해쉬값을 통하여 나의 투표권행사 유무가 제대로 입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 B테이블에서는 전체 투표자 수가 A테이블과 일치하고, 나의 B테이블에서 내 투표의 주소값으로 조회하여 표시문자가 일치하고 기표내용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문자가 필요한 이유는 서버로부터 나의 기표에 대한 주소값을 받을 때 악의의 뜻으로 같은 기표를 가진 다른 주소값을 돌려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여기 실시 예를 실 예로 보면 도 5에서의 메세지로 주소(해시값)을 (J5dj4f)로 받았기 때문에 도 7의 D/B A테이블 에서 투표권을 행사했음을 알 수 있고, 상기 (s111)에서 돌려받은 주소값(6j58fu)으로 도 8의 D/B A테이블에서 조회하여 기표내용과 표시문자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타인의 입장에서 볼 때, 나의 전화번호가 무엇이지 모르고, 내가 누구를 기표했는지를 알 수도 없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대중화된 휴대폰을 통해 간편하게 투표를 하고, 특히 데이터 저장에 있어서 해시값 및 자기만 아는 표시문자를 이용함으로써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으면서, 투표된 모든 정보 즉 나의 투표내용 확인을 포함하여 유권자수, 투표자수, 타인의 투표 정보까지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를 신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투표관리서버
101: 투표정보 데이터베이스
102: 데이터베이스 A테이블
103: 데이터베이스 B테이블
110: 주최자단말기
111: 주최자단말기 어플리케이션
112: 주최자단말기 데이터베이스
120: 유권자단말기
121: 유권자단말기 어플리케이션

Claims (2)

  1. 투표관리서버로부터 투표ID를 발급받고 투표정보데이터베이스에 투표정보를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 A테이블에 유권자들의 휴대폰번호를 저장하는 주최자 단말기;
    A테이블로부터 유권자 확인을 하고, 투표정보로부터 투표정보를 가져와 보여주고, 사용자로부터 받은 기표내용과 표시문자를 데이터베이스B테이블에 저장하고, 기표사실을 데이터베이스A테이블에 저장하는 가입자 단말기;
    투표 후보 정보를 저장하는 투표정보 데이터베이스;
    전화번호의 해시값과 기표 유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제1테이블;
    기표내용과 표시문자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제2테이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면서, 투표ID를 발급하고, 주최자 단말기와 가입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보를 업로드 다운로드 하는 투표관리서버를 포함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공개형 전자투표 시스템.
  2. 주최자단말기가 투표관리서버로부터 투표ID를 발급받는 단계;
    주최자 단말기가 후보정보를 투표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주최자 단말기가 데이터베이스 A테이블에 유권자의 휴대폰번호를 해시함수로 변환하여 해시함수값을 주소로 하여 투표 대기상태임을 저장하는 단계;
    주최자 단말기가 투표ID와 해시함수값을 후보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유권자 단말기는 휴대폰시스템으로부터 휴대폰번호를 불러와서 해시값을 구하고, 구한 해시값을 가진 주소가 데이터베이스 A테이블에 존재하는지 조회하여 참이면 투표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투표후보 정보를 가져와 보여주고 기표 및 표시문자를 받는 단계;
    유권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기표 및 표시문자를 받으면 데이터베이스 A테이블에 기표했음을 기록하고, 데이터베이스 B테이블에 기표내용과 표시문자를 저장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 B테이블로부터 유권자 단말기로 저장된 주소값을 리턴해주는 단계;
    유권자 단말기는 리턴 받은 주소값을 저장하는 단계;
    주최자 단말기 또는 유권자 단말기가 요청하면 투표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비롯하여 데이터베이스 A테이블과 데이터베이스 B테이블을 모두 보여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공개형 전자투표 방법.
KR1020190031054A 2019-03-19 2019-03-19 휴대폰을 이용한 공개형 전자투표 방법 및 시스템 KR102217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054A KR102217386B1 (ko) 2019-03-19 2019-03-19 휴대폰을 이용한 공개형 전자투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054A KR102217386B1 (ko) 2019-03-19 2019-03-19 휴대폰을 이용한 공개형 전자투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416A true KR20200111416A (ko) 2020-09-29
KR102217386B1 KR102217386B1 (ko) 2021-02-17

Family

ID=7266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054A KR102217386B1 (ko) 2019-03-19 2019-03-19 휴대폰을 이용한 공개형 전자투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3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165A (ko) * 2007-05-07 2008-11-12 엑스엠에스(주) 개인 단말기를 이용한 네트워크상의 선거관리 방법 및선거관리 서버
KR101378285B1 (ko) * 2014-01-21 2014-03-25 신철우 전자 투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165A (ko) * 2007-05-07 2008-11-12 엑스엠에스(주) 개인 단말기를 이용한 네트워크상의 선거관리 방법 및선거관리 서버
KR101378285B1 (ko) * 2014-01-21 2014-03-25 신철우 전자 투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386B1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8338A1 (en) Secure voting system
US201901884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centralizing Consumer Preferences, Consent and Permissions Management with Reward and Reputation Network for Enterprises Using a Blockchain Ledger
US20190051079A1 (en) Cryptographically tracked and secured vote by mail system
US8090351B2 (en) Geographical location authentication method
CN101233545B (zh) 投票系统
CA2840515C (en) Mobilized polling station
US8441337B2 (en) Multicomputer data transferring and file accessing to authenticate online voting and registration in a secure database system
WO2001084473A1 (fr) Procedes et dispositifs d'authentification, d'attribution de code barres d'authentification, et terminal portable
CN106796708B (zh) 电子投票系统及方法
US20200274861A1 (en) Distributed authentication/authorization tool
US20090079538A1 (en) Multicomputer Data Transferring and File Accessing to Authenticate Online Voting and Registration in a Secure Database System
JP2006191384A (ja) 移動機及びコンテンツ送信方法
Gentles et al. Biometric secured mobile voting
JP2014134964A (ja) 電子投票システムおよび電子投票方法
JP2007004642A (ja) クライアントサーバ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を利用したサービス方法
US200300697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voting
JP5203286B2 (ja) 生体認証システム、生体認証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2628504B1 (ko)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17386B1 (ko) 휴대폰을 이용한 공개형 전자투표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14271A (ko) 지문을 이용한 학생 출입/관리 인증 방법
JP2001243345A (ja) 訪問者身元確認システム
CN112889078A (zh) 交付认证系统
JP2005208830A (ja) 選挙人名簿管理方式および方法ならびに選挙人確認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70076405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smart card reader for facilitating crowdsourced credentialing and accreditation
JP2009290525A (ja) 出席確認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