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967A - Inspection equipment of bridge - Google Patents

Inspection equipment of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967A
KR20200110967A KR1020190030538A KR20190030538A KR20200110967A KR 20200110967 A KR20200110967 A KR 20200110967A KR 1020190030538 A KR1020190030538 A KR 1020190030538A KR 20190030538 A KR20190030538 A KR 20190030538A KR 20200110967 A KR20200110967 A KR 20200110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racket
pier
bridge
hook bar
uppe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5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61511B1 (en
Inventor
강형숙
안병원
Original Assignee
삼우엠텍(주)
강형숙
삼우기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우엠텍(주), 강형숙, 삼우기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우엠텍(주)
Priority to KR1020190030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511B1/en
Publication of KR20200110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9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5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spection platform for a bridge includes: an upper hanging bar provided on one side of an upper portion of a pier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upled to the pier by an anchor bolt; a main post adhering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er and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hanging bar by the predetermined distance; a connecting bracke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post; a railing pole provided in a shape of being extended from one sid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post; and a coupling bolt coupling the upper hanging bar and the connecting bracket, thereby adjusting an interval between the upper hanging bar and the connecting bracket to fix a position of the main post.

Description

교량용 점검대{INSPECTION EQUIPMENT OF BRIDGE}Bridge inspection table{INSPECTION EQUIPMENT OF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점검대에 관한 것으로서, 교각 상면의 형태와 관계없이 수평을 이루며 설치되는 교량용 점검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and relates to an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that is installed horizontally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일반적으로 교량을 구성하는 교각 상부에는 교량의 각종 결합요소, 이음매 요소를 관리자가 수시로 점검할 수 있도록 점검대가 설치된다. 이러한 교량용 점검대는 교각의 상부에서 난간 형태를 이루며,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추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general, an inspection tabl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that constitutes a bridge so that the manager can check the various coupling elements and joint elements of the bridge at any time. Such a bridge inspection platform forms a railing shape at the top of the pier, and serves to prevent a fall while providing a passage for an operator or inspector to pass.

종래의 교량용 점검대는 교각에 설치되는 방식에 따라 크게 천공형(앵커식)과 거치형(걸이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conventional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perforated type (anchor type) and a stationary type (hanging type) according to a method installed on the pier.

천공형 교량용 점검대에 관한 특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711976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한다)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As a patent for an inspection table for a perforated bridge, those describ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11976 (hereinafter referred to as'Prior Art 1') are known.

종래기술 1의 교량용 점검대는 하나 이상의 고정 리브가 장착되는 수직 프레임(메인 포스트)과,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는 보강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고정 리브에 앵커볼트가 제공됨으로써 교각에 고정된다. 이때, 작업자는 수직 프레임과 연결된 바닥판을 이동하며 교량을 점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 1의 교량용 점검대는 교각의 측면에만 수직 프레임이 고정됨으로써, 작업자의 하중으로 인하여 앵커에 반복적으로 힘이 가해져 앵커볼트가 풀릴 수 있다. 이로 인해, 교량용 점검대가 추락하게 되고, 이는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야기할 수 있다.The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of the prior art 1 is composed of a vertical frame (main post) on which one or more fixing ribs are mounted, and a reinforcing fram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frame, and is fixed to the pier by providing anchor bolts to the fixing ribs. At this time, the operator can inspect the bridge by moving the deck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However, since the vertical frame is fixed only on the side of the pier, the anchor bolt may be released by repeatedly applying force to the anchor due to the load of the worker. Due to this, the inspection table for the bridge falls, which may cause a fall accident for the worker.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걸이식 교량용 점검대에 관한 특허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9977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한다)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shortcomings, it is known to be describ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09977 (hereinafter referred to as'Prior Art 2'), which is a patent for an inspection table for a hanging bridge.

종래기술 2의 교량용 점검대는 교각의 전체 둘레에 연결 설치되는 둘레고정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교각의 상부에 걸치는 구조로 제공된다. 그러나, 교각의 상부 콘크리트면이 평평하지 않을 경우, 둘레고정대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제공되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가 이동하는 발판 역시 수평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교각 상부의 콘크리트 면을 평평하게 하기 위한 작업이 더 필요하게 되므로, 교량용 점검대의 설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e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of the prior art 2 includes a circumferential fixture connected to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pier, and is provided in a structure over the upper part of the pier. However, when the upper concrete surface of the pier is not flat, the circumferential fixture is provided in a form inclined to one side, and accordingly, the scaffold on which the worker moves may also be provided so as not to be horizontal. That is, since more work is required to flatten the concrete surface of the bridge pi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inspection stand for the bridge increases.

한국등록특허 제10-071197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11976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9977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09977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교각 상면의 형태와 관계없이 수평을 이루며 설치되는 교량용 점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that is installed horizontally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또한, 설치 비용이 감소하는 교량용 점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aims to provide an inspection platform for bridges that reduces installation costs.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점검대는, 교각의 상부 일측에 소정 거리를 두고 구비되고, 상기 교각에 앵커볼트로 결합되는 상부 걸이바; 상기 교각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상부 걸이바와 소정 거리를 두고 구비되는 메인 포스트; 상기 메인 포스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 브라켓; 상기 메인 포스트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난간 지주; 및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을 결합하는 결합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메인 포스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교량용 점검대가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hook ba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an upper side of the pier and coupled to the pier by anchor bolts; A main post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er and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hook bar; A connection bracket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post; A railing support provided in a form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main post; And a coupling bolt for coupling the upper hook bar and the connection bracket, and an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fixing the position of the main post by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ok bar and the connection bracket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메인 포스트는, 상기 교각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1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 지주는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의 일측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 브라켓이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교각의 외주면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교량용 점검대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post, the first sub-fram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er; And a second sub-frame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b-frame, wherein the railing post is fit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ub-frame, and a plurality of fixing bracket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b-frame. It is provided, and the fixing bracket may be provided with an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that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er with anchor bolts.

또한, 상기 상부 걸이바의 측면에 장공을 포함하는 보강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 브라켓의 측면 및 상기 메인 포스트의 일부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장공의 길이는 상기 연결 브라켓의 길이에 대응하는 교량용 점검대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reinforcing plate including a long hole is furth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upper hook bar, the reinforcing plate is locat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and a partial side surface of the main post, and the length of the long hole is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bracket A bridge inspection platform corresponding to th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결합볼트는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을 관통하고, 4개의 너트와 결합되는 교량용 점검대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bolt may pass through the upper hook bar and the connection bracket, and may be provided with an inspection stand for a bridge that is coupled with four nuts.

또한, 상기 상부 걸이바는, 상기 교각의 상면과 맞닿는 형태로 제공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볼트는 상기 바닥부를 관통하고, 2개의 상기 너트는 각각 상기 바닥부의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결합볼트와 결합되는 교량용 점검대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hook bar, the bottom portion provided in a form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wherein the coupling bolt penetrates the bottom portion, and the two nuts ar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ttom portion, respectively, so that an inspection stand for a bridge coupled with the coupling bolt is provided.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바닥부의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되는 상기 너트를 조절하여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교량용 점검대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may be provided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ok bar and the connection bracket by adjusting the nut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ttom portion.

또한,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교각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의 하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볼트는 상기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2 수평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2개의 상기 너트는 상기 제1 수평부의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결합볼트와 결합되는 교량용 점검대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racket, the vertical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er;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bove the vertical portion;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 low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wherein the coupling bolt sequentially penetrates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and the two nuts are disposed above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It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n inspection table for the bridge coupled to the coupling bolt.

또한, 상기 제1 수평부의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되는 상기 너트를 조절하여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교량용 점검대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may be provided an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that adjusts the nut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ok bar and the connection bracket.

또한, 상기 제1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 사이에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너트의 결합 상태가 노출되는 교량용 점검대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opening portio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and an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may be provided through the opening portion to expose a coupled state of the nu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점검대는, 교각 상면의 형태에 관계없이 수평을 이루며 설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horizontally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또한, 설치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cost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대의 사시도.
도 2는 발판을 제외한 도 1의 교량용 점검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교량용 점검대에서 보강 플레이트를 제외한 측면도.
도 4는 도 1의 교량용 점검대의 측면도.
도 5은 도 1의 교량용 점검대의 정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spection table for the bridge of Figure 1 excluding the scaffolding.
Figure 3 is a side view except for the reinforcing plate in the inspection table for the bridge of Figure 1;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inspection table for the bridge of Figure 1;
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inspection table for the bridge of Figure 1;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content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 of the invention. Therefore, although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implement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invent various devices included i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lthough not clearly described or illustrated herein.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onditional terms and examples list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 principle, clearly intended only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states specifically listed as such. .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발판을 제외한 도 1의 교량용 점검대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of FIG. 1 excluding a scaffol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교량용 점검대(1)는 교각(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교각(2)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상부 걸이바(10)와, 교각(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메인 포스트(20)와, 메인 포스트(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 브라켓(30)과, 메인 포스트(30)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난간 지주(40)와, 상부 걸이바(10) 및 연결 브라켓(30)을 결합하는 결합볼트(50)를 포함한다.1 and 2, the bridge inspection table 1 is installed on the pier 2, the upper hook bar 1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pier 2,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er 2 The main post 20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post 20, the connection bracket 3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post 20, the handrail support 40 provided in a form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main post 30, It includes a coupling bolt 50 for coupling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상부 걸이바(10)는 교각(2)의 상부 일측에 앵커볼트(미도시)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걸이바(10)는 교각(2)의 상면과 맞닿는 형태로 제공되는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부(12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앵커볼트는 바닥부(110)를 관통한 후 교각(2)에 결합될 수 있다. The upper hook bar 10 is coupl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pier 2 by an anchor bolt (not shown). Specifically, the upper hook bar 10 includes a bottom portion 110 provided in a form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2, and an extension portion 120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110. , It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C'. At this time, the anchor bolt may be coupled to the pier 2 after passing through the bottom part 110.

상부 걸이바(10)의 일부는 교각(2)의 상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교각(2)의 상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부 걸이바(10)의 일측은 메인 포스트(20) 및 연결 브라켓(30)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upper hook bar 10 may be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2.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upper hook bar 1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2 may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main post 2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상부 걸이바(10)는 교각(2)의 상면에 소정 거리를 두고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부 걸이바(10)는 겹치지 않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2개의 상부 걸이바(10)가 교각(2)에 결합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교각(1)에 수십개의 상부 걸이바(10)가 결합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upper hook bars 1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each of the upper hook bars 10 may be provided at a non-overlapping pos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wo upper hook bars 10 are coupled to the pier 2 as an example, but dozens of upper hook bars 10 may be coupled to one pier (1). .

상부 걸이바(10)와 소정 거리를 두고 메인 포스트(20)가 구비된다. 메인 포스트(20)는 교각(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상부 걸이바(10)와 같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메인 포스트(20)는 교각(2) 상면의 외부로 돌출된 상부 걸이바(10)의 일측과 동일 수직 선상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포스트(20)는 교각(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1 서브 프레임(210)과, 제1 서브 프레임(210)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서브 프레임(220)을 포함한다. 이때, 제1 서브 프레임(21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제2 서브 프레임(220)은 제1 서브 프레임(21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The main post 2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hook bar 10. The main posts 2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er 2 and may b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upper hook bars 10. At this time, the main post 20 is provid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one side of the upper hook bar 1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2. Specifically, the main post 20 includes a first sub-frame 210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er 2 and a second sub-frame 220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b-frame 210. Include. In this case, the first sub-frame 210 has a shape tha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sub-frame 220 has a shape that extends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sub-frame 210 to the front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1 서브 프레임(210)의 양측에는 고정 브라켓(211)이 복수개 구비된다. 고정 브라켓(211)은 'ㄴ'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은 제1 서브 프레임(210)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교각(2)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브라켓(211)은 제1 서브 프레임(210)과 용접되어 결합되고, 교각(2)과 앵커볼트(212)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서브 프레임(210)과 용접 결합된 고정 브라켓(211)이 교각(2)과 앵커볼트(212)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메인 포스트(20)와 교각(2)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서브 프레임(210)에 4개의 고정 브라켓(211)이 구비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고정 브라켓(211)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 plurality of fixing brackets 21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b-frame 210. The fixing bracket 211 may be formed in a'b' shape, and one side may be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first sub-frame 210, and the other side may be coupled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er 2. In this case, the fixing bracket 211 is welded to and coupled to the first sub-frame 210, and may be coupled through the pier 2 and the anchor bolt 212. That is, the first sub-frame 210 and the fixing bracket 211 welded together are coupled through the pier 2 and the anchor bolt 212, so that the main post 20 and the pier 2 may be coupl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e first sub-frame 210 is provided with four fixing brackets 211, but the number of fixing brackets 211 is not limited thereto.

제2 서브 프레임(220)의 일측에는 끼움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221)는 난간 지주(40)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난간 지주(4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난간 지주(40)가 끼움부(221)에 결합된 후, 결합볼트(222)가 제2 서브 프레임(220) 및 난간 지주(40)를 관통할 수 있다. 즉, 제2 서브 프레임(220)과 난간 지주(40)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A fitting part 22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ub-frame 220. The fitting portion 221 may be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railing strut 40, and accordingly, the railing strut 40 may be fitted. At this time, after the handrail post 40 is coupled to the fitting portion 221, the coupling bolt 222 may penetrate the second sub-frame 220 and the handrail post 40. That is, the second sub-frame 220 and the railing post 40 may be more rigidly coupled.

메인 포스트(20)의 상부에는 연결 브라켓(30)이 구비된다. 연결 브라켓(30)은 제1 서브 프레임(210)의 상부에 용접 결합되는 것으로서, 교각(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수직부(310)와, 수직부(310)의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부(320)와, 수직부(310)의 하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330)와, 제1 수평부(320)와 제2 수평부(330) 사이에 구비되는 개방부(340)를 포함한다. 즉, 연결 브라켓(30)은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 connection bracket 30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main post 20. The connection bracket 30 is wel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b-frame 210 an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310 and the vertical portion 310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er (2).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20,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330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310, and provid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330 It includes an opening 340. That is, the connection bracket 30 may be formed in a'C' shape.

구체적으로, 연결 브라켓(30)은 교각(2)의 외주면에 수직부(310)가 밀착되고, 제2 수평부(320)가 메인 포스트(20)의 상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평부(310)는 상부 걸이바(10)의 바닥부(110)와 소정 거리를 두고 구비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nection bracket 30 may have a vertical portion 310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er 2, and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320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post 20. In this case,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10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portion 110 of the upper hook bar 10.

한편, 메인 포스트(20)의 일측에는 난간 지주(40)가 구비된다. 난간 지주(40)는 제2 서브 프레임(220)의 끼움부(221)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연결 파이프(410)가 복수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난간 지주(40)는 각각의 메인 포스트(20)에 결합되어 복수개 구비되고, 각각의 난간 지주(40)는 연결 파이프(41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난간 지주(40) 사이에 3개의 연결 파이프(410)가 구비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연결 파이프(41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2개의 난간 지주(40) 사이에 4개 이상의 연결 파이프(410)가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railing post 4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post 20. The railing post 40 may be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221 of the second sub-frame 220,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410 may be coupled. Specifically, a plurality of railing posts 40 are coupled to each of the main posts 20 and provided, and each of the railing posts 4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pipe 410. In this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ree connection pipes 410 are provided between the two railing posts 40, but the number of connection pipes 410 is not limited thereto. As an example, four or more connecting pipes 41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wo railing posts 40.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은 결합볼트(50)를 통해 결합된다. 결합볼트(50)는 상부 걸이바(10) 및 연결 브라켓(30)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너트(60)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볼트(50)는 교각(2) 상면 외부로 돌출되는 상부 걸이바(10)의 바닥부(110)를 관통한 후, 연결 브라켓(30)의 제1 수평부(320)를 관통할 수 있다.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are coupled through a coupling bolt 50. The coupling bolt 50 passes through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and may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nuts 60. Specifically, the coupling bolt 50 penetrates the bottom portion 110 of the upper hook bar 10 protruding out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2, and then penetrates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20 of the connection bracket 30 can do.

결합볼트(50)는 적어도 4개의 너트(60)와 결합된다. 너트(60)는 상부 걸이바(10)를 고정하는 제1 너트(610) 및 제2 너트(620)와, 연결 브라켓(30)을 고정하는 제3 너트(630) 및 제4 너트(6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너트(610)가 상부 걸이바(10)의 바닥부(110)의 상측에 구비되고, 제2 너트(620)가 바닥부(110)의 하측에 구비된다. 또한, 제3 너트(630)가 연결 브라켓(30)의 제1 수평부(320)의 상측에 구비되고, 제4 너트(640)가 제1 수평부(320)의 하측에 구비된다. The coupling bolt 50 is coupled with at least four nuts 60. The nut 60 includes a first nut 610 and a second nut 620 for fixing the upper hook bar 10, and a third nut 630 and a fourth nut 640 for fixing the connection bracket 30 It may include. Specifically, the first nut 61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portion 110 of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second nut 62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portion 110. In addition, a third nut 630 is provided above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20 of the connection bracket 30, and a fourth nut 640 is provided below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20.

상부 걸이바(10)의 바닥부(110)를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제1 너트(610) 및 제2 너트(620)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걸이바(10)를 일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 제1 너트(610)는 결합볼트(50)에서 하방 이동되고, 제2 너트(620)는 결합볼트(50)에서 상방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너트(610)와 제2 너트(620)가 바닥부(110)를 상측 및 하측에서 조이게 되고, 바닥부(110)가 결합볼트(50)의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부 걸이바(10)가 결합볼트(50) 및 제1,2 너트(610, 620)를 통해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nut 610 and the second nut 620 provided with the bottom portion 110 of the upper hook bar 10 interposed therebetween may be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Specifically, in order to fix the upper hook bar 1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first nut 610 is moved downward from the coupling bolt 50, and the second nut 620 is moved upward from the coupling bolt 50. I can. Accordingly, the first nut 610 and the second nut 620 tighten the bottom portion 110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bottom portion 110 may be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upling bolt 50. That is, the upper hook bar 10 may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rough the coupling bolt 50 and the first and second nuts 610 and 620.

또한, 연결 브라켓(30)의 제1 수평부(320)를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제3 너트(630) 및 제4 너트(640)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브라켓(30)을 일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 제3 너트(630)는 결합볼트(50)에서 하방 이동되고, 제4 너트(640)는 결합볼트(50)에서 상방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너트(630)와 제4 너트(640)가 제1 수평부(320)를 상측 및 하측에서 조이게 되고, 제1 수평부(320)가 결합볼트(50)의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연결 브라켓(30)이 결합볼트(50) 및 제3,4 너트(630, 640)를 통해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결합볼트(50)는 연결 브라켓(30)의 개방부(340)의 수직 길이만큼 수직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즉, 연결 브라켓(30)의 수직 길이가 결합볼트(50)의 이동 가능한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nut 630 and the fourth nut 640 provided with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20 of the connection bracket 30 interposed therebetween may be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Specifically, in order to fix the connection bracket 3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third nut 630 is moved downward from the coupling bolt 50, and the fourth nut 640 may be moved upward from the coupling bolt 50. have. Accordingly, the third nut 630 and the fourth nut 640 tighten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20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20 is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upling bolt 50 Can be. That is, the connection bracket 30 may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rough the coupling bolt 50 and the third and fourth nuts 630 and 640. In this case, the coupling bolt 50 may be vertically movable by the vertical length of the opening portion 340 of the connection bracket 30. That is, the vertical length of the connection bracket 30 may correspond to the movable length of the coupling bolt 50.

구체적으로, 결합볼트(50)가 관통하는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메인 포스트(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포스트(20)의 위치를 상방 이동하고자 할 경우, 제3 너트(630)와 제4 너트(640)를 결합볼트(50)에서 상방 이동하여 메인 포스트(20)와 연결된 연결 브라켓(30)의 위치를 상방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제1 너트(610)와 제2 너트(620)를 조절하여 결합볼트(50)를 상방 이동시킴으로써, 연결 브라켓(30)의 위치를 상방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간격을 좁힘에 따라 메인 포스트(2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main post 20 may be fix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through which the coupling bolt 50 passes.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 of the main post 20 is to be moved upward, the third nut 630 and the fourth nut 640 are moved upward from the coupling bolt 50 to connect the main post 20 and the connection bracket The position of (30) can be moved upward. Alternatively, by adjusting the first nut 610 and the second nut 620 to move the coupling bolt 50 upward,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bracket 30 may be moved upward. That is, as the gap between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is narrowed, the position of the main post 20 may be moved.

반대로, 메인 포스트(20)의 위치를 하방 이동하고자 할 경우, 제3 너트(630)와 제4 너트(640)를 결합볼트(50)에서 하방 이동하여 메인 포스트(20)와 연결된 연결 브라켓(30)의 위치를 하방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제1 너트(610)와 제2 너트(620)를 조절하여 결합볼트(50)를 하방 이동시킴으로써, 연결 브라켓(30)의 위치를 하방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간격을 넓힘에 따라 메인 포스트(2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position of the main post 20 is to be moved downward, the third nut 630 and the fourth nut 640 are moved downward from the coupling bolt 5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connected to the main post 20 ) Can be moved downward. Alternatively, by adjusting the first nut 610 and the second nut 620 to move the coupling bolt 50 downward,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bracket 30 may be moved downward. That is, the position of the main post 20 may be mov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is widened.

상부 걸이바(10)의 측면에는 보강 플레이트(70)가 구비된다. 보강 플레이트(70)는 교각(2) 상면 외부로 돌출된 상부 걸이바(10)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장공(7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걸이바(10)의 측면에 구비된 보강 플레이트(70)는 하방으로 연장된 플레이트로서, 연결 브라켓(30)의 측면 및 메인 포스트(20)의 일부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보강 플레이트(70)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 및 메인 포스트(20)와 겹쳐질 수 있다.A reinforcing plate 7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upper hook bar 10. The reinforcing plate 7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hook bar 10 protruding out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2 and may include a long hole 710. The reinforcing plate 7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upper hook bar 10 is a plate extending downward and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connection bracket 30 and on a partial side of the main post 20. That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plate 70 may overlap the upper hook bar 10, the connection bracket 30, and the main post 20.

장공(710)은 메인 포스트(20)와의 결합을 위한 보강 결합볼트(720)의 일부가 관통하는 홀이며, 연결 브라켓(30)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 플레이트(70)의 상부는 상부 걸이바(10)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부 걸이바(10)의 측면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부 걸이바(10)의 양측에 보강 플레이트(70)가 구비됨으로써, 2개의 보강 플레이트(70) 사이에는 상부 걸이바(10)의 바닥부(110)의 수평 길이에 대응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long hole 710 is a hole through which a part of the reinforcing coupling bolt 720 for coupling with the main post 20 passes, and may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bracket 30. Specifically,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plate 70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hook bar 10 and may be welded to the side of the upper hook bar 10. At this time, since the reinforcing plates 7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hook bar 10,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bottom portion 110 of the upper hook bar 10 is formed between the two reinforcing plates 70 Can be.

2개의 보강 플레이트(70) 사이에는 연결 브라켓(30) 및 메인 포스트(20)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볼트(50) 및 너트(60)의 조절을 통해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 사이 간격이 정해지면, 보강 결합볼트(720)가 보강 플레이트(70)의 장공(710)을 관통한 후, 메인 포스트(20)의 결합홀(210a)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 및 메인 포스트(20)의 양측이 보강 플레이트(70)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A connection bracket 30 and a main post 2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wo reinforcing plates 70.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is determined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coupling bolt 50 and the nut 60, the reinforcing coupling bolt 720 makes the long hole 710 of the reinforcing plate 70 After passing through, it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0a of the main post 20. That is, both sides of the upper hook bar 10, the connection bracket 30, and the main post 20 may be supported through the reinforcing plate 70.

한편, 메인 포스트(20)의 일측에는 발판(80)이 구비된다. 발판(80)은 작업자의 이동 통로로서, 메인 포스트(20)의 제2 서브 프레임(220)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판(80)은 복수의 제2 서브 프레임(220)의 상부에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발판(80)이 수평을 이루도록, 메인 포스트(20)는 동일한 수평 선상에 위치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즉,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복수의 메인 포스트(20)가 동일 수평 선상에 위치한 후, 발판(80)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footrest 8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post 20. The footrest 80 is a movement passage for the operator, and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sub-frame 220 of the main post 20. Specifically, the scaffold 80 may be simultaneously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second sub-frames 220. At this time, the footrest 80 may be adjusted to be horizontal, and the main post 20 may be adjusted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That is, after the plurality of main posts 20 are position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the footrest 80 may be provided.

도 3은 도 1의 교량용 점검대에서 보강 플레이트를 제외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교량용 점검대의 측면도이며, 도 5은 도 1의 교량용 점검대의 정면도이다. 이때, 도 3의 (a)와 도 4의 (a)는 교각(2)의 상면 높이가 높게 형성된 구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의 (b)와 도 4의 (b)는 교각(2)의 상면 높이가 낮게 형성된 구간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side view of the inspection table for the bridge of FIG. 1 excluding the reinforcing plate, FIG. 4 is a side view of the inspection table for the bridge of FIG. 1, and FIG. At this time, Figure 3 (a) and Figure 4 (a) are views showing a section in which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2 is high, and FIGS. 3 (b) and 4 (b) are the piers (2) It is a diagram showing a section in which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is formed low.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교량용 점검대(1)는 결합볼트(50)와 너트(60)를 조절하여 메인 포스트(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교량용 점검대(1)가 설치되는 교각(2)의 상면은 평평하지 않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각(2)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부 걸이바(10)의 수평 위치 또한 모두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3 to 5, the bridge inspection table 1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main post 20 by adjusting the coupling bolt 50 and the nut 60.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2 on which the bridge inspection table 1 is installed may be provided unevenly. Accordingly, the horizontal positions of the upper hook bars 10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2 may not be the same.

교각(2)의 일측 상면이 높게 형성되고, 타측 상면이 일측 상면보다 a만큼 낮게 형성될 경우, 상부 걸이바(10)의 위치 또한 a만큼 차이가 생길 수 있다. 복수의 메인 포스트(20)를 연결하는 발판(80)이 수평을 이루기 위해서는 복수의 메인 포스트(20) 및 연결 브라켓(30)은 동일 수평 선상에 위치해야 한다. 즉, 상부 걸이바(10)의 위치는 서로 상이하여도, 메인 포스트(20) 및 연결 브라켓(30)의 위치는 서로 동일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Whe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pier 2 is formed high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is formed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by a, the position of the upper hook bar 10 may also be different by a. In order for the footboard 80 connecting the plurality of main posts 20 to be horizontal, the plurality of main posts 2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must be locat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That is, even though the positions of the upper hook bars 1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positions of the main post 2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should be the same. To this end, the gap between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may be adjusted.

구체적으로, 메인 포스트(20)의 위치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 걸이바(10)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될 경우, 결합볼트(50)에 결합된 너트(60)를 조절하여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 사이 간격을 넓힐 수 있고(도 3(a) 참조), 상부 걸이바(10)가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에 구비될 경우, 결합볼트(50)에 결합된 너트(60)를 조절하여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 사이 간격을 좁힐 수 있다(도 3(b) 참조). 이때,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이 'ㄷ'자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결합볼트(50)에 결합된 너트(60)의 상태를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Specifically, in order to make the position of the main post 20 the same, when the upper hook bar 10 is provided at a relatively higher position, the upper hook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nut 60 coupled to the coupling bolt 50 The distance between the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can be widened (refer to FIG. 3(a)), and when the upper hook bar 10 is provided at a relatively lower position, it is coupled to the coupling bolt 50 By adjusting the nut 60, the gap between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can be narrowed (see FIG. 3(b)). At this time, as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are formed in a'C' shape, the state of the nut 60 coupled to the coupling bolt 50 can be more easily checked.

구체적으로, 도 3의 (b)와 같이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간격을 좁히기 위하여, 제3 너트(630) 및 제4 너트(640)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3 너트(630)는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공간을 통해 조절이 가능하고, 제4 너트(640)는 연결 브라켓(30)의 개방부(340)를 통해 조절이 가능하다. 반대로, 제1 너트(610) 및 제2 너트(620)를 조절하여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간격을 좁힐 경우에는, 상부 걸이바(10)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제1 너트(610)의 조절이 가능하고,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공간을 통해 제2 너트(620)의 조절이 가능하다. 즉,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이 'ㄷ'자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너트(60)의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hird nut 630 and the fourth nut 640 may be adjusted in order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as shown in FIG. 3B. At this time, the third nut 630 can be adjust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and the fourth nut 640 closes the opening 340 of the connection bracket 30. Can be adjusted through. Conversely, in the case of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by adjusting the first nut 610 and the second nut 620, through the open upper side of the upper hook bar 10 The first nut 610 can be adjusted, and the second nut 620 can be adjusted through a space between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That is, as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are formed in a'C' shape, the nut 60 can be easily adjusted.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간격에 따라, 보강 플레이트(70)와 메인 포스트(20)의 결합 위치 또한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걸이바(10)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구비된 측에는 보강 결합볼트(710)가 관통하는 결합홀(210a)이 장공(710)의 중간측에 위치할 수 있고(도 4(a) 참조), 상부 걸이바(10)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구비된 측에는 보강 결합볼트(710)가 관통하는 결합홀(210a)이 장공(7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도 4(b) 참조). 즉, 보강 플레이트(70)의 장공(710)이 결합볼트(50)의 이동 가능 거리에 대응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보강 플레이트(70)와 메인 포스트(20)의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reinforcing plate 70 and the main post 20 may also be different. Specifically, a coupling hole 210a through which the reinforcing coupling bolt 710 passes may be located in the middle side of the long hole 710 on the side where the upper hook bar 10 is provided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Fig. 4(a )), a coupling hole 210a through which the reinforcing coupling bolt 710 passes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ng hole 710 on the side where the upper hook bar 10 is provided at a relatively low position (Fig. 4(b) ) Reference). That is, since the long hole 710 of the reinforcing plate 7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movable distance of the coupling bolt 50, the reinforcing plate 70 and the main post 20 may be easily coupled.

교량용 점검대(1)가 교각(2)에 설치되는 것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우선, 교각(2)의 상면에 복수의 상부 걸이바(10)가 소정 거리를 두고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교각(2)의 상면이 평평하지 않음에 따라, 복수의 상부 걸이바(10)는 동일한 수평 선상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When explaining in more detail that the bridge inspection table 1 is installed on the pier 2, first, a plurality of upper hook bars 1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t this time,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2 is not flat, the plurality of upper hook bars 10 may not be locat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상부 걸이바(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부 걸이바(10)와 일정 거리를 두고 메인 포스트(20) 및 연결 브라켓(3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메인 포스트(20)와 연결 브라켓(30)은 용접 결합될 수 있고,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은 결합볼트(50) 및 4개의 너트(6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upper hanger bar 10 is completed, the main post 2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hanger bar 10. At this time, the main post 2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may be welded together, and the upper hanger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may be coupled through a coupling bolt 50 and four nuts 60. have.

메인 포스트(20)와 결합된 상부 걸이바(10)를 제외한 다른 상부 걸이바(10)에도 메인 포스트(20) 및 연결 브라켓(3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메인 포스트(20)는 모두 동일한 수평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포스트(2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각(2)의 상면이 높게 형성된 측은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 사이 간격이 넓게 조절되고, 교각(2)의 상면이 낮게 형성된 측은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 사이 간격이 좁게 조절될 수 있다.The main post 2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may be coupled to other upper hanger bars 10 other than the upper hanger bar 10 coupled to the main post 20. In this case, all of the plurality of main posts 20 may be locat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may be adjusted to adjus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main post 20.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2 is formed high, the gap between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is adjusted to be wid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2 is formed with a lower upper surface. The gap between the connection brackets 30 may be adjusted to be narrow.

동일 수평 선상에 구비된 복수의 메인 포스트(20)에는 발판(8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메인 포스트(20)가 동일 수평 선상에 위치됨에 따라, 발판(80)은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별도로 교각(2)의 상면을 평평하게 하는 작업을 실시하지 않아도,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손쉽게 발판(80)의 수평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A footrest 80 may be provided on a plurality of main posts 20 provid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t this time, as the main post 20 is locat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the footrest 80 may be installed to be horizontal. That is, even if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2 is not separately flattened, the footrest 80 can be easily level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또한, 교각(2)의 상면을 평평하게 하는 작업을 실시하지 않으므로, 설치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ork of flatten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2 is not performed, the installation cost can be reduced.

발판(80)의 설치 후에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특정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 사이 간격만을 조절하여 다시 수평을 맞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메인 포스트(20)를 이동시킬 경우, 사용자는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공간 및 연결 브라켓(30)의 개방부(340)를 통해 제3 너트(630)와 제4 너트(640)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제1 너트(610)와 제2 너트(620)를 조절하여 메인 포스트(20)를 상방 또는 하방 이동시킬 수 있다. 즉, 4개의 너트(60)가 모두 노출됨에 따라, 결합볼트(50)와 너트(60)의 조절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메인 포스트(20)의 높이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If the leveling is not achieved after the footrest 80 is installed, the level may be adjusted again by adjusting only the distance between the specific upper hanger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Specifically, when moving the specific main post 20, the user can move the third nut 630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and the opening 340 of the connection bracket 30. ) And the fourth nut 640 can be adjusted. Alternatively, the main post 20 may be moved upward or downward by adjusting the first nut 610 and the second nut 620. That is, as all four nuts 60 are exposed, it is easy to adjust the coupling bolt 50 and the nut 60, and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main post 20 may be easily adjusted.

메인 포스트(20)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부 걸이바(10)와 메인 포스트(20) 및 연결 브라켓(30)의 양측에는 보강 플레이트(70)가 구비된다. 즉, 소정 거리를 두고 구비되는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이 동일 수직 선상을 유지하도록, 보강 플레이트(70)가 상부 걸이바(10) 및 연결 브라켓(30)을 지지할 수 있다.When the position of the main post 20 is determined, reinforcing plates 7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hook bar 10 and the main post 2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That is, the reinforcing plate 70 can support the upper hanger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so that the upper hanger bar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30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remain on the same vertical line. have.

발판(80)이 설치된 후, 메인 포스트(20)의 일측에는 난간 지주(4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난간 지주(40)는 제2 서브 프레임(220)의 일측에 끼움 결합된 후, 볼트 결합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After the footrest 80 is installed, the railing support 40 may be fitted to one side of the main post 20. At this time, the railing post 40 may be firmly fixed by being fit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ub-frame 220 and then bolt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대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The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 specific embodiment,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rpreted as having the widest scope according to the basic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combine and replace the disclosed embodiments to implement a pattern of a shape not indicated, but this also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or modify the disclosed embodiments based o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t is clear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ls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교량용 점검대
10: 상부 걸이바 20: 메인 포스트
30: 연결 브라켓 40: 난간 지주
50: 결합볼트 60: 너트
70: 보강 플레이트 80: 발판
1: Bridge inspection table
10: upper hanger bar 20: main post
30: connection bracket 40: railing support
50: coupling bolt 60: nut
70: reinforcement plate 80: footrest

Claims (9)

교각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교각에 앵커볼트로 결합되는 상부 걸이바;
상기 교각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상부 걸이바와 소정 거리를 두고 구비되는 메인 포스트;
상기 메인 포스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 브라켓;
상기 메인 포스트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난간 지주; 및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을 결합하는 결합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메인 포스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교량용 점검대.
An upper hook bar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pier and coupled to the pier by anchor bolts;
A main post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er and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hook bar;
A connection bracket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post;
A railing support provided in a form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main post; And
Including a coupling bolt for coupling the upper hook bar and the connection bracket,
An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that fixes the position of the main post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ok bar and the connection bracke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포스트는,
상기 교각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1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 지주는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의 일측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 브라켓이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교각의 외주면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교량용 점검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post,
A first sub-fram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er; And
A second sub-frame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under the first sub-frame,
The railing support is fit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ub-frame,
A plurality of fixing bracket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b-frame,
The fixing bracket is an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that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er with anchor bol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걸이바의 측면에 장공을 포함하는 보강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 브라켓의 측면 및 상기 메인 포스트의 일부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장공의 길이는 상기 연결 브라켓의 길이에 대응하는 교량용 점검대.
The method of claim 1,
A reinforcing plate including a long hole is furth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upper hook bar,
The reinforcing plate is locat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and a partial side surface of the main post,
The length of the long hole is a bridge inspection tabl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bracke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볼트는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을 관통하고, 4개의 너트와 결합되는 교량용 점검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bolt passes through the upper hook bar and the connection bracket, and the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is coupled with four nuts.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걸이바는,
상기 교각의 상면과 맞닿는 형태로 제공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볼트는 상기 바닥부를 관통하고, 2개의 상기 너트는 각각 상기 바닥부의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결합볼트와 결합되는 교량용 점검대.
The method of claim 4,
The upper hanger bar,
A bottom portion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And
Including an extension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The coupling bolt passes through the bottom portion, and the two nuts are provided at an upper and low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respectively,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bolt.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되는 상기 너트를 조절하여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교량용 점검대.
The method of claim 5,
An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that adjusts the nut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ttom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ok bar and the connection bracke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교각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의 하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볼트는 상기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2 수평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2개의 상기 너트는 상기 제1 수평부의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결합볼트와 결합되는 교량용 점검대.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nection bracket,
A vertical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er;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bove the vertical portion; And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 low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The coupling bolt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and the two nuts are provid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bolt.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의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되는 상기 너트를 조절하여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교량용 점검대.
The method of claim 7,
An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that adjusts the nut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ok bar and the connection bracket.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 사이에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너트의 결합 상태가 노출되는 교량용 점검대.
The method of claim 7,
An opening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An inspection table for a bridge through which the nut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KR1020190030538A 2019-03-18 2019-03-18 Inspection equipment of bridge KR1022615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538A KR102261511B1 (en) 2019-03-18 2019-03-18 Inspection equipment of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538A KR102261511B1 (en) 2019-03-18 2019-03-18 Inspection equipment of brid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967A true KR20200110967A (en) 2020-09-28
KR102261511B1 KR102261511B1 (en) 2021-06-07

Family

ID=72800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538A KR102261511B1 (en) 2019-03-18 2019-03-18 Inspection equipment of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51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930B1 (en) * 2020-12-17 2021-07-22 유영홍 Bracket for bridge slab
KR102379541B1 (en) 2021-03-22 2022-03-28 (주)이알코리아 Bridge inspection facility binding system that is variable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buried anchor
KR102401684B1 (en) 2021-06-29 2022-05-25 (주)이알코리아 Composite heterogeneous material handrail support device for installation of bridge inspection facilities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strength compensation
KR20220131772A (en) 2021-03-22 2022-09-29 (주)이알코리아 Inspection scaffolding for bridge inspection facilities for easy construction work
KR20220131866A (en) 2021-03-22 2022-09-29 (주)이알코리아 Four-way binding bracket of single binding means for hanging bridge inspection faciliti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977Y1 (en) 2005-12-12 2006-03-03 (주)대원시스템 Hanger way bridge checking supporter
KR100711976B1 (en) 2004-01-02 2007-05-02 (주)에스오씨건설엔지니어링 Bridge inspection passage and installation method
KR100730774B1 (en) * 2006-12-16 2007-06-20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Structure that fitting panel in the ceiling
KR100779059B1 (en) * 2006-12-21 2007-11-27 김원주 Check equipment for bridge of a deferred ty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976B1 (en) 2004-01-02 2007-05-02 (주)에스오씨건설엔지니어링 Bridge inspection passage and installation method
KR200409977Y1 (en) 2005-12-12 2006-03-03 (주)대원시스템 Hanger way bridge checking supporter
KR100730774B1 (en) * 2006-12-16 2007-06-20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Structure that fitting panel in the ceiling
KR100779059B1 (en) * 2006-12-21 2007-11-27 김원주 Check equipment for bridge of a deferred ty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930B1 (en) * 2020-12-17 2021-07-22 유영홍 Bracket for bridge slab
KR102379541B1 (en) 2021-03-22 2022-03-28 (주)이알코리아 Bridge inspection facility binding system that is variable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buried anchor
KR20220131772A (en) 2021-03-22 2022-09-29 (주)이알코리아 Inspection scaffolding for bridge inspection facilities for easy construction work
KR20220131866A (en) 2021-03-22 2022-09-29 (주)이알코리아 Four-way binding bracket of single binding means for hanging bridge inspection facilities
KR20220131867A (en) 2021-03-22 2022-09-29 (주)이알코리아 Construction method through four-way binding bracket of single binding means for hanging bridge inspection facilities
KR102401684B1 (en) 2021-06-29 2022-05-25 (주)이알코리아 Composite heterogeneous material handrail support device for installation of bridge inspection facilities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strength compen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511B1 (en)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0967A (en) Inspection equipment of bridge
KR100779059B1 (en) Check equipment for bridge of a deferred ty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U2019100993A4 (en) Height-Adjustable Jack and Vertical Modular Component Support using the same
KR101449654B1 (en) Angle and height adjustable apparatus for inspecting bridge
CN208884362U (en) A kind of Construction of continuous beam bracket
KR101547824B1 (en) Furnace scaffolding and hoisting system platform support system
WO2020119068A1 (en) Support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cantilevered material unloading platform
KR102172875B1 (en) With bridge inspection that can level and prevent deflection
CN212775915U (en) Bolt ball node grid structure antidetonation gallows
CN113175089A (en) Construction method of large-span heavy cantilever truss
US20070144083A1 (en) Temporary support system
KR102464479B1 (en) Four-way binding bracket of single binding means for hanging bridge inspection facilities
US3829053A (en) Tripod supporting a framing table for concrete works
KR100880250B1 (en) Potal base of tower crane
KR20020049414A (en) Inspection plate for a pier
CN209891693U (en) Attached lifting scaffold
KR100476659B1 (en) Worktable assembly constructing method
JP5807883B1 (en) Suspended scaffolding
CN205530776U (en) Removable formula damping device that trades of rubber support
CN112942777A (en) Ultrahigh-layer periphery protection cyclic telescopic detachable cantilever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JP7116583B2 (en) Suspended scaffolding for beam construction
US3722170A (en) Method of hoisting and anchoring heavy structures in a building
KR100260674B1 (en) A net of safety styled for cable stayed bridge
CN113085432B (en) Construction method of large semi-landscape painting canvas in scene restoration construction
CN213234308U (en) Cloth machine suitable for assembly type building concrete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