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742A - 유저장치 및 프리앰블 송신 방법 - Google Patents

유저장치 및 프리앰블 송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742A
KR20200110742A KR1020207019761A KR20207019761A KR20200110742A KR 20200110742 A KR20200110742 A KR 20200110742A KR 1020207019761 A KR1020207019761 A KR 1020207019761A KR 20207019761 A KR20207019761 A KR 20207019761A KR 20200110742 A KR20200110742 A KR 20200110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signal
preamble
period
mapping
burst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787B1 (ko
Inventor
토모야 오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200110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2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with preamble design, i.e. with negotiation of the synchronisation sequence with transmitter or sequence linked to the algorithm used at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유저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검출하는 수신부와,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이 송신 가능한 기간인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의 주기와, 프리앰블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의 주기와,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동기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된 주기로, 맵핑 룰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송신을 위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 중에서, 상기 검출된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따라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를 선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선택된 리소스에 있어서 프리앰블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유저장치 및 프리앰블 송신 방법
본 발명은, 유저장치 및 프리앰블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있어서,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dvanced의 차세대의 통신 규격(5G 또는 NR)이 논의되고 있다. NR 시스템에 있어서도, LTE 등과 마찬가지로, 유저장치(UE: User Equipment)가 기지국(eNB 또는 eNodeB)과 접속을 확립하는 경우 또는 재접속하는 경우에,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상정된다.
LTE의 랜덤 액세스에 있어서 최초로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한 채널은,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이라 불리며, PRACH에 관한 설정 정보(RACH Configuration)는,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에 인덱스에 의해 통지된다. 즉, 유저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RACH Configuration에 기초하여 PRACH의 리소스(이하, RACH 리소스라 부른다)를 선택한다(비특허문헌 1 참조).
비특허문헌 1: 3GPP TS 36.211 V14.2.0(2017-03)
NR에 있어서도, LTE와 마찬가지로, 유저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RACH Configuration에 기초하여 RACH 리소스를 선택하는 것이 상정된다. NR에서는,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세컨더리 동기 신호(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이 시간 방향으로 반복 송신할 수 있는 구조가 검토되고 있다. PSS, SSS 또는 PBCH이 배치되는 리소스를 SS 블록(SS block)이라 부르고, SS 블록의 반복을 SS 버스트 세트(SS burst set)라 부른다. 유저장치는, SS 블록을 검출할 수 있었던 경우, RACH Configuration에 의해 결정되는 복수의 리소스 중에서 RACH 리소스를 선택하는 것이 상정된다.
그러나, SS 버스트 세트 내의 SS 블록에 따라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해 필요한 RACH 리소스의 수는, SS 버스트 세트 내의 SS 블록의 수 등에 의존하고, RACH Configuration에 의해 결정되는 RACH 리소스의 수와는 정합성이 맞지 않는다.
본 발명은, SS 버스트 세트 내의 SS 블록에 따라 RACH 리소스를 선택하는 주기를 적절하게 결정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유저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검출하는 수신부와,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이 송신 가능한 기간인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의 주기와, 프리앰블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의 주기와,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동기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된 주기로, 맵핑 룰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송신을 위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 중에서, 상기 검출된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따라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를 선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선택된 리소스에 있어서 프리앰블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SS 버스트 세트 내의 SS 블록에 따라 RACH 리소스를 선택하는 주기를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SS 블록과 RACH 리소스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맵핑 주기를 결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송신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5는 프리앰블을 송신하는 RACH 리소스를 선택하는 구체 예 1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프리앰블을 송신하는 RACH 리소스를 선택하는 구체 예 2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프리앰블을 송신하는 RACH 리소스를 선택하는 구체 예 3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유저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형태는,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절하게, LTE에서 규정된 용어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무선통신시스템이 동작하는데 있어서는, 적절하게, LTE에서 규정된 기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단, 해당 기존 기술은 LTE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LTE'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LTE-Advanced, 및 LTE-Advanced 이후의 방식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랜덤 액세스 시의 프리앰블 송신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기지국과의 동기 후의 어느 타이밍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송신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존의 LTE에서 사용되고 있는 PSS, SSS, PBCH, RACH, 프리앰블 등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는 기재의 편의 상을 위한 것이며, 이들과 동일한 신호 등이 다른 명칭으로 불려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의 개요〉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통신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통신시스템(10)은, 기지국(100) 및 유저장치(200)를 포함한다. 도 1의 예에서는, 하나의 기지국(100) 및 하나의 유저장치(200)가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기지국(100)을 갖고 있어도 좋으며, 복수의 유저장치(200)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기지국(100)을 BS라 부르고, 유저장치(200)를 UE라 불러도 좋다.
기지국(100)은, 하나 또는 복수(예를 들면, 3개)의 셀(섹터라고도 불린다)을 수용할 수 있다. 기지국(100)이 복수의 셀을 수용하는 경우, 기지국(100)의 커버리지 에어리어 전체는 복수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예를 들면, 실내용 소형 기지국 RRH: Remote Radio Head)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셀' 또는 '섹터'라는 용어는, 이 커버리지에 있어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지국, 및/또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의 커버리지 에어리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가리킨다. 또한, '기지국', 'eNB', '셀', 및 '섹터'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100)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eNode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 셀, 스몰 셀 등의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유저장치(200)는, 당업자에 따라, 이동국,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와이어리스 유닛, 리모트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통신 디바이스, 리모트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와이어리스 단말, 리모트 단말, 핸드셋, 유저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100) 또는 유저장치(200)는, 고주파수대에서의 전파 로스를 보완하기 위해, 빔 폭이 좁은 빔포밍을 적용할 수 있다. 빔포밍을 적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기지국(100) 또는 유저장치(200)는, 빔 탐색(beam sweeping) 등을 수행함으로써, 통신 상대측에서 수신 품질이 양호해지도록 송신 빔(Tx-beam)의 방향을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빔포밍을 적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도, 기지국(100) 또는 유저장치(200)는, 통신 상대측으로부터의 수신 품질이 양호해지도록 수신 빔(Rx-beam)의 방향을 결정한다.
발신 시 또는 핸드오버 등에 의해, 유저장치(200)가 기지국(100)과 접속을 확립하는 경우 또는 재동기 등을 수행하는 경우, 랜덤 액세스가 수행된다. 랜덤 액세스에서는, 유저장치(200)는, 셀 내에 준비된 복수의 프리앰블 중에서 선택한 프리앰블(PRACH preamble)을 송신한다. 기지국은 프리앰블을 검출하면, 그 응답 정보인 RAR(RACH response)을 송신한다. RAR을 수신한 유저장치는, RRC Connection Request를 message3으로서 송신한다. 기지국은, message3 수신 후에 커넥션 확립을 위한 셀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하는 RRC Connection Setup을 message4로서 송신한다. 자신의 UE ID가 message4에 포함되어 있던 유저장치는, 랜덤 액세스 처리를 완료하고, 커넥션을 확립한다.
랜덤 액세스에 있어서 최초로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한 채널은,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이라 불린다. PRACH에 관한 설정 정보(RACH Configuration)의 후보는, 예를 들면, RACH Configuration Table이라 불리는 테이블에 미리 규정되고, 각각의 RACH Configuration에 대해 인덱스가 부여된다. 기지국(100)은, 브로드캐스트 정보 등에 의해 유저장치(200)에 RACH Configuration Table의 인덱스를 통지함으로써, 프리앰블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의 위치, 수, 밀도 등을 지정한다. 유저장치(200)는, 통지된 인덱스에 기초하여(즉, 통지된 인덱스에 대응되는 RACH Configuration에 기초하여), 프리앰블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즉, RACH 리소스)를 결정할 수 있다. RACH 리소스는, 예를 들면,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에서 구성되는 리소스 중의 소정 부분에 주기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RACH Configuration은, 프리앰블 송신을 위한 설정 정보라 바꿔 읽혀도 좋다.
기지국(100)은, 예를 들면, 송신 빔의 방향을 바꾸면서, SS 버스트 세트 내의 복수의 SS 블록을 이용하여, PSS, SSS 또는 PBCH을 송신할 수 있다. SS 버스트 세트는, 예를 들면, 20 ms 등의 주기로 반복된다. SS 버스트 세트 내의 최대의 SS 블록 수 L은, 주파수대에 따라 다르며, 예를 들면, 3 GHz 이하에서는 L=4, 3∼6 GHz에서는 L=8, 6∼52.6 GHz에서는 L=64로 규정된다. 또, L개의 SS 블록의 전부가 반드시 이용된다고는 한정하지 않고, 기지국은 L개 이하의 범위에서 임의의 수의 SS 블록을 이용할 수 있고, 그것이 기지국으로부터 실제로 송신되는 SS 블록이 된다.
유저장치(200)는, PSS, SSS 또는 PBCH을 검출한 경우, 프리앰블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 중에서, 검출한 PSS, SSS 또는 PBCH이 배치된 SS 블록에 결합된 RACH 리소스를 선택한다. 유저장치(200)는, 선택한 RACH 리소스에 있어서 프리앰블을 송신한다. 이와 같은 SS 블록과 RACH 리소스와의 대응 관계에 의해, 기지국(100)은, SS 버스트 세트 내의 어느 SS 블록이 유저장치(200)에 의해 검출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SS 블록과 RACH 리소스와의 대응 관계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SS 블록과 RACH 리소스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유저장치(200)는, RACH Configuration에 의해 프리앰블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RACH 리소스 1, RACH 리소스 2, RACH 리소스 3...)를 결정할 수 있다. SS 버스트 세트 내의 SS 블록과 RACH 리소스와의 대응 관계를 규정한 맵핑 룰을, 예를 들면, 기지국(100)으로부터 유저장치(200)에 대해 브로드캐스트 정보 등에 의해 통지되어도 좋으며, 미리 사양에 의해 규정되어도 좋다. 맵핑 룰은 임의로 규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S 블록 #1에 대한 프리앰블은 RACH 리소스 1에 있어서 송신하며, SS 블록 #6에 대한 프리앰블은 RACH 리소스 2에 있어서 송신한다는 등의 맵핑 룰이 규정되어도 좋다.
유저장치(200)는, PSS, SSS 또는 PBCH이 배치된 SS 블록에 결합된 RACH 리소스를 선택하고, 프리앰블을 기지국(100)으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유저장치(200)는, SS 블록 #6에 있어서 PSS, SSS 또는 PBCH을 검출할 수 있었던 경우, SS 블록 #6에 결합된 RACH 리소스 2를 선택한다. 그리고, 유저장치(200)는, 선택된 RACH 리소스 2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프리앰블 중에서 프리앰블을 선택하고, 프리앰블을 기지국(100)으로 송신한다.
또한, 하나의 SS 블록에 대해 복수의 RACH 리소스(복수의 시간 리소스 또는 복수의 주파수 리소스)가 선택 가능해도 좋으며, 하나의 RACH 리소스가 복수의 SS 블록에 관련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하나의 SS 블록에 대해 1 슬롯 중의 7개, 6개, 3개, 2개, 1개 등의 RACH 리소스가 선택 가능해도 좋다. 유저장치는, 선택 가능한 RACH 리소스 중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RACH 리소스를, 예를 들면, 랜덤하게 선택하고, 프리앰블을 송신해도 좋다.
상기 맵핑 룰은, SS 버스트 세트 내의 기지국으로부터 실제로 송신되는 SS 블록으로부터만 맵핑을 수행하는 것이어도 좋으며, 또는 SS 버스트 세트 내의 최대수 L의 SS 블록으로부터 맵핑을 수행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하,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 등과 같이 서술한 경우에는, SS 버스트 세트 내의 실제로 송신되는 SS 블록으로부터만 맵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실제로 송신되는 SS 블록'을 의미하고, SS 버스트 세트 내의 최대수 L의 SS 블록으로부터 맵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SS 버스트 세트 내의 L개의 모든 SS 블록'을 의미한다.
〈맵핑 주기의 예〉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맵핑 룰에 기초하여 SS 블록에 따라 RACH 리소스를 선택하는 주기(이하, 맵핑 주기라 부른다)를 결정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맵핑 주기를 결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기와 같이, RACH 리소스 배치는, RACH Configuration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그 결과,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도, RACH Configuration에 기초하여 결정된다(예를 들면, RACH Configuration Table에 의해 지정되는 주기가 된다).
예를 들면, RACH Configuration에 의해 결정되는 RACH 리소스로서, 2.5 ms 중에 RACH 리소스를 포함하는 슬롯이 1 슬롯 존재하고, 1 슬롯 중의 RACH 리소스가 7개이며,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가 10 ms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 SS 버스트 세트 주기로서 취할 수 있는 값이 {5 ms, 10 ms, 20 ms, 40 ms, 80 ms, 160 ms}이며, 이들의 취할 수 있는 값 중, 20 ms가 이용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또한, SS 버스트 세트 내에 있어서 64개의 SS 블록이 송신되고, 하나의 SS 블록이 하나의 RACH 리소스에 맵핑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SS 블록으로부터 RACH 리소스로의 맵핑은, 맵핑 룰에 기초하여 결정되지만, 이 예에서는,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으로부터 RACH 리소스로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은, 10 슬롯=25 ms이다. 또한, SS 버스트 세트의 주기(20 ms) 혹은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10 ms) 또는 그 배수 등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맵핑 주기를 40 ms로 함으로써, SS 블록 #0에 대한 RACH 리소스의 위치는, 항상 맵핑 주기(40 ms)에 있어서의 최초의 RACH 리소스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프리앰블을 수신한 RACH 리소스로부터, 어느 SS 블록이 유저장치(200)에 의해 검출 가능했는지를 용이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3의 예에 있어서, 맵핑 주기가 20 ms인 경우, 20 ms 내에 모든 SS 블록을 RACH 리소스에 맵핑할 수 없다. 따라서, 맵핑 주기는,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 이상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맵핑 주기는 SS 버스트 세트의 주기 또는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에 기초하여, 이하와 같이 결정된다.
(1) 맵핑 주기로서, SS 버스트 세트 주기로서 취할 수 있는 값 중에서,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보다 큰 값의 최소값을 이용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에서는, SS 버스트 세트 주기로서 취할 수 있는 값은 {5 ms, 10 ms, 20 ms, 40 ms, 80 ms, 160 ms}이며,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은 25 ms이다. 이 예에서는, 맵핑 주기로서 40 ms가 이용된다.
(2) 맵핑 주기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에 통지된 SS 버스트 세트 주기의 배수 중에서,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보다 큰 값의 최소값을 이용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에 통지된 SS 버스트 세트 주기는 20 ms이며,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은 25 ms이다. 이 예에서는, 맵핑 주기로서 40 ms가 이용된다.
(3) 맵핑 주기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에 통지된 SS 버스트 세트 주기를 이용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에 통지된 SS 버스트 세트 주기는 20 ms이지만, 기지국에 있어서,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을 고려하여, SS 버스트 세트 주기가 20 ms에서 40 ms로 변경되고, 40 ms의 SS 버스트 세트 주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에 통지되어도 좋다.
(4) 맵핑 주기로서,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의 배수 중에서,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보다 큰 값의 최소값을 이용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에서는,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는 10 ms이며,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은 25 ms이다. 이 예에서는, 맵핑 주기로서 30 ms가 이용된다.
(5) 맵핑 주기로서,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를 이용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에서는,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는 10 ms, 그리고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은 25 ms이지만, 기지국에 있어서, 맵핑 주기 내에서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하도록, 10 ms(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 내에서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RACH Configuration이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에 통지되어도 좋다.
(6) 맵핑 주기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에 통지된 SS 버스트 세트 주기의 배수와,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의 배수와의 공배수로서 취할 수 있는 값 중,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보다 큰 최소값을 이용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에 통지된 SS 버스트 세트 주기는 20 ms이며,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는 10 ms이며, 이들의 최소공배수는 20 ms이다. 또,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은 25 ms이다. 이 예에서는, 맵핑 주기로서 40 ms가 이용된다.
(7) 맵핑 주기로서,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의 배수로서 취할 수 있는 값 중,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보다 큰 최소값 이상이(과 동일하거나, 또는 보다 크게) 되는,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에 통지되는 SS 버스트 세트 주기의 배수로서 취할 수 있는 값 중 최소값을 이용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에서는,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는 10 ms이며,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은 25 ms이다.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의 배수로서 취할 수 있는 값 중,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보다 큰 최소값은 30 ms이다. 또,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에 통지된 SS 버스트 세트 주기는 20 ms이다. 이 예에서는, 맵핑 주기로서 40 ms가 이용된다.
(8) 맵핑 주기로서,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의 배수로서 취할 수 있는 값 중,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보다 큰 최소값 이상이(과 동일하거나, 또는 보다 크게) 되는, SS 버스트 세트 주기로서 취할 수 있는 값 중 최소값을 이용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에서는,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는 10 ms이며,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은 25 ms이다.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의 배수로서 취할 수 있는 값 중,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보다 큰 최소값은 30 ms이다. 또, SS 버스트 세트 주기로서 취할 수 있는 값은 {5 ms, 10 ms, 20 ms, 40 ms, 80 ms, 160 ms}이다. 이 예에서는, 맵핑 주기로서 40 ms가 이용된다. 또한, SS 버스트 세트 주기로서 취할 수 있는 값은 {5 ms, 10 ms, 20 ms, 40 ms, 80 ms, 160 ms}이지만, 이들의 값 중, 5 ms는 SS 버스트 세트 주기로서 취할 수 있는 값에 포함해도 좋으며,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9) 맵핑 주기로서,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의 배수로서 취할 수 있는 값 중,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보다 큰 최소값과,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에 통지된 SS 버스트 세트 주기와의 2개의 값 중, 최대값을 이용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에서는,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는 10 ms이며,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은 25 ms이다.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의 배수로서 취할 수 있는 값 중,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보다 큰 최소값은 30 ms이다. 또,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에 통지된 SS 버스트 세트 주기는 20 ms이다. 이 예에서는, 맵핑 주기로서 30 ms가 이용된다.
또한, 상기의 맵핑 주기(1)∼(9)의 임의의 조합이 이용되어도 좋다. 이들의 조합이 이용되는 경우, (1)∼(9)의 어느 것을 이용할지는, 브로드캐스트 정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등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에 통지되어도 좋으며, 미리 사양으로 결정되어도 좋다. 또, 이들의 조합이 이용되는 경우, 큰 쪽의 값 또는 작은 쪽의 값을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2)의 맵핑 주기와 (4)의 맵핑 주기와의 조합이 이용되는 경우, 이들의 2개의 값 중, 큰 쪽의 값 또는 작은 쪽의 값이 맵핑 주기로서 결정되어도 좋다.
또, 맵핑 주기는, 유저장치 대신에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결정되고, 브로드캐스트 정보, RRC 시그널링, DCI 등에 의해 유저장치에 통지되어도 좋다. 또, 맵핑 주기로서 취할 수 있는 값이 사양으로 결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맵핑 주기는 RACH Configuration Table의 인덱스마다 결정되어도 좋다.
〈구체 예 1〉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송신 수순의 구체 예 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송신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5는, 프리앰블을 송신하는 리소스를 선택하는 구체 예 1의 개략도이다.
기지국(100)은, 시간 동기, 주파수 동기, 셀 ID의 일부의 검출 등에 이용되는 PSS와, 셀 ID의 검출 등에 이용되는 SSS를 송신함과 동시에, 초기 액세스에 필요한 시스템 정보의 일부를 포함하는 PBCH을 유저장치(200)로 송신한다(S101). PSS, SSS 또는 PBCH은, SS 블록이라 불리는 SS 버스트 세트 내의 리소스에 배치되고, 유저장치(200)로 송신된다. 유저장치(200)는, SS 버스트 세트 내에서 PSS, SSS 및 PBCH의 검출을 시도한다. PSS, SSS 및 PBCH이 검출 가능했던 경우, 유저장치(200)는, 예를 들면,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서 송신되는 다른 시스템 정보도 수신 가능해진다. 여기서는, PBCH에서 송신되는 시스템 정보와, PDSCH 등의 다른 채널에서 송신되는 시스템 정보를 합쳐 브로드캐스트 정보라 부른다.
유저장치(200)에 통지되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에는, RACH Configuration(예를 들면, RACH Configuration Table의 인덱스), SS 버스트 세트 내의 SS 블록과 RACH 리소스와의 대응 관계를 규정한 맵핑 룰, 맵핑 주기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의 정보가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포함된다고 하여 설명하지만, 상기의 정보의 어느 것이, 브로드캐스트 정보 이외의 제어 정보(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DCI 등)에 의해 유저장치(200)에 통지되어도 좋으며, 미리 사양에 의해 규정되어도 좋다.
유저장치(200)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RACH Configuration에 기초하여, 프리앰블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ACH Configuration에 기초하여, 어느 지정된 기간의 1 주기(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에 있어서, 시간 방향으로 6개의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 것이 결정되어도 좋다. 여기서,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는, SS 버스트 세트 내의 SS 블록의 수를 고려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SS 버스트 세트 내에 8개의 SS 블록이 존재하고, 하나의 SS 블록에 대해 하나의 시간 방향의 RACH 리소스가 이용되는 경우, 적어도 8개의 시간 방향의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 것과 같이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가 결정되어도 좋다.
또, SS 블록으로부터 RACH 리소스로의 맵핑 주기는, 상기와 같이, SS 버스트 세트의 주기 또는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 등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유저장치(200)는, SS 버스트 세트 내의 SS 블록과 RACH 리소스와의 대응 관계를 규정한 맵핑 룰을 이용하여, 프리앰블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 중에서, 검출한 PSS, SSS 또는 PBCH이 배치되는 SS 블록에 결합된 RACH 리소스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맵핑 룰에 의해, SS 블록 #0에 대한 프리앰블은 RACH 리소스 1에 있어서 송신하며, SS 블록 #1에 대한 프리앰블은 RACH 리소스 2에 있어서 송신한다는 등이 규정된다. 유저장치(200)는, 이 맵핑 룰을 이용하여, PSS, SSS 또는 PBCH이 SS 블록 #0에 있어서 검출 가능했던 경우, RACH 리소스 1을 선택하고, PSS, SSS 또는 PBCH이 SS 블록 #1에 있어서 검출 가능했던 경우, RACH 리소스 2를 선택한다. 또한, RACH 리소스 1과 RACH 리소스 2의 위치는 임의로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RACH 리소스 1과 RACH 리소스 2가 같은 시간 내에 주파수 다중되어도 좋다.
또한, RACH 리소스 배치의 1 주기 내의 리소스의 전체가 RACH 리소스로서 이용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SS 버스트 세트 내의 기지국으로부터 실제로 송신되는 SS 블록으로부터만 맵핑이 수행된다고 했을 때,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S 버스트 세트 내에 SS 블록 #0 및 SS 블록 #1만이 실제로 송신된다고 한 경우에는, RACH 리소스 1 및 RACH 리소스 2 이외의 리소스는 RACH에 이용되지 않아도 좋다. 즉, SS 버스트 세트 내의 기지국으로부터 실제로 송신되는 SS 블록으로부터만 맵핑이 한 바퀴 돈 후의 RACH 리소스에 대해서는 SS 블록으로부터의 맵핑을 수행하지 않아도 좋다. 또, 예를 들면 SS 버스트 세트 내의 최대수 L의 SS 블록으로부터 맵핑이 수행된다고 했을 때, L=4 그리고 SS 블록 #0∼#3 중, SS 블록 #1만 실제로 송신된 경우에는, SS 블록 #0, #2, #3으로부터 맵핑된 RACH 리소스는 RACH에 이용되지 않아도 좋다. 또한 SS 버스트 세트 내의 최대수 L의 SS 블록으로부터의 맵핑이 한 바퀴 돈 후의 RACH 리소스에 대해서는 SS 블록으로부터의 맵핑을 수행하지 않아도 좋다. SS 블록 #0∼#3으로부터 맵핑되지 않았던 RACH 리소스는 RACH에 이용되지 않아도 좋다. 상기 어느 경우라도 RACH에 이용되지 않는 리소스는, 다른 채널(예를 들면, 데이터 채널, 제어 채널) 등의 다른 용도로 이용되어도 좋다.
도 5에서는, RACH 리소스 배치의 1 주기 내의 리소스에 있어서, 전방으로부터 RACH 리소스를 선택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후방으로부터 RACH 리소스를 선택해도 좋으며, 다른 룰에 기초하여 RACH 리소스를 선택해도 좋다.
또, SS 블록이 맵핑되는 마지막 슬롯에 있어서, RACH 리소스가 남는 경우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있어서, SS 블록 #63이 맵핑되는 마지막 슬롯에서는, 하나의 RACH 리소스밖에 이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경우, 슬롯의 전방으로부터 RACH 리소스를 이용해도 좋으며, 슬롯의 후방으로부터 RACH 리소스를 이용해도 좋으며, 다른 룰에 기초하여 RACH 리소스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RACH 리소스가 주파수 다중되어 있으며, 주파수 방향의 RACH 리소스가 남는 경우에도, 높은 주파수로부터 RACH 리소스를 이용해도 좋으며, 낮은 주파수로부터 RACH 리소스를 이용해도 좋으며, 다른 룰에 기초하여 RACH 리소스를 이용해도 좋다.
유저장치(200)는, 선택된 리소스에 있어서 프리앰블을 기지국(100)으로 송신한다(S103). 기지국(100)은, 프리앰블을 수신한 경우, 유저장치(200)와 같은 맵핑 룰에 기초하여, 프리앰블을 수신한 리소스로부터, 어느 SS 블록이 유저장치(200)에 의해 검출 가능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기지국(100)은, 수신한 프리앰블에 대해, 응답 정보인 RAR을 유저장치(200)로 송신한다. 그 후, 기지국(100)과 유저장치(200)와의 사이의 커넥션이 확립된다.
〈구체 예 2〉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송신 수순의 구체 예 2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프리앰블을 송신하는 리소스를 선택하는 구체 예 2의 개략도이다. 구체 예 2에 있어서도, 도 4의 프리앰블 송신 수순에 따라 프리앰블이 송신된다. 이하, 구체 예 1과 다른 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계 S101에 있어서, 유저장치(200)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RACH Configuration에 기초하여, 프리앰블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ACH Configuration에 기초하여, 어느 지정된 기간의 1 주기(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에 있어서, 시간 방향으로 6개의 RACH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 것이 결정되어도 좋다.
유저장치(200)는, SS 버스트 세트 내의 SS 블록과 RACH 리소스와의 대응 관계를 규정한 맵핑 룰을 이용하여, 프리앰블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 중에서, 검출한 PSS, SSS 또는 PBCH이 배치되는 SS 블록에 결합된 RACH 리소스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맵핑 룰에 의해, SS 블록 #0에 대한 프리앰블은 RACH 리소스 1에 있어서 송신하며, SS 블록 #1에 대한 프리앰블은 RACH 리소스 2에 있어서 송신한다는 등이 규정된다. 또한, 맵핑 주기가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의 2배 이상인 경우, 나머지 RACH 리소스에 있어서, SS 블록 #0 및 SS 블록 #1로부터의 맵핑이 반복 수행되어도 좋다. 도 6의 예에서는, 1 맵핑 주기 내에서 SS 블록 #0 및 SS 블록 #1로부터의 맵핑이 3회 반복되고 있다. 반복 횟수는 사양으로 규정되어도 좋으며,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어도 좋다. 또는 1 맵핑 주기 내에서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으로부터의 맵핑을 반복할 수 있는 최대의 횟수만큼 맵핑을 반복해도 좋다. 상기에 기초했을 때에 맵핑되지 않았던 RACH 리소스는 RACH에 이용되지 않아도 좋다. RACH에 이용되지 않는 리소스는, 다른 채널(예를 들면, 데이터 채널, 제어 채널) 등의 다른 용도로 이용되어도 좋다.
단계 S103에 있어서, 유저장치(200)는, 선택된 리소스에 있어서 프리앰블을 기지국(100)으로 송신한다.
〈구체 예 3〉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송신 수순의 구체 예 3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프리앰블을 송신하는 리소스를 선택하는 구체 예 3의 개략도이다. 구체 예 3에 있어서도, 도 4의 프리앰블 송신 수순에 따라 프리앰블이 송신된다. 이하, 구체 예 1과 다른 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계 S101에 있어서, 유저장치(200)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RACH Configuration에 기초하여, 프리앰블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ACH Configuration에 기초하여, 어느 지정된 기간의 1 주기(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에 있어서, 시간 방향으로 6개의 RACH 리소스가 이용 가능하며, 주파수 방향으로 4개의 RACH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 것이 결정되어도 좋다. 즉, 4개의 RACH 리소스가 동일한 시간 내에 있어서 주파수 다중되어 있다.
유저장치(200)는, SS 버스트 세트 내의 SS 블록과 RACH 리소스와의 대응 관계를 규정한 맵핑 룰을 이용하여, 프리앰블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 중에서, 검출한 PSS, SSS 또는 PBCH이 배치되는 SS 블록에 결합된 RACH 리소스를 선택한다. 여기서, 하나의 SS 블록에 필요한 RACH 리소스의 수가 3개인 경우, SS 블록 #0에 대한 프리앰블은 최초의 시간 내의 RACH 리소스 1에 있어서 송신한다. 최초의 시간 내에, SS 블록 #1에 대한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가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SS 블록 #1에 대해서는 나머지 하나의 RACH 리소스는 이용하지 않고, 다음 시간의 RACH 리소스 2를 선택한다.
단계 S103에 있어서, 유저장치(200)는, 선택된 리소스에 있어서 프리앰블을 기지국(100)으로 송신한다.
〈기지국의 기능 구성〉
도 8은, 기지국(10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기지국(100)은, 송신부(110)와, 수신부(120)와, 설정 정보 관리부(130)와, 랜덤 액세스 제어부(140)를 갖는다. 도 8에 도시하는 기능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기능 구분 및 기능부의 명칭은 어떤 명칭이어도 좋다.
송신부(110)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로부터 하위 레이어의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부(110)는, PSS, SSS, PBCH 등의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부(120)는, 각종 신호를 무선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로부터 상위 레이어의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정 정보 관리부(130)는, 미리 설정되는 설정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유저장치(200)에 대해 설정하는 설정 정보(RACH Configuration, 맵핑 룰, 맵핑 주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되는 어느 설정 정보 등)를 결정하고, 보유한다. 설정 정보 관리부(130)는, 유저장치(200)에 대해 설정하는 설정 정보를 송신부(110)에 전달하고, 송신부(110)로 설정 정보를 송신시킨다.
랜덤 액세스 제어부(140)는, 유저장치(200)와의 랜덤 액세스 수순을 관리한다. 유저장치(200)로부터 프리앰블을 수신한 경우, 송신부(110)로 RAR을 송신시키고, 유저장치(200)로부터 RRC Connection Request를 수신한 경우, 송신부(110)로 RRC Connection Setup을 송신시킨다.
〈유저장치의 기능 구성〉
도 9는, 유저장치(20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유저장치(200)는, 송신부(210)와, 수신부(220)와, 설정 정보 관리부(230)와, 리소스 선택부(240)와, 랜덤 액세스 제어부(250)를 갖는다. 도 9에 도시하는 기능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기능 구분 및 기능부의 명칭은 어떤 명칭이어도 좋다.
송신부(210)는, 상위 레이어의 정보로부터 하위 레이어의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부(210)는, 이하에 설명하는 설정 정보 관리부(230)에 저장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프리앰블을 송신한다. 수신부(220)는, 각종 신호를 무선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로부터 상위 레이어의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신부(220)는, 기지국(100)으로부터 PSS, SSS, PBCH 등의 신호를 수신한다. 또, 수신부(220)는, 기지국(100) 등으로부터 설정 정보(RACH Configuration, 맵핑 룰, 맵핑 주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되는 어느 설정 정보 등)를 수신한다.
설정 정보 관리부(230)는, 미리 설정되는 설정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기지국(100) 등으로부터 설정되는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설정 정보 관리부(230)에 있어서 관리할 수 있는 설정 정보는, 기지국(100) 등으로부터 설정되는 설정 정보뿐 아니라, 사양에 의해 미리 규정된 설정 정보도 포함된다.
리소스 선택부(240)는, 설정 정보 관리부(230)에 저장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프리앰블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결정한다. 또한, 리소스 선택부(240)는, 프리앰블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 중에서, 설정 정보 관리부(230)에 저장된 맵핑 룰에 기초하여,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한 RACH 리소스를 선택한다.
랜덤 액세스 제어부(250)는, 기지국(100)과의 랜덤 액세스 수순을 관리한다. 발신 시 또는 핸드오버 등에 의해, 유저장치(200)가 기지국(100)과 접속을 확립하는 경우 또는 재동기를 수행하는 경우, 랜덤 액세스 제어부(250)는, 복수의 프리앰블 중에서 랜덤하게 선택한 프리앰블을 송신부(210)에 송신시킨다. 또, 랜덤 액세스 제어부(250)는, 프리앰블을 송신한 후, 예를 들면, RAR 윈도우라 불리는 기간 내에 그 응답 정보인 RAR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송신부(210)로 프리앰블을 재송시킨다. 랜덤 액세스 제어부(250)는, 기지국(100)으로부터 RAR을 수신한 경우, 송신부(210)로 RRC Connection Request를 송신시킨다.
〈하드웨어 구성 예〉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블록도는,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기능 블록(구성부)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 각 기능 블록의 실현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기능 블록은,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결합한 하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으며,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2개 이상의 장치를 직접적 및/또는 간접적(예를 들면,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접속하고, 이들 복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유저장치 등은, 본 발명의 프리앰블 송신 방법의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로서 기능해도 좋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100) 또는 유저장치(200)인 무선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술한 기지국(100) 및 유저장치(200)는, 물리적으로는,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스토리지(1003), 통신장치(1004), 입력장치(1005), 출력장치(1006), 버스(1007)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치'라는 문언은, 회로, 디바이스, 유닛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기지국(100) 및 유저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각 장치를 하나 또는 복수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며, 일부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어도 좋다.
기지국(100) 및 유저장치(200)에 있어서의 각 기능은,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하드웨어 상에 소정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읽어 들임으로써, 프로세서(1001)가 연산을 수행하고, 통신장치(1004)에 의한 통신, 및/또는, 메모리(1002) 및 스토리지(1003)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독출 및/또는 쓰기를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세서(1001)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동작시켜 컴퓨터 전체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001)는,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기지국(100)의 송신부(110), 수신부(120), 설정 정보 관리부(130), 랜덤 액세스 제어부(140), 유저장치(200)의 송신부(210), 수신부(220), 설정 정보 관리부(230), 리소스 선택부(240), 랜덤 액세스 제어부(250) 등은, 프로세서(1001)로 실현되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및/또는 데이터를, 스토리지(1003) 및/또는 통신장치(1004)로부터 메모리(1002)에 독출하고, 이들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기지국(100)의 송신부(110), 수신부(120), 설정 정보 관리부(130), 랜덤 액세스 제어부(140), 유저장치(200)의 송신부(210), 수신부(220), 설정 정보 관리부(230), 리소스 선택부(240), 랜덤 액세스 제어부(250)는, 메모리(10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으며, 다른 기능 블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실현되어도 좋다. 상술한 각종 처리는, 하나의 프로세서(1001)에서 실행되는 취지를 설명했으나, 2 이상의 프로세서(1001)에 의해 동시 또는 축차적으로 실행되어도 좋다. 프로세서(1001)는, 1 이상의 칩으로 실장되어도 좋다. 또한, 프로그램은,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레지스터, 캐시, 메인 메모리(주기억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메모리(100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프리앰블 송신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003)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c ROM) 등의 광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플렉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디스크,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스마트카드, 플래시 메모리(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스토리지(1003)는, 보조 기억장치라 불려도 좋다. 상술한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1002) 및/또는 스토리지(1003)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매체여도 좋다.
통신장치(1004)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송수신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컨트롤러, 네트워크 카드, 통신 모듈 등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송신부(110), 수신부(120), 송신부(210), 수신부(220) 등은, 통신장치(1004)로 실현되어도 좋다.
입력장치(1005)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스위치, 버튼, 센서 등)이다. 출력장치(1006)는, 외부로의 출력을 실시하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 램프 등)이다. 또한, 입력장치(1005) 및 출력장치(1006)는, 일체로 된 구성(예를 들면, 터치패널)이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 및/또는 메모리(1002) 등의 각 장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버스(1007)로 접속된다. 버스(1007)는, 단일의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으며, 장치 간에 다른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기지국(100) 및 유저장치(2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고,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이들의 하드웨어의 적어도 하나로 실장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지국으로부터의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검출하는 수신부와,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이 송신 가능한 기간인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의 주기와, 프리앰블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의 주기와,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동기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된 주기로, 맵핑 룰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송신을 위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 중에서, 상기 검출된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따라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를 선택하는 리소스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리소스에 있어서 프리앰블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 유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유저장치가 프리앰블을 송신할 때에, SS 버스트 세트의 주기 또는 RACH 리소스 배치의 주기와, SS 블록으로부터 RACH 리소스로의 맵핑 주기와의 사이에 일정한 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기지국은, 프리앰블을 수신한 리소스로부터, 어느 SS 블록이 유저장치(200)에 의해 검출 가능했는지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맵핑 룰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로부터 맵핑을 수행한 후에, 상기 프리앰블 송신을 위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 중에서, 맵핑되어 있지 않은 리소스는, 프리앰블의 송신에 이용되지 않아도 좋으며,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에 있어서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이 송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리앰블 송신을 위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 중에서, 해당 송신되지 않은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대응되는 리소스는, 프리앰블의 송신에 이용되지 않아도 좋다.
RACH Configuration에 의해 RACH 리소스의 배치가 결정되지만, SS 버스트 세트 내의 모든 SS 블록이 이용된다고는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RACH에 이용되지 않는 리소스를 다른 용도로 이용함으로써, 리소스의 유효 활용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맵핑 룰에 기초하는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로부터 리소스로의 맵핑의 주기가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의 2 배 이상인 경우, 상기 리소스 선택부는, 상기 맵핑의 주기 내에 있어서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로부터 리소스로의 맵핑을 복수회 반복해도 좋다.
이와 같이, 프리앰블을 복수회 송신함으로써, 기지국이 프리앰블을 수신 가능한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프리앰블 송신을 위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가 동일한 시간 내에 있어서 주파수 다중되어 있으며,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제1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로부터 맵핑된 리소스의 제1 시간 내에,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제2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로부터의 맵핑에 필요한 리소스가 남아있지 않은 경우, 상기 리소스 선택부는, 상기 제1 시간과는 다른 제2 시간에 있어서, 상기 제2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로부터 맵핑되는 리소스를 선택해도 좋다.
동일한 시간 내에 있어서 주파수 방향으로 충분한 리소스가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 다음 시간의 리소스를 이용함으로써, 어느 SS 블록에 대해 송신하는 RACH 리소스의 주파수의 범위를 전환할 필요성을 없앨 수 있다.
〈보충〉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SUPER 3G, IMT-Advanced, 4G, 5G, FRA(Future Radio Access), W-CDMA(등록 상표), GSM(등록 상표), CDMA2000,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UWB(Ultra-WideBand), Bluetooth(등록 상표), 그 외의 적절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또는 이들에 기초하여 확장된 차세대 시스템에 적용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은, 기지국 및/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ME 또는 S-GW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에 있어서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가 하나인 경우를 예시했으나, 복수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의 조합(예를 들면, MME 및 S-GW)이어도 좋다.
정보 등은, 상위 레이어(또는 하위 레이어)로부터 하위 레이어(또는 상위 레이어)로 출력될 수 있다.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입출력되어도 좋다.
입출력된 정보 등은 특정한 장소(예를 들면, 메모리)에 저장되어도 좋으며, 관리 테이블로 관리해도 좋다. 입출력되는 정보 등은, 덮어쓰기, 갱신, 또는 추기될 수 있다. 출력된 정보 등은 삭제되어도 좋다. 입력된 정보 등은 다른 장치로 송신되어도 좋다.
정보의 통지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형태/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수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의 통지는,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정보(MIB(Master Information Block), SIB(System Information Block))), 그 외의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시되어도 좋다. 또, RRC 시그널링은, RRC 메시지라 불려도 좋고, 예를 들면, RRC 접속 셋업(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 등이어도 좋다.
판정은, 1 비트로 표현되는 값(0인지 1인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진위 값(Boolean: true 또는 false)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수치의 비교(예를 들면, 소정의 값과의 비교)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라 불리든, 다른 명칭으로 불리든 상관없이, 명령, 명령 세트, 코드, 코드 세그먼트,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서브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모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패키지, 루틴, 서브 루틴, 오브젝트, 실행 가능 파일, 실행 스레드, 수순, 기능 등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 소프트웨어, 명령 등은, 전송 매체를 통해 송수신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및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등의 유선 기술 및/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 등의 무선 기술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리모트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이들의 유선 기술 및/또는 무선 기술은, 전송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정보, 신호 등은, 다양한 다른 기술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 전체에 걸쳐 언급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벌, 칩 등은, 전압, 전류, 전자파, 자계 혹은 자성 입자, 빛의 장 혹은 광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되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용어 및/또는 본 명세서의 이해에 필요한 용어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용어와 치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채널 및/또는 심벌은 신호(시그널)여도 좋다. 또, 신호는 메시지여도 좋다. 또, 컴포넌트 캐리어(CC)는, 캐리어 주파수, 셀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정보, 파라미터 등은, 절대값으로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소정의 값으로부터의 상대값으로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대응되는 다른 정보로 나타내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는 인덱스로 지시되어도 좋다.
상술한 파라미터에 사용하는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이들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수식 등은,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개시한 수식 등과 다른 경우도 있다. 다양한 채널(예를 들면, PUCCH, PDCCH 등) 및 정보 요소(예를 들면, TPC 등)는, 모든 바람직한 명칭에 의해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다양한 채널 및 정보 요소에 할당하고 있는 다양한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판단(determining)', '결정(determining)'이라는 용어는, 다종다양한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판단', '결정'은, 예를 들면, 계산(calculating), 산출(computing), 처리(processing), 도출(deriving), 조사(investigating), 탐색(looking up)(예를 들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탐색), 확인(ascertaining)한 것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판단', '결정'은, 수신(receiving)(예를 들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송신(transmitting)(예를 들면, 정보를 송신하는 것), 입력(input), 출력(output), 액세스(accessing)(예를 들면, 메모리 안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한 것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판단', '결정'은, 해결(resolving), 선택(selecting), 선정(choosing), 확립(establishing), 비교(comparing) 등을 한 것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판단' '결정'은, 어떠한 동작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각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에만 기초하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에만 기초하여'와 '에 적어도 기초하여'의 양방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제1', '제2' 등의 호칭을 사용한 요소에 대한 어떠한 참조도, 그들의 요소의 양 또는 순서를 전반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들의 호칭은, 2개 이상의 요소 간을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요소에 대한 참조는, 2개의 요소만이 거기에서 채용될 수 있는 것 또는 어떠한 형태로 제1 요소가 제2 요소에 선행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포함하는(include)', 포함하고 있는(including)' 및 이들의 변형이, 본 명세서 혹은 청구범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 이들 용어는, 용어 '구비하는(comprising)'과 마찬가지로, 포괄적인 것이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 혹은 청구범위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또는(or)'는, 배타적 논리합이 아닌 것이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의 처리 수순, 시퀀스, 흐름도 등은, 모순이 없는 한, 순서를 바꿔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에 대해서는, 예시적인 순서로 다양한 단계의 요소를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된 특정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으며,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실행에 따라 전환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 소정의 정보의 통지(예를 들면, 'X인 것'의 통지)는, 명시적인 통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묵적(예를 들면, 해당 소정의 정보의 통지를 수행하지 않음으로써)으로 수행되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안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기재로 인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지 않는다.
본 국제출원은 2018년 1월 25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18-010498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2018-010498호의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00 기지국
110 송신부
120 수신부
130 설정 정보 관리부
140 랜덤 액세스 제어부
200 유저장치
210 송신부
220 수신부
230 설정 정보 관리부
240 리소스 선택부
250 랜덤 액세스 제어부

Claims (5)

  1. 기지국으로부터의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검출하는 수신부;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이 송신 가능한 기간인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의 주기와, 프리앰블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의 주기와,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동기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된 주기로, 맵핑 룰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송신을 위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 중에서, 상기 검출된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따라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를 선택하는 제어부;
    상기 선택된 리소스에 있어서 프리앰블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 유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 룰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로부터 맵핑을 수행한 후에, 상기 프리앰블 송신을 위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 중에서, 맵핑되어 있지 않은 리소스는, 프리앰블의 송신에 이용되지 않거나,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에 있어서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이 송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리앰블 송신을 위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 중에서, 해당 송신되지 않은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대응되는 리소스는, 프리앰블의 송신에 이용되지 않는, 유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 룰에 기초하는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로부터 리소스로의 맵핑의 주기가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의 2 배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맵핑의 주기 내에 있어서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로부터 리소스로의 맵핑을 복수회 반복하는, 유저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송신을 위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가 동일한 시간 내에 있어서 주파수 다중되어 있으며,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제1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로부터 맵핑된 리소스의 제1 시간 내에,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제2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로부터의 맵핑에 필요한 리소스가 남아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과는 다른 제2 시간에 있어서, 상기 제2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로부터 맵핑되는 리소스를 선택하는, 유저장치.
  5.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프리앰블 송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의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이 송신 가능한 기간인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의 주기와, 프리앰블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의 주기와,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의 동기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맵핑이 완료 가능한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된 주기로, 맵핑 룰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송신을 위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 중에서, 상기 검출된 동기 신호 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따라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리소스에 있어서 프리앰블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갖는 프리앰블 송신 방법.
KR1020207019761A 2018-01-25 2019-01-22 유저장치 및 프리앰블 송신 방법 KR102388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10498 2018-01-25
JP2018010498 2018-01-25
PCT/JP2019/001800 WO2019146574A1 (ja) 2018-01-25 2019-01-22 ユーザ装置及びプリアンブル送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742A true KR20200110742A (ko) 2020-09-25
KR102388787B1 KR102388787B1 (ko) 2022-04-20

Family

ID=6739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761A KR102388787B1 (ko) 2018-01-25 2019-01-22 유저장치 및 프리앰블 송신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277870B2 (ko)
EP (1) EP3745804A4 (ko)
JP (1) JP7084947B2 (ko)
KR (1) KR102388787B1 (ko)
CN (1) CN111602460B (ko)
BR (1) BR112020014532A2 (ko)
CO (1) CO2020010264A2 (ko)
RU (1) RU2754024C1 (ko)
WO (1) WO20191465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90970A1 (en) * 2021-09-17 2023-03-23 Nokia Technologies Oy Physical broadcast channel to support reduced capability user equipment bandwidth reduction
CN117014969A (zh) * 2022-04-29 2023-11-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的控制方法、装置及通信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5238A2 (en) * 2015-08-26 2017-03-02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and synchronization techniques for narrowband wireless communications
US20170290042A1 (en) * 2016-04-05 2017-10-05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request transmission to request resources for a buffer status repor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4141A1 (en) * 2008-08-06 2010-02-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random access procedure in wireless networks
US8582527B2 (en) * 2011-07-01 2013-11-12 Ofinno Technologies, Llc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 multicarrier systems
EP2901640A2 (en) * 2012-09-26 2015-08-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operation in long-term evolution (lte) systems
EP3462648B1 (en) * 2013-11-27 2020-05-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methods therein, for sending and detecting, respectively, synchronization signal and an associated information
EP3232728B1 (en) * 2014-12-08 2020-04-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performing same
US10341078B2 (en) * 2015-01-30 2019-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system information block, physical broadcast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70201340A1 (en) * 2016-01-08 2017-07-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channel and apparatus therefor
WO2018008918A1 (ko) 2016-07-02 2018-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CN106507439B (zh) * 2016-10-28 2019-12-1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传输信息的方法、基站及终端
WO2019138522A1 (ja) 2018-01-11 2019-07-18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プリアンブル送信方法
CN108768583A (zh) * 2018-03-30 2018-11-06 重庆邮电大学 一种基于lte-a的数据源模拟平台
US11234134B2 (en) * 2018-11-21 2022-01-25 Qualcomm Incorporated Initial network access for licensed supplemental downlink paired with unlicensed primary component carrier
US11632804B2 (en) * 2019-12-09 2023-04-18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cell random access chan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5238A2 (en) * 2015-08-26 2017-03-02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and synchronization techniques for narrowband wireless communications
US20170290042A1 (en) * 2016-04-05 2017-10-05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request transmission to request resources for a buffer status report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800594* *
3GPP R1-1800851* *
3GPP TS 36.211 V14.2.0(2017-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146574A1 (ja) 2021-01-14
KR102388787B1 (ko) 2022-04-20
CO2020010264A2 (es) 2020-12-10
US11277870B2 (en) 2022-03-15
EP3745804A1 (en) 2020-12-02
CN111602460A (zh) 2020-08-28
US20210378016A1 (en) 2021-12-02
JP7084947B2 (ja) 2022-06-15
EP3745804A4 (en) 2021-11-17
BR112020014532A2 (pt) 2020-12-08
RU2754024C1 (ru) 2021-08-25
WO2019146574A1 (ja) 2019-08-01
CN111602460B (zh) 202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2276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210378022A1 (en) User equipment apparatus, base station, and random access method
JP6734406B2 (ja) 端末及び基地局
JP7068345B2 (ja) 端末、プリアンブル送信方法、基地局及び通信システム
JP6761542B2 (ja) 端末、プリアンブル送信方法及び基地局
US11297653B2 (en) User equipment and preamble transmission method
JP6864091B2 (ja) 端末、プリアンブル送信方法及び基地局
KR20200128107A (ko) 유저장치
KR102388787B1 (ko) 유저장치 및 프리앰블 송신 방법
KR102411076B1 (ko) 기지국 및 유저장치
JPWO2019203093A1 (ja) ユーザ装置
WO2021005759A1 (ja) 端末及び通信方法
KR20200015946A (ko) 유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