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535A - 담수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담수화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10535A KR20200110535A KR1020190029143A KR20190029143A KR20200110535A KR 20200110535 A KR20200110535 A KR 20200110535A KR 1020190029143 A KR1020190029143 A KR 1020190029143A KR 20190029143 A KR20190029143 A KR 20190029143A KR 20200110535 A KR20200110535 A KR 202001105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salination
- process unit
- electrode
- organic matter
- react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612 desal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11033 desal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6479 redox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9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ZOXJGFHDIHLPTG-UHFFFAOYSA-N Boron Chemical compound [B] ZOXJGFHDIHLPT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96 bo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KJTLSVCANCCWHF-UHFFFAOYSA-N Ruthenium Chemical compound [Ru] KJTLSVCANCCWH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HTXDPTMKBJXEOW-UHFFFAOYSA-N dioxoiridium Chemical compound O=[Ir]=O HTXDPTMKBJXEO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21389 graphe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07 ruthe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6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8
- QWPPOHNGKGFGJK-UHFFFAOYSA-N hypochlorous acid Chemical compound ClO QWPPOHNGKGFGJ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QGZKDVFQNNGYKY-UHFFFAOYSA-O Ammonium Chemical compound [NH4+] QGZKDVFQNNGYKY-UHFFFAOYSA-O 0.000 description 1
- QDHHCQZDFGDHMP-UHFFFAOYSA-N Chloramine Chemical compound ClN QDHHCQZDFGDH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0599 Co 3 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IOVCWXUNBOPUCH-UHFFFAOYSA-M Nitrite anion Chemical compound [O-]N=O IOVCWXUNBOPU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63 ad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agglomer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7 cataly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1700 light absor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22 reduc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29 spin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96 spin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for desalination of seawater or brackish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1—Capacitive deionis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or 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시스템은, 유입수가 유입되는 반응기; 반응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산화환원반응을 일으켜 유입수에서 유기물을 제거하는 유기물제거공정부; 반응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온흡착반응을 통해 유입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탈염공정부; 복수의 제1태양광전지를 구비하여 태양광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유기물제거공정부에 연결되어, 제1전압과 제1전류를 유기물제거공정부로 직접 출력하는 제1태양광발전부; 및 복수의 제2태양광전지를 구비하여 태양광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탈염공정부에 연결되어, 제1전압보다 높은 제2전압과, 제1전류보다 낮은 제2전류를 탈염공정부로 직접 출력하는 제2태양광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담수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전기화학적 공정으로 유입수에서 유기물과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여, 화학약품 사용없이 유입수를 담수화처리할 수 있는 담수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서, 산간, 사막, 및 상수관망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지속적인 담수의 생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친환경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신재생 에너지와 연계한 독립형 담수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현재 주로 이용되고 있는 담수화 시스템은 화학약품을 이용하거나 전기에너지를 펌프의 구동에 적용하므로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높은 에너지 손실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를 보이고 있다.
현재 수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활성탄 등을 이용한 흡착제거, 응집, 펜톤 등의 화학적 산화처리,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근본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데, 활성탄과 같은 흡착제를 이용하는 흡착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완전한 오염물질의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또한 흡착된 오염물질의 제거를 위한 또 다른 2차 처리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화학적 산화처리에 있어서도 일반적으로 유기물질의 완전한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다량의 침전 슬러지가 발생되는 등 2차 오염 유발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서, 산간, 사막, 및 상수관망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 태양광발전으로 유기물제거공정에 소비되는 전력과, 탈염공정에 소비되는 전력을 별도로 생산하여, 전기화학적 공정으로 유입수에서 유기물과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여, 화학약품 사용없이 유입수를 담수화처리할 수 있는 담수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반응기에서 유기물제거공정과, 탈염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있는 담수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시스템은, 유입수가 유입되는 반응기; 반응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산화환원반응을 일으켜 유입수에서 유기물을 제거하는 유기물제거공정부; 반응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온흡착반응을 통해 유입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탈염공정부; 복수의 제1태양광전지를 구비하여 태양광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유기물제거공정부에 연결되어, 제1전압과 제1전류를 유기물제거공정부로 직접 출력하는 제1태양광발전부; 및 복수의 제2태양광전지를 구비하여 태양광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탈염공정부에 연결되어, 제1전압보다 높은 제2전압과, 제1전류보다 낮은 제2전류를 탈염공정부로 직접 출력하는 제2태양광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기물제거공정부는 상호 간에 상하로 이격되되 유입수가 낙하되면서 지그재그로 유동가능하게 반응기에 설치된 복수의 유기물제거전극을 포함하고, 유입수가 복수의 유기물제거전극을 통과할 때, 유기물제거공정부는 전기분해를 통해 유입수에서 유기물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탈염공정부는 유기물제거공정부의 하부에서, 상호 간에 상하로 이격되어 유입수가 낙하되면서 지그재그로 유동가능하게 반응기에 설치된 복수의 탈염전극을 포함하고, 유입수가 복수의 탈염전극을 통과할 때, 탈염공정부는 유입수 내의 이온성 물질이 복수의 탈염전극에 흡착되는 이온흡착반응을 통해 유입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유기물제거공정부는 반응기의 내부에서 상호 간에 이격배치된 제1유기물제거전극과 제2유기물제거전극을 포함하고, 탈염공정부는 제1유기물제거전극과 제2유기물제거전극 사이에서, 유입수가 낙하되면서 지그재그로 유동가능하게 반응기에 설치된 복수의 탈염전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반응기는 반응기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된 제1격벽에 의해, 내부공간이 유기무제거공정부가 설치된 제1공간과, 탈염공정부가 설치된 제2공간으로 구획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유기물제거공정부는 제1공간에서 서로 마주보게 이격배치된 제1유기물제거전극과 제2유기물제거전극을 포함하고, 탈염공정부는 제2공간에서, 상호 간에 상하로 이격되어 유입수가 낙하되면서 지그재그로 유동가능하게 반응기에 설치된 복수의 탈염전극을 포함하고, 유입수는 제1공간에서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유기물이 제거된 후, 제1격벽을 월류하여 제1공간에서 제2공간으로 유동하여, 제2공간에서 이온흡착반응을 통해 이온성 물질이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유입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어, 이물질이 제거된 유입수가 유기물제거공정부 및 탈염공정부로 낙하되게 반응기에 설치된 여과막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물제거전극은 전기전도도가 높은 전극으로, BDD(boron doped diamond)전극, 루테늄(RuO2)전극, 산화이리듐(IrO2)전극, 백금(Pt)전극 또는 DSA(dimensionally stable anode) 전극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탈염전극은 탄소계열의 다공성 전극으로, 탄소 나노 튜브, N도핑 그래핀, 환원 그래핀, 또는 셀룰로오스 기반 탄소 와이어로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물제거전극과 탈염전극은, BDD(boron doped diamond) 전극, 이성분계의 금속 산화물 기반의 촉매 전극, 또는 삼성분계의 금속 산화물 기반의 촉매 전극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태양광전지는 실리콘 태양광전지이고, 제2태양광전지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광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화학약품 사용없이, 전기화학적 공정으로, 산화환원반응을 일으켜 유입수에서 유기물을 제거하는 유기물제거공정과, 이온흡착반응을 일으켜 유입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탈염공정을 통해 유입수를 친환경적으로 담수화처리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 전원없이도, 태양광발전을 통해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고, 생산된 에너지를 유기물제거공정부 및 탈염공정부의 구동원으로 사용하여, 도서, 산간, 사막, 및 상수관망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도 지속적으로 담수를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종의 태양광전지(예컨대, 제1태양광전지, 제2태양광전지)에 의한 태양광 발전으로, 유기물제거전극으로 전류세기가 큰 제1전류를 인가하고, 탈염전극으로 전류세기가 낮은 제2전류를 인가하여, 컨트롤러의 사용없이도 각 공정에 부합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기가 에너지 변환과정의 손실 없이 곧바로, 유기물제거공정부와 탈염공정부의 구동원으로 이용되어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유기물제거공정과 탈염공정을 한 개의 반응기에서 동시에 수행하여, 시스템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시스템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시스템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시스템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시스템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시스템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시스템(100)은, 반응기(110), 여과막(120), 유기물제거공정부(130), 탈염공정부(140), 제1태양광발전부(170) 및 제2태양광발전부(180)를 포함한다.
반응기(110)는 유입수를 담수화처리하는 용기이다. 반응기(110)의 상부에는 유입구(111)가 마련된다. 반응기(110)의 하부에는 배출구(112)가 마련된다. 유입수는 유입구(111)로 유입되고, 반응기(110)에서 유기물제거공정부(130)와 탈염공정부(140)를 거치면서 담수화된다. 담수화된 생산수는 배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구(112)에는 수도꼭지와 같은 개폐밸브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다.
반응기(110)에는 여과막(120), 유기물제거공정부(130)와 탈염공정부(140)가 설치된다.
여과막(120)은 반응기(110)의 내부공간을 상하부로 구획하게, 반응기(110)에 설치된다. 여과막(120)은 유입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여과막(120)으로는 MF/UF 멤브레인이 해당될 수 있다. 유입수는 유입구(111)를 통해 반응기(110)로 유입되어, 여과막(120)을 통과하여 낙하된다.
유기물제거공정부(130)는 여과막(120)의 하부에서 반응기(110)에 설치된다. 유기물제거공정부(130)는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유입수에서 유기물을 제거한다.
유기물제거공정부(130)는 복수의 유기물제거전극(131, 132)을 포함한다.
복수의 유기물제거전극(131, 132)은 상하로 이격되되 유입수가 지그재그로 유동가능하게 반응기에 설치된다. 이때, 복수의 유기물제거전극(131, 132)은 음극(131)과 양극(132)이 교차 배열된다.
유기물제거전극(131, 132)은 전기전도도가 높은 전극으로, BDD(boron doped diamond)전극, 루테늄(RuO2)전극, 산화이리듐(IrO2)전극, 백금(Pt)전극 또는 DSA(dimensionally stable anode) 전극 중 어느 하나이다.
복수의 유기물제거전극(131, 132)은 제1태양광발전부(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유기물제거전극(131, 132)에는 제1태양발광부에서 출력된 제1전류가 인가된다. 제1전류는 유입수를 전기분해시킬 수 있는 범위 내의 전류세기를 가진다.
유입수가 복수의 유기물제거전극을 따라 지그재그로 낙하되면서 유동할 때, 유기물제거공정부(130)는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유입수에서 유기물을 제거한다.
일 예로, 유기물제거전극(131, 132)으로 DSA전극이 사용될 때, 유기물제거공정부(130)는 제1전류인가시, HOCl 라디칼을 생성하여,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유입수에서 유기물인 암모니아 폐수나 페놀을 제거한다. 특정전해질인 NaCl은 유입수에 함유된 것이다.
유기물제거공정부(130)는 NaCl을 특정전해질로 하여, 2시간 동안에, 4000ppm의 암모니아를 100% 분해할 수 있다. 그리고, 유기물제거공정부(130)는 NaCl을 특정전해질로 하여 300 mA/cm2의 전류밀도에서, 2시간 동안에, 10nM의 페놀(phenol)의 10%를 분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유기물제거전극(131, 132)으로 BDD전극이 사용될 때, 유기물제거공정부(130)는 제1전류인가시, OH 라디칼, 황산염(sulfate) 라디칼, HOCl 라디칼을 생성하여,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유입수에서 유기물인 10nM의 페놀(phenol)과 암모니아를 30분동안에 100% 분해할 수 있다.
유기물제거전극으로 DSA 전극과 BDD 전극이 사용된 경우, 유기물제거공정부(130)는 300 mA/cm2의 전류밀도에서 운영되며 전해질의 농도와 유기물의 농도에 따라 300 mA/cm2 보다 낮은 전류밀도에서 운전이 가능하다.
유기물제거공정부(130)에서, 암모니아(NH3)는 식(1) 내지 식(3) 중 어느 하나의 어느 하나의 화학식에 의해 유입수에서 제거된다. 식(1) 내지 식(3)에서, OH 라디칼은 유기물제거전극으로의 제1전류인가시 생성된다.
NH3 +3OH-→ 0.5N2 + 3H2O +3e- ..............................식(1)
NH3 +7OH-→ NO2 - + 4H2O +6e-................................식(2)
NH3 +9OH-→ NO3 - + 6H2O +8e-................................식(3)
유기물제거공정부(130)에서, 암모늄(NH4 +)은 식(4) 내지 식(7) 중 어느 하나의 화학식에 의해 유입수에서 제거된다. 식(4) 내지 식(7)에서, HOCl 라디칼은 유기물제거전극으로의 제1전류인가시 생성된다.
HOCl + (2/3)NH3 → (1/3)N2 + H2O + H+ +Cl........................식(4)
HOCl +(2/3)NH4 + → (1/3)N2 +H2O +(5/3)H+ +Cl-....................식(5)
HOCl +(1/4)NH4 + → (1/4)N2 +(1/4)H2O +(3/2)H+ +Cl-...............식(6)
HOCl +NH4 + → NH2Cl +H2O +H+....................................식(7)
유기물제거공정부(130)에서, 클로라민(NH2Cl)은 식(8)에 의해 유입수에서 제거된다. 식(8)에서, HOCl 라디칼은 유기물제거전극으로의 제1전류인가시 생성된다.
HOCl + NH2Cl → NHCl2 + H2O......................................식(8)
유기물제거공정부(130)에서, 아질산염(NO2 -)은 식(9)에 의해 유입수에서 제거된다. 식(9)에서, HOCl 라디칼은 유기물제거전극으로의 제1전류인가시 생성된다.
HOCl +NO2 - → NO3 +Cl-..........................................식(9)
본 명세서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유기물을 제거하는 화학식을 다 나열하지는 못하였으나,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 내에서, 식(1) 내지 식(9) 이외에도, 전기분해시 발생한 특정 라이칼과 화학반응하여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는 화학식이 적용될 수 있다.
탈염공정부(140)는 복수의 탈염전극(141, 142)을 포함한다. 탈염전극(141, 142)은 탄소계열의 다공성 전극이다. 탈염전극(141, 142)은 탄소 나노 튜브, N도핑 그래핀, 환원 그래핀, 또는 셀룰로오스 기반 탄소 와이어로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다.
탈염공정부(140)는 복수의 탈염전극(141, 142)으로의 제2전류의 인가시 유입수 내의 이온성 물질이 복수의 탈염전극(141, 142)에 흡착되는 이온흡착반응을 통해 유입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한다.
여기서, 제2전류는 유입수를 전기분해시킬 수 없는 범위 내의 전류세기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탈염전극(141, 142)으로 제1전류보다 작은 전류세기인 전류인 제2전류를 인가하는 이유는 탈염공정부(140)에서 전류세기가 큰 제1전류를 인가할 시 이온의 제거에 이용되는 에너지가 오히려 산화/환원에 낭비되는 부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전기분해를 시키지 않는 범위 내의 제2전류를 탈염전극(141, 142)에 인가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탈염공정부(140)는 유기물제거공정부(130)의 하부에 설치된다. 탈염공정부(140)는 복수의 탈염전극(141, 142)을 포함한다. 복수의 탈염전극(141, 142)은 상호 간에 상하로 이격되어 유입수가 지그재그로 낙하되면서 유동되게 반응기에 설치된다. 이때, 복수의 탈염전극(141, 142)은 음극(141)과 양극(142)이 교차 배열된다.
유입수가 유기물제거전극에서 낙하되어 복수의 탈염전극을 따라 지그재그로 유동할 때, 탈염공정부(140)는 이온흡착반응을 통해 유입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한다. 이온흡착반응은 전위차에 의해, 양극의 탈염전극에 음이온이 흡착되고, 음극의 탈염전극에 양이온이 흡착되는 것이다.
추후, 이온흡착에 의해 탈염전극(141, 142)의 성능이 떨어지면, 기존의 양극과 음극을 바꿔, 탈염전극(141, 142)에 저장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여, 탈염전극(141, 142)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탈염공정부(140)는 축전식 탈염(CDI)방식 또는 막-축전식 탈염(MCDI)방식으로 이온흡착반응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축전식 탈염(CDI)방식에서, 탈염공정부(140)는 한 쌍 탈염전극(141, 142)을 운전 시 2 mA/cm2 혹은 1.23V의 전압을 인가하여 이온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탈염공정부(140)는 유입수 및 유기물의 농도에 따라 더 낮은 전류 및 전압 조건(2mA/cm2 혹은 1.23 V 이하)에서 운전이 가능하다. 탈염공정부(140)는 유입수의 TDS(Total dissolved solid)가 4000ppm이하 일 때, 1V의 전압에서 유입수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NaCl) 중 75%의 이온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유기물제거전극(131, 132)과 탈염전극(141, 142)은 동일한 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유기물제전극(131, 132) 및 탈염전극(141,142)으로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의 세기는 상술한 바와 같다.
유기물제거공정부(130)와 탈염공정부(140)에 모두 사용가능한 전극으로는, BDD(boron doped diamond) 전극, 이성분계의 금속 산화물 기반의 촉매 전극, 또는 삼성분계의 금속 산화물 기반의 촉매 전극 중 어느 하나가 해당될 수 있다.
일예로, 삼성분계의 금속 산화물 기반의 촉매 전극은 삼성분계 중 ABOx 구조의 스피넬 또는 AB2O4의 페로브스카이트 종류의 전극이 해당된다.
이성분계의 금속 산화물 기반 촉매는 대표적으로 Co3O4, Fe2O3, NiO, MnO2, MoO3, RuO2 등이 있다. Carbon paper, carbon cloth, Ti 기판 등 전도성 물질 위에 금속 산화물 촉매를 droping 또는 dipping 방법을 이용하여 촉매 전극을 제작할 수 있다.
제1태양광발전부(170)는 유기물제거공정부(130)의 구동원이다. 제1태양광발전부는 유기물제거공정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태양광발전부(170)는 복수의 제1태양광전지(171)를 통해 태양광발전한다. 제1태양광전지(171)는 실리콘 태양광전지이다. 실리콘 태양광전지는 후술할 페로브스카이트 태양광전지보다 광흡수층의 밴드갭이 작아, 태양광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력이 낮은 전압과 높은 전류로 출력한다.
제1태양광발전부는 태양광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력을 유기물제거공정부로 직접적으로 출력한다. 제1태양광발전부는 제1전압과 제1전류를 유기물제거공정부(130)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태양광전지의 출력전압을 제1전압으로 지칭하고, 출력전류를 제1전류로 지칭한다. 제1전압은 후술할 제2전압보다 전압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낮고, 제1전류는 후술할 제2전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세기이다.
제2태양광발전부(180)는 탈염공정부(140)의 구동원이다. 제2태양광발전부(180)는 탈염공정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태양광발전부(180)는 태양광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력을 탈염공정부(140)로 직접 출력한다. 제2태양광발전부(180)는 제2전압 및 제2전류를 탈염공정부(140)로 출력한다.
제2태양광발전부(180)는 복수의 제2태양광전지(181)를 통해 태양광발전한다.
제2태양광전지(181)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광전지이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광전지는 실리콘 태양광전지보다 광흡수층의 밴드갭이 상대적으로 커, 태양광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력이 높은 전압과 낮은 전류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태양광전지의 출력전압을 제2전압으로 지칭하고, 출력전류를 제2전류로 지칭한다. 제2전압은 상술할 제1전압보다 전압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높고, 제2전류는 상술할 제1전류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세기이다.
본 발명은 이종(예컨대, 실리콘, 페로브스카이트)의 태양광전지에 의한 태양광 발전으로, 전류 및 전압의 세기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각 공정에 적합한 전류 및 전압을 유기물제거공정부(130)와 탈염공정부(140)로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기가 에너지 변환과정의 손실 없이 곧바로, 유기물제거공정부(130)와 탈염공정부(140)의 구동원으로 이용되어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의해, 본 발명은 외부 전원없이도, 태양광발전을 통해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고, 생산된 에너지를 유기물제거공정부(130) 및 탈염공정부(140)의 구동원으로 사용하여, 도서, 산간, 사막, 및 상수관망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도 지속적으로 담수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별도의 구동원의 없이도, 유입수가 반응기(110)의 상부로 유입되어 중력에 의해 반응기(110)의 하부로 유동하면서 유기물제거공정부(130) 및 탈염공정부(140)를 지그재그로 통과하여 수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산화환원반응을 일으켜 유입수에서 유기물을 제거하는 유기물제거공정과, 이온흡착반응을 일으켜 유입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탈염공정을 통해 유입수를 담수화처리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학약품 사용없이, 전기화학적 공정으로, 산화환원반응을 일으켜 유입수에서 유기물을 제거하는 유기물제거공정과, 이온흡착반응을 일으켜 유입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탈염공정을 통해 유입수를 담수화처리 할 수 있다.
● 제 2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시스템(200)은 반응기(210), 여과막(220), 유기물제거공정부(230), 탈염공정부(240), 제1태양광발전부(270) 및 제2태양광발전부(2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210), 여과막(220), 제1태양광발전부(270) 및 제2태양광발전부(280)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상이한 구조를 가진, 유기물제거공정부(230)와 탈염공정부(2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유기물제거공정부(230)는 제1유기물제거전극(231)과 제2유기물제거전극(232)을 포함한다. 제1유기물제거전극(231)과 제2유기물제거전극(232)은 제1태양광발전부(2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전류 및 제1전압이 인가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유기물제거전극(231)은 복수의 탈염전극(241, 242)의 일측의 바깥으로 이격배치된다. 제2유기물제거전극(232)은 복수의 탈염전극(241, 242)의 타측의 바깥으로 이격배치되되, 제1유기물제거전극과 나란하게 마주보게 배치된다.
유기물제거공정부(230)는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탈염공정부(24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유입수에서 유기물을 제거한다.
제1유기물제거전극(231)과 제2유기물제거전극(232)은 상술한 제1실시예의 유기물제거전극과 설치위치만 상이하고, 그 재질은 동일한 바,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유기물제거공정부(230)의 운전시, 유입수에서 유기물을 제거하는 산화환원반응 또한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탈염전극(241, 242)은 제1유기물제거전극(231)과 제2유기물제거전극(232) 사이에서, 유입수가 낙하되면서 지그재그로 유동가능하게 반응기에 설치된다.
복수의 탈염전극 중 음극(241)은 제1유기물제거전극(231)에 대해 수직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1유기물제거전극(231)은 음극의 탈염전극(241)과의 접촉면이 절연처리된다.
복수의 탈염전극 중 양극(242)는 제2유기물제거전극(2432)에 대해 수직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2유기물제거전극(232)은 양극의 탈염전극(242)과의 접촉면이 절연처리된다.
유입수가 복수의 탈염전극을 따라 지그재그로 유동할 때, 탈염공정부(240)는 이온흡착반응을 통해 유입수 내의 이온성 물질을 탈염전극에 흡착시켜 유입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한다.
탈염공정부는 제2태양광발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전류 및 제2전압을 인가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탈염전극(241, 242)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유기물제거공정부(230)와 탈염공정부(240)를 개별적으로 운전하여, 한 개의 반응기(210)에서 유기물과 이온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탈염전극과 복수의 유기물제거전극의 설치 구조상,
유기물제거공정부(230)를 먼저 운전하여 유입수에서 유기물을 제거한 후, 탈염공정부(240)를 운전하여 유입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물제거공정부(230)를 먼저 운전하는 이유는, 유기물이 존재하는 경우, 탈염공정부의 운전시 유기물이 탈염전극에 흡착되면서 탈염전극이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효율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 제 3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3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시스템(300)은 반응기(310), 여과막(320), 유기물제거공정부(330), 탈염공정부(340), 제1태양광발전부(370) 및 제2태양광발전부(3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여과막(320), 제1태양광발전부(370) 및 제2태양광발전부(380)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상이한 구조를 가진, 반응기(310), 유기물제거공정부(330)와 탈염공정부(3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반응기(310)는 반응기(310)의 내측과 마주보게 설치된 제1격벽(313)에 의해 유기물제거공정부(330)가 설치되는 제1공간(314)과, 탈염공정부(340)가 설치되는 제2공간(315)으로 구획된다.
본 실시예는 유입수에서 유기물이 제거되는 제1공간(314)과, 유입수가 탈염되는 제2공간(315)으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유기물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 유기물에 의한 탈염전극(341, 342)의 파울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본 실시예는 유입수에서 유기물을 1차적으로 제거한 후, 유기물이 제거된 유입수를 2차적으로 탈염하여, 유입수를 담수화처리하는 것이다.
반응기(310)에는 여과막(320)의 하부에 유입수안내로(325)가 설치된다. 유입수안내로(325)는 여과막(320)을 통과한 유입수를 제1공간(314)으로 안내한다. 유입수안내로(325)는 여과막(320)에서 제1공간(314)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여과막(320)에서 낙하된 유입수는, 별도의 구동원 없이도, 유입수안내로(325)를 따라 제1공간(314)으로 유동한다.
유기물제거공정부(330)는 제1격벽(313)의 길이방향으로, 제1유기물제거전극(331)과 제2유기물제거전극(332)이 나란하게 마주보게 배치된다. 유기물제거공정부(330)는 제1전류인가시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유입수에서 유기물을 제거한다.
제1유기물제거전극(331)과 제2유기물제거전극(332)은 상술한 제1실시예의 유기물제거전극과 설치위치만 상이하고, 그 재질은 동일한 바,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유기물제거공정부(330)의 운전시, 유입수에서 유기물을 제거하는 산화환원반응 또한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입수는 제1격벽(313)을 월류하여 제1공간(314)에서 제2공간(315)으로 유동한다.
제2공간(315)에는 탈염공정부(340)가 설치된다. 탈염공정부(340)는 복수의 탈염전극(341, 342)을 포함한다. 복수의 탈염전극(341, 342)은 상호 간에 상하로 이격되어 유입수가 지그재그로 유동되면서 낙하되게, 제2공간(315)에 설치된다. 탈염공정부(340)는 유입수가 복수의 탈염전극을 따라 유동할 때, 이온흡착반응을 통해 유입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200, 300: 담수화 시스템
110, 210, 310: 반응기
120, 220, 320: 여과막
130, 230, 330: 유기물제거공정부
131, 132, 231, 232, 331, 332: 유기물제거전극
140, 240, 340: 탈염공정부
141, 142, 241, 242, 341, 342: 탈염전극
170, 270, 370: 제1태양광발전부
171, 271, 371: 제1태양광전지
180, 280, 380: 제2태양광발전부
181, 281, 381: 제2태양광전지
110, 210, 310: 반응기
120, 220, 320: 여과막
130, 230, 330: 유기물제거공정부
131, 132, 231, 232, 331, 332: 유기물제거전극
140, 240, 340: 탈염공정부
141, 142, 241, 242, 341, 342: 탈염전극
170, 270, 370: 제1태양광발전부
171, 271, 371: 제1태양광전지
180, 280, 380: 제2태양광발전부
181, 281, 381: 제2태양광전지
Claims (11)
- 유입수가 유입되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산화환원반응을 일으켜 상기 유입수에서 상기 유기물을 제거하는 유기물제거공정부;
상기 반응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온흡착반응을 통해 상기 유입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탈염공정부;
복수의 제1태양광전지를 구비하여 태양광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상기 유기물제거공정부에 연결되어, 제1전압과 제1전류를 상기 유기물제거공정부로 직접 출력하는 제1태양광발전부; 및
복수의 제2태양광전지를 구비하여 태양광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상기 탈염공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전압보다 높은 제2전압과, 상기 제1전류보다 낮은 제2전류를 상기 탈염공정부로 직접 출력하는 제2태양광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제거공정부는 상호 간에 상하로 이격되되 상기 유입수가 낙하되면서 지그재그로 유동가능하게 상기 반응기에 설치된 복수의 유기물제거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수가 상기 복수의 유기물제거전극을 통과할 때, 상기 유기물제거공정부는 상기 전기분해를 통해 상기 유입수에서 상기 유기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탈염공정부는 상기 유기물제거공정부의 하부에서, 상호 간에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유입수가 낙하되면서 지그재그로 유동가능하게 상기 반응기에 설치된 복수의 탈염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수가 상기 복수의 탈염전극을 통과할 때, 상기 탈염공정부는 상기 유입수 내의 이온성 물질이 상기 복수의 탈염전극에 흡착되는 상기 이온흡착반응을 통해 상기 유입수에서 상기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제거공정부는 상기 반응기의 내부에서 상호 간에 이격배치된 제1유기물제거전극과 제2유기물제거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탈염공정부는 상기 제1유기물제거전극과 상기 제2유기물제거전극 사이에서, 상기 유입수가 낙하되면서 지그재그로 유동가능하게 상기 반응기에 설치된 복수의 탈염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상기 반응기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된 제1격벽에 의해, 내부공간이 상기 유기무제거공정부가 설치된 제1공간과, 상기 탈염공정부가 설치된 제2공간으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제거공정부는 상기 제1공간에서 서로 마주보게 이격배치된 제1유기물제거전극과 제2유기물제거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탈염공정부는 상기 제2공간에서, 상호 간에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유입수가 낙하되면서 지그재그로 유동가능하게 상기 반응기에 설치된 복수의 탈염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수는 상기 제1공간에서 상기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상기 유기물이 제거된 후, 상기 제1격벽을 월류하여 상기 제1공간에서 상기 제2공간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2공간에서 상기 이온흡착반응을 통해 상기 이온성 물질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어,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유입수가 상기 상기 유기물제거공정부 및 상기 탈염공정부로 낙하되게 상기 반응기에 설치된 여과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제거전극은 전기전도도가 높은 전극으로, BDD(boron doped diamond)전극, 루테늄(RuO2)전극, 산화이리듐(IrO2)전극, 백금(Pt)전극 또는 DSA(dimensionally stable anode) 전극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염전극은 탄소계열의 다공성 전극으로, 탄소 나노 튜브, N도핑 그래핀, 환원 그래핀, 또는 셀룰로오스 기반 탄소 와이어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제거전극과 상기 탈염전극은,
BDD(boron doped diamond) 전극, 이성분계의 금속 산화물 기반의 촉매 전극, 또는 삼성분계의 금속 산화물 기반의 촉매 전극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태양광전지는 실리콘 태양광전지이고,
상기 제2태양광전지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광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9143A KR20200110535A (ko) | 2019-03-14 | 2019-03-14 | 담수화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9143A KR20200110535A (ko) | 2019-03-14 | 2019-03-14 | 담수화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0535A true KR20200110535A (ko) | 2020-09-24 |
Family
ID=7270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9143A KR20200110535A (ko) | 2019-03-14 | 2019-03-14 | 담수화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1053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40331A1 (en) * | 2020-12-22 | 2022-06-30 | Ionic Water Technologies, LLC | Electrochemical destruction of perfluoro compounds |
US11958763B2 (en) | 2020-06-18 | 2024-04-16 | Ionic Water Technologies, LLC | Regeneratable system for contaminant removal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8187B1 (ko) | 2012-01-05 | 2013-12-09 |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및 이원사이클발전시스템 |
-
2019
- 2019-03-14 KR KR1020190029143A patent/KR2020011053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8187B1 (ko) | 2012-01-05 | 2013-12-09 |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및 이원사이클발전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58763B2 (en) | 2020-06-18 | 2024-04-16 | Ionic Water Technologies, LLC | Regeneratable system for contaminant removal |
WO2022140331A1 (en) * | 2020-12-22 | 2022-06-30 | Ionic Water Technologies, LLC | Electrochemical destruction of perfluoro compound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812708B (zh) | 使用电化学电池有效处理废水 | |
US9440866B2 (en) | Efficient treatment of wastewater using electrochemical cell | |
US5439577A (en) | Electrochemical device for generating hydroxyl free radicals and oxidizing chemical substances dissolved in water | |
US1167999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urification of wastewater | |
KR20150092216A (ko) | 폐수 처리용 전해 전지에서 여과능 부여 방법 | |
JP2012228659A (ja) | 水浄化装置 | |
AU2012267124A1 (en) | Efficient treatment of wastewater using electrochemical cell | |
US11028491B2 (en) | Electrolysis electrode featuring metal-doped nanotube array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ing same | |
AU2017207985B2 (en) | Electrochemical cell for wastewater treatment with increased removal rates of pollutants | |
KR20200110535A (ko) | 담수화 시스템 | |
JP6122978B2 (ja) | 水浄化装置 | |
KR102015064B1 (ko) | 직렬 연결된 이종 red를 포함하는 발전 시스템 | |
KR20070118668A (ko) | 황화수소의 처리방법, 수소의 제조방법 및 광촉매반응장치 | |
CN103435132A (zh) | 一种活性炭纤维处理含油废水及其再生方法和装置 | |
EP4371946A1 (en) | A water treatment process incorporating a split cell electrochemical reactor | |
KR102328131B1 (ko) | 고농도 이온용액을 이용한 수소생산 장치 | |
CN116803917A (zh) | 等离子电解降解污水处理装置及其方法 | |
CN118833909A (en) | Electrochemical treatment device for high-salt organic wastewater | |
KR100654349B1 (ko) |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 장치 | |
GB2367072A (en) | Mineraliser reaction cell for purifying liquids | |
KR20150063306A (ko) | 복극전극 및 이를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