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479A - 흡연 물품용 필터 - Google Patents

흡연 물품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479A
KR20200110479A KR1020207026777A KR20207026777A KR20200110479A KR 20200110479 A KR20200110479 A KR 20200110479A KR 1020207026777 A KR1020207026777 A KR 1020207026777A KR 20207026777 A KR20207026777 A KR 20207026777A KR 20200110479 A KR20200110479 A KR 20200110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ection
filter section
smoking
axia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3017B1 (ko
Inventor
랜스 머칼로
니콜라스 월폴
매튜 나이트
존 리차드슨
산티아고 모랄레스
피터 원
Original Assignee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35890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0011047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17020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343B1/ko
Publication of KR20200110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02Cigars; Cigarettes with additives, e.g. for flavou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8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contain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61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containing additives entrapped within capsules, sponge-like material or the like, for further release upon smo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끽연류용 필터는 필터 재료 및 상기 필터 재료의 축방향 영역에 배치되는 연기 변형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 1 필터 섹션 및 제 1 필터 섹션에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채널을 가지는 제 2 필터 섹션을 가지며 상기 채널은 사용 중 제 1 필터 섹션의 축방향 영역을 통하여 연기를 지향하기 위해 제 2 필터 섹션의 축방향 영역 내에 위치된다. 연기 변형 첨가제는 멘톨과 같은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필터 섹션은 섬유 필터 재료의 관형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 필터 섹션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끽연류용 필터 {A FILTER FOR A SMOKING ARTICLE}
본 발명은 끽연류용 필터 및 필터를 포함하는 끽연류에 관한 것이다.
시가렛 필터(cigarette filter)들과 같은 공지된 끽연류 필터들은 일반적으로 필라멘트형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filamentary cellulose acetate)의 연속형 토우(continuous tow)를 포함한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는 개별 필터 섹션들을 형성하도록 절단되는 봉(rod)을 형성하도록 모아진다. 끽연류 필터는 필터 봉의 하나의 단편(segment)으로 제조될 수 있거나 단편들 사이에 공동 또는 공간들을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다수의 단편들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필터 재료 및 상기 필터 재료의 축방향 영역으로 배치되는 연기 변형 첨가제(smoke modifying additive)를 포함하는, 제 1 필터 섹션 및 상기 제 1 필터 섹션에 연결되는 제 2 필터 섹션을 포함하는 끽연류용 필터가 제공되며, 상기 제 2 필터 섹션은 필터 재료 및 사용 중 그 안에 연기 변형 첨가제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필터 섹션의 축방향 영역을 통하여 연기를 지향시키기 위해 필터 재료의 축방향으로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필터 섹션들은 별개의 필터 섹션들일 수 있으며/있거나 연기 변형 첨가제는 단지 제 1 필터 섹션의 필터 재료의 상기 축방향으로만 배치될 수 있거나 제 1 필터 섹션의 필터 재료의 비-축방향 영역들보다 상기 축방향 영역으로 더 큰 농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은 제 1 필터 섹션의 필터 재료의 다른 영역들보다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과하는 연기에 대해 더 낮은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채널은 제 2 필터 섹션을 통과하는 중공형 통로일 수 있다.
끽연류 내로 포함될 때 제 2 필터 섹션을 상기 제 1 필터 섹션의 바로 하류 또는 상류에 형성하도록, 제 2 필터 섹션이 상기 제 1 필터 섹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필터 섹션들의 필터 재료의 축방향 영역은 1 mm 내지 4 mm의 반경을 가질 수 있고/있거나 끽연류의 축선 상에 중심이 맞추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 섹션은 그의 축방향 영역에 연기 변형 첨가제가 배치되는 연속형 필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필터 섹션은 관형 필터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관형 필터 섹션은 섬유 필터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연기 변형 첨가제는 제 1 필터 섹션의 필터 재료의 비-축방향 영역들에서 보다 상기 축방향 영역에서 더 큰 농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기 변형 첨가제는 단지 제 1 필터 섹션의 필터 재료의 상기 축방향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제 2 필터 섹션은 사용 중 제 1 필터 섹션의 비-축방향 영역들을 통과하는 것보다 제 1 필터 섹션의 축방향 영역을 통하여 더 많은 부분의 연기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기 변형 첨가제는 캡슐화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기 변형 첨가제는 제 1 필터 섹션 내의 길이 방향 중심 위치가 아닌 위치인 제 1 필터 섹션 내에 위치되는 캡슐 내에 담겨 있을 수 있다.
상기 캡슐은 제 1 필터 섹션 내의 길이 방향 중심 위치로부터 1 mm 내지 10 mm의 위치인 제 1 필터 섹션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기 변형 첨가제는 담체 재료(carrier materia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담체 재료는 스레드(threea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제 3 필터 섹션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3 필터 섹션은, 끽연류 내로 포함될 때 상기 제 1 필터 섹션의 상류에 제 3 필터 섹션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필터 섹션에 연결된다. 상기 제 3 필터 섹션은 별개의 필터 섹션일 수 있다. 제 3 필터 섹션은 섬유 필터 재료 및 과립형 흡착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립형 흡착 재료는 제 3 필터 섹션의 원주 영역에 배치될 수 있거나, 제 3 필터 섹션의 필터 재료 내에 분산되거나, 제 3 필터 섹션의 원주 영역 내에 배치되는 몇몇의 과립형 흡착 재료 및 제 3 필터 섹션 내에 분산되는 몇몇의 과립형 흡착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또한 위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필터를 포함하는 끽연류가 제공된다.
제 2 필터 섹션은 상기 제 1 필터 섹션의 바로 하류에 그리고 상기 끽연류의 마우스(mouth)-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재료 및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축방향 영역에 배치되는 에어로졸(aerosol) 변형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 1 섹션, 및 필터를 포함하는 제 2 섹션을 포함하는 끽연류를 추가로 제공하며, 상기 채널은 사용 중 에어로졸 생성 재료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을 제 1 섹션의 축방향 영역을 통하여 지향시키기 위해 필터의 축방향 영역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채널을 갖는다.
상기 제 2 섹션은 관형 필터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형 필터 섹션은 섬유 필터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변형 첨가제는 제 1 섹션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비-축방향 영역들에서보다 상기 축방향 영역에서 더 큰 농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섹션은 사용 중 제 1 섹션의 비-축방향 영역들을 통과하는 것보다 제 1 섹션의 축방향 영역을 통과하여 더 많은 부분의 연기를 지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지금부터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관형 하류 필터 섹션 및 파열성 캡슐(frangible capsule) 형태의 캡슐화된 첨가제를 포함하는 상류 필터 섹션을 구비한 필터를 가지는 끽연류의 개략적인 예시이며;
도 2는 관형 필터 섹션 및 첨가제를 보유하는(carrying) 스레드(thread)를 포함하는 필터 섹션을 구비한 필터를 가지는 끽연류의 개략적인 예시이며;
도 3은 관형 필터 섹션 및 복수의 파열성 캡슐 형태의 캡슐화된 첨가제를 포함하는 필터 섹션을 구비한 필터를 가지는 끽연류의 개략적인 예시이며;
도 4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필터와 유사한 필터를 가지지만 또한 필터 재료 내에 분산된 흡착제를 갖는 추가 필터 섹션을 포함하는 끽연류의 개략적인 예시이며;
도 5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필터와 유사한 필터를 가지지만 또한 필터 재료의 원주 영역 내에 배치되고 필터 재료 내에 분산된 흡착제를 포함하는 추가 필터 섹션을 포함하는 끽연류의 개략적인 예시이며;
도 6은 에어로졸 생성 섹션 및 관형 필터 섹션을 구비한 끽연류의 개략적인 예시이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섹션은 에어로졸 생성 섹션의 축방향 영역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이크로캡슐들 형태로 캡슐화된 첨가제를 가지며;
도 7은 관형 상류 필터 섹션 및 파열성 캡슐 형태의 캡슐화된 첨가제를 포함하는 하류 필터 섹션을 구비한 필터를 가지는 끽연류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용어 "끽연류(smoking article)"는 담배, 담배 파생물들, 확장된 담배, 재구성된 담배 또는 담배 대체물들을 기본으로 하는 시가렛(cigarette)들, 시가(cigar)들 및 시가릴로(cigarillo)들과 같은 끽연 가능한 제품들 및 또한 가열-비연소(heat-not-burn) 제품들 및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다른 니코틴 전달 장치들을 포함한다. 이 같은 끽연류들에는 끽연자에 의해 취입되는 기상 유동을 위한 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시가렛들과 같은 끽연류들 및 끽연류들의 포맷들은 종종 시가렛의 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명명된다: "레귤러(regular)"(전형적으로 68 내지 75 mm, 예를 들면, 약 68 mm 내지 약 72 mm 범위), "쇼트(short)" 또는 "미니(mini)"(68 mm 또는 그 미만), "킹-사이즈(king-size)"(전형적으로 75 내지 91 mm, 예를 들면 약 79 mm 내지 약 88 mm 범위), "롱(long)" 또는 수퍼-킹(super-king)"(전형적으로, 91 내지 105 mm, 예를 들면, 약 94 mm 내지 약 101 mm 범위) 및 "울트라-롱(ultra-long)"(전형적으로 약 110 mm 내지 약 121 mm 범위).
시가렛들과 같은 끽연류들 및 끽연류들의 포맷들은 또한 시가렛 원주에 따라 다음과 같이 명명된다: "레귤러(regular)"(약 23 내지 25 mm), "와이드(wide)"(25 mm 초과), "슬림(slim)"(약 22 내지 23 mm), "데미-슬림(demi-slim)"(약 19 내지 22 mm), "수퍼-슬림(super-slim)"(약 16 내지 19 mm), 및 "마이크로-슬림(micro-slim)"(약 16 mm 미만). 따라서, 킹-사이즈, 수퍼 슬림 포맷의 시가렛은 예를 들면 약 83 mm의 길이 및 약 17 mm의 원주를 가질 것이다. 레귤러, 킹 사이즈 포맷의, 즉 23 내지 25 mm의 원주 및 75 내지 91 mm의 전체 길이를 가지는 시가렛들이 다수의 소비자들에 의해 선호된다.
상이한 길이들의 필터들을 가지는 각각의 포맷이 제조될 수 있으며 더 작은 필터들은 일반적으로 더 작은 길이들 및 원주들의 포맷들에서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필터 길이는 쇼트, 레귤러 포맷들과 관련하여 15 mm로부터 울트라-롱 수퍼-슬림 포맷들과 관련하여 30 mm까지 형성될 것이다. 티핑 페이퍼(tipping paper)는 필터보다 더 긴 길이, 예를 들면 3 내지 10 mm 더 긴 길이를 가질 것이다.
이후 설명되는 끽연류들 및 필터들은 상기 포맷들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끽연류는 예를 들면 길이가 70 내지 100 mm이고 원주가 14 내지 25 mm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상류(upstream)' 및 '하류(downstream)"는 사용 중 끽연류를 통하여 취입되는 주 연기 흐름(mainstream smoke)(또는 다른 에어로졸)의 방향과 관련하여 규정된 상대적인 용어들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형상이 원통형이고 레귤러, 킹 사이즈 포맷, 즉 길이가 75 내지 91 mm 범위이고 원주가 23 내지 25 mm 범위를 가지는 끽연류(1)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끽연류(1)는 티핑 재료(5)에 의해 필터(4)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포장 재료(wrapping material; 3), 본 예에서 시가렛 페이퍼로 포장되는 담배 봉(2)을 포함하며 상기 티핑 재료는 필터(4)를 담배 봉(2)에 연결하도록 상기 필터(4) 위에 놓이고 포장 재료(3) 위에 부분적으로 놓인다. 필터(4)는 필터(4)의 담배 봉 단부에 제 1 섹션(6)을 포함하며 제 1 섹션은 제 1 섹션(6)의 필터 재료의 축방향 영역으로 그 안에 캡슐(8)이 배치되는 흡착 재료(7)를 포함한다. 상기 축방향 영역은 본 예에서 약 3 mm의 반경을 가지는, 끽연류(1)의 축선('a') 상에 중심이 맞추어지는 영역이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축방향 영역의 반경은 어디에서든 1 mm 내지 4 mm, 또는 1 mm 내지 3 mm 범위이거나, 약 1 mm, 1.5 mm, 2 mm, 2.5 mm, 3 mm 또는 3.5 mm일 수 있다. 캡슐(8), 또는 다른 첨가 재료는 제 1 필터 섹션(6)의 제 1 필터의 축방향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거나 제 1 필터 섹션(6)의 필터 재료의 비-축방향 영역보다 축방향 영역에서 더 큰 농도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섹션은 제 1 플러그 랩(plug wrap; 9)으로 포장된다.
필터(4)는 필터(4)의 마우스-단부에 관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필터 재료(11)의 중심을 통하여 연장하는 채널(12)을 가지는 섬유 필터 재료(11)를 포함하는 제 2 섹션(10)을 더 포함한다. 필터 재료(11)의 중심을 통하여 연장하는 비워진 또는 중공형 채널(12)은 직경이 1 mm 내지 6 mm, 예를 들면 직경이 2 mm 내지 5 mm일 수 있다. 필터 재료(11)의 중심을 통하여 연장하는 채널(12)은 본 예에서, 비워진, 중공형 통로이다. 채널은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 2 필터 섹션(10)의 필터 재료의 축방향 영역을 통하여 연장한다. 제 2 필터 섹션(10)의 축방향 영역은 본 예에서 약 2.5 mm의 반경을 가지는, 끽연류(1)의 축선('a') 상에 중심이 맞추어진 영역이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축방향 영역의 반경은 어디에서든 1 mm 내지 4 mm, 또는 1 mm 내지 3 mm 범위이거나, 약 1 mm, 1.5 mm, 2 mm, 2.5 mm, 3 mm 또는 3.5 mm일 수 있다. 본 예에서, 관형 필터 섹션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로 형성되고 제 2 플러그 랩(13)으로 포장된다. 관형 필터의 벽 두께는 약 1.5 mm이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벽 두께는 어디에서든 1 m 내지 4 mm, 또는 1 mm 내지 3 mm 범위이거나, 약 1 mm, 1.5 mm, 2 mm, 2.5 mm, 3 mm 또는 3.5 mm일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치수들이 튜브를 형성하는 필터 재료의 밀도 및 재료에 인가되는 가소제(plasticiser)의 레벨을 기초로 하여 선택될 수 있어, 원하는 강도, 다공도 또는 다른 특성들을 가지는 튜브를 초래한다. 관형 필터 섹션(10)은 존재하는 공정들 및 기계류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 1 단편(6)은 연속형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들 및 가소제를 사용하여 형성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단편이다. 비록 다른 형상들 및 크기들의 캡슐이 사용될 수 있지만, 캡슐(8)은 구형이고 3.5 mm의 직경을 가지며 끽연류(1)를 통과하는 주 연기 흐름의 특성들을 변형시키는 유체 첨가제가 담겨 있다. 상기 캡슐(8)은 존재하는 공정들 및 기계류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제 1 필터 섹션(6)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캡슐(8) 내에 다른 유체들 및 과립 첨가제들이 담겨 질 수 있지만, 캡슐(8)에는 멘톨 향미제(menthol flavourant)가 담겨져 있다. 상기 캡슐은 유체 첨가제를 흡착 필터 재료(11) 내로 방출하기 위해 소비자에 의해 파열될 수 있다.
끽연류(1)의 축선이 도 1에서 'a'로 표시되는데, 이 축선을 중심으로 담배 봉(2) 및 제 1 및 제 2 필터 섹션(6, 10)들이 정렬된다.
본 예에서, 캡슐(8)은 위에서 규정된 바와 같이, 제 1 필터 섹션(6)의 '축방향 영역(axial region)'에 위치된다. 캡슐(8)은 캡슐의 중심이 끽연류(1)의 외주변으로보다 끽연류(1)의 축선('a')으로 더 근접하게 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캡슐(8)은 캡슐의 중심이 실질적으로 축선('a')을 따라 위치된다. 본 예에서, 캡슐(8)은 제 1 필터 섹션(6)의 길이 방향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다. 캡슐(8)은 예를 들면, 제 1 필터 섹션(6) 내에 제 1 필터 섹션(6) 내의 길이 방향 중심 위치로부터 1mm 내지 10 mm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캡슐(8)은 제 1 필터 섹션(6)의 일 부분 내에 제 1 필터 섹션(6)의 하류 단부에 더 근접하게 위치된다. 캡슐(8)은 따라서 담배 봉(2)으로보다 제 2 필터 섹션(10)으로 더 근접한다. 특히, 캡슐(8)의 중심과 제 1 필터 섹션(6)의 하류 단부 사이의 거리('d')는 제 1 필터 섹션(6)의 총 길이 방향 길이의 절반 미만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거리('d')는 제 1 필터 섹션(6)의 총 길이 방향 길이의 40% 미만, 30% 미만 또는 25% 미만이다. 본 예에서, 거리('d')는 제 1 필터 섹션(6)의 총 길이 방향 길이의 대략 30%이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캡슐(8)은 제 1 필터 섹션(6) 내 길이 방향으로 중앙에 또는 하류 단부로보다 제 1 필터 섹션의 상류 단부로 더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끽연류(1)에는 본 예에서, 티핑 재료(5) 및 제 1 플러그 랩(9)을 관통하는 통기 공들(도시안됨)이 제공되어, 제 1 필터 섹션(6) 내로의 통기를 제공한다. 통기 공들이 온라인 레이저 천공에 의해 형성된 경우, 통기 공들은 바람직하게는 제조 동안 캡슐(8)의 손상을 회피하도록, 캡슐(8)이 위치되는 위치 외의 길이 방향 위치에 위치된다. 예를 들면, 20 mm 길이의 제 1 상류 필터 섹션(6) 및 7 mm 길이의 제 2 하류 필터 섹션(10)을 구비한 끽연류에서, 통기는 마우스 단부로부터 20 mm에 제공될 수 있는 반면, 캡슐(8)은 제 1 필터 섹션 내에 길이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되며 그리고 이에 따라 3.5 mm 직경에서 마우스 단부로부터 15.25 mm 내지 18.75 mm로 연장한다.
사용 중, 끽연류(1)의 담배 봉(2)은 종래 방식으로 소비자에 의해 불을 붙이고 담배 연기는 담배 봉(2)의 타고 있는 코올(burning coal)로부터 필터(4)를 통하여 취입된다. 제 2 필터 섹션(10) 내의 채널(12)은 주변 관형 필터 재료(11)보다 필터(4)를 통과하는 주 연기 흐름에 대해 낮은 저항을 가지며, 따라서 더 많은 비율의 주 연기 흐름이 채널(12)을 통하여 지향된다. 이는, 이어서 캡슐(8)이 그 안에 위치되는 제 1 필터 섹션(6)의 축선('a') 둘레의 축방향 영역에서 더 큰 유동의 주 연기 흐름을 초래한다. 소비자가 끽연류(1)의 끽연 전 또는 끽연 도중에 캡슐(8)을 파열시키면, 캡슐 안에 담겨 있는 연기 변형 첨가제(본 경우 멘톨)는 제 1 필터 섹션(6)의 축방향 영역 내로 더 큰 농도로 방출되고 이 축방향 영역을 통하여 증가된 유동의 주 연기 흐름이 결과적으로 제 2 필터 섹션(10)으로 지향된다. 이에 따라, 증가된 유동의 주 연기 흐름은 소비자로의 연기 변형 첨가제의 전달을 향상시키고 끽연류(1)는 이에 따라 종래의 끽연류들에 비해 소비자로의 연기 변형 첨가제의 전달을 향상시킨다.
캡슐(8)이 제 1 필터 섹션(6)의 일 부분 내에서 담배 봉(2)으로보다 제 2 필터 섹션(10)으로 더 근접하게 위치되기 때문에, 방출되면, 캡슐(8)의 내용물들 상의 주 연기 흐름의 증가된 유동이 추가로 향상된다. 끽연류(1)의 마우스 단부에서 관형 제 2 섹션(10)의 사용은 캡슐(8)을 포함하는 제 1 섹션(6)이 끽연류(1)의 마우스 단부에 있는 경우 가능하게 되는 것보다 끽연류(1)의 마우스 단부에 캡슐(8)이 더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튜브가 소비자의 입으로부터 제 1 섹션(6)을 분리하기 때문이며, 이는 캡슐(8)로부터의 내용물이 소비자의 입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가지는 끽연류(21)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끽연류(21)의 특징들은 아래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끽연류(1)의 특징들과 동일하다. 끽연류(21)는 포장 재료(23), 본 예에서 시가렛 페이퍼로 포장되는 담배 봉(22)을 포함하며, 이 담배 봉은 필터(24) 위에 놓이고 포장 재료(23) 위에 부분적으로 놓이는 티핑 재료(25)에 의해 필터(24)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다. 필터(24)는 흡착 재료(27)를 포함하는 필터(24)의 담배 봉 단부에 제 1 섹션(26)을 포함한다. 본 경우에서, 제 1 필터 섹션 내에 캡슐(8)을 배치하기 보다는, 흡착 재료(27)는 제 1 섹션(26)의 축방향 영역(도시 안됨)으로 흡착 재료 안에 배치되는 첨가제 보유 스레드(28)를 가지며, 여기서 제 1 필터 섹션(26)의 축방향 영역은 전술된 끽연류(1)의 제 1 필터 섹션(6)과 관련하여 규정된 바와 같다. 상기 스레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들 또는 코튼(cotton)으로 형성될 수 있고, 멘톨 향미제과 같은 0.1 내지 10 mg의 향미제가 적재될 수 있다. 0.2 내지 2 mg 또는 0.2 내지 1 mg의 향미제 적재 레벨들이 효과적인 것을 알았다. 제 1 섹션(26)은 제 1 플러그 랩(29)으로 포장된다. 스레드(28)는 필터(24)를 통과하는 주 연기 흐름을 변형시킬 수 있는 첨가제, 본 경우 멘톨 향미제를 보유한다.
필터(24)는 필터(24)의 마우스 단부에 관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섬유 필터 재료(31)를 포함하고 전술된 도 1의 필터(4)의 제 2 섹션(10)과 유사한, 필터 재료(31)의 중심을 통하여, 또는 필터 재료의 축방향 영역을 통하여 연장하는 채널(32)을 가지는 제 2 섹션(30)을 더 포함한다. 본 예에서, 관형 필터 섹션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로 형성되고 제 2 플러그 랩(33)으로 포장된다.
제 1 단편(26)은 연속형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 및 가소제를 사용하여 형성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단편이다. 스레드(28)는 존재하는 공정들 및 기계류를 사용하여 필터 섹션(26)의 형성 동안 필터 재료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사용 중, 도 2에 예시된 끽연류(21)는 도 1에 예시된 끽연류(1)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연기 변형 첨가제를 방출하기 위해 캡슐(8)을 파열하지 않고, 소비자가 통상적인 방식으로 끽연류(21)를 단순히 끽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더 큰 유동의 주 연기 흐름이 연기 변형 첨가제를 보유하는 스레드(28)가 내부에 위치되는 제 1 필터 섹션(26)의 축방향 영역을 통하여 결과적으로 제 2 필터 섹션(30)으로 지향된다. 따라서, 끽연류가 끽연되면, 증가된 유동의 주 연기 흐름은 소비자에게 연기 변형 첨가제의 전달을 향상시키고 끽연류(1)는 이에 따라 종래의 끽연류들보다 소비자로의 연기 변형 첨가제의 개선된 전달을 보여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가지는 끽연류(41)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끽연류(41)의 특징들은 아래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끽연류(1)의 특징들과 동일하다. 끽연류(41)는 포장 재료(43), 본 예에서 시가렛 페이퍼로 포장되는 담배 봉(42)을 포함하며, 이 담배 봉은 필터(44) 위에 놓이고 포장 재료(43) 위에 부분적으로 놓이는 티핑 재료(45)에 의해 필터(44)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다. 필터(44)는 흡착 재료(47)를 포함하는 필터(44)의 담배 봉 단부에 제 1 섹션(46)을 포함한다. 본 경우에, 제 1 필터 섹션에 캡슐(8)이 배치되지 않고, 흡착 재료(47)가 이의 축방향 영역으로 그 안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이크로캡슐들을 가지며, 축방향 영역은 전술된 끽연류(1)의 제 1 필터 섹션(6)에 대해 규정된 바와 같다. 제 1 섹션(46)은 제 1 플러그 랩(49)으로 포장된다.
필터(44)는 필터(44)의 마우스-단부에 관형 형상으로 형성된 섬유 필터 재료(51)를 포함하고 도 1의 채널(12)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필터 재료(51)의 중심을 통하여 또는 필터 재료의 축방향 영역을 통하여 연장하는 채널(52)을 가지는 제 2 섹션(50)을 더 포함한다. 본 예에서, 관형 필터 섹션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로 형성되고 제 2 플러그 랩(53)으로 포장된다.
사용 중, 도 3에 예시된 끽연류(41)는 도 1에 예시된 끽연류(1)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연기 변형 첨가제를 방출하도록 단일 캡슐(8)을 파열시키기 보다는, 소비자는 끽연류(41)의 끽연 전 또는 끽연 도중에 복수의 마이크로캡슐(48)들을 파열시킨다. 이렇게 할 때, 주 연기 흐름의 더 큰 유동이 마이크로캡슐들로부터 방출된 연기 변형 첨가제가 내부에 위치되는 제 1 필터 섹션(46)의 축방향 영역을 통하여, 결과적으로 제 2 필터 섹션(50)으로 지향된다. 이에 따라, 끽연류가 끽연될 때, 주 연기 흐름의 증가된 유동이 소비자로의 연기 변형 첨가제의 전달을 향상시키고 끽연류(41)는 이에 따라 종래의 끽연류들보다 소비자로의 연기 변형 첨가제의 개선된 전달을 보여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가지는 끽연류(61)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끽연류(61)의 특징들은 아래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끽연류(1)의 특징들과 동일하다. 끽연류(61)는 포장 재료(63), 본 예에서 시가렛 페이퍼로 포장되는 담배 봉(62)을 포함하며, 이 담배 봉은 필터(64) 위에 놓이고 포장 재료(63) 위에 부분적으로 놓이는 티핑 재료(65)에 의해 필터(64)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다. 필터(64)는 제 1 중심 섹션(66)을 포함하는 3개의 필터 섹션들을 포함하며, 이 제 1 중심 섹션은 그 축방향 영역으로 배치되는 흡착 재료(67) 및 캡슐(68)을 포함하며, 상기 축방향 영역은 전술된 끽연류(1)의 제 1 필터 섹션(6)과 관련하여 규정된 바와 같다. 제 1 섹션(66)은 제 1 플러그 랩(69)으로 포장된다.
제 2 필터 섹션(70)은 3개 부분 필터(64)의 마우스-단부에 배치되고 관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섬유 필터 재료(71)를 포함하고 채널(72)을 가지며 상기 채널은 도 1의 채널(12)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필터 재료(71)의 중심을 통하여 또는 필터 재료의 축방향 영역을 통하여 연장한다. 본 예에서, 관형 필터 섹션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로 형성되고 제 2 플러그 랩(73)으로 포장된다.
제 3 필터 섹션(74)은 3개 부분 필터(64)의 담배-단부에 배치되고 섬유 필터 재료(76) 내에 분산된 흡착 재료(75)의 과립들, 본 경우 활성탄 과립들을 포함한다. 본 예에서, 흡착 재료(75)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로 형성되고 제 3 플러그 랩(77)으로 포장된다. 본 예에서, 비록 다른 양들, 예를 들면 10 mg 내지 80 mg 또는 10 mg 내지 50 mg의 활성탄이 사용될 수 있지만, 40 mg의 활성탄 과립들이 사용된다.
본 예에서, 캡슐(68)은 제 1 필터 섹션(66)의 일 부분 내에서 제 1 필터 섹션의 상류 단부로 또는 담배 봉(62)으로 보다 제 1 필터 섹션(66)의 하류 단부로 또는 제 2 필터 섹션(70)으로 더 근접하게 위치된다. 특히, 캡슐(68)의 중심과 제 1 필터 섹션(66)의 하류 단부 사이의 거리('d')는 제 1 필터 섹션(66)의 총 길이 방향 길이의 대략 30%이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캡슐(68)은 제 1 필터 섹션(66) 내의 길이 방향 중심에 또는 하류 단부로보다 제 1 필터 섹션(66)의 상류 단부로 더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섹션 길이들이 사용될 수 있지만, 제 1 필터 섹션(66)은 본 예에서 10 mm의 길이를 가지며 제 2 필터 섹션(70)은 7 mm의 길이를 가지며 제 3 필터 섹션(74)은 10 mm의 길이를 갖는다. 통기가 제 3 필터 섹션 내로 끽연류(61)의 마우스 단부로부터 22 mm 위치에 제공된다.
사용 중, 도 4에 예시된 끽연류(61)는 도 1에 예시된 끽연류(1)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며, 부가적인 제 3 필터 섹션(74)은 제 1 필터 섹션(66)의 상류의 부가 선택적 연기 여과를 제공하며 따라서 소비자로의 연기 변형 첨가제의 전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가지는 끽연류(81)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끽연류(81)의 특징들은 아래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끽연류(61)의 특징들과 동일하다. 끽연류(81)는 포장 재료(83), 본 예에서 시가렛 페이퍼로 포장되는 담배 봉(82)을 포함하며 이 담배 봉은 필터(84) 위에 놓이고 포장 재료(83) 위에 부분적으로 놓이는 티핑 재료(85)에 의해 필터(84)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다. 필터(84)는 제 1 중심 섹션(86)을 포함하는, 3개의 필터 섹션들을 포함하며 제 1 중심 섹션은 흡착 재료(87)를 포함하며, 캡슐(68)이 아닌, 제 1 중심 섹션의 축방향 영역으로 흡착 재료 안에 배치되는 스레드(88)를 포함하며, 축방향 영역은 전술된 끽연류(1)의 제 1 필터 섹션(6)과 관련하여 규정된 바와 같다. 제 1 섹션(86)은 제 1 플러그 랩(89)으로 포장된다.
제 2 필터 섹션(90)은 3개 부분 필터(84)의 마우스-단부에 배치되고 관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섬유 필터 재료(91)를 포함하고 채널(92)을 가지며 상기 채널은 도 1의 채널(12)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필터 재료(91)의 중심을 통하여 또는 상기 필터 재료의 축방향 영역을 통하여 연장한다. 본 예에서, 관형 필터 섹션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로 형성되고 제 2 플러그 랩(93)으로 포장된다.
제 3 필터 섹션(94)은 3개 부분 필터(84)의 담배-단부에 배치되고 섬유 필터 재료(96) 내에 분산된 흡착 재료(95)의 과립들, 본 경우에서 활성탄 과립들을 포함한다. 제 3 필터 섹션(94)은 또한 제 3 필터 섹션의 원주 영역으로 분산된 흡착 재료(97)의 과립들, 본 경우에 활성탄 과립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대안적인 예들에서, 이들은 생략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섬유 필터 재료(96)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로 형성되고 제 3 필터 섹션(94)은 제 3 플러그 랩(98)으로 포장된다. 제 3 필터 섹션(94)의 원주 영역으로 분산된 흡착 재료(97)의 과립들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립들의 패턴으로 플러그 랩(98)의 내부 표면에 적용되며, 이들 중 4개는 제 3 필터 섹션(94) 둘레에 반경 방향으로 균일하게 이격된다. 필터 섹션을 중심으로 대칭 패턴으로 플러그 랩에 과립형 흡착 재료(97)의 스트립들의 부착은 필터 섹션이 사용된 접착제의 결과로서 기형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반면, 필터 섹션 내에 존재하는 과립형 재료(97)의 양을 최대화한다.
비록 다른 섹션 길이들이 사용될 수 있지만, 제 1 필터 섹션(86)은 본 예에서 10 mm의 길이를 가지며, 제 2 필터 섹션(90)은 7 mm의 길이를 가지며 제 3 필터 섹션(94)은 10 mm의 길이를 갖는다. 통기는 예를 들면, 끽연류(81)의 마우스 단부로부터 13 mm 및 20 mm의 각각의 위치들에서 제 1 및 제 3 필터 섹션들 내로 제공된다.
사용 중, 도 5에 예시된 끽연류(81)는 도 2에 예시된 끽연류(21)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며, 부가적인 제 3 필터 섹션(94)은 제 1 필터 섹션(86)의 상류에 부가 선택적인 연기 여과를 제공하며 따라서 소비자로의 연기 변형 첨가제의 전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끽연류(101)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끽연류(101)는 일반적으로 형상이 원통형이고, 레귤러, 킹 사이즈 포맷이다, 즉 75 내지 91 mm 범위의 길이를 가지며 23 내지 25 mm 범위의 원주를 갖는다. 끽연류(101)는 포장 재료(103), 본 예에서 시가렛 페이퍼로 포장되는 담배 봉(102)을 포함하며, 이 담배 봉은 필터(104) 위에 놓이고 포장 재료(103) 위에 부분적으로 놓이는 티핑 재료(105)에 의해 필터(104)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다. 필터(104)는 흡수 재료(107)를 포함하고 제 1 플러그 랩(108)으로 포장되는 필터(104)의 담배 봉 단부에 제 1 섹션(106)을 포함한다.
필터(4)는 관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섬유 필터 재료(110)를 포함하고 채널(111)을 가지는 필터(104)의 마우스 단부에 제 2 섹션(109)을 더 포함하며, 상기 채널은 도 1의 채널(12)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필터 재료(110)의 중심을 통하여 또는 필터 재료의 축방향 영역을 통하여 연장한다. 본 예에서, 관형 필터 섹션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로 형성되고 제 2 플러그 랩(112)으로 포장된다.
담배 봉(102)은 담배 봉(102)의 필터 단부에 담배 봉의 축방향 영역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마이크로캡슐(113)들을 포함하며, 상기 축방향 영역은 축방향 영역이 담배 봉(102) 내에 위치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된 끽연류(1)의 제 1 필터 섹션(6)과 관련하여 규정된 것과 위치 및 크기가 유사하다.
담배 봉(2) 및 제 1 및 제 2 필터 섹션(46, 50)들이 따라서 배치되는 끽연류(1)의 축선은 도 1에서 'a'로서 표시된다.
사용 중, 도 6에 예시된 끽연류(101)는 도 3에 예시된 끽연류(41)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끽연류(41)의 끽연 전 또는 그 도중에 필터 섹션 내의 복수의 마이크로캡슐(48)을 파열하지 않고, 소비자는 담배 봉(102) 내에 위치되는 복수의 마이크로캡슐(113)을 파열시킨다. 이와 같이 할 때, 더 큰 유동의 주 연기 흐름은 마이크로캡슐들로부터 방출되는 연기 변형 첨가제가 내부에 위치되는 담배 봉(2)의 필터 단부의 축방향 영역을 통하여 결과적으로 제 2 필터 섹션(109)으로 지향된다. 주 연기 흐름의 증가된 유동은 소비자로의 연기 변형 첨가제의 전달을 향상시키고 끽연류(101)는 이에 따라 종래의 끽연류들보다 소비자에게 연기 변형 첨가제의 개선된 전달을 보여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가지는 끽연류(121)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끽연류(121)의 특징들은 아래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끽연류(1)의 특징들과 동일하다. 끽연류(121)는 포장 재료(123), 본 예에서 시가렛 페이퍼로 포장되는 담배 봉(122)을 포함하며, 담배 봉은 필터(124) 위에 놓이고 포장 재료(123) 위에 부분적으로 놓이는 티핑 재료(125)에 의해 필터(124)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다. 필터(124)는 필터의 담배 단부가 아닌, 필터(124)의 마우스 단부에 제 1 섹션(126)을 포함하며 제 1 섹션은 흡착 재료(127) 및 흡착 재료의 축방향 영역에 배치되는 캡슐(128)을 포함하며, 상기 축방향 영역은 전술된 끽연류(1)의 제 1 필터 섹션(6)과 관련하여 규정된 바와 같다. 제 1 섹션(126)은 제 1 플러그 랩(129)으로 포장된다. 캡슐(128)에는 필터(124)를 통과하는 주 연기 흐름을 변형시킬 수 있는 첨가제, 본 경우에 멘톨 향미제가 담겨져 있다.
필터(124)는 필터(124)의 마우스 단부가 아닌 필터(124)의 담배 봉 단부에 제 2 섹션(130)을 더 포함하며 제 2 섹션은 관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채널(132)을 가지는 섬유 필터 재료(131)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132)은 도 1의 필터(4)의 제 2 섹션(10)과 유사하게 필터 재료(131)의 중심을 통하여 또는 필터 재료의 축방향 영역을 통하여 연장한다. 본 예에서, 관형 필터 섹션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로 형성되고 제 2 플러그 랩(133)으로 포장된다.
제 1 단편(126)은 연속형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들 및 가소제를 사용하여 형성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단편이다. 상기 캡슐(128)은 존재하는 공정들 및 기계류를 사용하여 필터 섹션(126)의 형성 동안 필터 재료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캡슐(128)은 제 1 필터 섹션(126)의 일 부분 내에 제 1 필터 섹션(126)의 하류 단부가 아닌 제 1 필터 섹션(126)의 상류 단부에, 또는 제 2 필터 섹션(130)에, 또는 끽연류(121)의 마우스 단부에 더 근접하게 위치된다. 특히, 제 1 필터 섹션(126)의 상류 단부와 캡슐(128)의 중심 사이의 거리('d')는 제 1 필터 섹션(126)의 총 길이 방향 길이의 대략 30%이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캡슐(128)은 제 1 필터 섹션(126) 내에서 길이 방향 중심에 또는 상류 단부보다 제 1 필터 섹션(126)의 하류 단부에 더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비록 예시되지 않았지만, 도 7의 실시예는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 3 필터 섹션(74, 94)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 2 필터 섹션(130)의 상류에 제 3 필터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 중, 도 7에 예시된 끽연류(121)는 도 1에 예시된 끽연류(1)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캡슐(128)이 연기 변형 첨가제를 방출하도록 파열될 때, 더 많은 유동의 주 연기 흐름이 캡슐(128)의 내용물들이 내부로 방출되는 제 1 필터 섹션(126)의 축방향 영역을 통하여 결과적으로 제 2 필터 섹션(130)으로 지향된다. 따라서, 끽연류가 끽연될 때, 증가된 유동의 주 연기 흐름은 소비자로의 연기 변형 첨가제의 전달을 향상시키고 끽연류(121)는 이에 따라 종래의 끽연류들보다 소비자로의 연기 변형 첨가제의 개선된 전달을 보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 같은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비록 제 2 필터 섹션이 섬유 필터 재료의 관형 부분으로서 전술되었지만, 이는 필터 재료 섹션들의 축방향 영역을 통하여 연장하는 저 밀도 영역들을 구비한 필터 재료 섹션들과 같은, 다른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또한, 관형 섹션 또는 축방향 영역 내에서 감소된 밀도를 가지는 다른 섹션이 상기 몇몇 실시예들에서 필터의 마우스 단부에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다중 부분 필터들의 중심 또는 상류 단부, 예를 들면 연기 변형 첨가제가 위치되는 섹션의 상류로서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여전히 본 발명의 효과로부터 이익을 얻는다. 특히, 이 같은 필터 섹션의 존재는 축방향 영역과 일치하게 취입하기 위한 낮은 저항에 의해 주 연기 흐름을 끽연류의 축방향 영역으로 축방향 영역의 상류 및 하류 둘다로 지향시키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전술된 제 1, 제 2 및 (존재하는 경우) 제 3 필터 섹션들은 개별 단편들이다. 비록 전술된 제 1, 제 2 및 (존재하는 경우) 제 3 필터 섹션들이 티핑 재료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되지만, 이 필터 섹션들은 이들의 형태를 따라 그리고 서로 연결되기 전에 개별적으로 분리되고 구별된다. 티핑 재료는 또한 필터 섹션들을 각각의 실시예의 각각의 담배 봉에 연결한다. 설명된 실시예들 중 각각의 대안적인 예들에서, 추가의 플러그 랩은 이들이 티핑 재료를 사용하여 담배 봉들에 연결되기 전에 제 1, 제 2 및 (존재하는 경우) 제 3 개별 필터 섹션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이슈들을 다루고 기술을 진보시키기 위해, 본 개시의 전체는 청구된 발명(들)이 실행될 수 있고 연기 변형 첨가제들의 우수한 전달을 제공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예시로서 도시한다. 본 개시의 이점들 및 특징들은 단지 실시예들의 대표적인 샘플이며, 포괄적이고/이거나 배타적이지 않다. 이들은 단지 이해를 돕고 청구된 특징들을 교시하기 위해 제시된다. 본 개시의 이점들, 실시예들, 예들, 기능들, 특징들, 구조들 및/또는 다른 양태들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개시에 대한 제한들 또는 청구항들의 등가물들에 대한 제한들로서 고려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수정들이 본 개시의 범주 및/또는 사상으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적절하게는 개시된 요소들, 구성요소들, 특징들, 부분들, 단계들, 수단들 등의 다양한 조합들을 포함하고, 이들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본질적으로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본 개시는 현재 청구되지 않지만, 미래에 청구될 수 있는 다른 발명들을 포함한다.

Claims (24)

  1. 끽연류용 필터로서,
    필터 재료 및 상기 필터 재료의 축방향 영역 내에 배치되는 연기 변형 첨가제(smoke modifying additive)를 포함하는 별개의 제 1 필터 섹션; 및
    상기 제 1 필터 섹션에 연결되는 별개의 제 2 필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필터 섹션은 필터 재료 및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은 사용 중 상기 연기 변형 첨가제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필터 섹션의 축방향 영역을 통하여 연기를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필터 재료의 축방향 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연기 변형 첨가제는 상기 제 1 필터 섹션의 필터 재료의 상기 축방향 영역 내에만 배치되거나 상기 제 1 필터 섹션의 제 1 재료의 비-축방향 영역들에서 보다 상기 축방향 영역 내에서 더 큰 농도로 배치되는,
    끽연류용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은 상기 제 1 필터 섹션의 필터 재료의 다른 영역들 보다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과하는 연기에 대한 낮은 저항을 가지는,
    끽연류용 필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제 2 필터 섹션을 통과하는 중공형 통로인,
    끽연류용 필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끽연류 내로 포함될 때 제 2 필터 섹션을 상기 제 1 필터 섹션의 바로 상류 또는 하류에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필터 섹션이 상기 제 1 필터 섹션에 연결되는,
    끽연류용 필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필터 섹션들의 상기 필터 재료의 상기 축방향 영역은 1 mm 내지 4 mm의 반경을 가지며 상기 끽연류의 축선 중앙에 위치되는,
    끽연류용 필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 섹션은 그 축방향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연기 변형 첨가제를 가지는 연속형 필터 재료를 포함하는,
    끽연류용 필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터 섹션은 관형 필터 섹션을 포함하는,
    끽연류용 필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필터 섹션은 섬유 필터 재료로 형성되는,
    끽연류용 필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터 섹션은 사용 중 상기 제 1 필터 섹션의 비-축방향 영역들을 통과하는 것보다 상기 제 1 필터 섹션의 축방향 영역을 통과하여 더 많은 부분의 연기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끽연류용 필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변형 첨가제는 캡슐화된 첨가제를 포함하는,
    끽연류용 필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변형 첨가제는 상기 제 1 필터 섹션 내의 길이 방향 중심 위치가 아닌 위치인 상기 제 1 필터 섹션 내에 위치되는 캡슐 내에 들어 있는,
    끽연류용 필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상기 제 1 필터 섹션 내의 길이 방향 중심 위치로부터 1 mm 내지 10 mm의 위치인 상기 제 1 필터 섹션 내에에 위치되는,
    끽연류용 필터.
  13.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변형 첨가제는 담체 재료(carrier material)상에 배치되는,
    끽연류용 필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 재료는 스레드(thread)를 포함하는,
    끽연류용 필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 섹션에 연결되는 별개의 제 3 필터 섹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필터 섹션은 끽연류 내로 통합될 때 상기 제 1 필터 섹션의 상류에 형성되는,
    끽연류용 필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필터 섹션은 섬유 필터 재료 및 과립형 흡착 재료를 포함하는,
    끽연류용 필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형 흡수 재료는 상기 제 3 필터 섹션의 원주 영역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 3 필터 섹션의 필터 재료 내에 분산되거나, 상기 제 3 필터 섹션의 원주 영역에 배치되는 몇몇의 과립형 흡착 재료 및 상기 제 3 필터 섹션 내에 분산된 몇몇의 과립형 흡착 재료를 포함하는,
    끽연류용 필터.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터를 포함하는,
    끽연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터 섹션은 상기 제 1 필터 섹션의 바로 하류에 그리고 상기 끽연류의 마우스-단부에 배열되는,
    끽연류.
  20. 끽연류로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축방향 영역 내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변형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 1 섹션, 및
    하나 이상의 채널을 가지는 필터를 포함하는 제 2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은 사용 중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을 상기 제 1 섹션의 축방향 영역을 통하여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섹션의 축방향 영역에 위치되는,
    끽연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섹션은 관형 필터 섹션을 포함하는,
    끽연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필터 섹션은 섬유 필터 재료로 형성되는,
    끽연류.
  23.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변형 첨가제는 상기 제 1 섹션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비-축방향 영역들에서보다 상기 축방향 영역에서 더 큰 농도로 배치되는,
    끽연류.
  24. 제 20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섹션은 사용 중 상기 제 1 섹션의 비-축방향 영역들을 통과하는 것보다 상기 제 1 섹션의 축방향 영역을 통과하여 더 많은 부분의 연기를 지향시키는,
    끽연류.
KR1020207026777A 2012-10-31 2013-10-29 흡연 물품 KR102273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20156A KR102454343B1 (ko) 2012-10-31 2013-10-29 흡연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219540.0 2012-10-31
GBGB1219540.0A GB201219540D0 (en) 2012-10-31 2012-10-31 A filter for a smoking article
KR1020197029618A KR102219760B1 (ko) 2012-10-31 2013-10-29 흡연 물품용 필터
PCT/GB2013/052813 WO2014068295A1 (en) 2012-10-31 2013-10-29 A filter for a smoking artic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618A Division KR102219760B1 (ko) 2012-10-31 2013-10-29 흡연 물품용 필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156A Division KR102454343B1 (ko) 2012-10-31 2013-10-29 흡연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479A true KR20200110479A (ko) 2020-09-23
KR102273017B1 KR102273017B1 (ko) 2021-07-02

Family

ID=47358905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156A KR102454343B1 (ko) 2012-10-31 2013-10-29 흡연 물품
KR1020197029618A KR102219760B1 (ko) 2012-10-31 2013-10-29 흡연 물품용 필터
KR1020217023897A KR20210096319A (ko) 2012-10-31 2013-10-29 흡연 물품
KR1020157013289A KR20150076216A (ko) 2012-10-31 2013-10-29 끽연류용 필터
KR1020207026777A KR102273017B1 (ko) 2012-10-31 2013-10-29 흡연 물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156A KR102454343B1 (ko) 2012-10-31 2013-10-29 흡연 물품
KR1020197029618A KR102219760B1 (ko) 2012-10-31 2013-10-29 흡연 물품용 필터
KR1020217023897A KR20210096319A (ko) 2012-10-31 2013-10-29 흡연 물품
KR1020157013289A KR20150076216A (ko) 2012-10-31 2013-10-29 끽연류용 필터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3) US20150296878A1 (ko)
EP (1) EP2914137B1 (ko)
JP (2) JP2014090720A (ko)
KR (5) KR102454343B1 (ko)
CN (2) CN113439872A (ko)
AR (1) AR093294A1 (ko)
AU (1) AU2013340588B2 (ko)
BR (2) BR112015009443B1 (ko)
CA (2) CA2888967C (ko)
CL (1) CL2015001125A1 (ko)
DK (1) DK2914137T3 (ko)
ES (1) ES2712943T3 (ko)
GB (1) GB201219540D0 (ko)
HK (1) HK1208601A1 (ko)
HU (1) HUE041761T2 (ko)
MX (1) MX2015005386A (ko)
MY (1) MY178585A (ko)
PH (1) PH12015500947A1 (ko)
PL (1) PL2914137T3 (ko)
RU (2) RU2635971C2 (ko)
TR (1) TR201903110T4 (ko)
UA (4) UA115998C2 (ko)
WO (1) WO20140682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12216A1 (en) 2010-06-10 2013-05-09 Paul Francis Clarke Tobacco smoke filter
GB201310599D0 (en) * 2013-06-13 2013-07-31 Filtrona Filter Prod Dev Co Tabacco smoke filter
WO2016024206A1 (en) * 2014-08-11 2016-02-18 Philip Morris Products S.A. Moisturized activated carbon for smoking articles
RO201700024U3 (ro) * 2014-12-08 2021-11-29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rticol pentru fumat, secţiune a unui filtru pentru un articol pentru fumat şi procedeu de fabricare a unui articol pentru fumat
TW201635927A (zh) 2015-03-27 2016-10-16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具有嘴端空腔及通氣的吸煙物件
WO2016174141A1 (en) * 2015-04-30 2016-11-03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a detachable freshener delivery element with high resistance to draw
MX2017014528A (es) * 2015-05-22 2018-03-12 Philip Morris Products Sa Articulo generador de aerosol con boquilla con formaciones en la superficie y una porcion de envoltura de boquilla removible.
TW201700019A (zh) 2015-06-30 2017-01-0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具有改良的熄滅性的菸製品
MX2018007733A (es) * 2015-12-30 2018-08-15 Philip Morris Products Sa Articulo generador de aerosol que comprende un elemento de suministro de liquido.
ITUA20161917A1 (it) * 2016-03-24 2017-09-24 Gd Spa Macchina e metodo per la produzione di filtri per sigarette.
GB2549803A (en) * 2016-04-29 2017-11-01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 filter tube for a smoking article
US11058147B1 (en) * 2016-07-29 2021-07-13 Christopher L. Hurley Freezable smoking pipe with integrated reflective particles
KR102297811B1 (ko) * 2017-03-06 2021-09-02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필터 부착 흡연 물품
KR102624351B1 (ko) * 2017-04-03 2024-01-1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인서트 유닛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흡연 물품 마우스피스
CN107259639B (zh) * 2017-07-28 2019-10-01 四川三联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发烟制品以及其制造方法
GB201715924D0 (en) * 2017-09-29 2017-11-15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 filter unit for a smoking article
WO2019068605A1 (en) * 2017-10-02 2019-04-11 Essentra Filter Products Development Co. Pte. Ltd. ARTICLE FILTER FOR SMOKERS
GB201717568D0 (en) * 2017-10-25 2017-12-0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 smoking article or an aerosol generating product
GB201717569D0 (en) * 2017-10-25 2017-12-0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 filter for a smoking article or an aerosol generating product
GB201717567D0 (en) * 2017-10-25 2017-12-0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 filter for a smoking article or an aerosol generating product
AU2018377970B2 (en) * 2017-11-30 2024-03-07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having mouthpiece with upstream cavity
JP6887023B2 (ja) * 2017-12-22 2021-06-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喫煙物品および喫煙物品のフィルター
TWI727128B (zh) * 2017-12-25 2021-05-11 日商日本煙草產業股份有限公司 吸煙物品及吸煙物品的濾嘴
KR101976325B1 (ko) * 2018-07-06 2019-05-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연기 성분 저감 담배 필터, 담배, 그리고 그 제조 방법
GB201817540D0 (en) * 2018-10-29 2018-12-12 Nerudia Ltd Smoking substitute consumable
GB201903272D0 (en) * 2019-03-11 2019-04-24 Nicoventures Trading Ltd An article for use in an aerosol provision system
GB201903282D0 (en) * 2019-03-11 2019-04-24 Nicoventures Trading Ltd An article for use in a non-combustable aerosol provision
WO2020201566A1 (en) 2019-04-04 2020-10-08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a hollow tubular support element
KR102062207B1 (ko) * 2019-08-23 2020-01-0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트리플 케어 담배 냄새 저감 기술이 적용된 흡연 물품
KR102102802B1 (ko) 2019-08-26 2020-04-22 최종철 공사-용역사업에 관한 온라인 공개입찰 토탈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GB201919064D0 (en) * 2019-12-20 2020-02-05 Nicoventures Trading Ltd Article for use in an aerosol provision system
KR102533111B1 (ko) 2020-02-17 2023-05-1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향처리된 튜브필터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220030937A1 (en) * 2020-07-29 2022-02-03 Acetate International Llc Catalyst introduction methods for accelerated deacetylation of cellulose ester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0078A (ja) * 1999-05-27 2003-01-07 レーンツマ シガレッテンファブリーケ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通気フィルタータバコ
JP2008539717A (ja) * 2005-05-03 2008-11-20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圧搾可能香味カプセルを備えたシガレット及びフィルタサブアセンブリ及び製造方法
JP2009509524A (ja) * 2005-09-30 2009-03-12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香味を付けたシガレット
US20110120481A1 (en) * 2009-11-23 2011-05-26 Philip Morris Usa Inc. Novel filter segment including a substrate loaded with a smoke-modifying agent
WO2012132009A1 (ja) * 2011-03-31 2012-10-0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シガレット
US20120255569A1 (en) * 2011-04-08 2012-10-11 Rj Reynolds Tobacco Company Filtered cigarette comprising a tubular element in filter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5582A (en) * 1967-09-11 1970-08-25 Haskett Barry F Smoking tobacco charge incorporating encapsulated vitamin a and mode of introduction
US3860011A (en) 1973-08-27 1975-01-14 Liggett & Myers Inc Hollow filter
JPS6048156B2 (ja) 1982-07-07 1985-10-25 三菱アセテート株式会社 タバコスモ−クフイルタ−
US4715390A (en) * 1985-11-19 1987-12-29 Philip Morris Incorporated Matrix entrapment of flavorings for smoking articles
GB8709173D0 (en) 1987-04-16 1987-05-20 Cigarette Components Ltd Ventilated cigarette filter
US4971078A (en) * 1989-08-15 1990-11-20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Filter for a smoking article containing a flavored hollow fiber
GB9008887D0 (en) 1990-04-20 1990-06-20 Rothmans Benson & Hedges Cigarette smoke filter
JP2920448B2 (ja) 1992-12-04 1999-07-19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デュアル構造たばこフィルター
US6631722B2 (en) * 1993-09-30 2003-10-14 British-American Tobacco Company Limited Tobacco smoke filter elements
GB9325536D0 (en) 1993-12-14 1994-02-16 Rothmans International Ltd Smoking article and filter therefor
JP2826983B2 (ja) 1995-07-20 1998-11-18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デュアル構造フィルター付きたばこ
DE10060234C2 (de) 2000-12-05 2003-06-12 Reemtsma H F & Ph Rauchprodukt mit Hohlmundstück-Tabakfilter
WO2002069745A1 (en) 2001-02-22 2002-09-12 Philip Morris Products, Inc. Cigarette and filter with downstream flavor addition
KR20030009800A (ko) * 2001-07-24 2003-02-05 김진희 담배맛 변경이 가능한 담배
US7115085B2 (en) * 2003-09-12 2006-10-0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ncorporating objects into cigarette filters
US7856990B2 (en) * 2003-09-30 2010-12-28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Filtered cigarette incorporating an adsorbent material
ATE456309T1 (de) * 2003-09-30 2010-02-15 Reynolds Tobacco Co R Filterzigarette mit adsorptionsmaterial
GB0426615D0 (en) 2004-12-03 2005-01-05 Filtrona Suisse Sa Tobacco smoke filter
US7578298B2 (en) * 2005-02-04 2009-08-25 Philip Morris Usa Inc. Flavor capsule for enhanced flavor delivery in cigarettes
US8157918B2 (en) * 2005-09-30 2012-04-17 Philip Morris Usa Inc. Menthol cigarette
US20070074734A1 (en) * 2005-09-30 2007-04-05 Philip Morris Usa Inc. Smokeless cigarette system
EA015068B1 (ru) 2006-03-28 2011-04-29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с ограничителем потока
GB0625818D0 (en) 2006-12-21 2007-02-07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 filter
TW200911141A (en) 2007-03-09 2009-03-16 Philip Morris Prod Super recessed filter cigarette restrictor
EP1972213A1 (en) * 2007-03-21 2008-09-24 Philip Morris Products S.A. Multi-component filter providing improved flavour enhancement
GB0715172D0 (en) * 2007-08-03 2007-09-12 British American Tobacco Co Filter and method for making a filter for a cigarette
EP3299084B1 (en) * 2008-01-25 2019-07-17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Process for manufacturing capsules useful in tobacco products
US8613284B2 (en) * 2008-05-21 2013-12-24 R.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filter comprising a degradable fiber
GB0818810D0 (en) * 2008-10-14 2008-11-19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
US8308623B2 (en) * 2008-10-28 2012-11-1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pparatus for enhancing a filter component of a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method
CN201365518Y (zh) * 2009-03-09 2009-12-23 牡丹江卷烟材料厂有限责任公司 含有生物减害剂的三条彩色香线芯滤棒
GB0911181D0 (en) 2009-06-29 2009-08-12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 filter for a smoking article
GB201004976D0 (en) 2010-03-24 2010-05-12 Filtrona Int Ltd Tobacco smoke filter
KR101409665B1 (ko) * 2010-03-25 2014-06-18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시가렛 필터 및 이것을 이용한 캡슐 필터 시가렛
EP2550877B1 (en) * 2010-03-26 2020-06-17 Japan Tobacco Inc. Cigarette with increased volatile-flavor delivery
JP2011205915A (ja) 2010-03-29 2011-10-20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喫煙品
US8950407B2 (en) 2010-06-30 2015-02-10 R.J. Reynolds Tobacco Company Degradable adhesive compositions for smoking articles
CN202005243U (zh) 2010-12-17 2011-10-12 南通烟滤嘴有限责任公司 三元复合滤嘴
GB201104475D0 (en) 2011-03-16 2011-04-27 Filtrona Filter Prod Dev Co Tobacco smoke filter
GB201110863D0 (en) 2011-06-27 2011-08-10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 filter and insertable filter unit thereof
SI2753197T1 (sl) 2011-09-09 2015-11-30 Philip Morris Products S.A. Kadilski izdelek, ki obsega material, ki dovaja aromo
MX2015001726A (es) 2012-08-06 2015-04-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rticulo para fumar con cavidad de extremo de boca.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0078A (ja) * 1999-05-27 2003-01-07 レーンツマ シガレッテンファブリーケ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通気フィルタータバコ
JP2008539717A (ja) * 2005-05-03 2008-11-20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圧搾可能香味カプセルを備えたシガレット及びフィルタサブアセンブリ及び製造方法
JP2009509524A (ja) * 2005-09-30 2009-03-12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香味を付けたシガレット
US20110120481A1 (en) * 2009-11-23 2011-05-26 Philip Morris Usa Inc. Novel filter segment including a substrate loaded with a smoke-modifying agent
WO2012132009A1 (ja) * 2011-03-31 2012-10-0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シガレット
US20120255569A1 (en) * 2011-04-08 2012-10-11 Rj Reynolds Tobacco Company Filtered cigarette comprising a tubular element in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41761T2 (hu) 2019-05-28
PH12015500947A1 (en) 2015-07-06
UA98841U (en) 2015-05-12
BR122021013385B1 (pt) 2022-02-22
TR201903110T4 (tr) 2019-03-21
PL2914137T3 (pl) 2019-05-31
JP3219297U (ja) 2018-12-13
AU2013340588A1 (en) 2015-05-14
KR20150076216A (ko) 2015-07-06
UA98840U (en) 2015-05-12
RU143582U1 (ru) 2014-07-27
MY178585A (en) 2020-10-16
JP2014090720A (ja) 2014-05-19
CA3116933A1 (en) 2014-05-08
US20210030057A1 (en) 2021-02-04
GB201219540D0 (en) 2012-12-12
KR102219760B1 (ko) 2021-02-23
US20150296878A1 (en) 2015-10-22
BR112015009443A2 (pt) 2017-07-04
KR20210096319A (ko) 2021-08-04
UA97502U (uk) 2015-03-25
CL2015001125A1 (es) 2015-10-02
EP2914137A1 (en) 2015-09-09
RU2015120461A (ru) 2016-12-20
CN104869854A (zh) 2015-08-26
KR20210082568A (ko) 2021-07-05
HK1208601A1 (en) 2016-03-11
UA115998C2 (uk) 2018-01-25
US20210045436A1 (en) 2021-02-18
AU2013340588B2 (en) 2016-01-28
WO2014068295A1 (en) 2014-05-08
AR093294A1 (es) 2015-05-27
KR102454343B1 (ko) 2022-10-12
CA2888967C (en) 2021-06-08
KR102273017B1 (ko) 2021-07-02
KR20190117816A (ko) 2019-10-16
MX2015005386A (es) 2015-07-21
RU2635971C2 (ru) 2017-11-17
CN113439872A (zh) 2021-09-28
CA2888967A1 (en) 2014-05-08
DK2914137T3 (en) 2019-04-01
ES2712943T3 (es) 2019-05-16
EP2914137B1 (en) 2018-12-05
BR112015009443B1 (pt)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30057A1 (en) Filter for a smoking article
NL2018776B1 (en) A Filter Tube for a Smoking Article
US20220142237A1 (en) Filter for a Smoking Article or an Aerosol Generating Product
US20200253270A1 (en) A Smoking Article or an Aerosol Generating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