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216A -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위한 차량,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위한 차량,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216A
KR20200110216A KR1020200030732A KR20200030732A KR20200110216A KR 20200110216 A KR20200110216 A KR 20200110216A KR 1020200030732 A KR1020200030732 A KR 1020200030732A KR 20200030732 A KR20200030732 A KR 20200030732A KR 20200110216 A KR20200110216 A KR 20200110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network component
user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3965B1 (ko
Inventor
기욤 조르노드
다니엘 레이만
스테판 슈미츠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00110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7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위한 차량,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제1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의 제1 사용자 장비(100; 100a) UE를 위한 방법은, 제2 사용자 장비(100; 100b)와의 후속 직접 통신과 관련된 정보를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a)로 송신하는 단계(12)를 포함한다. 제2 UE(100; 100a)는 제2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b)에 할당된다. 방법(20)은 제1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a)로부터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14)를 더 포함한다.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는 제1 또는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 400b)의 네트워크 구성요소이다. 방법(20)은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로부터 제2 UE(100; 100a)와의 통신을 위하여 사용할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16)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위한 차량,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VEHICLE, SYSTEM,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USER EQUIPMENT AND A NETWORK COMPON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위한 차량,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중 운영자 사이드링크 자원 할당(multi operator sidelink resource assignment)의 개념에 대한 것이지만 이에만 관련된 것은 아니다.
디바이스 간(D2D; Device-to-Device), 차량 간(V2V; Vehicle-to-Vehicle) 또는 자동차 간(car-to-car) 통신이라고도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직접 통신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새로운 세대의 발전 하에서의 특징이 되어 왔다. 디바이스 간의 직접 통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지연(latency)의 단축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자원이 적절히 편성된다면, 간섭 조건 또한 개선되고 전반적인 네트워크 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Udit Narayana Kar 등의 2017년 10월 9일자로 온라인으로 이용가능한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간 통신 개요(An overview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cellular networks)” (KIIT 대학교 컴퓨터공학부, 부바네슈와르-751024, 인도, ICT Express 4(2018) 203-208)는 D2D 통신의 개요를 제공하며, 이는 사용자 간의 통신에 대한 초저지연을 보장하여 향후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새로운 모드는 면허(licensed) 또는 비면허(unlicensed) 스펙트럼에서 작동할 수 있다. 위 문헌은 그 사용 시나리오, 아키텍처, 기술적 특징 및 활발한 연구 분야를 포함하는 D2D 통신의 주요 특징을 논의한다.
Apostolos Kousaridas의 “다중 RAT, 다중 링크, 다중 운영자 V2X 통신(Multi-RAT, Multi-Link, Multi-operator V2X Communications)” (화웨이 테크놀로지, 뮌헨 리서치 센터, 독일, 5G V2X Communications - Summer School, 2018년 6월 11-12일)은 다수의 시나리오, 특히 다중 운영자 시나리오에서의 V2V 통신을 고려한 V2X(Vehicle to Anything) 통신에 대한 다양한 개념을 하나하나 설명한다.
차세대 모바일 네트워크(ngmn; next generation mobile networks) 연합은 2018년 6월 17일 V2X 백서 v 1.0을 발간했으며, 이 또한 V2X에 대한 개요뿐만 아니라 기술 평가를 제공한다.
종래의 개념들은 V2V 및 V2X 개념을 고려한다. 다중 운영자 시나리오에서 알려진 개념들은 다수의 운영자 중 하나가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을 담당하는 지리적 영역을 정의하도록 제안한다. 편성되어야 하는 디바이스의 수와 직접 링크의 양에 따라 이러한 지역적 역할 할당에 문제가 많아질 수 있다.
다중 운영자 직접 통신 시나리오에서의 자원 할당을 위한 개선된 개념에 대한 요구가 있다.
실시예는 상이한 운영자들의 네트워크 노드가 서로 통신할 수 있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일단 디바이스가 상이한 운영자의 제어 하에 있는 디바이스와 직접 통신하려는 의사의 신호를 보내면, 다른 운영자의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접촉될 수 있다. 일단 두 개의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통신하면,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이 어떻게 할당되고 편성되는지에 대한 상이한 옵션이 사용 가능하다. 실시예는 자원 할당 및 제어와 관련하여 유연성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제1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제1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를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제2 사용자 장비와의 후속 직접 통신과 관련된 정보를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요소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UE는 제2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 할당된다. 방법은 제1 네트워크 구성요소로부터 편성(coordinating)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는 제1 또는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요소이다. 방법은 제2 UE와의 통신을 위하여 사용할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를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는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역할을 운영자 중 하나에 유연하게 할당할 수 있게 한다.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관련된 정보는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요소인 경우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요소와의 제어 링크를 개설하는 것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제1 UE가 또다른 운영자의 네트워크로의 제어 연결을 개설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는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신된다. 실시예는 제2 운영자로부터의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제1 운영자의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통하여 제1 UE와 통신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방법은 제2 UE를 통하여 제1 및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요소 간의 통신 링크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UE는 효율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상이한 운영자들의 네트워크 구성요소 간의 브리징 또는 터널링 모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데이터 패킷을 제2 UE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UE는 상이한 운영자들의 네트워크 구성요소 간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데이터 패킷을 중계할 수 있다.
실시예는 또한 제1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2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 할당되는 제2 사용자 장비와의 후속 통신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편성(coordinating)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는 제1 및 제2 UE 간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 방법은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제1 UE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는 상이한 운영자들의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통신하거나 운영자 간 직접 통신 링크를 위한 무선 자원의 편성을 협상할 수 있게 한다.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와의 소통/통신은 제1 및 제2 UE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는 UE를 통하여 네트워크 구성요소 간의 제어 링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1 및 제2 UE를 통하여 제1 및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요소 간의 통신 링크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는 UE를 통한 제어 터널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1 및 제2 UE를 통하여 제1 및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요소 간의 제어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이한 운영자들의 임의의 네트워크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가능해질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1 및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백홀(backhaul)을 통하여 제1 및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요소 간 통신 링크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두 개의 네트워크 구성요소 간의 통신 연결은 인터넷을 통하여 구축될 수 있다.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는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마스터 역할(master role)을 담당할 수 있고 다른 네트워크 구성요소는 슬레이브 역할(slave role)을 담당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자원에 대한 제어는 슬레이브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주로 마스터(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로부터의 명령을 따를 수 있도록 마스터/슬레이브 방식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어도 일부 실시예는 운영자의 슬레이브 네트워크 구성요소에 일부 제어를 맡길 수 있다.
실시예는 사용자 장비 또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위한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장치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어 모듈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차량, UE, 네트워크 구성요소 또는 하나 이상의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추가적인 실시예이다.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프로세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하드웨어 구성요소 상에서 실행될 때 상술한 방법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한다. 추가적인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세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하드웨어 구성요소에 의하여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구현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다.
일부 다른 특징 또는 측면은 다음의 장치 또는 방법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제한 없는 실시예를 단지 예로서 사용하여, 그리고 다음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사용자 장비를 위한 방법의 실시예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는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위한 방법의 실시예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은 사용자 장비를 위한 장치,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위한 장치, 사용자 장비, 네트워크 구성요소 및 시스템의 실시예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서의 자원 할당 및 상이한 통신 경로를 도시한다.
이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완전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서, 선, 층 또는 영역의 두께는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선택적인 구성요소는 파선, 쇄선 또는 점선을 사용하여 도시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는 다양한 변형 및 대안적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그 실시예는 도면에 예로서 도시되며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시된 특정한 형태로 제한하려는 의도가 없으며, 이와 반대로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의 모든 변형, 균등물 및 대안을 포함하려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유사한 번호는 도면의 설명 전체에서 유사하거나(like) 비슷한(similar)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또는(or)”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예를 들어, “그렇지 않으면(or else)” 또는 ”대안에서(in the alternative)”), 비배타적 또는(or)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단어는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요소 간의 직접적인 관계 또는 개재 요소(intervening elements)의 존재를 포함하도록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요소가 다른 요소에 “연결된(connected)” 또는 “결합된(coupled)” 것으로 언급될 때, 요소는 다른 요소에 직접 연결 또는 결합되거나 개재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반대로,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또는 “직접 결합된(directly coupled)” 것으로 언급될 때, 개재 요소는 존재하지 않는다. 유사하게, “사이에(between)”, “인접한(adjacent)”과 같은 단어와 이와 유사한 단어들은 유사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만 사용된 것이고 예시적인 실시예를 제한하려 의도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단수형 “하나의(a, an)” 및 “그(the)”는 문맥상 명백히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형 또한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comprise, include)”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의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특징, 정수(integer), 단계, 동작, 요소(element) 또는 구성요소(component)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예시적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용어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의 그들의 의미와 일관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확히 그렇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화되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제1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제1 사용자 장비, UE를 위한 방법(10)의 실시예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방법(10)은 제2 사용자 장비와의 후속 직접 통신과 관련된 정보를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요소로 송신하는 단계(12)를 포함한다. 제2 UE는 제2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 할당된다. 방법은 제1 네트워크 구성요소로부터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14)를 더 포함한다.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는 제1 또는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요소이다. 방법은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로부터 제2 UE와의 통신을 위하여 사용할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16)를 포함한다.
도 2는 제1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위한 방법(20)의 실시예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방법(20)은 제1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2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 할당되는 제2 사용자 장비와의 후속 직접 통신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22)를 포함한다. 방법은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통신(송신, 수신 또는 둘 다)하는 단계(24)를 포함한다.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는 제1 및 제2 UE 간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 방법은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제1 UE로 송신하는 단계(26)를 더 포함한다.
도 3은 사용자 장비(100)를 위한 장치(30), 네트워크 구성요소(200)를 위한 장치(40), 사용자 장비(100),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및 시스템(400)의 실시예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UE(100)를 위한 장치(30)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내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32)를 포함한다. 장치(3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32)에 결합되고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32)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34)을 더 포함한다. 제어 모듈(34)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10)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장치(30)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100)의 실시예를 추가로 도시한다. 이러한 사용자 장비(100)를 포함하는 차량은 또다른 실시예이다. 도 3은 또한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를 위한 장치(4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장치(40)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내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42)를 포함한다. 장치(40)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42)에 결합되고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42)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44)을 더 포함한다. 제어 모듈(44)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20)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32, 42)는, 예를 들어 신호 또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획득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커넥터, 전기 접촉, 핀, 레지스터, 입력 포트, 출력 포트, 도체, 레인 등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 또는 정보를 획득, 수신, 송신 및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수단에 대응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무선 또는 유선일 수 있으며 추가적인 내부 또는 외부 구성요소와 정보를 통신하도록, 즉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32, 42)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내에서 이에 따른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저잡음 증폭기(LNA; Low-Noise Amplifier), 하나 이상의 전력 증폭기(PA; Power-Amplifier), 하나 이상의 듀플렉서, 하나 이상의 다이플렉서, 하나 이상의 필터 또는 필터 회로, 하나 이상의 컨버터, 하나 이상의 믹서, 맞추어 조정된 무선 주파수 구성요소(radio frequency components) 등과 같은 트랜시버(송신기 및/또는 수신기)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32, 42)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혼(horn) 안테나, 쌍극 안테나, 패치 안테나, 섹터 안테나 등과 같은 임의의 송신 및/또는 수신 안테나에 대응할 수 있다. 안테나는 균일 어레이, 선형 어레이, 원형 어레이, 삼각 어레이, 균일 필드 안테나, 필드 어레이, 이들의 조합 등과 같은 정의된 기하학적 설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32, 42)는 기능, 제어 정보, 페이로드 정보, 어플리케이션 요구사항, 트리거 표시, 요청, 메시지, 데이터 패킷, 승인 패킷/메시지 등과 같은 정보의 송신 또는 수신 또는 송신 및 수신 모두의 목적에 알맞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32, 42)는 장치(30, 40)에서 제어 모듈(33, 34)에 결합된다.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34, 44)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디바이스,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맞추어 조정된 소프트웨어로 동작 가능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하드웨어 구성요소와 같은 임의의 프로세싱 수단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 모듈(34, 44)의 설명된 기능은 소프트웨어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그 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하드웨어 구성요소 상에서 실행된다. 이러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컨트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또한 UE(100) 및 네트워크 구성요소(200)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시스템(4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실시예에서, 통신, 즉 송신, 수신 및 양자 모두는 UE(100) 사이에서 직접 및/또는 모바일 트랜시버/차량(100) 및 네트워크 구성요소(200)(인프라스트럭처 또는 모바일 트랜시버, 예를 들어 기지국, 네트워크 서버, 백엔드 서버 등)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 간(D2D) 통신에 의하여 직접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차량(100)의 경우 차량 간(V2V) 또는 자동차 간 통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의 사양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32, 42)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내에서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 기지국 트랜시버와의 무선 통신 및 직접 통신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 자원, 예를 들어 주파수, 시간, 코드 및/또는 공간 자원이 사용된다. 무선 자원의 할당, 즉 어느 자원이 D2D에 사용되고 어느 것이 사용되지 않는지의 결정은 기지국 트랜시버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리고 다음에서 각 구성요소의 무선 자원은 무선 캐리어 상에서 사용 가능한 임의의 무선 자원에 대응할 수 있고 그들은 각각의 캐리어 상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한 단위(granularity)를 사용할 수 있다. 무선 자원은 자원 블록(LTE/LTE-A/비면허 LTE(LTE-U)에서와 같은 자원 블록), 하나 이상의 캐리어, 서브 캐리어, 하나 이상의 무선 프레임, 무선 서브 프레임, 무선 슬롯, 잠재적으로 각각의 확산 지수(spreading factor)를 갖는 하나 이상의 코드 시퀀스, 공간 서브 채널, 공간 프리코딩 벡터,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공간 자원 등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2X가 적어도 V2V, V2-인프라스트럭처(V2I) 등을 포함하는 직접 셀룰러 차량-사물 간 통신(C-V2X; Cellular Vehicle-to-Anything)에서 3GPP 릴리즈 14 이상에 따른 송신은 인프라스트럭처(소위 모드 3)에 의해 관리되거나 UE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3은 또한 사용자 장비(100) 관점에서의 방법(10)의 실시예 및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관점에서의 방법(2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UE는 제2 UE와의 후속 직접 통신과 관련된 정보를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로 송신한다(12). 네트워크 구성요소(200)는 이 정보를 수신하고(22)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또는 제2 운영자의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제2 운영자/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통신한다(24). 결과는 UE(100)로 송신된다(26). UE(100)는 제1 네트워크 구성요소(200)로부터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14). 이어서, UE는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로부터 제2 UE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할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16).
도 4는 일 실시예에서의 자원 할당 및 상이한 통신 경로를 도시한다. 도 4는 제1 UE(100a), 제1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 및 제1 백엔드 또는 코어 네트워크(300a)를 갖는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a)을 도시한다. 도 4는 또한 제2 UE(100b), 제2 네트워크 구성요소(200b) 및 제2 백엔드 또는 코어 네트워크(300b)를 갖는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b)을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UE(100a)는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운영자(400b)로부터의 UE(100b)와 직접 통신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구성요소(100a)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된다. 어느 것이 편성 네트워크 노드가 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 및 200b) 간에 통신이 구축된다. 이 통신을 위하여 실시예에는 몇 가지 옵션이 있으며, 이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편성 네트워크 노드 및 UE(100, 100a, 100b) 간의 통신에 대하여 다수의 변형이 존재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UE(100a)는 제2 UE(100b)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수신하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이러한 신호는 각각의 UE(100a, 100b), 그들의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a, 400b) 및/또는 그들의 서빙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 200b)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에 보고하는 UE(100a)는 따라서 제2 UE(100b),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b) 및/또는 제2 네트워크 구성요소(200b)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운영자들 간에 알려질 수 있고 제2 UE(100b)에 대한 표시는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가 제2 네트워크 구성요소(200b) 및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b)을 파악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0a)는 제1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에 제2 UE(100b)의 주소(예를 들어, IP 주소)를 제공할 수 있다. 주소로부터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a)은 어느 것이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b)인지 구별할 수 있고 요청에 따라, 예를 들어, 나머지 정보는 주소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 400b)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표준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중 하나에 대응할 수 있으며, 여기서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모바일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400, 400a, 400b)은 5세대(5G 또는 뉴 라디오(NR; New Radio))의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 대응할 수 있으며 밀리미터파(mm-Wave)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롱 텀 에볼루션(LTE; Long-Term Evolution), LTE 어드밴스드(LTE-A), 고속 패킷 접속(HSPA; High Speed Packet Access),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또는 UMTS 지상 무선 접속 네트워크(UTRAN; UTM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진화된 UTRAN(e-UTRAN; evolved-UTRAN), 범 유럽 표준 이동통신 체계(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에지(EDGE; Enhanced Data Rated for GSM Evolution) 네트워크, GSM/EDGE 무선 접속 네트워크(GERAN; GSM/EDGE Radio Access Network) 또는 상이한 표준을 갖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시분할 다중 접속(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광대역 CDMA(WCDMA; Wideband-CDMA) 네트워크,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공간 분할 다중 접속(SDMA;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등인, 와이맥스(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IEEE 802.16 또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IEEE 802.11에 대응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예를 들어 다수의 UE의 클러스터 또는 그룹에서의 편성 서비스 제공은 기지국 트랜시버, 중계국 또는 UE와 같은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a, 200b)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 트랜시버는 하나 이상의 능동형 모바일 트랜시버/차량(100, 100a)과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하거나 구성될 수 있고 기지국 트랜시버는 또다른 기지국 트랜시버, 예를 들어 매크로 셀 기지국 트랜시버 또는 소형 셀 기지국 트랜시버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거나 이에 인접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두 개 이상의 모바일 트랜시버/차량(100, 100a, 100b) 및 하나 이상의 기지국 트랜시버(200, 200a, 200b)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 400b)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기지국 트랜시버는 예를 들어 피코(pico-), 메트로(metro-) 또는 펨토(femto) 셀과 같은 매크로 셀 또는 소형 셀을 구축할 수 있다. 모바일 트랜시버 또는 UE는 스마트폰, 휴대폰, 랩탑,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USB(Universal Serial Bus) 스틱, 자동차, 차량 등에 대응할 수 있다. 모바일 트랜시버는 또한 3GPP 용어에 따라 사용자 장비(UE; User Eqiupment) 또는 모바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차량은 예를 들어 자동차, 자전거, 오토바이, 밴, 트럭, 버스, 배, 보트, 비행기, 기차, 트램 등 임의의 이용 가능한 운송 수단에 대응할 수 있다.
기지국 트랜시버는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의 고정(fixed) 또는 스테이셔너리(stationary)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기지국 트랜시버는 원격 무선 헤드, 송신 포인트, 액세스 포인트, 매크로 셀, 소형 셀, 마이크로 셀, 펨토 셀, 메트로 셀 등이거나 이에 대응할 수 있다. 기지국 트랜시버는 무선 신호의 UE 또는 모바일 트랜시버로의 송신을 가능하게 하는 유선 네트워크의 무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신호는, 예를 들어, 3GPP에 따라 표준화된 또는 일반적으로 위에서 열거된 시스템 중 하나 이상에 따르는 무선 신호에 의거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 트랜시버는 노드비(NodeB), 이노드비(eNodeB),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Base Transceiver Station), 액세스 포인트, 원격 무선 헤드, 중계국, 송신 포인트 등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는 원격 유닛 및 중앙 유닛 내에서 더 세분될 수 있다.
모바일 트랜시버/차량(100, 100a, 100b)은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a, 200b), 기지국 트랜시버 또는 셀과 연관될 수 있다. 셀이라는 용어는 기지국 트랜시버, 예를 들어 노드비(NB; NodeB), 이노드비(eNB; eNodeB), 원격 무선 헤드, 송신 포인트 등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서비스의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한다. 기지국 트랜시버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층에서 하나 이상의 셀을 동작시킬 수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 셀은 섹터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섹터는 원격 유닛 또는 기지국 트랜시버 주위의 각 단면(angular section)을 커버하는 특성을 제공하는 섹터 안테나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지국 트랜시버는, 예를 들어, 각각 120°(세 개의 셀의 경우), 60°(여섯 개의 셀의 경우)의 섹터를 커버하는 세 개 또는 여섯 개의 셀을 동작시킬 수 있다. 기지국 트랜시버는 다수의 섹터화된 안테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 셀은 셀을 생성하는 상응하는 기지국 트랜시버를 나타내거나, 마찬가지로, 기지국 트랜시버는 기지국 트랜시버가 생성하는 셀을 나타낼 수 있다.
UE/차량(100, 100a, 100b)은 서로 직접, 즉 임의의 기지국 트랜시버를 수반하지 않고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 간(D2D; Device-to-Device) 통신으로도 지칭된다. D2D의 예는 각각 차량 간 통신(V2V;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자동차 간 통신, 단거리 전용 통신(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이라고도 하는 차량 간 직접 통신이다. 이러한 D2D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은 802.11p, 3GPP 시스템(4G, 5G, NR 및 그 이상)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의 두 개의 UE(100a, 100b)는 그들의 경로의 특정 섹션을 공유하는 두 개의 차량이다. 따라서, 이들은 특정한 메시지, 예를 들어 협동 인식 메시지(CAM; Cooperative Awareness Message) 또는 분산 환경 알림 메시지(DENM; Decentralized Environment Notification Message) 등을 교환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특정한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차량(100a, 100b)이 서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탐지될 수 있다. 어떤 지점에서, 그들은 예를 들어 클러스터 또는 소집단(platoon)을 형성하기 위하여 또는 임의의 다른 목적으로 서로와 직접 통신하고자 한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b)의 제2 네트워크 구성요소(200b)가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되는 것으로 가정될 것이다.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관련된 정보는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b)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b)인 경우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b)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b)와 제어 링크를 개설하는 것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파선 화살표로 표시된다. 상이한 네트워크, 트래픽, 부하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실시예는 이러한 조건에 기반하여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협상 또는 결정할 수 있게 함을 주목하여야 한다. 따라서, 또다른 상황에서 제1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는 또한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실시예는 상이한 운영자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 200b) 사이에서 스케줄링 부하를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래픽의 PC5 또는 사이드링크 연결의 수는 매우 많을 수 있다. 하나의 네트워크 구성요소 내에 위치한 스케줄러는 너무 많은 D2D 연결을 스케줄링해야 함에 따라 과부하 될 수 있다. 이러한 부하는 양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 200b)를 그들에게 서로 다른 UE의 쌍을 할당함으로써 PC5/사이드링크 자원의 스케줄링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실시예에서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 200b)는 각각 전체 PC5/사이드링크 자원의 일부를 편성할 수 있다. 실시예는 상이한 운영자의 네 트워크 구성요소(200a, 200b) 사이에서 스케줄링/제어 부하의 균형 조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200b)는 UE(100a)를 적어도 UE(100b)와 직접 통신(사이드링크, PC5, V2V, Car2Car, D2D)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선 자원에 관하여 제어한다. 이는 제2 네트워크 구성요소(200b)와의 직접 무선 통신 링크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변형에서 무선 제어 채널은 직접 구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통신 링크는 제1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를 통한 것일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는 따라서 이러한 정보를 제2 네트워크 구성요소(200b)로부터 무선 링크를 통하여 UE(100a)로 전달할 수 있다.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는 그 후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a)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를 통하여 수신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UE(100a)는 제2 UE(100b)를 통하여 제1 및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a, 400b)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 200b) 간 통신 링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링은 UE(100a, 100b)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처음에 서로를 탐지할 때 디폴트 무선 자원의 세트(예를 들어, 비면허 스펙트럼 또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a, 400b) 중 하나에 의해 이러한 목적으로 전용된 무선 자원)가 UE(100a, 100b) 간 제어 링크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UE(100a, 100b)가 그들의 서빙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 200b)와의 개별적인 링크를 갖기 때문에, 그들은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 200b)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UE(100a)는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a)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데이터 패킷을 제2 UE(100b)로 전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것은 제2 UE(100b)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그것을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로 전달할 수 있다. UE(100b)는 결과적으로 제2 네트워크 구성요소(200b)로부터/에게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b)의 제2 네트워크 구성요소(200b)와 통신하는 단계(24)는 이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UE(100a, 100b)를 통하여 수행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 200b) 간 가상의 인터페이스가 구축될 수 있다. 3GPP 네트워크에는 알려진 (e-, g-) 노드비 간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가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X2 인터페이스는 두 개의 UE(100a, 100b)를 사용하여 터널링될 수 있다. 제1 및 제2 UE(100a, 100b)를 통하여 제1 및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a, 400b)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 200b) 간 통신 링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각각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 200b)의 제어 하에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 200b)는 UE(100a, 100b)에게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bearer)를 구축하고 패킷 캡슐화(encapsulation)를 가능하게 하는 등의 지시를 할 수 있다. 이러한 터널은 제1 및 제2 UE(100a, 100b)를 통하여 제1 및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a, 400b)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 200b) 간 제어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a, 400b)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 200b) 간 통신 링크는 제1 및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a, 400b)의 코어 네트워크/백홀(300a, 300b)을 통하여 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도 4에서 점선 화살표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연결은 인터넷을 통하여 두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a, 400b) 바깥의 다른 외부 노드를 통하여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은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 200b) 간 일종의 터널링된 제어 링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두 변형에서 (UE(100a, 100b) 및 코어(300a, 300b)를 통하여) 상이한 운영자의 노드 간 일종의 가상 X2 인터페이스가 가능해질 수 있다.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는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마스터 역할을 담당할 수 있고 다른 네트워크는 슬레이브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더 큰 시간 간격에 기반하여 개략적인 자원 할당을 결정할 수 있고 슬레이브 네트워크 구성요소는 더 미세한 자원 할당을 결정할 수 있다. 2단계 스케줄링 메커니즘의 다수의 추가적 변형이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는 무선 자원의 일부를 다른 네트워크 구성요소에 할당할 수 있다. 다른 네트워크 구성요소는 그 후 무선 자원의 일부로부터 서빙된 UE로 자유롭게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부 제어는 운영자의 네트워크 구성요소에 남겨지지만, 전체 자원 편성은 중앙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구성요소(200a, 200b)는 직접 통신에 사용되는 자원의 세트에 합의할 수 있다. 이 무선 자원의 세트는 운영자 중 하나에 허가된 스펙트럼의 일부이거나 비면허일 수 있다. 편성 네트워크 노드는 그 후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라 UE(100a, 100b) 간 직접 통신을 편성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방법은 각각의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또다른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프로세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하드웨어 구성요소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추가적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세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하드웨어 구성요소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구현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다.
당업자는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방법의 단계가 프로그래밍된 컴퓨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예를 들어, 슬롯의 위치가 결정되거나 계산될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부 실시예는 또한, 예를 들어 기계 또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하고 기계로 실행 가능하거나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프로그램을 인코딩하며 상기 명령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의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는 것인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와 같은,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디지털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저장 매체, 하드 드라이브 또는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실시예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의 상기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컴퓨터 또는 위에서 설명된 방법의 상기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어레이((F)PLA; (Field) Programmable Logic Array) 또는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설명 및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도시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당업자가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그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구성을 고안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나열된 모든 예는 주로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 및 발명자(들)에 의해 본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된 개념을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해 교육상의 목적만을 위한 것으로 명백히 의도된 것이며, 그러한 구체적으로 나열된 예 및 조건으로의 제한이 없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본 발명의 원리, 측면 및 실시예를 나열하는 모든 진술 및 그 구체적인 예는 그 균등물을 아우르도록 의도된다.
프로세스에 의하여 제공될 때,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단일 공유 프로세서에 의해 또는 그들 중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컨트롤러(controller)”라는 용어의 명시적인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만을 배타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하드웨어, 네트워크 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및 비휘발성 저장장치를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또는 주문형의 다른 하드웨어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이들의 기능은 프로그램 로직의 동작을 통하여, 전용 로직을 통하여, 프로그램 제어 및 전용 로직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또는 심지어 수동으로도, 수행될 수 있고, 특정한 기술은 문맥으로부터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이 구현자가 선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임의의 블록 다이어그램은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도를 나타냄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유사하게, 임의의 플로우 차트, 플로우 다이어그램, 상태 전이도, 의사 코드(pseudo code) 및 이와 유사한 것은, 그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시적으로 도시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실질적으로 표현될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그렇게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냄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다음의 청구범위는 이로써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며, 각 청구항은 별개의 실시예로서 독립하여 존재할 수 있다. 각 청구항이 별개의 실시예로서 독립하여 존재할 수 있지만 - 종속항이 청구항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청구항의 특정한 조합을 참조할 수 있을지라도 - 다른 실시예 또한 각각의 다른 종속항의 주제(subject matter)를 갖는 종속항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합은 특정한 조합이 의도되지 않았다고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다. 또한, 이 청구항이 독립항에 직접적으로 종속되지 않더라도 임의의 다른 독립항에 대한 청구항의 특징 또한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 개시된 방법은 이들 방법의 각각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10 사용자 장비를 위한 방법
12 제2 사용자 장비와의 후속 직접 통신과 관련된 정보를 제1 모바일 통신 시스 템의 네트워크 구성요소로 송신하는 단계
14 제1 네트워크 구성요소로부터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 하는 단계
16 제2 UE와의 통신을 위하여 사용할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를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20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위한 방법
22 제1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2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제2 모바일 통신 시스 템에 할당되는 제2 사용자 장비와의 후속 직접 통신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 는 단계
24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 크 구성요소와 통신하는 단계
26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제1 UE로 송신하는 단계
30 사용자 장비를 위한 장치
32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34 제어 모듈
40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위한 장치
42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44 제어 모듈
100 사용자 장비
100a 사용자 장비
100b 사용자 장비
200 네트워크 구성요소
200a 네트워크 구성요소
200b 네트워크 구성요소
300 코어/백홀 네트워크
300a 코어/백홀 네트워크
300b 코어/백홀 네트워크
400 모바일 통신 시스템
400a 모바일 통신 시스템
400b 모바일 통신 시스템

Claims (13)

  1. 제1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의 제1 사용자 장비(100; 100a)를 위한 방법(10)에 있어서,
    제2 사용자 장비(100; 100b)와의 후속 직접 통신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a)로 송신하는 단계(12) - 상기 제2 사용자 장비(100; 100b)는 제2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400b)에 할당됨 -;
    상기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a)로부터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14) - 상기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는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 400b)의 네트워크 구성요소임 -;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100; 100b)와의 통신을 위하여 사용할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하는 단계(16)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의 상기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a)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2 사용자 장비(100; 100b)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의 제1 사용자 장비(100; 100a)를 위한 방법(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상기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b)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b)인 경우 상기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b)의 상기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b)와의 제어 링크를 개설하는 것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의 제1 사용자 장비(100; 100a)를 위한 방법(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의 상기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a)를 통하여 수신되는 것인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의 제1 사용자 장비(100; 100a)를 위한 방법(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100; 100b)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 400b)의 상기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a; 200b) 간의 통신 링크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의 제1 사용자 장비(100; 100a)를 위한 방법(10).
  5. 제1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a)를 위한 방법(20)에 있어서,
    제1 사용자 장비(100; 100a)로부터, 제2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b)에 할당되는 제2 사용자 장비(100; 100b)와의 후속 직접 통신과 관련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22);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b)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b)와 통신하는 단계(24) - 상기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100; 100a; 100b) 간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을 할당함 -; 및
    상기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100; 100a)로 송신하는 단계(26)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b)의 상기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b)와의 통신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100; 100a; 100b)를 통하여 수행되는 것인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a)를 위한 방법(2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100; 100a; 100b)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 400b)의 상기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a; 200b) 간의 통신 링크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a)를 위한 방법(20).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100; 100a; 100b)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 400b)의 상기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a; 200b) 간의 제어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a)를 위한 방법(20).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 400b)의 코어 네트워크/백홀(300a; 300b)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 400b)의 상기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a; 200b) 간 통신 링크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a)를 위한 방법(20).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 네트워크 구성요소는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마스터 역할을 담당하고 다른 네트워크 구성요소는 슬레이브 역할을 담당하는 것인 제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a)를 위한 방법(20).
  10.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 400b)의 사용자 장비(100; 100a; 100b)를 위한 장치(30)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 400b)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32);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32)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34)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34)은 제1항 내지 제3항의 방법(10)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 400b)의 사용자 장비(100; 100a; 100b)를 위한 장치(30).
  11.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 400b)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a; 200b)를 위한 장치(40)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 400b)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42);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42)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44)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44)은 제5항 또는 제6항의 방법(20)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바일 통신 시스템(400; 400a; 400b)의 네트워크 구성요소(200; 200a; 200b)를 위한 장치(40).
  12. 제11항의 장치(40)를 포함하는 차량(100; 100a; 100b; 200; 200a; 200b).
  13.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프로세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하드웨어 구성요소 상에서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및 제6항의 방법(10; 20)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것인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30732A 2019-03-13 2020-03-12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위한 차량,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03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62469.1 2019-03-13
EP19162469.1A EP3709759A1 (en) 2019-03-13 2019-03-13 Coordination of radio resources for inter-operator direct communication lin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216A true KR20200110216A (ko) 2020-09-23
KR102303965B1 KR102303965B1 (ko) 2021-09-24

Family

ID=6581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732A KR102303965B1 (ko) 2019-03-13 2020-03-12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위한 차량,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66329B2 (ko)
EP (1) EP3709759A1 (ko)
KR (1) KR102303965B1 (ko)
CN (1) CN111698667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3347A1 (en) * 2003-11-27 2005-06-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network system for establishing peer to peer communication between two users equipments camping in different cells
KR20130101660A (ko) * 2012-02-27 2013-09-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2p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피어
KR20140056694A (ko) * 2012-10-31 2014-05-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2p 네트워크 기반 콘텐트 전달 서비스에서 사용자에게 다른 사용자가 수신하고 있는 콘텐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WO2016085372A1 (en) * 2014-11-25 2016-06-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ode, network node, methods therein, computer programs and computer-readable mediums comprising the computer programs, for establishing a direct control link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3678A (zh) * 2014-04-18 2016-12-14 诺基亚技术有限公司 运营商间的设备至设备操作
WO2016070932A1 (en) * 2014-11-07 2016-05-1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dentifying which access points are in the coverage area of a ran node
US10924912B2 (en) * 2017-01-06 2021-0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EP3358898B1 (en) * 2017-02-07 2021-04-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allocating transmission resources and for a mobile transceiv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3347A1 (en) * 2003-11-27 2005-06-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network system for establishing peer to peer communication between two users equipments camping in different cells
KR20130101660A (ko) * 2012-02-27 2013-09-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2p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피어
KR20140056694A (ko) * 2012-10-31 2014-05-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2p 네트워크 기반 콘텐트 전달 서비스에서 사용자에게 다른 사용자가 수신하고 있는 콘텐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WO2016085372A1 (en) * 2014-11-25 2016-06-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ode, network node, methods therein, computer programs and computer-readable mediums comprising the computer programs, for establishing a direct control li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09759A1 (en) 2020-09-16
US11166329B2 (en) 2021-11-02
CN111698667A (zh) 2020-09-22
KR102303965B1 (ko) 2021-09-24
US20200296782A1 (en) 2020-09-17
CN111698667B (zh) 2023-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6261911A (zh) 用于条件主辅小区添加/改变配置的信令
EP2898610B1 (en) Signaling in tdd communication
EP3843482B1 (en) Network component and method
KR102276098B1 (ko) 모바일 트랜시버 및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관리 모바일 트랜시버를 위한 차량,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MX2015003790A (es) Metodo para radiocomunicaciones d2d.
EP3267763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1586594B (zh) 系统、车辆、用于移动通信系统中的用户装备和基站的装置、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1058447A1 (en) A method, a computer program, an apparatus, and a vehicle for determining a representation of a radio environment of a mobile transceiver
US11611985B2 (en) Grant of resources for downlink and uplink communication via one or more relay user equipment
CN110535678B (zh) 配置消息接口的方法、装置和网络组件以及车辆
EP3062582B1 (en)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a backhaul modem and an access base station transceiver of a relay station transceiver
KR102303965B1 (ko)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위한 차량,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2771916A (zh) 逻辑信道小区限制
US11963243B2 (en) Establishing a signaling connection in a wireless network
KR10267022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장비를 위한 차량,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40080754A1 (en) Vehicle,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user equip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23024982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KR2023001758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iab 노드의 이중 접속 자원 설정 방법 및 장치
WO2022152680A1 (en) Adaptive listen-before-talk mode selection
CN115942486A (zh) 一种通信方法及通信装置
CN115669018A (zh) 用于用户装备的能力信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