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881A -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881A
KR20200109881A KR1020190029678A KR20190029678A KR20200109881A KR 20200109881 A KR20200109881 A KR 20200109881A KR 1020190029678 A KR1020190029678 A KR 1020190029678A KR 20190029678 A KR20190029678 A KR 20190029678A KR 20200109881 A KR20200109881 A KR 20200109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ard
service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욱
Original Assignee
엠플레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플레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플레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9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9881A/ko
Publication of KR20200109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8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읽어주는 그램책과 같은 온라인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콘텐츠 서버와, 사용자 단말 및 콘텐츠 카드를 구비하고, 콘텐츠 카드를 이용해 콘텐츠를 온라인 서비스 받을 수 있고, 사용자가 음성녹음하여 제작하는 사용자 콘텐츠 제작 서비스와, 사용자 콘텐츠에 대해 콘텐츠 카드를 등록하는 콘텐츠 카드 등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는, 콘텐츠 카드를 읽어서 콘텐츠 서버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받아 멀티미디어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스트리밍북 플레이어를 제공하며, 스트리밍북 필레이어를 통해서도 콘텐츠 제작과, 콘텐츠 카드 e등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방법{Online content service method}
본 발명은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콘텐츠나,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는 콘텐츠에 대해 콘텐츠 카드를 매칭하여 등록하고, 콘텐츠 카드를 이용하여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책(electronic book)은 문자나 화상과 같은 정보가 도서로 간행되었거나 간행될 수 있는 저작물의 내용이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해 전자 기록매체/ 저장장치에 수록된 뒤, 유무선 정보통신망을 통해 컴퓨터나 휴대 단말기로 그 내용을 읽고 보고 들을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서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전자책은 온라인을 통해 유통되는 구조로서, 전자책을 구매하여도 종이책과 같이 소장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고, 정보통신 단말기를 통해 유무선 통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므로, 정보통신 단말기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영유아나 노인들의 경우 혼자서 직접 원하는 콘텐츠를 이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고자 상기와 같은 온라인 콘텐츠에 매칭된 큰텐츠 카드를 발행하고, 콘텐츠 카드를 정보통신 단말기를 통해 읽어서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유통방식도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콘텐츠 카드를 이용하는 방식은, 서비스 되는 콘텐츠에 대응하여 콘텐츠 카드를 매칭시켜 매칭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저장해두고, 콘텐츠 카드 정보를 정보통신 단말기가 읽어서 해당 정보에 대응된 콘텐츠를 불러와서 플레이 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콘텐츠 카드를 이용하는 방식은, 미리 제작된 콘텐츠에 대해 미리 대응된 콘텐츠 카드를 매칭하여 정보를 저장해두고, 콘텐츠 카드를 유통시키는 방식이다.
한편, 전자책중 유아를 위한 오디오 북의 경우 부모가 아닌 타인의 목소리로 제작되기 때문에 엄마/아빠가 아이를 위해 책을 읽어줄 때의 긍정적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출원인은 전자책에 유아를 위한 아빠 혹은 엄마의 음성을 녹음하거나 부모와 아이의 음성을 모두 녹음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특허문헌 0001) 한국특허출원 제10-2012-0091226호 (발명의 명칭: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시스템 및 방법)
상기와 같은 사용자가 자체 제작한 전자책은, 콘텐츠에 대응된 콘텐츠 카드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체 제작하는 전자책은, 온라인 콘텐츠에 대응되는 콘텐츠 카드를 발급하여 유통시키는 방식을 적용하기 어렵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12-009122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자신이 직접 제작한 콘텐츠에 대해서 콘텐츠 카드를 등록하고, 등록시킨 콘텐츠 카드를 이용하여 손쉽게 해당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한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방법은,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와, 상기 콘텐츠 서버에 온라인 연결하여 허용된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 받아 플레이시켜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콘텐츠 서버의 콘텐츠에 카드 정보가 매칭되어 발급되고,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 카드정보를 콘텐츠서버로 전송하여 대응되는 콘텐츠를 서비스 받을 수 있는 콘텐츠 카드를 포함하는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콘텐츠 카드 정보를 읽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로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하고, 콘텐츠 서버는 해당 콘텐츠 카드 정보에 대응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 서비스하는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콘텐츠 서버로 콘텐츠 제작 서비스를 요청하면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콘텐츠 제작 툴에 의해 콘텐츠 제작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음성 녹음하는 콘텐츠를 제작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에 업로드 시키는 콘텐츠 제작 서비스와,
상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미등록 콘텐츠 카드 정보와,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업로드 시킨 콘텐츠중에서 카드 등록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선택정보를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여 카드등록을 요청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미등록카드와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매칭시켜 매칭정보로 저장하여 콘텐츠 카드를 등록하는 콘텐츠 카드 등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각 콘텐츠에 대응되는 콘텐츠 카드를 매칭시켜 매칭정보를 저장하여 콘텐츠 카드를 발급하고, 사용자가 제작하거나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를 업로드 받아 저장하여 두고,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해당 콘텐츠를 온라인 서비스하는 콘텐츠 서버와;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직접 콘텐츠를 선택하여 온라인 서비스 받거나, 상기 콘텐츠 카드를 읽어서 콘텐츠 카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온라인 서비스 받거나,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 또는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서버에 업로드시키기 위한 사용자 단말과;
상기 콘텐츠 서버에 등록된 콘텐츠에 대응하여 카드 정보를 매칭시킨 등록 콘텐츠 카드와, 콘텐츠에 대응시키지 않은 미등록 콘텐츠 카드를 포함하는 콘텐츠 카드; 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콘텐츠 서비스 앱을 설치한 스마트폰 또는 PC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콘텐츠 서비스 앱은, 상기 콘텐츠 서버와 접속하여 콘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온라인 서비스 받는 콘텐츠 서비스 툴과; 상기 콘텐츠 서버의 콘텐츠 제작 서비스에 의거하여 음성을 직접 입력하여 녹음한 콘텐츠를 제작하여 업로드시키는 콘텐츠 제작 툴과; 미등록 콘텐츠 카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면서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에 대해 콘텐츠 카드를 등록시키는 카드등록 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가 직접 음성을 녹음하여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콘텐츠 제작툴과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고 제작된 콘텐츠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콘텐츠 제작 서비스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미등록 콘텐츠 카드와,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 정보를 매칭시켜 매칭정보로 저장하여 콘텐츠 카드를 등록하는 콘텐츠 카드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콘텐츠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콘텐츠 카드의 정보를 읽어서 매칭된 콘텐츠를 불러와서 플레이시켜 외부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는,
콘텐츠 카드의 정보를 읽기 위한 카드 리더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카드리더기에서 읽어들인 콘텐츠 카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고, 해당 콘텐츠 카드에 대응된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받아 플레이를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싱모듈과;
상기 메인 프로세싱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서비스되는 콘텐츠를 플레이시켜 외부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의 메인 프로세싱모듈에는, 상기 콘텐츠 서버와 접속하여 콘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온라인 서비스 받는 콘텐츠 서비스 툴과; 상기 콘텐츠 서버의 콘텐츠 제작 서비스에 의거하여 음성을 직접 입력하여 녹음한 콘텐츠를 제작하여 업로드시키는 콘텐츠 제작 툴과; 미등록 콘텐츠 카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면서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에 대해 콘텐츠 카드를 등록시키는 카드등록 툴을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앱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이 더 포함되고,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서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콘텐츠 서비스 앱과 연동되어 콘텐츠 제작 서비스와 콘텐츠 서비스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는, 리모콘과, 리모콘 수신모듈이 더 포함되고, 리모콘을 통해 메뉴제어 및 선택제어를 할 수 있고, 리모콘을 이용하여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콘텐츠 제작 서비스, 콘텐츠 카드 등록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는,
스트리밍 불 플레이어의 디바이스 케이스에 상기 콘텐츠 카드를 삽입하여 상기 카드 리더기가 콘텐츠 카드의 정보를 읽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카드 삽입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 서버는,
사전 제작되어 소비자에게 서비스 하는 일반 콘텐츠와,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여 업로드 시킨 사용자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하되, 각 콘텐츠에 대해 미리보기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 카드는,
상기 일반 콘텐츠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일반 콘텐츠 카드와, 상기 사용자 콘텐츠를 저장하는 폴더에 대응된 회원 콘텐츠 카드 및 사용자 콘텐츠에 일대응 대응시켜 등록하기 위한 미등록 콘텐츠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 카드는, 식별코드 정보를 NFC태그에 저장해둔 NFC 카드이고, 상기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의 카드 리더기는 NFC카드를 읽기 위한 RF 리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콘텐츠 카드 등록방법은,
콘텐츠 카드를 읽어서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고, 콘텐츠 카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온라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카드 정보를 입력받아 대응되는 콘텐츠를 온라인 서비스하는 콘텐츠 서버를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콘텐츠 카드 등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콘텐츠 서비스 웹 사이트로그인하여 콘텐츠 카드 등록을 인증받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콘텐츠 카드를 등록할 수 있는 콘텐츠 리스트를 수신받아 출력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정보와, 해당 콘텐츠를 등록하고자 하는 미등록 콘텐츠 카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카드 등록단계와;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해당되는 콘텐츠 카드 등록 정보를 수신받아 출력하여 카드등록을 완료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콘텐츠 카드를 읽어서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고, 콘텐츠 카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온라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카드 정보를 입력받아 대응되는 콘텐츠를 온라인 서비스하는 콘텐츠 서버를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콘텐츠 카드 등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로그인 요청에 따라 로그인 처리를 하고, 콘텐츠 카드 등록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콘텐츠 카드 등록 가능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와;
인증된 사용자의 콘텐츠 카드 등록이 가능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등록 콘텐츠 카드 정보와 콘텐츠 선택정보를 수신받는 단계와;
미등록 콘텐츠 카드 정보와 콘텐츠 선택정보를 매칭시켜 매칭정보로 저장하여 콘텐츠 카드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카드 등록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카드를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에 인식시키는 것만으로 해당되는 콘텐츠를 플레이시킬 수 있어서, 정보통신기기 조작이 쉽지않은 유아들도 쉽게 해당 콘텐츠를 플레이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콘텐츠에 대응되는 콘텐츠 카드만으로 해당 콘텐츠를 플레이 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콘텐츠 카드 유통으로 콘텐츠를 유통시킬 수 있어서 콘텐츠 유통에 대한 홍보와 활성화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PC나, 휴대단말을 통해서 콘텐츠 제작을 하던 것을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를 통해서도 콘텐츠 제작실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단말을 통하여 직접 콘텐츠를 선택하여 온라인 서비스 받을 수도 있고, 미리 등록된 콘텐츠 카드를 읽어서 콘텐츠 서버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온라인 서비스 받을수도 있으며, 콘텐츠 서버의 콘텐츠 제작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음성 녹음하는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나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에 업로드 시킬수도 있고, 사용자가 업로드시켜 콘텐츠 카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에 대해서 사용자가 미등록 콘텐츠카드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해 콘텐츠 카드를 등록 시킬 수 있으며, 새로 등록한 콘텐츠 카드를 이용해서 대응된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온라인 서비스 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체 제작하거나 보유 콘텐츠에 대해서 콘텐츠 카드를 등록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 등록시킨 콘텐츠 카드를 이용하면 누구라도 해당 콘텐츠를 온라인 서비스 받을 수 있어서, 사용자가 직접 제작 또는 업로드한 콘텐츠를 콘텐츠 카드로 등록하여 누구라도 온라인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공유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를 이용한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의 카드 삽입실을 보인 외형도.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콘텐츠 서비스 앱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서버의 구성 개념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콘텐츠 카드 등록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서버의 콘텐츠 카드 등록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텐츠를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서비스하는 콘텐츠 서버(20)와, 콘텐츠 서버(20)에서 서비스 되는 콘텐츠를 불러오기 위한 식별코드를 구비한 콘텐츠 카드(30)와, 상기 콘텐츠 카드(30)를 읽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20)로부터 해당되는 콘텐츠를 불러와 플레이 시키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는, 콘텐츠 카드(30)를 읽어서 콘텐츠 서버(20)로부터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 받아 플레이시켜 외부 출력장치(10)로 출력하는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100), 또는 콘텐츠 카드(30) 정보를 입력받아 콘텐츠 서버(20)에 접속하여 해당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 받아 플레이시키는 스마트폰(50) 또는 PC(60)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콘텐츠 서버(20)에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들이 저장되고, 각 콘텐츠를 불러오기 위하여 매칭시킨 콘텐츠 카드(30)가 발행된다. 소비자는 콘텐츠 카드(30)를 구매하는 것에 의해 해당되는 콘텐츠를 구매할 수 있다.
종래의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방법은, 정보통신 단말기를 직접 조작하여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정보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원할하지 못한 사용자는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콘텐츠에 대응된 콘텐츠 카드(30)를 발행하고, 이 콘텐츠 카드(30)를 읽어서 자동으로 해당되는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받아 비디오/오디오 출력장치를 통해 재생시켜 출력하는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100)를 제공한다. 또한, 콘텐츠 카드(30)에는 스마트폰(50)이나 PC(60)를 통해 콘텐츠 카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QR코드, 바코드, NFC모듈, 식별번호 등이 포함되고, 이러한 콘텐츠 카드(30)를 스마트폰(50)이나 PC(60)에서 읽어들여 콘텐츠 서버(20)에 접속하고, 콘텐츠 카드에 대응된 콘텐츠를 온라인 서비스 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온라인 콘텐츠 구매를 콘텐츠 카드(30)를 구매하는 것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고, 콘텐츠카드(30)는 실물이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콘텐츠 카드를 구매하는 것이 곧 콘텐츠 소장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지털 데이터로만 존재하는 온라인 콘텐츠를 실물인 콘텐츠 카드(30)로 구매하여 소장할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정보통신 단말기의 조작이 능숙하지 않은 유아나 노인 등도 콘텐츠 카드(30)를 스트리밍 북플레이어(100)의 가드 리더기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해당되는 콘텐츠를 서비스 받을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서버(20)는,
각 콘텐츠에 대응되는 콘텐츠 카드를 매칭시켜 매칭정보를 저장하여 콘텐츠 카드(30)를 발급하고, 사용자가 제작하거나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를 업로드 받아 저장하여 두고,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해당 콘텐츠를 온라인 서비스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콘텐츠 서버(20)에 접속하여 직접 콘텐츠를 선택하여 온라인 서비스 받거나, 상기 콘텐츠 카드(30)를 읽어서 콘텐츠 카드(30)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서버(20)로부터 온라인 서비스 받거나, 사용자가 음성녹음하는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사용자 제작 콘텐츠 또는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서버(20)에 업로드시킬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카드(30)는, 상기 콘텐츠 서버(20)에 등록된 콘텐츠에 대응하여 카드 정보를 매칭시킨 등록 콘텐츠 카드와, 콘텐츠에 대응시키지 않은 미등록 콘텐츠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카드(30)는, 콘텐츠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링크 정보와, 콘텐츠에 대응시켜 매칭된 식별정보가 포함되며, 콘텐츠 카드 정보만으로 해당 콘텐츠 서버에 자동접속하여 대응된 콘텐츠를 불러올수 있도록 카드 정보가 설정된다, 카드 정보는, QR코드, 바코드, 식별번호, NFC모듈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콘텐츠 카드 등록을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은 미등록 콘텐츠 카드 정보와,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업로드 시킨 콘텐츠중에서 카드 등록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선택정보를 콘텐츠 서버(20)로 전송하여 카드등록을 요청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20)는, 상기 미등록카드와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매칭시켜 매칭정보로 저장하여 콘텐츠 카드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에서 콘텐츠 제작 서비스에 따라 그림이나 사진 및 문자를 포함하고, 음성을 직접 녹음하여 제작하는 오디오 북과 같은 콘텐츠를 직접 제작할 수 있고, 직접 제작한 콘텐츠를 불러와서 플레이 시킬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는, 콘텐츠 카드(30)가 발급되지 않은 콘텐츠이다. 이에 따라 스크리밍 북 플레이어(100)와 같이 콘텐츠 카드(30)를 이용해서 자신이 제작한 콘텐츠를 불러올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자신이 제작한 콘텐츠에 대해 콘텐츠 카드를 매칭시켜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콘텐츠 서비스 앱(80)을 설치한 스마트폰(50) 또는 PC(6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콘텐츠 서비스 앱(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텐츠 서버(20)와 접속하여 콘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온라인 서비스 받는 콘텐츠 서비스 툴(81)과; 상기 콘텐츠 서버(20)의 콘텐츠 제작 서비스에 의거하여 음성을 직접 입력하여 녹음한 콘텐츠를 제작하여 업로드시키는 콘텐츠 제작 툴(82)과; 미등록 콘텐츠 카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면서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에 대해 콘텐츠 카드를 등록시키는 카드등록 툴(8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서버(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인증을 관리하는 접속 관리부(21), 콘텐츠를 저장해두는 콘텐츠 DB(26),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를 온라인 서비스라는 콘텐츠 서비스부(2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에 대응하여 콘텐츠 카드의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해두는 매칭정부 저장부(25)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서비스부(24)는, 콘텐츠 카드 정보에 따라 상기 매칭정보 저장부로부터 태응되는 콘텐츠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되는 콘텐츠를 콘텐츠 DB로부터 불러와서 온라인 서비스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가 직접 음성을 녹음하여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콘텐츠 제작툴과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고 제작된 콘텐츠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콘텐츠 제작 서비스부(23)를 더 포함한다.
이는 온라인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콘텐츠 제작 요청에 따라 대응되는 콘텐츠 제작 툴을 제공하고,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관련 정보들(예; 그림이나 사진, 동영상, 스토리 문자, 배경오디오, 등등)을 미리 데이터 베이스화시켜두고 콘텐츠 제작에 대응하여 제공할수 있고,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그림이나 스토리, 배경오디오등을 직접 입력하고, 음성녹음을 하여 오디오 북과 같은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이러한 오디오북 제작에 대하여는 알려져 있는 방법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상기 콘텐츠 서버(20)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미등록 콘텐츠 카드와,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 정보를 매칭시켜 매칭정보로 저장하여 콘텐츠 카드를 등록하는 콘텐츠 카드 등록부(22)를 더 포함한다.
콘텐츠 카드 등록부(22)는, 사용자의 콘텐츠 카드 등록 요청이 있으면, 해당 사용자가 제작하거나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를 업로드 시킨 사용자 콘텐츠가 있는지를 검색하고, 사용자 콘텐츠가 있으면, 해당 사용자 콘텐츠 리스트(예; 제목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사용자단말로부터 미등록콘텐츠 카드 정보와, 사용자가 카드 등록을 선택한 콘텐츠 선택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미등록 콘텐츠 카드정보와 선택된 콘텐츠 정보를 매칭시켜 매칭정보 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콘텐츠 카드를 등록하고, 콘텐츠 카드 등록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카드 등록을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콘텐츠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콘텐츠 카드의 정보를 읽어서 매칭된 콘텐츠를 불러와서 플레이시켜 외부장치(10)를 통해 출력하는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1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를 이용한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이다.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100)는,
콘텐츠 카드를 읽을 수 있는 RF리더기(110),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 서버(2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120), 콘텐츠 카드(30)를 읽고, 대응된 URL주소의 콘텐츠 서버(20)에 접속하여 대응된 콘텐츠를 호출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받고, 스트리밍 서비스 받는 콘텐츠의 재생 및 출력을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싱 모듈(130), 메인 프로세싱모듈(130)의 제어에 의해 스트리밍 서비스 되는 콘텐츠를 재생하여 외부출력장치(10)로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모듈(140) 및 전원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카드를 읽어서 콘텐츠 서버로 부터 대응된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 받아 재생하여 TV나, 모니터, 빔프로젝터, 오디오 출력장치등의 비디오/오디오 출력을 위한 외부 출력장치(10)를 통해 출력하는 독립된 단말기로서,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100)를 제공한다.
스트리밍북 플레이어(100)는, 통신모듈(120), 메인 프로세싱 모듈(130) 및 멀티미디어모듈(140)로 이루어지는 싱글보드PC와 RF리더기(110)를 조립하여 HDMI케이블을 통해 오디오/비디오 외부출력장치(10)로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는 3D프린터를 통해 제조의 가능성이 용이한 형태로 작업한다. 콘텐츠 카드(30)의 NFC코드 매칭작업은, NFC카드와 연동된 스트리밍북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20)를 통해 NFC카드의 코드번호와 매칭 후 해당 스트리밍북을 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의 카드 삽입실을 보인 외형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텐츠 카드(30)를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100)에 삽입시켜 대응된 콘텐츠를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100)의 케이스에 RF카드 리더기(110)가 내장된 카드 삽입실(111)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카드 삽입실(111)을 형성하게 되면, 콘텐츠 카드(30)를 카드 삽입실(111)에 삽입하는 동작이 필요하게 되어 직관적으로 콘텐츠 호출 동작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는 단순히 콘텐츠 카드를 카드 인식 포인트에 접촉시키는 구성에 비하여 카드 삽입실(111)에 삽입하는 동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콘텐츠 호출동작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100)의 메인 프로세싱모듈(130)에는, 상기 콘텐츠 서버(20)와 접속하여 콘텐츠 서버(20)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온라인 서비스 받는 콘텐츠 서비스 툴과; 상기 콘텐츠 서버의 콘텐츠 제작 서비스에 의거하여 음성을 직접 입력하여 녹음한 콘텐츠를 제작하여 업로드시키는 콘텐츠 제작 툴과; 미등록 콘텐츠 카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면서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에 대해 콘텐츠 카드를 등록시키는 카드등록 툴을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앱이 설치된다.
따라서,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100)를 사용자 단말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콘텐츠 서비스 툴에 의해 콘텐츠 카드(30)를 카드 리더기(110)의 카드 삽입실에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해당되는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 받아 플레이시켜 외부장치(10)의 멀티미디어 출력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작 툴에 의해 콘텐츠를 제작하되, 음성을 입력하여 직접 녹음하여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콘텐츠 제작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위하여 리모콘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100)는, 리모콘(40)과, 리모콘 수신모듈(160)이 더 포함되고, 리모콘(40)을 통해 메뉴제어 및 선택제어를 할 수 있고, 리모콘을 이용하여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콘텐츠 제작 서비스, 콘텐츠 카드 등록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카드 등록 툴에 의해 미등록 콘텐츠카드를 사용자가 업로드한 사용자 콘텐츠에 매칭시켜 콘텐츠 카드 등록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100)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이 더 포함되고,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서 스마트폰(50)과 연결되어 스마트폰(40)의 콘텐츠 서비스 앱과 연동되어 콘텐츠 제작 서비스와 콘텐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텐츠 서버(20)는, 소비자에게 서비스 하는 일반 콘텐츠와,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여 업로드 시킨 사용자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하되, 각 콘텐츠에 대해 미리보기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 콘텐츠에 대해 미리보기를 제작하여 콘텐츠 DB(26)에 저장해두고, 콘텐츠 카드(30) 정보에 대응된 콘텐츠가 선택되면, 미리보기 정보를 온라인 서비스할 수 있다. 이와같이 미리보기 서비스를 포함하게 되면, 콘텐츠 카드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어떤 콘텐츠인지 잘모를때에 미리보기만으로 콘텐츠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일반 콘텐츠에 대응되는 일반 콘텐츠 카드와, 상기 사용자 콘텐츠를 저장하는 폴더에 대응된 회원 콘텐츠 카드 및 사용자 콘텐츠에 일대응 대응시켜 등록하기 위한 미등록 콘텐츠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 카드는, 식별코드 정보를 NFC태그에 저장해둔 NFC 카드이고, 상기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의 카드 리더기는 NFC카드를 읽기 위한 RF 리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 서버에는, 콘텐츠 카드와 콘텐츠간의 매칭정보를 저장해두고 있으므로,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도중에도 상기 매칭정보를 이용한 인증키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보내고,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인증키에 대응한 콘텐츠 카드 정보를 이용해 인증키에 대응된 응답키를 생성하여 콘텐츠 서버로 회신함으로써, 스크리밍 서비스중에도 상호 인증을 할 수 있다, 이는 콘텐츠에 불법 접근하여 자동으로 다운로드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텐츠 서버의 콘텐츠 DB는, 일반 콘텐츠(콘텐츠 서비스 제공사가 등록해 두고 서비스하는 유/무료 콘텐츠) 폴더와, 사용자 콘텐츠(사용자가 자체 제작하거나, 사용자가 별도로 업로드 시킨 콘텐츠) 폴더와, 공개 콘텐츠(사용자 콘텐츠들을 공개방으로 업로드시킨 공개 콘텐츠)폴더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사용자 가 친구 등록한 다른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 콘텐츠 폴더의 접근 권한을 허용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친구등록한 다른 사용자)에게 접근을 허용하여 공유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가 자체 자젝한 사용자 콘텐츠를 공개 콘텐츠 폴더에 업로드 시켜 누구라도 공개 콘텐츠 볼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콘텐츠 카드를 이용하는 접근 방식은, 콘텐츠 카드마다 대응된 콘텐츠가 매칭된 것이기 때문에, 일반 콘텐츠 폴더, 사용자 콘텐츠 폴더, 공개 콘텐츠 폴더, 접근이 허용된 친구의 사용자 콘텐츠 폴더에 접근하여 전체 리스르를 볼 수 없다. 일반 스마트폰이나, PC등과 같이 회원정보를 인증하여 콘텐츠에 접근 하는 방식은 리스트를 모두 볼수 있으나, 콘텐츠 카드는 대응된 콘텐츠만 볼수 있다.
따라서,일반 콘텐츠 폴더,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콘텐츠 폴더나, 공개 콘텐츠 폴더, 사용자 자신의 사용자 콘텐츠 폴더에 접근하여 전체 리스트를 볼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회원 콘텐츠 카드가 필요할 수 있다.
회원 콘텐츠 카드는, 콘텐츠 카드 등록방법과 같이, 콘텐츠 카드 등록 메뉴에서 회원 콘텐츠 카드 등록을 선택하고, 회원 콘텐츠 카드 발급 조건(예; 회비결제회원, 또는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회원)을 만족하면, 해당 회원 정보와 콘텐츠 카드 정보를 매칭하고, 매칭된 회원 콘텐츠 카드정보를 매칭정보로서 저장함으로써, 회원 콘텐츠 카드를 원격으로 등록할 수 있다.
회원 콘텐츠 카드를 이용해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게 되면, 사용자 콘텐츠 폴더내의 모든 콘텐츠들을 모두 볼수 있고, 접인이 승낙된 친구의 사용자 콘텐츠 폴더에도 접근 할 수 있으며, 공개 폴더에도 접근할 수 있다. 이렇게 회원 콘텐츠 카드를 원격으로 발급 하여 사용자 콘텐츠들을 공유하거나 공개하고, 공개된 콘텐츠들을 자유롭게 볼 수도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콘텐츠 카드 등록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콘텐츠 카드 등록방법은,
콘텐츠 카드(30)를 읽어서 콘텐츠 서버(20)로 전송하고, 콘텐츠 카드(20)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온라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카드 정보를 입력받아 대응되는 콘텐츠를 온라인 서비스하는 콘텐츠 서버(20)를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콘텐츠 카드 등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콘텐츠 서버(20)에 로그인하여 콘텐츠 카드 등록을 요청하여 인증받는 단계(S11)와;
상기 콘텐츠 서버(20)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콘텐츠 카드를 등록 가능한 콘텐츠 리스트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단계(S12)와;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정보와, 해당 콘텐츠를 등록하고자 하는 미등록 콘텐츠 카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콘텐츠 서버(20)로 전송하는 카드 등록단계(S14)와;
상기 콘텐츠 서버(20)로부터 해당되는 콘텐츠 카드 등록 정보를 수신받아 출력하여 카드등록을 완료하는 단계(S15); 를 포함한다.
도 7은 콘텐츠 서버의 콘텐츠 카드 등록 흐름도이다.
콘텐츠 카드를 읽어서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고, 콘텐츠 카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온라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카드 정보를 입력받아 대응되는 콘텐츠를 온라인 서비스하는 콘텐츠 서버를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콘텐츠 카드 등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20)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로그인 요청에 따라 로그인 처리를 하고, 콘텐츠 카드 등록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콘텐츠 카드 등록 가능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S21)와;
인증된 사용자의 콘텐츠 카드 등록이 가능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22)와;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등록 콘텐츠 카드 정보와 콘텐츠 선택정보를 수신받는 단계(S23)와;
미등록 콘텐츠 카드 정보와 콘텐츠 선택정보를 매칭시켜 매칭정보로 저장하여 콘텐츠 카드를 등록하는 단계(S24)와;
상기 콘텐츠 카드 등록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25);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콘텐츠 카드 등록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제작한 콘텐츠나 사용자가 업로드 시킨 콘텐츠가 콘텐츠 서버(20)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콘텐츠 카드 등록이 가능해진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카드 등록 요청이 있으면, 콘텐츠 서버(20)는 해당 사용자 로그임 정보에 따하 해당 사용자가 업로드시킨 콘텐츠가 있는지를 검색하고, 사용자가 업로드한 사용자 콘텐츠가 있으면 콘텐츠 카드 등록이 유효한 것으로 인증한다.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해당되는 사용자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콘텐츠를 선택하고, 미등록 콘텐츠 카드를 카드 리더기를 통해 입력시키면, 사용자 단말에서 해당 콘텐츠 선택정보와 미등록 콘텐츠 카드 정보를 콘텐츠 서버로 전송한다. 콘텐츠 서버가 콘텐츠 선택정보아 미등록 콘텐츠 카드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매칭정보로 저장하는 것에 의해 콘텐츠 카드 등록이 완료된다.
따라서, 새로 등록한 콘텐츠 카드를 카드 리더기에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에서 해당 카드 정보가 콘텐츠 서버로 전송되고, 콘텐츠 서버는 해당 콘텐츠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매칭 정보에서 해당 콘텐츠를 찾아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덧이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자신이 제작한 콘텐츠를 콘텐츠 카드로 등록하고, 등록된 콘텐츠 카드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콘텐츠 온라인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고, 해당 콘텐츠 카드를 다른 사람에게 공유시켜 다른 사람도 사용자 자신이 제작한 콘텐츠를 제한없이 온라인 서비스 받을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콘텐츠 서버나 사용자 단말의 기능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외부출력장치 20 : 콘텐츠 서버
30 : 콘텐츠 카드 40 : 리모콘
50 : 스마트폰 60 : PC
100 :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 110 : RF 리더기
120 : 통신모듈 130 : 메인 프로세싱 모듈
140 : 멀티미디어 모듈 150 : 전원모듈

Claims (5)

  1.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와, 상기 콘텐츠 서버에 온라인 연결하여 허용된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 받아 플레이시켜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콘텐츠 서버의 콘텐츠에 카드 정보가 매칭되어 발급되고,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 카드정보를 콘텐츠서버로 전송하여 대응되는 콘텐츠를 서비스 받을 수 있는 콘텐츠 카드를 포함하는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콘텐츠 카드 정보를 읽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로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하고, 콘텐츠 서버는 해당 콘텐츠 카드 정보에 대응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 서비스하는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콘텐츠 서버로 콘텐츠 제작 서비스를 요청하면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콘텐츠 제작 툴에 의해 콘텐츠 제작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음성 녹음하는 콘텐츠를 제작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에 업로드 시키는 콘텐츠 제작 서비스와,
    상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미등록 콘텐츠 카드 정보와,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업로드 시킨 콘텐츠중에서 카드 등록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선택정보를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여 카드등록을 요청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미등록카드와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매칭시켜 매칭정보로 저장하여 콘텐츠 카드를 등록하는 콘텐츠 카드 등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콘텐츠 서비스 앱이 설치되고,
    상기 콘텐츠 서비스 앱은, 상기 콘텐츠 서버와 접속하여 콘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온라인 서비스 받는 콘텐츠 서비스 툴과; 상기 콘텐츠 서버의 콘텐츠 제작 서비스에 의거하여 음성을 직접 입력하여 녹음한 콘텐츠를 제작하여 업로드시키는 콘텐츠 제작 툴과; 미등록 콘텐츠 카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면서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에 대해 콘텐츠 카드를 등록시키는 카드등록 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는, 일반 콘텐츠(콘텐츠 서비스 제공사가 등록해 두고 서비스하는 유/무료 콘텐츠) 폴더와, 사용자 콘텐츠(사용자가 자체 제작하거나, 사용자가 별도로 업로드 시킨 콘텐츠) 폴더와, 공개 콘텐츠(사용자 콘텐츠들을 공개방으로 업로드시킨 공개 콘텐츠)폴더를 포함하며,
    상기 회원 콘텐츠 카드를 이용하여 상기 일반 콘텐츠 폴더와, 상기 사용자 콘텐츠 폴더와, 상기 공개 콘텐츠 폴더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조건에 따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미등록 카드 정보와,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업로드시킨 사용자 콘텐츠 중에서 카드 등록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선택정보를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여 카드등록을 요청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미등록카드와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매칭시켜 매칭정보로 저장하여 사용자 콘텐츠 카드로 등록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미등록 카드 정보와, 회원정보를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여 회원 콘텐츠 카드등록을 요청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회원정보에 따라 회원 콘텐츠 카드 발급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미등록 카드 정보와 회원 정보를 매칭시켜 회원 콘텐츠 카드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콘텐츠 카드의 정보를 읽기 위한 카드 리더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카드리더기에서 읽어들인 콘텐츠 카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고, 해당 콘텐츠 카드에 대응된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받아 플레이를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싱모듈과;
    상기 메인 프로세싱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서비스되는 콘텐츠를 플레이시켜 외부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북 플레이어이고,
    상기 메인 프로세싱모듈에는, 상기 콘텐츠 서버와 접속하여 콘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온라인 서비스 받는 콘텐츠 서비스 툴과; 상기 콘텐츠 서버의 콘텐츠 제작 서비스에 의거하여 음성을 직접 입력하여 녹음한 콘텐츠를 제작하여 업로드시키는 콘텐츠 제작 툴과; 미등록 콘텐츠 카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면서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에 대해 콘텐츠 카드를 등록시키는 카드등록 툴을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앱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90029678A 2019-03-15 2019-03-15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방법 KR20200109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678A KR20200109881A (ko) 2019-03-15 2019-03-15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678A KR20200109881A (ko) 2019-03-15 2019-03-15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881A true KR20200109881A (ko) 2020-09-23

Family

ID=72708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678A KR20200109881A (ko) 2019-03-15 2019-03-15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988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1226A (ko) 2009-12-21 2012-08-17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디아실글리세롤아실기 전이 효소 유전자 및 그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1226A (ko) 2009-12-21 2012-08-17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디아실글리세롤아실기 전이 효소 유전자 및 그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457B1 (ko) 콘텐츠를 자동으로 태깅하기 위한 콘텐츠 캡처 장치 및 방법
JP4383690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出力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3152614B (zh) 使用第二显示器进行语音驱动的跨服务搜索的系统和方法
KR20120090388A (ko) Qr 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디바이스 및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359623B1 (ko) 콘텐츠 저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EP3018913B1 (en) Media player
US11997157B2 (en) Server for providing media files for download by a user and the corresponding system and method
CN106910491A (zh) 卡拉ok系统
US9122861B2 (en) Managing device connectivity and network based services
KR20200109889A (ko)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109881A (ko)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방법
KR20200109876A (ko)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콘텐츠 카드 등록방법
KR20200109880A (ko)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KR20200109884A (ko)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콘텐츠 카드 등록방법
KR20200109892A (ko)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00109882A (ko)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콘텐츠 카드 등록방법
KR20200109878A (ko)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KR20200109902A (ko) 콘텐츠 카드 등록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00109896A (ko) 기록매체
KR20200109901A (ko) 콘텐츠 카드 등록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20200109893A (ko) 컴퓨터 프로그램
KR20100125996A (ko) 동영상 정보에 구간별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US20110231514A1 (en) Content delivery apparatus, content delivery method, content playback method, content delivery program, content playback program
JP2013229644A (ja) 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およ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6181231B1 (ja) 音声ガイド提供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