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807A - System for passenger safety management - Google Patents

System for passenger safety man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807A
KR20200109807A KR1020190029485A KR20190029485A KR20200109807A KR 20200109807 A KR20200109807 A KR 20200109807A KR 1020190029485 A KR1020190029485 A KR 1020190029485A KR 20190029485 A KR20190029485 A KR 20190029485A KR 20200109807 A KR20200109807 A KR 20200109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cushion
b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4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정록
Original Assignee
(주)키즈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키즈소프트 filed Critical (주)키즈소프트
Priority to KR1020190029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9807A/en
Publication of KR20200109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8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6Child-seat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4Seat posi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66Devices for warning or indicating mode of inhib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ssenger safety management system which can efficiently manage the safety of a passenger at low costs. The passenger safety management system comprises: at least one vehicle having a plurality of cushions including a driving battery, a sitting detection sensor,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a BLE module consisting of a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at least one management device to receiv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LE module to manage the state of the cushions and the safety of a passenger while driving the vehicle and getting in and out of the vehicle. The cushions include a QR code to stor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hions. The at least one management device is a portable device to sense a vehicle running speed. The at least one management device reads the QR code of the cushions loaded in the at least one vehicle to register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hion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for the entire loaded cushions at once in an initial stage before driving the vehicle, and is individually registered only for a cushion loaded for replacement after vehicle driving is started.

Description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 {SYSTEM FOR PASSENGER SAFETY MANAGEMENT}Passenger safety management system {SYSTEM FOR PASSENGER SAFETY MANAGEMENT}

본 발명은 차량 승하차 시 또는 차량 주행 중에 탑승자의 안전관리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린이 통학차량에서 어린이의 차량 승 하차 시, 또는 차량 주행 중 어린이의 안전을 확인을 위해 착석을 인식하는 방석과 이를 이용하여 안전 기능을 개선한 어린이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of occupants when getting on or off a vehicle or while driving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child gets on or off a vehicle in a child's school vehicle, or when a child is driving, seating is performed to check the safety of the child. It relates to a recognized cushion and a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hild occupants with improved safety functions using the same.

종래 기술의 차량 탑승자 하차 확인 시스템의 한 예에는 어린이가 하차 후, 운전자가 시동을 끄고 일정 시간 내에 차량 뒤편의 하차 벨을 누르지 않으면 차량 외부의 경광 등이 켜지고 경고음이 울리는 방식이었다.An example of a vehicle occupant disembark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method in which a warning light outside the vehicle is turned on and a warning sound sounds if the driver turns off the engine after a child gets off the vehicle and does not press the exit bell at the rear of the vehicle within a certain time.

종래 기술의 다른 예는, NFC tag와 같이 접촉식 차량 승하차 인식 행위를 통하여 하차 완료를 인지하도록 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차량을 개조하거나, 탑승자가 NFC등을 휴대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was a method of recognizing the completion of getting off the vehicle through a contact-type vehicle getting on and off recognition action, such as an NFC tag. Such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burden of remodeling a vehicle or having to carry an NFC or the like for the occupant.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예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0825호(발명의 명칭: 차량 내 방치 인원 확인 장치)에는, 차량 내 방치 인원을 감지 하기 위해, 탑승자의 심폐활동을 감지하는 고가의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었으나, 이는 고가의 장치가 요구되어 비용부담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10825 (name of the invention: device for checking the number of people left in the vehicle), in order to detect the number of people left in the vehicle, an expensive sensor that detects the cardiopulmonary activity of the occupant There was a method to use, but this had the disadvantage that the cost burden was large because an expensive device was required.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예는 압력 감지 방석을 차량에 구비하고,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기와 연동하여, 통학 차량 미 하차 어린이를 감지하는 방식이 있었다. 이 방식은 차량의 개조가 불필요하고, 시스템 적용에 있어 유연성을 가질 수 있으며,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is a method of providing a pressure-sensing cushion on a vehicle and detecting a child who is not getting off the school vehicle by interlocking with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lthough this method does not require modification of the vehicle, can have flexibility in application of the system, and has an advantage of low cost, it has the following problems.

1) 차량의 모든 좌석에 압력 감지 방석을 설치할 때, 각 방석의 고유 주소를 개별적으로 이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앱)에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One) When installing pressure-sensing cushions on all seats of a vehicle, there was a hassle of having to manually enter the unique address of each cushion into a program (app) that manages it individually.

2) 차량의 관리자가 변경될 경우, 변경된 관리자 앱에 이 전 관리자의 앱에 입력된 방석의 주소들을 다시 입력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2) When the vehicle's manager is changed,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enter the addresses of the cushions entered in the previous manager's app in the changed manager app.

3) 차량 운행 중 승차자가 좌석을 이탈(일어서거나, 좌석 밑으로 숨는 경우)하면, 승차자의 안전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3) If the occupant leaves the seat (when standing up or hiding under the seat)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 serious problem may occur for the occupant's safety, but this could not be confirmed.

4) 승차자의 착석 또는 미착석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시 관리자에 보고하는 기능이 없어서 차량 운행 중 안전관리가 곤란하였다.4) Safety management during vehicle operation was difficult because there was no function to report information on the occupant's seating or non-sitting status to the manager at all times.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0825호Patent Document 1-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8-0110825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압력 감지 방석을 차량 좌석에 구비하고, 스마트폰 등과 같은 관리기기와 서버를 연동하여, 차량 좌석의 압력감지방석의 개별 주소관리, 차량 승차자의 승하차 관리, 및 차량 운행 중 탑승자의 안전관리를 저렴하면서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ressure-sensing cushion on a vehicle seat, and by linking a management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nd a server, the individual address management of the pressure-sensitive fat seat of the vehicle seat, vehicle occupants It provides a system capable of inexpensive and efficient management of boarding and getting on and off, and safety management of occupants during vehicle opera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본 발명의 한 실시 예는, 구동 배터리, 착석 감지센서, 정보처리부 및 신호전송부로 구성된 BLE(Blutooth Low Energy)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방석들을 탑재한 적어도 하나의 차량과, 상기 BLE모듈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방석의 상태와 상기 차량의 운행, 승차 및 하차 동안 탑승자의 안전을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기기로 구성된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방석은 자신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QR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 기기는 차량 운행 속도를 감지하는 휴대형 기기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에 탑재되는 상기 방석의 QR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방석의 고유식별정보를 등록하되, 상기 차량 운행 전 초기에는 탑재되는 방석들 전체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등록하고, 상기 차량 운행 개시 이 후에는 교체를 위해 탑재되는 방석에 대해서만 개별적으로 등록하는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vehicl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ushions including a BLE (Blutooth Low Energy) module consisting of a driving battery, a seating detection sensor,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a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transmitted from the BLE module. A passenger safet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management device that receives information and manages the state of the cushion and the safety of the occupant during operation, boarding, and alighting of the vehicle, wherein the cushion is a QR code that stores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wherein the at least one management device is a portable device that detects a vehicle driving speed, and the at least one management device reads the QR code of the cushion mounted on the at least one vehicle,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hion However, a passenger safety management system is provided that registers all the cushions mounted at the initial stage before the vehicle operation, and individually registers only the cushions mounted for replacement after the vehicle operation starts.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방석의 BLE모듈의 정보처리부는, 상기 착석 감지센서가 감지한 신호로부터 탑승자의 미착석, 착석, 이석의 상태정보를, 그리고 상기 구동 배터리로부터 배터리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BLE모듈의 신호전송부에 제공하고, 상기 BLE모듈의 신호전송부는 상기 상태정보들을 상기 관리기기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기기는 상기 전송된 상태정보들로부터, 상기 방석의 배터리 상태, 탑승자의 미착석상태, 착석 상태, 및 이석상태를 표시하되, 상기 방석의 배터리의 상태가 설정 수준 이하일 때, 교체필요를 알리는 경보를 표시하고, 상기 탑승자의 이석 상태와 차량의 속도가 소정속도 이상임이 감지될 경우, 좌석이탈 경보를 표시한다.In the occupant safety management syste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of the BLE module of the cushio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nseat, seated, and unseat of the occupant from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and the battery from the driving battery And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BLE module is collected and provid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of the BLE module, and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of the BLE module transmits the stat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device, and the management device from the transmitted state information, The battery status, the occupant's non-seat status, the seated status, and the unseat status are displayed, but when the status of the battery of the cushion is less than a set level, an alarm indicating the need to replace is displayed, and the status of the occupant's unseat and the vehicle speed If it is detected that the speed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a seat departure warning is display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BLE 모듈의 정보처리부는 상기 착석 감지센서가 감지한 신호로부터 탑승자의 미착석, 착석, 이석의 상태정보를 상기 BLE모듈의 신호전송부가 상기 관리기기에 전송할 때, 상기 관리기기가 탑승자의 미착석, 착석 및 이석 정보를 서로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BLE모듈의 신호전송부의 정보 송출 간격(BLE advertising interval)을 다르게 전송한다.In the occupant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of the BLE module manag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nseat, seated, and departed passengers from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ating sensor. When transmitting to the device, the management device transmits different information transmission intervals (BLE advertising interval)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of the BLE module so that the passenger's unseat, seated, and unseat information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BLE모듈의 신호전송부의 정보 송출 간격은 미착석인 경우는 최대 간격으로, 착석인 경우는 정상 간격으로, 이석인 경우는 최소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송출한다. In the occupant safety management syste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of the BLE module is continuously transmitted at a maximum interval in case of non-seat, a normal interval in case of seating, and at a minimum interval in case of two seats.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이석상태는, 상기 BLE 모듈의 정보처리부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착석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다시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미착석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감지한 경우, 소정의 시간까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착석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 지 못한 상태이며, 상기 BLE 모듈의 정보처리부가 상기 미착석 및 착석상태 정보로부터 형성한다. In the occupant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state is a signal indicating a non-seat state from the detection sensor after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of the BLE module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the seating state from the detection sensor. In the case of sensing, until a predetermined time, the signal indicating the seating state has not been received from the sensor,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of the BLE module is formed from the unseat and seated state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관리기기를 교체할 경우, 상기 관리기기에 등록된 특정 차량에 관련된 모든 관리 정보는 공유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특정 차량을 관리하는 새로운 관리기기로 전송한다.In the occupant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nagement device is replaced, all management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fic vehicle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device is converted into a shared file, and a new management device that manages the specific vehicle Transfer to.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착석감지센서를 구비한 방석을 차량에 탑재하고, 스마트폰 등의 관리기기와 서버를 연동하여, 본 발명의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통학 차량 어린이의 차량 승하차 시 미하차와, 차량 운행 중 어린이 이석을 감지 할 수 있어, 차량의 개조 없이도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탑승자 안전관리를 할 수 있다.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that a cushion equipped with a seating sensor is mounted on a vehicle, and a management device such as a smartphone is interlocked with a server, so that the child of a commuting vehicle is provided through the occupant safe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t can detect missed alighting when getting on and off a vehicle, and children's seat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effective and economical occupant safety management can be performed without vehicle modification.

또한 본 발명은 착석 감지센서를 구비한 방석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QR 코드를 방석에 포함하고 있어서, 관리 기기가 차량에 탑재되는 방석의 QR코드를 판독하여 방석의 고유식별정보를 등록하되, 차량 운행 전 초기에는 탑재되는 방석들 전체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등록하고, 차량 운행 개시 이 후에는 교체를 위해 탑재되는 방석에 대해서만 개별적으로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차량에 탑재되는 착석감지 센서 방석의 등록이 간편하고 효율적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QR code for stor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hion having a seating detection sensor in the cushion, so that the management device reads the QR code of the cushion mounted on the vehicle to register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hion, Since it is possible to collectively register all installed cushions at the beginning of vehicle operation, and individually register only cushions mounted for replacement after vehicle operation starts, registration of seating detection sensor cushions mounted on the vehicle This is simple and efficient.

또한 본 발명은 방석의 착석 감지센서의 배터리 상태, 탑승자의 미착석상태, 착석 상태, 및 이석상태를 표시할 수 있어서, 방석의 착석감지 센서 배터리의 상태가 설정 수준 이하일 때, 교체필요를 알리는 경보를 표시하고, 탑승자의 이석 상태와 차량의 속도가 소정속도 이상임이 감지될 경우, 좌석이탈 경보를 표시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관리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the battery status of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of the cushion, the unseat state of the occupant, the seated state, and the seated state, so that when the state of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battery of the cushion is less than a set level, an alarm indicating the need to replace Is displayed, and when it is sensed that the occupant's separate seat and the vehicle's speed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a seat departure warning is displayed, thereby increasing the effect of the occupant's safety management.

또한 본 발명은 방석의 착석 감지센서가 감지한 신호로부터 탑승자의 미착석, 착석, 이석의 상태정보를 관리기기가 탑승자의 미착석, 착석 및 이석 정보를 서로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BLE모듈의 신호전송부의 정보 송출 간격(BLE advertising interval)을 다르게 전송함으로써, 방석의 착석감지 센서 및 신호전송을 위한 배터리 소모를 줄이면서도, 탑승자의 안전관리는 강화하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gnal of the BLE module so that the management device can distinguish between the unseat, seated, and unseat information of the occupant from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ating sensor of the cushion. By differently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interval (BLE advertising interval) of the transmission unit, while reducing the consumption of the seating sensor of the cushion and the battery for signal transmission,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occupants was strengthened.

또한 본 발명은 관리기기를 교체할 경우, 관리기기에 등록된 특정 차량에 관련된 모든 관리 정보는 공유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특정 차량을 관리하는 새로운 관리기기로 전송함으로써, 차량 관리기기 변동에도 간편하게 대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nagement device is replaced, all management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fic vehicle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device is converted into a shared file and transmitted to a new management device that manages the specific vehicle. I can.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서의 관리기기에 연동하는 서버와 추가의 관리기기를 무선네트웍으로 연결함으로써, 차량 내에서뿐만 아니라, 유치원 또는 학교에서 등하교 차량 탑승 어린이의 안전관리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ystematically manage the safety of children on and off vehicles not only in the vehicle, but also in kindergartens or schools by connecting the server interlocking with the management device in the vehicle and the additional management device through a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동 배터리(11), 착석감지센서(12), 정보처리부(13) 및 신호전송부(14)로 구성된 BLE모듈(15)을 포함하는, 차량 내 탑재되는, 복수의 방석들(10)과, BLE모듈(15)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여 방석의 상태와 차량의 운행, 승차 및 하차 동안 탑승자의 안전을 관리하는 관리기기(20)로 구성된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100)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사용되는 방석(1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QR 코드(16)와, QR 코드(16)을 포함하는 방석(10)을 등록하는 관리기기(20)의 방석등록 표시부(21)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방석(10)의 고유 식별 정보를 BLE모듈(15)가 관리기기에 전송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사용하는 BLE 신호 전송 패킷(advertising packet)의 한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할 수 있는 BLE 신호 전송 패킷(advertising packet)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관리기기 교체 시, 한 관리기기에 설정 저장된 방석 등록 정보 및 관리정보를 공유파일로 변환하여 다른 관리기기로 이식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탑승자의 이석을 판정하고 경보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탑승자의 미착석, 착석 및 이석에 대한 정보를 방석(10)의 착석감지센서가 탑지하고, 이러한 정보를 관리기기에 전송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탑승자 미착석 시, 미착석에 관한 정보의 전송과 관리기기의 정보수신 과정을 일 예로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탑승자 착석 시, 착석에 관한 정보의 전송과 관리기기의 정보수신 과정을 일 예로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탑승자 이석 시, 이석에 관한 정보의 전송과 관리기기의 정보수신 과정을 일 예로서 도시한다.
도 11 및 12는 차량에 탑재된 탑승자 착석 감지 방석(10), 차량 내 관리기기(20), 탑승자 안전관리를 위한 서버(30) 및 유치원/학교 관리자의 추가관리기기(40)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1 is a vehicle including a BLE module 15 composed of a driving battery 11, a seating sensor 12,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 and a signal transmission unit 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ccupa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cushions 10 to be mounted and a management device 20 that receive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LE module 15 and manages the state of the cushion and the safety of the occupant during operation, boarding, and alighting of the vehicle. It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100.
2 is a QR code 16 for stor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hion 10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nagement device 20 for registering the cushion 10 including the QR code 16 Shows the cushion registration display unit 21 of.
FIG. 3 shows an example of a BLE signal transmission packet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LE module 15 transmit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hion 10 of FIG. 2 to a management device.
4 illustrates other examples of BLE signal transmission packets that can be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verting cush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management information set and stored in one management device into a shared file and transplanting them to another management device when a management device is repla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nd alerting the occupant's absen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the seating sensor of the cushion 10 mounts information on the non-seat, seated, and unseat of a passenger, and transmits such information to a management devi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 non-seat and receiving information by a management device when a passenger is not se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llustrates, as an example, a proces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sea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y a management device when a passenger is seat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passenger seat and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management device when a passenger is displa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the occupant seating detection cushion 10 mounted on the vehicle, the in-vehicle management device 20, the server 30 for safety management of the occupant, and the additional management device 40 of the kindergarten/school administrator Shows another embodiment of.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number of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bond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the middle. "Including the cas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동 배터리(11), 착석감지센서(12), 정보처리부(13) 및 신호전송부(14)로 구성된 BLE모듈(15)을 포함하는, 차량 내 탑재되는, 복수의 방석들(10)과, BLE모듈(15)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여 방석의 상태와 차량의 운행, 승차 및 하차 동안 탑승자의 안전을 관리하는 관리기기(20)로 구성된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100)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다.1 is a vehicle including a BLE module 15 composed of a driving battery 11, a seating sensor 12,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 and a signal transmission unit 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ccupa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cushions 10 to be mounted and a management device 20 that receive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LE module 15 and manages the state of the cushion and the safety of the occupant during operation, boarding, and alighting of the vehicle. It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10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어린이집,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의 통학 차량에 탑승하는 어린이들의 안전관리를 위해 개발한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100)이다. 상기 통학 차량은 대개 다수의 좌석(예를 들어, 15인석, 25인석, 또는 45인석)을 가진 버스이다. 통학 차량을 이용하여 어린이들을 등하교 시킬 때, 어린이들이 출발지에서 버스에 정확히 승차 하였는지, 차량 이동 중에 좌석에 정확히 착석 하였는지, 도착지에서 정확히 하차 하였는지를 관리자가 확인하는 것이 어린이들의 안전관리를 위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어린이들의 차량 탑승 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차량의 좌석마다 하나씩 배치된, 탑승자의 착석을 감지 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방석(10)과, 상기 방석(10)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관리기기(20)로 구성된다. 상기 방석(10)은 탑승자의 착석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탑승자 착석 정보, 감지센서의 고장정보, 구동 배터리 상태 정보 등을 처리하여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BLE모듈(15)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기기(20)은 휴대형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 폰)이며, 상기 관리기기(20)는 차량의 좌석마다 설치된 착석정보 감지 방석(10)으로부터 전송되는 착석, 미착석 정보, 구동 배터리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들 정보로부터, 탑승자의 승차 및 하차 정보 표시, 탑승자의 차량 주행 중 이석에 대한 경보신호 발령, 착석 감지 센서의 고장 및 배터리 방전 등에 대한 경보 발령 등을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앱)(21)을 탑재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ccupant safety management system 100 developed for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 boarding a school vehicle of a daycare center, kindergarten, or elementary school. The commuting vehicle is usually a bus with a number of seats (eg, 15 seats, 25 seats, or 45 seats). When using a commuting vehicle to bring children to and from school, it is important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 to ensure that the children get on the bus correctly at the place of departure, whether they are correctly seated in their seats while the vehicle is moving, and that they get off at the destina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children are boarding a vehicle, a cushion 10 arranged for each seat of a vehicle and capable of transmitting a signal by detecting the occupant's seating, and information from the cushion 10 It consists of a management device 20 that receives and processes. The cushion 10 includes a detec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occupant's seating, and a BLE module that processes the occupant seat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fault information of the detection sensor, driving battery status information, etc.,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r ( 15). The management device 20 is a portable device (eg, a smart phone), and the management device 20 is seated, non-seat information, and driving battery status transmitted from the seating information detection cushion 10 installed for each seat of the vehicle. An application (app) that receives information, displays information on boarding and disembarkation of the occupant, issues an alarm signal for a passenger's seat while driving, and issues an alarm for failure of the seat detection sensor and battery discharge, etc. 21).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사용되는 방석(1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QR 코드(16)와, QR 코드(16)을 포함하는 방석(10)을 등록하는 관리기기(20)의 방석등록 표시부(21)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착석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방석(10)은 어린이 착석, 미착석 및 주행중 이석을 확인하기 위해 차량의 전좌석에 하나씩 탑재된다. 차량의 전 좌석에 탑재된 방석(10) 각가이 보내오는 신호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각 방석(10)은 고유식별정보(예를 들어, UUID 또는 Mac 어드레스)를 갖는다.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방석(10)의 고유식별정보를 관리기기(20)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상기 방석(10)의 BLE모듈(15)이 신호를 송출(advertising)하게 하고, 관리기기(20)의 블루투스 스캔에 의해서 상기 방석(10)의 BLE모듈이 송출하는 신호를 매칭함으로써, 상기 방석(10)의 고유식별정보를 전송 받아 등록한다. 이 때문에, 차량에 탑재될 다수의 방석들(10)을 관리기기에 등록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절차가 복잡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석(10)의 고유식별정보는 QR코드로 변환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석(10) 외부에 QR 마크를 붙여 놓는다. 상기 방석(10)을 상기 관리기기(20)에 등록하려고 할 때, 상기 관리기기(20)의 카메라로 QR코드를 읽어서 방석등록 표시부(21)에 간단히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상기 방석(10)의 상기 관리기기(20)으로의 등록은 차량에 탑재될 다수의 방석들(10)을 관리기기(20)에 등록하는 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해 주고, 또한 방석(10)이 탑재될 차량이 여러 대 일 경우 관리기기(20)는 관리 대상 버스에 탑재되는 방석들(10)만 등록함으로써, 상기 관리기기(20)에 등록되지 않은 다른 버스에 탑재되는 방석들로부터의 전송신호들과는 매칭이 일어나지 않아 불필요한 혼란을 피할 수 있다. 2 is a QR code 16 for stor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hion 10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nagement device 20 for registering the cushion 10 including the QR code 16 Shows the cushion registration display unit 21 of.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hion 10 including a seating detection sensor is mounted one by one in all seats of the vehicle to check child seated, non-seat, and unseat seats while driving. Each cushion 10 ha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UUID or Mac address) in order to identify signals sent by each of the cushions 10 mounted on all seats of the vehicle. In the prior art, in order to register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hion 10 in the management device 20, the BLE module 15 of the cushion 10 transmits a signal, and the management device 20 By matching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BLE module of the cushion 10 by Bluetooth sca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hion 10 is transmitted and registered. For this reason, registering a number of cushions 10 to be mounted on the vehicle to the management device takes a lot of time and the procedure is complicated. Howev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hion 10 is converted into a QR code, and a QR mark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ushion 10 as shown in FIG. 2. When attempting to register the cushion 10 to the management device 20, the QR code can be read with the camera of the management device 20 and simply registered on the cushion registration display unit 21. Registration of the cushion 10 in this manner to the management device 20 allows saving the effort and time of registering a plurality of cushions 10 to be mounted on the vehicle to the management device 20, In addition, when there are multiple vehicles on which the cushion 10 is to be mounted, the management device 20 registers only the cushions 10 mounted on the management target bus, thereby being mounted on other buses not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device 20. It is possible to avoid unnecessary confusion because no matching occurs with the transmission signals from the cushions.

도 3은 도 2의 방석(10)의 고유 식별 정보를 BLE모듈(15)가 관리기기에 전송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사용하는 BLE 신호 전송 패킷(advertising packet)의 한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BLE 모듈(15)에서는, 예를 들어, Eddystone Beacon-31B를 사용하였다. 상기 BLE 모듈의 BLE 신호 전송 패킷(advertising packet) 데이터 필드 중 20byte를 이용하여, 배터리 상태 정보, 방석 고유식별정보(제품ID)를 표시한다. 이 도면은 예시를 위해 도시한 것이며, 다른 실시 예도 가능하다.FIG. 3 shows an example of a BLE signal transmission packet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LE module 15 transmit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hion 10 of FIG. 2 to a management devi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LE module 15, for example, Eddystone Beacon-31B was used. Battery status information and cushi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duct ID) are displayed using 20 bytes of the BLE signal transmission packet data field of the BLE module. This figure is shown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할 수 있는 BLE 신호 전송 패킷(advertising packet)의 다른 예들, 예를 들어, iBeacon, AltBeacon의 데이터 필드들 도시한다. 이들의 데이터 필드를 이용하여 배터리 상태 정보, 방석 고유식별정보(제품ID)를 표시할 수 있다.4 illustrates other examples of a BLE signal advertising packet that can be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data fields of iBeacon and AltBeacon. Using these data fields, battery status information and cushi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duct ID) can be display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관리기기 교체 시, 한 관리기기(20)에 설정 저장된 방석 등록 정보 및 관리정보(22)를 공유파일로 변환하여 다른 관리기기(30)의 관리정보(30)로 이식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등하교 통학 차량의 관리자가 변경될 경우, 새로운 관리자가 휴대하는 관리기기(30)에 차량에 탑재된 방석(10)의 등록정보를 다시 일일이 등록하려면 많은 수고와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이전 관리자의 관리기기(20)에 설정 저장된 방석 등록 정보 및 관리정보(22)를 공유파일로 변환하여 새로운 관리자의 관리기기(30)로 전송하여 관리정보(30)을 저장하면, 새로운 관리자는 일일이 차량에 탑재된 방석의 등록정보를 재등록 하는 노력 없이 곧 바로 차량의 탑승자 안전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5 i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anagement device is replaced, the cush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management information 22 set and stored in one management device 20 are converted into a shared file, and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other management device 30 ( 30) shows the process of transplantation. When the manager of the school commuting vehicle is changed, it takes a lot of labor and time to manually register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cushion 10 mounted on the vehicle in the management device 30 carried by the new manager. Howev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h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management information 22 set and stored in the management device 20 of the previous manager are converted into a shared file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device 30 of the new manager, and the management information 30 ), the new manager can immediately perform the occupant safety management task of the vehicle without any effort to re-register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cushion mounted on the vehicl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탑승자의 이석을 판정하고 경보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차량의 운행 중 탑승자가 좌석을 이탈하게 되면, "이석"을 알리는 신호가 방석(10)의 BLE모듈(15)를 통해서 관리기기(20)에 전달된다. 그러면, 관리기기(20)은 내장된 GPS(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행 속도를 측정하고, BLE모듈로부터 탑승자 "착석"신호를 기다린다. 관리기기(20)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도록 BBLE모듈(15)로부터 "착석"신호를 받지 못한 상황에서, GPS를 통해 측정된 차량의 운행 속도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면, 관리기기(20)은 탑승자의 차량 운행 중 이석으로 판정하고, 위험 경보를 울려, 관리자가 안전 조치를 하도록 한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nd alerting the occupant's absen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ccupant leaves the sea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 signal indicating "disadvantageous seat"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device 20 through the BLE module 15 of the cushion 10. Then, the management device 20 measures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by using the built-in GPS (not shown), and waits for a passenger "sitting" signal from the BLE module. In a situation in which the management device 20 does not receive a "seat" signal from the BBLE module 15 so that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hen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measured through GPS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the management device 20 Judges that the occupant's vehicle is in the wrong seat, sounds a danger alarm, and forces the manager to take safety measure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탑승자의 미착석, 착석 및 이석에 대한 정보를 방석(10)의 착석감지센서가 탑지하고, 이러한 정보를 관리기기에 전송하는 방식을 도시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탑승자 착석 감지 방석(10)에 포함된 BLE모듈(15)은 탑승자의 미착석, 착석, 이석 상황을 구별하여 신호를 내어 보낸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the seating sensor of the cushion 10 mounts information on the unseat, seated, and unseat of a passenger, and transmits this information to a management devi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BLE module 15 included in the occupant seating detection cushion 10 distinguishes the occupant's unseat, seated, and unseat situations and sends out a signal.

미착석은 탑승자가 승차시 좌석에 착석하지 않은 빈좌석을 뜻한다. 탑승자가 없는 빈 좌석도 언제던지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으므로 미착석 좌석에 탑재된 방석(10)의 BLE모듈(15)도 주기적으로 미착석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관리기기(20)에 송출하여, 해당 좌석이 미착석 상태이지만, 착석 감지 방석(10)의 기능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알린다. 만일 미착석 좌석에 탑재된 방석(10)의 BLE모듈(15)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아무런 신호를 받지 못하면, 관리기기(20)은 상기 좌석에 탑재된 방석(10)은 고장 상태로 판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미착석을 알리는 신호의 주기는 대략 60초(2초간 신호 송출, 58초간 신호 중단)이며, 주기를 이렇게 길게 하는 이유는 미착석 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충분하므로, 오직 배터리 전력의 절약을 위해서 이다.Unseats means an empty seat in which the occupant is not seated when boarding. Since the occupant can be seated at any time even for an empty seat without occupants, the BLE module 15 of the cushion 10 mounted on the unseat seat also periodically transmits a signal notifying the unseat state to the management device 20, Although the seat is in a non-seat state, the function of the seat detection cushion 10 is notified that it is operating normally. If no signal is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BLE module 15 of the cushion 10 mounted on the unseat seat, the management device 20 determines that the cushion 10 mounted on the seat is in a failure state. In one embodiment, the period of the signal notifying that the seat is not seated is approximately 60 seconds (the signal is transmitted for 2 seconds, the signal is interrupted for 58 seconds), and the reason for this lengthening the period is that it is sufficient to confirm the non-seat condition, so only the battery power is It is for saving.

착석은 탑승자가 승차시 좌석에 착석한 좌석을 뜻한다. 이 좌석에는 탑승자가 착석 중이므로 좀 더 정밀하게 관리하기 위해 미착석의 경우보다 좀 더 짧은 주기로 BLE모듈(15)는 착석 신호를 송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착석을 알리는 신호의 주기는 대략 3초(1초간 신호 송출, 2초간 신호 중단)이며, 주기를 미착석 신호보다 짧게 하는 이유는 탑승자의 안전을 관리해야 하는 중요성 때문이다. 그러나 배터리 전력 소모를 고려하여 지나치게 자주 신호 송출을 하지 않고 적절 주기를 선택한다.Seating means a seat in which the occupant is seated at the seat when boarding. Since the occupant is seated in this seat, the BLE module 15 transmits a seating signal at a shorter period than in the case of non-seat in order to manage more precisely. In one embodiment, the period of the signal indicating seating is approximately 3 seconds (the signal is transmitted for 1 second, the signal is stopped for 2 seconds), and the reason that the period is shorter than the non-seat signal is the importance of managing the safety of the occupant. However, in consideration of battery power consumption, an appropriate period is selected without transmitting signals too often.

이석은 탑승자가 승차시 좌석에 착석한 좌석으로부터 이탈하여 미착석 상태로 변경되었음을 뜻한다. 이 경우는 차량이 운행 중일 경우, 탑승자의 안전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으므로, 방석(10)의 BLE모듈(15)은 소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신호를 송출하여 관리기기(20)에 탑승자가 좌석을 이탈하였음을 알린다. 일 실시 예에서, 이석 시, 방석(10)의 BLE모듈(15)의 신호송출은 대략 30초간 연속으로 이루어 지는데, 그 이유는 혹 수면모드에 있을 지 모를 관리기기(20)을 최대한 빨리 깨워서, 차량의 탑승자 이석 상태를 관리기기(20)에 알리기 위함이다. 이 상황은 탑승자의 위험으로부터 보호가 최우선이므로 배터리 전력 소모를 고려하지 않고, 최대한 빠른 시간에 탑승자 이석 상황을 관리기기(20)에 알리는데 주력하도록 한 것이다. This means that the occupant has moved away from the seat seated in the seat and has been changed to a non-seat state when boarding. In this case, when the vehicle is running, safety problems of the occupants may occur, so the BLE module 15 of the cushion 10 continuously transmits a signal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 occupant leaves the seat to the management device 20. Inform you that you have done it. In one embodiment, in the case of a break, the signal transmission of the BLE module 15 of the cushion 10 is made continuously for approximately 30 seconds, the reason for this is by waking up the management device 20 as soon as possible, which may be in the sleep mode, This is to inform the management device 20 of the status of the passenger's seat of the vehicle. In this situation, since protection from the risk of the occupant is the top priority, the battery power consumption is not considered, and the situation is focused on notifying the occupant's absence situation to the management device 20 as soon as possibl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탑승자 미착석 시, 미착석에 관한 정보의 전송과 관리기기의 정보수신 과정을 일 예로서 도시한다. 도 8(a)는 미착석 신호의 소모전류, 신호 전송 간격(interval)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미착석 신호 송출의 예를 도시하며, 도 8(c)는 8(b)의 신호송출을 확대한 것이며, 도 8(d)는 관리기기(20)에서 도 8(b) 신호 송출을 수신하는 시간을 기록한 예를 도시한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 non-seat and receiving information by a management device when a passenger is not se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shows an example of current consumption and signal transmission interval of a non-seat signal, Fig. 8(b) shows an example of transmission of a non-seat signal, and Fig. 8(c) shows 8( The signal transmission in b) is expanded, and FIG. 8(d)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time when the management device 20 receives the signal transmission in FIG. 8(b) is record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탑승자 착석 시, 착석에 관한 정보의 전송과 관리기기의 정보수신 과정을 일 예로서 도시한다. 도 9(a)는 착석 신호의 소모전류, 신호 전송 간격(interval)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착석 신호 송출의 예를 도시하며, 도 9(c)는 9(b)의 신호송출을 확대한 것이며, 도 9(d)는 관리기기(20)에서 도 9(b) 신호 송출을 수신하는 시간을 기록한 예를 도시한다. 9 illustrates, as an example, a proces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sea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y a management device when a passenger is seat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shows an example of the current consumption and signal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seating signal, FIG. 9(b) shows an example of the seating signal transmission, and FIG. 9(c) is 9(b) The signal transmission of is expanded, and FIG. 9(d)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time when the management device 20 receives the signal transmission of FIG. 9(b) is record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탑승자 이석 시, 이석에 관한 정보의 전송과 관리기기의 정보수신 과정을 일 예로서 도시한다. 도 10(a)는 이석 신호의 소모전류, 신호 전송 간격(interval)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b)는 이석 신호 송출의 예를 도시하며, 도 10(c)는 9(b)의 신호송출을 확대한 것이며, 도 10(d)는 관리기기(20)에서 도 10(b) 신호 송출을 수신하는 시간을 기록한 예를 도시한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passenger seat and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management device when a passenger is displa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a) shows an example of the current consumption and signal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quarantine signal, Fig. 10(b) shows an example of transmission of the quarantine signal, and Fig. 10(c) is 9(b) The signal transmission of is expanded, and FIG. 10(d)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time when the management device 20 receives the signal transmission of FIG. 10(b) is recorded.

도 11 및 12는 차량에 탑재된 탑승자 착석 감지 방석(10), 차량 내 관리기기(20), 탑승자 안전관리를 위한 서버(30) 및 유치원/학교 관리자의 추가관리기기(40)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등하교 차량의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좌석에 탑재된 방석(10)에서 송출되는 탑승자의 미착석, 착석 및 이석 신호를 차량 내 관리자의 관리기기(20)뿐만 아니라, 관리기기(20)을 통해서, 학교나 유치원의 서버 및 관리교사의 태블릿으로 전송하는 경우, 보다 더 탑승자의 안전관리를 강화할 수 있다.11 and 12 are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the occupant seating detection cushion 10 mounted on the vehicle, the in-vehicle management device 20, the server 30 for safety management of the occupant, and the additional management device 40 of the kindergarten/school administrator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occupant safety management system of the vehicle to and from the school is not only the in-vehicle manager's management device 20, but also the management device 20, which transmits the unseat, seated and unseat signals of the occupant transmitted from the cushion 10 mount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In the case of transmission to a school or kindergarten server and a management teacher's tablet, the safety management of occupants can be further strengthen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착석감지센서를 구비한 방석을 차량에 탑재하고, 스마트폰 등의 관리기기와 서버를 연동하여, 본 발명의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통학 차량 어린이의 차량 승하차 시 미하차와, 차량 운행 중 어린이 이석을 감지 할 수 있어, 차량의 개조 없이도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탑승자 안전관리를 할 수 있다.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that a cushion equipped with a seating sensor is mounted on a vehicle, and a management device such as a smartphone is interlocked with a server, so that the child of a commuting vehicle is provided through the occupant safe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t can detect missed alighting when getting on and off a vehicle, and children's seat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effective and economical occupant safety management can be performed without vehicle modification.

또한 본 발명은 착석 감지센서를 구비한 방석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QR 코드를 방석에 포함하고 있어서, 관리 기기가 차량에 탑재되는 방석의 QR코드를 판독하여 방석의 고유식별정보를 등록하되, 차량 운행 전 초기에는 탑재되는 방석들 전체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등록하고, 차량 운행 개시 이 후에는 교체를 위해 탑재되는 방석에 대해서만 개별적으로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차량에 탑재되는 착석감지 센서 방석의 등록이 간편하고 효율적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QR code for stor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hion having a seating detection sensor in the cushion, so that the management device reads the QR code of the cushion mounted on the vehicle to register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hion, Since it is possible to collectively register all installed cushions at the beginning of vehicle operation, and individually register only cushions mounted for replacement after vehicle operation starts, registration of seating detection sensor cushions mounted on the vehicle This is simple and efficient.

또한 본 발명은 방석의 착석 감지센서의 배터리 상태, 탑승자의 미착석상태, 착석 상태, 및 이석상태를 표시할 수 있어서, 방석의 착석감지 센서 배터리의 상태가 설정 수준 이하일 때, 교체필요를 알리는 경보를 표시하고, 탑승자의 이석 상태와 차량의 속도가 소정속도 이상임이 감지될 경우, 좌석이탈 경보를 표시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관리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the battery status of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of the cushion, the unseat state of the occupant, the seated state, and the seated state, so that when the state of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battery of the cushion is less than a set level, an alarm indicating the need to replace Is displayed, and when it is sensed that the occupant's separate seat and the vehicle's speed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a seat departure warning is displayed, thereby increasing the effect of the occupant's safety management.

또한 본 발명은 방석의 착석 감지센서가 감지한 신호로부터 탑승자의 미착석, 착석, 이석의 상태정보를 관리기기가 탑승자의 미착석, 착석 및 이석 정보를 서로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BLE모듈의 신호전송부의 정보 송출 간격(BLE advertising interval)을 다르게 전송함으로써, 방석의 착석감지 센서 및 신호전송을 위한 배터리 소모를 줄이면서도, 탑승자의 안전관리는 강화하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gnal of the BLE module so that the management device can distinguish between the unseat, seated, and unseat information of the occupant from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ating sensor of the cushion. By differently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interval (BLE advertising interval) of the transmission unit, while reducing the consumption of the seating sensor of the cushion and the battery for signal transmission,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occupants was strengthened.

또한 본 발명은 관리기기를 교체할 경우, 관리기기에 등록된 특정 차량에 관련된 모든 관리 정보는 공유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특정 차량을 관리하는 새로운 관리기기로 전송함으로써, 차량 관리기기 변동에도 간편하게 대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nagement device is replaced, all management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fic vehicle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device is converted into a shared file and transmitted to a new management device that manages the specific vehicle. I can.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서의 관리기기에 연동하는 서버와 추가의 관리기기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차량 내에서뿐만 아니라, 유치원 또는 학교에서 등하교 차량 탑승 어린이의 안전관리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ystematically manage the safety of children on and off vehicles not only in the vehicle, but also in kindergartens or schools by connecting the server linked to the management device in the vehicle and the additional management device through a wireless network.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착석 감지 방석,
11…구동 배터리.
12…착석감지센서,
13…정보처리부.
14…신호전송부.
15…BLE 모듈.
16…착석감지방석 고유식별정보 QR 코드
20…휴대형 관리기기,
21…관리기기에 설치된 안전관리 앱,
22… 관리기기에 저장된 관리정보,
30… 교체 관리기기
32… 교체 관리기기에 저장된 관리정보
10… Seating detection cushion,
11... Powered battery.
12... Seating detection sensor,
13... Information processing department.
14... Signal transmission unit.
15... BLE module.
16... Self-identifying information QR code
20… Portable management device,
21... Safety management app installed on the management device,
22... Manag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management device,
30... Replacement management device
32... Manag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replacement management device

Claims (6)

구동 배터리, 착석감지센서, 정보처리부 및 신호전송부로 구성된 BLE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방석들을 탑재한 적어도 하나의 차량과, 상기 BLE모듈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방석의 상태와 상기 차량의 운행, 승차 및 하차 동안 탑승자의 안전을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기기로 구성된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방석은 자신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QR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 기기는 차량 운행 속도를 감지하는 휴대형 기기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에 탑재되는 상기 방석의 QR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방석의 고유식별정보를 등록하되, 상기 차량 운행 전 초기에는 탑재되는 방석들 전체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등록하고, 상기 차량 운행 개시 이 후에는 교체를 위해 탑재되는 방석에 대해서만 개별적으로 등록하는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
At least one vehicl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ushions including a BLE module consisting of a driving battery, a seating sensor,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a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the state of the cushion and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by rece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LE module , In the occupant safety management system consisting of at least one management device for managing the safety of occupants during boarding and getting off,
The cushion includes a QR code that stores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at least one management device is a portable device that detects a vehicle driving speed, and the at least one management device reads a QR code of the cushion mounted on the at least one vehicle and register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hion, Initially before the vehicle is operated, all the installed cushions are collectively registered, and after the vehicle operation is started, only the cushions mounted for replacement are individually registered.
Passenger safety managemen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석의 BLE모듈의 정보처리부는, 상기 착석 감지센서가 감지한 신호로부터 탑승자의 미착석, 착석, 이석의 상태정보를, 그리고 상기 구동 배터리로부터 배터리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BLE모듈의 신호전송부에 제공하고, 상기 BLE모듈의 신호전송부는 상기 상태정보들을 상기 관리기기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기기는 상기 전송된 상태정보들로부터, 상기 방석의 배터리 상태, 탑승자의 미착석상태, 착석 상태, 및 이석상태를 표시하되, 상기 방석의 배터리의 상태가 설정 수준 이하일 때, 교체필요를 알리는 경보를 표시하고,
상기 탑승자의 이석 상태와 차량의 속도가 소정속도 이상임이 감지될 경우, 좌석이탈 경보를 표시하는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of the BLE module of the cushion collects status information of unseat, seated, and departed passengers from a signal detected by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and transmits a signal of the BLE module by collecting battery status information from the driving battery. And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of the BLE module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device,
From the transmitted status information, the management device displays the battery status of the cushion, the unseat status of the occupant, the seated status, and the unseat status, but notifying the need to replace when the status of the battery of the cushion is less than a set level. Display an alarm,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occupant's seat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a seat departure warning is displayed.
Passenger safety management system.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BLE 모듈의 정보처리부는 상기 착석 감지센서가 감지한 신호로부터 탑승자의 미착석, 착석, 이석의 상태정보를 상기 BLE모듈의 신호전송부가 상기 관리기기에 전송할 때, 상기 관리기기가 탑승자의 미착석, 착석 및 이석 정보를 서로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BLE모듈의 신호전송부의 정보 송출 간격(BLE advertising interval)을 다르게 전송하도록 한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of the BLE module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passenger's unseat, seated, and departed from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to the management device, the management device is ,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the seating and the seating informati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of the BLE module is transmitted differently.
Passenger safety management system.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BLE모듈의 신호전송부의 정보 송출 간격은 미착석인 경우는 최대 간격으로, 착석인 경우는 정상 간격으로, 이석인 경우는 최소 간격으로 연속적인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of the BLE module is the maximum interval in case of unseat, the normal interval in case of seating, and the minimum interval in case of two seats.
Passenger safety management system.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석상태는, 상기 BLE 모듈의 정보처리부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착석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다시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미착석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감지한 경우, 소정의 시간까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착석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 지 못한 상태이며, 상기 BLE 모듈의 정보처리부가 상기 미착석 및 착석상태 정보로부터 형성하는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of the BLE module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the seated state from the detection sensor and then detects a signal indicating the non-seat state again from the detection sensor, until a predetermined time, the detection sensor It is a state in which a signal notifying the seated state has not been received from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of the BLE module is formed from the unseat and seated state information.
Passenger safety managemen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기기를 교체할 경우, 상기 관리기기에 등록된 특정 차량에 관련된 모든 관리 정보를 공유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특정 차량을 관리하는 새로운 관리기기로 전송하도록 구성한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management device is replaced, all management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fic vehicle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device is converted into a shared file, and transmitted to a new management device that manages the specific vehicle.
Passenger safety management system.
KR1020190029485A 2019-03-14 2019-03-14 System for passenger safety management KR2020010980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485A KR20200109807A (en) 2019-03-14 2019-03-14 System for passenger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485A KR20200109807A (en) 2019-03-14 2019-03-14 System for passenger safety managemen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427A Division KR102202736B1 (en) 2020-08-12 2020-08-12 System for passenger safety manag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807A true KR20200109807A (en) 2020-09-23

Family

ID=7270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485A KR20200109807A (en) 2019-03-14 2019-03-14 System for passenger safety mana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980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825A (en) 2017-03-30 2018-10-11 씨아이에스포유 주식회사 Apparatus for checking neglected person inside the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825A (en) 2017-03-30 2018-10-11 씨아이에스포유 주식회사 Apparatus for checking neglected person inside the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41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erting a user to presence of an item in a vehicle
JP2022526932A (en) Vehicle user safety
US9652900B2 (en) Vehicle monitoring system
US20180190110A1 (en) Vehicle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40025252A1 (en) Vehicle collision event announcing system and method
US201100848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mmunicating the actions of riders of group transportation
WO2014074619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vehicle occupants
EP1814092A2 (en) Intelligent occupancy monitoring using premises network
JP2019128744A (en) System and program and the like
KR20180075322A (en) safety system for student school bus
KR100910313B1 (en) Children safeguard system for children transport vehicle using image information
KR102202736B1 (en) System for passenger safety management
KR101961761B1 (en) System for providing safety management of school bus and a method thereof
KR102549382B1 (en) Safety devices and methods for preventing children's accidents
JP5762988B2 (en) Free gate ticket gate system and ticket gate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200109807A (en) System for passenger safety management
KR102282909B1 (en) Bus buzzer remote system
JP2023182752A (en) System, and program or the like
KR20060031772A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826639B1 (en) Notice apparatus of departing person after departure of the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100820108B1 (en) Calculation system for number of bus passenger and method thereof
KR102122816B1 (en) Safty system for child transportation vehicle
JP7454078B1 (en)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CN106157392A (en) Intelligent key system
JP4086139B2 (en) Crime preven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