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752A -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 - Google Patents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752A
KR20200109752A KR1020190029322A KR20190029322A KR20200109752A KR 20200109752 A KR20200109752 A KR 20200109752A KR 1020190029322 A KR1020190029322 A KR 1020190029322A KR 20190029322 A KR20190029322 A KR 20190029322A KR 20200109752 A KR20200109752 A KR 20200109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brush
case
groove
clea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희
박종현
강희주
정다운
진성월
박만욱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9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9752A/ko
Publication of KR20200109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2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for removal of clogging particles
    • B05B15/522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for removal of clogging particles using cleaning elements penetrating the discharg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flat form, e.g. fan-like, sheet-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08B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부(100)가 통과하는 통로(410)가 내측에 형성되고, 비데본체(1000)의 전방에 장착되는 제1케이스(400); 상기 제1케이스(400)와 결합하는 제2케이스(500); 및 상기 제2케이스(500)의 내측에 형성되며 기결정된 형상을 갖는 노즐브러쉬(200); 를 포함하는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A Nozzle cleaning Device using a Brush}
본 발명은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즐브러쉬를 통해 노즐을 세척하고 노즐의 전후이동을 통해 노즐이 이동하면서 노즐의 분사홀에서 유체를 분사하여 노즐브러쉬를 세척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데는 좌변기에 설치되어, 비데본체에 구비되는 노즐을 통해 유체를 분사시켜 항문 세척, 여성 국부 세척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비데의 노즐은 용변 시 비데본체 외부로 노출되어 세척을 수행하므로, 이에오물 튐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오염된 노즐로 비데기능을 사용시 노즐의 세균번식으로 인해 유체도 오염된다. 오염된 유체가 직접 사용자에 접촉하여 사용자의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고, 장치에서 악취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438738호는 세척솔을 구비한 비데용 노즐구조에 관한 것으로, 노즐지지대의 선단부에 노즐가이드의 앞부분에 세척노즐의 노즐팁 부분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솔을 구비한 세척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세척솔과의 접촉에 의해 세척됨에 따라 세척노즐의 팁부분을 수작업으로 세척하지 않아도 되고, 세척수단을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교체가능한 비데용 노즐구조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노즐클리닝장치는 노즐브러쉬를 교체하지 않는다면 이미 오염된 노즐브러쉬로 인해 노즐이 재오염이 되어 노즐장치의 청결이 유지될 수 없고 내구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050299호는 노즐청소가 간편한 비데기에 관한 것으로, 비데기에 설치되어 있는 노즐 전방에 개폐가 자유로운 커버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수시로 노즐상태를 확인하여 항상 깨끗하고 청결하게 노즐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커버의 양단에 마그네틱을 설치하여 커버가 들어올려졌을 때 변좌의 하부에 쉽게 부착되어 청소가 용이하도록 한 비데용 노즐구조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노즐클리닝장치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노즐을 자주 청소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그에 따라 노즐이 오염된 상태로 방치되어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본공개특허문헌 제2009-161936호는 온수세척노즐의 청소장치 및 온수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노즐이 세척장치 케이스 내의 각 진입 스페이스 내에 진입하면, 노즐의 하면 랙에 종동 피니언이 서로 맞물려, 노즐의 진퇴로 종동해 종동 피니언이 회전하고 이 회전이 전당부재를 통해 청소부재로 전달되고 청소부재에 의해 각 노즐이 켜져 노즐청소가 이루어지는 온수세척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노즐클리닝장치는 노즐브러쉬를 교체할 수 없는 구조로 이미 오염된 노즐브러쉬로 인해 계속하여 노즐이 재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노즐을 세척하여 노즐브러쉬가 오엽되고, 노즐브러쉬에 다시 노즐이 오염되는 재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노즐을 세척하는 것만 아니라, 노즐브러쉬를 청결하게 유지하여야 한다.이에 따라, 노즐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노즐을 재오염시키지 않는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438738호 (2008.02.22)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050299호 (2011.07.12)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문헌 제2009-161936호 (2009.07.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브러쉬의 구조를 통해 노즐이 효과적으로 세척될 수 있는 노즐클리닝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노즐의 전후이동과 노즐에서 분사되는 유체로 노즐브러쉬가 세척될 수 있는 노즐클리닝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브러쉬의 탈착을 용이하도록 형성하여 청결관리가 가능한 노즐클리닝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노즐부(100)가 통과하는 통로(410)가 내측에 형성되고, 비데본체(1000)의 전방에 장착되는 제1케이스(400); 상기 제1케이스(400)와 결합하는 제2케이스(500); 및 상기 제2케이스(500)의 내측에 형성되며 기결정된 형상을 갖는 노즐브러쉬(200); 를 포함하는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를 제공한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브러쉬(200)는 제1노즐브러쉬(201) 및 제2노즐브러쉬(202)를 포함하고, 상기 제1노즐브러쉬(201)는 원판형상이며, 중심에 회전홀(210)이 형성되고, 상기 제2노즐브러쉬(202)는 반원형상이며, 상기 노즐부(100)의 횡단면의 상측 절반을 커버하도록 상기 회전홀(2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500)의 전방에 결합하여 상기 노즐브러쉬(200)의 전방을 커버하는 노즐브러쉬커버(2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400) 내측에 형성되는 제1통로(411); 상기 노즐브러쉬커버(220) 내측에 형성되는 제2통로(412); 상기 제2케이스(500) 내측에 형성되는 제3통로(413); 상기 제2케이스(500)는 상기 제3통로(413)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510) 및 상기 제3통로(413)의 내측면의 양 측단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520)를 포함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510)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홈(511) 및 좌우로 연장되는 제2홈(512)이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520)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3홈(5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노즐브러쉬(201)는 상기 제1홈(511)에 삽입되고, 상기 제2노즐브러쉬(202)는 상기 제2홈(512) 및 상기 제3홈(513)에 삽입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100)의 외면 상측 중앙에는 하나 이상의 분사홀(110a, 110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사홀(110a, 110b)과 상기 노즐브러쉬(200)간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하의 범위일 때, 상기 하나이상의 분사홀(110a, 110b)에서 유체가 분사되고, 상기 노즐부(100)가 소정횟수 전후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항에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400)의 하측에는 배수구(420)가 형성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400)와 결합하여, 상기 통로(410)의 전방을 커버하는 도어부(600);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브러쉬(200), 상기 노즐브러쉬커버(220), 상기 제1케이스(400), 상기 제2케이스(500) 및 상기 도어부(600)중 하나 이상은 서로에 대해서 분리 가능한것이 바람직하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400)의 측면에는 함몰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홈(430)이 형성되고, 상기 비데본체(1000)에는 돌출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홈결합부(120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400)의 상기 슬라이딩 홈(430)은 상기 홈결합부(1200)와 결합하여 상기 비데본체(1000)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홈(430)과 상기 홈결합부(1200)는 서로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노즐클리닝장치가 적용된, 비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는 노즐뿐 아니라 노즐브러쉬의 세척기능을 형성하여 노즐과 노즐브러쉬의 청결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노즐브러쉬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여 노즐, 노즐브러쉬 등 노즐클리닝장치의 내부 장치를 보다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장치가 설치된 좌변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클리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클리닝장치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클리닝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를 제외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클리닝장치의 제2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클리닝장치의 노즐브러쉬커버 및 제2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클리닝장치를 제외한 비데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노즐클리닝장치는 노즐브러쉬(200), 제1케이스(400), 제2케이스(500), 도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은 서로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편의상, 도1에서 사용자가 비데장치에 착석한 것을 가정하면, 사용자의 위쪽 부분이 상방, 아래쪽 부분이 하방이며, 사용자가 바라보는 부분이 전방, 사용자의 뒷면을 후방으로 설명한다.
1. 노즐클리닝장치의 구조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노즐클리닝장치 구조를 설명한다.
노즐부(100)는 사용자의 항문 또는 여성 국부에 유체를 분사하는 부분으로 비데본체(1000)에 설치된다. 노즐부(100)는 비데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는 노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부(100)는 사용자의 항문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노즐, 여성 국부를 세척하는 비데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100)는 2개로 도시되었으나, 노즐부(100)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노즐부(100)의 노즐 내측에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어, 유로를 통해 유체가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비데본체(1000) 내부에는 유로의 유량을 조절하는 변환부재가 설치될 수 있어, 설정된 유량, 수류를 조절할 수 있고, 노즐부(100)는 조절된 유량을 분사할 수 있다. 가령, 변환부재의 조절에 의해 비데노즐의 경우에는 세척노즐에 비해 분출되는 유량이 적을 수 있다.
노즐부(100)의 일단 또는 비데본체(1000) 부분에는 노즐부(100)의 전진 및 후진을 위한 구동기구가 설치되어 노즐부(100)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가령, 비데기능을 사용하거나 노즐 및 노즐브러쉬(200) 세척기능을 사용할 때 구동기구가 동작하여 노즐부(100)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의 구동기구는 기어나 모터 등의 기구를 포함할 수 있으나 노즐부(100)의 구동을 조절할 수 있는 기구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노즐부(100)의 동작, 구동기구의 제어 및 변환부재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비데본체(1000)의 제어부(200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노즐부(100)는 제1케이스(400) 내측의 통로(410)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령 노즐부(100)는 비데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비데본체(1000)에 수용되어 있다가, 비데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노출이 필요하면 전방을 향해 전진할 수 있다. 전진한 노즐부(100)는 도어부(600)를 밀어 개방시킨 후 도기수용부(C)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노즐부(100)의 동작이 완료되면 도어부(600) 내측으로 후진할 수 있다. 또한 노즐부(100)는 도어부(600)를 향해 전진 및 후진을 반복할 수 있다.
노즐부(100)는 노즐브러쉬(200)와 하방에 위치하여 접촉한다. 노즐부(100)는 상단의 오염도가 가장 높으므로 노즐브러쉬(200)의 하방에 위치하여 노즐부(100)의 상단이 세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위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노즐부(100)는 노즐브러쉬(200)와 접하여 위치하므로 노즐브러쉬(200)의 이동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노즐부(100)에는 분사홀(110)이 형성될 수 있고 분사홀(110)에서는 유체가 분사될 수 있어 노즐부(100) 및 노즐브러쉬(200)의 세척에 이용될 수 있다. 도 8에서 분사홀(110)은 노즐부(100)의 외면 상측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분사홀(110)은 중앙에 제한되지 않고 외면 상측의 임의의 위치에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노즐부(100)의 내측에는 분사홀(110)에서 분사되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유로의 개폐를 위해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밸브의 개폐에 따라 분사홀(110)에서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되는 유체의 세기와 양은 노즐부(100)로부터 상측에 위치한 노즐브러쉬(200)를 충분히 세척할 수 있다.
제1케이스(400)는 전방 및 후방이 커버되어 있지 않은 케이스이다. 제1케이스(400)의 전방에는 도어부(600)가 결합되어 전방을 커버하고, 제1케이스(400)의 후방에는 노즐브러쉬커버(220)와 결합한 제2케이스(500)와 결합되어 후방을 커버한다. 제1케이스(400)는 통로(410), 배수구(420), 슬라이딩 홈(430)을 포함한다.
통로(410)는 노즐클리닝장치의 내측에 형성되어, 제2케이스(500)의 제1결합부(510) 및 제2결합부(520), 노즐브러쉬(200), 노즐브러쉬커버(220)를 수용하는 공간이고 노즐부(100)는 통로(410)를 통과할 수 있다. 노즐부(100)는 통로(410)에서 전진 및 후진을 반복할 수 있다. 통로(410)의 전방은 도어부(600)와 접하고 있고, 후방은 노즐부(100) 및 비데본체(1000)에 접한다. 통로(410)에서 노즐부(100)는 전진 및 후진을 반복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케이스(400) 내측의 제1통로(411), 노즐브러쉬커버(220) 내측의 제2통로(412), 제2케이스(500) 내측의 제3통로(413)로 나누어 도시하였으나, 제1통로(411) 내지 제3통로(413)는 제1케이스(400)및 노즐브러쉬커버(220)가 결합된 제2케이스(500)가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노즐클리닝장치를 구성함에 따라 연통되는 통로(410)를 형성할 수 있다.
배수구(420)는 잔여물을 배수하는 홀로서 제1케이스(400)의 하측에 형성된다. 예를들어, 배수구(420)는 노즐부(100)에서 유체가 분사된 후 잔여물을 배수할 수 있다. 배수구(420)를 통과한 유체는 도기수용부(C)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구(420)는 제1케이스(40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잔여물을 도기수용부(C)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슬라이딩홈(430)은 제1케이스(400)외관의 측면에 형성되는 함몰된 홈으로 하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1케이스(400)는 노즐브러쉬커버(220)와 결합한 제2케이스(500)와 결합되어 비데본체(1000)에 결합될 수 있고, 비데본체(1000)에는 슬라이딩홈(430)이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돌출되어 하방을 향해 연장된 홈결합부(1200)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홈(430)은 제1케이스(400)를 위로 슬라이딩하면 비데본체(1000)로부터 탈거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제1케이스(400)를 아래로 슬라이딩하면 비데본체(1000)와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딩홈(430)는 노즐클리닝장치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노즐클리닝장치의 내부장치를 별도로 세척하기 용이하다. 슬라이딩홈(430) 및 홈결합부(1200)는 노즐클리닝장치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것으로 제시된 도면의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케이스(500)는 노즐클리닝장치의 후방을 일부 커버하는 케이스로, 노즐브러쉬커버(220)와 결합하여 제1케이스(400)에 결합된다. 노즐브러쉬커버(220)와 결합한 제2케이스(500)와 제1케이스(400)가 결합하면, 제1통로(411) 내지 제3통로(413)가 연통되어 통로(410)가 형성될 수 있다. 통로(410)는 노즐부(100)가 통과될 수 있다. 제2케이스(500) 의 후방은 비데본체(1000)와 연결되고, 노즐부(100)가 비데본체(1000)로부터 통로(410)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케이스(500)의 전방은 제1결합부(510), 제2결합부(520)을 포함한다.
제1결합부(510)는 제1노즐브러쉬(201) 및 제2노즐브러쉬(202)를 고정한다. 제1결합부(510)는 제2케이스(500)의 상단에 형성되어 제1홈(511) 및 제2홈(512)이 형성된다. 제1홈(511)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홈(512)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홈(511) 및 제2홈(512)은 상호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홈(511)에는 제1노즐브러쉬(201)가 장착된다. 제1노즐브러쉬(201)의 형상과 크기에 맞게 제1홈(5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노즐브러쉬(201)는 노즐부(100)와 접촉하여 회전하여야 하므로 제1홈(511)은 제1노즐브러쉬(201)의 측면을 모두 커버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제2홈(512)에는 제2노즐브러쉬(202)의 상단부가 장착된다. 제1홈(511) 및 제2홈(512)의 교차부분에는 제2노즐브러쉬(202)의 상단부 및 노즐브러쉬(200)가 관통한다.
제2홈(512)에는 제2노즐브러쉬(202)의 상단부가 장착된다. 제1홈(511) 및 제2홈(512)의 교차부분에는 제2노즐브러쉬(202)가 관통한다.
제2결합부(520)는 제2노즐브러쉬(202)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제2노즐브러쉬(202)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결합부(520)는 제2케이스(500)의 내측에 형성된 제2통로(412)의 하방에 양쪽으로 형성되어 제2노즐브러쉬(202)의 하단이 결합될 수 있다. 제2결합부(520)은 제2노즐브러쉬(202)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된 제3홈(521)이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노즐브러쉬(200)는 노즐부(100)를 세척하는 브러쉬이다. 노즐브러쉬(200)는 제2케이스(500)의 제2통로(412)의 상측에 위치하여 노즐부(100)의 외면상측을 세척할 수 있으나, 노즐브러쉬(200)의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노즐부(100)의 오염은 오물튐으로 인하여 노즐 팁 등 상단부의 오염도가 높으므로, 노즐부(100)의 상단부가 포함되게 세척할 수 있도록 노즐브러쉬(200)의 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브러쉬(200)의 전방에는 노즐브러쉬커버(220)가 있어 노즐브러쉬(200)를 커버할 수 있다.
도 2에서, 노즐브러쉬(200)는 제1노즐브러쉬(201)와 제2노즐브러쉬(202)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제1노즐브러쉬(201)는 원판형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제1노즐브러쉬(201)의 중심에는 작은 구멍인 회전홀(210)이 생성된다.
제1노즐브러쉬(201)는 제2노즐브러쉬(202)에 끼워져 제2케이스(500)의 제1결합부(510)에 장착된다. 제1노즐브러쉬(201)는 제1결합부(510)에 형성된 형성된 제1홈(511)에 장착된다. 제1노즐브러쉬(201)는 노즐부(100)의 전진 및 후진에 따라 노즐부(100)와 접촉하면서 회전함에 따라, 노즐부(100)를 세척할 수 있고, 노즐부(100)에 의해 노즐브러쉬(200)가 세척될 수 있다. 특히 제1노즐브러쉬(201)는 노즐부(100)의 분사홀(110)을 집중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제1노즐브러쉬(201)는 제2노즐브러쉬(202)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착탈에 용이한바 별도로 세척할 수 있고 교체될 수 있어 청결하게 유지하지 할 수 있다.
제2노즐브러쉬(202)는 제1노즐브러쉬(201)를 거치하고 노즐부(100)의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제2노즐브러쉬(202)는 반원형상으로 노즐부(100)의 횡단면의 상측 절반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제1노즐브러쉬(201)에 비해 노즐부(200)와 최대한 접촉되게 형성되어 제2노즐브러쉬(202)는 제1노즐브러쉬(201)가 닿지 못하는 부분까지 노즐부(100)를 세척할 수 있고, 노즐부(100)의 세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노즐브러쉬(200)는 노즐부(100)를 세척하기 위한 것인바, 도시된 노즐브러쉬(200)의 형상 이외에 노즐부(100)를 세척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정구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노즐브러쉬(202)는 제1노즐브러쉬(201)의 회전홀(210)을 관통하여 제1노즐브러쉬(201)를 끼워 거치할 수 있다. 이 때 회전홀(210)의 직경은 제2노즐브러쉬(202)의 가장 큰 단면길이 보다 크므로 제2노즐브러쉬(202)가 회전홀(210)에 끼워져 제1노즐브러쉬(201)를 관통할 수 있고, 제1노즐브러쉬(201)는 제2노즐브러쉬(202)에 장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제1노즐브러쉬(201)가 거치된 제2노즐브러쉬(202)는 제1노즐브러쉬(201)와 함께 제2케이스(5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노즐브러쉬(202)는 제1결합부(510)의 제2홈(512)에 장착되고 제3홈(521)에 장착된다. 제2노즐브러쉬(202)는 제1결합부(510) 및 제2결합부(520)로부터 착탈이 용이하다.
회전홀(210)은 제1노즐브러쉬(201)에 형성되는 미세한 구멍으로, 제2노즐브러쉬(202)를 관통시켜 제1노즐브러쉬(20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노즐브러쉬커버(220)는 제2케이스(500)에 결합하여, 노즐브러쉬(200)를 전방에서 커버한다. 노즐브러쉬커버(220)는 제2케이스(500)와 상면 및 측면을 결합한 채로 제1케이스(400)의 상면 및 측면에 결합한다. 노즐브러쉬커버(220)는 도어부(600)의 후방에 형성되어 노즐브러쉬(200)를 전방에서 커버한다. 노즐브러쉬커버(220)는 노즐부(100)의 상면보다 위로 형성되어 노즐부(100)와 접촉하지 않고 노즐부(100)가 지나갈 수 있는 형상이면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노즐브러쉬(200)에는 돌기(230)가 형성되어 있어, 노즐부(100)에 묻어있는 이물질과 접촉할 수 있다. 돌기(230)는 노즐부(100)와 직접 접촉하여 노즐부(100)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부착하여, 노즐부(100)를 세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230)는 제1노즐브러쉬(201)와 노즐부(10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세척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제2노즐브러쉬(202)와 노즐부(10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돌기(230)를 통해, 제1노즐브러쉬(201)와 노즐부(100)가 접촉하는 면적은 원주단면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이 노즐부(100)와 접촉되어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도어부(600)는 제1케이스(400)의 전방에 결합되어 평상시 노즐부(100)가 외측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먼지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노즐클리닝장치의 청결 및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8에서 노즐의 개수는 2개로 도시되나, 노즐의 개수에 따라 도어부(600)의 도어의 개수도 달라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도어부(6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부(600)는 전방을 향하여 열리고, 도어부(600)는 아래에서 위로 개방되어 노즐부(100)가 도어부(600)를 밀어올림으로써 개방될 수 있고, 노즐부(100)가 후진하여 제1케이스(400) 내부로 수용됨에 따라 폐쇄될 수 있다. 또한 도어부(600)는 위에서 아래로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으므로, 제시한 개폐방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어부(600)는 제1케이스(400)로부터 착탈될 수 있어 제1케이스(400)안을 세척하기 용이하고 도어부(600)의 청결관리에 용이하다.
2. 노즐클리닝장치의 세척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클리닝장치에 의해 노즐부(100) 및 노즐브러쉬(200)가 세척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노즐부(100)는 제1케이스(400)의 통로(410)에서 도어부(600)를 향해 전후이동한다. 노즐부(100)가 도어부(600)를 향해 후진하면 노즐부(100)의 일면에 위치하는 분사홀(110)에서 유체가 분사된다. 유체는 노즐브러쉬(200)를 향해 분사되므로, 분사된 유체는 노즐브러쉬(200)에 접촉하고, 낙하된 유체는 노즐부(100)에도 접촉한다. 유체가 묻은 채로 노즐부(100)가 도어부(600)를 향해 전진 및 계속하여 후진하면 노즐브러쉬(200)에 존재하였던 이물질의 일부가 노즐부(100)로 이동한다. 다시 노즐부(100)가 도어부(600)를 향해 후진하면 유체가 분사되고 노즐부(100)의 부착된 이물질은 유체와 함께 배수될 수 있다. 노즐부(100)는 도어부(600)를 향해 전후이동을 일정횟수 반복한다. 전후이동을 일정횟수 반복하면 노즐브러쉬(200)에 존재하였던 이물질을 제거하기에 충분하고, 노즐브러쉬(200)에서 노즐부(100)로 일부 이동한 이물질도 전후이동을 통해 털어준 결과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거쳐 노즐브러쉬(200) 및 노즐부(100)에 원래 잔존하였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유체는 노즐부(100) 및 노즐브러쉬(200)의 이물질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분사된다. 잔여된 유체는 제1케이스(400)의 하단부에 위치한 배수구(420)를 통해 배출되고, 배수구(420)를 통과한 잔여된 유체는 도기내부의 수용부(C)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노즐부
110: 분사홀
200: 노즐브러쉬
201: 제1노즐브러쉬
202: 제2노즐브러쉬
210: 회전홀
220: 노즐브러쉬커버
230: 돌기
400: 제1케이스
410: 통로
411: 제1통로
412: 제2통로
413: 제3통로
420: 배수구
430: 슬라이딩 홈
500: 제2케이스
510: 제1결합부
511: 제1홈
512: 제2홈
520: 제2결합부
521: 제3홈
600: 도어부
1000: 비데본체
1200: 홈결합부
2000: 제어부

Claims (12)

  1. 노즐부(100)가 통과하는 통로(410)가 내측에 형성되고, 비데본체(1000)의 전방에 장착되는 제1케이스(400);
    상기 제1케이스(400)와 결합하는 제2케이스(500); 및
    상기 제2케이스(500)의 내측에 형성되며 기결정된 형상을 갖는 노즐브러쉬(200); 를 포함하는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브러쉬(200)는 제1노즐브러쉬(201) 및 제2노즐브러쉬(202)를 포함하고,
    상기 제1노즐브러쉬(201)는 원판형상이며, 중심에 회전홀(210)이 형성되고,
    상기 제2노즐브러쉬(202)는 반원형상이며, 상기 노즐부(100)의 횡단면의 상측 절반을 커버하도록 상기 회전홀(2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500)의 전방에 결합하여 상기 노즐브러쉬(200)의 전방을 커버하는 노즐브러쉬커버(220)를 더 포함하는,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400) 내측에 형성되는 제1통로(411);
    상기 노즐브러쉬커버(220) 내측에 형성되는 제2통로(412);
    상기 제2케이스(500) 내측에 형성되는 제3통로(413);
    상기 제2케이스(500)는 상기 제3통로(413)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510) 및 상기 제3통로(413)의 내측면의 양 측단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520)를 포함하는,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510)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홈(511) 및 좌우로 연장되는 제2홈(512)이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520)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3홈(5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노즐브러쉬(201)는 상기 제1홈(511)에 삽입되고,
    상기 제2노즐브러쉬(202)는 상기 제2홈(512) 및 상기 제3홈(513)에 삽입되는,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100)의 외면 상측 중앙에는 하나 이상의 분사홀(110a, 110b)이 형성되는,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사홀(110a, 110b)과 상기 노즐브러쉬(200)간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하의 범위일 때, 상기 하나이상의 분사홀(110a, 110b)에서 유체가 분사되고, 상기 노즐부(100)가 소정횟수 전후 이동하는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
  8. 제1항에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400)의 하측에는 배수구(420)가 형성되는,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400)와 결합하여, 상기 통로(410)의 전방을 커버하는 도어부(600); 를 포함하는,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브러쉬(200), 상기 노즐브러쉬커버(220), 상기 제1케이스(400), 상기 제2케이스(500) 및 상기 도어부(600)중 하나 이상은 서로에 대해서 분리 가능한,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400)의 측면에는 함몰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홈(430)이 형성되고,
    상기 비데본체(1000)에는 돌출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홈결합부(120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400)의 상기 슬라이딩 홈(430)은 상기 홈결합부(1200)와 결합하여 상기 비데본체(1000)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홈(430)과 상기 홈결합부(1200)는 서로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노즐클리닝장치가 적용된,
    비데장치.
KR1020190029322A 2019-03-14 2019-03-14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 KR20200109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322A KR20200109752A (ko) 2019-03-14 2019-03-14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322A KR20200109752A (ko) 2019-03-14 2019-03-14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752A true KR20200109752A (ko) 2020-09-23

Family

ID=72708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322A KR20200109752A (ko) 2019-03-14 2019-03-14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97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2898B2 (ja) 温水洗浄便座装置
JPH03201919A (ja) ブラシ状シャワー器具
JP2008168230A (ja) 浴室洗浄装置及び浴室ユニット
US20110010834A1 (en) Device for removably coupling disposable nozzle tip for bidet
JP2009161936A (ja) 温水洗浄ノズルの掃除装置及び温水洗浄装置
JP2008240403A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4940748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KR20200109752A (ko) 브러쉬를 이용한 노즐클리닝장치
CN110420765B (zh) 一种清洁喷头组件和自清洁浴缸
JP4211544B2 (ja) 温水洗浄装置及びノズルの洗浄方法
JP6779374B2 (ja) 衛生可視性の付与のための洗浄及びビデノズル分離構造を有するビデ装置
KR20110011505U (ko) 노즐 세척커버 및 이를 갖는 비데
JP4984629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CN213665034U (zh) 一种马桶座圈清洗机
JP4905205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KR20150145761A (ko) 노즐 세척부를 구비한 비데 장치
JP2001355272A (ja) 人体局部洗浄装置
JP5338020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7340437B2 (ja) 局部洗浄装置及び水洗便器
KR20210002261U (ko) 노즐 세척부가 구비된 비데
CN216020839U (zh) 一种可防止污水外溢的表面清洁装置
CN215914453U (zh) 一种地刷及地面清洁设备
JP3874126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TW201322947A (zh) 自動沖洗馬桶蓋組
KR200447140Y1 (ko) 비데의 일회용 노즐팁 착탈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