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621A - Scroll compressor - Google Patents

Scroll compres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621A
KR20200109621A KR1020190028911A KR20190028911A KR20200109621A KR 20200109621 A KR20200109621 A KR 20200109621A KR 1020190028911 A KR1020190028911 A KR 1020190028911A KR 20190028911 A KR20190028911 A KR 20190028911A KR 20200109621 A KR20200109621 A KR 20200109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croll
scroll compressor
oil return
retur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9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9532B1 (en
Inventor
이경재
서정기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8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532B1/en
Publication of KR20200109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6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5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8Lubrica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oll compressor in which a fixed scroll with the outer wall removed in order to increase a compression capacity of a refrigerant is disposed. In the scroll compressor, a pressure-reducing bridge means connecting the fixed scroll and a center head is disposed in order to constitute an oil recovery unit connecting an oil separation unit of a discharge chamber, a suction chamber flow path, and a back pressure chamber flow path. The scroll compressor comprises a casing, a driving unit, a center head, the discharge chamber, a rotary scroll, the fixed scroll, the back pressure chamber, and the bridge means.

Description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Scroll compressor {SCROLL COMPRESSOR}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매의 압축용량을 증대하기 위해 외벽을 제거한 고정스크롤이 배치된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토출실의 오일분리부와 흡입실유로 및 배압실유로를 연결하는 오일회수부를 구성하기 위해 고정스크롤과 센터헤드를 연결하는 감압형 브릿지수단을 배치한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oll compressor, and more particularly, in a scroll compressor having a fixed scroll with an outer wall removed to increase a compression capacity of a refrigerant, an oil separation unit of a discharge chamber, a suction chamber flow passage, and a back pressure chamber flow passage are connected. It relates to a scroll compressor in which a pressure-reducing bridge means connecting a fixed scroll and a center head is disposed to constitute an oil recovery unit.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A/C)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냉방시스템의 구성으로서 증발기로부터 인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시켜 응축기로 보내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있다. In general, an air conditioning device (Air Conditioning (A/C)) for cooling and heating indoors is installed in automobiles. Such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mpressor that compresses a low-temperature, low-pressure gaseous refrigerant introduced from an evaporator into a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eous refrigerant and sends it to a condenser.

압축기에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는 왕복식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왕복식에는 구동원의 전달방식에 따라 크랭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식, 사판이 설치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사판식 등이 있고, 회전식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 로터리식,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 There are two types of compressors: a reciprocating type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according to a reciprocating motion of a piston, and a rotary type for performing compression while performing a rotary motion. The reciprocating type includes a crank type that transmits to a plurality of pistons using a crank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method of the driving source, and a swash plate type that transmits to a rotating shaft with a swash plate.The rotary type includes a vane rotary type that uses a rotating rotary shaft and vanes, There are two types of scroll type using orbiting scroll and fixed scroll.

스크롤 압축기는 다른 종류의 압축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압축비를 얻을 수 있으면서 냉매의 흡입,압축,토출 행정이 부드럽게 이어져 안정적인 토오크를 얻을 수 있는 장점 때문에 공조장치 등에서 냉매압축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Scroll compressors are widely used for refrigerant compression in air conditioners because they can obtain a relatively high compression ratio compared to other types of compressors, and smoothly connect refrigerant suction, compression, and discharge strokes to obtain stable torque.

스크롤 압축기의 경우 선회스크롤과 고정스크롤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이때 선회스크롤은 모터에 연결된 구동샤프트의 단부에 배치된 편심 부시에 연결되고, 구동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편심 부시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으로 고정스크롤과의 압축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In the case of a scroll compressor, 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orbiting scroll and the fixed scroll. At this time, the orbiting scroll is connected to an eccentric bush disposed at an end of the driving shaft connected to the motor, and a compression region with the fixed scroll is formed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by the eccentric bus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shaft.

이러한 스크롤 압축기는 전동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동 압축기의 분류에 속할 수 있다. Such a scroll compressor may be implemented as an electric type, and in this case, it may belong to a classification of an electric compressor.

전동 압축기의 경우 모터를 구동하여 선회스크롤을 회전시키는데, 모터는 고정자와 회전자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으로 회전력을 발생시켜, 회전자에 연결된 구동샤프트를 회전시키게 된다. In the case of an electric compressor, a motor is driven to rotate the orbiting scroll. The motor generates rotational force through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stator and the rotor, thereby rotating the drive shaft connected to the rotor.

도 1에는 스크롤 압축기(1)의 일 예에 대한 측단면도가 게시되어 있다. 도 1를 참고하면, 흡입실(D)에서 압축실(C)로 냉매가 유입되면, 샤프트(2a)와 핀으로 연결된 편심부시(2c)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편심부시(2c)와 연결된 선회스크롤(3a)도 회전하게 된다. 압축실(C)의 냉매는 선회스크롤(3a)와 고정스크롤(3b)간의 상호 압축 작용에 의해 압축되고 토출홀(3c)을 통해 토출실(4)로 유입된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the scroll compressor 1 is posted. Referring to Figure 1, when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suction chamber (D) to the compression chamber (C), the shaft (2a) and the eccentric bush (2c) connected by a pin rotates, and accordingly, the eccentric bush (2c) and the rotation connected. The scroll 3a is also rotated. The refrigerant in the compression chamber (C) is compressed by a mutual compression action between the orbiting scroll (3a) and the fixed scroll (3b), and flows into the discharge chamber (4) through the discharge hole (3c).

이때 토출실(4)로 유입된 냉매에는 모터(미도시)가 배치된 흡입실(D)를 거쳐 온 것이어서 오일이 함유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chamber 4 contains oil because it has been passed through the suction chamber D in which a motor (not shown) is disposed.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에는 토출실(4)의 일편에 형성된 오일회수부(5)가 고정스크롤(3b)의 최외벽에 형성된 홀과 연결되고, 오일을 함유한 냉매는 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를 거치며 감압되며, 흡입실로 오일을 회귀시키게 된다. In a conventional scroll compressor, an oil recovery part 5 formed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chamber 4 is connected to a hole formed in the outermost wall of the fixed scroll 3b, and a refrigerant containing oil moves along the hole, at least one It is depressurized through the above orifice, and the oil is returned to the suction chamber.

최근에는 당해 업계에서는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용량을 증대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를 위해 선회스크롤과 고정스크롤의 축방향 길이를 늘려 증대하는 방법, 선회스크롤과 고정스크롤의 반경방향 크기를 늘려 증대하는 방법 등이 고려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in the industry, efforts to increase the compression capacity of the scroll compressor have been continued. For this, a method of increasing the axial length of the orbiting scroll and the fixed scroll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method of increasing the size of the orbiting scroll and the fixed scroll in the radial direction are considered.

그런데 축방향 길이를 늘리는 경우 내구성이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반경방향으로 크기를 확대하는 방법이 논의되었고, 일 예로 고정스크롤의 최외벽을 제거하여 선회스크롤의 회전반경을 확대하여 압축용량을 늘리는 방법이 고려된다. However, when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is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durability becomes weak. Therefore, a method of expanding the size in the radial direction has been discussed, and as an example, a method of increasing the compression capacity by expanding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orbiting scroll by removing the outermost wall of the fixed scroll is considered.

다만 이 경우 도 1에 게시된 고정스크롤(3b)을 기준으로 하면, 고정스크롤의 최외벽이 제거됨에 따라 오일회수유로를 가공될 고정스크롤(3)상의 외벽 영역이 없어, 오일분리부(5)와 배압실(B) 및 흡입실(D)을 연결하는데 문제가 발생한다. However, in this case, based on the fixed scroll (3b) posted in FIG. 1, there is no outer wall area on the fixed scroll (3) where the oil return passage is to be processed as the outermost wall of the fixed scroll is removed, so the oil separation unit (5) A problem occurs in connecting the back pressure chamber (B) and the suction chamber (D).

국내특허 공개번호:10-2016-0108037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10-2016-010803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매의 압축용량을 증대하기 위해 외벽을 제거한 고정스크롤이 배치된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토출실의 오일분리부와 흡입실유로 및 배압실유로를 연결하는 오일회수부를 구성하기 위해 고정스크롤과 센터헤드를 연결하는 감압형 브릿지수단을 배치한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roll compressor having a fixed scroll with an outer wall removed to increase the compression capacity of a refrigerant. It is to provide a scroll compressor in which a pressure-reducing bridge means connecting a fixed scroll and a center head is disposed to constitute an oil recovery part connecting the part to the suction chamber flow path and the back pressure chamber flow path.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된 구동부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구동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샤프트가 관통되며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는 센터헤드; 상기 케이싱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실; 상기 구동샤프트에 연결되는 선회스트롤;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선회스크롤과의 상호 연동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실을 형성하며, 상기 토출실의 오일분리부와 연결되는 제1 오일회수유로가 형성된 고정스크롤; 상기 센터헤드와 상기 선회스크롤간에 형성되는 배압실; 및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와 상기 센터헤드를 연결하며 배치되고, 냉매를 감압하여 오일을 회수하는 브릿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relates to a scroll compressor, the casing; A driving unit disposed in the driving unit receiving space formed inside the casing and rotating the driving shaft; A center head through which the driving shaft is disposed and connected to the casing; A discharge chamber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ing and through which a refrigerant is discharged; A orbiting stroller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A fixed scroll fixed inside the casing, forming a compression chamber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by interworking with the orbiting scroll, and having a first oil return passage connected to the oil separation portion of the discharge chamber; A back pressure chamber formed between the center head and the orbiting scroll; And a bridge means arranged to connect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and the center head to recover oil by depressurizing the refrigera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터헤드에는 흡입실과 연결되는 제2 오일회수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수단은 상기 제2 오일회수유로와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oil return passage connected to the suction chamber may be formed in the center head, and the bridge means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oil return pass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릿지수단과 상기 제2 오일회수유로 사이에는 상기 배압실과 연결되는 배압실유로가 이어지는 분기점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anch point may be formed between the bridge means and the second oil return passage through which a back pressure chamber passage connected to the back pressure chamber is connec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오일회수유로에는 냉매를 감압하며 오일을 회수하는 감압오리피스;가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compression orifice for depressurizing a refrigerant and recovering oil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oil return pass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스크롤은, 중앙측에 토출포트가 배치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신장부가 형성된 고정 경판부; 및 상기 고정 경판부에서 상기 선회스크롤 방향으로 돌기된 고정 랩;을 포함하되, 상기 신장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단턱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고정 랩의 외측 둘레는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는 상기 고정 경판부상에서 상기 고정 랩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수단에 의해 상기 흡입실과 직접 연통되게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scroll includes: a fixed plate portion having a discharge port disposed at a central side and an elongated portion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And a fixed wrap protruding from the fixed plate portion in the orbiting scroll direction, wherein the extension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to a stepped portion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sing,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ed wrap is open, The first oil recovery passage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xed wrap on the fixed plate part, and may be configured to be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chamber by the bridge mea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릿지수단은,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와 상기 센터헤드에 압입 고정되며 배치되는 브릿지관; 상기 브릿지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오리피스관; 및 상기 브릿지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오리피스관을 고정하는 고정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means includes: a bridge pipe that is press-fitted and fixed to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and the center head; An orifice tube disposed inside the bridge tube; And a fixing block disposed inside the bridge pipe and fixing the orifice pip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릿지수단은, 고정블록의 외측 둘레에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실링안착부; 및 상기 실링안착부에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means includes: a sealing seat formed to be recessed in an inward direction arou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ed block; And a sealing member disposed on the sealing sea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리피스관의 중앙측에는 냉매가 통과하는 오리피스홀에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관의 외측 둘레에는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삽입홈이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an orifice hol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orifice tube, and an insertion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in an inward direction may be disposed arou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orifice tub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블록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trusion to be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arou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block.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블록상에서 상기 실링안착부의 공간확보를 위해, 상기 실링안착부는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ecure a space of the sealing seat on the fixed block, the sealing seat may be disposed outsid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릿지관은 상기 토출실의 압력과 상기 배압실의 압력간의 차압에 의해 상기 오리피스관 및 상기 고정블록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에서 상기 센터헤드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내경감소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pipe is in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to the center head so that the orifice pipe and the fixing block are not separated by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pressure of the back pressure chamber. An inner diameter reducing portion of which the inner diameter is gradually decreased may be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릿지관은 상기 토출실의 압력과 상기 배압실의 압력간의 차압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센터헤드측보다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측에 상대적으로 깊게 압입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pipe may be press-fit and fixed relatively deeply to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side rather than the center head side so as not to be separated by a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pressure of the back pressure chamber. ha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릿지수단은, 상기 고정블록에서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배치되는 스크린메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means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fixed block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il recovery passage; And a screen mesh disposed on the extension p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장부는, 상기 오리피스관의 길이방향 양측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 방향으로 신장되는 한 쌍의 신장바; 및 상기 한 쌍의 신장바의 단부를 연결하는 엔드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메시는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엔드블록 및 상기 한 쌍의 신장바가 형성하는 구획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portion includes a pair of extension bars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orifice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il recovery passage; And an end block connecting ends of the pair of extension bars, wherein the screen mesh may be disposed in a partition formed by the fixed block, the end block, and the pair of extension bar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한 쌍의 신장바의 서로 마주보는 측에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관의 단부를 고정하는 지지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par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bar formed on a side facing each other of the pair of extension bars and fixing an end of the orifice tube.

본 발명은 냉매의 압축용량을 증대하기 위해 외벽을 제거한 고정스크롤과 센터헤드 사이에 브릿지관을 배치함으로써, 토출실의 오일분리부와 흡입실유로 및 배압실유로를 연결하는 오일회수부를 구성하여, 오일을 함유한 냉매가 흡입실과 배압실로 안정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n oil recovery part connecting the oil separation part of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suction chamber flow path and the back pressure chamber flow path by arranging a bridge pipe between the center head and the fixed scroll with the outer wall removed to increase the compression capacity of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containing oil can flow stably into the suction chamber and back pressure chamber.

이때 브릿지관 내부에는 갑압형 오리피스관을 배치하여 냉매가 감압되어 배압실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고정스크롤측을 더 깊고 단단하게 압입고정되도록 하여 브릿지관이 차압으로 인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리고 브릿지관에 내경감소부를 형성하여 차압에 의해 오리피스관이 센터헤드측으로 밀리는 것을 차단하였다. At this time, a pressure type orifice tube was placed inside the bridge tube so that the refrigerant was depressurized and supplied to the back pressure chamber. In addition, by making the fixed scroll side more deeply and firmly press-fitting, the bridge pipe wa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due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In addition, an inner diameter reduction part was formed in the bridge pipe to prevent the orifice pipe from being pushed toward the center head by differential pressure.

도 1은 종래 스크롤 압축기의 오일회수부 구조를 나타낸 부분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스크롤 압축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스크롤 압축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
도 4은 도 2에서 A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서 브릿지수단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서 고정스크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1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oil recovery part of a conventional scroll compressor.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ors scroll compressor.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croll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in FIG. 2.
Figures 5a and 5b is a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bridge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xed scroll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scroll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동 압축기 또는 스크롤 압축기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First, a structure of an electric compressor or scroll compress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동 압축기 또는 스크롤 압축기는, 케이싱(10),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20), 상기 구동부(2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샤프트(30), 상기 구동샤프트(30)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4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electric compressor or scroll compress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casing 10, a driving unit 20 generating a driving force inside the casing 10, and a driving unit rotated by the driving unit 20. It may include a shaft 30, a compression mechanism 40 that is driven by the drive shaft 30 to compress the refrigerant.

상기 케이싱(10)은, 상기 구동부(20)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11), 상기 구동부(20)를 제어하는 인버터(50)을 수용하는 제2 하우징(12) 및 상기 압축기구(40)을 수용하는 제3 하우징(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sing 10 includes a first housing 11 accommodating the driving unit 20, a second housing 12 accommodating an inverter 50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20, and the compression mechanism 40 It may include a third housing 13 to accommodate.

상기 제1 하우징(11)은, 환형벽(11a), 상기 환형벽(11a)의 일단부를 복개하는 제1 격벽(11b) 및 상기 환형벽(11a)의 타단부를 복개하는 제2 격벽(11c)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벽(11a), 상기 제1 격벽(11b) 및 상기 제2 격벽(11c)이 상기 구동부(20)가 수용되는 구동부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11 includes an annular wall 11a, a first partition 11b covering one end of the annular wall 11a, and a second partition 11c covering the other end of the annular wall 11a. ), and the annular wall 11a, the first partition 11b, and the second partition 11c may form a driving part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driving part 20 is accommodated.

상기 제2 하우징(12)은 상기 제1 격벽(11b) 측에 결합되어 상기 인버터(50)이 수용되는 인버터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12 may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1b to form an inverter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inverter 50 is accommodated.

상기 제3 하우징(13)은 상기 제2 격벽(11c) 측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기구(40)이 수용되는 압축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third housing 13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artition wall 11c to form a compression space in which the compression mechanism 40 is accommodated.

여기서, 상기 제2 격벽(11c)은 상기 구동부 수용공간과 상기 압축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압축기구(40)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 역할을 수행하며, 그 제2 격벽(11c)의 중심 측에는 상기 구동부(20)와 상기 압축기구(40)을 연동시키는 상기 구동샤프트(30)이 관통하는 축수공(14a)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partition wall 11c partitions the driving unit receiving space and the compression space, and serves as a main frame supporting the compression mechanism 40, and the driving unit is located at the center sid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1c. A shaft hole 14a through which the drive shaft 30 interlocks the compression mechanism 40 with the 20 may be formed.

한편, 상기 압축기구(40)의 고정 스크롤(41)이 상기 제2 격벽(11c)에 체결되고, 상기 제3 하우징(13)이 그 고정 스크롤(41)에 체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3 하우징(13)이 상기 압축기구(40)을 수용하며 상기 제2 격벽(11c)에 체결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xed scroll 41 of the compression mechanism 40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partition wall 11c, and the third housing 13 may be fastened to the fixed scroll 4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ird housing 13 may accommodate the compression mechanism 40 and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partition wall 11c.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제1 하우징(11)에 고정되는 고정자(21) 및 상기 고정자(21)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자(21)와의 상호 작용으로 회전되는 회전자(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20 may include a stator 21 fixed to the first housing 11 and a rotor 22 rotated by interaction with the stator 21 inside the stator 21. .

상기 구동샤프트(30)은 상기 회전자(2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그 구동샤프트(30)의 일단부가 상기 회전자(22)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격벽(11b) 측으로 돌출되고, 그 구동샤프트(30)의 타단부가 상기 회전자(22)를 기준으로 상기 제2 격벽(11c)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driving shaft 30 passe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or 22, and one end of the driving shaft 30 protrudes toward the first partition wall 11b with respect to the rotor 22, and is driven. The other end of the shaft 30 may protrude toward the second partition wall 11c based on the rotor 22.

상기 구동샤프트(30)의 일단부(30a)는 상기 제1 격벽(11b)의 중심 측에 구비되는 제1 베어링(7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One end portion 30a of the driving shaft 30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a first bearing 71 provided at a center sid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1b.

여기서, 상기 제1 격벽(11b)의 중심 측에는 상기 제1 베어링(71) 및 상기 구동샤프트(3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 지지홈(11d)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어링(71)은 상기 제1 지지홈(11d)과 상기 구동샤프트(30)의 일단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Here, a first support groove 11d into which one end of the first bearing 71 and the driving shaft 30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center sid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1b, and the first bearing 71 I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groove (11d) and one end of the drive shaft (30).

상기 구동샤프트(30)의 타단부(30b)는 상기 제2 격벽(11c)의 축수공(14a)을 관통하여 상기 압축기구(40)에 연결될 수 있다.The other end portion 30b of the drive shaft 30 may pass through the shaft hole 14a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1c and be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mechanism 40.

그리고, 상기 회전축(30)의 타단부(30b)는 연결핀(31)에 의해 편심 부시(33)가 연결된다. 상기 편심 부시(33)는 상기 압축기구(40)에 구비되는 제3 베어링(7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베어링(73)과 연계되어 선회 스크롤(42)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eccentric bush 33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30b of the rotation shaft 30 by a connection pin 31. The eccentric bush 33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a third bearing 73 provided in the compression mechanism 40. In addition,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orbiting scroll 42 in connection with the third bearing 73.

여기서, 상기 제2 격벽(11c)의 축수공(14a)에는 상기 제2 베어링(72)이 배치되는 제2 지지홈(14b)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베어링(72)은 상기 제2 지지홈(14b)과 상기 회전축(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Here, a second support groove 14b in which the second bearing 72 is disposed is formed in the shaft hole 14a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1c, and the second bearing 72 is the second support groove It may be interposed between (14b) and the rotation shaft (30).

그리고, 상기 압축기구(40)의 선회 스크롤(42)에는 상기 제3 베어링(73)과 상기 편심 부시(33)가 삽입되는 보스부(42a)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베어링(73)은 상기 보스부(42a)와 상기 편심 부시(3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In addition, a boss portion 42a into which the third bearing 73 and the eccentric bush 33 are inserted is formed in the orbiting scroll 42 of the compression mechanism 40, and the third bearing 73 I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boss portion (42a) and the eccentric bush (33).

상기 압축기구(40)는, 상기 제2 격벽(11c)을 기준으로 상기 구동부(20)의 반대측에서 배치되는 고정 스크롤(41) 및 상기 고정 스크롤(41)에 치합되어 압축실(C)을 형성하며 상기 구동샤프트(30)에 의해 선회 운동되는 선회 스크롤(42)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pression mechanism 40 is engaged with the fixed scroll 41 and the fixed scroll 41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riving unit 20 with respect to the second partition 11c to form a compression chamber C. And it may include an orbiting scroll 42 that is orbited by the drive shaft 30.

상기 고정 스크롤(41)은 원판형의 고정 경판부(41a) 및 상기 고정 경판부(41a)의 압축면(41b)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선회 스크롤(42)에 치합되는 고정 랩(41c)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ed scroll 41 includes a disk-shaped fixed plate portion 41a and a fixed wrap 41c protruding from the compression surface 41b of the fixed plate portion 41a and engaged with the orbiting scroll 42. I can.

상기 고정 경판부(41a)의 중심 측에는 고정 경판부(41a)를 관통하여 상기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하는 토출포트(41d)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포트(41d)는 상기 고정 스크롤(41)과 상기 제3 하우징(13)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A discharge port 41d f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ion chamber may be formed at the center side of the fixed plate part 41a through the fixed plate part 41a. Here, the discharge port 41d may communicate with a discharge space formed between the fixed scroll 41 and the third housing 13.

이러한 구성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는, 상기 구동부(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구동샤프트(30)이 상기 회전자(22)와 함께 회전을 하면서 상기 선회 스크롤(42)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선회 스크롤(42)은 상기 구동샤프트(30)에 의해 선회 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압축실(C)은 중심 측을 향해 지속적으로 이동되면서 체적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면, 냉매는 상기 제1 하우징(11)의 환형벽(11a)에 형성되는 냉매 유입구(미도시)를 통해 상기 구동부 수용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면, 상기 구동부 수용공간의 냉매는 상기 제1 하우징(11)의 제2 격벽(11c)에 형성되는 냉매 통과공(미도시)을 통해 상기 압축실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면, 상기 압축실(C)로 흡입된 냉매는 상기 압축실(C)의 이동경로를 따라 중심측으로 이동되면서 압축되어 상기 토출포트(41d)를 통해 상기 토출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공간으로 토출된 냉매는 상기 제3 하우징(13)에 형성되는 냉매 토출구를 통해 상기 스크롤 압축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이 반복된다.The scroll compresso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may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orbiting scroll 42 while the drive shaft 30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or 22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drive unit 20. Then, the orbiting scroll 42 performs a orbiting motion by the drive shaft 30, so that the compression chamber C may be continuously moved toward the center, thereby reducing the volume. Then, the refrigerant may flow into the driving unit accommodation space through a refrigerant inlet (not shown) formed in the annular wall 11a of the first housing 11. Then, the refrigerant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driving unit may be sucked into the compression chamber through a refrigerant passage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11c of the first housing 11. Then, the refrigerant sucked into the compression chamber (C) may be compressed while moving toward the center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compression chamber (C)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space through the discharge port (41d).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the refrigerant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croll compressor through 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third housing 13 are repeated.

이 과정에서, 상기 구동샤프트(30)은 상기 제1 베어링(71) 및 상기 제2 베어링(7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선회 스크롤(42)은 상기 제3 베어링(73)에 의해 상기 구동샤프트(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상기 제3 베어링(73)은 그 제3 베어링(73)과 선회 스크롤(42)의 조립체(이하, 선회 운동체)의 무게 및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베어링(71) 및 상기 제2 베어링(72)과 상이한 베어링(73)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process, the drive shaft 3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bearing 71 and the second bearing 72, and the orbiting scroll 42 is supported by the third bearing 73. It is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30, the third bearing 73 to reduce the weight and size of the assembly of the third bearing 73 and the orbiting scroll 42 (hereinafter, the orbiting body) For this purpose, it may be formed of a bearing 73 different from the first bearing 71 and the second bearing 72.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싱(10)에 고정되는 상기 제1 베어링(71)과 상기 제2 베어링(72)은 마찰 손실 최소화를 위해 각각 볼 베어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bearing 71 and the second bearing 72 fixed to the casing 10 may each be formed of a ball bearing to minimize friction loss.

반면, 상기 선회 스크롤(42)과 함께 선회 운동됨에 따라 상기 선회 운동체의 무게 및 크기와 비례관계에 있는 상기 제3 베어링(73)은 볼 베어링보다 무게 및 크기가 작고 원가도 저렴한 니들 롤러 베어링(needle roller bearing) 또는 슬라이드 부시(slide bush) 베어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베어링(73)은 상기 보스부(423)에 사전에 결정된 압입력으로 압입 체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hird bearing 73, which is in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the weight and size of the orbiting body as it orbits together with the orbiting scroll 42, has a smaller weight and size than a ball bearing, and a needle roller bearing that is cheaper in cost. It may be formed as a roller bearing or a slide bush bearing. In addition, the third bearing 73 may be press-fitted to the boss part 423 by a predetermined press for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주요특징인 호일회수부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foil recovery unit, which is the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에서 각 부분에 대한 압력을 다음과 같이, 상기 토출실(F)의 압력(Pd), 상기 배압실(B)의 압력(Pc) 및 상기 흡입실(D)의 압력(Ps)으로 정의하면, 각 지점의 압력값은 상기 토출실(F)의 압력(Pd) > 상기 배압실(B)의 압력(Pc) > 상기 흡입실(D)의 압력(Ps)으로 그 크기 순서가 결정된다. First, in the scroll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for each part is as follows, the pressure Pd of the discharge chamber F, the pressure Pc of the back pressure chamber B, and the pressure of the suction chamber D ( Defined as Ps), the pressure value at each point is the pressure (Pd) in the discharge chamber (F)> the pressure in the back pressure chamber (B) (Pc)> the pressure in the suction chamber (D) (Ps). The order is determ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는, 도 2, 도 4 및 도 6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스크롤 압축기는 케이싱(10), 구동부(20), 센터헤드(80), 선회스크롤(42), 고정스크롤(41), 토출실(F), 배압실(B), 제1 오일회수유로(94), 브릿지수단(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2, 4 and 6, the scroll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10, a driving unit 20, a center head 80, a revolving scroll 42, and a fixed scroll. (41), a discharge chamber (F), a back pressure chamber (B), a first oil return passage 94,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ridge means (100).

상기 토출실(F)은 상기 케이싱(10)을 구성하는 상기 제3 하우징(13)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포트(41d)에서 냉매가 토출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배압실(B)은 상기 센터헤드(80)와 상기 선회스크롤(42)간에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으며, 상기 배압실(B)로 유입된 냉매의 배압으로 상기 선회스크롤(42)을 상기 고정스크롤(41)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The discharge chamber F may be formed in the third housing 13 constituting the casing 10 and may be a spac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41d. The back pressure chamber (B) may be a space formed between the center head 80 and the orbiting scroll 42, and the orbiting scroll 42 is fixed to the back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back pressure chamber (B). It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scroll 41.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형성된 구동부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구동샤프트(30)와 연결되어 회전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자와 회전자로 구성된 모터일 수 있다. The driving unit 20 may be disposed in a driving unit accommodating space formed inside the casing 10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30 to rotate.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unit 20 may be a motor composed of a stator and a rotor.

상기 센터헤드(80)는 상기 구동샤프트(30)가 관통되며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10)에 볼트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한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다. The center head 80 may be disposed through the drive shaft 30 and connected by bolting to the casing 10. The detailed structure is as described above.

상기 선회스크롤(42)은 상기 구동샤프트(30)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스크롤(41)에 대향하여 회전되며, 상기 고정스크롤(41)은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선회스크롤(42)과의 상호 연동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실(C)을 형성하며, 상기 토출실(F)의 오일분리부(91)와 연결되는 제1 오일회수유로(94)가 형성될 수 있다. The orbiting scroll 42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30 and rotates to face the fixed scroll 41, and the fixed scroll 41 is fixed inside the casing 10, and the orbiting scroll ( A compression chamber (C)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through interworking with 42 may be formed, and a first oil recovery passage 94 connected to the oil separation unit 91 of the discharge chamber (F) may be formed.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스크롤(41)은 고정 경판부(41a), 토출포트(41d), 고정 랩(41c) 및 신장부(41f)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xed scroll 41 may include a fixed plate portion 41a, a discharge port 41d, a fixed wrap 41c, and an extension portion 41f.

상기 고정 경판부(41a)는 중앙측에 상기 토출실(F)과 연결된 토출포트(41d)가 배치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신장부(41f)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랩(41c)은 상기 고정 경판부(41a)에서 상기 선회스크롤(42) 방향으로 돌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xed plate portion 41a may have a discharge port 41d connected to the discharge chamber F disposed at a central side, and an elongated portion 41f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may be formed. The fixing wrap 41c may be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from the fixing plate part 41a in the direction of the orbiting scroll 42.

상기 신장부(41f)는 상기 케이싱(10)을 구성하는 제1 하우징(11)의 내부에 형성된 단턱부(11f)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스크롤(41)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The extension part 41f is inserted into the stepped part 11f form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 constituting the casing 10, and fixes the position of the fixed scroll 41.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스크롤(41)은 종래와 달리 외벽이 제거되어 있다. 이는 선회스크롤(42)의 반경방향 회전영역을 늘려 압축용량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 랩(41c)의 외측 둘레는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94)는 상기 고정 경판부(41a)상에서 상기 고정 랩(41c)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wall of the fixed scroll 41 is removed, unlike the conventional one. This is to increase the compression capacity by increasing the radial rotation area of the orbiting scroll 42. Accordingly,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ing wrap 41c is open, and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94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xing wrap 41c on the fixing plate part 41a.

다음 상기 브릿지수단(100)은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94)와 상기 센터헤드(80)에 형성된 배압실유로(95) 및 흡입실유로(96)를 연결하고, 냉매를 감압하며 오일을 회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ext, the bridge means 100 connects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94 and the back pressure chamber passage 95 and the suction chamber passage 96 formed in the center head 80, depressurizes the refrigerant and recovers the oil. Can be configured to

종래에는 고정스크롤(41)에 외벽이 존재하여 관통홀을 가공하고 오리피스를 배치하여 냉매를 감압하며 오일을 회수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스크롤(41)의 외벽이 제거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외벽에 관통홀을 가공하는 것은 설계할 수 없다. Conventionally, the outer wall of the fixed scroll 41 exists to process the through hole and arrange an orifice to decompress the refrigerant and recover the oil,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wall of the fixed scroll 41 is removed, It cannot be designed to machine through-holes.

따라서 상기 토출실(F)의 오일분리부(91)와 연결된 제1 오일회수유로(94)와 상기 센터헤드(80)를 연결하는 구성이 요구되었고, 이는 본 발명에서 상기 브릿지수단(100)으로 구현된다. Therefore, a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94 connected to the oil separation unit 91 of the discharge chamber F and the center head 80 was required, which is used as the bridge means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이러한 상기 브릿지수단(100)은 브릿지관(110), 오리피스관(120), 고정블록(130) 및 실링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bridge means 100 may include a bridge pipe 110, an orifice pipe 120, a fixed block 130, and a sealing member 140.

우선 상기 브릿지관(110)은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94)와 상기 센터헤드(80)에 압입 고정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리피스관(120)은 상기 브릿지관(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First, the bridge pipe 110 may be press-fitted and fixed to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94 and the center head 80 and disposed. The orifice tube 1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ridge tube 110.

이때 상기 오리피스관(120)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블록(130)이 상기 브릿지관(110)의 내부에서 상기 오리피스관(120)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블록(130)의 내측 둘레에는 돌기부(137)가 형성되고, 돌기부(137)는 상기 오리피스관(120)의 둘레에 형성된 삽입홈(123)이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오리피스관(120)이 브릿지관(1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In this case, in order to fix the orifice pipe 120, the fixing block 1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ridge pipe 110 to surround the orifice pipe 120. A protrusion 137 is formed arou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block 130, and the protrusion 137 is coupled by inserting an insertion groove 123 formed around the orifice pipe 120, and the orifice pipe 120 It is to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bridge pipe (110).

여기서 상기 브릿지관(110)은 상기 토출실(F)의 압력(Pd)와 상기 배압실(B)의 압력(Pc)간의 차압에 의해 상기 오리피스관(120) 및 상기 고정블록(130)이 상기 센터헤드(80)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94)에서 상기 센터헤드(80)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내경감소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bridge pipe 110 is the orifice pipe 120 and the fixed block 130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pressure (Pd) of the discharge chamber (F) and the pressure (Pc) of the back pressure chamber (B). In order to prevent separ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head 80, an inner diameter reducing part 115 may be formed in which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94 toward the center head 80.

상기 배압실(B)의 압력(Pc)보다는 상기 토출실(F)의 압력(Pd)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므로, 상기 브릿지관(11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오리피스관(120) 및 상기 고정블록(130)은 상기 센터헤드(80) 방향으로 차압에 따른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내경감소부(115)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오리피스관(120) 및 상기 고정블록(130)은 상기 내경감소부(115)의 내면에 지지되며 밀리지 않고 위치가 유지되게 된다. Since the pressure (Pd) of the discharge chamber (F) is formed relatively higher than the pressure (Pc) of the back pressure chamber (B), the orifice pipe 120 and the fixed inside the bridge pipe 110 The block 130 receives a force according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head 80. At this time, since the inner diameter reducing portion 115 is formed, the orifice pipe 120 and the fixing block 130 are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diameter reducing portion 115 and are not pushed and their position is maintain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브릿지관(110)은 상기 토출실(F)의 압력(Pd)과 상기 배압실(B)의 압력(Pc)간의 차압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센터헤드(80)에서의 압입 깊이(D2)보다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94)에서의 압입 깊이(D1)가 상대적으로 더 깊게 압입고정될 수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pipe 110 is not separat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Pd) of the discharge chamber (F) and the pressure (Pc) of the back pressure chamber (B), in the center head 80 The indentation depth D1 in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94 may be relatively deeper than the indentation depth D2.

즉 상기 토출실(F)의 압력(Pd)이 상기 배압실(B)의 압력(Pc)보다 더 높으므로, 차압에 의해 상기 브릿지관(110)은 상기 토출실(F)에서 상기 센터헤드(80) 방향으로 강한 힘을 받게 된다. 이는 상기 브릿지관(110)이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94)에서 이탈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94)상에 압입 깊이(D1)를 더 깊게 하여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since the pressure (Pd) of the discharge chamber (F) is higher than the pressure (Pc) of the back pressure chamber (B), the bridge pipe 110 due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the center head in the discharge chamber (F) ( 80) direction will receive a strong force. This allows the bridge pipe 110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94, so that the pressure-in depth D1 on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94 is made deeper so that it is firmly fixed. .

다음 상기 고정블록(130)의 외측 둘레에는 실링안착부(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링부재(140)는 상기 실링안착부(131)에 배치되며, 냉매 및 오일의 누설을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실링안착부(131)가 형성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고정블록(130)상에서 상기 실링안착부(131)는 상기 돌기부(137)에 대응되는 위치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Next, a sealing seat 131 is form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ing block 130, and the sealing member 140 is disposed on the sealing seat 131 to prevent leakage of refrigerant and oil. Here, in order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sealing seating portion 131 is formed, the sealing seating portion 131 on the fixing block 130 may be disposed outsid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137.

상기 브릿지관(110)은 철, 알루미늄, 동관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일 수 있으며, 인발(drawing)하여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130)은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며, 사출 성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140)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일 수 있으며, O-ring 형태일 수 있다. The bridge pipe 11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iron, aluminum, or copper pipe, and may be drawn to form an exterior. In addition, the fixing block 130 may be made of plastic, and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The sealing member 140 may be made of rubber, silicon, or the like, and may be in the form of an O-ring.

한편 다른 실시예로는, 도 3, 도 4 및 도 6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스크롤 압축기는 케이싱(10), 구동부(20), 센터헤드(80), 선회스크롤(42), 고정스크롤(41), 토출실(F), 배압실(B), 제1,2 오일회수유로(94,97), 브릿지수단(100) 및 감압오리피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 구동부(20), 센터헤드(80), 선회스크롤(42), 고정스크롤(41), 토출실(F) 및 배압실(B)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3, 4 and 6, the scroll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10, a drive unit 20, a center head 80, a revolving scroll 42, and a fixed scroll 41. ), a discharge chamber (F), a back pressure chamber (B), the first and second oil return passages 94 and 97, a bridge means 100 and a pressure reducing orifice 200. Description of the casing 10, the driving unit 20, the center head 80, the orbiting scroll 42, the fixed scroll 41, the discharge chamber (F) and the back pressure chamber (B)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 same as that, so it is omit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수단(100)은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94)와 상기 센터헤드(80)에 형성된 배압실유로(95) 및 흡입실유로(96)로 분기되는 분기점(G)을 연결하고, 냉매를 감압하며 오일을 회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means 100 is a branch point branching into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94 and the back pressure chamber passage 95 and the suction chamber passage 96 formed in the center head 80 It can be configured to connect G), depressurize the refrigerant and recover the oil.

그리고 상기 감압오리피스(200)는 상기 분기점(G)과 상기 흡입실유로(96)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오일회수유로(97)에 배치되고, 냉매를 감압하며 오일을 회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sure reducing orifice 20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oil recovery passage 97 formed between the branch point G and the suction chamber passage 96, and configured to decompress the refrigerant and recover the oil.

종래에는 고정스크롤(41)에 외벽이 존재하여 관통홀을 가공하고 오리피스를 배치하여 냉매를 감압하며 오일을 회수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스크롤(41)의 외벽이 제거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외벽에 관통홀을 가공하는 것은 설계할 수 없다. Conventionally, the outer wall of the fixed scroll 41 exists to process the through hole and arrange an orifice to decompress the refrigerant and recover the oil,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wall of the fixed scroll 41 is removed, It cannot be designed to machine through-holes.

따라서 상기 토출실(F)의 오일분리부(91)와 연결된 제1 오일회수유로(94)와 상기 분기점(G)을 연결하는 구성이 요구되었고, 이는 본 발명에서 상기 브릿지수단(100)으로 구현된다. Therefore, a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94 connected to the oil separation unit 91 of the discharge chamber F and the branch point G was required, which is implemented by the bridge means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do.

이러한 상기 브릿지수단(100)은 브릿지관(110), 오리피스관(120), 고정블록(130) 및 실링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bridge means 100 may include a bridge pipe 110, an orifice pipe 120, a fixed block 130, and a sealing member 140.

우선 상기 브릿지관(110)은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94)와 상기 분기점(G)에 압입 고정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리피스관(120)은 상기 브릿지관(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First, the bridge pipe 110 may be press-fitted and fixed to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94 and the branch point G and may be disposed. The orifice tube 1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ridge tube 110.

이때 상기 오리피스관(120)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블록(130)이 상기 브릿지관(110)의 내부에서 상기 오리피스관(120)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블록(130)의 내측 둘레에는 돌기부(137)가 형성되고, 돌기부(137)는 상기 오리피스관(120)의 둘레에 형성된 삽입홈(123)이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오리피스관(120)이 브릿지관(1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In this case, in order to fix the orifice pipe 120, the fixing block 1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ridge pipe 110 to surround the orifice pipe 120. A protrusion 137 is formed arou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block 130, and the protrusion 137 is coupled by inserting an insertion groove 123 formed around the orifice pipe 120, and the orifice pipe 120 It is to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bridge pipe (110).

여기서 상기 브릿지관(110)은 상기 토출실(F)의 압력(Pd)와 상기 배압실(B)의 압력(Pc)간의 차압에 의해 상기 오리피스관(120) 및 상기 고정블록(130)이 상기 제2 오일회수유로(97)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94)에서 상기 제2 오일회수유로(97)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내경감소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bridge pipe 110 is the orifice pipe 120 and the fixed block 130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pressure (Pd) of the discharge chamber (F) and the pressure (Pc) of the back pressure chamber (B). In order to prevent departure from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il return passage 97, an inner diameter reduction part 115 whose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94 toward the second oil return passage 97 is provided. Can be formed.

상기 배압실(B)의 압력(Pc)보다는 상기 토출실(F)의 압력(Pd)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므로, 상기 브릿지관(11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오리피스관(120) 및 상기 고정블록(130)은 상기 제2 오일회수유로(97) 방향으로 차압에 따른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내경감소부(115)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오리피스관(120) 및 상기 고정블록(130)은 상기 내경감소부(115)의 내면에 지지되며 밀리지 않고 위치가 유지되게 된다. Since the pressure (Pd) of the discharge chamber (F) is formed relatively higher than the pressure (Pc) of the back pressure chamber (B), the orifice pipe 120 and the fixed inside the bridge pipe 110 The block 130 receives a force according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il return passage 97. At this time, since the inner diameter reducing portion 115 is formed, the orifice pipe 120 and the fixing block 130 are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diameter reducing portion 115 and are not pushed and their position is maintain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브릿지관(110)은 상기 토출실(F)의 압력(Pd)과 상기 배압실(B)의 압력(Pc)간의 차압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오일회수유로(97)에서의 압입 깊이(D2) 또는 상기 제2 오일회수유로(97)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센터헤드(80)보다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94)에서의 압입 깊이(D1)가 상대적으로 더 깊게 압입고정될 수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pipe 110 is not separat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Pd) of the discharge chamber (F) and the pressure (Pc) of the back pressure chamber (B), the second oil return passage 97 ), or when the second oil return passage 97 is not formed, the press-in depth D1 in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94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center head 80 It can be press-fit more deeply.

즉 상기 토출실(F)의 압력(Pd)이 상기 배압실(B)의 압력(Pc)보다 더 높으므로, 차압에 의해 상기 브릿지관(110)은 상기 토출실(F)에서 상기 분기점(G) 방향으로 강한 힘을 받게 된다. 이는 상기 브릿지관(110)이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94)에서 이탈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94)상에 압입 깊이(D1)를 더 깊게 하여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since the pressure (Pd) of the discharge chamber (F) is higher than the pressure (Pc) of the back pressure chamber (B), the bridge pipe 110 due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the branch point (G) in the discharge chamber (F). ) Direction will receive a strong force. This allows the bridge pipe 110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94, so that the pressure-in depth D1 on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94 is made deeper so that it is firmly fixed. .

다음 상기 고정블록(130)의 외측 둘레에는 실링안착부(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링부재(140)는 상기 실링안착부(131)에 배치되며, 냉매 및 오일의 누설을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실링안착부(131)가 형성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고정블록(130)상에서 상기 실링안착부(131)는 상기 돌기부(137)에 대응되는 위치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Next, a sealing seat 131 is form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ing block 130, and the sealing member 140 is disposed on the sealing seat 131 to prevent leakage of refrigerant and oil. Here, in order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sealing seating portion 131 is formed, the sealing seating portion 131 on the fixing block 130 may be disposed outsid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137.

상기 브릿지관(110)은 철, 알루미늄, 동관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일 수 있으며, 인발(drawing)하여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130)은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며, 사출 성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140)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일 수 있으며, O-ring 형태일 수 있다. The bridge pipe 11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iron, aluminum, or copper pipe, and may be drawn to form an exterior. In addition, the fixed block 130 may be made of plastic, and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The sealing member 14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and may have an O-ring shape.

다음으로,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상기 브릿지수단(100)의 다른 형태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브릿지수단(100)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브릿지관(110), 상기 오리피스관(120), 상기 고정블록(130), 상기 내경감소부(115), 상기 실링부재(140) 이외에 연장부(133) 및 스크린메시(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FIGS. 5A and 5B, another form of the bridge means 100 is posted. In other forms of the bridge means 100, in addition to the bridge pipe 110, the orifice pipe 120, the fixing block 130, the inner diameter reducing part 115, the sealing member 140, an extension part 133 ) And a screen mesh 135 may be further included.

우선 상기 연장부(133)는 상기 고정블록(130)상에서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94)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First, the extension part 133 may be configur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il recovery passage 94 on the fixed block 130.

이러한 상기 연장부(133)는 신장바(133a), 엔드블록(133b) 및 지지바(133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장바(133a)는 상기 오리피스관(120)의 길이방향 양측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94) 방향으로 신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엔드블록(133b)은 상기 한 쌍의 신장바(133a)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133c)는 상기 한 쌍의 신장바(133a)의 서로 마주보는 측에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관(110)의 단부를 고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33)는 스크린메시(135)의 배치영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오리피스관(110)의 배치위치를 고정해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The extension part 133 may include an extension bar 133a, an end block 133b, and a support bar 133c. The extension bars 133a support both sides of the orifice pipe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il recovery passage 94. And the end block (133b)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ends of the pair of extension bars (133a). In addition, the support bar (133c) is formed on the side facing each other of the pair of extension bars (133a), it may be provided to fix the end of the orifice tube (110). The extension part 133 serves to form an arrangement region of the screen mesh 135 and at the same time fix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orifice pipe 110.

그리고 상기 스크린메시(135;screen mesh)는 상기 연장부(133)상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메시(135)는 상기 신장바(133a)를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creen mesh 135 may be fixedly disposed on the extension part 133. A pair of screen meshes 135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xtension bar 133a.

상기 스크린메시(135)는 상기 토출실(F)의 오일분리부(91)에서 오일을 함유한 상태로 유입되는 냉매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오리피스홀(12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creen mesh 135 has a filter function to prevent clogging of the orifice hole 121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oil-containing state from the oil separation unit 91 of the discharge chamber F. Can be done.

이상의 사항은 스크롤 압축기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The above is merely show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scroll compressor.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Therefore, it is to be note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grasp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stituted and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do.

10:케이싱 11:제1 하우징
11a:환형벽 11b:격벽
11d:제1 지지홈 11f:단턱부
12:제2 하우징 13:제3 하우징
14a:축수공 14b:제2 지지홈
20:구동부 21:고정자
22:회전자
30:구동샤프트 30a:구동샤프트의 일단부
30b:구동샤프트의 타단부
40:압축기구 41:고정 스크롤
41a:고정 경판부 41b:압축면
41c:고정 랩 41d:토출포트
41f:신장부
42:선회 스크롤
50:인버터
71:제1 베어링 72:제2 베어링
73:제3 베어링
80:센터헤드
91:오일분리부 93:오일회수부
94:제1 오일회수유로 95:배압실유로
96:흡입실유로(삭제) 97:제2 오일회수유로
100:브릿지수단 110:브릿지관
115:내경감소부 120:오리피스관
121:오리피스홀 123:삽입홈
130:고정블록 131:실링안착부
133;연장부 135:스크린메시
137:돌기부 140:실링부재
200:감압오리피스
B:배압실 D:흡입실
F:토출실 G:분기점
10: casing 11: first housing
11a: annular wall 11b: bulkhead
11d: first support groove 11f: stepped portion
12: second housing 13: third housing
14a: shaft hole 14b: second support groove
20: drive unit 21: stator
22: rotor
30: drive shaft 30a: one end of the drive shaft
30b: the other end of the drive shaft
40: compression mechanism 41: fixed scroll
41a: fixed hard plate portion 41b: compression surface
41c: fixed wrap 41d: discharge port
41f: kidney
42: orbiting scroll
50: inverter
71: first bearing 72: second bearing
73: third bearing
80: center head
91: oil separation unit 93: oil recovery unit
94: first oil return passage 95: back pressure chamber passage
96: suction chamber flow path (deleted) 97: second oil return flow path
100: bridge means 110: bridge tube
115: inner diameter reduction unit 120: orifice tube
121: orifice hole 123: insertion groove
130: fixing block 131: sealing seat
133; extension 135: screen mesh
137: protrusion 140: sealing member
200: pressure reducing orifice
B: Back pressure chamber D: Suction chamber
F: discharge chamber G: junction

Claims (15)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된 구동부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구동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샤프트가 관통되며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는 센터헤드;
상기 케이싱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실;
상기 구동샤프트에 연결되는 선회스트롤;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선회스크롤과의 상호 연동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실을 형성하며, 상기 토출실의 오일분리부와 연결되는 제1 오일회수유로가 형성된 고정스크롤;
상기 센터헤드와 상기 선회스크롤간에 형성되는 배압실; 및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와 상기 센터헤드를 연결하며 배치되고, 냉매를 감압하여 오일을 회수하는 브릿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Casing;
A driving unit disposed in the driving unit receiving space formed inside the casing and rotating the driving shaft;
A center head through which the driving shaft is disposed and connected to the casing;
A discharge chamber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ing and through which a refrigerant is discharged;
A orbiting stroller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A fixed scroll fixed inside the casing, forming a compression chamber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by interworking with the orbiting scroll, and having a first oil return passage connected to the oil separation portion of the discharge chamber;
A back pressure chamber formed between the center head and the orbiting scroll; And
A bridge means arranged to connect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and the center head to recover oil by depressurizing a refrigerant;
Scroll compresso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헤드에는 흡입실과 연결되는 제2 오일회수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수단은 상기 제2 오일회수유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A scroll compressor, wherein a second oil return passage connected to the suction chamber is formed in the center head, and the bridge means is connected to the second oil return pass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수단과 상기 제2 오일회수유로 사이에는 상기 배압실과 연결되는 배압실유로가 이어지는 분기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2,
A scroll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a branch point is formed between the bridge means and the second oil return passage through which a back pressure chamber passage connected to the back pressure chamber is connec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일회수유로에는 냉매를 감압하며 오일을 회수하는 감압오리피스;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a pressure reducing orifice for depressurizing a refrigerant and recovering oil in the second oil return passa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크롤은,
중앙측에 토출포트가 배치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신장부가 형성된 고정 경판부; 및
상기 고정 경판부에서 상기 선회스크롤 방향으로 돌기된 고정 랩;을 포함하되,
상기 신장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단턱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고정 랩의 외측 둘레는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는 상기 고정 경판부상에서 상기 고정 랩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수단에 의해 상기 흡입실과 직접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fixed scroll,
A fixed plate portion having a discharge port disposed at the center side and having an elongated portion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Including; a fixed wrap protruding from the fixed plate portion in the orbiting scroll direction,
The extension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to a stepped portion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s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ed wrap is open,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xed wrap on the fixed plate portion, and is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chamber by the bridge means.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수단은,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와 상기 센터헤드에 압입 고정되며 배치되는 브릿지관;
상기 브릿지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오리피스관; 및
상기 브릿지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오리피스관을 고정하는 고정블록;
을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bridge means,
A bridge pipe press-fitted and fixed to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and the center head;
An orifice tube disposed inside the bridge tube; And
A fixed block disposed inside the bridge pipe and fixing the orifice pipe;
Scroll compressor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수단은,
고정블록의 외측 둘레에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실링안착부; 및
상기 실링안착부에 배치되는 실링부재;
를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bridge means,
A sealing seat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inner direction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ed block; And
A sealing member disposed on the sealing seat;
Scroll compressor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관의 중앙측에는 냉매가 통과하는 오리피스홀에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관의 외측 둘레에는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삽입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7,
A scroll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an orifice hol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a central side of the orifice tube, and an insertion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in an inward direction is disposed arou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orifice tub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8,
A scroll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around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xed block.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상에서 상기 실링안착부의 공간확보를 위해, 상기 실링안착부는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scroll compressor, wherein the sealing seating portion is disposed outsid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to secure a space of the sealing seating portion on the fixed block.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관은 상기 토출실의 압력과 상기 배압실의 압력간의 차압에 의해 상기 오리피스관 및 상기 고정블록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에서 상기 센터헤드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내경감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6,
In order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orifice pipe and the fixing block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pressure of the back pressure chamber, the bridge pipe decreases the inner diameter from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toward the center head. Scroll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al for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관은 상기 토출실의 압력과 상기 배압실의 압력간의 차압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센터헤드측보다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측에 상대적으로 깊게 압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bridge pipe is press-fit and fixed relatively deeply to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side rather than the center head side so as not to be separated by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pressure of the back pressure cha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수단은,
상기 고정블록에서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배치되는 스크린메시;
를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bridge means,
An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fixed block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il recovery passage; And
A screen mesh disposed on the extension part;
Scroll compressor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오리피스관의 길이방향 양측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오일회수유로 방향으로 신장되는 한 쌍의 신장바; 및
상기 한 쌍의 신장바의 단부를 연결하는 엔드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메시는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엔드블록 및 상기 한 쌍의 신장바가 형성하는 구획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extension part,
A pair of extension bars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orifice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il return passage; And
Including; an end block connecting the ends of the pair of extension bars,
The screen mesh is a scroll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block, the end block, and the scroll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each disposed in a partition formed by the pair of extension bar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한 쌍의 신장바의 서로 마주보는 측에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관의 단부를 고정하는 지지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4,
The extension part,
And a support bar formed on a side facing each other of the pair of extension bars and fixing an end of the orifice tube.
KR1020190028911A 2019-03-13 2019-03-13 Scroll compressor KR1026495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911A KR102649532B1 (en) 2019-03-13 2019-03-13 Scroll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911A KR102649532B1 (en) 2019-03-13 2019-03-13 Scroll compres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621A true KR20200109621A (en) 2020-09-23
KR102649532B1 KR102649532B1 (en) 2024-03-21

Family

ID=7270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911A KR102649532B1 (en) 2019-03-13 2019-03-13 Scroll compres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53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1032B2 (en) * 2019-02-28 2024-04-30 Lg Electronics Inc. Vane rotary compressor with pressure reducing member inserted into the oil supply passag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3877A (en) * 2009-01-13 2010-07-29 Daikin Ind Ltd Rotary compressor
CN203035552U (en) * 2012-12-26 2013-07-03 安徽省大富机电技术有限公司 Scroll compressor
KR20160108037A (en) 2015-03-06 2016-09-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Scroll compressor
JP2017166366A (en) * 2016-03-15 2017-09-21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Scroll compressor
KR20170139422A (en) * 2016-06-09 2017-12-19 생고뱅코리아(주) Orifice filter structure for car compress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3877A (en) * 2009-01-13 2010-07-29 Daikin Ind Ltd Rotary compressor
CN203035552U (en) * 2012-12-26 2013-07-03 安徽省大富机电技术有限公司 Scroll compressor
KR20160108037A (en) 2015-03-06 2016-09-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Scroll compressor
JP2017166366A (en) * 2016-03-15 2017-09-21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Scroll compressor
KR20170139422A (en) * 2016-06-09 2017-12-19 생고뱅코리아(주) Orifice filter structure for car compress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1032B2 (en) * 2019-02-28 2024-04-30 Lg Electronics Inc. Vane rotary compressor with pressure reducing member inserted into the oil supply pass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532B1 (en)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4791B1 (en) Scroll compressor
EP2020578B1 (en) Hermetic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having the same
EP2182307B1 (en) Hermetic compressor
CN210715092U (en) Electric compressor device
KR102170131B1 (en) Scroll compressor
KR102649532B1 (en) Scroll compressor
US7744357B2 (en) Scroll compressor
KR102379939B1 (en) Scroll compressor
CN111456936B (en) Scroll compressor having a plurality of scroll members
US7866962B2 (en) Two-stage rotary compressor
KR102418813B1 (en) Compressor
CN113250955B (en) Spiral vacuum pump
KR200382995Y1 (en) Accmulator for twin rotary compressor
KR20180091507A (en) Compressor
CN116221122A (en) Scroll compressor having a rotor with a rotor shaft having a rotor shaft with a
KR20220044023A (en) compressor
KR20230065060A (en) Automatic pallet changer
KR20210105539A (en) Scroll compressor
KR100556410B1 (en) gear type compressor
KR20050062225A (en) Gear type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