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138A - 가열 장치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열 장치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138A
KR20200109138A KR1020190028269A KR20190028269A KR20200109138A KR 20200109138 A KR20200109138 A KR 20200109138A KR 1020190028269 A KR1020190028269 A KR 1020190028269A KR 20190028269 A KR20190028269 A KR 20190028269A KR 20200109138 A KR20200109138 A KR 20200109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output
heating
power consumptio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8458B1 (ko
Inventor
송치영
이정철
김영국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90028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45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05B6/065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multipl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가열 장치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가열 장치는, 저항 가열 발열체인 제1 발열체 및 유도 가열 발열체인 제2 발열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발열체들, 및 복수의 발열체들 각각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발열체들이 사용자의 설정 출력에 따라 정 출력 구동할 때 소모되는 총 소모 전력을 계산하고,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할 때 제1 발열체를 정 출력 구동하도록 제어하고 제2 발열체를 정 출력보다 낮은 레벨을 갖는 제한 출력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가열 장치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HEATING DEVICE AND POWER CONTROL METHOD}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발열체들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가열 장치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조리 또는 살균을 포함한 다양한 목적을 위해 다양한 방식의 가열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기를 이용하여 냄비, 프라이팬, 찜솥 또는 주전자와 같은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들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를 이용한 가열 방식은 크게 저항 가열 방식 및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 방식을 포함한다. 저항 가열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흘릴 때 생기는 열을 방사 또는 전도를 통해 피가열체에 직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물체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하이라이트에 사용된다. 한편, 유도 가열 방식은 고주파 전력을 코일에 인가할 때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를 이용하여 피가열체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켜 피가열체가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인덕션에 사용된다.
이러한 전기를 이용한 가열 방식은 다수의 발열체들에 전력을 계속 공급할 경우, 소비 전력이 허용치를 벗어나 차단기가 차단될 수 있고, 발열로 인하여 화재 등의 전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장치를 구성하는 다수의 발열체들이 동시에 동작하여 소비 전력이 허용치를 초과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전기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도출되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수의 발열체들이 동시에 동작할 경우, 발열체의 발열량 증가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도록 발열체들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가열 장치는, 저항 가열 발열체인 제1 발열체 및 유도 가열 발열체인 제2 발열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발열체들, 및 복수의 발열체들 각각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발열체들이 사용자의 설정 출력에 따라 정 출력 구동할 때 소모되는 총 소모 전력을 계산하고,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할 때 제1 발열체를 정 출력 구동하도록 제어하고 제2 발열체를 정 출력보다 낮은 레벨을 갖는 제한 출력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발열체들은 유도 가열 발열체인 제3 발열체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할 때 제3 발열체를 제한 출력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발열체가 제한 출력 구동하는 구간 및 제3 발열체가 제한 출력 구동하는 구간은 서로 오버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발열체의 제한 출력의 레벨은 제3 발열체의 제한 출력 레벨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제2 발열체가 제한 출력 구동하고 제2 발열체를 제외한 발열체들이 정 출력 구동할 때 소모되는 총 소모 전력을 재계산하고, 재계산된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할 때, 제3 발열체를 제한 출력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발열체의 제한 출력의 레벨은 일정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제2 발열체가 제한 출력 구동 중에 상기 복수의 발열체들이 정 출력 구동할 때 소모되는 총 소모 전력을 재계산하고, 재계산된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이하일 때, 제2 발열체를 정 출력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가열 장치는 각각의 발열체들의 전력 제어를 통해 소비 전력의 허용치를 만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발열체의 발열량 증가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가열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가열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개념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임은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열 장치(1)는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의 상부에는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및 발열체들(10_1~10_3)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가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장치(1)는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을 동작시킬 때, 소비 전력의 허용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전원을 공급하여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각각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1)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화구에 대응하는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을 통해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전기레인지일 수 있다.
가열 장치(1)는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로 전력을 제공하여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을 구동시키는 복수의 구동부들(20_1~20_3),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로 제공되는 전력을 생성하는 전원부(30) 및, 가열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열 장치(1)는 3개의 발열체들, 즉, 제1 발열체(10_1), 제2 발열체(10_2) 및 제3 발열체(10_3)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발열체(10_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구동부(20_1), 제2 발열체(10_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구동부(20_2) 및 제3 발열체(10_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3 구동부(20_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열 장치(1)에 포함된 발열체의 개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가열 장치(1)는 2개의 발열체를 포함하거나, 4개 이상의 발열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열 장치(1)는 가열 방식이 서로 다른 발열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열체(10_1)는 저항 가열 방식을 사용하는 하이라이트일 수 있고, 제2 발열체(10_2) 및 제3 발열체(10_3)는 유도 가열 방식을 사용하는 인덕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열체(10_1)는 일정한 주기에서 출력되는 온-구간에 따라 다단계로 출력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발열체(10_1)는, 온-구간이 짧을수록 낮은 단계의 출력, 온-구간이 길수록 높은 단계의 출력이 발생할 수 있다.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중 적어도 하나의 발열체는 다른 발열체의 최대 출력과 다른 최대 출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열체(10_1)의 최대 출력 및 제2 발열체(10_2)의 최대 출력은 동일하나, 제3 발열체(10_3)의 최대 출력은 제1 발열체(10_1)의 최대 출력과 다를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1 발열체(10_1)의 최대 출력, 제2 발열체(10_2)의 최대 출력 및 제3 발열체(10_3)의 최대 출력 각각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의 최대 출력은 모두 동일할 수도 있다.
전원부(3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복수의 구동부들(20_1~20_3) 각각으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부들(20_1~20_3) 각각은 제어부(50)의 제어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발열체를 구동시킬 수 있고, 전원부(30)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발열체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부(20_1)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응답하여 제1 발열체(10_1)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고, 제2 구동부(20_2)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응답하여 제2 발열체(10_2)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고, 제3 구동부(20_3)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응답하여 제3 발열체(10_3)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조작부 및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각각의 동작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40)는 사용자의 조작, 예를 들어, 구동시킬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을 선택하거나, 선택된 발열체의 온/오프 동작, 구동 시간 조절 및 출력 조절 등에 대응되는 명령을 발생시켜서 제어부(5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0)는 제어부(50)의 제어를 받아서, 발열체의 온/오프, 출력 단계, 구동 시간 및, 온도 등 가열 장치(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복수의 구동부들(20_1~20_3) 각각을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각각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설정에 기초하여,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각각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중 적어도 2개 이상이 동작될 때, 소비 전력의 허용치, 즉 가용 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각각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가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의 전체 소모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은 다음 도 3 내지 도 5b에서 상세히 후술하겠다.
본 개시에 따른 가열 장치(1)는, 소비자의 설정에 따라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이 구동할 경우 전체 소비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가 예측되면,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중 일부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가열 장치(1)는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이 동시에 구동 시,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각각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전체 소비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S10 단계에서, 제어부(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를 통해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에 대한 사용자의 설정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변경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중 적어도 하나를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의 설정 출력을 갖는 온 상태로 변경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설정 출력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40)를 통해 설정한 출력일 수 있다.
S20 단계에서, 제어부(50)는 사용자의 설정 명령에 기초한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의 총 소모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출력에 따라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이 구동할 경우,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의 총 소모 전력을 미리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사용자의 설정 출력을 갖도록 제1 발열체(10_1)를 구동할 경우의 제1 소모 전력, 사용자의 설정 출력을 갖도록 제2 발열체(10_2)를 구동할 경우의 제2 소모 전력, 및 사용자의 설정 출력을 갖도록 제3 발열체(10_3)를 구동할 경우의 제3 소모 전력을 합산하여, 예측되는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의 총 소모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S30 단계에서, 제어부(50)는 S20 단계에서 계산된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의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용 전력은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으며, 전기 사고가 발생되지 않기 위한 기준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출력을 갖도록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중 3개 이상의 발열체들이 동시에 구동될 때,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할 수 있다.
계산된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의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S40 단계에서, 제어부(50)는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각각을 정 출력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정 출력 구동은 사용자의 설정 출력에 따른 출력을 갖도록 구동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계산된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의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할 경우, S50 단계에서, 제어부(50)는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중 유도 가열 발열체, 즉, 인덕션을 제한 출력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한 출력 구동은 사용자의 설정 출력보다 낮은 출력으로 구동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 중 적어도 하나의 발열체가 제한 구동함으로써,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의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열체(10_1) 및 제2 발열체(10_2)가 구동 중에 사용자가 제3 발열체(10_3)를 구동시키려는 경우, 제어부(50)는 하이라이트인 제1 발열체(10_1)의 출력은 사용자의 설정 출력으로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2 발열체(10_2)의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2 발열체(10_2) 및 제3 발열체(10_3)가 구동 중에 사용자가 제1 발열체(10_1)를 구동시키려는 경우, 제어부(50)는 제2 발열체(10_2) 및 제3 발열체(10_3)의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50)의 제한 출력 구동 제어 동작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도 5b 등에서 후술하겠다.
제어부(50)는 S50 단계를 수행한 이후에, 다시 S10 단계 내지 S3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40)를 통해 제1 발열체(10_1), 제2 발열체(10_2) 및 제3 발열체(10_3)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설정 명령이 새로이 수신되면, 새로이 수신된 설정 명령에 기초한 복수의 발열체들(10_1~10_3)의 총 소모 전력을 계산하고, 계산된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가열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제1 발열체는 하이라이트, 제2 발열체 및 제3 발열체는 인덕션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나, 본 개시에 따른 가열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이라이트 및 인덕션을 함께 포함하는 가열 장치에 대해 이하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하이라이트가 정 출력으로 구동 중에 인덕션의 출력이 변경될 때의 가열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발열체는 일정한 주기(P) 내에서 일정한 제1 정 출력(Wa)으로 출력되는 온-구간(P_on) 및 출력되지 않는 오프-구간(P_off)을 반복적으로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발열체의 설정 출력을 높이면, 제어부는 제1 정 출력(Wa)의 레벨을 유지하면서, 주기(P) 내에서 출력되는 온-구간(P_on)이 길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제1 발열체의 설정 출력을 낮추면, 제어부는 제1 정 출력(Wa)의 레벨을 유지하면서, 주기(P) 내에서 출력되는 온-구간(P_on)이 짧아지고, 오프-구간(P_off)이 길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발열체 및/또는 제3 발열체의 설정 출력을 높이면, 제어부는 일정한 주기(P) 내에서 듀티비를 조절하는 제1 발열체와 달리, 제2 발열체 및/또는 제3 발열체의 출력의 레벨을 증가시킴으로써 제2 발열체 및/또는 제3 발열체의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설정 출력에 대응하는 제2 발열체의 제2 정 출력(Wb) 및 제3 발열체의 제3 정 출력(Wc)은, 사용자의 설정 출력에 따라 출력 레벨이 높아질 수 있고 또는 출력 레벨이 낮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사용자의 설정 명령에 기초하여 계산된 복수의 발열체들의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할 경우, 제2 정 출력(Wb)로 구동하던 제2 발열체를 제한 출력(Wbl)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한 출력(Wbl)은 사용자의 설정 출력에 대응하는 제2 정 출력(Wb)보다 낮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한 출력(Wbl)의 레벨은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한 출력(Wbl)의 레벨은 제2 정 출력(Wb)의 레벨과 관계 없이 일정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정 출력(Wb)이 1.4kW일 때 제2 발열체는 1.0kW의 제한 출력(Wbl)으로 구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고, 제2 정 출력(Wb)이 2.0kW일 때에도 제2 발열체는 1.0kW의 제한 출력(Wbl)으로 구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열체 및 제2 발열체가 각각 제1 정 출력(Wa) 및 제2 정 출력(Wb)으로 구동 중에, 사용자가 제3 발열체의 출력을 증가(예를 들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고, 제어부는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설정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발열체, 제2 발열체, 및 제3 발열체가 각각 제1 정 출력(Wa), 제2 정 출력(Wb) 및 제3 정 출력(Wc)으로 동시에 구동할 때 총 소비 전력(Wa+Wb+Wc)이 가용 전력을 초과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시점(t_1)에서 제3 발열체를 제3 정 출력(Wc)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시점(t_1)과 일치되거나 빠른 제한 시점(tb_1)에서 제2 발열체를 제한 출력(Wbl)으로 구동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1 정 출력(Wa)이 1.4kW, 제2 정 출력(Wb)이 1.4kW, 제3 정 출력(Wc)이 1.4kW인 경우, 제어부는 제1 정 출력(Wa), 제2 정 출력(Wb) 및 제3 정 출력(Wc)을 모두 합산하여, 복수의 발열체들의 총 소모 전력을 총 3.8kW으로 계산할 수 있다. 가용 전력이 3.4kW인 경우 계산된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하였으므로, 제어부는 제2 정 출력(Wb)으로 구동 중이던 제2 발열체를 제한 시점(tb_1)에서부터 제2 발열체를 제한 출력(Wbl)으로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제1 발열체 및 제3 발열체는 각각 제1 정 출력(Wa) 및 제3 정 출력(Wc)으로 구동되고 제2 발열체는 제한 출력(Wbl)으로 구동 중에,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발열체인 제3 발열체의 출력을 감소(예를 들어, 오프)시킬 수 있고, 제어부는 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설정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발열체 및 제2 발열체 각각 제1 정 출력(Wa) 및 제2 정 출력(Wb)으로 동시에 구동할 때 총 소비 전력(Wa+Wb)이 가용 전력 이하일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시점(t_2)에서 제3 발열체의 제3 정 출력(Wc)의 레벨을 낮출 수 있고(예를 들어, 오프시키고), 상기 제2 시점(t_2)과 일치되거나 늦은 회복 시점(tb_rec)에서 제2 발열체를 다시 정 출력(Wb)으로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제1 시점(t_1) 및 제2 시점(t_2) 각각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전체 출력이 변경되는 시점일 수 있고, 제한 시점(tb_1) 및 회복 시점(tb_rec) 각각은 제어부 자체의 전력 제어에 의해 전체 출력이 변경되는 시점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사용자가 출력을 변경한 발열체, 예를 들어, 제3 발열체를 제한 출력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b에서는 제2 발열체 및 제3 발열체를 모두 제한 출력 제어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출력을 변경한 발열체인 제3 발열체만을 제한 출력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설정 명령에 기초하여 계산된 복수의 발열체들의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할 경우, 제3 발열체를 제1 시점(t_1)에서 제2 시점(t_2)까지 제한 출력(Wcl)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제2 발열체를 제한 출력(Wbl)으로 구동하여도 복수의 발열체들의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제3 발열체를 제한 출력(Wcl)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한 출력(Wcl)은 사용자의 설정 출력에 대응하는 제3 정 출력(Wc)보다 낮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한 출력(Wcl)의 레벨은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한 출력(Wcl)의 레벨은 제3 정 출력(Wc)의 레벨과 관계 없이 일정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정 출력(Wc)이 1.4kW일 때 제3 발열체는 1.0kW의 제한 출력(Wcl)으로 구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고, 제3 정 출력(Wc)이 1.3kW일 때에도 제3 발열체는 1.0kW의 제한 출력(Wcl)으로 구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발열체의 제한 출력(Wcl)의 레벨은 제2 발열체의 제한 출력(Wbl)의 레벨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3 발열체의 제한 출력(Wcl)의 레벨은 제2 발열체의 제한 출력(Wbl)의 레벨과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열체 및 제2 발열체가 각각 제1 정 출력(Wa) 및 제2 정 출력(Wb)으로 구동 중에, 오프(OFF)되어 있던 제3 발열체를 사용자가 구동(ON)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발열체, 제2 발열체, 및 제3 발열체가 각각 제1 정 출력(Wa), 제2 정 출력(Wb) 및 제3 정 출력(Wc)으로 동시에 구동할 때 총 소비 전력(Wa+Wb+Wc)이 가용 전력을 초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1 정 출력(Wa)이 1.4kW, 제2 정 출력(Wb)이 1.4kW, 제3 정 출력(Wc)이 1.4kW인 경우, 제어부는 제1 정 출력(Wa), 제2 정 출력(Wb) 및 제3 정 출력(Wc)을 모두 합산하여, 복수의 발열체들의 총 소모 전력을 총 3.8kW으로 계산할 수 있다. 가용 전력이 3.4kW인 경우 계산된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하였으므로, 제어부는 사용자의 설정 출력이 변경된 제3 발열체를 제1 시점(t_1)에서부터 제한 출력(Wcl, 예를 들어, 1.0kW)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가열 장치는 복수의 발열체들이 동시에 동작할 때 가용 전력을 초과할지 미리 예측할 수 있다. 가열 장치는 하이라이트를 제외한 인덕션인 제2 발열체 및 제3 발열체 중 적어도 하나의 발열체를 선택적으로 정 출력(Wb 또는 Wc)보다 낮은 레벨을 갖는 제한 출력(Wbl, Wcl)을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장치는 소비 전력의 허용치를 초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열 효율이 과도하게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가열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제1 발열체는 하이라이트, 제2 발열체 및 제3 발열체는 인덕션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나, 본 개시에 따른 가열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이라이트 및 인덕션을 함께 포함하는 가열 장치에 대해 이하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인덕션이 정 출력으로 구동 중에 하이라이트의 출력이 변경될 때의 가열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하이라이트인 제1 발열체의 출력이 변경됨에 따라 계산된 복수의 발열체들의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할 경우, 제어부는 제2 정 출력(Wb)로 구동하던 제2 발열체, 제3 정 출력(Wc)로 구동하던 제3 발열체 중 하나의 발열체를 제한 출력(Wbl 또는 Wcl)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한 출력(Wbl 또는 Wcl)은 사용자의 설정 출력에 대응하는 제2 정 출력(Wb)보다 낮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발열체 및 제3 발열체가 각각 제2 정 출력(Wb) 및 제3 정 출력(Wc)으로 구동 중에, 사용자가 제1 발열체의 출력을 증가(예를 들어, 오프 상태에서 구동(ON)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고, 제어부는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설정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발열체, 제2 발열체, 및 제3 발열체가 각각 제1 정 출력(Wa), 제2 정 출력(Wb) 및 제3 정 출력(Wc)으로 동시에 구동할 때 총 소비 전력(Wa+Wb+Wc)이 가용 전력을 초과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시점(t_1')에서 제1 발열체를 제1 정 출력(Wa)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시점(t_1')과 일치되거나 빠른 제한 시점(tb_1)에서 제2 발열체를 제한 출력(Wbl)으로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제1 발열체 및 제3 발열체는 각각 제1 정 출력(Wa) 및 제3 정 출력(Wc)으로 구동되고 제2 발열체는 제한 출력(Wbl)으로 구동 중에,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발열체인 제3 발열체의 출력을 감소(예를 들어, 오프)시킬 수 있고, 제어부는 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설정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발열체 및 제2 발열체 각각 제1 정 출력(Wa) 및 제2 정 출력(Wb)으로 동시에 구동할 때 총 소비 전력(Wa+Wb)이 가용 전력 이하일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시점(t_2')에서 제3 발열체의 제3 정 출력(Wc)의 크기를 낮출 수 있고(예를 들어, 오프시키고), 상기 제2 시점(t_2')과 일치되거나 늦은 회복 시점(tb_rec)에서 제2 발열체를 다시 정 출력(Wb)으로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하이라이트인 제1 발열체의 출력이 변경됨에 따라 계산된 복수의 발열체들의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할 경우, 제어부는 제2 정 출력(Wb)로 구동하던 제2 발열체, 제3 정 출력(Wc)로 구동하던 제3 발열체를 각각 제한 출력(Wbl, Wcl)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제2 발열체를 제한 출력(Wbl)으로 구동하여도 복수의 발열체들의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제3 발열체를 제한 출력(Wcl)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계산된 복수의 발열체들의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할 경우, 제어부는 제2 발열체를 제한 시점(tb_1)에서 회복 시점(tb_rec)까지 제한 출력(Wbl)으로 구동 제어할 수 있고, 제3 발열체를 제한 시점(tc_1)에서 제2 시점(t_2')까지 제한 출력(Wcl)으로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제2 발열체가 제한 출력(Wbl)으로 구동하는 구간과 제3 발열체가 제한 출력(Wcl)으로 구동하는 구간을 서로 오버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일치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가열 장치는 하이라이트를 제외한 인덕션인 제2 발열체 및 제3 발열체 중 적어도 하나의 발열체를 선택적으로 정 출력(Wb 또는 Wb)보다 낮은 레벨을 갖는 제한 출력(Wbl, Wcl)을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는 듀티비를 조절함으로써 출력을 제어하는 반면, 인덕션은 전력의 레벨 자체를 감소시킴으로써 출력을 제어하므로 인덕션을 제한 출력 제어함으로써 전체 소비 전력이 허용치를 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가열 장치는 소비 전력의 허용치를 초과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가열 효율이 과도하게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가열 장치
10_1~10_3: 복수의 발열체들
20_1~20_3: 복수의 구동부들
30: 전원부
40: 사용자 인터페이스
50: 제어부

Claims (7)

  1. 저항 가열 발열체인 제1 발열체 및 유도 가열 발열체인 제2 발열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발열체들; 및
    상기 복수의 발열체들 각각의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발열체들이 사용자의 설정 출력에 따라 정 출력 구동할 때 소모되는 총 소모 전력을 계산하고,
    상기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할 때, 상기 제1 발열체를 정 출력 구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발열체를 정 출력보다 낮은 레벨을 갖는 제한 출력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열체들은 유도 가열 발열체인 제3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할 때 상기 제3 발열체를 제한 출력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열체가 제한 출력 구동하는 구간 및 상기 제3 발열체가 제한 출력 구동하는 구간은 서로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열체의 제한 출력의 레벨은 상기 제3 발열체의 제한 출력 레벨과 동일한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발열체가 제한 출력 구동하고 상기 제2 발열체를 제외한 발열체들이 정 출력 구동할 때 소모되는 총 소모 전력을 재계산하고,
    재계산된 상기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을 초과할 때, 상기 제3 발열체를 제한 출력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열체의 제한 출력의 레벨은 일정한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발열체가 제한 출력 구동 중에 상기 복수의 발열체들이 정 출력 구동할 때 소모되는 총 소모 전력을 재계산하고,
    재계산된 상기 총 소모 전력이 가용 전력이하일 때, 상기 제2 발열체를 정 출력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KR1020190028269A 2019-03-12 2019-03-12 가열 장치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KR102238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269A KR102238458B1 (ko) 2019-03-12 2019-03-12 가열 장치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269A KR102238458B1 (ko) 2019-03-12 2019-03-12 가열 장치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138A true KR20200109138A (ko) 2020-09-22
KR102238458B1 KR102238458B1 (ko) 2021-04-09

Family

ID=7270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269A KR102238458B1 (ko) 2019-03-12 2019-03-12 가열 장치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4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9041A (ja) * 2003-05-21 2004-1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KR20170133980A (ko) * 2016-05-27 2017-12-06 (주)쿠첸 화구 출력 제한 상태를 표시하는 전기 레인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9041A (ja) * 2003-05-21 2004-1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KR20170133980A (ko) * 2016-05-27 2017-12-06 (주)쿠첸 화구 출력 제한 상태를 표시하는 전기 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458B1 (ko) 202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4425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JP5369773B2 (ja) 誘導加熱装置
CA2710997A1 (en)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induction cooking zones of an induction cooking hob having a plurality of power converters, and induction cooking hob using such method
WO2013042287A1 (ja) 誘導加熱調理器
WO2011061898A1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142416B1 (ko) 가열 장치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KR101982781B1 (ko)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발열 주기를 제어하는 전기레인지의 출력 제어 장치
KR102238458B1 (ko) 가열 장치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EP2787791B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KR20200000751A (ko) 조리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JP5183563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180002247A (ko) 전기 레인지 및 전기 레인지의 제어 방법
CN108377587B (zh) 功率控制方法、装置和电磁加热设备
KR20060081743A (ko) 유도 가열조리기의 파워레벨 제어방법
KR101857662B1 (ko) 복수 워킹코일 동작시 주파수 제어와 듀티 제어를 병행하는 전기 레인지
JP5079865B2 (ja) 誘導溶解炉
JP2003142247A (ja) 複合加熱調理器
KR20090048684A (ko)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996958B1 (ko) 하이브리드 레인지용 전력 제어 장치
KR102238455B1 (ko) 피가열체 특성에 따른 온도 제어를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
CN113924822A (zh) 用于控制感应烹饪灶具的方法
JP5369878B2 (ja) 誘導加熱装置
KR101587167B1 (ko) 전기레인지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JP4325446B2 (ja) 誘導加熱装置
JP2023085075A (ja) 誘導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