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619A - 회전롤과의 고정이 확실한 축관부재를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롤과의 고정이 확실한 축관부재를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619A
KR20200108619A KR1020190027489A KR20190027489A KR20200108619A KR 20200108619 A KR20200108619 A KR 20200108619A KR 1020190027489 A KR1020190027489 A KR 1020190027489A KR 20190027489 A KR20190027489 A KR 20190027489A KR 20200108619 A KR20200108619 A KR 20200108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case
shaft pipe
locking
pip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Priority to KR1020190027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8619A/ko
Publication of KR20200108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롤과의 고정이 확실한 축관부재를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창틀 또는 문틀에 설치되는 롤 케이스와; 상기 롤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고 회전하는 회전롤과; 상기 롤 케이스를 향해 접근하는 제1 방향 및 상기 롤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제2 방향으로 움직이는 핸들 케이스와; 일단부는 상기 회전롤에 권취되고, 타단부는 상기 핸들 케이스에 고정되며,핸들 케이스를 이동시키면 상기 롤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롤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방충망과; 상기 회전롤의 양쪽 단부에 결합되어서 회전롤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축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축관부재의 외주면에는 회전롤의 제조공차에 관계없이 압입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롤의 내경보다 크거나 작은 걸림부재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회전롤과의 고정이 확실한 축관부재를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Roll Screen Apparatus with Axial Tubular Member Which is Firmly Fixed to the Rotation Roll}
본 발명은 회전롤과의 고정이 확실한 축관부재를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주택이나 아파트, 오피스텔, 상가, 사무실 등에는 그 실내 간의 통로 및 환기 및 채광을 목적으로 하는 창호가 다수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창호는 통상적으로 문틀과 창문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의 창문이 문틀로부터 슬라이딩 유동하여 개폐되게 하거나 경첩을 통해 회전 개폐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회전과 이동을 동시에 수행하는 회동식 개폐구조로도 제작되는 것이다.
또한, 시스템 창호라 함은 일반적인 창호 보다는 기밀성과 수밀성을 강화한 형태의 창호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유럽식 창호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 창호는 대부분 틸트(Tilt)와 턴(Turn)의 개폐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고, 선택적으로 리프트 슬라이딩(Lift sliding)의 개폐구조로도 제작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각종 시스템 창호에는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벌레나 이물질 등을 차단하기 위한 방충망 구조의 롤 스크린이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롤 스크린은 통상적으로 벌레의 차단을 위한 방충망이나 창문의 투시성을 차단하기 위한 셔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들 방충망이나 셔터를 포함하는 스크린이 수직방향으로 인출 전개 또는 권취 삽입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롤 스크린은, 통상적으로 각종 창호의 외면 선단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롤 스크린의 하우징 내에 비틀림 스프링을 통해 유기적으로 조립되는 축봉을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의 축봉에는 다양한 형태의 스크린이 권취되어 있어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상기의 스크린은 인출 전개시키거나 비틀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전개 상태인 스크린이 자동으로 권취되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스크린의 권취작용시 비틀림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으로부터 전개 상태인 스크린이 고속으로 권취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소음 등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의 축봉 일측단에 별도의 감속수단을 장착함에 따라, 보다 부드러운 권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롤 스크린 장치가 안출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롤스크린 장치는, 상부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롤케이스의 내부에는 스크린이 권취되도록 회전하는 회전롤이 갖추어지고, 상기 회전롤의 내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축봉 및 토션 스프링이 삽입되며, 상기 축봉의 양쪽 단부에는 스크린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롤의 양쪽 단부 위치에 각각 축관부재가 결합된다.
상기 축관부재는 스크린의 작동을 위해 회전하는 회전롤 및 축봉과 함께 회전되도록 하면서 토션 스프링은 감겨서 텐션을 받도록 하고, 회전롤의 양쪽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축관부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11a)이 형성되면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삽입부(11)와, 상기 삽입부(11)의 한쪽 끝단부에 삽입부(11)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플랜지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11)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부재(13)가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제 1돌출부(13a)와, 상기 제 1돌출부(13a)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2돌출부(13b)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13)의 일단부 즉, 플랜지부(12) 방향으로는 걸림부(14)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압출성형되어서 롤 스크린장치의 스크린을 펼치거나 접을때 회전하면서 복원력을 제공하는 회전롤의 단부에 상기 축관부재(10)가 압입되는데, 회전롤(20)의 제조시 공차에 의해 조립이 어렵거나 또는 갭이 발생하여 헐거운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예를 들어 회전롤(20)의 공차가 +0.2 ~ -0.2 정도 형성될 수 있는데, +0.2 공차가 발생한 경우에는 회전롤(20)의 내경이 커져서 축관부재(10)와의 갭이 발생하여 확실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또한, 회전롤(20)의 공차가 -0.2인 경우에는 회전롤(20)의 내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그 만큼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회전롤의 양쪽 단부에 결합시 회전롤의 제조공차에 관계없이 확실하게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회전롤과의 고정이 확실한 축관부재를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 수단은, 창틀 또는 문틀에 설치되는 롤 케이스과;
상기 롤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고 회전하는 회전롤과;
상기 롤 케이스를 향해 접근하는 제1 방향 및 상기 롤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제2 방향으로 움직이는 핸들 케이스과;
일단부는 상기 회전롤에 권취되고, 타단부는 상기 핸들 케이스에 고정되며,핸들 케이스를 이동시키면 상기 롤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롤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방충망과;
상기 회전롤의 양쪽 단부에 결합되어서 회전롤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축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축관부재의 외주면에는 회전롤의 제조공차에 관계없이 압입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롤의 내경보다 크거나 작은 걸림부재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롤 스크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롤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스크린의 동작시 함께 회전하는 회전롤의 양쪽 단부에 결합되고, 스크린의 작동을 위해 회전하는 회전롤 및 축봉과 함께 회전되도록 하면서 축봉의 외주면에 탄성부재가 감겨서 텐션을 받도록 하고, 회전롤의 양쪽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축관부재를 회전롤의 제조공차에 관계없이 확실하게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축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축관부재가 구비된 롤 스크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축관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축관부재가 회전롤안에 삽입되는 모습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축관부재가 구비된 롤 스크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축관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롤 스크린은 설명의 편의상 방충망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스크린장치(100)는 롤 케이스(110), 레일 케이스(120) 및 핸들 케이스(1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 케이스(110) 또는 레일 케이스(120)는 창틀 또는 문들에 설치될 수 있다. 롤 케이스(110)는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케이스(110)는 창틀 또는 문틀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롤 케이스(110)는 지면에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롤 케이스(110) 내에는 방충망(S)이 탄력적으로 감기는 회전롤(140), 롤 케이스(110)에 대해 회전롤(140)을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롤(140)은 롤 케이스(110)의 내부에 수납되고 회전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롤(140)은 롤 케이스(110)의 중공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 부재는 롤 케이스(110)에 대해 회전롤(140)을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50)와, 상기 탄성부재150)를 지지하는 축봉(16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50)는 일례로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축봉(160)의 외측에 감길 수 있다.
상기 회전롤(140)이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때, 축봉(160) 및 탄성부재(150)는 회전롤(140)의 중공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50)는 롤 케이스(110)의 내부에 마련되고, 롤 케이스(110)에 대해 회전롤(140)에 비틀림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축봉(160)은 회전롤(140)과 별개로 설치되고, 회전롤(140)의 권회 속도를 증감시키는 탄성부재(15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축봉(160)을 구비하지 않고, 탄성부재(150)가 삽입되도록 하는 튜브(중공형 파이프 형태)(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여 탄성부재(150)를 지지해주도록 함으로써, 탄성부재(150)의 길이에 따른 출렁거림에 의해 롤 스크린의 작동시 소음일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롤 케이스(110)의 중공에는 축봉(160)에 연결되고, 회전롤(140)에 가해지는탄성부재(150)의 비틀림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 실린더(2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롤(140)에 가해지는 탄성부재(150)의 비틀림 탄성력에 따라 회전롤(140)의 회전 속도 또는 방충망(S)이 회전롤(140)에 감기는 권회 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150)의 일단은 회전롤(14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롤(140)의 중공에 삽입되는 회전부(170)에 탄성부재(150)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 회전부(170)는 회전롤(14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170)에 연결된 탄성부재(150)의 일단은 회전롤(14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탄성부재(150)의 타단은 축봉(160) 또는 조절 실린더(20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 실린더(200)에 연결된 탄성부재(150)의 타단은 조절 실린더(2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조절 실린더(200)는 축봉(160)과 동축 상에 설치되며, 회전부(170) 또는 회전롤(14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조절 실린더(200) 및 탄성부재(150)는 함께 회전되면서 탄성부재(150)의 비틀림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
조절 실린더(200)에는 외부에 노출되는 제1 맞물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드라이버 등의 제1 도구를 사용하여 제1 맞물림부를 돌리면, 조절 실린더(200) 및 탄성부재(130)가 함께 회전되면서 탄성부재(130)의 비틀림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맞물림부는 축봉(160), 탄성부재(130)와 동축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30)와 동축 상에 형성된 제1 맞물림부에 따르면, 제1 도구의 회전수와 동일한 회전수로 탄성부재(130)의 타단이 회전되면서 비틀림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
조절 실린더(200)의 일측에는 조절 실린더(200)의 정방향 회전만을 허용하는 폴(pawl)과 래칫(ratchet)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외에 다른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때, 정방향 회전은 방충망(S)을 감는 회전롤(14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폴에는 외부에 노출되는 로커(locker)가 마련될 수 있다. 드라이버 등의 제2 도구를 이용해 로커를 돌리면, 래칫에 대한 폴의 걸림이 해제되고, 조절 실린더(200)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롤(140)에서 조절 실린더(200)측 단부에는 축관부재(180)가 체결될 수 있다. 축관부재(180)는 조절 실린더(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축관부재(180)에 의해, 조절 실린더(200)와 회전롤(150)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롤(150)이 정지한 상태에서 조절 실린더(200)를 회전시키면, 탄성부재(150)의 비틀림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
핸들 케이스(130)는 방충망(S)의 단부에 연결되고, 레일 케이스(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롤(140)에 연결되고, 회전롤(140)과 함께 회전하는 축관부재(182)가 마련될 수 있다. 축관부재(182)는 조절 실린더(200)의 반대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방충망(S)이 회전롤(140)에 감기면서 발생되는 훼손을 방지하고 롤 케이스(110)에 대한 핸들 케이스(130)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줄이기 위해서, 롤 케이스(110)에는 회전롤(140)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 유니트(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감속 유니트는 축관부재(182)를 가압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롤 케이스(110)의 양측에는 덮개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100)를 구성하는 축관부재(180)(18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184a)이 형성되면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삽입부(184)와, 상기 삽입부(184)의 일단부에 삽입부(184)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플랜지부(18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84)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부재(188)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는데, 걸림부재(188)는 회전롤(14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선단 걸림턱(188a)이 걸림부재(188)의 선단부쪽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단 걸림턱(188a)의 후단부쪽으로는 복수의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는데, 삽입부(184)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제 1걸림턱(188b)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제 1걸림턱(188b)의 사이에는 제 1걸림턱(188b)보다 높이가 작은 제 2걸림턱(188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단 걸림턱(188a)은 회전롤(14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걸림턱(188c)는 상기 선단 걸림턱(188a)과 마찬가지로 회전롤(140)의 내경보다 작은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걸림턱(188b)은 회전롤(140)의 내경보다 큰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걸림턱(188b)은 회전롤(140)안에 압입시 휘어지도록 플렉시블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188)의 일단부 즉, 플랜지부(186) 방향으로는 걸림부(189)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8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롤(140)의 단부 끝단부에 위치하면서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걸림턱(188b)(188c)은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 1걸림턱(188b)에 비해 제 1걸림턱(188b)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걸림턱(188c)이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2걸림턱(188b)(188c)은 축관부재(189)(182)의 삽입부(184)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길이가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관부재(180)(182)는 회전롤(140)안에 압입시, 제 1,2걸림턱(188b)(188c)은 삽입방향으로는 길이가 짧아서 쉽게 삽입이 이루어지고, 축관부자(180)(182)의 삽입부(184) 원주방향을 따라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롤(140)의 내면과의 접촉면적이 길어져서 마찰력이 증대되어 삽입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만일, 상기와 같은 제 1,2걸림턱(188b)(188c)의 길이에 대한 배열구조로 형성하지 않는 경우, 즉, 축관부재(180)(182)의 삽입부(184)) 길이방향으로 길게 제 1,2걸림턱(188b)(188c)을 돌출되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회전롤(140)의 치수공차가 마이너스(-)이면, 회전롤(140)의 내경이 협소해져서 제 1걸림턱(188b)은 플렉시블하므로 쉽게 휘어지게 될때, 쉽게 휘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축관부재(180)(182)는 회전롤(140)안에 압입시, 먼저 선단 걸림턱(188a)이 진입하게 되는데, 진입하는 과정에서 선단 걸림턱(188a)은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회전롤(140)안으로의 처음 삽입동작시 원활하게 회전롤(140)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계속해서 회전롤(140)안으로의 압입동작이 진행되면, 선단 걸림턱(188a)의 바깥쪽에 형성된 제 1,2걸림턱(188b)(188c)이 진입되는데, 회전롤(140)의 제조공차(치수공차)에 관계없이 모두 수용하여 확실한 압입상태를 가져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롤(140)의 제조공차가 -0.2인 경우에는, 상기 축관부재(180)(182)의 선단 걸림턱(188a)과 제 2걸림턱(188c)은 회전롤(140)의 내경보다 작게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압입과정에서 조립이 어렵지 않게 된다.
한편, 회전롤(14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상기 제 1걸림턱(188b)은 회전롤(140)의 내부에 압입되는 과정에서 약간 휘어져서 압입되므로, 조립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확실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롤(140)의 제조공차가 +0.2인 경우에는, 회전롤(140)안에 축관부재(180)(182)의 압입시, 한쌍을 이루는 제 1걸림턱(188b)에 의해 갭이 발생하지 않고 충분한 상태로 압입되어서 확실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한다.
S : 방충망
10 : 축관부재
11 : 삽입부
11a : 삽입공
12 : 플랜지부
13 : 걸림부재
13a : 제 1돌출부
13b : 제 2돌출부
14 : 걸림부
100 : 롤 스크린장치
110 : 롤 케이스
120 : 레일 케이스
130 : 핸들 케이스
140 : 회전롤
150 : 탄성부재
160 : 축봉
170 : 회전부
180,182 : 축관부재
184 : 삽입부
184a : 삽입공
186 : 플랜지부
188 : 걸림부재
188a : 선단 걸림턱
188b : 제 1걸림턱
188c : 제 2걸림턱
189 : 걸림부
200 : 조절 실린더
300 : 덮개부

Claims (6)

  1. 창틀 또는 문틀에 설치되는 롤 케이스와;
    상기 롤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고 회전하는 회전롤과;
    상기 롤 케이스를 향해 접근하는 제1방향 및 상기 롤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제2 방향으로 움직이는 핸들 케이스와;
    일단부는 상기 회전롤에 권취되고, 타단부는 상기 핸들 케이스에 고정되며,핸들 케이스를 이동시키면 상기 롤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롤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방충망과;
    상기 회전롤의 양쪽 단부에 결합되어서 회전롤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축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축관부재에 돌출된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회전롤의 제조공차에 관계없이 압입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롤의 내경보다 크거나 작은 걸림부재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과의 고정이 확실한 축관부재를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회전롤의 내경보다 작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선단 걸림턱과, 회전롤의 내경보다 높이가 크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과의 고정이 확실한 축관부재를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단 걸림턱과 제 1걸림턱은 축관부재의 삽입부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과의 고정이 확실한 축관부재를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걸림턱은 축관부재의 삽입부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 1걸림턱의 사이에는 회전롤의 내경보다 높이가 작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과의 고정이 확실한 축관부재를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걸림턱은 플렉시블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과의 고정이 확실한 축관부재를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관부재의 돌출된 삽입부 외주면에는 걸림부재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는 진입방향으로 부터 바깥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회전롤의 내경보다 높이가 작은 선단 걸림턱과, 제 2걸림턱이 형성되고, 회전롤의 내경보다 높이가 큰 제 1걸림턱이 플렉시블하게 형성되며, 제 1,2걸림턱은 축관부재의 삽입부 원주방향의 길이가 반경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과의 고정이 확실한 축관부재를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
KR1020190027489A 2019-03-11 2019-03-11 회전롤과의 고정이 확실한 축관부재를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 KR20200108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489A KR20200108619A (ko) 2019-03-11 2019-03-11 회전롤과의 고정이 확실한 축관부재를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489A KR20200108619A (ko) 2019-03-11 2019-03-11 회전롤과의 고정이 확실한 축관부재를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619A true KR20200108619A (ko) 2020-09-21

Family

ID=7270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489A KR20200108619A (ko) 2019-03-11 2019-03-11 회전롤과의 고정이 확실한 축관부재를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86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7156B2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US6457688B1 (en) End cap and mounting support combination
AU2005203064B2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US20030173036A1 (en) Blind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reof
KR101796670B1 (ko) 롤형 방충장치의 조립구조
KR100669485B1 (ko) 롤블라인드
KR101236750B1 (ko) 롤 스크린 장치가 내장되게 한 시스템 창호
SK96197A3 (en) An operating arrangement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window screening device
US6766846B2 (en) Electric blind
KR20200108619A (ko) 회전롤과의 고정이 확실한 축관부재를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
KR20200108623A (ko) 소음 저감형 롤 스크린 장치
KR101530325B1 (ko) 권취형 방충 장치
KR102353416B1 (ko) 롤업스크린 및 그 스크린 포지셔닝 장치
KR20170030942A (ko) 롤블라인드 떨림 방지구조
KR200398772Y1 (ko) 권취식 방충망의 권취속도 감속장치
KR101540658B1 (ko) 권취형 방충 장치용 권취 카세트, 그를 구비하는 권취형 방충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텐션 조절 어셈블리
KR200355861Y1 (ko) 권취식 방충망의 개폐구조
KR100792544B1 (ko) 차량의 리어 커튼
KR200383952Y1 (ko) 전동 블라인드의 감김장치
KR20200000447U (ko) 방진 및 방충 기능이 구비된 창호
KR200355858Y1 (ko) 권취식 방충망의 방충망체 권취구조
CN110809420A (zh) 用于卷帘的卷绕设备
KR200256852Y1 (ko)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KR102180176B1 (ko) 간편 구조의 록킹유닛을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
KR20190035360A (ko) 블라인드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