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724A -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724A
KR20200107724A KR1020190081229A KR20190081229A KR20200107724A KR 20200107724 A KR20200107724 A KR 20200107724A KR 1020190081229 A KR1020190081229 A KR 1020190081229A KR 20190081229 A KR20190081229 A KR 20190081229A KR 20200107724 A KR20200107724 A KR 20200107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dge
user
user account
account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현
Original Assignee
신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현 filed Critical 신상현
Priority to US16/812,231 priority Critical patent/US11425135B2/en
Priority to PCT/KR2020/003239 priority patent/WO2020184930A1/ko
Publication of KR20200107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724A/ko
Priority to KR1020210111190A priority patent/KR20210106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컴퓨팅 장치가 수행하는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은. 제1 사용자 계정에 뱃지 생성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상기 뱃지 생성 권한 이용 요청에 따라 제1 뱃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뱃지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1 뱃지가 장착되면, 제2 사용자 계정의 상기 제1 권한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METHOD FOR PLATFORM USER MANAGEMENT USING BADGE SYSTEM}
본 개시는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들의 다양한 컨텐츠가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각각의 사용자의 권한 제어는 서비스 사업자에 의하여만 가능할 뿐, 아티스트의 매니지먼트 회사 등 각각의 아티스트 사용자들에 대한 플랫폼 상 권한 제어가 필요한 사용자에 의한 소속 사용자들의 권한 제어 기술은 제공되고 있지 않다. 또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상의 사용자가 널리 알려진 유명인이 맞는지에 대한 확인 기술 또한 제공되고 있지 않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플랫폼 서비스 상의 권한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뱃지(badge)를 매개로 하여 사용자 간의 권한 제어 및 유명인 사칭 방지가 가능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이용자 관리 방법은, 컴퓨팅 장치가 수행하는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계정에 뱃지 생성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상기 뱃지 생성 권한 이용 요청에 따라 제1 뱃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뱃지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1 뱃지가 장착되면, 제2 사용자 계정의 제1 권한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은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의 관리자 계정인 것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권한은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권한이고, 상기 제1 권한이 활성화된 제2 사용자 계정의 업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권한이 활성화된 제2 사용자 계정의 업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가 생산한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생산한 콘텐츠가 아닌 경우에는 업로드를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권한은 지정된 유형의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권한이고, 상기 제1 권한이 활성화된 제2 사용자 계정의 콘텐츠 업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된 상기 콘텐츠가 상기 지정된 유형의 콘텐츠인지 판단하고, 상기 지정된 유형의 콘텐츠가 아닌 경우에는 업로드를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권한은 지정된 크기 이하의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권한이고, 상기 제2 권한이 활성화된 제2 사용자 계정의 콘텐츠 업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된 상기 콘텐츠가 상기 지정된 크기 이하의 콘텐츠인지 판단하고, 상기 지정된 크기 이하의 콘텐츠가 아닌 경우에는 업로드를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뱃지는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 간의 제1 계약 관계를 나타내며, 상기 제1 계약 관계의 계약 내용은 상기 제1 계정의 사용자와 상기 제2 계정의 사용자 간의 수익 분배에 대한 계약 내용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계정의 사용자와 상기 제2 계정의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상은 상기 수익 분배에 대한 계약 내용에 따라 산출된 것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요청에 따라 제2 뱃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3 사용자 계정의 상기 플랫폼에 대한 활동 내역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활동 내역 점수가 임계치를 넘으면 상기 제2 뱃지를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에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플랫폼 활동 내역 점수는 상기 플랫폼에서의 제3 사용자가 제2 사용자 계정에 업로드된 콘텐츠를 소비한 시간에 따라 산출된 것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뱃지를 장착한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은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와 파트너 계약이 맺어진 사용자의 계정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1 권한은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에 업로드 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허락없이 접근하는 권한인 것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제1 권한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권한과 관련된 플랫폼 활동 내역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활동 내역 점수가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노티를 보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상기 제1 뱃지 소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상기 제1 권한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1 뱃지를 소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뱃지를 장착한 사용자 계정은 제1 그룹에 포함되고, 상기 제2 뱃지를 장착한 사용자 계정은 제2 그룹으로 포함되도록 사용자 계정을 분류하고, 상기 제1 뱃지에 대한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계정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뱃지에 대하여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서 제4 사용자 계정으로 양도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양도 요청을 제1 사용자 계정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양도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허가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서 상기 제4 사용자 계정으로 상기 제1 뱃지의 양도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상기 제1 뱃지 장착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뱃지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뱃지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뱃지의 제1 상세 설명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상세 설명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가 지정한 것이고, 상기 제1 상세 설명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상호 협의가 있는 경우에만 상기 제1 상세 설명의 수정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간의 상기 제1 계약 관계 및 상기 제1 권한의 내용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이용자 관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제1 사용자 계정에 뱃지 생성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상기 뱃지 생성 권한 이용 요청에 따라 제1 뱃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뱃지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부여하고,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1 뱃지가 장착되면, 제2 사용자 계정의 제1 권한을 활성화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권한은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권한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권한이 활성화된 제2 사용자 계정의 업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권한은 지정된 유형의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권한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권한이 활성화된 제2 사용자 계정의 콘텐츠 업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가 상기 지정된 유형의 콘텐츠인지 판단하고, 상기 지정된 유형의 콘텐츠가 아닌 경우에는 업로드를 제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권한은 지정된 크기 이하의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권한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권한이 활성화된 제2 사용자 계정의 콘텐츠 업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된 상기 콘텐츠가 상기 지정된 크기 이하의 콘텐츠인지 판단하고, 상기 지정된 크기 이하의 콘텐츠가 아닌 경우에는 업로드를 제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뱃지는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 간의 제1 계약 관계를 나타내며, 상기 제1 계약 관계의 계약 내용은 상기 제1 계정의 사용자와 상기 제2 계정의 사용자 간의 수익 배분에 대한 계약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요청에 따라 제2 뱃지를 생성하고 제3 사용자 계정의 상기 플랫폼에 대한 활동 내역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활동 내역 점수가 임계치를 넘으면 상기 제2 뱃지를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에 부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은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와 파트너십이 맺어진 사용자의 계정이고, 상기 제1 권한은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에 업로드 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허락없이 접근하는 권한인 것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제2 사용자 계정의 제1 권한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제1 권한과 관련된 플랫폼 활동 내역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활동 내역 점수가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노티를 보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상기 제1 뱃지 소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상기 제1 권한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1 뱃지를 소멸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뱃지를 장착한 사용자 계정은 제1 그룹에 포함되고 상기 제2 뱃지를 장착한 사용자 계정은 제2 그룹으로 포함되도록 사용자 계정을 분류하고 상기 제1 뱃지에 대한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계정을 표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뱃지에 대하여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서 제4 사용자 계정으로 양도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양도 요청을 제1 사용자 계정으로 송신하고, 상기 양도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허가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서 상기 제4 사용자 계정으로 상기 제1 뱃지의 양도가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상기 제1 뱃지 장착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뱃지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상세 설명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상세 설명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가 지정한 것이고, 상기 제1 상세 설명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상호 협의가 있어야 상기 제1 상세 설명의 수정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간의 상기 제1 계약 관계 및 상기 제1 권한의 내용을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제1 사용자 계정에 뱃지 생성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상기 뱃지 생성 권한 이용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간 제1 계약 관계를 담은 제1 뱃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뱃지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1 뱃지가 장착되면, 제2 사용자 계정의 제1 권한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계 S100의 제1 사용자 계정에 제1 뱃지 생성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단계 S200의 제1 뱃지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단계 S300의 제1 뱃지를 제2 사용자 계정에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단계 S400의 제2 사용자 계정에 제1 뱃지가 장착되는 제2 사용자 계정의 제1 권한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관리자 페이지를 통해 뱃지 생성 및 관리 등 관리 업무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관리자 페이지 예시도이다.
도 13은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개인 페이지의 예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8은 뱃지의 예시도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개인 페이지에서 뱃지 장착 및 교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개인 페이지의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 따른 따른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서버(400), 제1 사용자 단말(100), 제2 사용자 단말(200), 제3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단, 이는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서버(400)는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또는 시스템으로써,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즉, 컴퓨팅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탑(laptop)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컴퓨팅 기능 및 통신 기능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의 몇몇 예시는 도 23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구성은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에 따른 중앙집중형 아키텍처에 의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이러한 경우, 플랫폼 서비스의 구현에 있어서 발생되는 각각의 이벤트 데이터는 블록체인에 포함되어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에 분산저장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블록체인 노드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 200, 300)일 수도 있고,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 200, 300)과 분리된 별도의 전용 블록체인 노드 장치일 수도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이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된다 하더라도 DAPP 업데이트, DAPP 서버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은 다른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를 관리하는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컴퓨팅 장치이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연산 수단 및 통신 수단이 구비된 임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의 관리를 받는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컴퓨팅 장치이다.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제2 사용자 단말(200)도 제1 사용자 단말(100)과 마찬가지로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연산 수단 및 통신 수단이 구비된 임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단말(300)은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업로드하는 콘텐츠를 소비하는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컴퓨팅 장치이다. 제3 사용자 단말(300)도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연산 수단 및 통신 수단이 구비된 임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단말(100), 제2 사용자 단말(200), 제3 사용자 단말(300)에는 애플리케이션(APP)이 다운로드 되어 있고, 그 APP을 통하여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이용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APP)은 스마트폰이나 스마트TV 같은 스마트 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응용 프로그램을 말한다.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그리고 제3 사용자는 각각 제1 사용자 단말(100), 제2 사용자 단말(200) 그리고 제3 사용자 단말(300)에 APP을 설치하고, 상기 APP을 통해 회원 가입을 살 수 있다. 이 때, 업로드 권한을 가진 뱃지를 장착한 사용자 계정을 가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 200, 300)에 설치된 APP을 통해 자신이 제작한 콘텐츠를 등록할 수도 있다.
서버(4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제1 뱃지 생성 권한 요청을 수신하면, 제1 사용자 계정이 등록된 관리자 계정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계정이 등록된 관리자 계정이라면, 제1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1 뱃지 생성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는 제2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가 상기 제1 뱃지 획득 조건을 충족한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제1 뱃지를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뱃지는 제1 권한을 담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권한은 예를 들어,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권한, 지정된 유형의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권한, 또는 지정된 크기 이하의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권한 등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제1 뱃지가 장착되면,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제1 권한이 활성화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계정의 제1 권한이 활성화될 때, 상기 제1 권한과 관련된 플랫폼 활동 내역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활동 내역 점수가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노티를 보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계정에 뱃지가 장착되는 것은 사용자 계정에 해당 뱃지에 포함된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서버(40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요청을 수신하여 제2 뱃지를 생성하고, 제3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 계정의 플랫에 대한 활동 내역 점수가 임계치를 넘으면, 상기 제2 뱃지를 제3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2 뱃지를 부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서버(400)는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상기 제1 뱃지 소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상기 제1 권한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상기 제1 뱃지를 소멸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인스트럭션(instruction)이란, 기능을 기준으로 묶인 일련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이자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가리킨다.
상기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에 포함되는 모든 단계는 하나의 물리적인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을 것이나, 상기 방법의 제1 단계들은 제1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고 상기 밥법의 제2 단계들은 제2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은 다양한 시스템 및/또는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나,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도 1에서 예시된 환경을 가정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또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상기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의 각 단계는 서버(4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각 동작의 주어가 생략된 경우, 상기 각 동작은 상기 예시된 장치(400)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하에서 후술된 방법들은 필요에 따라 논리적으로 수행 순서가 바뀔 수 있는 범위 안에서 각 동작의 순서가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단, 이는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은 제1 사용자 계정에 제1 뱃지 생성 권한을 부여하는 뱃지 생성 권한 부여 프로세스(S100), 뱃지 생성 권한에 따라 뱃지를 생성하는 뱃지 생성 프로세스(S200), 생성된 뱃지를 사용자 계정에 부여하는 뱃지 부여 프로세스(S300), 부여된 뱃지를 장착하여 권한을 활성화하는 권한 활성화 프로세스(S400) 및 사용자 계정 간의 계약 관계 및 권한 내용을 저장하는 정보 저장 프로세스(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 각각의 프로세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뱃지 생성 권한 부여 프로세스(S100)가 수행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1 계정으로부터 제1 뱃지 생성 권한 요청이 수신될 수 있다(S110).
이후, S110단계에서 수신된 제1 뱃지 생성 권한 요청을 이용하여 제1 계정이 등록된 관리자 계정인지 판단될 수 있다(S120). 여기서, 등록된 관리자 계정이란, 상기 제1 계정의 사용자가 관리자임을 확인할 수 있는 증명서류 등을 미리 등록한 계정을 말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계정이 등록된 관리자 계정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뱃지 생성 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S130). 반대로 상기 제1 계정이 등록된 관리자 계정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등록된 관리자 계정으로 노티가 발생될 수 있다(S140). 여기서 노티란 S110단계에서 뱃지 생성 권한 요청을 송신한 사용자의 계정이 등록된 관리자 계정이 아님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뱃지 생성 권한 부여 프로세스(S100)를 통해 뱃지 생성 권한이 자격 증명이 된 계정에게만 부여됨으로써 뱃지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뱃지의 생성 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는, 소속 사용자들에 대한 권한을 상기 뱃지에 담아 상기 소속 사용자에 부여하는 능력과 소속 사용자들에 의하여 운영 되는 페이지가 유명인 사칭 페이지가 아님을 상기 생성된 뱃지에 의하여 타 사용자들에 알릴 수 있는 능력을 부여 받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2 를 참조하면, 뱃지 생성 권한 부여 프로세스(S100)를 통해 뱃지 생성 권한이 부여된 이후, 뱃지 생성 프로세스(S200)에 의해 제1 뱃지가 생성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뱃지 생성 권한 부여 프로세스(S100)를 거쳐 뱃지 생성 권한이 부여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제1 뱃지 생성 요청이 수신된다(S210).
다음으로, 상기 제1 뱃지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이 생성 권한을 가진 뱃지인지 판단된다(S220). 예를 들어, S100을 통해 제1 사용자 계정에 부여된 뱃지 생성 권한에 포함된 뱃지의 종류와 S210단계에서 수신한 뱃지 생성 요청에 포함된 뱃지의 종류가 동일한지 여부가 판단된다.
즉, 뱃지 생성 권한을 가진 사용자라도 모든 형태의 뱃지를 생성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것은 아니고, 생성 가능한 범위 내의 뱃지 만을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이 생성 권한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제1 뱃지가 생성될 수 있다(S230). 여기서, 뱃지가 생성된다는 것은, 그 뱃지가 표현하는 보유 권한 등의 정보가 패키징 된 데이터가 생성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상기 뱃지의 생성과 함께 생성되는 데이터를 '뱃지 컨테이너'로 표현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구현되는 경우, 상기 뱃지와 관련된 이력은 블록체인에 포함되어 분산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뱃지와 관련된 이력은 뱃지의 생성, 뱃지의 이전, 뱃지의 활성화, 뱃지의 비활성화, 뱃지의 소멸 등과 관련된 것으로, 일종의 뱃지와 관련된 트랜잭션(transaction)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뱃지와 관련된 트랜잭션 뿐만 아니라, 뱃지가 가지는 권한의 추가/제거/변경 또한 블록체인에 포함되어 분산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뱃지 컨테이너의 변동 사항 역시 블록체인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뱃지와 관련된 트랜잭션 또는 뱃지에 포함된 권한 정보가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경우, 뱃지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반대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이 생성 권한을 가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사용자 계정에 생성권한이 필요하다는 노티가 발생될 수 있다(S240). 예를 들어, 연예기획사의 관리자는 소속 아티스트 관리를 위한 권한이 담긴 뱃지 생성 권한만을 부여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기획사의 관리자의 제1 사용자 계정이 특허 관리를 위한 권한이 담긴 뱃지 생성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노티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관리자 계정에 모든 뱃지의 생성 권한을 일괄적으로 부여하지 않음으로써, 관리자 계정이라 하여도 생성 가능한 뱃지에 제한을 두어 각 뱃지가 가지는 전문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뱃지 생성 프로세스(S200)에 의해 제1 뱃지가 생성된 이후, 제2 사용자 계정에 제1 뱃지가 부여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와 계약 관계를 맺은 사용자의 계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계정은 기획사의 관리자 계정이고, 제2 사용자 계정은 상기 기획사에 소속된 아티스트의 계정일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제1 뱃지 부여 요청이 수신된다(S310). 상기 요청은 제1 뱃지 생성 권한이 있는 제1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송신될 수도 있고,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송신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S310단계에서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제1 뱃지 부여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2 사용자 계정이 상기 제1 뱃지의 획득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된다(S320). 여기서, 획득 조건이란, 뱃지를 획득할 수 있는 자격 조건을 말한다. 상기 획득 조건은 상기 뱃지의 뱃지 컨테이너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어떤 뱃지를 부여받을 수 있는 조건이 그 뱃지의 뱃지 컨테이너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1 사용자 계정에서 제2 사용자 계정으로의 뱃지 이동 요청이 있을 때,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이 이동 대상 뱃지의 뱃지 컨테이너에 포함된 획득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을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획득 조건은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이 상기 획득 조건에 지정되어 있는 뱃지 획득 가능 계정 목록에 포함되는 것을 가리킬 수 있다. 즉, 이 경우의 뱃지 획득 가능자는 이미 뱃지 생성 시점에 지정된 사용자로 한정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아티스트 그룹의 멤버에만 부여되는 뱃지의 경우, 본 실시예와 같이 획득 조건이 세팅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획득 조건은 상기 뱃지를 생성한 사용자에 의하여만 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아티스트 그룹의 멤버에만 부여되는 뱃지는, 멤버의 탈퇴, 신규충원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아티스트 그룹의 연예기획사(즉, 상기 뱃지를 생성한 사용자)에 의하여 그 획득조건이 사후적으로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획득 조건은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플랫폼 내 활동 지표에 기반하여 획득 가부가 결정되도록 세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티스트의 컨텐츠 청취/시청 시간 합계가 기준 시간을 초과하거나, 상기 제1 아티스트의 페이지 방문 횟수가 기준 횟수를 초과하거나, 상기 제1 아티스트의 페이지에 임베드 된 연계 상품 구매액이 기준 액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1 아티스트의 인증 팬 뱃지가 부여되도록, 상기 획득 조건이 세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획득 조건은, 제1 사용자 계정에서 제2 사용자 계정으로의 뱃지 이동 요청과 관련된 상황 정보(context information)에 따라 획득 가부가 결정되도록 세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뱃지 이동 요청이 접수된 시점의 시간, 위치 및 날씨 중 적어도 일부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뱃지의 획득이 가능하도록 상기 획득 조건이 세팅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 응용 예로서, 특정 장소에 운집한 100명 이상이, 동시에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뱃지 이동 요청을 하는 경우에 한하여 뱃지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획득 조건이 세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뱃지의 획득 조건과 관련된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뱃지는 플랫폼 서비스 상의 권한을 담고 있는 일종의 정보 컨테이너로서 그 자체가 뱃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가 사칭 페이지가 아님을 증빙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뱃지에 그 뱃지의 획득을 위한 획득 조건도 담기게 된다. 따라서, 플랫폼 서비스를 구현하는 사업자의 입장에서 플랫폼 서비스 운영 로직의 수정 없이도 다양한 뱃지 획득 조건이 구현되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를 얻는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에 따른 기술으로 생성된 뱃지가 본 개시에 따른 방법으로 구현된 플랫폼이 아닌 외부의 다른 플랫폼에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뱃지의 획득 조건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 로직이 상기 뱃지에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판단 로직은, 예를 들어 자바스크립트, ASP 등의 스크립트 코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뱃지의 획득 조건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 로직까지도 상기 뱃지 내부에 포함됨으로써,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의 활용 범위가 더 확장되는 효과를 얻는다.
다음으로, 만약 단계 S320에서 제2 사용자 계정이 제1 뱃지 획득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사용자 계정에 제1 뱃지가 생성될 수 있다(S330). 반대로, S320에서 제2 사용자 계정이 제1 뱃지 획득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사용자 계정에 노티가 발송될 수 있다(S340).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S300을 통해 제1 뱃지가 제2 사용자 계정에 부여되면, 제2 사용자 계정에 제1 뱃지가 장착되어 제1 권한이 활성화될 수 있다(S400). 여기서, 상기 제1 권한은 제1 사용자 계정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뱃지는 따라 다양한 권한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권한은 콘텐츠에 대한 업로드 권한일 수 있다. 상기 콘텐츠는 이미지(Image), 동영상, 플래쉬(Flash), 문서, 웹페이지(Web Page), 링크(Link) 등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콘텐츠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 업로드 방식 중 특정 콘텐츠만 업로드 할 수 있는 권한을 뱃지에 담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콘텐츠에 대한 업로드 권한을 담은 뱃지 또는 영상 콘텐츠를 업로드 할 수 있는 권한을 담은 뱃지 등이 있을 수 있다.
또는, 특정 콘텐츠 업로드 형식 내에서도 지정된 크기 이하의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권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콘텐츠에 대한 업로드 권한에도 1분 업로드 권한, 전체 음악 업로드 권한 등 업로드 가능한 크기나 길이가 정해진 권한이 뱃지에 담길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권한이 활성화된 제2 사용자 계정의 업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콘텐츠를 업로드 할 때, 상기 콘텐츠가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가 생산한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생산한 콘텐츠가 아닌 경우에는 업로드가 제한될 수 있다. 즉, 직접 생산한 콘텐츠의 업로드만이 가능하도록 하는 권한이 뱃지에 담길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권한을 통해 무분별한 공유로부터 콘텐츠 생산자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권한은 상기 플랫폼 상에서 커머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반 발매 권한이나, 마켓 시스템 이용 권한, 관리자 페이지 이용 권한 등이 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뱃지에 계약 관계 및 내용을 담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계약에는 수익 계약, 전속 계약, 파트너 계약 등 다양한 계약 관계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법인과 기업간의 파트너 계약 관계가 뱃지에 담길 수 있다.
이 때, 제1 권한은 상기 특허 법인에 소속된 제2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가 상기 파트너 계약 관계인 상기 기업의 제1 사용자 계정에 업로드 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허락없이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랫폼 내에서 사용자의 특정 행위에 대한 인증이 뱃지에 담길 수 있다. 상기 인증이 담긴 뱃지를 부여받은 사용자는 특별한 보상, 혜택 또는 서비스 등도 함께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가수의 음악을 1000시간 이상 들은 행위를 인증하는 뱃지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를 부여받은 사용자는 상기 특정 가수의 굿즈 선공개나 팬미팅 티켓 선예매 등의 혜택을 함께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뱃지 별로 데이터가 분류되어 특정 뱃지를 소유한 유저들을 리스트업 될 수 있다. 또한 검색 기능을 통해 뱃지를 검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뱃지를 장착한 사용자 계정을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제2 뱃지를 장착한 사용자 계정은 제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제1 뱃지에 대한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제1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계정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뱃지 별 데이터 분류와 검색 기능을 통해 특정 뱃지를 가진 사람에게만 광고가 노출될 수 있으므로 타게팅 광고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플랫폼의 운영자나 뱃지 마스터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상기 뱃지는 자유롭게 생성, 관리, 철회되어 해당 플랫폼의 사용자들에게 부여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권한이 활성화될 때, 상기 제1 권한과 관련된 플랫폼 활동 내역 점수가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플랫폼 활동 내역 점수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S300단계에서 제2 사용자 계정에 부여된 제2 사용자 계정에 제1 뱃지가 장착된다(S410).
다음으로, 제2 사용자 계정의 제1 권한과 관련된 플랫폼 활동 내역 점수가 산출된다(S420).
다음으로,S420단계에서 산출된 플랫폼 활동 내역 점수가 임계치를 넘는지 판단된다(S430). 만약, S430단계에서 임계치를 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사용자 계정에 노티가 송신된다(S440).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노티를 수신한 제1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게 부여한 뱃지에 대한 소멸이 요청될 수 있다. 상기 소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상기 제1 권한은 비활성화되고,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상기 제1 뱃지는 소멸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뱃지를 장착한 제2 사용자 계정이 제1 권한과 관련된 플랫폼 활동을 지속하지 않는 경우 제1 사용자 계정에 노티를 보내고 제1 사용자 계정의 요청에 따라 제1 권한과 관련된 사용에 대한 제2 사용자의 권한을 소멸시킬 수 있게 하여 제1 사용자 계정의 제2 사용자 계정에 대한 관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S400단계에서 제2 사용자 계정에 제1 뱃지가 장착됨에 따라 제1 권한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간의 제1 계약 관계 및 상기 제1 권한의 내용이 블록체인에 저장될 수 있다. 즉, 뱃지에 다양한 기능을 담을 수 있으며, 이 모든 내용이 계약 당사자간과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블록체인에 기록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뱃지에 대하여, 제2 사용자 계정에서 제4 사용자 계정으로 제1 뱃지를 양도하는 것을 요청하는 양도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한 양도 요청을 제1 사용자 계정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양도 요청에 응답하여 제1 사용자 계정의 허가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제2 사용자 계정에서 상기 제4 사용자 계정으로 상기 제1 뱃지의 양도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양도된 뱃지에 대하여, 자바스크립트, ASP 등의 스크립트 코드를 이용하여 뱃지 양도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보안 이슈를 극복할 수 있다.
즉, 뱃지를 현물화 하여 사용자 간의 양도, 구매, 판매 등 거래를 가능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뱃지의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필요한 권한에 따른 뱃지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는 뱃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지원기기의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관리자 페이지를 통해 뱃지 생성 및 관리, 콘텐츠 관리 등의 관리 업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아티스트 그룹의 기획사의 관리자 페이지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이는 예시일 뿐, 한정되지 않는다.
각 기획사는 플랫폼 운영사의 결정을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웹 관리자 페이지를 받을 수 있다. 상기 페이지를 통해 뱃지 생성 및 관리, 콘텐츠 관리, 창고 등록 및 관리 등 관리 업무가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관리자 페이지는 크게 5개의 영역(601, 602, 603, 604, 605)으로 구분되어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제1 영역(601)에는 상기 기획사의 로고가 표시되어 있다. 제2 영역(602)에는 아이디 카드 이름, 추가 정보, 소속 정보, 뱃지, 역할 등이 표시되어 있고 개인 정보 편집을 수행하는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제3 영역(603)에는 콘텐츠 보기, 콘텐츠 업로드, 뱃지 생성 및 관리, 창고 등록 및 관리, 프로핏 쉐어 현황, 파트너 관리 등의 관리를 위한 메뉴가 표시되어 있다. 제4 영역(604)에는 기획사에서 관리하는 콘텐츠의 제목, 분류, 코드, 잔여 수량, 진열 상태들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제5 영역(605)에는 특정 뱃지와 연결된 아티스트들에 대한 목록이 표시되어 있다. 제3 영역(603)의 뱃지 생성 및 관리 탭을 터치하면 도 8에 도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제4 영역(603)에 표시된 뱃지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뱃지를 선택하는 경우, 제5 영역(605)에서 선택한 뱃지와 연결된 아티스트들에 대한 목록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역(603)의 뱃지 생성 및 관리 탭(701)을 터치하면 제4 영역(604)에 지금 갖고 있는 뱃지 목록(702)과 +버튼(703)이 디스플레이 된다. +버튼(703)에 입력을 가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뱃지 생성을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뱃지 생성을 위한 화면은 기획사 계정을 나타내는 영역(801)과 뱃지의 기본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영역(802)으로 나뉜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뱃지의 기본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영역(802)에 대해 부연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새로운 뱃지를 생성하기 위한 뱃지의 기본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뱃지의 기본정보를 나타내는 영역은 크게 9개로 나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정하고자 하는 뱃지의 기본정보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영역(901)은 메인 사진을 설정하는 영역이다. 업로드 아이콘(903)에 입력이 수신되면, 원하는 이미지를 업로드 할 수 있는 기능이 활성화된다. 상기 활성화된 기능을 통해 원하는 이미지가 업로드 되면, 제1 영역에 뱃지 이미지 (902)로 업로드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영역(904)을 통해 뱃지 이름이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뱃지 이름은 텍스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관리자와 소속 아티스트간 상호 계약을 통해 정해질 수도 있고, 관리자가 정하여 통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영역(905)을 통해 수익 계약이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수익 계약이란, 관리자인 기획사와 상기 뱃지를 장착한 소속 아티스트 간 수익 배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획사 7, 아티스트 3의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제4 영역(906)을 통해 뱃지 분류가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뱃지 분류는 각 뱃지의 유형을 분류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가 단체 팀/아티스트 기능 전체로 분류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분류별로 뱃지가 장착되면 활성화되는 권한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5 영역(907)을 통해 뱃지 코드가 부여된다. 여기서, 상기 뱃지 코드란, 플랫폼에서 뱃지를 구분하기 위해 쓰이거나 블록 체인에 기록될 때 사용되는 코드일 수 있다. 상기 뱃지 코드는 각 뱃지 별로 고유한 번호로 부여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6 영역(908)을 통해 자체 코드가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자체 코드란, 기획사, 즉 관리자가 부여하는 코드를 말한다. 뱃지 코드와 달리 각 뱃지 별로 고유한 번호가 부여될 필요는 없으며, 각 관리자 계정이 상기 관리자 계정의 사용자가 보유한 뱃지의 관리의 편의를 위해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제7 영역(909)을 통해 상기 뱃지가 적용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플은 복수개가 설정될 수 있다.
도 11에는 세부 계약 및 추가 정보를 설정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세부 계약 및 추가 정보란, 기본 설정과 별도의 특약 사항과 마켓을 통해 판매할 수 있는 상품 등을 말한다.
제1 영역(1001)을 통해 제1 특약 사항이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특약 사항은 유통사, 기획사를 거치지 않은 콘텐츠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제2 영역(1002)은 통해 제1 특약 사항이 대한 기획사 대 아티스트의 수익 배분이 지정될 수 있다. 도 11에는 제1 특약 사항에 대한 배분의 예시로 기획사 5: 아티스트 5의 비율이 도시되어 있다.
제3 영역(1003)을 통해 제2 특약 사항이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특약 사항은 팬들이 직접 준 블록체인 포인트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제4 영역(1004)을 통해 상기 제2 특약 사항에 대한 기획사 대 아티스트의 수익 배분이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들이 직접 준 블록체인 포인트에 대하여는 기획사 2: 소속 아티스트 8의 비율로 수익 배분되도록 지정될 수 있다.
제4 영역(1005)을 통해 마켓 구성 여부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켓 구성은 부분적으로 허용될 수 있다. 제5 영역(1006)을 통해 마켓을 통해 판매할 수 있는 허가 상품이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반, 의류, 핸드 메이드, 기성품 등의 허가 상품 중에서 기성품만 허가 상품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는 관리자가 가지고 있는 뱃지 리스트(1101)가 디스플레이 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뱃지 리스트(1101) 중에서 하나의 뱃지(1102)가 선택되면 오른쪽 구역(1103)에는 해당 뱃지와 연결된 아티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뱃지를 한번 더 터치하면 도 9 내지 11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블록체인에 기록되기 때문에, 상호 허가가 있어야 수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뱃지 시스템을 통해 기획사는 모든 소속 아티스트와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연결이 아니라, 블록 체인을 통한 기능 연결로 온라인 활동에 계약관계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획사가 수여한 뱃지를 받은 계정은, 뱃지를 적용하지 않은 아이디 카드로 활동하더라도 해당 뱃지 속성 및 기능의 영향 아래에서 이 플랫폼을 사용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뱃지로 기획사와 아티스트가 연결되는 기능을 통해, 아티스트가 콘텐츠를 업로드 하기 전에 기획사가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일정 시간동안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며 상호 허가 아래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의 오른쪽 구역(1103)에 표시된 각 아티스트의 프로필을 클릭하면, 각 아티스트의 개인 페이지가 확인 및 추가될 수 있다. 이하 개인 페이지에 대해 도 13 내지 도 21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는 개인 페이지의 예시도이다. 각 사용자의 아이디 카드마다 꾸밀 수 있는 개인공간이 주어지고, 1인당 3개의 개인공간을 꾸밀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아이디 카드마다 왼쪽 상단(1110)에 다른 뱃지가 장착될 수 있다. 장착된 뱃지를 클릭하면, 상기 뱃지의 상세 설명(뱃지의 모양, 이름, 기능 등)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 상세 설명은 제1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가 지정한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세 설명의 수정 기능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상호 협의가 있어야 활성화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상세 설명의 수정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계정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상호 협의 없이 제1 사용자 계정에서 단독으로 상세 설명의 수정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프로듀서 뱃지의 모양과 이름이 도시되어 있고, 프로듀서 주소록에 등재되고 믹스 테이프를 업로드 할 수 있는 권한과 비트 공유, 판매 권한이 활성화된다는 내용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블락의 프로듀서가 되면 얻을 수 있는 뱃지라는 뱃지 획득 조건이 표시되어 있다.
도 15 내지 도 18에는 다양한 종류의 뱃지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이 외에도 더 다양한 뱃지가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이렉트 콘택트 뱃지를 장착한 사용자 계정은 페이지 공간을 획득하여 기본 콘텐츠 업로드 권한이 담겨있다. 또한, 회원 가입을 완료하면 얻을 수 있는 기본 뱃지라는 뱃지 획득 조건이 표시되어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블락 뮤지션 뱃지를 장착한 사용자 계정에는 블락의 정식 멤버를 나타내며 음악 콘텐츠 업로드 권한이 부여된다. 또한, 영상 콘텐츠의 1분 업로드 제한이 해제될 수 있다. 블락 뮤지션 뱃지 획득 조건은 블락의 뮤지션이 되는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스폐셜 뱃지를 장착한 사용자 계정에는 특별한 혜택과 선물,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지원, 타 플랫폼과 컬레버레이션등의 권한이 부여된다. 스폐셜 뱃지는 실력, 운, 인기, 꾸준함을 모두 가지는 것이 획득 조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블락 챌린져 뱃지를 장착한 사용자 계정은 블락 주소록의 챌린지 멤버임이 인증된다. 블락 챌린져 뱃지에는 음악 콘텐츠 업로드 권한이 부여되고, 영상 1분 업로드 제한이 해제될 수 있다. 블락의 뮤지션이 되기 위한 챌린져가 되는 것이 블락 챌린져 뱃지의 획득 조건이다.
도 19 내지 도 22을 참조하여 개인 페이지에서 뱃지 장착 및 교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개인 페이지 오른쪽 상단의 설정 아이콘(1701)이 클릭되면, 뱃지를 설정할 수 있는 편집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편집 모드를 통해 아이디 카드 이름 및 추가 정보 등 기본 정보가 작성될 수 있고 이미지가 설정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아이디 카드 편집 기능 중 뱃지 또는 엠블럼 선택하기 기능을 설명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배지들의 이름, 이미지, 설명, 기능 등을 보고 해당 아이디 카드에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 중 한가지를 선택하고 편집 완료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편집 완료 버튼을 클릭하면 개인 공간 화면으로 돌아오고, 편집모드 상태로 왼쪽 상단에 선택한 뱃지가 적용되어 있다. 이는 도 2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2에서 오른쪽 상단의 저장하기 버튼(2001)을 누르면 개인 공간 편집이 완료되고, 선택했던 뱃지가 등록 완료된다. 또한 해당 뱃지에 담긴 기능이 적용되어 실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2 내지 도 22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3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100)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버스(150), 통신 인터페이스(170),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30)와, 컴퓨터 프로그램(191)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3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2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컴퓨팅 장치(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3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90)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91)을 로드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150)는 컴퓨팅 장치(1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5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컴퓨팅 장치(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19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91)과 각종 데이터 등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9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91)은 메모리(130)에 로드될 때 프로세서(110)로 하여금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191)은 제1 사용자 계정에 뱃지 생성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상기 뱃지 생성 권한 이용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간 제1 계약 관계를 담은 제1 뱃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뱃지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부여하고,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1 뱃지가 장착되면, 제2 사용자 계정의 제1 권한을 활성화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191)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상기 재2 사용자 계정간의 상기 제1 계약 관계 및 상기 제1 권한의 내용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컴퓨팅 장치(100)를 통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장치(e.g. 10)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구현하는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191)은 다른 블록체인 노드의 요청에 따라 블록 데이터를 저장 하고, 블록 데이터의 저장을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 전파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을 언급하였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개시가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4)

  1. 컴퓨팅 장치가 수행하는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계정에 뱃지 생성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상기 뱃지 생성 권한 이용 요청에 따라 제1 뱃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뱃지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1 뱃지가 장착되면, 제2 사용자 계정에 제1 권한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은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의 관리자 계정인 것인,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권한은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권한이고,
    상기 제1 권한이 활성화된 제2 사용자 계정의 업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권한이 활성화된 제2 사용자 계정의 업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가 생산한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생산한 콘텐츠가 아닌 경우에는 업로드를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권한은 지정된 유형의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권한이고,
    상기 제1 권한이 활성화된 제2 사용자 계정의 콘텐츠 업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된 상기 콘텐츠가 상기 지정된 유형의 콘텐츠인지 판단하고, 상기 지정된 유형의 콘텐츠가 아닌 경우에는 업로드를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권한은 지정된 크기 이하의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권한이고,
    상기 제1 권한이 활성화된 제2 사용자 계정의 콘텐츠 업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된 상기 콘텐츠가 상기 지정된 크기 이하의 콘텐츠인지 판단하고, 상기 지정된 크기 이하의 콘텐츠가 아닌 경우에는 업로드를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뱃지는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 간의 제1 계약 관계를 나타내며,
    상기 제1 계약 관계의 계약 내용은 상기 제1 계정의 사용자와 상기 제2 계정의 사용자 간의 수익 배분에 대한 계약 내용을 포함하는,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정의 사용자와 상기 제2 계정의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상은 상기 수익 배분에 대한 계약 내용에 따라 산출된 것인,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요청에 따라 제2 뱃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3 사용자 계정의 상기 플랫폼에 대한 활동 내역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활동 내역 점수가 임계치를 넘으면 상기 제2 뱃지를 제3 사용자 계정에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활동 내역 점수는 상기 플랫폼에서의 상기 제3 사용자가 제2 사용자의 업로드된 콘텐츠를 소비한 시간에 따라 산출되는 것인,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뱃지를 장착한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은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와 파트너십이 맺어진 사용자의 계정인 것인,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권한은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에 업로드 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허락없이 접근하는 권한인 것인,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14. 제1 항에 있어서,
    제2 사용자 계정의 제1 권한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권한과 관련된 플랫폼 활동 내역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활동 내역 점수가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노티를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상기 제1 뱃지 소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상기 제1 권한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1 뱃지를 소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뱃지를 장착한 사용자 계정은 제1 그룹에 포함되고, 상기 제2 뱃지를 장착한 사용자 계정은 제2 그룹으로 포함되도록 사용자 계정을 분류하고, 상기 제1 뱃지에 대한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계정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뱃지에 대하여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서 상기 제4 사용자 계정으로 양도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양도 요청을 제1 사용자 계정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양도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허가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서 상기 제4 사용자 계정으로 상기 제1 뱃지의 양도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상기 제1 뱃지 장착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뱃지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뱃지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뱃지의 제1 상세 설명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세 설명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가 지정한 것이고, 상기 상세 설명의 수정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상호 협의가 있어야 활성화되는 것인,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세 설명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가 지정한 것이고, 상기 상세 설명의 수정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상호 협의 없이 제1 사용자 계정에서만 단독으로 활성화되는 것인,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2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상기 재2 사용자 계정간의 상기 제1 계약 관계 및 상기 제1 권한의 내용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23.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제1 사용자 계정에 뱃지 생성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상기 뱃지 생성 권한 이용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간 제1 계약 관계를 담은 제1 뱃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뱃지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1 뱃지가 장착되면, 제2 사용자 계정의 제1 권한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24.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제1 사용자 계정에 뱃지 생성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상기 뱃지 생성 권한 이용 요청에 따라 제1 뱃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뱃지를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부여하고,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상기 제1 뱃지가 장착되면, 제2 사용자 계정의 제1 권한을 활성화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이용자 관리 장치.
KR1020190081229A 2019-03-08 2019-07-05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KR20200107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12,231 US11425135B2 (en) 2019-03-08 2020-03-06 Method for platform user management using badge system
PCT/KR2020/003239 WO2020184930A1 (ko) 2019-03-08 2020-03-09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KR1020210111190A KR20210106963A (ko) 2019-03-08 2021-08-23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27123 2019-03-08
KR1020190027123 2019-03-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190A Division KR20210106963A (ko) 2019-03-08 2021-08-23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724A true KR20200107724A (ko) 2020-09-16

Family

ID=726701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229A KR20200107724A (ko) 2019-03-08 2019-07-05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KR1020210111190A KR20210106963A (ko) 2019-03-08 2021-08-23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190A KR20210106963A (ko) 2019-03-08 2021-08-23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1077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419A (ko) * 2020-11-25 2022-06-02 메타로보틱스 주식회사 공동 방제 장치 및 공동 방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419A (ko) * 2020-11-25 2022-06-02 메타로보틱스 주식회사 공동 방제 장치 및 공동 방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963A (ko) 202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4409B2 (ja) 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1962510B2 (en) Resource watermarking and management
US113671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ploying arrangements of payloads based upon engagement of website visitors
US20120311039A1 (en) Content sharing system and content sharing method
CN108629199A (zh) 使用可访问性api控制对内容的访问的系统和方法
EP3132414A1 (en) Global exchange platform for the film industry professionals
US11032264B2 (en) Backend service integration
CN105453072A (zh) 以用户为中心的数据维护
KR20140126152A (ko) 음악 컨텐츠 이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WO2016076128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CN113742601A (zh) 内容分享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2020191016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9953142B2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and behavioral traits
KR20210106963A (ko) 뱃지 시스템을 이용한 플랫폼 사용자 관리 방법
US10476944B2 (en) Backend service integration
US9936046B2 (en) Sampling for content selection
US201600709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and fee based content rights and permissions
KR102412317B1 (ko) 인플루언서 커머스 지원 시스템 및 방법
US11140256B1 (en) System and method of preventing an unintentional action from being performed on a device
KR102343169B1 (ko) 창작물 거래 시스템
US11425135B2 (en) Method for platform user management using badge system
KR102339384B1 (ko) 그룹 기반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US20190026803A1 (en) Digital code server
US11243867B1 (en) System for federated generation of user interfaces from a set of rules
US1134807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ata sharing and access across platforms operating on a rewards-based, universal, integrated code 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