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643A - 전압 검출 기능을 구비한 부스바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압 검출 기능을 구비한 부스바 지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07643A KR20200107643A KR1020190027081A KR20190027081A KR20200107643A KR 20200107643 A KR20200107643 A KR 20200107643A KR 1020190027081 A KR1020190027081 A KR 1020190027081A KR 20190027081 A KR20190027081 A KR 20190027081A KR 20200107643 A KR20200107643 A KR 202001076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 bar
- main body
- voltage
- resistance
- support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스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스바에 결합되어 상기 부스바를 지지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부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의 단자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되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저항체인 저항부; 및 상기 본체의 외부 일측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저항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 측정 장치의 단자가 접속되는 전압 출력단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퍼시터 대신 저항을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교류 및 직류 전원 계통 모두에서 전압의 측정 또는 활선의 감지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퍼시터 대신 저항을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교류 및 직류 전원 계통 모두에서 전압의 측정 또는 활선의 감지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류 및 직류 전원 계통의 전압 측정 또는 활선 감지가 가능한 전압 검출 기능을 갖는 부스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각 전력 수용소에 설치되어 배전 계통을 감시 및 제어하는 전력 기기이다. 또한, 배전반은 전기의 배분과 개폐, 안전, 계량 등을 위한 개폐기, 차단기, 계기 등을 구비한다. 배전반은 사용 전력에 따라 주가되는 변압기의 1차 쪽에 접속되는 고압 배전반과, 2차 쪽에 접속되는 저압 배전반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배전반에는 전력의 전달을 위한 주회로인 부스바(Bus bar)가 구비된다. 부스바는 동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도체로 만들어진다. 부스바는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의 바(bar) 형상이다. 부스바는 절연 확보 및 기계적인 고정을 위해 애자(Insulator) 또는 클램핑 장치에 의해 배전반의 프레임에 지지된다. 애자는 에폭시 등의 절연 재질로, 클램핑 장치는 폴리에스테르나 유리섬유와 같은 절연 재질로 형성된다.
부스바는 통전을 위한 장치이므로 사용중에 전압이 인가된다. 배전반 등의 운전 시 사용자가 정상적인 운전 상태인지 확인을 할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부스바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배전반이나 부스바에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도 부스바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부스바에는 고전압이 걸리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해 2중, 3중으로 확인을 하게 된다.
일반적인 AC(교류) 전원의 경우, 전압 활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내장된 애자를 사용하면 전압 인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AC 전원용 활선 감지기능을 갖는 애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애자의 전기 회로를 간략하게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AC 전원용 활선 감지기능을 갖는 애자(10)는 양단에 부스바와 연결되는 부스바 연결단자(12)가 구비된다. 절연체로 형성된 애자(10)의 내부에는 캐퍼시터 역할을 하는 스크린(14)이 삽입된다. 스크린(14)은 부스바 연결단자(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애자(10)의 외부 일측에는 스크린(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출력단자(16)가 구비된다.
스크린(14)은 직류 전류는 차단하고 교류 전류만 흐르게 하는 캐퍼시터 역할을 한다. 스크린(14)이 부스바 연결단자(12) 및 출력단자(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부스바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이면 출력단자(16)를 통해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즉, 활선 감지 장치(30)를 출력단자(16)에 연결함으로써 전압 활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활선 감지 장치(30) 대신 전압 측정 장치(미도시)를 연결하면, 전압 측정 장치의 전압(V2)을 이용해 애자(10)를 통해 부스바에 인가된 전압(V1)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애자(10)는 캐퍼시터의 고유 특성상 교류 전원에서는 사용이 가능하나 직류 전원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최근에는 배터리와 같이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전력 기기가 대폭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배터리를 포함한 ESS(Energy Storage System)과 같이 대표적인 직류 전원장치의 활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애자(10)는 직류 전원장치에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직류 및 교류 전원에 별도로 사용할 수 있는 활선 감지 또는 전압 감지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려면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교류뿐만 아니라 직류 전원에도 사용할 수 있는 전압 측정 방법 또는 활선 여부 검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류 및 직류 전원 계통의 전압 측정 또는 활선 감지가 가능한 전압 검출 기능을 갖는 부스바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지지장치는 부스바에 결합되어 상기 부스바를 지지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부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의 단자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되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저항체인 저항부; 및 상기 본체의 외부 일측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저항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 측정 장치의 단자가 접속되는 전압 출력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저항부는 상기 전압 측정 장치의 저항보다 큰 저항값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저항부는 상기 본체 내부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복수의 부스바를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하되 상기 부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도체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부는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어 상기 도체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저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항부는 상기 본체 내부에 매립되거나 상기 본체 상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납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본체를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미리 설정된 폭을 남기고 상기 가장자리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지지장치는 캐퍼시터 대신 저항을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교류 및 직류 전원 계통 모두에서 전압의 측정 또는 활선의 감지가 가능하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AC 전원용 활선 감지기능을 갖는 애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애자의 전기 회로를 간략하게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부스바 지지장치의 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부스바 지지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부스바 지지장치의 주요 부위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애자의 전기 회로를 간략하게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부스바 지지장치의 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부스바 지지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부스바 지지장치의 주요 부위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부스바 지지장치의 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부스바 지지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 지지장치(300)는 애자이다.
부스바 지지장치(300)는 절연체로 만들어진 원통형의 본체(310)와, 본체(310)의 일단에 형성된 단자부(330)와, 본체(310)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부(340)와, 본체(310) 내부에 설치된 저항부(350)와, 본체(310)의 외부 일측에 구비된 전압 출력단자(370)를 포함한다. 부스바(100)는 클램프(320) 및 체결부재(322)에 의해 단자부(330)와 결합된다. 부스바(100)와 단자부(330), 저항부(350) 및 전압 출력단자(370)는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단자부(330)는 부스바(100)와 결합되어 부스바(100)를 지지하는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단자부(330)는 본체(310)의 일단에 삽입된다. 부스바(1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단자부(330)의 방향을 달리 하여 부스바(100)를 결합시킨다. 부스바(100)에 관통홀(100a)을 형성하고 관통홀(100a)에 체결볼트(110)를 결합하여 부스바(100)가 단자부(330)에 결합된다. 단자부(330)에 대향되는 본체(310)의 타단에는 결합부(340)가 형성된다.
결합부(340)는 부스바 지지장치(300) 본체(310)를 배전반의 프레임(미도시) 등에 고정하는 부분이다. 결합부(340)는 본체(310)의 타단에 삽입되며, 별도의 커넥터 등에 의해 고정된다.
저항부(350)는 본체(310)의 내부에 매립된다. 저항부(350)는 단자부(330) 및 전압 출력단자(3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저항부(350)는 수백 MΩ 이상의 저항체로 구비된다. 저항부(350)의 저항값이 이렇게 큰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저항부(3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압 출력단자(3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압 출력단자(370)는 저항부(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본체(310)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다. 전압 출력단자(370)에는 별도의 전압 측정 장치(500)가 접속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 지지장치(300)의 사용 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바 지지장치(300)의 단자부(330)에 부스바(100)가 연결되면, 부스바(100)에서 저항부(350)를 거쳐 전압 출력단자(370)까지 하나의 회로가 된다(단자부(330)에 부스바(1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회로상에 단자부(330)와 부스바(100)를 동일 위치에 표시함).
전압 측정 장치(500)는 일측 단자는 전압 출력단자(370)에 접속되고, 타측 단자는 접지 방식에 따라 다른 곳에 접속된다. 전압 측정 장치(500)는 내부 저항(510)을 구비하며, 전압 출력단자(370)를 통해 저항부(350)의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전압 측정 장치(500)는 내부 저항(510)의 양단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전압을 측정해 표시할 수 있다. 전압 측정 장치(500)는 측정된 저항값을 이용해 부스바(100)에 걸린 전압값을 도출할 수 있다(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함). 별도의 전압 측정 장치(500)는 도 5에 간략한 회로만 표시하였다.
교류 전원의 경우, 접지 계통이면 전압 측정 장치(500)의 일측 단자는 전압 출력단자(370)에 접속되고, 타측 단자는 접지 또는 접지에 연결된 외함에 접속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접지 계통의 경우 상-대지간의 전압을 측정 및 확인하기 위해 전압 측정 장치(500)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비접지 계통이면 전압 측정 장치(500)의 일측 단자는 전압 출력단자(370)에 접속되고, 타측 단자는 다른 극 또는 다른 상에 접속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비접지 계통의 경우 상-상간의 전압을 측정 및 확인하기 위해 전압 측정 장치(500)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계통 상에서 전압을 측정하고자 하는 두개의 위치(단자) 사이에 전압 측정 장치(500)를 연결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비접지 직류 계통에서 사용하는 극은 P극과 N극이 있다. 직류 전원의 경우, 부스바 지지장치(300)의 단자부(330)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부스바(100)에 연결되고, 부스바(100)에는 P극이 연결된다. 이때, 전압 측정 장치(500)의 일측 단자는 전압 출력단자(370)에 접속되고, 타측 단자는 N극의 부스바(미도시)에 접속되어 접지부에 연결(도 5의 접지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스바 지지장치(300) 내에 캐퍼시터가 아닌 저항부(350)가 구비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교류 전원 및 직류 전원 계통에 부스바 지지장치(300)를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측정 장치(500) 대신 전압 출력단자(370)에 활선 표시 장치(미도시, 활선 상태이면 켜지는 램프를 구비)를 연결해 활선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저항부(350)가 전술한 바와 같이 매우 큰 저항값을 가져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바 지지장치(300)를 회로도로 표현하면, 저항부(350)는 R1이 되고, 부스바 지지장치(300)에 인가되는 전압은 V1이 된다. 전압 출력단자(370)에 전압 측정 장치(500)를 연결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전압 측정 장치(500)의 저항은 R2, 전압은 V2가 된다. 이때, 부스바 지지장치(300)와 전압 측정 장치(500)간의 전압 및 저항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저항 R1 및 R2로 흐르는 전류는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전압 측정 장치(500)에 적용되는 저항인 R2 보다 부스바 지지장치(300)의 저항부(350)에 적용되는 저항인 R1이 현저하게 크므로 전술한 수식은 아래의 식으로 근사화될 수 있다.
부스바(100)에 걸리는 전압은 대략 1 ~ 수십 KV 정도이다. 따라서 저항이 수백 MΩ 이상이 되어야 전류값이 수 ~ 수십 ㎂ 정도가 되므로 발열로 인한 부스바 지지장치(3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부스바 지지장치(300)의 저항부(350)는 수백 MΩ 이상의 저항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부스바 지지장치(300)가 애자 형태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부스바 지지장치(300)가 다른 형태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부스바 지지장치의 주요 부위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 지지장치(300')는 부스바(100)를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하는 한 쌍의 클램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부스바 지지장치(300')는 복수의 부스바(100)를 지지하는 한 쌍의 클램프 본체(310')와, 클램프 본체(310') 내부에 설치되는 저항부(350')와, 클램프 본체(310') 외부로 노출되는 전압 출력단자(370')를 포함한다. 클램프 본체(31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도체 연결부(330')가 형성된다.
클램프 본체(310')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블록(block) 형태로, 복수의 부스바(100)를 길이 방향 양측에서 지지해 설치 위치에 고정한다. 도 6을 기준으로 보면, 클램프 본체(310')는 부스바(100)를 길이 방향 상하에서 고정한다. 클램프 본체(310')는 3상 또는 4항의 부스바(100)를 지지할 수 있다. 각 상은 2개 내지 4개의 부스바(10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2개의 부스바(100)가 한 상을 구성하며, 클램프 본체(310')가 3상의 부스바(100)를 지지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편의상 도면에는 모든 구성을 도시하지 않음). 클램프 본체(310')는 절연 소재로 만들어진다. 클램프 본체(3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면에 부스바(100)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312')이 형성된다. 복수의 삽입홈(312') 각각에 도체 연결부(330')가 결합된다.
도체 연결부(330')는 도전성 소재로 만들어져 부스바(100)와 통전된다. 도체 연결부(330')는 삽입홈(312')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체 연결부(330')는 클램프 본체(310') 상에 설치되는 저항부(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본체(310') 상에 수용홈(314')이 형성되고 수용홈(314') 내부에 저항부(350')가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저항부(350')가 클램프 본체(310')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저항부(350')는 도체 연결부(330') 및 전압 출력단자(3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술한 도 5에서와 같이 하나의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수용홈(314')은 클램프 본체(310') 상에 형성되되 클램프 본체(310')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클램프 본체(310')가 대략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므로 수용홈(314') 역시 이에 대응하여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314')은 클램프 본체(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홈(314')은 클램프 본체(310')의 가장자리 내측에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미리 설정된 만큼의 폭을 남기고 그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314')을 구비한 클램프 본체(310')는 수용홈이 없는 구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틀림 힘에 대해 유동성을 갖는다. 따라서 수용홈이 없을 때보다 수용홈(314')을 구비한 클램프 본체(310')의 전체적인 강도가 증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수용홈(314')을 클램프 본체(310') 전체 크기에 대응하여 하나로 형성하는 것 보다는 복수 개로 형성하는 것이 비틀림 힘이나 외력에 대한 강도 향상 측면에서 좀더 효과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항부(350')가 클램프 본체(310') 내부에 매립되거나 수용홈(314')에 수용되므로 저항부(350')를 보호하는 효과도 있다.
저항부(350')는 각 부스바(100)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부스바(100)의 설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저항부(350')는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저항부(350')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수백 MΩ 이상의 저항값을 갖는다.
전압 출력단자(370')는 클램프 본체(3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전압 출력단자(370')는 저항부(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별도의 전압 측정 장치(500)가 접속되는 부분이다.
전술한 제1 실시 예에서와 같이, 교류 전원의 경우, 접지 계통이면 전압 측정 장치(500)의 일측 단자는 전압 출력단자(370')에 접속되고, 타측 단자는 접지 또는 접지에 연결된 외함에 접속될 수 있다. 비접지 계통이면 전압 측정 장치(500)의 일측 단자는 전압 출력단자(370')에 접속되고, 타측 단자는 다른 극 또는 다른 상에 접속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직류 전원의 경우, 부스바(100)에는 P극이 연결된다. 이때, 전압 측정 장치(500)의 일측 단자는 전압 출력단자(370')에 접속되고, 타측 단자는 N극에 접속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스바 지지장치(300') 내에 캐퍼시터가 아닌 저항부(350')가 구비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교류 전원 및 직류 전원 계통에 부스바 지지장치(300')를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부스바
300: 부스바 지지장치
310: 본체 330: 단자부
350: 저항부 370: 전압 출력단자
310: 본체 330: 단자부
350: 저항부 370: 전압 출력단자
Claims (6)
- 부스바에 결합되어 상기 부스바를 지지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부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의 단자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되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저항체인 저항부; 및
상기 본체의 외부 일측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저항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 측정 장치의 단자가 접속되는 전압 출력단자;
를 포함하는
부스바 지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는 상기 전압 측정 장치의 저항보다 큰 저항값을 갖는
부스바 지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는
상기 본체 내부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지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복수의 부스바를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하되 상기 부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도체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부는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어 상기 도체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저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지지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는
상기 본체 내부에 매립되거나 상기 본체 상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납되는
부스바 지지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본체를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미리 설정된 폭을 남기고 상기 가장자리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스바 지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7081A KR20200107643A (ko) | 2019-03-08 | 2019-03-08 | 전압 검출 기능을 구비한 부스바 지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7081A KR20200107643A (ko) | 2019-03-08 | 2019-03-08 | 전압 검출 기능을 구비한 부스바 지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7643A true KR20200107643A (ko) | 2020-09-16 |
Family
ID=72669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7081A KR20200107643A (ko) | 2019-03-08 | 2019-03-08 | 전압 검출 기능을 구비한 부스바 지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07643A (ko) |
-
2019
- 2019-03-08 KR KR1020190027081A patent/KR20200107643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61710C2 (ru) | Система распределе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 |
US8395397B1 (en) | High voltage sensing capacitor and indicator device | |
CN102084550B (zh) | 接线盒和接线盒块 | |
US20200287364A1 (en) | 7-Way Crab Joint | |
KR102018903B1 (ko) | 과전압 방지장치가 구비된 테스트 플러그 | |
US9960519B2 (en) | Electrode structure with electric-shock prevention function | |
EP2778693B1 (en) | Apparatus to verify an electrically safe work condition | |
KR102433403B1 (ko) | 전압측정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 |
KR20200107643A (ko) | 전압 검출 기능을 구비한 부스바 지지장치 | |
CN114264943A (zh) | 用于高压开关的测量装置 | |
RU2640315C1 (ru) | Регулируемый емкостной датчик наличия высокого напряжения | |
KR20200037980A (ko) | 변류기의 시험용 단자 분리대 | |
BR112016028379A2 (pt) | sistema de transmissão elétrica e cabo para uma fonte de aterramento acoplada a um supressor | |
CN205565356U (zh) | 一种高压交流真空开关柜 | |
CA3076868C (en) | Assembly for connecting to a high-voltage grid | |
KR200314282Y1 (ko) | 지상설치용 케이블 접속함 | |
KR102723034B1 (ko) | Vlf 활선 감지 기능을 갖는 특고압 케이블의 종단장치 | |
KR102704379B1 (ko) | 활선 감지 기능을 갖는 특고압 케이블의 종단장치 | |
US6538421B1 (en) | Apparatus with separated conductors | |
KR102600884B1 (ko) |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모듈형 전압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 |
CN211605938U (zh) | 一种电缆快速连接终端 | |
CN216055226U (zh) | 一种建筑电气设备接地装置 | |
CN207719787U (zh) | 户外高压电缆分接箱 | |
WO2014109462A1 (ko) | 감전방지 기능을 가진 전극 구조체 | |
KR200303458Y1 (ko) | 상시 폐로형 콘넥터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