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642A -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642A
KR20200107642A KR1020190027080A KR20190027080A KR20200107642A KR 20200107642 A KR20200107642 A KR 20200107642A KR 1020190027080 A KR1020190027080 A KR 1020190027080A KR 20190027080 A KR20190027080 A KR 20190027080A KR 20200107642 A KR20200107642 A KR 20200107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section
shaft
sl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0846B1 (ko
Inventor
이재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90027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084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0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0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cam or eccen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판면에 복수의 슬릿이 관통 형성된 캠 본체; 상기 복수의 슬릿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캠 본체가 회전할 때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축이 구비된 복수의 구동부; 및 상기 복수의 구동부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의 스위치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스위치 각각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복수의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칭부는 순차적으로 온(ON) 위치로 투입되고, 오프(OFF) 시에는 투입 순서에 반대의 순서로 오프(OFF)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Multi-switching driving assembly}
본 발명은 단일 동작으로 복수 개의 스위치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전력 계통 상에는 선로의 구분이나 분기, 부하 개폐, 선로 및 부하의 사고 시 사고 구간을 계통에서 분리하는 차단 기능, 선로의 유지 보수 등을 위한 접지 기능 등의 구현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스위치는 구동 메커니즘의 구동력을 이용해 스위치의 접촉부를 회전운동 또는 직선운동으로 이동시켜 접점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스위칭 기능은 복수의 관절로 구성된 링크 구조를 적용해 접점의 이동 거리, 속도, 구동력 등을 조절함으로써 구현된다.
전력 계통 중 차단기-단로기가 구비된 링 메인 유닛의 경우, 주회로의 개폐 또는 차단과 단로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별도의 스위치 및 구동 메커니즘, 링크 구조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링 메인 유닛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스위치 구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주회로의 개폐 스위치의 구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주회로의 개폐 스위치의 구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메인 유닛의 내부에는 주회로 개폐 스위치(10)를 포함하여 복수의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치 중 하나의 스위치(20)는 별도의 스위치 구동축(22) 및 개별 구동을 위한 복수의 링크 구조(24)를 갖는다. 복수의 스위치는 단로기의 접점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로기의 접점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나이프 스위치 방식이 적용된다.
또한, 주회로 개폐 스위치(10)는 도 2에 따른 별도의 구동 구조를 갖는다. 주회로 개폐 스위치(10)는 진공차단기(12)로 구성되며, 진공차단기(12)의 스위칭 접점(12a)의 구동을 위해 접압 스프링(14)과 캠 형태의 구동 링크(16)를 구비한다. 캠 형태의 구동 링크(16)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접압 스프링(14)이 압축 또는 인장되며, 그에 따라 스위칭 접점(12a)이 접촉 또는 분리되어 주회로가 개폐된다.
주회로 개폐 스위치(10)는 스위칭 접점(12a)이 개폐 또는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열을 견딜 수 있어야 하며, 단로기의 접점은 무부하 시에 동작하므로 접점의 재료 및 구조가 다른 스위치들과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상이한 구조 및 특징을 갖는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해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스위치를 위한 별도의 메커니즘과 링크 구조 등이 설치된다. 따라서 스위치 구동을 위한 구조가 복잡해지고 링 메인 유닛의 크기를 줄이기 힘든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동작으로 복수 개의 스위치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판면에 슬릿이 관통 형성된 캠 본체; 상기 캠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캠 본체를 회전시키는 캠 회전축; 상기 복수의 슬릿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캠 본체가 회전할 때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축이 구비된 복수의 구동부; 및 상기 복수의 구동부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의 스위치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스위치 각각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복수의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캠 회전축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가변되는 제1 변동 구간과, 상기 상기 캠 회전축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일정한 제1 유지 구간과, 상기 제1 변동 구간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캠 회전축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가변되는 제2 변동 구간과, 상기 캠 회전축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일정하고 상기 제1 유지 구간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2 유지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위칭부는 순차적으로 온(ON) 위치로 투입되고, 오프(OFF) 시에는 투입 순서에 반대의 순서로 오프(OFF) 위치로 이동하거나, 동시에 온(ON) 또는 오프(OFF)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유지 구간, 상기 제1 변동 구간, 상기 제2 변동 구간, 상기 제1 유지 구간이 서로 연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유지 구간, 상기 제1 변동 구간이 서로 연결된 제1 구동 슬릿과, 상기 제2 변동 구간, 상기 제1 유지 구간이 서로 연결된 제2 구동 슬릿을 포함한다.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유지 구간과 상기 제2 유지 구간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 구동 슬릿과 상기 제2 구동 슬릿은 상기 제1 변동 구간과 상기 제2 변동 구간은 일부 구간이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구동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구동 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구동축과, 상기 제1 구동축에 연결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점 가동축을 갖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구동 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구동축과, 상기 제2 구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접점 가동축과 상이한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를 갖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접점 가동축과 접촉 또는 분리되어 제1 스위치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연결부와 결합되며 일단에 가동 접점이 형성되어 제2 스위치의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분리되어 상기 제2 스위치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제2 접점 가동축을 구비한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제1 구동축은 상기 제1 변동 구간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구동축은 상기 제2 유지 구간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상기 캠 본체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구동축은 상기 제2 유지 구간을 거쳐 상기 제2 변동 구간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구동축은 상기 제1 변동 구간을 거쳐 상기 제1 유지 구간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 접점 가동축이 상기 제1 스위칭부에 접촉된 후 상기 제1 유지 구간으로 진입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구동축이 상기 제2 변동 구간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2 접점 가동축이 상기 고정 접점을 향해 이동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스위치의 온(ON) 상태에서 상기 제2 접점 가동축을 상기 고정 접점이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판면에 슬릿이 관통 형성된 캠 본체; 상기 캠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캠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 상기 캠 본체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캠 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 레버; 상기 복수의 슬릿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캠 본체가 회전할 때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축이 구비된 복수의 구동부; 및 상기 복수의 구동부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의 스위치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스위치 각각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복수의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캠 회전축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가변되는 제1 변동 구간과, 상기 상기 캠 회전축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일정한 제1 유지 구간과, 상기 제1 변동 구간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캠 회전축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가변되는 제2 변동 구간과, 상기 캠 회전축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일정하고 상기 제1 유지 구간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2 유지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위칭부는 순차적으로 온(ON) 위치로 투입되고, 오프(OFF) 시에는 투입 순서에 반대의 순서로 오프(OFF) 위치로 이동하거나, 동시에 온(ON) 또는 오프(OFF) 위치로 이동하는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는 캠 본체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복수 개의 스위치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구동을 위한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링 메인 유닛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링 메인 유닛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스위치 구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차단기-단로기의 나이프 스위치 구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주회로의 개폐 스위치의 구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의 주요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의 스위치 OFF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7 도 6에 따른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의 스위치 ON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의 주요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의 주요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의 스위치 OFF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7 도 6에 따른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의 스위치 ON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A)는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복수의 스위치를 구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A)가 순차적으로 작동되는 2개의 스위치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A)는 스위치 구동 유닛(100)과 제1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1 스위칭부(300), 제2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2 스위칭부(500)를 포함한다.
스위치 구동 유닛(100)은 크게 캠 회전축(110)과 캠 본체(130), 제1 구동부(150) 및 제2 구동부(170), 캠 서포터(190)로 구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회전축(110)은 캠 본체(130)의 축 삽입홀(130a)에 삽입되어 캠 본체(130)에 결합된다. 캠 회전축(110)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캠 본체(130)를 회전시킨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캠 회전축(110)은 축 삽입홀(130a)에 삽입되는 부분이 다면체 형상일 수 있다. 즉, 캠 회전축(110)에 의해 캠 본체(130)가 회전해야 하므로 캠 본체(130)에 캠 회전축(110)이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캠 회전축(110)의 단부는 캠 본체(130)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인 다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캠 회전축(110)의 회전 중심을 편의상 R로 도시하였다. 캠 본체(130)는 캠 회전축(110)에 의해 회전 운동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본체(130)는 한 개 또는 한 쌍으로 구비된 판 형상으로, 판면의 일측에 축 삽입홀(130a)이 관통 형성된다. 캠 본체(130)는 축 삽입홀(130a)과 이격되어 구동 슬릿(132)이 관통 형성된다. 캠 본체(130)가 한 쌍의 판으로 구비되는 경우, 한 쌍의 판면 모두에 구동 슬릿(132)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이들은 동일한 위치와 형상을 가지며 서로 대치되도록 배치된다.
캠 본체(130)는 비대칭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캠 본체(130)는 각 모서리의 길이가 모두 다르고, 각 꼭지점이 모두 곡선 형상이다. 또한, 캠 본체(130)는 각 모서리가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혼합되어 있다. 구동 슬릿(132)은 캠 본체(130)의 유선형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슬릿(132)은 캠 본체(130)의 판면에 대략 'ㄷ'자 형태로 관통 형성된다. 구동 슬릿(132)은 축 삽입홀(130a)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슬릿(132)을 길이 방향을 따라 가상의 중심선을 L으로 도시하였다(도 5 참조).
구동 슬릿(132)에서 캠 회전축(110)을 향해 가까워지는 구간은 캠 회전축(110)의 회전 중심(R)으로부터 중심선 L까지의 거리가 달라지는 부분이다. 구동 슬릿(132)은 회전 중심(R)으로부터 중심선 L까지의 거리가 달라지는 2개의 구간을 갖는다. 이 구간을 제1 변동 구간(132b) 및 제2 변동 구간(132c)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이 2개의 구간에 각각 연결되며 회전 중심(R)으로부터 중심선 L까지의 거리가 달라지지 않는 2개의 구간을 갖는다. 이 구간을 제1 유지 구간(132a) 및 제2 유지 구간(132d)이라고 정의한다.
제1 유지 구간(132a) - 제1 변동 구간(132b) - 제2 변동 구간(132c) - 제2 유지 구간(132d)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구동 슬릿(132)을 형성한다. 또한, 제1 유지 구간(132a) - 제1 변동 구간(132b) - 제2 변동 구간(132c) - 제2 유지 구간(132d)은 캠 본체(130)의 일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지 구간(132a)은 제2 유지 구간(132d)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1 변동 구간(132b) 및 제2 변동 구간(132c)은 상호 연결된다.
구동 슬릿(132) 상에 후술할 제1 구동부(150)의 제1 구동축(151)과 제2 구동부(170)의 제2 구동축(171)이 각각 삽입된 상태로 구동 슬릿(132)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구동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부(150)는 구동 슬릿(132)의 일측에 삽입되는 제1 구동축(151)과, 제1 구동축(151)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1 와셔(152) 및 제1 고정핀(153)과, 제1 구동축(151)을 지지하는 제1 연결부(154)와, 제1 연결부(154)에 연결되어 제1 스위칭부(300)를 구동하는 제1 접점 가동축(155)을 포함한다.
제1 구동축(151)은 구동 슬릿(132)을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구동 슬릿(132)을 따라 이동한다. 제1 구동축(151)은 도 4를 기준으로 캠 본체(130)의 판면 외측을 향해 양단이 각각 돌출된다. 돌출된 양단은 제1 와셔(152) 및 제1 고정핀(153)에 의해 캠 본체(1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제1 와셔(152)는 제1 구동축(151)의 단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링 형상을 갖는다. 제1 와셔(152)는 제1 구동축(151)의 외주면에 삽입된다. 제1 와셔(152)가 제1 구동축(151)보다 큰 직경을 가지므로 제1 와셔(152)의 직경은 구동 슬릿(132)의 폭 보다 크다. 이에 따라 제1 구동축(151)이 구동 슬릿(132)을 관통한 상태로 결합되어 캠 본체(13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제1 고정핀(153)은 제1 와셔(152)가 제1 구동축(15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고정핀(153)은 제1 구동축(151)에 제1 와셔(152)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구동축(151)의 단부에 삽입된다. 제1 와셔(152) 및 제1 고정핀(153)과 제1 구동축(151)의 고정 구조는 제1 구동축(151)의 양단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제1 구동축(151)에는 제1 연결부(154)가 삽입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54)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며, 제1 구동축(151)에 삽입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제1 구동축(151)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연결부(154)는 제1 구동축(151)이 제1 구동 슬릿(132)을 따라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는 부분이다. 제1 연결부(154)는 제1 스위칭부(300)를 구동하기 위한 제1 접점 가동축(155)과 제1 구동축(151)을 연결한다. 그러나 제1 연결부(154) 없이 제1 접점 가동축(155)이 제1 구동축(151)에 직결될 수도 있다.
제1 접점 가동축(155)은 원통 형상으로, 일단이 제1 연결부(154)에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은 제1 구동축(151)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접점 가동축(155)의 타단이 제1 스위칭부(300)에 접촉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1 스위칭부(300)이 동작 여부가 결정된다. 즉, 제1 접점 가동축(155)이 제1 스위칭부(300)에 접촉되면 제1 스위칭부(300)가 온(ON) 상태가 되고, 제1 스위칭부(300)로부터 분리되면 제1 스위칭부(300)가 오프(OFF) 상태가 된다.
제2 구동부(170)는 캠 회전축(110)의 회전 중심(R)을 기준으로 제1 구동축(151)과 수직을 이루는 제2 구동축(171)이 구비되어 제2 스위칭부(500)를 구동시킨다. 제2 구동부(170)는 제2 구동축(171)과, 제2 구동축(171)을 캠 본체(130)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2 와셔(172) 및 제2 고정핀(173)과, 제2 구동축(171)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174)와, 제2 연결부(174)와, 제2 연결부(174)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제2 스위칭부(500)를 지지하는 탄성부재(175)를 포함한다.
제2 구동축(171)은 구동 슬릿(132)의 타측에 삽입된다. 제2 구동축(171)과 제2 와셔(172) 및 제2 고정핀(173)의 형상 및 구조는 제1 구동부(15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연결부(174)는 제2 구동축(171)에 삽입 또는 일체로 형성되며, 제2 구동축(171)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연결부(174)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175)를 지지하는 지지턱(174a)이 돌출 형성된다. 제2 연결부(174)는 탄성부재(175)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다.
탄성부재(175)는 압축 및 인장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175)는 제2 연결부(174)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일단이 제2 연결부(174)에 지지된다. 탄성부재(175)의 타단은 캠 서포터(190)에 의해 지지된다. 탄성부재(175) 및 캠 서포터(190)를 사이에 두고 제2 연결부(174)에 제2 스위칭부(500)의 제2 접점 가동축(510)이 연결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서포터(190)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납작한 바(bar) 형상이다. 캠 서포터(190)는 캠 본체(130)의 회전에 따라 그 형태가 가변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다. 캠 서포터(190)는 일단이 제1 연결부(154)와 제1 접점 가동축(155)의 사이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 연결부(174)와 제2 접점 가동축(510) 사이에 결합된다. 캠 서포터(190)는 캠 본체(130)의 회전할 때 제1 구동축(151) 및 제2 구동축(171)이 유동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스위치 구동 유닛(100)에 의해 제1 스위칭부(300) 및 제2 스위칭부(500)가 온/오프된다.
제1 스위칭부(300)는 제1 스위치(미도시)를 온/오프하기 위한 제1 접점(310)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는 단로기나 접지 개폐기의 동작 스위치일 수 있다. 단로기나 접지 개폐기 등의 동작 스위치는 블레이드나 로드 등의 가동부를 갖는데, 이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긴 스트로크가 필요하다. 그러나 가동부의 이동을 위해서는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긴 스트로크를 발생할 수 있는 제1 구동부(150)에 의해 작동되는 제1 스위칭부(300)가 제1 스위치의 구동에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스위칭부(300)는 제1 접점 가동축(155)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칭부(300)는 속이 빈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제1 스위칭부(300)의 내주면에는 제1 접점 가동축(155)에 접촉되는 제1 접점(310)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점(310)은 제2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스위칭부(500)는 제2 스위치(미도시)를 온/오프하기 위한 접점 구조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제2 스위치는 차단/개폐를 위한 진공 인터럽터로 구성될 수 있다. 진공 인터럽터는 부하 개폐 또는 고장전류 개폐의 기능을 하므로 빠른 속도와 접점 가압을 위한 큰 압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짧은 스트로크를 이용해 빠르게 작동할 수 있는 제2 구동부(170)에 의해 작동되는 제2 스위칭부(500)가 제2 스위치의 구동에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제2 스위칭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제2 스위칭부에 진공 인터럽터의 일부 구성인 고정축 및 고정 접점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제2 스위칭부(500)는 제2 연결부(174)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2 접점 가동축(510)과, 제2 접점 가동축(510)의 단부에 구비되는 가동 접점(530)과, 제2 가동 접점(530)이 접촉 또는 분리되는 고정 접점(570)이 구비된 고정축(550)을 포함한다.
제2 접점 가동축(510)은 일단이 캠 서포터(190)를 사이에 두고 제2 연결부(174)에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 접점(570)을 향해 연장된다. 연장된 단부에 가동 접점(530)이 형성된다. 제2 접점 가동축(510)은 제2 구동축(171)의 이동에 따라 탄성부재(175)에 의해 가압되거나 가압 해제된다. 제2 접점 가동축(510)은 캠 본체(130)에 의해 제2 연결부(174)가 하향 이동되면 가동 접점(530)이 고정 접점(570)을 향해 이동해 접촉된다. 이때, 제2 연결부(174)와 제2 접점 가동축(510)의 사이 거리가 짧아지면서 탄성부재(175)가 압축된다. 탄성부재(175)는 압축력에 반발하는 복원력을 가지므로, 복원력이 제2 접점 가동축(510)을 고정 접점(570)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접점 가동축(510)이 고정 접점(570)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가동 접점(530)이 고정 접점(57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추후 캠 본체(130)의 회전으로 제2 연결부(174)와 제2 접점 가동축(510) 사이의 거리가 길어져 탄성부재(175)가 복원되면, 제2 접점 가동축(510)이 상승하면서 가동 접점(530)이 고정 접점(57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스위치가 온/오프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A)는 하나의 구동축(캠 회전축)을 이용해 2개의 스위치를 동시에 동작 또는 순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A)가 접점 스트로크가 다른 두 개의 스위치를 동작시키는데 적용되었다.
여기서 '순차적으로 동작한다'는 의미는 예를 들어, 스위치를 온(ON)할 때 제1 스위치가 동작해 접점이 접촉된 후에 제2 스위치가 동작해 접점이 접촉되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스위치를 오프(OFF)할 때에는 제2 스위치의 접점이 먼저 분리된 후에 제1 스위치의 접점이 분리된다.
또한, 진공 인터럽터와 나이프 스위치 타입 또는 진공 인터럽터와 멀티 접점 로드 타입 스위치와 같이 스위치의 특성에 따라 스트로크(본원에서는 '이동 거리'를 의미함)의 차이가 많은 스위치를 동작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일정 구간에서 특정 스위치의 스트로크에는 변화가 없이 다른 하나의 스위치 접점만 이동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스트로크가 짧은 하나의 접점이 접촉(contact)한 후에 스트로크가 긴 다른 하나의 접점이 이동하는 동안 스트로크가 짧은 스위치의 접점이 움직이면 스트로크가 짧은 점점에서 통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반대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트로크가 길고 동작에 작은 힘이 필요한 스위치와 스트로크가 짧고 동작에 강한 힘이 필요한 스위치를 조합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구동 슬릿(132)의 제1 변동 구간(132b) 및 제1 유지 구간(132a)은 회전 중심(R)로부터의 거리가 제2 변동 구간(132c)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구간이다. 따라서 제1 변동 구간(132b) 및 제1 유지 구간(132a)은 스위치 접점간의 거리(gap)가 긴 스위치를 구동하는데 적용된다. 제2 변동 구간(132c) 및 제2 유지 구간(132d)은 회전 중심(R)로부터의 거리가 제1 변동 구간(132b)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구간이다. 따라서 제2 변동 구간(132c) 및 제2 유지 구간(132d)은 스위치 점점간의 거리가 짧은 스위치를 구동하는데 적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1 스위치가 제1 구동부(150) 및 제1 스위칭부(300)에 의해 온오프되며, 제2 스위치는 제2 구동부(170) 및 제2 스위칭부(500)에 의해 온오프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슬릿(132)은 캠 회전축(110)의 회전 중심(R)으로부터 동일한 반경을 갖는 제1 유지 구간(132a) 및 제2 유지 구간(132d)을 갖는다. 제1 유지 구간(132a) 및 제2 유지 구간(132d)은 캠 본체(130)의 회전 중 필요한 스트로크를 이동한 후에 더 이상의 스트로크 변화가 없이 스트로크가 유지되는 구간이다. 제1 유지 구간(132a) 및 제2 유지 구간(132d)을 통해 제1 스위칭부(300) 및 제2 스위칭부(500)에 연결된 스위치의 스트로크를 조정하고, 순차 투입 및 순차 개방의 구간과 시점을 조정할 수 있다.
도 6의 상태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가 모두 오프(또는 개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1 스위칭부(300)의 제1 접점(310)과 제1 구동부(150)의 제1 접점 가동축(155)은 분리된 상태이다. 제2 스위칭부(500)의 고정 접점(570)과 가동 접점(530) 역시 분리된 상태이다.
도 6의 상태에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온(또는 투입, 폐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캠 본체(130)가 캠 회전축(110)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캠 본체(1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 구동부(170)의 제2 구동축(171)은 회전 중심(R)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한 구간인 제2 유지 구간(132d)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스위치는 스트로크의 변경이 없다.
그러나 캠 본체(130)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제1 구동부(150)의 제1 구동축(151)은 제1 변동 구간(132b)에 위치하므로 바로 스트로크가 발생하게 된다. 제1 변동 구간(132b)은 캠 본체(1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전 중심(R)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차 멀어지는 부분이다. 따라서 제1 구동축(151)이 제1 변동 구간(132b)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 스위칭부(300)의 제1 접점(310)과 제1 접점 가동축(155)의 단부가 점차 가까워진다.
제1 구동부(150)는 제1 접점 가동축(155)이 제1 접점(310)에 접촉된 후 제1 구동축(151)이 제1 유지 구간(132a)에 진입하게 된다. 제1 구동축(151)이 제1 유지 구간(132a)에 진입함과 동시에 제2 구동축(171) 역시 제2 변동 구간(132c)에 진입하게 된다. 제2 변동 구간(132c)은 캠 본체(1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전 중심(R)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차 멀어지는 부분이다. 따라서 제2 구동축(171)이 제2 변동 구간(132c)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 스위칭부(500)의 가동 접점(530)과 고정 접점(570)이 점차 가까워지다 서로 접촉하게 된다.
가동 접점(530)과 고정 접점(570)이 서로 접촉되는 위치에서 제2 구동축(171)과 회전 중심(R)과의 거리는 최대가 된다. 따라서 지지턱(174a)과 캠 서포터(190) 사이의 거리가 좁아져 탄성부재(175)가 가압되어 압축된다. 탄성부재(175)의 복원력은 고정 접점(570)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탄성부재(175)에 의해 제2 접점 가동축(510)이 고정 접점(570)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가동 접점(530)이 고정 접점(57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구동부(150) 및 제1 스위칭부(300)에 의해 제1 스위치가 먼저 투입된 후 순차적으로 제2 구동부(170) 및 제2 스위칭부(500)에 의해 제2 스위치가 투입된다. 이렇게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가 온(ON)된 상태가 도 7에 개시되어 있다.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가 온(ON)된 상태에서 오프(OFF) 상태로 전환될 때에는 전술한 과정과 반대의 순서로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캠 본체(130)는 캠 회전축(110)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캠 본체(1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구동축(151)은 제1 유지 구간(132a)을 통과하는 동안 스트로크의 변동이 없다. 이때, 제2 구동축(171)은 제2 변동 구간(132c)에 위치하므로 바로 스트로크가 발생하게 된다.
제2 변동 구간(132c)은 캠 본체(1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전 중심(R)으로부터 슬릿 중심선(L)까지의 거리가 점차 가까워지는 부분이다. 따라서 제2 구동축(171)이 제2 변동 구간(132c)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 스위칭부(500)의 가동 접점(530)과 고정 접점(570)이 점차 멀어진다.
제2 스위칭부(500)의 가동 접점(530)이 고정 접점(570)으로부터 약 80% 이상 개방된 이후에 제1 구동부(150)의 제1 구동축(151)이 제1 변동 구간(132b)에 진입하게 된다. 제1 변동 구간(132b)은 캠 본체(1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전 중심(R)으로부터 슬릿 중심선(L) 까지의 거리가 점차 가까워지는 부분이다. 따라서 제1 구동축(151)이 제1 변동 구간(132b)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 접점 가동축(155)이 제1 스위칭부(300)로부터 멀어지면서 제1 접점(310)이 개방 상태가 된다.
제1 구동축(151)이 제1 변동 구간(132b)을 따라 이동하기 시작할 때 제2 구동축(171) 역시 제2 유지 구간(132d)에 진입하게 된다. 이때 가동 접점(530)과 고정 접점(570)은 충분한 절연 거리를 확보한 상태가 된다. 또한, 제2 유지 구간(132d)은 스트로크의 변동이 없는 구간이므로 탄성부재(175)는 복원된 상태로 유지되고, 제2 접점 가동축(510) 역시 변위의 변화 없이 일정한 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투입 순서와 반대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가 개방된다. 이렇게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가 개방되어 오프(OFF)된 상태가 도 6에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복수의 스위치를 순차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변동 구간과 제2 유지 구간의 위치를 서로 바꿈으로써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가 동시에 온/오프 되도록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가 동시에 온/오프 되어야 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작동 원리는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 예는 제1 구동 슬릿 및 제2 구동 슬릿에 연결되는 제1 접점 가동축 및 제2 접점 가동축을 통해 캠 본체에서 발생하는 스트로크를 직접 스위치의 접점 이동을 위한 스트로크로 사용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제1 접점 가동축이나 제2 접점 가동축에 레버나 링크를 연결하거나, 제1 구동축이나 제2 구동축에 레버를 연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레버 비율에 따른 회전각을 조절함으로써 스트로크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캠 본체에 캠 슬릿을 추가함으로써 2축 이상의 스트로크를 갖는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의 주요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하지 않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의 도번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와 상이한 특징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본체(130')에 서로 연통되지 않은 2개의 슬릿이 각각 유지 구간 및 변동 구간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구동 슬릿(132')은 대략 'ㄴ'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유지 구간(132a') 및 제1 변동 구간(132b')을 가질 수 있다. 제2 구동 슬릿(134')은 제1 구동 슬릿(132')과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며, 제2 변동 구간(134a'), 제2 유지 구간(134b')을 연속적으로 구비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변동 구간(132a')과 제1 유지 구간(132b')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제1 구동 슬릿(132')을 형성한다. 제1 구동 슬릿(132') 상에 제1 구동부(150)의 제1 구동축(151)이 삽입된 상태로 제1 구동 슬릿(132')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 스위치를 구동하게 된다.
제2 변동 구간(134a')과 연결되는 제2 유지 구간(134b')은 제2 변동 구간(134a')과 회전 중심(R)까지의 거리보다 다소 감소된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즉, 제2 구동 슬릿(134')은 두 개의 유선형 슬릿이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유지 구간(134b')의 단부는 제1 유지 구간(132b')의 단부와 마주보되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구동 슬릿(134') 상에 제2 구동축(171)이 삽입된 상태로 제2 구동 슬릿(134')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 스위치를 구동하게 된다.
제1 구동 슬릿(132')의 제1 변동 구간(132a')의 일단과 제2 구동 슬릿(134')의 제2 변동 구간(134a')의 일단은 소정 구간이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전술한 제1 스위칭부(300) 및 제2 스위칭부(500)가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기 때문이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본체(130'')가 제1 구동 슬릿(132”) 및 제2 구동 슬릿(134”)을 포함하고, 일측으로 연장되고 레버 연결부(130”)가 구비된 캠 레버부(130b”)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캠 본체(130”)의 회전 중심(R)은 제1 구동 슬릿(132”) 및 제2 구동 슬릿(134”)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캠 본체(130”)를 회전시키는 구동 레버(120”)는 캠 레버부(130b”)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회전 중심(R)은 캠 본체(1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미도시)에 결합되고, 캠 본체(130”)를 실질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구동 레버(12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 레버(120”)는 캠 본체(13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도 5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캠 회전축(110)에 구동력을 직결하는 방식이 아닌 구동 메커니즘과 레버를 이용한 구동 방식이다.
이와 같이, 캠 본체 자체의 변형이나 슬릿의 변형 등을 통해 다양한 스위치 구동 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는 캠 본체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복수 개의 스위치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구동을 위한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링 메인 유닛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A: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
100: 스위치 구동 유닛 110: 캠 회전축
130: 캠 본체 132: 구동 슬릿
132a: 제1 변동 구간 132b: 제1 유지 구간
132c: 제2 변동 구간
132d: 제2 유지 구간 150: 제1 구동부
151: 제1 구동축 170: 제2 구동부
171: 제2 구동축 300: 제1 스위칭부
500: 제2 스위칭부

Claims (9)

  1.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판면에 슬릿이 관통 형성된 캠 본체;
    상기 캠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캠 본체를 회전시키는 캠 회전축;
    상기 복수의 슬릿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캠 본체가 회전할 때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축이 구비된 복수의 구동부; 및
    상기 복수의 구동부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의 스위치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스위치 각각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복수의 스위칭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캠 회전축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가변되는 제1 변동 구간과, 상기 상기 캠 회전축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일정한 제1 유지 구간과, 상기 제1 변동 구간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캠 회전축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가변되는 제2 변동 구간과, 상기 캠 회전축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일정하고 상기 제1 유지 구간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2 유지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위칭부는 순차적으로 온(ON) 위치로 투입되고, 오프(OFF) 시에는 투입 순서에 반대의 순서로 오프(OFF) 위치로 이동하거나, 동시에 온(ON) 또는 오프(OFF) 위치로 이동하는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유지 구간, 상기 제1 변동 구간, 상기 제2 변동 구간, 상기 제2 유지 구간이 서로 연결되는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유지 구간, 상기 제1 변동 구간이 서로 연결된 제1 구동 슬릿과, 상기 제2 변동 구간, 상기 제2 유지 구간이 서로 연결된 제2 구동 슬릿을 포함하는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유지 구간과 상기 제2 유지 구간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슬릿과 상기 제2 구동 슬릿은
    상기 제1 변동 구간과 상기 제2 변동 구간은 일부 구간이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구동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구동 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구동축과, 상기 제1 구동축에 연결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점 가동축을 갖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구동 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구동축과, 상기 제2 구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접점 가동축과 상이한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를 갖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접점 가동축과 접촉 또는 분리되어 제1 스위치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연결부와 결합되며 일단에 가동 접점이 형성되어 제2 스위치의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분리되어 상기 제2 스위치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제2 접점 가동축을 구비한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제1 구동축은 상기 제1 변동 구간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구동축은 상기 제2 유지 구간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상기 캠 본체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구동축은 상기 제2 유지 구간을 거쳐 상기 제2 변동 구간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구동축은 상기 제1 변동 구간을 거쳐 상기 제1 유지 구간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 접점 가동축이 상기 제1 스위칭부에 접촉된 후 상기 제1 유지 구간으로 진입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구동축이 상기 제2 변동 구간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2 접점 가동축이 상기 고정 접점을 향해 이동하는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스위치의 온(ON) 상태에서 상기 제2 접점 가동축을 상기 고정 접점이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
  9.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판면에 슬릿이 관통 형성된 캠 본체;
    상기 캠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캠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
    상기 캠 본체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캠 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 레버;
    상기 복수의 슬릿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캠 본체가 회전할 때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축이 구비된 복수의 구동부; 및
    상기 복수의 구동부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의 스위치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스위치 각각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복수의 스위칭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캠 회전축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가변되는 제1 변동 구간과, 상기 상기 캠 회전축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일정한 제1 유지 구간과, 상기 제1 변동 구간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캠 회전축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가변되는 제2 변동 구간과, 상기 캠 회전축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일정하고 상기 제1 유지 구간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2 유지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위칭부는 순차적으로 온(ON) 위치로 투입되고, 오프(OFF) 시에는 투입 순서에 반대의 순서로 오프(OFF) 위치로 이동하거나, 동시에 온(ON) 또는 오프(OFF) 위치로 이동하는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



KR1020190027080A 2019-03-08 2019-03-08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 KR102680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080A KR102680846B1 (ko) 2019-03-08 2019-03-08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080A KR102680846B1 (ko) 2019-03-08 2019-03-08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642A true KR20200107642A (ko) 2020-09-16
KR102680846B1 KR102680846B1 (ko) 2024-07-02

Family

ID=7266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080A KR102680846B1 (ko) 2019-03-08 2019-03-08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08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4854B2 (ja) * 2004-03-25 2011-08-24 アレバ・ティーアンドディー・エス・アー 部品の一方が真空内で遮断を行う、スイッチギアの少なくとも2つの部品を調和された方式で駆動するための制御デバイス
KR20160084935A (ko) * 2015-01-06 2016-07-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링 메인 유닛의 주회로 차단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4854B2 (ja) * 2004-03-25 2011-08-24 アレバ・ティーアンドディー・エス・アー 部品の一方が真空内で遮断を行う、スイッチギアの少なくとも2つの部品を調和された方式で駆動するための制御デバイス
KR20160084935A (ko) * 2015-01-06 2016-07-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링 메인 유닛의 주회로 차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0846B1 (ko) 202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9754B2 (ja) 低電圧サーキット・ブレーカ
RU2510542C2 (ru) Смотровое окно и контактный вывод заземления для высоковольтной системы
US10121625B2 (en) 3-way disconnector and earth switch for gas insulated switchgear
EP2561535B1 (en) Electric power switch
CN113748475A (zh) 高压断路器系统
RU2540266C2 (ru) Высоковольтная система
US11069495B2 (en) Vacuum switching apparatus and drive mechanism therefor
CN102903567A (zh) 真空断续器的动力传动装置及具有该装置的真空断路器
EP3933868B1 (en) Operation mechanism for dual-power automatic transfer switch and dual-power automatic transfer switch
KR20200107642A (ko) 다중 스위칭 구동 어셈블리
US4712079A (en) Motor controller auxiliary contact unit with flexure member
EP4254462A2 (en) Operating system of miniature circuit breaker and miniature circuit breaker having same
JPH11213824A (ja) 開閉機器用電動ばね操作機構
CN110400717B (zh) 开关装置
CN110249403B (zh) 中压开关设备
US5739489A (en) Rotary mechanism for driving signalling contacts of an electrical apparatus, in particular a high voltage grounding switch or disconnector
US20220301791A1 (en) Semi-independent switch-disconnector
US3047685A (en) High voltage disconnect switch
EP2874172B1 (en) Circuit breaker with input load increasing means
EP4078637A1 (en) Knife switch device
JP2017152220A (ja) ガス遮断器
US5584379A (en) Disconnect switch double motion mechanism
US11515109B2 (en) High voltage disconnector
JP4455939B2 (ja) 開閉装置
RU2158981C1 (ru) Контактное при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