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318A -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 vehicles of applied for remains thereof and method of using for remains thereof - Google Patents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 vehicles of applied for remains thereof and method of using for remain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318A
KR20200107318A KR1020190026263A KR20190026263A KR20200107318A KR 20200107318 A KR20200107318 A KR 20200107318A KR 1020190026263 A KR1020190026263 A KR 1020190026263A KR 20190026263 A KR20190026263 A KR 20190026263A KR 20200107318 A KR20200107318 A KR 20200107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side mirror
measuring
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2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0185B1 (en
Inventor
강두수
이상열
신희준
봉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트리
Priority to KR1020190026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185B1/en
Publication of KR20200107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3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1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01N15/0211Investigating a scatter or diffraction patter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75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15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information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2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sensors or transducers
    • G01N2015/069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The side mirror includes: a side mirror body mounted in a part outside a vehicle and including an air inlet formed on one side to take air; a fine dust measurement unit installed in the side mirror body and measuring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taken in the side mirror body; a fine dust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fine dust measurement unit to display a numerical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ement unit by visualizing the same; a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the numerical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ement unit to a database; and a controlle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ts. The fine dust measurement unit can measure a concentration value of fine dust by using the scattering of the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taken in the side mirror body and a laser beam. Therefore, the side mirror is capable of making preparations for fine dust from the outside.

Description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 상기 사이드미러가 적용된 차량 및 상기 사이드미러의 사용방법{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 vehicles of applied for remains thereof and method of using for remains thereof}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 vehicles of applied for remains thereof and method of using for remains thereof

본 발명은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 상기 사이드미러가 적용된 차량 및 상기 사이드미러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 vehicle to which the side mirror is applied, and a method of using the side mirror.

최근, 주변국가의 산업가속화에 따라 봄철과 같은 시기에는 대규모의 미세먼지가 국내에 유입된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미세먼지는 황산염, 질산염, 탄소 및 중금속 등으로 이루어져 호흡기를 통해 들어오는 경우에 감기 바이러스를 20배 이상으로 증가시키고, 만성 폐질환이나 천식 등을 유발시키며 기도나 폐 뿐만 아니라, 뇌와 같은 신체 기관에도 유입되어 신경전달물질에 해를 가함으로써 우울증을 유발시키기도 한다.Recently, with the acceleration of industry in neighboring countries, large-scale fine dust flows into the country during the spring season. As is widely known, fine dust is composed of sulfate, nitrate, carbon and heavy metals, and when entering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it increases the cold virus by more than 20 times, causes chronic lung disease or asthma, and causes not only the airways, lungs, but also the brain. It is also introduced into body organs, such as, and harms neurotransmitters, causing depression.

이와 같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미세먼지의 대처방법으로는 보통 황사전용마스크를 착용하거나, 실내의 경우 공기청정기를 가동시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방법이 대부분이다.As a countermeasure for fine dust that has such a danger, most of the methods are to remove fine dust by wearing a mask exclusively for yellow dust or by operating an air purifier indoors.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미세먼지의 위험성을 간과하고 있으며, 미세먼지에 대한 대처방법으로 미세먼지가 너무 심해 호흡에 불편함을 느낄정도가 될 때 마스크를 쓰거나 공기청정기를 가동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However, most people overlook the danger of fine dust, and as a countermeasure to fine dust, most of them wear a mask or operate an air purifier when they feel uncomfortable in breathing because the fine dust is too severe.

그러나 미세먼지는 호흡에 불편할 정도가 아닌 경우라도, 장기간 흡입하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호흡기 질환 및 우울증을 유발하게 된다.However, even if the fine dust is not uncomfortable for breathing, long-term inhalation causes respiratory diseases and depression as described above.

즉, 사람들은 실제 호흡이 불편할 정도가 아니라면 미세먼지의 농도를 신경쓰지 않으나, 실제 미세먼지가 체내에 축적됨으로 인해서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질환 등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를 해야된다.That is, people do not care about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unless the actual breathing is uncomfortable, but because the actual fine dust accumulates in the body, it causes various diseases as described above, 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is.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생업에 신경쓰다보니, 방송이나 인터넷 등의 일기예보에서 위험성을 알려주지 않는 한 그에 대한 대처를 시행하지 않고 미세먼지를 그대로 흡입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고, 설사 미세먼지의 농도를 인지하더라도 그에 대한 수치의 위험성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미세먼지에 대한 대처를 시행하지 않고 지나치는 것이 현 실정이다.However, since most people care about their own lives,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they are inhaling fine dust as they are without taking measures to deal with the dangers unless weather forecasts such as broadcasting or the Internet are known. Even if it is recognized, it is unclear about the danger of the numerical value, so it is the current situation that it is overlooked without taking measures against fine dust.

따라서, 이와 같이 미세먼지의 농도가 증가하는 경우에 사람들이 위험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lternative that allows people to feel the danger wh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creases.

더 나아가, 가정이나 사무실 같은 실내 공간에서는 공기청정기와 같은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자동적으로 제거하게 된다.Furthermore, in indoor spaces such as homes and offices, fine dust is automatically removed using a fine dust removal device such as an air purifier.

하지만 이와 같은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자동으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자동적으로 흡입하여 제거만 할 뿐, 실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위험성을 알려주지 않게 되므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유입 자체를 모르는 위험한 상황에 처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such a fine dust removal device automatically removes fine dust, if there are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that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they only automatically inhale and remove them, which is dangerous to people indoors. Since it is not know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 a dangerous situation where the inflow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s not know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485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1485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1135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8113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108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0108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2592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8259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 중인 차량 내에서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 값을 측정할 수 있는 사이드미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an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in a moving vehicle.

그리고 본 발명은 측정한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 값을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visualize the measured concentration of external fine dust and provide it to a user.

또한, 본 발명은 측정한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 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송신하여, 외부의 미세먼지를 데이터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vert external fine dust into data by transmitting the measured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to a database.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understandab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미세먼지의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는 차량 외부의 일부분에 장착되며,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사이드미러 본체; 사이드미러 본체 내에 설치되며, 사이드미러 본체 내에 유입된 공기에 부유하는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유닛; 미세먼지 측정유닛에 연결되어, 미세먼지 측정유닛이 측정한 미세먼지의 수치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미세먼지 표시유닛; 미세먼지 측정유닛이 측정한 미세먼지의 수치를 데이터베이스로 송신하는 통신유닛; 및 유닛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미세먼지 측정유닛은, 레이저광과 사이드미러 본체 내에 유입된 공기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의 산란을 이용하여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측정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is mounted on a part of an exterior of the vehicle, and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mirror body; A fine dust measuring unit installed in the side mirror body and measuring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ide mirror body; A fine dust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to visualize and display the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to a databas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ts, wherein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measures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using the scattering of the laser light and the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ide mirror body.

그리고 사이드미러 본체는, 공기유입구가 2개 이상의 복수로 사이드미러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공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사이드미러 본체 내로 유동되도록 유동공간을 제공하되, 공기를 모으는 형태로 구비되는 관; 및 관을 통해 공기 유입구와 연결되며, 관을 따라 유동되면서 모아진 공기를 미세먼지 측정유닛으로 유출시키는 공기 통합 유출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ide mirror body has two or more air inlets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mirror body, and is provided in plurality to communicate with the air inlet, and provides a flow space so that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flows into the side mirror body. However, a tube provided in the form of collecting air; And an air integrated outlet that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through the pipe, and discharges the air collected while flowing along the pipe to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또한, 미세먼지 측정유닛은, 챔버; 공기 통합 유출구와 연통되며, 공기 통합 유출구에서 유출된 공기를 챔버 내로 유입시키는 유입부; 챔버 내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출부; 챔버 내로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레이저광과 상기 챔버 내로 유입된 공기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산란되는 산란광을 검출하는 검출부;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산란광을 분석하여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를 연결하여 챔버 내의 공기가 통과하게 되며, 통과하는 공기를 향해 레이저광이 조사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방오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the chamber; An inlet part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tegration outlet and introduc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integration outlet into the chamber;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hamber to the outside; A light emitting unit for irradiating laser light into the chamber; A detector for detecting scattered light scattered by the laser light and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hamber; A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a concentration value of fine dust by analyzing the scattered ligh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And an antifouling tube transparently formed so that the air in the chamber passes by connecting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laser light is irradiated toward the passing air.

그리고 챔버는, 레이저광의 조사방향에 레이저광을 소거하기 위한 트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And the chamber further comprises a trap unit for erasing the laser light in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또한, 트랩부는, 숯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trap part contains charcoal.

그리고 챔버는, 적어도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레이저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chamber further includes a mirror unit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on at least one surface and reflects the laser light.

또한, 미러부는, 챔버의 마주보는 양면 중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미러; 및 마주보는 양면 중 타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irror unit may include: a first mirror detachably installed on one of the opposite sides of the chamber; And a second mirror detachably install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opposite surfaces.

그리고 제2 미러는, 일부에 검출부 및 측정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econd mirror is partially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detection unit and a measurement unit.

또한, 미세먼지의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는 유입부와 방오관의 일단 사이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어댑터; 및 유출부와 방오관의 타단 사이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어댑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may include a first adapter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inlet and one end of the antifouling pipe; And a second adapter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outlet and the other end of the antifouling pipe. It consists of including at least one of.

그리고 제1 어댑터와 상기 제2 어댑터 중 적어도 하나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dapter and the second adapte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또한, 제1 어댑터는, 유입부와 연통되는 제1 관통공이 더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adapter further has a first through-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ortion.

그리고 제2 어댑터는, 유출부와 연통되는 제2 관통공이 더 형성된다.And the second adapter is further formed with a second through-hole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portion.

또한, 방오관은, 외면 중 적어도 일부 면이 레이저광의 조사방향과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된다.Further, in the antifouling tube,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is forme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그리고 방오관은, 챔버 내로 유입된 공기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방오코팅층이 내면에 성막된다.In addition, the antifouling pip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ntifouling coating layer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from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hamber.

또한, 미세먼지 표시유닛은, 미세먼지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되는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차량의 전방 유리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허드;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ine dust display unit includes: a hud that visually displays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ement unit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그리고 통신유닛은, 미세먼지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되는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데이터베이스로 송신한다.And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to the database.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가 적용된 차량은 외부의 일부분에 상기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가 장착된다.In a vehicle to which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is applied,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the fine dust is mounted on a part of the exteri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으로서,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의 사용방법은 차량 외부의 일부분에 장착된 사이드미러 본체 내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1 단계; 미세먼지 측정유닛에 포함되는 챔버 내에 사이드미러 본체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유입되고, 미세먼지 측정유닛이 레이저광과 유입된 공기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의 산란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제2 단계; 미세먼지 표시유닛이 미세먼지 측정유닛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수치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제3 단계; 및 통신유닛이 미세먼지 측정유닛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수치를 데이터베이스로 송신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thod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using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includes: a first step of introducing air into a side mirror body mounted on a part of an exterior of a vehicle; A second step in which air flowing out from the side mirror body is introduced into a chamber included in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and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measures fine dust using laser light and scattering of fine dust floating in the introduced air; A third step of visualizing and displaying, by the fine dust display unit, the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And a fourth step of transmitting, by the communication unit, the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to the database.

또한, 제2 단계는, 방오관에 챔버 내의 공기가 통과되는 제2-1 단계; 발광부가 방오관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제2-2 단계; 미러부가 레이저광과 방오관 내의 공기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산란되는 산란광을 반사시키는 제2-3 단계; 검출부가 산란광을 검출하는 제2-4 단계; 및 측정부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산란광을 분석하여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측정하는 제2-5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tep may include a step 2-1 in which air in the chamber passes through the antifouling pipe; 2-2 step of irradiating a laser light to the antifouling tube by the light emitting unit; A 2-3 step in which the mirror unit reflects the laser light and the scattered light scattered by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in the antifouling tube; A 2-4 step in which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e scattered light; And a 2-5 step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by analyzing the scattered ligh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by the measurement unit.

그리고 제3 단계는, 미세먼지 표시유닛이 측정부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차량의 전방 유리에 시각적으로 표시한다.In the third step, the fine dust display unit visually displays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또한, 제4 단계는, 통신유닛이 측정부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데이터베이스로 송신한다.Further, in the fourth step,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to the databa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중인 차량 내에서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 값을 측정하여 외부의 미세먼지에 대한 대비가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pare for external fine dust by measuring an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in a moving vehicle.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한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 값을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의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ed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is visualized and provided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external fine dus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한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 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송신하여, 외부의 미세먼지를 데이터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ransmitting the measured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to the database, it is possible to convert the external fine dust into data.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미세먼지 측정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챔버 내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미세먼지 측정유닛의 조립순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에 구성되는 통신유닛의 통신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에 구성되는 컨트롤러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가 적용된 차량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단계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미세먼지 측정단계의 세부 단계를 나타내는 단계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shown in FIG. 2.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ior of the chamber shown in FIG. 3.
5 to 8 are diagrams showing step by step an assembly procedure of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shown in FIG. 3.
9 is a communication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in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controller configured in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to which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tep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tep flow diagram showing detailed steps of the fine dust measurement step shown in FIG. 1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isclosed hereinafter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cludes specific details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knows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comprising or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Means that.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실시예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미세먼지 측정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챔버 내부의 확대사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미세먼지 측정유닛의 조립순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에 구성되는 통신유닛의 통신블록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에 구성되는 컨트롤러의 제어블록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shown in FIG. 1, and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ior of the chamber shown in Figure 3, Figures 5 to 8 are views showing step by step the assembly procedure of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shown in Figure 3, Figure 9 Is a communication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in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ontroller configured in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trol block diagram.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10)(이하에서는 '사이드미러(10)'라 한다.)로서, 사이드미러(10)는 사이드미러 본체(100), 미세먼지 측정유닛(200), 미세먼지 표시유닛(300), 통신유닛(400) 및 컨트롤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ide mirror 10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hereinafter referred to as'side mirror 10'), as shown in FIGS. 1 to 10, wherein the side mirror 10 includes a side mirror body (a side mirror body). 100), a fine dust measuring unit 200, a fine dust display unit 300, a communication unit 400 and a controller 500.

사이드미러 본체(100)는 공기(103)를 유입하여 미세먼지 측정유닛(20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역할 수행을 위해 사이드미러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구(101), 관(105), 공기 통합 유출구(10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이드미러 본체(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 외부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side mirror body 100 serves to introduce air 103 and transfer it to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200. In order to perform this role, the side mirror body 100 includes an air inlet 101, a pipe 105, and an air integrated outlet 107 as shown in FIGS. 1 to 2.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the side mirror body 100 is preferably installed on a part of the exterior of the vehicle 1.

공기 유입구(101)는 사이드미러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공기(103)을 내부로 유입시킨다. 더 나아가, 공기 유입구(1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미러 본체(100)의 일측에 2개 이상의 복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공기 유입구(101)가 복수로 형성되는 것은 공기(103) 및 상기 공기(103)에 부유하는 미세먼지를 최대한 사이드미러 본체(101) 내로 유입시키기 위함이며, 미세먼지 측정유닛(200)으로부터 최대한 많은 양의 공기에 대한 미세먼지의 농도 값이 측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air inlet 10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mirror body 100 to introduce the air 103 into the interior. Further, the air inlet 101 is formed in a plurality of two or more on one side of the side mirror body 100, as shown in FIG. In this way, the air inlet 101 is formed in plural to introduce the air 103 and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103 into the side mirror body 101 as much as possible, and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200 It is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value of fine dust in the air as much as possible from.

관(10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구(101)와 연통되어, 공기 유입구(101)로 유입되는 공기를 사이드미러 본체(100) 내로 유동시키는 유동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관(105)은 공기 유입구(101)가 복수로 형성됨에 따라 마찬가지로 복수로 구비되어 공기 유입구(101)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 나아가, 관(105)은 공기(103)이 유입되는 사이드미러 본체(100)의 일측으로부터 사이드미러 본체(100)의 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공기 유입구(101)와 연통된다. 이와 같이, 관(105)이 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구비되는 것은 복수의 공기 유입구(101)에 유입되는 공기를 모아주기 위함이다.As shown in FIG. 2, the pipe 105 communicates with the air inlet 101 to provide a flow space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01 flows into the side mirror body 100. As the air inlet 101 is formed in plural, it is preferable that the pipe 105 is provided in plural as well to communicate with the air inlet 101. Further, the pipe 105 communicates with the air inlet 101 in a form that becomes narrower from one side of the side mirror body 100 to the other side of the side mirror body 100 through which the air 103 is introduced. In this way, the pipe 105 is provid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other side in order to collec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air inlets 101.

공기 통합 유출구(10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105)을 통해 공기 유입구와 연결되며, 관(105)을 따라 유동되면서 모아지는 공기(103)를 미세먼지 측정유닛(200)으로 유출시킨다. 이러한 공기 통합 유출구(107)는 공기유입구(101) 및 관(105)을 통해 최대한 많은 양의 공기(103)를 미세먼지 측정유닛(200)으로 유출시킨다.The integrated air outlet 107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through a pipe 105, as shown in FIG. 2, and the air 103 collected while flowing along the pipe 105 is transferred to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200. Spill. The integrated air outlet 107 discharges as much air 103 as possible to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200 through the air inlet 101 and the pipe 105.

한편, 사이드미러 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하우징(110) 및 렌즈(1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side mirror body 100 further includes an opening/closing housing 110 and a lens 120 as shown in FIG. 2.

개폐 하우징(110)은 개방되는 사이드미러 본체(100)의 타측에 결합되어 사이드미러 본체(100)의 타측을 밀폐시킨다. 이러한 개폐 하우징(110)은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미세먼지 측정유닛(200)으로부터 미세먼지 농도 값이 측정된 공기(251)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홈(미도시)이 일측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housing 11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open side mirror body 100 to seal the other side of the side mirror body 10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one or more discharge grooves (not shown)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opening/closing housing 110 for discharging the air 251 whos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is measured from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200 to the outside. Can be.

더 나아가, 사이드미러 본체(100)는 미세먼지 측정유닛(200)과 배출홈(미도시)을 연결시켜 공기(251)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배출관(미도시)이 더 구성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side mirror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pipe (not shown) that can induce the air 251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connecting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200 and the discharge groove (not shown). have.

렌즈(120)는 통상적인 사이드미러에 구성되는 렌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Since the lens 12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lens configured in a conventional side mirro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미세먼지 측정유닛(200)은 공기 통합 유출구(107)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측정한다. 이를 위해, 미세먼지 측정유닛(200)은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210), 발광부(220), 유입부(230), 방오관(240), 유출부(250), 검출부(260), 측정부(270), 어댑터(280), 미러부(2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ne dust measuring unit 200 measures a concentration value of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flowing out through the integrated air outlet 107. To this end,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200 includes a chamber 210, a light emitting unit 220, an inlet unit 230, an antifouling pipe 240, an outlet unit 250, as shown in FIGS. 3 to 8, It includes a detection unit 260, a measurement unit 270, an adapter 280, and a mirror unit 290.

챔버(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유입부(230)가 구비되어 공기 통합 유출구(107)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231)가 내부에 유입된다. 그리고 챔버(210)의 타측에는 유출부(250)가 구비되어 측정부(270)를 통해 미세먼지의 농도 값이 측정된 공기(251)가 배출된다. 더 나아가, 챔버(210)의 일측 및 타측에 대해 직각인 상측 및 하측에는 미러부(290)가 끼움결합될 미러홈(213)이 각각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chamber 210 is provided with an inlet 230 on one side, so that the air 231 flowing out through the integrated air outlet 107 is introduced into the chamber 210. In addition, an outlet portion 25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hamber 210 to discharge the air 251 whose concentration value of fine dust is measured through the measuring portion 270. Furthermore, mirror grooves 213 to which the mirror portion 290 is to be fitted are respectively form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hamber 210 at right angles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발광부(220)는 레이저발진부와 집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레이저광(221)을 생성한다. 그리고 발광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한 레이저광(221)을 공기(231)의 유동방향과 직각으로 조사하도록 챔버(210)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레이저광(221)은 809nm의 파장을 가진 레이저광일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220 includes a laser oscillation unit and a focusing unit to generate the laser light 221.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unit 220 is installed in the chamber 210 to irradiate the generated laser light 221 at a right angle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231, as shown in FIG. 3. As an embodiment, the laser light 221 may be a laser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809 nm.

유입부(230)는 챔버(210)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 통합 유출구(107)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231)를 챔버(210) 내로 유입시킨다. 이러한 유입부(230)는 공기(231)를 챔버(210) 내로 유입시키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노즐(233)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s described through the chamber 210, the inlet 230 introduces the air 231 flowing out through the integrated air outlet 107 into the chamber 210. As shown in FIG. 4, in order to introduce the air 231 into the chamber 210, the inlet 230 is preferably provided as an inlet nozzle 233.

방오관(2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사각 튜브로서 투명한 재질(예: 합성수지재, 유리 등)로 성형된다. 이러한 방오관(240)의 일단은 유입부(23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유출부(25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방오관(240)은 외면 중 일부 면이 레이저광(221)의 조사방향과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방오관(240)의 단면 중 양측면이 레이저광(221)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더 나아가, 방오관(240)은 미세먼지를 부유하는 공기(231)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방오코팅층(예: 투명한 방오도료)이 내면에 성막된다. 이와 같이, 방오관(240)의 내면에 방오코팅층이 성막되는 것은, 방오관(240)의 내면은 지속적으로 미세먼지를 부유하는 공기(231)가 접하는 영역이므로, 사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NOx, SOx, VOCs 등)이 잔존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As shown in FIG. 5, the antifouling pipe 240 is a hollow square tube with an empty inside and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eg, synthetic resin material, glass, etc.). One end of the antifouling pipe 240 is detachably fixed to the inlet 230,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y fixed to the outlet 250. In addition, the antifouling tube 240 is formed in a plane in which some of the outer surfaces are perpendicular to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221. Specifically, both sides of the cross-section of the antifouling tube 240 are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laser beam 221. Further, the antifouling pipe 24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ntifouling coating layer (eg, a transparent antifouling paint) to prevent contamination from the air 231 floating fine dust. In this way, the antifouling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ntifouling pipe 240, 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antifouling pipe 240 is a region in which the air 231 continuously floating fine dust is in contact, as the period of use elapses, the fine dust And pollutants (NOx, SOx, VOCs, etc.) remain, to prevent this.

유출부(250)는 챔버(210)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측정부(270)를 통해 미세먼지의 농도 값이 측정된 공기(251)를 배출시킨다. 이러한 유출부(250)는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공기(251)를 배출시키기 위해 배출노즐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s described through the chamber 210, the outlet 250 discharges the air 251 in which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s measured through the measuring unit 27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outlet unit 250 is preferably provided as a discharge nozzle to discharge the air 251.

검출부(2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부(290)의 제2 미러(293)에 구비되어 레이저광(221)과 공기(231)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산란되는 산란광을 검출한다. 이러한 검출부(260)는 수광되는 산란광의 세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The detection unit 260 is provided in the second mirror 293 of the mirror unit 290 and detects scattered light scattered by fine dust floating in the laser light 221 and the air 231 as shown in FIG. 8. do. The detection unit 260 converts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scattered light into an electric signal.

측정부(2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부(290)의 제2 미러(293)에 구비되어 검출부(260)에서 검출되는 산란광을 분석하여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측정한다.As shown in FIG. 8, the measurement unit 270 is provided in the second mirror 293 of the mirror unit 290 and analyzes the scattered ligh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260 to measure a concentration value of fine dust.

한편, 검출부(260)가 검출하고, 측정부(270)가 분석하는 광산란(산란광)은 투명한 매질에 불순물이 있거나 부분적으로 굴절률의 변화가 있을 때 일어나는 산란현상으로 광손실의 원인이 된다. 그리고 초음파를 통해 굴절률을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그에 따른 산란을 이용하여 광변조, 광편향 등을 행하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광산란 방식의 원리는 공기(231)에 부유되는 입자(바람직하게는, 미세먼지의 입자)가 방오관(240) 내에 유입될 때, 레이저광(221)과 만나게 되어 산란광이 생성되는데, 입자의 반짝거리는 크기를 가지고 입자 사이즈를 결정하며, 반짝거리는 갯수를 헤아려 입자의 사이즈별 갯수를 측정한다.On the other hand, light scattering (scattered ligh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260 and analyzed by the measurement unit 270 is a scattering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here is impurities in a transparent medium or partially changes in refractive index, and causes optical loss. 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is periodically changed through ultrasonic waves, and light modulation and optical deflection are performed using the scattering. Specifically, the principle of the light scattering method is that when particles (preferably, particles of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231 are introduced into the antifouling tube 240, they encounter the laser light 221 to generate scattered light, The size of the particles is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of the glittering particles, and the number of particles is measured by counting the number of glitters.

그리고 광산란방식의 미세먼지 측정원리는 광산란방식의 원리로 미세입자를 측정한 후, 각 사이즈에 대한 무게 정량화 작업을 통해 미세먼지의 질량을 표시한다. 여기서, 미세먼지는 통상 10 마이크로 이하의 입자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light scattering method of fine dust measurement principle measures the fine particles by the light scattering method, and then displays the mass of the fine dust through weight quantification for each size. Here, fine dust usually means particles of 10 microns or less.

이러한 광산란방식의 미세먼지 측정방법으로는, 중량 포집법과 베타선 법을 예로 들 수 있다. 먼저, 중량 포집법은 임펙터 또는 사이크론 방식을 이용하여 미세입자를 분리하고, 포아사이즈 내지 2마이크로 이하 GFC(Glass fiber filter) 여과지에 먼지를 포집한다. 그 후, 여과지에 포집 전 후 무게를 이용하여 순수한 미세먼지의 무게를 구하고, 포집 총유량 값을 계산하여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무게와 부피(유량체적)로 표시 1입방 메타에 몇 마이크로그램의 미세먼지가 있는지 계산하여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측정하는 방법이다.Examples of methods for measuring fine dust using the light scattering method include a weight collection method and a beta ray method. First, in the weight collection method, microparticles are separated using an impactor or cyclone method, and dust is collected on a glass fiber filter (GFC) filter paper of a pore size of 2 microns or less. After that, the weight of pure fine dust is calculated using the weight before and after collection on the filter paper, and the total collection flow rate is calculated. Specifically, it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by calculating the number of micrograms of fine dust in one cubic meter expressed as weight and volume (flow volume).

이와 달리, 베타선 법은 임펙터 또는 사이크론 방식을 이용하여 미세 입자를 분리하고, 필터에 먼지를 포집한 후 베타선소스를 투과하여 투과도를 측정한다. 측정한 투과도를 무게로 정량화하여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측정하는 방법이다.In contrast, in the beta ray method, fine particles are separated using an impactor or a cyclone method, dust is collected in a filter, and then transmitted through a beta ray source to measure the transmittance. It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value of fine dust by quantifying the measured transmittance by weight.

즉, 검출부(260)는 상술한 광산란방식의 원리를 기반으로 레이저광(221)과 공기(231)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의 산란광을 검출한다. 그리고 측정부(270)는 상술한 측정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방법의 원리를 기반으로 검출부(260)에서 검출된 산란광을 분석하여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측정한다.That is, the detection unit 260 detects the scattered light of the laser light 221 and the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231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light scattering method described above. Further, the measurement unit 270 analyzes the scattered ligh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260 based on the principle of at least one measurement method among the above-described measurement methods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어댑터(280)는 제1 어댑터(281)와 제2 어댑터(285)로 나누어진다.The adapter 280 is divided into a first adapter 281 and a second adapter 285.

제1 어댑터(28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오관(240)의 일단에 조립된다. 이러한 제1 어댑터(281)는 고무, 합성수지재,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이 신축성 있고, 변형 가능하며 쉽게 복원될 수 있는 재질로 성형된다. 이는, 제1 어댑터(281)와 방오관(240)을 챔버(210)에 쉽게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유입부(230)에 끼워 넣음으로써, 유입부(230)와 제1 어댑터(281) 사이에 공기(231)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방오관(240)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1 어댑터(281)의 중심부에는 제1 관통공(283)이 형성되어 공기(231)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한다.The first adapter 281 is assembled to one end of the antifouling pipe 240 as shown in FIG. 5. The first adapter 281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synthetic resin, silicone, urethane, etc. that is elastic, deformable, and can be easily restored. This is to allow the first adapter 281 and the antifouling pipe 240 to be easily installed or separated in the chamber 210, and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let 230, the inlet 230 and the first adapter This is to prevent leakage of the air 231 between the 281 and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antifouling pipe 240. In addition, a first through hole 283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adapter 281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231 is introduced.

제2 어댑터(28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오관(240)의 타단에 조립된다. 이러한 제2 어댑터(285)는 고무, 합성수지재,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이 신축성 있고, 변형 가능하며 쉽게 복원될 수 있는 재질로 성형된다. 이는, 제2 어댑터(285)와 방오관(240)을 챔버(210)에 쉽게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유출부(250)에 끼워 넣음으로써, 유출부(250)와 제2 어댑터(285) 사이에 공기(251)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방오관(240)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 어댑터(285)의 중심부에는 제2 관통공(287)이 형성되어 공기(251)가 유출되는 통로를 제공한다.The second adapter 285 is assembled to the other end of the antifouling pipe 240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adapter 285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synthetic resin, silicone, urethane, etc. that is elastic, deformable, and can be easily restored. This is to allow the second adapter 285 and the antifouling pipe 240 to be easily installed or separated in the chamber 210, and by being inserted into the outlet 250, the outlet 250 and the second adapter It is to prevent leakage of the air 251 between the 285, and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antifouling pipe 240. In addition, a second through hole 287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adapter 285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251 flows.

미러부(290)는 제1 미러(291)와 제2 미러(293)로 나누어진다.The mirror unit 290 is divided into a first mirror 291 and a second mirror 293.

제1 미러(291)는 챔버(210)의 상측에 형성된 미러홈(213)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어 레이저광(221)을 반사한다.The first mirror 291 is detachably assembled in the mirror groove 213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210 to reflect the laser light 221.

제2 미러(293)는 챔버(210)의 하측에 형성된 미러홈(213)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어 레이저광(221)을 반사한다. 그리고 제2 미러(293)는 제1 미러(291)와 다르게 검출부(260) 및 측정부(270)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다.The second mirror 293 is detachably assembled in the mirror groove 213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210 to reflect the laser light 221. In addition, unlike the first mirror 291, the second mirror 293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detection unit 260 and the measurement unit 270.

미세먼지 표시유닛(300)은 미세먼지 측정유닛(20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차량(1)의 전방 유리에 표시하는 허드일 수 있다.The fine dust display unit 300 may be a head that displays a concentration value of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ement unit 200 on the front glass of the vehicle 1.

여기서, 허드(Head Up Display, HUD)는 전방표시장치로서 최근 자동차 분야에서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높여 주기 위한 자동차 전자장비의 기술이고, 원래는 차량(1)의 전방 유리에 반사시켜 계기 정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군사목적으로 개발된 기술이다. 이러한 허드는 옵션으로 채택되고 있으며, 고속 운전동안에 운전자가 시선을 돌리지 않고 차량의 계기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Here, the Head Up Display (HUD) is a front display device and is a technology of automobile electronic equipment to increase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the driver in the recent automobile field. Originally, instrument information is reflected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1 It is a technology developed for military purposes so that you can grasp it at a glance. This Hurd is adopted as an option, and since the driver can check the instrume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without turning his or her gaze during high-speed driving, there is an advantage of ensuring safety.

이러한 미세먼지 표시유닛(300)은 통신유닛(400)을 통해 미세먼지 측정유닛(20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수신하여 시각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ne dust display unit 300 receives and visualizes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ement unit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통신유닛(400)은 미세먼지 측정유닛(20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데이터베이스(1000)로 송신한다. 그리고 통신유닛(400)은 미세먼지 측정유닛(20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미세먼지 표시유닛(300)에도 송신한다. 이러한 통신유닛(400)은 모바일 단말기, 와이파이 통신모듈, 블루투스 통신모듈 및 지그비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400 transmits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200 to the database 100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400 transmits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200 to the fine dust display unit 300 as well. The communication unit 400 may be provided with any one of a mobile terminal,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데이터베이스(1000)는 중앙관제소 등의 시설에 마련되는 데이터의 집합으로서, 통신유닛(400)을 기반으로 미세먼지 측정유닛(200)으로부터 수신한 미세먼지의 농도 값이 저장된다. The database 1000 is a set of data provided in facilities such as a central control station, and stores a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received from the fine dust measurement unit 200 based on the communication unit 400.

한편, 사용자는 데이터베이스(1000)에 저장되는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화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may convert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stored in the database 1000 into data in various ways.

컨트롤러(500)는 차량(1) 또는 사이드미러(10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미세먼지 측정유닛(200), 미세먼지 표시유닛(300), 통신유닛(400)의 작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500 is installed on a part of the vehicle 1 or the side mirror 1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200, the fine dust display unit 300, and the communication unit 400.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측정유닛(200)과 미세먼지 표시유닛(300)은 자동차의 모터와 연결되어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ne dust measurement unit 200 and the fine dust display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a motor of a vehicle and are operated by receiving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00.

실시예의 적용 예Example appl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적용 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가 적용된 차량의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to which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사이드미러(10)는 통상적인 사이드미러와 동일하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 외부의 일부분에 장착된다.The side mirr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art of the exterior of the vehicle 1, as shown in FIG. 11, in the same way as a conventional side mirror.

이에 따라, 사이드미러(10)는 차량(1)이 도로를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측정하여 시각화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데이터베이스(1000)에 송신한다.Accordingly, the side mirror 10 measures the concentration value of fine dust from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while the vehicle 1 is moving along the road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hrough visualization, and provides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to the database ( 1000).

실시예의 사용방법How to use the exampl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단계흐름도이다.12 is a step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미세먼지 측정단계의 세부 단계를 나타내는 단계흐름도이다.13 is a step flow diagram showing detailed steps of the fine dust measurement step shown in FIG. 12.

본 발명의 사용방법으로는 먼저, 차량(1) 외부의 일부분에 장착되는 사이드미러 본체(100)내에 공기가 유입된다(S10).In the method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ir is introduced into the side mirror body 100 mounted on a part of the exterior of the vehicle 1 (S10).

그 후, 미세먼지 측정유닛(200)의 챔버(210) 내에 사이드미러 본체(10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103)가 유입된다. After that, the air 103 flowing out from the side mirror body 100 is introduced into the chamber 210 of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200.

그 후, 미세먼지 측정유닛(200)이 레이저광(221)과 사이드미러 본체(100) 내에 유입된 공기(231)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의 산란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측정한다(S20).Thereafter,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200 measures fine dust by using the scattering of fine dust floating in the laser light 221 and the air 231 introduced into the side mirror body 100 (S20).

이러한 S20 단계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방오관(240)에 챔버(210) 내의 공기(231)가 통과된다(S200).The step S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First, the air 231 in the chamber 210 is passed through the antifouling pipe 240 (S200).

그 후, 발광부(220)가 방오관(240)에 레이저광(221)을 조사한다(S210). 이때, 방오관(240)에 조사되는 레이저광(221)은 방오관(220)에 통과되는 공기(231)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산란된다. 이러한 산란을 위해 방오관(2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fter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220 irradiates the laser light 221 onto the antifouling tube 240 (S210). At this time, the laser light 221 irradiated to the antifouling pipe 240 is scattered by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231 passing through the antifouling pipe 220. For such scattering, the antifouling pipe 240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s described above.

그 후, 미러부(290)가 레이저광(221)과 방오관(220) 내의 공기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산란되는 산란광을 반사시킨다(S220). 여기서, 미러부(2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미러(291)과 제2 미러(293)로 구비되어 챔버(210)의 미러홈(213)에 장착된다. 그리고 제2 미러(293)에는 검출부(260)과 측정부(270)가 구비된다, 다만, 검출부(260)과 측정부(270)는 제2 미러(293)가 아닌 제1 미러(291)에 장착될 수도 있다.After that, the mirror unit 290 reflects the scattered light scattered by the laser light 221 and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in the antifouling tube 220 (S220). Here, the mirror unit 290 is provided as a first mirror 291 and a second mirror 293 as described above, and is mounted in the mirror groove 213 of the chamber 210. In addition, the detection unit 260 and the measurement unit 270 are provided in the second mirror 293. However, the detection unit 260 and the measurement unit 270 are located on the first mirror 291, not the second mirror 293. It can also be installed.

그 후, 검출부(260)가 미러부(290)에 의해 반사되는 산란광을 검출한다(S230). 여기서, 검출부(2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산란방식을 기반으로 산란광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fter that, the detection unit 260 detects the scattered light reflected by the mirror unit 290 (S230). Here, as described above, the detection unit 260 may preferably detect the scattered light based on the light scattering method.

그 후, 측정부(270)가 검출부(260)에서 검출된 산란광을 분석하여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측정한다(S240). 여기서, 측정부(2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량 포집법과 베타선 법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방법을 기반으로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reafter, the measurement unit 270 analyzes the scattered ligh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260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S240). Here, as described above, the measurement unit 270 may preferably measure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based on at least one of a weight collection method and a beta ray method.

이러한 S20 단계 후, 미세먼지 표시유닛(300)이 미세먼지 측정유닛(20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시각화하여 표시한다(S30). 여기서, 미세먼지 표시유닛(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1)의 전방 유리에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시각화시킬 수 있는 허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fter this step S20, the fine dust display unit 300 visualizes and displays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ement unit 200 (S30).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ne dust display unit 300 is provided as a head capable of visualizing the concentration value of fine dust on the front glass of the vehicle 1, as described above.

그 후, 통신유닛(400)이 미세먼지 측정유닛(20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데이터베이스(1000)로 송신한다(S40).Thereafter, the communication unit 400 transmits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ement unit 200 to the database 1000 (S40).

한편, 본 발명의 사용방법에서는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S30 단계 후에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데이터베이스(1000)에 송신하는 S40 단계를 진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S30 단계와 상기 S40 단계는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동시에도 진행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method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step S40 of transmitting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to the database 1000 is performed after step S30 of visualizing and displaying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order of the step and the step S40 may be changed, and otherwise,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 차량,
10: 사이드미러,
100: 사이드미러 본체,
101: 공기 유입구,
103: 공기,
105: 관,
107: 공기 통합 유출구,
110: 개폐 하우징,
120: 렌즈,
200: 미세먼지 측정유닛,
210: 챔버,
211: 트랩부,
213: 미러홈,
220: 발광부,
221: 레이저광,
230: 유입부,
231: 공기,
233: 유입노즐,
240: 방오관,
241: 내벽,
250: 유출부,
251: 공기,
260: 검출부,
270: 측정부,
281: 제1 어댑터,
283: 제1 관통공,
285: 제2 어댑터,
287: 제2 관통공,
290: 미러부,
291: 제1 미러,
293: 제2 미러,
300: 미세먼지 표시유닛,
400: 통신유닛,
500: 컨트롤러,
1000: 데이터베이스.
1: vehicle,
10: side mirror,
100: side mirror body,
101: air inlet,
103: air,
105: tube,
107: air integration outlet,
110: opening and closing housing,
120: lens,
200: fine dust measuring unit,
210: chamber,
211: trap unit,
213: mirror groove,
220: light emitting unit,
221: laser light,
230: inlet,
231: air,
233: inlet nozzle,
240: antifouling pipe,
241: inner wall,
250: outlet,
251: air,
260: detection unit,
270: measuring unit,
281: first adapter,
283: first through hole,
285: second adapter,
287: second through hole,
290: mirror unit,
291: first mirror,
293: second mirror,
300: fine dust display unit,
400: communication unit,
500: controller,
1000: database.

Claims (21)

미세먼지의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로서,
차량 외부의 일부분에 장착되며,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사이드미러 본체;
상기 사이드미러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미러 본체 내에 유입된 공기에 부유하는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유닛;
상기 미세먼지 측정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미세먼지 측정유닛이 측정한 미세먼지의 수치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미세먼지 표시유닛;
상기 미세먼지 측정유닛이 측정한 미세먼지의 수치를 데이터베이스로 송신하는 통신유닛; 및
상기 유닛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먼지 측정유닛은,
레이저광과 상기 사이드미러 본체 내에 유입된 공기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의 산란을 이용하여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
As a side mirror that can measure fine dust,
A side mirror body mounted on a portion of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nd having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 fine dust measuring unit installed in the side mirror body and measuring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ide mirror body;
A fine dust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to visualize and display the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to a database; And
Includ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ts,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entration value of fine dust is measured using the scattering of laser light and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ide mirror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미러 본체는,
상기 공기유입구가 2개 이상의 복수로 상기 사이드미러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사이드미러 본체 내로 유동되도록 유동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공기를 모으는 형태로 구비되는 관; 및
상기 관을 통해 상기 공기 유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관을 따라 유동되면서 모아진 공기를 상기 미세먼지 측정유닛으로 유출시키는 공기 통합 유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side mirror body,
The air inle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mirror body in a plurality of two or more,
A tube provided in plurality to communicate with the air inlet, providing a flow space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flows into the side mirror body, and configured to collect the air; And
And an air integrated outlet that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through the pipe and discharges the air collected while flowing along the pipe to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further compris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측정유닛은,
챔버;
상기 공기 통합 유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공기 통합 유출구에서 유출된 공기를 상기 챔버 내로 유입시키는 유입부;
상기 챔버 내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출부;
상기 챔버 내로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레이저광과 상기 챔버 내로 유입된 공기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산란되는 산란광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산란광을 분석하여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유입부와 상기 유출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챔버 내의 공기가 통과하게 되며, 통과하는 공기를 향해 상기 레이저광이 조사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방오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
The method of claim 2,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chamber;
An inlet part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tegration outlet and introduc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integration outlet into the chamber;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hamber to the outside;
A light emitting unit that irradiates a laser light into the chamber;
A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scattered light scattered by the laser light and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hamber;
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concentration value of fine dust by analyzing the scattered light detected by the detecting unit; And
An antifouling tube transparently formed so that the air in the chamber passes through the air in the chamber by connecting the inlet portion and the outlet portion, and the laser light is irradiated toward the passing air; it is possible to measure fine dust, comprising: Side mirr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레이저광의 조사방향에 상기 레이저광을 소거하기 위한 트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
The method of claim 3,
The chamber,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further comprising a trap unit for removing the laser light in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는,
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
The method of claim 4,
The trap part,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charco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적어도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
The method of claim 3,
The chamber,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further comprising a; a mirror unit detachably installed on at least one surface to reflect the laser ligh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부는,
상기 챔버의 마주보는 양면 중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미러; 및
상기 마주보는 양면 중 타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
The method of claim 6,
The mirror part,
A first mirror detachably installed on one of the opposite sides of the chamber; And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comprising: a second mirror detachably install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opposite sid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미러는,
일부에 상기 검출부 및 상기 측정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mirror,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detection unit and the measurement unit is provided in a 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방오관의 일단 사이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어댑터; 및
상기 유출부와 상기 방오관의 타단 사이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어댑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adapter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inlet and one end of the antifouling pipe; And
A second adapter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outlet and the other end of the antifouling pipe;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댑터와 상기 제2 어댑터 중 적어도 하나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
The method of claim 9,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adapter and the second adapte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댑터는,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는 제1 관통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adapter,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is further form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댑터는,
상기 유출부와 연통되는 제2 관통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adapter,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portion is further form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오관은,
외면 중 적어도 일부 면이 상기 레이저광의 조사방향과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
The method of claim 3,
The antifouling pipe,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some of the outer surfaces are forme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오관은,
상기 챔버 내로 유입된 공기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방오코팅층이 내면에 성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
The method of claim 3,
The antifouling pipe,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an antifouling coating layer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from air introduced into the chamb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표시유닛은,
상기 미세먼지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되는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상기 차량의 전방 유리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허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ne dust display unit,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a hud that visually displays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on the front glass of the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유닛은,
상기 미세먼지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되는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unication unit,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ing a concentration value of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to the database.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가 외부의 일부분에 장착되는 사이드미러가 적용된 차량.A vehicle to which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is mounted on a part of the exterior.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차량 외부의 일부분에 장착된 사이드미러 본체 내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1 단계;
미세먼지 측정유닛에 포함되는 챔버 내에 상기 사이드미러 본체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미세먼지 측정유닛이 레이저광과 상기 유입된 공기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의 산란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제2 단계;
미세먼지 표시유닛이 상기 미세먼지 측정유닛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수치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제3 단계; 및
통신유닛이 상기 미세먼지 측정유닛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수치를 데이터베이스로 송신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의 사용방법.
In the method of using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A first step of introducing air into a side mirror body mounted on a part of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ir flowing out from the side mirror body is introduced into a chamber included in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and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measures fine dust by using laser light and scattering of fine dust floating in the introduced air. Step 2;
A third step of visualizing and displaying, by the fine dust display unit, the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And
A fourth step of transmitting, by the communication unit, the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to a database. Method of using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comprising: a.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방오관에 상기 챔버 내의 공기가 통과되는 제2-1 단계;
발광부가 상기 방오관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제2-2 단계;
미러부가 상기 레이저광과 상기 방오관 내의 공기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산란되는 산란광을 반사시키는 제2-3 단계;
검출부가 상기 산란광을 검출하는 제2-4 단계; 및
측정부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산란광을 분석하여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측정하는 제2-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의 사용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The second step,
Step 2-1 in which air in the chamber passes through the antifouling pipe;
2-2 step of irradiating a laser light to the antifouling tube by the light emitting unit;
A 2-3 step in which the mirror unit reflects the laser light and the scattered light scattered by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in the antifouling tube;
A 2-4 step in which a detector detects the scattered light; And
2-5 step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by analyzing the scattered ligh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by the measuring unit; Method of using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comprising a.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미세먼지 표시유닛이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상기 차량의 전방 유리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의 사용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third step,
The method of using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wherein the fine dust display unit visually displays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on the front glass of the vehicl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통신유닛이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의 사용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fourth step,
The method of using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to the database.
KR1020190026263A 2019-03-07 2019-03-07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 vehicles of applied for remains thereof and method of using for remains thereof KR1021701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263A KR102170185B1 (en) 2019-03-07 2019-03-07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 vehicles of applied for remains thereof and method of using for remain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263A KR102170185B1 (en) 2019-03-07 2019-03-07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 vehicles of applied for remains thereof and method of using for remain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318A true KR20200107318A (en) 2020-09-16
KR102170185B1 KR102170185B1 (en) 2020-10-28

Family

ID=72670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263A KR102170185B1 (en) 2019-03-07 2019-03-07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 vehicles of applied for remains thereof and method of using for remain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185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592B1 (en) 2003-12-24 2006-05-26 대한민국(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Methodology and Sampling Apparatus to Measure the Dust Emission from Paved Road Using Moving Vehicle
KR20110030800A (en) * 2009-09-18 2011-03-24 한라공조주식회사 Air quality system for vehicle
KR20120035452A (en) * 2010-10-05 2012-04-16 한국기계연구원 A dust measurement system being installed to a vehicle and measuring a dust occurred by the vehicle
KR101414858B1 (en) 2014-04-29 2014-07-03 황만수 Fine dust measuring device
KR20160124458A (en) * 2015-04-20 2016-10-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nd remote air condition controll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KR20170111043A (en) * 2016-03-25 2017-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ust sensor for vehicle
KR101801087B1 (en) 2017-07-10 2017-11-27 동우옵트론 주식회사 Particle measuring apparatus using light scattering
KR101881135B1 (en) 2016-10-28 2018-08-24 주식회사 씨앤유글로벌 Dust sensor based on the light scattering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592B1 (en) 2003-12-24 2006-05-26 대한민국(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Methodology and Sampling Apparatus to Measure the Dust Emission from Paved Road Using Moving Vehicle
KR20110030800A (en) * 2009-09-18 2011-03-24 한라공조주식회사 Air quality system for vehicle
KR20120035452A (en) * 2010-10-05 2012-04-16 한국기계연구원 A dust measurement system being installed to a vehicle and measuring a dust occurred by the vehicle
KR101414858B1 (en) 2014-04-29 2014-07-03 황만수 Fine dust measuring device
KR20160124458A (en) * 2015-04-20 2016-10-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nd remote air condition controll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KR20170111043A (en) * 2016-03-25 2017-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ust sensor for vehicle
KR101881135B1 (en) 2016-10-28 2018-08-24 주식회사 씨앤유글로벌 Dust sensor based on the light scattering
KR101801087B1 (en) 2017-07-10 2017-11-27 동우옵트론 주식회사 Particle measuring apparatus using light scatt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185B1 (en)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7325B2 (en) Continuous isokinetic sample device for stack gas having suction nozzle to which sectional area control device is attached, and automatic continuous measurement system for fine dust in stack gas comprising same combined therewith
EP3356793B1 (en) Optical particle counter
US8047055B2 (en) Size segregated aerosol mass concentration measurement with inlet conditioners and multiple detectors
RU2513773C1 (en) Filter system including structured optical sensors of analytes and optical readers
US7106442B2 (en) Multi-spectral optical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classifying biological and non-biological particles
US93352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optical diameters of aerosol particles to mobility and aerodynamic diameters
KR102009934B1 (en) Dust measuring apparatus
US2013021311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particles entrained in fluids
US20100085569A1 (en) Apparatus for high-accuracy fiber counting in air
CN101600391A (en) The metabolism measuring system that comprises function airway adapter
JP5712564B2 (en) Virus detection apparatus and virus detection method
KR102149810B1 (en) multi-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using a drone
CN113995441A (en) Device for collecting particles in an exhaled air flow
CA29485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ortable pm2.5 monitoring device
US10620130B2 (en) Measurement device for measuring fine particulate matter in at least one volume of air for a vehicle, particularly for a motor vehicle
KR102170185B1 (en) A side mirr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 vehicles of applied for remains thereof and method of using for remains thereof
CN107884317A (en) Particulate matter sensors
WO2023029733A1 (en) Optical particle counter
CN108120659A (en) A kind of particle concentration detecting system and method having from zero calibration
KR20200113369A (en) Apparatus of particle counting for fine dust measuring based on optical fiber
SPERTELL et al. Airborne density of ferric oxide aggregate microspheres
Kuhli et al. A sampling and dilution system for droplet aerosols from medical nebulisers developed for use with an optical particle counter
EP2221602A1 (en) Gas analyzer
JP4180952B2 (en) Wide range particle counter
JPS58165008A (en) Measurement of particle diameter distribution of micro p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