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613A - 케이지 및 케이지 홀더 - Google Patents

케이지 및 케이지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613A
KR20200106613A KR1020190025030A KR20190025030A KR20200106613A KR 20200106613 A KR20200106613 A KR 20200106613A KR 1020190025030 A KR1020190025030 A KR 1020190025030A KR 20190025030 A KR20190025030 A KR 20190025030A KR 20200106613 A KR20200106613 A KR 20200106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locking bar
holder
blad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준
이일환
이광훈
윤홍원
정해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멘티스로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멘티스로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멘티스로지텍
Priority to KR1020190025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6613A/ko
Publication of KR20200106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5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71Implants for expanding or repairing the vertebral arch or wedged between laminae or pedicle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11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spin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93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771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 A61F2002/30878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with non-sharp protrusions, for instance contacting the bone for anchoring, e.g. keels, pegs, pins, posts, shanks, stems, stru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지의 후방 양측에 파인 모양으로 형성된 고정바 결합 홈에 케이지 홀더의 고정 바가 결합되어 수술 시 케이지의 움직임 및 흔들거림을 잡아주고, 케이지의 후방에 형성되는 락킹 바 체결부에 케이지 홀더의 락킹 바가 삽입된 후 회전 시 락킹 바의 체결 날개가 내부에 구비된 걸림턱에 걸려서 케이지 홀더가 뒤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케이지 및 케이지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지 홀더 전방의 락킹 바가 케이지 홀더 후방 내측에 삽입된 후 90도 회전하여 T-형상의 날개가 내부의 날개 이탈 방지턱에 걸리게 되어 케이지와 케이지 홀더의 분리를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수술을 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케이지 및 케이지 홀더{CAGE AND CAGE HOLDER}
본 발명은 척추 유합술에 사용되는 추간체 유합 보형재인 케이지와 케이지를 병변부위에 삽입하기 위해 사용하는 케이지 홀더에 관한 것이다.
척추 뼈와 뼈 사이에 존재하는 디스크는 관절의 기능을 하며 척추의 움직임에 따라서 디스크의 안쪽에 수용된 수핵의 위치와 모양이 바뀌면서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수핵의 대부분은 수분(물)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나이를 먹으면서 점차 수분량이 줄어들어 디스크는 완충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섬유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면 허리통증이 발생하고, 여기서 더 진행되면 섬유가 심하게 늘어나거나 파열되면서 뒤쪽에 위치한 신경근을 눌러서 골반, 다리 등에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척추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거나 척추 뼈가 내려앉으면서 척추변형이 일어나는 등 각종 부작용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디스크로 인해 수반되는 질병 치료의 한 방법으로, 손상된 척추 간 디스크를 제거한 후, 두 개의 인접한 척추 사이의 공간을 추간체 유합 보형재, 소위 케이지(Cage)로 대체하는 방법이 있다.
즉, 추간체 유합 보형재는 척추 간 디스크의 원래 높이인 두 개의 인접한 척추체 사이의 원래 거리가 회복되도록 하여 척추 기능을 회복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추간체 유합 보형재는 사용목적에 따라 추간체 제거술(corpectomy)용 vertebral body replacement(VBR)와 추간체 골유합술(fusion)용 intervertebral replacement로 분류된다. 그리고 사용부위에 따라 크게 경추용(cervical)과 요추용(lumbar)으로 구분한다. 추간체 유합 보형재는 주로 경추(cervical), 요추(lumbar) 부분에서 사용되며, 경추와 요추에 삽입되는 추간체 유합 보형재의 크기는 삽입되는 척추 분절의 추간판 및 척추체의 해부학적 특성(넓이, 종판의 곡률 등)에 의해 결정된다.
추간체 유합 보형재는 디자인에 따라 대표적으로 나사형(horizontal cylinders), 상자형(open boxes), 원통형(thick-walled vertical rings)으로 나눌 수 있다.
추간체 유합 보형재는 재료에 따라 티타늄(titanium), PEEK 재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최근 가장 부각되고 있는 소재는 폴리머 재질의 PEEK이다. 수술시 삽입 방법에 따라 전방(anterior lumbar/cervical interbody fusion, ALIF/ACIF), 후방(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IF), 측방(direct lateral Interbody fusion, DLIF), 추간공(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TLIF) 유합술용 추간체 유합 보형재로 구분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다양한 목적에 따라 여러 종류의 추간체 유합 보형재가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와 같은 추간체 유합 케이지를 척추체 사이에 빠르고 안전하게 시술하는 방법 및 수술장치 등이 상당히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개특허 제10-2008-0105505호는 각종 척추관련 정형외과 수술 시 척추 뼈 사이에 삽입되어 척추 뼈 간 공간을 유지해주고 척추 뼈를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척추 임플란트용 케이지와, 케이지를 예정된 위치에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 홀더에 관한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08-0105505호는 몸체 일측에 척추 임플란트용 케이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두 갈래로 나누어진 그립부가 형성되어 있어, 두 갈래의 그립부가 케이지를 잡아서 고정하나 고정력이 약해 수술 시 원터치 홀더와 케이지가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08-0105505호(척추 임플란트용 케이지 및 원터치 홀더) 공개특허 제10-2008-0009113호(척추 디스크 공간 내로 임플란트를 위치시키는 기구, 임플란트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케이지의 후방 양측에 파인 모양으로 형성된 고정바 결합 홈에 케이지 홀더의 고정 바가 결합되어 수술 시 케이지의 움직임 및 흔들거림을 잡아주고, 케이지의 후방에 형성되는 락킹 바 체결부에 케이지 홀더의 락킹 바가 삽입된 후 회전 시 락킹 바의 체결 날개가 내부에 구비된 걸림턱에 걸려서 케이지 홀더가 뒤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케이지 및 케이지 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지는 척추뼈 사이에 삽입되어 척추뼈와 융합되어 상부 척추뼈와 하부 척추뼈를 지지하는 케이지에 있어서, 케이지의 후방 양측에 파인 모양으로 각각 형성되어 케이지 홀더의 고정 바가 밀착하여 결합되는 고정 바 결합홈; 및 케이지 후방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지 홀더의 락킹 바가 삽입된 후 회전 시 락킹 바의 체결 날개가 내부에 구비된 걸림턱에 걸려서 락킹 바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락킹 바 체결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지 홀더는 척추 유합술에 사용되는 추간체 유합 보형재인 케이지를 병변 부위에 삽입하기 위한 케이지 홀더로서, 상기 케이지의 후방 양측에 파인 모양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에 결합되어 케이지의 흔들림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락킹 바의 좌,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 바; 상기 두 개의 고정 바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지에 삽입 후 일정 각도 회전시 케이지 내부의 턱에 걸려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T-형상의 락킹 바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척추뼈 사이에 케이지를 삽입하여 수술 시 케이지 홀더의 고정 바가 케이지 후방 양측에 형성된 고정 바 결합홈에 결합됨으로써 케이지가 움직이거나 흔들리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가 있어 케이지를 척추뼈 사이의 정확한 위치에 시술할 수가 있다.
또한, 케이지 홀더 전방의 락킹 바가 케이지 홀더 후방 내측에 삽입된 후 90도 회전하여 T-형상의 날개가 내부의 날개 이탈 방지턱에 걸리게 되어 케이지와 케이지 홀더의 분리를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수술을 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와 케이지 홀더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와 케이지 홀더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와 케이지 홀더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홀더의 전방부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의 후방에 구비되는 락킹 바 체결부의 사시도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와 케이지 홀더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각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지(100)는 척추뼈 사이에 삽입되어 척추뼈와 융합되어 상부 척추뼈와 하부 척추뼈를 지지하는 장치이다. 케이지(100)의 몸체에는 통공(113)이 형성된다. 통공(113)에는 자가뼈 조각 또는 뼈 대체 인공물질이 채워지며, 골융합과 골재생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케이지(100) 몸체의 상부와 하부면에는 다수의 돌기(114)가 형성된다. 케이지(100)가 상부 척추뼈와 하부 척추뼈 사이에서 융합이 이루어질 때 척추뼈 사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견고한 융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케이지(100)는 고정 바 결합홈(111, 112)와 락킹 바 체결부(120)를 포함한다.
고정 바 결합홈(111, 112)은 케이지(100)의 후방 양측에 파인 모양으로 각각 형성되어 케이지 홀더(200)의 두 개의 고정 바(251, 252)가 밀착하여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케이지 홀더(200)의 두 개의 고정 바(251, 252)가 양측의 고정 바 결합홈(111, 112)에 밀착하여 결합됨으로써 척추뼈 사이에 시술 시 케이지(100)가 움직이거나 흔들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락킹 바 체결부(120)는 케이지(100) 후방 중앙에 구비되며 케이지 홀더(200)의 락킹 바(260)가 삽입된 후 회전 시 락킹 바(260)의 두 개의 체결 날개(261, 262)가 내부에 구비된 걸림턱(126, 127)에 걸려서 락킹 바(260)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즉, 락킹 바(260)가 바깥으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고정하며, 락킹 바(260)가 삽입된 후 90도 까지 회전시켜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락킹 바 체결부(120)는 관통공(121), 날개 회전 공간부(122, 123), 날개 회전 멈춤턱(124, 125) 및 날개 이탈 방지턱(126, 127)을 구비한다.
관통공(121)은 케이지 홀더(200)의 락킹 바(260)가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된다.
날개 회전 공간부(122, 123)는 락킹 바(260)가 관통공(121)에 삽입된 후 회전 시 락킹 바(260)의 체결 날개(261, 262)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말한다. 관통공(121)을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축(CL)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날개 회전 멈춤턱(124, 125)은 락킹 바(260)의 체결 날개(261, 262)가 날개 회전 공간부(122, 123)를 따라 일정 각도 회전 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한한다. 관통공(121)을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축(CL)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체결 날개(261, 262)가 90도 회전 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날개 이탈 방지턱(126, 127)은 락킹 바(260)의 체결 날개(261, 262)가 회전 후 후방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규제한다. 상기에서 락킹 바(260)의 체결 날개(261, 262)가 날개 회전 공간부(122, 123)를 따라 90도를 회전한 후 양측의 체결 날개(261, 262)는 각각 날개 이탈 방지턱(126, 127)에 걸리게 되어 락킹 바(260)가 뒤로 빠지지 않고 고정된다.
날개 회전 멈춤턱(124, 125)은 관통공(121)의 중앙을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선(CL)을 축으로 좌측 하부와 우측 상부의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5를 참고하면, 락킹 바(260)가 관통공(121)에 삽입된 후 우측 상부에 구비된 날개 회전 멈춤턱(125)에 의해 락킹 바(260)의 제1 체결 날개(261)가 우측으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고, 좌측에 형성된 날개 회전 공간부(122)를 따라 좌측으로 회전하며, 좌측 하부에 구비된 날개 회전 멈춤턱(124)에 의해 락킹 바(260)의 제2 체결 날개(262)가 좌측으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고, 우측에 형성된 날개 회전 공간부(123)를 따라 우측으로 회전한다.
도 5는 예시이며, 락킹 바(260)는 관통공(121)에 삽입된 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만 회전할 수가 있다는 의미이다. 삽입 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체결을 완료하면,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야 케이지 홀더(200)를 케이지(100)로부터 분리시킬 수가 있다.
케이지 홀더(200)는 척추 유합술에 사용되는 추간체 유합 보형재인 케이지를 병변 부위에 삽입하기 위한 장치이다.
케이지 홀더(200)는 두 개의 고정 바(251, 252), 샤프트(210), 회전 샤프트(263) 및 T-형상의 락킹 바(260)를 포함한다.
고정 바(251, 252)는 케이지(100)의 후방 양측에 파인 모양으로 형성되는 고정바 결합홈(111, 112)에 결합되어 케이지(100)의 흔들림을 제한할 수 있도록 락킹 바(260)의 좌, 우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각각 구비된다.
샤프트(210)는 두 개의 고정 바(251, 252)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회전 샤프트(263)는 샤프트(210)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회전 샤프트(263)의 선단부에는 T-형상의 락킹 바(260)가 연장 형성된다. 회전 샤프트(263)의 회전 시 T-형상의 락킹 바(260)도 회전하며, 회전 샤프트(263)의 전진 및 후진 이동 시 T-형상의 락킹 바(260)도 전진 및 후진 이동한다.
T-형상의 락킹 바(260)는 회전 샤프트(263)의 전방에 구비되고, 케이지(100)에 삽입 후 일정 각도, 바람직하게는 90도 회전 시 케이지(100) 내부의 날개 이탈 방지턱(126, 127)에 걸려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케이지 홀더(200)는 락킹 바 회전부(230) 및 락킹 바 이동부(220)를 구비한다.
락킹 바 회전부(230)는 샤프트(210)의 후방에 구비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내측에 구비된 회전 샤프트(263)를 좌측 및 우측으로 회전시키며, T-형상의 락킹 바(260)가 케이지(100)에 삽입된 후 회전 샤프트(263)를 회전시킴으로써, T-형상의 락킹 바(260)가 케이지(100) 내부의 날개 이탈 방지턱(126, 127)에 걸려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락킹 바 회전부(230)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며, 내측에서 핀을 이용하여 회전 샤프트(263)와 서로 끼움 결합된다. 락킹 바 회전부(23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샤프트(210)의 내측에 구비된 회전 샤프트(263)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락킹 바 이동부(220)는 샤프트(210)의 후방에 구비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내측에 구비된 회전 샤프트(263)를 전진 및 후진 이동시키며, 락킹 바 회전부(230)에 의해 T-형상의 락킹 바(260)가 케이지(100) 내부의 날개 이탈 방지턱(126, 127)에 걸려서 분리되지 않도록 된 후 회전 샤프트(263)를 후진 이동시킴으로써, T-형상의 락킹 바(260)를 케이지 홀더(200) 측으로 잡아 당겨서 T-형상의 락킹 바(260)를 케이지(100) 내부의 날개 이탈 방지턱(126, 127)에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락킹 바 이동부(220)는 락킹 바 회전부(230)에서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며, 락킹 바 이동부(220)와 회전 샤프트(263)는 볼 스크류 결합을 통해 락킹 바 이동부(220)의 회전 운동시 회전 샤프트(263)는 전진 또는 후진의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락킹 바 이동부(22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샤프트(210)의 내측에 구비된 회전 샤프트(263)는 전진 또는 후진(후진 또는 전진)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회전 샤프트(263)를 후진 이동시킴으로써, T-형상의 락킹 바(260)를 케이지 홀더(200) 측으로 잡아 당겨서 T-형상의 락킹 바(260)를 케이지(100) 내부의 날개 이탈 방지턱(126, 127)에 단단하게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가 있다.
락킹 바(260)는 고정 바(251, 252)의 사이에 위치하고, 케이지(100)에 삽입 시 T 자 형상의 체결 날개(261, 262)가 상, 하로 길게 형성된 상태에서 삽입되고, 케이지(100)에 삽입 후 90도 회전시 T 자 형상의 체결 날개(261, 262)가 좌, 우로 길게 눕혀진 상태에서 케이지(100) 내부의 날개 이탈 방지턱(126, 127)에 걸려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척추뼈 사이에 케이지를 삽입하여 수술 시 케이지 홀더의 고정 바가 케이지 후방 양측에 형성된 고정 바 결합홈에 결합됨으로써 케이지가 움직이거나 흔들리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가 있어 케이지를 척추뼈 사이의 정확한 위치에 시술할 수가 있으며, 케이지 홀더 전방의 락킹 바가 케이지 홀더 후방 내측에 삽입된 후 90도 회전하여 T-형상의 날개가 내부의 날개 이탈 방지턱에 걸리게 되어 케이지와 케이지 홀더의 분리를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수술을 할 수가 있는 케이지 및 케이지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케이지
111, 112...고정 바 결합홈
113...통공
114...돌기
120...락킹 바 체결부
121...관통공
122, 123...날개 회전 공간부
124, 125...날개 회전 멈춤턱
126, 127...날개 이탈 방지턱, 걸림턱
200...케이지 홀더
210...샤프트
220...락킹 바 이동부
230...락킹 바 회전부
240...핸들
251, 252...고정바
260...락킹 바
261, 262...체결 날개
263...회전 샤프트

Claims (7)

  1. 척추뼈 사이에 삽입되어 척추뼈와 융합되어 상부 척추뼈와 하부 척추뼈를 지지하는 케이지에 있어서,
    케이지의 후방 양측에 파인 모양으로 각각 형성되어 케이지 홀더의 고정 바가 밀착하여 결합되는 고정 바 결합홈; 및
    케이지 후방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지 홀더의 락킹 바가 삽입된 후 회전 시 락킹 바의 체결 날개가 내부에 구비된 걸림턱에 걸려서 락킹 바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락킹 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킹 바 체결부는
    상기 케이지 홀더의 락킹 바가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락킹 바가 관통공에 삽입된 후 회전 시 락킹 바의 체결 날개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날개 회전 공간부;
    락킹 바의 체결 날개가 상기 날개 회전 공간부를 따라 일정 각도 회전 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날개 회전 멈춤턱; 및
    상기 락킹 바의 체결 날개가 회전 후 후방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규제하는 날개 이탈 방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날개 회전 멈춤턱은 상기 관통공의 중앙을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축으로 좌측 하부와 우측 상부의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락킹 바가 관통공에 삽입된 후 상기 우측 상부에 구비된 날개 회전 멈춤턱에 의해 락킹 바의 제1 체결 날개가 우측으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고, 좌측에 형성된 날개 회전 공간부를 따라 좌측으로 회전하며, 상기 좌측 하부에 구비된 날개 회전 멈춤턱에 의해 락킹 바의 제2 체결 날개가 좌측으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고, 우측에 형성된 날개 회전 공간부를 따라 우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5. 척추 유합술에 사용되는 추간체 유합 보형재인 케이지를 병변 부위에 삽입하기 위한 케이지 홀더로서,
    상기 케이지의 후방 양측에 파인 모양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에 결합되어 케이지의 흔들림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락킹 바의 좌,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 바;
    상기 두 개의 고정 바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지에 삽입 후 일정 각도 회전시 케이지 내부의 턱에 걸려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T-형상의 락킹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홀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후방에 구비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내측에 구비된 회전 샤프트를 좌측 및 우측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T-형상의 락킹 바가 케이지에 삽입된 후 상기 회전 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써, T-형상의 락킹 바가 케이지 내부의 턱에 걸려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락킹 바 회전부; 및
    상기 샤프트의 후방에 구비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내측에 구비된 회전 샤프트를 전진 및 후진 이동시키며, 상기 락킹 바 회전부에 의해 T-형상의 락킹 바가 케이지 내부의 턱에 걸려서 분리되지 않도록 된 후 상기 회전 샤프트를 후진 이동시킴으로써, T-형상의 락킹 바를 케이지 홀더 측으로 잡아 당겨서 T-형상의 락킹 바를 케이지 내부의 턱에 단단하게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락킹 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홀더.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락킹 바는 상기 고정 바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지에 삽입 시 T 자 형상의 체결 날개가 상, 하로 길게 형성된 상태에서 삽입되고, 케이지에 삽입 후 90도 회전시 T 자 형상의 체결 날개가 좌, 우로 길게 눕혀진 상태에서 케이지 내부의 턱에 걸려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홀더.
KR1020190025030A 2019-03-05 2019-03-05 케이지 및 케이지 홀더 KR20200106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030A KR20200106613A (ko) 2019-03-05 2019-03-05 케이지 및 케이지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030A KR20200106613A (ko) 2019-03-05 2019-03-05 케이지 및 케이지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613A true KR20200106613A (ko) 2020-09-15

Family

ID=7245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030A KR20200106613A (ko) 2019-03-05 2019-03-05 케이지 및 케이지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66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136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에이스메디코프 척추 유합 케이지
WO2022132583A1 (en) * 2020-12-18 2022-06-23 Spine Wave, Inc. Expandable tlif device and related insertion and grafting instrument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113A (ko) 2005-04-15 2008-01-24 워쏘우 오르쏘페딕 인코포레이티드 척추 디스크 공간 내로 임플란트를 위치시키는 기구, 임플란트 및 방법
KR20080105505A (ko) 2007-05-31 2008-12-04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척추 임플란트용 케이지 및 원터치 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113A (ko) 2005-04-15 2008-01-24 워쏘우 오르쏘페딕 인코포레이티드 척추 디스크 공간 내로 임플란트를 위치시키는 기구, 임플란트 및 방법
KR20080105505A (ko) 2007-05-31 2008-12-04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척추 임플란트용 케이지 및 원터치 홀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136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에이스메디코프 척추 유합 케이지
WO2022132583A1 (en) * 2020-12-18 2022-06-23 Spine Wave, Inc. Expandable tlif device and related insertion and grafting instrumentation
US11419735B2 (en) 2020-12-18 2022-08-23 Spine Wave, Inc. Expandable TLIF device and related insertion and grafting instrumentation
AU2021402907A1 (en) * 2020-12-18 2023-07-20 Spine Wave, Inc. Expandable tlif device and related insertion and grafting instrument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6493B2 (en) Expandable intervertebral spacer
US11701236B2 (en) Articulating expandable intervertebral implant
US11759331B2 (en) Stabilized expandable intervertebral spacer
JP7057688B2 (ja) 拡張する椎体間インプラントおよび関節駆動するインサータ、ならびに、使用方法
US9814594B2 (en) Intervertebral disc prosthesis and method
KR101877731B1 (ko) 척추간 삽입용 케이지
US8409287B2 (en) Intervertebral prosthetic systems,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US11259938B2 (en) Stabilized intervertebral spacer
WO2017106389A1 (en) Stabilized intervertebral spacer
EP1889587A2 (en) Intersomatic cage for posterior fusion surgery to the lumbar column and for surgery involving the insertion of a transforaminal implant
KR20080072757A (ko) 추간판 인공보철물 및 척추뼈 사이에 인공보철물을삽입하는 장치
AU2011360240A1 (en) Expandable interbody fusion implant
KR20200106613A (ko) 케이지 및 케이지 홀더
KR102097624B1 (ko) 공간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JP6596026B2 (ja) 人工脊椎円板置換及びその方法
KR102511114B1 (ko) 단방향 확장형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KR102379915B1 (ko) 최소 침습 수술용 케이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