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360A -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er - Google Patents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360A
KR20200106360A KR1020190024797A KR20190024797A KR20200106360A KR 20200106360 A KR20200106360 A KR 20200106360A KR 1020190024797 A KR1020190024797 A KR 1020190024797A KR 20190024797 A KR20190024797 A KR 20190024797A KR 20200106360 A KR20200106360 A KR 20200106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evaluation
branch
sub
que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7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4931B1 (en
Inventor
전현아
Original Assignee
전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현아 filed Critical 전현아
Priority to KR1020190024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931B1/en
Priority to PCT/KR2020/002999 priority patent/WO2020180088A2/en
Publication of KR20200106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3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9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and a server for providing a learning service. The method for providing a learning service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a) forming and providing an evaluation question set for a n^th (natural number) branch; and (b) determining a learning type according to an evaluation result based on user answers to the evaluation question set of the n^th branch, and dynamically forming and providing a learning set of a (n+1)^th branch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earning type, wherein the learning set include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earning items and quizzes according to the learning type.

Description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er}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er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er}

본 발명은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er.

종래의 인터넷을 이용한 엠러닝(m-learning) 또는 유러닝(u-learning)에서의 당면과제는 단순히 어디서나 교육이 이루어지게 하여야 한다는 것 뿐만 아니라 보다 향상된 개인화된 맞춤형 교육(personalized education) 제공도 같이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서는 단말기로 개인별 학습능력 및 특성을 진단하고 성취도 및 취약점에 대한 자가진단 및 진단결과를 기반으로 학생의 학습을 관리하고 결과적으로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학습방안을 제공하는 기능이 필요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아직까지 학교선생님 등의 교육전문가를 통한 직접적 관리 방법 이외에는 뚜렷한 해결기술이나 방법이 구체화되지 않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The challenge in m-learning or u-learning using the Internet is not only that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anywhere, but also includes providing improved personalized education. In order to implement this, an optimal learning plan that diagnoses individual learning ability and characteristics with a terminal, manages student learning based on self-diagnosis and diagnosis results for achievement and vulnerability, and consequently improves learning efficiency. Although the function to be provided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clear solution techniques or methods have not been materialized in the world except for direct management methods through educational experts such as school teachers.

다른 종래 기술은 학생들의 학습과정을 구체적으로 관리하여 학습상항을 진단하기 위하여서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학습객체에 제공되어야 하나, 오프라인으로 학습현장에서 제공되는 테스트 문제, 문제풀이해설, 대화식 수업 등의 학습객체가 온라인으로 적절히 제공되고 있지 않고 동영상 강의 VOD(video on demand) 일변도로서, 강사의 강의 능력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모든 수요자에게 획일화된 학습객체를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단순한 형태로 인터넷 강의가 이루어져 있으므로 최근 IT기술의 발전에 따른 이러닝 모델의 가장 중요한 초점이 될 개인별 특성에 따라 지능화/개인화된 맞춤형 교육을 위한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Other conventional techniques should be provided to various types of learning objects in order to diagnose the learning status by specifically managing the learning process of students, but test problems, problem solving explanations, and interactive classes provided offline in the learning field. As the learning object is not properly provided online, it is a change in video lecture VOD (video on demand), and the Internet lecture is made in a simple form that completely relies on the lecturer's lecture ability and provides a uniform learning object to all consume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systematically provide services for intelligent/personalized customized educ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ich will be the most important focus of e-learning models according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0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72027호(2017.03.21.)(01)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2027 (2017.03.21.)

본 발명은 선행 학습 결과를 반영하여 후행 학습을 위한 구성을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server capable of dynamically generating a configuration for subsequent learning by reflecting the result of prior learning.

또한, 본 발명은 P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각 문항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 후 이를 기반으로 학습 유형을 결정하며, 학습 유형을 고려하여 재학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server capable of performing relearning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type and determining a learning type based on the evaluation of each item based on the P algorithm. Fo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행 학습 결과를 반영하여 후행 학습을 위한 구성을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learning service capable of dynamically generating a configuration for subsequent learning by reflecting a result of prior learn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제n(자연수) 브랜치에 대한 평가 문제 세트를 구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n 브랜치의 평가 문제 세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한 평가 결과에 따라 학습 유형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학습 유형에 따라 제(n+1) 브랜치의 학습 항목 및 평가 문항에 대한 재학습 세트를 동적으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s of: (a) constructing and providing an evaluation problem set for an nth (natural number) branch; And (b) determining a learning type according to an evaluation result based on a user response to the evaluation problem set of the nth branch, and re-reading the learning items and evaluation items of the (n+1)th branch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earning type. A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including the step of dynamically configuring and providing a learning set may be provided.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n+1) 브랜치의 재학습 세트는, 상기 제n 브랜치의 평가 문제 세트에 포함된 평가 문항 중 오답이 제출된 평가 문항에 관한 학습 항목과 평가 문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e step (b), the relearning set of the (n+1)th branch includes learning items and evaluation items related to evaluation items in which an incorrect answer is submitted among evaluation items included in the evaluation question set of the nth branch. It can be configured.

상기 학습 유형에 따라 상기 오답이 제출된 평가 문항에 관한 학습 항목과 평가 문항의 조합이 상이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type of learning, the combination of the learning item and the evaluation item for the evaluation item in which the incorrect answer is submitted may be different.

(c) 상기 제(n+1) 재학습 세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한 평가 결과에 따라 하위 브랜치의 재학습 세트가 동적으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위 브랜치로의 확장은 상기 n 브랜치에서 구성된 평가 문항 세트에 포함된 모든 평가 문항에 대한 정답이 제출될때까지 반복 수행될 수 있다. (c)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ynamically configuring and providing a relearning set of a lower branch according to an evaluation result based on a user response to the (n+1)th relearning set, wherein the extension to the lower branch is performed by the It may be repeated until correct answers are submitted for all evaluation items included in the evaluation item set constructed in branch n.

상기 제n 브랜치의 평가 문제 세트는 카테고리별 평가 문제 세트를 포함하되, 상기 카테고리별 평가 문제 세트는 각각 복수의 평가 문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평가 문항은 문제 유형이 상이하거나 난이도가 상이한 복수의 서브 문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evaluation problem set of the nth branch includes a set of evaluation questions for each category, and the evaluation problem sets for each category each include a plurality of evaluation questions, and the plurality of evaluation questions are a plurality of different problem types or different difficulty levels. It can consist of subproblems.

상기 (a) 단계는, 상기 평가 문제 세트는 각각의 평가 문항이 순차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각 평가 문항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문제는 난이도 순으로 제공되되, 최상위 난이도의 서브 문제 정답 여부에 따라 차상위 난이도의 서브 문제가 동적으로 변경되어 제공될 수 있다. In step (a), the evaluation question set is sequentially provided with each evaluation question, and a plurality of sub-questions included in each evaluation question are provided in order of difficulty, and the next highest level according to whether the sub-question of the highest difficulty level is correct. The subproblems of the difficulty level can be dynamically changed and provided.

상기 각 평가 문항의 최상위 난이도를 가지는 제1 서브 문제가 제공된 후 정답이 응답되면, 제3 서브 문제를 제공한 후 상기 제3 서브 문제의 응답이 정답인지 여부에 따라 각 평가 문제의 학습 완료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각 평가 문항의 최상위 난이도를 가지는 제1 서브 문제가 제공된 후 오답이 응답되면, 제2 서브 문제 내지 제4 서브 문제를 순차적으로 제공하여 정답 여부를 확인하여 평가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If the correct answer is answered after the first sub-question having the highest difficulty of each evaluation question is provided, after providing the third sub-question, whether or not the learning of each evaluation question is complet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answer to the third sub-question is correct. If an incorrect answer is answered after the first sub-problem having the highest level of difficulty of each evaluation item is determined and the first sub-problem is provided, the second sub-problem to the fourth sub-problem are sequentially provided to check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 and an evaluation result can be generated .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행 학습 결과를 반영하여 후행 학습을 위한 구성을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capable of dynamically generating a configuration for subsequent learning by reflecting a result of prior learn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동되어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명령어는, 제n(자연수) 브랜치에 대한 평가 문제 세트를 구성하여 제공하고, 상기 제n 브랜치의 평가 문제 세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한 평가 결과에 따라 학습 유형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학습 유형에 따라 제(n+1) 브랜치의 학습 항목 및 평가 문항에 대한 재학습 세트를 동적으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명령어는, 상기 제(n+1) 재학습 세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한 평가 결과에 따라 하위 브랜치의 재학습 세트가 동적으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위 브랜치로의 확장은 상기 n 브랜치에서 구성된 평가 문항 세트에 포함된 모든 평가 문항에 대한 정답이 제출될때까지 반복 수행되며, 상기 제(n+1) 브랜치의 재학습 세트는, 상기 제n 브랜치의 평가 문제 세트에 포함된 평가 문항 중 오답이 제출된 평가 문항에 관한 학습 항목과 평가 문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mory for storing at least one instruction; And a processor interlocking with the memory to execute the instruction, wherein the instruction executed by the processor constitutes and provides an evaluation problem set for an nth (natural number) branch, and an evaluation problem set of the nth branch The learning typ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based on the user's response to, and a relearning set for the (n+1)th branch of the learning item and the evaluation item is dynamically configured and provid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earning type. A server may be provided. The instruction executed by the processor further includes a process of dynamically configuring and providing a relearning set of a lower branch according to an evaluation result based on a user response to the (n+1)th relearning set, wherein the lower The expansion to the branch is repeatedly performed until correct answers for all evaluation items included in the evaluation item set configured in the n branch are submitted, and the relearning set of the (n+1)th branch is the evaluation of the nth branch. Among the evaluation items included in the question set, learning items and evaluation items related to the evaluation items in which incorrect answers were submitted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가 제공됨에 따라 선행 학습 결과를 반영하여 후행 학습을 위한 세트를 동적으로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잇는 이점이 있다. As the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set for subsequent learning can be dynamically configured and provided by reflecting the preceding learning result.

또한, 본 발명은 P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각 문항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 후 이를 기반으로 학습 유형을 결정하며, 학습 유형을 고려하여 재학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a learning type based on the evaluation of each item based on the P algorithm, and relearning i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typ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elem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elements or some steps It may not be included, or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elements or steps.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learn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 및 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a learning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10 and a server 120.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가 소지한 장치이다. 사용자 단말(110)은 통신망을 통해 서버(120)에 연결되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120)를 통해 제공되는 평가 문제 세트를 출력하고, 평가 문제 세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입력받아 이를 서버(12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10 is a device possessed by a user. The user terminal 110 is a device for receiving a learning service by being connected to the server 12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user terminal 110 may output an evaluation problem set provided through the server 120, receive a user response to the evaluation problem set, and provide it to the server 120.

따라서, 사용자 단말(110)은 컴퓨터, 노트븍, 태블릿 PC,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이 통신 기능과 데이터 입출력 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인 경우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data input/output function, such as a computer, a notebook, a tablet PC,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서버(120)는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서버(12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이 가능하도록 각 단위(단계)에 따른 학습 항목 및 평가 문제를 포함하는 평가 문제 세트를 구성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하며, 평가 문제 세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이용하여 사용자 학습 유형을 결정하고, 이를 반영하여 재학습이 가능하도록 학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110)상에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웹 페이지 기반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The server 120 is a device for providing a learning service. The server 120 configures an evaluation problem set including learning items and evaluation problems according to each unit (step) so that learning is possible based on user information, and provides them to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user for the evaluation problem set A learning service can be provided to enable re-learning by determining the user learning type by using the response. In addition, the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may be provided as an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pplication) on the user terminal 110 or may be provided based on a web page.

이러한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하기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method of providing such a learning ser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learn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210에서 서버(120)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획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는 이름, 나이, 성별, 지역, 학습 목표 또는/및 이유 등일 수 있다. In step 210, the server 120 receives and obtains user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10 possess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formation may be name, age, gender, region, learning goal or/and reason, and the like.

단계 215에서 서버(12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브랜치의 평가 문제 세트를 구성하여 제공한다. In step 215, the server 120 constructs and provides a set of evaluation problems of the first branch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제1 브랜치의 평가 문제 세트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evaluation problem set of the first bran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평가 문제 세트는 복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되, 각각의 카테고리마다 각각의 평가 문제 세트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어 학습 지원(제공)을 위한 평가 문제 세트를 구성하는 경우, 카테고리는 "문법", "어휘", "독해"등을 포함할 수 있다. 평가 문제 세트는 각각 "문법"에 대한 평가 문제 세트, "어휘"에 대한 평가 문제 세트, "독해" 카테고리에 대한 평가 문제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The evaluation question set includes a plurality of categories, and each evaluation question set may be configured for each categor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configuring an evaluation problem set for language learning support (provision), the category may include "grammar", "vocabulary",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like. The evaluation question set may be composed of an evaluation question set for “grammar”, an evaluation question set for “vocabulary”, and an evaluation question set for the “reading comprehension” category, respectively.

즉, 제1 브랜치에 대한 평가 문제 세트는 각각의 카테고리에 대한 평가 문제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set of evaluation problems for the first branch may be composed of a set of evaluation problems for each category.

이러한 평가 문제 세트는 복수의 서브 평가 문제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평가 문제 세트는 하나의 평가 문항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평가 문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is evaluation question se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 evaluation question sets. That is, the evaluation question set may not include only one evaluation item, bu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학습할 단위(단원)의"문법" 카테고리에 포함된 전체 문항이 예를 들어, 71 문항으로 구성된다고 가정하기로 하며, 이를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P1, P2, ?, P71이라 칭하기로 한다.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all items included in the "grammar" category of the unit to be studied by the user (unit) are composed of, for example, 71 questions,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P1, P2 , ?, will be referred to as P71.

이때, "문법" 카테고리의 평가 문제 세트는 해당 단위(단원)에 포함된 전체 문항 중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제1 브랜치에 대한 평가 문제 세트의 경우, P1 내지 P10 문항을 이용하여 구성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In this case, the set of evaluation questions in the “grammar” category may be configured by extracting at least some of the entire items included in the unit (uni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a set of evaluation problems for the first branch is constructed using items P1 to P10.

제1 브랜치의 평가 문제 세트 중 "문법" 카테고리에 대한 평가 문제 세트는 P1 내지 P10 문항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브랜치의 평가 문제 세트 중 다른 카테고리 "어휘" 및 "독해"에 대한 평가 문제 세트에 포함되는 문항 수는 "문법" 카테고리에 포함된 문항수와 동일할 수도 있으며, 상이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각 카테고리에 대한 평가 문제 세트의 구성은 각 카테고리별로 상이하게 구성되며, 각 카테고리별 평가 문제 세트에 포함되는 문항 수 또한 다른 카테고리와는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The evaluation question set for the "grammar" category among the evaluation question set of the first branch may be configured using P1 to P10 questions. At this time, the number of items included in the evaluation question set for other categories "vocabulary" and "reading" among the evaluation problem sets of the first branch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questions included in the "grammar" category, or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 That is, it is obvious that the composition of the evaluation problem set for each category is configured differently for each category, and the number of questions included in the evaluation problem set for each category can also be configured independently of other categories.

또한, 평가 문제 세트에 포함되는 각 평가 문항은 복수의 문제 유형에 따른 복수의 문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제 유형이 4가지라 가정하기로 한다. 각 평가 문항은 4가지 문제 유형에 따른 적어도 4가지 문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evaluation item included in the evaluation question se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questions according to a plurality of question types. For example, suppose there are four types of problems. Each evaluation item can contain at least 4 questions according to the 4 question types.

즉, 각각의 평가 문항은 복수의 서브 문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서브 문제를 포함하여 하나의 평가 문항이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each evaluation item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questions, and one evaluation item may be configured including a plurality of sub-questions.

이를 다시 설명하면, 예를 들어, "문법" 카테고리의 P1 평가 문항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P1 평가 문항은 P1-1 서브 문제, P1-2 서브 문제, P1-3 서브 문제 및 P1-4 서브 문제로 구성될 수 있다. To explain this again, for example, it will be described by assuming a P1 evaluation item in the "grammar" category. P1 evaluation questions may be composed of P1-1 sub-problems, P1-2 sub-problems, P1-3 sub-problems, and P1-4 sub-problems.

이와 같이, 각각의 평가 문항은 복수의 서브 문제를 포함하여 하나의 평가 문항으로 구성되되, 각 평가 문항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문제는 서로 다른 문제 유형(또는 서로 다른 난이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문제 유형은 예를 들어, 통문장 문제, 밑줄 문제, NSCF 문제, 이론 문제 유형일 수 있다. In this way, each evaluation item is composed of one evaluation item including a plurality of sub-questions, but the plurality of sub-questions included in each evaluation item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question types (or different difficulty levels). have. Here, the problem type may be, for example, a passbook problem, an underline problem, an NSCF problem, or a theoretical problem type.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문제 유형에 대한 예제를 제시하면 도 4와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문장 문제는 통문장이 제시되며, 이러한 통문장 문제 유형은 영어 이론 내용 숙지 여부, 문장을 보는 능력 여부, 출제 경향 파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문제이다. 또한, 밑줄 문제 유형은 영어 이론 내용 숙지 여부 및 문장을 보는 능력 여부를 평가 확인하기 위한 문제 유형이며, NSFC(net sleepers catch fish) 문제 유형은 영어 이론 내용 숙지 여부 및 답에 대한 힌트를 찾는 능력(스피드 및 정확성)을 평가 확인하기 위한 문제 유형이며, 마지막으로 이론 문제 유형은 영어 이론 내용 숙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문제 유형이다.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an example for each problem type is presented as shown in FIG. 4. As shown in FIG. 4, the passbook problem is presented with a passbook, and this passbook problem type is a problem for checking whether the content of the theory of English is familiar, whether the ability to view sentences, and whether to grasp the tendency of questions. In addition, the underlined question type is a type of question used to evaluate whether you are familiar with English theory content and the ability to read sentences, and the NSFC (net sleepers catch fish) question type is the ability to find hints on the English theory content and answer ( Speed and accuracy) is a type of problem to evaluate and check, and finally, the type of theory is a type of problem to evaluate whether you are familiar with the content of English theory.

다른 예를 들어, 문제 유형은 기본 문제 유형, 수준 확인 문제 유형, 검증 문제 유형 및 기초 이론 문제 유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시된 복수의 문제 유형은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제시한 것이며, 문제 유형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For another example, the problem type may include a basic problem type, a level checking problem type, a verification problem type, and a basic theory problem type. A plurality of problem types present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ented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description, and it is natural that the form of the problem types may be different.

각 평가 문항의 노출시 복수의 서브 문제는 동시에 노출될 수도 있으나, 순차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각 평가 문항의 노출시 복수의 서브 문제는 난이도가 높은 순에서 낮은 순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노출될 수 있다. When each evaluation item is exposed, multiple sub-problems may be exposed simultaneously, but may be sequentially exposed. When each evaluation item is exposed, a plurality of sub-problems may be sequentially arranged/exposed in order of difficulty from highest to lowest.

또한, 각 평가 문항의 복수의 서브 문제 중 제1 서브 문제의 정답 여부에 따라 제2 내지 제4 서브 문제의 노출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문제가 정답인 경우, 제2 서브 문제는 노출되지 않으며 제3 서브 문제가 노출되며, 해당 평가 문항은 학습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다음 평가 문항이 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ther to expose the second to fourth sub-question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sub-question is answered correctly among the plurality of sub-questions of each evaluation question. For example, when the first sub-problem is the correct answer, the second sub-problem is not exposed and the third sub-problem is exposed, and the evaluation item is determined to be learning completed, and the next evaluation item may be presented.

그러나 만일 제1 서브 문제가 오답인 경우, 제2 서브 문제 내지 제4 서브 문제가 순차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However, if the first sub-problem is an incorrect answer, the second to fourth sub-problems may be sequentially expo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를 P 알고리즘이라 칭하기로 한다. 각각의 평가 문항은 이와 같은 P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복수의 서브 문제가 동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referred to as a P algorithm. Each evaluation item may dynamically expose a plurality of sub-problems based on the P algorithm.

P 알고리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각 평가 문항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문제는 최상위 난이도의 서브 문제부터 노출된다. 따라서, 제1 서브 문제가 정답인 경우, 제1 서브 문제를 정확히 이해하고 푼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제3 서브 문제가 노출된다. 이때, 제3 서브 문제 또한 정답인 경우 해당 평가 문항은 학습이 완료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In more detail about the P algorithm, a plurality of sub-problems included in each evaluation item are exposed from the sub-problem of the highest difficulty level. Accordingly, when the first sub-problem is the correct answer, the third sub-problem is exposed to confirm whether the first sub-problem is correctly understood and solved. In this case, if the third sub-question is also a correct answer, the evaluation question may be determined to have completed learning.

그러나 만일 제1 서브 문제가 오답인 경우, 제1 서브 문제보다 난이도가 낮은 제2 서브 문제 내지 제4 서브 문제가 순차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However, if the first sub-problem is an incorrect answer, the second to fourth sub-problems having a lower level of difficulty than the first sub-problem may be sequentially expos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평가 문제 세트의 구성, 평가 문항의 구성 및 P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하였다. The configuration of the evaluation problem set, the configuration of the evaluation items, and the P algorithm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제1 브랜치의 평가 문제 세트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하는 과정은 각 평가 문항별로 순차적으로 제공되며, 모든 평가 문항에 대한 평가가 완료될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1 브랜치에 포함된 평가 문제 세트에 포함된 각각의 평가 문항에 대한 P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동적으로 서브 문제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노출되고, 각 평가 문항에 대한 정오표(正誤表)가 서버(12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오표는 각 평가 문항의 복수의 서브 문제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따른 정답 및 오답 중 어느 하나를 기록한 정보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evaluation problem set of the first branch to the user terminal 110 is sequentially provided for each evaluation item, and may be repeatedly performed until evaluation of all evaluation items is completed. Based on the P algorithm for each evaluation item included in the evaluation question set included in the first branch, the sub-problem is dynamically expos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and an errata for each evaluation item is displayed on the server. It can be stored at 120. The err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information in which one of a correct answer or an incorrect answer according to a user's response to a plurality of sub-problems of each evaluation question is recorded.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단계 220에서 서버(120)는 제1 브랜치의 평가 문제 세트에 상응하는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학습 유형을 결정하고, 결정된 학습 유형에 따라 제2 브랜치의 학습 세트를 동적으로 구성한다. 제2 브랜치의 학습 세트는 학습 항목과 평가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학습 항목은 특정 평가 항목에 관련된 학습 정보이며, 학습 정보는 학습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Again, referring to FIG. 2, in step 220, the server 120 determines a learning type using the evalu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evaluation problem set of the first branch, and dynamically determines the learning set of the second branch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earning type. It consists of. The learning set of the second branch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earning item and an evaluation item. The learning item is learn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fic evaluation item, and the learning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earning type.

학습 유형은 학습 레벨(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전 브랜치의 평가 문제 세트에 대한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각 평가 문항에 대한 케이스(학습 유형)이 결정될 수 있다. The learning type may be a learning level (step).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learning type) for each evaluation item may be determined by using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evaluation problem set of the previous branch.

따라서, 서버(120)는 이전 브랜치의 평가 문제 세트에 대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패스되지 않은 평가 문항에 대한 각각의 평가 결과(케이스 분류)에 따라 각 평가 문항에 대한 학습 유형(단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20)는 각 평가 문항에 대해 결정된 학습 유형(단계)에 따라 학습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erver 120 can determine the learning type (step) for each evaluation item according to each evaluation result (case classification) for the evaluation item that has not been passed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 for the evaluation problem set of the previous branch. have. Accordingly, the server 120 may configure a learning set according to the learning type (step) determined for each evaluation item.

학습 유형(단계)는 복수의 레벨로 구성되며, 복수의 레벨이 완료된 최종 레벨은 실전 연습을 위한 레벨로 평가 문항을 통해 확인하는 레벨로 구성된다. The learning type (step)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vels, and the final level in which the plurality of levels are completed is a level for practical practice, and is composed of a level that is checked through evaluation questions.

예를 들어, 영어 공부를 가정하기로 하며, 학습 유형(레벨)이 전체 4 단계로 구분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English study is assumed, and that the learning type (level) is divided into four stages.

제1 레벨은 기본적인 문장 구조를 배우는 레벨이며, 제2 레벨은 이론을 배우는 레벨이며, 제3 레벨은 이론 문장에 적용하는 레벨이고, 제4 레벨은 문법 스킬을 학습하는 레벨일 수 있다. 상술한 학습 유형은 일 예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학습 유형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The first level may be a level for learning a basic sentence structure, a second level may be a level for learning theory, a third level may be a level applied to a theoretical sentence, and the fourth level may be a level for learning grammar skills. The above-described learning type is only described for an example, and it is natural that the learning type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따라서, 서버(120)는 각 평가 문항을 서로 다른 난이도를 가지는 복수의 서브 문제로 구성한 후 최상위 난이도 문제부터 노출하여 순차적으로 서브 문제들의 해결 능력을 평가함으로써 사용자의 특정 문항에 대한 이해 정도, 학습 정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평가 결과를 통해 학습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erver 120 configures each evaluation item into a plurality of sub-problems having different levels of difficulty, exposes the highest difficulty level first, and sequentially evaluates the solving ability of the sub-problems, so tha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learning of a specific item of the user The type of learning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evaluation result of comprehensively evaluat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각 평가 문항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평가 문항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문제는 P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최상위 난이도 서브 문제의 해결 능력에 따라 하위 난이도 문제 제공이 달라질 수 있다. 각 평가 문항에 대해 4개의 서브 문제를 포함하는 경우, P 알고리즘에 의해 제1 서브 문제와 제3 서브 문제에 대해 정답이 제시된 경우, 해당 평가 문항은 패스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서브 문제에 오답이 제시되는 경우, 평가 결과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 한편 P 알고리즘에서 제1 서브 문제는 정답이었으나 제3 서브 문제가 오답인 경우, 도 5의 케이스 4와 마찬가지로 제4 학습 유형(레벨)의 학습 항목이 매칭될 수 있다.An evaluation result for each evaluation item will be described by applying the P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sub-problems included in each evaluation item are configured based on the P algorithm, and the provision of the sub-problem may vary according to the ability to solve the highest-difficulty sub-problem. When four sub-questions are included for each evaluation question, when correct answers are provided for the first and third sub-questions by the P algorithm, the evaluation question may be determined as passed. However, if an incorrect answer is presented to the first sub-problem, the evaluation result may be classified as shown in FIG. 5. Meanwhile, in the P algorithm, when the first sub-problem is a correct answer, but the third sub-problem is an incorrect answer, the learning items of the fourth learning type (level) may be matched as in case 4 of FIG. 5.

서버(120)는 각 평가 문항에 대한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각 평가 문항에 대한 학습 유형을 결정한 후 이를 이용하여 후속하는 브랜치의 학습 세트를 동적으로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The server 120 may determine a learning type for each evaluation item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 for each evaluation item, and then dynamically construct and provide a learning set of a subsequent branch using this.

도 5와 같이 평가 결과 케이스 1 내지 4에 각각 대응되어 실력 순으로 제1 내지 제4 학습 유형(레벨)의 학습 항목이 매칭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learning items of the first to fourth learning types (levels) may be matched in the order of skill by correspon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cases 1 to 4, respectively.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제1 평가 문항에 대한 평가 결과에 따른 학습 유형이 제2 학습 유형(레벨)이며, 제2 평가 문항에 대한 평가 결과에 따른 학습 유형이 제4 학습 유형(레벨)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For example, the learning typ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first evaluation item of the first user is the second learning type (level), and the learning typ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second evaluation item is the fourth learning type (level) Let's assume.

제2 브랜치에 대한 학습 세트를 구성함에 있어, 제1 평가 문항에 대해서는 제2 학습 레벨 항목,으로 학습 세트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평가 문항에 대해서는 제4 학습 레벨 항목으로 학습 세트가 생성될 수 있다. In configuring the learning set for the second branch, a learning set may be generated as a second learning level item for the first evaluation item. In addition, for the second evaluation item, a learning set may be generated as a fourth learning level item.

예를 들어, 제2 브랜치의 학습 세트는 제1 서브 학습 세트(제1 학습 항목)로서 제1'-2 학습 레벨 항목(T1-2) 이 생성되며, 제2 서브 학습 세트(제2 학습 항목)로서 제2'- 4 학습 레벨 항목(T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earning set of the second branch is a first sub-learning set (first learning item), and a 1'-2 learning level item (T1-2) is generated, and a second sub-learning set (second learning item) )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2'-4 learning level item (T2-4).

단계 225에서 서버(120)는 사용자 학습 성향에 따라 제2 브랜치의 학습 세트를 조정한다. In step 225, the server 120 adjusts the learning set of the second branch according to the user learning tendenc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학습 성향이 "그린", "옐로우", "오렌지", "레드"로 구분되는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각각의 사용자 성향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user learning tendency is classified into "green", "yellow", "orange", and "red", and this will be mainly described. A brief description of each user's propensity is as follows.

"그린" 성향은 특별한 성향이 없으며, 무난한 타입이며, "옐로우" 성향은 학습에 진지하게 임하고자 하나 소심한 타입이고, "오렌지" 성향은 본인의 부족한 부분을 인지하지 못하며, 자신의 실력에 대해 과대평가 하고 있는 타입이며, "레드" 성향은 본인의 부족한 부분을 인지 못하고 잘못된 학습 방법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있는 타입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일뿐이며, 사용자 학습 성향은 다양한 형태로 분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green" disposition does not have a special disposition and is an acceptable type, the “yellow” disposition is a timid type while trying to learn seriously, and the “orange” disposition does not recognize the shortcomings of the person and exaggerates their skills. It is the type that is being evaluated, and the propensity to "red" is defined as a type that is confident about the wrong learning method without recognizing the lack of it. This is on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and it is obvious that user learning tendencie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각각의 사용자 성향에 따라 제2 브랜치 학습 세트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A brief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how to adjust the second branch learning set according to each user preference.

"그린" 성향A tendency to "green"

무난한 타입이므로, 이전 브랜치의 평가 문항 세트에 대한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동적으로 구성된 현재 브랜치의 학습 세트를 조정 없이 그대로 유지하며, 평가 결과에서 오답이 제시된 평가 항목에 관련된 학습이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Since it is a safe type, the training set of the current branch, which is dynamically configured by reflecting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evaluation question set of the previous branch, is maintained without adjustment, and learning related to the evaluation item in which the wrong answer is presented in the evaluation result can be provided sequentially. .

"" 엘로우Yellow " 성향"Inclination

엘로우 성향은 하나씩 충분히 학습후 스스로 학습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2 브랜치의 학습 세트를 조정한다. The yellow disposition adjusts the learning set of the second branch so that after learning enough one by one, you can check what you have learned by yourself.

예를 들어, T1, 퀴즈, T2, 퀴즈, T3, 퀴즈, T4, 퀴즈, T5, 퀴즈?For example, T1, Quiz, T2, Quiz, T3, Quiz, T4, Quiz, T5, Quiz?

(각 평가 항목에 대한 학습 항목을 T로 나타냄)(Learning item for each evaluation item is represented by T)

"" 오렌지"성향Orange" inclination

오렌지 성향의 학습자(사용자)는 순간 암기력과 잔머리가 좋으며, 하나를 알려주면 다른 하나를 바로 캐치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으나, 단기 기억력은 좋은 편이나 장기 기억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버(120)는 "옐로우" 성향의 학습자(사용자)에 대해 일정 부분을 묶어서 학습하게 한 후 이에 대한 평가(퀴즈)를 보게 하는 것으로 취약점을 확인 보완하도록 제2 브랜치 학습 세트를 조정할 수 있다. Orange-oriented learners (users) have a good instant memorization ability and fine hair, and have a tendency to immediately catch the other when one is told, but they have good short-term memory but weak long-term memory. According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120 is a second to confirm and supplement the vulnerability by letting the learner (user) with a tendency to "yellow" learn by grouping a certain portion and then viewing the evaluation (quiz) for this. You can adjust the branch training set.

예를 들어, 각 평가 항목에 대한 학습 항목을 T로 나타내면, 일정 학습 항목을 묶어 반복적으로 제시하며 그 사이에 평가 항목이 배치되도록 조정하여 학습량을 2배 늘리도록 제2 브랜치 학습 세트를 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learning item for each evaluation item is denoted by T, the second branch training set can be adjusted to double the amount of learning by grouping and repeatedly presenting the schedule learning items and placing the evaluation items between them. .

즉, T1, T2, T3, T4, T5+ 퀴즈+ T1, T2, T3, T4, T5+ 퀴즈 + T6, T7, T8, T9, T10+ 퀴즈 + T6, T7, T8, T9, T10+ 퀴즈In other words, T1, T2, T3, T4, T5+ quiz + T1, T2, T3, T4, T5+ quiz + T6, T7, T8, T9, T10+ quiz + T6, T7, T8, T9, T10+ quiz

"" 레드Red " 성향"Inclination

레드 성향의 학습자(사용자)는 영어의 기본적인 내용을 학습하는 것을 지루해하며, 문제를 많이 풀고 싶어 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으므로 한번에 많은 내용을 학습시키고 퀴즈를 삽입하여 취약점을 확인 보완하도록 제2 브랜치의 학습 세트를 조정할 수 있다. Red-oriented learners (users) are bored of learning the basic contents of English, and have a tendency to want to solve a lot of problems, so they learn a lot at once and insert a quiz to check and supplement the vulnerabilities. Can be adjusted.

예를 들어, T1, T2, T3, T4, T5+ T6, T7, T8, T9, T10+ 퀴즈 + T1, T2, T3, T4, T5+ T6, T7, T8, T9, T10+ 퀴즈For example, T1, T2, T3, T4, T5+ T6, T7, T8, T9, T10+ quiz + T1, T2, T3, T4, T5+ T6, T7, T8, T9, T10+ quiz

예를 들어, 제1 브랜치에서 P1 내지 P10의 평가 문제 세트가 제공되었으며, P1 ~ P5 평가 문항에 대해서는 정답이 제출되어 패스되었으며, P6 내지 P10 평가 문항에 대해서는 최상위 서브 문제의 오답으로 인해 케이스 1 내지 케이스 4 평가 결과가 도출되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For example, in the first branch, a set of evaluation questions P1 to P10 was provided, correct answers were submitted and passed for evaluation questions P1 to P5, and cases 1 to P10 due to incorrect answers of the top sub-questions for evaluation questions P6 to P10 It is assumed that case 4 evaluation results have been obtained.

이와 같은 경우, 제2 브랜치의 학습 세트는 각 평가 문항에 대한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raining set of the second branch may be dynamically configured by reflecting the evaluation result for each evaluation item.

편의상 학습 항목이 'T6-1, T7-4, T8-2, T9-3, T10-1'과 같이 구성되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여기서 T(n-m)은 제n 평가 항목 P(n)에 대응되는 학습 항목 T(n) 중 제m 학습 유형(레벨)에 해당되는 항목을 의미한다.For convenience, it is assumed that the learning items are composed of'T6-1, T7-4, T8-2, T9-3, T10-1'. Here, T(n-m) means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m-th learning type (level) among the learning items T(n) corresponding to the n-th evaluation item P(n).

이때, 각 사용자 성향을 반영하여 제2 브랜치의 학습 세트를 조정하면 각각 다음과 같이 조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learning set of the second branch is adjusted by reflecting each user's disposition, each may be adjusted as follows.

그린 성향: T6-1, T7-4, T8-2, T9-3, T10-1Green tendencies: T6-1, T7-4, T8-2, T9-3, T10-1

옐로우 성향: T6-1, 퀴즈, T7-4, 퀴즈, T8-2, 퀴즈, T9-3, 퀴즈, T10-1Yellow tendency: T6-1, quiz, T7-4, quiz, T8-2, quiz, T9-3, quiz, T10-1

오렌지 성향: T6-1, T7-4, T8-2, 퀴즈, T6-1, T7-4, T8-2, 퀴즈, T9-3, T10-1, 퀴즈, T9-3, T10-1, 퀴즈Orange tendency: T6-1, T7-4, T8-2, quiz, T6-1, T7-4, T8-2, quiz, T9-3, T10-1, quiz, T9-3, T10-1, quiz

레드 성향: T6-1, T7-4, T8-2, T9-3, T10-1, 퀴즈, T6-1, T7-4, T8-2, T9-3, T10-1, 퀴즈Red tendencies: T6-1, T7-4, T8-2, T9-3, T10-1, quiz, T6-1, T7-4, T8-2, T9-3, T10-1, quiz

제2 브랜치의 학습 세트에 대한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브랜치를 확장하여 재학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branch may be extended by reflecting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learning set of the second branch to enable relearning.

단계 230에서 서버(120)는 제2 브랜치의 학습 세트에서 학습한 평가 항목에 관련하여 제3 브랜치의 평가 문제 세트를 재구성하여 제공한다.In step 230, the server 120 reconstructs and provides the evaluation problem set of the third branch in relation to the evaluation item learned in the training set of the second branch.

상술한 바와 같이, 문제 세트에 대한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학습 세트를 제공하고, 학습 세트에 관련된 평가 문제 세트를 재구성하여 다시 제공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부족한 부분에 대해 재학습 및 평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도 6 참조).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learn and evaluate insufficient parts by repeating the process of providing a learning set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problem set and re-providing the evaluation problem set related to the learning set. Yes (see Fig. 6).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블록도이다.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20)는 통신부(710), 메모리(715) 및 프로세서(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7, a serv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710, a memory 715, and a processor 720.

통신부(7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The communication unit 710 is a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other devices (eg,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예를 들어, 통신부(710)는 사용자 단말(110)로 평가 문제 세트 및 학습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 응답을 수신하여 프로세서(620)로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710 may provide at least one of an evaluation problem set and a learning set to the user terminal 110, and receive a user response corresponding thereto, and provide it to the processor 620.

메모리(7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 알고리즘에 기반한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명령어들(프로그램 코드들), 이 과정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The memory 715 is a means for storing instructions (program codes) required to perform a method for providing a learning service based on the P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data derived from this process, and the like.

프로세서(7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2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710), 메모리(715)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The processor 720 is a means for controlling internal components (eg, the communication unit 710, the memory 715, etc.) of the serv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프로세서(720)는 메모리(715)와 연동되어 메모리(715)에 저장된 명령어(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에 의해 실행된 명령어들(프로그램 코드)은 제n(자연수) 브랜치에 대한 평가 문제 세트를 구성하여 제공하고, 상기 제n 브랜치의 평가 문제 세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한 평가 결과에 따라 학습 유형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학습 유형에 따라 제(n+1) 브랜치의 학습 세트를 동적으로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세트는 상기 학습 유형에 따라 복수의 학습 항목 및 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Further, the processor 720 may be interlocked with the memory 715 to execute an instruction (program code) stored in the memory 715. Instructions (program code) executed by the processor 620 constitute and provide an evaluation problem set for the nth (natural number) branch, and according to an evaluation result based on a user response to the evaluation problem set of the nth branch A learning type is determined, and a learning set of the (n+1)th branch may be dynamically configured and provid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earning type. Here, the learning se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earning items and quizzes according to the learning type. Since this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The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above-described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around the embodiment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20: 서버
100: learning service provision system
110: user terminal
120: server

Claims (10)

(a) 제n(자연수) 브랜치에 대한 평가 문제 세트를 구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n 브랜치의 평가 문제 세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한 평가 결과에 따라 학습 유형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학습 유형에 따라 제(n+1) 브랜치의 학습 세트를 동적으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학습 세트는 상기 학습 유형에 따라 복수의 학습 항목 및 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a) constructing and providing an evaluation problem set for the nth (natural number) branch; And
(b) determining a learning type according to an evaluation result based on a user response to the evaluation problem set of the nth branch, and dynamically configuring and providing a learning set of the (n+1)th branch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earning type. Including steps,
Wherein the learning set include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earning items and quizzes according to the learning typ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n+1) 브랜치의 학습 세트는,
상기 제n 브랜치의 평가 문제 세트에 포함된 평가 문항 중 오답이 제출된 평가 문항에 관한 복수의 학습 레벨의 학습 항목과 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b),
The training set of the (n+1)th branch,
And a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earning-level learning items and a quiz regarding an evaluation item in which an incorrect answer is submitted among evaluation items included in the evaluation question set of the nth branch.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n+1) 브랜치의 학습 세트를 제공하기 이전에,
사용자 학습 성향에 따라 상기 제(n+1) 브랜치의 학습 세트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In step (b),
Prior to providing the training set of the (n+1)th branch,
And adjusting a learning set of the (n+1)th branch according to a user learning tendency.
제2 항에 있어서,
(c) 상기 제(n+1) 학습 세트에 대한 학습 완료 후 상기 제n 브랜치에서 오답이 제출된 평가 문항에 상응하는 평가 문항을 포함하는 평가 문제 세트를 재구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c) recomposing and providing an evaluation question set including an evaluation question corresponding to an evaluation question to which an incorrect answer was submitted in the nth branch after completion of learning for the (n+1)th learning set. Learning service provision method characterized b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n 브랜치의 평가 문제 세트는 카테고리별 평가 문제 세트를 포함하되,
상기 카테고리별 평가 문제 세트는 각각 복수의 평가 문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평가 문항은 문제 유형이 상이하거나 난이도가 상이한 복수의 서브 문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evaluation problem set of the nth branch includes a category evaluation problem set,
Each of the evaluation question sets for each category includes a plurality of evaluation questions, and the plurality of evaluation questions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questions having different problem types or different degrees of difficulty.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평가 문제 세트는 각각의 평가 문항이 순차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각 평가 문항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문제는 난이도 순으로 제공되되, 최상위 난이도의 서브 문제 정답 여부에 따라 차상위 난이도의 서브 문제가 동적으로 변경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a),
Each evaluation question is provided sequentially in the evaluation question set,
The plurality of sub-problems included in each of the evaluation questions are provided in order of difficulty, and the sub-problems of the next higher difficulty are dynamically changed and provided according to whether the sub-problem of the highest difficulty level is correc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평가 문항의 최상위 난이도를 가지는 제1 서브 문제가 제공된 후 정답이 응답되면, 제3 서브 문제를 제공한 후 상기 제3 서브 문제의 응답이 정답인지 여부에 따라 각 평가 문제의 학습 완료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각 평가 문항의 최상위 난이도를 가지는 제1 서브 문제가 제공된 후 오답이 응답되면, 제2 서브 문제 내지 제4 서브 문제를 순차적으로 제공하여 정답 여부를 확인하여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If the correct answer is answered after the first sub-question having the highest difficulty of each evaluation question is provided, after providing the third sub-question, whether or not the learning of each evaluation question is complet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answer to the third sub-question is correct. Decide,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when an incorrect answer is answered after the first sub-problem having the highest difficulty level of each evaluation item is provided, the second sub-problem to the fourth sub-problem are sequentially provided to check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 and an evaluation result is generated. How to provide services.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제품.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duct storing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동되어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명령어는,
제n(자연수) 브랜치에 대한 평가 문제 세트를 구성하여 제공하고,
상기 제n 브랜치의 평가 문제 세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한 평가 결과에 따라 학습 유형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학습 유형에 따라 제(n+1) 브랜치의 학습 세트를 동적으로 구성하여 제공하되,
상기 학습 세트는 상기 학습 유형에 따라 복수의 학습 항목 및 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A memory storing at least one instruction; And a processor interlocked with the memory to execute the command,
The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processor,
Compose and provide a set of evaluation problems for the nth (natural number) branch,
A learning type is determined according to an evaluation result based on a user response to the evaluation problem set of the nth branch, and a learning set of the (n+1)th branch is dynamically configured and provid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earning type,
Wherein the learning set include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earning items and quizzes according to the learning typ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명령어는,
(c) 상기 제(n+1) 학습 세트에 대한 학습 완료 후 상기 제n 브랜치에서 오답이 제출된 평가 문항에 상응하는 평가 문항을 포함하는 평가 문제 세트를 재구성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9,
The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processor,
(c) further comprising a process of reconstructing and providing an evaluation question set including an evaluation question corresponding to an evaluation question to which an incorrect answer was submitted in the nth branch after completion of learning for the (n+1)th learning set. Server characterized by.

KR1020190024797A 2019-03-04 2019-03-04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er KR1022349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797A KR102234931B1 (en) 2019-03-04 2019-03-04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er
PCT/KR2020/002999 WO2020180088A2 (en) 2019-03-04 2020-03-03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797A KR102234931B1 (en) 2019-03-04 2019-03-04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360A true KR20200106360A (en) 2020-09-14
KR102234931B1 KR102234931B1 (en) 2021-03-31

Family

ID=72337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797A KR102234931B1 (en) 2019-03-04 2019-03-04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4931B1 (en)
WO (1) WO2020180088A2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555A (en) * 2021-07-07 2023-01-16 픽클래스 주식회사 Method for matching study contents considering study tendency
KR102508015B1 (en) * 2021-12-21 2023-03-09 (주)웅진씽크빅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study based on personality typ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169A (en) * 2003-05-14 2004-11-20 김용건 Method and system of internet education
KR20130042138A (en) * 2011-10-18 2013-04-26 주식회사 알지교육 Individual incorrect concentration learning system
KR101476226B1 (en) * 2010-11-16 2014-12-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Learning Ability
KR101568028B1 (en) * 2013-07-26 2015-11-11 박주섭 Digital mathematics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60009155A (en) * 2014-07-15 2016-01-2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Smart Personalized Learning Tutoring to Provide Service of Effective Study Encouragement and Tutoring and Learning Strategy Establishment
KR101720270B1 (en) 2014-12-31 2017-04-10 주식회사 테라클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4912A (en) * 2000-05-15 2001-11-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Instruction supporting device and medium with recorded program therefor
JP5284016B2 (en) * 2008-09-05 2013-09-11 株式会社すららネット Learning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169A (en) * 2003-05-14 2004-11-20 김용건 Method and system of internet education
KR101476226B1 (en) * 2010-11-16 2014-12-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Learning Ability
KR20130042138A (en) * 2011-10-18 2013-04-26 주식회사 알지교육 Individual incorrect concentration learning system
KR101568028B1 (en) * 2013-07-26 2015-11-11 박주섭 Digital mathematics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60009155A (en) * 2014-07-15 2016-01-2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Smart Personalized Learning Tutoring to Provide Service of Effective Study Encouragement and Tutoring and Learning Strategy Establishment
KR101720270B1 (en) 2014-12-31 2017-04-10 주식회사 테라클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555A (en) * 2021-07-07 2023-01-16 픽클래스 주식회사 Method for matching study contents considering study tendency
KR102508015B1 (en) * 2021-12-21 2023-03-09 (주)웅진씽크빅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study based on personality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0088A2 (en) 2020-09-10
KR102234931B1 (en) 2021-03-31
WO2020180088A3 (en)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jlaarsdam et al. Observation of peers in learning to write. Practise and research.
Prensky Teaching digital natives: Partnering for real learning
US20050084830A1 (en) Method of teaching a foreign language of a multi-user network requiring materials to be presented in audio and digital text format
US20130295535A1 (en)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for multi-sensory learning
JP2009540357A (en) Online education method that links problem banks and video lectures
Sottilare et al. Motivations for a Generalized Intelligent Framework for Tutoring (GIFT) for Authoring, Instruction and Analysis.
KR102234931B1 (en)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er
Rofii et al. Needs analysis: A learning model for CTL-based academic writing
Sadikin The use of webquest for teaching English vocabulary in an EFL young learners context
Gavriushenko et al. Adaptive systems as enablers of feedback in English language learning game-based environments
KR2015006535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lligent learning materials decision
Azarova et al. Interactive online teaching of phonetic skills: introductory phonetic course
Kaban EFL Students' Personalized Reading Experiences and Its Influence on Engagement and Online Presences.
Ehrmann et al. Emerging models of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Can distance enhance quality?
Deane-Coe et al. Student performance along axes of scenario novelty and complexity in introductory biology: lessons from a unique factorial approach to assessment
Arikan A Small-Scale Study of Primary School English Language Teachers' Classroom Activities and Problems.
Stoyanova et al. Integration of computer-aided language learning into formal university-level l2 instruction
Guanuche et al. Canvas Mobile Application for English Language Learning through Corrective Feedback
Nguyen et al.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o Enhance Teaching Quality At FPT High School
KR102569339B1 (en) Speaking test system
Klaharn et al. A meta-analysis of graduate research on teaching strategies used for improving Thai students’ English skills
Hai-Jew Optimizing Learner-Centered Feedback for Learning With “Hard Problems”
Shetty et al. Teacherpreneurship in Management Education
Hermaniar Workbook for english drama by incorporating character building for college students
Melnikova USING VIDEOS AS A WAY TO DEVELOP LANGUAGE SKILLS OF EFL LEAR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