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317A -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317A
KR20200106317A KR1020190024673A KR20190024673A KR20200106317A KR 20200106317 A KR20200106317 A KR 20200106317A KR 1020190024673 A KR1020190024673 A KR 1020190024673A KR 20190024673 A KR20190024673 A KR 20190024673A KR 20200106317 A KR20200106317 A KR 20200106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electronic device
relocation
external server
respons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양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4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6317A/ko
Priority to US17/436,215 priority patent/US11729277B2/en
Priority to PCT/KR2020/002970 priority patent/WO2020180072A1/ko
Publication of KR20200106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4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 H04L67/1012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based on compliance of requirements or conditions with available server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4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 H04L67/1021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based on client or server lo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4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 H04L67/1025Dynamic adaptation of the criteria on which the server selection is b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8Migration or transfer of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2Network node acting on behalf of an other network entity, e.g. prox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가능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문의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한지를 식별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하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하고,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하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RELOCATION IN EDGE COMPUTING ENVIRONMENT}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엣지 컴퓨팅(edge computing)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재배치(relocation)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관련된다.
최근 엣지 서버(edge server)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엣지 컴퓨팅(edger computing) 기술이 논의되고 있다. 엣지 컴퓨팅 기술은 MEC(mobile edge computing or multi-access edge computing) 또는 포그 컴퓨팅(fog computing)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엣지 컴퓨팅 기술은 전자 장치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위치, 예를 들어 기지국 내부 또는 기지국 근처에 설치된 별도의 서버(이하, 엣지 서버 또는 MEC 서버)를 통해 전자 장치에게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낮은 지연 시간(latency)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원격지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 DN)(예: 인터넷)에 위치한 서버를 통하지 않고, 지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엣지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에 의하여 진행되고 있는 표준 규격(예: ETSI MEC)은 핑퐁(ping-pong) 핸드오버(handover, HO)에 의하여 발생하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에서의 문제점에 대하여 정의하고 있다. 핑퐁 핸드오버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가 서로 다른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또는 셀(cell))의 경계를 반복하여 이동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는 UE에게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체(entity)가 변경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EH(mobile edge host) 또는 ME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핑퐁 핸드오버에 의하여 발생하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에서의 문제점은,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핑퐁 핸드오버가 발생하면 반복적인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로 인하여 자원이 낭비되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서비스의 연속성이 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가능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query message)를 수신하고, 상기 문의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한지를 식별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하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하고,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하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방법은, 외부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가능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문의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한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하는 동작,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외부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트리거링 이벤트를 감지하고,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받는 전자 장치에게,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가능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제1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중지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제2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핑퐁 핸드오버 환경에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사용자에게 서비스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엣지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MEC 시스템을 포함하는 엣지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중지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시간에 따라서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응답 메시지의 필드 포맷(field format)을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중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자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위한 일부 절차를 중지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엣지 컴퓨팅 환경(200)을 도시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엣지 컴퓨팅 환경(200)(예: 도 1의 네트워크 환경(100))은 MEC 컴퓨팅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MEC 컴퓨팅 환경에 대한 기술은 ETSI MEC 표준 규격에 기반할 수 있다. 엣지 컴퓨팅 환경(200)은 복수의 기지국들(211, 221), 복수의 엣지 서버들(212, 222), 서버(230), 및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단말(terminal),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들(211, 221)은 전자 장치(101)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채널(channel)을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들(211, 222)은 RAN(radio access network), AN(access node), 이노드비(eNodeB, eNB), 5G 노드(5G node),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또는 5GNB(5th generation NodeB)를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들(211, 221)들과 전자 장치(101) 간 무선 통신에 관한 기술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규정하는 표준 규격에 기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들(211, 221)은 전자 장치(101)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셀(cell)(또는 커버리지(coverag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211)은 제1 셀(215)을 포함하고, 제2 기지국(221)은 제2 셀(22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셀들의 개수 및 형태는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지국들(211, 221)은 복수의 셀을 포함하거나, 다른 형태(예: 육각형)의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엣지 서버들(212, 222)은 MEC 서버 또는 포그 컴퓨팅 서버로 지칭될 수 있다. 엣지 서버들(212, 222)은 기지국들(211, 221)의 내부 또는 기지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엣지 서버(212)는 제1 기지국(211)의 내부 또는 제1 기지국(211)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제2 엣지 서버(222)는 제2 기지국(221)의 내부 또는 제2 기지국(221)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가 연결된 기지국(예: 제1 기지국(211))을 통해 네트워크(예: 도 1의 제2 네트워크(199))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거나, 제1 엣지 서버(212)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 DN)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지연 시간(latency),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콘텐츠(contents)의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및 제1 엣지 서버(212) 중 하나 혹은 복수의 개체(entity)(또는 인프라(infra))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콘텐츠 타입은 예를 들어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이동성에 의해서, 전자 장치(101)가 연결되는 기지국 및 엣지 서버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제1 셀(215)에서 제2 셀(225)로 이동하면, 전자 장치(101)에게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기지국이 제1 기지국(211)에서 제2 기지국(221)으로 변경되는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엣지 서버가 제1 엣지 서버(212)에서 제2 엣지 서버(222)로 변경되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제1 셀(215)의 경계와 제2 셀(225)의 경계를 반복적으로 이동하는 핑퐁 핸드오버가 발생하면,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면 자원이 낭비되고 서비스의 연속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230)는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엣지 서버들(212, 222)의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관리함으로써, 핑퐁 핸드오버 환경에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30)는 전자 장치(101)가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query)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하면, 서버(230)는 엣지 서버들(212, 222)이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하지 않으면, 서버(230)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동작 시점을 늦추거나 전자 장치(101)가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할 때까지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중지(pause)할 수 있다.
도 2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제어가 별도의 서버(230)에 의하여 수행되는 실시 예를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엣지 서버(212) 또는 제2 엣지 서버(222)가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엣지 컴퓨팅 환경(220)은 서버(23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MEC 시스템(350)을 포함하는 엣지 컴퓨팅 환경(300)(예: 도 2의 엣지 컴퓨팅 환경(200))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엣지 컴퓨팅 환경(300)은 MEC 시스템(350) 및 UE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360)을 포함할 수 있다. UE 어플리케이션(360)은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UE 어플리케이션(360)은 MEC 시스템(350)으로부터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UE 어플리케이션(360)은 전자 장치(101)와 MEC 시스템(350) 사이에 배치된 기지국들(예: 도 2의 211 또는 221))을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MEC 시스템(350)은 LCM(life cycle management) 프록시(proxy) 서버(301), MEO(mobile edge orchestrator)(302), MEPM(mobile edge platform manager)(303), VIM(virtualization infra manager)(304), REM(relocation manager)(305), 및 복수의 MEH(mobile edge host)(예: 310, 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LCM 프록시 서버(301)는 MEC 서비스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CM 프록시 서버(301)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MEC 시스템(350)이 제공 가능한 ME 어플리케이션들에 관한 정보를 요청 받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LCM 프록시 서버(301)는 MEC 시스템(350)에 설치된 ME 어플리케이션들(예: 313-1, 313-2, 313-3, 313-4, 323-1, 323-2, 323-3, 323-4,...)의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LCM 프록시 서버(301)는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화(instantiation) 또는 종료(termination)와 같은 라이프 사이클에 대한 전자 장치(101)의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을 MEO(302)으로 전달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instance)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의 집합일 수 있으며, 인스턴스화는 MEH(예: 310 또는 320)가 인스턴스를 ME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LCM 프록시 서버(301)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을 MEO(302)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MEO(302)는 MEC 시스템(350)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의 전반적인 기능을 관리 및 유지할 수 있다. MEO(302)는 MEC 시스템(350)에서 이용 가능한 자원, 이용 가능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규칙(rule) 및 요구사항(requirement), 운영자(operator)의 정책, 또는 토폴로지(topology)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의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EO(302)는 UE 어플리케이션(360)에 적합한 MEH를 선택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화 또는 종료를 승인(grant)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MEO(302)는 REM(305)과 함께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MEO(302) 또는 REM(305)은 도 2의 서버(2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재배치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MEO(302)는 전자 장치(101)에게 전자 장치(101)가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하지 않으면, MEO(302)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동작 시점을 늦추거나 전자 장치(101)가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할 때까지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중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REM(305)은 MEO(302)에 포함되거나, 별도의 개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REM(305)은 MEO(30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MEPM(303)은 MEH(예: 310 또는 320)에서 동작하는 ME 어플리케이션들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고, 라이프 사이클과 연관된 정보를 MEO(302)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MEPM(303)은 ME 어플리케이션들이 동작하기 위한 정보를 MEP(예: 311 또는 321)에게 전달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ME 어플리케이션들이 동작하기 위한 정보는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규칙, 요구사항, 서비스 승인, 또는 트래픽 규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IM(304)은 MEH(예: 310 또는 320)에서 ME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가상화된 동작 환경(virtualized operating environment)을 할당, 해제, 또는 증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MEH(310, 320)는 MEC 시스템(350)에 설치된 ME 어플리케이션들(예: 313-1, 313-2, 313-3, 313-4, 323-1, 323-2, 323-3, 323-4,...)을 실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연산, 저장, 및 네트워킹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MEH(310) 및 제2 MEH(320)는 도 2의 제1 엣지 서버(212) 및 제2 엣지 서버(222)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제1 MEH(310) 및 제2 MEH(320)를 도시하지만, MEC 시스템(350)에 포함된 MEH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MEH(310)는 복수의 ME 어플리케이션들(313-1, 313-2, 313-3, 313-4), 가상 인프라(312), 및 MEP(mobile edge platform)(3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MEH(320)는 제1 MEH(320)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MEH(310)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MEH(310)의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제2 MEH(320)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ME 어플리케이션(예: 313-1, 313-2, 313-3, 또는 313-4)은 가상화 인프라(312) 상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인스턴스를 의미할 수 있다. ME 어플리케이션은 UE 어플리케이션(360)의 요청에 의하여 생성되고, UE 어플리케이션(360)이 요청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MEP(311)는 ME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요구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EP(311)는 MEC 서비스 레지스트리(registry) 및 디스커버리(discovery), 트래픽 제어, 및 DNS(domain name server)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엣지 컴퓨팅 환경(예: 도 2의 엣지 컴퓨팅 환경(200))에서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위한 신호 흐름도(400)를 도시한다. 도 4의 신호 흐름도(400)는 ETSI GR(group report) MEC 018표준 규격을 참조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401)는 도 2의 서버(230), 도 3의 MEO(302) 또는 REM(305)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도 4는 전자 장치(101)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MEH가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에 의하여 제1 MEH(310)에서 제2 MEH(320)로 변경됨을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MEH(310)는 소스 MEH(source MEH, S-MEH)로, 제2 MEH(320)는 타겟 MEH(target MEH, T-MEH)로 지칭될 수 있다.
동작 405에서, 제1 MEH(310)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 트리거링 이벤트(이하, 트리거링 이벤트로 지칭될 수 있다)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MEH(310)는 기지국들(예: 도 2의 제1 기지국(211) 및 제2 기지국(221)) 간 핸드오버에 기반하여 트리거링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MEH(310)는 핸드오버와 별도의 조건에 기반하여 트리거링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MEH(310)는 ME 어플리케이션 레벨(level), MEO(302) 레벨, 또는 MEPM(303) 레벨에서의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에 따라서 트리거링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MEH(310)는 성능 최적화(performance optimization)가 요구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트리거링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MEH(310)는 MEC 시스템(350)에서의 운영자에 의하여 설정된 정책 또는 기준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트리거링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MEH(310)는 전자 장치(101) 또는 제1 기지국(211)의 요청을 수신함으로써 트리거링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MEH(310)는 상술된 조건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에 기반하여 트리거링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MEH(310)는 조건들의 우선순위 또는 비율(ratio)에 기반하여 트리거링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410에서, 제1 MEH(310)는 서버(401)에게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415에서, 서버(401)는 제2 MEH(320)에서 어플리케이션 인스턴스를 인스턴스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MEH(31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버(401)는 복수의 MEH들 중에서 제2 MEH(320)를 선택하고, 제2 MEH(320)에게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화를 요청할 수 있다.
제2 MEH(320)에서 어플리케이션 인스턴스의 인스턴스화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동작 420에서, 서버(401)는 제1 MEH(310)에게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425에서, 제1 MEH(310)는 어플리케이션 상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제2 MEH(3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MEH(310)는 UE 어플리케이션(360)에 대한 서비스 상태 정보를 요청 메시지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동작 430에서, 제2 MEH(320)는 어플리케이션 상태 정보의 전송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제1 MEH(3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MEH(320)의 MEP(321)는 제2 MEH(320)에서 실행되는 ME 어플리케이션(예: 323-1, 323-2, 323-3, 또는 323-4)에게 UE 어플리케이션(360)에 대한 서비스 상태 정보를 전달하고, ME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2 MEP(321)는 서비스 상태 정보를 전달한 이후에 서비스 상태 정보가 성공적으로 전달됨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435에서, 제2 MEH(320)는 어플리케이션 인스턴스 실행 알림을 제1 MEH(310)에게 포워딩(forward)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상태 정보와 제2 MEH(320)의 ME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상태가 동기화(synchronization) 되면, ME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는 제2 MEP(321)에게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MEP(321)는 수신된 알림을 제1 MEH(310)에게 포워딩 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중지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500)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외부 서버(501)는 도 4의 제1 MEH(310)이거나, 또는 서버(401)일 수 있다. 외부 서버(501)는 기지국(예: 도 2의 제1 기지국(211))을 통해 전자 장치(101)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동작 505에서, 외부 서버(501)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 트리거링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501)가 서버(401)를 포함하는 경우, 외부 서버(501)는 전자 장치(101)가 연결된 제1 MEH(31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트리거링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510에서, 외부 서버(501)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query message)를 전자 장치(1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515에서,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문의 메시지가 수신된 시점에서,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는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데이터 전송 구간(duration)이 지연 시간(latency)에 민감한(sensitive) 상태인지, 지연 시간에 덜 민감한 상태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지연 시간에 민감한 상태이면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로 인하여 서비스의 단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에 대한 실시 예는 도 6에서 후술된다.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동작 520에서, 전자 장치(101)는 문의 메시지에 대한 제1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응답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함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동작 525에서, 외부 서버(501)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중지(pause)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부 서버(501)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501)가 제1 MEH(310)이면, 외부 서버(501)는 도 4의 동작 410 내지 동작 435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외부 서버(501)가 서버(401)이면, 외부 서버(501)는 도 4의 동작 415 내지 동작 435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외부 서버(501)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제2 응답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중지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한 것으로 식별되면, 동작 5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지연 시간에 덜 민감한 상태이면, 전자 장치(101)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동작 535에서, 외부 서버(501)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501)가 제1 MEH(310)이면, 외부 서버(501)는 도 4의 동작 410 내지 동작 435를 수행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동작 515에서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함이 감지되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520을 생략하고 동작 530에서 제2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501)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동작 525를 생략하고 동작 535에서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실행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시간에 따라서 나타내는 그래프(600)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그래프(600)의 가로축은 시간(time)을 나타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1 시점(605)에서 어플리케이션(예: 도 3의 UE 어플리케이션(360))의 실행을 시작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에, 전자 장치(101)는 지연 시간에 민감한 일련의 제1 기간(610)과 지연 시간 덜 민감한 일련의 제2 기간(620)에서 제1 기지국(211)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기간(610) 및 제2 기간(620)의 길이, 비율, 또는 빈도수는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지연 시간,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콘텐츠의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게임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제1 기간(610)은 게임이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기간(예: 특정 스테이지가 진행 중인 기간)을 나타내고, 제2 기간(620)은 게임이 실시간으로 진행되지 않는 기간(예: 특정 스테이지가 종료된 기간)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제1 기간(610)은 스트리밍 서비스에 따라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기간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기간(610)은 전자 장치(101)와 제1 MEH(310) 간 데이터 전송의 빈도 또는 데이터 전송 량이 임계 값 이상인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기간(620)에서 어플리케이션 재배치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면(또는, 도 5의 문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기간(610)에서 어플리케이션 재배치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동작 시점을 늦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시점(640)에서 제1 기지국(211)(또는 외부 서버(501))으로부터 문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전자 장치(101)는 제1 기간(610)이 종료하는 제3 시점(630)까지 어플리케이션 재배치 트리거링을 늦추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동작 520의 제1 응답 메시지에, 제1 기간이(610)이 종료할 때까지 요구되는 시간 또는 제3 시점(630)에 대한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응답 메시지의 필드 포맷(700)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필드 포맷(700)은 도 5의 동작 520에서 전송되는 제1 응답 메시지의 필드 포맷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필드 포맷(700)은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1 필드(710),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트리거링 될 때까지 요구되는 자원 정보를 나타내는 제2 필드(720), 및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트리거링 될 때까지 요구되는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제3 필드(7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필드(710)는 필수적으로 제1 응답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mandatory). 제1 필드(710)는 1 비트(bi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필드(720)는 선택적으로 제1 응답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optional).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한 경우,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트리거링 될 때까지 S-MEH(예: 도 4의 제1 MEH(310))에서 필요한 자원에 대한 자원 정보를 제2 필드(720)에 삽입할 수 있다. 자원 정보는 예를 들어, 메모리 공간(memory space), 저장 공간(storage space), 또는 네트워크 대역폭(network bandwidt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필드(720)는 자원 정보를 자원의 절대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공간이 1 기가 바이트(gigabyte), 저장 공간이 1 기가 바이트, 네트워크 대역폭이 10 메가 바이트(megabyte)가 필요한 경우, 제2 필드(720)는 '1G1G10M'과 같이 자원의 절대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필드(720)는 자원 정보를 코드화된 정보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공간이 1 기가 바이트(gigabyte), 저장 공간이 1 기가 바이트, 네트워크 대역폭이 10 메가 바이트(megabyte)가 필요한 경우, 제2 필드(720)는 '10 10 10'과 같이 비트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필드(730)는 선택적으로 제1 응답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한 경우,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트리거링 될 때까지 요구되는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를 제3 필드(730)에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시점(540)에서 문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전자 장치(101)는 제3 시점(530)과 제2 시점(540)의 차이를 나타내는 시간 정보를 제3 필드(730)에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시간 정보를 절대 값 또는 코드화된 정보로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제3 필드(730)가 50ms(millisecond)를 '0001', 100ms를 '0010', 150ms를 '0011'로 나타내도록 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중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800)를 도시한다. 동작 흐름도(800)에 포함되는 동작들은 전자 장치(101)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전자 장치(101)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5에서, 전자 장치(101)는 외부 서버(예: 도 5의 외부 서버(501))로부터 문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예: 도 3의 UE 어플리케이션(360))이 실행되는 동안에 기지국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문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810에서,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지연 시간에 민감한 상태인지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지연 시간에 민감한 상태인지 여부는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지연 시간, 데이터 전송 속도, 콘텐츠의 타입, 또는 전자 장치(101)와 엣지 서버(예: 도 4의 제1 MEH(310)) 간 데이터 전송의 빈도나 데이터 전송 량이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하면, 동작 815에서,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응답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할 때까지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한 자원 정보 또는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제1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전자 장치(101)는 동작 805 내지 동작 815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전자 장치(101)가 동작 805 내지 동작 815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810 및 동작 815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장치(101)는 문의 메시지를 일 회 수신하고,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할 때까지 지정된 주기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1 응답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810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장치(101)는 문의 메시지를 일 회 수신하고, 제1 응답 메시지를 일 회 전송한 이후,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할 때까지 지정된 주기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하면, 동작 8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엣지 컴퓨팅 환경(예: 도 2의 엣지 컴퓨팅 환경(200))에서 자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900)를 도시한다. 신호 흐름도(900)에 도시된 동작 910 내지 동작 915는 도 5의 동작 525의 일 실시 예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05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서버(401)에세 전송할 수 있다(예: 도 5의 동작 520). 제1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버(401)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중지할 수 있다.
동작 910에서, 서버(401)는 자원 제어 메시지를 제1 MEH(3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자원 제어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중지되는 동안에(또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트리거링 될 때까지) 요구되는 자원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응답 메시지가 제2 필드(720)를 포함하면, 서버(401)는 제2 필드(720)가 나타내는 자원 정보를 VIM(304)을 통해 제1 MEH(310)의 가상 인프라(312)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MEH(310)의 가상 인프라(312)는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ME 어플리케이션(예: 313-1, 313-2, 313-3, 또는 313-4)의 프로세스 자원 용량을 확대할 수 있다. 프로세스 자원 용량은 예를 들어, ME 어플리케이션이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저장 공간, 또는 네트워크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원 제어 메시지를 통해, 서버(401)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중지되는 동안에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자원을 제어함으로써 S-MEH(예: 제1 MEH(310))의 자원이 부족해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추가할 수 있는 자원이 부족한 경우, 제1 MEH(310)는 자원 제어 메시지를 무시(ignore)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MEH(310)는 자원 제어 메시지를 무시함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서버(401)에게 전송할 수 있다(미도시).
동작 915에서, 서버(401)는 자원 제어 메시지를 제2 MEH(3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응답 메시지에 제2 필드(720) 및 제3 필드(730)가 포함되면, 서버(401)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트리거링 되기 이전에 필요한 자원을 미리 확보하도록 자원 제어 메시지를 통해 제2 MEH(320)에게 명령(command)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401)는 동작 915를 동작 910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하거나, 도 9에 도시된 순서 또는 그 역순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서버(401)가 자원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동작 9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925에서, 서버(401)는 제1 MEH(310) 및 제2 MEH(320)와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1), 제1 MEH(310), 및 제2 MEH(320)는 도 4의 동작 415 내지 동작 435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401)는 제1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자원 정보를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수행되면 저장된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제1 MEH(310) 또는 제2 MEH(320)에서 확대된 자원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위한 일부 절차를 중지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1000)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05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제1 MEH(3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010에서, 제1 MEH(310)는 제1 트리거링 메시지를 제2 MEH(3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1 트리거링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위한 절차 중 일부 절차(예: 동작 410 내지 동작 420)를 실행 하는 것을 지시(indicate)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MEH(310)는 제1 트리거링 메시지를 별도의 메시지로 전송하지 않고, 동작 410에서 전송되는 요청 메시지를 서버(4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위한 절차 중 일부 절차(예: 동작 415 내지 동작 420)를 실행 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401)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이후 절차(예: 동작 425 내지 동작 435)가 반복적으로 수행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MEH(310)는 동작 420이 수행된 이후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2 응답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이후 절차(예: 동작 425 내지 동작 435)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동작 1015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제1 MEH(3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020에서, 제1 MEH(310)는 이후 절차의 트리거링을 지시하는 제2 트리거링 메시지를 제2 MEH(3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MEH(310)는 제2 트리거링 메시지를 제2 MEH(320)뿐만 아니라 서버(401)에게도 전송할 수 있다.
제2 트리거링 메시지가 전송된 이후에, 제1 MEH(310) 및 제2 MEH(320)는 이후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MEH(310) 및 제2 MEH(320)는 동작 425 내지 동작 430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트리거링 메시지 및 제2 트리거링 메시지는 도 7의 필드 포맷(700)과 적어도 일부가 유사한 필드 포맷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트리거링 메시지 및 제2 트리거링 메시지는 메시지의 속성을 나타내는 1비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속성은 전송되는 메시지가 제1 트리거링 메시지인지 또는 제2 트리거링 메시지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트리거링 메시지 및 제2 트리거링 메시지는 자원 정보 또는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MEC 시스템(예: 도 3의 MEC 시스템(350))은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중지함으로써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것과 동시에 일부 절차를 미리 수행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에 대한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예: 도 1의 130), 무선 통신 회로(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1의 12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서버(예: 도 5의 50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가능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query message)를 수신하고, 상기 문의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한지를 식별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하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하고,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하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지연 시간에 민감한 상태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한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상기 지연 시간에 덜 민감한 상태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한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지연 시간,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상기 지연 시간에 민감한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빈도 또는 데이터 전송 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상기 지연 시간에 민감한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응답 메시지에 자원 정보 또는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삽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자원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할 때까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요구되는 자원을 나타내고,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할 때까지 요구되는 자원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자원 정보는 메모리 공간, 저장 공간, 또는 네트워크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자원 정보 또는 상기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절대 값 또는 코드화된 정보로 상기 제1 응답 메시지에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하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2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의 방법은, 외부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가능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예: 도 5의 510), 상기 문의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한지를 식별하는 동작(예: 도 5의 515),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하는 동작(예: 도 5의 520),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하는 동작(예: 도 5의 5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가능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지연 시간에 민감한 상태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한 것으로 식별하는 동작,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상기 지연 시간에 덜 민감한 상태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한 것으로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상기 지연 시간에 민감한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지연 시간,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상기 지연 시간에 민감한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상기 지연 시간에 민감한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빈도 또는 데이터 전송 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상기 지연 시간에 민감한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트리거링이 불가능하면, 상기 제1 응답 메시지에 자원 정보 또는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삽입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자원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할 때까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요구되는 자원을 나타내고,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할 때까지 요구되는 자원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자원 정보는 메모리 공간, 저장 공간, 또는 네트워크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동작, 및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에 따라 상기 트리거링이 가능하면, 상기 제2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외부 서버(예: 도 5의 501)는,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트리거링 이벤트를 감지하고,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받는 전자 장치에게,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가능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제1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중지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제2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응답 메시지는 자원 정보 또는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자원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할 때까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요구되는 자원을 나타내고,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할 때까지 요구되는 자원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서버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메모리 공간, 저장 공간, 또는 네트워크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확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제1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수행하기 위한 제2 외부 서버에게,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일부 절차에 대한 트리거링을 지시하는 제1 트리거링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1 트리거링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상기 제2 외부 서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일부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외부 서버에게,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남은 절차에 대한 트리거링을 지시하는 제2 트리거링 메시지를 전송하고, 및 상기 제2 외부 서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상기 남은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서버는, ETSI MEC 표준 규격에 기반하는 MEC 엣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가능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query message)를 수신하고,
    상기 문의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한지를 식별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하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하고,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하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지연 시간에 민감한 상태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한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상기 지연 시간에 덜 민감한 상태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한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지연 시간,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상기 지연 시간에 민감한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빈도 또는 데이터 전송 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상기 지연 시간에 민감한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응답 메시지에 자원 정보 또는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삽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자원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할 때까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요구되는 자원을 나타내고,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할 때까지 요구되는 자원을 나타내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자원 정보는 메모리 공간, 저장 공간, 또는 네트워크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자원 정보 또는 상기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절대 값 또는 코드화된 정보로 상기 제1 응답 메시지에 삽입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하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2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9.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외부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가능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query message)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문의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한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하는 동작,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가능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지연 시간에 민감한 상태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한 것으로 식별하는 동작,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상기 지연 시간에 덜 민감한 상태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한 것으로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상기 지연 시간에 민감한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지연 시간,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상기 지연 시간에 민감한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상기 지연 시간에 민감한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빈도 또는 데이터 전송 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상기 지연 시간에 민감한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이 불가능하면, 상기 제1 응답 메시지에 자원 정보 또는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삽입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자원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할 때까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요구되는 자원을 나타내고,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할 때까지 요구되는 자원을 나타내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자원 정보는 메모리 공간, 저장 공간, 또는 네트워크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동작; 및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에 따라 상기 트리거링이 가능하면, 상기 제2 응답 메시지를 상기 외부 서버에게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외부 서버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트리거링 이벤트를 감지하고,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받는 전자 장치에게,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가능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제1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중지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제2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외부 서버.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답 메시지는 자원 정보 또는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자원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할 때까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요구되는 자원을 나타내고,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가 가능할 때까지 요구되는 자원을 나타내는, 외부 서버.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서버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메모리 공간, 저장 공간, 또는 네트워크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확대하도록 구성된, 외부 서버.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제1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수행하기 위한 제2 외부 서버에게,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일부 절차에 대한 트리거링을 지시하는 제1 트리거링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1 트리거링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상기 제2 외부 서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일부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외부 서버에게,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남은 절차에 대한 트리거링을 지시하는 제2 트리거링 메시지를 전송하고, 및
    상기 제2 외부 서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재배치의 상기 남은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외부 서버.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버는,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MEC(mobile edge computing) 표준 규격에 기반하는 MEC 엣지 서버를 포함하는, 외부 서버.
KR1020190024673A 2019-03-04 2019-03-04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106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673A KR20200106317A (ko) 2019-03-04 2019-03-04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7/436,215 US11729277B2 (en) 2019-03-04 2020-03-0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relocation in edge computing environment
PCT/KR2020/002970 WO2020180072A1 (ko) 2019-03-04 2020-03-02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673A KR20200106317A (ko) 2019-03-04 2019-03-04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317A true KR20200106317A (ko) 2020-09-14

Family

ID=72338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673A KR20200106317A (ko) 2019-03-04 2019-03-04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29277B2 (ko)
KR (1) KR20200106317A (ko)
WO (1) WO20201800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3113A1 (ko) * 2021-02-10 2022-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엣지 컴퓨팅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0910B (zh) * 2021-05-12 2023-05-1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获取使用速率的方法和系统、终端、接入点、mec服务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5036A (ko) 2007-04-23 2008-10-2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 핸드오버 방법
EP2876935A4 (en) 2012-07-18 2015-08-26 Nec Corp RADIO BASE ST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AX PROCEDURE FOR TRANSFER AND PROGRAM
JP6633224B2 (ja) 2016-05-10 2020-01-22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Mecアプリケーションの再配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サーバ
WO2017206001A1 (zh) * 2016-05-28 2017-12-07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边缘系统中迁移应用方法、相关设备及系统
US10104672B2 (en) 2016-08-09 2018-10-16 Wipro Limited Method and a system for identifying operating modes of communications in mobile edge computing environment
WO2018089417A1 (en) * 2016-11-09 2018-05-1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to create slices at a cell edge to provide computing services
US10448239B2 (en) 2017-02-06 2019-10-15 Qualcomm Incorporated Mechanism to enable optimized user plane anchoring for minimization of user plane relocation due to user equipment mobility
US10470192B2 (en) 2017-03-08 2019-11-05 Zte Corporation Traffic path change detection mechanism for mobile edge computing
EP3738342A1 (en) * 2018-01-12 2020-11-18 Sony Corporation Relocation of multi-user edge applica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3113A1 (ko) * 2021-02-10 2022-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엣지 컴퓨팅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29277B2 (en) 2023-08-15
WO2020180072A1 (ko) 2020-09-10
US20220141315A1 (en) 202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2299B1 (ko)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00099735A (ko)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652380B1 (ko)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10030073A (ko)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110086A (ko) 무선 통신 링크의 설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903062B2 (en) Method for operating application requiring communica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200144759A (ko) 블루투스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120107A (ko) 확장 현실 서비스에 대해 저지연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500347B1 (ko) Wi-Fi 통신 및 모바일 핫스팟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20240007953A1 (en)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network on basis of wi-fi direct protocol, and method related thereto
KR20200106743A (ko)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38103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031900A (ko) Pdu 세션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7292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relocation in edge computing environment
KR20210017030A (ko)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114166A (ko) 네트워크 패킷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190107492A (ko)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49585A (ko)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51749A (ko) 긴급 호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1190482B2 (en)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low-latency domain name system (DNS) processing
EP375838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sharing through rich communication suite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200033404A (ko)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N110913022A (zh) 移动终端网络文件下载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US11147086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eventing packet drop for uplink transmission
KR20210051274A (ko) 이웃 인식 네트워킹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