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264A - Columnar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for omni-directional wind energy harvesting - Google Patents

Columnar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for omni-directional wind energy harves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264A
KR20200106264A KR1020190024534A KR20190024534A KR20200106264A KR 20200106264 A KR20200106264 A KR 20200106264A KR 1020190024534 A KR1020190024534 A KR 1020190024534A KR 20190024534 A KR20190024534 A KR 20190024534A KR 20200106264 A KR20200106264 A KR 20200106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harvester
cylindrical
moving part
electrode
tribo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5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3550B1 (en
Inventor
김종백
고희진
권대성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4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550B1/en
Publication of KR20200106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2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5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4Friction generato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capable of omnidirectional wind energy harvest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simple structure in a form of a circumference and a film surrounding the same, thereby facilitating large-area array manufacturing, and smoothly harvesting energy even in a variety of directions and at low wind speed. The 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comprises a fixing unit and a moving unit.

Description

전방향 바람에너지 수확이 가능한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Columnar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for omni-directional wind energy harvesting}Columnar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for omni-directional wind energy harvesting

본 발명은 에너지 하베스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향 바람에너지 수확이 가능한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 harvest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lumnar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capable of harvesting wind energy in all directions.

최근 세계적으로 신재생 에너지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는 이 때,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에너지원을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에너지로 바꾸어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인 기술의 하나로서, 진동, 음파, 열, 운동, 위치에너지 등 일상생활에서 쉽게 버려지거나 사용하지 않는 작은 에너지를 수확하여 사용가능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을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이라 하며, 이러한 장치를 에너지 하베스터(energy harvester)라고 한다.Recently, when interest in research on new and renewable energy is increasing worldwide, research to use various energy sources existing in nature by converting them into useful energy that can be used by humans is being conducted very actively. As one of the technologies that is part of this research, energy harvesting is a technology that converts small energy that is easily discarded or not used in everyday life such as vibration, sound waves, heat, motion, and potential energy to be usable electric energy. ), and such a device is called an energy harvester.

에너지 하베스터는 수확하고자 하는 에너지의 종류에 따라 장치 구성 역시 다양하게 달라진다.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을 하거나, 압전효과를 이용하여 가스레인지나 라이터에서 스파크를 발생시키거나, 열전효과를 이용하여 신체에 착용하는 스마트밴드의 전원을 사람의 체온으로부터 얻는 등과 같이, 현재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 하베스터들이 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energy harvester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energy to be harvested. Currently, such as generating solar power using the photoelectric effect, generating a spark from a gas range or lighter using the piezoelectric effect, or obtaining the power of a smart band worn on the body using the thermoelectric effect from the body temperature of a person. Various types of energy harvesters have been disclosed and used.

이처럼 다양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의 하나로, 마찰대전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이 있다. 마찰대전(triboelectrification)이란 서로 다른 재료의 물체를 마찰 시 접촉면에서의 상호 간섭에 의해 각각의 물체에 반대 부호의 전하가 기계적으로 나뉘는 것을 말한다. 이 때 각각의 물체가 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극으로 대전되는가는 대전(서)열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물체들의 대전열의 예를 들자면, 털가죽 - 상아 - 유리 - 명주 - 나무 - 고무 - 플라스틱 - 에보나이트 순으로, 앞쪽에 있을수록 양(+)으로 대전되기 쉽다. 즉 동일한 유리라 할지라도, 유리가 털가죽과 마찰되면 유리는 음(-)으로 대전되고, 유리가 나무와 마찰되면 유리는 양(+)으로 대전되는 것이다.As one of these various energy harvesting technologies, there is an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using frictional charging. Triboelectrification refers to mechanically dividing charges of opposite signs to each object by mutual interference at the contact surface when objects of different materials are rubbed. At this time, whether each object is charged to either the anode or the cathode is determined by the charging heat. As an example of the heat of charge of generally well-known objects, it is likely to be charged in the order of fur-ivory-glass-silk-wood-rubber-plastic-ebonite. That is, even with the same glass, when the glass rubs against the fur, the glass is negatively charged, and when the glass is rubbed against the wood, the glass is charged positively.

이러한 물체들의 접촉면의 반대쪽에 전극을 부착하고 이들을 서로 연결하거나 또는 접지(ground)에 연결하여 두면 다음과 같은 원리로 전류를 얻을 수 있다. 접촉된 상태에서 물체 내 평형이 이루어지면, 마찰면에는 어떠한 극성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는 상태가 되고, 전극에는 마찰면에 대전된 극성에 대한 보상전하가 대전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때 마찰에 의해 대전된 물체들이 서로 분리되는 순간, 전극을 통해 전하가 이동하면서 전류를 발생시키게 된다(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하의 이동 방향과 전류 방향은 반대이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것이 바로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이다.By attaching electrodes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ontact surfaces of these objects and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or to ground, current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principle. When equilibrium is achieved in the object in a contacted state, the friction surface is charged with a charge of a certain polarity, and the electrode is charged with a compensation charge for the polarity charged to the friction surface. At this time, the moment the charged objec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friction, the electric charge moves through the electrode to generate a current (as is well known, the electric charge movement direction and the electric current direction are opposite). It is the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that uses this principle.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는 대전열이 다른 한 쌍의 물체가 접촉 및 분리되는 형태로만 이루어진다면 어떤 형태이든 가능하기 때문에, 상당히 다양한 형태의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 중 한 분야로서, 바람을 이용하여 물체들 간의 빈번한 접촉을 유발하고, 이를 통해 마찰대전 에너지를 수확하는 기술이 있다. 한 예로써, 한국특허등록 제0949146호("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2010.03.16., 특허문헌 1)에는, 실이나 직조물과 같이 바람에 흩날리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물체들을 접촉시킴으로써 마찰대전 에너지를 수확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그 외에도 단일 방향 하베스터의 배열을 이용하거나(비특허문헌 1), 깃발과 같은 구조를 활용하거나(비특허문헌 2), 원형 디스크 구조를 사용하는(비특허문헌 3) 등 다양한 구조의 장치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되는 장치들은, 전방향의 바람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한계와, 장치 구조가 복잡하거나 또는 차지하는 면적 또는 구동에 필요한 공간이 넓다는 한계를 가진다.Since the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can be any form as long as a pair of objects with different charging heat are in contact and separated, quite various types of technology are being actively studied. As one of them, there is a technology that uses wind to induce frequent contact between objects and harvests triboelectric energy through this. As an example,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949146 ("Power Generation Device Using Friction Electricity", 2010.03.16., Patent Document 1), frictional charge energy is achieved by contacting objects made of a material flying in the wind, such as yarn or woven material. A device for harvesting is disclosed. In addition, devices of various structures such as using an array of unidirectional harvesters (Non-Patent Document 1), using a structure such as a flag (Non-Patent Document 2), or using a circular disk structure (Non-Patent Document 3) are disclosed. do. However, the devices disclosed in the prior art document have limitations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wind in all directions, and that the structure of the device is complicated or the area occupied or the space required for driving is large.

1. 한국특허등록 제0949146호("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2010.03.16.)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949146 ("Power Generation Device Using Friction Electricity", 2010.03.16)

1. M.-L. Seol, et al., "Vertically stacked thin 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wind energy harvesting", Nano Energy, vol. 14, pp. 201-208, 20151. M.-L. Seol, et al., "Vertically stacked thin 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wind energy harvesting", Nano Energy, vol. 14, pp. 201-208, 2015 2. Z. Zhao, et al., "Freestanding flag-typ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harvesting high-altitude aind energy for arbitrary directions", ACS Nano, vol. 10, pp. 1780-1787, 20162. Z. Zhao, et al., "Freestanding flag-typ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harvesting high-altitude aind energy for arbitrary directions", ACS Nano, vol. 10, pp. 1780-1787, 2016 3. S.-J. Park, et al., "Self-sustainable wind speed sensor system with omni-directional wind based triboelectric generator", Nano Energy, vol. 55, pp. 115-122, 20193. S.-J. Park, et al., "Self-sustainable wind speed sensor system with omni-directional wind based triboelectric generator", Nano Energy, vol. 55, pp. 115-122, 2019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주 및 이를 둘러싸는 필름 형태의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대면적 및 어레이 제작이 용이하고, 다양한 방향 및 낮은 풍속의 바람에도 원활하게 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는, 전방향 바람에너지 수확이 가능한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simple structure in the form of a circumference and a film surrounding it, so that a large area and an array are easily manufactured, and various directions And it is to provide a columnar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capable of harvesting wind energy in all directions, which can smoothly harvest energy even at low wind speed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방향 바람에너지 수확이 가능한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외면에 유전체층(115)이 형성되는 고정부(110); 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상기 고정부(110)가, 수직으로 연장되는 원주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전극몸체(111)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110)가, 폐곡선인 유연 재질의 필름 형태로 형성되며, 내면에 전도체층(12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바람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유전체층(115) 및 상기 전도체층(125) 간의 접촉면적이 변화됨에 따라 발생되는 마찰대전에 의한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상기 전극몸체(111) 및 상기 전도체층(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는 충전부(130); 를 포함할 수 있다.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100 capable of harvesting omnidirectional wind energ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fixing part 110 having a dielectric layer 115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It may include. More specifically, the columnar frictional charge energy harvester 100, the fixing portion 110 is formed in a vertically extending columnar shape, the electrode body 111 is formed therein, and the moving portion 110 ) Is formed in the form of a film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is a closed curve, and a conductor layer 125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In addition, the columnar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100 may generate electric energy due to triboelectric charging generated a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dielectric layer 115 and the conductor layer 125 is changed by being moved by wind. . In addition, the columnar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100 includes: a charging unit 130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body 111 and the conductor layer 125 to accumulate electric energy;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이동부(120)는, 일단은 상기 고정부(110) 상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부(120)의 상단 일점과 연결되는 연결선(1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충전부(130)는, 일단은 상기 전극몸체(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연결선(121)을 통해 상기 전도체층(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part 120 may include a connection line 121 at one end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fixing part 1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moving part 120. At this time, the charging unit 130 may have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body 111 and the other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or layer 125 through the connection line 121.

또한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전극몸체(111) 하단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별도전극(112), 상기 전극몸체(111) 및 상기 별도전극(112)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필름(1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충전부(130)는, 일단은 상기 전극몸체(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별도전극(112)을 통해 상기 전도체층(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별도전극(112)은, 상기 이동부(120) 하단이 상기 고정부(110) 하단에 접촉하는 위치 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110 includes a separate electrode 112 formed to surround the lower end of the electrode body 111, and an insulating film 113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 body 111 and the separate electrode 112. ) Can be included. At this time, the charging unit 130 may have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body 111 and the other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or layer 125 through the separate electrode 112. In this case, the separate electrode 112 may be formed within a position rang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moving part 120 contacts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art 110.

또한 상기 이동부(120)는, 전도체 재질의 필름 형태로 형성되거나, 지지필름(122) 내면에 상기 전도체층(125)이 도포된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part 1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ilm made of a conductor material, o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ilm in which the conductor layer 125 is appli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film 122.

또한 상기 이동부(120)는, 직경이 상기 고정부(110)의 직경보다 큰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동부(120)는, 최소직경이 상기 고정부(110)의 직경보다 크되 상단에 최소직경이 형성되는 원뿔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part 12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greater than that of the fixing part 110. Alternatively, the moving part 12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having a minimum diamete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part 110 but having a minimum diameter formed at the top.

또한 상기 이동부(120)는, 상기 이동부(120) 외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공기저항체(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기저항체(123)는, 상기 이동부(120) 일부가 절단 및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par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ir resistance bodies 123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120. In this case, the air resistance body 123 may be formed by cutting and bending a portion of the moving part 120.

또한 상기 전극몸체(111)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원주 형태의 몸체(111a), 상기 몸체(111a)의 외면에 형성되는 전극층(111b)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body 111 may include a cylindrical body 111a extending vertically, and an electrode layer 111b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111a.

또한 상기 충전부(130)는, 부하(135), 상기 부하(135)의 전단 또는 후단에 구비되어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자(13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 unit 130 may include a load 135 and a commutator 131 provided at a front end or a rear end of the load 135 to rectify a current.

본 발명에 의하면, 에너지 하베스터 자체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작 및 설치에 드는 시간, 인력, 비용 등의 자원이 크게 절감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단순성으로 인하여 대면적 형태나 어레이 형태의 제작이 용이하다는 효과 또한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ergy harvester itself has a simple structure, resources such as time, manpower, and cost for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ar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due to the simplicity of this structure,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a large area form or an array form.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에너지 하베스터 자체의 구조에 의하여 전방향에 대하여 바람에너지의 수확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비해 훨씬 낮은 풍속범위에서도 상당히 높은 효율로 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다는 큰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wind energy can be harvested in all directions by the structure of the energy harvester itself.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great effect that energy can be harvested with considerably high efficiency even in a much lower wind speed range than in the past.

도 1은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원리.
도 2는 본 발명의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작동원리 설명도.
도 5는 유전체층 및 전도체층 간의 전기적 연결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유전체층 및 전도체층 간의 전기적 연결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이동부 형상 제1, 2실시예.
도 8은 이동부 형상 제1, 2실시예의 작동상태도.
도 9 및 도 10은 이동부 형상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의 전기에너지 수확 비교 결과.
도 11은 공기저항체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실험용 실시예 사진.
도 13은 본 발명의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실험용 실시예에서의 풍향에 따른 출력 전압 측정 결과.
도 14는 본 발명의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실험용 실시예에서의 풍속에 따른 출력 전압 측정 결과.
1 is a principle of a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lumnar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cylindrical frictional charging energy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dielectric layer and a conductor layer.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dielectric layer and a conductor layer.
7 is a first and second embodiment of the shape of the moving part.
Figure 8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moving part shape.
9 and 10 are comparison results of electric energy harvesting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moving part shape.
11 is an example air resistance body.
12 is a photograph of an experimental example of a 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wind direction in the experimental example of the 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wind speed in the experimental example of the 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바람에너지 수확이 가능한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olumnar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capable of harvesting omnidirectional wind ener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원리[1] Principle of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도 1은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좌측에는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개념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면에 배치되는 유전체, 상기 유전체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전극, 제1전극 및 제2전극 사이에 연결되는 부하를 포함한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a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The conceptual configuration of a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is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1. As shown, the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includes a first electrode, a dielectric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disposed above the dielectric, and a load connec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

먼저 도 1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힘을 인가하여 유전체와 제2전극이 접촉 및 마찰하면, 금속으로 된 제2전극으로부터 유전체로 전자가 이동하여, 마찰면 부근에서 유전체에 (-) / 제2전극에 (+)가 대전된다. 이 때에는 유전체 및 제2전극의 마찰면에서 직접 전자의 이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부하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First, as shown in Fig. 1①, when a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o make contact and friction between the dielectric and the second electrode, electrons move from the second electrode made of metal to the dielectric, and the (-) / (+) is charged to the second electrode. At this time, since electrons directly move on the friction surface between the dielectric and the second electrode, no current flows through the load.

다음으로 도 1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와 제2전극이 약간 멀어지면, 정전기 유도 현상에 의한 물질의 극성이 전극에 미치는 영향의 변화로 인하여 전극이 다시 평형상태로 돌아가기 위해 제1전극에서 제2전극으로 자유전자가 이동한다. 즉 이 때 전류는 제2전극에서 제1전극으로 흐르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1②, when the dielectric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slight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electrode is in the first electrode to return to the equilibrium state again due to the change in the effect of the polarity of the material on the electrode due to the static induction phenomenon. Free electrons move to the second electrode. That is, at this time, the current flows from the second electrode to the first electrode.

다음으로 도 1③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와 제2전극이 아주 멀어져 서로에 대한 영향범위에서 벗어나면, 유전체 및 제1전극의 결합체 내에서는, 유전체의 마찰면 쪽에는 (-)가 대전되고 이에 대한 보상으로 제1전극 쪽에는 (+)가 대전된 상태, 즉 평형상태를 이룬다.Next, as shown in Fig. 1③, when the dielectric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very far away from each other and out of the range of influence on each other, in the combination of the dielectric and the first electrode, a negative (-) is charged on the friction surface of the dielectric. As a compensation for the first electrode, positive (+) is charged, that is, an equilibrium state is achieved.

다음으로 도 1④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유전체와 제2전극이 접근하면, 제2전극 쪽에 (+)가 대전되도록 제2전극에서 제1전극으로 자유전자가 이동한다. 즉 이 때 전류는 제1전극에서 제2전극으로 흐르게 된다. Next, as shown in Fig. 1④, when the dielectric and the second electrode approach again, free electrons move from the second electrode to the first electrode so that (+) is charged toward the second electrode. That is, at this time, the current flows from the first electrode to the second electrode.

유전체 및 제1전극의 결합체와 제2전극이 지속적으로 접촉(마찰) 및 분리를 반복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도 1①~④와 같은 과정이 순환 반복되면서 지속적인 전류를 생산할 수 있다.If the combination of the dielectric material an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continuously contacted (friction) and separated, the process as shown in FIGS. 1 ① to ④ as described above is cyclically repeated to generate a continuous current.

[2] 본 발명의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구성[2] Construction of the 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2-1. 전체구성2-1. Overall composition

도 2는 본 발명의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고정부(110), 이동부(120), 충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lumnar frictional charging energy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lumnar frictional charging energy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ylindrical frictional charging energy harves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xing part 110, a moving part 120, and a charging part 130. Hereinafter, each par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고정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연장되는 원주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10)는, 내부에 전극몸체(111) 및 외면에 유전체층(115)이 형성된다. 상기 전극몸체(111)는 그 자체가 금속과 같은 전도체로 이루어져 전극 역할을 하게 할 수도 있지만, 상기 전극몸체(111) 전체가 전극이 되도록 할 경우 불필요하게 전기저항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몸체(11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연장되는 원주 형태의 몸체(111a) 및 상기 몸체(111a)의 외면에 형성되는 전극층(11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장치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은 상기 몸체(111a)가 수행하고, 전기적인 연결 등의 역할은 상기 전극층(111b)이 수행하게 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전극몸체(111)가 상기 몸체(111a) 및 상기 전극층(111b)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하에서 상기 전극몸체(111)에 어떠한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고 기술하는 것은 당연히 상기 전극층(111b)에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된다.The fixing part 1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vertically as shown. In addition, the fixing part 110 has an electrode body 111 inside and a dielectric layer 115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The electrode body 111 itself may be made of a conductor such as a metal to serve as an electrode, but if the entire electrode body 111 is made to be an electrode, there may be a problem such as an unnecessary increase in electrical resistance. have. Therefore, the electrode body 111, as shown in Figs. 2 and 3, comprises a vertically extending cylindrical body (111a) and an electrode layer (111b)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1a). It is desirable to let it go. That is, the body 111a plays a role of supporting the entire device, and the electrode layer 111b performs a role of electrical connection. In this way, when the electrode body 111 is composed of the body 111a and the electrode layer 111b, it is obviously described that an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to the electrode body 111 below. It can be understood that a positive connection is made.

상기 이동부(120)는, 단면이 상기 고정부(110)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폐곡선으로 형성되는데(여기에서 '단면'이란, 상기 고정부(110)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단면을 말한다), 대략 원통 형태라고 할 수 있으나 원통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이동부(120)는 유연 재질의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형상 및 구조에 따라, 상기 이동부(120)는 바람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즉 바람에 의해 상기 이동부(120) 내면 및 상기 고정부(110) 외면 간의 무작위적인 마찰, 접촉 및 분리가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다.The movable part 120 is formed as a closed curv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part 110 (here, the'cross-section' refers to a cross sec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110) ), it can be said to have a roughly cylind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o a cylindrical shape. In addition, the moving part 1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film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s disposed to surround the fixing part 110 as shown. According to such a shape and structure, the moving part 120 can be easily moved by wind, that is, random friction and contact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1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by wind And separation can occur frequently.

부연하자면, 도면 상에서는 상기 이동부(120)가 연결선(121)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110)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결선(121)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전기적 연결에 대한 상세구성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although it is shown in the drawing that the moving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110 by a connection line 121,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nection line 121 is omitted. It's okay.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in the detailed configuration descrip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또한 상기 이동부(120)의 내면에는 전도체층(125)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이동부(120)는, 금속 박판 등과 같이 그 자체가 전도체 재질의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120) 전체가 전도체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당연히 내면은 전도체 재질이며, 따라서 상기 이동부(120)의 내면이 바로 상기 전도체층(125) 역할을 하게 된다. 또는 상기 이동부(120)는, 별도의 지지필름(122) 내면에 상기 전도체층(125)이 도포된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onductor layer 125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120. In this case, the moving part 120 may itself be formed in the form of a film made of a conductor material, such as a thin metal plate. In this case, since the entire moving part 120 is made of a conductor material, of course, the inn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120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thus the inn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120 directly serves as the conductor layer 125. Alternatively, the moving part 1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ilm in which the conductor layer 125 is applied on an inner surface of a separate support film 122.

여기에서, 상기 고정부(110)의 상기 전극몸체(111)(또는 상기 전극층(111b))가 도 1에서의 제1전극에 해당하고, 상기 유전체층(115)이 도 1에서의 유전체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120)의 상기 전도체층(125)이 도 1에서의 제2전극에 해당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120)가 바람에 의해 이동되면, 상기 유전체층(115) 및 상기 전도체층(125) 간의 접촉면적이 변화됨에 따라 발생되는 마찰대전에 의한 전기에너지가 생성된다.Here, the electrode body 111 (or the electrode layer 111b) of the fixing part 110 corresponds to the first electrode in FIG. 1, and the dielectric layer 115 corresponds to the dielectric in FIG. 1. . In addition, the conductor layer 125 of the moving part 120 corresponds to the second electrode in FIG. 1. That i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ving part 120 is moved by wind, electric energy is generated by frictional charging generated a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dielectric layer 115 and the conductor layer 125 is changed.

상기 충전부(130)는 상기 전극몸체(111) 및 상기 전도체층(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충전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135) 및 상기 부하(135)의 전단 또는 후단에 구비되어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자(131)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1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body 111 and the conductor layer 125 to store electric energy. In this case, the charging unit 130 may include a load 135 and a commutator 131 provided at a front end or a rear end of the load 135 to rectify a current, as shown in FIG. 3.

도 4는 본 발명의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columnar frictional charging energy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of the columnar frictional charging energy harves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이 불지 않을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120)는 상단 일점이 상기 고정부(110)와 상기 연결선(121)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대략 상기 연결선(121) 부분 근처의 상단이 상기 고정부(110)에 접촉되어 걸쳐진 형태로 멈추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바람이 불어오면, 도 4(B) 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120)가 이동하게 되는데,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120)는 유연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풍속에 따라 단면 형상이 대략 타원이 되도록 유연하고 무작위적으로 변화한다.When the wind does not blow as shown in FIG. 4(A),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part 120 has an upper end connected by the fixing part 110 and the connection line 121, The upper end near the portion of the connection line 121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part 110 and is stopped in a draped shape. When the wind blows in this state, the moving part 120 moves as shown in FIG. 4(B) or 4(C). 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part 12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refore, it changes flexibly and randomly so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becomes approximately ellipse according to the wind speed.

원래 원주 정면으로부터 바람이 불어오면 원주 주변에 반복적인 와류(vortex)가 형성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120)의 위치 및 형상도 바람에 따라 유연하고 무작위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이러한 와류의 영향은 보다 강화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120)가 상기 고정부(110)와 접촉한 상태로 진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상기 이동부(120)의 반복적인 진동을 통해 상기 고정부(110) 및 상기 이동부(120) 간에 마찰이 발생하면서 접촉 면적이 반복적이고 무작위적으로 변화한다. 이에 따라 앞서 설명한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팅 원리에 따라 전기에너지의 수확이 이루어질 수 있다.Originally, when the wind blows from the front of the circumference, a repetitive vortex is formed around the circumference.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moving part 120 also change flexibly and randomly according to the wind. The influence of the is more intensified. Therefore, the moving part 120 vibrates while in contact with the fixed part 110, and the fixed part 110 and the moving part 120 through repeated vibration of the moving part 120 As friction occurs between the two, the contact area changes repeatedly and randomly. Accordingly, electric energy can be harvested according to the frictional charge energy harvesting principle described above.

도 4로부터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원주 형태라는 특성상 바람이 어떤 방향에서 불어오는지에 전혀 무관하게 구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종래에 장치 형상 및 구조에 의하여 구동 가능한 바람의 방향이 제한되던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전방향의 바람에 대해 구동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다.As can be seen intuitively from FIG. 4, the cylindrical frictional charging energy harves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riven completely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d blows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columnar shap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reat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drive against wind in all directions, unlike the conventionally limited wind directions that can be driven by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device.

더불어 본 발명의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상당히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작 및 설치에 드는 시간, 인력, 비용 등의 자원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단순성으로 인하여 종래와는 달리 대면적 형태나 어레이 형태의 제작이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cylindrical frictional charging energy harves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airly simple structure, resources such as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time, manpower, and cost can b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due to the simplicity of this structure, it is easy to manufacture a large-area form or an array form unlike the conventional one.

2-2. 상세구성: 전기적 연결2-2. Detailed configuration: electrical connection

이하에서는 상기 전극몸체(111) 및 상기 전도체층(125) 간의 전기적 연결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 body 111 and the conductor layer 125 will be described.

도 5는 유전체층 및 전도체층 간의 전기적 연결 제1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 연결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부(120)에 추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된다. 즉 이 때 상기 이동부(120)는, 일단은 상기 고정부(110) 상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부(120)의 상단 일점과 연결되는 연결선(121)을 더 포함한다.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 3 등에 상기 연결선(121)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연결선(121)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구성은 아니며 이하 설명될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선(121)이 존재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도면 상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110) 및 상기 이동부(120)가 멀리 이격되어 있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바람이 어떻게 부느냐에 따라 상기 이동부(120)가 매우 다양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도 5로 배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연결선(121)이 연결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부(12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10)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상기 이동부(120)가 상기 고정부(110)에 비스듬하게 접촉해 있을 수도 있고, 상기 이동부(120)가 상기 고정부(110)에 수직 방향 전체가 접촉해 있을 수도 있는 등, 실제로 상기 고정부(110)에 대한 상기 이동부(120)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연결선(121)은 전기적 연결과 더불어 상기 이동부(120)의 수직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도 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유전체층(115) 및 상기 전도체층(125) 간의 접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dielectric layer and a conductor layer. As shown in FIG. 5, in the first embodiment of electrical connection, an additional component is further included in the moving part 120. That is, at this time, the moving part 120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line 121 at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ed part 1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n upper end point of the moving part 120.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connection line 121 is shown in FIGS. 2 and 3, etc., the connection line 121 is not necessarily included, and in the second embodiment to be described below, the connection line 121 does not exist. It's okay.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fixing part 110 and the moving part 120 are shown in a form that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better understanding, but in reality, the moving part 120 moves in a wide variety according to how the wind blows. Therefore, the arrangement is not limited to FIG. 5. Specifically, the moving part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xed part 110 as shown in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ion line 121 is connected, and the moving part 120 is the fixed part 110 ) May be in oblique contact, the moving part 120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xed part 110 in the entire vertical direction, etc., in fact, the moving part 120 relative to the fixed part 110 The arrangement of the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However, the connection line 121 serves to hol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oving part 120 in addition to electrical connection, so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dielectric layer 115 and the conductor layer 125 can be made more smoothly. .

이러한 추가구성과 더불어,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충전부(130)는, 일단은 상기 전극몸체(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연결선(121)을 통해 상기 전도체층(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극몸체(111)에는 직접 전기적 연결을 구현하기가 매우 용이한 반면, 상기 전도체층(125)은 실질적으로 매우 얇은 층으로 형성되는 것인데다가 상기 이동부(120)의 구동 특성상 계속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전도체층(125)에 직접 전기적 연결을 구현하기는 조금 난해하다. 이 때 상기 연결선(121)은 상기 전도체층(125)과 연결되도록 구현하기가 용이하며, 상기 연결선(121)을 금속 와이어와 같은 전도체 재질로 형성되게 하면, 상기 충전부(130)의 타단이 상기 연결선(121)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선(121)을 타고 상기 전도체층(125)과의 전기적 연결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o these additional configurations, the charging unit 1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s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body 111, and the other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or layer 125 through the connection line 121. It is connected by While it is very easy to implement a direct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electrode body 111, the conductor layer 125 is formed as a substantially very thin layer and continues to move due to the driving characteristics of the moving part 120, It is a little difficult to implement a direct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conductor layer 125. At this time, the connection line 121 is easy to implement to be connected to the conductor layer 125, and when the connection line 121 is formed of a conductor material such as a metal wire,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unit 130 is the connection line. By making it physically connected to 121,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aliz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onductor layer 125 by riding the connection line 121.

도면 상에서는 상기 충전부(130)의 타단이 상기 연결선(121) 중간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단지 회로 도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 이로써 본 발명의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 구현 시에는, 상기 고정부(121)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연결선(121) 끝단을 상기 충전부(130) 타단의 전기적 연결점으로 잡는 등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the drawings,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unit 130 is shown to be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line 121, but this is only for facilitating circuit illustration, and thu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ctual implementation, it is natural that the end of the connection line 121 fixed to the fixing part 121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convenience, such as holding the end of the connection line 121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part 130.

이러한 전기적 연결 제1실시예의 구성은, 매우 간단한 구조로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이 경우 상기 연결선(121)의 재질이 금속 와이어와 같은 전도체 재질로 한정되어야 하며, 상기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가 설치되는 환경 특성상 외부 습기 등에 노출되어 상기 연결선(121)이 노후화되어 단선되거나 또는 녹, 이물질 등이 누적되어 전기전도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다른 추가적인 부품들을 더하되 보다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 있는 전기적 연결 제2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has an advantage that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easily realized with a very simple structure. However, in this case, the material of the connection line 121 should be limited to a conductor material such as a metal wire, and due to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columnar friction charging energy harvester 100 is installed, the connection line 121 is deteriorated due to exposure to external moisture. There may be a problem such as a disconnection or an accumulation of rust, foreign matter, etc. resulting in a decrease in electrical conductivit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econd embodiment of electrical connection in which other additional components can be added but a more stable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achieved will be described below.

도 6은 유전체층 및 전도체층 간의 전기적 연결 제2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 연결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110)에 추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된다. 즉 이 때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전극몸체(111) 하단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별도전극(112), 상기 전극몸체(111) 및 상기 별도전극(11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극몸체(111) 및 상기 별도전극(112) 간 절연을 수행하는 절연필름(113)을 더 포함한다. 한편 도면 상에서는 각부의 배치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유전체층(115) 및 상기 전도체층(125)이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상기 이동부(120)가 유연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형상 변형이 용이하며, 풍압 또는 상기 유전체층(115) 및 상기 전도체층(125) 간에 정전기에 의한 인력 등의 영향에 의하여, 상기 전도체층(125)이 하측에서는 상기 별도전극(112)과 접촉해 있으면서 동시에 상측에서는 상기 유전체층(115)과 접촉해 있을 수 있다.6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dielectric layer and a conductor layer. As shown in FIG. 6, in the second embodiment of electrical connection, an additional component is further included in the fixing part 110. That is, at this time, the fixing part 110 is interposed between a separate electrode 112 formed to surround the lower end of the electrode body 111, the electrode body 111, and the separate electrode 112 It further includes an insulating film 113 for insulating the body 111 and the separate electrode 112. 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s, the dielectric layer 115 and the conductor layer 125 are shown to be spaced apart in order to clearly express the arrangement of each part, but in reality, the moving part 12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it is easy to change its shape. The conductor layer 125 is in contact with the separate electrode 112 at the lower 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conductor layer 125 is in contact with the separate electrode 112 at the lower side due to the influence of wind pressure or the attraction between the dielectric layer 115 and the conductor layer 125 due to static electricity. It may be in contact with the dielectric layer 115.

이러한 추가구성과 더불어,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충전부(130)는, 일단은 상기 전극몸체(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별도전극(112)을 통해 상기 전도체층(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전기적 연결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부(120)의 하단이 상기 별도전극(112)과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있기만 하면, 상기 충전부(130)의 타단이 상기 별도전극(112)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별도전극(112)을 타고 상기 전도체층(125)과의 전기적 연결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별도전극(112)은, 상기 이동부(120) 하단이 상기 고정부(110) 하단에 접촉하는 위치 범위 내에 형성되게 하여야 한다.In addition to this additional configuration, the charging unit 1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body 11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ductor layer 125 through the separate electrode 112.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hat i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electrical connection, as long as the lower end of the moving part 120 is in physical contact with the separate electrode 112,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part 130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separate electrode 112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chiev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onductor layer 125 by riding the separate electrode 112. Of course, in order to implement this structure, the separate electrode 112 must be formed within a position rang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moving part 120 contacts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art 110.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120)는 상기 고정부(110)보다 약간 직경이 큰 형태로 되어 있으나, 바람이 불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가 바람에 밀리게 되며, 따라서 바람이 불 때는 상기 이동부(120) 내면의 적어도 어느 한 점은 반드시 상기 고정부(110)와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별도전극(112)은 상기 고정부(110)의 외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즉 바람이 불 때 상기 이동부(120)는 상기 별도전극(112)의 적어도 어느 한 점에서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접촉되며, 따라서 (전기적 연결 제1실시예에서의 상기 연결선(121) 구성 없이도) 원활하게 전기에너지의 수확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2 and the like, the moving part 120 has a shape slightly larger in diameter than the fixed part 110, but when the wind blows, the moving part is pushed by the wind as shown in FIG. When the wind blows, at least one poi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120 always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xing part 110. At this time, since the separate electrode 112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that is, when the wind blows, the moving part 120 must be at least at one point of the separate electrode 112 It is physically contacted, so it is possible to smoothly harvest electrical energy (withou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line 121 in the first embodiment of electrical connection).

2-3. 상세구성: 이동부 형상2-3. Detailed configuration: moving part shape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부(120) 형상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shape of the moving part 120 will be described.

도 7은 이동부 형상 제1, 2실시예를, 도 8은 이동부 형상 제1, 2실시예의 작동상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A) 및 도 8(A)는 이동부 형상 제1실시예의 형상 및 작동상태를, 도 7(B) 및 도 8(B)는 이동부 형상 제2실시예의 형상 및 작동상태를 도시하고 있다.Fig. 7 shows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moving part shape, and Fig. 8 shows the operation state diagram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moving part shape, respectively. In more detail, Figs. 7(A) and 8(A) show the shape and operation state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hape of the moving part, and Figs. 7(B) and 8(B) show the shape of the moving part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an operating state.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부(120)는, 도 7(A)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상기 고정부(1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극몸체(111)의 직경보다 큰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은 가장 단순하고 제작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전기적 연결 제1실시예와의 조합에서 좋은 성능을 낼 수 있다. 그런데 이동부 형상 제1실시예 및 전기적 연결 제2실시예를 조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적 연결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선(121)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상기 이동부(120)의 수직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상기 연결선(121)이 없으면, 도 8(A)의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1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120) 하단이 지면에 접촉하여 끌리듯이 마찰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이동부(120) 및 상기 고정부(110) 간의 진동을 상당히 방해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난류에 의해 상기 이동부(120)가 상기 고정부(110)와 접촉한 상태에서 진동함에 따라 상기 전도체층(125)과 상기 유전체층(115)의 접촉면적이 변화됨으로써 마찰대전에 의한 전기에너지 수확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처럼 상기 이동부(120)의 진동이 방해되면 결과적으로 전기에너지 수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The moving part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s a diameter of the fixing part 110, more specifically the electrode body 111, as shown in FIGS. 7(A) and 8(A).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is shape has the advantage of being the simplest and easiest to manufacture, and in particular, good performance can be achieved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electrical connection. However, whe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oving part shape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electrical connection are combined, the following problems may occur. 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electrical connection, the connection line 121 does not exist. That is, if there is no connection line 121 that serves to hol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oving unit 120, the moving unit 120 ma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tate of FIG. 8A. Accordingly, friction may occur as if the lower end of the moving part 12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dragged, which significantly interferes with the vibration between the moving part 120 and the fixed part 110. As described above, as the moving part 120 vibrates in contact with the fixed part 110 due to turbulen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ductor layer 125 and the dielectric layer 115 is changed. Harvesting of electric energy occurs. If the vibration of the moving part 120 is disturbed, as a result, electric energy harvesting may not be performed smoothly.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부(120)는, 도 7(B)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직경이 상기 고정부(1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극몸체(111)의 직경보다 크되 상단에 최소직경이 형성되는 원뿔대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부 형상 제2실시예 및 전기적 연결 제2실시예를 조합할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이 불면 원뿔대 형태의 상기 이동부(120)가 기울어지면서, 상기 이동부(120)의 바람이 불어오는 쪽의 면 전체가 상기 고정부(110)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부 형상 제2실시예 및 전기적 연결 제2실시예를 조합할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이 불어오는 쪽(전방)에서는 상기 이동부(120) 하단이 지면과 접촉한다 하더라도, 후방에서는 상기 이동부(120) 하단이 반드시 들려올라감으로써 지면과의 접촉이 원천적으로 배제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지면과의 접촉에 의한 진동 방해 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연결선(121)이 없이도 매우 원활하게 전기에너지의 수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이동부 형상 제1실시예(원통 형태, 도 9, 10에서 "Flat"으로 표시됨) 및 제2실시예(원뿔대 형태, 도 9, 10에서 "Tapered"로 표시됨)에서의 전기에너지 수확 비교 결과로, 이동부 형상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결선(121)이 없다 해도 매우 우수하게 전기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음이 입증된다.The moving part 1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S. 7(B) and 8(B), has a minimum diameter of the fixing part 110, more specifically, the electrode body 111 It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 bu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with the minimum diameter formed at the top. Whe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moving part shape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electrical connection are combined, as shown in FIG. 8(B), when the wind blows, the moving part 120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is inclined, and the moving part The entire surface of the wind 120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unit 110. Whe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moving part shape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electrical connection are combined, the lower end of the moving part 12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on the side where the wind blows (front) as shown in FIG. 8(B). Even if it does, since the lower end of the moving part 120 is always lifted from the rear, contact with the ground is fundamentally excluded. Accordingly, the vibration disturbance phenomenon due to contact with the ground as described above does not appear, and thus electric energy can be harvested very smoothly without the connection line 121. 9 and 10 show the moving part shape in the first embodiment (cylindrical shape, denoted as “Flat” in Figs. 9 and 10) and the second embodiment (truss shape, denoted as “Tapered” in Figs. 9 and 10).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electric energy harvesting, it is proved that electric energy can be harvested very excellently even without the connecting line 121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moving part shape.

본 발명의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에서는, 상기 이동부(120)가 바람에 의하여 이동됨에 따라 전기에너지를 수확하기 때문에, 상기 이동부(120)가 보다 바람의 영향을 잘 받을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부(120)에는 공기저항을 높이기 위해, 상기 이동부(120) 외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공기저항체(12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ving part 120 harvests electric energy as it is moved by wind, the moving part 120 can be more affected by wind.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in a form.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ing par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air resistance bodies 123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120 to increase air resistance.

이러한 상기 공기저항체(123)는, 상기 이동부(120)의 외면에 별도의 구조물을 부착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겠으나, 이와 같이 할 경우 상기 이동부(120)의 중량이 증가하여 낮은 풍속의 바람에 대응하기에 오히려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 도 11의 공기저항체 실시예는 바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설계된 것으로서,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기저항체(123)는, 상기 이동부(120) 일부가 절단 및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이동부(120)의 중량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공기저항을 높일 수 있다.The air resistance body 123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a separate structure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120, but in this case, the weight of the moving part 120 is increased, In response to the wind, it may have an adverse effect. The air resistance body embodiment of FIG. 11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and the air resistance body 12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1 is formed by cutting and bending a part of the moving part 120. By doing this, air resistance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without unnecessaril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moving part 120.

[3] 본 발명의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실험 결과[3] Experimental results of the 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실험용 실시예를 통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result of performing an experiment through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2는 본 발명의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실험용 실시예 사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10)의 상기 전극몸체(111)가 상기 몸체(111a) 및 상기 전극층(111b)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선(121)은 Ag 와이어로 이루어지고(전기적 연결 제1실시예), 상기 이동부(120)는 그 자체가 전도체 재질의 필름 형태로 형성되며 또한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이동부 형상 제1실시예) 형태로 제작하였다. 상기 고정부(110) 직경은 25mm, 상기 이동부(120) 높이 50mm로 제작하되, 상기 이동부(120) 직경은 30, 35, 40mm로 다양하게 제작하였다.12 is a photograph of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electrode body 111 of the fixing part 110 is composed of the body 111a and the electrode layer 111b. The connection line 121 is made of an Ag wire (electrical connection first embodiment), and the moving part 120 itself is formed in the form of a film made of a conductor material and also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moving part shape It wa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Example 1). The fixed part 110 had a diameter of 25 mm and the movable part 120 had a height of 50 mm, and the movable part 120 had a diameter of 30, 35, and 40 mm.

도 13은 본 발명의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실험용 실시예에서의 풍향에 따른 출력 전압 측정 결과로, 30도 간격으로 12방향에서 바람이 불 때 측정을 수행하였다. 상기 이동부(120) 직경이 커질수록 전반적인 출력 전압이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방향의 바람에 대해 상당히 일정한 출력 전압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13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wind direction in the experimental example of the 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when the wind blows in 12 directions at intervals of 30 degrees. As the diameter of the moving part 120 increases, it can be seen that the overall output voltage increase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a fairly constant output voltage is generated for wind in all directions.

도 14는 본 발명의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실험용 실시예에서의 풍속에 따른 출력 전압 측정 결과로, 역시 마찬가지로 상기 이동부(120) 직경이 커질수록 전반적인 출력 전압이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특히 2m/s 정도의 매우 저속인 풍속에서도 출력 전압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14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wind speed in the experimental embodiment of the 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wise, it can be seen that the overall output voltage increases as the diameter of the moving part 120 increases. .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output voltage is generated even at a very low wind speed of about 2m/s.

이처럼 본 발명의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종래의 바람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터들에 비해, 전방향 및 극저속의 바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전기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As described above, it was confirmed through an experiment that the columnar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spond to omnidirectional and ultra-low speed winds, compared to conventional energy harvesters using wind. .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thereof is diverse, as well a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100: 원주형 에너지 하베스터
110: 고정부 111: 전극몸체
111a: 몸체 111b: 전극층
112: 별도전극 113: 절연필름
115: 유전체층
120: 이동부 121: 연결선
122: 지지필름 123: 공기저항체
125: 전도체층
130: 충전부 131: 정류자
135: 부하
100: columnar energy harvester
110: fixing part 111: electrode body
111a: body 111b: electrode layer
112: separate electrode 113: insulating film
115: dielectric layer
120: moving part 121: connecting line
122: support film 123: air resistance
125: conductor layer
130: charging unit 131: commutator
135: load

Claims (16)

외면에 유전체층(115)이 형성되는 고정부(110);
단면이 상기 고정부(110)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고정부(1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마찰대전에 의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이동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A fixing part 110 having a dielectric layer 115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 moving part 120 having a cross section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part 110 and disposed to surround the fixing part 110 to generate electric energy by frictional charging;
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상기 고정부(110)가, 수직으로 연장되는 원주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전극몸체(111)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110)가, 폐곡선인 유연 재질의 필름 형태로 형성되며, 내면에 전도체층(1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ylindrical frictional charge energy harvester (100),
The fixing part 1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vertically, and an electrode body 111 is formed therein,
The movable part 1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film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a closed curve, and a conductor layer 125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lumnar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바람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유전체층(115) 및 상기 전도체층(125) 간의 접촉면적이 변화됨에 따라 발생되는 마찰대전에 의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ylindrical frictional charge energy harvester (100),
A columnar frictional charge energy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ing electric energy by frictional charge generated a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dielectric layer 115 and the conductor layer 125 is changed by being moved by win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상기 전극몸체(111) 및 상기 전도체층(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는 충전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ylindrical frictional charge energy harvester (100),
A charging unit 1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body 111 and the conductor layer 125 to accumulate electrical energy;
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120)는,
일단은 상기 고정부(110) 상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부(120)의 상단 일점과 연결되는 연결선(12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ving part 12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unit 110, the other end is a connection line 121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moving unit 120
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comprising a.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130)는,
일단은 상기 전극몸체(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연결선(121)을 통해 상기 전도체층(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harging unit 130,
One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body 111,
The other end is a 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or layer 125 through the connection line 12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전극몸체(111) 하단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별도전극(112),
상기 전극몸체(111) 및 상기 별도전극(112)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필름(11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xing part 110,
A separate electrode 112 formed to surround the lower end of the electrode body 111,
The insulating film 113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 body 111 and the separate electrode 112
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comprising a.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130)는,
일단은 상기 전극몸체(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별도전극(112)을 통해 상기 전도체층(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harging unit 130,
One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body 111,
The other end is a columnar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or layer (125) through the separate electrode (1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전극(112)은,
상기 이동부(120) 하단이 상기 고정부(110) 하단에 접촉하는 위치 범위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parate electrode (112),
Columnar frictional charging energy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moving part 120 is formed within a position range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ixed part 1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120)는,
전도체 재질의 필름 형태로 형성되거나,
지지필름(122) 내면에 전도체층(125)이 도포된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ving part 120,
Formed in the form of a film made of a conductor material, or
Columnar frictional charging energy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of a film in which the conductor layer 125 is appli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film 1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120)는,
직경이 상기 고정부(110)의 직경보다 큰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ving part 120,
Cylindrical friction charging energy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portion (1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120)는,
최소직경이 상기 고정부(110)의 직경보다 크되 상단에 최소직경이 형성되는 원뿔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ving part 120,
Cylindrical friction charging energy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having a minimum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portion 110 but having a minimum diameter formed at the to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120)는,
상기 이동부(120) 외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공기저항체(1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ving part 120,
A plurality of air resistance bodies 123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120
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저항체(123)는,
상기 이동부(120) 일부가 절단 및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air resistance body (123),
Cylindrical friction charging energy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cutting and bending a portion of the moving part 12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몸체(111)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원주 형태의 몸체(111a),
상기 몸체(111a)의 외면에 형성되는 전극층(111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lectrode body 111,
A cylindrical body 111a extending vertically,
The electrode layer 111b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1a
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comprising a.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130)는,
부하(135),
상기 부하(135)의 전단 또는 후단에 구비되어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자(13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harging unit 130,
Load 135,
A commutator 131 provided at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load 135 to rectify current
Cylindric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R1020190024534A 2019-03-04 2019-03-04 Columnar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for omni-directional wind energy harvesting KR1022335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534A KR102233550B1 (en) 2019-03-04 2019-03-04 Columnar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for omni-directional wind energy harve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534A KR102233550B1 (en) 2019-03-04 2019-03-04 Columnar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for omni-directional wind energy harves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264A true KR20200106264A (en) 2020-09-14
KR102233550B1 KR102233550B1 (en) 2021-03-30

Family

ID=7247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534A KR102233550B1 (en) 2019-03-04 2019-03-04 Columnar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for omni-directional wind energy harves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55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326A (en) 2020-11-10 2022-05-1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Wind energy utilization type energy harvesting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4297A1 (en) * 2004-07-28 2008-01-31 Senstar-Stellar Corporation Triboelectric, Ranging, or Dual Use Security Sensor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949146B1 (en) 2009-08-26 2010-03-25 차솔비 Generator using frictional electricity
KR101545000B1 (en) * 2014-07-28 2015-08-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Vibration Mobile And Interior Mobil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4297A1 (en) * 2004-07-28 2008-01-31 Senstar-Stellar Corporation Triboelectric, Ranging, or Dual Use Security Sensor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949146B1 (en) 2009-08-26 2010-03-25 차솔비 Generator using frictional electricity
KR101545000B1 (en) * 2014-07-28 2015-08-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Vibration Mobile And Interior Mobile Us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Versatile core-sheath yarn for sustainable biomechanical energy harvesting and real-time human-interactive sensing", Dong K, Adv Energy Mater. 2018 (2018.06.14. 공개) *
1. M.-L. Seol, et al., "Vertically stacked thin 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wind energy harvesting", Nano Energy, vol. 14, pp. 201-208, 2015
2. Z. Zhao, et al., "Freestanding flag-typ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harvesting high-altitude aind energy for arbitrary directions", ACS Nano, vol. 10, pp. 1780-1787, 2016
3. S.-J. Park, et al., "Self-sustainable wind speed sensor system with omni-directional wind based triboelectric generator", Nano Energy, vol. 55, pp. 115-122, 201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326A (en) 2020-11-10 2022-05-1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Wind energy utilization type energy harves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550B1 (en)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540B1 (en) Sphere-shap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US8987973B2 (en) Energy harvester
KR101685184B1 (en) Cylindrical triboelectric generator based on contact-electrific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generator
US10075100B2 (en) Three dimension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JP2016526866A (en) Single-electrode friction nano-generator, power generation method, and self-driven tracking device
WO2014154092A1 (en) Friction nanogenerator and gyroscope
CN111865133A (en) Pendulum type friction nano generator and energy collector
CN104836472B (en) Utilize the generator and sound transducer of acoustic energy
CN103532433B (en) Multi-direction broadband energy collecting device
CN106972782B (en) Piezoelectric beam and capacitance combined bidirectional energy collector with bistable characteristic
CN110649763B (en) Electromagnetic type energy harvester
KR102140939B1 (en) Fibrous turboelectric generator, fabric woven using thererof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ibrous triboelectric genarator
CN104836476A (en) Piezoelectric vibration energy collector
KR20170053993A (en) Triboelectric nanogenerator by using wind power
KR102233550B1 (en) Columnar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for omni-directional wind energy harvesting
KR20180058065A (en) Triboelectric generator
CN112290769A (en) Vibration energy collecting device integrating three power generation modes
KR101819131B1 (en) Hybrid generator using natural energy and method of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same
KR101976541B1 (en) Sphere-shap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O2020258778A1 (en) Lunar dust electrostatic energy storage power generation device
Xue et al. Coil-levitated hybrid generator for mechanical energy harvesting and wireless temperature and vibration monitoring
CN103780140A (en) Coplanar friction generator
CN108768203B (en) Three-dimensional annular friction power generation device
KR102026429B1 (en)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KR101864956B1 (en) Elasticity coiling type triboelectrification generator and Writing articles comprising the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