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139A - hose connecting module for water trearment system - Google Patents

hose connecting module for water trear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139A
KR20200106139A KR1020200107836A KR20200107836A KR20200106139A KR 20200106139 A KR20200106139 A KR 20200106139A KR 1020200107836 A KR1020200107836 A KR 1020200107836A KR 20200107836 A KR20200107836 A KR 20200107836A KR 20200106139 A KR20200106139 A KR 20200106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nector
hose
filt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8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3794B1 (en
Inventor
김영재
김세중
권경환
박용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청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청호시스템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7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794B1/en
Publication of KR20200106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1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7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5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a sleeve being movable 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se connection module which is installed on a water treatment apparatus to connect a filter and another filter or connect the filter and a water discharge nozzle.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se connection module for a water treatment apparatus which can secure safety. The hose connection module comprises: a connector wherein one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an outlet of a filter to receiv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purified water entering through the opened other side thereof is discharged, and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of a ring shape protruding around the circumferenc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flow direction of the purified water and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ed other side thereof; a water discharge hose of an elastic material wherein one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enclos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ed other side of the connector,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an inlet of the filter or is connected to a water discharge module to transfer water discharged to the opened other side of the connector; and a hollow fixing cap to cover the water discharge hose while pressing the water discharge hose from the outside of the water discharge hose to allow the one side of the water discharge hose to maintain a connected state while enclosing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or.

Description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hose connecting module for water trearment system}Hose connecting module for water trearment system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se connection module for a water treatment device.

일반적으로, 정수기, 냉장고 등의 수처리 장치는 상수원에서 공급되는 상수를 물리적, 화학적인 방법으로 여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한 후 공급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water treatment device such as a water purifier and a refrigerator is a device that removes impurities by filtering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ource by physical or chemical methods, and then supplying it.

상기와 같은 수처리 장치는 정수원리나 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may be classified into a natural filtration type, a direct connection filtration type, an ion exchange resin type, a distillation type, and a reverse osmosis typ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r method of water purification.

또한, 수처리 장치는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a water treatment device is a device that filters water to remove impurities and is widely used for home use.

가정용 수처리 장치의 경우, 수도와 연결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유해성분 등을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정수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case of a household water treatment device, it is connected to the tap water to remove suspended matter or harmful components contained in tap water using a filter, and is configured to purify and extract as much water as desir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이와 같은 수처리 장치는 정수는 물론 온수와 냉수의 취출이 가능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크기가 작고 다양한 설치환경에 설치될 수 있는 수처리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Various products capable of taking out hot and cold water as well as purified water are on the market. And, in recent years, water treatment devices that are small in size and can be installed in various installation environments have been developed.

또한, 종래 수처리 장치는 여과력 향상을 위해 여러개의 필터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원수는 여러개의 필터를 거치면서, 단계적으로 정화된 후 외부로 출수된다. In addition,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apparatuses use a combination of several filters to improve filtration power, and raw water is purified in stages while passing through several filters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이, 복수의 필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 필터의 입구와 출구에 연결호스의 양단을 끼워 접속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각각의 필터가 연결호스로 연결되면, 하나의 정수라인을 이루게 된다. 이때, 별도의 조립부재를 이용하여 필터와 연결호스를 체결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nnect a plurality of filters, both ends of the connecting hose are inserted into the inlet and outlet of each filter, and when each filter is connected by a connecting hose as described above, a single water purification line is formed. At this time, a separate assembly member is used to connect the filter and the connection hose.

종래의 경우, 필터 헤드와 연결호스를 긴밀하게 연결하기 위해서, 니플이나 피팅구조를 개선하여 필터 헤드와 연결호스를 연결해 왔다. 하지만, 조립부재의 구조가 복잡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조립을 위한 부품의 수가 많아지게 되므로 제조단가가 상승하여 동업종 분야에서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부품의 증가로 인한 필터 조립의 작업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case, in order to closely connect the filter head and the connection hose, a nipple or a fitting structure has been improved to connect the filter head and the connection hose. However, not only the structure of the assembly member becomes complicated, but also because the number of parts for assembly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and the price competitiveness in the field of the same industry decreases, and the workability of the filter assembly due to the increase in parts There was a problem that lowered the problem.

특히, 이러한 필터의 하우징은 그 재질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조립부재의 재질은 연결호스를 긴밀하게 연결하여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대부분 필터 헤드에 금속의 니플이나 별도의 부속을 조립하여 연결호스를 접속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져 왔으며, 이 경우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필터 본체에 금속의 부속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부품의 정밀한 가공이 필요하며, 서로 다른 재질의 체결에 의하여 누수포인트가 발생할 우려 또한 있었다. In particular, while the material of the filter housing is made of synthetic resin, the material of the assembly member closely connects the connecting hose to prevent leakage. The connection method has been mainly used, and in this case, precise processing of the parts is required in order to couple the metal parts to the filter body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here is also a concern that leakage points may occur due to the fastening of different materials.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2850호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3-0072850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터출구와 다른 필터의 입구를 연결하거나, 필터 출구와 출수노즐을 연결하는 커넥터 및 연결호스의 결합이 보다 간단한 구조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 structure and method that connects the filter outlet and the inlet of another filter, or a connector and connection hose connecting the filter outlet and the water outlet nozzle is simpler. It is to provide a hose connection module for a water treatment device that can be made of.

또한, 필터에서 정수 출수 시, 수압에 의해 발생하는 누수발생 가능성을 최소한으로 줄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se connection module for a water treatment device capable of improving airtightness by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leakage of water generated by water pressure when water is extracted from a filter.

또한, 필터에서 정수 출수 시, 수압에 의해 커넥터에서 호스가 분리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se connection module for a water treatment device capable of securing safety by separating a hose from a connector by water pressure when water is extracted from a filte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은, 필터와 다른 필터를 연결하거나, 필터와 출수노즐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이 상기 필터의 출구와 연결되어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공급받고, 개방된 타측을 통해서 유입된 정수를 배출시키되, 개방된 타측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돌출된 링(ring) 형태의 고정돌기가 정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하여 복수 형성된 커넥터와, 일측이 상기 커넥터의 개방된 타측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이웃하는 필터의 입구와 연결되거나, 상기 출수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의 개방된 타측으로 출수된 물을 상기 전달하는 탄성 재질의 출수호스와, 상기 출수호스의 일측이 상기 커넥터의 타측을 감싸면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출수호스의 외측에서 상기 출수호스를 가압하면서 상기 출수호스를 커버하는 중공 형상의 고정캡을 포함한다. A hose connection module for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 connecting a filter and another filter, or for connecting a filter and a water outlet nozzle,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filter. The purifi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is supplied and the purified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other open side is discharged, but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open side, a plurality of ring-shaped fixing protrusions protruding along the peripher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purified water. The formed connector, one side is connect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open side of the connector,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a neighboring filter, or is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module, the water discharged to the other open side of the connector. A water outlet hose made of elastic material to be transferred, and a hollow-shaped fixing cap that covers the outlet hose while pressing the outlet hose from the outside of the outlet hose so that one side of the outlet hose covers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or and remains connected Includes.

또한, 상기 커넥터는, 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유입부와, 정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부는 외측 둘레를 따라서, 플랜지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플랜지와 상기 배출구 사이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has an inlet portion formed with an inlet port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is introduced, and a discharge portion formed with an outlet port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and the discharge portion forms a flange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and the fixing protrusion comprises the flange and the It can be formed in the section between the outlet.

또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타측에서 일측으로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커지면서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일측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1평면과, 상기 평행면과 단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평행면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제2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protrusion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formed with a thickness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other side where the outlet is formed to one side, a first plane in which a thickness of one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is kept constant, and the parallel plane to form a stepped side with the parallel plane. It may include a second plane having a thinner thicknes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의 단부에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복수의 고정돌기에 출수호스가 삽입되어, 커넥터와 출수호스는 복수의 위치에서 강제적으로 접촉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출수호스와 커넥터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are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or, and a water outlet hose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so that the connector and the water outlet hose can be forcibly contact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nd as a resul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ixing power of the hose and connector can be improved.

또한, 커넥터에서 출수호스로 정수가 출수될 때, 그 수압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when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connector to the water supply hos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water leakage due to the water pressure.

또한, 커넥터에서 출수호스로 정수가 출수될 때, 그 수압에 의해 출수호스가 커넥터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when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connector to the water supply hos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water supply hos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by the water pressure.

또한, 고정캡이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호스와 커넥터의 결합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누수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고정캡을 커넥터 또는 공급호스에 끼울 때, 체결부위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고정캡을 끼울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xing cap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supply hose and the connector are connected from the outside, check whether there is leakage, and when the fixing cap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or supply hose,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part can be visually observed. While checking with, it is possible to fit the fixing cap,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improve workability.

또한, 커넥터 및 고정캡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일부 구간이 아닌 전체 구간에서, 걸림돌기가 수용홈에 삽입되기 때문에, 전체 구간에서 커넥터와 고정캡의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Further, based o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and the fixing cap, since the lock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in the entire section rather than a partial se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fixing cap can be secured in the entire section.

또한, 고정캡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일부 구간이 아닌 전체 구간에서, 출수 호스를 내측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전체 구간에서 커넥터와 출수호스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outlet hose is pressed inward in the entire section, not in some sections, based o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xing cap,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nector and the outlet hose coupling force can be secured in the entire s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커넥터와 호스와 고정캡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커넥터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면,
도 5는 도 3에서, 고정캡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와 호스와 고정캡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se connection module for a 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the hose and the fixing cap are assembled in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se connection module for a 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nector in FIG.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fixing cap in Figure 3,
6 to 8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a hose, and a fixing cap are assemb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커넥터와 호스와 고정캡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se connection module for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a hose, and a fixing cap are assembled in FIG. 1,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se connection module for a 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연결 모듈은 정수기, 정수기능을 갖는 냉장고 등의 각종 수처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1 to 3, the hose conn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water treatment devices such as a water purifier and a refrigerator having a water purification function.

상기 수처리 장치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필터로 이루어진 필터모듈을 구비하여,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정화시킨 뒤, 정수의 상태로 공급하는 본체(하우징)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출수노즐이 구비된 출수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filter module made of at least one filter therein, purifies raw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supplies it in a state of purified wat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body (housing) It may include a water outlet module provided with a water outlet nozzle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supplies the purified water generated in the main body to the user.

상기 수처리 장치는 복수의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lters.

일 예로, 상기 필터모듈은, 원수가 1차로 통과하는 프리 카본필터와, 상기 프리카본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2차로 통과하는 역삼투압필터(RO필터), 상기 역삼투압필터를 통과하는 정수가 3차로 통과하는 포스트 카본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lter module includes a pre-carbon filter through which raw water first passes, a reverse osmosis filter (RO filter)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pre-carbon filter secondly passes, and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reverse osmosis filter. It may include a post carbon filter passing through the car.

한편, 다른 예로, 상기 역삼투압필터를 대신해서, 중공사막필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Meanwhile, as another example, instead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a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may be applied.

상기와 같이 복수의 필터들을 거치면서 정화된 물(정수)은 출수호스 및 출수노즐을 통해서 본체(하우징)의 외부로 공급된다.Water (purified water)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filters as described above is suppli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through a water outlet hose and a water outlet nozzle.

이때, 상기 정수는 가열이나 냉각 없이 상온의 상태로, 출수노즐로 공급될 수 있고, 온수로 가열되거나, 냉수로 냉각된 후 출수노즐로 공급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purified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water outlet nozzle at room temperature without heating or cooling, or may be heated with hot water or cooled with cold water and then supplied to the water outlet nozzle.

상기 호스 연결 모듈(10)은 상기와 같은 수처리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와 다른 필터를 연결하거나, 상기 필터모듈과 상기 출수모듈을 연결한다. 상기 호스 연결 모듈(10)을 통해서, 물의 흐름을 기준으로 선단의 필터를 통과한 물이 후단의 필터로 전달될 수 있고, 모든 필터를 통과한 물이 출수노즐 측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The hose connection module 10 is installed in the water treatment device as described above, and connects the filter and another filter, or connects the filter module and the water outlet module. Through the hose connection module 10,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at the front end may be transferred to the filter at the rear end based on the flow of water, an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all the filters may be transferred to the water outlet nozzle.

이하, 상기 호스 연결 모듈(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hose connection module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스 연결 모듈(10)은, 필터의 출구측과 연결되는 커넥터(100)와, 상기 커넥터(100)에서 배출된 정수가 유동하는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에 결합된 출수호스(200)의 일측 단부를 커버하여,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결합력을 유지시키는 고정캡(200)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se connection module 10 includes a connector 100 connected to the outlet side of the filter, a water outlet hose 300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discharged from the connector 100 flows, and the connector 100 It covers one end of the combined water outlet hose 200 and includes a fixing cap 200 for maintain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water outlet hose 300 and the connector 100.

먼저, 상기 커넥터(100)는 양측이 개방된 형상을 취한다. 또한 내측에는 상기 개방된 양측과 연통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First, the connector 100 takes a shape in which both sides are open. In addition, flow paths communicating with the open sides are formed inside.

상기 커넥터(100)는 개방된 일측이 상기 필터의 출구(400)와 연결되어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공급받고, 개방된 타측을 통해서 유입된 정수가 배출된다. The connector 100 has one open side connected to the outlet 400 of the filter to receive purifi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and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other open side is discharged.

이때, 상기 커넥터(100)의 개방된 타측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연속해서 돌출된 링(ring) 형태의 고정돌기(109)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돌기(109)는 정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하면서 복수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09)는 정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하면서 3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09)의 단면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사다리꼴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ring-shaped fixing protrusion 109 that continuously protrudes along the circumferenc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open side of the connector 100, and the fixing protrusions 109 are mutually A plurality is formed while spaced apart. Three or more fixing protrusions 109 may be form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purified water. The cross section of the fixing protrusion 109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 square, a triangle, and a trapezoid.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109)는 후술되는 제2평면(113) 대비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경사면(112)과 제1평면(111)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fixing protrusion 109 may mean an inclined surface 112 and a first plane 111 protruding more outwardly than a second plane 113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출수호스(300)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 또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중공관의 형태를 갖는다. Meanwhile, the water outlet hose 30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r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and silicone, and has a shape of a hollow tube.

또한, 상기 출수호스(300)는 일측(상측, 도 3참조)이 상기 커넥터(100)의 개방된 타측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결되고, 타측(하측, 도 3참조)이 이웃하는 필터의 입구와 연결되거나, 상기 출수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100)를 통과한 정수를 필터 또는 출수모듈로 전달한다. In addition, the water outlet hose 300 is connected so that one side (upper side, see Fig. 3) surroun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open side of the connector 100, and the other side (lower side, see Fig. 3)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adjacent filter. It is connected or is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module, and delivers the purifi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nector 100 to a filter or a water outlet module.

상기 고정돌기(109)가 형성된 커넥터(100)의 타측은 상기 출수호스(300)의 내측에 강제적으로 삽입되고, 고정돌기(109)에 의해 출수호스(300)의 내경이 확장되면서, 커넥터(100)와 출수호스(300)의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connector 100 o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109 is formed is forcib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water outlet hose 30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water outlet hose 300 is expanded by the fixing protrusion 109, the connector 100 ) And the water outlet hose 300 can be secured.

이때, 상기 고정돌기(109)는, 출수호스(300)의 내측으로 삽입이 비교적 용이한 반면, 출수호스(300)로부터 분리는 제한될 수 있도록, 상기 출수호스(3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xing protrusion 109 is relatively easy to insert into the water outlet hose 300, whereas the separation from the water outlet hose 300 is limited, so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water outlet hose 300. It can take the form of gradually expanding the thickness.

상기와 같이, 출수호스(300)에 커넥터(100)의 타측이 압입된 상태에서,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출수호스(300)의 외측에는 고정캡(200)이 구비된다.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where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or 100 is pressed into the water outlet hose 300, in order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water outlet hose 300 and the connector 100, the outer side of the water outlet hose 300 is fixed cap ( 200) is provided.

상기 고정캡(200)은 내측에 중공(201)을 형성하는 중공관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출수호스(300)의 일측이 상기 커넥터(100)의 타측을 감싸면서 압입방식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출수호스(300)의 외측에서 상기 출수호스(300) 또는 커넥터(100)를 가압하면서 상기 출수호스(300)를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The fixing cap 20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hollow tube forming a hollow 201 inside, and one side of the outlet hose 300 surrounds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or 100 and maintains a connected state by press-fitting It is provided to cover the water outlet hose 300 while pressing the water outlet hose 300 or the connector 100 from the outside of the water outlet hose 300 so as to be.

일 예로, 상기 고정캡(200)은 단순히 커넥터(100)에 고정되면서,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연결부위를 커버할 수 있다. For example, while the fixing cap 200 is simply fixed to the connector 100, it may cover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water outlet hose 300 and the connector 100.

다른 예로, 상기 고정캡(200)은 커넥터(100)에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출수호스(300)를 가압하면서,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연결부위를 커버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fixing cap 200 may be fixed to the connector 100 and at least partially press the water outlet hose 300 to cover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water outlet hose 300 and the connector 100.

상기와 같은 고정캡(200)의 구성에 따라,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고정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cap 200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force of the outlet hose 300 and the connector 100 may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100)의 단부에 복수의 고정돌기(109)가 형성되고, 복수의 고정돌기(109)에 출수호스(300)가 삽입되어, 커넥터(100)와 출수호스(300)는 복수의 위치에서 강제적으로 접촉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09 are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or 100, and the water outlet hose 300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09, so that the connector 100 and the The water outlet hose 300 may be forcibly contact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nd as a result, the fixing force of the water outlet hose 300 and the connector 100 may be improved.

또한, 커넥터(100)에서 출수호스(300)로 정수가 출수될 때, 그 수압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connector 100 to the water outlet hose 30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water leakage occurs due to the water pressure.

또한, 커넥터(100)에서 출수호스(300)로 정수가 출수될 때, 그 수압에 의해 출수호스(300)가 커넥터(100)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connector 100 to the water outlet hose 300, the phenomenon that the water outlet hose 300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100 by the water pressure may be prevented.

상기 고정캡(200)은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cap 20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와 같이, 고정캡(200)이 투명 재질로 형성될 경우, 외부에서, 공급호스(300)와 커넥터(100)의 결합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누수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xing cap 20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upply hose 300 and the connector 100 are coupled from the outside, and whether there is leakage.

또한, 고정캡(200)을 커넥터(100) 또는 공급호스(300)에 끼울 때, 체결부위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고정캡(200)을 끼울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xing cap 200 is fitted to the connector 100 or the supply hose 300, the fixing cap 200 can be fitted while visually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so that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고정캡(200)의 적어도 일부의 내경은 상기 공급호스(3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ing cap 200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ly hose 300.

상기와 같이 고정캡(200)의 일부의 내경이 공급호스(3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고정캡(200)에 의해 공급호스(300)가 내측으로 가압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커넥터(100)의 일부가 상기 공급호스(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호스(300)와 커넥터(100)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다. When the inner diameter of a part of the fixing cap 200 is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ly hose 300 as described above, the supply hose 300 may be pressed inward by the fixing cap 200, and as a result, the connector ( When a part of 100) is inserted into the supply hose 300,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supply hose 300 and the connector 100 may be improved.

상기 커넥터(100)는, 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1)가 형성된 유입부(120)와, 정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02)가 형성된 배출부(110)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부(110)는 외측 둘레를 따라서, 플랜지(103)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돌기(109)는 상기 플랜지(103)와 상기 배출구(102) 사이 구간에 형성된다. The connector 100 forms an inlet 120 having an inlet 101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is introduced, and a discharge part 110 having an outlet 102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and the discharge part 110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a flange 103 is formed, and the fixing protrusion 109 is formed in a section between the flange 103 and the outlet 102.

상기 유입부(120)와 배출부(110)는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nlet 120 and the outlet 11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또한, 상기 유입부(120)와 배출부(110)는 곡선으로 굽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let portion 120 and the outlet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또한, 상기 커넥터(100)는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입부(120)와 상기 배출부(110)는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or 100 may have a bent shape, and the inlet 120 and the outlet 110 may be vertically formed.

다른 예로, 상기 커넥터(100)는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입부(120)와 상기 배출부(110)는 그 사잇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connector 100 may be formed in a bent shape, and the inlet portion 120 and the outlet portion 110 may be formed to have an obtuse angle between the inlet portion 120 and the outlet portion 110.

일 예로, 상기 커넥터(100)의 유입부(120)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커넥터(100)의 배출부(110)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let portion 120 of the connector 100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outlet portion 110 of the connector 100 may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이때 상기 필터의 출구(400)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필터의 입구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let 400 of the filter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inlet of the filter may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필터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출된 정수는 커넥터(100)를 통과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유동 방향이 전환된 후, 수직방향으로 유동되고, 커넥터(100)에서, 수직방향으로 토출된 정수는 다른 필터에 수직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Therefore,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from the fil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connector 100, the flow direction is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n flow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onnector 100 is another filter. It can be supplied in a vertical direction.

도 4는 도 3에서, 커넥터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서, 고정캡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FIG.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nector in FIG. 3,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fixing cap in FIG. 3.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100)는, 상기 플랜지(103)의 타측(하측, 도 4 참조)에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수용홈(105)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200)의 일측(상측, 도 5 참조)에는 상기 수용홈(105)에 삽입되는 걸림돌기(210)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홈(105)을 정의하기 위해서, 상기 플랜지(103)의 하측에는 상기 플랜지(103) 보다 작은 외경을 갖으면서, 상기 플랜지(103)와 나란하게 형성된 보조플랜지(106)가 상기 플랜지(103)와 이격해서 형성될 수 있다. 4 to 5, the connector 100 has an inwardly concave receiving groove 105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side (lower side, see FIG. 4) of the flange 103, and the fixing On one side (top side, see FIG. 5) of the cap 200, a locking protrusion 210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05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is time, in order to define the receiving groove 105, an auxiliary flange 106 formed parallel to the flange 103 while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lange 103 is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flange 103. It can be formed apart from (103).

상기 플랜지(103)의 하단(도 2 참조)에는 상기 고정캡(200)의 상단(도 2 참조)이 안착될 수 있다. The upper end (refer to FIG. 2) of the fixing cap 200 may be se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lange 103 (see FIG. 2).

상기 플랜지(103)에 의해, 고정캡(200)이 플랜지(103) 측으로 이동할 때, 고정캡(200)의 최대 상승 위치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03)는 상기 고정캡(200)의 최대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작용할 수 있다. By the flange 103, when the fixing cap 200 moves toward the flange 103, the maximum raised position of the fixing cap 200 may be limited. The flange 103 may act as a stopper limiting the maximum elevation height of the fixing cap 200.

상기 수용홈(105)은 상기 커넥터(100)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해서 형성되며, 링(ring)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receiving groove 105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100 and may be provided in a ring shape.

또한, 상기 걸림돌기(210) 역시 상기 고정캡(200)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해서 형성되며, 링(ring)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ing protrusion 210 is also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cap 200 and may be provided in a ring shape.

상기의 경우, 상기 고정캡(200)의 상단이 플랜지(103)의 하단에 위치되는 시점에, 상기 걸림돌기(210)는 수용홈(105)에 삽입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upper end of the fixing cap 200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lange 103, the locking protrusion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05.

이때, 상기 커넥터(100) 및 고정캡(200)의 둘레방향(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일부 구간이 아닌 전체 구간에서, 걸림돌기(210)가 수용홈(105)에 삽입되기 때문에, 전체 구간에서 커넥터(100)와 고정캡(200)의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다. At this time, based o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100 and the fixing cap 200, since the locking protrusion 2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05 in the entire section rather than a partial section, the entire section A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nnector 100 and the fixing cap 200 may be secured.

또한, 상기 걸림돌기(210)는, 외측(상측, 도 5 참조)에서 내측(하측, 도 5 참조)으로 그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king protrusion 210 may have an inclined portion 220 having an inner diameter gradually narrowing from an outer (upper side, see FIG. 5) to an inner side (lower side, see FIG. 5 ).

상기와 같이 경사부(220)가 형성되면, 걸림돌기(210)가 수용홈(105)에 삽입될 때, 상기 보조플랜지(106)를 통과하는 과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210)가 수용홈(105)에 삽입되면, 경사부(220)의 하단이 상기 보조플랜지(106)의 상단에 걸리면서, 고정캡(200)이 커넥터(1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inclined portion 22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cking protrusion 2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05,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flange 106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In addition, when the locking protrusion 2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05,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220 is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flange 106, and the fixing cap 200 is firmly fixed to the connector 100. Can be.

한편, 상기와 같이 걸림돌기(210)가 수용홈(105)에 삽입되기 위해 고정캡(200)이 커넥터(100) 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걸림돌기(210) 및 경사부(220)에 의해서, 출수호스(300)의 외측면에 내측으로 가압되고, 결과적으로 커넥터(100)의 고정돌기(109)는 출수호스(300)의 내주면에 보다 확실하게 압입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fixing cap 200 toward the connector 100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2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05 as described above, by the locking protrusion 210 and the inclined portion 220,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outlet hose 300 is pressed inward, and as a result, the fixing protrusion 109 of the connector 100 can be more reliably press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 outlet hose 300.

또한, 상기 고정돌기(109)는 상기 배출구(102)가 형성된 타측(하측, 도4참조)에서 일측(상측, 도4참조)으로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커지면서 형성된 경사면(112)과, 상기 경사면(112)의 일측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1평면(111)을 포함할 수 있가.In addition, the fixing protrusion 109 has an inclined surface 112 formed as its thickness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other side (lower side, see Fig. 4) to one side (upper side, see Fig. 4) where the outlet 102 is formed, and the inclined surface ( Can it include a first plane 111 in which the thickness of one side of 112) is kept constant?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109) 사이에는 상기 제1평면(111)과 단턱(114)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평면(111)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제2평면(113)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plane 113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at of the first plane 111 may be formed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s 109 to form the first plane 111 and the stepped portion 114.

상기 고정돌기(109)는 연속해서 형성된다.The fixing protrusion 109 is formed continuously.

즉, 경사면(112), 제1평면(111), 제2평면(113)은 반복해서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inclined surface 112, the first plane 111, and the second plane 113 may be repeatedly formed.

또한, 상기 커넥터(100)는 상기 배출구(102)가 형성된 타측 단부(하단, 도4참조)의 외경은 출수호스(30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호스(300)에 커텍터(100)을 처음 끼울 때, 커넥터(100)의 단부가 출수호스(300)의 내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or 100 may have an outer diameter of the other end (refer to FIG. 4) on which the outlet 102 is formed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let hose 300. Accordingly, when the connector 100 is first inserted into the water outlet hose 300, the end of the connector 100 may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water outlet hose 300.

한편, 상기 출수호스(300)의 내경은, 상기 배출구(102)가 형성된 배출부(110)의 단부(115)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111)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water outlet hose 300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end 115 of the discharge portion 110 in which the outlet 102 is formed, and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plane 111 have.

상기의 경우, 커넥터(100)의 배출부(110)가 출수호스(300)에 삽입되면, 경사면(112)과 제1평면(111)이 출수호스(300)의 내주면에 압입되면서,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e above case, when the discharge part 110 of the connector 100 is inserted into the water outlet hose 300, the inclined surface 112 and the first plane 111 are press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outlet hose 300, and the water outlet hose ( 300) and the fixing force of the connector 100 may be improved.

또한, 상기 출수호스(300)의 내경은, 상기 제2평면(113)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water outlet hose 300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plane 113.

상기의 경우, 커넥터(100)의 배출부(110)가 출수호스(300)에 삽입되면, 경사면(112)과 제1평면(111)은 물론 제2평면(113)이 출수호스(300)의 내주면에 압입되면서,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고정력이 보다 더 향상될 수 있다. In the above case, when the discharge unit 110 of the connector 100 is inserted into the water outlet hose 300, the inclined surface 112 and the first plane 111 as well as the second plane 113 are formed of the water outlet hose 300. While being press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xing force of the water outlet hose 300 and the connector 100 may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배출구(102)가 형성된 커넥터(100)의 타측(하측, 도 4참조)에 형성된 고정돌기(109) 경사면(112)의 경사진 각도는 일측(상측, 도 4참조)에 형성된 고정돌기(109) 경사면(112)의 경사진 각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clined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112 of the fixing protrusion 109 formed on the other side (lower side, see Fig. 4) of the connector 100 on which the outlet 102 is formed is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upper side, see Fig. 4) (109) It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inclined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112.

즉, 상기 고정돌기(109)는, 상기 커넥터의 일측(상측, 도 4참조)에 형성된 제1고정돌기와, 상기 커넥터의 타측(하측, 도 4참조)에 형성된 제2고정돌기와, 상기 제1고정돌기와 제2고정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3고정돌기를 포함하여, 3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That is, the fixing protrusion 109 includes a first fix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upper side, see Fig. 4) of the connector, a second fixing protrusion formed at the other side (lower side, Fig. 4) of the connector, and the first fixing Three or more may be provided, including a third fixing protrusion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그리고, 상기 배출구(102)가 형성된 커넥터(100)의 타측(하측, 도 4참조)에 형성된 제2고정돌기의 경사면(112)의 경사진 각도는 플랜지(103)가 형성된 일측(상측, 도 4참조)에 형성된 제1고정돌기의 경사면(112)의 경사진 각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clined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112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lower side, see FIG. 4) of the connector 100 on which the outlet 102 is formed is one side (upper side, FIG. 4) on which the flange 103 is formed. Reference)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inclined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112 of the first fixing projection.

상기의 경우, 커넥터(100)의 타측(하측, 도 4참조)에 형성된 고정돌기(109)에 압입된 출수호스(3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커넥터(100)의 일측(상측, 도 4참조)에 압입된 출수호스(300)에 가해지는 가압력보다 크게 형성되어,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결합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In the above case,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water outlet hose 300 press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109 formed on the other side (lower side, see Fig. 4) of the connector 100 is one side of the connector 100 (top side, see Fig. 4)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water outlet hose 300 pressed into the water outlet hose 300 and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nnector 100 may be more improved.

반면, 커넥터(100)의 타측(하측, 도 4참조)에 형성된 고정돌기(109)에 압입된 출수호스(3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커넥터(100)의 일측(상측, 도 4참조)에 압입된 출수호스(300)에 가해지는 가압력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결합력이 약해지면서, 임의로 분리될 우려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water outlet hose 300 press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109 formed on the other side (lower side, see FIG. 4) of the connector 100 is pressed into one side (upper side, see FIG. 4) of the connector 100 If it is formed smaller than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outlet hose 300, a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outlet hose 300 and the connector 100 is weakened, there is a concern that they may be arbitrarily separated.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와 호스와 고정캡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6 to 8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a hose, and a fixing cap are assemb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캡(200)은, 내측에 상기 출수호스(300)를 가압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230)를 형성할 수 있다. 6 to 8, the fixing cap 200 may have a pressing protrusion 230 protruding inwardly so as to press the water outlet hose 300 inside.

상기와 같이 고정캡(200)의 내측에 가압돌기(230)가 형성되면, 가압돌기(230)에 의해 공급호스(300)가 내측으로 가압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커넥터(100)의 일부가 상기 공급호스(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호스(300)와 커넥터(100)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다. When the pressure protrusion 230 is formed inside the fixing cap 200 as described above, the supply hose 300 may be pressed inward by the pressure protrusion 230, and as a result, a part of the connector 100 is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supply hose 300,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supply hose 300 and the connector 100 may be improved.

이때, 상기 가압돌기(230)의 내경은 상기 공급호스(3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ner diameter of the pressure protrusion 230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ly hose 300.

상기와 같이 가압돌기(230)의 내경이 공급호스(3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면, 고정캡(200)이 커넥터(100) 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압돌기(230)에 의해서, 출수호스(300)의 외측면에 내측으로 가압되고, 결과적으로 커넥터(100)의 고정돌기(109)는 출수호스(300)의 내주면에 보다 확실하게 압입될 수 있다.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pressure protrusion 230 is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ly hose 300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fixing cap 200 toward the connector 100, by the pressure protrusion 230, the water outlet hose ( The outer surface of the 300) is pressed inward, and as a result, the fixing protrusion 109 of the connector 100 can be more reliably press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outlet hose 300.

또한, 상기 커넥터(100)는 상기 플랜지(103)와 상기 고정돌기(109)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103)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그 모서리 부분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연장부(107)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200)의 일측(상측, 도 6참조)은 상기 연장부(107)가 삽입되게 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곡면으로 이루어진 수용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or 100 has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lange 103 between the flange 103 and the fixing protrusion 109, and an extension portion 107 having a curved edge portion thereof is formed. , One side (upper side, see FIG. 6) of the fixing cap 200 is concave 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extension part 107 is inserted, and a receiving part 240 formed of a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상기 연장부(107)는 상기 고정돌기(109)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플랜지(103)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구비할 수 있다. The extension portion 107 may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xing protrusion 109 an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103.

일 예로, 상기 연장부(107)는 상기 수용홈(105)에서 하측(도 6참조)으로 연장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플랜지(106)는 생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extension portion 107 may take a form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ceiving groove 105 (see FIG. 6). In this case, the auxiliary flange 106 may be omitted.

이때, 상기 고정캡(200)에는 연장부(107)가 삽입되는 수용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xing cap 200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240 into which the extension portion 107 is inserted.

따라서, 고정돌기(109)가 형성된 커넥터(100)의 단부가 출수호스(300)의 상측(도 6 참조)에 압입된 상태에서, 고정캡(200)을 커넥터(100) 측으로 이동시키면, 고정캡(200)의 상단은 상기 플랜지(103)의 하단에 접촉하면서, 고정캡(200)의 이동은 제한된다. 그리고,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진 연장부(107)는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진 수용부(240)에 삽입된다. Therefore, when the end of the connector 100 o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109 is formed is pressed into the upper side (see FIG. 6) of the water outlet hose 300, when the fixing cap 200 is moved toward the connector 100, the fixing cap While the upper end of the 20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lange 103, the movement of the fixing cap 200 is limited. In addition, the extension portion 107 at least partially curved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240 at least partially curved.

또한, 고정캡(200)이 커넥터(100) 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압돌기(230)에 의해서, 출수호스(300)의 외측면에 내측으로 가압되고, 고정캡(200)의 상단이 상기 플랜지(103)의 하단에 접촉하면서, 고정캡(200)의 이동은 제한된 상태에서, 가압돌기(230)에 의해서, 출수호스(300)는 내측의 고정돌기(109)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fixing cap 200 toward the connector 100, by the pressing protrusion 230, it is pressed inwar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outlet hose 300, and the upper end of the fixing cap 200 is the flange While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103, the movement of the fixing cap 200 is limited, by the pressing protrusion 230, the outlet hose 300 can be continuously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fixing protrusion 109 .

또한, 상기 연장부(107)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홈(108)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40)에는 상기 삽입홈(108)에 삽입되게 둘레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삽입돌기(250)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tension portion 107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108 formed concave in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240 protrudes in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08 The inserted protrusion 250 may be formed.

상기 삽입돌기(250)와 삽입홈(108)이 형성되면, 상기 커넥터(100) 및 고정캡(200)의 둘레방향(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일부 구간이 아닌 전체 구간에서, 삽입돌기(250)가 삽입홈(108)에 삽입되기 때문에, 전체 구간에서 커넥터(100)와 고정캡(200)의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다. When the insertion protrusion 250 and the insertion groove 108 are formed,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100 and the fixing cap 200, the insertion protrusion 250 )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08,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nnector 100 and the fixing cap 200 can be secured in the entire section.

일 예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08) 및 삽입돌기(250)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insertion groove 108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250 may be formed to have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이 경우, 커넥터(100)에 고정캡(200)을 끼울 때,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삽입돌기(250)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삽입홈(108)에 곡면을 따라 매끄럽게 삽입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fixing cap 200 is fitted to the connector 100, the insertion protrusion 250 having a semicircular cross-section may be smoothly inserted along the curved surface into the insertion groove 108 having a semicircular cross-section.

다른 예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08)은 하단에 단턱(108a)을 형성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250)는 하단이 평면을 형성하고, 적어도 이부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그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경사(251)를 형성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ure 8, the insertion groove 108 is formed to form a stepped jaw (108a) at the lower end, the insertion protrusion 250 has a lower end to form a flat surface, at least two portion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s a result, the inclination 251 may be forme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thickness.

이 경우, 상기 커넥터(100)에 고정캡(200)을 끼울 때, 삽입돌기(250)의 경사(251)에 의해 삽입돌기(250)는 삽입홈(108)에 비교적 쉽게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삽입돌기(250)가 삽입홈(108)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홈(108)의 단턱(108a)에 삽입돌기(250)의 하단의 평면이 걸쳐지면서, 커넥터(100)와 고정캡(200)의 결합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fixing cap 200 is fitted to the connector 100, the insertion protrusion 250 can be relatively easily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08 by the slope 251 of the insertion protrusion 250. 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insertion protrusion 25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08, while the plane of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protrusion 250 is overlaid on the stepped jaw 108a of the insertion groove 108, the connector 100 and the fixing cap The bonding force of 200 may be further improv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100)의 단부에 복수의 고정돌기(109)가 형성되고, 복수의 고정돌기(109)에 출수호스(300)가 삽입되어, 커넥터(100)와 출수호스(300)는 복수의 위치에서 강제적으로 접촉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출수호스(300)와 커넥터(100)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09 are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or 100, and a water outlet hose 300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09, so that the connector 100 and the water outlet hose The 300 may be forcibly contact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nd as a result, the fixing force of the outlet hose 300 and the connector 100 may be improved.

또한, 커넥터(100)에서 출수호스(300)로 정수가 출수될 때, 그 수압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connector 100 to the water outlet hose 30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water leakage occurs due to the water pressure.

또한, 커넥터(100)에서 출수호스(300)로 정수가 출수될 때, 그 수압에 의해 출수호스(300)가 커넥터(100)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connector 100 to the water outlet hose 300, the phenomenon that the water outlet hose 300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100 by the water pressure may be prevented.

또한, 고정캡(200)이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호스(300)와 커넥터(100)의 결합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누수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고정캡(200)을 커넥터(100) 또는 공급호스(300)에 끼울 때, 체결부위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고정캡(200)을 끼울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xing cap 20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upply hose 300 and the connector 100 are coupled from the outside, and whether there is leakage, and the fixing cap 2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 100) or when fitting into the supply hose 300, while visually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the fixing cap 200 can be fitted, so that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커넥터(100) 및 고정캡(200)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일부 구간이 아닌 전체 구간에서, 걸림돌기(210)가 수용홈(105)에 삽입되기 때문에, 전체 구간에서 커넥터(100)와 고정캡(200)의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100 and the fixing cap 200, since the locking protrusion 2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05 in the entire section rather than a partial section, the connector 100 in the entire sectio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and the fixing cap 200 may be secured.

또한, 고정캡(100)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일부 구간이 아닌 전체 구간에서, 출수 호스(300)를 내측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전체 구간에서 커넥터(100)와 출수호스(300)의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xing cap 100, since the water outlet hose 300 is pressed inward in the entire section rather than some section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nnector 100 and the water outlet hose 300 in the entire section Can be secured.

Claims (13)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필터로 이루어진 필터모듈을 구비하여,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정화시킨 뒤, 정수의 상태로 공급하는 본체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출수노즐이 구비된 출수모듈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와 다른 필터를 연결하거나, 상기 필터모듈과 상기 출수모듈을 연결하는 호스 연결 모듈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필터의 출구와 연결되어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공급받고, 개방된 타측을 통해서 유입된 정수를 배출시키되, 개방된 타측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돌출된 링(ring) 형태의 고정돌기가 정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하여 복수 형성된 커넥터;
일측이 상기 커넥터의 개방된 타측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이웃하는 필터의 입구와 연결되거나, 상기 출수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의 개방된 타측으로 출수된 물을 상기 전달하는 탄성 재질의 출수호스; 및
상기 출수호스의 일측이 상기 커넥터의 타측을 감싸면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출수호스의 외측에서 상기 출수호스를 가압하면서 상기 출수호스를 커버하는 중공 형상의 고정캡을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는,
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유입부와, 정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부는 외측 둘레를 따라서, 플랜지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플랜지와 상기 배출구 사이 구간에 상호 이격하여 3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고정돌기는,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타측에서 상기 플랜지가 형성된 일측으로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커지면서 형성된 경사면을 형성하되,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커넥터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돌기 경사면의 각도는 상기 플랜지가 형성된 일측에 형성된 고정돌기 경사면의 각도보다 크게 형성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The body is provided with a filter module made of at least one filter inside to purify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n supplies it in a state of purified wat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body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to receive the purified water generated in the body. In a hose connection module installed in a water treatment device including a water outlet module provided with a water outlet nozzle supplied to a user, and connects the filter and another filter, or connects the filter module and the water outlet modul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filter to receive the purifi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and discharges the purified water that has flowed through the other open side, but there is a ring-shaped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along the peripher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open A plurality of connecto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purified water;
An elastic material whose one side is connect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open side of the connector,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a neighboring filter, or is connected to the water outflow module, to deliver the water discharged to the other open side of the connector. Water outlet hose; And
Comprising a hollow fixing cap that covers the outlet hose while pressing the outlet hose from the outside of the outlet hose so that one side of the outlet hose surrounds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or and remains connected,
The connector,
An inlet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is introduced and an outlet having an outlet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are formed, and the discharge part forms a flange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and the fixing protrusion is mutually spaced between the flange and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by three or more,
Each of the fixing protrusions form an inclined surface formed with a thickness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other side where the outlet is formed to one side where the flange is formed,
A hose connection module for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the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or having the outlet formed is greater than the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lan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는 수직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or is made of a bent shape, the hose connection module for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formed vertical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플랜지의 타측에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수용홈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or is a hose connection for a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receiving groove in a concave shape is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other side of the flange, and a lock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one side of the fixing cap modul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그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The locking protrusion is a hose connection module for a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narrow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경사면의 일측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1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 사이에는 상기 제1평면과 단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평면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제2평면이 형성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protrusion forms a first plane in which the thickness of one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is kept constant,
A hose connection module for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a second plane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first plane is formed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s to form the first plane and the stepped por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호스의 내경은,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부의 단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The method of claim 5,
The hose connection module for a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water outlet hose is formed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an end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ion in which the outlet is formed, and is formed small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first plan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호스의 내경은, 상기 제2평면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The method of claim 6,
The hose connection module for a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water outlet hose is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pla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은, 내측에 상기 출수호스를 가압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cap is a hose connection module for a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with a pressure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to pressurize the water outlet hose insid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플랜지와 상기 고정돌기 사이에, 상기 플랜지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곡면으로 이루어진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의 일측은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게 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곡면으로 이루어진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nector has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lange between the flange and the fixing protrusion, and an extension portion formed of a curved surface is formed,
One side of the fixing cap is formed concave 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extension is inserted, and the hose connection module for a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portion formed of a curved surface is formed.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게 둘레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삽입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The method of claim 9,
An insertion groove formed concave inward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extension part,
A hose connection module for a water treatment apparatus,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has an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inwardly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 및 삽입돌기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The method of claim 10,
The hose connection module for a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are formed to have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은 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cap is a hose connection module for a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의 적어도 일부의 내경은 상기 공급호스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A hose connection module for a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iameter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fixing cap is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ly hose.
KR1020200107836A 2020-08-26 2020-08-26 hose connecting module for water trearment system KR1022237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836A KR102223794B1 (en) 2020-08-26 2020-08-26 hose connecting module for water trear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836A KR102223794B1 (en) 2020-08-26 2020-08-26 hose connecting module for water trearment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660A Division KR20200005216A (en) 2018-07-06 2018-07-06 hose connecting module for water trearme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139A true KR20200106139A (en) 2020-09-11
KR102223794B1 KR102223794B1 (en) 2021-03-05

Family

ID=7247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836A KR102223794B1 (en) 2020-08-26 2020-08-26 hose connecting module for water trear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79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907B1 (en) 2021-06-02 2023-04-13 (주)청호시스템 pipe connecting module for fluid delivery
KR102557895B1 (en) 2021-06-02 2023-07-24 (주)청호시스템 hose connecting module for fluid delivery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2850A (en) 2011-12-22 2013-07-02 김보섭 Connecting construction for fitting water drain hose
KR200469264Y1 (en) * 2011-11-02 2013-10-01 정휘동 Tubing conjunction structuer for water purifying filter
KR20180031328A (en) * 2016-09-20 2018-03-28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Plastic pipe connection of liquid pipings connection system with foreign material preventing member using multi lay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264Y1 (en) * 2011-11-02 2013-10-01 정휘동 Tubing conjunction structuer for water purifying filter
KR20130072850A (en) 2011-12-22 2013-07-02 김보섭 Connecting construction for fitting water drain hose
KR20180031328A (en) * 2016-09-20 2018-03-28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Plastic pipe connection of liquid pipings connection system with foreign material preventing member using multi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794B1 (en) 202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3794B1 (en) hose connecting module for water trearment system
US7871023B2 (en) Two-part flow regulator, jet regulator or backflow preventer having a snap-in joint between the parts
CA2600686C (en) Functional plumbing unit
CN108915918B (en) Treatment device for treating a fluid, in particular a liquid fluid, and treatment element of a treatment device
US20180078884A1 (en) Module for connecting flow tubes, and water purifier having same
JPS63162029A (en) Device for introducing fluid into receiving medium such as liquid, particularly, one for facility for treating water
KR20200005216A (en) hose connecting module for water trearment system
RU2436617C2 (en) System of water treatment and filtering element for such system
KR20120125484A (en) Strainer
CN116585790A (en) External filter equipment of play water spare
KR101826876B1 (en) Pipe assembly modul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101776256B1 (en) The Piping Onebody Cover for Water purifier
CN215457350U (en) Water bucket holder assembly for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nd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comprising same
KR0146834B1 (en) Fixing apparatus for filter of water purifier
KR20150024578A (en)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CN211176751U (en) Descaling device for steam iron boiler system
KR102115470B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pip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20040042498A (en) Filtering device for a water purifier
KR101306776B1 (en) Filter Assembly for Water Purifier
KR101298595B1 (en) Connecting apparatus for filter cartridge
KR102115321B1 (en) Filter Module for Filtering Micro Dust of Purifier
KR20090025015A (en) Fitting
CN214654027U (en) Filtering structure for beauty treatment
KR20090017034A (en) Fitting
CN220530904U (en) External filter equipment of play water sp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