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814A - 장소기억법을 사용한 vr/ar 기반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장소기억법을 사용한 vr/ar 기반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814A
KR20200104814A KR1020200022884A KR20200022884A KR20200104814A KR 20200104814 A KR20200104814 A KR 20200104814A KR 1020200022884 A KR1020200022884 A KR 1020200022884A KR 20200022884 A KR20200022884 A KR 20200022884A KR 20200104814 A KR20200104814 A KR 20200104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memory
place
plac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훈
Original Assignee
한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지훈 filed Critical 한지훈
Publication of KR20200104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8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Abstract

장소기억법을 사용한 VR/AR 기반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며, 장소기억법을 사용한 VR/AR 기반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가상의 3차원 공간인 기억장소와 상기 기억장소에 매칭된 학습콘텐츠를 포함하는 장소기억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선택된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에 기 매칭된 학습콘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학습하도록 상기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장소기억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소기억법을 사용한 VR/AR 기반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VR/AR BASED EDUCATION PLATFORM PROVIDING SYSTEM USING METHOD OF LOCI AND THEREOF METHOD}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장소기억법을 사용한 VR/AR 기반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생성한 기억장소, 기억장소에 배치되는 기억객체, 기억객체에 매칭되는 학습콘텐츠 각각을 매칭하여 장소기억법을 이용한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장소기억콘텐츠를 타 사용자와 공유하는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억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억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장소와 기억할 콘텐츠를 매칭하여 기억력을 높이는 장소기억법이 알려져 있다.
특히, 영어단어의 암기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의 생활환경 내의 장소 또는 사물에 영어단어를 매칭하는 방식으로 장소기억법이 사용된다.
하지만, 사용자는 자신의 생활환경이 한정됨에 따라 실제 암기하여야 할 콘텐츠와 연관성이 높은 장소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매칭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 10-2017-0001512 호는 질문과 답 기억법으로 학습자가 알고 있는 장소나 사물 혹은 사람을 사용해서 기억하고자 하는 내용을 쉽게 기억해 내는 “Method of Loci” 라고 알려진 기억법 혹은 “연상 기억법”에서, 기억 항목을 기억시키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을 뿐, 상술된 바와 같이 연관성 높은 장소를 선택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장소기억법을 사용한 VR/AR 기반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장소기억콘텐츠를 구성하는 기억장소, 기억객체 또는 학습콘텐츠 각각을 사용자가 생성하고, 생성된 기억장소, 기억객체 또는 학습콘텐츠를 사용자가 조합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하는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생성한 장소기억콘텐츠를 타 사용자에게 공유하는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장소기억콘텐츠를 통해 학습콘텐츠를 학습한 사용자에게 테스트를 제공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평가하는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기초로 장소기억콘텐츠를 추천하는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기초로 장소기억콘텐츠의 순위를 제공하는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육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가상의 3차원 공간인 기억장소와 상기 기억장소에 매칭된 학습콘텐츠를 포함하는 장소기억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선택된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에 기 매칭된 학습콘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학습하도록 상기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장소기억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제공시스템이 교육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가상의 3차원 공간인 기억장소와 상기 기억장소에 매칭된 학습콘텐츠를 포함하는 장소기억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된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에 기 매칭된 학습콘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학습하도록 상기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제공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 상기 플랫폼제공방법은,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가상의 3차원 공간인 기억장소와 상기 기억장소에 매칭된 학습콘텐츠를 포함하는 장소기억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된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에 기 매칭된 학습콘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학습하도록 상기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제공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며 플랫폼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으로 상기 플랫폼제공방법은,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가상의 3차원 공간인 기억장소와 상기 기억장소에 매칭된 학습콘텐츠를 포함하는 장소기억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된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에 기 매칭된 학습콘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학습하도록 상기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장소기억법을 사용한 VR/AR 기반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장소기억콘텐츠를 구성하는 기억장소, 기억객체 또는 학습콘텐츠 각각을 사용자가 생성함으로써 개별적인 분업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기억장소, 기억객체 또는 학습콘텐츠를 사용자가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생성한 장소기억콘텐츠를 타 사용자에게 공유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장소기억콘텐츠가 유통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장소기억콘텐츠를 통해 학습콘텐츠를 학습한 사용자에게 테스트를 제공하여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는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기초로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추천순위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효과적인 장소기억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평가에 기초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장소기억콘텐츠 생성을 유도할 수 있는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제공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제공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8 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학습콘텐츠’는 사용자가 일반적인 학습과정에서 암기하는 콘텐츠로 예를 들어, 영어단어, 수학공식, 화학기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기억장소’는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가상의 3 차원 공간으로 예를 들어,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기억객체’는 기억장소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가상의 객체로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가지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기억객체의 상태가 전이될 수 있다. 그리고 기억객체는 학습콘텐츠와 매칭될 수 있으며, 기억객체의 각 상태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학습콘텐츠가 매칭될 수 있다.
위에 정의한 용어 이외에 설명이 필요한 용어는 아래에서 각각 따로 설명한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제공시스템(10)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러한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서버-클라이언트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전자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나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전자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가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제 3 의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전자단말기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서버로 구현될 경우, 플랫폼제공시스템(10)을 구성하는 구성부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입출력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플랫폼제공시스템(1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11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플랫폼제공시스템(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플랫폼제공시스템(1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가상의 3차원 공간인 기억장소를 통해 학습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기억장소를 생성하거나 학습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편집인터페이스를 사용자단말(미도시)로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기억장소 및 학습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에게 기억장소인 사무실 공간을 생성할 수 있도록 벽, 문, 책상, 사무용품 등 기 설정된 가상의 객체 등을 편집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가상의 사무실을 기억장소로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편집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영어 문장을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된 복수의 영어 문장을 포함하여 생성된 학습콘텐츠인 ‘영작 작문’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실시예에 따라, 기억장소 또는 학습콘텐츠를 한 명의 사용자로부터 획득하거나 서로 다른 사용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제 1 사용자가 생성한 3차원의 가상공간인 기억장소 ‘가정집과 ‘가정집’에 배치되는 기억객체인 ‘가구, 가전제품’ 등을 제 1 사용자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제 2 사용자가 생성한 ‘토익 700점 영어 단어’ 또는 ‘천자문’ 등을 학습콘텐츠로 제 2 사용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기억장소 또는 학습콘텐츠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기억장소를 자연, 건축물, 장소 등으로 분류할 수 있고, 분류된 ‘건축물’에 대해 ‘집, 빌딩, 병원’ 등으로 추가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학습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영어, 수학 또는 과학 등으로 분류하거나 또는 학습콘텐츠의 형식에 따라 단어, 수학식, 문장 등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장소기억콘텐츠의 생성을 위해 기억장소 및 학습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리스트를 통해 기억장소 및 학습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되었거나 또는 기 저장된 기억장소인 ‘집, 병원, 공원’ 등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기억장소 리스트에서 장소기억콘텐츠의 생성에 이용할 기억장소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되었거나 또는 기 저장된 학습콘텐츠인 ‘토익단어모음, 토플단어모음, 중1 단어모음’ 등 영어단어모음 등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학습콘텐츠 리스트에서 장소기억콘텐츠의 생성에 이용할 학습콘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기억장소 및 학습콘텐츠에 기초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억장소에 기억객체의 배치를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기억객체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학습콘텐츠인 ‘토익 700점 영어단어’의 각 단어와 매칭될 기억객체를 선택받아 기억객체와 영어 단어간의 매칭관계를 생성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억장소에 배치된 기억객체에 매칭할 학습콘텐츠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기억객체와 학습콘텐츠 간 매칭을 기초로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학습콘텐츠를 분석하여 학습콘텐츠와 관련된 기억장소를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학습콘텐츠가 식당에서 사용되는 영어단어인 것으로 분석되면, 기 저장된 기억장소인 사무실, 주방, 식당 중 학습콘텐츠가 사용되는 기억장소인 식당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고, 추천된 기억장소와 영어단어간 매칭관계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학습콘텐츠인 화학원소기호와 유사도가 높은 학습콘텐츠가 매칭된 타 사용자의 장소기억콘텐츠를 식별하여 식별된 타 사용자의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고, 추천된 기억장소와 화학원소기호간 매칭관계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학습콘텐츠가 속하는 분류에서 타 사용자들에 의해 추천수가 높은 기억장소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고, 추천된 기억장소와 학습콘텐츠 간 매칭관계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학습콘텐츠를 기초로 학습콘텐츠와 관련도있는 기억장소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기억장소와 학습콘텐츠를 매칭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콘텐츠가 병원에서 사용되는 용품의 영문명칭인 경우, 제어부(120)는 학습콘텐츠를 분석하여 영어단어의 의미와 관련도가 높은 기억장소를 검색하되 검색된 기억장소에 포함된 기억객체와 대응되는 의미를 가진 영어단어를 매칭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기억객체가 복수의 상태를 갖는 경우, 제어부(120)는 기억객체의 상태별로 학습콘텐츠가 매칭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억객체가 ‘창문’인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창문이 열린 상태에 대해 영어단어인 ‘wind’를 매칭할 수 있고, 창문이 닫힌 상태에 대해 영어단어인 ‘block’을 매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기억객체의 상태별로 보다 적합한 학습콘텐츠 매칭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생성된 장소기억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장소기억콘텐츠를 이용한 학습을 수행하려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장소기억콘텐츠가 나열된 장소기억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학습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학습할 학습콘텐츠가 포함된 장소기억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장소기억콘텐츠를 선택하면, 제어부(120)는 선택된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에 기 매칭된 학습콘텐츠를 사용자가 학습하도록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등의 방법으로 기억장소인 ‘주방’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주방’에 배치된 기억객체인 ‘가스레인지’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사용자입력을 획득하면 ‘가스레인지’의 상태별로 대응되는 학습콘텐츠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장소기억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생성한 장소기억콘텐츠를 포함한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리스트로부터 어느 하나의 장소기억콘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타 사용자가 공유한 장소기억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타 사용자가 생성한 장소기억콘텐츠 중 타 사용자가 공유를 허락한 장소기억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장소기억콘텐츠 리스트에 포함시켜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사용자에게 장소기억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학습이력에 기초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학습한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학습콘텐츠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학습콘텐츠를 이용한 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고, 타 사용자가 학습한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학습콘텐츠 중 사용자가 학습하지 않은 학습콘텐츠를 포함하는 장소기억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학습한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중 3 영어단어’ 학습콘텐츠를 기초로 학습콘텐츠가 속한 학습분야인 영어의 공교육 정규과정에서 사용자의 학습진도를 ‘중 3’ 으로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사용자의 학습진도 다음 단계인 ‘고 1’ 에 대응되는 영어 학습콘텐츠가 포함된 장소기억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에 기초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에 의해 공유된 장소기억콘텐츠를 이용한 사용자들의 평가에 기초하여 나열된 순서에 따라 장소기억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학습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학습콘텐츠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학습콘텐츠를 포함하는 장소기억콘텐츠 중 순위가 높은 장소기억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장소기억콘텐츠를 선택하면, 제어부(120)는 선택된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에 기 매칭된 학습콘텐츠를 사용자가 학습하도록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단말(미도시)을 통해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방식으로 기억장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기억장소와 기억장소에 배치된 기억객체 각각에 매칭된 학습콘텐츠를 사용자입력에 따라 제공하거나 기억장소 또는 기억객체에 대한 사용자입력에 따라 학습콘텐츠의 학습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학습콘텐츠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장소기억콘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에게 제공된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학습콘텐츠와 관련된 테스트를 제공하고, 제공된 테스트에 대한 사용자응답에 기초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학습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학습콘텐츠와 관련된 문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학습정도를 평가할 수 있으며, 평가결과에 기초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평가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장소기억콘텐츠를 테스트용으로 제공할 수 있고, 장소기억콘텐츠의 기억장소에 배치된 기억객체 각각에 대해 매칭된 학습콘텐츠를 제한시간 내에 입력할 것으로 요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학습콘텐츠 입력 개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학습정도를 평가할 수 있고, 평가결과에 기초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평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공유한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해 타 사용자의 평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타 사용자에게 공유할 장소기억콘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고, 선택된 장소기억콘텐츠를 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공유된 장소기억콘텐츠를 제공받은 타 사용자로부터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평가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평가에 기초하여 장소기억콘텐츠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학습콘텐츠의 카테고리에 따라 장소기억콘텐츠를 ‘영어, 수학, 과학’ 등으로 분류할 수 있고, 분류된 카테고리 별로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평가점수에 따라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해 결정된 순위에 기초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장소기억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생성한 기억장소 및 학습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생성한 기억장소 또는 학습콘텐츠를 타 사용자가 장소기억콘텐츠의 생성에 이용한 횟수에 기초하여 횟수당 기 설정된 금액을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생성한 기억장소 또는 학습콘텐츠에 대한 타 사용자의 추천횟수가 기 설정된 추천횟수를 초과하면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되, 기 설정된 추천횟수를 초과한 추천횟수에 따라 보상을 달리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해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평가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순위인 5위 내에 랭크되면 사용자에 대해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공유한 장소기억콘텐츠를 타 사용자가 선택하여 제공받은 횟수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3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
메모리(140)에는 파일,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메모리(140)에는 플랫폼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장소기억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와 타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기억장소 및 학습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제공방법은 도 1 에 도시된 플랫폼제공시스템(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 에 도시된 플랫폼제공시스템(1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제공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 은 도 2 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된다. 도 3내지 도 8 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플랫폼제공방법이 제공되는 전자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나타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로부터 기억장소 및 학습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S2001).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로부터 기억장소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가 기억장소를 생성할 수 있는 편집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가상의 3차원 초기공간과 초기공간에 배치될 수 있는 기억객체를 편집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기억객체를 초기공간에 배치받을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에 의해 기억객체가 배치된 공간인 기억장소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기억공간을 타 유저에게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기억공간을 타 유저가 이용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기억공간을 타 유저에게 공유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기억장소를 생성할 수 있는 편집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단말(미도시)로 편집인터페이스(301)와 초기공간(302)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입력에 따라 기억객체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인 거실(303)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기억객체인 ‘자유의 여신상’(304)을 거실(303)에 배치하여 기억장소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생성된 ‘거실’ 기억장소를 타 유저에게 공유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입력수단(305)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학습콘텐츠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에게 학습콘텐츠를 입력할 수 있도록 편집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편집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습콘텐츠의 명칭으로 ‘중 3 영어’와 학습콘텐츠를 구성하는 학습데이터로 영어 단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제공시스템(10)이 획득하는 기억장소와 학습콘텐츠를 동일한 사용자로부터 획득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사용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기억장소와 학습콘텐츠를 매칭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2002).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기억장소와 학습콘텐츠를 매칭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생성한 기억장소 또는 타 사용자에 의해 공유된 기억장소를 포함하는 기억장소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기억장소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기억장소를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선택된 기억장소에 배치된 기억객체 각각에 매칭될 학습콘텐츠로 기 생성된 학습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거나 또는 기억객체 별로 매칭될 학습콘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로부터 기억장소로 ‘거실’(401)을 선택받을 수 있고, 기억장소인 ‘거실’(401)에 매칭할 학습콘텐츠로 ‘중 3 영어’(402)를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기억장소로 선택된 ‘거실’(401)에 배치된 기억객체인 ‘액자’(403)를 선택받으면,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선택된 ‘액자’(403)에 매칭할 ‘중 3 영어’(402)에 포함된 영어 단어 리스트(404)를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리스트에서 ‘Hang’(405)을 선택받아 ‘액자’(403)와 매칭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학습콘텐츠를 분석하여 분석된 학습콘텐츠에 대응되는 기억장소를 선택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삼국역사’ 학습콘텐츠를 분석하여 학습콘텐츠를 구성하는 학습데이터인 연도별 사건을 식별할 수 있고, 기억장소 중 ‘박물관’ 또는 ‘도서관’ 과 같이 기억객체가 나열되어 있는 기억장소를 선택할 수 있고, 나열된 기억객체에 순차적으로 학습데이터를 매칭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생성된 장소기억콘텐츠를 타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불특정 타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생성한 장소기억콘텐츠를 공유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타 사용자(친구관계를 형성한 타 사용자)만이 장소기억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한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도 5 는 사용자가 생성한 장소기억콘텐츠를 공유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장소기억콘텐츠의 생성을 완료한 사용자에게 공유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입력수단을 포함한 알리메시지(501)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공유하기’(502)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생성한 ‘중 3 영어- 거실’을 타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공유할 수 있다.
이후,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로부터 장소기억콘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다(S2003).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에게 장소기억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장소기억콘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에게 S2001단계에서 사용자가 생성한 장소기억콘텐츠 또는 타 사용자가 생성하여 공유한 장소기억콘텐츠 등을 포함하는 장소기억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장소기억콘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장소기억콘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장소기억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장소기억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플랫폼(601)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가능한 장소기억콘텐츠 리스트(602)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리스트(602)에 포함된 장소기억콘텐츠 중 ‘중3영어-거실’(603)를 선택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의 학습이력에 기초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가 생성한 장소기억콘텐츠의 학습콘텐츠, 사용자가 선택한 장소기억콘텐츠 또는 동일한 장소기억콘텐츠를 반복 선택한 횟수 등을 기초로 사용자의 학습수준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사용자의 학습수준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장소기억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장소기억콘텐츠인 ‘중 3 영어-거실’(603)를 반복 선택한 경우,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중 3 영어-거실’의 학습콘텐츠에 포함된 영어단어와 중첩되는 영어단어의 개수를 기준으로 타 사용자가 공유한 장소기억콘텐츠인 ‘토익 650점-도서관’(604)을 추천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에 기 매칭된 학습콘텐츠를 사용자가 학습하도록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S2004).
예를 들어,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가 선택한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를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기억장소에 배치된 기억객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억객체에 매칭된 학습콘텐츠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장소기억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면, 플랫폼제공시스템(10)은 사용자가 선택한 장소기억콘텐츠인 ‘중 3 영어-기술’(603)의 기억장소인 ‘거실’(701)을 가상현실로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거실’(701)에 배치된 ‘액자’(702)를 선택하면 사용자에게 ‘액자’(702)에 매칭된 학습콘텐츠의 입력을 요청하는 입력창(703)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제공장치(10)는 장소기억콘텐츠를 평가할 수 있다(S2005).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제공장치(10)는 장소기억콘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에 대해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학습콘텐츠와 관련된 테스트를 제공하고, 제공된 테스트에 대한 사용자응답에 기초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제공장치(10)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장소기억콘텐츠인 ‘중 3 영어-거실’에 포함된 학습콘텐츠인 ‘중 3 영어’에 포함된 영문단어에 대해 영어단어와 단어의미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고, 그에 대응되는 답을 입력하는 테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제공장치(10)는 테스트에 대한 정답수를 기초로 ‘중 3 영어-거실’에 대한 평가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제공장치(10)는 장소기억콘텐츠를 이용한 타 사용자의 추천수에 기초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제공장치(10)는 장소기억콘텐츠를 이용한 타 사용자가 부여한 추천점수 또는 타 사용자가 장소기억콘텐츠를 선택한 횟수 등을 기초로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평가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제공장치(10)는 타 사용자의 평가점수와 타 사용자가 장소기억콘텐츠를 선택한 횟수에 가중치를 달리하여 평가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제공장치(10)는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평가에 기초하여 장소기억콘텐츠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제공장치(10)는 사용자의 테스트 결과를 기초로 결정된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평가점수와 장소기억콘텐츠를 사용한 타 사용자의 추천횟수 등을 기초로 결정된 장소기억콘텐츠의 평가를 기초로 플랫폼제공장치(10)가 제공하는 모든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소기억콘텐츠의 평가순위를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플랫폼제공장치(10)는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기초로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학습콘텐츠의 분야인 영어(801), 수학(802), 과학(803) 별로 장소기억콘텐츠의 순위를 결정하여 리스트(804)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플랫폼제공장치(10)는 일정 기간동안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타 사용자의 추천수를 기초로 장소기억콘텐츠의 순위를 결정하여 추천수가 가장 높은 장소기억콘텐츠인 ‘주기율표-공부방’(805)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플랫폼제공장치(10)는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평가에 기초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제공장치(10)는 장소기억콘텐츠의 순위에 기초하여 순위 별로 기 설정된 금액과 해당 순위가 유지되는 기간에 기초하여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제공장치(10)는 장소기억콘텐츠가 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횟수 또는 타 사용자가 추천한 횟수를 기초로 1회당 기 설정된 금액을 사용자에게 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 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제공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도 2 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제공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제공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플랫폼제공시스템
110: 입출력부
120: 제어부
130: 통신부
140: 메모리

Claims (18)

  1.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가상의 3차원 공간인 기억장소와 상기 기억장소에 매칭된 학습콘텐츠를 포함하는 장소기억콘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선택된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에 기 매칭된 학습콘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학습하도록 상기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장소기억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플랫폼제공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장소 및 상기 학습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와 타 사용자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기억장소 및 학습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하는, 플랫폼제공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타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상기 기억장소 및 상기 학습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기억장소 및 상기 학습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억장소와 학습콘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하는, 플랫폼제공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장소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기억객체와 상기 학습콘텐츠간의 매칭관계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하는, 플랫폼제공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생성된 장소기억콘텐츠를 타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공된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타 사용자의 평가를 획득하는, 플랫폼제공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학습콘텐츠와 관련된 테스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공된 테스트에 대한 사용자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장소기억콘텐츠를 평가하는, 플랫폼제공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장소기억콘텐츠의 순위를 결정하는, 플랫폼제공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플랫폼제공시스템.
  9. 플랫폼제공시스템이 교육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가상의 3차원 공간인 기억장소와 상기 기억장소에 매칭된 학습콘텐츠를 포함하는 장소기억콘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된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에 기 매칭된 학습콘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학습하도록 상기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기억장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랫폼제공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제공방법은,
    상기 기억장소 및 상기 학습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와 타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기억장소 및 학습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랫폼제공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와 상기 타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상기 기억장소 및 상기 학습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저장된 상기 기억장소 및 상기 학습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억장소와 학습콘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랫폼제공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억장소와 학습콘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억장소에 배치된 기억객체와 학습콘텐츠간의 매칭관계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랫폼제공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제공방법에 있어서,
    생성된 장소기억콘텐츠를 타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공된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타 사용자의 평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랫폼제공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소기억콘텐츠에 포함된 학습콘텐츠와 관련된 테스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제공된 테스트에 대한 사용자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장소기억콘텐츠를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랫폼제공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장소기억콘텐츠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랫폼제공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소기억콘텐츠에 대한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장소기억콘텐츠를 생성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랫폼제공방법.
  17. 제 9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8. 플랫폼제공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며, 제 9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22884A 2019-02-27 2020-02-25 장소기억법을 사용한 vr/ar 기반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048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22873 2019-02-27
KR1020190022873 2019-0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814A true KR20200104814A (ko) 2020-09-04

Family

ID=7247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884A KR20200104814A (ko) 2019-02-27 2020-02-25 장소기억법을 사용한 vr/ar 기반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48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7003B1 (ja) * 2021-08-06 2022-02-14 Acラーニング株式会社 学習支援装置、学習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学習支援方法
WO2023008607A1 (en) * 2021-07-28 2023-02-02 Ridi Nourin Haque Chemistry education de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of providing chemistry education service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607A1 (en) * 2021-07-28 2023-02-02 Ridi Nourin Haque Chemistry education de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of providing chemistry education service using the same
JP7007003B1 (ja) * 2021-08-06 2022-02-14 Acラーニング株式会社 学習支援装置、学習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学習支援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llger et al. In search of visualization challenges: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visualization tools for supporting dialogue in urban planning processes
Tezci Factors that influence pre-service teachers’ ICT usage in education
Toepoel et al. What happens if you offer a mobile option to your web panel? Evidence from a probability-based panel of internet users
Aguilar et al. Social learning analytics for determining learning styles in a smart classroom
Cacciamani et al. Factors affecting students' acceptance of tablet PCs: A study in Italian high schools
Cox et al. Def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for librarians
Bridges et al. That was then, this is now: Replacing the mobile-optimized site with responsive design
TWI622941B (zh) 移動裝置、用於預測使用者行為的方法、及非暫時性電腦可讀取儲存媒體
JP6322707B2 (ja) 学習リコメンデーションシミュレーションのシステム及び方法
CA2900253A1 (en) Matching users of a network based on profile data
US202300366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ploring a personal interest space
KR20200104814A (ko) 장소기억법을 사용한 vr/ar 기반 교육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Hahn et al. Rapid prototyping a collections-based mobile wayfinding application
KR20210026999A (ko) 아동 발달 분석 장치 및 방법
Pati et al. Methodological issues in conducting post-occupancy evaluations to support design decisions
US20170256177A1 (en) Genealogy and hereditary based analytics and delivery
Tidal One site to rule them all, redux: The second round of usability testing of a responsively designed web site
US20160364996A1 (en) Matching learning content to learners
US10296624B2 (en) Document curation
Fernex et al. Articulating perspectives on international and social mobility in higher education
Pangestu et al. Food recipe finder mobile applications based on similarity of materials
Grey et al. Database mobile accessibility assessment at Adelphi University Libraries
Joseph et al. Analysis of EZproxy server logs to visualise research activity in Curtin’s online library
KR20220113230A (ko) 평생교육을 위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Nikolakis et al. On an evolutionary information system for personalized support to plant oper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