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275A -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피드 스프레이어 원격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피드 스프레이어 원격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275A
KR20200104275A KR1020200107600A KR20200107600A KR20200104275A KR 20200104275 A KR20200104275 A KR 20200104275A KR 1020200107600 A KR1020200107600 A KR 1020200107600A KR 20200107600 A KR20200107600 A KR 20200107600A KR 20200104275 A KR20200104275 A KR 20200104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remote control
image
virtual realit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책
Original Assignee
권대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대책 filed Critical 권대책
Priority to KR1020200107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4275A/ko
Publication of KR20200104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44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by providing the operator with a computer generated representation of the environment of the vehicle, e.g. virtual reality, map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83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with gaze detection, i.e. detecting the lines of sight of the viewer's ey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05D2201/02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기계 원격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농기계를 원격에서 조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는, 주변에 대한 주변 영상을 생성하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조정부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조정부로부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한 원격조정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조정부속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조정대상체와; 원격 조정자의 신체 부위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신체 부위 위치 및 전송받은 상기 주변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 조정자에게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조정부속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조정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원격조정대상체로 전송하는 원격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피드 스프레이어 원격 조정 장치{Appararus for remote-controlling speed sprayer using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스피드 스프레이어(speed sprayer) 원격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스피드 스프레이어를 원격에서 조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피드 스프레이어는 농업을 행하는 자가 직접 운전을 하며 농약을 살포하도록 설계되어 농약의 중독과 전복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가 매년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원격조정기(리모콘)를 이용하여 조작을 수행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가 출시되었다.
상기 기존에 개발되어진 원격조정기(리모콘)로 조작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는 원격 조정을 원격 조정자가 멀리서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움직임만을 주시하면서 원격조정기(리모콘)를 이용해 조정하여 기계의 현재 지형을 정확히 판단하지 못한 채로 이루어져 정확한 작업을 진행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기계-작물-조정자 간의 사각 지역이 생길 경우 정밀한 원격 조정이 불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이 극히 낮아지거나 심지어는 스피드 스프레이어가 전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원격지에서 원격조정대상체를 원활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대상체의 주변 영상을 가상현실 영상으로 원격 조정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작업하는 대상체의 주변의 모습을 원격지의 원격 조정자에게 현장감 있게 제공하기 위하여 주변 영상 중에서 원격 조정자의 머리 방향 및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체 부위 위치의 변화에 따라 다른 주변 부분으로 변화시키는 가상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는, 주변에 대한 주변 영상을 생성하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조정부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조정부로부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한 원격조정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조정부속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조정대상체와; 구비된 위치 감지 센서를 통해 원격 조정자의 신체 부위 위치 중 상기 원격 조정자의 머리 방향 및 상기 원격 조정자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전송받은 상기 주변 영상 중에서 감지된 상기 머리 방향의 변화에 따른 제1 방향의, 및 상기 시선 방향의 변화에 따른 제2 방향의 다른 주변 부분을 보여주는 영상으로 변화시키는 가상현실 영상을 상기 원격 조정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조정부속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조정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원격조정대상체로 전송하는 원격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조정대상체는, 360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주변 영상을 생성하거나, 또는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를 이용하여 생성된 전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을 포함하는 상기 주변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정부속기기는 다수의 조정부속기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조정제어신호는 상기 다수의 조정부속기기들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다수의 원격조정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조정대상체는 농기계이고, 상기 농기계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조정부는, 상기 원격 조정자에게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원격 조정자의 신체 부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가상현실 헤드셋과; 상기 조정부속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조정신호를 생성하는 원격 조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정부속기기는 다수의 조정부속기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조정신호는 상기 다수의 조정부속기기들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다수의 원격조정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은,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그래픽스 신호를 전송받아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출력부와, 상기 신체 부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상기 원격 조정자의 머리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와 상기 원격 조정자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그래픽스 신호는, 상기 원격 조장자의 머리 방향 및 상기 원격 조정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상기 주변 영상을 변화시키는 가상현실 영상을 상기 원격 조정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상현실 영상은, 상기 머리 방향의 회전에 따라 상기 주변 영상이 회전하게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시선 방향에 따라 상기 원격조정대상체의 전방 영상 또는 상기 원격조정대상체의 후방 영상이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지에서 원격조정대상체를 원활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대상체의 주변 영상을 가상현실 영상으로 원격 조정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작업하는 대상체의 주변의 모습을 원격지의 원격 조정자에게 현장감 있게 제공하기 위하여 주변 영상 중에서 원격 조정자의 머리 방향 및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체 부위 위치의 변화에 따라 다른 주변 부분으로 변화시키는 가상 현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조정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조정자에게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speed sprayer)(10)와, 스피드 스프레이어(10)를 원격에서 조정하기 위한 원격 조정부(20,20-1)와, 액세스 포인트(AP)(31, 32)를 포함하고 스피드 스프레이어(100)와 원격 조정부(20, 20-1)를 통신 연결하기 위한 통신망(3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드 스프레이어(10)는 구비하고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주변의 영상정보를 주변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근방의 액세스 포인트(31)를 통해 무선 접속한 통신망(30)을 이용하여 원격 조정부(20, 20-2)로 전송한다.
스피드 스프레이어(10)는 통신망(30)으로부터 전송받은 원격조정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시동부, 운전부, 스프레이부를 포함하는 조정부속기기들을 제어하여 원격조정이 가능하게 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31)는 스피드 스프레이어(10)와 통신망(30)의 무선 통신을 중계한다.
액세스 포인트(32)는 원격 조정부(20)와 통신망(30)의 무선 통신을 중계한다.
통신망(30)은 스피드 스프레이어(10)와 원격 조정부(20, 20-2)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통신망(30)은 바람직하게 인터넷망이거나 무선데이터 전송시스템(와이파이)일 수 있다. 스피드 스프레이어(10)와 원격 조정부(20, 20-2)는 피어투피어(peer-to-peer)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원격 조정부(20)는, 통신망(3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스피드 스프레이어(10)로부터 수신한 주변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스피드 스프레이어(10)의 주변 영상을 조정자에게 디스플레이해 주고, 생성된 원격조정제어신호를 스피드 스프레이어(10)로 전송한다.
원격 조정부(20-2)는, 통신망(3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스피드 스프레이어(10)로부터 수신한 주변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스프드 스프레이어(10)의 주변 영상을 조정자에게 디스플레이해 주고, 생성된 원격조정제어신호를 스피드 스프레이어(10)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드 스프레이어(10)는, 외부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12)과,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와,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16)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조정되는 조정부속기기(18)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은, 제어부(14)로부터 전송받은 주변 영상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통신망(30)을 거쳐 원격 조정부(20, 20-2)로 전송하고, 통신망(30)으로부터 무선 수신한 원격조정제어신호를 제어부(14)로 전송한다. 통신 모듈(12)은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Wi-Fi) 모듈일 수 있다.
제어부(14)는, 전송받은 원격조정제어신호를 분석하여 각각의 조정부속기기들의 동작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신호를 생성하여 각각의 조정부속기기에 전송한다.
제어부(14)는,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주변 영상정보를 통신 규격에 맞는 주변 영상신호로 변환한 후 통신모듈(12)로 전송한다.
카메라(16)는, 스피드 스프레이어 주변의 모습에 대한 주변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4)로 전송한다. 카메라(16)는 360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단일의 영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전방카메라와 후방카메라로 분리하여 전방 영상정보, 후방 영상정보로 분리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조정부속기기(18)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시동을 온오프하기 위한 시동부(182)와,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전후진, 방향전환, 브레이킹 등을 수행하기 위한 운전부(184)와, 농약 등의 분무를 조정하기 위한 스프레이부(186)를 포함할 수 있다.
시동부(182)는, 제어부(14)로부터의 시동부 조정신호에 응답하여 시동을 온오프한다.
운전부(184)는, 제어부(14)로부터의 운전부 조정신호에 응답하여 전진, 후진, 방향전환, 브레이킹 등의 구동을 수행한다.
스프레이부(186)는, 제어부(14)로부터의 스프레이부 조정신호에 응답하여 농약 등의 분무의 온오프 및 분무 속도 조정 등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조정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조정부(20)는, 외부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222)과,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24)를 포함하는 제어기기(22)와, 원격 조정자에게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주변 영상을 가상현실적으로 디스플레이해주기 위한 가상현실 헤드셋(26)과,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각각의 조정부속기기에 대응하는 원격조정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24)로 전송하는 원격 조정대(28)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2)은, 제어부(224)로부터 전송받은 원격조정제어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통신망(30)을 거쳐 스피드 스프레이어(10)로 전송하고, 통신망(30)으로부터 무선 수신한 주변 영상신호를 제어부(224)로 전송한다. 통신 모듈(222)은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Wi-Fi) 모듈일 수 있다.
제어부(224)는, 원격 조정대(28)로부터 전송받은 원격조정신호를 통신 규격에 맞는 원격조정제어신호로 변환한 후 통신모듈(222)로 전송한다.
제어부(224)는 전송받은 주변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영상정보 및 가상현실 헤드셋(26)으로부터 전송받은 신체 부위의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헤드셋(26)에서 원격 조정자에게 제공할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그래픽스 신호를 생성하여 가상현실 헤드셋(26)으로 전송한다.
통신 모듈(222)과, 제어부(224)를 포함하는 제어기기(22)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정보처리 장치일 수 있다.
제어기기(22)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원격 조정자의 실행 신호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제어기기 자체에 그러한 기능을 임베디드할 수도 있다.
원격 조정대(28)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시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조정신호를 생성하는 원격 시동부(282)와,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운전부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조정신호를 생성하는 원격 운전부(284)와,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스프레이부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조정신호를 생성하는 원격 스프레이부(286)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시동부(282)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시동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시동부 원격조정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24)로 전송한다.
원격 운전부(184)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전진, 후진, 방향전환, 브레이킹 등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운전부 원격조정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24)로 전송한다.
원격 스프레이부(186)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스프레이부의 농약 등의 분무의 온오프 및 분무 속도 조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스프레이부 원격조정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24)로 전송한다.
원격 조정대(28)는 운전대, 브레이크, 액셀레이터, 좌우측 전후진 레버, 분무 레버 등의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각각의 조정부속기기들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조이 스틱 형태로 간단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에서의 원격 조정부(20-2)의 구성은 도 3에서의 구성에 대한 설명에서 통신모듈(222)만이 통신망(30)과의 유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선통신모듈로 대체되고, 제어기기(22)도 휴대용 정보처리 장치가 아닌 테스크탑 컴퓨터 등의 고정형 정보처리 장치로 대체될 뿐이고, 나머지 구성들은 도 3에서의 구성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조정자에게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그래픽 생성부(242)는 제어부(도 3의 224)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이다. 그래픽 생성부(242)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래픽 생성부(242)는 제어부(도 3의 224)에서 주변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획득한 영상정보 및 위치감지센서(262)로부터의 신체 부위(예컨대, 머리, 눈 등)의 위치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출력부(262)에서 원격 조정자에게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해 주기 위한 그래픽스 신호를 생성하여 영상 출력부(262)로 전송한다.
가상현실 헤드셋(26)은, 그래픽 생성부(242)로부터 그래픽스 신호를 전송받아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262)와, 원격 조정자의 신체 부위(예컨대, 머리, 눈 등)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264)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출력부(262)는 그래픽 생성부(242)로부터 그래픽스 신호를 전송받아 원격 조정자에게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해 준다. 영상 출력부(262)는 LED, LCD, OLED 등일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264)는 가상현실 헤드셋(26)을 머리에 쓴 원격 조정자의 신체부위의 위치를 감지하여 신체 부위 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그래픽 생성부(242)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자기 센서, 시각 센서 등을 이용하여 원격 조정자의 머리 위치, 원격 조정자의 시선 방향 등을 감지하여 각각의 신체 부위 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그래픽 생성부(242)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원격 조정자의 머리 방향(예컨대, 전방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20도 회전하는 상태)을 감지한 머리 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그래픽 생성부(242)로 전송하면, 그래픽 생성부(242)는 전송받은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전방 정면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으로 20도 회전한 방향의 전방 모습이 영상 출력부(262) 화면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영상이 우측으로 20도 회전하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그래픽스 신호를 생성하여 영상 출력부(262)로 전송한다.
또한, 예를 들면, 원격 조정자의 시선 방향이 상측으로 일정 시간(예컨대, 5초) 이상 유지하면, 위치 감지 센서는 상측 시선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그래픽 생성부(242)로 전송하고, 그래픽 생성부(242)에서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후방의 모습에 대한 영상을 그래픽스 신호로 생성하여 영상 출력부(262)로 전송한다.
또한, 예를 들면, 원격 조정자의 시선 방향이 하측으로 일정 시간(예컨대, 5초) 이상 유지하면, 위치 감지 센서는 하측 시선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그래픽 생성부(242)로 전송하고, 그래픽 생성부(242)에서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전방의 모습에 대한 영상을 그래픽스 신호로 생성하여 영상 출력부(262)로 전송한다.
이렇게 되면, 원격 조정자의 시선 방향을 이용하여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전방 모습 또는 후방 모습을 제공하면서 원격 조정자의 머리 방향(좌우측 회전 방향)에 따라 주변 모습이 좌우로 회전하게 보이도록 해 줌으로써, 원격 조정자가 마치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운전석에서 직접 전후방을 보면서 조정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피드 스프레이어를 원격으로 조정하면서, 마치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운전석에 직접 착석하여 스피드 스프레이어를 조정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원격 조정 장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10-2)와 원격 조정부(20-3)가 직접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스피드 스프레이어(10-2)의 구성은 도 2에서 설명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구성 중에서 통신 모듈(12)을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모듈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원격 조정부(20-3)의 구성은 도 3에서 설명한 원격 조정부의 구성 중에서 통신 모듈(222)을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모듈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의 구성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31, 32) 필요 없이 스피드 스프레이어(10-2)와 원격 조정부(20-3) 간에 대용량 데이터(주변 영상신호 및 원격조정제어신호)를 무선으로 빠르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피드 스프레이어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농기계 등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10-2 : 스피드 스프레이어
20, 20-2, 20-3 : 원격 조정부
30 : 통신망
12 : 통신 모듈 14 : 제어부
16 : 카메라 18 : 조정부속기기
22 : 제어기기 222 : 통신 모듈
224 : 제어부 26 : 가상현실 헤드셋
28 : 원격 조정대

Claims (10)

  1. 주변에 대한 주변 영상을 생성하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조정부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조정부로부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한 원격조정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조정부속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조정대상체와;
    구비된 위치 감지 센서를 통해 원격 조정자의 신체 부위 위치 중 상기 원격 조정자의 머리 방향 및 상기 원격 조정자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전송받은 상기 주변 영상 중에서 감지된 상기 머리 방향의 변화에 따른 제1 방향의, 및 상기 시선 방향의 변화에 따른 제2 방향의 다른 주변 부분을 보여주는 영상으로 변화시키는 가상현실 영상을 상기 원격 조정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조정부속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조정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원격조정대상체로 전송하는 원격 조정부를 포함하는 원격 조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조정대상체는,
    360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주변 영상을 생성하거나, 또는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를 이용하여 생성된 전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을 포함하는 상기 주변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속기기는 다수의 조정부속기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조정제어신호는 상기 다수의 조정부속기기들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다수의 원격조정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조정대상체는 농기계이고,
    상기 농기계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정부는,
    상기 원격 조정자에게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원격 조정자의 신체 부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가상현실 헤드셋과;
    상기 조정부속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조정신호를 생성하는 원격 조정대를 포함하는 원격 조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속기기는 다수의 조정부속기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조정신호는 상기 다수의 조정부속기기들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다수의 원격조정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정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은,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그래픽스 신호를 전송받아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출력부와,
    상기 신체 부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원격 조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상기 원격 조정자의 머리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와 상기 원격 조정자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원격 조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스 신호는,
    상기 원격 조정자의 머리 방향 및 상기 원격 조정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상기 주변 영상을 변화시키는 가상현실 영상을 상기 원격 조정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정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영상은,
    상기 머리 방향의 회전에 따라 상기 주변 영상이 회전하게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시선 방향에 따라 상기 원격조정대상체의 전방 영상 또는 상기 원격조정대상체의 후방 영상이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정 장치.
KR1020200107600A 2020-08-26 2020-08-26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피드 스프레이어 원격 조정 장치 KR20200104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600A KR20200104275A (ko) 2020-08-26 2020-08-26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피드 스프레이어 원격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600A KR20200104275A (ko) 2020-08-26 2020-08-26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피드 스프레이어 원격 조정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234A Division KR20190080846A (ko) 2019-06-27 2019-06-27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피드 스프레이어 원격 조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275A true KR20200104275A (ko) 2020-09-03

Family

ID=72469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600A KR20200104275A (ko) 2020-08-26 2020-08-26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피드 스프레이어 원격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42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6731B2 (en) Peripheral device for head-mounted display
US10663729B2 (en) Peripheral device for head-mounted display
US20190243357A1 (en) Wearable uav control device and uav system
CN108202667B (zh) 作业车
JP6919206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20050059489A1 (en) Motion sensing applications
US201701237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erting VR Headset User to Real-World Objects
JPH0749744A (ja) 頭部搭載型表示入力装置
US20210358294A1 (en) Holographic device control
US10579139B2 (en) Method for operating virtual reality spectacles, and system having virtual reality spectacles
JP2003267295A (ja) 遠隔操縦システム
EP3923569B1 (en) Remote operation system and remote operation server
JP2018142764A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9933912B2 (en) Method for operating virtual reality spectacles, and system having virtual reality spectacles
JP6220937B1 (ja) 情報処理方法、当該情報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
WO2019155840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95696B2 (ja) 表示装置
US80952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motion of a robotic device
CN107851334A (zh) 信息处理装置
KR20190080846A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피드 스프레이어 원격 조정 장치
JP2020161934A (ja) 遠隔操作システム
KR20200104275A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피드 스프레이어 원격 조정 장치
KR20190047322A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피드 스프레이어 원격 조정 장치
JP7300436B2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159455B1 (ja) 仮想空間を提供する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