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224A - Toy top - Google Patents

Toy to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224A
KR20200104224A KR1020200018168A KR20200018168A KR20200104224A KR 20200104224 A KR20200104224 A KR 20200104224A KR 1020200018168 A KR1020200018168 A KR 1020200018168A KR 20200018168 A KR20200018168 A KR 20200018168A KR 20200104224 A KR20200104224 A KR 20200104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rotation
arc
clockwis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1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1944B1 (en
Inventor
마코토 무라키
요헤이 반도
타케아키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ublication of KR20200104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2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9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20Tops with figure-like features; with movable objects, especially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16Spinning-top gam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y top in which the rotating direction can simply be changed by replacement of small parts, and which is relatively inexpensive. In a main body, formed is an arc-shaped hole capable of alternatively inserting a first inserting piece of a tip for clockwise rotation into an end of a counterclockwise side, and a second inserting piece of a tip for counterclockwise rotation into an end of the clockwise side. Further, in the main body, provided is a movable part in which a coupling element is formed and which can be manually operated. The tip for clockwise rotation or the tip for counterclockwise rotation is used and, at the same time, the movable part is manually operated such that a sequence of the coupling element and the resistive element of the inserting piece is changed in a circumference direction at the time of the clockwise rotation and at the time of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Description

팽이 완구{TOY TOP} Top toy {TOY TOP}

본 발명은 팽이 완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 toy.

종래, 시계 방향 회전용 팽이 완구와, 반시계 방향 회전용 팽이 완구와, 이러한 팽이 완구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런처(launcher)를 구비하는 런처로 구성된 완구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Conventionally, a toy composed of a top toy for clockwise rotation, a top toy for counterclockwise rotation, and a launcher having a launcher that rotates the top toy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s known (for example, , See Patent Document 1).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071356호 공보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071356 Gazette

그런데, 이 팽이 완구는, 동체(胴體)와 축부(軸部)를 축심 방향으로부터 맞대고 축부에 대해서 동체를 팽이 완구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동체 측의 제1 조(爪)의 상면과 축부 측의 제2 조(爪)의 하면이 맞닿아서(當接) 동체와 축부가 결합되고, 외부 충격이 동체에 작용했을 때에 축부에 대해서 동체가 팽이 완구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결합이 해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 동체 측의 제1 조의 상면과 축부 측의 제2 조의 하면을 맞닿게 함과 동시에, 동체 측의 저항 요소와 축부 측의 저항 요소를 걸어 맞추고(係合) 있다. 그리고, 동체와 축부와의 상대 회전이 단계적으로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By the way, in this top toy,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set on the side of the body and the side of the shaft are made by abutting the body and the shaft part from the axial direction and rotating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shaf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top toy. When the lower surface of Article 2 of Article 2 is in contact with the body and the shaft part, and an external impact acts on the body, the body would rot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op toy.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ond is released at the time.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t on the body sid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et on the shaft sid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resistance element on the body side and the resistance element on the shaft side are engaged. Then,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body and the shaft is performed in stages.

시계 방향 회전용 팽이 완구와 반시계 방향 회전용 팽이 완구는, 동체와 축부와의 회전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동체에 형성되는 제1 조와 저항 요소와의 위치가 다르다. 그래서, 종래에는, 시계 방향 회전용 동체와, 제1 조와 저항 요소와의 설치 위치가 다른 반시계 방향 회전용 동체를 이용하고 있었다. Since the top toy for clockwise rotation and the top toy for counterclockwise rotation differ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between the body and the shaft portion, the first set formed in the body and the position of the resistance element are different. Therefore, conventionally, the body for clockwise rotation and the body for counterclockwise rotation in which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first set and the resistance element are different have been used.

그렇지만, 동체는 팽이 완구 중에서도 큰 체적을 차지하는 것이라서 비교적 고가이다. However, the body is relatively expensive because it occupies a large volume among top toys.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부품의 교환으로 간단하게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비교적 염가(廉價)인 팽이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poin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p toy which is relatively inexpensive (廉價) in which the rotation direction can be easily changed by replacing small parts.

제1 수단은, The first means,

동체(胴體)와 축부(軸部)를 축심(軸心) 방향으로부터 맞대어 상기 축부에 대해서 상기 동체를 팽이 완구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동체의 제1 결합 요소의 상면과 상기 축부의 제2 결합 요소의 하면이 맞닿아서(當接) 상기 동체와 상기 축부가 결합되고, 외부 충격이 상기 동체에 작용했을 때에 상기 축부에 대해서 상기 동체가 상기 팽이 완구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결합이 해제되는 구조를 가지는 팽이 완구이며,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element of the body and the second of the shaft part are rotat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top toy with respect to the shaft part by facing the body and the shaft part from the axial center direction.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element abuts against the body and the shaft part, and an external shock acts on the body, the body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op toy with respect to the shaft part. It is a top toy with a structure that is disengaged when done,

상기 동체는, 동주체(胴主體)와 팁(tip)을 구비하고, The body is provided with a moving body and a tip,

상기 동주체는, 상기 팁으로서, The moving subject, as the tip,

하방으로 돌출하는 하단에 저항 요소를 가지는 제1 차입편(差片)이 형성된 시계 방향 회전용 팁(tip)과, 하방으로 돌출해 하단에 저항 요소를 가지는 상기 제1 차입편과 위치 관계가 다른 제2 차입편이 형성된 반시계 방향 회전용 팁이 택일적으로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고, A clockwise rotation tip having a first plugging piece having a resistance element protruding downward, and a positional relationship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plugging piece having a resistance element at the bottom protruding downward. The tip for counterclockwise rotation on which the second plug piece is formed can be installed alternatively,

상기 동주체에는, 축심과 동심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차입편을 반시계 방향 측의 단부에, 상기 제2 차입편을 시계 방향 측의 단부에 꽂음 가능한 호 형상(弧狀) 구멍이 형성되고, The moving main body has an arc-shaped hole formed concentrically with the axial center and capable of inserting the first plug piece into the counterclockwise end and the second plug piece into the clockwise end. Become,

또한, 상기 동주체에는, 상기 제1 결합 요소가 형성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사이에 수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된 가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동체와 상기 축부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위치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1 결합 요소와 상기 제1 차입편의 저항 요소를 이 순서로 인설(隣設)시키고, 상기 제2 위치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1 결합 요소와 상기 제2 차입편의 저항 요소를 이 순서로 인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moving body, the first coupling element is formed, a movable part configured to be manually operat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is installed, and the movable part is coupled to the moving body and the shaft part. Based on the released position, in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coupling element and the resistance element of the first plug are drawn in this order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in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coupling element is in a clockwise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upling element and the resistance element of the second plug piece are drawn in this order.

제2 수단은, 제1 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에는,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제2 차입편의 꽂음을 저지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는 상기 제1 차입편의 꽂음을 저지하는 삽입 저지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second means, in the first means, in the movable portion, an insertion preven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position to block insertion of the second plug piece, and in the second position to block insertion of the first plug piece. It features.

제3 수단은, 제1 수단 또는 제2 수단에 있어서, The third means, in the first means or the second means,

상기 동주체에는, 축심과 동심적(同心的)으로 형성되고 런처(launcher)의 포크(fork)가 삽입되는 호 형상 슬릿(弧狀 slit)이 축심과 동심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호 형상 슬릿에 삽입되는 상기 포크의 계지부(係止部)에 걸리는 피계지부(被係止部)가 상기 호 형상 슬릿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설치되고, In the moving body, an arc-shaped slit formed concentrically with an axial center and into which a fork of a launcher is inserted is formed concentrically with the axial center, and the arc-shaped slit A to-be-engaged portion (被係止部) caught on the locking portion of the fork inserted into the fork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rc-shaped sl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팽이 완구는, 상기 호 형상 슬릿 안에서 상기 포크를 상기 단부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계지부에 의해 상기 피계지부를 걸리게 하고, 상기 포크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력이 부여되고, 상기 포크의 회전 정지에 의해 상기 계지부에 의한 상기 피계지부의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런처로부터 놓아지도록 구성되고, In the top toy, the fork is moved to the end side in the arc-shaped slit so that the to-be-engaged part is caught by the locking part, and a rotational force is applied by the rotation of the fork, and the system is stopped by rotation of the fork. It is configured to release the jammed part of the target part by the branch part and to be released from the launcher,

상기 시계 방향 회전용 팁에는, 상기 호 형상 슬릿의 시계 방향 측의 단부에 상기 계지부에 걸리게 되는 상기 피계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반시계 방향 회전용 팁에는, 상기 호 형상 슬릿의 반시계 방향 측의 단부에 상기 계지부에 걸리게 되는 상기 피계지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lockwise rotation tip is provided with the locking portion that is caught on the locking portion at an end of the arc-shaped slit on the clockwise side, and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tip includes a counterclockwise side of the arc-shaped slit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to-be-engaged port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locking portion.

제1 수단에 의하면, 회전 방향을 따라 제1 결합 요소 및 저항 요소의 위치를 바꿀 수 있으므로, 회전 방향을 변경해도, 동체와 축부와의 결합을 적절히 할 수 있다. 또, 팁의 교환과 가동부의 조작만으로 간단하게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염가인 팽이 완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저항 요소의 특성(요철의 수, 소재, 경사 등)을 바꾸면서, 회전 방향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first means, since the positions of the first coupling element and the resistance element can be chang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even if the rotation direction is changed, the coupling between the body and the shaft portion can be suitably performed. In addition, the rotation direction can be changed simply by exchanging the tip and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part, thereby realizing an inexpensive top toy. In addition, it becomes possible to change the rotation direction while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stance element (number of irregularities, material, inclination, etc.).

제2 수단에 의하면, 잘못하여 회전 방향이 다른 팁이 장착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means,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from accidentally mounting a tip having a different rotational direction.

제3 수단에 의하면, 회전 방향에 따라 피계지부의 위치를 바꿀 수 있으므로, 런처에서 팽이 완구에 확실히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means, since the position of the to-be-locked par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the launcher can certainly impart rotational force to the top toy.

도 1은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와 런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팽이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축부 및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팁을 떼어낸 동체를 상부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동체 및 그 동체에 장착되는 팁을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팽이 완구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의 동체 및 팁의 저면도이며, (A)는 팁이 이탈된 상태의 동체를 나타내고, (B)는 시계 방향 회전용의 팁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팽이 완구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의 동체 및 팁의 저면도이며, (A)는 팁이 이탈된 상태의 동체를 나타내고, (B)는 반시계 방향 회전용의 팁을 나타내고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p toy and a laun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p toy.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aft portion and a part of the top toy of this embodiment as a cross section.
4 is a plan view of the body from which the tip has been removed as viewed from abov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and a tip mounted on the body as viewed from below.
6 is a bottom view of the body and the tip when the top toy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A) shows th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tip is removed, and (B) shows a tip for clockwise rotation.
Fig. 7 is a bottom view of the body and tip when the top toy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 shows the body in a state where the tip is removed, and (B) shows the tip for counterclockwise rotation. .

이하, 본 발명의 팽이 완구를 도면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하, 좌우 및 전후는 도 2에 나타낸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Hereinafter, the top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vertical,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front and rear are assumed to refer to the directions shown in FIG. 2.

<전체 구성><Overall composition>

도 1은,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와 런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p toy and a laun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 팽이 완구(1)는, 하부 구조를 구성하는 축부(軸部)(10)와, 상부 구조를 구성하는 성능 가변 링(30) 및 동체(胴體)(40)에 의해서 구성되고 있다. This top toy 1 is constituted by a shaft portion 10 constituting a lower structure, a performance variable ring 30 constituting an upper structure, and a body 40.

이 팽이 완구(1)는 런처(launcher)(팽이 발사 장치)(60)에 의해서 회전력이 부여되고, 배틀 필드(battle field)에 놓여 진다. This top toy 1 is given a rotational force by a launcher (top launching device) 60, and is placed on a battle field.

<세부 구성><Detailed configuration>

1. 축부(10)에 대해 1. About the shaft (10)

축부(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에 회전축(11)과, 중간부에 날(鍔)(12)과, 상부에 원통부(13)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11), 날(12) 및 원통부(13)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재료는 합성 수지로 한정되지 않고, 전부 또는 일부가 금속제나 고무 그 외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As shown in Fig. 2, the shaft portion 10 includes a rotating shaft 11 at a lower portion, a blade 12 at an intermediate portion, and a cylindrical portion 13 at an upper portion. The rotating shaft 11, the blade 12 and the cylindrical portion 13 are made of synthetic resin. Of course,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o synthetic resin, and all or part of it may be formed of metal, rubber or other material.

축부(10)의 날(12)의 하방 부분은, 상기 날(12)로부터 회전축(11)을 향해서 단계적으로 오므라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대략 역원추(逆圓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lower portion of the blade 12 of the shaft portion 10 has a shape that is gradually constricted from the blade 12 toward the rotation shaft 11, and is generally formed in a substantially inverted cone shape.

날(12) 및 원통부(13)에는, 전후에 구멍(15)이 1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 날(12) 및 원통부(13)에는, 날(12)의 좌우에 돌출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6)는, 날(12)의 상하에 위치하고, 그 외면은 날(12)의 외주면과 동일면(面一)으로 되어 있다. In the blade 12 and the cylindrical portion 13, one hole 15 is formed before and after. Further, the blade 12 and the cylindrical portion 13 are formed with protrusions 16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lade 12. This protrusion 16 is located above and below the blade 12, and its outer surface is the same surface a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lade 12.

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부(13)의 내측에는 원주체(圓柱體)(14)가 입설(立設)되어 있다. 이 원주체(14)의 상단은 특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원통부(13)의 상단보다도 조금 높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 원주체(14)의 상단부에는 전후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내뻗은(張出) 조(爪)(제1 결합 요소)(17)가 1개씩 형성되어 있다. Moreover, as shown in FIG. 3, a columnar body 14 is standing inside the cylindrical part 13. As shown in FIG.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body 1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set to a position slightly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13.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is columnar body 14, one by one is formed one by one, extending outwardly in the radial direction before and after.

또, 축부(10)는, 원통부(13)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원주체(14)의 상부 외주를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가동 부재(18)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동 부재(18)의 하단부에는 전후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내뻗은(張出) 돌출편(突出片)(18a)이 1개씩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편(18a)은, 상기 구멍(15)에 삽입되어 있다. 가동 부재(18)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가동 부재(18)는, 원주체(14)의 주위에 말아 돌린(卷回) 코일 스프링(19)에 의해서 상방으로 힘이 가해지는 상태에서는, 돌출편(18a)이 구멍(15)의 상연(上緣)에 맞닿아 있다. Further, the shaft portion 10 includes a cylindrical movable member 18 provided inside the cylindrical portion 13 and surrounding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body 14. At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member 18, one protruding piece 18a exten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is formed before and after. Each protruding piece 18a is inserted into the hole 15. The movable member 18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Further, in the state in which the movable member 18 is applied upward by a coil spring 19 rolled around the cylindrical body 14, the protruding piece 18a is It is in contact with the Sangyeon (上緣).

이 가동 부재(18)의 상면(18b)에는, 좌우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철조(凸條)(저항 요소)(20)가 1개씩 형성되어 있다. On the upper surface 18b of the movable member 18, iron bars (resistance elements) 20 extending radially to the left and right are formed one by one.

2. 성능 가변 링(30)에 대해 2. About the performance variable ring (30)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성능 가변 링(30)으로서 예를 들면 금속제의 플라이휠(flywheel)이 이용되고 있다. 성능 가변 링(30)은 대부분 판(板)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성능 가변 링(30)의 저면에는 축부(10)의 날(12)이 하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환 형상 단부(環狀段部)(30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성능 가변 링(30)의 상면에는 좌우 방향 각각에서 상방을 향해 내뻗은 역U자 형상의 돌출부(31)가 1개씩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31)의 하측 부분에는, 축부(10)의 돌출부(16)를 하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요부(3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성능 가변 링(30)의 상면에는, 각 돌출부(31)의 바로 외측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설편(舌片)(33)이 형성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a metal flywheel is used as the performance variable ring 30, for example. Most of the performance variable ring 30 has a plate shape. An annular end portion 30a in which the blade 12 of the shaft portion 10 can be accommodated from below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ariable performance ring 30. Fur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rformance variable ring 30, one inverted U-shaped protrusion 31 extending upward in each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protrusions 31, a concave portion 32 capable of receiving the protrusion 16 of the shaft portion 10 from below is formed. On the other h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rformance variable ring 30, tongue pieces 33 protruding upwards are formed immediately outside each of the protruding portions 31.

더구나, 성능 가변 링(30)으로서는, 플라이휠을 대신하거나 혹은 플라이휠과 일체적으로, 외주면(外周面)에 돌출부가 있어서 상대방의 팽이 완구(1)를 공격하기 쉽게 한 것이나, 외주면에 요부(凹部)가 있어 상대방의 팽이 완구(1)로부터의 공격을 받기 어려운 것을 이용해도 좋다. Moreover, as the performance variable ring 30, it is easy to attack the opponent's top toy 1 by replacing the flywheel or integrally with the flywheel and having a protrus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a concave por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possible to use one that is difficult to be attacked by the opponent's top toy (1).

3. 동체(胴體)(40)에 대해 3. About the fuselage (40)

동체(4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 본체(胴本體)(40A)와 팁(50)을 구비하고, 전체적으로 원반(圓盤)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 본체(40A)의 천정벽(天井壁)(40a)에는, 좌우에 호 형상 슬릿(弧狀 slit)(41)이 1개씩 형성되어 있다. 호 형상 슬릿(41)은 동체(40)의 축심에 동심적(同心的)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몸통 본체(40A)의 천정벽(40a)의 상면 중앙부에는, 팁(50)을 수용하는 요부(40b)가 구획(畵成)되어 있다. 요부(40b)에는, 요부(40b)와 거의 동형(同形)의 플레이트(plate)(42)가 수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body 40 is provided with a trunk body 40A and a tip 50, and has a disk shape as a whole. As shown in Fig. 4, one arc-shaped slit 41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iling wall 40a of the trunk body 40A. The arc-shaped slits 41 are formed concentrically with the axial center of the body 40. Further,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eiling wall 40a of the trunk body 40A, a concave portion 40b accommodating the tip 50 is partitioned. In the concave portion 40b, a plate 42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concave portion 40b is accommodated.

플레이트(42)에는, 좌우에 호 형상 구멍(42a)이 1개씩 형성되어 있다. 호 형상 구멍(42a)은 동체(40)의 축심에 동심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플레이트(42)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 형상 원판(環狀圓板)(43)이 첨설(添設)된다. 예를 들면, 2개의 조(44a, 44a)와 플레이트(42) 사이에 끼워 환 형상 원판(43)이 설치되어 있다. 물론, 다른 방법으로 설치해도 좋다. 요점은, 환 형상 원판(43)이 용이하게 이탈하지 않는 것이다. 이 환 형상 원판(43)에는, 도 5에 확대해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을 끼고 대치하는 부위 2개소에 하방을 향하는 돌출편(43a)이 1개씩 입설되어 있다. 각 돌출편(43a)은, 수평 단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고, 하단에는, 반경 방향 안쪽을 향해서 돌출하는 제1 조(4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편(43a)은 환 형상 원판(43)의 본체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편(43a)의 상단이 삽입 저지부(43c)를 구성한다. In the plate 42, one arc-shaped hole 42a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arc-shaped hole 42a is formed concentrically with the axial center of the body 40. In addition, an annular disk 43 is affixed to the plate 42 as shown in FIG. 5. For example, an annular disk 43 is provided between the two jaws 44a and 44a and the plate 42. Of course, you can install it in another way. The point is that the annular disk 43 does not come off easily. On this annular disk 43, as enlarged and shown in Fig. 5, one protruding piece 43a facing downward is provided at two locations where the shaft centers are opposed to each other. Each protruding piece 43a has a horizontal cross section in an arc shape, and a first jaw 43b protruding radially inward is formed at the lower end. This protruding piece 43a is provid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main body of the annular disk 43. The upper end of this protruding piece 43a constitutes the insertion preventing portion 43c.

4. 팁(50)에 대해 4. About tip 50

우선, 시계 방향 회전용 팁(50a)과 반시계 방향 회전용 팁(50b)을 함께 팁(50)이라 하여 도 5를 이용해 설명한다. 덧붙여서, 도 5에는 시계 방향 회전용 팁(50a)에 나타나고 있지만, 이 도 5를 이용해 공통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First, a clockwise rotation tip 50a and a counterclockwise rotation tip 50b are referred to as a tip 50 together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n addition, although shown in the tip 50a for clockwise rotation in FIG. 5, the common part is demonstrated using this FIG.

팁(50)은, 상기 요부(40b)에 수용되는 원반 형상으로, 요부(40b)에 끼워 넣어져 사용된다. The tip 50 has a disk shape accommodated in the concave portion 40b, and is us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40b.

팁(50)은, 외주부에 호 형상 슬릿(41)의 단부의 폭을 좁히기 위한 피계지부(51)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차입편(差片)(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 피계지부(51)는, 호 형상 슬릿(41)의 일방의 단부의 폭을 좁혀 후술의 런처(60)의 포크(63)의 돌기(계지부)(63b)에 의해서 걸리게 되는 부분을 이룬다. 또, 차입편(52)의 하단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조(53)가 설치되고, 조(53)의 하면에는, 축부(10)의 철조(20)에 걸어 맞추는(係合) 복수 개의 철조(저항 요소)(5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복수 개의 철조(54)는 상기 철조(20)와 함께 동체(40)와 축부(10)와의 회전 저항으로서 기능한다. In the tip 50, an interlocking portion 51 for narrowing the width of the end portion of the arc-shaped slit 4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and a plug 5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Among them, the to-be-engaged portion 51 forms a portion that is caught by the protrusion (lock-in portion) 63b of the fork 63 of the launcher 60 to be described later by narrowing the width of one end of the arc-shaped slit 41. . In add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intercepting piece 52, a jaw 53 protruding radially inward is provided, and at the lower surface of the jaw 53, a plurality of pieces that are engaged with the iron bar 20 of the shaft portion 10 are provided. Four iron bars (resistance elements) 54 are formed. The plurality of iron rods 54 function as rota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body 40 and the shaft 10 together with the iron rods 20.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에서는, 이 팁(50)으로서, 시계 방향 회전용 팁(50a)(도 6의 (B))과, 반시계 방향 회전용 팁(50b)(도 7의 (B))을 구비하고 있다. 시계 방향 회전용 팁(50a)과 반시계 방향 회전용 팁(50b)은, 피계지부(51) 및 차입편(52)의 형성 위치가 서로 다르다. In the top toy 1 of the embodiment, as the tip 50, a clockwise rotation tip 50a (FIG. 6B) and a counterclockwise rotation tip 50b (FIG. 7B )). The clockwise rotation tip 50a and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tip 50b differ from each other in the formation positions of the interlocked portion 51 and the plug 52.

시계 방향 회전용 팁(50a)에는, 도 6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 본체(40A)에 장착했을 때에 호 형상 슬릿(41)의 시계 방향 측의 단부의 폭을 좁힐 수 있는 위치에 피계지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시계 방향 회전용 팁(50a)에는, 몸통 본체(40A)에 장착했을 때에 상면에서 보면 호 형상 구멍(42a)의 반시계 방향 측의 단부에 끼워 넣어지는 위치에 차입편(52a)이 형성되어 있다. In the clockwise rotation tip 50a,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width of the end of the arc-shaped slit 41 on the clockwise side when attached to the body 40A is narrowed. The to-be-closed portion 51a is formed in a possible position. Further, in the clockwise rotation tip 50a, when mounted on the trunk body 40A, a plug 52a is formed at a position that is fitted into the counterclockwise end of the arc-shaped hole 42a when viewed from the top. Has been.

한편, 반시계 방향 회전용 팁(50b)에는, 도 7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 본체(40A)에 장착했을 때에 상면에서 보면 호 형상 슬릿(41)의 반시계 방향 측의 단부의 폭을 좁힐 수 있는 위치에 피계지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반시계 방향 회전용 팁(50b)에는, 몸통 본체(40A)에 장착했을 때에 상면에서 보면 호 형상 구멍(42a)의 시계 방향 측의 단부에 끼워 넣어지는 위치에 차입편(52b)이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tip 50b, as shown in Figs. 7A and 7B, when attached to the trunk body 40A, the arc-shaped slit 41 is counterclockwise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to-be-engaged portion 51b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width of the side end portion can be narrowed. In addition, in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tip 50b, when mounted on the trunk body 40A, a plug 52b is formed at a position that is fitted into the clockwise end of the arc-shaped hole 42a when viewed from the top. Has been.

그리고, 시계 방향 회전용 팁(50a) 및 반시계 방향 회전용 팁(50b)은, 차입편(52a, 52b)을 호 형상 구멍(42a, 42a)에 끼워 넣은 상태로, 요부(40b)에 끼워 맞춰진다(嵌合). And, the tip for clockwise rotation 50a and the tip for counterclockwise rotation 50b are fitted in the recesses 40b in a state where the plug pieces 52a, 52b are inserted into the arc-shaped holes 42a, 42a. It fits (嵌合).

5. 런처(launcher)(60)에 대해 5. About the launcher (60)

팽이 완구(1)의 회전력의 차지(charge)는, 도 1에 나타내는 런처(60)에 의해서 행해진다. 이 런처(60)에는 팽이 완구(1)가 장착된다. 즉, 포크(63)가 동체(40)의 호 형상 슬릿(41)에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동체(40)의 피계지부(51)를 돌기(63b)에 걸어 맞춘다. 이것에 의해서, 팽이 완구(1)가 런처(60)에 장착된다. Charge of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op toy 1 is performed by the launcher 60 shown in FIG. 1. A top toy 1 is attached to this launcher 60. That is, the fork 63 is fitted into the arc-shaped slit 41 of the body 40. Then, the target portion 51 of the body 40 is engaged with the protrusion 63b. Thereby, the top toy 1 is attached to the launcher 60.

이 런처(60)는,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원판을 구비하고, 그 원판을 도시하지 않은 스파이럴 용수철로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힘을 가함과 동시에, 원판의 주위에 말아 돌린(卷回) 도시하지 않은 끈을 핸들(61)로 빼면, 원판이 회전되고, 팽이 홀더(62)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팽이 홀더(62)의 회전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포크(63)에 의해서 팽이 완구(1)에 전달되고, 팽이 완구(1)를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덧붙여, 런처(60)로 팽이 완구(1)를 다른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면, 런처(60)의 내부 기어의 변환을 행하거나, 다른 런처(60)를 이용한다. This launcher 60 has a disc not shown inside, and the disc is rolled around the disc while applying force in one rotational direction with a spiral spring not shown, not shown. When the string is pulled out by the handle 61, the disk is rotated, and the top holder 62 is configured to rotate. The rotation of the top holder 62 is transmitted to the top toy 1 by a fork 63 protruding downward, and rotates the top toy 1 in one rotational direction. In addition, in order to rotate the top toy 1 in a different rotation direction with the launcher 60, the internal gear of the launcher 60 is changed or another launcher 60 is used.

그리고, 런처(60)의 핸들(61)을 완전히 당기면, 원판 나아가서는 팽이 홀더(62)의 회전이 정지하는 한편, 팽이 완구(1)는 관성력에 의해서 계속해서 회전하므로, 포크(63)의 경사면(63a)을 따라서 팽이 완구(1)가 팽이 홀더(62)로부터 벗겨진다. And, when the handle 61 of the launcher 60 is completely pulled, the rotation of the disc and the top holder 62 stops, while the top toy 1 continues to rotate by inertial force, s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ork 63 The top toy 1 is peeled off from the top holder 62 along (63a).

6. 동체(40), 팁(50)의 위치 관계에 대해 6. Abou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body 40 and the tip 50

도 6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경우의 팽이 완구(1)의 동체(40)와 시계 방향 회전용 팁(50a)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하면도이다. 이 팽이 완구(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우선, 환 형상 원판(43)을 R 위치까지 회동(回動)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플레이트(42)의 호 형상 구멍(42a)의 시계 방향의 단부가 막히게 된다. 그리고, 호 형상 구멍(42a)의 막혀 있지 않은 부분(사선 부분)에 시계 방향 회전용 팁(50a)의 차입편(52a)을 삽입시켜 시계 방향 회전용 팁(50a)을 동체(40)의 상면에 구획(畵成)한 요부(40b)(도 4 참조)에 끼워 맞춰서 동체(40)에 고정한다. 6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40 of the top toy 1 and the tip 50a for clockwise rotation in the case of rotation in the clockwise direction. When trying to rotate this top toy 1 clockwise, first, the annular disk 43 is rotated to the R position. In this state, the end of the arc-shaped hole 42a of the plate 42 in the clockwise direction is blocked. Then, insert the intercepting piece 52a of the tip for clockwise rotation 50a into the unblocked portion (diagonal portion) of the arc-shaped hole 42a, and insert the tip 50a for clockwise rotation on the top surface of the body 40 It fits into the recessed part 40b (refer FIG. 4) partitioned in and is fixed to the body 40.

이 상태에서 팽이 완구(1)에서는, 호 형상 슬릿(41)의 시계 방향 측의 단부, 즉 A부에 시계 방향 회전용 팁(50a)의 피계지부(51a)가 위치하고, 호 형상 슬릿(41)의 단부의 폭이 좁아진다. In this state, in the top toy 1, the end portion on the clockwise side of the arc-shaped slit 41, i.e., in the A portion, the part 51a of the tip 50a for clockwise rotation is located, and the arc-shaped slit 41 The width of the end of the is narrowed.

그리고, 이 동체(40)에 축부(10)의 제2 조(17)가 걸어 맞춰진다. 즉, 축부(10)의 조(17)와 동체(40)의 환 형상 원판(43)의 조(제1 조)(43b)가 상하 방향으로 겹쳐진 결합 상태가 된다. 또, 시계 방향 회전용 팁(50a)의 철조(54a)는 가동부재(18)의 철조(20)와 걸어 맞춰진다. Then, the second jaw 17 of the shaft portion 10 is engaged with the body 40. That is, the jaw 17 of the shaft portion 10 and the jaw (first set) 43b of the annular disk 43 of the body 40 are in a combined state in which they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iron rod 54a of the clockwise rotation tip 50a is engaged with the iron rod 20 of the movable member 18.

도 7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경우의 팽이 완구(1)의 동체(40)와 반시계 방향 회전용 팁(50b)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하면도이다. 이 팽이 완구(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우선, 환 형상 원판(43)을 L 위치까지 회동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플레이트(42)의 호 형상 구멍(42a)의 반시계 방향의 단부가 막히게 된다. 그리고, 호 형상 구멍(42a)의 막혀 있지 않은 부분(사선 부분)에 반시계 방향 회전용 팁(50b)의 차입편(52b)을 삽입시켜 반시계 방향 회전용 팁(50b)을 동체(40)의 상면에 구획된 요부(40b)(도 4 참조)에 끼워 맞춰 동체(40)에 고정한다. Fig. 7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40 of the top toy 1 and the tip 50b for counterclockwise rotation when rotating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trying to rotate this top toy 1 counterclockwise, first, the annular disk 43 is rotated to the L position. In this state, the end of the arc-shaped hole 42a of the plate 42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s blocked. Then, the intercepting piece 52b of the tip for counterclockwise rotation 50b is inserted into the unblocked portion (diagonal portion) of the arc-shaped hole 42a, and the tip 50b for counterclockwise rotation is inserted into the body 40 It fits into the recessed part 40b (see FIG. 4) part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and is fixed to the body 40.

이 상태에서 팽이 완구(1)에서는, 2개의 호 형상 슬릿(41)의 반시계 방향 측의 단부, 즉 B부에 반시계 방향 회전용 팁(50b)의 피계지부(51b)가 위치하여, 호 형상 슬릿(41)의 단부의 폭이 좁아진다. In this state, in the top toy 1, the end portions on the counterclockwise side of the two arc-shaped slits 41, that is, in the B portion, the interlocked portion 51b of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tip 50b is located, The width of the end of the shape slit 41 becomes narrow.

그리고, 이 동체(40)에 축부(10)의 제2 조(17)가 걸어 맞춰지게 된다. 즉, 축부(10)의 조(17)와 동체(40)의 환 형상 원판(43)의 조(제1 조)(43b)가 상하 방향으로 겹쳐진 결합 상태가 된다. 또, 반시계 방향 회전용 팁(50b)의 철조(54b)는 가동부재(18)의 철조(20)와 걸어 맞춰진다. Then, the second jaw 17 of the shaft portion 10 is engaged with the body 40. That is, the jaw 17 of the shaft portion 10 and the jaw (first set) 43b of the annular disk 43 of the body 40 are in a combined state in which they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iron rod 54b of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tip 50b is engaged with the iron rod 20 of the movable member 18.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에서는, 미리 환 형상 원판(43)을 시계 방향 회전 위치 R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 위치 L에 위치시킨 다음, 거기에 적합한 시계 방향 회전용 팁(50a)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용 팁(50b)을 선택적으로 동체(40)에 장착함에 의해서 동체(40)를 시계 방향 회전용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용의 동체(40)로 변경할 수 있다. In the top toy 1 of this embodiment, after placing the annular disc 43 in a clockwise rotation position R or a counterclockwise rotation position L in advance, a clockwise rotation tip 50a or a counterclockwise rotation suitable therefor By selectively mounting the tip 50b for direction rotation to the body 40, the body 40 can be changed to the body 40 for clockwise rotation or counterclockwise rotation.

이 팽이 완구(1)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환 형상 원판(43)을 시계 방향 회전 위치 R에 위치시킨 상태로 반시계 방향 회전용 팁(50b)을 동체(40)에 설치하려고 한 경우, 호 형상 구멍(42a)의 위치에 삽입 저지부(43c)가 위치하기 때문에, 반시계 방향 회전용 팁(50b)을 동체(40)에 장착할 수 없다.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팁(50)을 잘못하여 장착하는 것이 방지된다. For this top toy 1,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tip 50b for counterclockwise rotation is attempted to be installed on the body 40 with the annular disk 43 positioned at the clockwise rotation position R, Since the insertion preventing portion 43c is located at the position of the arc-shaped hole 42a,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tip 50b cannot be attached to the body 40. The opposite is also true. Thus, it is prevented that the tip 50 is incorrectly mount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gist.

1: 팽이 완구
10: 축부
17: 조(제2 조)
20: 철조
40: 동체
41: 호 형상 슬릿
42a: 호 형상 구멍
43: 환 형상 원판(가동체)
43b: 조(제1 조)
50a: 시계 방향 회전용 팁
50b: 반시계 방향 회전용 팁
51a, 51b: 피계지부
52a, 52b: 차입편
53a, 53b: 조
54a, 54b: 철조
60: 런처
63: 포크
1: top toys
10: shaft
17: Article (Article 2)
20: iron fence
40: fuselage
41: arc shape slit
42a: arc shape hole
43: annular disk (movable body)
43b: Article (Article 1)
50a: tip for clockwise rotation
50b: tip for counterclockwise rotation
51a, 51b: branch to be covered
52a, 52b: borrowing
53a, 53b: Joe
54a, 54b: barbed wire
60: launcher
63: fork

Claims (3)

동체와 축부를 축심 방향으로부터 맞대어 상기 축부에 대해서 상기 동체를 팽이 완구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동체의 제1 결합 요소의 상면과 상기 축부의 제2 결합 요소의 하면이 맞닿아서 상기 동체와 상기 축부가 결합되고, 외부 충격이 상기 동체에 작용했을 때에 상기 축부에 대해서 상기 동체가 상기 팽이 완구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결합이 해제되는 구조를 가지는 팽이 완구에 있어서,
상기 동체는, 동주체와, 팁을 구비하고,
상기 동주체는, 상기 팁으로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하단에 저항 요소를 가지는 제1 차입편이 형성된 시계 방향 회전용 팁과, 하방으로 돌출해 하단에 저항 요소를 가지는 상기 제1 차입편과 위치 관계가 다른 제2 차입편이 형성된 반시계 방향 회전용 팁이 택일적으로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동주체에는, 축심과 동심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차입편을 반시계 방향 측의 단부에, 상기 제2 차입편을 시계 방향 측의 단부에 꽂음 가능한 호 형상 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동주체에는, 상기 제1 결합 요소가 형성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사이에 수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된 가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동체와 상기 축부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위치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1 결합 요소와 상기 제1 차입편의 저항 요소를 이 순서로 인설시키고, 상기 제2 위치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1 결합 요소와 상기 제2 차입편의 저항 요소를 이 순서로 인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By abutting the body and the shaft from the axial direction and rotating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shaf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top toy,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element of the body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element of the shaft part come into contact with the body. In a top to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upling is released when the shaft portion is coupled and the body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op toy with respect to the shaft portion when an external shock acts on the body,
The body is provided with a moving body and a tip,
The moving subject, as the tip,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which a clockwise rotation tip is formed with a first plugging piece having a resistance element at a lower end protruding downward, and a second plugging piece having a different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first plugging piece having a resistance element at the bottom protruding downward. The rotating tip can be installed alternatively,
In the moving body, an arc-shaped hole is formed concentrically with the axial center and capable of inserting the first plug piece into an end portion o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second plug piece into an end portion on the clockwise side,
Further, in the moving body, the first coupling element is formed, a movable part configured to be manually operat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is installed, and the movable part is coupled to the moving body and the shaft part. Based on the released position, in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coupling element and the resistance element of the first plug are drawn in this order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in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coupling element is clockwise. And the resistance elements of the second plugging piece are drawn in this order,
Top toy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에는,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제2 차입편의 꽂음을 저지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는 상기 제1 차입편의 꽂음을 저지하는 삽입 저지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movable part, an insertion preventing part is formed in the first position to prevent insertion of the second plugging piece, and at the second position to prevent the first plugging piece from being inserted,
Top toy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주체에는, 축심과 동심적으로 형성되고 런처의 포크가 삽입되는 호 형상 슬릿이 축심과 동심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호 형상 슬릿에 삽입되는 상기 포크의 계지부에 걸리는 피계지부가 상기 호 형상 슬릿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팽이 완구는, 상기 호 형상 슬릿 안에서 상기 포크를 상기 단부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계지부에 의해 상기 피계지부를 걸리게 하여, 상기 포크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력이 부여되고, 상기 포크의 회전 정지에 의해 상기 계지부에 의한 상기 피계지부의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런처로부터 놓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계 방향 회전용 팁에는, 상기 호 형상 슬릿의 시계 방향 측의 단부에 상기 계지부에 걸리게 되는 상기 피계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반시계 방향 회전용 팁에는, 상기 호 형상 슬릿의 반시계 방향 측의 단부에 상기 계지부에 걸리게 되는 상기 피계지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moving main body, an arc-shaped slit formed concentrically with the axis and into which the fork of the launcher is inserted is formed concentrically with the axis,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portion that is applied to the locking portion of the fork inserted into the arc-shaped slit is It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hape sl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op toy moves the fork toward the end side in the arc-shaped slit so that the to-be-engaged part is caught by the locking part, so that rotational force is applied by the rotation of the fork, and the system is stopped by rotation of the fork. It is configured to release the jammed part of the target part by the branch part and to be released from the launcher,
The clockwise rotation tip is provided with the locking portion that is caught on the locking portion at an end of the arc-shaped slit on the clockwise side, and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tip includes a counterclockwise side of the arc-shaped slit Characterized in that the to-be-engaged port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locking portion,
Top toys.
KR1020200018168A 2019-02-26 2020-02-14 Toy top KR10239194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33125A JP6948639B2 (en) 2019-02-26 2019-02-26 Top toys
JPJP-P-2019-033125 2019-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224A true KR20200104224A (en) 2020-09-03
KR102391944B1 KR102391944B1 (en) 2022-04-28

Family

ID=72141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168A KR102391944B1 (en) 2019-02-26 2020-02-14 Toy top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269147A1 (en)
JP (1) JP6948639B2 (en)
KR (1) KR10239194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4155S1 (en) * 2019-01-29 2022-06-07 Lego A/S Spinning toy
JP7453950B2 (en) * 2021-10-22 2024-03-21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Top toys and top toy set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1356U (en) * 1989-11-16 1991-07-18
JPH0397704U (en) * 1990-01-18 1991-10-08
JP3071356U (en) 2000-02-28 2000-08-29 株式会社タカラ Top toy device
KR200426020Y1 (en) * 2006-02-14 2006-09-14 일 광 하 Wheel for car toys
JP2016185318A (en) * 2015-06-25 2016-10-27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Toy top
KR20180007290A (en) * 2016-07-12 2018-01-22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Spinning top to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1356U (en) * 1989-11-16 1991-07-18
JPH0397704U (en) * 1990-01-18 1991-10-08
JP3071356U (en) 2000-02-28 2000-08-29 株式会社タカラ Top toy device
KR200426020Y1 (en) * 2006-02-14 2006-09-14 일 광 하 Wheel for car toys
JP2016185318A (en) * 2015-06-25 2016-10-27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Toy top
KR20180007290A (en) * 2016-07-12 2018-01-22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Spinning top to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69147A1 (en) 2020-08-27
JP6948639B2 (en) 2021-10-13
KR102391944B1 (en) 2022-04-28
JP2020137546A (en)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273B1 (en) Spinning top toy
JP6431629B1 (en) Top toy
EP3323480B1 (en) Toy top
CN208493221U (en) Toy top
US10695660B2 (en) Toy top
KR101579417B1 (en) Spinning top toy
EP3195911B1 (en) Toy top
EP3222334B1 (en) Toy top
JP2018186882A (en) Top toy
KR20200104224A (en) Toy top
JP6261786B1 (en) Top toy
JP6618970B2 (en) Top toy
EP3424574A1 (en) Spinning top toy
JP6516587B2 (en) Top toy
JP6232153B1 (en) Top toy
KR20190043067A (en) Toy parts removal structure
JP6904543B2 (en) Top toys
JP2020058684A (en) Top toy
JP2018196419A (en) Top toy
KR20210006828A (en) Toy top
EP3363513A1 (en) Spinning top t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