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595A - 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 - Google Patents

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595A
KR20200103595A KR1020200107087A KR20200107087A KR20200103595A KR 20200103595 A KR20200103595 A KR 20200103595A KR 1020200107087 A KR1020200107087 A KR 1020200107087A KR 20200107087 A KR20200107087 A KR 20200107087A KR 20200103595 A KR20200103595 A KR 20200103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ootrest
folded
folding
kick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0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현
심재훈
양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림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림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림슨
Priority to KR1020200107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3595A/en
Publication of KR20200103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595A/en
Priority to KR1020210085328A priority patent/KR1024688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ck board including a footrest; a steering handle; and front and rear wheels. The kick board, which is a foldable kick board capable of being folded for easy storage and portability, also includes a footrest folding means. Since the footrest is folded by the footrest folding means, the front and rear wheels of the kick boar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be located side by side on the same line in a lateral direction. Thus, when the kick board is towed and carried like a carrier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and the steering handle are folded, the kick board can be conveniently and stably carried without falling laterally. Moreover, if the front and rear wheels land on the ground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and the steering handle are folded, a headlight and a taillight land on the ground at the same time such that the kick board can land on the ground in four spots. Thus, even if a rider does not hold the handle, the kick board can maintain its upright stable posture without randomly falling, thereby enabling the rider to perform other actions such as using a mobile phone, purchasing a product or the like by freely using both hands after parking the kick board while carrying the kick board.

Description

개량형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Improved 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 {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

본 발명은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 시 쉽게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접은 상태에서 넘어지지 않고 안정되게 세울 수 있어 운반 도중 킥보드를 세워 두고 라이더가 자유로운 양손을 이용하여 휴대전화를 사용하거나 물건을 구입하는 등 다른 일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한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rier-type folding kickboard, and more specifically, a carrier-type towing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without falling over easily during transport, and can stand stably without falling in a folded stat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arrier-type folding kickboard that allows the rider to use a mobile phone or purchase items with both hands freely standing upright.

바쁜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이동하기 위한 시간은 너무나 아깝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전거, 오토바이, 자동차 등을 선택한다. 하지만 바쁜 현대인들에게 우리나라의 도로는 너무나도 답답하다. 그래서 대중교통을 타기 위해 노력한다. 대도시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은 대체로 정시 운행이 이루어지는 지하철이다.I think the time to travel is too much for busy modern people. So people choose bikes, motorcycles, cars, etc. However, for busy modern people, roads in Korea are very frustrating. So I try to get on public transportation. The most used public transportation in large cities is the subway, which runs on a regular basis.

지하철을 타러 가기 위한 거리가 가깝거나 도착역에서 최종 목적지가 가까운 경우에는 고민을 하지 않고 지하철을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 출발역까지의 거리와 도착역에서 최종 목적지까지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또 다시 시간이 아깝고 힘들지 않을까 하는 고민을 하게 된다.If the distance to take the subway is close or the final destination is close from the arrival station, you will choose the subway without worrying. However, if the distance to the departure station and the distance from the arrival station to the final destination are long, they are worried that time will be wasteful and difficult again.

따라서 출발지에서 출발역까지, 그리고 도착역에서 도착지까지 자전거나 킥보드 등을 사용하여 환승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Therefore, the number of people who transfer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departure station and from the arrival station to the destination using bicycles or kickboards is increasing.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공휴일에만 자전거를 휴대하여 지하철을 탑승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사용에 제약이 뒤따르며, 이에 비하여 킥보드는 자전거에 비해 크기가 작고 휴대가 간편하며 지하철에도 휴대하여 탑승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특히 젊은 층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다.However, in Korea, bicycles are allowed to ride on the subway only on public holidays, so there are restrictions on use.In contrast, the kickboard has the advantage of being smaller and easier to carry than bicycles and that it can be carried and boarded on the subway. Especially, it is widely used by young people.

종래 접이식 킥보드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04403호 (2000.09.15. 등록)의 "절첩 가능한 킥보드"가 있다.As a prior art of the conventional folding kickboard, there is a "foldable kickboard" of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004403 (registered on September 15, 2000).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절첩 가능한 킥보드는 핸들과 보드에 각각 프레임과 플레이트를 샤프트로 조립하여 회전하도록 하며, 프레임에 설치된 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핸들이 보드 위로 접히도록 함으로써 휴대와 보관이 간편하게 되도록 한 것으로, 운반 시에는 후륜 측에 위치하는 핸들의 손잡이 부분을 잡고 세워 전륜이 지면에 접하도록 하여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foldable kickboard of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is to be rotated by assembling a frame and a plate to the handle and the board as a shaft, respectively, and the handle is folded over the board by the operation of a lever installed on the frame to facilitate carrying and storage, When carrying, hold the handle part of the handle located on the rear wheel so that the front wheel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it can be towed and transported in a carrier type.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절첩 가능한 킥보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folding kickboard of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has the following problems.

접은 상태에서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 시 전륜만 지면에 닿기 때문에 마치 외발수레와 같이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넘어지려고 하기 때문에 운반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 is a problem in that transport becomes inconvenient because only the front wheel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transported by being towed in a carrier type in a folded state.

접은 상태에서는 자체적으로 세워둘 수 없어 한 손으로는 계속 핸들을 잡고 있어야 하므로 운반 도중 휴대전화를 사용하거나 물건을 구입하는 등 다른 일을 병행하는 경우 다른 한 손밖에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folded state, it cannot stand on its own, so it is necessary to keep holding the handle with one han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the other hand can be used when performing other tasks such as using a mobile phone or purchasing goods during transportation.

또한 접이식 킥보드의 선행기술로서 국제공개특허 WO2013065978 A1 (2013.05.10. 공개)의 "접이식 킥보드"가 있다.In addition, as a prior art of a folding kickboard, there is a "folding kickboard" of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2013065978 A1 (published on May 10, 2013).

상기 국제공개특허의 접이식 킥보드는 핸들지지프레임이 발판 위로 접히도록 구성하고, 후륜 측에 스탠드를 구비하여,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할 수 있으며, 운반 도중에 스탠드에 의해 세워둘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foldable kickboard of the internationally published pat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andle support frame is folded over the footrest, and has a stand on the rear wheel side, so that it can be traction and transported in a carrier type, and can be stood by a stand during transport.

상기 국제공개특허의 접이식 킥보드는 발판의 후단부에 스탠드를 구비하여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하는 도중에 넘어지지 않게 세워 둘 수 있게 되는 장점은 있다.The folding kickboard of the internationally published patent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stand at the rear end of the footrest so that it can be pulled in a carrier type so as not to fall over during transport.

그러나 접은 상태에서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 시 후륜만 지면에 닿기 때문에 마치 외발수레와 같이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넘어지려고 하기 때문에 운반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ransportation becomes inconvenient because only the rear wheel touches the ground when transported by traction in a carrier-type in a folded state, so it will fall unless careful attention is paid like a unicycle.

또한 핸들지지프레임과 발판을 접기 위한 접이구조가 핸들지지프레임의 하단과 발판의 선단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접었을 때 전체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하여 핸들지지프레임의 길이를 줄인다고 하더라도 전체 길이가 보드의 길이 이하로 짧아질 수 없어 보관하거나 차량에 적재 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olding structure for folding the handle support frame and the footrest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handle support frame and the tip of the footrest, even if the length of the handle support frame is shortened to shorten the overall length when folded, the overall length is less than the length of the board. Since it cannot be shorten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up a lot of space when stored or loaded in a vehicle.

또한 접이식 킥보드의 선행기술로서 3개의 바퀴가 있는 "접이식 킥보드"가 있다. 이와 같은 접이식 킥보드는 후륜을 좌우 2개로 구성하여 접은 상태에서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 시 전륜 1개와 후륜 2개를 포함하는 3개의 바퀴가 지면에 닿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lso, as a prior art of folding kickboard, there is a "folding kickboard" with three wheels. Such a folding kickboar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tably transport because three wheels including one front wheel and two rear wheels touch the ground when transporting by traction in a carrier type in a folded state by consisting of two rear wheels on the left and right.

그러나 이 접이식 킥보드는 접은 상태에서 전륜 1개와 후륜 2개가 좌우로 일직선상에 놓이기 때문에 접은 상태에서는 자체적으로 세워둘 수 없어 한 손으로는 계속 핸들을 잡고 있어야 하므로 운반 도중 휴대전화를 사용하거나 물건을 구입하는 등 다른 일을 병행하는 경우 다른 한 손밖에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3개의 바퀴가 조밀하게 위치되어 불안정하다. 이러한 문제점은 공통적으로 킥보드를 수직으로 접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However, since this folding kickboard is in a straight line with one front wheel and two rear wheels in a straight line, when folded, it cannot stand on its own, so you have to keep holding the handle with one h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only the other hand can be used when performing other tasks such as doing the same, and above all, the three wheels are densely located and thus unstable. This problem is commonly caused by folding the kickboard vertically.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 종래 기술 및 선행기술의 장점을 모두 살리면서 단점은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와 개발을 반복해 왔으며, 본 발명의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를 완성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has repeatedly researched and developed to solve all the disadvantages while taking advantage of the prior art and the prior art, and completed the carrier-type folding kick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04403호 (2000.09.15. 등록) "절첩 가능한 킥보드"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004403 (Registered on September 15, 2000) "Foldable Kickboard" 국제공개특허 WO2013065978 A1 (2013.05.10. 공개)의 "접이식 킥보드"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WO2013065978 A1 (published on May 10, 2013) "Foldable Kickboar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 시 쉽게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rier-type folding kickboard capable of maintaining a stable posture without falling easily during transport by traction in a carrier-typ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은 상태에서 넘어지지 않고 안정되게 세울 수 있어 운반 도중 킥보드를 세워두고 라이더가 자유로운 양손을 이용하여 휴대전화를 사용하거나 물건을 구입하는 등 다른 일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한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rier type that allows the rider to stand upright during transport and to perform other tasks, such as using a mobile phone or purchasing goods, with both free hands, as it can stand stably without falling when folded. We want to provide a folding kickboar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판과; 조향핸들과; 전륜 및 후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킥보드는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접어질 수 있는 접이식 킥보드이되, 발판접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판접이수단에 의하여 상기 발판이 접어짐으로써, 상기 킥보드의 전륜 및 후륜이 일정 거리 이격하여 좌우방향으로 동일선상에서 좌우로 나란히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affold; Steering wheel; In the kickboard comprising front and rear wheels, the kickboard is a folding kickboard that can be folded to facilitate storage and transport, further comprising a footrest folding means, and the footrest is folded by the footrest folding means, It provides a carrier-type foldable kick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of the kickboard are spaced a certain distance and positioned side by side on the same lin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상기 조향핸들은 상기 발판의 전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전후방향으로 접을 수 있게 설치되는 조향핸들이되, 상기 조향핸들을 세운 상태 또는 접은 상태에서 상기 조향핸들이 상기 발판에 고정되기 위한 조향핸들 로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teering handle is a steering handle installed to be able to rot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the front end of the foot plate and to be fol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steering handle is fixed to the foot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steering wheel is erected or folde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eering wheel locker.

상기 발판은 전방발판과 후방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발판은 상면데코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접이수단은 상기 전방발판의 후단부 일측과 후방발판의 전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전, 후방발판을 회동시켜 접기 위한 것이되, 상기 회동은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향핸들 로커는 조향핸들 접힘로커를 포함하되, 상기 조향핸들 접힘로커는 상기 조향핸들을 접은 상태로, 접은상태의 전방발판의 후단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caffold includes a front scaffold and a rear scaffold, and the front scaffold includes an upper deco panel, and the scaffold folding means is formed on one side of a rear end of the front scaffold and a front end of the rear scaffold to provide front and rear scaffolds. It is for folding by rotating, the rotation is mad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teering handle locker includes a steering handle folding locker, and the steering handle folding locker is in a state where the steering handle is folded, and the rear of the front footboard in the folded stat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end.

상기 조향핸들 접힘로커는 중간부가 핸들포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발판 프레임의 후단부 하면에 걸리는 걸고리와, 상기 걸고리에서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방발판의 상기 상면데코패널의 후단부 상면에 걸리는 걸림편 및, 전단부에 형성되는 로킹해제손잡이를 가지는 로킹판과; 상기 로킹판을 로킹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teering wheel folding rocker has an intermediate portion rotatably supported on the handle post, a hook formed at the rear end to be hook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footrest frame, and the front footboard protruding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hook forward. A locking plate having a locking piece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upper decorative panel and a locking releasing handle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upper decorative panel;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rsion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cking plate in the locking direction.

본 발명의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에 의하면 발판과; 상기 발판의 전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전후방향으로 접을 수 있게 설치되는 조향핸들과; 상기 조향핸들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륜과; 상기 발판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발판은 전방발판과 후방발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발판의 후단부 일측과 후방발판의 전단부 일측에는 전, 후방발판을 수평방향으로 회동하여 접기 위한 발판접이수단과; 상기 전방발판과 후방발판을 펼친 상태로 로킹하기 위한 발판펼침로커와; 상기 전방발판의 후단부 일측과 후방발판의 전단부 일측에 구비되어 전방발판과 후방발판을 접힌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발판접힘로커와; 상기 넥 가이드와 넥 바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향핸들을 세운 상태에서 넥 바디를 넥 가이드에 고정하는 조향핸들 세움로커와; 상기 조향핸들을 세운 상태로 상기 전방발판의 전단부에 고정하기 위한 조향핸들 세움로커와; 상기 조향핸들을 접은 상태로 후방발판의 후단부에 고정하기 위한 조향핸들 접힘로커;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 후방발판을 접었을 때 전, 후륜이 좌우방향 동일선상에서 좌우로 나란히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발판과 조향핸들을 접은 상태에서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할 때 킥보드가 좌우로 넘어지려고 하는 일이 없이 안정되고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arrier-type folding kick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rest and; A steering handle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scaffold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o be folded in a front and rear direction; A front wheel rotatably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steering wheel; Consisting of including rear wheels rotatably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scaffold, the scaffold is composed of a front scaffold and a rear scaffold, and front and rear scaffolds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scaffold and one front end of the rear scaffold. A footrest folding means for folding by rot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 scaffold spreading locker for locking the front scaffold and the rear scaffold in an unfolded state; A footrest folding lock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footrest and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rear footrest to fix the front footrest and the rear footrest in a folded state; A steering handle stand locker provided between the neck guide and the neck body and fixing the neck body to the neck guide while the steering handle is erected; A steering handle erecting locker for fixing the steering wheel to the front end of the front foot plate in an erect state; A steering wheel folding locker for fixing the steering wheel to the rear end of the rear foot plate in a folded state;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d when the front and rear feet are folded, the front and rear wheels are positioned side by side on the same lin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when transporting by towing in a carrier type with the footrest and steering wheel folded, the kickboard is left and right. It is stable and can be transported easily without trying to fall over.

또한 본 발명의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에 의하면, 발판과 조향핸들을 접은 상태에서 전륜과 후륜이 지면에 착지되도록 하면, 전조등과 후미등이 동시에 지면에 착지되어 킥보드가 4점에서 지면에 착지되므로 라이더가 핸들손잡이를 잡지 않더라도 킥보드가 임의로 넘어지는 일이 없이 안정된 자세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운반 도중 킥보드를 세워두고 라이더가 자유로운 양손을 이용하여 휴대전화를 사용하거나 물건을 구입하는 등 다른 일을 병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arrier-type folding kick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front and rear wheels are landed on the ground when the footrest and steering wheel are folded, the headlights and rear lights are simultaneously landed on the ground, and the kickboard is landed on the ground at four points, so that the rider can handle Even if you do not hold the handle, the kickboard does not fall arbitrarily and remains in a stable position, so you can stand the kickboard during transportation and use both hands freely to use a mobile phone or purchase items, etc. There will be.

도 1 내지 도 40은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것이며,
도 1 내지 도 4는 발판, 조향핸들을 모두 펼친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저면도,
도 4는 발판펼침로커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발판을 접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
도 5는 사시도,
도 6은 평면도,
도 7은 저면도,
도 8은 발판이 완전히 접히기 전의 상태의 발판접힘로커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9 내지 도 15는 발판은 완전히 접은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9는 사시도,
도 10은 평면도,
도 11은 저면도,
도 12는 발판이 완전히 접힌 상태의 발판접힘로커를 보인 저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각각 발판접힘로커를 보인 사시도, 저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6 내지 도 18은 조향핸들을 접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
도 16은 사시도,
도 17은 평면도,
도 18은 저면도이고,
도 19 내지 도 30은 조향핸들을 완전히 접은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19는 사시도,
도 20은 평면도,
도 21은 저면도,
도 22 내지 도 26은 각각 핸들펼침로커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부분 사시도, 부분 절개 측면도,
도 27 내지 도 30은 각각 조향핸들 접힘로커를 보인 측면도, 사시도, 부분 측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31 내지 도 33은 핸들손잡이를 접은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31은 사시도,
도 32는 평면도,
도 33은 저면도이고,
도 34 내지 도 36은 핸들포스트의 길이를 중간단계로 줄인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34는 사시도,
도 35는 평면도,
도 36은 저면도이며,
도 37 내지 도 39는 핸들포스트의 길이를 완전히 줄인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37은 사시도,
도 38은 평면도,
도 39는 저면도이고,
도 40은 발판과 조향핸들을 접은 상태에서 지면에 세워둔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1 to 40 show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arrier-type folding ki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to 4 show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and steering wheel are all unfolded,
1 is a perspective view,
2 is a plan view,
3 is a bottom view,
4 is a plan view showing a scaffold spreading locker,
5 to 8 show the process of folding the scaffold,
5 is a perspective view,
6 is a plan view,
7 is a bottom view,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otrest folding locker in a state before the footrest is completely folded,
9 to 15 show the footrest completely folded,
9 is a perspective view,
10 is a plan view,
11 is a bottom view,
12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footrest folding locker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completely folded;
13 to 15 are a perspective view, a bottom view and a side view each showing a footrest folding locker,
16 to 18 show the process of folding the steering wheel,
16 is a perspective view,
17 is a plan view,
18 is a bottom view,
19 to 30 show a state in which the steering wheel is completely folded,
19 is a perspective view,
20 is a plan view,
21 is a bottom view,
22 to 26 are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a partial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utaway side view showing the handle spreading locker, respectively,
27 to 30 are a side view, a perspective view, a partial side view, and a rear view, respectively, showing the steering wheel folding locker,
31 to 33 show a state in which the handle handle is folded,
31 is a perspective view,
32 is a plan view;
33 is a bottom view,
34 to 36 show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handle post is reduced to an intermediate step,
34 is a perspective view,
35 is a plan view;
36 is a bottom view,
37 to 39 show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handle post is completely reduced,
37 is a perspective view,
38 is a plan view;
39 is a bottom view,
40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standing on the ground in a folded state of the footrest and steering wheel.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arrier-type folding ki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실시 예는 수동식 킥보드에 적용한 예를 들고 있으며, 수동식 킥보드와 전동식 킥보드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예의 킥보드에 전동기구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가하는 것에 의하여 전동 킥보드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This embodiment shows an example of application to a manual kickboard, and can be commonly applied to a manual kickboard and an electric kickboard, and can be applied to an electric kickboard by adding a power mechanism to the kickboard of an urban example in a conventional manner.

본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는 도 1 내지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핸들손잡이(45)11)과 후방핸들손잡이(45)12)로 구성되는 핸들손잡이(45)10)과; 상기 전방핸들손잡이(45)11)의 전단부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전방 및 상방으로 연장되는 원호형 넥 가이드(Neck Guide)(20)와, 상기 넥 가이드(20)에 안내되는 넥 바디(30)와; 상기 넥 바디(30)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향핸들(40)과; 상기 조향핸들(40)의 하단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크(Fork)(50)와; 상기 포크(50)의 하단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륜(60)과; 상기 후방핸들손잡이(45)12)의 후단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륜(70)과; 상기 전방발판(11)의 후단부 일측과 후방발판(12)의 전단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을 수평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발판접이수단(80)과; 상기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에 구비되어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을 펼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발판펼침로커(90)와; 상기 전방발판(11)의 후단부 일측과 후방발판(12)의 전단부 일측에 구비되어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을 접힌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발판접힘로커(100)와; 상기 넥 가이드(20)와 넥 바디(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향핸들(40)을 세운 상태에서 넥 바디(30)를 넥 가이드(20)에 고정하는 조향핸들 세움로커(110)와; 상기 조향핸들(40)을 접은 상태로 전방발판(11)에 고정하기 위한 조향핸들 접힘로커(12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9, the carrier-type folding ki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andle handle 45 and 10 consisting of a front handle handle 45 and a rear handle handle 45 and 12;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front handle handle 45 and 11, and an arcuate neck guide 20 extending forward and upward, and a neck body 30 guided to the neck guide 20 Wow; A steering handle 40 supported to be horizontally rotatable on the neck body 30; A fork 50 integrally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teering handle 40; A front wheel (60) rotatably supported at the lower end of the fork (50); A rear wheel (70) rotatably supported at the rear end portion of the rear handle (45) 12; A footrest folding means 8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footrest 11 and at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rear footrest 12 so that the front footrest 11 and the rear footrest 12 can be horizontally folded; A scaffold spreading locker 90 provided on the front scaffold 11 and the rear scaffold 12 to fix the front scaffold 11 and the rear scaffold 12 in an unfolded state; A footrest folding locker 10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footrest 11 and at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rear footrest 12 to fix the front footrest 11 and the rear footrest 12 in a folded state; A steering handle stand locker 110 provided between the neck guide 20 and the neck body 30 to fix the neck body 30 to the neck guide 20 while the steering handle 40 is erected; A steering handle folding locker 120 for fixing the steering handle 40 to the front foot plate 11 in a folded state; Consists of including.

상기 전방발판(11)의 전후방향 거리는 전방발판(11)의 전단부에 고정되는 넥 가이드(20)의 전, 후단 간의 거리를 감안하여 후방발판(12)보다 전후방향 길이를 짧게 하여 발판접이수단(80)의 회전중심에서 전륜(60)의 회전중심까지의 거리와 발판접이수단(80)의 회전중심에서 후륜(70)의 회전중심까지의 거리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을 접었을 때 조향핸들(40)의 하단부에 지지되는 전륜(60)과 후방발판(12)에 지지되는 후륜(70)이 좌우방향 동일선상에서 좌우로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 내지 도 12 참조).The front and rear distance of the front footrest 11 is shorter than the rear footrest 12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neck guide 20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front footrest 11, and the footrest folding means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front wheel (80)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front wheel (60) and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footrest folding means (80)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rear wheel (70) are the same. When folded (12),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the front wheel 60 supported on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wheel 40 and the rear wheel 70 supported on the rear footrest 12 to be located left and right on the same lin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9 to 12).

또한, 이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회전케하여, 전륜 및 후륜은 일정 거리 이격하게 되는데, 이 이격거리는 상기 발판의 폭에 의하여 결정되고 형성된다.In addition, by rot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and rear wheels are separated by a certain distance, which is determined and formed by the width of the scaffold.

상기 전방발판(11)은 박스형 전방발판 프레임(11a)과, 상기 전방발판 프레임(11a)의 상면, 정면 및 저면에 부착되는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과, 전방발판 측면데코패널(11c) 및 전방발판 저면데코패널(11d)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후방발판(12)은 박스형 후방발판 프레임(12a)과, 상기 후방발판 프레임(12a)의 상면, 측면 및 저면에 부착되는 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2b)과, 후방발판 측면데코패널(12c) 및 후방발판 저면데코패널(12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ront scaffold 11 includes a box-shaped front scaffold frame 11a, a front scaffold top deco panel 11b attached to the top, front and bottom surfaces of the front scaffold frame 11a, and a front scaffold side deco panel 11c. And a front scaffold bottom deck panel 11d, wherein the rear scaffold 12 includes a box-shaped rear scaffold frame 12a, and a rear scaffold top surface attached to the top,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rear scaffold frame 12a.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ecor panel (12b), a rear foot plate side decor panel (12c) and a rear foot plate bottom decor panel (12d).

상기 전방발판 프레임(11a)에 대한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과 전방발판 측면데코패널(11c) 및 전방발판 저면데코패널(11d)의 부착은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과 전방발판 측면데코패널(11c) 및 전방발판 저면데코패널(11d)을 관통하는 스크루(미도시)를 전방발판 프레임(11a)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ttachment of the front scaffold upper deco panel 11b, the front scaffold side decor panel 11c, and the front scaffold bottom decor panel 11d to the front scaffold frame 11a is the front scaffold upper deco panel 11b and the front scaffold side It may be achieved by fastening a screw (not shown) penetrating the decorative panel 11c and the front footrest bottom decor panel 11d to the front footrest frame 11a.

상기 넥 가이드(20)는 하단이 전방발판(11)의 전단부에 고정되며 원호형 가이드홈(22)이 형성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판(21)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21)의 전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판(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neck guide 20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guide plates 21 having a lower end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front foot plate 11 and having an arc-shaped guide groove 22, and the pair of guide plates 2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ng plate 23 integrally connecting the front end.

상기 넥 바디(30)는 상기 원호형 가이드홈(22)에 대응하여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1)와, 상기 조향핸들(40)의 하단부가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향핸들지지공(32)을 포함한다.The neck body 30 has a guide protrusion 31 formed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the arc-shaped guide groove 22, and a steering handle support hole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handle 40 so as to be rotat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includes (32).

상기 원호형 가이드홈(22)은 하나의 홈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한 쌍의 홈을 나란히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돌기(31)는 원호형 가이드홈(22)에 대응하여 넥 바디(30)의 양측면에 한 쌍씩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rc-shaped guide groove 22 may be formed as a single groove, but it is preferable to form a pair of grooves side by side as in the illustrated example, and the guide protrusion 31 corresponds to the arc-shaped guide groove 22 Thus, it is desirable to form a pair on both sides of the neck body 30.

상기 조향핸들(40)은 하단이 상기 넥 바디(30)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들축(41)과, 상기 핸들축(41)의 상단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핸들암(Handle Arm)(42)과, 상기 핸들암(42)이 전단부에 하단이 고정되는 핸들포스트(43)와, 상기 핸들포스트(43)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핸들손잡이(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eering handle 40 includes a handle shaft 41 whose lower end is supported to be rotat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neck body 30, and a handle arm that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handle shaft 41 and extends forward. Arm) 42, the handle arm 42 is configured to include a handle post 43 that has a lower end fixed to the front end, and a handle handle 45 that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andle post 43 do.

상기 핸들축(41)은 넥 바디(30)의 조향핸들지지공(32)에 베어링(미도시)을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handle shaft 41 is rotatably suppor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a bearing (not shown) in the steering handle support hole 32 of the neck body 30.

상기 핸들암(42)은 핸들포스트(43)의 중심축과 포크(50)의 회전중심을 이격시켜 조향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handle arm 42 is to separate the central axis of the handle post 43 and the rotation center of the fork 50 so that the steering operation is smoothly performed.

상기 핸들포스트(43)는 하나의 봉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라이더의 신체조건에 따라, 그리고 보관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핸들포스트(4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신축조절 가능한 복수개의 핸들포스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ndle post 43 may be composed of a single rod, but a plurality of handle posts that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so that the length of the handle post 43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ider's physical condition and to minimize the space occupied during storag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핸들포스트(43)는 하단이 핸들암(42)의 전단부에 고정되는 하단 핸들포스트(43a)와, 상기 하단 핸들포스트(43a)의 상부에 신축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단 핸들포스트(43b) 및, 상기 중단 핸들포스트(43b)의 상부에 신축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단 핸들포스트(43c)로 구성할 수 있다.The handle post 43 includes a lower handle post 43a whose lower end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handle arm 42, and a middle handle post 43b that is elastically adjustabl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handle post 43a, and , It may be composed of an upper handle post (43c)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iddle handle post (43b) to be elastically adjustable.

상기 하단 핸들포스트(43a), 중단 핸들포스트(43b) 및 상단 핸들포스트(43c)는 원통형 파이프로 구성하여 하단 핸들포스트(43a)가 중단 핸들포스트(43b)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중단 핸들포스트(43b)가 상단 핸들포스트(43c)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The lower handle post (43a), the middle handle post (43b) and the upper handle post (43c) are composed of a cylindrical pipe so that the lower handle post (43a) is inserted in the middle handle post (43b) to be slidably longitudinally, The middle handle post 43b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upper handle post 43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하단 핸들포스트(43a)의 상단과 중단 핸들포스트(43b)의 하단 사이와, 중단 핸들포스트(43b)의 상단과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하단 사이에는 핸들포스트 고정수단(44)이 구비된다.A handle post fixing means 44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lower handle post 43a and the lower end of the middle handle post 43b, an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middle handle post 43b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handle post 43c. .

상기 핸들포스트 고정수단(44)은 C자형으로 형성되어 중단 핸들포스트(43b)의 하단 외주면과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하단 외주면을 조이는 조임링(44a)과, C자형 조임링(44a)의 양단에 절곡되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편(44b, 44c)과, 일측 연장편(44b)에 고정되어 타측 연장편(44c)을 관통하는 클램프 로드(44d)와, 클램프 로드(44d)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 레버(44e) 및, 상기 클램프 레버(44e)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타측 연장편(44c)을 조이는 조임캠부(44f)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andle post fixing means 44 is formed in a C-shape to tighte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iddle handle post 43b and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handle post 43c, and the C-shaped tightening ring 44a. A pair of extension pieces (44b, 44c) that are bent at both ends and extend parallel to each other, a clamp rod (44d) fixed to one extension piece (44b) and passing through the other extension piece (44c), and a clamp rod (44d) ) And a clamp lever 44e rotatably coupled to the end of the clamp lever 44e, and a tightening cam portion 44f formed integrally with the clamp lever 44e to tighten the other extension piece 44c.

상기 핸들손잡이(45)는 상기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상단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손잡이(46)와, 상기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상단 타측에 접이식으로 연결되는 접이식 손잡이(47) 및, 상기 접이식 손잡이(47)를 펼친 상태 및 접은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핸들손잡이로커(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andle handle 45 includes a fixed handle 46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handle post 43c, and a folding handle 47 that is fold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handle post 43c,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andle handle locker 48 for fixing the folding handle 47 in an unfolded state and a folded state.

상기 고정손잡이(46)는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상단 일측에 고정되는 손잡이봉(46a)과, 상기 손잡이봉(46a)의 단부에 씌워지는 손잡이고무(46b)로 구성된다(도 1 및 도 31 참조).The fixed handle 46 is composed of a handle bar 46a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handle post 43c, and a handle rubber 46b covered on the end of the handle bar 46a (FIG. 1 and FIG. 31).

상기 접이식 손잡이(47)는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상단 타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봉(47a)과, 상기 손잡이봉(47a)의 단부에 씌워지는 손잡이고무(47b)로 구성된다(도 1 및 도 31 참조).The foldable handle 47 is composed of a handle bar 47a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handle post 43c, and a handle rubber 47b covered on the end of the handle bar 47a (Fig. 1 and Fig. 31).

상기 핸들손잡이로커(48)는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상단 타측에 고정되며 힌지장공(48b)이 형성된 슬라이드회동지지대(48a)와, 상기 손잡이봉(47a)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장공(48b)에 슬라이드 및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핸들손잡이(45)48c)과, 상기 손잡이봉(47a)의 외주면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회동지지대(48a)를 감싸는 로킹링(48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 및 도 31 참조).The handle handle locker 48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handle post 43c and has a hinged hole 48b formed therein, and is fixed to the handle bar 47a and fixed to the hinge long hole 48b.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andle handle (45) 48c, which is slide and rotatably inserted into the handle, and a locking ring (48d) that is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bar (47a) and surrounds the slide rotation support (48a). (See Figs. 1 and 31).

상기 손잡이봉(47a)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고 로킹링(48d)의 내주면에는 수나사부에 대응하는 암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A male threaded portion (not show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bar 47a, and a female threaded portion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male threaded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ing ring 48d, and detailed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상기 접이식 손잡이(47)의 손잡이봉(47a)에는 브레이크 레버(BL)가 설치된다.A brake lever BL is installed on the handle bar 47a of the folding handle 47.

상기 포크(50)는 상기 핸들축(41)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수평판(51)과, 상기 수평판(51)의 좌우 양단에서 하향 절곡되는 차축지지판(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3 및 도 16 참조).The fork 50 includes a horizontal plate 51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andle shaft 41, and an axle support plate 52 that is bent downwar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horizontal plate 51 (Fig. 13 and 16).

상기 전륜(60)은 상기 포크(50)의 차축지지판(5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륜차축(61)과, 상기 전륜차축(61)에 고정되는 전륜휠(62) 및, 상기 전륜휠(62)에 결합되는 전륜타이어(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ront wheel 60 includes a front wheel axle 61 rotatably supported on an axle support plate 52 of the fork 50, a front wheel 62 fixed to the front axle 61, and the front wheel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ront tire (63) coupled to 62).

상기 후륜(70)은 상기 후방발판(12)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륜차축(71)과, 상기 후륜차축(71)에 고정되는 후륜휠(72) 및, 상기 후륜휠(72)에 결합되는 후륜타이어(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ar wheel 70 includes a rear wheel axle 71 rotatably supported at a rear end of the rear foot plate 12, a rear wheel 72 fixed to the rear axle 71, and the rear wheel 7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ar tire (73) coupled to.

상기 전류차축(61)과 후륜차축(71)은 각각 베어링(미도시)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The current axle 61 and the rear wheel axle 71 are each rotatably supported through a bearing (not shown), and detailed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발판접이수단(80)은 상기 전방발판(11)의 후단부 일측과 후방발판(12)의 전단부 일측에는 각각 힌지편(81, 82)과, 상기 힌지편(81, 82)을 연결하는 힌지핀(8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 및 도 3 참조).The footrest folding means 80 connects hinge pieces 81 and 82 to one side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footrest 11 and one front end of the rear footrest 12, respectively, and the hinge pieces 81 and 8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inge pin 83 (see Figs. 2 and 3).

상기 발판펼침로커(90)는 상기 전방발판(11)의 후단부 타측에 구비되며 후단부에 걸고리(92)가 형성되고 전단부에 로킹해제손잡이(93)가 형성되는 탄성후크(91)와, 상기 후방발판(12)의 전단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후크(91)의 걸고리(92)가 걸리는 걸림홈(94) 및, 상기 탄성후크(91)를 로킹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9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4 참조).The scaffold spreading locker 9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scaffold 11, a hook 92 is formed at the rear end, and an elastic hook 91 is formed with an unlocking handle 93 at the front end, A torsion spring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rear foot plate 12 to support the locking groove 94 in which the hook 92 of the elastic hook 91 is caught and the elastic hook 91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locking direction Spring) (95) is included (see Fig. 4).

상기 탄성후크(91)는 로킹해제손잡이(93)를 누르는 것에 의하여 걸고리(92)가 걸림홈(94)에서 이탈되도록 구성된다.The elastic hook 9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ook 92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94 by pressing the unlocking handle 93.

상기 발판접힘로커(100)는 전방발판(11)의 전단부 일측에 탄력지지되며 선단부에 걸고리(102)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로킹해제레버(115)가 형성된 탄성후크(101)와, 상기 후방발판(12)의 후단부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걸고리(102)가 걸리는 걸림턱(105)을 가지는 걸림편(1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3 내지 도 15 참조).The footrest folding locker 100 is elastically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front footrest 11, a hook 102 is formed at the front end, and an elastic hook 101 having a locking release lever 115 formed at the rear end thereof, and the rear I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rear end of the footrest 12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cking piece 104 having a locking projection 105 to which the locking hook 102 is caught (see FIGS. 13 to 15).

상기 걸림편(104)의 일측에는 걸림편(104)을 상기 후방발판(12)의 전단부 일측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106)이 일체로 형성된다.One side of the locking piece 104 is integrally formed with a fixing piece 106 for fixing the locking piece 104 to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rear foot plate 12.

상기 탄성후크(101)는 토션스프링(미도시)에 의하여 로킹방향으로 탄력지지할 수 있다.The elastic hook 101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locking direction by a torsion spring (not shown).

상기 조향핸들 세움로커(110)는 넥 가이드(20)의 원호형 가이드판(21)의 상단부측 안쪽 면에 형성되는 걸림홈(111)과, 상기 넥 바디(30)의 후면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걸림홈(111)에 걸리는 걸림편(113)을 가지는 로킹판(112)과, 상기 로킹판(112)을 걸림편(113)이 걸림홈(111)에 걸리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토션스프링(114) 및, 상기 로킹판(112)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로킹해제레버(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2 내지 도 26 참조).The steering handle stand rocker 110 has a locking groove 11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side of the arc-shaped guide plate 21 of the neck guide 20, an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neck body 30. A locking plate 112 that is supported rotatably and has a locking piece 113 that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111, and the locking plate 112 is resili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piece 113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11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ing torsion spring 114 and a locking release lever 115 integrally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cking plate 112 (see FIGS. 22 to 26).

도 22, 도 24 및 도 26은 조향핸들(40)이 세워진 상태에서 넥 바디(30)의 위치를 보인 것이고, 도 25는 조향핸들(40)이 접힌 상태에서 넥 바디(30)의 위치를 보인 것이다.22, 24, and 26 show the position of the neck body 30 when the steering handle 40 is erected, and FIG. 25 shows the position of the neck body 30 when the steering handle 40 is folded. will be.

상기 걸림홈(111)은 원호형 가이드판(21)의 상단부에만 형성되어 조향핸들(40)이 세워진 상태에서만 로킹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The locking groove 111 is formed only at the upper end of the arc-shaped guide plate 21 and is configured to be locked only when the steering handle 40 is erected.

상기 조향핸들 접힘로커(120)는 중간부가 하단 핸들포스트(43a)의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발판(11)의 후단부 하면에 걸리는 걸고리(122)와, 상기 걸고리(122)에서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방발판의 후단부 상면에 걸리는 걸림편(123) 및, 전단부에 형성되는 로킹해제손잡이(124)를 가지는 로킹판(121)과; 상기 로킹판(121)을 로킹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토션스프링(1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7 내지 도 30 참조).The steering handle folding rocker 120 is supported so that the middle portion can be rotated vertically on the upper end of the lower handle post 43a, and is formed at the rear end, and the hook 122 is hook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footrest 11 and , A locking plate 121 having a locking piece 123 that is protruding from the hook 122 to a position spaced from the front and is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foot plate, and a locking release handle 124 formed at the front end.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orsion spring 127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cking plate 121 in the locking direction (see FIGS. 27 to 30).

상기 걸고리(122)는 전방발판 프레임(11a)의 후단부 하면에 걸리며, 걸림편(123)은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의 상면에 걸리도록 구성된다.The hook 122 is configured to be hook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footrest frame 11a, and the engaging piece 123 is configured to be hoo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footrest upper surface decor panel 11b.

상기 로킹판(121)은 중간부에 형성된 지지부(125)를 상기 하단 핸들포스트(43a)에 고정되는 지지축(126)에 지지하는 것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locking plate 121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supporting the support portion 125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n the support shaft 126 fixed to the lower handle post 43a.

상기 핸들암(42)의 선단부 하측에는 전조등(130)이 구비되고, 후륜(70)의 상측에는 후미등(140)이 구비된다.A headlight 130 is provided below the front end of the handle arm 42, and a taillight 140 is provided above the rear wheel 70.

상기 전조등(130)은 넥 가이드(20)의 연결판(23)에 고정 설치되고, 후미등(140)은 후륜(70)의 상부에 설치되는 후륜흙받이(141)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The headlight 13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connection plate 23 of the neck guide 20, and the rear light 14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wheel mudguard 141 installed on the rear wheel 70.

상기 전조등(130)과 후미등(140)은 발판(10)과 조향핸들(40)을 접은 상태에서 킥보드를 지면에 세울 때 전, 후륜(60, 70)과 함께 지면에 착지되어 킥보드가 넘어지지 않고 안정되게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headlights 130 and taillights 140 land on the ground together with the front and rear wheels 60 and 70 when the kickboard is placed on the ground with the footrest 10 and the steering wheel 40 folded, so that the kickboard does not fall. It has a function that allows it to be built stably.

상기 전조등(130)과 후미등(140)은 통상적인 전조등과 후미등과 마찬가지로 램프하우징과 램프하우징의 내부에 끼워지는 램프 및 램프하우징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되는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바, 전조등(130)의 램프하우징은 전면 가장자리가 렌즈보다 돌출되게 형성하고, 후미등(140)의 램프하우징은 후면 가장자리가 렌즈보다 돌출되게 형성하여 전조등(130)과 후미등(140)이 지면에 착지될 때 렌즈가 손상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dlight 130 and the taillight 140 are configured to include a lamp housing and a lamp fitted inside the lamp housing, and a lens attach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lamp housing, like a conventional headlight and taillight. ), the front edge of the lamp housing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ens, and the rear edge of the rear light (14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ens, so that the lens is damaged when the headlight 130 and the rear light 140 land on the ground.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so as not to be.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51은 전륜(60)의 양측에서 포크(50)의 양측 차축지지판(52)에 결합되는 데코플레이트이고, 152는 넥 가이드(20)에 씌워지는 데코플레이트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151 denotes a decor plate coupled to the axle support plates 52 on both sides of the fork 50 at both sides of the front wheel 60, and 152 denotes a decor plate covered on the neck guide 20.

이하, 본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arrier-type folding ki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라이딩 상태][Riding statu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이딩을 위하여 발판, 조향핸들을 모두 펼친 상태에서는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이 일측에서는 발판접이수단(80)을 구성하는 전방발판(11) 측 힌지편(81)과 후방발판(12) 측 힌지편(82) 및 힌지편(81, 82)을 연결하는 힌지핀(83)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서는 발판펼침로커(90)를 구성하는 탄성후크(91)가 토션스프링 또는 탄성후크(91)를 구성하는 재질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탄력지지되어 걸고리(92)가 후방발판(12)에 형성된 걸림홈(94)에 걸려 있으므로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이 하나로 연결된 발판을 구성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front footrest 11 and the rear footrest 12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and steering wheel are all unfolded for riding are the front footrest 11 constituting the footrest folding means 80 at one side. ) Side hinge piece (81) and rear foot plate (12) side hinge piece (82) and hinge pieces (81, 82) are connected by a hinge pin (83) that connects, and the other side of the foot plate spreading locker (90) Since the elastic hook 91 constituting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torsion spring or the elastic hook 91, the hook 92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94 formed in the rear foot plate 12, so the front footrest (11) and the rear footrest 12 constitute a footrest connected to one.

또한 조향핸들 세움로커(110)를 구성하는 로킹판(112)의 걸림편(113)이 넥 가이드(20)의 원호형 가이드판(21)에 형성된 걸림홈(111)에 걸려 있어 넥 바디(30)와 넥 바디(30)에 이에 결합된 핸들암(42)과 핸들암(42)에 고정된 핸들포스트(43)가 임의로 접히지 않고, 핸들포스트(43)가 세워진 상태로 유지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piece 113 of the locking plate 112 constituting the steering handle stand locker 110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111 formed in the arc-shaped guide plate 21 of the neck guide 20, so that the neck body 30 ) And the handle arm 42 coupled to the neck body 30 and the handle post 43 fixed to the handle arm 42 are not arbitrarily folded, and the handle post 43 is maintained in an erect state.

따라서 라이더가 발판(10) 위에 발을 딛고 양손으로 핸들손잡이(45)를 잡은 상태에서 라이딩을 즐길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rider can enjoy riding while stepping on the footrest 10 and holding the handle handle 45 with both hands.

라이딩 상태에서는 발판접힘로커(100)와 조향핸들 접힘로커(120)가 로킹 해제된 상태로 유지된다.In the riding state, the footrest folding locker 100 and the steering handle folding locker 120 are maintained in an unlocked state.

[발판을 접는 과정][Process of folding the footstool]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상태에서 발판펼침로커(90)를 구성하는 탄성후크(91)의 로킹해제손잡이(93)를 누르면, 탄성후크(91)가 회동하면서 걸고리(92)가 후방발판(12)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94)로부터 이탈되면서 로킹이 해제된다.1 to 4, when pressing the unlocking handle 93 of the elastic hook 91 constituting the footrest spreading locker 90, the hook 92 rotates while the elastic hook 91 rotates. As it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94 formed in the front end of 12), the locking is released.

이 상태에서 후방발판(12)에 좌측으로 힘을 가하면, 후방발판(12)이 발판접이수단(80)을 구성하는 힌지편(81, 82)과 힌지핀(83)을 중심으로 하여 좌측으로 회동하여 접히기 시작한다(도 5 내지 도 7 참조).In this stat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rear footrest 12 to the left, the rear footrest 12 rotates to the left around the hinge pieces 81 and 82 and the hinge pin 83 constituting the footrest folding means 80. To start folding (see Figs. 5 to 7).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이 접힘에 따라 전방발판(11)의 전단부와 후방발판(12)의 후단부가 점차 접근하게 되며,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이 완전히 접히기 직전에 이르면, 전방발판(11)의 전단부 일측에 고정되는 탄성후크(101)의 걸고리(102)와 후방발판(12)의 후단부 일측에 고정되는 걸림편(104)의 걸림턱(105)이 근접하게 되고(도 8 참조), 이 상태에서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의 접힘동작이 더 진행되면, 탄성후크(101)의 걸고리(102)가 걸림편(103)의 측부에 접촉하면서 자체 탄성에 의하여 휘어지면서 걸림턱(105)을 타고 넘게 되며,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이 완전히 접히게 되면, 탄성후크(101)가 자체 탄성에 의하여 복원되면서 걸고리(102)가 걸림턱(105)에 걸리게 되고(도 13 내지 도 15 참조),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이 접힌 상태로 로킹된다(도 9 내지 도 12 참조).As the front scaffold 11 and the rear scaffold 12 are folded, the front end of the front scaffold 11 and the rear end of the rear scaffold 12 gradually approach, and the front scaffold 11 and the rear scaffold 12 are completely When it reaches just before folding, the hook 102 of the elastic hook 101 fixed to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front foot plate 11 and the hooking jaw of the hook piece 104 fixed to one side of the rear end of the rear foot plate 12 ( 105) is approached (see FIG. 8), and when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front foot plate 11 and the rear foot plate 12 proceeds further in this state, the hook 102 of the elastic hook 101 becomes the locking piece 103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side, it is bent by its own elasticity and crosses over the locking jaw 105, and when the front foot plate 11 and the rear foot plate 12 are completely folded, the elastic hook 101 is restored by its own elasticity. The hook 102 is caught on the locking projection 105 (see Figs. 13 to 15), and the front foot plate 11 and the rear foot plate 12 are locked in a folded state (see Figs. 9 to 12).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이 접힌 상태에서 전륜(60)과 후륜(70)이 좌우방향 동일선상에서 좌우로 나란히 위치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ront footrest 11 and the rear footrest 12 are folded, the front wheels 60 and the rear wheels 70 are positioned side by side on the same lin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조향핸들을 접는 과정][Process of folding the steering wheel]

넥 바디(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킹판(112)의 로킹해제손잡이(124)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누르면, 로킹판(112)이 토션스프링(114)의 탄성에 대항하여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걸림홈(111)에 걸려 있던 걸림편(113)이 걸림홈(111)로부터 이탈된다.When pressing the unlocking handles 124 of the locking plate 112 rotatably installed on the neck body 30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the locking plate 112 rotates against the elasticity of the torsion spring 114, Accordingly, the locking piece 113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111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111.

이 상태에서 조향핸들(40)을 후방으로 밀면, 조향핸들(40)을 구성하는 하단 핸들포스트(43a)의 하단에 결합된 넥 바디(30)가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When the steering handle 40 is pushed rearward in this state, the neck body 3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handle post 43a constituting the steering handle 40 is pushed rearward.

이때, 넥 바디(3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1)가 넥 가이드(20)의 가이드판(21)에 형성된 원호형 가이드홈(22)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넥 바디(20), 핸들축(41), 핸들암(42), 핸들포스트(43), 손잡이(45)를 포함하는 조향핸들(40) 전체가 후방으로 하향 회동하면서 접히기 시작한다(도 16 내지 도 18 참조).At this time, the guide protrusions 3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neck body 30 move along the arc-shaped guide groove 22 formed in the guide plate 21 of the neck guide 20, so that the neck body 20 and the handle shaft (41), the entire steering wheel 40 including the handle arm 42, the handle post 43, and the handle 45 starts to be folded while rotating downwardly (see FIGS. 16 to 18).

조향핸들(40)이 접힘에 따라 하단 핸들포스트(43a)의 상단에 결합된 로킹판(121)의 걸고리(122)가 전방발판(11)의 전방발판 프레임(11a)과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의 후단부에 접근하게 되며, 조향핸들(40)이 완전히 접히기 직전에 이르면, 로킹판(121)의 걸고리(122)가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의 후단부에 접촉하면서 로킹판(121)이 토션스프링(127)의 탄성에 대항하여 회동하여 걸고리(122)가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의 후단과 전방발판 프레임(11a)의 후단을 통과하게 되며, 걸고리(122)가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의 후단과 전방발판 프레임(11a)의 후단을 통과하게 되면, 토션스프링(127)의 탄성에 의하여 로킹판(121)이 복원되면서 걸고리(122)가 전방발판 프레임(11a)의 후단부 하면에 걸리게 됨과 아울러 걸림편(123)이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의 후단부 상면에 걸리게 되어 조향핸들(40)과 이에 결합된 넥 바디(30)는 임의로 세워지는 일이 없이 로킹된다(도 27 내지 도 30 참조).As the steering wheel 40 is folded, the hook 122 of the locking plate 121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handle post 43a becomes the front footrest frame 11a of the front footrest 11 and the front footrest upper deco panel ( It approaches the rear end of 11b), and when the steering wheel 40 reaches just before it is completely folded, the hook 122 of the locking plate 121 contacts the rear end of the upper deco panel 11b of the front footboard and the locking plate (121) is rotated against the elasticity of the torsion spring 127 so that the hook 122 passes through the rear end of the front scaffold upper deco panel 11b and the rear end of the front scaffold frame 11a, and the hook 122 When passing through the rear end of the front scaffold top deco panel 11b and the rear end of the front scaffold frame 11a, the locking plate 121 is restored by the elasticity of the torsion spring 127 so that the hook 122 is moved to the front scaffold frame ( In addition to being caugh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11a), the locking piece 123 is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deco panel 11b, so that the steering handle 40 and the neck body 30 coupled thereto are arbitrarily erected. It is locked without this (see Figs. 27 to 30).

이때, 전방발판 프레임(11a)의 후단부 하면에 걸린 걸고리(122)는 조향핸들(40)이 세워지는 방향에 대하여 로킹작용을 하게 되고,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의 후단부 상면에 걸린 걸림편(123)은 조향핸들(40)이 더 접히는 방향에 대하여 로킹작용을 하게 되어 조향핸들(40)은 접힌 상태로 유지된다.At this time, the hook 122 hook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footrest frame 11a performs a locking a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eering handle 40 is erected, and is hoo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footrest upper surface deco panel 11b. The locking piece 123 performs a locking ac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teering handle 40 is further folded, so that the steering handle 40 is maintained in a folded state.

도 22는 조향핸들(40)이 세워진 상태에서 넥 가이드(20)에 대한 넥 바디(30)의 위치를 보인 것이고, 도 25는 조향핸들(40)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넥 가이드(20)에 대한 넥 바디(30)의 위치를 보인 것이다.22 shows the position of the neck body 30 with respect to the neck guide 20 in the state where the steering handle 40 is erect, and FIG. 25 shows the neck guide 20 with the steering handle 40 fully folded. It shows the position of the neck body 30.

[조향핸들의 길이조절 과정][Process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eering wheel]

도 31 내지 도 33에 도시한 상태에서, 조향핸들(40)을 구성하는 중단 핸들포스트(43b)의 하단에 구비된 핸들포스트 고정수단(44)을 구성하는 클램프 레버(44e)를 위로 당기면, 연장편(44c)을 조이던 조임캠부(44f)가 연장편(44c)으로부터 이완되며 중단 핸들포스트(43b)의 하단 외주면을 조이던 C자형 조임링(44a)이 이완되어 하단 핸들포스트(43a)와 중단 핸들포스트(43b)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된다.In the state shown in Figs. 31 to 33, when the clamp lever 44e constituting the handle post fixing means 44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iddle handle post 43b constituting the steering handle 40 is pulled upward, it is extended. The tightening cam portion 44f, which tightened the piece 44c, is released from the extension piece 44c, and the C-shaped tightening ring 44a that tightened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iddle handle post 43b is relaxed, and the lower handle post 43a and The middle handle post 43b is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 상태에서 중단 핸들포스트(43b)와 상단 핸들포스트(43c) 및 핸들손잡이(45)를 하단 핸들포스트(43a) 방향으로 누르면 하단 핸들포스트(43a)가 중단 핸들포스트(43b)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핸들포스트(43) 전체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도 34 내지 도 36 참조).In this state, pressing the middle handle post (43b), the upper handle post (43c), and the handle handle (45) toward the lower handle post (43a), the lower handle post (43a)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middle handle post (43b). The overall length of the handle post 43 is shortened (see FIGS. 34 to 36).

핸들포스트(43)가 원하는 길이로 조절된 후, 클램프 레버(44e)를 누르면, 조임캠부(44f)가 연장편(44c)을 조이게 되고, 이에 따라 이완되어 있던 C자형 조임링(44a)이 조여지게 되고, 중단 핸들포스트(43b)의 하단부 내주면이 하단 핸들포스트(43a)의 외주면에 조여지게 되어 핸들포스트(43)가 길이조절된 상태로 고정된다.After the handle post 43 is adjusted to the desired length, when the clamp lever 44e is pressed, the tightening cam portion 44f tightens the extension piece 44c, thereby tightening the C-shaped tightening ring 44a that was relaxe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middle handle post 43b is tighte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handle post 43a, so that the handle post 43 is fixed in a length-adjusted state.

또한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하단에 구비된 핸들포스트 고정수단(44)을 구성하는 클램프 레버(44e)를 위로 당기면, 연장편(44c)을 조이던 조임캠부(44f)가 연장편(44c)으로부터 이완되며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하단 외주면을 조이던 C자형 조임링(44a)이 이완되어 중단 핸들포스트(43b)와 상단 핸들포스트(43c)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된다.In addition, when the clamp lever 44e constituting the handle post fixing means 44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handle post 43c is pulled upward, the tightening cam portion 44f that tightens the extension piece 44c becomes the extension piece 44c. The C-shaped tightening ring 44a, which is released from and tightens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handle post 43c, is relaxed, so that the middle handle post 43b and the upper handle post 43c are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 상태에서 상단 핸들포스트(43c) 및 핸들손잡이(45)를 중단 핸들포스트(43b) 방향으로 누르면 중단 핸들포스트(43b)가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핸들포스트(43) 전체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도 37 내지 도 39 참조).In this state, when the upper handle post (43c) and the handle handle (45) ar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middle handle post (43b), the middle handle post (43b)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upper handle post (43c) and the entire handle post (43) is The length becomes short (see Figs. 37 to 39).

핸들포스트(43)가 원하는 길이로 조절된 후, 클램프 레버(44e)를 누르면, 조임캠부(44f)가 연장편(44c)을 조이게 되고, 이에 따라 이완되어 있던 C자형 조임링(44a)이 조여지게 되고,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하단부 내주면이 중단 핸들포스트(43b)의 외주면에 조여지게 되어 핸들포스트(43)가 길이조절된 상태로 고정된다.After the handle post 43 is adjusted to the desired length, when the clamp lever 44e is pressed, the tightening cam portion 44f tightens the extension piece 44c, thereby tightening the C-shaped tightening ring 44a that was relaxe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handle post 43c is tighte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iddle handle post 43b, so that the handle post 43 is fixed in a length-adjusted state.

조향핸들(40)의 길이를 길게 조절하는 경우에는 핸들포스트 고정수단(44)을 이완시킨 상태에서 하단 핸들포스트(43a), 중단 핸들포스트(43b) 및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길이를 길게 한 다음, 다시 핸들포스트 고정수단(44)을 조이면 된다.In the cas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eering wheel 40, the length of the lower handle post 43a, the middle handle post 43b, and the upper handle post 43c is increased while the handle post fixing means 44 is relaxed. Next, it is sufficient to tighten the handle post fixing means 44 again.

본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를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하는 경우에는 조향핸들(40)의 길이를 라이더의 신체조건에 따라 도31 내지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게 하거나 도 34 내지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짧게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ransporting the carrier-type folding ki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traction in a carrier-type, the length of the steering handle 40 may be lengthened as shown in Figs. 31 to 33 according to the rider's physical condition, or As shown in 36, it can be shortened.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을 보관하거나 차량에 적재하는 경우에는 조향핸들(40)의 길이를 최소 길이로 짧게 조절하여 보관이나 운반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toring or loading the carrier-type folding ki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to a vehicle, the length of the steering wheel 40 may be shortened to the minimum length, thereby minimizing the space occupied during storage or transportation.

[접이식 핸들손잡이를 접는 과정][Process of folding the folding handle handle]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한 상태에서 접이식 핸들손잡이(45)의 손잡이봉(47a)에 나사결합되고 슬라이드회동지지대(48a)를 감싸고 있는 로킹링(48d)을 이완되는 방향으로 돌려서 로킹링(48d)이 슬라이드회동지지대(48a)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다음, 접이식 핸들손잡이(45)를 당기면서 돌림으로써 접이식 핸들손잡이(45)가 힌지장공(48b)에 지지되는 슬라이드힌지핀(48c)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접히도록 한다.In the state shown in Figs. 19 to 21, the locking ring 48d is screwed to the handle bar 47a of the folding handle handle 45, and the locking ring 48d surrounding the slide rotation support 48a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relaxes. ) Is separated from the slide rotation support (48a), and then the folding handle handle (45) is rotated around the slide hinge pin (48c) supported by the hinge extension hole (48b) by pulling and turning the folding handle handle (45). To fold.

이 상태에서 다시 로킹링(48d)을 조임방향으로 돌려서 그 선단부가 슬라이드회동지지대(48a)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접이식 핸들손잡이(45)가 임의로 회동되지 않도록 한다(도 31 참조).In this state, the locking ring 48d is rotated in the tightening direction again so that its tip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lide rotation support 48a so that the foldable handle handle 45 does not rotate arbitrarily (see Fig. 31).

[캐리어형 운반 과정][Carrier type transportation process]

상술한 바와 같이 발판(10)과 조향핸들(40)이 모두 접힌 상태에서 전륜(60)과 후륜(70)이 지면에 닿도록 하고 라이더는 고정손잡이(46)를 잡고 견인하여 캐리어형으로 운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both the footrest 10 and the steering handle 40 are folded, the front wheel 60 and the rear wheel 70 contact the ground, and the rider grabs the fixed handle 46 and pulls it to be transported in a carrier type. I can.

이때, 전륜(60)과 후륜(70)이 좌우방향 동일선상에서 좌우로 나란히 위치하고 있으므로 캐리어형으로 운반과정에서 킥보드가 좌우로 넘어지려고 하는 일이 없이 안정되고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front wheel 60 and the rear wheel 70 are located side by side on the same lin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kickboard can be transported in a stable and convenient manner without the kickboard going to fall left and right during the transportation process in a carrier type.

[킥보드를 지면에 세워두는 과정][The process of putting the kickboard on the ground]

상술한 바와 같이, 발판(10)과 조향핸들(40)을 접은 상태에서 전륜(60)과 후륜(70)이 지면에 착지되도록 하면, 전조등(130)과 후미등(140)이 동시에 지면에 착지되어 킥보드가 4점에서 지면에 착지되므로 킥보드가 임의로 넘어지는 일이 없이 안정된 자세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40 참조).As described above, when the front wheel 60 and the rear wheel 70 land on the ground when the footrest 10 and the steering wheel 40 are folded, the headlight 130 and the rear light 140 land on the ground at the same time. Since the kickboard lands on the ground at 4 points, the kickboard does not fall arbitrarily and maintains an erect state in a stable posture (see FIG. 40).

이때, 전조등(130)과 후미등(140)은 하우징의 가장자리가 렌즈보다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렌즈가 지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아 렌즈가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adlight 130 and the taillight 140 may prevent the lens from being damaged because the lens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ground by protruding the edge of the housing from the lens.

[라이딩 상태로 복원][Restore to riding state]

상술한 바와 같이 발판(10)과 조향핸들(40)을 모두 접은 상태에서 다시 라이딩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먼저, 접힌 접이식 핸들손잡이(45)를 펼치는 과정과 접힌 조향핸들(40)을 세우는 과정과 발판(10)을 펼치는 과정을 순차 진행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restore the riding state from the folded state of both the footrest 10 and the steering wheel 40, first, the process of unfolding the folded folding steering wheel handle 45 and the process of erecting the folded steering wheel 40 and the footrest The process of unfolding (10) is sequentially performed.

[접이식 핸들손잡이의 펼침 과정][Expanding process of the folding handle handle]

도 31 내지 도 39에 도시한 상태에서 선단부가 슬라이드회동지지대(48a)에 밀착되어 있는 로킹링(48d)을 이완되는 방향으로 돌려서 선단부가 슬라이드회동지지대(48a)에서 이격되도록 한 다음, 접이식 핸들손잡이(45)를 돌려서 슬라이드회동지지대(48a)와 동일선 상에 놓이도록 하고, 다시 로킹링(48d)을 로킹방향으로 돌려서 슬라이드회동지지대(48a)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접이식 핸들손잡이(45)가 펼쳐진 상태로 로킹된다.In the state shown in Figs. 31 to 39, by turning the locking ring (48d) in which the tip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lide rotation support (48a) in a relaxed direction so that the tip is separated from the slide rotation support (48a), and then the folding handle handle Turn (45) so that it is placed on the same line as the slide rotation support (48a), and rotate the locking ring (48d) in the locking direction to wrap the slide rotation support (48a), so that the folding handle handle (45) is in an unfolded state. It is locked.

[조향핸들을 세우는 과정][Process of setting up the steering wheel]

조향핸들 접힘로커(120)를 구성하는 로킹판(121)의 로킹해제손잡이(124)를 전방을 향해 누르면 로킹판(121)이 토션스프링(127)의 탄성에 대항하여 회동하여 걸고리(122)가 전방발판 프레임(11a)의 후단부 하면에서 이탈됨과 아울러 걸림편(123)이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의 상면에서 이탈되어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 사이의 접힘상태 로킹이 해제된다.When the unlocking handle 124 of the locking plate 121 constituting the steering handle folding locker 120 is pushed toward the front, the locking plate 121 rotates against the elasticity of the torsion spring 127 so that the hook 122 In addition to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scaffold frame (11a), the locking piece (123)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scaffold upper deck panel (11b), so that the folded state between the front scaffold (11) and the rear scaffold (12) It is released.

이 상태에서 조향핸들(40)을 전방을 향해 상향 회동시키면 조향핸들(40)이 세워지면서 조향핸들(40)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넥 바디(30)의 가이드돌기(31)가 넥 가이드(20)의 가이드홈(22)을 따라 안내되면서 전방을 향해 상향 이동하게 되며, 조향핸들(40)이 완전히 세워지기 직전에 이르면 조향핸들 세움로커(110)를 구성하는 로킹판(112)의 걸림편(113)이 넥 가이드(20)의 걸림홈(111)에 접근하게 되고, 이때, 로킹판(112)의 로킹해제레버(115)를 누른 상태에서 조향핸들(40)을 더 회동시켜 걸림편(113)이 걸림홈(111)에 일치하도록 한 다음, 로킹해제레버(115)를 놓으면 토션스프링(114)의 탄성에 의하여 로킹판(112)이 회동하면서 걸림편(113)이 걸림홈(111)에 삽입되어 조향핸들(40)이 세워진 상태로 로킹된다.In this state, when the steering wheel 40 is rotated upward toward the front, the steering wheel 40 is erected and the guide protrusion 31 of the neck body 3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wheel 40 While being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22 of the guide 20, it moves upward toward the front, and when the steering wheel 40 reaches just before it is completely erected, the locking plate 112 constituting the steering wheel stand rocker 110 The locking piece 113 approaches the locking groove 111 of the neck guide 20, and at this time, the steering handle 40 is further rotated while pressing the locking release lever 115 of the locking plate 112 to be locked. After making the piece 113 coincide with the locking groove 111, when the locking release lever 115 is released, the locking plate 112 rotates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torsion spring 114, and the locking piece 113 becomes the locking groove ( It is inserted into 111) and locked with the steering handle 40 upright.

[발판을 펼치는 과정][The process of spreading the foothold]

발판접힘로커(100)를 구성하는 탄성후크(101)의 로킹해제레버(115)를 눌러서 걸고리(102)가 걸림편(104)의 걸림턱(105)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접힘상태 로킹을 해제하고, 발판접이수단(80)의 힌지핀(83)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발판(12)을 수평방향으로 돌리면,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이 펼쳐지게 되고,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이 완전히 펼쳐지기 직전에 이르면, 탄성후크(91)의 걸고리(92)가 걸림홈(94)에 근접하게 되며, 걸고리(92)가 걸림홈(94)에 접촉하면서 토션스프링(95)의 탄성에 대항하여 벌어졌다가 걸고리(92)와 걸림홈(94)이 완전히 일치되면 토션스프링(95)의 탄성에 의하여 탄성후크(91)가 회동하면서 걸고리(92)가 걸림홈(94)에 끼워지게 되어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이 임의로 접히는 일이 없이 펼쳐진 상태로 로킹된다.By pressing the locking release lever 115 of the elastic hook 101 constituting the footrest folding locker 100, the hook 102 is released from the hook 105 of the hook piece 104 to release the folded state locking, When the rear footrest 12 is rotated horizontally with the hinge pin 83 of the footrest folding means 80 as the center, the front footrest 11 and the rear footrest 12 are unfolded, and the front footrest 11 and the rear footrest When (12) is reached just before the fully unfolded, the hook 92 of the elastic hook 91 comes close to the hook groove 94, and the hook 92 contacts the hook groove 94 while the torsion spring 95 When the hook (92) and the hook groove (94) are completely aligned with the elasticity of the hook (92), the hook hook (91) rotates by the elasticity of the torsion spring (95), and the hook hook (92)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94). It is fitted so that the front footrest 11 and the rear footrest 12 are locked in an unfolded state without being arbitrarily folded.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ample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발판
11: 전방발판
11a: 전방발판 프레임
11b: 상면데코패널
11c: 전방발판 측면데코패널
11d: 저면데코패널
12: 후방발판
12a: 후발발판 프레임
12b: 상면데코패널
12c: 측면데코패널
12d: 저면데코패널
20: 넥 가이드
21: 가이드판
22: 원호형 가이드홈
23: 연결판
30: 넥 바디
31: 가이드돌기
32: 조향핸들지지공
40: 조향핸들
41: 핸들축
42: 핸들암
43: 핸들포스트
43a: 하단 핸들포스트
43b: 중단 핸들포스트
43c: 상단 핸들포스트
44: 핸들포스트 고정수단
44a: 조임링
44b, 44c: 연장편
44d: 클램프 로드
44e: 클램프 레버
44f: 조임캠부
45: 핸들손잡이
46: 고정손잡이
46a: 손잡이봉
46b: 손잡이고무
47: 접이식 손잡이
47a: 손잡이봉
47b: 손잡이고무
48: 핸들손잡이로커
48a: 슬라이드회동지지대
48b: 힌지장공
48c: 슬라이드힌지핀
48d: 로킹링
50: 포크
51: 수평판
52: 차축지지판
60: 전륜
61: 전륜차축
62: 전륜휠
63: 전륜타이어
70: 후륜
71: 후륜차축
72: 후륜휠
73: 후륜타이어
80: 발판접이수단
81, 82: 힌지편
83: 힌지핀
90: 발판펼침로커
91: 탄성후크
92: 걸고리
93: 로킹해제손잡이
94: 걸림홈
95: 토션스프링
100: 발판접힘로커
101: 탄성후크
102: 걸고리
103: 걸림편
104: 걸림편
105: 걸림턱
106: 고정편
110: 조향핸들 세움로커
111: 걸림홈
112: 로킹판
113: 걸림편
114: 토션스프링
115: 로킹해제레버
120: 조향핸들 접힘로커
121: 로킹판
122: 걸고리
123: 걸림편
124: 로킹해제손잡이
125: 지지부
126: 지지축
127: 토션스프링
130: 전조등
140: 후미등
141: 후륜흙받이
151, 152: 데코플레이트
10: footrest
11: front footrest
11a: front footrest frame
11b: Top decor panel
11c: Front footrest side decor panel
11d: bottom decor panel
12: rear footrest
12a: lagging frame
12b: Top decor panel
12c: side decor panel
12d: bottom decor panel
20: neck guide
21: guide plate
22: circular guide groove
23: connecting plate
30: neck body
31: guide protrusion
32: steering wheel support hole
40: steering wheel
41: handle shaft
42: handle arm
43: handle post
43a: lower handlepost
43b: stop handlepost
43c: upper handlepost
44: handle post fixing means
44a: tightening ring
44b, 44c: extension
44d: clamp rod
44e: clamp lever
44f: tightening cam part
45: handle handle
46: fixed handle
46a: handlebar
46b: handle rubber
47: folding handle
47a: handlebar
47b: handle rubber
48: handle handle locker
48a: slide pivot support
48b: hinge longbow
48c: slide hinge pin
48d: locking ring
50: fork
51: horizontal plate
52: axle support plate
60: front wheel
61: front axle
62: front wheel
63: front tire
70: rear wheel
71: rear axle
72: rear wheel
73: rear tire
80: footrest folding means
81, 82: hinge piece
83: hinge pin
90: footrest expansion locker
91: elastic hook
92: hook
93: unlocking handle
94: locking groove
95: torsion spring
100: footrest folding locker
101: elastic hook
102: hook
103: jamming piece
104: jamming piece
105: stopping jaw
106: fixed piece
110: Steering handle stand locker
111: locking groove
112: locking plate
113: jammed piece
114: torsion spring
115: unlocking lever
120: steering wheel folding locker
121: locking plate
122: hook
123: jamming
124: unlocking handle
125: support
126: support shaft
127: torsion spring
130: headlight
140: tail light
141: rear wheel fender
151, 152: decor plate

Claims (2)

발판과; 조향핸들과; 전륜 및 후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킥보드에 있어서,
발판접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판접이수단에 의하여 상기 발판이 접어짐으로써, 상기 킥보드의 전륜 및 후륜이 일정 거리 이격하여 동일선상에서 나란히 위치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조향핸들은 상기 발판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판 방향으로 접을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조향핸들을 세운 상태 또는 접은 상태에서 상기 조향핸들이 상기 발판에 고정되기 위한 로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Scaffold; Steering wheel; In a kickboard comprising front and rear wheels,
Further comprising a footrest folding means,
By folding the footrest by the footrest folding means,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of the kickboard ar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side by side on the same line by a certain distance apart,
The steering handle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and is installed to be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footres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cker for fixing the steering wheel to the scaffold in a state in which the steering wheel is upright or folded.
kickboar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킥보드는 전조등 또는 후미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조등 또는 상기 후미등의 프레임은 상기 킥보드를 접어서 세워 두는 때에 상기 전륜 또는 상기 후륜과 함께 지면에 접하여 지지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kickboard further includes a headlight or a taillight,
The frame of the headlight or the rear ligh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kickboard is folded and erected, the front wheel or the rear wheel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form a support point.
kickboard
KR1020200107087A 2020-08-25 2020-08-25 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 KR20200103595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087A KR20200103595A (en) 2020-08-25 2020-08-25 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
KR1020210085328A KR102468886B1 (en) 2020-08-25 2021-06-30 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087A KR20200103595A (en) 2020-08-25 2020-08-25 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518A Division KR102150090B1 (en) 2016-08-17 2016-08-17 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328A Division KR102468886B1 (en) 2020-08-25 2021-06-30 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595A true KR20200103595A (en) 2020-09-02

Family

ID=724693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087A KR20200103595A (en) 2020-08-25 2020-08-25 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
KR1020210085328A KR102468886B1 (en) 2020-08-25 2021-06-30 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328A KR102468886B1 (en) 2020-08-25 2021-06-30 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103595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98716S1 (en) * 2020-06-17 2023-09-12 Zhejiang Moovi Tech Co., Ltd. Electric scooter
CN114670964A (en) * 2022-03-29 2022-06-28 杭州久高科技有限公司 Portable folding bicycle
KR20230171736A (en) 2022-06-14 2023-12-21 한국자동차연구원 Safety control method of electric kickboard equipped with cart mod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5978A1 (en) 2011-11-02 2013-05-10 Kim Youngsan Folding kickboar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403A (en) 2000-07-05 2002-01-16 윤종용 Data link establish method for apparatus connected another by v5.2 interface
KR200222196Y1 (en) * 2000-10-25 2001-05-02 권오성 a quick board
KR200222202Y1 (en) * 2000-10-28 2001-05-02 김재호 kick board fold device
KR20100112261A (en) * 2009-04-09 2010-10-19 주식회사하이테크21 Pedal-driving type kick board
CN101585389B (en) * 2009-06-15 2011-09-28 邰举 Folding scooter
KR101627564B1 (en) * 2015-11-27 2016-06-08 (주) 삼경이엔씨 Easy to engage and disengage measurement level machine support fix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5978A1 (en) 2011-11-02 2013-05-10 Kim Youngsan Folding kick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886B1 (en) 2022-11-18
KR20210084387A (en)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466B1 (en) 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
KR102468886B1 (en) 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
US20120018968A1 (en) Scoote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0501141B2 (en) Folding tricycle
US3419283A (en) Folding bicycles
US7134677B2 (en) Foldable scooter
US9266579B2 (en) Compact folding bicycle with single frame hinge
KR102150090B1 (en) 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
US7341270B1 (en) Rear carrier rack for a folding bicycle
TWM289405U (en) Folding bike
KR20160100898A (en) 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
JP7077340B2 (en) A system for rolling a folded bicycle
US5573259A (en) Bicycle trailer
KR100935324B1 (en) The folder type bicycle
KR100999649B1 (en) A collapsible bicycle
CN212685830U (en) Folding electric scooter
WO2003074342A1 (en) Collapsible buggy
RU2274575C1 (en) Folding velomobile
CN2183320Y (en) Folding traveling bicycle
CN220262956U (en) Folding three-wheeled vehicle
JP2003026066A (en) Collapsible bicycle
CN106184554B (en) Folding bicycle and folding method
RU2243124C2 (en) Folding velomobile
US10112548B2 (en) Roll-on two-wheeled cycle carrier
JPH0215754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