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366A -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 - Google Patents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366A
KR20200103366A KR1020190021738A KR20190021738A KR20200103366A KR 20200103366 A KR20200103366 A KR 20200103366A KR 1020190021738 A KR1020190021738 A KR 1020190021738A KR 20190021738 A KR20190021738 A KR 20190021738A KR 20200103366 A KR20200103366 A KR 20200103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unit
chest wall
wall vibrator
gener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6119B1 (ko
Inventor
김기훈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1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119B1/ko
Publication of KR20200103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61H23/0263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using rotating unbalanced ma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16/0006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means for creating vibrations in patients' airw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61H2201/0169Noise re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61H2201/1246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by piston-cylinde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아의 가슴 부분에 넣어두거나 전용 밸트 등으로 착용시켜, 진동기에서 발생된 진동이 착용자의 가슴과 흉벽 및 기관지를 포함한 호흡기관을 자극하여, 객담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PORTABLE PEDIATRIC CHEST WALL VIBRATOR}
본 발명은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아의 가슴 부분에 넣어두거나 전용 밸트 등으로 착용시켜, 진동기에서 발생된 진동이 착용자의 가슴과 흉벽 및 기관지를 포함한 호흡기관을 자극하여, 가래(객담)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래는 기도로부터 배출되어 뱉어 내는 담(痰)을 말하며, 객담(喀痰)이라고도 하며, 정상인에게서도 하루에 100ml정도 분비되지만 무의식적으로 삼키므로 가래를 느끼지 못하고 지내는 것이 보통이지만 여러 가지 폐질환으로 인하여 객담 분비량과 배출량이 증가하면 병적 증상의 하나로 기침과 동시에 배출 횟수와 배출량이 증가하게 된다.
정상적으로 분비되는 기도의 분비물은 점액 섬모 운동과 기침 반사를 통해 제거될 수 있으나, 호흡기 관련 질환의 경우에는 처리하지 못할 정도로 분비물이 많아지거나 점성이 높아지게 되어 상기 분비물이 기도에 누적되며, 누적된 분비물은 세균 감염을 일으키게 되어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도의 분비물인 가래(객담)을 배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가래 배출의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체위배농법이다.
상기 체위배농법은 중력을 이용하여 기관지내의 가래가 배출되는 것을 돕기 위해 기관지내의 이상이 있는 부분에 따라서 각각 다른 자세를 취하는 것으로, 가장 보편적인 자세는 허리를 어깨보다 높이고 앞으로 웅크리거나, 옆으로 눕는 자세이다.
그리고, 중력만으로는 가래 배출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배출을 돕기 위해 위에서 설명한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10분 정도 등을 두드려 주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체위배농법은 하루에 약 3회를 실시하도록 권장되고 있다.
그리고, 가래 배출의 다른 방법으로는 호흡 운동과 기침, 안마기 등의 의료기를 이용한 진동 요법 등이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상기한 요법들을 병행하여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요법들은 주로 성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들이다. 즉, 성인과는 다른 미숙아나 영아 또는 유아의 경우에는 스스로 호흡 운동이나 기침을 할 수 없고, 몸체가 작고 뇌 발달이 완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두들기는 요법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진동 요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에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안마기 등을 사용하여 가래를 배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안마기는 근육의 피로도를 완화시키는 것이 주 목적으로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환자에게 가해지는 진동이 너무 커서 가래 배출용으로 사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신체 발달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미숙아나 영아 또는 유아에게 안마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장기가 손상될 위험성까지 존재한다.
이와 같이, 현재까지는 미숙아나 영아 또는 유아에게 사용이 가능한 가래 배출용 의료기가 개발되고 있지 않으며, 더욱이 가래 배출에 최적의 진동 주파수 및 진동 속도 범위에 대한 연구 개발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종래의 안마기는 부피가 크고, 전원 공급이 전원 케이블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는 등의 이유로 휴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가래 배출용 장치와 관련된 선행 문헌은 다음과 같다.
문헌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3135호(명칭 : 객담 배출용 자동 안마기 ; 출원일 : 2004년 06월 12일)
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7808호(명칭 : 고빈도 흉벽진동기 ; 출원일 : 2010년 06월 22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소아의 가슴 부분에 넣어두거나 전용 밸트 등으로 착용시켜, 진동기에서 발생된 진동이 착용자의 가슴과 흉벽 및 기관지를 포함한 호흡기관을 자극하여, 가래(객담)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전원버튼과 업다운버튼 및 모드버튼을 포함한 조작부(11); 조작부(11)의 조작을 통해 동작신호가 인가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12); 상기 조작부(12)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전원부(13)의 전원을 공급받아 사전에 설정된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진동발생부(12)를 제어하는 제어부(14); 상부에 상기 조작부(11)가 노출되도록 수용하고, 하부에 상기 진동발생부(12)를 수용하며, 상기 전원부(13)와 제어부(14)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15); 상기 본체(15) 하부에 고정되어, 진동발생부(12)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진동수신대상으로 전달하는 진동전달부(16); 상기 진동전달부(16)에서 전달되는 직격적 진동을 완충시켜 진동수신대상으로 전달하여 자극하는 진동자극부(17);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진동발생부(12)가 진동전달부(16)와 접하는 압력을 조절하여, 진동력을 조절하는 강도조절부(18)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상기 진동발생부(12)에서 발생된 진동이 국부적으로 집중되지 않고, 진동전달부(16)를 통해 넓은 면적으로 확산되고, 확산된 진동이 진동자극부(17)를 통해 완충되면서 신체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진동이 직격적으로 신체 특히, 영아ㆍ소아의 신체에 전달되면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강도조절부(18)가 별도의 전기적인 구성과 동작 없이 수동 조작을 통해서, 상기 진동발생부(12)가 진동전달부(16)와 접하는 압력을 조절하여 진동력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적인 구성을 포함하는 것에 비해 구성 내지 구조를 간소화하고, 동작과 관련하여 소비되는 전압을 최소화함으로써, 배터리가 적용된 전원부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형적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내부 구조를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부의 구성 및 이로부터 발생된 진동의 전달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부의 다른 예의 구성 및 이로부터 발생된 진동의 전달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형적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도조절부의 구성 및 장착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부분 정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도조절부의 구조 및 강도조절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10)는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버튼과 업다운버튼 및 모드버튼을 포함한 조작부(11); 조작부(11)의 조작을 통해 동작신호가 인가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12); 상기 조작부(12)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전원부(13)의 전원을 공급받아 사전에 설정된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진동발생부(12)를 제어하는 제어부(14); 상부에 상기 조작부(11)가 노출되도록 수용하고, 하부에 상기 진동발생부(12)를 수용하며, 상기 전원부(13)와 제어부(14)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15); 상기 본체(15) 하부에 고정되어, 진동발생부(12)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진동수신대상으로 전달하는 진동전달부(16); 상기 진동전달부(16)에서 전달되는 직격적 진동을 완충시켜 진동수신대상으로 전달하여 자극하는 진동자극부(17);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조작부(11)는 본체(15) 내에 마련된 회로기판(PCB) 일측 면에 배치되고, 조작부위는 본체(15) 상부로 노출된 조작 스위치 모듈일 수 있다.
상기 조작부(11)의 전원버튼은 전원부(13)의 전원을 도통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치이고, 업다운버튼은 전원의 레벨을 조절하여 진동발생부(12)의 진동속도를 조절하는 스위치이며, 모드버튼은 제어부(14)에 사전에 설정 저장된 2 이상의 진동유형을 선택하는 스위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진동발생부(12)는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5) 내에 마련된 회로기판 일측 면에 배치된 모터(12a)와 편심회전체(12b)로 이루어진 편심회전모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부(12)는 첨부 도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전달부(16)에 탄발 고정되어, 상기 편심회전체(12b)의 간헐 접촉 진동력을 진동전달부(16)로 집중 전달하면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감쇄수단(12c)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소음감쇄수단(12c)은 일측은 진동전달부(16)에 고정되고 타측은 진동전달부(16)와 유격지도록 경사진 판스프링의 타측 진동전달부(16) 대응면에 접촉블록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부(12)는 교번 신호(극성 변환 신호)에 의해 실린더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플런저로 이루어진 진동모듈일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전원부(13)는 교체형 또는 충전형 배터리를 포함한 정전압회로일 수 있다.
상기 전원부(13)가 충전형 배터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본체(15) 일측에 충전단자(15a)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제어부(14)는 조작부(12)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전원부(13)의 전원을 공급받아 사전에 설정된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진동발생부(12)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컴을 포함한 제어회로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본체(15)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함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진동전달부(16)는 본체(15)보다 상대적으로 면적이 큰 면적체 또는 블록체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진동자극부(17)는 신체와 접하면서 진동력을 완충시키는 스펀지 또는 실리콘 커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진동발생부(12)가 진동전달부(16)와 접하는 압력을 조절하여, 진동력을 조절하는 강도조절부(18)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강도조절부(18)는 첨부 도면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5)의 일 측면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장공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조절핀(18a); 일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고도가 높이지는 경사진 블록체로서, 상기 본체(15) 내에 위치하는 조절핀(18a)의 슬라이드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부(12)에 대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조절블록(18b); 상기 진동발생부(12)의 하부면에서 탄발하면서 진동발생부(12)를 조절핀(18a)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탄발체(18c);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블록(18b)의 조절핀(18a)과 접하는 면에는 요철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전원버튼과 업다운버튼 및 모드버튼을 포함한 조작부(11); 조작부(11)의 조작을 통해 동작신호가 인가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12); 상기 조작부(12)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전원부(13)의 전원을 공급받아 사전에 설정된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진동발생부(12)를 제어하는 제어부(14); 상부에 상기 조작부(11)가 노출되도록 수용하고, 하부에 상기 진동발생부(12)를 수용하며, 상기 전원부(13)와 제어부(14)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15); 상기 본체(15) 하부에 고정되어, 진동발생부(12)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진동수신대상으로 전달하는 진동전달부(16); 상기 진동전달부(16)에서 전달되는 직격적 진동을 완충시켜 진동수신대상으로 전달하여 자극하는 진동자극부(17);를 포함하여서 된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10)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형으로 소형이면서 별도의 착용없이 의복에 넣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소아 환자에게 더욱 접합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진동발생부(12)에서 발생된 진동이 국부적으로 집중되지 않고, 상기 진동전달부(16)를 통해 넓은 면적으로 확산되고, 확산된 진동이 진동자극부(17)를 통해 완충되면서 신체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진동이 직격적으로 신체에 전달되면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진동이 진동자극부(17)를 통해 완충되면서 신체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진동이 직격적으로 신체에 전달되면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아ㆍ소아에게 적용하는 것에 있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작부(11)는 전원버튼을 통해 전원부(13)의 전원을 도통 또는 차단하고, 업다운버튼을 통해 전원부(13)의 전원의 레벨을 조절하여 진동발생부(12)의 진동속도를 조절하며, 모드버튼을 통해 상기 제어부(14)에 사전에 설정 저장된 2 이상의 진동유형을 선택한다.
이때, 상기 업다운버튼에 의해 조절되는 진동속도는 진동 사이클(주기)의 변화이다. 예컨대, 상기 진동발생부(12)가 편심회전모듈인 경우에 업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제어부(14)가 전원부(13)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을 상승시켜 편심회전모듈로 공급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편심회전모듈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진동 사이클 또한 빨라지게 된다.
반대로, 다운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제어부(14)가 전원부(13)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을 하강시켜 편심회전모듈로 공급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편심회전모듈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면서 진동 사이클 또한 느려지게 된다.
이처럼, 상기 업다운버튼의 조작은 진동의 강약을 조절하는 것이라고 하기보다는 진동 속도 즉, 사이클을 조절하는 것이다. 다만, 상기 편심회전모듈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면 원심력이 커져 진동이 강해질 수는 있으나, 이는 현저한 차이를 느낄수 없는 정도이며, 인위적으로 강약을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기구적인 동작에서 오는 미미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모드버튼에 의해 선택되는 진동유형은 일정한 진동의 파장 구간에서 반복되는 파장의 불규칙한 변화이다. 예컨대, 진동유형은 3초의 사이클 동안 진동의 속도가 빠르고 느리고 하는 구간의 배열이 불규칙하게 설정되고, 이를 3초마다 반복 수행하는 다양한 유형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진동발생부(12)가 편심회전모듈인 경우에 모드버튼을 누를 때마다 순차적으로 세팅된 진동유형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진동발생부(12)는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5) 내에 마련된 회로기판 일측 면에 배치된 모터(12a)와 편심회전체(12b)로 이루어진 편심회전모듈이다.
이때, 상기 편심회전체(12b)는 편심 회전하면서 진동전달부(16)의 면과 간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 진동전달부(16)와 비접촉으로 단지 원심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간할 접촉에 의한 진동 발생인 경우 진동력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으나 소음이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비 접촉에 의한 진동 발생인 경우 진동력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으나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영아ㆍ소아에게 적용하는 것으로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부(12)는 첨부 도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전달부(16)에 탄발 고정되어, 상기 편심회전체(12b)의 간헐 접촉 진동력을 진동전달부(16)로 집중 전달하면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감쇄수단(12c)을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소음감쇄수단(12c)은 일측은 진동전달부(16)에 고정되고 타측은 진동전달부(16)와 유격지도록 경사진 판스프링의 타측 진동전달부(16) 대응면에 접촉블록이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진동발생부(12)를 구성하는 편심회전체(12b)가 편심 회전하면서 진동전달부(16)에 대해 직접 간헐 접촉하면서 진동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상기 소음감쇄수단(12c)을 간헐 타격하여 소음감쇄수단(12c)의 접촉블록이 진동전달부(16)에 대해 진동력을 좁은 면적으로 집중 전달시키도록 하는 한편,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부(12)는 교번 신호(극성 변환 신호)에 의해 실린더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플런저로 이루어진 진동모듈인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14)는 조작부(12)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전원부(13)의 전원을 공급받아 사전에 설정된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진동발생부(12)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컴을 포함한 제어회로이다.
상기와 같이 된 제어부(14)는 조작부(11)의 전원버튼 조작에 의해 전원부(13)의 전원이 인가되면, 초기 세팅된 모드로 진동발생부(12)를 동작시키고, 업다운버튼 조작에 따라 전원부(13)의 전원 레벨을 가감하여 진동발생부(12)의 진동속도를 조절하고, 모드버튼이 조작되면, 조작 횟수에 따라 2 이상의 진동 모드를 순차적으로 변경시키면서 진동발생부(12)를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진동전달부(16)는 본체(15)보다 상대적으로 면적이 큰 면적체 또는 블록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진동발생부(12)에서 발생된 진동을 넓은 면적으로 확산시키면서 진동 충격을 분산시킨 상태로 진동자극부(17)로 전달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진동자극부(17)는 신체와 접하면서 진동력을 완충시키는 스펀지 또는 실리콘 커버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예컨대, 신체 컨디션이 최악인 환자나 영아일 경우, 상기 진동자극부(17)를 적용하여 진동력에 의한 충격을 극히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그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진동자극부(17)를 제거한 상태에서 직접 상기 진동전달부(16)를 신체에 적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진동발생부(12)가 진동전달부(16)와 접하는 압력을 조절하여, 진동력을 조절하는 강도조절부(18)를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상기 강도조절부(18)는 첨부 도면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5)의 일 측면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장공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조절핀(18a); 일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고도가 높이지는 경사진 블록체로서, 상기 본체(15) 내에 위치하는 조절핀(18a)의 슬라이드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부(12)에 대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조절블록(18b); 상기 진동발생부(12)의 하부면에서 탄발하면서 진동발생부(12)를 조절핀(18a)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탄발체(18c);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상기 조절블록(18b)의 조절핀(18a)과 접하는 면에는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되면, 슬라이드되는 조절핀(18a)을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키고 그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도조절부(18)의 조절핀(18a)을 슬라이드시켜, 점진적으로 고도가 높아지면서 경사진 조절블록(18b)의 높은 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조절블록(18b)이 눌려지고 그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부(12)가 눌려지게 되므로, 눌려진 만큼 편심 회전 압력이 상기 진동전달부(16)로 가해져 진동의 세기 즉, 강도가 세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강도조절부(18)가 별도의 전기적인 구성과 동작 없이 수동 조작을 통해서, 상기 진동발생부(12)가 진동전달부(16)와 접하는 압력을 조절하여 진동력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적인 구성을 포함하는 것에 비해 구성 내지 구조를 간소화하고, 동작과 관련하여 소비되는 전압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원부(13)가 배터리인 경우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 11 : 조작부
12 : 진동발생부 12a : 모터
12b : 편심회전체 12c : 소음감쇄수단
13 : 전원부 14 : 제어부
15 : 본체 16 : 진동전달부
17 : 진동자극부 18 : 강도조절부
18a : 조절핀 18b : 조절블록
18c : 탄발체

Claims (13)

  1. 전원버튼과 업다운버튼 및 모드버튼을 포함한 조작부(11);
    조작부(11)의 조작을 통해 동작신호가 인가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12);
    상기 조작부(12)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전원부(13)의 전원을 공급받아 사전에 설정된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진동발생부(12)를 제어하는 제어부(14);
    상부에 상기 조작부(11)가 노출되도록 수용하고, 하부에 상기 진동발생부(12)를 수용하며, 상기 전원부(13)와 제어부(14)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15);
    상기 본체(15) 하부에 고정되어, 진동발생부(12)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진동수신대상으로 전달하는 진동전달부(16);
    상기 진동전달부(16)에서 전달되는 직격적 진동을 완충시켜 진동수신대상으로 전달하여 자극하는 진동자극부(17);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11)는 본체(15) 내에 마련된 회로기판(PCB) 일측 면에 배치되고, 조작부위는 본체(15) 상부로 노출된 조작 스위치 모듈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11)의 전원버튼은 전원부(13)의 전원을 도통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이고, 업다운버튼은 전원의 레벨을 조절하여 진동발생부(12)의 진동속도를 조절하는 스위치이며, 모드버튼은 제어부(14)에 사전에 설정 저장된 2 이상의 진동유형을 선택하는 스위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버튼에 의해 조절되는 진동속도는 진동 사이클(주기)의 변화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드버튼에 의해 선택되는 진동유형은 일정한 진동의 파장 구간에서 반복되는 파장의 불규칙한 변화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12)는 상기 본체(15) 내에 마련된 회로기판 일측 면에 배치된 모터(12a)와 편심회전체(12b)로 이루어진 편심회전모듈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편심회전체(12b)는 편심 회전하면서 진동전달부(16)의 면과 간헐 접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12)는 진동전달부(16)에 탄발 고정되어, 상기 편심회전체(12b)의 간헐 접촉 진동력을 진동전달부(16)로 집중 전달하면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감쇄수단(12c)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소음감쇄수단(12c)은 일측은 진동전달부(16)에 고정되고 타측은 진동전달부(16)와 유격지도록 경사진 판스프링의 타측 진동전달부(16) 대응면에 접촉블록이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12)는 교번 신호에 의해 실린더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플런저로 이루어진 진동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는 조작부(11)의 전원버튼 조작에 의해 전원부(13)의 전원이 인가되면, 초기 세팅된 모드로 진동발생부(12)를 동작시키고, 업다운버튼 조작에 따라 전원부(13)의 전원 레벨을 가감하여 진동발생부(12)의 진동속도를 조절하고, 모드버튼이 조작되면, 조작 횟수에 따라 2 이상의 진동 모드를 순차적으로 변경시키면서 진동발생부(12)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컴을 포함한 제어회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12)가 진동전달부(16)와 접하는 압력을 조절하여, 진동력을 조절하는 강도조절부(18)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도조절부(18)는 본체(15)의 일 측면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장공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조절핀(18a);
    일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고도가 높이지는 경사진 블록체로서, 상기 본체(15) 내에 위치하는 조절핀(18a)의 슬라이드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부(12)에 대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조절블록(18b);
    상기 진동발생부(12)의 하부면에서 탄발하면서 진동발생부(12)를 조절핀(18a)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탄발체(18c);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
KR1020190021738A 2019-02-25 2019-02-25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 KR102256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738A KR102256119B1 (ko) 2019-02-25 2019-02-25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738A KR102256119B1 (ko) 2019-02-25 2019-02-25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366A true KR20200103366A (ko) 2020-09-02
KR102256119B1 KR102256119B1 (ko) 2021-05-25

Family

ID=72469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738A KR102256119B1 (ko) 2019-02-25 2019-02-25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1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2124A1 (en) * 2022-03-09 2023-09-14 Chow Ji Min A portable apparatus to deliver percussion and vibrations to a pulmonary region of a pati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497B1 (ko) * 1996-12-30 1999-08-16 허통천 진동식 하단전 이완장치
KR100783468B1 (ko) * 2007-02-15 2007-12-11 대경엔터프라이즈(주) 벨트형 회전진동 운동기구
KR20080084330A (ko) * 2007-03-16 2008-09-19 주식회사 홈파워 진동발생장치 및 진동발생장치를 이용한 신체자극장치그리고 신체자극장치의 제어방법
KR20100110413A (ko) * 2009-04-03 2010-10-13 (주)기술과디자인 휴대용 솔레노이드 마사지 장치
KR20150029912A (ko) * 2013-09-11 2015-03-19 김정숙 안면피부와 얼굴근육운동을 가능하도록 한 셀프성형운동 기능성 마사지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497B1 (ko) * 1996-12-30 1999-08-16 허통천 진동식 하단전 이완장치
KR100783468B1 (ko) * 2007-02-15 2007-12-11 대경엔터프라이즈(주) 벨트형 회전진동 운동기구
KR20080084330A (ko) * 2007-03-16 2008-09-19 주식회사 홈파워 진동발생장치 및 진동발생장치를 이용한 신체자극장치그리고 신체자극장치의 제어방법
KR20100110413A (ko) * 2009-04-03 2010-10-13 (주)기술과디자인 휴대용 솔레노이드 마사지 장치
KR20150029912A (ko) * 2013-09-11 2015-03-19 김정숙 안면피부와 얼굴근육운동을 가능하도록 한 셀프성형운동 기능성 마사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2124A1 (en) * 2022-03-09 2023-09-14 Chow Ji Min A portable apparatus to deliver percussion and vibrations to a pulmonary region of a pat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119B1 (ko)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14369B (zh) 刺激装置
US9039599B2 (en) Vibratory assembly for articulating members
US20120302929A1 (en) Head mounted pulse action facial and head massager band
US20110124959A1 (en) Electro-Mechanical Sexual Stimulation Device
US20130116606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symptomatic relapse of spasticity
WO1996004879A1 (en) Portable hand-held vibratory feminine stimulator
WO2008113139A1 (en) A massage device
KR100735855B1 (ko) 성인병 예방용 휴대용 전기 뜸 밴드
US20210137775A1 (en) Massager
KR102256119B1 (ko) 휴대형 소아 흉벽 진동기
KR20160078162A (ko) 서브모터가 구비한 휴대용 안마기
JP6976321B2 (ja) 口腔内の筋肉をマッサージするためのデバイス
KR100570563B1 (ko) 휴대형 객담 배출용 의료기
KR100658595B1 (ko) 벨트형 회전진동 운동기구
JP2004229724A (ja) 健康器具
KR200247959Y1 (ko) 안마용 의복
KR200261236Y1 (ko) 저주파 치료기능을 갖는 혈액순환안마기
KR200328971Y1 (ko) 손바닥을 저주파 펄스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봉
CN220477950U (zh) 一种轻质可穿戴式电刺激治疗仪
CN211751831U (zh) 一种头戴式睡眠仪
KR200345240Y1 (ko) 안마용 조끼
KR200317889Y1 (ko) 저주파 장갑
KR20060006214A (ko) 복대형 복부 맛사지기
CN112107795A (zh) 一种基于干扰电治疗仪的腰肌劳损辅助治疗装置及其方法
EP3458012A1 (en) Stimul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