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342A - Apparatus for removing steam-up on mirro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moving steam-up on mirr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342A
KR20200103342A KR1020190021672A KR20190021672A KR20200103342A KR 20200103342 A KR20200103342 A KR 20200103342A KR 1020190021672 A KR1020190021672 A KR 1020190021672A KR 20190021672 A KR20190021672 A KR 20190021672A KR 20200103342 A KR20200103342 A KR 20200103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mirror
unit
fogging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6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선이
Original Assignee
오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선이 filed Critical 오선이
Priority to KR1020190021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3342A/en
Publication of KR20200103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3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05B3/845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specially adapted for reflecting surfaces, e.g. bathroom - or rearview mirr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 mirror from fogging to prevent a mirror installed in a place where hot water is frequently used such as a bathroom or a bathhouse from being misty due to fogging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 mirror from fogging which is energy-saving and safe in comparison to a conventional method, allows relatively simple construction, and can effectively prevent and suppress fogging of a mirror. Specifically,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a mirror attached to a wall in a building from fogging comprises: a heat source installed in the building to generate heat; a heat matching unit connected to the heat source to match the heat of the heat source; a heat conduction unit connected to the heat matching unit to conduct the heat of the heat matching unit; and a heat dispersion unit connected to the heat conduction unit to conduct the heat of the heat conduction unit, and formed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a mirror from fogging prevents fogging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mirror by the conduction heat of the heat dispersion unit.

Description

거울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steam-up on mirror}Apparatus for removing steam-up on mirror {Apparatus for removing steam-up on mirror}

본 발명은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욕실이나 목욕탕 등 온수사용이 많은 곳에 설치된 거울에 김이 서려 뿌옇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로서, 특히 기존 방식에 비해 에너지 절감형이고 안전하며, 상대적으로 시공이 간단하면서도 한층 더 효과적으로 거울의 김서림 현상을 방지 및 억제할 수 있는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fogging of a mirror, and more specifically, as a device for preventing fogging of a mirror to prevent fogging caused by fogging in a mirror installed in a place where hot water is used, such as a bathroom or a bath. It is energy-saving, safe, and relatively simple to construct, and to a mirror fogging prevention device that can more effectively prevent and suppress the fogging phenomenon of the mirror.

일반적으로 거울(mirror)이란 유리와 같이 투명한 판의 뒷면에 반사율이 높은 은색의 막(layer)을 코팅하거나 전매질(電媒質;電磁氣波의 매질)의 다층막(多層幕)을 증착하여 물체의 모양을 비추도록 만들어진 물건으로, 주로 욕실이나 목욕탕 등의 건물 내(內) 벽면에 부착되어 세면, 화장, 샤워 시(時) 사용자의 모습을 비추는 용도로 사용된다.In general, a mirror is the shape of an object by coating a silver-colored film with high reflectivity on the back side of a transparent plate such as glass or depositing a multi-layered film of an entire medium. It is an object made to illuminate, and is mainly attached to the wall of a building such as a bathroom or bathhouse, and is used to illuminate the user's appearance when washing, making up, or taking a shower.

한편, 욕실이나 목욕탕 등 고온 다습하고 공기의 유통이 폐쇄된 공간에서 거울을 사용할 때 흔히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거울의 표면에 뿌옇게 김이 서리는 경험을 누구나 한번쯤 겪은바 있을 것이다. 이 같은 거울의 '김서림 현상(steam-up)'은 욕실 또는 목욕탕의 내부 공기가 이슬점 온도 이상이고 수증기 양이 포화습도 이상일 때 나타나는 결로(結露, dew condensation) 현상의 일종으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상대적으로 차가운 거울 표면에 부딪혀 물방울로 맺히는 현상이다. 따라서 거울의 김서림 현상은 온수를 사용할 때 주로 발생하고, 이 같은 김서림 현상이 나타나면 거울 표면을 수시로 닦아야만 비로소 목적하는 형상을 볼 수 있으므로 상당한 번거로움이 뒤따른다.On the other hand, it is a common phenomenon when using a mirror in a space where the circulation of air is closed due to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such as a bathroom or bath, and everyone must have experienced the experience of fogging hazy on the surface of the mirror. The'steam-up' of such a mirror is a type of dew condensation that occurs when the internal air of a bathroom or bath is above the dew point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water vapor is above the saturated humidity. It is a phenomenon formed by water droplets upon hitting a relatively cold mirror surface. Therefore, the fogging phenomenon of the mirror mainly occurs when hot water is used, and when such fogging occurs, the desired shape can be seen only after cleaning the surface of the mirror, which incurs considerable hassle.

이에 따라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는 몇 가지 기술이 소개되었는데,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4-0005951호, 제10-1999-0015357호,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7-0004315호, 제20-1999-0003332호 등을 통해서는 전기 발열되는 별도의 열선을 거울 뒷면에 배열함으로써 거울의 온도를 높여 김서림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9-0024289호, 특허출원번호 제10-2002-0063651호, 제10-1999-0053167호, 제10-1995-0035754호,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3-0014457호, 제20-2002-0009630호 등을 통해서는 온수의 순환 및 분사를 위한 별도의 온수 순환관을 거울 뒷면에 설치함으로써 거울의 온도를 높여 김서림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ccordingly, several technologies to prevent fogging of the mirror were introduce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s. 10-2004-0005951, 10-1999-0015357, Utility Model Application Nos. 20-1997-0004315, and No. 20-1999-0003332, etc. discloses a technology to prevent fogging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mirror by arranging a separate heating wire that generates electric heating on the back of the mirror, and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1999-0024289, Patent application numbers 10-2002-0063651, 10-1999-0053167, 10-1995-0035754, utility model application numbers 20-2003-0014457, 20-2002-0009630, etc. A technology for preventing fogging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mirror by installing a separate hot water circulation pipe for circulation and spraying of hot water on the back of the mirror is disclosed.

하지만, 이들 기존의 거울의 김서림 방지기술은 몇 가지 문제점을 나타낸다.However, these existing technologies for preventing fogging of mirrors present several problems.

그 중 대표적인 몇 가지로서, 거울의 설치장소가 주로 물 사용이 많은 욕실 또는 목욕탕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거울의 뒷면에 별도의 열선을 배치하는 방법은 감전사고의 가능성이 크고 전력소비가 심한 반면, 거울의 뒷면에 별도의 온수 순환관을 설치하는 방법은 온수 순환관 매립을 위한 벽면 손상이 불가피하여 시공이 어렵고 누수가 능성이 큰 동시에 추가적인 온수사용으로 인한 비용낭비가 뒤따른다.Considering that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mirror is mainly a bathroom or bath with a lot of water, as some of them, the method of disposing a separate heating wire on the back of the mirror has a high probability of electric shock and consumes a lot of power. In the method of installing a separate hot water circulation pipe on the back of the mirror,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the wall surface for reclaiming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and it is highly likely to leak, and at the same time, cost wasted due to the use of additional hot water.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기 발열에 의한 감전 등의 안전사고발생 가능성과 별도의 온수 순환관 매립에 따른 설치의 곤란성 등을 해소하면서도 한층 더 효과적으로 거울의 김서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도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ossibility of safety accidents such as electric shock due to electric heat generation and the difficulty of installation due to the reclaiming of a separate hot water circulation pipe are eliminated, while more effectively the fogging phenomenon of the mirror. The purpose is to present a specific way to prevent the proble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내 벽면에 부착된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로서, 상기 건물 내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과; 상기 열원에 연결되어 상기 열원의 열이 정합되는 열정합부와; 상기 열정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열정합부의 열이 전도되는 열전도부와; 상기 열전도부와 연결되어 상기 열전도부의 열이 전도되고, 상기 거울의 뒷면을 따라 형성된 열확산부를 포함하여, 상기 열확산부의 전도열로 상기 거울의 온도를 높여 김서림을 방지하는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preventing fogging of a mirror attached to a wall surface of a building, comprising: a heat source installed in the building to generate heat; A heat fitting part connected to the heat source to match heat of the heat source; A heat conduction unit connected to the heat transfer unit to conduct heat of the heat transfer unit; It is connected to the heat conduction part to conduct heat of the heat conduction part, including a heat diffusion part formed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and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mirror with the conduction heat of the heat diffusion part to prevent fogging of a mirror.

이때, 상기 열원은, 전기 발열되는 열선을 이용한 발열장치 또는 상기 건물 내 기(旣) 설치된 온수배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열정합부는 상기 열원의 외면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상기 열원과 상기 열전도부를 연결하는 클램프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열전도부는 상기 열원의 열을 상기 열확산부로 전달하는 히트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확산부는 상기 거울의 뒷면을 따라 지그재그 또는 가로세로로 교차배열되는 그리드 또는 상기 거울의 뒷면을 따라 밀착되는 시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거울은 투명판 및 상기 투명판 뒷면에 코팅된 반사막을 포함하고, 상기 열확산부가 상기 판 형상인 경우, 상기 반사막은 상기 열확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열정합부와, 상기 열전도부와, 상기 열확산부는 각각 텅스텐(W), 철(Fe), 구리(Cu), 금(Au), 은(Ag),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고전도율 금속 또는 상기 고전도율 금속 중 적어도 하나의 합금이나 세라믹을 포함하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heat source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a heating device using a heating wire that generates electric heat or a hot water pipe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and the heat source and the heat source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t sourc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sour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lamp pipe connecting the heat conduction part, and the heat conduction part is a heat pipe that transfers heat from the heat source to the heat diffusion part. In addition, the heat diffus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zigzag or horizontally cross-arranged grid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or a sheet shape closely adhered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wherein the mirror is a transparent plate and a reflective film co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Including, wherein when the heat diffusion portion is in the shape of the plate, the reflective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diffusion portion, the heat bonding portion, the heat conduction portion, and the heat diffusion portion, respectively, tungsten (W), iron (Fe), copp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high-conductivity metal including (Cu), gold (Au), silver (Ag), and aluminum (Al), or a nonferrous metal including an alloy or ceramic of at least one of the high-conductivity metals.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는 기존 방식에 비해 에너지 절감형이고 안전하며, 상대적으로 시공이 간단하면서도 한층 더 효과적으로 거울의 김서림 현상을 방지 및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nti-fog device of th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energy-saving and saf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relatively simple construction, and more effectively preventing and suppressing the fogging phenomenon of the mirror.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는 감전 등의 안전사고 발생과 및 설치의 곤란성을 해소하기 위해 건물에 기(旣) 설치된 온수배관 또는 별도의 발열장치에서 발생된 열의 전도현상을 응용하는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시공이 간단한 장점을 보인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는 설치 후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할 필요가 없어 더욱 편리하며, 모든 종류의 건물 등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 파급력이 큰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anti-fo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the conduction of heat generated from a hot water pipe installed in the building or a separate heating device in order to eliminate safety accidents such as electric shock and the difficulty of installation, Energy can be saved and construction is simple. In addition, the anti-fo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convenient since there is no need for a user to separately operate it after installation, and it can be applied universally to all types of buildings, and thus has a great impac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의 개요도.
도 2는 도 1의 원내 A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정합부의 다른 예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정합부의 또 다른 예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부의 제 1 연결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부의 제 2 연결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부의 제 3 연결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도 1의 A-A 선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도 1의 원내 B에 대한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열확산부의 다른 예에 대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열확산부의 또 다른 예에 대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부와 열확산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과 도 14는 각각 도 11의 B-B 선에 대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의 개요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장치의 단면도.
1 is a schematic view of a fogg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hospital A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the passion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the passion bon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connecting member of a heat condu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connection member of the heat condu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connecting member of the heat condu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Figure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hospital B in Figure 1;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thermal diffus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thermal diffus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heat conduction unit and a heat diffus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BB of FIG. 11, respectively.
15 is a schematic view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fogg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살펴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는 열원(熱源, heat source)으로부터 발생된 열의 '전도현상'을 이용하여 거울의 김서림 현상을 방지 및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열원의 종류에 따라 몇 가지 실시예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은 각각의 실시예 별로 구분해서 살펴보며, 편의상 공통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는 대신 그 밖의 실시예에서는 차이점을 주로 살펴본다.Prior to the full description, the device for preventing fogging of a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events and removes the fogging phenomenon of the mirror by using a'conduction phenomenon' of heat generated from a heat source. According to, it can be divided into several embodiments. Accordingly,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for each embodiment, and for convenience, common contents will be mainly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instead of describing in detail through the first embodiment.

제 1 실시예Embodiment 1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20)(이하, 간략하게 김서림 방지장치(20)라 한다.)를 도시한 개요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irror fogging prevention device 20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fogging prevention device 2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20)는 건물 내에 기(旣) 설치된 온수배관(12)을 열원으로 사용하는바, 여기서 온수배관(12)은 온수가 흐르는 모든 관로(path), 예컨대 상수도관이나 수전구, 샤워헤드(shower head), 샤워시설과 관련된 배관 등을 모두 포함하고, 본 발명을 위해 별도로 추가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온수공급을 위해 건물에 기 설치되는 부분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면에 도시된 냉수배관(14) 및 수전구(16)등을 참조하면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는 온수배관(12)이 기(旣) 설치된 건물 내 거울(M)을 그 적용대상으로 하지만, 실제 거울(M)의 김서림 현상이 건물 내 욕실이나 목욕탕 등에서 온수를 사용할 때 주로 발생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보다는 오히려 기술적 효용성을 부각시키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anti-fog device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hot water pipe 12 previously installed in the building as a heat source, where the hot water pipe 12 is all pipes through which hot water flows ( path), for example, a water supply pipe or a faucet, a shower head, a pipe related to a shower facility, etc., and is a part already installed in a building for hot water supply rather than a separately added compon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 This can be easily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cold water pipe 14 and the faucet 16 shown in the drawings. Therefore, the anti-fo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mirror (M) in the building where the hot water pipe (12) is already installed, but the fogging phenomenon of the actual mirror (M) is Considering that it occurs mainly when hot water is used in a bathroom or a bathroom, this should be viewed as highlighting the technical utility rather than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20)는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즉, 건물에 기 설치되어 그 내부를 흐르는 온수의 잠열(潛熱)로 가열되는 온수배관(12)과, 상기 온수배관(12)에 연결되어 온수배관(12)의 열이 정합(thermal coupling)되는 열정합부(22)와, 상기 열정합부(22)와 연결되어 열정합부(22)의 열이 전도되는 열전도부(62)와, 상기 열전도부(62)와 연결되는 동시에 거울(M)의 뒷면을 따라 배열되어 열전도부(62)를 통해 전도된 열로 거울(M)을 가열하는 열확산부(82)가 그것이다.As can be seen, the anti-fog device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four parts. That is, a hot water pipe 12 that is already installed in a building and heated by the latent heat of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building, and the hot water pipe 12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12 so that the heat of the hot water pipe 12 is thermally coupled. The heat-conducting part (62) is connected to the heat-conducting part (22) and the heat-conducting part (62) to conduct heat from the heat-conducting part (22),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M)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heat-conducting part (62). It is arranged along the heat diffusion portion 82 for heating the mirror (M) with heat conducted through the heat conduction portion 62.

이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20)의 각 부분에 대해 도 1과 더불어 별도로 언급되는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때, 편의상 동일역할을 하는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된 설명을 피한다.Each part of the anti-fog device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eparately mentioned in addition to FIG. 1. At this time, for convenience, duplicate descriptions are avoided by assigning the same drawing numbers to the same parts that play the same role.

먼저, 온수배관(12)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20)의 열원으로서,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기 위해 수전구(16)를 조작하면 온수가 흐르며, 이 과정 중에 상기 온수의 잠열로 자연스럽게 가열된다.First, the hot water pipe 12 is a heat source of the anti-fog device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faucet 16 to use hot water, hot water flows. It is naturally heated by the latent heat of hot water.

이때, 온수배관(12)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온수가 흐르는 모든 관로를 총칭하는바, 상수도관이나 수전구(16), 샤워헤드, 샤워시설과 관련된 배관 등이 될 수 있고, 거울(M) 위치나 그 외 본 발명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20)의 설치위치 등을 고려해서 하나 이상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t water pipe 12 is a generic term for all pipes through which hot water flows, as mentioned above, and may be a water pipe or a faucet 16, a shower head, a pipe related to a shower facility, etc., and a mirror (M) location In addition, one or more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anti-fog devic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열정합부(22)는 온수배관(12)과 열전도부(62)를 연결함으로써 온수배관(12)의 열을 열전도부(62)에 정합시키는 부분으로, 온수배관(12)과 열전도부(62)에 각각 가급적 넓은 면적이 긴밀하게 밀착되는 것이 열손실을 막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열정합부(22)는 이른바 파이프 클램프(pipe clamp)라 불리는 기계요소가 사용될 수 있고, 몇 가지 예가 도 1을 비롯한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나 있다.Next, the heat coupling part 22 is a part that matches the heat of the hot water pipe 12 to the heat conduction part 62 by connecting the hot water pipe 12 and the heat conduction part 62, and the hot water pipe 12 and the heat conduction part It is preferable that the large area as close as possible to each of (62) can be prevented from heat loss. For this purpose, a mechanical element called a so-called pipe clamp may be used as the heat fitting part 22, and several examples are shown in FIGS. 2 to 4 including FIG. 1.

먼저, 도 1 및 이의 원내 A 부분을 확대한 도 2에 나타난 열정합부(22)는 일정길이의 판(plate)을 파이프 형상으로 절곡하여 온수배관(12)의 외면을 따라 밀착시키는 한편 그 양측 단부(24)를 나란히 마주보게 하여 이들 사이로 열전도부(62)의 말단을 삽입하고, 상기 양 단부(24)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볼트(26)에 너트(28)를 체결한 형태가 나타나 있다. 다시 말해, 도 1 및 도 2의 열정합부(22)는 온수배관(12)을 감싸는 파이프 형상을 나타내되 외면의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각각의 양측 단부(24)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된 형태를 나타낸다.First, the heat bonding part 22 shown in FIG. 1 and the enlarged portion A in the circle thereof is formed by bending a plate of a certain length into a pipe shape to make close contact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t water pipe 12 while both ends thereof. There is shown a form in which the ends of the heat conduction portions 62 are inserted between the ends of the heat conduction portions 62 by facing each other, and the nut 28 is fastened to at least one through bolt 26 penetrating the both ends 24. . In other words, the heat fitting part 22 of FIGS. 1 and 2 shows a pipe shape surrounding the hot water pipe 12, bu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is ope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each of both ends 24 is bent to face each other. Shows the form.

따라서 양측 단부(24) 사이로 열전도부(62)를 삽입한 후 관통볼트(26)와 너트(28)를 체결하면 온수배관(12)과 열전도부(62)가 긴밀하게 연결 및 고정되고, 이로써 온수배관(12)의 열은 열정합부(22)로 정합되어 열전도부(62)로 손실 없이 전도된다.Therefore, when the heat conduction part 62 is inserted between the ends 24 and the through bolt 26 and the nut 28 are fastened, the hot water pipe 12 and the heat conduction part 62 are closely connected and fixed. The heat of the pipe 12 is matched to the heat fitting portion 22 and is conducted to the heat conduction portion 62 without loss.

또한, 도 3에 나타난 열정합부(22)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각각 반원형상을 나타내는 동시에 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열전도부(62)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구(40)가 마련된 제 1 및 제 2 하프파이프(half pipe : 30,32)의 일 끝단을 힌지(hinge : 34) 또는 이와 유사한 기계요소로 연결하고, 상기 힌지(34)의 반대편에 해당되는 제 1 및 제 2 하프파이프(30,32)의 타 끝단에 각각 걸림단(36)과 걸림홈(38)을 형성하여 후크(hook) 방식으로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한 형태가 나타나 있다. 이때, 필요하다면 제 1 및 제 2 하프파이프(30,32)는 별도의 관통볼트와 너트로 체결 또는 분리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heat fitting portion 22 shown in FIG. 3 has a semicircular cross-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40 for inserting the heat conductive portion 62 is provided. One end of the half pipe (30,32) is connected by a hinge (34) or a similar mechanical element, and the first and second half pipes (30,32) corresponding to opposite sides of the hinge (34) )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locking end 36 and the locking groove 38 to be fastened or detached in a hook method. In this case, if necessary, the first and second half pipes 30 and 32 may be fastened or separated by separate through bolts and nuts.

따라서 제 1 및 제 2 하프파이프(30,32)를 각각 온수배관(12)의 외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걸림단(36)과 걸림홈(38)을 체결하고 고정구(40)에 열전도부(62)를 끼우면 온수배관(12)과 열전도부(62)가 서로 긴밀하게 연결 및 고정되고, 이로써 온수배관(12)의 열은 열정합부(22)로 정합되어 열전도부(62)로 손실 없이 전도된다.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alf pipes 30 and 32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ot water pipe 12, respectively, the locking end 36 and the locking groove 38 are fastened, and the heat conduction part 62 is attached to the fixture 40. ), the hot water pipe 12 and the heat conduction part 62 are closely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whereby the heat of the hot water pipe 12 is matched by the heat-conducting part 22 and is conducted without loss to the heat-conducting part 62. .

아울러, 도 4에 나타난 열정합부(22)는 온수배관(12)의 외면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상의 제 1 및 제 2 홈(44,48)이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클램프블럭(42,46)을 이용한 것으로, 제 1 및 제 2 클램프블럭(4246)중 적어도 하나에는 열전도부(62)가 삽입되는 홀(50)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클램프블럭(42,46)은 임의의 제 1 클램프블럭(42)을 관통해서 제 2 클램프블럭(46)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탭볼트(52)로 긴밀하게 고정된다.In addition, the heat bonding portion 22 shown in FIG. 4 is the first and second clamp blocks 42 having semicircular first and second grooves 44 and 48, respectively,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t water pipe 12. ,46),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lamp blocks 4246 has a hole 50 into which the heat conduction unit 62 is inserted, and the first and second clamp blocks 42 and 46 Is tightly fixed with at least one tab bolt 52 inserted into the second clamp block 46 through the arbitrary first clamp block 42.

따라서, 제 1 및 제 2 클램프블럭(42,46)의 제 1 및 제 2 홈(44,48)이 각각 온수배관(12)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제 1 및 제 2 클램프블럭(42,46)을 맞대어 놓은 후 임의의 제 1 클램프블럭(42)을 관통해서 제 2 클램프블럭(46)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탭볼트(52)를 체결하고, 홀(50)에 열전도부(62)를 삽입하면 온수배관(12)과 열전도부(62)가 서로 긴밀하게 연결 및 고정되고, 이로써 온수배관(12)의 열은 열정합부(22)로 정합되어 열전도부(62)로 손실 없이 전도된다.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clamp blocks 42 and 46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44 and 48 of the first and second clamp blocks 42 and 46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ot water pipe 12, respectively. After butt, fasten at least one tab bolt 52 inserted into the second clamp block 46 through an arbitrary first clamp block 42, and insert the heat conduction part 62 into the hole 50. When the hot water pipe 12 and the heat conduction part 62 are closely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the heat of the hot water pipe 12 is matched to the heat mixing part 22 and is conducted without loss to the heat conduction part 62.

이때, 도 1을 비롯한 도 2 내지 도 4에서 살펴본 열정합부(22)는 각각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예컨대 텅스텐(W), 철(Fe), 구리(Cu), 금(Au), 은(Ag),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고전도성 금속 또는 이들 금속 중 적어도 하나의 합금이나 세라믹 등의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온수배관(12)과 열정합부(22) 및/또는 열정합부(22)와 열전도부(62)의 접촉부분은 각각 열 접착제 등으로 틈새 없이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열접착제란 둘 이상의 대상물 사이에서 서로를 접착시키는 동시에 어느 하나로부터 발생된 열을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접착물질을 총칭하는바, 일례로 열전도율이 높은 수지접착물질에 고전도성 금속입자(metal particle)나 금속섬유(metalfiber)를 함유시킨 형태일 수 있고, 흔히 전도성 접착제라 불리는 제품이 사용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heat-fusing portion 22, which was examined in FIGS. 2 to 4 including FIG. 1, has a high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tungsten (W), iron (Fe), copper (Cu), gold (Au), and silver (Ag). , Highly conductive metal including aluminum (Al), or at least one of these metals, may be made of non-ferrous metals such as an alloy or ceramic, and conduct heat with the hot water pipe 12 and the heat transfer part 22 and/or the heat transfer part 22 Each contact portion of the portion 6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using a thermal adhesive or the like. Here, the thermal adhesive is a generic term for an adhesive material that adheres to each other between two or more objects and at the same time transfers heat generated from one to the other. For example, a highly conductive metal particle or a resin adhesive material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It may be in a form containing metal fiber, and a product commonly referred to as a conductive adhesive may be used.

그 결과 상기의 열정합부(22)는 온수배관(12)에 착탈식으로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한 것을 물론, 고정 시에는 온수배관(12)과 열전도부(62)를 견고하게 연결하여 온수배관(12)의 열을 열전도부(62)에 손실 없이 전달한다. 참고로, 도 2 내지 도 4에서 살펴본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정합부(22)의 몇 가지 예에 지나지 않으며, 그 구체적인 형태는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heat coupling part 22 is detachably fixed or detachable to the hot water pipe 12, and when fixed, the hot water pipe 12 and the heat conduction unit 62 are firmly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12. Heat is transferred to the heat conduction unit 62 without loss. For reference, the contents examined in FIGS. 2 to 4 are only a few examples of the heat fitting part 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hape thereof may be modified as much as possible.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열전도부(62)는 열정합부(22)와 열확산부(82)를 연결함으로써 열정합부(22)를 통해 정합된 온수배관(12)의 열을 열확산부(82)로 전도시키는 부분으로, 텅스텐(W), 철(Fe), 구리(Cu), 금(Au), 은(Ag),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고전도성 금속 또는 이들 금속 중 적어도 하나의 합금이나 세라믹 등의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라인(line) 또는 튜브(tube)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Returning to FIG. 1 again, the heat conduction unit 62 conducts heat of the hot water pipe 12 matched through the heat combination unit 22 and the heat diffusion unit 82 to the heat diffusion unit 82 by connecting the heat connection unit 22 and the heat diffusion unit 82 As a part to be made, a highly conductive metal including tungsten (W), iron (Fe), copper (Cu), gold (Au), silver (Ag), aluminum (Al), or an alloy or ceramic of at least one of these metals It may represent a line or tube shape made of a non-ferrous metal.

이때, 열전도부(62)는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으로, 열의 '전도현상'을 이용해서 열정합부(22)의 열을 열확산부(82)로 전달하기 위한 것인바, 기존의 김서림 방지장치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부(62)는 '전도현상'을 이용하여 '전도열'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열전도부(62)는 해당 기능을 만족시키는 한 구체적인 형태나 종류는 자유로울 수 있는데, 일례로 주지의 히트파이프(heat pipe)가 사용될 수 있고, 그 외면은 테프론이나 기타 단열성 높은 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 아울러, 불필요한 열손실을 막기 위해 열전도부(62)의 길이는 가급적 수m 이하로 제한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heat conduction unit 62 is the most characteristic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used to transfer the heat of the heat bonding unit 22 to the heat diffusion unit 82 using the'conduction phenomenon' of heat. Unlike the heat conduction unit 6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conduction heat' is moved using the'conduction phenomenon'. Therefore, the heat conduction unit 62 may be free in a specific shape or type as long as it satisfies the corresponding function. For example, a known heat pipe may be used, and the outer surface thereof may be coated with Teflon or other high insulating material. I can.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unnecessary heat loss, the length of the heat conduction unit 62 may be limited to several meters or less.

한편, 열전도부(62)는 도면에서와 같이 열정합부(22)와 열확산부(82)를 연결하는 하나의 라인 또는 튜브형태를 나타낼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길이로 규격화된 복수 개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conduction unit 62 may represent a single line or tube shape connecting the heat bonding unit 22 and the heat diffusion unit 82 as shown in the drawing, but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standardized lengths are connected. It is also possible to use it, and for this purpose,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may be used.

첨부된 도 5와 도 6은 각각 상기 연결부재의 몇 가지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편의상 제 1 및 제 2 연결부재(72,74)로 구분하고, 각각의 연결부재(72,74)로 연결되는 두 열전도부(62)는 제 1 및 제 2 열전도부(64,66)라 한다.5 and 6 are diagrams showing several examples of the connecting members, respectively,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72 and 74 for convenience, and connected by respective connecting members 72 and 74. The two heat conductive parts 62 are referred to as first and second heat conductive parts 64 and 66.

먼저, 도 5에 보인 제 1 연결부재(72)는 중공(中空)이 관통된 일직선의 파이프 형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 1 연결부재(72)의 양 끝단에 각각 연결하고자 하는 제 1 및 2 열전도부(64,66)의 말단을 끼우면 직선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Firs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72 shown in FIG. 5 has a shape of a straight pipe through which a hollow (中空) is passed. Therefore, by inserting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heat conducting parts 64 and 66 to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72, respectively, it can b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또한, 도 6에 보인 제 2 연결부재(74)는 중공이 관통된 구부러진 파이프 형상, 다시 말해 엘보(elbow) 형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 2 연결부재(74)의 양 끝단에 각각 연결하고자 하는 제 1 및 제 2 열전도부(64,66)의 말단을 끼우면 원하는 각도의 곡선형태로 연결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4 shown in FIG. 6 has a curved pipe shape through which a hollow is passed, that is, an elbow shape. Therefore, by inserting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heat conducting portions 64 and 66 to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74, respectively, it may be connected in a curved shape of a desired angle.

아울러,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연결하고자 하는 제 1 및 제 2 열전도부(64,66)의 마주보는 끝단(65,69)을 각각 일정두께 이하로 납작하게 눌러 포갠 후 타이(tie) 형태의 제 3 연결부재(76)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열전도부(64,66)의 끝단(65,69)을 겹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한바, 상기의 제 1 내지 제 3 연결부재(72,74,76)는 모두 텅스텐(W), 철(Fe), 구리(Cu), 금(Au), 은(Ag),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고전도성 금속이나 이들 금속중 적어도 하나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불필요한 열손실을 막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opposite ends 65 and 69 of the first and second heat conduction units 64 and 66 to be connected are pressed flat to each other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n overlapped. It is also possible to overlap and fix the ends (65,69) of the first and second heat conduction parts (64,66) by using the connection member (76), and the first to third connection members (72,74,76) ) Are all highly conductive metals including tungsten (W), iron (Fe), copper (Cu), gold (Au), silver (Ag), and aluminum (Al), but it is unnecessary to consist of at least one alloy of these metals. It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prevent heat loss.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열확산부(82)는 열전도부(62)를 통해 전달된 전도열을 거울(M)의 뒷면 전체로 분배하는 부분으로, 텅스텐(W), 철(Fe), 구리(Cu), 금(Au), 은(Ag),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고전도성 금속 또는 이들 중에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합금이나 세라믹 등의 비철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그리드(grid)나 시트(sheet)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더불어, 거울(M)의 뒷면에는 열확산부(82)를 덮는 별도의 단열층(8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열확산부(82)와 건물의 벽면이 직접 맞닿아 발생될 수 있는 불필요한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Returning to FIG. 1 again, the heat diffusion part 82 is a part that distributes the conduction heat transferred through the heat conduction part 62 to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mirror M, and includes tungsten (W), iron (Fe), and copper (Cu). , Gold (Au), silver (Ag), aluminum (Al), a high-conductivity metal, or one or more selected among them, a grid or sheet made of a non-ferrous metal material such as ceramic or the like. .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e heat insulating layer 84 covering the heat spreading part 82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mirror M, whereby unnecessary heat loss that may be caused by direct contact between the heat spreading part 82 and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Can be reduced.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20)의 열확산부(82)는 구체적인 형태에 따라 몇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므로 각각을 살펴본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diffusion unit 82 of the anti-fog device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several types according to the specific shape, so each will be described.

먼저, 첨부된 도 8은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인 단면도로서, 거울(M) 및 이의 뒷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열된 그리드 형태의 열확산부(82)가 나타나 있다. 이때, 거울(M)은 일반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투명판(2) 뒷면에 반사율이 높은 반사막(4)을 코팅한 형태가 될 수 있고, 이러한 반사막(4)의 뒷면에는 열확산부(82)를 덮는 단열층(84)이 형성되어 있다.First, the attache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shows a mirror M and a grid-shaped thermal diffusion unit 82 arranged in a zigzag pattern along the rear surface thereof. In this case, the mirror M may be in a form in which a reflective film 4 having high reflectivity is coated on the back of a transparent plate 2 such as glass or plastic, as in a general case, and a heat diffusion unit ( A heat insulating layer 84 covering 82 is formed.

이 경우, 열전도부(62)와 열확산부(82)의 물리적 연결을 위해서는 도 1의 원내 B의 확대도인 도 9와 같이 열전도부(62)의 말단에 열확산부(82)의 일부를 감아 밀착시킬 수 있고, 이로써 열전도부(62)의 전도열은 손실 없이 열확산부(82)로 전도된다.In this case, in order to physically connect the heat conduction unit 62 and the heat diffusion unit 82, a part of the heat diffusion unit 82 is wound around the end of the heat conduction unit 62 as shown in Fig. 9, which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ner circle B of Fig. 1 In this way, the conduction heat of the heat conduction unit 62 is conducted to the heat diffusion unit 82 without loss.

또한, 첨부된 도 10은 열확산부(82)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거울(M)의 뒷면을 따라 가로세로로 교차배열된 매트릭스(matrix) 형태를 나타낸다. 이때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은 앞서 도 8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하며, 이 역시 열전도부(62)의 말단 외면에 일정부분을 감아 연결할 수 있고, 이로써 열전도부(62)의 전도열은 손실 없이 열확산부(82)로 전도된다.In addition, the attache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heat diffusion unit 82, showing a matrix form cross-arrang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M. At this time, the cross section cut along the line A'-A'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FIG. 8, so it will be omitted, and this can also be connected by winding a certain portion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of the heat conductive part 62, whereby the heat conductive part 62 Conducted heat is conducted to the heat diffusion unit 82 without loss.

아울러, 첨부된 도 11은 열확산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거울(M)의 뒷면을 따라 부착된 판(plate) 또는 시트(sheet) 형상을 나타낸다. 이때, 열확산부(82)의 역할은 앞서와 마찬가지로 열전도부(62)로부터 전달된 전도열을 거울(M)의 뒷면 전 면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것으로, 도 12에 나타난 것처럼 열확산부(82)의 일부를 열전도부(62)의 외면에 말아 연결할 수 있고, 이로써 열전도부(62)의 전도열은 손실 없이 열확산부(82)로 전도된다.In addition, the attache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heat diffusion unit, and shows the shape of a plate or sheet attached along the back side of the mirror M. At this time, the role of the heat diffusion unit 82 is to distribute the conductive heat transmitted from the heat conduction unit 62 to the entire area of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M, as shown in FIG. 12, and a part of the heat diffusion unit 82 It can b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conduction unit 62 by rolling, whereby the conduction heat of the heat conduction unit 62 is conducted to the heat diffusion unit 82 without loss.

이 경우, 특히 도 11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은 도 13 또는 도 14와 같은데, 도 13을 통해서는 거울(M)의 투명판(2) 뒷면에 코팅된 반사막(4)을 따라 판 형상의 열확산부(82)가 밀착되고, 이를 단열층(4)이 덮고 있다.In this case, in particular, the cross section cut along the line BB of FIG. 11 is the same as that of FIG. 13 or 14. Through FIG. 13, a plate shape along the reflective film 4 coated on the back side of the transparent plate 2 of the mirror M The heat diffusion part 82 is in close contact, and the heat insulation layer 4 covers it.

이때, 거울(M)은 투명판(2)의 배면에 반사율이 높은 반사막(4)을 코팅한 형태를 나타내는바, 열확산부(82)가 반사율이 높은 금속재의 판 또는 시트인 경우에는 도 14와 같이 거울(M)의 반사막(도 13의 4 참조)을 생략하는 대신, 열확산부(82)를 투명판(2)의 뒷면에 밀착시켜 반사막(도 13의 4 참조)을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mirror M represents a form in which a reflective film 4 having a high reflectivity is co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2, and when the heat diffusion part 82 is a plate or sheet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reflectance, Likewise, instead of omitting the reflective film of the mirror M (see 4 in FIG. 13),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reflective film (see 4 in FIG. 13) by intimately contacting the heat diffusion unit 82 to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2.

한편,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20)는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는 것과 동시에 거울(M)의 김서림 방지 및 억제동작을 수행하고,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추가적인 조작없이 거울(M)의 김서림을 방지 및 억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nti-fog device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performs an operation of preventing and suppressing fogging of the mirror M at the same time as the user uses hot water, and thus, the user has a separate additional operation. Without it, it is possible to prevent and suppress fogging of the mirror (M).

즉,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기 위해 수전구(16)를 조작하면 온수배관(12)을 통해 온수가 흘러 수전구(16)로 배출되는데, 이 과정 중에 온수의 잠열에 의해 가열된 온수배관(12)의 열은 열정합부(22), 열전도부(62), 열확산부(82)를 차례로 거쳐 거울(M)의 뒷면 전체로 전도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거울(M)의 김서림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 및 억제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faucet 16 to use hot water, hot water flows through the hot water pipe 12 and is discharged to the faucet 16. During this process, the hot water pipe 12 heated by the latent heat of the hot water The heat of) is conducted to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mirror M through the heat coupling part 22, the heat conduction part 62, and the heat diffusion part 82 in ord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and suppress the fogging phenomenon of the mirror (M) without a separate manipulation of the user.

제 2 실시예Example 2

첨부된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20)의 개요도이다. 이때, 앞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며, 그 차이점만을 살펴본다.1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ogging prevention device 2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sinc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parts that have the same rol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and only differences are described.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20)의 열원으로는 온수배관(12)을 대신해서 별도의 발열장치(92)가 사용된다.As can be seen, as a heat source of the anti-fog device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heating device 92 is used instead of the hot water pipe 12.

이때, 발열장치(92)는 욕실이나 목욕탕 등에 설치된 콘센트(90)에 연결되는 전기발열 방식일 수 있는데, 이를 위한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는 도 16에 나타난 것처럼 열정합부(22)와 연결된 봉 형상의 본체(94) 내부를 따라 전기발열을 위한 열선(96)을 배치하여 완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ating device 92 may be an electric heating method that is connected to an outlet 90 installed in a bathroom or a bathroom, and a preferred aspect for this is a rod connected to the heat bonding part 22 as shown in FIG. It can be completed by arranging the heating wire 96 for electric heating along the inside of the body 94 of the shape.

따라서 열선(96)의 전기발열에 따른 열은 열정합부(22, 도 15를 참조한다. 이하 동일하다.), 열전도부(62), 열확산부(82) 차례로 거쳐 거울(M)의 뒷면 전체로 전도되고, 이로써 거울(M)이 가열되어 김서림 현상이 방지 및 억제된다. 이 경우 필요하다면 발열장치(92)는 거울(M)의 김서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거울(M) 표면에 부착된 습도센서(86) 또는 수전구(16)를 배출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수전구(16)에 부착된 온도센서(88)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거울(M)에 김서림 현상이 나타나거나 사용자가 일정 온도 이상의 온수를 사용하면 자동적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heat generated by the electric heating of the heating wire 96 is the same as below), the heat conduction part 62, and the heat diffusion part 82 to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mirror M. Conduction, thereby heating the mirror M to prevent and suppress fogging. In this case, if necessary, the heating device 92 can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humidity sensor 86 or the faucet 16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mirror M so as to detect whether the mirror M is fogged. It can be interlocked with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sensors 88 attached to the faucet 16 so that it can be automatically driven when a fogging phenomenon appears on the mirror M or the user uses hot water above a certain temperature. have.

한편, 이상에서 살펴본 몇 가지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 있는 여러 가지 변형은 모두 본 발명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인데, 이 같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당업자에게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Meanwhile, some examples discussed above are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all belo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following claims.

Claims (7)

건물 내 벽면에 부착된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로서,
상기 건물 내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과;
상기 열원에 연결되어 상기 열원의 열이 정합되는 열정합부와;
상기 열정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열정합부의 열이 전도되는 열전도부와;
상기 열전도부와 연결되어 상기 열전도부의 열이 전도되고, 상기 거울의 뒷면을 따라 형성된 열확산부를 포함하여, 상기 열확산부의 전도열로 상기 거울의 온도를 높여 김서림을 방지하는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
It is a device to prevent fogging of the mirror attached to the wall of the building,
A heat source installed in the building to generate heat;
A heat fitting part connected to the heat source to match heat of the heat source;
A heat conduction unit connected to the heat transfer unit to conduct heat of the heat transfer unit;
A device for preventing fogging of a mirror that is connected to the heat conduction unit to conduct heat of the heat conduction unit and includes a heat diffusion unit formed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mirror with the conduction heat of the heat diffusion unit to prevent fogg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전기로 발열하는 열선을 이용한 발열장치 또는 상기 건물 내 기(旣) 설치된 온수배관 중 하나인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source is a device for preventing fogging of a mirror, which is one of a heating device using a heating wire that generates heat by electricity or a hot water pipe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정합부는 상기 열원의 외면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상기 열원과 상기 열전도부를 연결하는 클램프 파이프인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fusing unit is a clamp pipe connecting the heat source and the heat conduction unit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sour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부는 상기 열원의 열을 상기 열확산부로 전달하는 히트파이프인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conduction unit is a heat pipe that transfers heat from the heat source to the heat diffusion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확산부는 상기 거울의 뒷면을 따라 지그재그 또는 가로세로로 교차배열되는 그리드 또는 상기 거울의 뒷면을 따라 밀착되는 시트 형상인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diffusion unit is a grid that is arranged in a zigzag or horizontally or vertically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or a sheet-shaped anti-fog device of the mirror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거울은 투명판 및 상기 투명판 뒷면에 코팅된 반사막을 포함하고, 상기 열확산부가 상기 판 형상인 경우,
상기 반사막은 상기 열확산부로 이루어지는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mirror includes a transparent plate and a reflective film coated on the back side of the transparent plate, and the heat diffusion part has the plate shape,
The reflective film is a device for preventing fogging of a mirror comprising the heat diffusion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정합부와, 상기 열전도부와, 상기 열확산부는 각각 텅스텐(W), 철(Fe), 구리(Cu), 금(Au), 은(Ag),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고전도율 금속 또는 상기 고전도율 금속 중 적어도 하나의 합금이나 세라믹을 포함하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bonding part, the heat conduction part, and the heat diffusion part, respectively, a high conductivity metal including tungsten (W), iron (Fe), copper (Cu), gold (Au), silver (Ag), and aluminum (Al) A device for preventing fogging of a mirror made of a non-ferrous metal including at least one alloy or ceramic among the high conductivity metals.
KR1020190021672A 2019-02-25 2019-02-25 Apparatus for removing steam-up on mirror KR202001033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672A KR20200103342A (en) 2019-02-25 2019-02-25 Apparatus for removing steam-up on mi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672A KR20200103342A (en) 2019-02-25 2019-02-25 Apparatus for removing steam-up on mirr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342A true KR20200103342A (en) 2020-09-02

Family

ID=7246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672A KR20200103342A (en) 2019-02-25 2019-02-25 Apparatus for removing steam-up on mirr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334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6298A (en) Non-fogging bathroom mirror
BRPI0417944A (en) heat exchanger
KR20200103342A (en) Apparatus for removing steam-up on mirror
JP2001208361A (en) Floor-heating panel
KR100971712B1 (en) apparatus for removing steam-up on mirror
US20110056666A1 (en) Modular panel for the formation of systems for ambient cooling or heating
JP4000907B2 (en) Washing floor heating floor panel
CN206884102U (en) A kind of hot flow path heating module
CN208566827U (en) A kind of floor heating heating tube laying apparatus
PL171817B1 (en) Heating element for surface heating and cooling as well as radiator for surface heating
CN209991523U (en) Floor heating
JPH116651A (en) Water flow heating device
JPH0132718Y2 (en)
JP2005034255A (en) Mirror unit with fogging prevention
CN214664735U (en) Carbon fiber heating mechanism
JP2004250861A (en) Eco-airsystem
JP4743381B2 (en) Ceiling radiation panel
JPH0125211Y2 (en)
JP4669999B2 (en) Radiation panel for ceiling air conditioning
JPH11304172A (en) Method and structure for containing floor heating hose
JP3361424B2 (en) Hot water floor heating panel piping connection structure
JPH09296957A (en) Antifreezing apparatus for hot water supplier
JP2000146205A (en) Assembling method for piping
CA2200233A1 (en) Shower bath heat exchanging trap
JP3790982B2 (en) Hot water he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