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873A -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 - Google Patents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873A
KR20200102873A KR1020190021428A KR20190021428A KR20200102873A KR 20200102873 A KR20200102873 A KR 20200102873A KR 1020190021428 A KR1020190021428 A KR 1020190021428A KR 20190021428 A KR20190021428 A KR 20190021428A KR 20200102873 A KR20200102873 A KR 20200102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material
electrode
contact
dielectric
electrod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3640B1 (ko
Inventor
임태호
송영탁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드스테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드스테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드스테리
Priority to KR1020190021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64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2406Generating plasma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i.e. with a dielectric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 H05H1/2418Generating plasma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i.e. with a dielectric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the electrodes being embedded in the dielectr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2406Generating plasma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i.e. with a dielectric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4Applying ionised fluids
    • H05H2001/2431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2245/00Applications of plasma devices
    • H05H2245/30Medical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에 관한 것으로, 대상 물질에 접촉되어 유전체 장벽 방전 원리에 따라 대상 물질과의 소정 거리 이격 공간에 대상 물질 활성체를 발생시키는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에 있어서, 전원이 입력되어 전원 전극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의 종단부에 접촉 설치되는 유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그 종단부에 상기 유전체부를 향해 개구된 중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 { ELECTRODE STRUCTURE OF ACTIVATIVG APPARATUS FOR TARGET MATERIAL }
본 발명은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 물질에 접촉되어 유전체 장벽 방전 원리에 따라 대상 물질과의 소정 거리 이격 공간에 대상 물질 활성체를 발생시키는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는 특정 대상 물질의 표면 또는 표면으로 감싸인 내부 구성물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대상 물질을 활성화시키는 장치로 정의한다. 아울러, 대상 물질은 매질로서 어떤 파동 또는 물리적 작용을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옮겨 주는 매개물을 의미하며, 전도성 물질임을 전제한다.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예로 피부 미용 분야 및 바이오 메디컬 분야에서 사용되는 고주파, 저주파, 플라즈마, 초음파 등을 활용한 생체 활성화 장치들이 있으며, 폐기물 처리 장치 및 수처리 장치 등도 특정 대상 물질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해당 대상 물질을 활성화하므로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다른 예라고 볼 수 있다.
이때, 유전체 장벽 방전 원리를 적용한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는 발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변화시키는 변압부와, 상기 변압부에서 변화된 전원이 입력되는 전극부와, 상기 전극부의 종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유전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67646호(특허문헌 1)가 개시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공기 방전을 이용한 생체 피부용 플라즈마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하부 케이스로 분리형성되는 케이스, 케이스의 일 측에 장착되는 제어부,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 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저주파 고전압 전력을 공급하는 고전압 파워 공급기, 케이스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극 커버, 전극 커버에 전면에 장착되고 고전압 파워 공급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휴대가 용이한 생체 피부용 플라즈마 발생기를 통해 인체의 피부 또는 모공 안의 세균을 박멸하면서도 유기물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소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전극이 고전압 파워 공급기와 연결된 전극 전도체 전원부와 접지부분과 연결되는 전극 전도체 접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하 쌍(즉, 2개)의 전극 구성을 반드시 포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경우, 하나의 전극을 이용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지 않을 뿐 아니라 하나의 전극 만으로 구성할 때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여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극 구조에 대해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67646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전극만으로도 대상 물질을 활성화시킬 수 있게 하는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전극만으로도 대상 물질을 활성화시킬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는 전극 형태를 제시하는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는, 대상 물질에 접촉되어 유전체 장벽 방전 원리에 따라 대상 물질과의 소정 거리 이격 공간에 대상 물질 활성체를 발생시키는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에 있어서, 전원이 입력되어 전원 전극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의 종단부에 접촉 설치되는 유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그 종단부에 상기 유전체부를 향해 개구된 중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유전체부는, 적어도 상기 중공부의 개구 면적을 제외한 접촉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전극부의 종단부에 접촉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전체부는, 환형의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전극부의 종단부에 접촉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전체부는, 그 중심에서 측면 쪽 외측 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분지형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전극부의 종단부에 접촉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전체부와 대상 물질의 접촉 시 단면에서, 대상 물질의 접촉 가장자리는 상기 전극부와 상기 유전체부의 접촉면 폭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대상 물질 활성체는, 활성종, 전자 및 이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자외선 및 가시광선을 방출하며,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에서, 대상 물질이 접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는 하나의 전극만으로도 대상 물질을 활성화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는 하나의 전극만으로도 대상 물질을 활성화시킬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전극의 특이 형태를 제시하여 전력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대상 물질 측에서 전극부를 바라본 경우 파악되는 유전체부와 전극부의 접촉면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대상 물질 측에서 전극부를 바라본 경우 파악되는 유전체부와 전극부의 접촉면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100)의 전극 구조는, 전극부(130) 및 유전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100)는 상기 전극부(130) 및 상기 유전체부(140) 이외에도 전원공급부(110), 변압부(120) 및 전기회로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100)는 대상 물질(1)(더욱 상세하게는 대상 물질(1)의 표면부(1a))에 접촉되어 유전체 장벽 방전 원리에 따라 대상 물질(1)과의 소정 거리 이격 공간(2)에 대상 물질 활성체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전원공급부(110)는 상기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100)에 발진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11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는 리튬-폴리머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100)의 커버(미도시)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110)는 상기 변압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칭 제어 방식으로 발진 전원 공급 여부를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칭 제어 방식은 상기 전원공급부(110)에서 상기 변압부(120)로의 발진 전원 세기를 제어하거나 상기 변압부(120)의 전원 변압 비율을 기 설정된 값 범위 내에서 변경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압부(120)는, 상기 전원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된 전원의 전압 크기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변압부(120)는 그 변압 정도를 대상 물질(1)의 특성에 따라 변화시켜 입력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130)는, 상기 변압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변압부(120)에서 변화된 전원이 입력되는 구성이다. 상기 전극부(130)는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130)는, 상기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100)에 적용되는 유전체 장벽 방전 원리에 있어서 전원전극의 역할을 수행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100)는 '전원전극(상기 전극부(130))-유전체(상기 유전체부(140))-접지전극(대상 물질(1))'의 전극-유전체 조합으로 유전체 장벽 원리에 따른 상기 대상 물질 활성체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전극부(130)는, 그 종단부(종단부는 도 1의 좌우 방향 배열을 기준으로 명명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전체부(140) 측 단부를 의미한다.)에 상기 유전체부(140)를 향해 개구된 중공부(1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전극부(130)는, 일정 부피를 가지는 입체 형태로 구성되고, 그 종단부에 상기 중공부(131)를 가지는 특이 형태에 의해 상기 유전체부(140)와의 비접촉면을 형성하게 되어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극부(130)의 종단부는 중공형 팽이 형태의 입체 또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살빼기 공간을 가져 외측을 향하는 복수개의 분지형 날개를 가지는 중공형 팽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부(130)는, 상기 전원공급부(110) 및 상기 변압부(120)를 통해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유전체부(140) 및 대상 물질(1)과의 전기 화학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대상 물질 활성체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전극부(13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상기 유전체부(140)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유전체부(140)는, 상기 전극부(130)의 종단부에 접촉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유전체부(140)는, 상기 전극부(13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전체부(140)는 세라믹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나(Al2O3), 산화 지르코니아(ZrO2), 게르마늄(Ge), 세륨(C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전체부(140)는, 상기 전원공급부(110) 및 상기 변압부(120)를 통해 상기 전극부(130)에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전극부(130) 및 대상 물질(1)과의 전기 화학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대상 물질 활성체를 발생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전체부(400)는, 대상 물질(1)에 접촉되어 유전체 장벽 방전 원리에 따라 대상 물질(1)과의 소정 거리 이격 공간(2)에 상기 대상 물질 활성체를 발생시켜 상기 대상 물질 활성체를 통해 대상 물질(1)에 에너지를 전달하여 활성화시킨다. 이때, 대상 물질(1)은 접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100)는, 종래와 달리 하나의 전극 만으로도 대상 물질(1)을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대상 물질 활성체는, 활성종, 전자, 이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자외선, 가시광선을 방출하며,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대상 물질 활성체는, 활성종, 전자, 이온 등의 상호 작용(이온화, 해리, 전리, 재결합 등)에 의해 광, 열, 및 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유전체부(140)는, 적어도 상기 중공부(131)의 개구 면적을 제외한 접촉면(140a)을 형성하면서 상기 전극부(130)의 종단부에 접촉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극 구조에 의해, 적어도 상기 중공부(131)의 개구 면적 이상이 상기 전극부(130)와 상기 유전체부(140)의 비접촉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전극부(130)가 중공부(131)를 가지지 않는 경우(예를 들러, 팽이 형태의 입체로 구성된 경우)에 비하여, 적어도 상기 중공부(131)의 개구 면적이'전원전극(상기 전극부(130))-유전체(상기 유전체부(140))-접지전극(대상 물질(1))'로 누설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3자간 면접촉 차단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대상 물질 활성체의 발생에 전류 흐름을 집중할 수 있게 되어,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관련된 일 예로, 상기 전극부(130)의 종단부가 중공형 팽이 형태의 입체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유전체부(140)는, 환형의 접촉면(140a-1)을 가지며 상기 전극부(130)의 종단부에 접촉 설치될 수 있다. (도 3(a) 참조)
이와 관련된 다른 예로, 상기 전극부(130)의 종단부가 둘레를 따라 복수의 살빼기 공간을 가져 외측을 향하는 복수개의 분지형 날개를 가지는 중공형 팽이 형태의 입체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유전체부(140)는, 그 중심에서 측면 쪽 외측 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분지형 접촉면(140a-3)을 가지며 상기 전극부(130)의 종단부에 접촉 설치될 수 있다. (도 3(c) 참조) 이 경우, 상기 전극부(130)의 종단부 형태를 변경하여 환형의 접촉면을 더 포함하는 접촉면(140a-2)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b) 참조)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유전체부(140)와 대상 물질(1)의 접촉 시 단면에서, 대상 물질(1)의 접촉 가장자리(1b)는 상기 전극부(130)와 상기 유전체부(140)의 접촉면(140a) 폭(여기서, 폭은 도 2 기준으로 좌우 방향의 폭을 의미하고, 도 3의 점선으로 된 보조선과 접촉면(140a-1, 140a-2, 140a-3)의 교선 길이를 의미한다.)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대상 물질 활성체가 가장 효과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관련된 일 예로, 상기 전극부(130)의 종단부가 중공형 팽이 형태의 입체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유전체부(140)는, 환형의 접촉면(140a-1)을 가지며 상기 전극부(130)의 종단부에 접촉 설치될 수 있다. (도 3(a) 참조) 이때, 대상 물질(1)의 접촉 가장자리(1b')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대상 물질(1)의 접촉 양상에 따라 짤린 환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대상 물질(1)의 접촉 가장자리(1b')는 상기 대상 물질 활성체가 발생하는 접촉 부분의 가장자리가 이와 상하(도 2 기준) 매칭되는 상기 전극부(130)와 상기 유전체부(140)의 접촉면(140a) 폭 상에 있으면 된다는 의미이다. 이하 대상 물질(1)의 접촉 가장자리(1b'', 1b''')도 마찬가지다.)
이와 관련된 다른 예로, 상기 전극부(130)의 종단부가 둘레를 따라 복수의 살빼기 공간을 가져 외측을 향하는 복수개의 분지형 날개를 가지는 중공형 팽이 형태의 입체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유전체부(140)는, 그 중심에서 측면 쪽 외측 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분지형 접촉면(140a-3)을 가지며 상기 전극부(130)의 종단부에 접촉 설치될 수 있다. (도 3(c) 참조) 이 경우, 상기 전극부(130)의 종단부 형태를 변경하여 환형의 접촉면을 더 포함하는 접촉면(140a-2)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b) 참조) 이때, 대상 물질(1)의 접촉 가장자리(1b'', 1b''')는 분할된 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b)에서는, 대상 물질(1)의 접촉 가장자리(1b'')는 대상 물질(1)의 접촉 양상에 따라 환형(내측) 또는 환형과 띠형의 혼합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전기회로부(150)는, 대상 물질(1)을 접지시키되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전기회로부(150)는, 상기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100)의 정상 작동 여부에 관한 정보, 즉,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모니터링부(15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회로부(150)는, 도 1에서와 같이 대상 물질(1)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100)의 커버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대상 물질(1)과 해당 커버의 접촉에 의해 상호간 도통됨으로써 대상 물질(1)이 접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상기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100)의 작동 방식을 간략히 설명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10) 및 상기 변압부(120)를 통해 상기 전극부(130)에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전극부(130), 전극부(140) 및 대상 물질(1)과의 전기 화학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대상 물질(1)과의 소정 거리 이격 공간(2)에 상기 대상 물질 활성체를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대상 물질 활성체를 통해 대상 물질(1)에 에너지를 전달하여 활성화시킨다. 이때, 대상 물질(1)은 접지되어 유전체 장벽 방전 원리 상 접지전극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전극부(130)의 그 종단부에 상기 유전체부(140)를 향해 개구된 중공부(13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유전체부(140)는, 적어도 상기 중공부(131)의 개구 면적을 제외한 접촉면(140a)을 형성하면서 상기 전극부(130)의 종단부에 접촉 설치되어 있게 되므로, 적어도 상기 중공부(131)의 개구 면적이 비접촉면으로서 작용하여'전원전극(상기 전극부(130))-유전체(상기 유전체부(140))-접지전극(대상 물질(1))'로 누설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3자간 면접촉 차단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대상 물질 활성체의 발생에 전류 흐름을 집중할 수 있게 되어,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는 하나의 전극만으로도 대상 물질을 활성화시킬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전극의 특이 형태를 제시하여 전력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에 관한 것으로, 각종 대상 물질의 활성화와 관련된 산업 분야(예: 미용 분야, 바이오 메디컬 분야, 폐기물 처리 분야, 수처리 분야 등)에 이용 가능하다.
1: 대상 물질
1a: 표면부
1b, 1b', 1b'', 1b''': 접촉 가장자리
2: 이격 공간
100: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
110: 전원공급부
120: 변압부
130: 전극부
131: 중공부
140: 유전체부
140a, 140a-1, 140a-2, 140a-3: 접촉면
150: 전기회로부
151: 모니터링부

Claims (7)

  1. 대상 물질에 접촉되어 유전체 장벽 방전 원리에 따라 대상 물질과의 소정 거리 이격 공간에 대상 물질 활성체를 발생시키는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에 있어서,
    전원이 입력되어 전원 전극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의 종단부에 접촉 설치되는 유전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그 종단부에 상기 유전체부를 향해 개구된 중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부는,
    적어도 상기 중공부의 개구 면적을 제외한 접촉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전극부의 종단부에 접촉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부는,
    환형의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전극부의 종단부에 접촉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부는,
    그 중심에서 측면 쪽 외측 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분지형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전극부의 종단부에 접촉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부와 대상 물질의 접촉 시 단면에서, 대상 물질의 접촉 가장자리는 상기 전극부와 상기 유전체부의 접촉면 폭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물질 활성체는,
    활성종, 전자 및 이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자외선 및 가시광선을 방출하며,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대상 물질이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
KR1020190021428A 2019-02-22 2019-02-22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 KR102183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428A KR102183640B1 (ko) 2019-02-22 2019-02-22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428A KR102183640B1 (ko) 2019-02-22 2019-02-22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873A true KR20200102873A (ko) 2020-09-01
KR102183640B1 KR102183640B1 (ko) 2020-11-26

Family

ID=72450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428A KR102183640B1 (ko) 2019-02-22 2019-02-22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6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6994A (ja) * 2006-12-08 2008-06-26 Seiko Epson Corp 処理装置
KR101667646B1 (ko) 2014-09-24 2016-10-20 (주) 프라바이오 공기 방전을 이용한 플라즈마 미용기기
KR20180003388A (ko) * 2016-06-30 2018-01-09 (주)프로스테믹스 플라즈마 발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6994A (ja) * 2006-12-08 2008-06-26 Seiko Epson Corp 処理装置
KR101667646B1 (ko) 2014-09-24 2016-10-20 (주) 프라바이오 공기 방전을 이용한 플라즈마 미용기기
KR20180003388A (ko) * 2016-06-30 2018-01-09 (주)프로스테믹스 플라즈마 발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640B1 (ko)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672B1 (ko) 플라즈마 피부 처리 장치
KR101635718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이미용장치
RU2203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агуляции и резекции биологических тканей
US20160193373A1 (en) Tubular Floating Electrod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For Applications In Sterilization and Tissue Bonding
KR101667646B1 (ko) 공기 방전을 이용한 플라즈마 미용기기
KR101777621B1 (ko) 대기압 플라즈마 장치
US11259395B2 (en) Beauty care device using plasma
ES2797948T3 (es) Sistema de electrodo para formar una descarga de plasma de barrera dieléctrica
CA2973123A1 (en) Plasma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skin
JPH03159641A (ja) 火花ギャップの点弧特性を改善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915267B1 (ko) 플라즈마 발생 장치
EP1716728A2 (en) Plasma-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treating a gaseous medium
CN110213872A (zh) 一种等离子体射流辅助装置
CN107926106B (zh) 用于体的表面处理的电极装置和等离子处理设备
KR101150382B1 (ko) 저온 상압 플라즈마 제트 발생기
KR102183640B1 (ko) 대상 물질 활성화 장치의 전극 구조
CN109152600A (zh) 采用等离子弧流的组织治疗
US11523490B2 (en) Plasma device, plasma generation method
KR102139692B1 (ko) 매질 활성화 장치
KR20230110230A (ko) 플라즈마 발생 장치
US9763315B2 (en) Beam current variation system for a cyclotron
CN101299900B (zh) 使用介质阻挡放电的等离子体放电静电消除器
CN101999734A (zh) 静电型表面清洁杀菌工具
WO2006024595A1 (e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a gaseous medium with plasma and method of protecting such a device against inflammation and/or explosion
KR102039358B1 (ko) 플라즈마 피부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