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785A - Lin 통신 기반 전동 압축기의 인버터를 위한 emc 필터 - Google Patents

Lin 통신 기반 전동 압축기의 인버터를 위한 emc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785A
KR20200102785A KR1020190021224A KR20190021224A KR20200102785A KR 20200102785 A KR20200102785 A KR 20200102785A KR 1020190021224 A KR1020190021224 A KR 1020190021224A KR 20190021224 A KR20190021224 A KR 20190021224A KR 20200102785 A KR20200102785 A KR 20200102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c filter
capacitor
unit
impedance
ch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교
강은석
김태형
박성준
송찬
신승환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1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2785A/ko
Publication of KR20200102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H02M1/126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using passive fil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15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inductors an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의한 LIN 통신 기반 전동 압축기의 인버터를 위한 EMC 필터가 개시된다. 상기 EMC 필터는 전원에 연결된 CM(Common Mode) 초크; 상기 CM 초크의 (+) 출력 라인과 (-) 출력 라인에 연결되고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를 제공하는 임피던스부; 및 상기 임피던스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비대칭 구조를 갖는 커패시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LIN 통신 기반 전동 압축기의 인버터를 위한 EMC 필터{EMC FILTER FOR INVERTER OF MOTOR DRIVEN COMPRESSOR BASED O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실시예는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전압 회로에서 전원 입력단으로 유입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는 LIN 통신 기반 전동 압축기의 인버터를 위한 EMC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압축기는 증발기를 거친 냉매 가스를 흡입해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 상태로 압축하여 응축기로 토출하는 기능을 하며, 왕복동식, 회전식, 스크롤식, 사판식 등 다양한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축기 중 동력원으로 전동 모터를 사용하는 압축기를 통상적으로 전동 압축기라고 한다.
전동 압축기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이외에 차량 통신방식으로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이더넷 등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제어기 간 통신 및 제어를 수행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동 압축기의 인버터를 위한 EMC 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1에 도시된 EMC 필터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전동압축기 인버터를 위한 EMC 필터는 전원단의 CM 쵸코(Common Mode choke), X 커패시터(C1), Y 커패시터(C21, C22)와 LIN 통신을 위한 신호단의 X 커패시터(C3)를 포함한다. 이때, 전원단의 Y 커패시터(C21, C22)는 13.5V의 (+) 라인과 GND (-) 라인에 대칭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다.
하지만, 이러한 EMC 필터는 기존의 CAN 통신 기반 전동 압축기 인버터에 적용하던 것으로 LIN 통신 기반 전동 압축기 인버터에 적용하는 경우 도 2와 같이 서로 다른 주파수의 특정 대역 예컨대, 530kHz ~ 1.8MHz 범위의 MW(Micro Wave) 대역과 76MHz ~ 108MHz 범위의 FM(Frequency Modulation) 대역에서 노이즈 제거 성능이 규제치를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2278호
실시예에서는, 저전압 회로에서 전원 입력단으로 유입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는 LIN 통신 기반 전동 압축기의 인버터를 위한 EMC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C 필터는 전원에 연결된 CM(Common Mode) 초크; 상기 CM 초크의 (+) 출력 라인과 (-) 출력 라인에 연결되고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를 제공하는 임피던스부; 및 상기 임피던스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비대칭 구조를 갖는 커패시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피던스부는 상기 CM 초크의 (+) 출력 라인에 직렬 연결된 제1 인덕터; 및 상기 CM 초크의 (-) 출력 라인에 직렬 연결된 제2 인덕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턴스부는 상기 제1 인덕터의 출력단과 와 상기 제2 인덕터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제2 인덕터의 출력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MC 필터는 상기 제2 인덕터의 출력단과 신호 라인 사이에 연결된 제3 커패시터; 및 상기 신호 라인의 입력단과 상기 제3 커패시터가 연결된 지점 사이에 연결된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라인은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을 위한 신호 라인일 수 있다.
상기 임피던스부는 상기 CM 초크의 (+) 출력 라인에 직렬 연결된 제1 페라이트 비드; 및 상기 CM 초크의 (-) 출력 라인에 직렬 연결된 제2 페라이트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턴스부는 상기 제1 페라이트 비드의 출력단과 와 상기 제2 페라이트 비드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제2 페라이트 비드의 출력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MC 필터는 상기 제2 페라이트 비드의 출력단과 신호 라인 사이에 연결된 제3 커패시터; 및 상기 신호 라인의 입력단과 상기 제3 커패시터가 연결된 지점 사이에 연결된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라인은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을 위한 신호 라인일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는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300); 상기 압축부(30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부(200); 및 상기 모터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100)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100)는 앞서 설명한 EMC 필터(121)가 실장된 형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단의 CM 초크의 출력 라인에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를 제공하는 임피던스부를 연결하고, 임피던스부의 출력단에 비대칭 구조를 갖는 커패시턴스부를 연결하고, 신호단에 저항을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전원단과 신호단의 입력 임피던스를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입력측으로 유입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측으로 유입되는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LIN 통신 방식이 적용된 전동 압축기의 인버터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동 압축기의 인버터를 위한 EMC 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1에 도시된 EMC 필터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C 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EMC 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C 필터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저전압 회로부 전원단의 CM(Common Mode) 초크의 출력 라인에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를 제공하는 임피던스부를 연결하고, 임피던스부의 출력단에 비대칭 구조를 갖는 커패시턴스부를 연결하고, 신호단에 저항을 연결하도록 한, 새로운 구조를 제안한다. 즉, 실시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는 LIN 통신 기반의 전동 압축기로서, 기존의 CAN 통신 기반의 전동 압축기의 저전압 회로부에서 사용하던 EMC 필터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노이즈 제거 성능이 규제치를 만족하지 못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한다.
특히, 실시예에에 따른 EMC 필터는 MW(Micro Wave) 대역과 FM(Frequency Modulation) 대역에서 노이즈 제거 성능이 규제치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는 고전압 회로부(110)와 저전압 회로부(120)로 구성된 인버터(100), 모터부(200), 압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 회로부(110)는 모터의 구동을 위한 소자들 예컨대, 입력 필터(111), 전원 회로(112), 제어 회로(113), 센싱 회로(114), 구동 회로(115)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필터(111)는 고전압 전원의 입력단(HV+, HV-)으로부터 유입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전원 회로(112)는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직류(Direct Current, DC)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모터는 교류(Alternative Current, AC) 전력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AC 전력으로 변환되어야 한다.
제어 회로(113)는 구동 회로를 통해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 회로(113)는 구동 회로를 통해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모터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압축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센싱 회로(114)는 구동 회로(115)로부터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회로(113)는 감지된 값을 기초로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 회로(115)는 전원 회로(112)로부터 직류 전력을 제공받아 제공 받은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 전력을 모터부(200)에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회로(115)는 예커대, 풀 브릿지 방식의 공진형 인버터로 구현되어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저전압 회로부(120)는 차량과 LIN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용 소자들 예컨대,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필터(121), 통신 회로(122), 전원 회로(123)를 포함할 수 있다.
EMC 필터(121)는 저전압 전원의 입력단(LV+, LV-)으로부터 유입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EMC 필터(121)는 저전압 전원단의 CM 초크의 출력 라인에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를 제공하는 임피던스부를 연결하고, 그 임피던스부의 출력단에 비대칭 구조를 갖는 커패시턴스부를 연결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입력측으로 유입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통신 회로(122)는 차량과 신호 라인을 통해 차량과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LIN은 자동차 네트워크에서 컴퍼넌트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직렬 통신 시스템으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과 같이 다중화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저가형 임베디드 네트워킹(embedded networking)의 표준이다.
전원 회로(123)는 EMC 필터(121)로부터 노이즈가 저감된 전원을 입력받아 미리 정해진 크기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전원 회로(123)는 통신 회로(122)를 동작시키기 위한 크기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회로(123)는 레귤레이터(regulato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모터부(200)는 전동 모터로, 교류 전력을 인가 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압축부(300)는 모터부(200)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C 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C 필터(121)는 CM 초크(Common Mode Choke)(121-1), 제1 임피던스부(121-2), 제1 커패시턴스부(121-3), 제2 임피던스부(121-4), 제2 커패시턴스부(121-5)를 포함할 수 있다.
CM 초크(121-1)는 저전압 전원의 입력단(LV+, LV-)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CM 초크(121-1)는 전기 라인들 내에서 전류를 제한하거나, 자기장 형태의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임피던스를 조정하기 위한 코일 또는 인덕턴스를 일컫는다.
제1 임피던스부(121-2)는 CM 초크(121-1)의 출력 라인에 연결되고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제1 임피던스부(121-2)를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덕터(inductor)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임피던스부(121-2)는 CM 초크(121-1)의 (+) 출력 라인에 직렬 연결된 제1 인덕터(L1)와 CM 초크(121-1)의 (-) 출력 라인에 직렬 연결된 제2 인덕터(L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는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임피던스부(121-2)는 제1 인덕터(L1)와 제2 인덕터(L2)를 통해 입력단 임피던스를 높여주기 때문에 chassy를 통해 유입된 노이즈가 저전압 회로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1 커패시턴스부(121-3)는 임피던스부(121-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비대칭 구조를 갖도록 하나의 제1 커패시터(C1)와 하나의 제2 커패시터(C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패시터(C1)는 제1 인덕터(L1)의 출력단과 제2 인덕터(L2)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across the line capacitor(X 커패시터)이고, 제2 커패시터(C2)는 제2 인덕터의 출력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는 line bypass capacitor(Y 커패시터)이다.
특히, 제2 커패시터(C2)는 (+) 라인과 (-) 라인 중 (-) 라인에만 비대칭으로 배치된다. 이때 제2 커패시터를 (+) 라인과 (-) 라인에 각각 대칭으로 배치하지 않고 (-) 라인에만 비대칭으로 배치하는 이유는 특정 대역에서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함인데, (+) 라인과 (-) 라인 각각에 대칭으로 배치하는 경우 FM 대역에서 노이즈가 규제치를 만족하지 못하지만 (-) 라인에만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경우 FM 대역에서 노이즈가 규제치를 만족하게 된다.
제2 임피던스부(121-4)는 LIN 통신을 위한 신호 라인(LIN)에 연결되고,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임피던스부(121-4)는 신호 라인(LIN)의 입력단과 제3 커패시터(C3)가 연결된 지점 사이에 연결된 저항(R)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는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 임피던스부(121-4)는 저항(R)을 통해 입력단 임피던스를 높여주기 때문에 하우징으로 연결된 차제 즉, 섀시(chassy)를 통해 유입된 노이즈가 저전압 회로부를 통해 신호 라인 입력단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커패시턴스부(121-4)는 제2 인덕터(L2)의 출력단과 신호 라인(LIN) 사이에 연결된 제3 커패시터(C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EMC 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EMC 필터는 EMC 필터(121)는 CM 초크(Common Mode Choke)(121-1), 제1 임피던스부(121-2’), 제1 커패시턴스부(121-3), 제2 임피던스부(121-4), 제2 커패시턴스부(12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EMC 필터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 EMC 필터의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고, 제1 임피던스부(121-2’)의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임피던스부(121-2’)는 CM 초크(121-1)의 출력 라인에 연결되고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1 임피던스부(121-2’)를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를 제공할 수 있는 페라이트 비드(Ferrite Bead)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페라이트 비드는 페라이드 물질로 된 비드 형태의 부품을 말한다. 주로 작은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페라이트 코어에 선로를 관통시키거나 여러 번 감아서 관통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이러한 페라이트 비드는 저주파 영역에서는 일반 도선에 지나지 않지만, 고주파가 됨에 따라 임피던스가 상승하면서 인덕터로써의 기능을 한다. 신호가 선로를 따라 페라이트 코어를 통과하면 고주파 잡음성분을 페라이트 특유의 자기감쇄 특성을 이용하여 걸러낼 수 있다. 즉, 페라이트 비드를 사용하면 저주파 전류에서는 낮은 저항으로 영향을 주지 않지만, 고주파 전류에서는 높은 저항이 발생되어 전류의 고주파 노이즈를 흡수하여 열에너지를 변환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임피던스부(121-2’)는 CM 초크(121-1)의 (+) 출력 라인에 직렬 연결된 제1 페라이트 비드(ferrite bead)(FB1)와 CM 초크(121-1)의 (-) 출력 라인에 직렬 연결된 제2 페라이트 비드(F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임피던스부(121-2’)는 제1 페라이트 비드(FB1)와 제2 페라이트 비드(FB2)를 통해 입력단 임피던스를 높여주기 때문에 하우징으로 연결된 차제 즉, 섀시(chassy)를 통해 유입된 노이즈가 저전압 회로부를 통해 신호 라인 입력단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노이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를 갖는 인덕터와 페라이트 비드를 사용하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C 필터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C 필터는 특정 대역 예컨대, 530kHz ~ 1.8MHz 범위의 MW(Micro Wave) 대역과 76MHz ~ 108MHz 범위의 FM(Frequency Modulation) 대역에서 노이즈 제거 성능이 규제치를 만족함을 알 수 있다.
즉, (A)의 피크 노이즈(peak noise)와 (B)의 평균 노이즈(average noise) 각각의 MW 대역에서 노이즈 제거 성능이 규제치(r11, r12)를 모두 만족하고, FM 대역에서 노이즈 제거 성능이 규제치(r21, r22)를 모두 만족한다.
기존의 EMC 필터 대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C 필터를 이용하는 경우 EMC 평가 항목 중 하나로 CE(Conducted Emission) current method 평가 결과를 보면, 노이즈가 MW 대역에서 10dB 저감되고, FM 대역에서 9dB 저감됨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인버터
110: 고전압 회로부
120: 저전압 회로부
121: EMC 필터
121-1: CM 초크
121-2: 제1 임피던스부
121-3: 제1 커패시턴스부
121-4: 제2 임피던스부
121-5: 제2 커패시턴스부
122: 통신 회로
200: 모터부
300: 압축부

Claims (11)

  1. 전원에 연결된 CM(Common Mode) 초크(121-1);
    상기 CM 초크의 (+) 출력 라인과 (-) 출력 라인에 연결되고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를 제공하는 임피던스부(121-2, 121-2’); 및
    상기 임피던스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비대칭 구조를 갖는 커패시턴스부(121-3)를 포함하는, EMC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부(121-2)는,
    상기 CM 초크의 (+) 출력 라인에 직렬 연결된 제1 인덕터(L1); 및
    상기 CM 초크의 (-) 출력 라인에 직렬 연결된 제2 인덕터(L2)를 포함하는, EMC 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턴스부(121-3)는,
    상기 제1 인덕터의 출력단과 와 상기 제2 인덕터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C1); 및
    상기 제2 인덕터의 출력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C2)를 포함하는, EMC 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덕터의 출력단과 신호 라인 사이에 연결된 제3 커패시터(C3); 및
    상기 신호 라인의 입력단과 상기 제3 커패시터가 연결된 지점 사이에 연결된 저항(R)을 더 포함하는, EMC 필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라인은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을 위한 신호 라인인, EMC 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부(121-2’)는,
    상기 CM 초크의 (+) 출력 라인에 직렬 연결된 제1 페라이트 비드(FB1); 및
    상기 CM 초크의 (-) 출력 라인에 직렬 연결된 제2 페라이트 비드(FB2)를 포함하는, EMC 필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턴스부(121-3)는,
    상기 제1 페라이트 비드의 출력단과 와 상기 제2 페라이트 비드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C1); 및
    상기 제2 페라이트 비드의 출력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C2)를 포함하는, EMC 필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페라이트 비드의 출력단과 신호 라인 사이에 연결된 제3 커패시터(C3); 및
    상기 신호 라인의 입력단과 상기 제3 커패시터(C3)가 연결된 지점 사이에 연결된 저항(R)을 더 포함하는, EMC 필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라인은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을 위한 신호 라인인, EMC 필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는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달라지는, EMC 필터.
  1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300);
    상기 압축부(30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부(200); 및
    상기 모터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100)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100)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EMC 필터(121)가 실장된, 전동 압축기.
KR1020190021224A 2019-02-22 2019-02-22 Lin 통신 기반 전동 압축기의 인버터를 위한 emc 필터 KR20200102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224A KR20200102785A (ko) 2019-02-22 2019-02-22 Lin 통신 기반 전동 압축기의 인버터를 위한 emc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224A KR20200102785A (ko) 2019-02-22 2019-02-22 Lin 통신 기반 전동 압축기의 인버터를 위한 emc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785A true KR20200102785A (ko) 2020-09-01

Family

ID=7245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224A KR20200102785A (ko) 2019-02-22 2019-02-22 Lin 통신 기반 전동 압축기의 인버터를 위한 emc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278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278A (ko) 2017-05-02 2018-11-1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278A (ko) 2017-05-02 2018-11-1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633681A (zh) 電磁相容性濾波器
CN104752134B (zh) 一种反应腔室及等离子体加工设备
CN108336718B (zh) 压缩机过流保护电路、压缩机和空调器
CN109559934A (zh) 继电器驱动电路和空调器
KR102023606B1 (ko) 노이즈 필터
CN110137646A (zh) 一种中心频率与带宽双调的带通滤波器及调制方法
US7746002B2 (en) High frequency driver for gas discharge lamp
EP1601089B1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an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KR20050078537A (ko) 전도성 전자파 억제 필터
KR20200102785A (ko) Lin 통신 기반 전동 압축기의 인버터를 위한 emc 필터
US11251693B2 (en) Electrical filter device for filtering a common-mode interference between a current source and a load
CN107800199A (zh) 一种电磁干扰抑制电路及电能发射端
CN215734029U (zh) 交流输入电路、电控盒、空调室外机及空调器
JP5004615B2 (ja) 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CA2550700A1 (en) Smoothing circuit for improving emc
US7459869B2 (en) Driving apparatus of motor
CN210041770U (zh) 一种高低频段滤波装置及电器设备
KR101444746B1 (ko) 자기 공명 전력전송 장치
CN109818491A (zh) 电源装置和led 驱动装置
CN110336542A (zh) 一种低频段滤波装置、电器设备及其低频段滤波方法
JP7421141B1 (ja) ノイズフィルタ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994476B1 (ko) 트랜스포머 및 그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CN112352383B (zh) 用于对电流源和负载之间的共模干扰滤波的电滤波器装置
JPH11235016A (ja) エアコン電子制御装置
WO2006137607A1 (en) Adaptive coupling circuits using multi resonance tan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