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737A -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with developed mesopore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with developed mesopo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737A
KR20200102737A KR1020190021091A KR20190021091A KR20200102737A KR 20200102737 A KR20200102737 A KR 20200102737A KR 1020190021091 A KR1020190021091 A KR 1020190021091A KR 20190021091 A KR20190021091 A KR 20190021091A KR 20200102737 A KR20200102737 A KR 20200102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nanoparticles
aluminosilicate
source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0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2295B1 (en
Inventor
이하나
오명환
성은규
최권일
김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21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295B1/en
Publication of KR20200102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7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2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20Silicates
    • C01B33/26Aluminium-containing silicates, i.e. silico-alumi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6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4Pore volum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6Pore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with developed mesopores.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having excellent specific surface area properties and developed mesopores are provided. The properties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llow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to exhibit excellent dispersibility in a rubber composition, as well as improved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in a rubber molding process.

Description

발달된 메조포어를 갖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WITH DEVELOPED MESOPORE}Manufacturing method of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with developed mesopores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WITH DEVELOPED MESOPORE}

본 발명은 발달된 메조포어를 갖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having developed mesopores.

지구 온난화와 환경 문제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면서 에너지 효율을 높여 탄소 배출량을 감축시키는 환경 친화적 개념이 다방면에서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친화적 개념은 타이어 산업 분야에서 고효율의 친환경 타이어의 개발과 폐타이어의 재활용 방법 모색 등으로 가시화되고 있다.As concerns over global warming and environmental issues spread, the concept of eco-friendly energy to reduce carbon emissions by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is being emphasized in many ways. This eco-friendly concept is being visualized in the tire industry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highly efficient eco-friendly tires and the search for a method of recycling waste tires.

친환경 타이어(혹은 그린 타이어)는 고무의 구름 저항(rolling resistance)을 낮추어 고효율과 고연비 특성을 부여하여, 결과적으로 탄소 배출량의 감축을 가능하게 하는 타이어를 말한다. 이러한 친환경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하여 개질된 고무 재료 및 고무 보강용 백색 첨가제(예를 들어 침강 실리카(precipitated silica))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Eco-friendly tires (or green tires) refer to tires that lower the rolling resistance of rubber to give high efficiency and high fuel efficiency characteristics, and consequently reduce carbon emissions. In order to manufacture such eco-friendly tires, modified rubber materials and white additives for rubber reinforcement (eg, precipitated silica) are mainly used.

일반적으로 실리카 소재는 고무 조성물 내에서 분산성이 낮아, 내마모성이 손실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특정 조건의 고분산성 침강 실리카를 실란 커플링제(silane coupling agent)와 함께 활용하여 양호한 내마모성을 가지는 친환경 타이어용 소재를 만들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In general, silica materials have problems such as low dispersibility in the rubber composition and loss of wear resistanc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it is known that an eco-friendly tire material having good wear resistance can be made by using a highly dispersible precipitated silica under a specific condition together with a silane coupling agent.

한편 고분산성 침강 실리카처럼 서로 상반되는 특성(구름 저항력과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강도)들을 양호하게 가질 수 있는 첨가제에 대한 관심 또한 높다. 고무 보강용 백색 첨가제로 알루미나, 점토, 카올린 등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구름 저항을 낮추어 친환경 타이어용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무 보강용 백색 첨가제는 강한 응집체 형성 등으로 분산성이 감소하며, 이에 따른 기계적 강도 저하 등의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lso a high interest in additives that can favorably have opposite properties (mechanical strength such as rolling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like highly dispersible precipitated silica. It is known that even when alumina, clay, kaolin, etc. are applied as a white additive for rubber reinforcement, it can be used as an eco-friendly tire material by lowering rolling resistance. However, the white additive for rubber reinforcement decreases dispersibility due to the formation of strong aggregates, and thus,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mechanical strength may appear.

Kay Saalwachter, Microstructure and molecular dynamics of elastomers as studied by advanced low-resoluti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methods, Rubber Chemistry and Technology, Vol. 85, No. 3, pp. 350-386 (2012). Kay Saalwachter, Microstructure and molecular dynamics of elastomers as studied by advanced low-resoluti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methods, Rubber Chemistry and Technology, Vol. 85, No. 3, pp. 350-386 (2012).

본 발명은 발달된 메조포어를 가져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에서 우수한 분산성을 나타낼 수 있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having developed mesopores and capable of exhibiting excellent dispersibility in a rubber composition for a tire.

본 발명에 따르면,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알칼리성의 실리콘 소스를 반응기에 투입하는 단계,Injecting an alkaline silicon source into the reactor,

알루미늄 포타슘 설페이트 및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포함한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를 상기 반응기에 투입하며 교반하는 단계,Injecting an acidic aluminum source including aluminum potassium sulfate and isopropyl alcohol into the reactor and stirring,

상기 실리콘 소스와 상기 알루미늄 소스의 중화 반응에 의해 알루미늄실리케이트 염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n aluminum silicate salt by neutralizing the silicon source and the aluminum source,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염을 세척하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얻는 단계, 및Washing the aluminosilicate salt to obtain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nd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건조하는 단계Drying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를 포함하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Containing, a method for produc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is provided.

이하,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명세서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한,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구현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Unless expressly stated in the specification, terminology is only intended to refer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The singular fo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또는 성분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meaning of'comprising' as used herein specifies a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action, element or component, and excludes the addition of an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action, element, or component. It is not.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알칼리성의 실리콘 소스를 반응기에 투입하는 단계,Injecting an alkaline silicon source into the reactor,

알루미늄 포타슘 설페이트 및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포함한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를 상기 반응기에 투입하며 교반하는 단계,Injecting an acidic aluminum source including aluminum potassium sulfate and isopropyl alcohol into the reactor and stirring,

상기 실리콘 소스와 상기 알루미늄 소스의 중화 반응에 의해 알루미늄실리케이트 염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n aluminum silicate salt by neutralizing the silicon source and the aluminum source,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염을 세척하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얻는 단계, 및Washing the aluminosilicate salt to obtain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nd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건조하는 단계Drying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를 포함하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Containing, a method for produc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is provided.

본 발명자들의 계속적인 연구 결과, 알칼리성의 실리콘 소스와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의 중화 반응에 의해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알루미늄 포타슘 설페이트(AlK(SO4)2) 및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포함한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를 적절한 속도로 투입할 경우 발달된 메조포어와 우수한 비표면적 특성을 갖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얻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As a result of continuous research of the present inventors, in the method of produc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by neutralization reaction between an alkaline silicon source and an acidic aluminum source, aluminum potassium sulfate (AlK(SO 4 ) 2 ) and isopropyl alcohol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included acidic aluminum source was introduced at an appropriate rat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having developed mesopores and excellent specific surface area characteristics could be obtained.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가 갖는 특성들은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가 고무 조성물 내에서 우수한 분산성을 나타내면서도 고무 성형 공정에서 향상된 작업성과 생산성의 발현을 가능하게 한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enable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to exhibit excellent dispersibility in the rubber composition, while improving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in the rubber molding process.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르면, 알칼리성의 실리콘 소스를 반응기에 투입하는 단계가 수행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tep of introducing an alkaline silicon source into the reactor is performed.

상기 반응기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교반 수단이 구비된 무기 합성용 반응 플라스크나 반응 튜브가 이용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rea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reaction flask or reaction tube for inorganic synthesis equipped with a stirring means may be used.

상기 알칼리성의 실리콘 소스는 수용성 실리콘 염을 포함한 pH 7 초과의 알칼리성 용액이다.The alkaline silicon source is an alkaline solution with a pH greater than 7 containing a water-soluble silicon salt.

상기 수용성 실리콘 염으로는 수용액에서 pH 7 초과의 알칼리성을 나타낼 수 있는 실리콘 화합물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성 실리콘 염은 소듐 실리케이트(Na2SiO3) 및 포타슘 실리케이트(K2Si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As the water-soluble silicone salt, a silicone compound capable of exhibiting an alkalinity of more than pH 7 in an aqueous solution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Preferably, the water-soluble silicon salt may be one or more compoun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silicate (Na 2 SiO 3 ) and potassium silicate (K 2 SiO 3 ).

이어서, 알루미늄 포타슘 설페이트 및 아이소프로필 알코올를 포함한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를 상기 반응기에 투입하며 교반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ubsequently, an acidic aluminum source including aluminum potassium sulfate and isopropyl alcohol is added to the reactor and agitated.

상기 알루미늄 소스는 pH 7 미만의 수소이온 농도를 갖는 용액이다.The aluminum source is a solution having a hydrogen ion concentration of less than pH 7.

본 발명에 따른 제반 특성의 발현을 위하여, 상기 알루미늄 소스로는 알루미늄 포타슘 설페이트 및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포함한 수용액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In order to express all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queous solution including aluminum potassium sulfate and isopropyl alcohol may be preferably used as the aluminum source.

상기 알루미늄 소스에 포함된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은 상기 실리콘 소스와 상기 알루미늄 소스의 중화 반응에서 우수한 비표면적 특성과 발달된 메조포어를 갖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The isopropyl alcohol contained in the aluminum source enables the formation of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having excellent specific surface area properties and developed mesopores in the neutralization reaction between the silicon source and the aluminum source.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은 상기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에 대하여 8.0 % (v/v) 미만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의 함량(v/v)는 상기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의 단위 부피(v)에 존재하는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의 부피(v)를 의미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sopropyl alcoho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less than 8.0% (v/v) with respect to the acidic aluminum source. Here, the content (v/v) of the isopropyl alcohol refers to the volume (v) of isopropyl alcohol present in the unit volume (v) of the acidic aluminum source.

구체적으로, 상기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은 상기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에 대하여 8.0 % (v/v) 미만, 혹은 7.9 % (v/v) 이하, 혹은 7.0 % (v/v) 이하, 혹은 6.5 % (v/v) 이하, 혹은 6.0 % (v/v) 이하, 혹은 5.5 % (v/v) 이하; 그리고 1.0 % (v/v) 이상, 혹은 2.0 % (v/v) 이상, 혹은 3.0 % (v/v) 이상, 혹은 4.0 % (v/v) 이상, 혹은 4.5 % (v/v)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sopropyl alcohol is less than 8.0% (v/v), or 7.9% (v/v) or less, or 7.0% (v/v) or less, or 6.5% (v/v) or less with respect to the acidic aluminum source. v) or less, or 6.0% (v/v) or less, or 5.5% (v/v) or less; And 1.0% (v/v) or higher, or 2.0% (v/v) or higher, or 3.0% (v/v) or higher, or 4.0% (v/v) or higher, or 4.5% (v/v) or higher. Can be inclu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은 상기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에 대하여 1.0 % (v/v) 이상 8.0 % (v/v) 미만, 혹은 2.0 내지 7.9 % (v/v), 혹은 3.0 내지 7.0 % (v/v), 혹은 4.0 내지 6.5 % (v/v), 혹은 4.0 내지 6.0 % (v/v), 혹은 혹은 4.5 내지 5.5 % (v/v)로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sopropyl alcohol is 1.0% (v/v) or more and less than 8.0% (v/v), or 2.0 to 7.9% (v/v), or 3.0 to 7.0% ( v/v), or 4.0 to 6.5% (v/v), or 4.0 to 6.0% (v/v), or 4.5 to 5.5% (v/v).

상기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에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이 첨가됨에 따른 상기 효과가 충분히 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은 상기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에 대하여 1.0 % (v/v)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ufficiently express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isopropyl alcohol to the acidic aluminum source, the isopropyl alcohol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1.0% (v/v) or more with respect to the acidic aluminum source. .

다만, 상기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에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이 과량으로 첨가될 경우 상기 중화 반응에 의해 형성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비표면적과 메조포어의 부피가 감소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은 상기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에 대하여 8.0 % (v/v) 미만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when isopropyl alcohol is added in an excessive amount to the acidic aluminum source,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formed by the neutralization reaction and the volume of mesopores may decrease. Therefore, the isopropyl alcohol is preferably contained less than 8.0% (v/v) with respect to the acidic aluminum source.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는 5 내지 30 ml/min의 속도로 상기 반응기에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cidic aluminum source is preferably introduced into the reactor at a rate of 5 to 30 ml/min.

구체적으로, 상기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의 투입 속도는 5 ml/min 이상 혹은 7.5 ml/min 이상; 그리고 30 ml/min 이하, 혹은 25 ml/min 이하, 혹은 20 ml/min 이하, 혹은 15 ml/min 이하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troduction rate of the acidic aluminum source is 5 ml/min or more or 7.5 ml/min or more; And it may be 30 ml/min or less, or 25 ml/min or less, or 20 ml/min or less, or 15 ml/min or less.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의 투입 속도는 5 내지 30 ml/min, 혹은 5 내지 25 ml/min, 혹은 7.5 내지 20 ml/min, 혹은 7.5 내지 15 ml/min이다.Preferably, the introduction rate of the acidic aluminum source is 5 to 30 ml/min, or 5 to 25 ml/min, or 7.5 to 20 ml/min, or 7.5 to 15 ml/min.

상기 실리콘 소스의 투입 속도가 너무 느릴 경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비표면적이 목표로 하는 수준보다 작아져 고무 보강재로써의 내마모성, wet grip 및 rolling resistance 특성의 발현이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공정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실리콘 소스는 5 ml/min 이상의 속도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rate of introduction of the silicon source is too slow,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is smaller than the target level, and thus it may be difficult to develop abrasion resistance, wet grip and rolling resistance characteristics as a rubber reinforcing material. In addition, the prolonged process time may reduce productivity. Therefore, the silicon source is preferably added at a rate of 5 ml/min or more.

다만, 상기 알루미늄 소스의 투입 속도가 너무 빠를 경우 생성되는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고 비표면적이 목표로 하는 수준보다 커질 수 있다. 입자의 비표면적이 너무 클 경우 고무 조성물 내에서 입자들간의 응집 현상이 쉽게 나타나 입자의 분산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고무 성형물의 wet grip 특성이 손실되는 등 목표로 하는 보강 효과를 얻기 어렵다. 그러므로 상기 실리콘 소스는 30 ml/min 이하의 속도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when the injection speed of the aluminum source is too fast, the size of the generated particles may be reduced and the specific surface area may be greater than a target level. When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is too large, agglomeration phenomenon between particles easily occurs in the rubber composition, and the dispersibility of the particles decrease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obtain a target reinforcement effect, such as loss of wet grip properties of rubber moldings. Therefore, the silicon source is preferably added at a rate of 30 ml/min or less.

상기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는, 상기 실리콘 소스 중의 실리콘 원자(Si)와 상기 알루미늄 소스의 알루미늄 원자(Al)의 몰 비(Si/Al)가 2.0 내지 6.0이 되도록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cidic aluminum source is preferably introduced so that the molar ratio (Si/Al) of the silicon atom (Si) in the silicon source and the aluminum atom (Al) in the aluminum source is 2.0 to 6.0.

구체적으로, 상기 몰 비(Si/Al)는 2.0 이상, 혹은 2.5 이상, 혹은 3.0 이상, 혹은 3.5 이상, 혹은 4.0 이상; 그리고 6.0 이하, 혹은 5.5 이하, 혹은 5.0 이하, 혹은 4.5 이하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lar ratio (Si/Al) is 2.0 or more, or 2.5 or more, or 3.0 or more, or 3.5 or more, or 4.0 or more; And it may be 6.0 or less, or 5.5 or less, or 5.0 or less, or 4.5 or less.

타이어용 고무 보강재로 바람직한 범위의 비표면적 특성과 내마모성을 갖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가 제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중화 반응에서 상기 실리콘 소스 중의 실리콘 원자(Si)와 상기 알루미늄 소스의 알루미늄 원자(Al)의 몰 비(Si/Al)는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be able to produc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having a preferable range of specific surface area properties and abrasion resistance as a rubber reinforcing material for tires, silicon atoms (Si) in the silicon source and aluminum atoms (Al) in the aluminum source in the neutralization reaction ) The molar ratio (Si/Al) is preferably 2.0 or more.

다만, 상기 중화 반응에 사용되는 무기 소스에 실리콘 원자(Si)가 너무 높은 몰 비로 포함될 경우 최종 생성물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수율이 감소하여 실리콘 소스의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상기 중화 반응에서 상기 실리콘 소스 중의 실리콘 원자(Si)와 상기 알루미늄 소스의 알루미늄 원자(Al)의 몰 비(Si/Al)는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when silicon atoms (Si) are included in an excessively high molar ratio in the inorganic source used in the neutralization reaction, the yield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which is the final product, decreases, causing an increase in the cost of the silicon source. Therefore, in the neutralization reaction, the molar ratio (Si/Al) of a silicon atom (Si) in the silicon source and an aluminum atom (Al) in the aluminum source is preferably 6.0 or less.

이어서, 상기 실리콘 소스와 상기 알루미늄 소스의 중화 반응에 의해 알루미늄실리케이트 염을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ubsequently, a step of forming an aluminum silicate salt is performed by a neutralization reaction between the silicon source and the aluminum source.

상기 중화 반응은 상기 알칼리성의 실리콘 소스와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의 혼합물을 교반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며, 이를 통해 고형분으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염을 포함한 반응 용액이 얻어진다.The neutralization reaction is carried out by stirring the mixture of the alkaline silicon source and the acidic aluminum source, thereby obtaining a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an aluminosilicate salt as a solid content.

상기 중화 반응은 상기 알칼리성의 실리콘 소스가 존재하는 반응기에 상기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를 투입하여 반응물들이 혼합되는 시점부터 시작될 수 있다.The neutralization reaction may be started from a point in time when the reactants are mixed by introducing the acidic aluminum source into a reactor in which the alkaline silicon source is present.

상기 중화 반응은 75 ℃ 내지 90 ℃의 온도 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eutralization reaction is preferably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75 ℃ to 90 ℃.

구체적으로, 상기 중화 반응은 75 ℃ 이상 혹은 80 ℃ 이상; 그리고 90 ℃ 이하 혹은 85 ℃ 이하의 온도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화 반응은 75 ℃ 내지 85 ℃ 혹은 80 ℃ 내지 85 ℃의 온도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eutralization reaction is 75 ℃ or more or 80 ℃ or more; And it may be carried out under a temperature of 90 ℃ or less or 85 ℃ or less. Preferably, the neutralization reaction may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75 to 85 °C or 80 to 85 °C.

상기 중화 반응의 수행 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 실리콘 소스 및 알루미늄 소스를 포함한 무기 성분들이 중화 반응 도중에 응집되어 반응이 균일하게 진행되기 어렵다. 그에 따라, 상기 중화 반응 후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입도 제어가 어려워지고, 상기 나노입자들이 단단히 응집되어 거대한 이차 입자를 형성하며, 결과적으로 목표로 하는 고무 보강 효과를 갖는 나노입자를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상기 중화 반응은 75 ℃ 이상의 온도 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performing temperature of the neutralization reaction is too low, the inorganic components including the silicon source and the aluminum source are aggregated during the neutralization reaction, making it difficult for the reaction to proceed uniformly.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particle size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finally obtained after the neutralization reaction, and the nanoparticles are tightly agglomerated to form huge secondary particles, resulting in nanoparticles having a target rubber reinforcing effect. Can't. Therefore, the neutralization reaction is preferably carried out under a temperature of 75 ℃ or higher.

다만, 상기 중화 반응의 수행 온도가 너무 높을 경우 용매의 끓음 현상으로 인해 반응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이다. 그러므로, 상기 중화 반응은 90 ℃ 이하의 온도 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f the temperature for performing the neutralization reaction is too high, there is a concern that the reaction efficiency may decrease due to boiling of the solvent. Therefore, the neutralization reaction is preferably carried out under a temperature of 90 ℃ or less.

상기 중화 반응의 온도는 상기 반응기에 대한 직접 또는 간접 가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neutralization reaction may be controlled by direct or indirect heating to the reactor.

상기 중화 반응에서 실리콘 소스와 알루미늄 소스의 혼합 비율은, 각 소스에 포함된 염의 종류, 각 소스가 갖는 pH 및 상기 중화 반응의 생성물인 반응 용액이 갖는 바람직한 pH 범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mixing ratio of the silicon source and the aluminum source in the neutralization reaction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salt contained in each source, the pH of each source, and a preferable pH range of the reaction solution that is a product of the neutralization reaction.

특히,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중화 반응의 생성물인 반응 용액은 pH 6 이상, 혹은 pH 6 내지 pH 10, 혹은 pH 6 내지 pH 8의 수소이온 농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ction solution, which is a product of the neutralization reaction, has a hydrogen ion concentration of pH 6 or higher, or pH 6 to pH 10, or pH 6 to pH 8.

상기 반응 용액의 수소이온농도가 pH 6 미만일 경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입도 제어가 어려워지고 상기 나노입자의 크기가 전반적으로 커져, 목표로 하는 고무 보강 효과가 달성되지 못할 수 있다.When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 of the reaction solution is less than pH 6,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particle size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nd the size of the nanoparticles becomes large, so that the target rubber reinforcing effect may not be achieved.

나아가, 상기 반응 용액의 pH는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가 나타내는 pH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가 나타내는 pH는 상기 나노입자를 고무 조성물에 배합하는 과정에서 스코치 타임(scorch time)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Furthermore, the pH of the reaction solution may affect the pH indicated by the finally obtained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In addition, the pH indicated by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may affect the scorch time in the process of blending the nanoparticles into the rubber composition.

상기 스코치 타임은 고무 성형 과정에서 고무 조성물의 열경화가 시작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고무 조성물의 열경화가 시작된 이후에는 몰드에서 고무 조성물의 흐름이 멎고 프레스와 같은 성형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작업성과 생산성의 확보를 위해서는 적절한 스코치 타임이 요구된다.The scorch time refers to the time it takes for the heat curing of the rubber composition to start during the rubber molding process. In general, after the heat curing of the rubber composition starts, the flow of the rubber composition in the mold stops and molding such as a press becomes difficult, and therefore an appropriate scorch time is required to secure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그런데,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가 나타내는 pH가 너무 낮거나 너무 높을 경우 고무 성형 과정에서 적절한 스코치 타임의 확보를 어렵게 하여, 별도의 열경화 지연제 첨가나 스코치 방지를 위한 추가적인 조치가 요구되는 등 고무 성형의 작업성과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However, if the pH indicated by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is too low or too high, it is difficult to secure an appropriate scorch time during the rubber molding process, and additional measures to prevent scorch or addition of a thermal curing retardant are required. The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of the molding may decrease.

예를 들어,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가 나타내는 pH가 너무 낮을 경우 고무 배합시 스코치 타임이 급격히 느려지고, pH가 너무 높을 경우 스코치 타임이 급격히 빨라질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pH indicated by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is too low, the scorch time rapidly slows during rubber compounding, and if the pH is too high, the scorch time may rapidly increase.

구체적으로, 상기 나노입자의 pH는 고무 배합 과정에서 함께 혼합되는 성분들의 반응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아민 계열의 기능기가 반응하는 속도를 촉진 또는 완화한다. 즉, 상기 나노입자의 pH가 낮을 경우 아민 그룹의 반응성을 떨어뜨리고, 상기 나노입자의 pH가 높을 경우 아민 그룹의 반응성을 촉진한다. 고무 배합 공정상 반응성이 너무 촉진될 경우 제품 성형에 문제가 생기고, 반응성이 너무 떨어질 경우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H of the nanoparticles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reactivity of the components to be mixed together in the rubber compounding process. In particular, it accelerates or alleviates the reaction rate of the amine-based functional group. That is, when the pH of the nanoparticles is low, the reactivity of the amine group decreases, and when the pH of the nanoparticles is high, the reactivity of the amine group is promoted. If the reactivity is too accelerated in the rubber compounding process, problems may arise in product molding, and if the reactivity is too low, productivity may be reduced.

따라서,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고무 보강재로 적용한 고무 성형 공정에서 적절한 스코치 타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중화 반응은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염을 포함한 반응 용액이 pH 6 내지 pH 10의 수소이온 농도를 갖도록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order to ensure an appropriate scorch time in the rubber molding process in which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re applied as a rubber reinforcing material, the neutralization reaction is performed in the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the aluminosilicate salt at pH 6 to pH 1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performed to have.

이어서,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염을 세척하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얻는 단계가 수행된다.Subsequently, a step of washing the aluminosilicate salt to obtain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is performed.

상기 세척 단계에서는, 상기 중화 반응을 통해 얻은 반응 용액에서 고형분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염을 회수하고, 이를 증류수, 탈이온수와 같은 물에 분산시킨 후 수 회 세척하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얻는다.In the washing step, aluminosilicate salt, which is a solid component, is recovered from the reaction solution obtained through the neutralization reaction, and then dispersed in water such as distilled water and deionized water, and washed several times to obtain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세척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는 pH 6 내지 pH 10의 수소이온 농도를 나타낼 수 있다.The washed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may exhibit a hydrogen ion concentration of pH 6 to pH 10.

그리고, 세척된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건조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건조는 20 내지 150 ℃의 온도 하에서 1 내지 48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Then, the step of drying the washed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is performed. The drying may be performed for 1 to 48 hours at a temperature of 20 to 150 °C.

필요에 따라, 얻어진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분쇄 및 분급하는 단계 등 통상적인 단계가 더욱 수행될 수 있다.If necessary, conventional steps such as pulverizing and classifying the obtained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may be further performed.

한편,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는 하기 화학식 1의 조성을 가지는 비정질의 입자이다:Meanwhile,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obtained by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are amorphous particles having the composition of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Formula 1]

[(MaAlxO2x)·(SiyO2y)]·m(H2O)[(M a Al x O 2x )·(Si y O 2y )]·m(H 2 O)

상기 화학식 1에서,In Formula 1,

상기 M은 Li, Na, K, Rb, Cs, Be, Fr, Ca, Zn, 및 M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원소 또는 이들의 이온이고;M is an elem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 Na, K, Rb, Cs, Be, Fr, Ca, Zn, and Mg, or an ion thereof;

a ≥ 0, x > 0, y > 0, 및 m ≥ 0 이고;a> 0, x> 0, y> 0, and m> 0;

3.0 ≤ y/x ≤ 20.0 이고,3.0 ≤ y/x ≤ 20.0,

a/x < 1.2 이다.a/x <1.2.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는 금속 원소(M) 또는 이들의 이온으로 알칼리 금속 또는 이들의 이온을 포함하고, 3.0 ≤ y/x ≤ 20.0 및 a/x < 1.2 인 조성을 충족한다.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contain an alkali metal or an ion thereof as a metal element (M) or an ion thereof, and satisfy a composition of 3.0≦y/x≦20.0 and a/x<1.2.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y/x 는 3.0 이상, 혹은 3.5 이상, 혹은 4.0 이상, 혹은 4.1 이상, 혹은 4.2 이상; 그리고 20.0 이하, 혹은 15.0 이하, 혹은 10.0 이하, 혹은 5.0 이하, 혹은 4.7 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y/x 는 3.0 내지 20.0, 혹은 3.5 내지 15.0, 혹은 4.0 내지 10.0, 혹은 4.1 내지 5.0, 혹은 4.2 내지 4.7일 수 있다.Specifically, in Formula 1, y/x is 3.0 or more, or 3.5 or more, or 4.0 or more, or 4.1 or more, or 4.2 or more; And it may be 20.0 or less, or 15.0 or less, or 10.0 or less, or 5.0 or less, or 4.7 or less. Preferably, the y/x may be 3.0 to 20.0, or 3.5 to 15.0, or 4.0 to 10.0, or 4.1 to 5.0, or 4.2 to 4.7.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a/x 는 1.2 미만, 혹은 1.1 이하, 혹은 1.0 이하; 그리고 0.5 이상, 혹은 0.6 이상, 혹은 0.7 이상, 혹은 0.8 이상, 혹은 0.85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x는 0.5 내지 1.1, 혹은 0.6 내지 1.0, 혹은 0.8 내지 1.0, 혹은 0.85 내지 1.0일 수 있다.Further, specifically, in Formula 1, a/x is less than 1.2, or 1.1 or less, or 1.0 or less; And 0.5 or more, or 0.6 or more, or 0.7 or more, or 0.8 or more, or 0.85 or more. Preferably, the a/x may be 0.5 to 1.1, or 0.6 to 1.0, or 0.8 to 1.0, or 0.85 to 1.0.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는 비정질(amorphous)이다.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obtained by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are amorphous.

특히,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는, X-선 회절(XRD)에 의해 수득된 데이터 그래프에서 2θ의 20° 내지 37° 범위에서의 최대 피크의 반가폭(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이 3.0°내지 9.0°인 것을 충족하여, 보강재로써 우수한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have a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of 3.0 in the range of 20° to 37° of 2θ in the data graph obtained by X-ray diffraction (XRD). By satisfying the range of ° to 9.0 °, it can exhibit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as a reinforcing material.

구체적으로, 상기 최대 피크의 반가폭(FWHM)은 3.0°이상, 혹은 4.0°이상, 혹은 5.0°이상, 혹은 6.0°이상, 혹은 7.0°이상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대 피크의 반가폭(FWHM)은 9.0 이하, 8.0°이하, 혹은 7.6°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대 피크의 반가폭(FWHM)은 3.0°내지 9.0°, 혹은 4.0°내지 8.0°, 혹은 5.0°내지 8.0°, 혹은 6.0°내지 8.0°, 혹은 7.0°내지 7.6°, 혹은 7.5°내지 7.6°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half width (FWHM) of the maximum peak is 3.0° or more, or 4.0° or more, or 5.0° or more, or 6.0° or more, or 7.0° or more. In addition, preferably, the half width (FWHM) of the maximum peak is 9.0 or less, 8.0° or less, or 7.6° or less. Preferably, the half width (FWHM) of the maximum peak is 3.0° to 9.0°, or 4.0° to 8.0°, or 5.0° to 8.0°, or 6.0° to 8.0°, or 7.0° to 7.6°, or 7.5 It can be from ° to 7.6 °.

상기 최대 피크의 반가폭(FWHM)은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X-선 회절에서 얻은 2θ의 20° 내지 37° 범위에서의 최대 피크 세기의 1/2 위치에서의 피크 폭을 수치화한 것이다.The half width (FWHM) of the maximum peak is a numerical value of the peak width at a position of 1/2 of the maximum peak intensity in the range of 20° to 37° of 2θ obtained from X-ray diffraction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상기 최대 피크의 반가폭(FWHM)의 단위는 2θ의 단위인 도(°)로 나타낼 수 있으며, 결정성이 높은 화합물일수록 반가폭의 수치가 작을 수 있다.The unit of the half width (FWHM) of the maximum peak may be expressed in degrees (°), which is a unit of 2θ, and the value of the half width may be smaller as a compound having high crystallinity.

또한,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는 X-선 회절(XRD)에 의해 수득된 데이터 그래프에서 26° 내지 31°의 2θ 범위에서 최대 피크 강도(maximum peak intensity, Imax)를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may exhibit a maximum peak intensity (I max ) in a 2θ range of 26° to 31° in a data graph obtained by X-ray diffraction (XRD).

구체적으로,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는 26°이상; 그리고 2θ의 31°이하, 혹은 30°이하, 혹은 29°이하, 혹은 28°이하, 혹은 27°이하의 2θ 범위에서 상기 최대 피크 강도(Imax)를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는 26° 내지 31°, 혹은 26° 내지 29°, 혹은 26° 내지 27°의 2θ 범위에서 상기 최대 피크 강도(Imax)를 나타낼 수 있다.Specifically,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re 26° or more; In addition, the maximum peak intensity (I max ) may be expressed in a 2θ range of 31° or less, 30° or less, 29° or less, 28° or less, or 27° or less of 2θ. Preferably,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may exhibit the maximum peak intensity (I max ) in a 2θ range of 26° to 31°, or 26° to 29°, or 26° to 27°.

참고로, amorphous silica는 20° 내지 25°의 2θ 범위에서 Imax를 보이며, amorphous alumina는 30° 내지 40°의 2θ 범위에서 Imax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For reference, amorphous silica is seen the I max in the 2θ range of 20 ° to 25 °, amorphous alumina is generally visible to I max in the 2θ range of 30 ° to 40 °.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는 10 내지 50 nm의 평균 일차 입경을 가진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obtained by the above production method have an average primary particle diameter of 10 to 50 nm.

구체적으로,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는 10 nm 이상, 혹은 15 nm 이상, 혹은 20 nm 이상; 그리고 50 nm 이하, 혹은 45 nm 이하, 혹은 40 nm 이하, 혹은 35 nm 이하의 평균 일차 입경을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re 10 nm or more, or 15 nm or more, or 20 nm or more; And it may have an average primary particle diameter of 50 nm or less, 45 nm or less, 40 nm or less, or 35 nm or less.

일반적으로 고무 보강재는 입경이 작을수록 우수한 보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고무 보강재의 입경이 작을수록 고무 조성물 내에서 입자들간의 응집 현상이 쉽게 나타나 분산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응집 현상이 심해지면 고무 보강재와 고무 성분들 사이의 상 분리가 발생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타이어의 가공성이 저하되며 목표로 하는 보강 효과도 얻기 어려워질 수 있다.In general, the smaller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rubber reinforcement material, the better the reinforcing effect can be exhibited. However, the smaller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rubber reinforcing material, the more easily agglomeration between particles in the rubber composition occurs, resulting in poor dispersibility. When such agglomeration becomes severe, phase separation between the rubber reinforcement material and the rubber components may occur, and as a result, the workability of the tire decreases, and it may be difficult to obtain a target reinforcing effect.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는 질소 흡착/탈착 분석에 의한 150 내지 300 m2/g의 브루너-에메트-텔러 비표면적(SBET)과 100 내지 250 m2/g의 외부 비표면적(external specific surface area, SEXT)을 가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obtained by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have a Brunner-Emmett-Teller specific surface area (S BET ) of 150 to 300 m 2 /g and 100 to 250 by nitrogen adsorption/desorption analysis. It has an external specific surface area (S EXT ) of m 2 /g.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가 갖는 비표면적의 측정은 일반적인 입자 분석기를 이용하여 ASTM D3663과 같은 표준 시험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the measurement of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standard test method such as ASTM D3663 using a general particle analyzer.

구체적으로, 상기 SBET는 150 m2/g 이상, 혹은 160 m2/g 이상, 혹은 165 m2/g 이상; 그리고 300 m2/g 이하, 혹은 280 m2/g 이하, 혹은 260 m2/g 이하, 혹은 240 m2/g 이하, 혹은 220 m2/g 이하, 혹은 210 m2/g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SBET는 150 내지 300 m2/g, 혹은 160 내지 280 m2/g, 혹은 165 내지 240 m2/g, 혹은 165 내지 210 m2/g 이다.Specifically, the S BET is 150 m 2 /g or more, or 160 m 2 /g or more, or 165 m 2 /g or more; And 300 m 2 /g or less, or 280 m 2 /g or less, or 260 m 2 /g or less, or 240 m 2 /g or less, or 220 m 2 /g or less, or 210 m 2 /g or less. Preferably, the S BET is 150 to 300 m 2 /g, or 160 to 280 m 2 /g, or 165 to 240 m 2 /g, or 165 to 210 m 2 /g.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SEXT는 100 m2/g 이상, 혹은 110 m2/g 이상, 혹은 120 m2/g 이상; 그리고 250 m2/g 이하, 혹은 200 m2/g 이하, 혹은 180 m2/g 이하, 혹은 160 m2/g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SEXT는 100 내지 250 m2/g, 혹은 110 내지 200 m2/g, 혹은 110 내지 180 m2/g, 혹은 120 내지 160 m2/g 이다.Further, specifically, the S EXT is 100 m 2 /g or more, or 110 m 2 /g or more, or 120 m 2 /g or more; And it is 250 m 2 /g or less, 200 m 2 /g or less, or 180 m 2 /g or less, or 160 m 2 /g or less. Preferably, the S EXT is 100 to 250 m 2 /g, or 110 to 200 m 2 /g, or 110 to 180 m 2 /g, or 120 to 160 m 2 /g.

부가하여,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가 갖는 상기 SBET와 SEXT의 비(SEXT/SBET)는 0.6 내지 0.8 인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제반 특성의 발현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tio of the S BET and S EXT (S EXT /S BET )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may be 0.6 to 0.8, which may be more advantageous for the expression of variou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상기 SEXT/SBET는 0.60 이상, 혹은 0.70 이상, 혹은 0.72 이상; 그리고 0.80 이하, 혹은 0.75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SEXT/SBET는 0.60 내지 0.80, 혹은 0.70 내지 0.80, 혹은 0.70 내지 0.75, 혹은 0.72 내지 0.75 이다.Specifically, the S EXT /S BET is 0.60 or more, or 0.70 or more, or 0.72 or more; And it is 0.80 or less, or 0.75 or less. Preferably, S EXT /S BET is 0.60 to 0.80, or 0.70 to 0.80, or 0.70 to 0.75, or 0.72 to 0.75.

특히,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는 0.99 cm3/g 이상의 메조포어 부피(Vmeso)를 갖는다.In particular,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obtained by the above production method have a mesopore volume (V meso ) of 0.99 cm 3 /g or more.

본 명세서에서 메조포어(mesopore)는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 상에 존재하는 2 nm 내지 185 nm의 포어 직경(dp)을 갖는 포어를 의미한다. 그리고, 2 nm 미만의 포어 직경(dp)을 갖는 포어는 마이크로포어(micropore)라고 정의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sopore refers to a pore having a pore diameter (d p ) of 2 nm to 185 nm present on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In addition, a pore having a pore diameter (d p ) of less than 2 nm is defined as a micropore.

구체적으로,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가 갖는 메조포어 부피(Vmeso)는 0.99 cm3/g 이상, 혹은 1.00 cm3/g 이상, 혹은 1.01 cm3/g 이상, 1.02 cm3/g 이상, 혹은 1.03 cm3/g 이상; 그리고 1.50 cm3/g 이하, 혹은 1.40 cm3/g 이하, 혹은 1.35 cm3/g 이하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mesopore volume (V meso )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is 0.99 cm 3 /g or more, or 1.00 cm 3 /g or more, or 1.01 cm 3 /g or more, 1.02 cm 3 /g or more, or Not less than 1.03 cm 3 /g; And it may be 1.50 cm 3 /g or less, or 1.40 cm 3 /g or less, or 1.35 cm 3 /g or less.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가 갖는 메조포어 부피(Vmeso)는 0.99 cm3/g 내지 1.50 cm3/g, 혹은 1.00 cm3/g 내지 1.40 cm3/g, 혹은 1.01 cm3/g 내지 1.40 cm3/g, 혹은 1.02 cm3/g 내지 1.35 cm3/g, 혹은 1.03 cm3/g 내지 1.35 cm3/g 일 수 있다.Preferably, the mesopore volume (V meso )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is 0.99 cm 3 /g to 1.50 cm 3 /g, or 1.00 cm 3 /g to 1.40 cm 3 /g, or 1.01 cm 3 / g to 1.40 cm 3 /g, or 1.02 cm 3 /g to 1.35 cm 3 /g, or 1.03 cm 3 /g to 1.35 cm 3 /g.

상기 메조포어 부피(Vmeso)는 일반적인 입자 분석기를 이용하여 ASTM D4222와 같은 표준 시험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조포어 부피(Vmeso)는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바렛-조이너-할렌다(BJH) 플롯으로부터 계산된 값일 수 있다.The mesopore volume (V meso )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a standard test method such as ASTM D4222 using a general particle analyzer. For example, the mesopore volume (V meso ) may be a value calculated from a Barrett-Joiner-Halenda (BJH) plot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우수한 비표면적 특성과 발달된 메조포어를 갖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가 제공된다.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가 갖는 특성들은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가 고무 조성물 내에서 우수한 분산성을 나타내면서도 고무 성형 공정에서 향상된 작업성과 생산성의 발현을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having excellent specific surface area properties and developed mesopores are provid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enable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to exhibit excellent dispersibility in the rubber composition and to exhibit improved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in the rubber molding process.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에 대한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이미지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에 대한 SEM 이미지이다.
도 3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에 대한 SEM 이미지이다.
도 4는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에 대한 SEM 이미지이다.
도 5는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에 대한 SEM 이미지이다.
도 6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에 대한 SEM 이미지이다.
도 7은 비교예 5에서 제조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에 대한 SEM 이미지이다.
도 8은 비교예 6에서 제조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에 대한 SEM 이미지이다.
도 9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에 대한 바렛-조이너-할렌다(BJH) 플롯이다 (dp = 포어 직경(nm); Vp = 포어 볼륨(cm3/g)).
도 10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에 대한 X-선 회절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mage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prepared in Example 1. FIG.
2 is an SEM image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prepared in Example 2.
3 is an SEM image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4 is an SEM image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2.
5 is an SEM image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3.
6 is an SEM image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4.
7 is a SEM image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5.
8 is an SEM image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6.
9 is a Barrett-Joiner-Halenda (BJH) plot for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d p = pore diameter (nm); V p = pore volume (cm 3 /g)) ).
10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X-ray diffraction analysis of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re presented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Example 1 One

실리콘 소스로 0.005 M 소듐 실리케이트(Na2SiO3) 수용액을 준비하였다.A 0.005 M sodium silicate (Na 2 SiO 3 ) aqueous solution was prepared as a silicon source.

알루미늄 소스로 0.0025 M 알루미늄 포타슘 설페이트(AlK(SO4)2) 및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포함한 수용액을 준비하였다.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은 상기 알루미늄 소스에 대하여 5.0 % (v/v)의 함량으로 첨가되었다.As an aluminum source,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0.0025 M aluminum potassium sulfate (AlK(SO 4 ) 2 ) and isopropyl alcohol was prepared. Isopropyl alcohol was added in an amount of 5.0% (v/v) relative to the aluminum source.

상온(25 ℃) 하에서 반응기(2000 mL 용량의 round bottom flask)에 상기 실리콘 소스 1117.82 mL를 투입하였다.1117.82 mL of the silicon source was added to a reactor (round bottom flask of 2000 mL capacity) at room temperature (25° C.).

상기 실리콘 소스가 존재하는 반응기에, 상기 알루미늄 소스를 투입하였다. 상기 알루미늄 소스는 상기 반응기 내의 실리콘 원자(Si)와 알루미늄 원자(Al)의 몰 비(Si/Al)가 4.4가 될 때까지 15.0 ml/min의 속도로 투입되었다.In the reactor in which the silicon source is present, the aluminum source was added. The aluminum source was added at a rate of 15.0 ml/min until the molar ratio (Si/Al) of silicon atoms (Si) and aluminum atoms (Al) in the reactor became 4.4.

상기 반응기 내 수용액의 온도가 80 ℃를 유지하도록 가열하면서 오버헤드 교반기(overhead stirrer)를 이용하여 500 rpm으로 10 분간 믹싱하여 중화 반응을 수행하였다.The neutralization reaction was performed by mixing for 10 minutes at 500 rpm using an overhead stirrer while heating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aqueous solution in the reactor was maintained at 80°C.

상기 중화 반응에 의해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염을 포함한 반응 용액을 얻었다.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염을 상온의 증류수에 넣고 12 시간 동안 교반하고 원심분리하는 방법으로 세척하였다. 세척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염을 70 ℃의 오븐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하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얻었다.A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an aluminosilicate salt was obtained by the above neutralization reaction. The aluminosilicate salt was added to distilled water at room temperature, stirred for 12 hours, and washed by centrifugation. The washed aluminosilicate salt was dried in an oven at 70° C. for 24 hours to obtain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실시예Example 2 2

실리콘 소스로 0.005 M 소듐 실리케이트(Na2SiO3) 수용액을 준비하였다.A 0.005 M sodium silicate (Na 2 SiO 3 ) aqueous solution was prepared as a silicon source.

알루미늄 소스로 0.0025 M 알루미늄 포타슘 설페이트(AlK(SO4)2) 및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포함한 수용액을 준비하였다.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은 상기 알루미늄 소스에 대하여 5.0 % (v/v)의 함량으로 첨가되었다.As an aluminum source,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0.0025 M aluminum potassium sulfate (AlK(SO 4 ) 2 ) and isopropyl alcohol was prepared. Isopropyl alcohol was added in an amount of 5.0% (v/v) relative to the aluminum source.

상온(25 ℃) 하에서 반응기(2000 mL 용량의 round bottom flask)에 상기 실리콘 소스 1117.82 mL를 투입하였다.1117.82 mL of the silicon source was added to a reactor (round bottom flask of 2000 mL capacity) at room temperature (25° C.).

상기 실리콘 소스가 존재하는 반응기에, 상기 알루미늄 소스를 투입하였다. 상기 알루미늄 소스는 상기 반응기 내의 실리콘 원자(Si)와 알루미늄 원자(Al)의 몰 비(Si/Al)가 4.4가 될 때까지 7.5 ml/min의 속도로 투입되었다.In the reactor in which the silicon source is present, the aluminum source was added. The aluminum source was added at a rate of 7.5 ml/min until the molar ratio (Si/Al) of silicon atoms (Si) and aluminum atoms (Al) in the reactor became 4.4.

상기 반응기 내 수용액의 온도가 80 ℃를 유지하도록 가열하면서 오버헤드 교반기(overhead stirrer)를 이용하여 500 rpm으로 10 분간 믹싱하여 중화 반응을 수행하였다.The neutralization reaction was performed by mixing for 10 minutes at 500 rpm using an overhead stirrer while heating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aqueous solution in the reactor was maintained at 80°C.

상기 중화 반응에 의해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염을 포함한 반응 용액을 얻었다.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염을 상온의 증류수에 넣고 12 시간 동안 교반하고 원심분리하는 방법으로 세척하였다. 세척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염을 70 ℃의 오븐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하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얻었다.A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an aluminosilicate salt was obtained by the above neutralization reaction. The aluminosilicate salt was added to distilled water at room temperature, stirred for 12 hours, and washed by centrifugation. The washed aluminosilicate salt was dried in an oven at 70° C. for 24 hours to obtain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상기 알루미늄 소스로 0.0025 M 알루미늄 포타슘 설페이트(AlK(SO4)2) 수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얻었다.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0.0025 M aluminum potassium sulfate (AlK(SO 4 ) 2 ) aqueous solution was used as the aluminum sourc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상기 알루미늄 소스로 0.0025 M 알루미늄 포타슘 설페이트(AlK(SO4)2) 수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얻었다.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0.0025 M aluminum potassium sulfate (AlK(SO 4 ) 2 ) aqueous solution was used as the aluminum sourc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 3

상기 알루미늄 소스로 알루미늄 소스에 대하여 8.0 % (v/v)의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이 첨가된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얻었다.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8.0% (v/v) of isopropyl alcohol was added to the aluminum source as the aluminum sourc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4 4

상기 알루미늄 소스로 알루미늄 소스에 대하여 10.0 % (v/v)의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이 첨가된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얻었다.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0.0% (v/v) of isopropyl alcohol was added to the aluminum source as the aluminum sourc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5 5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대신 동일한 함량의 에틸 알코올을 첨가한 알루미늄 소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얻었다.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aluminum source to which ethyl alcohol was added in place of isopropyl alcohol was us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6 6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대신 동일한 함량의 메틸 알코올을 첨가한 알루미늄 소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얻었다.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aluminum source to which methyl alcohol was added in place of isopropyl alcohol was used.

시험예Test example 1 One

X-ray fluorescence (XRF, Rigaku zsx primus II, wavelength dispersive type)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성분 조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XRF 측정은 Rh target을 활용하였으며, 30 mm 직경의 홀더에 입자 분말을 장착하여 측정하였다.The composition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ccording to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confirmed using X-ray fluorescence (XRF, Rigaku zsx primus II, wavelength dispersive typ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The XRF measurement was performed using a Rh target, and the particle powder was mounted on a holder having a diameter of 30 mm.

조성 (화학식 1)Composition (Chemical Formula 1) MM aa xx yy KK NaNa 실시예 1Example 1 0.510.51 0.340.34 0.850.85 1.001.00 4.254.25 실시예 2Example 2 0.550.55 0.430.43 0.980.98 1.001.00 4.624.6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0.530.53 0.370.37 0.900.90 1.001.00 4.464.46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0.520.52 0.410.41 0.930.93 1.001.00 4.354.35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0.540.54 0.430.43 0.960.96 1.001.00 4.574.57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0.540.54 0.440.44 0.980.98 1.001.00 4.654.65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0.520.52 0.420.42 0.940.94 1.001.00 4.474.47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0.530.53 0.430.43 0.960.96 1.001.00 4.504.50

시험예Test example 2 2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촬영하였다. 촬영된 SEM 이미지를 도 1 (실시예 1), 도 2 (실시예 2), 도 3 (비교예 1), 도 4 (비교예 2), 도 5 (비교예 3), 도 6 (비교예 4), 도 7 (비교예 5), 및 도 8 (비교예 6)에 나타내었다.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ccording to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photograph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photographed SEM images are shown in Fig. 1 (Example 1), Fig. 2 (Example 2), Fig. 3 (Comparative Example 1), Fig. 4 (Comparative Example 2), Fig. 5 (Comparative Example 3), and Fig. 6 (Comparative Example) 4), Fig. 7 (Comparative Example 5), and Fig. 8 (Comparative Example 6).

시험예Test example 3 3

X-선 회절 분석기(Bruker AXS D4-Endeavor XRD)를 이용하여, 40 kV의 인가전압 및 40 mA의 인가전류 하에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에 대한 X-선 회절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0에 나타내었다.Using an X-ray diffraction analyzer (Bruker AXS D4-Endeavor XRD), under an applied voltage of 40 kV and an applied current of 40 mA, X-ray diffract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 di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and FIG. 10 below.

상기 X-선 회절 분석을 실시함에 있어서, 측정한 2θ의 범위는 10° 내지 90°이고, 0.05°의 간격으로 스캔하였다. 이때, 슬릿(slit)은 variable divergence slit 6 mm를 이용하였고, PMMA 홀더에 의한 백그라운드 노이즈(background noise)를 없애기 위해 크기가 큰 PMMA 홀더(직경=20 mm)를 이용하였다.In performing the X-ray diffraction analysis, the measured range of 2θ was 10° to 90°, and the scan was performed at an interval of 0.05°. At this time, a variable divergence slit 6 mm was used as the slit, and a large PMMA holder (diameter = 20 mm) was used to eliminate background noise caused by the PMMA holder.

X-선 회절에 의해 수득된 데이터 그래프에서 2θ의 20° 내지 37° 범위에서의 최대 피크인 약 29°피크의 반가폭(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을 계산하였다.In the data graph obtained by X-ray diffraction, the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of about 29° peak, which is the maximum peak in the range of 20° to 37° of 2θ, was calculated.

FWHM (°)FWHM (°) Imax (°)I max (°) 결정형Crystal form 실시예 1Example 1 7.5787.578 26.56026.560 AmorphousAmorphous 실시예 2Example 2 7.5017.501 26.74726.747 AmorphousAmorphous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7.8667.866 27.68227.682 AmorphousAmorphous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8.1728.172 27.12127.121 AmorphousAmorphous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7.9517.951 26.67126.671 AmorphousAmorphous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8.0188.018 27.02727.027 AmorphousAmorphous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7.4107.410 27.01727.017 AmorphousAmorphous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7.6557.655 26.67326.673 AmorphousAmorphous

시험예Test example 4 4

(1) 비표면적 분석기 (BEL Japan Inc., BELSORP-max)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에 대한 질소 흡착/탈착 브루너-에미트-텔러 비표면적(SBET) 및 2 nm 미만의 미세기공을 제외한 외부 비표면적(SEXT)을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은 ASTM D3663의 표준 측정법에 따라 수행되었다. 측정된 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1) Nitrogen adsorption/desorption Brunner-Emit-Teller specific surface area (S BET ) for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ccording to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using a specific surface area analyzer (BEL Japan Inc., BELSORP-max) And the external specific surface area (S EXT ) excluding micropores of less than 2 nm was measured.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tandard measurement method of ASTM D3663. The measured values are shown in Table 3 below.

(2) 비표면적 분석기 (BEL Japan Inc., BELSORP-max)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가 갖는 포어 사이즈 분포를 분석하였다. 상기 분석은 ASTM D4222의 표준 측정법에 따라 수행되었다. 상기 분석을 통해 얻은 바렛-조이너-할렌다(BJH) 플롯을 도 9에 나타내었다(dp = 포어 직경(nm); Vp = 포어 볼륨(cm3/g)). 상기 BJH 플롯으로부터 계산된 2 nm 내지 185 nm의 포어 직경(dp)을 갖는 메조포어의 부피(Vmeso)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2) A specific surface area analyzer (BEL Japan Inc., BELSORP-max) was used to analyze the pore size distribution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ccording to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tandard measurement method of ASTM D4222. The Barrett-Joiner-Halenda (BJH) plot obtained through the above analysis is shown in FIG. 9 (d p = pore diameter (nm); V p = pore volume (cm 3 /g)). The volume of mesopores (V meso ) having a pore diameter (d p ) of 2 nm to 185 nm calculated from the BJH plot is shown in Table 3 below.

SBET
(m2/g)
S BET
(m 2 /g)
SEXT
(m2/g)
S EXT
(m 2 /g)
SEXT/SBET S EXT /S BET Vmeso
(cm3/g)
V meso
(cm 3 /g)
실시예 1Example 1 209.43209.43 152.35152.35 0.730.73 1.31841.3184 실시예 2Example 2 169.63169.63 122.10122.10 0.720.72 1.03111.031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202.21202.21 150.34150.34 0.740.74 1.04881.0488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70.27170.27 122.84122.84 0.720.72 0.78850.7885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178.26178.26 124.85124.85 0.700.70 0.86210.8621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198.23198.23 131.54131.54 0.660.66 0.56330.5633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202.95202.95 144.26144.26 0.710.71 0.97860.9786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180.25180.25 128.29128.29 0.710.71 0.60630.6063

상기 표 3을 참고하면, 상기 실시예들의 방법으로 제조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는 상기 비교예들의 방법으로 제조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와 비교하여 유사한 수준의 비표면적 값을 가지면서도 보다 발달된 메조포어를 갖는 것으로 확인된다.Referring to Table 3,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prepared by the method of the Examples above have a specific surface area value similar to that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prepared by the method of the Comparative Examples, but are more developed meso. It is confirmed to have pores.

특히,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이 첨가되지 않은 상기 비교예 1 및 2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및 2에 비하여 낮은 메조포어 부피(Vmeso)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된다.In particular, in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n which isopropyl alcohol was not added, it was confirmed that the mesopore volume (V meso ) was lower than in Examples 1 and 2.

그리고, 상기 비교예 3 및 4에서는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이 과량으로 첨가됨에 따라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메조포어 부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된다.In addition, in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as isopropyl alcohol was added in an excessive amount, it was confirmed that the mesopore volum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ccording to Example 1.

또한, 메틸 알코올 또는 에틸 알코올이 사용된 상기 비교예 5 및 6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메조포어 부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된다.In addition, in Comparative Examples 5 and 6 in which methyl alcohol or ethyl alcohol was u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mesopore volum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ccording to Example 1.

Claims (9)

알칼리성의 실리콘 소스를 반응기에 투입하는 단계,
알루미늄 포타슘 설페이트 및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포함한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를 상기 반응기에 투입하며 교반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 소스와 상기 알루미늄 소스의 중화 반응에 의해 알루미늄실리케이트 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염을 세척하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Injecting an alkaline silicon source into the reactor,
Injecting an acidic aluminum source including aluminum potassium sulfate and isopropyl alcohol into the reactor and stirring,
Forming an aluminum silicate salt by neutralizing the silicon source and the aluminum source,
Washing the aluminosilicate salt to obtain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nd
Drying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Containing, the method for produc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은 상기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에 대하여 8.0 % (v/v) 미만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sopropyl alcohol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less than 8.0% (v/v) with respect to the acidic aluminum source, a method for produc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는 5 내지 30 ml/min의 속도로 상기 반응기에 투입되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cidic aluminum source is introduced into the reactor at a rate of 5 to 30 ml/min, a method for produc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성의 실리콘 소스는 소듐 실리케이트 및 포타슘 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lkaline silicon source is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silicate and potassium silicate, a method for produc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의 알루미늄 소스는, 상기 실리콘 소스 중의 실리콘 원자(Si)와 상기 알루미늄 소스 중의 알루미늄 원자(Al)의 몰 비(Si/Al)가 2.0 내지 6.0이 되도록 투입되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cidic aluminum source is introduced so that a molar ratio (Si/Al) of a silicon atom (Si) in the silicon source and an aluminum atom (Al) in the aluminum source is 2.0 to 6.0, the production of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W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 반응은 75 ℃ 내지 90 ℃의 온도 하에서 수행되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neutralization reaction is carried out under a temperature of 75 ℃ to 90 ℃, the method of produc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는 하기 화학식 1의 조성을 가지는 비정질 입자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MaAlxO2x)·(SiyO2y)]·m(H2O)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M은 Li, Na, K, Rb, Cs, Be, Fr, Ca, Zn, 및 M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원소 또는 이들의 이온이고;
a ≥ 0, x > 0, y > 0, 및 m ≥ 0 이고;
3.0 ≤ y/x ≤ 20.0 이고,
a/x < 1.2 이다.
The method of claim 1,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re amorphous particles having a composition of the following formula (1), a method for produc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Formula 1]
[(M a Al x O 2x )·(Si y O 2y )]·m(H 2 O)
In Formula 1,
M is an elem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 Na, K, Rb, Cs, Be, Fr, Ca, Zn, and Mg, or an ion thereof;
a> 0, x> 0, y> 0, and m>0;
3.0 ≤ y/x ≤ 20.0,
a/x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가 갖는 2 nm 내지 185 nm의 포어 직경(dp)을 갖는 메조포어 부피(Vmeso)는 0.99 cm3/g 이상이고,
상기 메조포어 부피(Vmeso)는 ASTM D4222에 따라 측정된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바렛-조이너-할렌다(BJH) 플롯으로부터 계산된 값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sopore volume (V meso ) having a pore diameter (d p ) of 2 nm to 185 nm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is 0.99 cm 3 /g or more,
The mesopore volume (V meso ) is a value calculated from a Barrett-Joiner-Halenda (BJH) plot of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4222,
Method for produc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는, ASTM D3663에 따른 질소 흡착/탈착 분석에 의한 150 내지 300 m2/g의 브루너-에메트-텔러 비표면적(SBET) 및 100 내지 250 m2/g의 외부 비표면적(SEXT)을 가지며, 0.7 ≤ SEXT/SBET ≤ 0.8을 충족하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have a Brunner-Emmett-Teller specific surface area (S BET ) of 150 to 300 m 2 /g and an external ratio of 100 to 250 m 2 /g by nitrogen adsorption/desorption analysis according to ASTM D3663. A method for produc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having a surface area (S EXT ) and satisfying 0.7 ≤ S EXT /S BET ≤ 0.8.
KR1020190021091A 2019-02-22 2019-02-22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with developed mesopore KR1026422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91A KR102642295B1 (en) 2019-02-22 2019-02-22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with developed mesopo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91A KR102642295B1 (en) 2019-02-22 2019-02-22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with developed mesopo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737A true KR20200102737A (en) 2020-09-01
KR102642295B1 KR102642295B1 (en) 2024-02-28

Family

ID=7245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091A KR102642295B1 (en) 2019-02-22 2019-02-22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with developed mesopo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29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5737A (en) * 1990-01-25 1993-06-01 Mobil Oil Corp. Synthesis of mesoporous aluminosilicate
KR20110063072A (en) * 2009-12-04 2011-06-1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ocess for producing acicular aluminosilcate crystal
KR20170006951A (en) * 2015-07-10 2017-0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Moisture absorption material for drying appaaratus
KR20180028926A (en) * 2016-09-09 2018-03-19 주식회사 엘지화학 A reinforcing materials for rubber comprising aluminosilicate particles and rubber composition for tires comprising the same
KR20180028927A (en) * 2016-09-09 2018-03-19 주식회사 엘지화학 A reinforcing materials for rubber comprising aluminosilicate particles and rubber composition for tires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5737A (en) * 1990-01-25 1993-06-01 Mobil Oil Corp. Synthesis of mesoporous aluminosilicate
KR20110063072A (en) * 2009-12-04 2011-06-1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ocess for producing acicular aluminosilcate crystal
KR20170006951A (en) * 2015-07-10 2017-0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Moisture absorption material for drying appaaratus
KR20180028926A (en) * 2016-09-09 2018-03-19 주식회사 엘지화학 A reinforcing materials for rubber comprising aluminosilicate particles and rubber composition for tires comprising the same
KR20180028927A (en) * 2016-09-09 2018-03-19 주식회사 엘지화학 A reinforcing materials for rubber comprising aluminosilicate particles and rubber composition for tires compris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ay Saalwachter, Microstructure and molecular dynamics of elastomers as studied by advanced low-resoluti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methods, Rubber Chemistry and Technology, Vol. 85, No. 3, pp. 350-386 (20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295B1 (en) 202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2980B (en) Reinforcing material for rubber containing aluminosilicate particles and rubber composition for tire containing the same
JP6866002B2 (en) A method for produc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having excellent dispersibility, a rubber reinforcing material containing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nd a rubber composition for a tire containing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CN109071242B (en) Process for preparing aluminosilicate particles, reinforcing material and rubber composition
KR102155270B1 (en) Method for preparing aluminosilicate particles having excellent dispersion, a reinforcing materials for rubber comprising the aluminosilicate particles, and rubber composition for tires comprising the reinforcing materials
US10889702B2 (en) Reinforcing material for rubber comprising aluminosilicate particles and rubber composition for tires comprising the same
KR10264229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with developed mesopore
KR10264229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with developed mesopore
CN108602994B (en) Reinforcing material for rubber containing aluminosilicate particles and rubber composition for tire containing same
KR10256177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KR102123011B1 (en) Method for preparing aluminosilicate particles having excellent dispersion, a reinforcing materials for rubber comprising the aluminosilicate particles, and rubber composition for tires comprising the reinforcing materials
KR102157789B1 (en) Method for preparing aluminosilicate particles, a reinforcing materials for rubber comprising the aluminosilicate particles, and rubber composition for tires comprising the reinforcing materials
KR102567067B1 (en) Method for prepar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having excellent dispersion, a reinforcing materials for rubber comprising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nd rubber composition for tires comprising the reinforcing materials
KR102150646B1 (en) Method for prepar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having excellent dispersion, a reinforcing materials for rubber comprising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nd rubber composition for tires comprising the reinforcing materials
KR102150645B1 (en) Method for prepar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having excellent dispersion, a reinforcing materials for rubber comprising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nd rubber composition for tires comprising the reinforcing materials
WO201905959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having excellent dispersibility, rubber reinforcing member compris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nd rubber composition comprising same for tire
KR102348152B1 (en) A reinforcing materials for rubber comprising aluminosilicate particles and rubber composition for tires comprising the same
KR102361619B1 (en)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for rubber reinforcement, a method for preparing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and a rubber composition for a tire including the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KR10256706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KR20210038080A (en) A reinforcing materials for rubber comprising aluminosilicate particles and rubber composition for tires comprising the same
WO2018048157A1 (en) Rubber reinforcing material comprising aluminosilicate particles, and rubber composition for tire,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