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135A - 온열 복대 - Google Patents

온열 복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135A
KR20200102135A KR1020190020354A KR20190020354A KR20200102135A KR 20200102135 A KR20200102135 A KR 20200102135A KR 1020190020354 A KR1020190020354 A KR 1020190020354A KR 20190020354 A KR20190020354 A KR 20190020354A KR 20200102135 A KR20200102135 A KR 20200102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aist
heating element
coupled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국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국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국전자
Priority to KR1020190020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2135A/ko
Publication of KR20200102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18Trunk or parts thereof
    • A61F2007/0022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61F2007/0077Details of powe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8Radiating 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31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61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medicated
    • A61F2007/026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medicated made of a substance with therapeutic action, e.g. copper or sil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열 복대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사용자의 허리에 밴딩 결합시 후면의 접촉면부가 사용자의 복부에 밀착되는 몸체와,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몸체의 전면으로 노출된 입구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납 포켓과, 접촉면부의 내부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력에 의해 발열하여 몸체의 후면을 통해 열을 발산시키는 발열체와, 수납 포켓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발열체와 전원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 및 분리되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시 발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 케이블에 연결된 상태로 몸체의 전면에 결합되며, 온/오프 조작을 통해 전원공급부와 발열체의 접속 상태를 전환시키는 조작스위치 및, 몸체의 길이 방향측 일단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몸체를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시 후면이 사용자의 허리를 전방으로 지지하는 허리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열 복대{A HEATING ABDOMINAL BELT}
본 발명은 온열 복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이용해 발열체를 가열하여 열기와 원적외선을 사용자의 복부에 전달 함으로써, 사용자의 복부에 열기와 원적외선을 집중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하므로 온열 복대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활동이 가능한 온열 복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대는 허리에 착용되어 복부나 척추에 물리적인 압박을 가해 허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척추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통증완화 및 자세교정으로 질환을 개선하는 치료보조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복대는,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갖는 벨트 및, 벨트의 길이 방향측 양단에 상호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 체결부재(버클, 벨크로 테이프 등) 등으로 구성된다.
근래에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 가능한 복대에 발열체와 전원 공급 수단을 적용하여 찜질 기능을 부가한 온열 복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복대는 발열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이 외부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시 자유로운 활동이 어려웠고, 벨트의 결합 부분이 정해진 착용 위치를 벗어나거나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강하게 압박하므로 장시간 사용시 사용자의 허리에 통증이 유발되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국내 등록특허 제10-2013-0025773호(2013년 03월 12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복대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이용해 발열체를 가열하여 열기와 원적외선을 사용자의 복부에 전달 함으로써, 사용자의 복부에 열기와 원적외선을 집중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하므로 온열 복대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활동이 가능한 온열 복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시 위치 조절 가능한 허리 지지대가 사용자의 허리를 전방으로 지지하므로, 사용자의 허리를 대응되는 형태로 지지해줄 수 있어 사용자의 허리 통증을 줄일 수 있고, 허리 지지대가 인체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므로 착용시 사용자의 자세를 바르게 유지시켜줄 수 있는 온열 복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열 복대는,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사용자의 허리에 밴딩 결합시 후면의 접촉면부가 사용자의 복부에 밀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전면으로 노출된 입구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납 포켓과, 상기 접촉면부의 내부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력에 의해 발열하여 상기 몸체의 후면을 통해 열을 발산시키는 발열체와, 상기 수납 포켓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체와 전원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 및 분리되며,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시 발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 케이블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전면에 결합되며, 온/오프 조작을 통해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발열체의 접속 상태를 전환시키는 조작스위치 및,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측 일단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몸체를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시 후면이 사용자의 허리를 전방으로 지지하는 허리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허리 지지대는 상기 몸체의 길이 ??향측 일단의 후면에 밀착되고, 상기 몸체를 사용자의 허리에 밴딩 결합시 후면이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는 외피와, 길이 방향측 양단이 상기 외피의 전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전면을 감싸는 상태에서 위치조절 가능한 결합 밴드 및, 상기 외피의 내부에 삽입되며, 후면이 상하 방향으로 곡률을 형성하면서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형상 유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 유지부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의 전면에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주머니부가 좌우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부는 상기 발열체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측 양단에는 상호 대응되는 전면과 후면에 벨크로 테이프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상기 몸체를 사용자의 허리에 밴딩 결합시 전후 방향에 교차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측 양단에는 상호 대응되는 전면과 후면에 벨크로 테이프가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상기 몸체를 사용자의 허리에 밴딩 결합시 전후 방향에 교차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는 발열시 상기 몸체의 후방을 통해 원적외선을 발산시키기 위해 세라믹(ceramics)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케이블은 일단이 상기 발열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의 수 접속단자가 상기 수납 포켓의 내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에는 상기 수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 및 분리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암 접속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포켓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몸체의 측부 또는 상부로 개방되는 수납공간과, 일단이 상기 몸체의 전면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 부위를 전방에서 개폐시키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일면과 상기 몸체의 전면에 대응되게 결합되어 상호 착탈 가능한 체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전원공급부를 이용해 발열체를 가열하여 열기와 원적외선을 사용자의 복부에 전달 함으로써, 사용자의 요추를 보호할 수 있고, 사용자의 복부에 열기와 원적외선을 집중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므로 온열 복대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활동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착용시 위치 조절 가능한 허리 지지대가 사용자의 허리를 전방으로 지지하므로, 사용자의 허리를 대응되는 형태로 지지해줄 수 있어 사용자의 허리 통증을 줄일 수 있고, 허리 지지대가 인체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므로 착용시 사용자의 자세를 바르게 유지시켜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허리 지지대는 다양한 사이즈와 형태로 교체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연령 등에 관계 없이 다양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고, 형상 유지부재에 통기홀이 형성되므로 통기성을 확보를 통해 사용자의 허리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열 복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열 복대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열 복대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열 복대의 허리 지지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열 복대의 허리 지지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열 복대의 허리 지지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열 복대를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열 복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열 복대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열 복대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열 복대의 허리 지지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열 복대의 허리 지지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열 복대의 허리 지지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7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열 복대를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열 복대는 몸체(100)와, 수납 포켓(200)과, 발열체(300)와, 전원공급부(400)와, 조작스위치(500) 및, 허리 지지대(600)를 포함한다.
먼저, 몸체(100)는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수평하게 감쌀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으로, 사용자의 허리를 감쌀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여기서, 몸체(100)는 형상 변형이 용이한 원단(섬유 소재)을 이용해 밴딩 가능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몸체(100)의 중심 부위는 사용자의 복부를 넓게 감쌀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00)의 전면에는 미려함을 표현하기 위한 무늬 등과 각종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로고 등이 표현(직조, 인쇄, 부착 방식 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0)의 후면에는 사용자의 허리에 밴딩 결합시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접촉면부(110)가 부착될 수 있다.
접촉면부(110)는, 사용자의 허리에 부드러운 감촉이 전달되도록 극세사(microfiber)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허리와 밀착되는 부분에 국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몸체(100)의 전면에는 내부에 공간부(121)가 형성된 주머니부(120)가 좌우로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주머니부(120)는 후술 될 발열체(30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주머니부(120)는, 온열 복대를 허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주머니부(120)의 양측을 통해 손을 집어 넣을 수 있는 부분으로, 발열체(300)의 열기가 손에 전달되므로 복부뿐 아니라 사용자의 손을 동시에 찜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몸체(100)의 길이 방향측 양단에는 도 1과 2에서처럼 상호 대응되는 전면과 후면에 벨크로 테이프(13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벨크로 테이프(130)는, 몸체(100)를 사용자의 허리에 밴딩 결합시키는 경우, 전후 방향에 교차로 부착되어 몸체(100)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몸체(100)의 길이 방향측 일단의 전면 또는 후면에 벨크로 테이프(130)를 부착시키고, 반대되는 타단의 전면 또는 후면에 대응되는 원단을 부착시켜 상호 대응되게 부착시킬 수도 있다.
수납 포켓(200)은,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 될 전원공급부(400)를 삽입 및 탈거할 수 있도록 일측이 몸체(100)의 전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수납 포켓(200)은 몸체(100)의 길이 방향측 일단에 형성될 수 있는데, 수납 포켓(200)은 후술 될 허리 지지대(600)와 반대되는 길이 방향측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수납 포켓(200)은 후술 될 전원공급부(40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210)과, 수납공간(210)의 개방 부위를 개폐시키기 위한 덮개(220) 및, 덮개(220)가 수납공간(210)의 개방 부위를 폐쇄시키는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체결부재(230)로 구비될 수 있다.
수납공간(210)은, 후술 될 전원공급부(400)가 삽입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며, 수납공간(210)의 상부가 몸체(100)의 상부로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수납공간(210)의 일측 개방 부위는 몸체(100)의 측방으로 개방될 수도 있고, 수납공간(210)의 위치는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덮개(220)는, 일단이 몸체(100)의 전면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수납공간(210)의 개방 부위를 전방에서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220)의 상단이 수납공간(210)의 상부에서 몸체(100)의 전면에 수평하게 결합되고, 덮개(220)의 하단이 몸체(100)의 전면에 부착되어 수납공간(210)의 상부를 폐쇄시킬 수 있다.
체결부재(230)는, 덮개(220)의 일면과 몸체(100)의 전면에 대응되게 결합되어 상호 착탈 가능한 것으로, 체결부재(230)는 암수 버클이나 벨크로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230)를 벨크로 테이프로 적용시키는 경우, 덮개(220)의 일면에 암 또는 수 벨크로 테이프를 결합시키고, 수납공간(210)이 형성된 몸체(100)의 전면에 대응되는 벨크로 테이프를 결합시킬 수 있다.
발열체(300)는, 몸체(100)의 내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후술 될 전원공급부(400)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에 의해 발열하여 사용자의 복부에 열기를 전달한다.
여기서, 발열체(300)는 사용자의 복부에 밀착되는 몸체(100)의 중심 위치에 결합될 수 있고, 발열체(300)는 접촉면부(110)와 전후 방향이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발열체(300)는 세라믹(ceramics)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는데, 발열체(300)를 세라믹으로 적용하는 경우, 접촉면부(110)의 후면을 통해 열기와 원적외선(far infrared ray)을 발산시킬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발열체(300)는 도 2에서처럼 몸체(100)의 내부에 일정 넓이로 삽입되며, 일측이 후술 될 전원공급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발열체(300)는 일정 넓이를 갖는 베이스 필름 및, 베이스 필름의 전면에 부착되는 발열 패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발열 패턴은, 후술 될 전원공급부(400)의 전력 인가에 의해 발열하는 수단으로, 상기 발열 패턴(220)은 베이스 필름(210)의 내부 또는 외면에 일정 패턴으로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발열 패턴은 발열시 원적외선이 발산되도록 세라믹 소재로 적용할 수 있고, 발열 패턴의 일단이 후술 될 전원 케이블(700)에 의해 후술 될 전원공급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발열체(300)는 베이스 필름을 적용시키지 않고 발열 패턴 만을 몸체(100)의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미도시 하였으나, 발열체(300)에는 게르마늄(germanium) 세라믹(ceramics) 및 자석(magnet) 중 어느 하나의 소재가 부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400)는, 수납 포켓(2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발열체(300)와 전원 케이블(7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 및 분리되는 것으로, 발열체(30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 발열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원공급부(400)는 발열체(3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전원 공급 온(ON) 상태로 전환되어 발열부(200)로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전원공급부(400)에는 도 1과 2에서처럼 전원 케이블(700)의 수 접속단자(710)를 접속시키기 위한 암 접속단자(4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400)에는 충전이 가능하도록 충전단자(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충전단자에는 충전용 케이블(미도시)의 단자가 연결될 수 있다.
조작스위치(500)는, 전원 케이블(700)에 연결된 상태로 몸체(100)의 전면에 결합되며, 온/오프 조작을 통해 전원공급부(400)와 발열체의 접속 상태를 전환시킨다.
여기서, 조작스위치(50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몸체(100)의 길이 방향측 일단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전원 케이블(700)에 설치된 상태로 전원공급부(400)의 전력 공급 상태를 온(ON)/오프(OFF)시킨다.
즉, 사용자가 조작스위치(500)를 눌러 작동 온(ON) 상태로 전환시키는 경우, 전원공급부(400)에 충전된 전력이 발열체(300)의 발열 패턴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조작스위치(50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온(ON)/오프(OFF) 상태 및 온도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누름 버튼이 형성될 수 있고, 누름 버튼에는 선택 메뉴(미도시)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조작스위치(500)와 전원공급부(400)에는 근적외선 LED(미도시)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고, 근적외선 LED는 몸체(100) 또는 발열체(300)에 설치될 수 있어, 구동시 근적외선 파장을 외부로 발산하여 사용자의 인체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조작스위치(500)와 전원공급부(400)에는 원적외선 LED(미도시)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고, 원적외선 LED는 몸체(100) 또는 발열체(300)에 설치되어, 구동시 원적외선 파장을 외부로 발산하여 사용자의 인체로 전달할 수 있다.
또 한편, 조작스위치(500)에는 제어부(미도시)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으며, 조작스위치(500)의 온도 조절 조작에 의해 발열체(300)의 가열 온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조작스위치(500)의 조작 버튼에 온도를 선택을 위한 숫자가 표시될 수도 있다.
전원 케이블(700)은, 일단이 발열체(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의 수 접속단자(710)가 수납공간(210)의 내부를 통해 노출된다.
즉, 전원 케이블(700)의 수 접속단자(710)를 전원공급부(400)의 암 접속단자(410)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발열체(30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케이블(700)의 수 접속단자(710)와 전원공급부(400)의 암 접속단자(410)는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 형태로 접속 및 분리될 수 있다.
허리 지지대(600)는, 몸체(100)의 길이 방향측 일단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몸체(100)를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시 후면이 사용자의 허리를 전방으로 지지한다.
이를 위한 허리 지지대(600)는, 도 4 내지 6에서처럼 외피(610)와, 결합 밴드(620) 및, 형상 유지부재(630)로 구비될 수 있다.
외피(610)는, 몸체(100)의 길이 ??향측 일단의 후면에 밀착되고, 몸체(100)를 사용자의 허리에 밴딩 결합시 외피(610)의 후면이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된다.
여기서, 외피(610)는 섬유 계열의 원단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며, 외피(610)의 내부에는 후술 될 형상 유지부재(63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외피(610)의 내부 공간부는, 후술 될 형상 유지부재(630)를 삽입시키거나 꺼낼 수 있도록 외부로 개방될 수 있고, 외피(610)의 전면에는 내부 공간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덮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의 일면과 이에 대응되는 외피(610)의 전면에는 도 5에서처럼 체결부재(버클, 벨크로 테이프 등, 64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밴드(620)는, 외피(610)를 몸체(100)의 길이 방향측 일단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결합 밴드(620)의 양단은 외피(610)의 전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결합 밴드(620)는 길이 방향측 양단이 외피(610)의 전면 상하 부위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외피(6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 밴드(620)는 몸체(100)의 길이 방향측 일단을 외부에서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고, 이때 외피(610)의 전면이 몸체(10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결합 밴드(620)와 외피(610)의 사이를 통해 몸체(100)의 길이 방향측 일단이 관통한 형태를 가지므로,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밴드(620)의 결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재(630)는, 외피(610)의 내부 공간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외피(6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사용자의 허리를 후방에서 지지한다.
여기서, 형상 유지부재(630)는 외피(610)의 내부 공간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일정 강도를 갖는 수지 계열의 소재를 이용해 일정 넓이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형상 유지부재(630)는 도 6에서처럼 후면이 상하 방향으로 곡률을 형성하면서 후방으로 볼록한 곡면(632)을 형성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재(630)의 곡면(632)은, 사용자의 허리를 후방에서 지지하기 위해 후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형상을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형상 유지부재(630)에는 도 4 내지 6에서처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홀(631)이 전후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통기홀(631)은, 도 4 내지 6에서처럼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 홀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기홀(631)은 허리 지지대(600)의 후면에 사용자의 허리가 밀착되는 경우, 사용자의 인체와 접하는 부분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외피(610)의 후면과 사용자의 인체 사이에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되고, 사용자의 인체와 밀착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허리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형상 유지부재(630)는 외피(610)의 내부로부터 쉽게 삽입 및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연령 등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와 형태로 교체가 가능하다.
즉, 허리 지지대(600)는 몸체(100)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고, 형상 유지부재(630)는 다양한 사이즈와 형태로 교체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연령 등에 관계 없이 다양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7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온열 복대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100)의 접촉면부(110)를 사용자의 복부에 밀착시킨 후, 몸체(100)의 길이 방향측 양단을 상호 부착시켜 몸체(100)를 사용자의 허리에 밴딩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몸체(100)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130)를 상호 부착되므로, 몸체(100)의 길이 방향측 양단이 서로 분리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허리에 감겨진 몸체(100)가 외부로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착용된다.
이 과정에서, 허리 지지대(600)가 사용자의 허리에 위치되도록 위치를 조정한 후, 허리 지지대(600)의 전면을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밀착시킨다.
이때, 허리 지지대(600)의 전면이 사용자의 허리를 전방으로 지지하고, 접촉면부(110)가 사용자의 복부에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온열 복대가 사용자의 허리를 압박하는 상태로 착용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온열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조작스위치(500)의 조작 버튼을 눌러 전력 공급 상태를 온(ON)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전원공급부(400)에 충전된 전력이 발열체(300)로 전달되며, 발열체(300)로부터 발생된 열기와 원적외선이 외부로 발산되어 사용자의 인체에 전달된다.
반면, 사용자가 온열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조작스위치(500)의 조작 버튼을 눌러 전력 공급 상태를 오프(OFF)로 전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전원공급부(400)를 이용해 발열체(300)를 가열하여 열기와 원적외선을 사용자의 복부에 전달 함으로써, 사용자의 요추를 보호할 수 있고, 사용자의 복부에 열기와 원적외선을 집중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므로 온열 복대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활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착용시 위치 조절 가능한 허리 지지대(600)가 사용자의 허리를 전방으로 지지하므로, 사용자의 허리를 대응되는 형태로 지지해줄 수 있어 사용자의 허리 통증을 줄일 수 있고, 허리 지지대(600)가 인체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므로 착용시 사용자의 자세를 바르게 유지시켜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허리 지지대(600)는 다양한 사이즈와 형태로 교체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연령 등에 관계 없이 다양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고, 형상 유지부재에 통기홀이 형성되므로 통기성을 확보를 통해 사용자의 허리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온열 복대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몸체 110: 접촉면부
120: 주머니부 121: 공간부
130: 벨크로 테이프 200: 수납 포켓
210: 수납공간 220: 덮개
230: 체결부재 300: 발열체
400: 전원공급부 500: 조작스위치
600: 허리 지지대 610: 외피
620: 결합 밴드 630: 형상 유지부재
631: 통기홀 632: 곡면
640: 체결부재 700: 전원 케이블
710: 수 접속단자 800: 충전 케이블
810: 암 접속단자

Claims (7)

  1.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사용자의 허리에 밴딩 결합시 후면의 접촉면부가 사용자의 복부에 밀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전면으로 노출된 입구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납 포켓;
    상기 몸체의 내부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력에 의해 발열하여 상기 접촉면부의 후면을 통해 열을 발산시키는 발열체;
    상기 수납 포켓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체와 전원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 및 분리되며,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시 발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 케이블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전면에 결합되며, 온/오프 조작을 통해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발열체의 접속 상태를 전환시키는 조작스위치; 및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측 일단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몸체를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시 후면이 사용자의 허리를 전방으로 지지하는 허리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복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리 지지대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측 일단의 후면에 밀착되고, 상기 몸체를 사용자의 허리에 밴딩 결합시 후면이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는 외피와,
    길이 방향측 양단이 상기 외피의 전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전면을 감싸는 상태에서 위치조절 가능한 결합 밴드 및,
    상기 외피의 내부에 삽입되며, 후면이 상하 방향으로 곡률을 형성하면서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형상 유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복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형상 유지부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복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면에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주머니부가 좌우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부는 상기 발열체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측 양단에는,
    상호 대응되는 전면과 후면에 벨크로 테이프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상기 몸체를 사용자의 허리에 밴딩 결합시 전후 방향에 교차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복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발열시 상기 몸체의 후방을 통해 원적외선을 발산시키기 위해 세라믹(ceramics)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복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은,
    일단이 상기 발열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의 수 접속단자가 상기 수납 포켓의 내부로 노출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에는,
    상기 수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 및 분리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암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기능을 갖는 온열 복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 포켓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몸체의 측부 또는 상부로 개방되는 수납공간과,
    일단이 상기 몸체의 전면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 부위를 전방에서 개폐시키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일면과 상기 몸체의 전면에 대응되게 결합되어 상호 착탈 가능한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복대.
KR1020190020354A 2019-02-21 2019-02-21 온열 복대 KR20200102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354A KR20200102135A (ko) 2019-02-21 2019-02-21 온열 복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354A KR20200102135A (ko) 2019-02-21 2019-02-21 온열 복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135A true KR20200102135A (ko) 2020-08-31

Family

ID=7223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354A KR20200102135A (ko) 2019-02-21 2019-02-21 온열 복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21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137B1 (ko) * 1995-07-27 2003-12-31 에릭슨 인크. 휴대용무선전화와차량키트간의작동및비작동접속을지시하기위한방법및장치
KR20220100750A (ko) 2021-01-08 2022-07-18 주식회사 세방메디칼바이오 원적외선 및 근적외선 방사 밴드
KR20230082151A (ko) 2021-12-01 2023-06-08 전희라 허리 및 골반 교정용 복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137B1 (ko) * 1995-07-27 2003-12-31 에릭슨 인크. 휴대용무선전화와차량키트간의작동및비작동접속을지시하기위한방법및장치
KR20220100750A (ko) 2021-01-08 2022-07-18 주식회사 세방메디칼바이오 원적외선 및 근적외선 방사 밴드
KR20230082151A (ko) 2021-12-01 2023-06-08 전희라 허리 및 골반 교정용 복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1750B1 (en) Belt for acupressure
KR20200102135A (ko) 온열 복대
KR101661239B1 (ko) 무릎용 광, 냉, 온 찜질기
KR101860750B1 (ko) 배터리 팩 옆 걸림이 제거된 온열 복대
KR200473962Y1 (ko) 다기능 온열복대와 이를 이용한 발열의복
KR101982752B1 (ko) 온열 턱마스크
KR102096693B1 (ko) 발열 기능을 가지는 교정조끼
CN112007280A (zh) 颈部皮肤美容仪以及包含其的颈部皮肤美容仪套件
KR200464041Y1 (ko) 발열기능을 가지는 건강 무릎보호대
KR101743176B1 (ko) 저주파 및 온열치료 패드
KR100645978B1 (ko) 저주파 온열 치료기
KR102140663B1 (ko) 저주파 자극밴드
KR200397466Y1 (ko) 요통 치료용 요대
KR101758224B1 (ko) 척추 자세 교정기
KR200268065Y1 (ko) 면상발열체가 내장된 온열 보호대
KR101636144B1 (ko) 전립선 치료기
KR20120077434A (ko) 냉?온찜질이 가능한 허리보호용 복대
KR200244340Y1 (ko) 발열판을 구비한 발열의류
CN210872964U (zh) 温灸颈椎固定器
US20230111867A1 (en) Electrically Heated Wearable Belt for Reducing Fat
KR101749175B1 (ko) 저주파 치료기
KR200264050Y1 (ko) 발열용 복대
CN216933971U (zh) 一种按摩加热一体护具
KR200315273Y1 (ko) 온열용 허리벨트
KR102566002B1 (ko) 코 부착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