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588A - an container for a bulk cargo - Google Patents

an container for a bulk carg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588A
KR20200101588A KR1020190019599A KR20190019599A KR20200101588A KR 20200101588 A KR20200101588 A KR 20200101588A KR 1020190019599 A KR1020190019599 A KR 1020190019599A KR 20190019599 A KR20190019599 A KR 20190019599A KR 20200101588 A KR20200101588 A KR 20200101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loading box
link
wire
bulk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5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0207B1 (en
Inventor
김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동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동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동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019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207B1/en
Publication of KR20200101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5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2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60P1/3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forming the main load-transporting element or par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pivoted arms raisable abov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28Conveyors with a load-conveying surface formed by a single flat bel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a bulk cargo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ntainer for bulk cargo, which can easily move on a conveyor belt even when the cargo is stored in the container, and minimize the volume of a driving part for moving the conveyor belt, thereby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container.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for bulk cargo installed at the rear of a vehicle comprises: a moving partition provided to move back and forth inside the container; and the driving part for moving the moving partition. The driving part includes: a backward movement link part for moving the moving partition backward; a forward movement link part for moving the moving partition forward; and a cylinder installed on a lower part of a lower partition provided on a lower part of the container to control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link parts.

Description

벌크 화물용 적재함{an container for a bulk cargo}A container for a bulk cargo

본 발명은 벌크 화물용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함에 화물이 수용된 상태에서도 컨베이어 벨트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베이어 벨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적재함의 공간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벌크 화물용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ing box for bulk cargo,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easily move a conveyor belt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cargo is accommodated in the loading box, as well as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driving unit for moving the conveyor belt to utilize the space of the loading box It relates to a bulk cargo loading box that can increase efficiency.

일반적으로 벌크 화물(bulk cargo)이란 곡류, 광석 등과 같이 포장하지 않고 입자나 분말상태 그대로 적재함에 싣는 화물(dry bulk cargo) 또는 석유처럼 액체 상태로 용기에 넣지 않은 채 선박이나 차량의 탱크에 싣는 화물(wet bulk cargo)을 말한다.In general, bulk cargo is dry bulk cargo that is not packaged such as grain or ore, but is loaded in a container in the form of particles or powder, or cargo that is loaded in a tank of a ship or vehicle without being placed in a container in a liquid state such as petroleum. (wet bulk cargo).

이 중에서 곡물 또는 곡물의 표피, 톱밥 등과 같은 건조 벌크 화물(dry bulk cargo)을 차량으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덤프트럭을 많이 사용하게 되지만, 이러한 덤프 트럭에 의한 하역 방법은 층고가 낮은 실내에서는 하역작업을 할 수 없고, 화물을 일거에 하역시킴으로서 화물의 파손 염려가 있다.Among them, dump trucks are commonly used to transport dry bulk cargo such as grain or grain skin, sawdust, etc. by vehicle, but the unloading method by such a dump truck is unloading work in indoors with a low floor height. It cannot be done, and there is a risk of damage to the cargo by unloading the cargo at once.

그래서, 이러한 덤프 트럭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적재함에 수용된 벌크 화물을 용이하게 하역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그 일 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12436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모터의 구동에 의한 컨베이어 방식으로 적재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체가 ㄷ자 형태로 연결되어 연동하도록 배치되고, 일부의 링크 플레이트가 롤러로 연결되며, 그 일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면을 구비하는 컨베이어 수단; 상기 컨베이어 수단 중에서 하부체인(24)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지지판(30); 상기 컨베이어 수단 중에서 하부체인(24)의 길이의 1/2에 걸쳐 평행하게 고정되는 받침판(32); 상기 이웃하는 받침판(32)의 틈새로 분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고, 연질의 소재로 굴곡면(35a)을 지니는 파형으로 성형되는 덮개판(35); 및 상기 컨베이어 수단 중에서 하부체인(24)과 상부체인(28)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장착되는 격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various technologies for easily unloading bulk cargo accommodated in a loading box without using such a dump truck have been developed, and as an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echnology described in No. 0012436 was proposed, the technical feature of which is a device that performs loading in a conveyor method by driving a motor: the whole is connected in a U-shape and arranged to interlock, and some link plates are connected by rollers. Conveyor means having a horizontally bent surface at a portion thereof; A support plate 30 installed to prevent sagging of the lower chain 24 among the conveyor means; A support plate 32 fixed in parallel over 1/2 of the length of the lower chain 24 among the conveyor means; A cover plate 35 which is installe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powder through a gap between the adjacent support plate 32 and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into a corrugated shape having a curved surface 35a; And a diaphragm 40 mounted vertically using a lower chain 24 and an upper chain 28 from among the conveyor means.

그런데,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12436호에 기재된 기술은 차량의 적재함의 바닥면을 이동하도록 형성하여 적재나 하역 및 공급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모터를 이용하여 체인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컨베이어 수단의 상부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는 상당한 힘이 필요하므로 모터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거대해진 모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므로 상당한 부피의 추가공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5-0012436 has the advantage of facilitating loading, unloading, and supply by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loading box to move, but the chain is rotated using a motor. In a state in which cargo is loa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veyor means, a considerable amount of power is required, so the size of the motor increases, and accordingly,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normous motor is required, and thus a considerable volume of additional space is required.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1243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1243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함의 내부에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이동 격판 및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되, 이동 격판의 상부는 보조 와이어로 연결하고, 이동 격판의 하부는 전부 메인 와이어와 후부 메인 와이어로 연결하여 이동시 이동 격판이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전부 메인 와이어와 후부 메인 와이어는 적재함의 하부에 구비되는 실린더에 의해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화물이 적재되더라도 실린더의 강한 힘으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벌크 화물용 적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ing plate and a conveyor belt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inside a loading box, but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plate is connected with an auxiliary wire, and All the lower parts are connected with the main wire and the rear main wire so that the moving diaphragm moves stably when moving, and all the main wire and the rear main wire are moved by a cylinder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ading box, so that cargo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veyor belt. It is to provide a loading box for bulk cargo that can be stably moved with the strong force of the cylinder even if it is loaded.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린더를 각 와이어들의 사이에 설치하고, 도르래 원리를 역으로 활용하여 실린더의 로드가 이동한 거리의 2배를 이동 격판이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각 와이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의 최대한 확보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벌크 화물용 적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cylinder between each wire, and reversely utilize the pulley principle to allow the moving diaphragm to move twice the distance the rod of the cylinder has moved, thereby moving each wire. It is to provide a loading box for bulk cargo that can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cargo box to secure the maximum space for loading cargo.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is;

차량의 후부에 설치되는 벌크 화물용 적재함에 있어서, 적재함의 내부에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 격판과, 상기 이동 격판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loading box for bulk cargo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ving diaphragm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inside the loading box, and a driving part for moving the moving diaphragm.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격판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후방 이동링크부와, 상기 이동 격판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전방 이동링크부와, 적재함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격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 이동링크부와 후방 이동링크부를 제어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driving unit is installed under the rear moving link unit for moving the moving plate to the rear, the front moving link unit for moving the moving plate to the front, and the lower plat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loading box, and the front moving link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ylinder for controlling the unit and the rear moving link unit.

그리고, 상기 전방 이동링크부는, 일측 단부는 상기 이동 격판의 전방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적재함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는 제1 전방 메인 롤러와 상기 실린더의 전단 일측에 구비되는 제1실린더 롤러에 의해 순차적으로 방향전환되어 적재함의 전면에 고정되는 전방 메인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ront moving link par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moving diaphragm, the other end is by a first front main roller installed at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box and a first cylinder roller provided at a front end side of the cylin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ront main wire that is sequentially switched and fixed to the front of the loading box.

이때, 상기 후방 이동링크부는, 일측 단부는 상기 이동 격판의 후방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적재함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는 후방 메인 롤러에 의해 방향전환되어 하부 격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링크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링크 와이어와, 일측 단부는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실린더의 전단 타측에 구비되는 제2실린더 롤러에 의해 방향전환되어 적재함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후방 메인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rear moving link par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moving plate, the other end is provided to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to be moved back and forth by being redirected by a rear main roller installed in the rear lower part of the loading box. A link wire connected to the link plate,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link plate,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redirected by a second cylinder roll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cylinder, and a rear main wir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box.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또한, 상기 전방 이동링크부에는 서포트 와이어가 더 구비되되, 상기 서포트 와이어의 일측 단부는 이동 격판의 후방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1 전방 메인 롤러의 측부에 구비되는 제2 전방 메인 롤러에 의해 방향전환되어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upport wire is further provided in the front moving link, one end of the support wire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moving diaphragm,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by a second front main roll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front main roll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 is switched and connected to the link plate.

여기서, 상기 하부 격판의 상부에는 컨베이어 벨트가 더 구비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일측 단부는 상기 이동 격판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후방 메인 롤러에 의해 방향전환되어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후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conveyor belt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diaphragm, wherein one end of the conveyor bel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oving diaphragm,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link plate by being redirected by the rear main roll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한편,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격판 상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보조 와이어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보조 와이어는 상기 이동 격판의 상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1보조 와이어와, 상기 이동 격판의 상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2보조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e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wire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upper moving plate, the auxiliary wire is a first auxiliary wire for mov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late forward, and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plate is moved backwar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second auxiliary wire.

여기서, 상기 제1보조 와이어는 일측 단부는 상기 이동 격판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적재함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는 제1상부전방롤러와 전방 하부에 구비되는 제1전방하부롤러에 의해 방향전환되어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rst auxiliary wire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late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turned by a first upper front roller provided at the front upper part of the loading box and a first front lower part roller provided at the front lower par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link plate.

이때, 상기 제2보조 와이어는 일측 단부는 상기 이동 격판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적재함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후방롤러, 상기 제1상부전방롤러의 후방 하부에 구비되는 제2상부전방롤러 및 상기 제1하부전방롤러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는 제2하부전방롤러에 의해 방향전환되어 상기 이동 격판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auxiliary wire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diaphragm, and the other end is an upper rear roller provided at the rear upper part of the loading box, and a second upper front roller provided at the rear lower part of the first upper front roller And a second lower front roller provided at a rear upper portion of the first lower front roller to b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oving diaphragm.

그리고, 상기 후방 메인 롤러의 양측에는 컨베이어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후방 보조 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rear auxiliary rollers for supporting the conveyor belt are furth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main roller.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함의 내부에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이동 격판 및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되, 이동 격판의 상부는 보조 와이어로 연결하고, 이동 격판의 하부는 전부 메인 와이어와 후부 메인 와이어로 연결하여 이동시 이동 격판이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전부 메인 와이어와 후부 메인 와이어는 적재함의 하부에 구비되는 실린더에 의해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화물이 적재되더라도 실린더의 강한 힘으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moving plate and a conveyor belt are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in the loading box, and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plate is connected with an auxiliary wire, and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plate is all formed of a main wire and a rear main wire. By connecting and moving the moving plate stably, the main wire and the rear main wire are all moved by a cylinder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ading box, so that even if cargo is loaded on the top of the conveyor belt, it moves stably with the strong force of the cylind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de.

그리고, 본 발명은 실린더를 각 와이어들의 사이에 설치하고, 도르래 원리를 역으로 활용하여 실린더의 로드가 이동한 거리의 2배를 이동 격판이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각 와이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의 최대한 확보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cylinder between the wires and reverses the pulley principle to allow the moving diaphragm to move twice the distance the rod of the cylinder has moved, there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drive unit for moving each wire. By minimizing it, it is possible to secure as much space as possible to load cargo in the loading box, thereby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도 1은 종래의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주요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후방 이동링크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후방 이동링크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전방 이동링크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전방 이동링크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서포트 와이어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보조 와이어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전방에 구비되는 롤러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전방에서 바라본 시점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컨베이어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컨베이어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각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되는 길이조절부의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tional bulk cargo loading box.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conventional bulk cargo loading box.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rear moving link portion of the bulk cargo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rear moving link part of a bulk cargo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front moving link portion of the bulk cargo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front moving link part of a bulk cargo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support wire of the bulk cargo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auxiliary wire of the bulk cargo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view as viewed from the front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roller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bulk cargo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nveyor of the bulk cargo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11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nveyor of the bulk cargo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1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length adjustment unit provided at an end of each wire of a bulk cargo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elements are omitted.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number of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후방 이동링크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후방 이동링크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전방 이동링크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전방 이동링크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서포트 와이어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보조 와이어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전방에 구비되는 롤러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전방에서 바라본 시점의 개념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컨베이어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컨베이어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벌크 화물용 적재함의 각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되는 길이조절부의 개념도이다.3 is a side view showing the rear moving link part of the bulk cargo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ar moving link part of the bulk cargo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for bulk carg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showing the front moving link part of the loading box,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front moving link part of the bulk cargo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support wire of the bulk cargo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auxiliary wire of the bulk cargo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onceptual view as viewed from the front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rollers provided in front of the bulk cargo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nveyor of the bulk cargo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11 is a plan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conveyor of the bulk cargo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FIG. 12 is a view of the bulk cargo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length adjustment unit provided at the end of each wire.

본 발명은 차량의 후부에 설치되어 벌크용 화물을 적재하는 벌크 화물용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적재함(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격판(200)과 상기 이동 격판(200)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lk cargo loading box tha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a vehicle to load bulk cargo. As shown in FIGS. 3 to 12, the configuration is provided inside the loading box 100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It comprises a moving diaphragm 200 and a driving part for moving the moving diaphragm 200.

그래서, 적재함(100) 내부에 수용되는 톱밥, 자갈, 석탄, 광석 등의 벌크 화물을 하역할 때, 상기 이동 격판(200)을 후부로 이동시켜 벌크 화물을 용이하게 하역할 수 있게 된다.Thus, when unloading bulk cargo such as sawdust, gravel, coal, ore,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loading box 100, the moving diaphragm 200 is moved to the rear so that the bulk cargo can be easily unloaded.

그리고, 상기 이동 격판(200)은 하부에 대차(210)가 구비되고, 상기 대차(210)의 하부에는 제1이동롤러(212)가 구비되어 적재함(100)의 내부에서 용이하게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movable plate 200 is provided with a bogie 210 at a lower portion, and a first movable roller 212 is provided under the bogie 210 so that it can be easily moved back and forth within the loading box 100. do.

여기서, 상기 이동 격판(200)을 제어하는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격판(20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후방 이동링크부와 상기 이동 격판(20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전방 이동링크부와 적재함(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격판(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 이동링크부와 후방 이동링크부를 제어하는 실린더(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Here, the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moving plate 200, a rear moving link unit for moving the moving plate 200 to the rear, and a front moving link unit for moving the moving plate 200 to the front, and a loading box 100 It comprises a cylinder 300 installed under the lower diaphragm 11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er 300 to control the front moving link portion and the rear moving link portion.

이때, 상기 전방 이동링크부의 일측 단부는 상기 이동 격판(200)의 전방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적재함(10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는 제1 전방 메인 롤러(610)와 상기 실린더(300)의 전단 일측에 구비되는 제1실린더 롤러(310)에 의해 순차적으로 방향전환되어 적재함(100)의 전면에 고정되는 전방 메인 와이어(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front moving link part is connected to the lower front of the moving diaphragm 200, and the other end is the first front main roller 610 and the cylinder 300 installed in the front lower part of the loading box 100. It consists of a front main wire 510 which is sequentially switched by a first cylinder roller 31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end and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loading box 100.

그래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300)의 로드(305)가 인출된 상태에서 실린더(300)의 내부로 삽입되게 되면, 상기 전방 이동링크부를 구성하는 전방 메인 와이어(510)는 상기 제1실린더 롤러(310)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상기 제1 전방 메인 롤러(610)에 의해 후방으로 방향전환된 전방 메인 와이어(510)의 단부는 전방으로 이동히게 됨으로써, 전방 메인 와이어(510)의 단부에 연결된 이동 격판(200)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So, as shown in Figs. 5 and 6, when the rod 305 of the cylinder 300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300 in the withdrawn state, the front main wire constituting the front moving link unit ( 510 is pulled rearward by the first cylinder roller 310, and the end of the front main wire 510 turned to the rear by the first front main roller 610 is moved forward, The moving diaphragm 200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ront main wire 510 is moved forward.

한편, 상기 전방 메인 와이어(510)의 일측 단부는 적재함(100)의 전면 하단에 연결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을 위한 추가적인 롤러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고, 적재함(100)의 전면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front main wire 510 is connected to the lower front of the loading box 100, and may be fixed using an additional roller for direction change as shown in the drawing, or the front of the loading box 100 It can also be fixed directly on.

여기서, 각 와이어(510,520,530,540,550)의 단부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부(800)가 구비되는데, 상기 길이조절부(800)는 적재함(100)에 고정되는 연결 브라켓(820)과 각 와이어(510,520,530,540,550)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봉(810)과 상기 연결 브라켓(820)의 단부로 돌출되는 연결봉(810)에 나사결합되는 너트(830)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end of each wire (510, 520, 530, 540, 550) is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ment unit 800, as shown in Figure 12, the length adjustment unit 800 is a connection bracket 820 fixed to the loading box 100 and each A connection rod 810 connected to an end of the wires 510, 520, 530, 540, and 550 and a nut 830 screwed to a connection rod 810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connection bracket 820.

그래서, 상기 길이조절부(800)에 의해 상기 전방 메인 와이어(51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전방 메인 와이어(510)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실린더(300)의 제어에 의해 이동 격판(200)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So,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ront main wire 510 by the length adjustment unit 800, the tension of the front main wire 51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so that the moving diaphragm 20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the cylinder 300. ) Can be moved stably.

그리고, 상기 후방 이동링크부는, 일측 단부는 상기 이동 격판(200)의 후방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적재함(100)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는 후방 메인 롤러(630)에 의해 방향전환되어 링크 플레이트(400)에 연결되는 링크 와이어(540)와, 일측 단부는 상기 링크 플레이트(40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실린더(300)의 전단 타측에 구비되는 제2실린더 롤러(320)에 의해 방향전환되어 적재함(100)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후방 메인 와이어(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d, the rear moving link par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moving diaphragm 200, the other end is changed direction by the rear main roller 630 installed in the rear lower part of the loading box 100, the link plate ( A link wire 540 connected to 40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ink plate 400, and the other end is redirected by a second cylinder roller 32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cylinder 300. It comprises a rear main wire 520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box 100.

이때, 상기 제1실린더 롤러(310)와 제2실린더 롤러(320)는 실린더(300)의 전부에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로드(305)의 전단에 좌우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회전축(307)의 양단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실린더(300)의 제어에 의해 동시에 전후로 이동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cylinder roller 310 and the second cylinder roller 320 are at both ends of the rotation shaft 307 provided to penetrate left and right at the front end of the rod 305 provided to be drawn out to the entire cylinder 300, respectively. By being provided, it is moved back and forth at the same time under the control of the cylinder 300.

여기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400)는 적재함(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격판(110)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실린더(3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적재함(100)의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상기 하부 격판(110)의 하부 양측면에는 적재함(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20)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 플레이트(40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돌부(410)에 삽입됨으로써, 링크 플레이트(400)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link plate 400 is provided under the lower diaphragm 110 located under the loading box 100, and is located above the cylinder 300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of the loading box 100. , Guide grooves 120 are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oading box 100 on both lower side surfaces of the lower diaphragm 110, and are inserted into guide protrusions 410 formed at both ends of the link plate 400, The link plate 400 can move stably.

그래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300)의 로드(305)가 실린더(300)에서 인출되게 되면, 상기 후방 이동링크부를 구성하는 후방 메인 와이어(520)는 상기 제2실린더 롤러(320)에 의해 전방으로 당겨지게 되어, 상기 후방 메인 와이어(520)의 단부에 연결된 링크 플레이트(40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So, as shown in Figs. 3 and 4, when the rod 305 of the cylinder 300 is pulled out from the cylinder 300, the rear main wire 520 constituting the rear moving link unit is the second By being pulled forward by the cylinder roller 320, the link plate 400 connected to the end of the rear main wire 520 is moved forward.

그에 따라 상기 링크 플레이트(400)의 후부에 연결되는 링크 와이어(540) 역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후방 메인 롤러(630)에 의해 방향전환된 링크 와이어(540)의 단부에 연결된 상기 이동 격판(200)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the link wire 540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link plate 400 also moves forward, and the moving plat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link wire 540 redirected by the rear main roller 630 ( 200) moves backward.

따라서, 상기 실린더(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방 이동링크부와 후방 이동링크부가 작동하여 이동 격판(200)이 용이하게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front moving link unit and the rear moving link unit are operated by the control of the cylinder 300 so that the moving diaphragm 200 can easily move back and forth.

그리고, 상기 제1실린더 롤러(310)는 상기 제1 전방 메인 롤러(610)와 길이조절부(80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전방 메인 와이어(510)가 걸림지지됨으로써, 도르래의 원리가 전방 메인 와이어(510)에 적용되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cylinder roller 310 is supported by the front main wire 51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ront main roller 610 and the length adjustment unit 800, so that the principle of the pulley is the front main wire. It applies to (510).

즉, 상기 제1실린더 롤러(310)가 상기 실린더(300)의 로드(305)에 의해 1m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실린더 롤러(310)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전방 메인 와이어(510)는 각각 1m씩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제1 전방 메인 롤러(610)에 의해 방향전환된 부분은 2m가 이동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first cylinder roller 310 is moved 1m by the rod 305 of the cylinder 300, the front main wires 510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first cylinder roller 310 are respectively Since the movement is performed by 1m, the portion changed direction by the first front main roller 610 moves 2m.

물론, 도르래의 원리는 전방 이동링크부뿐만 아니라 후방 이동링크부에도 적용되게 된다.Of course, the principle of the pulley is applied not only to the front moving link unit but also to the rear moving link unit.

따라서, 적재함(100)의 전부에서 후부까지 이동 격판(200)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실린더(300)의 로드(305)는 적재함(100)의 길이의 반만 이동하면 되므로 구동부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적재함(100)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의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적재함(100)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move the moving plate 200 from the front of the loading box 100 to the rear part, the rod 305 of the cylinder 300 only needs to move half the length of the loading box 100, so the volume of the driving unit is minimized and the loading box 100 ) By securing the maximum space for loading cargo,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loading box (100).

또한, 상기 전방 이동링크부에는 서포트 와이어(530)가 더 구비되는데,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 와이어(530)의 일측 단부는 이동 격판(200)의 후방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1 전방 메인 롤러(610)의 측부에 구비되는 제2 전방 메인 롤러(620)에 의해 방향전환되어 상기 링크 플레이트(400)에 연결된다.In addition, the front moving link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wire 530, as shown in Figs. 5 and 8, one end of the support wire 530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moving diaphragm 200 and the other side The end is connected to the link plate 400 by being redirected by a second front main roller 62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front main roller 610.

이때, 상기 이동 격판(200)과 링크 플레이트(400)의 일측은 상기 서포트 와이어(530)로 연결이 되고, 타측은 후방 이동링크부를 구성하는 링크 와이어(540)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서포트 와이어(530)와 링크 와이어(540)는 서로 동일하게 움직이게 된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movable diaphragm 200 and the link plate 400 is connected by the support wire 53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by a link wire 540 constituting the rear moving link unit, so the support wire 530 ) And the link wire 540 are moved equally to each other.

따라서, 상기 실린더(300)에 의해 제1 실린더 롤러(31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이동 격판(200)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링크 와이어(540)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40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링크 플레이트(400)의 전방에 연결되는 상기 서포트 와이어(530)가 다시 이동 격판(200)을 당겨주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irst cylinder roller 310 moves rearward by the cylinder 300 and the moving partition plate 200 moves forward, the link plate 400 moves rearward by the link wire 540. Accordingly, the support wire 530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link plate 400 pulls the moving diaphragm 200 again.

그래서, 상기 서포트 와이어(530)는 상기 전방 메인 와이어(510)의 외측에 위치함으로써, 전방 메인 와이어(510)는 이동 격판(200)의 중심부를 당겨주게 되고, 상기 서포트 와이어(530)에 의해 이동 격판(200)의 외측을 당겨주게 되어 이동 격판(200)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So, the support wire 530 is located outside the front main wire 510, so that the front main wire 510 pulls the center of the moving diaphragm 200, and is moved by the support wire 530 The outside of the diaphragm 200 is pulled so that the moving diaphragm 200 can stably move forward without shaking.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이동 격판(200)의 상부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보조 와이어(55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보조 와이어(550)는 상기 이동 격판(200)의 상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1보조 와이어(552)와 상기 이동 격판(200)의 상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2보조 와이어(554)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wire 550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late 200, the auxiliary wire 550 is a first to move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late 200 forward. It consists of an auxiliary wire 552 and a second auxiliary wire 554 for mov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diaphragm 200 to the rear.

여기서, 상기 제1보조 와이어(552)의 일측 단부는 상기 이동 격판(20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적재함(100)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는 제1상부전방롤러(640)와 전방 하부에 구비되는 제1전방하부롤러(660)에 의해 방향전환되어 상기 링크 플레이트(400)에 연결된다.Here, one end of the first auxiliary wire 552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late 200, and the other end is a first upper front roller 640 and a front lower part provided in the front upper part of the loading box 100 The direction is switched by the first front lower roller 660 provided in the link plate 400 and connected to the link plate 400.

그래서, 상기 실린더(300)의 작용에 의해 이동 격판(200)이 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링크 플레이트(400)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링크 플레이트(400)에 연결된 제1보조 와이어(552)에 의해 이동 격판(200)의 상부 역시 전방으로 당겨지게 됨으로써, 이동 격판(200)의 하부와 상부 모두 안정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So, when the moving diaphragm 200 is moved forward by the action of the cylinder 300, the link plate 400 moves backward, so that the first auxiliary wire 552 connected to the link plate 400 ),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diaphragm 200 is also pulled forward, so that both the lower and upper parts of the moving diaphragm 200 can be stably moved forward.

또한, 상기 제2보조 와이어(554)의 일측 단부는 상기 이동 격판(20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적재함(100)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후방롤러(680), 상기 제1상부전방롤러(640)의 후방 하부에 구비되는 제2상부전방롤러(650) 및 상기 제1하부전방롤러(660)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는 제2하부전방롤러(670)에 의해 방향전환되어 상기 이동 격판(200)의 전방 하부에 연결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econd auxiliary wire 554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diaphragm 200, and the other end is an upper rear roller 680 provided at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box 100, the first upper part The direction is changed by the second upper front roller 650 provided in the rear lower part of the front roller 640 and the second lower front roller 670 provided in the rear upper part of the first lower front roller 660 to move the It is connected to the front and lower portions of the diaphragm 200.

따라서, 상기 실린더(300)의 작용에 의해 이동 격판(200)이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이동 격판(200)의 전방 하부에 연결된 제2보조 와이어(554)가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제2보조 와이어(554)의 타측 단부가 연결된 이동 격판(200)의 상부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이동 격판(200)의 하부와 상부 모두 안정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moving diaphragm 200 is moved to the rear by the action of the cylinder 300, the second auxiliary wire 554 connected to the front and lower portions of the moving diaphragm 200 is pulled, and accordingly, the second auxiliary wire 554 is pulled. By mov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late 200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wire 554 is connected to the rear, both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moving plate 200 can stably move backward.

한편, 상기 하부 격판(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실린더(300)는 하나만 설치할 수도 있으나, 적재함(100)의 폭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설치하여 좌우에 동일하게 힘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격판(200)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only one cylinder 300 provided under the lower diaphragm 110 may be installed, it is install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ading box 100 so that the same force i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The moving diaphragm 200 can move stably without shaking.

이때, 상기 서포트 와이어(530), 링크 와이어(540) 및 보조 와이어(550) 역시 다수 개를 설치하되, 적재함(100)의 폭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설치하여 이동 격판(200)의 좌우에 동일하게 힘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격판(200)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support wire 530, the link wire 540, and the auxiliary wire 550 are also installed in a plurality, but symmetrically install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ading box 100 By applying the same force to the left and right, the moving diaphragm 200 can move stably without shaking.

그리고, 상기 하부 격판(110)의 상부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7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컨베이어 벨트(70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이동 격판(200)의 전방 하단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후방 메인 롤러(630)에 의해 방향전환되어 상기 링크 플레이트(400)의 후단에 연결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0 and 11, a conveyor belt 700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diaphragm 110, and one end of the conveyor belt 700 is a front of the moving diaphragm 200.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and the other end is turned by the rear main roller 630 to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link plate 400.

여기서, 상기 후방 메인 롤러(630)의 양측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700)의 전체 폭을 지지하기 위하여 후방 보조 롤러(690)가 더 구비된다.Here, rear auxiliary rollers 690 are furth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main roller 630 to support the entire width of the conveyor belt 700.

이때, 상기 링크 와이어(540) 역시 하부 격판(110)의 상부에 위치하는데, 상기 컨베이어 벨트(700)가 링크 와이어(54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벌크 화물이 적재함(100)에 적재될 때, 상기 컨베이어 벨트(700)의 상부에 적재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link wire 540 is also located above the lower diaphragm 110, and the conveyor belt 700 is provid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link wire 540, so that the bulk cargo is to be loaded in the loading box 100. At this time, it is loaded on the top of the conveyor belt 700.

따라서, 상기 실린더(300)의 제어에 의해 이동 격판(2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때, 컨베이어 벨트(700)도 동시에 이동하게 됨으로써, 적재함(100) 내부에 수용된 벌크 화물의 하역시에 보다 용이하게 하역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moving diaphragm 200 moves forward or backward by the control of the cylinder 300, the conveyor belt 700 also moves at the same time, making it easier to unload the bulk cargo contained in the loading box 100. You will be able to unload i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scope substantially equal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본 발명은 벌크 화물용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함에 화물이 수용된 상태에서도 컨베이어 벨트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베이어 벨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적재함의 공간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벌크 화물용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ing box for bulk cargo,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easily move a conveyor belt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cargo is accommodated in the loading box, as well as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driving unit for moving the conveyor belt to utilize the space of the loading box. It relates to a bulk cargo loading box that can increase efficiency.

100 : 적재함 200 : 이동 격판
300 : 실린더 400 : 링크 플레이트
510 : 전방 메인 와이어 520 : 후방 메인 와이어
530 : 서포트 와이어 540 : 링크 와이어
550 : 보조 와이어 610 : 제1 전방 메인 롤러
620 : 제2 전방 메인 롤러 630 : 후방 메인 롤러
640 : 제1상부전방롤러 650 : 제2상부전방롤러
660 : 제1하부전방롤러 670 : 제2하부전방롤러
680 : 상부후방롤러 690 : 후방 보조 롤러
700 : 컨베이어 벨트
100: loading box 200: moving plate
300: cylinder 400: link plate
510: front main wire 520: rear main wire
530: support wire 540: link wire
550: auxiliary wire 610: first front main roller
620: second front main roller 630: rear main roller
640: first upper front roller 650: second upper front roller
660: first lower front roller 670: second lower front roller
680: upper rear roller 690: rear auxiliary roller
700: conveyor belt

Claims (10)

차량의 후부에 설치되는 벌크 화물용 적재함에 있어서,
적재함의 내부에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 격판과,
상기 이동 격판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화물용 적재함.
In the bulk cargo loading box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 moving diaphragm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inside the loading box,
A loading box for bulk cargo,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oving diaphrag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격판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후방 이동링크부와,
상기 이동 격판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전방 이동링크부와,
적재함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격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 이동링크부와 후방 이동링크부를 제어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화물용 적재함.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unit and a rear moving link unit for moving the moving diaphragm to the rear,
A front moving link part for moving the moving diaphragm forward,
A loading box for bulk cargo,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ylinder installed below a lower partition plate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box to control the front moving link part and the rear moving link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이동링크부는, 일측 단부는 상기 이동 격판의 전방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적재함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는 제1 전방 메인 롤러와 상기 실린더의 전단 일측에 구비되는 제1실린더 롤러에 의해 순차적으로 방향전환되어 적재함의 전면에 고정되는 전방 메인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화물용 적재함.
The method of claim 2,
The front moving link par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moving diaphragm, the other end is sequentially by a first front main roller installed at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box and a first cylinder roller provided at the front end side of the cylinder. A loading box for bulk cargo,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ront main wire that is turned and fixed to the front of the loading box.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이동링크부는, 일측 단부는 상기 이동 격판의 후방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적재함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는 후방 메인 롤러에 의해 방향전환되어 하부 격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링크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링크 와이어와,
일측 단부는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실린더의 전단 타측에 구비되는 제2실린더 롤러에 의해 방향전환되어 적재함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후방 메인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화물용 적재함.
The method of claim 3,
The rear moving link par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moving plate, the other end is a link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by being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late by being redirected by a rear main roller installed at the rear lower part of the loading box A link wire connected to the plat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ink plate and the other end is directed by a second cylinder roll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cylinder, and comprises a rear main wir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Loading box.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이동링크부에는 서포트 와이어가 더 구비되되,
상기 서포트 와이어의 일측 단부는 이동 격판의 후방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1 전방 메인 롤러의 측부에 구비되는 제2 전방 메인 롤러에 의해 방향전환되어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화물용 적재함.
The method of claim 4,
The front moving link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wire,
One end of the support wire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moving diaphragm,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wire is redirected by a second front main roll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front main roller to be connected to the link plate. Dragon loading box.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격판의 상부에는 컨베이어 벨트가 더 구비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일측 단부는 상기 이동 격판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후방 메인 롤러에 의해 방향전환되어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후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화물용 적재함.
The method of claim 4,
A conveyor belt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diaphragm,
One end of the conveyor bel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oving diaphragm, and 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belt is redirected by the rear main roller to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link p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격판 상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보조 와이어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보조 와이어는 상기 이동 격판의 상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1보조 와이어와,
상기 이동 격판의 상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2보조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화물용 적재함.
The method of claim 2,
The driving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wire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upper moving plate,
The auxiliary wire is a first auxiliary wire for mov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diaphragm forward,
A loading box for bulk cargo,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second auxiliary wire for mov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late to the rea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 와이어는 일측 단부는 상기 이동 격판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적재함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는 제1상부전방롤러와 전방 하부에 구비되는 제1전방하부롤러에 의해 방향전환되어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화물용 적재함.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auxiliary wire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diaphragm,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turned by a first upper front roller provided in the front upper part of the loading box and a first front lower part roller provided in the front lower part. Bulk cargo loading box,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pla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 와이어는 일측 단부는 상기 이동 격판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적재함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후방롤러, 상기 제1상부전방롤러의 후방 하부에 구비되는 제2상부전방롤러 및 상기 제1하부전방롤러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는 제2하부전방롤러에 의해 방향전환되어 상기 이동 격판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화물용 적재함.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auxiliary wire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plate and the other end part is an upper rear roller provided at a rear upper part of the loading box, a second upper front roller provided at a rear lower part of the first upper front roller, and the A loading box for bulk cargo,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 is switched by a second lower front roller provided at a rear upper portion of the first lower front roller a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oving diaphrag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메인 롤러의 양측에는 컨베이어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후방 보조 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화물용 적재함.
The method of claim 6,
A loading box for bulk cargo, further comprising rear auxiliary rollers for supporting the conveyor belt on both sides of the rear main roller.
KR1020190019599A 2019-02-20 2019-02-20 an container for a bulk cargo KR1022202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599A KR102220207B1 (en) 2019-02-20 2019-02-20 an container for a bulk carg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599A KR102220207B1 (en) 2019-02-20 2019-02-20 an container for a bulk carg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588A true KR20200101588A (en) 2020-08-28
KR102220207B1 KR102220207B1 (en) 2021-02-25

Family

ID=72292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599A KR102220207B1 (en) 2019-02-20 2019-02-20 an container for a bulk cargo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20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514B1 (en) * 2020-12-10 2021-06-02 오동현 Conveyor trucks
DE102021120781A1 (en) 2020-08-13 2022-02-17 Sk Innovation Co., Ltd. BATTERY MODU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2436A (en) 2003-07-25 2005-02-02 주식회사 라이브맥 Construction of a moving floor for loading and feed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2436A (en) 2003-07-25 2005-02-02 주식회사 라이브맥 Construction of a moving floor for loading and feed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20781A1 (en) 2020-08-13 2022-02-17 Sk Innovation Co., Ltd. BATTERY MODULE
KR102260514B1 (en) * 2020-12-10 2021-06-02 오동현 Conveyor truc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207B1 (en)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0207B1 (en) an container for a bulk cargo
US3578186A (en) Vehicle unloader
US4402392A (en) Portable belt conveyor, particularly a plate belt conveyor for crushing plants
CN103786624B (en) A kind of bulk goods formula semitrailer is combined easing gear
US20120219394A1 (en) Light-weight live-floor module for trailers
US2916169A (en) Pallet conveyor for a trailer
US5273390A (en) Truck bed insert having power unloading blade
CN115556836A (en) Bulkhead structure of vehicle loading box
KR20050012436A (en) Construction of a moving floor for loading and feeding device
US2359889A (en) Coal mine haulage vehicle
WO19950231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rticles to be transported into a transport space
KR101045466B1 (en) Cargo box of dump apparatus with attachable and detachable
CN102107757A (en) Bulk grain container
JP2015000696A (en) Cargo handling vehicle for long load transport and for container transport
KR102586221B1 (en) Self-loader
JP7233996B2 (en) Bulk item unloading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for bulk item unloading device
KR102260514B1 (en) Conveyor trucks
JP2020158237A (en) Bulk cargo unloading device
CN209161399U (en) A kind of support plate regulating mechanism that multifunctional assembling is unloaded
KR200309672Y1 (en) Loading Box Structure of Truck
RU2181685C2 (en) High-angle belt conveyor
CN110371498B (en) Sliding door assembly and container with same
CN201808501U (en) Automatic biomass moulding fuel unloading device and carriage with the same
KR200152262Y1 (en) Truck bed structure for dump truck
KR20070045079A (en) Container vehicle for supplying and transporting the g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