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486A - 인공지능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486A
KR20200101486A KR1020190010728A KR20190010728A KR20200101486A KR 20200101486 A KR20200101486 A KR 20200101486A KR 1020190010728 A KR1020190010728 A KR 1020190010728A KR 20190010728 A KR20190010728 A KR 20190010728A KR 20200101486 A KR20200101486 A KR 20200101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monitoring
area
photograp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4304B1 (ko
Inventor
주형국
박종일
최규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0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304B1/ko
Priority to PCT/KR2020/000463 priority patent/WO2020159100A1/en
Priority to US17/310,349 priority patent/US20220105631A1/en
Priority to EP20749395.8A priority patent/EP3917725A4/en
Publication of KR20200101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7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 G05D1/027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satellite positioning signals, e.g. G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25J9/1666Avoiding collision or forbidden z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 B25J9/1697Vision controlled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7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 G05D1/02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a RF signal
    • G05D1/028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a RF signal generated in a local control ro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주행 영역을 감시하는 감시 수단으로부터 제공받은 촬영 정보를 근거로 감시 대상 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하도록 본체의 주행 및 촬영부의 촬영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상기 주행 영역을 감시하는 인공지능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지능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ARTIFICIAL INTELLIGENCE LAWN MOVER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주행 영역을 자율주행하는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로봇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소정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자동으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동 로봇은 구역 내에 설치된 장애물을 감지하여 장애물에 접근하거나 회피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동 로봇은 영역을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로봇은 물론 영역의 바닥면의 잔디를 깎는 이동 로봇이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로봇 장치는 사용자가 탑승하여 사용자의 운전에 따라 이동하면서 바닥의 잔디를 깎거나 풀을 제초하는 승용형 장치와, 사용자가 수동으로 끌거나 밀어서 이동하면서 잔디를 깎는 워크비하인드타입 또는 핸드타입의 장치가 있다. 이러한 이동 로봇 장치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에 의해 이동하며 잔디를 깎는 것으로 사용자의 직접 장치를 작동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에 따라 이동 로봇에 잔디를 깎을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이동 로봇형의 이동 로봇 장치가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잔디 깎기용 이동 로봇(잔디 깎기)의 경우 실내가 아닌 실외에서 동작하므로, 실내 환경을 주행하는 이동 로봇에 비해 넓은 영역을 주행하게 된다. 실내의 경우 지면이 단조롭고, 주행에 영향을 주는 지형/지물 등의 요인이 한정적이나, 실외의 경우 열린 공간이므로 주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다양하고, 또한 지형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이러한 실외 환경을 주행하는 이동 로봇은, 주행 영역을 자율주행하며 주행 영역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데, 이를테면 주행 영역을 침입하는 침입자를 감시하거나, 주행 영역 상의 구조물의 소손 등을 감시할 수 있다. 그러나, 넓은 영역으로 이루어진 실외 환경의 특성상 감시를 위한 이동 로봇의 감시 경로의 설정이 이루어지기 어려웠으며, 이로 인해 실외 환경의 감시 자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 10-2018-0098891(공개일: 2018년09월05일)(이하, 선행문헌이라 칭한다)에는 실내 공간 내에서 특정 위치를 감시하도록 주행하는 이동 로봇이 개시되어있는데, 이러한 선행문헌에 개시된 이동 로봇은 실내 환경을 주행하는 이동 로봇에 제한되어, 야외 환경을 주행하는 잔디 깎기용 이동 로봇에 적용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즉, 선행문헌은 야외 환경에 따른 요인 및 제약이 고려되지 않아, 야외 환경 상의 구조물을 고려한 주행 제어는 제시하지 못하였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잔디 깎기용 이동 로봇 기술에서는 넓은 야외 환경 중 침입의 우려가 높은 영역을 적절하게 감시하는 기술이 제안되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해 주행 영역의 안전성 및 보안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동 로봇 기술 전반에서도 이러한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 또한 제안되지 못하여, 동적 장애물에 의한 제약을 해결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를 개선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주행 영역을 감시하는 감시 수단과 연동하여 주행 영역을 감시할 수 있는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침입의 우려가 높은 감시 수단의 사각 영역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주행 영역 전반에 대한 공백 없는 감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주행 영역 상에 설치된 타 감시 수단과의 통신을 통해 주행 영역을 감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적용하여 상기 주행 영역을 감시하는 모드로 동작, 또는 상기 주행 영역을 감시하는 모드로 주행 제어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주행 영역을 감시하는 타 감시 수단과 통신하여 상기 감시 수단의 촬영 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근거로 감시 대상 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하도록 주행 및 촬영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은, 감시 수단으로부터 제공받은 촬영 정보를 근거로 감시 대상 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하도록 상기 본체의 주행 및 상기 촬영부의 촬영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상기 주행 영역을 감시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와 같은 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은, 감시 수단의 사각 지대에 대한 감시가 이루어지며 주행 영역을 효율적으로 감시하게 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은, 이동 로봇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동 로봇의 영역 감시 방법/영역 감시를 위한 제어 방법, 또는 인공지능을 적용한 이동 로봇,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영역을 감시하는 방법 등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의 실시 예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은, 본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본체의 주변을 촬영하여 상기 본체의 주행 영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주행 영역에 설치된 감시 수단과 통신하여 상기 감시 수단의 촬영 정보를 전송받는 통신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의 주행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영역을 감시하여 주행하는 감시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촬영 정보를 근거로 감시 대상 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하도록 상기 본체의 주행 및 상기 촬영부의 촬영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상기 주행 영역을 감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은, 본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본체의 주변을 촬영하여 상기 본체의 주행 영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주행 영역에 설치된 감시 수단과 통신하여 상기 감시 수단의 촬영 정보를 전송받는 통신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의 주행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감시 수단으로부터 상기 촬영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촬영 정보를 근거로 감시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감시 대상 영역의 주변을 주행 및 촬영하여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정보 및 감시 결과에 따라 상기 주행 영역의 감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주행 영역 상에 설치된 타 감시 수단과의 통신을 통해 주행 영역을 감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침입의 우려가 있는 특정 영역을 집중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침입의 우려가 높은 감시 수단의 사각 영역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주행 영역 전반에 대한 공백 없는 감시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주기적인 감시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주행 영역을 간편하게 감시할 수 있으며, 주행 영역의 안전성 및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종래기술의 한계를 개선함은 물론, 인공지능을 활용/적용한 잔디 깎기용 이동 로봇 기술 분야의 정확성, 신뢰성, 안정성, 적용성, 효율성, 효용성 및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 a.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 b.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 c.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주행 영역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주행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위치 판단을 위한 장치 간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영역의 주행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의 통신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영역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실시 예에 따른 감시 대상 영역 설정의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정보의 생성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이하, 로봇이라 칭한다)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상기 로봇은, 자율주행이 가능한 로봇, 잔디 깎기 이동 로봇, 잔디 깎기 로봇, 잔디 깎기 장치, 또는 잔디 깎기용 이동 로봇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11), 상기 본체(10)의 주변을 촬영하여 상기 본체(10)의 주행 영역(1000)에 대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부(12), 상기 주행 영역(1000)에 설치된 감시 수단과 통신하여 상기 감시 수단의 촬영 정보를 전송받는 통신부(13) 및 상기 구동부(11)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본체(1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주행 영역(1000) 내를 주행하도록 상기 구동부(11)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하고, 상기 본체(10)가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는 중 상기 촬영부(12)가 상기 본체(10)의 주변을 촬영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촬영부(12)에서 생성된 상기 영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 상기 구동부(11), 상기 촬영부(12), 상기 통신부(13) 및 상기 제어부(20)를 포함하는 상기 로봇(100)에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주행 영역(1000)을 감시하여 주행하는 감시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주행 영역(1000)을 감시하여 주행하는 감시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촬영 정보를 근거로 감시 대상 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주행 및 상기 촬영부(12)의 촬영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상기 주행 영역(1000)을 감시한다.
즉, 상기 로봇(100)은, 상기 감시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하도록 주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봇(100)은, 도 1b 및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서, 잔디를 절삭할 수 있는 상기 본체(10)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로봇일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로봇(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로봇(100)의 주행 및 잔디 절삭 등의 동작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본체(1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회전시킬 수 있는 상기 구동부(11)가 마련된다. 상기 구동부(11)는 복수 개의 회전 가능한 구동 바퀴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바퀴는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어서, 상기 본체(10)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11)는 적어도 하나의 주 구동 바퀴(11a)와, 보조 바퀴(11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는 두개의 주 구동 바퀴(1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 구동 바퀴는 상기 본체(10)의 후방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행 영역(1000) 내에서 스스로 주행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주행 중에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동작은,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의 잔디를 절삭하는 동작일 수 있다. 상기 주행 영역(1000)은 상기 로봇(100)의 주행 및 동작 대상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소정의 실외/야외 영역이 상기 주행 영역(100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로봇(100)이 잔디를 절삭하기 위한 정원, 마당 등이 상기 주행 영역(100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행 영역(1000)에는 상기 로봇(100)의 구동 전원이 충전되는 충전 장치(5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로봇(100)은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에 설치된 상기 충전 장치(500)에 도킹하여 구동 전원을 충전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주행 영역(10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경계 영역(120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계 영역(1200)은, 상기 주행 영역(1000)과 외부 영역(1100)의 경계선에 해당되어, 상기 로봇(100)이 상기 경계 영역(1200) 내에서 상기 외부 영역(1100)을 벗어나지 않도록 주행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경계 영역(1200)은 폐곡선 또는 폐루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경계 영역(1200)은 폐곡선 또는 폐루프로 형성되는 와이어(120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200)는 임의의 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로봇(100)은 설치된 와이어(1200)에 의해 형성되는 폐곡선의 주행 영역(1000) 내에서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주행 영역(1000)에는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송출기(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출기(200)는, 상기 로봇(100)이 위치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발생 수단으로,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에 분산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결과를 근거로 현재 위치를 판단하거나, 상기 주행 영역(10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봇(100)은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통해 상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송출기(20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 영역(1000)에서 상기 경계 영역(1200)의 근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봇(100)은 상기 경계 영역(1200)의 근방에 배치된 상기 송출기(200)의 배치 위치를 근거로 상기 경계 영역(1200)을 판단하게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며 잔디를 절삭하는 상기 로봇(10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행 원리에 동작할 수 있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 판단을 위한 장치 간의 신호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영역을 이동하는 단말(300)과 통신하며, 상기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단말(300)의 위치를 추종하며 주행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단말(300)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300)을 추종하여 주행하는 중에 수집되는 위치 정보를 근거로 소정 영역에 가상의 경계를 설정하고, 경계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영역을 상기 주행 영역(10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경계 영역(1200) 및 상기 주행 영역(1000)이 설정되면, 상기 경계 영역(1200)을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주행 영역(1000) 내를 주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단말(300)은 상기 경계 영역(1200)을 설정하여 상기 로봇(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300)은 영역을 변경하거나 확장하는 경우, 변경된 정보를 상기 로봇(100)에 전송하여, 상기 로봇(100)이 새로운 영역에서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로봇(10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여 상기 로봇(100)의 동작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 또는 상기 단말(300)은,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 및 상기 단말(300)은 상기 주행 영역(1000)에 배치된 상기 송출기(200)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정보, 또는 GPS위성(400)을 이용한 GPS신호를 바탕으로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 및 상기 단말(300)은, 바람직하게는 3개의 송출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송출기(20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 영역(1000)에 3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의 어느 하나의 지점을 기준 위치로 설정한 후, 이동 중 위치를 좌표로 산출한다. 예를 들어 초기 시작 위치, 상기 충전 장치(500)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송출기(200)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하여 상기 주행 영역(1000)에 대한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100)은 매 동작 시, 초기 위치를 기준 위치로 설정한 후, 주행하며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로봇(100)은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 바퀴(11)의 회전수, 회전 속도, 상기 본체(10)의 회전 방향 등을 바탕으로 주행 거리를 연산하고, 이에 따라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에서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GPS위성(400)을 이용하여 위치를 판단하는 경우라도, 어느 하나의 지점을 기준 위치로 하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출기(200) 또는 상기 GPS위성(400)에서 송신되는 위치 정보를 근거로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GPS 신호, 초음파 신호, 적외선 신호, 전자기 신호 또는 UWB(Ultra Wide Band) 신호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바람직하게는 UWB(Ultra Wide Band) 신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로봇(100)은,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UWB(Ultra Wide Band)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근거로 현재 위치를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상기 로봇(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상기 구동부(11), 상기 촬영부(12), 상기 통신부(13) 및 상기 제어부(20)를 포함하여, 상기 감시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촬영 정보를 근거로 설정된 상기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하도록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또한, 출력부(14), 저장부(15), 센싱부(16), 수신부(17), 입력부(18), 장애물 감지부(19) 및 제초부(30)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구동 바퀴로, 회전 구동하여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도록 구동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로봇(100)이 주행하도록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테면, 좌륜을 회전시키는 좌륜 구동모터와 우륜을 회전시키는 우륜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구동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0)로부터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12)는, 상기 본체(10)의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촬영부(12)는, 상기 본체(10)의 전방을 촬영하여 상기 본체(10)의 주변, 상기 주행 영역(1000) 상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12)는 디지털 카메라로, 이미지센서(미도시)와 영상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광학 영상(image)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 다수개의 광 다이오드(photo diode)가 집적된 칩으로 구성되며, 광 다이오드로는 픽셀(pixel)을 예로 들 수 있다. 렌즈를 통과한 광에 의해 칩에 맺힌 영상에 의해 각각의 픽셀들에 전하가 축적되며, 픽셀에 축적된 전하들은 전기적 신호(예를들어, 전압)로 변환된다. 이미지 센서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이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12)는 촬영된 결과를 영상 처리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처리부(DS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12)는, 촬영 결과를 상기 제어부(2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0)로부터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촬영부(12)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촬영부(12)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는, 상기 로봇(100)과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대상 수단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송출기(200) 및 상기 단말(300)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는 또한, 소정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의 서버 또는 상기 로봇(100)을 제어하는 상기 단말(300)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300)과 통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13)는, 생성되는 지도를 상기 단말(300)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300)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로봇(1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는 지그비,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뿐 아니라, 와이파이, 와이브로 등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는, 통신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0)로부터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13)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4)는, 상기 로봇(100)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음성의 형태로 출력하는 출력수단으로, 이를테면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4)는 상기 로봇(100)의 동작 중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이벤트에 관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로봇(100)의 구동 전원이 소진되거나, 상기 로봇(100)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상기 주행 영역(1000) 상에서 사고가 발생할 시, 사용자에게 이에 대한 정보가 전달되도록 알람 음성을 출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4)는,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0)로부터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출력부(14)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출력부(14)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으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에는, 수신되는 신호가 저장되고, 장애물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며, 감지된 장애물에 대한 장애물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5)에는 상기 로봇(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상기 로봇(100)의 동작 모드에 따른 데이터, 수집되는 위치 정보, 상기 주행 영역(1000) 및 그 경계(1200)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6)는, 상기 본체(10)의 자세 및 동작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6)는, 상기 본체(1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 및 상기 구동부(11)의 구동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울기 센서는, 상기 본체(10)의 자세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일 수 있다. 상기 기울기 센서는, 상기 본체(10)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기울어진 방향과 각도를 산출하여 상기 본체(10)의 자세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기울기 센서는 틸트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가속도 센서의 경우 자이로식, 관성식, 실리콘 반도체식 중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또한, 그 외에 상기 본체(1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또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속도 센서는, 상기 구동부(11)에 구비된 구동 바퀴의 구동 속도를 센싱하는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속도 센서는, 상기 구동 바퀴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구동 바퀴의 회전을 감지하여 구동 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6)는, 센싱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0)로부터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센싱부(16)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싱부(16)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7)는, 위치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7)는, 상기 송출기(200)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센서 모듈은, 상기 송출기(200)로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송출기(200)가 초음파, UWB(Ultra Wide Band), 적외선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부(17)는, 그에 대응하여 초음파, UWB, 적외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센서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7)는, 바람직하게는 UWB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UWB 무선기술은 무선 반송파(RF carrier)를 사용하지 않고, 기저역(Baseband)에서 수 GHz 이상의 매우 넓은 주파수 역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UWB 무선기술은 수 나노 혹은 수 피코 초의 매우 좁은 펄스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UWB 센서에서 방출되는 펄스는 수 나노 혹은 수 피코이므로, 관통성이 좋고, 그에 따라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다른 UWB 센서에서 방출하는 매우 짧은 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이 상기 단말(300)을 추종하여 주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300)과 상기 로봇(100)은 각각 UWB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UWB 센서를 통해 상호 간에 UWB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300)은 구비되는 UWB 센서를 통해 UWB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로봇(100)은 UWB 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UWB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단말(300)의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300)을 추종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300)은 송신측, 상기 로봇(100)은 수신측으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 송출기(200)가 UWB 센서를 구비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경우, 상기 로봇(100) 또는 상기 단말(300)은 구비되는 UWB 센서를 통해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출기(200)의 신호 방식과 상기 로봇(100) 및 상기 단말(300)의 신호 방식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7)는, 복수의 UWB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7)에 두 개의 UWB 센서가 포함되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각각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수신되는 복수의 신호를 비교하여 정확한 위치 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봇(100)과 상기 송출기(200) 또는 상기 단말(300)의 위치에 따라, 좌측의 센서와 우측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거리가 상이한 경우, 이를 바탕으로 상기 로봇(100)과 상기 송출기(200) 또는 상기 단말(300)의 상대적 위치, 상기 로봇(100)의 방향을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7)는 또한, GPS위성(400)으로부터 GPS신호를 송수신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7)는, 신호의 수신 결과를 상기 제어부(2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0)로부터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수신부(17)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신부(17)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8)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스위치, 터치패드 등의 입력 수단과, 디스플레이부 등의 출력 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로봇(100)의 동작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감시 모드의 수행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감시 모드의 수행에 대한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8)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로봇(100)의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로봇(100)의 제어 조작이 이루어지는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화면은, 상기 로봇(100)의 구동 상태가 표시 출력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로봇(100)의 구동 조작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화면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상기 제어 화면 상의 표시 및 입력된 명령 등이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8)는,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0)로부터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부(18)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18)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장애물 감지부(19)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주행방향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한다. 상기 장애물 감지부(19)는 레이저, 초음파, 적외선, 3D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0)의 전방, 즉 주행 방향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장애물 감지부(19)는 또한, 상기 본체(10)의 배면에 설치되어 낭떠러지를 감지하는, 낭떠러지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애물 감지부(19)는, 감지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0)로부터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장애물 감지부(19)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애물 감지부(19)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초부(30)는, 주행 중 바닥면의 잔디를 깎는다. 상기 제초부(30)는 잔디를 깎기 위한 브러쉬 또는 칼날이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바닥의 잔디를 깎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초부(30)는, 동작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0)로부터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초부(30)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초부(30)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로봇(100)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본체(10), 상기 구동부(11) 및 상기 촬영부(12)를 통해,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는 중 상기 주행 영역(1000)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13), 상기 출력부(14), 상기 저장부(15), 상기 센싱부(16), 상기 수신부(17), 상기 입력부(18), 상기 장애물 감지부(19) 및 상기 제초부(30)를 통해 상기 로봇(100)의 기능/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설정에 따라 상기 본체(10)가 주행하도록 상기 구동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구동부(11)를 제어하여 좌륜 구동모터와 우륜 구동모터의 작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본체(10)가 직진 또는 회전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송출기(2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근거로 판단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주행 영역(1000)에 대한 경계(1200)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또한, 주행 중 자체 수집한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에 대한 경계(1200)를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설정되는 경계(1200)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 중 어느 일 영역을 상기 주행 영역(10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불연속적인 위치 정보를 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하여 폐루프(closed loop) 형태로 경계(1200)를 설정하고, 내부 영역을 상기 주행 영역(10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주행 영역(1000) 및 그에 따른 경계(1200)가 설정되면,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에서 주행하며 설정된 경계(1200)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수신되는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한 현재 위치가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11)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촬영부(12) 및 상기 장애물 감지부(19)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입력되는 장애물 정보에 따라, 장애물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장애물 정보를 상기 주행 영역(1000)에 대한 기저장된 영역 정보에 반영하여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수정하게 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로봇(100)은, 상기 감시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감시 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촬영 정보를 근거로 상기 감시 대상 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주행 및 상기 촬영부(12)의 촬영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상기 주행 영역(1000)을 감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면서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면서 상기 주행 영역(1000)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잔디를 절삭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에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구동부(11)의 구동을 통해 주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구동부(11)가 구동하여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주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에서 상기 구동부(11)는, 구동 바퀴의 구동을 통해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구동 바퀴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에서 상기 촬영부(12)는, 구비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10)의 주변을 촬영하여, 촬영 결과에 따른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12)는, 상기 본체(10)의 후측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촬영부(12)가 상기 본체(10)의 후측 상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주행 및 절삭 동작으로 인해 발생되는 이물질이 상기 촬영부(12)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12)는, 상기 본체(10)의 주행 방향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상기 촬영부(12)는, 상기 본체(10)가 주행하게 되는 상기 본체(10)의 전방을 촬영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10)가 주행하게 되는 전방의 상태를 촬영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12)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는 중, 상기 본체(10)의 주변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12)는, 촬영 결과를 상기 제어부(20)에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주행 영역(1000)의 실시간 상태를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에서 상기 통신부(13)는, 상기 로봇(100)의 통신 대상 수단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는, 상기 로봇(100)과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대상 수단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대상 수단은, 적어도 상기 감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수단(C)은, 설치된 위치에서 일정 영역을 촬영하여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일 수 있다. 이를테면,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또는 블랙박스 등일 수 있다. 상기 감시 수단(C)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 영역(1000) 상에 하나 이상(C1 내지 C3)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시 수단은, 상기 주행 영역(1000) 상에 복수로 설치되되, 복수의 감시 수단 각각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위치에서 해당 영역을 촬영하여 감시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수단은, 설치된 위치에서 해당 영역을 촬영한 영상 결과를 촬영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수단은, 상기 감시 수단을 제어하는 외부의 제어 수단과 통신하여, 상기 촬영 정보를 상기 제어 수단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로봇(100)과 통신하는 상기 통신 대상 수단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은 또한, 상기 로봇(100)일 수도 있다. 즉, 상기 감시 수단은, 상기 로봇(100)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수단(C)은, 해당 영역을 실시간을 감시하여, 감시한 결과를 상기 통신부(13)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감시 수단(C1 내지 C3)과 통신하여, 상기 감시 수단(C1 내지 C3) 각각으로부터 촬영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는 또한, 상기 감시 수단(C1 내지 C3)에 상기 로봇(100)에 관한 정보, 이를테면 상기 감시 모드에 따른 감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통신부(13)는, 상기 감시 수단(C1 내지 C3) 각각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에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도록 상기 구동부(11)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주행 영역(1000)을 감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통신부(13) 또는 상기 입력부(18)를 통해 상기 주행 영역(1000)을 감시하여 주행하는 상기 감시 모드의 수행에 대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로봇(100)의 동작 모드를 상기 감시 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감시 모드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주행 및 상기 촬영부(12)의 촬영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시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감시 수단(C)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촬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 상에서 감시 대상 영역(SZ)을 설정하여,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감시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주행 및 상기 촬영부(12)의 촬영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감시 모드는, 상기 로봇(100)의 동작 모드 중 하나로,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로봇(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드일 수 있다. 상기 감시 모드는,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는 중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의 주변을 주행 및 촬영하여 집중 감시하는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시 모드에 따라 상기 로봇(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집중 감시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주행 및 상기 촬영부(12)의 촬영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시 모드는, 상기 주행 영역(1000) 중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집중 감시하며 주행하는 모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중 감시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특정 기준에 따라 감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주행 영역(1000) 중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에 대한 감시 시간, 감시 방법, 감시 범위 중 하나 이상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감시하게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집중 감시는 또한, 상기 주행 영역(1000) 중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만을 감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감시 모드는, 주행 시간대에 따라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의 주행 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시 모드는, 상기 주행 시간대에 따라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시간대에 수행되는 경우 제1 모드로 수행되고, 제2 시간대에 수행되는 경우 제2 모드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행 시간대 및 주행 모드는, 상기 로봇(100)이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기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기 제1 시간대는 일출시간부터 일몰시간까지, 상기 제2 시간대는 일몰시간부터 일몰시간까지로 설정되고,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로븟(100)의 시각 표시가 제한되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로봇(100)의 시각 표시가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감시 모드는, 기설정된 기준 시간대에 주행하는 경우, 상기 로봇(100)의 외부에 상기 감시 모드에 따른 주행 중임을 나타내는 시각 표시를 표시하며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주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시간대는, 야간 시간대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준 시간대에 주행하는 경우, 상기 로봇(100)의 주행이 인지될 수 있도록 상기 시각 표시를 표시하며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주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기준 시간대에 상기 감시 모드로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주행하는 경우, 상기 본체(10)의 주행 및 상기 촬영부(12)의 촬영 외의 동작을 제한하며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주행 및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로봇(100)이 상기 기준 시간대에 상기 감시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 상기 본체(10)의 주행 및 상기 촬영부(12)의 촬영 외의 동작을 제한하며 주행하도록 상기 로봇(100)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이를테면, 야간 시간대에는 상기 제초부(30)의 제초 동작을 제한하고, 상기 본체(10)의 주행 및 상기 촬영부(12)의 촬영 동작만 수행되도록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촬영 정보를 근거로 상기 감시 수단(C)의 촬영 영역(Z)을 판단하여, 상기 촬영 영역(Z)을 근거로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영역(Z)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 영역(1000) 중 상기 감시 수단(C)이 촬영하여 감시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시 수단(C) 각각의 촬영 정보를 근거로 상기 감시 수단(C) 각각의 촬영 영역(Z)을 판단하여, 판단한 각각의 촬영 영역(Z)을 근거로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감시 수단(C1), 제2 감시 수단(C2) 및 제3 감시 수단(C3) 각각으로부터 전송받은 촬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감시 수단(C1)의 제1 촬영 영역(Z1), 상기 제2 감시 수단(C2)의 제2 촬영 영역(Z2) 및 상기 제3 감시 수단(C3)의 제3 촬영 영역(Z3) 각각을 판단하여, 판단한 상기 제1 촬영 영역(Z1), 상기 제2 촬영 영역(Z2) 및 상기 제3 촬영 영역(Z3)을 근거로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설정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주행 영역(1000) 중 상기 촬영 영역(Z)을 제외한 영역을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은, 상기 감시 수단(C)이 촬영하는 영역 외의 영역일 수 있다. 이를테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촬영 영역(Z1, Z2 및 Z3)에 해당되지 않는 상기 감시 수단(C)의 위치(C1, C2 및 C3)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시 모드로 제어할 시, 상기 촬영 영역(Z)을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 중 상기 촬영 영역(Z)에 해당되지 않는 사각 영역을 판단하여, 판단한 사각 영역을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으로 설정하게 되고, 상기 감시 수단(C)의 사각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감시하도록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주행 영역(1000) 중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기설정된 감시 기준에 따라 주행 및 촬영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주행 및 상기 촬영부(12)의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로봇(100)은, 상기 감시 모드로 동작할 시, 상기 감시 기준에 따라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의 주변을 주행 및 촬영하며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집중 감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감시 기준은,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집중 감시하는 기준일 수 있다. 상기 감시 기준은,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집중 감시하도록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의 주변을 주행 및 촬영하는 기준일 수 있다.
상기 감시 기준은,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의 주변을 기설정된 주행 패턴으로 주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주행 패턴은,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의 주변을 주행하는 패턴일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의 주변을 회전하거나,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의 주변을 반복하여 주행하는 패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의 주변에서 상기 주행 패턴에 따라 주행하도록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감시 기준은 또한,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의 주변을 기설정된 촬영 패턴으로 촬영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촬영 패턴은,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의 주변을 촬영하는 패턴일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의 주위를 촬영하거나,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의 주변을 반복 촬영하는 패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의 주변을 상기 촬영 패턴에 따라 촬영하도록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감시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감시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주행 및 상기 촬영부(12)의 촬영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상기 주행 영역(1000)을 감시하는 상기 제어부(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 영역(Z)에 해당되지 않는 영역을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으로 설정하여, 상기 주행 영역(1000) 중 상기 감시 수단(C)이 감시하지 못하는 영역을 감시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감시 모드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상기 주행 영역(1000) 상의 구조물의 사용 패턴 및 상기 주행 영역(1000) 상에 거주하는 사용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이 반영되어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촬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분석한 결과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상기 감시 기준의 설정을 변경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로봇(100)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구조물의 경우,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의 설정에서 제외시키거나, 상기 감시 기준에 따른 감시 대상에서 제외시키게 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사용 패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로봇(100)의 사용 환경에 대한 정보를 학습하여, 학습 결과에 따라 상기 감시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상기 감시 모드의 수행을 변경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로봇(100)은, 상기 제어부(20)를 통한 인공지능 제어가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감시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감시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주행 영역(1000)을 감시하는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촬영 정보 및 상기 감시 모드의 수행 결과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의 감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감시 정보를 상기 통신부(13)와 통신하는 통신 대상 수단 및 상기 감시 수단(C)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대상 수단은, 사용자의 단말(300) 등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시 수단(C)이 감시하지 못하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감시한 결과 및 상기 촬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에 대한 감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13)를 통해 상기 로봇(100)의 사용자에게 상기 감시 모드의 감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시 정보를 상기 감시 수단(C)에 제공하여, 상기 감시 수단(C)이 상기 감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을 감시하도록 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시 수단(C)이 상기 촬영 영역(Z)을 촬영한 촬영 정보 및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감시한 상기 수행 결과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에 대한 상기 감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촬영 영역(Z)을 촬영한 상기 촬영 정보 및 상기 촬영 영역(Z) 외에 해당되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촬영한 상기 수행 결과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 전체에 대한 감시 정보를 생성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또한,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에서 위치가 변화되는 대상물을 인식한 경우, 인식 결과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상기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시 모드에 따라 상기 주행 영역(1000)을 감시한 경우, 상기 통신부(13)를 통해 상기 로봇(100)의 사용자에게 인식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에 외부인이 침입한 경우,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의 주변에서 외부인의 위치 변화를 인식하여 상기 통신부(13)를 통해 상기 로봇(100)의 사용자에게 인식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또한, 외부로 음성을 출력하는 상기 출력부(14)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에서 위치가 변화되는 대상물을 인식한 경우, 인식 결과에 대한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부(14)를 통해 상기 알람 신호에 따른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테면, 외부인의 침입을 알리는 경보음을 출력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의 주변에서 침입의 가능성이 있는 위치가 변화되는 대상물을 인식한 경우, 상기 출력부(14)를 통해 외부인의 침입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또한, 상기 주행 영역(1000)을 감시한 이력 정보가 저장되는 상기 저장부(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주행 영역(1000)을 감시한 결과에 대한 감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15)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시 정보를 상기 저장부(15)에 기저장된 상기 이력 정보에 저장하여, 상기 이력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시 정보를 상기 이력 정보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주행 영역(1000)에 대한 감시 데이터를 축적하게 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감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15)에 저장하는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시 정보를 상기 이력 정보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주행 영역(100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상태 변화를 감지한 결과를 상기 이력 정보에 더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상태 변화를 감지한 결과를 상기 통신부(13)를 통해 상기 로봇(1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로봇(100)은, 하술할 상기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이하 ,제어 방법이라 칭한다)이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동 로봇(100)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앞서 설명한 상기 로봇(100)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앞서 설명한 상기 로봇(100) 이외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본체(10),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키는 상기 구동부(11), 상기 본체(10)의 주변을 촬영하여 상기 본체(10)의 주행 영역(1000)에 대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촬영부(12), 상기 주행 영역(1000)에 설치된 감시 수단과 통신하여 상기 감시 수단(C)의 촬영 정보를 전송받는 상기 통신부(13) 및 상기 구동부(11)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기 제어부(20)를 포함하는 상기 로봇(100)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주행 영역(1000)을 감시하여 주행하는 감시 모드의 수행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감시 모드에 따라 상기 로봇(1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감시 모드를 수행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부(20)에서 수행되는 제어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시 수단(C)으로부터 상기 촬영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S10), 상기 촬영 정보를 근거로 감시 대상 영역(SZ)을 설정하는 단계(S20),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의 주변을 주행 및 촬영하여 감시하는 단계(S30) 및 상기 촬영 정보 및 감시 결과에 따라 상기 주행 영역(1000)의 감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로봇(100)은, 상기 전송받는 단계(S10), 상기 설정하는 단계(S20), 상기 감시하는 단계(S30) 및 상기 생성하는 단계(S40) 순으로 상기 감시 모드를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전송받는 단계(S10)는, 상기 감시 모드가 상기 로봇(100)에 설정되어, 상기 통신부(13)가 상기 감시 수단(C)으로부터 상기 촬영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전송받는 단계(S10)는, 상기 감시 수단(C) 각각으로부터 상기 촬영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설정하는 단계(S20)는, 상기 전송받는 단계(S10)에서 상기 감시 수단(C)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촬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주행 영역(1000) 상에서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설정하는 단계(S20)는, 상기 촬영 정보를 근거로 상기 감시 수단(C)의 촬영 영역(Z)을 판단하여, 상기 촬영 영역(Z)을 근거로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하는 단계(S20)는, 상기 감시 수단(C) 각각의 촬영 정보를 근거로 상기 감시 수단(C) 각각의 촬영 영역(Z)을 판단하여, 판단한 각각의 촬영 영역(Z)을 근거로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하는 단계(S20)는, 상기 주행 영역(1000) 중 상기 촬영 영역(Z)을 제외한 영역을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감시하는 단계(S30)는, 상기 설정하는 단계(S20)에서 설정한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집중 감시하도록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본체(10)의 주행 및 상기 촬영부(12)의 촬영을 제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감시하는 단계(S30)는, 상기 주행 영역(1000) 중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기설정된 감시 기준에 따라 주행 및 촬영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주행 및 상기 촬영부(12)의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감시하는 단계(S30)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의 주변을 기설정된 주행 패턴으로 주행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집중 감시할 수 있다.
상기 감시하는 단계(S30)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의 주변을 기설정된 촬영 패턴으로 촬영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감시 대상 영역(SZ)을 집중 감시할 수 있다.
상기 생성하는 단계(S40)는, 상기 감시하는 단계(S30)에서 감시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감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생성하는 단계(S40)는, 상기 촬영 정보 및 상기 감시 모드의 수행 결과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의 감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감시 정보를 상기 통신부(13)와 통신하는 통신 대상 수단 및 상기 감시 수단(C)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받는 단계(S10), 상기 설정하는 단계(S20), 상기 감시하는 단계(S30) 및 상기 생성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제어부(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이동 로봇의 제어수단, 이동 로봇 시스템, 이동 로봇의 제어시스템, 이동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 이동 로봇의 영역 감시 방법 및 이동 로봇의 영역 감시 제어 방법 등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이동 로봇을 제어하는 인공지능, 인공지능을 적용/활용한 이동 로봇의 제어 수단, 제어 방법, 또는 인공지능을 적용/활용한 이동 로봇 등에 유용하게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이동 로봇, 이동 로봇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이동 로봇 시스템, 이동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등에도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본체 11: 구동부
12: 촬영부 13: 통신부
20: 제어부 100: 이동 로봇
200: 송출기 300: 단말기
400: GPS 위성 1000: 주행 영역

Claims (13)

  1. 본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본체의 주변을 촬영하여 상기 본체의 주행 영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주행 영역에 설치된 감시 수단과 통신하여 상기 감시 수단의 촬영 정보를 전송받는 통신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의 주행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영역을 감시하여 주행하는 감시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촬영 정보를 근거로 감시 대상 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하도록 상기 본체의 주행 및 상기 촬영부의 촬영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상기 주행 영역을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본체의 후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주행 방향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하나 이상의 감시 수단과 통신하여, 상기 감시 수단 각각으로부터 촬영 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모드는,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는 중 상기 감시 대상 영역의 주변을 주행 및 촬영하여 집중 감시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모드는,
    주행 시간대에 따라 상기 감시 대상 영역의 주행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모드는,
    기설정된 기준 시간대에 주행하는 경우,
    상기 이동 로봇의 외부에 상기 감시 모드에 따른 주행 중임을 나타내는 시각 표시를 표시하며 상기 감시 대상 영역의 주변을 주행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시간대에 상기 주행 경로를 주행하는 경우,
    상기 본체의 주행 및 상기 촬영부의 촬영 외의 동작을 제한하며 상기 감시 대상 영역의 주변을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정보를 근거로 상기 감시 수단의 촬영 영역을 판단하여, 상기 촬영 영역을 근거로 상기 감시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영역 중 상기 촬영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상기 감시 대상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영역 중 상기 감시 대상 영역을 기설정된 감시 기준에 따라 주행 및 촬영하도록 상기 본체의 주행 및 상기 촬영부의 촬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에서 위치가 변화되는 대상물을 인식한 경우,
    인식 결과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상기 통신부와 통신하는 통신 대상 수단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정보 및 상기 감시 모드의 수행 결과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의 감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감시 정보를 상기 통신부와 통신하는 통신 대상 수단 및 상기 감시 수단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13. 본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본체의 주변을 촬영하여 상기 본체의 주행 영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주행 영역에 설치된 감시 수단과 통신하여 상기 감시 수단의 촬영 정보를 전송받는 통신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의 주행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시 수단으로부터 상기 촬영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촬영 정보를 근거로 감시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감시 대상 영역의 주변을 주행 및 촬영하여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정보 및 감시 결과에 따라 상기 주행 영역의 감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
KR1020190010728A 2019-01-28 2019-01-28 인공지능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04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728A KR102304304B1 (ko) 2019-01-28 2019-01-28 인공지능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
PCT/KR2020/000463 WO2020159100A1 (en) 2019-01-28 2020-01-10 Artificial intelligence mov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7/310,349 US20220105631A1 (en) 2019-01-28 2020-01-10 Artificial intelligence mov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0749395.8A EP3917725A4 (en) 2019-01-28 2020-01-10 MOBILE ROBOT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728A KR102304304B1 (ko) 2019-01-28 2019-01-28 인공지능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486A true KR20200101486A (ko) 2020-08-28
KR102304304B1 KR102304304B1 (ko) 2021-09-23

Family

ID=7184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728A KR102304304B1 (ko) 2019-01-28 2019-01-28 인공지능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05631A1 (ko)
EP (1) EP3917725A4 (ko)
KR (1) KR102304304B1 (ko)
WO (1) WO20201591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837A (ko) * 2021-03-26 2022-10-06 주식회사세오 모바일 보안 로봇, 모바일 보안 로봇 시스템 및 모바일 보안 로봇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1937B (zh) * 2022-04-27 2023-07-04 松灵机器人(深圳)有限公司 一种防盗方法及相关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3680A (ja) * 2003-09-29 2005-04-21 Toshiba Corp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ロボット
KR20060109153A (ko) * 2005-04-15 2006-10-19 주식회사 에스원 로봇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로봇 감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32086A1 (ja) * 2002-10-04 2004-04-15 Fujitsu Limited ロボットシステムおよび自律走行ロボット
EP3889717A1 (en) * 2014-03-31 2021-10-06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mobile robot
WO2016024208A1 (en) * 2014-08-14 2016-02-18 Husqvarna Ab Distributed intelligent grounds management system
US9494936B2 (en) * 2015-03-12 2016-11-15 Alarm.Com Incorporated Robotic assistance in security monitoring
FR3054710B1 (fr) 2016-08-01 2018-08-31 Cordon Electronics Systeme de surveillance d'un terrain, tel qu'un terrain de golf
US20180035606A1 (en) * 2016-08-05 2018-02-08 Romello Burdoucci Smart Interactive and Autonomous Robotic Property Maintenanc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2235271B1 (ko) 2017-02-27 2021-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3680A (ja) * 2003-09-29 2005-04-21 Toshiba Corp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ロボット
KR20060109153A (ko) * 2005-04-15 2006-10-19 주식회사 에스원 로봇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로봇 감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837A (ko) * 2021-03-26 2022-10-06 주식회사세오 모바일 보안 로봇, 모바일 보안 로봇 시스템 및 모바일 보안 로봇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17725A4 (en) 2022-10-26
WO2020159100A1 (en) 2020-08-06
KR102304304B1 (ko) 2021-09-23
US20220105631A1 (en) 2022-04-07
EP3917725A1 (en)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3754B1 (ko)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의 충전대 이동 방법
US11178811B2 (en) Lawn mower robot, system of lawn mower robot and control method of lawn mower robot system
EP3919238B1 (en) Mobil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00189107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mov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864491B2 (en) Transmitter of moving robot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emoval of transmitter
KR102206388B1 (ko)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874664B2 (en) Mover robot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US20220105631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mov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72161B1 (ko)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11861054B2 (en) Mov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00238531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mov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14499B1 (ko) 인공지능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78270B1 (ko)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경계 정보 생성 방법
KR102421519B1 (ko)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경계 정보 생성 방법
KR102385611B1 (ko)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경계 정보 생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