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275A -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 간격의 동적 조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 간격의 동적 조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275A
KR20200101275A KR1020200001052A KR20200001052A KR20200101275A KR 20200101275 A KR20200101275 A KR 20200101275A KR 1020200001052 A KR1020200001052 A KR 1020200001052A KR 20200001052 A KR20200001052 A KR 20200001052A KR 20200101275 A KR20200101275 A KR 20200101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point station
skipping
target wake
satis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엠디 마지하룰 이슬람 라집
티아뉴 우
에쉬혹 란가나드
이욱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01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04W28/022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power availability o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e.g. according to expected transmission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33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 H04W74/0841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with collision treatment
    • H04W74/085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with collision treatment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WiFi 채널을 통한 통신 방법은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제1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N1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하며, N1은 양의 정수이고; N1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한 후,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N2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하며, N2는 N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Description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 간격의 동적 조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ADJUSTMENT OF TARGET WAKE TIME SERVICE PERIOD INTERVALS}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 간격들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Wi-Fi 시스템에서, 타겟 웨이크 시간(Target Wake Time: TWT)은 스테이션(Stations: STAs)이 서비스 기간(Service Periods: SP)이라고 하는 특정 간격으로 활동을 주기적으로 예정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비-액세스 포인트(non-AP) STAs가 SPs의 이외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되도록하여 경합을 줄이고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시스템에서는, 트래픽이없는 경우에도, 비-액세스 포인트(non-AP) STAs가 모든 SP에서 웨이크 업하고 유휴 청취에 의해 전력이 낭비된다. 이러한 비생산적인 전력 소비는 오랜 시간 동안 트래픽 활동이 없거나 SP 지속 시간이 길 때 높을 수 있다.
본 개시는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 간격들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WiFi 채널을 통해 통신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제1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N1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핑하고, N1은 양의 정수이고; N1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핑한 후,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N2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핑하는 것을 포함하며, N2는 N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스킵핑 기준은 상기 제1 스킵핑 기준과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방법은, N2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한 후: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N3 후속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N3은 N2보다 큰 양의 정수이며, N3/N2는 0.5 N2/N1 내지 4 N1/N2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N2/N1이 2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제1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 것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제3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3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 N1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이 스킵될 것임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통지하는, 타겟 웨이크 시간 정보 프레임을 전송하고; 및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타켓 웨이크 시간 정보 프레임에 대한 AKC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버퍼 상태의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킵핑 기준이,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모든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버퍼가 비어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버퍼 상태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버퍼된 유닛이 없음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버퍼 상태의 표시는 서비스 데이터 프레임 헤더의 품질에서 추가 데이터 비트의 값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부터, 1로 설정된 서비스 주기 비트의 종료를 갖는 서비스 데이터 프레임의 품질을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모든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버퍼가 비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전에, 타겟 웨이크 시간 프레임 교환에 필요한 최대 시간에 의한 현재 서비스 기간 종료 이전의 시점까지 기다리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제3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타겟 웨이크 시간 프레임 교환에 필요한 최대 시간에 의한 현재 서비스 기간 종료 전의 시점에,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모든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가 버퍼가 비어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및 이전 시간 간격 동안: 채널이 클리어(clear)되고, 및 서비스 데이터 프레임의 품질이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서 수신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이전 시간 간격은: 백그라운드에 대한 중재 프레임 간 간격과, 백그라운드에 대한 최대 경쟁 윈도우 길이와 슬롯 시간의 곱의 합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WiFi 채널을 통해 통신하는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은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제1 스킵핑 기준을 충족하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N1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하고, N1은 양의 정수이고; N1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한 후, 제2 스킵핑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N2 타겟 대기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하고, N2는 N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스킵핑 기준은 상기 제1 스킵핑 기준과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처리 회로는: N2 타켓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한 후, 상기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N3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하고, N3은 N2보다 큰 양의 정수이고, N3/N2는 0.5 N2/N1 내지 4 N1/N2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N2/N1이 2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스킵핑 기준을 충족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은: 제3 스킵핑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3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N1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이 스킵될 것임을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통지하는 타켓 웨이크 시간 정보 프레임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 전송하고; 및 상기 타겟 웨이크 시간 정보 프레임에 대한 ACK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처리 회로는,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버퍼 상태의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모든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버퍼가 비어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버퍼 상태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버퍼된 유닛이 없음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버퍼 상태의 표시는 서비스 데이터 프레임 헤더의 품질에서 추가 데이터 비트의 값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WiFi 채널을 통한 통신 방법은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제1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타겟 웨이크 시간 합의와, 상기 제1 타켓 웨이크 시간 합의와는 다른 제2 타겟 웨이크 시간 합의로 전환하고;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타겟 웨이크 시간 합의에서 제3 타겟 웨이크 시간 합의로 전환하고, 상기 제3 타겟 웨이크 시간 합의가 상기 제1 타겟 웨이크 시간 합의와 상이하고, 및 상기 제3 타켓 웨이크 시간 합의는 제2 타겟 웨이크 시간 합의와 상이하고, 상기 제1 스킵핑 기준이 충족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은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처리된 트래픽에서의 변경이 발생되었음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전력 절약 및 레이턴시 패널티 간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 관계를 고려하여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 간격들을 관리함으로써 전력 효율을 높이면서도, 레이턴시 패널티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이들 및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명세서, 청구 범위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인식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설정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트에서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부호 목록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 타임 라인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 타임 라인이다.
도 4c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 4a 및 4b의 범례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능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능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능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능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능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능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능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능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에 따라 제공된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 간격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서 의도된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이 구성되거나 활용될 수 있는 유일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설명은 예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개시의 특징을 설명한다. 그러나, 동일하거나 동등한 기능 및 구조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 상이한 실시예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곳에 표시된 바와 같이,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 또는 특징을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트래픽 역학을 준수할 타겟 웨이크 타임 서비스 기간(Target Wake Time Service Period: TWT SP) 간격을 관리하기 위한 개선된 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하다. 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105) 및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10)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2는 복수의 비디오 프레임(210)을 포함하는(예를 들어, 복수의 비디오 프레임(210)으로 구성된)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트래픽의 버스트(205)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버스트가, 시청자가 디바이스(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에서 비디오의 재생을 시작할 때, 시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들을 스킵하기 위한,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은, 특히 네트워크 트래픽이 도 2에 예시되는 것들과 같은 특성을 가질 때 유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제1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평가(또는 "결정")하고, 제1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면,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의 첫 번째 숫자(예를 들어, N1, N1은 양의 정수임)를 스킵한다. N1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들을 스킵한 후,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평가하고,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면,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의 두 번째 숫자(예를 들어, N2, N2는 양의 정수)를 스킵한다. 제2 스킵핑 기준은 제1 스킵핑 기준과 동일할 수 있고(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은 제1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다시 평가하는 것을 의미함), 또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스킵핑 기준이 일부 측면에서 제1 스킵핑 기준과 상이할 수 있다.
충족된 제1 스킵핑 기준은 (i)제3 스킵핑 기준(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됨)이 충족되고 (ii)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이, 다수의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하도록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제안을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통지하는 타겟 웨이크 시간 정보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 전송하고, 및 (iii)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은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부터, 타겟 웨이크 시간 정보 프레임에 대한 ACK(acknowledgment)를 수신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이 타겟 웨이크 시간 정보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채널 액세스를 얻지 못하거나, 또는 타겟 웨이크 시간 정보 프레임에 대한 ACK를 얻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현재 서비스 기간에서 스킵핑 가능성을 버린다. (그리고, 다음 서비스 기간 동안, 제1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다시 평가한다.)
제3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은 상황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제3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은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로 전송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지(또는, 확실하게 판정할 수 없다면, 가질 가능성이 있는지) 평가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제3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세가지 경우(각각 아래에 설명된 사례 1, 사례 2, 및 사례 3)로 크게 그룹화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더 설명된 바와 같이) 하위-사례를 갖는 경우도 있다.
사례 1은 Qos 데이터(Quality of service data: Qos Data) 프레임 헤더 및 ACK 프레임 헤더 모두에서 추가 데이터 필드를 설정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이 버퍼 상태를 나타내는 상황에 해당한다. 이것은 두 가지 하위 사례, 하위 사례1 및 하위 사례2를 가진다.
사례 1의 하위 사례1은 고지되지 않은(Unannounced) TWT로 지칭된다. 이 하위 사례에서,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은 자신의 버퍼에 전송될 데이터가 있는지, 그리고 마지막 추가 데이터 비트(More Date bit)가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이 전송할 추가적인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서비스 기간이 끝날 때까지 확인한다.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은, Tinfo(Tinfo는 TWT 정보 프레임 교환에 필요한 최대 시간이다 (예를 들어, Tinfo = 현재 최대 백-오프(back-off) 시간 + TWT 정보 프레임 + SIFS + ACK))까지 서비스 기간의 종료 이전 시점에, (i) 모든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버퍼가 비어 있는지 확인하고, 버퍼가 비어 있으면 (ii) 현재 서비스 기간의 마지막으로 수신한 QoS 데이터 패킷에서 추가 데이터 비트(More Data bit)를 확인한다. 추가 데이터 비트(More Data bit)가 '0'인 경우, (즉,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더 이상 버퍼된 유닛(Buffered Units : BU)이 없는 경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은 제3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고 판단하고, 위에서 언급된 것과 같이, 다수의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하라는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제안을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통지하는, 타겟 웨이크 시간 정보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기간 스킵을 시작한다.
사례 1의 하위 사례 2는 고지된(Announced) TWT로 지칭될 수 있다. 이 하위 사례에서,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은 (i)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부터 '0'으로 설정된 추가 데이터 비트(More Date bit set) 및 '1'로 설정된 EOSP(End of Service Period) 비트와 함께 QoS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마다, 또는 (ii) '0'으로 설정된 추가 데이터 비트(More Date bit)와 함께 QoS Null 데이터 프레임에 응답하여 ACK를 수신할 때마다,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모든 EDCA 버퍼가 비어 있는지 확인한다.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모든 EDCA 버퍼가 비어 있으면,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은 제3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고 판단하고,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다수의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하라는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제안을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통지하는, 타겟 웨이크 시간 정보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기간 스킵을 시작한다.
사례 2는 ACK 프레임 헤더가 아닌 Qos 데이터 프레임 헤더에서 추가 데이터 필드(More Data field)를 설정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이 버퍼 상태를 나타내는 상황에 해당한다. 이것은 두 가지 하위 사례, 하위 사례1 및 하위 사례2를 가진다.
사례 2의 하위 사례 1은 (사례 1의 하위 사례 1과 같이) 고지되지 않은(Unannounced) TWT로 지칭될 수 있으며, 사례 1의 하위 사례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사례 1의 하위 사례 1의 방법은 ACK 프레임 헤더에서 추가 데이터 필드(More Data field)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따라서 사례 2에서 설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사례 2의 하위 사례 2(사례 1의 하위 사례 2와 같이)는 고지된(Announced) TWT로 지칭될 수 있다. 이 하위 사례에서,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은 (i)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부터 '0'으로 설정된 추가 데이터 비트(More Data bit) 및 '1'로 설정된 EOSP(End of Service Period) 비트와 함께 QoS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거나, 또는 (ii) QoS Null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 응답으로 ACK를 수신하고, 그런 다음 지속 시간 Tx (Tx <Tremaining_sp_duration-Tinfo) 동안 대기한 후,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부터 어떤 QoS 데이터도 수신하지 않는 어느 하나의 경우에,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모든 EDCA 버퍼가 비어 있는지 확인한다.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모든 EDCA 버퍼가 비어 있으면,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은 제3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고 판단하고,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다수의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하라는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제안을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통지하는, 타겟 웨이크 시간 정보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기간 스킵을 시작한다.
사례 3은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이 추가 데이터 필드(More Data filed)를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버퍼 상태를 전혀 나타내지 않는 상황에 해당한다. 이 경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은 서비스 기간이 종료되기 전의 시점 Tinfo에서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모든 EDCA 버퍼가 비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모든 EDCA 버퍼가 비어 있으면,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은 (i) 길이 Tp의 이전 시간 간격 동안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부터 QoS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했는지 여부, 및 (ii) 해당 시간 간격 동안 채널이 클리어(clear)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길이 Tp는 다음과 같이 제한된다.
cw_max[BK] * 슬롯 시간 + AIFSN[BK] * 슬롯 시간 + SIFS≤Tp≤Tsp _duration- Tinfo,
여기서 cw_max[BK]는 백그라운드 액세스 카테고리에 대한 최대 경쟁 윈도우(Contention window)이고, AIFSN[BK] * 슬롯 시간 + SIFS는 백그라운드 액세스 카테고리에 대한 중재 프레임 간 간격(Arbitration Inter-Frame Spacing: AIFS)이다.
두 조건이 모두 충족되면,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은 제3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고 결정하고,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다수의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하라는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제안을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통지하는, 타겟 웨이크 시간 정보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기간 스킵을 시작한다.
스킵될 서비스 기간의 수는,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 사이에서, 데이터가 어느 방향으로든 전송된 후) 제1 스킵핑 기준이 처음 충족될 때마다, 초기 값, 예를 들어, 1로 설정될 수 있고, 그런 다음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이 웨이크 업되고, 제1 스킵핑 기준이 여전히 최대 임계 값까지 충족되는 각각의 후속 서비스 기간에 증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킵될 서비스 기간의 수는 지수적으로, 예를 들어, 매 시간마다 두배로 증가된다. 이를 테면, 제1 스킵핑 기준을 충족하는 것이 3번 연속인 경우에 N1, N2 및 N3이 스킵될 서비스 기간의 수인 경우, N3/N2 N2/N1 = 2인 경우이거나, 또는, 2와 다소 다른 요인에 의한 지수적인 증가에 대하여, 또는 지수적인 증가와 거의 동일한 증가에 대하여, N3/N2가 0.5 N2/N1과 4 N1/N2 사이인 경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킵될 서비스 기간들의 수는 다른 함수에 따라, 예를 들어, 시간에 따라 선형으로, 또는 제1 스킵핑 기준을 충족시키는 연속적인 경우의 다항 함수에 따라 증가된다. 최대 임계 값에 도달할 때, 스킵될 서비스 기간 수가 해당 값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이 TBTT(Target Beacon Transmission Time)에 대해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과 합의(agreement)를 체결하지 않았고, 마지막 비콘(Beacon) 수신 시간이 임계 값 Tb를 초과하면,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이 비콘(Beacon)을 수신하는 짧은 지속시간 Ta 동안 웨이크 업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진행중일 수 있는 어떠한 서비스 기간의 스킵핑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이 새로운 버퍼된 유닛을 큐잉(enqueue)하거나 또는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이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부터 QoS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서비스 기간의 스킵핑이 종료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서비스 기간의 스킵핑이 종료된 후에 다음으로 제1 스킵핑 기준이 만족되면, 스킵될 서비스 기간의 수는 다시 초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스킵될 서비스 기간의 수를 선택하는 이와 같은 방법에 대한 유사 부호(Pseudo code)가 도 3에 도시된다. 도 4a 및 도 4b는, (타겟 웨이크 타임 서비스 기간이 스킵되지 않은 "고정된" 경우를 도시하는) 도 4a 및 ((도 4b에서 점선 박스로 도시된) 일부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은 생략된) 도 4b 모두에 적용되는 도 4c의 범례와 함께, 고지되지 않은(Unannounced) TWT에서의 적응성의 TWT 동작(Adaptive TWT Operation)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7b는 도 1 내지 도 2에 따른 성능 분석 시뮬레이션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다. 시뮬레이션은 트래픽 유형이 버퍼된 비디오 스트리밍(예를 들어, YouTube)인 것으로 가정하고, 사례 1의 상황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즉,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은 QoS 데이터 및 ACK에서 추가 데이터 필드(More Data field)를 설정함으로써 그것의 버퍼 상태를 나타낸다. 네트워크는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과 하나의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며, 전류 소비는 4V 전력 공급 장치에서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물리 계층(PHY)은 20MHz 대역폭, MCS 5(52 Mbps)에서 일정한 속도(링크 적용 없음) 전송인 것으로 가정된다. 트래픽 파라미터는, 매 5초마다, 250ms(milliseconds) 동안 지속되는 트래픽 버스트가 생성되고, 트래픽 버스트의 전체 수는 100이며, 전체적으로 트래픽 생성 시간은 5%인 버퍼된 비디오 스트리밍 트래픽 모델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시뮬레이션 실행 시간은 502 초이고, 초기 설정(Association, TWT 설치 등) 시간은 2.12 초이며, 유효 실행 시간은 500초이다.
도 5a-5c는 시뮬레이션에 대한 전력 소비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낮은 트래픽(2Mbps) 및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 스킵의 더 큰 최대 수(4)에 대하여, 적응성의 고지되지 않은(Unannounced)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 스킵핑이 전력 소비를 78%까지 줄일 수 있는 반면, 고지된(Announced) TWT는, 고정된 동작에 비해, 전력 소비를 최대 71%까지 줄일 수 있는 것이 도 5a-5c에서 보여진다. 트래픽이 증가하거나 최대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 스킵이 감소할 때,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할 수 있는 기회가 적기 때문에 성능 향상이 감소된다.
도 6a-6c는 시뮬레이션에 대한 레이턴시 분석의 결과를 도시한다. 낮은 트래픽(2 Mbps) 및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 스킵의 더 큰 최대 수(4)에 대해,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 스킵핑에서의 레이턴시는 10.95ms에서 43.87ms로 증가할 수 있음이 도 6a 내지 도 6c에서 보여진다.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 스킵의 최대 수가 1로 제한될 때, 적응성의 사례에 대한 레이턴시는 단지 22.43ms로 증가한다. 이와 같은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 스킵의 최대 수는 애플리케이션의 레이턴시 허용 오차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전력 절약 및 레이턴시 패널티 간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을 도시한다.
위에서 설명된 일부 실시예들에 대한 대안적인 접근법에서, 스킵핑 프로세스(적응성의 TWT)는 상이한 지속 시간 및 간격의 다수의 TWT 합의를 동시에 설정하고, 그런 다음 트래픽 요구에 기초하여 TWT 합의들 사이에서 호핑(hoppinig)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TWT를 설치하는 동안, 하나의 TWT 합의를 설정하는 대신, 상기 방법은 가능한 한 많은 TWT 합의를 동시에 (최대 8개) 설정할 수 있다. 첫번째 TWT 합의의 최소 SP 웨이크 지속 시간 및 간격이 페어 (T SP , T int )로 표시되는 경우, TWT 합의의 일부는 전력을 절약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T SP , nT int ) 페어를 가질 수 있으며, 나머지는 다양한 트래픽 유형에 맞게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αT SP , βT int ) 페어를 가질 수 있다.
트래픽 버스트의 종료를 검출한 후, 상기 방법은 TWT 정보 프레임과 유사한 프레임을 전송하여 진행중인 TWT SP를 일시 정지하고 n이 진행중인 TWT SP보다 높은 (T SP , nT int ) 페어 세트로부터 다른 TWT SP를 재개할 수 있다. 트래픽 버스트의 시작이 검출되면 (예를 들어,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이 새로운 버퍼된 유닛을 큐잉(enqueue)하거나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이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부터 QoS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상기 방법은 (페어를 사용하여 (T SP , nT int )) 진행중인 TWT를 일시 정지하고, 베이스 (T SP , T int )로 돌아갈 수 있다.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서, 트래픽 생성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비디오-시청 애플리케이션, 또는 VoIP(Voice over IP)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으므로, 트래픽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트래픽의 변화에 관한 정보는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의해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MAC 계층으로 제공될 수 있고, 알고리즘에서 이용될 수 있다. 진행중인 트래픽이 변경될 때마다 (예를 들어, VoIP to Video Streaming to HTTP), 상기 방법은 TWT 정보 프레임과 유사한 프레임을 전송하여 진행중인 TWT SP를 일시 정지하고 다른 TWT SP를 재개하여 (평균 트래픽 버스트 지속 시간 -αT SP )2 + (평균 트래픽 버스트 간격 -  βT int )2이 최소화된다.
이 비용 함수는 트래픽 버스트 지속 시간이 서비스 기간 지속 시간에 가능한한 가깝고 트래픽 버스트 간격이 서비스 기간 간격에 가능한 가깝도록 서비스 기간을 트래픽 특성에 맞출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은 프로세싱 회로, 예를 들어,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 또는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서의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 또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프로세싱 회로 하드웨어는 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중앙 처리 장치(C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그래픽 처리 장치(GPU), 및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와 같은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에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기능은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즉, 하드-와이어(hard-wired)에 의해 수행되고, 또는 CPU와 같이, 보다 일반적인 목적의 하드웨어에 의해, 비-일시적인 저장 매체 내에 저장되는 명령어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회로는 싱글 인쇄 회로 기판(PCB) 상에 제조되거나 여러 개의 상호 연결된 PCB에 분산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다른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 할 수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는 PCB 상에 상호 연결된 2개의 프로세싱 회로, FPGA 및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 구성 요소, 영역, 계층 및/ 또는 섹션을 설명할 수 있으며, 이들의 요소, 구성 요소, 영역, 계층 및/또는 섹션이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요소, 구성 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요소, 구성 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후술되는 제1 요소, 제1 구성 요소, 제1 영역, 제1 층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요소, 제2 구성 요소, 제2 영역, 제2 층 또는 제2 섹션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 된 것으로, 일부 실시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실질적으로", "약", "대략"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정도가 아닌 근사치의 용어로 사용되며, 측정되거나 계산된 값의 고유 편차를 설명하기 위해 의도된 것으로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게 인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주 성분"은 조성물, 중합체 또는 생성물에 존재하는 성분이 조성물 또는 생성물 중의 임의의 다른 단일 성분보다 양이 많은 것을 지칭한다. 대조적으로, 용어 "1차 성분"은 조성물, 중합체 또는 생성물의 적어도 50중량% 이상을 구성하는 성분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주요 부분"은 복수의 항목에 적용될 때 항목의 적어도 절반을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 상 명백하게 다르게 나타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하다", "포함하는", "구비하다" 및 "구비하는"의 용어가 사용될 때, 그 용어들은 언급된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구성 요소의 존재를 지정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연산, 요소, 구성 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연관 리스트 항목의 임의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와 같은 표현이, 구성 요소의 목록 앞에 있을 때, 구성 요소의 전체 목록을 수정하고 목록의 개별 구성 요소를 수정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할 때 "할 수 있다"의 사용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지칭한다. 또한, "예시적인"이라는 용어는 예 또는 예시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용하다", "사용하는" 및 "사용된"은 "이용하다", "이용하는" 및 "이용된"으로 각각 간주될 수 있다.
요소, 계층, 영역 또는 구성 요소가 다른 요소, 계층, 영역 또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위에", "연결되는"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 언급될 때, 그것은 다른 요소, 계층, 또는 구성요소에 대해 직접 위에 있거나, 연결되거나, 또는 결합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하나 이상의 개재되는 요소, 계층, 영역 또는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직접 연결/직접 결합된"은 중간 구성 요소 없이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거나 결합되는 하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임의의 수치 범위는 인용 범위 내에 포함된 동일한 수치 정밀도의 모든 하위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1.0 내지 10.0"의 범위는 언급된 최소값 1.0과 언급된 최대값 10.0 사이, 즉 1.0 이상의 최소값을 갖고 10.0 이하의 최대값을 갖는(및 포함하는), 예를 들어, 2.5 내지 7.6과 같은, 모든 하위 범위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임의의 최대 수치 제한은 그 안에 포함된 모든 하위 수치 제한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고, 본 명세서에 인용된 임의의 최소 수치 제한은 그에 포함된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 간격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많은 수정 및 변형이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시스템 또는 방법은 센서 네트워크 또는 지그비(Zigbee)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또는 Li-Fi의 확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 간격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 다르게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은 또한 아래의 청구 범위 및 그의 균등범위로 한정된다.

Claims (19)

  1.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제1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N1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핑하고, N1은 양의 정수이고;
    N1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핑한 후,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N2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핑하는 것을 포함하며, N2는 N1보다 큰 양의 정수인, WiFi 채널을 통한 통신 방법.
  2. 제1항에있어서,
    상기 제2 스킵핑 기준은 상기 제1 스킵핑 기준과 동일한, WiFi 채널을 통한 통신 방법.
  3. 제1항에있어서,
    상기 방법은, N2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한 후: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N3 후속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N3은 N2보다 큰 양의 정수이며,
    N3/N2는 0.5 N2/N1 내지 4 N1/N2인, WiFi 채널을 통한 통신 방법.
  4. 제3항에있어서,
    N2/N1이 2인, WiFi 채널을 통한 통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제1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 것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제3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3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 N1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이 스킵될 것임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통지하는, 타겟 웨이크 시간 정보 프레임을 전송하고; 및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타켓 웨이크 시간 정보 프레임에 대한 AKC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WiFi 채널을 통한 통신 방법.
  6. 제5항에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버퍼 상태의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킵핑 기준이,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모든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버퍼가 비어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버퍼 상태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버퍼된 유닛이 없음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WiFi 채널을 통한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버퍼 상태의 표시는 서비스 데이터 프레임 헤더의 품질에서 추가 데이터 비트의 값인, WiFi 채널을 통한 통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부터, 1로 설정된 서비스 주기 비트의 종료를 갖는 서비스 데이터 프레임의 품질을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WiFi 채널을 통한 통신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모든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버퍼가 비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전에, 타겟 웨이크 시간 프레임 교환에 필요한 최대 시간에 의한 현재 서비스 기간 종료 이전의 시점까지 기다리는 것을 더 포함하는, WiFi 채널을 통한 통신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제3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타겟 웨이크 시간 프레임 교환에 필요한 최대 시간에 의한 현재 서비스 기간 종료 전의 시점에,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모든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가 버퍼가 비어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및 이전 시간 간격 동안: 채널이 클리어(clear)되고, 및 서비스 데이터 프레임의 품질이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서 수신되지 않는, WiFi 채널을 통한 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시간 간격은:
    백그라운드에 대한 중재 프레임 간 간격과,
    백그라운드에 대한 최대 경쟁 윈도우 길이와 슬롯 시간의 곱의 합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WiFi 채널을 통한 통신 방법.
  12. WiFi 채널을 통해 통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제1 스킵핑 기준을 충족하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N1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하고, N1은 양의 정수이고; N1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한 후, 제2 스킵핑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N2 타겟 대기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하고, N2는 N1보다 큰 양의 정수인, WiFi 채널을 통해 통신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킵핑 기준은 제1 스킵핑 기준과 동일한, WiFi 채널을 통해 통신하는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N2 타켓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한 후, 상기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N3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을 스킵하고, N3은 N2보다 큰 양의 정수이고, N3/N2는 0.5 N2/N1 내지 4 N1/N2인, WiFi 채널을 통해 통신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N2/N1은 2인, WiFi 채널을 통해 통신하는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킵핑 기준을 충족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은: 제3 스킵핑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3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N1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이 스킵될 것임을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통지하는 타켓 웨이크 시간 정보 프레임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 전송하고; 및 상기 타겟 웨이크 시간 정보 프레임에 대한 ACK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WiFi 채널을 통해 통신하는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버퍼 상태의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모든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버퍼가 비어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버퍼 상태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버퍼된 유닛이 없음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WiFi 채널을 통해 통신하는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의 버퍼 상태의 표시는 서비스 데이터 프레임 헤더의 품질에서 추가 데이터 비트의 값인, WiFi 채널을 통해 통신하는 시스템.
  19.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제1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타겟 웨이크 시간 합의와, 상기 제1 타켓 웨이크 시간 합의와는 다른 제2 타겟 웨이크 시간 합의로 전환하고;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제2 스킵핑 기준이 충족되었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타겟 웨이크 시간 합의에서 제3 타겟 웨이크 시간 합의로 전환하고, 상기 제3 타겟 웨이크 시간 합의가 상기 제1 타겟 웨이크 시간 합의와 상이하고, 및 상기 제3 타켓 웨이크 시간 합의는 제2 타겟 웨이크 시간 합의와 상이하고, 상기 제1 스킵핑 기준이 충족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은 상기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처리된 트래픽에서의 변경이 발생되었음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WiFi 채널을 통한 통신 방법.
KR1020200001052A 2019-02-19 2020-01-03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 간격의 동적 조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012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07692P 2019-02-19 2019-02-19
US62/807,692 2019-02-19
US16/401,503 2019-05-02
US16/401,503 US11006363B2 (en) 2019-02-19 2019-05-02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adjustment of target wake time service period interv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275A true KR20200101275A (ko) 2020-08-27

Family

ID=7204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052A KR20200101275A (ko) 2019-02-19 2020-01-03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 간격의 동적 조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006363B2 (ko)
KR (1) KR20200101275A (ko)
CN (1) CN111586813B (ko)
TW (1) TW2020347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782A1 (ko) * 2021-10-15 2023-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서비스 기간 기반 센싱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78301A4 (en) 2020-10-30 2023-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REPLANING A WIRELESS CHANNEL BASED ON A WIRELESS CHANNEL ENVIRON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17098183A (zh) * 2020-12-31 2023-11-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6367278A (zh) * 2021-12-27 2023-06-30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与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3117B2 (en) * 2002-12-16 2010-04-06 Avaya Inc. Power-saving mechanism for periodic traffic streams in wireless local-area networks
US7551948B2 (en) * 2003-07-24 2009-06-23 Cisco Technology, Inc. Uniform power save method for 802.11e stations
JP4360553B2 (ja) 2004-04-21 2009-11-11 アバイア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アクセス・ポイントでの自動パワー・セーブ送達バッファの編成
US8064374B2 (en) 2008-05-09 2011-11-22 Nokia Corporation Power save mechanism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9326234B2 (en) 2011-12-16 2016-04-26 Stmicroelectronics, Inc. Sub-1GHZ group power save
US9313738B2 (en) * 2012-06-11 2016-04-12 Broadcom Corporation Methods for efficient power management in 60 GHz devices
US9363752B2 (en) 2013-12-27 2016-06-07 Qualcomm Incorporated Target wake time flow identification in TWT acknowledgement
JP6313460B2 (ja) * 2014-02-04 2018-04-1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lanにおけるパワーセーブモードに基づく動作方法及び装置
US9877285B2 (en) * 2014-04-25 2018-01-23 Aruba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aware power save
US10194391B2 (en) * 2015-01-28 2019-01-29 Qualcomm Incorporated Triggered target wake time operation
US10187905B2 (en) * 2015-06-24 2019-01-22 Marvell World Trade Ltd. Target wake time (TWT) scheduling for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channelization
KR102374928B1 (ko) * 2016-05-11 2022-03-16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랜덤 액세스 기반의 상향 다중 사용자 전송을 위한 무선 통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US10785718B2 (en) 2016-06-06 2020-09-22 Apple Inc. Software-enabled access point with power saving
GB2552497B (en) 2016-07-25 2020-12-02 Canon Kk Transmission method for trigger frame by a 802.11ax access-point
US10750445B2 (en) * 2017-09-01 2020-08-18 Intel IP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target wake tim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and devices
EP3731571A4 (en) * 2017-12-21 2021-09-22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 AND TERMINAL USING AN ACTIVATION RADIO
US10716066B2 (en) * 2018-02-08 2020-07-14 Intel IP Corporation Methods to allocate target wake time (TWT) service periods in accordance with a temporary primary channel
US10880920B2 (en) * 2018-06-15 2020-12-29 Cox Communications,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wireless scheduling based on docsi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782A1 (ko) * 2021-10-15 2023-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서비스 기간 기반 센싱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86813A (zh) 2020-08-25
US20210250860A1 (en) 2021-08-12
US11006363B2 (en) 2021-05-11
CN111586813B (zh) 2024-04-26
TW202034722A (zh) 2020-09-16
US20200267644A1 (en) 2020-08-20
US11910313B2 (en)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1275A (ko) 타겟 웨이크 시간 서비스 기간 간격의 동적 조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4866913B2 (ja) 無線lan通信装置及びビーコン送信方法
KR101257347B1 (ko) 메쉬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20210827A1 (en) User equipment initiated channel occupancy time (cot) sharing between multiple user equipments
US81997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92887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energy consumption of radio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US20110122780A1 (en) Graceful Wakeup Of Power Saving Communication Apparatuses
US88431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ata communications with burst transmissions
US8934386B2 (en) Power-save for wireless networks
US9198197B2 (en) Determining maximum packet duration
US7894862B2 (en) Data transceiver and data reception method thereof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100196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Request
US930124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mmunication in a personal area network
US20040186907A1 (en) Technique for optimizing backoff for a shared resource
US918551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118641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arget wake time parameter design
KR101019256B1 (ko) 비컨 기반 메쉬 네트워크를 위한 매체 접근 제어 방법
KR100772535B1 (ko) 애드 혹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의 혼잡 제어 방법 및 그장치
CN114071502B (zh) 配置方法及装置
KR101079389B1 (ko)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38551A (ko) 무선 브로드밴드 시스템의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그리고 단말 및 기지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