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151A -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151A
KR20200101151A KR1020190019425A KR20190019425A KR20200101151A KR 20200101151 A KR20200101151 A KR 20200101151A KR 1020190019425 A KR1020190019425 A KR 1020190019425A KR 20190019425 A KR20190019425 A KR 20190019425A KR 20200101151 A KR20200101151 A KR 20200101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shared
work object
work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7071B1 (ko
Inventor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최재호
델타피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호, 델타피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재호
Priority to KR1020190019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07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 단말이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정보와, 상기 공유 대상 파일을 공유하고자 하는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공유 요청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파일 공유 요청에 따라, 상기 공유 대상 파일에 연관되며 상기 제2 사용자가 참여하는 업무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업무객체를 상기 제2 사용자에 상응하는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되, 여기서 상기 업무 객체는 상기 공유 대상 파일과 관련된 업무에 대한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업무 관련자, 업무 지시내용, 업무 처리내용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캡슐화하여 생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는 상기 업무 객체의 상기 업무 지시자, 상기 업무 처리자, 상기 업무 관련자 중 적어도 하나로서 상기 업무객체에 참여함으로써, 상기 업무객체을 통해 상기 공유 대상 파일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FILE SHARING DEVICE BASED ON WORK OBJECT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파일 공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에 연관된 특정 형태의 객체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에게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파일을 공유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파일은 사용자의 하드웨어 기기 내의 폴더 시스템 또는 클라우드 상의 폴더 시스템에 저장되고 관리된다. 특히 클라우드나 하드웨어 기기에 대해 다수의 사용자가 권한을 가지는 경우, 그 저장된 파일은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파일 각각에 대해 공유자나 접근권한을 개별적으로 설정하기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폴더 단위의 공유가 아닌 파일 단위의 파일 공유를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파일의 전송과 공유를 위해서는 인터넷 메신저가 이용되는 경우도 많다. 인터넷 메신저는 사용자들 간의 문자 또는 그래픽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고,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참여되는 채팅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넷 메신저는 모바일 환경(예를 들어, 휴대폰)에서 수행되는 모바일 메신저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카카오톡, 라인, 위챗, 페이스북 메신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파일의 전송과 공유를 위해 이와 같은 인터넷 메신저가 점차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다른 사용자에게 특정 파일만을 공유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파일을 공유함에 있어, 해당 파일이 관련된 업무의 내용이 하나의 객체로 캡슐화된 업무객체를 통해 공유함으로써 업무의 내용을 파악하기 용이하게 하면서 관련 파일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의 파일 공유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 단말이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정보와, 상기 공유 대상 파일을 공유하고자 하는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공유 요청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파일 공유 요청에 따라, 상기 공유 대상 파일에 연관되며 상기 제2 사용자가 참여하는 업무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업무객체를 상기 제2 사용자에 상응하는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되, 여기서 상기 업무 객체는 상기 공유 대상 파일과 관련된 업무에 대한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업무 관련자, 업무 지시내용, 업무 처리내용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캡슐화하여 생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는 상기 업무 객체의 상기 업무 지시자, 상기 업무 처리자, 상기 업무 관련자 중 적어도 하나로서 상기 업무객체에 참여함으로써, 상기 업무객체을 통해 상기 공유 대상 파일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가 제공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무와 관련된 파일에 대해 해당 파일에 연계된 업무객체을 통해 업무 구성원들 간의 의사 소통 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파일을 파일 단위로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원과 공유하되, 관련 업무에 대한 주요 정보들이 캡슐화되어 포함된 업무객체를 공유함으로써 파일을 공유받은 구성원의 업무의 파악과 처리에 효율을 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내 프로세서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시스템(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시스템(100)은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20)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20)은 제1 사용자 단말(120a), 제2 사용자 단말(120b), 제3 사용자 단말(120c) 및 제4 사용자 단말(120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사용자 단말(120)은 파일 공유자 단말과 파일 공유 대상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일 공유자 단말은 어느 파일을 누구와 공유하고자 하는지, 즉 파일 공유의 주체적, 객체적 범위를 지정하여 파일 공유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파일 공유 대상자 단말은 파일 공유자에 의해 특정 파일을 공유받도록 지정된 사용자의 단말이다. 제1 내지 제4 사용자 단말(120a~120d) 중 일부는 파일 공유자 단말, 그리고 나머지는 파일 공유 대상자 단말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제1 사용자 단말(120a)이 제2 사용자 단말(120b)에게 업무객체를 통해 파일을 공유하는 경우를 가정하며, 제1 사용자 단말(120a)이 파일 공유자 단말, 그리고 제2 내지 제4 사용자 단말(120b~120d)이 파일 공유 대상자 단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제3 사용자 단말(120c)는 뒤에 설명할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을 통해 파일 공유자를 확장하는 경우,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에 대화 참여자로 추가됨으로써 공유 대상 파일을 공유받게 되는 사용자일 수 있다. 또한 제4 사용자 단말(120d)은 뒤에 설명할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을 통해 파일 공유자를 확장하는 경우,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에 대화 참여자로 추가됨으로써 공유 대상 파일을 공유받게 되는 사용자일 수 있다. 다만, 제1 내지 제4 사용자 단말(120a~120d)은 구별의 실익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 단말(120)로 통칭될 수 있다.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용자 단말(120a) 및 제2 사용자 단말(120b)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제1 사용자 단말(120a)과 연관된 사용자가 구성원으로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그룹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된 공유폴더 에이전트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과 연결될 수 있고, 여기에서, 공유폴더 에이전트는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되면 사용자 단말(120)의 승인 하에 사용자 단말(120)과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가 상호 연동되도록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인 에이전트 프로그램에 해당한다.
사용자 단말(120)은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된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사용자 단말(120a~120d) 중 적어도 하나는 모바일 단말일 수 있고,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와 셀룰러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사용자 단말(120a~120d) 중 적어도 하나는 데스크톱일 수 있고,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단말(120a)은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해 접근 및/또는 열람 권한을 가지나, 제2 사용자 단말(120b)은 업무객체를 통한 파일 공유 이전에는 아직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접근 또는 열람의 권한을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여기서 파일 공유자 단말(제1 사용자 단말(120a)) 및 파일 공유 대상자 단말(제2 내지 제4 사용자 단말(120b~120d))에 상응하는 파일 공유자 또는 파일 공유 대상자는, 공유 폴더에 참여하는 폴더 공유 참여자들이거나, 공유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가지는 파일 공유 참여자들일 수 있다. 여기서 파일 공유자와 파일 공유 대상자가 참여하는 공유 폴더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파일 공유자와 파일 공유 대상자가 접근 권한을 가지는 공유 파일 역시 반드시 공통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일 공유자는 공유 대상 파일이 위치하는 공유 폴더에 참여하는 폴더 참여자이고, 파일 공유 대상자는 해당 폴더의 폴더 참여자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파일 공유 대상자는 권한을 가지지 못하는 폴더 내 파일을 파일 공유자(제1 사용자 단말(120a))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와 방법을 통해 권한을 제한한 채로 파일 공유 대상자 단말(제2 내지 제4 사용자 단말(120b~120d) 중 적어도 하나)에게 일시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공유 대상이 되는 파일에 대해, 파일 공유자는 권한을 가지나 파일 공유 대상자는 해당 파일에 대해 접근, 열람 등의 권한이 없는 사용자일 수 있다. 공유의 대상이 되는 파일은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가 제공하는 공유 폴더 내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유의 대상이 되는 파일은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가 제공하는 공유 폴더 또는 파일 공유자의 개인 폴더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사용자 입출력부(23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2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2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링 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20), 사용자 입출력부(23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 내용에 대해서는 이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메모리(22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메모리(220)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고, 만일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면 하이퍼링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3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드, 그래픽 태블릿, 스캐너, 터치 스크린,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30)은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서버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 내 프로세서(21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파일 공유 요청 관리부(310), 업무객체 관리부(320), 제어부(330) 및 대화방 관리부(340) 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가 위의 구성부를 동시에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위의 구성부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고, 위의 구성부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파일 공유 요청 처리부(310)는 파일 공유자 단말인 제1 사용자 단말(120a)로부터 파일 공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파일 공유 요청은 제1 사용자 단말(120a) 의해 지정된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정보와 파일 공유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즉 파일 공유 요청은 어느 파일을 누구와 공유할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파일 공유를 위한 업무객체의 생성을 요청하는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일 공유 요청 처리부(310)는 파일 공유 요청을 제1 사용자 단말(120a)로부터 수신하면, 파일 공유 요청 정보로부터 공유 대상 파일의 식별정보와 파일 공유 대상자인 제2 사용자 단말(120b)의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업무객체 관리부(320)와 제어부(330)에 제공할 수 있다.
업무객체 관리부(320)는 업무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해당 업무객체가 어느 파일에 연관된 업무객체인지, 해당 업무객체의 참여자는 누구인지는 앞서 설명한 파일 공유 요청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업무객체 관리부(320)는, 파일 공유 요청 처리부(310)에 의해 제공받은 파일 공유 요청 정보 내의 공유 대상 파일과 파일 공유 대상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에 따라, 공유 대상 파일에 연관되고, 파일 공유 대상자인 제2 사용자가 참여하는 업무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업무객체는, 공유 대상 파일 또는 업무객체와 관련있는 업무를 지시하는 업무 지시자, 업무 지시자 등에 의해 지정되며, 업무 지시내용에 상응하여 업무 처리를 수행하고 그에 따른 결과물 등을 생성하는 업무 처리자, 업무 지시자도 업무 처리자도 아니지만 해당 업무와 일정 부분 관련이 있는 사용자인 업무 관련자, 업무 지시자가 요청한 업무의 내용을 나타내는 업무 지시내용, 업무 지시내용에 상응하여 처리된 바를 포함하는 업무 처리내용 등을 포함하며, 이들 정보를 캡슐화하여 생성된 객체이다.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업무 관련자를 포함하여, 업무객체 및 공유 대상 파일과 연관된 업무를 수행하거나 해당 업무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여 업무객체 내에 포함된 사용자를 업무 참여자로 통칭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자가 업무객체에 참여한다 함은, 해당 사용자가 업무객체의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업무 관련자 중 하나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업무객체에 참여하게 된다 함은,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해당 업무객체의 업무 처리자 또는 업무 관련자 등에 포함됨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업무객체 관리부(320)가 업무객체 생성 시 제1 사용자는 업무객체의 업무 지시자 또는 업무 처리자로, 그리고 제2 사용자는 업무 처리자 또는 업무 관련자로 해당 업무객체의 참여자로 포함시키거나 추가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에 의해 관리되고, 하나 이상의 폴더 공유자에 의해 공유되며, 하나 이상의 폴더 공유자에 상응하는 사용자 단말(120)에 의해 접근되는 공유 폴더 형태의 파일 시스템에서의 파일 목록 제공, 사용자 접근 권한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이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에 의해 관리되는 공유 폴더에 접근하거나 접근을 시도하면, 제어부(330)는 사용자 단말(120)의 접근을 감지하거나 이에 대한 알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공유 폴더로의 접근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20)의 접근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20)이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에 의해 관리되는 공유 폴더에 접근하거나 접근을 시도하면, 제어부(330)는 사용자 단말(120)의 권한에 맞는 파일, 즉 해당 사용자 단말(120)이 접근 또는 열람 등의 권한을 가지는 파일들만 선별하여 파일 시스템 내에 나열되도록 표시하거나, 해당 파일들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사용자 단말(120)과 연관된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획득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20)의 폴더로의 접근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해당 사용자 또는 해당 사용자 단말(120)이 공유 폴더에 접근할 권한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만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제2 사용자 단말(120b)에서 업무객체가 실체화되면, 해당 업무객체를 통해 공유 대상 파일에 상응하는 파일 객체를 제2 사용자 단말(120b)로 제공할 수 있다.
특정 파일에 대한 업무객체가 생성됨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120a)과 제2 사용자 단말(120b)은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해당 업무객체의 업무 참여자로 참여함으로써 업무객체를 통해 공유 대상 파일을 공유하게 된다. 특히 파일 공유 대상자인 제2 사용자는 공유 대상 파일이 기존에 제2 사용자 단말(120b)이 접근 권한을 가지지 못한 파일일지라도, 업무객체를 통해 해당 공유 대상 파일을 제공받음으로써 해당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한적으로나마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 사용자는 해당 공유 대상 파일을 파일 공유자인 제1 사용자와 함께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공유 대상 파일은 파일 공유자(제1 사용자 단말(120a))와 파일 공유 대상자(제2 내지 제4 사용자 단말(120b~120d) 등)를 제외한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서도 공유되는 파일일 수 있다. 특히 공유 대상 파일이 특정 공유 폴더 내에 위치하는 파일이고, 해당 공유 폴더에 다른 사용자들이 폴더 참여자로 참여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일 공유 대상자인 제2 내지 제4 사용자는 해당 공유 폴더의 폴더 참여자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공유 대상 파일은 파일 공유자와 파일 공유 대상자의 단말(제2 내지 제4 사용자 단말(120b~120d))을 제외한 다른 사용자의 단말에 의해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더 참여자에 의한 공유 대상 파일의 수정 또는 변경으로 인한 갱신 내역은 업무객체에 실시간으로 반영될 수 있다.
여기서 파일의 갱신이라 함은, 파일이 새로이 생성되거나 수정, 변경, 편집된 경우,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이 변경된 경우 등 파일과 관련하여 발생된 모든 변화가 파일에 발생한 갱신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파일의 갱신 내역은 파일이 갱신됨에 따라 변경된 구체적인 내용을 나타낸다.
즉, 공유 폴더의 폴더 참여자를 포함하여, 업무객체 참여자 이외의 정당한 권한 있는 제3자에 의해 공유 대상 파일이 수정된 경우, 공유 대상 파일에 수정, 변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갱신 내역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제어부(330)는 갱신된 공유 대상 파일에 상응하는 새로운 파일 객체를 업무객체에 추가하여 다시 캡슐화하고, 업무객체를 통해 업무객체 참여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업무객체 참여자 이외의 제3자가 정당한 권한에 의해 공유 대상 파일을 수정하면, 제어부(330)는 수정된 버전의 공유 대상 파일을 실시간으로 업무객체에 반영하고, 업무객체 참여자 단말(120a, 120b, 120c 또는 120d)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공유 대상 파일이 갱신된 경우, 해당 갱신 내역이 언제, 어느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어떤 내용으로 발생되었는지를 함께 기록하여, 업무객체를 통해 파일의 갱신에 대한 정보, 즉 해당 공유 대상 파일의 갱신 내역과 함께 갱신의 주체, 갱신 시점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업무객체 참여자를 제외하고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접근 등의 권한을 가지는 제3자는 공유 대상 파일이 원래 위치했던 공유 폴더의 폴더 참여자 중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그리고 파일 공유자는 폴더 참여자 중 적어도 한명일 수 있다.
이 경우, 공유 대상 파일이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00)의 파일 시스템 내에서 원래 위치하는 공유 폴더를 편의상 원 폴더(original folder)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이 경우, 원 폴더의 폴더 참여자와 파일 공유자 그리고 파일 공유 대상자는 공유 대상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경로나 권한에 있어서 서로 차이를 가질 수 있다.
공유 대상 파일은 공유 폴더, 즉 원 폴더 내에 위치하고, 공유 폴더에는 파일 공유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폴더 참여자로서 참여한다. 이 경우 업무객체 참여자, 즉 파일 공유자와 파일 공유 대상자는 각자의 단말에 실체화되는 업무객체를 통해 공유 대상 파일에 접근 가능하다. 그리고 폴더 참여자들은 공유 폴더, 즉 원 폴더를 통해 공유 대상 파일에 접근 가능하다.
따라서, 폴더 참여자인 파일 공유자는 업무객체와 공유 폴더(즉, 원 폴더) 양자 모두를 통해 공유 대상 파일에 접근 가능하다. 그리고 파일 공유자가 폴더 참여자는 아닌 경우, 파일 공유자는 원 폴더인 공유 폴더로의 접근 및 공유 폴더를 통한 공유 대상 파일로의 접근은 허용되지 않는다. 폴더 참여자가 아닌 파일 공유 대상자는 업무객체만을 통해 공유 대상 파일에 접근이 가능하며, 업무객체 참여자가 아닌 폴더 참여자는 원 폴더인 공유 폴더를 통해서만 공유 대상 파일에 접근이 가능하다.
제어부(330)는 업무객체 참여자 중 파일 공유 대상자에게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열람, 수정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고, 폴더 참여자 또는 업무객체 참여자 중 파일 공유자에게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열람, 수정, 삭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업무객체를 통해 공유 대상 파일을 공유받은 경우, 파일 공유 대상자에게는 해당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삭제 권한은 부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업무객체를 통해 공유된 공유 대상 파일의 삭제 여부는 원 폴더의 폴더 참여자들 또는 파일 공유자 중 미리 지정된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원 폴더인 공유 폴더에서 해당 공유 대상 파일이 삭제된 경우, 업무객체 및/또는 해당 업무객체를 통해 공유에 제공된 공유 대상 파일은 삭제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새로운 업무 지시내용이나 업무 처리내용이 업무객체에 추가되는 경우, 업무객체 참여자 단말(제1 내지 제4 사용자 단말(120a~120d))에 이에 대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업무 지시내용이나 업무 처리내용 또는 공유 대상 파일의 갱신 내역 중 하나 이상이 신규로 발생되면, 해당 공유 대상 파일로의 접근에 대한 권한을 가지는 업무객체 참여자 단말(제1 내지 제4 사용자 단말(120a~120d)) 또는 폴더 참여자의 단말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알림 메시지는 네트워크 입출력부(240)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될 수 있다.
대화방 관리부(340)는 업무객체와 연관되거나, 업무객체 내에 포함되는 대화방인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 또는 업무객체와 연관되지 않고 업무객체 외부에 개설되지만 해당 업무객체가 대화 메시지의 하나로 전송되는 대화방인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을 관리한다.
먼저 대화방 관리부(340)는 업무객체에 참여 중인 제1 사용자 단말(120a) 및/또는 제2 사용자 단말(120b)의 요청 또는 업무객체에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을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대화방 관리부(340)는 업무객체 참여자의 단말인 제1 사용자 단말(120a) 또는 제2 사용자 단말(120b)로부터 대화방 생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대화방 생성 요청은 대화방 참여자 정보, 대화방 참여자의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권한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화방 생성 요청에 포함된 대화방 참여자 정보에 따라,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의 대화방 참여자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사용자 단말(120a)은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제3 사용자를 대화방 참여자로 지정하여 대화방 생성 요청을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20a)로부터 전송된 대화방 생성 요청은 사용자 입출력부(230) 또는 네트워크 입출력부(240)를 통해 대화방 관리부(340)로 전달된다. 대화방 관리부(340)는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제3 사용자가 대화방 참여자로 포함된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을 생성하고, 대화방 참여 요청 또는 대화방 초대 알림 등을 제2 사용자 단말(120b) 및 제3 사용자 단말(120c)로 전송한다.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에 대한 대화방 참여 요청 또는 대화방 초대 알림 신호에는 해당 업무객체 및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으로의 접근 경로가 포함될 수 있다.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의 대화방 참여자 추가 시, 대화방 관리부(340)는 제3 사용자 및 제3 사용자 단말(120c)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3 사용자 단말(120c)에게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으로의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을 통한 업무객체로의 접근 및 업무객체를 통한 공유 대상 파일로의 접근 및 열람 등에 대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는, 대화방 관리부(340) 또는 제어부(330)는, 제3 사용자 단말(120c)의 식별정보가 없더라도,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을 통한 접근에 대해서는 업무객체나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접근, 열람 등을 허용하도록 업무객체나 공유 대상 파일의 보안 및 인증 정보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제3 사용자 또는 제3 사용자 단말(120c)이 파일 공유 대상자 또는 파일 공유 대상자 단말로 추가될 수 있다.
또는 파일 공유 대상자는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을 통해서도 추가될 수 있다.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에서 업무객체가 대화 메시지의 하나로 제공되는 경우, 대화방 관리부(340)는 해당 대화방의 대화방 참여자들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객체 및/또는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파일 공유 대상자를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대화방 참여자가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제4 사용자인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에서 공유 대상 파일에 연관된 업무객체가 일 대화 메시지로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20a) 및 제2 사용자 단말(120b)은 해당 업무객체에 이미 참여중이며, 해당 업무객체를 통해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접근, 열람 등의 권한을 이미 획득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대화방 관리부(340)는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을 통해 해당 업무객체를 제공받게 되는 대화방 참여자인 제4 사용자를 파일 공유 대상자로 추가할 수 있다.
대화방 관리부(340)는 제4 사용자 단말(120d)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4 사용자 단말(120d)에게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을 통한 업무객체 및/또는 공유 대상 파일로의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사용자 단말(120d)은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을 통한 업무객체로의 접근 및 업무객체를 통한 공유 대상 파일로의 접근 및 열람 등이 가능하다.
또는, 대화방 관리부(340) 또는 제어부(330)는, 제4 사용자 단말(120d)의 식별정보와 무관하게,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을 통한 접근에 대해서는, 업무객체나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접근이나 열람 등을 허용하도록 업무객체나 공유 대상 파일의 보안 및 인증 정보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제4 사용자 또는 제4 사용자 단말(120d)은 해당 공유 대상 파일과 업무객체에 대한 파일 공유 대상자 또는 파일 공유 대상자 단말로 추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제1 사용자 단말(120a)로부터 파일 공유 요청을 수신한다(S410). 제1 사용자 단말(120a)은 특정 파일에 대한 공유 권한에 근거하여, 파일 공유를 위한 업무객체를 통해 타 사용자, 즉 파일 공유 대상자에게 해당 파일을 공유하는 사용자의 단말이다. 제2 사용자 단말(120b)은 제1 사용자 단말(120a)에 의해 파일을 공유받을 것으로 지정된 사용자이다. 제1 사용자 단말(120a)과 제2 사용자 단말(120b)은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서 각각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20a)이 전송하는 파일 공유 요청에는 파일 공유의 주체에 대한 정보, 즉 누가 누구와 파일을 공유하고자 하는지를 나타내는 파일 공유 대상자에 대한 정보와, 파일 공유의 객체에 대한 정보, 즉 어느 파일을 공유하고자 하는지를 나타내는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파일 공유 요청에 의해 지정된 바에 따라, 공유 대상 파일에 연관된 업무객체를 생성한다(S415).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파일 공유 요청에 따라 지정된 공유 대상 파일에 연관되는 업무객체를 생성한다. 업무객체 생성 시, 제1 사용자 및 제1 사용자의 파일 공유 요청에 의해 파일 공유 대상자로 지정된 제2 사용자가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업무 관련자 중 하나 이상으로 포함된다. 이 외에도 업무객체에는 업무 지시내용, 업무 처리내용 등이 함께 포함되어 캡슐화될 수 있다.
그리고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업무객체를 제1 사용자 단말(120a)에게 제공할 수 있다(S420). 그리고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파일 공유 대상자로 지정되어 업무객체에 참여를 요청받은 제2 사용자 단말(120b)로 업무객체 참여 알림, 업무객체 참여 요청 신호 등을 전송하고, 업무객체를 제공할 수 있다(S425).
여기서 공유 대상 파일을 제공한다 함은 제2 사용자 단말(120b)이 해당 공유 대상 파일을 전송받고 다운로드하여 제2 사용자 단말(120b) 내의 메모리 영역에 영구 저장하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공유 대상 파일은 제2 사용자 단말(120b)에 제공되어 실체화되고 출력될 수 있으며, 파일 공유 대상자의 권한 설정에 따라 수정, 변경, 갱신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2 사용자 단말(120b) 내의 메모리에 영구 저장되는 것은 제한될 수 있다. 이는 공유 대상 파일이 파일 공유자의 제어 범위를 넘어서서 갱신되거나 보유, 재전송, 배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러한 점으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메일이나 일반적인 메신저를 통한 파일의 전송, 공유와 구별될 수 있다.
따라서 공유 대상 파일은 업무객체 내의 업무 처리내용이나 업무 지시내용의 하나의 형태로 전송되고, 업무객체 내에 포함되어 캡슐화될 수 있다. 이 경우 공유 대상 파일을 파일 공유 대상자가 수정 또는 변경하는 경우, 이러한 파일의 갱신 역시 업무객체에 연관되어 제공되는 윈도우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갱신 내역과 갱신된 새로운 버전의 공유 대상 파일은 업무객체에 포함되고, 메모리(2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공유 대상 파일은 업무객체에 종속되거나 연관된 별도의 윈도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거나 파일 재생 툴을 통해 재생, 출력될 수 있으며, 수정, 변경 등 갱신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갱신 내역과 갱신된 새로운 버전의 공유 대상 파일은 업무객체 내에 포함되고, 업무 처리내용 등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으며, 메모리(220)에 저장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120b)은 참여를 요청받은 업무객체에 접근할 수 있다(S430). 제2 사용자 단말(120b)은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로부터 제공받은 업무객체 참여 알림 또는 참여 요청 등에 포함된 업무객체로의 접근 경로를 통해 업무객체에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용자 단말(120b)의 요청이나 업무객체의 설정에 따라,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제2 사용자 단말(120b)에게 공유 대상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S435).
제2 사용자 단말(120b)은 제공받은 업무객체를 통해 공유 대상 파일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공유 대상 파일을 실체화할 수 있다(S440). 그리고 제2 사용자 단말(120b)에게 공유 대상 파일의 갱신에 대한 권한이 부여된 경우, 제2 사용자 단말(120b)은 공유 대상 파일을 갱신할 수 있다(S445).
갱신된 공유 대상 파일 또는 공유 대상 파일의 갱신 내역은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로 전송된다(S450). 그리고 공유 대상 파일의 갱신 내역 및 갱신된 공유 대상 파일의 파일객체는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의 메모리(220)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갱신된 공유 대상 파일 및/또는 공유 대상 파일의 갱신 내역은 업무객체에 반영될 수 있다(S455).즉 공유 대상 파일이 언제 어느 사용자의 단말 상에서 어떻게 갱신되었는지에 대한 정보가 업무객체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갱신 내역과 갱신된 새로운 버전의 공유 대상 파일은 업무객체에 업무 처리내용 또는 업무 지시내용으로서 추가되며, 새로운 버전의 공유 대상 파일이 추가된 상태로 업무객체는 다시 캡슐화될 수 있다(S455).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갱신된 버전의 업무객체 또는 공유 대상 파일의 갱신 내역 등을 제1 사용자 단말(120a)에 제공한다(S460). 제1 사용자 단말(120a)은 제2 사용자 단말(120b)에 의해 갱신된 업무객체 또는 갱신된 공유 대상 파일에 접근하여 수정된 부분을 열람할 수 있다(S465). 그리고 제1 사용자는 갱신된 내용을 확인한 후, 제2 사용자 단말(120b)로 전송할 메시지 또는 이메일, 공유 대상 파일을 재 갱신 등 피드백을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S470). 이러한 피드백은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에 의해, 업무 처리내용 또는 새로운 업무 지시내용 등의 형태로 업무객체에 추가로 포함되어 다시 캡슐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서는,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시스템(100) 상에서,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와 업무객체 참여자 단말들(120a, 120b), 즉 제1 사용자 단말(120a)과 제2 사용자 단말(120b) 간의 신호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제1 사용자 단말(120a)은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로 파일 공유 요청을 전송한다(S510). 파일 공유 요청에는 공유할 파일의 식별 정보와, 파일 공유 대상자인 제2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 단말(120b)의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파일 공유 요청을 수신하여, 공유 대상 파일과 파일 공유 대상자를 확인한다(S520). 그리고 해당 공유 대상 파일에 연관된 업무객체가 이미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530). 확인 결과, 해당 공유 대상 파일에는 연관된 업무객체가 생성된 바가 없다면, 파일 공유를 위한 업무객체를 생성한다(S540). 여기서,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업무객체 신규 생성 시, 제2 사용자를 업무 처리자, 업무 지시자, 업무 관련자 중 하나 이상으로 포함하여 해당 업무객체를 생성한다.
만일 해당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해 이미 생성된 업무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제1 사용자는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를 통해 파일 공유를 위한 새로운 업무객체를 생성할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업무객체를 활용하여 파일을 공유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S535). 파일 공유를 위한 새로운 업무객체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S535),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제2 사용자를 업무객체에 참여하도록 설정하여 업무객체를 새로 생성할 수 있다(S540).
새로운 업무객체를 생성하지 않는 경우(S535),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기존의 업무객체를 활용하여 공유 대상 파일을 제2 사용자 단말(120b)로 공유할 수 있다. 즉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이미 생성된 업무객체에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또는 업무 관련자 중 하나로 제2 사용자를 추가함으로써 제2 사용자를 파일 공유 대상자로 추가할 수 있다(S545).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제2 사용자 단말(120b) 에게 업무객체로의 참여를 요청하거나 초대를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고, 업무객체로의 접근 경로를 제공하거나 업무객체를 제2 사용자 단말(120b)로 제공할 수 있다(S550).
제2 사용자 단말(120b)은 업무객체를 통해 공유 대상 파일에 접근하고 공유 대상 파일을 오픈하여 열람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120b)은 그 권한이 설정된 범위에 따라, 공유 대상 파일을 저장하거나 수정, 변경 등 갱신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가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을 통해 파일 공유 대상자를 추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제1 사용자 단말(120a)의 파일 공유 요청에 따라 공유 대상 파일에 연관된 업무객체를 생성한다(S610). 그리고 제1 사용자 단말(120a) 또는 제2 사용자 단말(120b, 대화방 생성 요청에 대한 권한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의 요청에 의해 또는 업무객체에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S620).
이때,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의 대화방 참여자로는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며, 제3 사용자가 대화방 참여자로 추가된다(S630). 즉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을 통해 파일 공유 대상자가 확장된다.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의 대화방 참여자로 추가된 제3 사용자는 업무객체 및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접근, 열람 등의 권한을 부여받게 된다. 따라서 제3 사용자 단말(120c)는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의 대화방 참여 요청을 수락하고,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에 참여함으로써 업무객체에 대한 접근 권한을 얻게 된다. 그리고 업무객체를 통해 공유 대상 파일도 공유하게 되므로, 업무객체를 통해 공유 대상 파일을 제공받을 수 있다(S640). 제3 사용자 단말(120c)은 업무객체를 통해 공유 대상 파일로 접근할 수 있으며, 공유 대상 파일을 열람하거나 권한 범위에 따라서는 공유 대상 파일을 수정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서,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을 통해 파일 공유 대상자를 추가하기도 한다.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제1 사용자 단말(120a)의 파일 공유 요청에 상응하여, 공유 대상 파일에 연관된 업무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S710). 그리고,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이 생성된다(S720).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은 업무객체와 연관된 대화방일 필요가 없으며, 업무객체에 포함될 필요도 없다. 업무객체의 외부에 있으며, 업무객체와 무관한 일반 대화방일 수 있다. 다만,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에서는 업무객체가 대화 메시지의 하나로 전송될 수 있으며, 업무객체의 참여자 중 하나 이상이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의 대화방 참여자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예컨대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에 참여 중인 제1 사용자 단말(120a)로부터 제4 사용자를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의 대화방 참여자로 추가할 것을 요청받을 수 있다(S730). 이에 따라,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의 대화방 참여자로 제4 사용자가 추가된다.
그리고,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의 메시지의 하나로, 업무객체가 전송된다(S740). 즉 제1 사용자 단말(120a)이 제4 사용자 단말을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에 초대하여 참여하도록 한 후, 업무객체를 일 메시지로 전송함으로써 제4 사용자 단말(120d)이 업무객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S740).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을 통해 제4 사용자 단말(120d)로 업무객체 및/또는 공유 대상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S750).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110)는 제4 사용자에게 업무객체나 공유 대상 파일로의 접근 등을 허용하는 권한을 미리 부여할 수 있다. 또는 업무객체나 공유 대상 파일의 보안 인증 관련 설정하는 바에 의해 업무객체 및/또는 공유 대상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S750)
만약 제4 사용자 단말(120d)가 파일을 수정할 권한이 있는 경우라면, 파일 공유 대상자인 제4 사용자 단말(120d)는 업무객체를 통해 공유 대상 파일을 열람하고, 수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시스템
110: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120a: 제1 사용자 단말
120b: 제2 사용자 단말
120c: 제3 사용자 단말
120d: 제4 사용자 단말
210: 프로세서
220: 메모리
230: 사용자 입출력부
240: 네트워크 입출력부

Claims (12)

  1.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 단말이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정보와, 상기 공유 대상 파일을 공유하고자 하는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공유 요청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파일 공유 요청에 따라, 상기 공유 대상 파일에 연관되며 상기 제2 사용자가 참여하는 업무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업무객체를 상기 제2 사용자에 상응하는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되,
    여기서 상기 업무 객체는 상기 공유 대상 파일과 관련된 업무에 대한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업무 관련자, 업무 지시내용, 업무 처리내용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캡슐화하여 생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는 상기 업무 객체의 상기 업무 지시자, 상기 업무 처리자, 상기 업무 관련자 중 적어도 하나로서 상기 업무객체에 참여함으로써, 상기 업무객체을 통해 상기 공유 대상 파일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무객체 생성 시, 상기 공유 대상 파일을 상기 업무객체의 상기 업무 지시내용 또는 상기 업무 처리내용 중 적어도 하나로 포함하여 캡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업무객체의 상기 업무 관련자 또는 상기 업무 처리자 중 적어도 하나로 추가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업무객체를 통해 상기 공유 대상 파일에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무객체에 연관되며 상기 업무객체를 통해 접근 가능한 대화방인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을 상기 업무객체에 포함시켜 캡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상응하여 제3 사용자 단말을 상기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의 대화 참여자로 추가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사용자 단말이 상기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에 참여 시, 상기 제3 사용자 단말도 상기 업무객체 또는 상기 업무객체 종속적 대화방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무객체와 별도로 운영되고, 상기 업무객체를 사용자 반응형 대화 메시지의 일 유형으로 전송하는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을 개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에 제4 사용자 단말을 상기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의 대화 참여자로 추가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사용자 단말이 상기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에 참여 시, 상기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을 통해 상기 업무객체가 제공될 경우, 상기 제4 사용자 단말도 상기 업무객체 또는 상기 업무객체 독립적 대화방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해 수정, 변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갱신 내역이 발생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갱신된 상기 공유 대상 파일에 상응하는 새로운 상기 파일 객체를 상기 업무객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해 수정, 변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갱신 내역이 발생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갱신 내역을 상기 업무객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갱신 내역이 발생하기 전에,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갱신 권한이 있는지 먼저 확인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상기 갱신 권한을 가지는 경우에 한하여 새로운 상기 파일객체 또는 상기 갱신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업무객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11.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파일 공유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이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정보와, 상기 공유 대상 파일을 공유하고자 하는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공유 요청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일 공유 요청에 따라, 상기 공유 대상 파일에 연관되며 상기 제2 사용자가 참여하는 업무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업무객체를 상기 제2 사용자에 상응하는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업무 객체는 상기 공유 대상 파일과 관련된 업무에 대한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업무 관련자, 업무 지시내용, 업무 처리내용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캡슐화하여 생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는 상기 업무 객체의 상기 업무 지시자, 상기 업무 처리자, 상기 업무 관련자 중 적어도 하나로서 상기 업무객체에 참여함으로써, 상기 업무객체을 통해 상기 공유 대상 파일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방법.
  12. 컴퓨터 실행 가능한 대화방 기반의 파일 공유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이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 대상 파일에 대한 정보와, 상기 공유 대상 파일을 공유하고자 하는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공유 요청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기능;
    상기 파일 공유 요청에 따라, 상기 공유 대상 파일에 연관되며 상기 제2 사용자가 참여하는 업무 객체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업무객체를 상기 제2 사용자에 상응하는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업무 객체는 상기 공유 대상 파일과 관련된 업무에 대한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업무 관련자, 업무 지시내용, 업무 처리내용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캡슐화하여 생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는 상기 업무 객체의 상기 업무 지시자, 상기 업무 처리자, 상기 업무 관련자 중 적어도 하나로서 상기 업무객체에 참여함으로써, 상기 업무객체을 통해 상기 공유 대상 파일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컴퓨터 실행 가능한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90019425A 2019-02-19 2019-02-19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2337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425A KR102337071B1 (ko) 2019-02-19 2019-02-19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425A KR102337071B1 (ko) 2019-02-19 2019-02-19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151A true KR20200101151A (ko) 2020-08-27
KR102337071B1 KR102337071B1 (ko) 2021-12-08

Family

ID=72237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425A KR102337071B1 (ko) 2019-02-19 2019-02-19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0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334A (ko) * 2021-04-09 2022-10-18 최재호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8270A (ja) * 2004-02-16 2005-08-25 Ricoh Co Ltd ファイル共有システム
KR20150073229A (ko) 2013-12-19 2015-07-0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메신저 그룹 내 파일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9881A (ko) * 2015-10-02 2017-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무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088659A (ko) * 2016-01-25 2017-08-02 최동규 컴퓨터 실행 가능한 업무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메시지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8270A (ja) * 2004-02-16 2005-08-25 Ricoh Co Ltd ファイル共有システム
KR20150073229A (ko) 2013-12-19 2015-07-0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메신저 그룹 내 파일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9881A (ko) * 2015-10-02 2017-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무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088659A (ko) * 2016-01-25 2017-08-02 최동규 컴퓨터 실행 가능한 업무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메시지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334A (ko) * 2021-04-09 2022-10-18 최재호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071B1 (ko)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5155B2 (en) Resource-based action attribution
US10747896B2 (en) Item sharing based on information boundary and access control list settings
US20130191451A1 (en) Presence-based Synchronization
CN101494620B (zh) 用于改进即时消息递送系统的控制的方法和系统
US11553013B2 (en) Chat room-based file sharing device and method
US11328254B2 (en) Automatic group creation based on organization hierarchy
KR20200020194A (ko) 대화방 기반의 업무관리 장치,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US8938505B2 (en) Co-authoring for a document management system
US201402146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group workspaces
KR102402249B1 (ko) 대화방 기반의 업무관리 장치,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2337071B1 (ko)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
US11750549B2 (en) File-related task management device
US11778023B2 (en) Shared channel invitation paths
US9740850B2 (en) Controlling which users from an organization are to be part of a community space in an easy and error-free manner
US20230205904A1 (en) Enhanced security features for controlling access to shared content and private content of a shared document
US11570170B2 (en) Embedding group-based communication system content
US20240098122A1 (en) Unplanned remote collaboration
KR20210030333A (ko) 대화방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
KR20210018392A (ko) 파일 연계형 업무 관리 장치
KR20240035241A (ko) 카드대화방 기반의 업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10028845A (ko) 대화방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