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058A -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 및 이를 갖는 주사기 - Google Patents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 및 이를 갖는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058A
KR20200101058A KR1020190019216A KR20190019216A KR20200101058A KR 20200101058 A KR20200101058 A KR 20200101058A KR 1020190019216 A KR1020190019216 A KR 1020190019216A KR 20190019216 A KR20190019216 A KR 20190019216A KR 20200101058 A KR20200101058 A KR 20200101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joint cavity
injection needle
stomach
need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8513B1 (ko
Inventor
김준배
Original Assignee
김준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배 filed Critical 김준배
Priority to KR1020190019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51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depth of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43Damping means for syringe components executing relative movements, e.g. retarders or attenuators slowing down or timing syringe mech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관절강에 주사액 주입시 심도 인식을 용이하기 하기 위한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이 개시된다.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은 주사바늘 몸체 및 배불림부를 포함한다. 주사바늘 몸체는 유체주입 첨단부로 정의되는 종단부를 포함한다. 배불림부는 관절강 주사액 주입시 주사바늘 몸체가 관절강 내에 뚫고 들어가는 순간의 느낌을 시술자가 잘 느낄 수 있도록 주사바늘 몸체의 중간 부위에 배불림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관절강이 약간 두껍고 탄성이 있기 때문에 주사바늘의 종단부인 유체주입 첨단부에 인접한 외주면의 일부 영역에 작은 볼을 형성하여 관절강을 뚫고 들어가는 순간의 느낌을 잘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관절강 주사액 주입시 보다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 및 이를 갖는 주사기{INJECTION NEEDLE FOR INJECTING AN INJECTION SOLUTION INTO A JOINTCAVITY AND SYRING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절강에 주사액 주입시 시술자에게 관절강의 심도 인식을 용이하기 하기 위한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절강(jointcapsule)은 두 개의 뼈가 위치하는 지점에 활액으로 찬 주머니를 말한다. 관절강 속의 윤활액(활액)은 뼈의 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관절강 내 주사는 관절염 등으로 통증, 불편감, 관절 운동 제한 등이 있는 환자에서 물리치료나 약물치료로 호전이 없거나 기대할 수 없을 때 시행하는 치료법으로 어깨나 무릎 등 관절 내에 관절액 유사 물질을 주사를 통해 주입시켜주어 치료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다.
한편, 기존의 주사바늘은 일자 형태에 끝에만 깍아서 날카롭게 만든 형태이다. 근육 내 주사나 혈관 주사에는 이것을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지만, 무릎 관절강 내에 주사를 할 때는 깊은 부위의 관절막을 잘 뚫고 들어가서 정확히 관절강 내부에 주사액을 넣어야 하는데 그 느낌을 찾는 것이 오랜 경험을 필요로 하고, 실제로 관절강 내에 들어가지 않고 다른 곳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고되기도 한다. 이럴 경우, 치료 효과가 떨어지고 주사시 통증은 더 심하게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7762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06202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절강에 주사액 주입시 시술자에게 관절강의 심도 인식을 용이하기 하기 위한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을 갖는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은 주사바늘 몸체 및 배불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주사바늘 몸체는 유체주입 첨단부로 정의되는 종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불림부는 관절강 주사액 주입시 상기 주사바늘 몸체가 관절강 내에 뚫고 들어가는 순간의 느낌을 시술자가 잘 느낄 수 있도록 상기 주사바늘 몸체의 중간 부위에 배불림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바늘 몸체와 상기 배불림부의 재질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불림부의 내부 유체관로의 직경과 상기 주사바늘 몸체의 내부 유체관로의 직경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불림부의 내부 유체관로의 직경은 상기 주사바늘 몸체의 내부 유체관로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불림부는 볼형상 또는 럭비공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불림부의 위치는 상기 유체주입 첨단부에서 4~6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불림부의 최대 굵기는 상기 주사바늘 몸체의 굵기의 1.3 내지 1.5배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기는 실린더, 플런저 조립체 및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는 관절강 주사액을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내부 공간을 갖는다. 상기 플런저 조립체는 상기 실린더에 내 삽입하여 결합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 후방에 결합된 플런저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은 주사바늘 몸체와, 관절강 주사액 주입시 상기 주사바늘 몸체가 관절강 내에 뚫고 들어가는 순간의 느낌을 시술자가 잘 느낄 수 있도록 상기 주사바늘 몸체의 중간 부위에 배불림 형상으로 형성된 배불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전방에 체결된다.
이러한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 및 이를 갖는 주사기에 의하면, 관절강이 약간 두껍고 탄성이 있기 때문에 주사바늘의 종단부인 유체주입 첨단부에 인접한 외주면의 일부 영역에 작은 볼을 형성하여 관절강을 뚫고 들어가는 순간의 느낌을 잘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관절강 주사액 주입시 보다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사바늘 조립체의 측면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을 이용한 관절강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관절강 주사바늘의 유체주입 첨단부가 관절강에 삽입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의 측면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을 이용한 관절강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기(100)는 실린더(110), 플런저 조립체(120) 및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을 포함하고, 실린더(110)의 축방향에 대한 플런저 조립체(120)의 후퇴에 따라 실린더(110) 내에 부압이 발생하면서 관절강 주사액이 채워지며, 실린더(110)의 축방향에 대한 전진에 따라 정압에 의해 실린더(110) 내의 관절강 주사액이 상기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을 통해 배출되면서 환자의 관절강 내에 관절강 주사액의 주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실린더(110)는 관절강 주사액을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내부 공간을 갖고서, 삽입되는 플런저 조립체(120)를 수용하고, 전방부에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이 체결된다.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은 끼워맞춤 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고, 스크류 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플런저 조립체(120)는 실린더(110) 내부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플런저(도면부호 미부여)와, 상기 플런저 후방에 결합된 플런저 로드(도면부호 미부여)를 포함한다.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은 주사바늘 몸체(132)와, 관절강 주사액 주입시 주사바늘 몸체(132)가 관절강 내에 뚫고 들어가는 순간의 느낌을 시술자가 잘 느낄 수 있도록 주사바늘 몸체(132)의 중간 부위에 배불림 형상으로 형성된 배불림부(134)를 포함하고, 실린더(110) 전방에 체결된다.
주사바늘 몸체(132)와 배불림부(134)의 재질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바늘 몸체(132)와 배불림부(134)는 금속재질일 수도 있고, 형상기억합금재질일 수도 있다.
한편, 주사바늘 몸체(132)와 배불림부(134)의 재질은 서로 다를 수도 도 있다. 예를 들어, 주사바늘 몸체(132)이 금속재질이라면, 배불림부(134)는 형상기억합금재질일 수도 있다. 물론, 주사바늘 몸체(132)이 형상기억합금이라면, 배불림부(134)는 금속재질일 수도 있다.
배불림부(134)의 위치는 상기 유체주입 첨단부에서 4~6mm일 수 있다. 배불림부(134)의 최대 굵기는 주사바늘 몸체(132)의 굵기의 1.3 내지 1.5배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바늘 몸체(132)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교차하는 방향으로 배불림부(134)를 절단한 단면이 원형상인 경우, 배불림부(134)의 최대 반지름은 주사바늘 몸체(132)의 반지름(r)의 1.3~1.5r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주사바늘 몸체(132)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교차하는 방향으로 배불림부(134)를 절단한 단면이 타원형상이거나 라운드진 삼각형, 라운드진 사각형, 라운드진 오각형, 라운드진 육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갖더라도 배불림부(134)의 최대 굵기는 주사바늘 몸체(132)의 굵기의 1.3 내지 1.5배에 대응할 수 있다.
배불림부(134)의 내부 유체관로의 직경과 주사바늘 몸체(132)의 내부 유체관로의 직경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불림부(134)의 내부 유체관로의 내압과 주사바늘 몸체(132)의 내부 유체관로의 내압은 동일하다.
배불림부(134)의 내부 유체관로의 직경은 주사바늘 몸체(132)의 내부 유체관로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배불림부(134)는 볼형상일 수도 있고, 럭비공형상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기(100)는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을 커버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캡(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캡(140)은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에 형성된 배불림부(134)까지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140)은 일정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에 형성된 배불림부(134)을 커버할 때 확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보호캡(140)은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의 유체주입 첨단부에서 배불림부까지의 영역은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배불림부에서 나머지 영역까지는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은 볼형상의 배불림부(134)를 포함하고, 배불림부(134)에 대응하는 내부 유체관로의 직경과 주사바늘 몸체(132)(도 2에 도시됨)에 대응하는 내부 유체관로의 직경은 동일하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은 금속튜브를 금속튜브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면서 배불림부(134)가 형성될 영역에 액상의 금속재질을 단면형상이 볼형상이 되도록 도팅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팅된 금속재질이 경화된 후 일정 길이만큼 절단한 후 첨단부를 형성한 후 후속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은 볼형상의 배불림부(234)를 포함하고, 배불림부(234)에 대응하는 내부 유체관로는 확장된다. 이에 따라, 배불림부(234)에 대응하는 내부 유체관로의 직경은 주사바늘 몸체(132)(도 2에 도시됨)에 대응하는 내부 유체관로의 직경보다 크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은 일정 간격으로 단면형상이 볼형상으로 확장된 금속튜브를 제조한 후 원하는 길이만큼 절단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은 럭비공형상의 배불림부(334)를 포함하고, 배불림부(334)에 대응하는 내부 유체관로의 직경과 주사바늘 몸체(132)(도 2에 도시됨)에 대응하는 내부 유체관로의 직경은 동일하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은 금속튜브를 금속튜브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면서 배불림부(334)가 형성될 영역에 액상의 금속재질을 단면형상이 럭비공형상이 되도록 도팅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팅된 금속재질이 경화된 후 일정 길이만큼 절단한 후 첨단부를 형성한 후 후속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유체주입 첨단부에 가까운 배불림부(334)의 곡률과 유체주입 첨단부에서 먼 배불림부(334)의 곡률은 동일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유체주입 첨단부에 가까운 배불림부(334)의 곡률이 유체주입 첨단부에서 먼 배불림부(334)의 곡률보다 크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그 역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유체주입 첨단부에 가까운 배불림부(334)의 곡률이 유체주입 첨단부에서 먼 배불림부(334)의 곡률보다 크도록 구성하여 시술자가 관절강을 뚫고 들어가는 순간의 느낌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은 럭비공형상의 배불림부(434)를 포함하고, 배불림부(434)에 대응하는 내부 유체관로는 확장된다. 이에 따라, 배불림부(434)에 대응하는 내부 유체관로의 직경은 주사바늘 몸체(132)(도 2에 도시됨)에 대응하는 내부 유체관로의 직경보다 크다.
제4 실시예에 따른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은 일정 간격으로 단면형상이 럭비공형상으로 확장된 금속튜브를 제조한 후 원하는 길이만큼 절단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유체주입 첨단부에 가까운 배불림부(434)의 곡률과 유체주입 첨단부에서 먼 배불림부(434)의 곡률은 동일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유체주입 첨단부에 가까운 배불림부(434)의 곡률이 유체주입 첨단부에서 먼 배불림부(434)의 곡률보다 크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그 역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유체주입 첨단부에 가까운 배불림부(434)의 곡률이 유체주입 첨단부에서 먼 배불림부(434)의 곡률보다 크도록 구성하여 시술자가 관절강을 뚫고 들어가는 순간의 느낌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관절강 주사바늘의 유체주입 첨단부가 관절강에 삽입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진들이다.
도 2, 도 3 및 도 8a를 참조하면,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의 유체주입 첨단부가 관절낭의 섬유피막과 활막을 뚫기 위해 진입한다. 사진상에서 유체주입 첨단부에 의해 관절낭의 섬유피막과 활막은 관절강을 향해 약간 돌출된다.
도 2, 도 3 및 도 8b를 참조하면,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의 유체주입 첨단부가 관절낭의 섬유피막과 활막을 뚫은 후 활액으로 차있는 관절강에 진입한다.
도 2, 도 3 및 도 8c를 참조하면,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130)의 유체주입 첨단부뿐만 아니라 주사바늘 몸체(132)가 관절낭의 섬유피막과 활막을 뚫은 후 활액으로 차있는 관절강에 도 8b에 도시된 사진에 비해 더욱 진입한다. 이때 주사바늘 몸체(13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배불림부(134)가 관절낭의 섬유피막과 활막을 뚫기 위해 가입되므로 섬유피막과 활막에 의해 저항으로 작용하므로 시술자는 자신의 손을 통해 가압에 따른 저항감을 체감한다. 이에 따라, 시술자는 유체주입 첨단부가 관절강 내부에 온전히 위치하는 것을 인지한다.
이에 따라, 관절막을 잘 뚫고 들어가서 정확히 관절강 내부에 주사액을 제대로 넣을 수 있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관절강 내부에 제대로 주사액이 제공되므로 주사액 주입을 1회로 국한시킬 수 있어 불필요하게 주사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관절강이 약간 두껍고 탄성이 있기 때문에 주사바늘의 종단부인 유체주입 첨단부에 인접한 외주면의 일부 영역에 작은 볼을 형성하여 관절강을 뚫고 들어가는 순간의 느낌을 잘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관절강 주사액 주입시 보다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기 110 : 실린더
130 :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 140 : 보호캡
120 : 플런저 조립체 132 : 주사바늘 몸체
134, 234, 334, 434 : 배불림부

Claims (8)

  1. 유체주입 첨단부로 정의되는 종단부를 포함하는 주사바늘 몸체; 및
    관절강 주사액 주입시 상기 주사바늘 몸체가 관절강 내에 뚫고 들어가는 순간의 느낌을 시술자가 잘 느낄 수 있도록 상기 주사바늘 몸체의 중간 부위에 배불림 형상으로 형성된 배불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몸체와 상기 배불림부의 재질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불림부의 내부 유체관로의 직경과 상기 주사바늘 몸체의 내부 유체관로의 직경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불림부의 내부 유체관로의 직경은 상기 주사바늘 몸체의 내부 유체관로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불림부는 볼형상 또는 럭비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불림부의 위치는 상기 유체주입 첨단부에서 4~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불림부의 최대 굵기는 상기 주사바늘 몸체의 굵기의 1.3 내지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
  8. 관절강 주사액을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내부 공간을 갖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내 삽입하여 결합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 후방에 결합된 플런저 로드를 포함하는 플런저 조립체; 및
    주사바늘 몸체와, 관절강 주사액 주입시 상기 주사바늘 몸체가 관절강 내에 뚫고 들어가는 순간의 느낌을 시술자가 잘 느낄 수 있도록 상기 주사바늘 몸체의 중간 부위에 배불림 형상으로 형성된 배불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전방에 체결된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기.
KR1020190019216A 2019-02-19 2019-02-19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 및 이를 갖는 주사기 KR102258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216A KR102258513B1 (ko) 2019-02-19 2019-02-19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 및 이를 갖는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216A KR102258513B1 (ko) 2019-02-19 2019-02-19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 및 이를 갖는 주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058A true KR20200101058A (ko) 2020-08-27
KR102258513B1 KR102258513B1 (ko) 2021-06-01

Family

ID=7223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216A KR102258513B1 (ko) 2019-02-19 2019-02-19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 및 이를 갖는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5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2002A (ko) * 2005-12-12 2007-06-1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용 주사바늘
KR20120082799A (ko) * 2011-01-14 2012-07-2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주사기용 바늘
KR101326200B1 (ko) * 2013-10-07 2013-11-20 정덕수 자궁내 인공수정장치
KR101506202B1 (ko) 2013-09-12 2015-03-27 이기설 복수의 실을 삽입하는 매선장치
JP2017017934A (ja) * 2015-07-05 2017-01-19 武雄 岩井 電気自動車の駆動用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2002A (ko) * 2005-12-12 2007-06-1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용 주사바늘
KR20120082799A (ko) * 2011-01-14 2012-07-2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주사기용 바늘
KR101277628B1 (ko) 2011-01-14 2013-06-2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주사기용 바늘
KR101506202B1 (ko) 2013-09-12 2015-03-27 이기설 복수의 실을 삽입하는 매선장치
KR101326200B1 (ko) * 2013-10-07 2013-11-20 정덕수 자궁내 인공수정장치
JP2017017934A (ja) * 2015-07-05 2017-01-19 武雄 岩井 電気自動車の駆動用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513B1 (ko)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943B1 (ko)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RU2288746C2 (ru) Игольчатая канюля,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гольчатой канюли и использование игольчатой канюли
JP3310270B1 (ja) 医療用注射針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601709A (en) Retainable needle construction for syringes
US2923295A (en) Cannula-directed hypodermic needle
CN101239217A (zh) 带无针密闭正压接口的安全式动静脉留置针
CN101939037A (zh) 空心针
US2601580A (en) Hypodermic needle
CN105617511A (zh) 一种不变形连续外周神经阻滞留置导管
KR20200101058A (ko)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 및 이를 갖는 주사기
CN201073496Y (zh) 带无针密闭正压接口的安全式动静脉留置针
CN204543230U (zh) 一种肾造瘘球囊扩张导管
CN1264580C (zh) 与内部身体器官相互作用的装置和方法
JP2012020042A (ja) 皮下注射針
JP2008228993A (ja) 注射針
CN219501552U (zh) 一种穴位注射针灸针
CN102196836B (zh) 注射器的针结构
CN209392506U (zh) 一种细头针注射器
KR20210000668U (ko) 주사용 오각형 바늘
KR102504672B1 (ko) 통증감소와 안정성증가를 위한 주사 바늘
CN211584661U (zh) 人体工学丰胸注水针管
KR102524999B1 (ko) 복합 주사 바늘
CN209884224U (zh) 移容美颜针具
KR102621105B1 (ko) 화살촉 모양의 끝을 갖는 관형 마이크로 니들
JP3196964U (ja) 皮下注射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