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870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870A
KR20200100870A KR1020207023763A KR20207023763A KR20200100870A KR 20200100870 A KR20200100870 A KR 20200100870A KR 1020207023763 A KR1020207023763 A KR 1020207023763A KR 20207023763 A KR20207023763 A KR 20207023763A KR 20200100870 A KR20200100870 A KR 20200100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rs
pucch
symbol
transmission
symbo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3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8152B1 (ko
Inventor
이승민
양석철
김선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00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128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W72/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SRS)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SRS의 전송에 사용될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이 PUCCH의 전송에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에 기반하여: 상기 SRS가 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i) 상기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만 드랍(drop)하고, ii) 상기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SRS 심볼을 통해 상기 SRS를 전송하고, 상기 SRS가 비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주기적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PUCCH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A method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a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의 라디오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비해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mobile broadband) 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기 및 사물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시브 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역시 차세대 통신에서 고려될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신뢰도(reliability) 및 지연(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 또는 단말을 고려한 통신 시스템 디자인이 논의되고 있는데, 개선된 모바일 브로드밴드 통신, 매시브 MTC,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을 고려한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을 새로운 RAT(radio access technology) 또는 NR(new radio)이라 칭할 수 있다.
한편, NR에서는, 기존 통신 시스템에서와 달리, 서로 다른 복수 타입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낼 수 있는 정보량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지만 사용하는 자원량도 적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과 보낼 수 있는 정보량이 상대적으로 많고 사용하는 자원량도 많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타입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들은, 데이터 수신 후 전송 시점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NR에서, 서로 다른 복수 타입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들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 채널들이 데이터 채널이나 SRS(sound reference signal) 등과 충돌 또는 오버랩(overlap)이 발생할 경우, 이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가 문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사운딩 참조 신호(SRS)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SRS의 전송에 사용될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이 PUCCH의 전송에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에 기반하여: 1) 상기 SRS가 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i) 상기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만 드랍(drop)하고, ii) 상기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SRS 심볼을 통해 상기 SRS를 전송하고, 2) 상기 SRS가 비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주기적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PUCCH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SRS)를 전송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트랜시버(transceiver),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됨에 기반하여 동작들(operations)을 수행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들은, 상기 SRS의 전송에 사용될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이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의 전송에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에 기반하여: 1) 상기 SRS가 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i) 상기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만 드랍(drop)하고, ii) 상기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SRS 심볼을 통해 상기 SRS를 전송하고, 2) 상기 SRS가 비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주기적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PUCCH를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통신 장치가 사운딩 참조 신호(SRS)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게 설정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됨에 기반하여 동작들(operations)을 수행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들은, 상기 SRS의 전송에 사용될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이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의 전송에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에 기반하여: 1) 상기 SRS가 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i) 상기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만 드랍(drop)하고, ii) 상기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SRS 심볼을 통해 상기 SRS를 전송하고, 2) 상기 SRS가 비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주기적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PUCCH를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사운딩 참조 신호(SRS)를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SRS의 수신에 사용될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이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수신에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에 기반하여: 1) 상기 SRS가 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SRS 심볼을 통해 상기 SRS를 수신하고, 2) 상기 SRS가 비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주기적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PUCCH를 수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제공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SRS)를 수신하는 기지국은, 트랜시버(transceiver),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됨에 기반하여 동작들(operations)을 수행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들은, 상기 SRS의 수신에 사용될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이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의 수신에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에 기반하여: 1) 상기 SRS가 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SRS 심볼을 통해 상기 SRS를 수신하고, 및 2) 상기 SRS가 비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주기적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PUCCH를 수신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타입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들이 도입되는 NR에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채널들 상호 간의 충돌이나 오버랩,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 채널들 각각과 데이터 채널 또는 SRS 등과 충돌이나 오버랩이 발생하는 경우에, 어떤 방식으로 처리할 것인지를 규정함으로써,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에서 모호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NR이 적용되는 차세대 무선 접속 네트워크(New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RAN)의 시스템 구조를 예시한다.
도 5는 NG-RAN과 5GC 간의 기능적 분할을 예시한다.
도 6은 새로운 무선 접속 기술에 대한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NR에서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 다중화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LGD_PUCCH와 SHD_PUCCH를 예시한다.
도 9은 LGD_PUCCH와 SHD_PUCCH가 오버랩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을 나타낸다.
도 11은 제안 방법#1-1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을 예시한다.
도 12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DFT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PUSCH와 SHD_PUCCH가 동일한 슬롯 상에서 “오버랩”된 경우, SHD_PUCCH 심벌 위치에 따라, PUSCH를 펑처링하는 제1 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PUSCH와 SHD_PUCCH가 동일한 슬롯 상에서 “오버랩”된 경우, SHD_PUCCH 심벌 위치에 따라, PUSCH를 펑처링하는 제2 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제안 방법#1-3에 따른 방법을 예시한다.
도 16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전력 제어 방법을 예시한다.
도 17은 NR에서 도입될 수 있는 다중 슬롯 LGD_PUCCH를 예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통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이는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LTE-A 시스템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E-UTRAN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에게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제공하는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MT(mobile terminal),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20)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 30), 보다 상세하게는 S1-MME를 통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S1-U를 통해 S-GW(Serving Gateway)와 연결된다.
EPC(30)는 MME, S-GW 및 P-GW(Packet Data Network-Gateway)로 구성된다. MME는 단말의 접속 정보나 단말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주로 사용된다. S-GW는 E-UTRA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며, P-GW는 PD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 (제1계층), L2 (제2계층),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제1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전송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하며, 제 3계층에 위치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RC 계층은 단말과 기지국간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도 2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사용자 평면은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이고, 제어 평면은 제어신호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물리계층(PHY(physical) layer)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 계층인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전송채널을 통해 MAC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로 데이터가 이동한다. 전송채널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어떻게 어떤 특징으로 전송되는가에 따라 분류된다.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 즉 송신기와 수신기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변조될 수 있고,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자원으로 활용한다.
MAC 계층의 기능은 논리채널과 전송채널간의 맵핑 및 논리채널에 속하는 MAC SDU(service data unit)의 전송채널 상으로 물리채널로 제공되는 전송블록(transport block)으로의 다중화/역다중화를 포함한다. MAC 계층은 논리채널을 통해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RLC SDU의 연결(concatenation), 분할(segmentation) 및 재결합(reassembly)를 포함한다. 무선베어러(Radio Bearer; RB)가 요구하는 다양한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기 위해, RLC 계층은 투명모드(Transparent Mode, TM), 비확인 모드(Unacknowledged Mode, UM) 및 확인모드(Acknowledged Mode, AM)의 세 가지의 동작모드를 제공한다. AM RLC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를 통해 오류 정정을 제공한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 베어러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1 계층(PHY 계층) 및 제2 계층(MAC 계층, RLC 계층, PDCP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 경로를 의미한다.
사용자 평면에서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의 기능은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및 암호화(ciphering)를 포함한다. 제어 평면에서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의 기능은 제어 평면 데이터의 전달 및 암호화/무결정 보호(integrity protection)를 포함한다.
RB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RB는 다시 SRB(Signaling RB)와 DRB(Data RB) 두가지로 나누어 질 수 있다. SRB는 제어 평면에서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되며, DRB는 사용자 평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단말의 RRC 계층과 E-UTRAN의 RRC 계층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ion)이 확립되면, 단말은 RRC 연결(RRC connected) 상태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 아이들(RRC idle) 상태에 있게 된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전송채널로는 시스템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과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SCH(Shared Channel)이 있다. 하향링크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메시지의 경우 하향링크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링크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와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은 시간 영역에서 여러 개의 OFDM 심벌과 주파수 영역에서 여러 개의 부반송파(Sub-carrier)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Sub-frame)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벌(Symbol)들로 구성된다. 자원블록은 자원 할당 단위로, 복수의 OFDM 심벌들과 복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들로 구성된다. 또한 각 서브프레임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즉, L1/L2 제어채널을 위해 해당 서브프레임의 특정 OFDM 심벌들(예, 첫번째 OFDM 심볼)의 특정 부반송파들을 이용할 수 있다.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서브프레임 전송의 단위시간이다.
이하, 새로운 무선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 new RAT)에 대해 설명한다.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의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비해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mobile broadband) 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기 및 사물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시브 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역시 차세대 통신에서 고려될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신뢰도(reliability) 및 지연(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단말을 고려한 통신 시스템 디자인이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확장된 모바일 브로드밴드 커뮤니케이션(enhanc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 massive MTC,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을 고려한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해당 기술(technology)을 new RAT 또는 NR이라고 부른다.
도 4는 NR이 적용되는 차세대 무선 접속 네트워크(New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RAN)의 시스템 구조를 예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NG-RAN은, 단말에게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termination)을 제공하는 gNB 및/또는 eN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gNB만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gNB 및 eNB는 상호 간에 Xn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있다. gNB 및 eNB는 5세대 코어 네트워크(5G Core Network: 5GC)와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과는 NG-C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UPF(user plane function)과는 NG-U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도 5는 NG-RAN과 5GC 간의 기능적 분할을 예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gNB는 인터 셀 간의 무선 자원 관리(Inter Cell RRM), 무선 베어러 관리(RB control), 연결 이동성 제어(Connection Mobility Control), 무선 허용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측정 설정 및 제공(Measurement configuration & Provision), 동적 자원 할당(dynamic resource allocation)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MF는 NAS 보안, 아이들 상태 이동성 처리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UPF는 이동성 앵커링(Mobility Anchoring), PDU 처리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는 단말 IP 주소 할당, PDU 세션 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NR에서는 다음 기술/특징이 적용될 수 있다.
<셀프 컨테인드 서브프레임 구조(Self-contained subframe structure)>
도 6은 새로운 무선 접속 기술에 대한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NR에서는 레이턴시(latency)를 최소화 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 6과 같이, 하나의 TTI내에,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이 TDM 되는 구조가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의 한가지로서 고려될 수 있다.
도 6에서 빗금 친 영역은 하향링크 제어(downlink control) 영역을 나타내고, 검정색 부분은 상향링크 제어(uplink control) 영역을 나타낸다. 표시가 없는 영역은 하향링크 데이터(downlink data; DL data)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uplink data; UL data)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의 특징은 한 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 내에서 하향링크(DL) 전송과 상향링크(UL) 전송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서브프레임(subframe) 내에서 DL data를 보내고, UL ACK/NACK도 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전송 에러 발생시에 데이터 재전송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이게 되며, 이로 인해 최종 데이터 전달의 레이턴시(latency)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셀프 컨테인드 서브프레임(self-contained subframe) 구조에서 기지국과 단말이 송신 모드에서 수신모드로 전환 과정 또는 수신모드에서 송신모드로 전환 과정을 위한 타임 갭(time gap)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셀프 컨테인드 서브프레임(self-contained subframe)구조에서 DL에서 UL로 전환되는 시점의 일부 OFDM 심볼이 보호 구간(guard period; GP)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NR의 상향링크와 관련하여 다음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다.
<NR에서의 PUCCH 포맷>
NR에서, PUCCH는 상향링크 제어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PUCCH 포맷은 지속기간/페이로드 크기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UCCH 포맷은 짧은 구간 상향링크 제어 채널(SHORT DURATION UPLINK CONTROL CHANNEL: SHD_PUCCH)”과 “긴 구간 상향링크 제어 채널(LONG DURATION UPLINK CONTROL CHANNEL: LGD_PUCCH)”로 구분될 수 있다. SHD_PUCCH를 편의상 짧은 PUCCH(short PUCCH)라 칭할 수 있는데, 포맷 0(≤≤2비트), 포맷2(>2비트)가 해당될 수 있다. LGD_PUCCH는 긴 PUCCH로 칭할 수 있으며, 긴 PUCCH(long PUCCH)는 포맷1(≤≤2비트), 포맷3(>2, [>N]비트), 포맷4(>2, [≤≤N]비트)가 해당될 수 있다.
한편, PUCCH에 대한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은 LTE Rel-15에서 지원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말의 PUSCH 및 PUCCH의 동시 전송은 LTE Rel-15에서 지원되지 않을 수도 있다.
NR에서의 PUCCH 포맷은 다음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상향링크(UL) 신호/채널 다중화(multiplexing)>
PUCCH와 PUSCH의 다중화(멀티플렉싱)에 대하여, 다음 기술이 지원될 수 있다. 1) short PUCCH(예를 들어, 포맷 0/2)와 PUSCH 간 시간 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2) (Rel-15가 아닌) 하나의 단말의 짧은 상향링크 파트(UL-part)을 갖는 슬롯에 대한 short PUCCH(예를 들어, 포맷 0/2)와 PUSCH간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
PUCCH와 PUSCH의 멀티플렉싱에 대하여, 다음 기술이 지원될 수 있다.
1) 서로 다른 단말의 short PUCCH(예를 들어, 포맷 0/2)와 long PUCCH(예를 들어, 포맷 1/3/4) 간 TDM/FDM.
2) 하나의 단말의 동일 슬롯 상 short PUCCH(예를 들어, 포맷 0/2)들 간 TDM.
3) 하나의 단말의 동일 슬롯 상 short PUCCH(예를 들어, 포맷 0/2)와 long PUCCH(예를 들어, 포맷 1/3/4) 간 TDM.
도 7은 NR에서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 다중화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슬롯 안에서, 상향링크 영역(UL region)에 long-PUCCH가 심볼 #3부터 #7까지, #8부터 #11까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short PUCCH가 각각 심볼 #12와 #13에 위치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short PUCCH들 간에 TDM, short PUCCH와 long PUCCH 간에 TDM/FDM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 정보 변조 및 부호화 기법(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오프셋 (offset)>
NR에서는, 베타-오프셋(beta-offset)을 위한 반-정적 및 동적 지시가 모두 지원될 수 있다. 동적 베타-오프셋 지시에 대하여, RRC 시그널링에 의해 복수 개의 베타-오프셋 값의 집합들이 구성될 수 있고, UL 그랜트는 동적으로 상기 집합들 중 하나의 집합에 대한 인덱스(index)를 지시할 수 있다. 각각의 집합은 복수의 항목(entry)을 포함하고, 각 항목은 각각의 UCI 유형(2-파트 CSI(two-part CSI)가 적용 가능할 경우, 포함)에 대응될 수 있다.
<UCI 맵핑>
슬롯 기반의 스케줄링에 대하여, 1) 2비트가 넘는 HARQ-ACK에 대하여, PUSCH는 레이트 매칭될 수 있다. 2) 2비트 이하의 HARQ-ACK에 대하여, PUSCH는 펑처링될 수 있다.
NR에서는, 하향링크 할당(DL assignment)이 PUSCH 상에서 HARQ-ACK 전송을 위한 동일한 시간 인스턴스(time instance)에 맵핑된 UL 그랜트보다 늦는 경우를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PUSCH 상에 피기백되는 UCI(예를 들어, HARQ-ACK 또는 CSI)는, PUSCH에 할당된 RB들에 걸쳐 분산 분포된 RE들에 맵핑될 수 있다.
HARQ-ACK 펑처링이나 PUSCH 레이트 매칭에 관계 없이, 동일한 RE 맵핑 규칙이 PUSCH 상의 HARQ-ACK 피기백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영역 상에서 DM-RS에 인접하게 국부적으로(localized) 맵핑이 되거나 또는 분산 맵핑이 될 수 있다.
<스케줄링/HARQ 타이밍>
스케줄링/HARQ 타이밍에 대한 동적 지시.
A와 B 간 슬롯 타이밍은, 일련의 값들의 집합으로부터 DCI 내의 필드에 의해 지시될 수 있고, 상기 일련의 값들의 집합은 단말 특정적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모든 Rel. 15 단말은 0과 같은 K0의 최소값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A, B에 대한 K0 내지 K2는 다음 표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표 2]
Figure pat00002
단말 프로세싱 시간 능력을 기호 (N1, N2)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N1은 NR-PDSCH 수신의 종료로부터, 단말 관점에서, 대응하는 ACK/NACK 전송의 가능한 가장 빠른 시작까지의, 단말의 프로세싱에 필요한 OFDM 심볼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N2는 UL 그랜트 수신을 포함하는 NR-PDCCH의 종료로부터, 단말 관점에서, 대응하는 NR-PUSCH 전송의 가능한 가장 빠른 시작까지의, 단말의 프로세싱에 필요한 OFDM 심볼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단말의 (K1, K2)의 최소 값은 (N1, N2), 타이밍 어드밴스 값(timing advance value: TA value), 단말 DL/UL 스위칭, 기타 등등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NR에서는, 적어도 PDCCH, PDSCH 및 PUSCH에 대한 단일 뉴머롤로지(numerology)를 사용하는 non-CA 경우의 슬롯 기반 스케줄링에 대한 두 가지 유형의 단말 프로세싱 시간 능력이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주어진 설정과 뉴머롤로지에 대해, 단말은 아래의 2개의 표(표3, 표4)로부터 대응하는 N1(또는 N2)의 항목(entry)을 기반으로, N1(또는 N2)에 대해 하나의 능력(capability)만을 지시할 수 있다.
능력#1(표 3): 단말 프로세싱 시간 능력
[표 3]
Figure pat00003
능력#2(표 4): 적극적 단말 프로세싱 시간 능력
[표 4]
Figure pat00004
<혼합 뉴머롤로지와 스케줄링/HARQ 타이밍>.
PDCCH와 PDCCH에 의하여 스케줄링된 전송 간 뉴머롤로지(numerology)가 다를 때, K0 또는 K2에 대해, DCI에서 지시된 시간 그래뉼래리티(time granularity)는 상기 스케줄링된 전송의 뉴머롤로지에 기반할 수 있다.
동일하거나 다른 뉴머롤로지로 동작하는 복수 개의 DL 요소 반송파에 관련된 HARQ-ACK 전송이 지원될 수 있다. PDSCH를 스케줄링하는 DCI에서 지시된 K1에 대한 시간 그래뉼래리티는 PUCCH 전송의 뉴머롤로지에 기반할 수 있다.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 기반 (재)전송>
동기: 부분 전송블록(partial transport block: partial TB) 재전송은 효율적인 자원 활용을 유도할 수 있다. 재전송 단위는 코드블록(code block: CB) 그룹(CBG)일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을 사용할 때, HARQ-ACK 피드백 비트와 DCI 오버헤드는 증가할 수 있다.
코드블록 그룹(CBG) 구성: 단말은 RRC 시그널링에 의해 CBG 기반의 재전송이 가능하도록 반-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설정은 DL과 UL에 대해 구분될 수 있다. TB 당 CBG의 최대값 N은 RRC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단일 코드워드(codeword: CW)의 경우, TB 당 CBG의 설정 가능한 최대값은 8일 수 있다. 복수의 CW의 경우, TB 당 CBG의 설정 가능한 최대값은 4이고, 설정된 TB 당 CBG의 최대값은 TB마다 동일할 수 있다.
적어도 단일 CW의 경우, TB에서 CBG의 개수 M은 min(C, N)과 같고, 여기서 C는 상기 TB 내의 CB 개수일 수 있다. 총 M CBG 중 첫 번째 Mod(C, M) CBG는 CBG 당 ceil(C/M) CB를 포함할 수 있다. 나머지 M-Mod(C, M) CBG는 CBG 당 floor(C/M) CB를 포함할 수 있다.
DCI와 관련하여, 코드블록 그룹 전송 정보 (CBG transmission information: CBGTI)와 코드블록 그룹 플러싱 아웃 정보 (CBG flushing out information: CBGFI)가 도입될 수 있다. CBGTI: CBG가 (재)전송될 수 있으며, RRC에 의해 설정된 CBGTI의 N 비트일 수 있다. CBGFI: 소프트-버퍼(soft-buffer)/HARQ 컴바이닝(HARQ combining)에 대해 CBG가 다르게 처리될 수 있으며, CBGFI에 대한 다른 1비트(적어도 단일 CW의 경우)일 수 있다.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해, CBGTI와 CBGFI는 동일한 DCI에 포함될 수 있다. 모드 1에서, DCI는 CBGTI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2에서, DCI는 CBGTI와 CBGFI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해, CBGTI는 DCI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드 1에서 DCI는 CBGTI를 포함할 수 있다.
HARQ-ACK 피드백에서, 최초 전송 및 재전송에 대해, TB의 각 CBG에는 동일한 CB(들)의 집합이 있을 수 있다. 단말은, CBG 기반의 재전송이 설정되면, 폴백 DCI를 사용하는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에 대하여, 적어도 HARQ-ACK 멀티플렉싱이 없는 경우에, TB 레벨 HARQ-ACK 피드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폴백(fallback) DCI는 CBG 레벨 HARQ-ACK 피드백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정적 HARQ-ACK 코드북에 대해, HARQ-ACK 코드북은 구성된 모든 CBG들(스케줄링되지 않은 CBG 포함)에 상응하는 HARQ-ACK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동일 CBG가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다면, CBG에 대해 ACK가 보고될 수 있다. 만약 CB CRC 체크가 모든 CB에 대해 통과되는 동안 TB CRC 체크가 통과되지 않으면, 모든 CBG에 대해 NACK이 보고될 수 있다. 만약 TB에 대한 CB의 개수가 CBG의 설정된 최대 개수보다 작다면, NACK은 빈 CBG 인덱스(index)에 맵핑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아래 제안 방식들은 새로운 무선 접속 시스템(이를 new RAT 또는 new radio라는 의미에서 NR이라 칭할 수 있음) 하에서, “짧은 구간 상향링크 제어 채널(SHORT DURATION UPLINK CONTROL CHANNEL: SHD_PUCCH)”과 “긴 구간 상향링크 제어 채널(LONG DURATION UPLINK CONTROL CHANNEL: LGD_PUCCH)” 간에 “오버랩(OVERLAP)”이 발생할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에 관련될 수 있다.
도 8은 LGD_PUCCH와 SHD_PUCCH를 예시한다.
도 8 (a)을 참조하면, “LGD_PUCCH(혹은 LONG PUCCH)”는, 특정 시간 단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혹은 슬롯) 내에서, 시간 영역에서 전체 심볼 혹은 특정 위치(예를 들어, 마지막)의 일정 개수의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심볼을 점유하면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와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되어 전송되는 PUCCH를 의미한다. 여기서, PUSCH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의미한다.
도 8 (b)를 참조하면, “SHD_PUCCH(혹은 SHORT PUCCH)”는, 특정 시간 단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혹은 슬롯) 내에서, 시간 영역에서 특정 위치의 일정 개수의 심볼(예를 들어, 마지막 심볼)을 점유하면서 PUSCH와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되어 전송되는 PUCCH를 의미한다.
LGD_PUCCH는 상대적으로 많은 정보량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SHD_PUCCH는 상대적으로 적은 정보량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LGD_PUCCH와 SHD_PUCCH는 피드백 요구 시간/셀 경계에 위치하는지 여부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9은 LGD_PUCCH와 SHD_PUCCH가 오버랩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은 슬롯 #n에서 하향링크 그랜트(DL grant)#1을 수신하고, 슬롯 #m에서 하향링크 그랜트 #2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하향링크 그랜트 #1에 의하여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슬롯 #n에서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슬롯 #k에서 전송하여야 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LGH_PUCCH를 이용하여 ACK/NACK을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 그랜트 #2에 의하여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슬롯 #m에서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슬롯 #k에서 전송하여야 할 수 있다. 이 때는, ACK/NACK 전송 타이밍이 짧아, LGD_PUCCH 대신 SHD_PUCCH를 사용하여 ACK/NACK을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동일 슬롯에서 LGD_PUCCH와 SHD_PUCCH 전송이 예정되는데, 이를 LGD_PUCCH와 SHD_PUCCH 이 오버랩된다고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오버랩”이라는 용어는 SHD_PUCCH와 LGD_PUCCH 간에 (A) 실제 “(주파수) 자원”이 (모두 혹은 일부분) 겹치는 경우 그리고/혹은 (B) “(주파수) 자원”은 겹치지 않지만, 동일 심벌 상에 두 채널(/신호)의 전송이 설정된 경우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SHD_PUCCH”라는 용어는 “SRS” (혹은 “PUSCH")로 (확장) 해석(/(상호) 대체)될 수 있다. 그리고/혹은 “LGD_PUCCH”라는 용어는 “PUSCH” (혹은 “SRS”)로 (확장) 해석(/(상호) 대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4 가지 조합(예를 들어, “SHD_PUCCH와 LGD_PUCCH”, “SHD_PUCCH와 PUSCH(혹은 SRS)”, “LGD_PUCCH와 SRS(혹은 PUSCH)”, “PUSCH와 SRS”) 각각에 본 발명에 기술된 동일 혹은 상이한 제안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펑처링(puncturing)”(혹은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이라는 용어는 “레이트 매칭” (혹은 “펑처링”)로 (상호) 대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슬롯(SLOT)”(혹은 “서브프레임(SUBFRAME)”)이라는 용어는 “서브프레임” (혹은 “슬롯”)으로 (상호) 대체될 수도 있다.
이제, LGD_PUCCH와 SHD_PUCCH가 오버랩되는 경우, 어떠한 방식으로 처리할 것인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제1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와 제2 PUCCH의 오버랩(overlap) 여부를 판단하고(S10), 상기 판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PUCCH 및 상기 제2 PUCCH의 전송 기법을 결정할 수 있다(S11). 상기 제1 PUCCH는 전술한 LGD_PUCCH, 제2 PUCCH는 SHD_PUCCH일 수 있다. 즉, 제1 PUCCH는 데이터 채널과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되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고, 상기 제2 PUCCH는 상기 데이터 채널과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되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일 수 있다.
[제안 방법#1-1] 일례로, “하향링크 그랜트(DL GRANT) 수신 시점”과 “(연동된) SHD_PUCCH 전송 시점” 간의 “시간 차이(이를 DRUT_TINTERVAL라 하자)”가, SHD_PUCCH의 “(최소) 상향링크 제어 정보 처리 시간” (그리고/혹은 SHD_PUCCH의 LGD_PUCCH(혹은 PUSCH) 피기백에 필요한 최소 처리 시간”) (이를 MIN_REQTB라 하자)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SHD_PUCCH를 LGD_PUCCH(혹은 PUSCH)로 피기백하도록 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예를 들어, DRUT_TINTERVAL가 MIN_REQTB 보다 작은 경우), LGD_PUCCH를 SHD_PUCCH로 피기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은 제안 방법#1-1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을 예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은 하향링크 그랜트 수신 시점과 SHD_PUCCH 전송 시점의 시간 차이를 판단하고(S100), 상기 시간 차이에 기반하여, SHD_PUCCH를 LGD_PUCCH에 피기백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10).
이 때, (A) SHD_PUCCH로 피기백되는 LGD_PUCCH의 정보량 그리고/혹은 (B) LGD_PUCCH가 SHD_PUCCH로 피기백되는지 (최종) 여부는, SHD_PUCCH의 (최대) 패이로드(payload) 크기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
일례로, SHD_PUCCH의 (최대) 패이로드 크기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LGD_PUCCH가 SHD_PUCCH로 피기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LGD_PUCCH을 (SHD_PUCCH (영역)를 고려하여) “자원 요소(그리고/혹은 자원 블록 그리고/혹은 시퀀스 그리고/혹은 심벌)” 레벨로 펑처링(puncturing) 그리고/혹은 LGD_PUCCH(혹은 SHD_PUCCH)를 “(전송)을 드랍” (혹은 “(전송)을 중지”)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동일 슬롯 상에서) PUSCH(혹은 LGD_PUCCH)와 SHD_PUCCH가 “TDM” (전송/스케줄링)되고, 사전에 정의된 규칙에 따라 SHD_PUCCH로의 전송이 설정(/지시)된 UCI를 PUSCH(혹은 LGD_PUCCH)로 피기백하여 전송하도록 동작이 설정된 경우, 단말로 하여금, SHD_PUCCH로의 전송이 설정(/지시)된 해당 UCI를 PUSCH(혹은 LGD_PUCCH)로 피기백하여 전송하는 것에 추가로, 원래 설정(/지시)된 바에 따라, SHD_PUCCH로의 전송도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상황에서, SHD_PUCCH로의 전송이 설정(/지시)된 UCI가 동일 슬롯 내에 “TDM”된 PUSCH(혹은 LGD_PUCCH)와 SHD_PUCCH 모두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규칙이 적용될 경우, (동일 슬롯 상에서) SHD_PUCCH로의 전송이 설정(/지시)된 UCI가 반복 전송됨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안 방법#1-2] LGD_PUCCH(혹은 PUSCH)을 (SHD_PUCCH (혹은 SRS) (영역)를 고려하여)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 (그리고/혹은 (물리적) 자원 블록(RB) 그리고/혹은 시퀀스(예를 들어, ZADOFF-CHU 시퀀스) 그리고/혹은 심벌)” 레벨로 펑처링시킬 수 있다.
특히, 자원 요소(그리고/혹은 자원 블록 그리고/혹은 시퀀스) 레벨 펑처링 적용 후 (일부) 남은 (LGD_PUCCH (혹은 PUSCH)) 영역에 대해서는, 해당 남은 영역 크기를 고려한 “부분 DFT(예를 들어, L-POINT DFT 스프레딩(예를 들어, “M>L”))”가 적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SHD_PUCCH(혹은 SRS) (예를 들어, ZADOFF-CHU 시퀀스) (영역) 펑처링이 M-POINT DFT 스프레딩 적용 후의 주파수 영역(R_FRQDOMAIN) 상에서 수행될 때) M-POINT DFT 스프레딩 적용 전단(V_FRQDOMAIN)에서 (R_FRQDOMAIN 상에서 SHD_PUCCH(혹은 SRS) (영역) 펑처링 적용 후의 (일부) 남은 (LGD_PUCCH (혹은 PUSCH)) 영역과 연계(/맵핑)되는) L-POINT DFT 스프레딩 적용 자원 위치는 (A) R_FRQDOMAIN 상의 (일부) 남은 (LGD_PUCCH (혹은 PUSCH)) 영역 (자원 블록(/자원 요소)) 인덱스와 동일하게 설정(/시그널링)될 수 있다.
그리고/혹은 (B) V_FRQDOMAIN 상에서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위치(예를 들어, MAX(혹은 MIN) V_FRQDOMAIN (자원 블록(/자원 요소)) 인덱스부터 내림차순 (혹은 오름차순) 방향으로 L개의 (자원 블록(/자원 요소)) 인덱스)로 간주될 수도 있다.
일례로, L-POINT DFT 스프레딩이 적용되는 (전체) (자원 블록) 자원 개수는 ”2X*3Y*5Z(여기서, 일례로, X/Y/Z는 영이 아닌 양의 정수)”로 표현될 수 있는 값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즉, LGD_PUCCH(혹은 PUSCH)와 SHD_PUCCH(혹은 SRS)의 자원이 주파수 영역에서 오버랩되는 경우, 자원 오버랩이 발생한 심볼에서 오버랩된 주파수 만큼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에 상응하는 사이즈로 LGD_PUCCH(혹은 PUSCH) 정보에 대한 (축소된 크기의) DFT 과정을 수행하고, 해당 DFT의 출력 신호를 실제 주파수 상에서 SHD_PUCCH(혹은 SRS)와의 오버랩이 없는 LGD_PUCCH(혹은 PUSCH) 자원에만 맵핑/전송(예를 들어, 펑처링 혹은 레이트 매칭)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도 12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DFT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은, SHD_PUCCH와 LGD_PUCCH가 오버랩 되는 경우, 오버랩이 발생한 심볼에서 오버랩되지 않은 주파수 자원(부반송파 개수)에 대응하는 크기의 DFT 과정을 수행한다(S200). 그 후, 단말은 상기 DFT의 출력 신호를 오버랩이 발생하지 않은 LGD_PUCCH의 주파수 자원에만 맵핑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LGD_PUCCH(혹은 PUSCH)에 할당된 자원이 M개 자원 블록이고, SHD_PUCCH(혹은 SRS)와 오버랩된 자원이 K개 자원 블록(즉, SHD_PUCCH (혹은 SRS)와 오버랩이 없는 자원이 “L = (M - K)”개 자원 블록)인 경우, 주파수 자원의 오버랩이 없는 심볼에 대해서는 LGD_PUCCH(혹은 PUSCH)에 대하여 M개 자원 블록 사이즈의 DFT 과정을 수행하는 반면, 주파수 자원의 오버랩이 있는 심볼에 대해서는 LGD_PUCCH(혹은 PUSCH)에 대하여 L개 자원 블록 사이즈의 DFT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해당 L개 자원 블록 사이즈의 DFT의 출력 신호는 실제 주파수(REAL FREQUENCY) 상에서 LGD_PUCCH(혹은 PUSCH)에 할당된 자원 중 SHD_PUCCH(혹은 SRS)와 오버랩이 없는 L개 자원 블록에 맵핑/전송될 수 있다.
이 때, 가상 주파수(VIRTUAL FREQUENY) 상에서 DFT의 입력이 되는 L개 자원 블록의 경우, (A) 가상 주파수 인덱스 상으로 가장 낮은 혹은 가장 높은 L개 자원 블록에 해당하는 인덱스로 결정되거나 그리고/혹은 (B) 가상 주파수와 실제 주파수의 인덱스를 오름차순 혹은 내림차순으로 일대일 대응시킨 상태에서, LGD_PUCCH(혹은 PUSCH) 신호가 맵핑/전송될 오버랩 없는 L개 자원 블록의 실제 주파수 인덱스에 대응되는 L개 자원 블록의 가상 주파수 인덱스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SHD_PUCCH(혹은 SRS)을 (LGD_PUCCH(혹은 PUSCH) (영역)를 고려하여) “자원 요소(그리고/혹은 자원 블록 그리고/혹은 시퀀스 그리고/혹은 심벌)” 레벨로 펑처링시킬 수도 있다.
일례로, 해당 (SHD_PUCCH) 펑처링의 (최종) 적용 여부는, “SHD_PUCCH 타입 (예를 들어, 국부화(LOCALIZED) SHD_PUCCH인지 분산(DISTRIBUTED) SHD_PUCCH인지, 여기서, 분산 SHD_PUCCH는 기본 시퀀스 단위(BASIC SEQUENCE UNIT)가 (주파수 축으로) 반복되어 전송되는 형태일 수 있음)”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국부화(LOCALIZED) SHD_PUCCH의 경우, LGD_PUCCH(혹은 PUSCH)을 (SHD_PUCCH (영역)를 고려하여) 펑처링시키고, 반면에 분산(DISTRIBUTED) SHD_PUCCH의 경우, SHD_PUCCH을 (LGD_PUCCH(혹은 PUSCH) (영역)를 고려하여) 펑처링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이한 단말의 SHD_PUCCH(혹은 SRS)와 PUSCH(혹은 LGD_PUCCH) 간의 다중화(multiplexing)를 위해서, “(상향링크 제어) 서브밴드 그리고/혹은 심벌” 레벨의 레이트매칭(혹은 펑처링)이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링을 통해서) “반정적” 혹은 “동적”으로 지시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 PUSCH와 SHD_PUCCH가 동일한 슬롯 상에서 “오버랩”된 경우, (상기 슬롯 상의) SHD_PUCCH 심벌 위치(그리고/혹은 SHD_PUCCH의 마지막 심벌 위치 이후에 남은 PUSCH 심벌 개수(이를 REMSYM_NUM이라 하자))에 따라, PUSCH에 적용되는 규칙이 상이할 수도 있다.
도 13은 PUSCH와 SHD_PUCCH가 동일한 슬롯 상에서 “오버랩”된 경우, SHD_PUCCH 심벌 위치에 따라, PUSCH를 펑처링하는 제1 예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SHD_PUCCH가 슬롯 상의 마지막 심벌에 위치하고 있으며, (즉, SHD_PUCCH의 마지막 심벌 위치 이후에 남은 PUSCH 심벌 개수 즉, REMSYM_NUM가 “0”이다), 이 경우, SHD_PUCCH와 겹치는 PUSCH 심벌만을 “자원 요소(그리고/혹은 자원 블록 그리고/혹은 시퀀스 그리고/혹은 심벌)” 레벨로 펑처링시킬 수 있다.
도 14는 PUSCH와 SHD_PUCCH가 동일한 슬롯 상에서 “오버랩”된 경우, SHD_PUCCH 심벌 위치에 따라, PUSCH를 펑처링하는 제2 예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SHD_PUCCH가 슬롯 상의 마지막 심벌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며(즉, 슬롯 내의 뒤에서 두번째 심벌에 위치하고 있음, 즉, SHD_PUCCH의 마지막 심벌 위치 이후에 남은 PUSCH 심벌 개수인 REMSYM_NUM가 “0”이 아닌 경우임), 이 경우, SHD_PUCCH와 겹치는 PUSCH 심벌을 포함하여 이후의 PUSCH (심벌) 전송을 (모두) 생략(그리고/혹은 (겹침 여부와 상관없이) (전체) PUSCH 전송을 생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3,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PUCCH(SHD_PUCCH)와 데이터 채널(PUSCH)이 오버랩되는 경우, 상기 제2 PUCCH가 위치하는 심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채널에서 펑처링되는 심볼이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PUSCH(혹은 LGD_PUCCH)의 파형(WAVEFORM) 형태에 따라, SHD_PUCCH(혹은 SRS)와 PUSCH(혹은 LGD_PUCCH) 간의 (자원) 오버랩 처리 규칙이 상이할 수도 있다.
일례로, (A) PUSCH(혹은 LGD_PUCCH)가 “SC-FDM” 혹은 “DFT-S-OFDM” 형태인 경우에는 ((오버랩되는) SHD_PUCCH(혹은 SRS)가 전송되는 심벌을 고려하여) PUSCH (혹은 LGD_PUCCH)을 “심벌” 레벨로 펑처링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해당 PUSCH(혹은 LGD_PUCCH) 신호는 (오버랩되는) SHD_PUCCH (혹은 SRS)가 전송되는 심볼에는 맵핑/전송되지 않을 수 있으며, PUSCH (혹은 LGD_PUCCH) 전송에 할당받은 자원 중 해당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심볼에만 맵핑/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B) PUSCH(혹은 LGD_PUCCH)가 “OFDM” 형태인 경우에는 ((오버랩되는) SHD_PUCCH(혹은 SRS)가 전송되는 자원 블록(/자원 요소)을 고려하여) PUSCH(혹은 LGD_PUCCH)을 “자원 블록(/자원 요소)” 레벨로 펑처링시키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해당 PUSCH(혹은 LGD_PUCCH) 신호는 (오버랩되는) SHD_PUCCH(혹은 SRS)가 전송되는 심볼 내에서, SHD_PUCCH(혹은 SRS) 신호가 맵핑/전송되는 자원 블록(/자원 요소)에는 맵핑/전송되지 않을 수 있으며, (PUSCH (혹은 LGD_PUCCH) 전송에 할당받은 자원 중) 해당 자원 블록(/자원 요소)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에만 맵핑/전송될 수 있다.
[제안 방법#1-3] 서로 다른 채널들이 오버랩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채널을 드랍/중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제안 방법#1-3에 따른 방법을 예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SHD_PUCCH 또는 LGD_PUCCH와 다른 채널과의 오버랩 발생 여부 판단하고(S20), 우선 순위에 따라 특정 채널을 드랍(또는 중지)한다(S21). 이하, 제안 방법#1-3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LGD_PUCCH(혹은 PUSCH)와 SHD_PUCCH(혹은 SRS)이 서로 오버랩되는 경우, LGD_PUCCH(혹은 PUSCH) (혹은 SHD_PUCCH(혹은 SRS))를 “(전송) 드랍” (혹은 “(전송) 중지”) 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중지”는, “오버랩”이 발생된 영역 상의 전송만을 생략하는 것 그리고/혹은 “오버랩”이 발생된 영역을 포함한 이후의 전송들을 (모두) 생략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일례로, LGD_PUCCH의 “(전송) 중지”는, LGD_PUCCH (전송) 시작 후에 SHD_PUCCH (전송) 지시가 인식된 경우에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식 시점에 따라 (A) “(전송) 드랍”(전체 채널을 전송하지 않음)와 “(전송) 중지”(오버랩 영역에서만 멈추고 나머지 영역에서는 전송) 중에 적용되는 것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GD_PUCCH의 “(전송) 드랍”은 LGD_PUCCH (전송) 시작 전에 SHD_PUCCH (전송) 지시가 인식된 경우 그리고/혹은 SHD_PUCCH의 “(전송) 중지”는 LGD_PUCCH (전송) 시작 후에 SHD_PUCCH (전송) 지시가 인식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혹은 (B) “(전송) 중지”와 “펑처링” 중에 적용되는 것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GD_PUCCH의 “(SHD_PUCCH (영역)를 고려한) 펑처링”은 LGD_PUCCH (전송) 시작 후에 SHD_PUCCH (전송) 지시가 인식된 경우에 적용되고, 그리고/혹은 SHD_PUCCH의 “(LGD_PUCCH (영역)를 고려한) 펑처링”은 LGD_PUCCH (전송) 시작 후에 SHD_PUCCH (전송) 지시가 인식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혹은 LGD_PUCCH의 “(전송) 중지”는 LGD_PUCCH (전송) 시작 전(/후)에 SHD_PUCCH (전송) 지시가 인식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SHD_PUCCH와 SRS(그리고/혹은 LGD_PUCCH와 PUSCH) 간에 “오버랩”이 발생된 경우, SRS(혹은 SHD_PUCCH) (그리고/혹은 PUSCH(혹은 LGD_PUCCH))을 “(전송) 드랍” (혹은 “(전송) 중지”) 하도록 할 수 있다.
[제안 방법#1-4] “오버랩”이 어떤 채널(/시그널)(예를 들어, LGD_PUCCH, SHD_PUCCH, PUSCH, SRS) 간에 발생되었는지에 따라, 동일 채널(/시그널)이라고 할지라도 적용되는 규칙(예를 들어, 피기백, 펑처링, (전송) 드랍, (전송) 중지 등)이 다를 수도 있다.
일례로, (A) SHD_PUCCH와 LGD_PUCCH 간에 “오버랩”이 발생된 경우, (SHD_PUCCH (영역)를 고려하여) LGD_PUCCH를 펑처링시키고, (B) LGD_PUCCH와 SRS 간에 “오버랩”이 발생된 경우, SRS를 (전송) 드랍(혹은 (LGD_PUCCH (영역)를 고려하여) SRS를 펑처링) 시킬 수도 있다.
일례로, (상이한 채널(/시그널) 간에 “오버랩”이 발생된 경우) 펑처링 (그리고/혹은 (전송) 드랍 그리고/혹은 (전송) 중지) 적용 우선 순위는, “SHD_PUCCH < SRS < LGD_PUCCH < PUSCH”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오른쪽 위치가 왼쪽 위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나타내며,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 순위의 채널(/시그널)이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 순위의 채널(/시그널) (영역)을 고려하여 펑처링될 수도 있다.
일례로, 비주기적인 채널(/시그널) 전송이 주기적인 채널/시그널에 비해(그리고/혹은 CSI 정보 전송이 SRS 전송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혹은 높은) 펑처링 (그리고/혹은 (전송) 드랍 그리고/혹은 (전송) 중지) 적용 우선 순위를 가지도록 설정(예를 들어, “비주기적 CSI < 비주기적 SRS < 주기적 CSI < 주기적 SRS”) 될 수도 있다.
아래 제안 방식들은 NR 시스템 하에서, 채널(/시그널) 별 “(전력) 과도 주기(TRANSIENT PERIOD)” 설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2-1] 일례로, “(전력) 과도 주기” 설정 관련 우선 순위는 “SHD_PUCCH > SRS > LGD_PUCCH > PUSCH”로 정의(/시그널링)될 수 있다. 여기서, 오른쪽 위치가 왼쪽 위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 순위를 나타내며,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 순위의 채널(/시그널) 관련 “(전력) 과도 주기”는 해당 채널(/시그널) (전송) 영역 내(예를 들어, 첫번째/마지막 심벌)에 설정되고,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 순위의 채널(/시그널) 관련 “(전력) 과도 주기”는 해당 채널(/시그널) (전송) 영역 밖에 설정될 수도 있다.
일례로, 채널(/시그널) 관련 (구성) 심벌 개수 그리고/혹은 위치에 따라, “(전력) 과도 주기”가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아래 제안 방식들은 NR 시스템 하에서, LGD_PUCCH(혹은 PUSCH) 전송과 SHD_PUCCH(혹은 SRS) 전송이 “오버랩” (예를 들어, “(주파수) 자원”이 겹치지 않지만, (시간 영역 상에서) 두 채널 전송이 (일부 혹은 모두) 겹치는 경우)될 때, 전송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분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하기 (일부) 제안 방법들은 “전력 제한 케이스(POWER LIMITED CASE)”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하기 (일부) 제안 방법들은 LGD_PUCCH(혹은 PUSCH) 전송이 (이미) 시작되고 난 이후 시점에 동일 심벌(들)을 통한 SHD_PUCCH 전송을 지시 받은 경우에도 확장 적용될 수도 있다.
[제안 방법#3-1]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부분 슬롯(PARTIAL SLOT)” 단위(예를 들어, “하프 슬롯(HALF SLOT)”)로 전송 전력 제어/분배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부분 슬롯”은 (A) 단일 DM-RS에 (채널 추정/디코딩을) 의존하는 UCI 심벌 집합 단위 그리고/혹은 (B) CDM(혹은 직교 커버 코드(OCC))이 적용된 UCI 심벌 집합 단위로 지정될 수도 있다. 일례로, (최소한) “부분 슬롯” 단위 내에서는 전송 전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안 방법#3-2] “전력 제한 케이스”가 아닌 경우에는 (“오버랩”된) 두 채널의 동시 전송을 허용하고, 반면에 “전력 제한 케이스”인 경우에는 (A) SHD_PUCCH(UCI) 정보를 PUSCH(혹은 LGD_PUCCH)로 피기백하도록 하거나 그리고/혹은 (B) PUSCH(혹은 LGD_PUCCH)를 (SHD_PUCCH (영역)를 고려하여) 펑처링시키도록 하거나 그리고/혹은 (C) PUSCH(혹은 LGD_PUCCH)(혹은 SHD_PUCCH)를 (전송) 드랍 (혹은 (전송) 중지)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규칙이 적용될 경우, PUSCH(혹은 LGD_PUCCH) 전송 전력이 중간에 변경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수신 기지국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단말의 “전력 제한 케이스”에 상관없이, 동일 규칙(예를 들어, 동시 전송, 피기백, 펑처링, (전송) 드랍, (전송) 중지 등)이 적용(예를 들어, [제안 방법#1-1] ~ [제안 방법#1-4])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전력 제한 케이스”가 아닌 경우에는 (“오버랩”된) 두 채널의 동시 전송을 허용하고, 반면에 “전력 제한 케이스”인 경우에는 PUSCH(혹은 LGD_PUCCH)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 (예를 들어, “QPSK”)로 전송된다면, SHD_PUCCH (영역)와 겹치는 부분의 PUSCH(혹은 LGD_PUCCH) 전송 전력만을 줄여준 형태(예를 들어, 사전에 정의된 규칙에 따라, 단말의 (최대) 전송 전력을 PUSCH(혹은 LGD_PUCCH)와 SHD_PUCCH 간에 분배한 형태)로 전송하도록 하고, 반면에 PUSCH(혹은 LGD_PUCCH)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임계값보다 큰 “변조 차수” (예를 들어, “16 QAM”)로 전송된다면, SHD_PUCCH 영역과 겹치는 부분의 PUSCH(혹은 LGD_PUCCH) 전송 전력을 줄임과 동시에 해당 영역 부분에 추가적인 DM-RS를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6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전력 제어 방법을 예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말은 전력 제한 상황인지를 판단하고(S30), 전력 제한 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오버랩되는 2개 채널(제1, 2 채널)을 모두 전송한다(S31). 만약, 전력 제한 상황인 경우, 제1 채널의 변조 차수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오버랩되는 제1 채널 부분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켜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오버랩되는 제1 채널 부분의 전송 전력을 감소하고 또한 DM-RS를 추가적으로 전송한다(S32).
상기 추가적인 DM-RS 맵핑은 PUSCH(혹은 LGD_PUCCH)의 데이터를 펑처링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DM-RS는 (SHD_PUCCH (영역)와) 겹치는 PUSCH(혹은 LGD_PUCCH) (영역) 부분의 첫번째 심벌(그리고/혹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W 번째 심벌) 상에 맵핑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추가적인 DM-RS의 전송 여부가 “전력 제한 케이스”인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단말의 “전력 제한 케이스”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수신 기지국 입장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의 “전력 제한 케이스”에 상관없이, PUSCH(혹은 LGD_PUCCH)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임계값보다 큰 “변조 차수” (예를 들어, “16 QAM”)로 전송된다면, SHD_PUCCH(영역)와 겹치는 부분에 추가적인 DM-RS를 항상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규칙이 적용될 경우, PUSCH(혹은 LGD_PUCCH) 전송 전력이 중간에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DM-RS 추가 맵핑은, SHD_PUCCH (영역)과 겹치는 PUSCH(혹은 LGD_PUCCH) (영역) 부분 상에 (이미) DM-RS 전송이 설정(예를 들어, (특히) 다중 심볼 DM-RS 구조의 PUCCH, 높은 이동성(HIGH MOBILITY) 환경 등의 이유로 (시간 축의) DM-RS 밀도가 증가된 PUSCH)되어 있다면, 적용(/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 LGD_PUCCH(혹은 PUSCH) 전송이 (이미) 시작되고 난 이후 시점에 동일 심벌(들)을 통한 SHD_PUCCH 전송을 지시 받는 경우가 없다고 가정할 경우, (해당) 추가적인 DM-RS 전송 없이 “전력 제한 케이스”에서도 PUSCH(혹은 LGD_PUCCH)가 줄어든 전송 전력으로 중간 변경 없이 (SHD_PUCCH와 함께) 전송되도록 하거나 그리고/혹은 (해당) PUSCH(혹은 LGD_PUCCH) 전송을 생략(혹은 중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설명한) DM-RS 추가 맵핑 규칙은, (SHD_PUCCH (영역)와 겹치는 PUSCH에만 (한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7은 NR에서 도입될 수 있는 다중 슬롯 LGD_PUCCH를 예시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LGD_PUCCH는 슬롯#1 내지 #3 즉, 복수의 슬롯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를 다중 슬롯 LGD_PUCCH라 칭할 수 있다.
아래 제안 방식들은 NR 시스템 하에서, “다중 슬롯 LGD_PUCCH(혹은 PUSCH) 전송”이 수행될 경우, 효율적인 전송 전력 제어 방법 그리고/혹은 정보(혹은 변조 코딩된 심볼) 맵핑 방법 그리고/혹은 참조 신호(RS)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 방법#4-1] 일례로, (A) 첫번째 슬롯에서 (계산된) 전송 전력 값을 나머지 슬롯들에서도 동일하게 적용(OPTION#A) 하도록 하거나 그리고/혹은 (B) (사전에 정의된) TPC 명령 수신/적용 타임라인에 따라, 각각의 슬롯 마다 전송 전력 값을 독립적으로 계산/적용(OPTION#B)하도록 하거나 그리고/혹은 (C) 참조 신호(RS, 예컨대, DM-RS) 가 전송되는 슬롯(이를 RS-슬롯이라 하자)의 경우, 전송 전력 값을 독립적으로 계산/적용하도록 하고, 반면에 참조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슬롯 (이를 NONRS-슬롯이라 하자)의 경우, 이전(/후)에 가장 가까운 RS-슬롯의 (계산된) 전송 전력 값을 동일하게 적용(OPTION#C)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다중 슬롯 LGD_PUCCH(혹은 PUSCH)” (그리고/혹은 “UCI (혹은 데이터)”)의 “변조 차수”에 따라, 적용되는 규칙이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QPSK”의 경우, (OPTION#B)가 적용되고, 반면에 “(16) QAM”의 경우, (OPTION#A) (혹은 (OPTION#C))가 적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안 방법#4-2] 전송해야 할 (특정 UCI(/전송 블록) 관련) 정보(혹은 변조 코딩된 심볼)를 (A) 첫번째 슬롯 상의 LGD_PUCCH(혹은 PUSCH)에 (우선적으로) 맵핑한 후, 나머지 슬롯 상에서는 (동일하게) 반복 맵핑되도록 하거나 그리고/혹은 (B) 복수개의 슬롯을 하나의 (가상적인) “수퍼 슬롯(SUPER-SLOT)”으로 가정하고, (슬롯 단위(SLOT-WISE) 형태로) 맵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복수개의 전송 블록이 “다중 슬롯 PUSCH” (예를 들어, “K” 개의 슬롯들 기반의 PUSCH 전송)를 통해서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이 때, 하나의 전송 블록 전송에 사용되는 연속적인 슬롯의 개수 (L)(예를 들어, “L < K”)는 사전에 설정(/시그널링) 될 수도 있다.
[제안 방법#4-3] “다중 슬롯 LGD_PUCCH(혹은 PUSCH) 전송”이 수행될 경우, (A) “단일 슬롯 LGD_PUCCH(혹은 PUSCH) 전송”에 사용되는 참조 신호 구조(예를 들어, 참조 신호 (심볼) 위치 그리고/혹은 (주파수/시간) 밀도 등)가, 변경 없이 슬롯 별로 반복 적용되도록 하거나 그리고/혹은 (B) “다중 슬롯 LGD_PUCCH(혹은 PUSCH) 전송”에 적용되는 참조 신호 구조 정보가 추가적으로(혹은 독립적으로) 설정(/시그널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아래 제안 방식들은 NR 시스템 하에서, “다중 슬롯 LGD_PUCCH(혹은 PUSCH)” (일부) 전송과 다른 채널(/시그널) 전송(예를 들어, SHD_PUCCH (혹은 SRS 혹은 PUSCH))이 “오버랩” 될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5-1] 일례로, “(전송) 드랍” 규칙을 “다중 슬롯 LGD_PUCCH(혹은 PUSCH)”에 적용해야 한다면, (A) SHD_PUCCH(혹은 SRS 혹은 PUSCH) 전송과 실제로 겹치는 (일부) 슬롯 상의 (LGD_PUCCH(혹은 PUSCH)) 전송만을 생략하도록 하거나 그리고/혹은 (B) 전체 “다중 슬롯 LGD_PUCCH (혹은 PUSCH)” 전송을 생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다중 슬롯 LGD_PUCCH(혹은 PUSCH)” (일부) 전송과 다른 채널(/시그널) 전송이 “오버랩” 될 경우, (예외적으로) 다른 채널(/시그널) 전송을 (항상) “(전송) 드랍”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전송) 중지” 규칙을 “다중 슬롯 LGD_PUCCH(혹은 PUSCH)”에 적용해야 한다면, (A) SHD_PUCCH(혹은 SRS 혹은 PUSCH) 전송과 실제로 겹치는 (일부) 심벌 상의 (LGD_PUCCH (혹은 PUSCH)) 전송만을 생략하도록 하거나 그리고/혹은 (B) SHD_PUCCH(혹은 SRS 혹은 PUSCH) 전송과 실제로 겹치는 (일부) 심벌 상의 (LGD_PUCCH(혹은 PUSCH)) 전송을 포함하여 이후에 가장 가까운 “슬롯 경계”까지의 (LGD_PUCCH(혹은 PUSCH)) 전송을 (모두) 생략하도록 하거나 그리고/혹은 (C) SHD_PUCCH(혹은 SRS 혹은 PUSCH) 전송과 실제로 겹치는 (일부) 심벌 상의 (LGD_PUCCH(혹은 PUSCH)) 전송을 포함하여 이후의 “다중 슬롯 LGD_PUCCH(혹은 PUSCH)” 전송을 (모두) 생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다중 슬롯 LGD_PUCCH(혹은 PUSCH)” (일부) 전송과 다른 채널(/시그널) 전송이 “오버랩” 될 경우, 예외적으로 다른 채널(/시그널) 전송을 (항상) “(전송) 중지”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 SHD_PUCCH(혹은 PUSCH)을 “다중 슬롯 LGD_PUCCH(혹은 PUSCH)”로 피기백하는 규칙을 적용해야 한다면, (A) SHD_PUCCH(혹은 PUSCH) 전송과 실제로 겹치는 (일부) 슬롯 상의 LGD_PUCCH(혹은 PUSCH)로 피기백(그리고/혹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N 번째 (슬롯 상의) LGD_PUCCH(혹은 PUSCH)로 (항상) 피기백) 하도록 하거나 그리고/혹은 (B) (실제 겹침과 상관없이) 모든 슬롯 상의 LGD_PUCCH(혹은 PUSCH)로 (반복) 피기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반대로, “다중 슬롯 LGD_PUCCH(혹은 PUSCH)”을 PUSCH(혹은 SHD_PUCCH)로 피기백하는 규칙을 적용해야 한다면, 실제로 겹치는 (일부) 슬롯 상의 LGD_PUCCH (혹은 PUSCH)을 PUSCH(혹은 SHD_PUCCH)로 피기백하도록 할 수도 있다.
NR 시스템 하에서, “다중 슬롯 PUSCH(혹은 LGD_PUCCH)” 전송을 지시(/스케줄링)하는 DCI(이를 MUSL-DCI라 하자) 상에서 “비주기적 CSI(/SRS)” 전송이 트리거링되면, 아래 (일부) 규칙이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제안 방법#6-1] 일례로, (A)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N 번째 슬롯(예를 들어, “N = 1”) 상에서만 “비주기적 CSI(/SRS)” 전송이 수행되도록 하거나 그리고/혹은 (B) 모든 슬롯 상에서 “비주기적 CSI(/SRS)” 전송이 (반복)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MUSL-DCI상에 정의된 해당 용도의 필드를 통해, 몇 번째 슬롯 상에서 “비주기적 CSI(/SRS)” 전송이 수행되어야 하는지가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NR 시스템 하에서, 특정 채널(/시그널)(예를 들어, LGD_PUCCH, PUSCH (그리고/혹은 SHD_PUCCH, SRS)) 관련 홉핑 대역폭 그리고/혹은 맵핑 영역은 아래 (일부) 규칙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과도한) “(전력) 과도 주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인트라-슬롯) (주파수) 홉핍”은 SHD_PUCCH에 대해서는 적용되지 않도록(예를 들어, LGD_PUCCH(혹은 PUSCH)에 대해서만 (한정적으로) 적용) (그리고/혹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임계값보다 작은 개수의 심벌로 구성된 PUCCH에 대해서는 적용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제안 방법#7-1] 전체 시스템 대역 내에서, LGD_PUCCH(/PUSCH) (그리고/혹은 SHD_PUCCH(/SRS))의 (주파수) 홉핑이 수행되는 (서브) 대역 정보 그리고/혹은 SHD_PUCCH(/SRS)(그리고/혹은 LGD_PUCCH(/PUSCH))의 “분산 맵핑”이 수행되는 (서브) 대역 정보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제안 방식에 대한 일례들 또한 본 발명의 구현 방법들 중 하나로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일종의 제안 방식들로 간주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또한, 상기 설명한 제안 방식들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일부 제안 방식들의 조합 (혹은 병합)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안 방식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범위는 3GPP LTE/LTE-A 시스템 외에 다른 시스템으로도 확장 가능하다. 일례로, 본 발명의 제안 방식들은 LGD_PUCCH (혹은 PUSCH (혹은 SRS))와 SHD_PUCCH (혹은 SRS (혹은 PUSCH))가 동일 슬롯(그리고/혹은 시간 영역) 상에서 (“오버랩”되어) 전송되는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안 방식들은 국부적 SHD_PUCCH(그리고/혹은 분산 SHD_PUCCH)에 대해서만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제안 방식들은 “단일 단말(SINGLE UE)” (그리고/혹은 “서로 다른 단말”)의 LGD_PUCCH (혹은 PUSCH(혹은 SRS))와 SHD_PUCCH(혹은 SRS(혹은 PUSCH)) 간의 “오버랩” 핸들링을 위해서만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안 방식들은 “SC-FDM” (혹은 “DFT-S-OFDM”) (혹은 “OFDM”) 형태의 SHD_PUCCH(그리고/혹은 LGD_PUCCH) 그리고/혹은 PUSCH (그리고/혹은 SRS) 전송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통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기지국(100)은 프로세서(processor, 110), 메모리(memory, 120) 및 RF부(RF(radio frequency) unit, 1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130)는 프로세서(1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RF부(130)는 트랜시버(transceiver)라 칭할 수도 있다.
단말(200)은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RF부(2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아날로그 빔 별로 독립적으로 설정된, 상향링크 통신 관련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상기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향링크 통신을 특정 아날로그 빔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경우, 상기 특정 아날로그 빔에 설정된 상향링크 통신 관련 파라미터를 상기 상향링크 통신에 적용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2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230)는 프로세서(2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RF부(230)는 트랜시버(transceiver)라 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21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베이스밴드 신호 및 무선 신호를 상호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22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130,230)는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120,22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0,2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20,220)는 프로세서(110,21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110,210)와 연결될 수 있다.
100: 기지국, 200: 단말

Claims (11)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nece Signal: SRS)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SRS의 전송에 사용될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이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의 전송에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에 기반하여:
    1) 상기 SRS가 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i) 상기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만 드랍(drop)하고, ii) 상기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SRS 심볼을 통해 상기 SRS를 전송하고, 및
    2) 상기 SRS가 비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주기적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PUCCH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SRS가 비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주기적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SRS는 상기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RS가 비주기적 SRS인 경우, 상기 비주기적 SRS의 전송은 상기 단말에 의하여 수신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에 의하여 스케줄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nece Signal: SRS)를 전송하는 단말(user equipment: UE)은,
    트랜시버(transceiver);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됨에 기반하여 동작들(operations)을 수행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들은,
    상기 SRS의 전송에 사용될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이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의 전송에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에 기반하여:
    1) 상기 SRS가 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i) 상기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만 드랍(drop)하고, ii) 상기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SRS 심볼을 통해 상기 SRS를 전송하고, 및
    2) 상기 SRS가 비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주기적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PUCCH를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SRS가 비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주기적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SRS는 상기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SRS가 비주기적 SRS인 경우, 상기 비주기적 SRS의 전송은 상기 단말에 의하여 수신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에 의하여 스케줄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통신 장치가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nece Signal: SRS)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게 설정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됨에 기반하여 동작들(operations)을 수행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들은,
    상기 SRS의 전송에 사용될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이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의 전송에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에 기반하여:
    1) 상기 SRS가 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i) 상기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만 드랍(drop)하고, ii) 상기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SRS 심볼을 통해 상기 SRS를 전송하고, 및
    2) 상기 SRS가 비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주기적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PUCCH를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SRS가 비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주기적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SRS는 상기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SRS가 비주기적 SRS인 경우, 상기 비주기적 SRS의 전송은 상기 무선통신 장치에 의하여 수신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에 의하여 스케줄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nece Signal: SRS)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SRS의 수신에 사용될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이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의 수신에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에 기반하여:
    1) 상기 SRS가 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SRS 심볼을 통해 상기 SRS를 수신하고, 및
    2) 상기 SRS가 비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주기적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PUCCH를 수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nece Signal: SRS)를 수신하는 기지국은,
    트랜시버(transceiver);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됨에 기반하여 동작들(operations)을 수행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들은,
    상기 SRS의 수신에 사용될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이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의 수신에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 심볼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에 기반하여:
    1) 상기 SRS가 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복수의 SRS 심볼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SRS 심볼을 통해 상기 SRS를 수신하고, 및
    2) 상기 SRS가 비주기적 SRS이고 상기 PUCCH가 주기적 CSI를 나르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PUCCH를 수신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207023763A 2017-01-07 2018-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KR1021881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43648P 2017-01-07 2017-01-07
US62/443,648 2017-01-07
US201762444342P 2017-01-09 2017-01-09
US62/444,342 2017-01-09
US201762446418P 2017-01-14 2017-01-14
US62/446,418 2017-01-14
PCT/KR2018/000363 WO2018128501A1 (ko) 2017-01-07 2018-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814A Division KR102149015B1 (ko) 2017-01-07 2018-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870A true KR20200100870A (ko) 2020-08-26
KR102188152B1 KR102188152B1 (ko) 2020-12-07

Family

ID=627913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763A KR102188152B1 (ko) 2017-01-07 2018-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KR1020197015814A KR102149015B1 (ko) 2017-01-07 2018-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814A KR102149015B1 (ko) 2017-01-07 2018-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109404B2 (ko)
EP (1) EP3550918A4 (ko)
JP (1) JP6976337B2 (ko)
KR (2) KR102188152B1 (ko)
CN (1) CN110249689B (ko)
WO (1) WO20181285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63863B (zh) * 2016-08-10 2019-06-21 諾基亞科技公司 用於上行鏈路短傳輸時間區間傳輸之傳訊技術與相關聯方法、裝置、電腦程式産品及電腦可讀媒體
CN109792336B (zh) * 2016-09-30 2021-02-26 诺基亚通信公司 Nr pucch覆盖范围扩展
KR102188152B1 (ko) 2017-01-07 2020-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BR112019015856A2 (pt) 2017-02-01 2020-04-1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de comunicação, dispositivo de rede e terminal
US11716729B2 (en) * 2017-02-06 2023-08-01 Apple Inc. Resource mapping and multiplexing of uplink control channel and uplink data channel
KR20180091527A (ko) 2017-02-07 2018-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및 데이터 정보 전송방법 및 장치
CN108696943B (zh) * 2017-04-12 2022-11-08 株式会社Kt 用于新无线电的发送和接收数据信道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装置
CN108988984B (zh) * 2017-05-31 2021-07-09 株式会社Kt 用于新无线电的重传传输块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装置
US10492151B2 (en) * 2017-06-09 2019-11-2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in new radio systems
CN117460055A (zh) 2017-08-10 2024-01-26 三星电子株式会社 无线蜂窝通信系统中传输上行链路控制信道的方法和设备
KR20190017612A (ko) * 2017-08-10 2019-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BR112019014574A2 (pt) * 2018-01-12 2020-02-1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de transmissão de informações, dispositivo terminal, dispositivo de rede, e dispositivo
US10966223B2 (en) * 2018-01-22 2021-03-30 Apple Inc. Handling overlapping of PUCCH and PUSCH for new radio systems
US20200404651A1 (en) * 2018-02-09 2020-12-24 Ntt Docomo, Inc.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US10925087B2 (en) * 2018-03-20 2021-02-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mmunications of a flexible transport block
US11252704B2 (en) * 2018-06-08 2022-02-15 Qualcomm Incorporated Spatially multiplexing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and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CN110740521B (zh) * 2018-07-18 2022-10-1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上行传输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US11909527B2 (en) * 2018-07-23 2024-02-20 Lenovo (Beijing) Limited CBG-based retransmission
US20220053483A1 (en) * 2018-09-25 2022-02-17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CN111614446B (zh) * 2019-02-22 2021-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处理方法和通信处理装置
US11483092B2 (en) * 2019-02-26 2022-10-25 Qualcomm Incorporated Collision handling for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repetition
US11882083B2 (en) 2019-03-29 2024-01-23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shared channel repetition for 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
CN111769916B (zh) * 2019-03-30 2021-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通信装置和系统
US20220279505A1 (en) * 2019-08-13 2022-09-01 Lenovo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n uplink channel
WO2021088041A1 (zh) * 2019-11-08 2021-05-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上行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2929966B (zh) * 2019-12-05 2022-08-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上行传输资源选择的方法及终端
CN113518458A (zh) * 2020-04-09 2021-10-1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上行数据和控制信息的传输方法及其设备
EP4169338A4 (en) * 2020-08-06 2023-12-20 Apple Inc. PROCEDURE FOR PUCCH OPERATION WITH MULTI-TRP
CN117083949A (zh) * 2021-01-14 2023-11-17 瑞典爱立信有限公司 针对多时隙物理上行链路共享信道上的单个传输块传送的冲突处置、上行链路控制信息复用和重复
US11778607B2 (en) * 2021-04-01 2023-10-03 Nokia Technologies Oy Using relative transmission occasion delay indexing
CN113260034B (zh) * 2021-06-22 2021-10-08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上行信道发送功率分配方法及装置、终端和存储介质
FI20216032A1 (en) * 2021-10-06 2023-04-07 Nokia Technologies Oy Adjusting the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for parallel uplink transmission
US20230140036A1 (en) * 2021-10-29 2023-05-04 Qualcomm Incorporated Partial pusch repetition configuration
WO2024034472A1 (ja) * 2022-08-08 2024-02-15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装置、基地局及び通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5535A (ko) * 2010-02-10 2012-11-15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비주기적 사운딩 기준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KR20140047495A (ko) * 2012-10-12 2014-04-22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제어방법 및 그 단말
WO2016068542A2 (ko) * 2014-10-30 2016-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tc 기기의 pucch 전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147B1 (ko) 2008-08-12 201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r 전송 방법
US8737334B2 (en) * 2009-12-07 2014-05-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an uplink comp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EP2542009A1 (en) * 2010-08-19 2013-01-02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reporting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9258092B2 (en) * 2010-09-17 2016-02-09 Blackberry Limited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in carrier aggregation
US9363804B2 (en) * 2010-10-21 2016-06-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and apparatus therefor
KR101306377B1 (ko) 2011-09-29 2013-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3107224A1 (zh) * 2012-01-20 2013-07-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行信号的发送方法及用户设备
US8964683B2 (en) * 2012-04-20 2015-02-24 Ofinno Technologies, Llc Sounding signal in a multicarrier wireless device
US8964593B2 (en) * 2012-04-16 2015-02-24 Ofinno Technologies, Llc Wireless device transmission power
EP3337079A1 (en) * 2012-04-16 2018-06-2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ell group configuration for uplink transmission in a multicarrier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with timing advance groups
US8958342B2 (en) * 2012-04-17 2015-02-17 Ofinno Technologies, Llc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a multicarrier wireless device
US9179425B2 (en) * 2012-04-17 2015-11-03 Ofinno Technologies, Llc Transmit power control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s
WO2014058236A1 (ko) 2012-10-10 2014-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기지국
WO2014107052A1 (ko) * 2013-01-03 2014-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10932205B2 (en) * 2013-08-02 2021-02-23 Blackberry Limited Uplink power sharing control
US9838982B2 (en) 2013-09-04 2017-12-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wer headroom re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19581B2 (en) * 2013-09-27 2021-05-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power control handling
EP3079272B1 (en) * 2013-12-03 2019-11-20 LG Electronic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ing uplink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machine-type communication
CN110784919B (zh) * 2014-01-29 2022-10-11 三星电子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中基于多载波的数据发射方法和设备
CN106537999B (zh) 2014-04-08 2019-08-09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支持无线资源的使用的改变的无线通信系统中发送上行链路控制信息的方法和设备
JP2017175174A (ja) * 2014-08-08 2017-09-28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US9980257B2 (en) 2014-09-26 2018-05-22 Qualcomm Incorporated Ultra-low latency LTE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EP3236610B1 (en) 2014-12-17 2021-04-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channel and wireless device requiring coverage enhancement
CN112134671B (zh) 2015-01-28 2023-12-29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无线发射/接收单元(wtru)、其执行的方法和设备
US9930654B2 (en) * 2015-03-17 2018-03-27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ser equipment uplink transmissions on an unlicensed carrier
CN107534539B (zh) * 2015-04-05 2019-08-13 欧芬诺有限责任公司 无线网络中传输探测参考信号的方法和设备
EP3282627B1 (en) 2015-04-10 2020-07-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machine type communication
US10834763B2 (en) 2015-11-04 2020-11-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overlap of different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97946B2 (en) * 2015-12-17 2019-08-27 Lg Electronics Inc. Uplink reference signal transmitting or receiv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0484875B2 (en) 2015-12-30 2019-11-1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transmission of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US10716125B2 (en) 2016-04-01 2020-07-14 Qualcomm Incorporated Sounding reference signal triggering for enhanced carrier aggregation
WO2017173388A1 (en) 2016-04-01 2017-10-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rs switching, transmission, and enhancements
JP6744436B2 (ja) * 2016-07-01 2020-08-1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と端末との間の上りリンク信号の送受信方法及びそれを支援する装置
US20180132229A1 (en) * 2016-11-04 2018-05-10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s In Mobile Communications
CN110383912A (zh) * 2016-12-13 2019-10-25 夏普株式会社 基站、用户设备和相关通信方法
KR102188152B1 (ko) 2017-01-07 2020-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EP3639439A1 (en) * 2017-06-16 2020-04-22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a harq-ack feedback on an uplink control channel
WO2019098697A1 (en) * 2017-11-16 2019-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and terminal
KR102066391B1 (ko) 2017-11-16 2020-01-15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입체기반 다차원 심볼로지 시스템의 정보 삽입 장치 및 방법
US10819470B2 (en) * 2018-01-12 2020-10-27 Intel IP Corporation Behavior of user equipment (UE) in scenarios of conflicting resource assignments in new radio (NR) systems
US10973038B2 (en) * 2018-01-19 2021-04-06 Qualcomm Incorporated UCI transmission for overlapping uplink resource assignments with repetition
US10966223B2 (en) * 2018-01-22 2021-03-30 Apple Inc. Handling overlapping of PUCCH and PUSCH for new radio syste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5535A (ko) * 2010-02-10 2012-11-15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비주기적 사운딩 기준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KR20140047495A (ko) * 2012-10-12 2014-04-22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제어방법 및 그 단말
WO2016068542A2 (ko) * 2014-10-30 2016-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tc 기기의 pucch 전송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11164 *
3GPP R1-1612140 *
3GPP R1-161282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50918A1 (en) 2019-10-09
KR102149015B1 (ko) 2020-08-28
US20190327759A1 (en) 2019-10-24
US10880918B2 (en) 2020-12-29
CN110249689A (zh) 2019-09-17
US20210250975A1 (en) 2021-08-12
US11109404B2 (en) 2021-08-31
JP6976337B2 (ja) 2021-12-08
WO2018128501A1 (ko) 2018-07-12
EP3550918A4 (en) 2019-11-27
US20200245350A1 (en) 2020-07-30
KR20190072638A (ko) 2019-06-25
US11284426B2 (en) 2022-03-22
KR102188152B1 (ko) 2020-12-07
JP2020505815A (ja) 2020-02-20
CN110249689B (zh)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15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US11539469B2 (en) Method for terminal resend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KR10221310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CN110692279B (zh) 无线通信系统中的终端的d2d操作方法及其终端
KR10209342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10223126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US109039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transport blo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9010441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v2x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US20180007669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2019012378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통신을 위한 단말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10203483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10214744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ack/nack 전송 방법
KR20190110143A (ko) 복수의 반송파들이 설정된 단말의 전력 할당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