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221A - 스마트 미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미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221A
KR20200100221A KR1020190017630A KR20190017630A KR20200100221A KR 20200100221 A KR20200100221 A KR 20200100221A KR 1020190017630 A KR1020190017630 A KR 1020190017630A KR 20190017630 A KR20190017630 A KR 20190017630A KR 20200100221 A KR20200100221 A KR 20200100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ule
information
sound
smart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은주
오정윤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7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0221A/ko
Publication of KR20200100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2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63J5/021Mixing live action with images projected on 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4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displaying different signs depending upon the view-point of the obser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 미러 시스템은 전방을 촬영하는 내부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나타난 물체를 인식하는 사물 인식부, 및 상기 표시부에 나타난 물체에 대한 정보를 로딩하는 물체정보 로딩 모듈과 상기 표시부에 나타난 장소에 대한 정보를 로딩하는 장소정보 로딩 모듈을 갖는 정보 로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미러 시스템{SMART MIRROR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미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대형 전광판이나 고급형 텔레비전에서나 볼 수 있었던 대형 디스플레이들이 현대에는 일반 공공장소나 일반 소매점 등 에서도 수십 수백개씩 장착되어 활용될 만큼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술개발이 빠르게 이루어졌으며, 그 가격대도 충분히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만큼 저렴해졌다.
특히 최근의 컴퓨팅 산업의 발전과 무선통신의 발달로 인해 가전의 융합과 원격 가전제어와 같은 기술들도 점차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중 최근에 개발되었던 스마트 미러는 옷가게 등에서 사용되는 것과 일반 일상에서 사용되는 2가지의 목적을 갖는 기기가 개발되었는데, 먼저, 옷가게 등에서 사용되는 기술은 의상을 가상으로 착용해볼 수 있도록 거울기능에 디스플레이 기능을 더 추가하여 사용자의 실제 모습에 가상의 의류를 합성하여 보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상점에서는 직접 의류를 입어볼 수 있고, 상점이 아닌 경우에는 자신의 사진에 옷을 합성해보는 단순한 프로그램만으로도 구동 가능했기 때문에 하드웨어적인 도움이 필요 없이 웹페이지 등에서 바로 확인하면 되는 정도의 기능이었으므로 큰 성공을 거누지는 못했다.
다만, 일상에서 사용되는 일종의 비서기능을 갖는 스마트 미러는 거울에 비서역할이 가능한 컴퓨팅 성능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기능을 더 추가하는 것으로서, 미래의 개인비서 역할을 하는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네덜란드의 대형 가전업체인 필립스의 경우, 화장실에서 사용하는 대형 욕실거울의 후면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추가하여 개인비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을 소개함으로써 미래의 스마트가전에 대한 개발 방향을 제시한 선례가 있다. 물론, 아직까지는 대중에게 어떠한 기술이 적합할지 판단하기 위한 경험을 축적하는 과정이기에 다양한 실험적 기술들이 선보여지고 있으나, 몇몇 디지털 사이니지 접목기술을 제외하면 크게 빛을 보고 있는 기술은 아직까지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 미러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 10-1541180호 ‘스마트 거울 장치와 그에 따른 시스템’이 개시되어있다. 본 발명은 소정의 위치에 서 있는 고객을 촬영한 고객사진을 출력하는 카메라부, 카메라부가 내장되도록 형성되며, 카메라부로부터 고객사진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소정의 위치에 서 있는 고객을 비추어 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스마트거울부 및 스마트거울부의 일측면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고객으로부터 고객에 대한 고객정보를 제공받아 인증여부를 체크하고, 카메라부로부터 고객사진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복수 장의 고객사진 중 고객이 선택한 사진을 스마트거울부에 제공하는 터치인증 스크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거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실제 모습에 디지털기술로서 의상 이미지를 융합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용이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거울이지만, 실제 상점에 방문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의상을 직접 착용해볼 수 있으며, 그 외의 경우라면 단순 웹페이지를 통해서도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 10-1604030호 에는 ‘어레이 방식의 후방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터치 센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오브젝트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표시된터치 영상을 센싱하기 위한 광을 방사하는 센싱 광원 및 터치 영상의 영역을 분할하여 터치 영상을 센싱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터치 센싱 장치는 하단 가장자리에 카메라를 배치하거나 터치 영상을 반사시키는거울을 구비함으로써 멀티터치 센싱 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옵티컬 셔터를 구비함으로써 영상 품질및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터치 센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센싱 장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제공하는 데에는 용이하지만 단순히 표시만을 위한 구성으로서 어떠한 정보가 어떻게 전달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나와 있지 않아 좀 더 연구가 필요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와 거울이 합성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와 안내및 알람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격으로 다른 장치와 연동하여 상황에 따른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미러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 미러 시스템은 전방을 촬영하는 내부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나타난 물체를 인식하는 사물 인식부, 및 상기 표시부에 나타난 물체에 대한 정보를 로딩하는 물체정보 로딩 모듈과 상기 표시부에 나타난 장소에 대한 정보를 로딩하는 장소정보 로딩 모듈을 갖는 정보 로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의 전체면에서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은 가시광을 발생시키는 가시광 조사부,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광 조사부,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적외광 조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에 나타난 환경과 동일한 빛을 상기 표시부의 전체면에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가상 화면을 표시하는 가상환경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미러 시스템은 상기 가상 화면의 환경을 분석하는 가상환경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미러 시스템은 상기 가상환경 분석부에서 분석한 환경으로 실내 온도, 실내 조명, 및 상기 광원을 조절하는 가상환경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미러 시스템은 실내에 설치된 복수의 먼지 측정 센서와 상기 먼지 측정 센서에서 전달된 정보를 분석하는 실제환경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로딩부는 상기 실제환경 분석부에서 분석된 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제환경 분석부는 실내 공기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오염 분석 모듈과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날씨를 분석하는 날씨 분석 모듈과 실내 온도를 분석하는 온도 분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로딩부는 내부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화면에 장소별 오염 정도를 로딩하는 오염정보 로딩 모듈과 장소별 온도를 로딩하는 온도정보 로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염정보 로딩 모듈은 실내를 복수의 섹션으로 구분하고 각 장소에 대한 오염 수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미러 시스템은 실외에 설치되어 건물 외부를 촬영하는 외부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내부 촬영부에서 촬영된 화면을 표시하는 내부 표시 모듈과 상기 외부 촬영부에서 촬영된 화면을 표시하는 외부 표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미러 시스템은 외부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에서 수신된 소리를 분석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사물 중 소리를 발생시킨 주체와 소리를 매칭 시키는 소리 매칭 모듈과 상기 소리 매칭 모듈에서 인식된 사물의 위치에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판형상의 스피커 어셈블리를 갖는 소리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리 제어부는 사용자가 터치한 사물에서 발생한 소리를 제거하는 소리 제거 모듈과 사용자가 터치한 사물에서 발생한 소리를 증폭하는 소리 증폭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딩부는 상기 표시부에 나타난 가구 및 물체를 가상의 가구 및 물체로 교체하여 표시하는 시뮬레이션 로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미러 시스템은 스마트 미러에 나타난 물체와 장소를 인식하여 물체 정보와 장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내 환경을 표시부에 나타나는 가상환경과 유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스마트 미러 시스템에 환경 정보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 시스템에 실내 오염 정보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스마트 미러 시스템에 외부 환경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 시스템(100)은 벽면에 설치되어 카메라를 이용하여 거울과 같이 실내 및 사용자를 화면에 표시하고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및 실외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스마트 미러 시스템(100)은 내부 촬영부(11), 외부 촬영부(12), 사물 인식부(13), 표시부(20), 광원(50), 정보 로딩부(40), 가상환경 분석부(31), 가상환경 조절부(32), 실제환경 분석부(60), 소리 제어부(70)를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 미러 시스템(100)은 각종 센서와 유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먼지 측정 센서, 온도 센서, 조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촬영부(11)는 표시부의 전면에 설치된 카메라로 이루어지며 표시부(20)의 전면 공간을 촬영한다. 내부 촬영부(11)는 표시부(20)의 전면 공간을 촬영하여 표시부(20)에 거울과 동일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촬영부(12)는 건물이 유리창 또는 건물이 외벽에 설치된 카메라로 이루어지며 창문에서 바라보는 공간 또는 건물 외부의 공간을 촬영한다.
사물 인식부(13)는 표시부(20)에 나타난 사물을 인식하는데, 내부 촬영부(11)또는 외부 촬영부(12)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공간 및 사물을 인식한다. 또한 사물 인식부(13)는 사용자가 재생하는 동영상에 나타난 공간 및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 사물 인식부(13)는 서버 또는 기 저장된 객체와 비교하여 사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물 인식부(13)는 내부 공간을 기 설정된 간격으로 구획하여 인식할 수 있으며, 외부 장소 또는 가장 환경이 장소를 기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인식할 수 있다.
표시부(20)는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며 평판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20)는 접거나 말려지는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벽면에 걸거나 창문에 걸 수 있는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20)는 내부 표시 모듈(21), 외부 표시 모듈(22), 및 가상환경 표시 모듈(23)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표시 모듈(21)은 내부 촬영부(11)에서 촬영된 화면을 표시하며, 사용자가 마치 거울을 보는 것과 동일한 느낌을 갖도록 화면을 제공한다. 외부 표시 모듈(22)은 외부 촬영부(12)에서 촬영된 화면을 표시하며, 사용자가 마치 창문을 보는 것과 동일한 느낌을 갖도록 화면을 제공한다.
가상환경 표시 모듈(23)은 사용자가 설정한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가상 화면을 표시하며, 가상환경 표시 모듈(23)은 세계 각국의 다른 장소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가상환경 분석부(31)는 표시부(20)에 표시된 가상 화면의 환경을 분석한다. 가상환경 분석부(31)는 표시부(20)에 나타난 환경의 온도, 빛, 풍속 등을 분석하고 추정할 수 있다. 가상환경 조절부(32)는 가상환경 분석부(31)에서 분석한 환경으로 실내 온도, 실내 조명, 광원(50), 냉온풍기 등을 조절한다. 가상환경 조절부(32)는 스마트 홈 시스템과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스마트 홈 시스템을 통해서 실내 온도, 조명, 바람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환경 조절부(32)는 표시부(20)에 열대 휴양지의 동영상이 재생되는 경우에는 실내 온도를 높이고, 습도를 높게하여 가상환경 조절부(32)는 휴양지와 유사한 환경을 실내에 조성할 수 있으며, 표시부(20)에서 광원(50)을 통한 자외선과 강한 빛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상환경 조절부(32)는 표시부(20)에 스키장의 동영상이 재생되는 경우에는 실내 온도를 낮추고, 바람을 강하게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실제 스키장에 있는 느낌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광원(50)은 표시부(20)의 전체면에서 빛을 발생시키는 면광원으로 이루어진다. 광원(50)은 가시광을 발생시키는 가시광 조사부(51),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광 조사부(52),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적외광 조사부(53)를 포함한다. 가시광 조사부(51), 자외광 조사부(52), 적외광 조사부(53)는표시부(20)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밀도로 배치될 수 있다.
광원(50)은 표시부(20)에 나타난 환경과 동일한 빛을 표시부(20)의 전체면에서 발생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표시부(20)에 휴양지의 사진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광원(50)에서 강한 자외선과 적외선이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햇빛이 조사되는 부분이나 태양이 나타난 부분에서 강한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다.
정보 로딩부(40)는 표시부(20)에 표시된 장소 및 물체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로딩한다. 사물 인식부(13)에서 인식된 장소 및 물체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정보 로딩부(40)는 이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해당 정보를 표시부(20)에 로딩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로딩부(40)는 실제환경 분석부(60)에서 분석된 정보를 로딩하거나 가상환경 분석부(31)에서 분석된 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변에 대한 동영상이 재생되는 경우에는 정보 로딩부(40)는 해당 장소에 대한 정보, 해당 장소의 날씨, 해당 장소와 관련된 여행 상품, 해당 장소의 맛집 정보를로딩할 수 있다.
정보 로딩부(40)는 물체정보 로딩 모듈(41), 장소정보 로딩 모듈(42), 오염정보 로딩 모듈(43), 온도정보 로딩 모듈(44), 및 시뮬레이션 로딩 모듈(45)을 포함할 수 있다. 물체정보 로딩 모듈(41)은 표시부(20)에 나타난 물체에 대한 정보를 로딩하되, 물체의 종류와 물체의 상태, 온도, 가격에 대한 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소정보 로딩 모듈(42)은 표시부(20)에 나타난 장소에 대한 정보(120)를 로딩하되, 장소의 명칭, 날씨, 교통 등에 대한 정보(120)를 로딩할 수 있다.또한, 장소정보 로딩 모듈(42)은 현재의 날씨와 날씨 예보를 로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정보 로딩 모듈(43)은 내부 촬영부(11)에 의하여 촬영된 화면에 장소별 오염 정도를 로딩하는데, 실내를 복수의 섹션(150)으로 구분하고 각 섹션(150)에 대한 오염 수치 또는 오염 정도에 대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오염정보 로딩 모듈(43)은 오염 분석 모듈(61)에서 전달된 정보를 바탕으로 오염 수치를 표시할 수 있다.
온도정보 로딩 모듈(44)은 실내 또는 실외 온도 정보를 로딩하거나, 표시부에 나타난 장소의 현재 온도 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 온도정보 로딩 모듈(44)은 온도 분석 모듈(63)에서 전달된 정보를 바탕으로 온도를 표시하되 실내의 각 장소에 대한 온도 구배를 그라데이션 등의 방식으로 로딩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로딩 모듈(45)은 표시부(20)에 나타난 가구 및 물체를 가상의 가구 및 물체로 교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로딩 모듈(45)은 사용자의 방안에 식탁, 책상 등의 가상의 가구가 설치된 상태를 로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인테리어를 가상으로 비교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실제환경 분석부(60)는 실내에 설치된 복수의 먼지 측정 센서와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에서 전달된 정보를 바탕으로 실내의 환경을 분석한다. 실제환경 분석부(60)는 실내 공기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오염 분석 모듈(61)과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날씨를 분석하는 날씨 분석 모듈(62)과 실내 온도를 분석하는 온도 분석 모듈(63)을 포함할 수 있다.
오염 분석 모듈(61)은 실내의 각 공간에 대한 미세먼지 오염 정도를 분석한다. 날씨 분석 모듈(62)은 외부의 온도, 날씨 예측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한다. 온도 분석 모듈(63)은 실내 각 공간에 대한 온도를 분석하고 외부 온도와 실내 온도의 차이 등을 분석한다.
소리 제어부(70)는 실외에서 발생된 소리를 수신하고 이를 스마트 미러 시스템(100)을 통해서 재생한다. 소리 제어부(70)는 외부 표시 모듈(22)에 의하여 외부 촬영부(12)에서 촬영된 영상이 재생될 때, 외부에서 발생된 소리를 함께 재생한다.
소리 제어부(70)는 마이크로폰(71), 소리 매칭 모듈(72), 스피커 어셈블리(74), 소리 제거 모듈(75), 소리 증폭 모듈(76)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71)은 외부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수신하고 저장한다. 마이크로폰(71)은 창문 또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발생된 소리를 수신할 수 있다.
소리 매칭 모듈(72)은 마이크로폰에서 수신된 소리를 분석하고, 표시부에 표시된 사물 중 소리를 발생시킨 주체와 소리를 매칭 시킨다. 스피커 어셈블리(74)는 복수의 스피커들로 결합된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스피커 어셈블리(74)는 소리 매칭 모듈(72)에서 인식된 사물이 표시된 위치에서 소리를 발생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리 제거 모듈(75)은 사용자가 터치한 사물에서 발생한 소리를 제거할 수 있으며, 소리 증폭 모듈(76)은 사용자가 터치한 사물에서 발생한 소리를 증폭시킬 수 있다. 소리 증폭 모듈(76)은 사용자가 표시부(20)를 터치하여 간격을 증가시킬 때 소리를 증폭할 수 있으며, 소리 제거 모듈(75)은 사용자가 표시부(20)를 터치하여 간격을 감소시킬 때 소리를 제거할 수 있다. 소리의 제거는 간섭을 음파를 발생시키거나 해당 소리를 필터링하여 재생할 수 있다. 자동차 소리와 새 소리가 함께 발생할 때, 사용자는 자동차 소리는 제거하고 새 소리는 증폭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내부 촬영 단계(S101), 내부 표시 단계(S102), 사물 인식 단계(S103), 가상화면 표시 단계(S104), 가상화면 분석 단계(S105),가상환경 조절 단계(S106), 장소정보 로딩 단계(S107), 물체정보 로딩 단계(S108), 실내환경 분석 단계(S109), 오염정보 로딩 단계(S110), 온도정보 로딩 단계(S111)를 포함한다.
내부 촬영 단계(S101)는 표시부(20)의 전방을 촬영하되, 표시부(20)의 전면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표시부(20)의 전면 공간을 표시부의 전방을 촬영한다. 내부 표시 단계(S102)는 내부 촬영 단계(S101)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20)에 표시한다. 내부 표시 단계(S102)는 사용자가 마치 거울을 보는 것과 동일한 느낌을 갖도록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사물 인식 단계(S103)는 표시부(20)에 나타난 물체 및 장소를 인식한다. 사물 인식 단계(S103)는 서버 또는 기 저장된 객체와 비교하여 사물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을 기 설정된 간격으로 구획하여 인식할 수 있다.
가상화면 표시 단계(S104)사용자가 설정한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가상 화면을 표시하며, 세계 각국의 다른 장소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가상화면 분석 단계(S105)표시부(20)에 나타난 가상 화면의 환경을 분석하며, 표시부(20)에 나타난 환경의 온도, 빛, 풍속 등을 분석하고 추정할 수 있다.
가상환경 조절 단계(S106)는 분석한 환경으로 실내 온도, 실내 조명, 광원(50), 냉온풍기 등을 조절하며, 스마트 홈 시스템과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스마트 홈 시스템을 통해서 실내 온도, 조명, 바람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장소정보 로딩 단계(S107)는 표시부(20)에 나타난 장소에 대한 정보를 로딩하되, 장소의 명칭, 날씨, 교통 등에 대한 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 물체정보 로딩 단계(S108)는표시부(20)에 나타난 물체에 대한 정보를 로딩하되, 물체의 종류와 물체의 상태, 온도, 가격에 대한 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
실내환경 분석 단계(S109)는 실내에 설치된 복수의 먼지 측정 센서와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에서 전달된 정보를 바탕으로 실내의 환경을 분석한다.
실내환경 분석 단계(S109)는 실내 공기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오염 분석 단계와 실내 온도를 분석하는 온도 분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오염 분석 단계는 실내의 각 공간에 대한 미세먼지 오염 정도를 분석하며, 온도 분석 단계는 실내 각 공간에 대한 온도를 분석하고 외부 온도와 실내 온도의 차이 등을 분석한다.
오염정보 로딩 단계(S110)는 내부 촬영부(11)에 의하여 촬영된 화면에 장소별 오염 정도를 로딩하는데, 실내를 복수의 섹션으로 구분하고 각 장소에 대한 오염 수치 또는 오염 정도에 대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온도정보 로딩 단계(S111)는 실내 또는 실외 온도 정보를 로딩하거나, 표시부에 나타난 장소의 현재 온도 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 온도정보 로딩 단계(S111)는온도 분석 모듈(63)에서 전달된 정보를 바탕으로 온도를 표시하되 실내의 각 장소에 대한 온도 구배를 그라데이션 등의 방식으로 로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스마트 미러 시스템
11: 내부 촬영부
12: 외부 촬영부
13: 사물 인식부
20: 표시부
21: 내부 표시 모듈
22: 외부 표시 모듈
23: 가상환경 표시 모듈
31: 가상환경 분석부
32: 가상환경 조절부
40: 정보 로딩부
41: 물체정보 로딩 모듈
42: 장소정보 로딩 모듈
43: 오염정보 로딩 모듈
44: 온도정보 로딩 모듈
45: 시뮬레이션 로딩 모듈
50: 광원
51: 가시광 조사부
52: 자외광 조사부
53: 적외광 조사부
60: 실제환경 분석부
61: 오염 분석 모듈
62: 날씨 분석 모듈
63: 온도 분석 모듈
70: 소리 제어부
71: 마이크로폰
72: 소리 매칭 모듈
74: 스피커 어셈블리
75: 소리 제거 모듈
76: 소리 증폭 모듈

Claims (13)

  1. 전방을 촬영하는 내부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나타난 물체를 인식하는 사물 인식부; 및
    상기 표시부에 나타난 물체에 대한 정보를 로딩하는 물체정보 로딩 모듈과 상기 표시부에 나타난 장소에 대한 정보를 로딩하는 장소정보 로딩 모듈을 갖는 정보 로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전체면에서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가시광을 발생시키는 가시광 조사부,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광 조사부,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적외광 조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에 나타난 환경과 동일한 빛을 상기 표시부의 전체면에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가상 화면을 표시하는 가상환경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하고,상기 스마트 미러 시스템은 상기 가상 화면의 환경을 분석하는 가상환경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미러 시스템은 상기 가상환경 분석부에서 분석한 환경으로 실내 온도,실내조명, 및 상기 광원을 조절하는 가상환경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미러 시스템은 실내에 설치된 복수의 먼지 측정 센서와 상기 먼지 측정 센서에서 전달된 정보를 분석하는 실제환경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로딩부는 상기 실제환경 분석부에서 분석된 정보를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환경 분석부는 실내 공기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오염 분석 모듈과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날씨를 분석하는 날씨 분석 모듈과 실내 온도를 분석하는 온도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로딩부는 내부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화면에 장소별 오염 정도를 로딩하는 오염정보 로딩 모듈과 장소별 온도를 로딩하는 온도정보 로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정보 로딩 모듈은 실내를 복수의 섹션으로 구분하고 각 장소에 대한 오염 수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미러 시스템은 실외에 설치되어 건물 외부를 촬영하는 외부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내부 촬영부에서 촬영된 화면을 표시하는 내부 표시 모듈과 상기 외부 촬영부에서 촬영된 화면을 표시하는 외부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미러 시스템은 외부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에서 수신된 소리를 분석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사물 중 소리를 발생시킨 주체와 소리를 매칭 시키는 소리 매칭 모듈과상기소리 매칭 모듈에서 인식된 사물의 위치에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판형상의 스피커 어셈블리를 갖는 소리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제어부는 사용자가 터치한 사물에서 발생한 소리를 제거하는 소리 제거 모듈과 사용자가 터치한 사물에서 발생한 소리를 증폭하는 소리 증폭 모듈을더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는 상기 표시부에 나타난 가구 및 물체를 가상의 가구 및 물체로 교체하여 표시하는 시뮬레이션 로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
KR1020190017630A 2019-02-15 2019-02-15 스마트 미러 시스템 KR202001002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630A KR20200100221A (ko) 2019-02-15 2019-02-15 스마트 미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630A KR20200100221A (ko) 2019-02-15 2019-02-15 스마트 미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221A true KR20200100221A (ko) 2020-08-26

Family

ID=72293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630A KR20200100221A (ko) 2019-02-15 2019-02-15 스마트 미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02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439A (ko) 2020-10-20 2022-04-28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발열 체크 겸용 스마트 미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439A (ko) 2020-10-20 2022-04-28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발열 체크 겸용 스마트 미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9003B2 (en) Using a scene illuminating infrared emitter array in a video monitoring camera for depth determination
US10008003B2 (en) Simulating an infrared emitter array in a video monitoring camera to construct a lookup table for depth determination
US10389954B2 (en) Using images of a monitored scene to identify windows
US11689784B2 (en) Camera assembly having a single-piece cover element
US9554064B2 (en) Using a depth map of a monitored scene to identify floors, walls, and ceilings
US9489745B1 (en) Using depth maps of a scene to identify movement of a video camera
US20160364966A1 (en) Using Scene Information From a Security Camera to Reduce False Security Alerts
US9886620B2 (en) Using a scene illuminating infrared emitter array in a video monitoring camera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camera
WO2017024159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repurposing ir transmitters
US20240040272A1 (en) Low Frame Rate Night Vision on Video Camera
US9584734B2 (en) Photographic stage
KR20200100221A (ko) 스마트 미러 시스템
WO2016201357A1 (en) Using infrared images of a monitored scene to identify false alert regions
KR20200100222A (ko)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구동 방법
US11592667B2 (en) Display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16235132A (zh) 基于生活环境外部的环境在生活环境中的显示器上渲染内容
EP3308365B1 (en) Using infrared images of a monitored scene to identify false alert regions
EP4266253A2 (en) Using infrared images of a monitored scene to identify false alert regions
Sukeda et al. Information-accessing furniture to our everyday lives more comfor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