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042A - 지니어스 미러 - Google Patents

지니어스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042A
KR20200000042A KR1020180071816A KR20180071816A KR20200000042A KR 20200000042 A KR20200000042 A KR 20200000042A KR 1020180071816 A KR1020180071816 A KR 1020180071816A KR 20180071816 A KR20180071816 A KR 20180071816A KR 20200000042 A KR20200000042 A KR 20200000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genius
unit
iot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후
조길상
구민정
Original Assignee
최승후
구민정
조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후, 구민정, 조길상 filed Critical 최승후
Priority to KR1020180071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042A/ko
Publication of KR20200000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02F1/133555Trans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9Function characteristic transflecti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6Pixel structures with a reflective area and a transmissive area combined in one pixel, such as in transflectance pix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와 거울이 합성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와 안내 및 알람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격으로 다른 장치와 연동하여 상황에 따른 제어가 가능한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니어스 미러{Genius Mirror}
본 발명은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와 거울이 합성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와 안내 및 알람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격으로 다른 장치와 연동하여 상황에 따른 제어가 가능한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대형 전광판이나 고급형 텔레비전에서나 볼 수 있었던 대형 디스플레이들이 현대에는 일반 공공장소나 일반 소매점 등 에서도 수십 수백개씩 장착되어 활용될 만큼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술개발이 빠르게 이루어졌으며, 그 가격대도 충분히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만큼 저렴해졌다. 특히 최근의 컴퓨팅산업의 발전과 무선통신의 발달로 인해 가전의 융합과 원격 가전제어와 같은 기술들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중 최근에 개발되었던 지니어스 미러는 옷가게 등에서 사용되는 것과 일반 일상에서 사용되는 2가지의 목적을 갖는 기기가 개발되었는데, 먼저, 옷가게 등에서 사용되는 기술은 의상을 가상으로 착용해볼 수 있도록 거울기능에 디스플레이기능을 더 추가하여 사용자의 실제 모습에 가상의 의류를 합성하여 보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상점에서는 직접 의류를 입어볼 수 있고, 상점이 아닌 경우에는 자신의 사진에 옷을 합성해보는 단순한 프로그램만으로도 구동 가능했기 때문에 궂이 하드웨어적인 도움이 필요 없이 웹페이지 등에서 바로 확인하면 되는 정도의 기능이었으므로 큰 성공을 거누지는 못했다.
다만, 일상에서 사용되는 일종의 비서기능을 갖는 지니어스 미러는 거울에 비서역할이 가능한 컴퓨팅성능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기능을 더 추가하는 것으로서, 미래의 개인비서 역할을 하는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네덜란드의 대형 가전업체인 필립스의 경우, 화장실에서 사용하는 대형 욕실거울의 후면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추가하여 개인비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을 소개함으로써 미래의 스마트가전에 대한 개발방향을 제시한 선례가 있다. 물론, 아직까지는 대중에게 어떠한 기술이 적합할지 판단하기 위한 경험을 축적하는 과정이기에 다양한 실험적 기술들이 선보여지고 있으나, 몇몇 디지털 사이니지 접목기술을 제외하면 크게 빛을 보고 있는 기술은 아직까지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지니어스 미러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 10-1541180호 ‘스마트 거울 장치와 그에 따른 시스템’이 개시되어있다. 본 발명은 소정의 위치에 서 있는 고객을 촬영한 고객사진을 출력하는 카메라부, 카메라부가 내장되도록 형성되며, 카메라부로부터 고객사진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소정의 위치에 서 있는 고객을 비추어 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스마트거울부 및 스마트거울부의 일측면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고객으로부터 고객에 대한 고객정보를 제공받아 인증여부를 체크하고, 카메라부로부터 고객사진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복수 장의 고객사진 중 고객이 선택한 사진을 스마트거울부에 제공하는 터치인증스크린부를 포함하는 지니어스 거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실제 모습에 디지털기술로서 의상이미지를 융합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용이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거울이지만, 실제 상점에 방문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의상을 직접 착용해볼 수 있으며, 그 외의 경우라면 단순 웹페이지를 통해서도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 10-1604030호 에는 ‘어레이 방식의 후방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터치 센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오브젝트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표시된 터치 영상을 센싱하기 위한 광을 방사하는 센싱 광원 및 터치 영상의 영역을 분할하여 터치 영상을 센싱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터치 센싱 장치는 하단 가장자리에 카메라를 배치하거나 터치 영상을 반사시키는 거울을 구비함으로써 멀티터치 센싱 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옵티컬 셔터를 구비함으로써 영상 품질 및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터치 센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센싱 장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는 용이하지만 단순히 표시만을 위한 구성으로서 어떠한 정보가 어떻게 전달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나와 있지 않아 좀 더 연구가 필요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와 거울이 합성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와 안내 및 알람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격으로 다른 장치와 연동하여 상황에 따른 제어가 가능한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8-1020000호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디스플레이장치와 거울이 합성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와 안내 및 알람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격으로 외부기기와 연동하여 상황에 따른 제어가 가능한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를 소형 모듈화시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니어스 미러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는 확장모듈부를 더 제공하여 지니어스 미러의 기능을 보조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는,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거울 기능을 겸하는 것으로서, 투사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정보를 투과시켜 표시하는 거울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거울부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지니어스 미러의 주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시각표시장치, 스피커, 마이크, 타이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부기기; 상기 외부기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외부기기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지니어스 미러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시각표시장치, 스피커, 마이크, 타이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확장모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는,
1)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와 안내 및 알람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격으로 외부기기와 연동하여 상황에 따른 제어가 가능한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를 제공하고,
2) 디스플레이장치를 소형 모듈화시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도록하며,
3) 지니어스 미러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는 별도의 확장모듈부 구성을 더 제공하여 지니어스 미러의 기능을 보조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에 대한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에 대한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는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00); 거울기능을 겸하는 것으로서, 투사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정보를 투과시켜 표시하는 거울부(200);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와 상기 거울부(200)가 구비된 하우징(300); 상기 지니어스 미러의 주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시각표시장치, 스피커(320), 마이크, 타이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부기기(400),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컨트롤러(400);로 구성된다.
먼저, 디스플레이부(100)는 이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에서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대형 또는 소형 디스플레이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단일색상 또는 둘 이상의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패널이 사용 가능하되, 무게가 가볍고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면서 수명이 길고 소비전력이 낮은 LED나 OLED를 사용하는 기판을 주요 소재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나아가 거울부(200)는 이 디스플레이부(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100)와 밀착되어 배치될 수도 있으나, 디스플레이부(100)와의 사이에 투사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 투사공간은 작으면 작을수록 안내정보를 알아보기에 용이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 투사공간은 매우 미미하게만 존재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거울부(200)의 경우 일반적인 거울과 유사하게 소정의 위치에 위치한 사용자를 비춰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동시에 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100)에서 표시중인 안내정보가 이 거울부(200)를 투과하여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모습과 안내정보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거울부(200)와 디스플레이부(100)는 하우징(300)에 의해 둘러싸여 고정되며, 이 때 하우징(300)은 금속이나 합성수지, 목재 등 충분한 내구성 및 지지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나아가 이 하우징(300)에 의해 전체적인 지니어스 미러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외부기기(400)는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의 주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유/무선 통신을 사용해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외부기기(400)는 사용자에게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보조하는 것으로서, 소리가 출력되는 소리출력장치인 스피커나 이미지가 표시되는 시각표시장치인 조명, 보조 디스플레이장치, 포인터나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등의 기능보조를 하는 것을 의미하되, 더 나아가 사운드입력이 가능한 마이크나 영상입력이 가능한 카메라 또는 보조거울이나 타이머 등의 구성 및 기타 외부조작기기 등의 다양한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컨트롤러(400)는 이러한 외부기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각종 외부기기(400)의 제어를 위해 유/무선으로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통신기능을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지니어스 미러의 주변에 배치된(원격지에 위치한) 외부기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외부기기제어모듈(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원격지라고 함은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에 장착되지 않고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로부터 이격되어 별개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방범카메라나 전등과 같이 다양한 외부기기를 의미한다. 나아가, 컨트롤러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PC 등의 외부제어입력수단(미도시)을 통해 외부기기를 제어토록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를 마치 IoT(Internet of Things) 구성의 허브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컨트롤러(400)의 위치는 도면에 나타난 것과 같이 지니어스 미러의 내부 일 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지니어스 미러의 하부 뿐 아니라 상부나 중앙부위 등 다른 구성요소의 구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할 내용에서 더욱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겠다.
즉, 이러한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는 일종의 디지털 사이니지나 키오스크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되, 이러한 구성에 추가적으로 거울기능을 더 부착하여 단순 광고용도로서 실외에 설치되던 디지털 사이니지나 키오스크와 달리 TV와 같은 형태로 실내 활용도 가능토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외부기기(400)와의 연동구성을 근방에 이격되어 위치한 외부기기(40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의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안내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거울부(200)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일상과 가까운 실내공간에 위치시키거나 혹은 공공장소 등에 설치도 거부감 없이 가능하고 나아가 외부기기(400)와의 연동구성(IoT)을 통해 추가 디스플레이가 필요하거나 사운드의 증폭이 필요한 경우 및 추가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 원격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외부기기(400)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출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예시로서, 욕실에 위치하는 욕실거울이나 개인실에서 활용하는 전신거울, 화장대거울 등 개인적으로 활용하는 다양한 거울이 포함될 수 있고, 나아가 공공장소의 로비 및 주택 실내에 위치하는 대형 전신거울이나 안내판, 광고판 등과 같이 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의 구성을 통해 가장 평범하게는 앞선 배경설명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개인비서용도나 의상의 피팅여부 관찰용도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나아가 날씨예보나 개인별 특화 컨텐츠 등을 제공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다.
100: 디스플레이부 200: 거울부
300: 하우징 400: 컨트롤러

Claims (5)

  1.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로서,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거울 기능을 겸하는 것으로서, 투사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정보를 투과시켜 표시하는 거울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거울부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지니어스 미러의 주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시각표시장치, 스피커, 마이크, 타이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부기기;
    상기 외부기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외부기기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컨트롤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니어스 미러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시각표시장치, 스피커, 마이크, 타이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확장모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높이방향으로 함입 형성된 삽입슬롯이 더 포함되고,
    상기 확장모듈부는,
    상기 삽입슬롯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에 삽입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양 측면에는,
    전방을 향해 배치된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모듈부는,
    표면이 오목하게 함입된 확장면과,
    상기 확장면에서 일정 간격마다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복수개의 반사돌기로 구성되는 사운드 확장파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확장모듈부 주변의 음량을 감지하는 음량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
  5. 반사 거울을 포함하는 반사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색상을 감지하는 색상센싱부와,
    상기 색상센싱부에서 감지된 상기 색상 중 기 지정된 색상이 포함된 위치로 상기 이미지를 반사시키도록 상기 연장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반사거울의 위치를 변경하는 반사제어부로 구성되는 반사표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지니어스 미러.
KR1020180071816A 2018-06-22 2018-06-22 지니어스 미러 KR202000000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816A KR20200000042A (ko) 2018-06-22 2018-06-22 지니어스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816A KR20200000042A (ko) 2018-06-22 2018-06-22 지니어스 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42A true KR20200000042A (ko) 2020-01-02

Family

ID=6915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816A KR20200000042A (ko) 2018-06-22 2018-06-22 지니어스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0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5942B2 (ja) 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EP2813884A1 (en)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arrangement for attachment to a transparent base structure
US20140333541A1 (en) Showcase system having transparent display pane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6705124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情報システム、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5939603B1 (ja) ミラーと映像表示機能を有するドア
ES2629697T3 (es) Sistema de retroproyección controlado por gestos
ES2828677T3 (es) Dispositivo de elemento mural y sistema para la presentación visual de información
WO2008108558A1 (en) Interactive digital multimedia information mirror device
JP7251828B2 (ja) 展示装置及び展示方法
KR101784421B1 (ko) IoT 기반의 스마트 미러
KR20090095337A (ko)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디지털 미러
TWI638191B (zh) Door with mirror and image display
JP3196837U (ja) 画像表示装置
CN202775364U (zh) 具有播放功能的穿衣镜装置
KR20200000042A (ko) 지니어스 미러
EP3336601A1 (en) A photo terminal stand system
CN110792288A (zh) 一种多维空间技术展示装置
JP2014032600A (ja) 表示入力装置
KR20200100221A (ko) 스마트 미러 시스템
KR102046650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TWI520571B (zh) 非接觸式操控之立體影像顯示裝置
KR101830920B1 (ko) 전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진열장치
KR20200100222A (ko)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구동 방법
KR20240069020A (ko) 투명 디스플레이의 후면장착형 차단막
JP2022152116A (ja) 仏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