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871A - Harvest transferr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Harvest transferr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871A
KR20200099871A KR1020190018049A KR20190018049A KR20200099871A KR 20200099871 A KR20200099871 A KR 20200099871A KR 1020190018049 A KR1020190018049 A KR 1020190018049A KR 20190018049 A KR20190018049 A KR 20190018049A KR 20200099871 A KR20200099871 A KR 20200099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body
harvest
loading
rail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0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점두
Original Assignee
김점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점두 filed Critical 김점두
Priority to KR1020190018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9871A/en
Publication of KR20200099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8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9/00Pick-ups for loaders, chaff-cutters, balers, field-threshers, or the like, i.e. attachments for picking-up hay or the like field crops
    • A01D89/005Dr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rvest transferring apparatus which can automatically transfer harvests without contact with the ground. The harvest transfer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rvest transferring apparatus for transferring harvests in a state of being distanced from the ground. The harvest transferring apparatus comprises: a loading part for loading the harvests; a transfer body part provided on the loading part and transferred together with the loading part; a rail part provided with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ground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body part; a roller part rotatably provided on the transfer body part and rotated and moved along the rail part; a driving part provided on the transfer body part and rotating the roller part; a power supply part provided on the transfer body part and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part; and a switching part which selectively suppli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part to the driving part or switches a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part.

Description

수확물 이송 장치{Harvest transferring apparatus}Harvest transfer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확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nveying crops.

일반적으로, 수확물은 인류가 이용할 목적으로 재배하는 농작물로부터 거두어들인 것으로, 자연환경에서 재배한 농작물로부터 거두어들인 노지 수확물과, 하우스 등의 재배 시설물에서 인위적으로 재배환경을 조절하면서 재배한 농작물로부터 거두어들인 시설 수확물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In general, harvests are harvested from crops grown for the purpose of human use, and are harvested from field crops collected from crops grown in natural environments, and crops grown while artificially controlling the growing environment in cultivation facilities such as houses. They can be broadly classified as plant crops.

이러한 수확물은 수확물 이송 장치를 통해 목표 지점으로 운반하게 된다.These crops are transported to the target point through the harvest conveying device.

기존의 수확물 이송 장치로는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끄는 손수레 등이 사용되고 있다. 손수레는 수확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과, 적재함의 하부에 구비되며 지면에 접하는 바퀴와, 그리고 적재함에 구비되며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고 당기거나 끌면 바퀴가 지면을 따라 구르면서 적재함의 수확물을 목표 지점으로 운반할 수 있다.Existing harvesting conveying devices are handcarts, etc., which the worker pulls by hand. The handcart includes a loading box for loading crops, a wheel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and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 handle provided in the loading box and capable of being held by hand. Therefore, when an operator grabs the handle and pulls or pulls it, the wheel can roll along the ground and transport the harvest of the loading box to the target point.

하지만, 기존의 손수레는, 바퀴가 지면에 접하는 구조여서 비좁은 고랑을 따라 이동할 경우 주변 작업자들이 이에 부딪히지 않기 위해 자리를 피해야 하는 등 수확 속도 및 운반 속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손수레는 고랑의 흙길에 접하여 이동하게 되므로 흙길의 상태에 따라 수분이 많은 흙길에 바퀴가 빠지거나 울퉁불퉁한 흙길로 인해 상하 진동이 유발되면서 수확물에 상해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existing handcart, the wheel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so when moving along a cramped furrow,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arvesting speed and the transporting speed are lowered, such as having to avoid seats in order not to bump into it by nearby workers. In addition, since the existing handcart moves in contact with the dirt road in the furrow,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heel falls off the dirt road with a lot of moisture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dirt road, or up and down vibration is induced due to the uneven dirt road, causing injury to the harvest.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지면과 접촉됨 없이 자동으로 수확물을 운반할 수 있는 수확물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rvesting material convey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conveying crops without contacting the groun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확물 이송 장치는, 지면과 떨어진 상태로 수확물을 운반하기 위한 수확물 이송 장치로, 상기 수확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구비되며 상기 적재부와 함께 이송되는 이송 몸체부; 상기 지면과 높이차를 두고 구비되며 상기 이송 몸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 상기 이송 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레일부를 따라 회전되며 이동되는 롤러부; 상기 이송 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이송 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구동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을 절환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harvest conve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rvest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the harvest in a state away from the ground, and a loading part for loading the harvest; A transfer body provided in the loading portion and transferred together with the loading portion; A rail portion provided with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ground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body portion; A roller part rotatably provided on the transfer body and rotated and moved along the rail part; A driving unit provided on the transfer body and rotating the roller unit;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on the transfer body and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And a switching unit that selectively suppli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driving unit or switche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상기 레일부는, 상기 지면과 높이차를 두고 구비되며 상기 롤러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좌측 레일; 및 상기 좌측 레일과 동일한 높이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좌측 레일과 함께 상기 롤러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우측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The rail unit may include a left rail provided with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ground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roller unit; And a right rail provided side by side with the left rail at the same height and at the same interval,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roller unit together with the left rail.

상기 롤러부는, 상기 이송 몸체부의 좌측의 전단부에 좌측 전방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좌측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좌측 전방 메인 롤러; 상기 이송 몸체부의 좌측의 후단부에 좌측 후방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좌측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좌측 후방 메인 롤러; 상기 이송 몸체부의 우측의 전단부에 우측 전방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우측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우측 전방 메인 롤러; 및 상기 이송 몸체부의 우측의 후단부에 우측 후방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우측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우측 후방 메인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ller unit may include a left front main roller provided to be rotatable about a left front horizontal axis at a left front end of the conveying body and moving along the left rail; A left rear main roller provided to be rotatable about a left rear horizontal axis at a rear end of the left side of the conveying body and moving along the left rail; A right front main roller provided to be rotatable about a right front horizontal axis at a right front end portion of the transfer body portion and moving along the right rail; And a right rear main roller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a right rear horizontal axis at a rear end of the right side of the transfer body and moving along the right rail.

상기 롤러부는, 상기 이송 몸체부의 좌측의 전단부에 좌측 전방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좌측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좌측 전방 사이드 롤러; 상기 이송 몸체부의 좌측의 후단부에 좌측 후방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좌측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좌측 후방 사이드 롤러; 상기 이송 몸체부의 우측의 전단부에 우측 전방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우측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우측 전방 사이드 롤러; 및 상기 이송 몸체부의 우측의 후단부에 우측 후방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우측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우측 후방 사이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ller unit may include a left front side roller rotatably provided at a left front end portion of the transfer body portion based on a left front vertical axis and moved along the left rail; A left rear side roller provided to be rotatable about a left rear vertical axis at a rear end of the left side of the conveying body and moving along the left rail; A right front side roller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a right front vertical axis at a right front end portion of the transfer body portion and moved along the right rail; And a right rear side roller provided to be rotatable about a right rear vertical axis at a rear end of the right side of the transfer body and moving along the right rail.

상기 구동부는, 상기 좌측 전방 메인 롤러 및 상기 우측 전방 메인 롤러를 동시에 회전 구동시키거나 상기 좌측 후방 메인 롤러 및 상기 우측 후방 메인 롤러를 동시에 회전 구동시키는 양방향 모터일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be a two-way motor that simultaneously rotates the left front main roller and the right front main roller, or simultaneously rotates the left rear main roller and the right rear main roller.

상기 스위칭부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구동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을 절환하기 위한 릴레이; 및 상기 릴레이에 상기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원격 조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ing unit may include: a relay for selectively supplying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driving unit or switching a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a remote controller for apply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relay.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확물 이송 장치는, 재배 시설물에서 재배된 수확물을 운반할 때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재배 시설물의 천장부에 고정 브라켓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The harvest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used when conveying harvested crops grown in a cultivation facility, and the rail unit may be provided through a fixing bracket on the ceiling of the cultivation facility.

상기 이송 몸체부는, 상기 적재부에 연결부를 통해 구비되되 상기 적재부와 높이차를 두고 상기 적재부 보다 위에 구비될 수 있다.The conveying body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loading portion through a connection portion, and may be provided above the loading portion with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loading portion.

상기 연결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is adjustabl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확물 이송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for conveying harves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적재부와, 이송 몸체부와, 레일부와, 롤러부와, 구동부와, 전원 공급부와, 그리고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스위칭부를 통해 전원 공급부의 전원이 구동부에 인가되면 이송 몸체부가 롤러부를 통해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수확물이 적재된 적재부를 지면과 접촉됨 없이 자동으로 이송할 수 있어, 이송 중에 작업자의 작업을 방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면의 상태에 상관없이 안전하게 수확물을 운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ch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 loading part, a conveying body part, a rail part, a roller part, a driving part, a power supply part, and a switching part is provided. When applied to this driving part, the conveying body part moves along the rail part through the roller part, and the loading part loaded with crops can be automatically transferred without contacting the ground. As a resul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work of the worker during transfer, and it does not depend on the condition of the ground. You can safely transport the crop without 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레일부는 서로 나란하게 놓이는 좌측 레일과 우측 레일을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이송 몸체부의 무게 중심이 한 측으로 쏠리더라도 이송 중에 이송 몸체부의 좌우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ail unit provi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 left rail and a right rail that are plac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even i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ransfer body is shifted to one side, the left and right balance of the transfer body can be maintained during transfer. ha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롤러부는, 각각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좌측 전방 메인 롤러, 좌측 후방 메인 롤러, 우측 전방 메인 롤러, 그리고 우측 후방 메인 롤러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중력 방향으로 미치는 이송 몸체부의 하중(적재부와 수확물의 하중 포함)을 좌우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er unit provi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 left front main roller, a left rear main roller, a right front main roller, and a right rear main roller rotated with respect to each horizontal axis, It can safely support the load of the conveying body (including the load of the loading part and the harvest) appli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while maintaining the left and right balan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롤러부는, 각각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좌측 전방 사이드 롤러, 좌측 후방 사이드 롤러, 우측 전방 사이드 롤러, 그리고 우측 후방 사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이송 몸체부의 움직임을 지지할 수 있어, 즉 이송 몸체부의 좌우 요동을 방지할 수 있어, 적재부에 적재된 수확물을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움직임 방향의 예측으로 주변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er unit provi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 left front side roller, a left rear side roller, a right front side roller, and a right rear side roller rotated based on each vertical axis,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 body to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at is, to prevent the left and right swing of the transport body, so that the harvest loaded on the load can be safely transported, as well as the prediction of the direction of movement, so that neighboring workers can safely You can work.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부로 양방향 모터가 사용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하나의 구동부로 좌측 레일과 우측 레일에 각각 위치한 양측에 위치한 좌측 전방 메인 롤러와 우측 전방 메인 롤러(또는 좌측 후방 메인 롤러와 우측 후방 메인 롤러)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어, 좌우 이동 속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chnical configuration in which a two-way motor is used as a driving unit is provided, so that the left front main roller and the right front main roller (or left side)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left rail and the right rail as a single driving unit. The rear main roller and the right rear main roller) can be rotated at the same time, so the balance of the left and right movement speed can be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위칭부는 릴레이와 원격 조정기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원격 조정기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witching unit provi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 relay and a remote controller, an operator can control it using a remote controller as nee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확물 이송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수확물 이송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수확물 이송 장치를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전원 공급부와 스위칭부와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arvest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as viewed from above of the harvest conveying device of FIG. 1.
3 is a view as viewed from the "A" direction of the harvest conveying device of Figure 2;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wer supply unit, a switching unit, and a driving uni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확물 이송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수확물 이송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수확물 이송 장치를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전원 공급부와 스위칭부와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arvest conve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viewed from the top of the harvest conveying device of Figure 1, and Figure 3 is "A" the harvest conveying device of FIG. It is a view viewed from the direction.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wer supply unit, a switching unit, and a driv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확물 이송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G10)과 떨어진 상태로 수확물을 운반하기 위한 수확물 이송 장치로, 적재부(110)와, 이송 몸체부(120)와, 레일부(130)와, 롤러부(140)와, 구동부(150)와, 전원 공급부(160)와, 그리고 스위칭부(17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arvest conve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4, as a harvest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the harvest in a state away from the ground (G10), the loading unit 110 And, it includes a transfer body portion 120, a rail portion 130, a roller portion 140, a driving portion 150, a power supply portion 160, and a switching portion 170.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continued reference to FIGS. 1 to 4.

적재부(110)는, 운반을 필요로 하는 수확물을 적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적재부(110)는, 일 예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 개방부를 가지는 상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적재부(110)가 판 형상을 가질 경우 수확물은 별도의 바구니 등을 통해 적재부(110)에 올려질 수 있고, 적재부가 상자 형상을 가질 경우, 수확물은 적재부에 직접 수용될 수 있다.The loading unit 110 is a component for loading harvested products that require transportation. As an example, the loading part 110 may have a plate shape as shown in FIGS. 1 to 3, or may have a box shape having an upper opening, although not shown in another example. When the loading portion 110 has a plate shape, the harvest can be put on the loading portion 110 through a separate basket, or the like, and when the loading portion has a box shape, the harvest can be directly accommodated in the loading portion.

이송 몸체부(120)는, 적재부(110)를 이송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구비되도록 본 발명의 수확물 이송 장치(100)의 메인 몸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이송 몸체부(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적재부(110)와 함께 이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몸체부(120)는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이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veying body 120 i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main body of the harvest convey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components for conveying the loading portion 110 are provided. This transfer body portion 120, as shown in Figures 1 to 3, may be provided in the loading portion 110 and can be transferred together with the loading portion (110). For example, the transfer body 12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horizontal frame and a vertical frame are combined.

나아가, 이송 몸체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80)를 통해 적재부(110)에 구비되되 적재부(110)와 높이차를 두고 적재부(110) 보다 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8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8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연결관(181)(182)이 텔레스코픽 구조(telescopic structure)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연결관(181)에서는 복수의 걸림공(183)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연결관(181)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연결관(182)에는 걸림 돌기(184)가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 돌기(184)를 복수의 걸림공(183) 중 어느 하나에 삽입하는 것으로 연결부(180)의 길이가 조절되면서 적재부(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에 적재부(110)를 위치시킬 수 있다.Further, the transfer body 120 is provided on the loading section 110 through the connection section 180, as shown in FIG. 1, and is provided above the loading section 110 with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loading section 110 Can be. In addition, the connection unit 18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For example, the connection unit 180, as shown in Figure 1, two or more connection pipes 181, 182 may be made of a telescopic structure (telescopic structure), in the first connector 181, a plurality The locking hole 183 of may be formed, and the locking protrusion 184 may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pipe 182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pipe 181. Therefore, by inserting the locking protrusion 184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holes 183,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unit 180 can be adjusted and the height of the loading unit 110 can be adjusted, so that the loading unit ( 110) can be located.

레일부(130)는, 이송 몸체부(1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레일부(130)는 지면(G10)과 높이차를 두고 구비될 수 있다.The rail part 130 is a componen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body part 120. The rail unit 130 may be provided with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ground G10.

특히, 본 발명의 수확물 이송 장치(100)가 재배 시설물(10)에서 재배된 수확물을 운반할 때 사용될 경우, 레일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 시설물(10)의 천장부(11)에 고정 브라켓(190)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harvest transpor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hen transporting the crops cultivated in the cultivation facility 10, the rail unit 130, as shown in FIG. 1, the ceiling of the cultivation facility 10 It may be provided through the fixing bracket 190 on (11).

나아가, 고정 브라켓(19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롤러부(14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레일부(130)의 저면에 구비된 상태에서 절곡되어 재배 시설물(10)의 천장부(11)에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3, the fixing bracket 190 is bent in a stat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rail unit 13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roller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provided on the ceiling 11.

또한, 레일부(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레일(131)과 우측 레일(132)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레일(131)은 지면(G10)과 높이차를 두고 구비될 수 있으며 롤러부(14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고, 우측 레일(132)은 좌측 레일(131)과 동일한 높이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좌측 레일(131)과 함께 롤러부(14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나란하게 놓이는 좌측 레일(131)과 우측 레일(132)을 통해, 이송 몸체부(120)의 무게 중심이 한 측으로 쏠리더라도 이송 중에 이송 몸체부(120)의 좌우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l unit 130 may include a left rail 131 and a right rail 132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left rail 131 may be provided with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ground G10 and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roller unit 140, and the right rail 132 is at the same height as the left rail 131 and at the same distance. They may be provided side by side and guide the movement of the roller unit 140 together with the left rail 131. Accordingly, through the left rail 131 and the right rail 132 plac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even i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ransfer body 120 is shifted to one side, the left and right balance of the transfer body 120 can be maintained during transfer.

롤러부(140)는, 레일부(130)를 따라 회전되며 이동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롤러부(14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몸체부(12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roller unit 140 is a component for rotating and moving along the rail unit 130. This roller part 140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on the transfer body 120, as shown in FIGS. 1 to 3.

구체적으로, 롤러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전방 메인 롤러(141), 좌측 후방 메인 롤러(142), 우측 전방 메인 롤러(143), 그리고 우측 후방 메인 롤러(144)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전방 메인 롤러(141)는 이송 몸체부(120)의 좌측의 전단부에 좌측 전방 수평축(H11)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좌측 레일(131)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좌측 후방 메인 롤러(142)는 이송 몸체부(120)의 좌측의 후단부에 좌측 후방 수평축(H12)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좌측 레일(13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우측 전방 메인 롤러(143)는 이송 몸체부(120)의 우측의 전단부에 우측 전방 수평축(H13)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우측 레일(132)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우측 후방 메인 롤러(144)는 이송 몸체부(120)의 우측의 후단부에 우측 후방 수평축(H14)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우측 레일(13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oller unit 140, as shown in Figure 2, the left front main roller 141, the left rear main roller 142, the right front main roller 143, and the right rear main roller 144 It may include. The left front main roller 141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left side of the conveying body 120 so as to be rotatable based on the left front horizontal axis H11 and can be moved along the left rail 131, and the left rear main roller The 142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left side of the transfer body 120 so as to be rotatable based on the left rear horizontal axis H12 and may be moved along the left rail 131. The right front main roller 143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right side of the transfer body 120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ight front horizontal axis H13 and can be moved along the right rail 132, and the right rear main roller The 144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right side of the transfer body 120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ight rear horizontal axis H14 and can be moved along the right rail 132.

따라서, 각각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좌측 전방 메인 롤러(141), 좌측 후방 메인 롤러(142), 우측 전방 메인 롤러(143), 그리고 우측 후방 메인 롤러(144)가 구비되므로, 중력 방향으로 미치는 이송 몸체부(120)의 하중[적재부(110)와 수확물의 하중 포함]을 좌우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left front main roller 141, the left rear main roller 142, the right front main roller 143, and the right rear main roller 144 rotated based on each horizontal axis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safely support the load of the transfer body 120 (including the load of the loading unit 110 and the harvest) while maintaining the left and right balance.

나아가, 롤러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전방 사이드 롤러(145), 좌측 후방 사이드 롤러(146), 우측 전방 사이드 롤러(147), 그리고 우측 후방 사이드 롤러(148)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전방 사이드 롤러(145)는 이송 몸체부(120)의 좌측의 전단부에 좌측 전방 수직축(V11)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좌측 레일(131)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좌측 후방 사이드 롤러(146)는 이송 몸체부(120)의 좌측의 후단부에 좌측 후방 수직축(V12)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좌측 레일(13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우측 전방 사이드 롤러(147)는 이송 몸체부(120)의 우측의 전단부에 우측 전방 수직축(V13)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우측 레일(132)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우측 후방 사이드 롤러(148)는 이송 몸체부(120)의 우측의 후단부에 우측 후방 수직축(V14)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우측 레일(13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Further, the roller unit 140, as shown in FIG. 2, includes a left front side roller 145, a left rear side roller 146, a right front side roller 147, and a right rear side roller 148. Can include. The left front side roller 145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left side of the transfer body 120 so as to be rotatable based on the left front vertical axis V11 and can be moved along the left rail 131, and the left rear side roller The 146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left side of the transfer body 120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left rear vertical axis V12 and can be moved along the left rail 131. The right front side roller 147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right side of the transfer body 120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ight front vertical axis V13 and can be moved along the right rail 132, and the right rear side roller The 148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right side of the transfer body 120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ight rear vertical axis V14 and can be moved along the right rail 132.

따라서, 각각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좌측 전방 사이드 롤러(145), 좌측 후방 사이드 롤러(146), 우측 전방 사이드 롤러(147), 그리고 우측 후방 사이드 롤러(148)가 구비되므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이송 몸체부(120)의 움직임을 지지할 수 있어, 즉 이송 몸체부(120)의 좌우 요동을 방지할 수 있어, 적재부(110)에 적재된 수확물을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움직임 방향의 예측으로 주변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left front side roller 145, the left rear side roller 146, the right front side roller 147, and the right rear side roller 148 rotated based on each vertical axis are provided, it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body 120 to be transferred,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ft and right oscillation of the transfer body 120, so that the harvest loaded on the loading unit 110 can be safely transferred, as well as the direction of movement. With the prediction of, nearby workers can work safely.

또한, 롤러부(1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몸체부(120)가 레일부(1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 방지 롤러(S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ller unit 140, as shown in Figs. 1 to 3,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ng roller (S10) so that the transfer body 120 is not separated from the rail unit 130.

구동부(150)는, 이송 몸체부(120)가 레일부(130)를 따라 이동되도록 롤러부(140)를 실질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구동부(150)는 이송 몸체부(120)에 구비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50 is a component for substantially rotating the roller unit 140 such that the transport body unit 120 is moved along the rail unit 130. This driving unit 150 may be provided on the transfer body 120.

예를 들어, 구동부(150)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모터(151)가 사용될 수 있다. 양방향 모터(151)는 좌측 전방 메인 롤러(141) 및 우측 전방 메인 롤러(143)를 동시에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양방향 모터가 좌측 후방 메인 롤러 및 우측 후방 메인 롤러를 회전 구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as the driving unit 150, a bidirectional motor 151 as shown in FIGS. 2 and 3 may be used. The bidirectional motor 151 may rotate the left front main roller 141 and the right front main roller 143 at the same time.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two-way motor may rotate the left rear main roller and the right rear main roller.

따라서, 하나의 구동부(150)로 좌측 레일(131)과 우측 레일(132)에 각각 위치한 양측에 위치한 좌측 전방 메인 롤러(141)와 우측 전방 메인 롤러(143)(또는 좌측 후방 메인 롤러와 우측 후방 메인 롤러)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어, 좌우 이동 속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eft front main roller 141 and the right front main roller 143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left rail 131 and the right rail 132 with one driving unit 150 (or the left rear main roller and the right rear The main roller) can be rotated at the same time, so the balance of the left and right movement speed can be maintained.

전원 공급부(160)는, 구동부(1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몸체부(12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160)로는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60 is a component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150. The power supply unit 160 may be provided under the transfer body 120, as shown in FIG. 1. For example, as the power supply unit 160, a battery used in a vehicle or the like may be used.

스위칭부(170)는, 전원 공급부(160)의 전원을 구동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구동부(150)의 회전 방향을 절환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The switching unit 170 is a component for selectively supplying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160 to the driving unit or switch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150.

예를 들어, 스위칭부(1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171)와 원격 조정기(172)를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171)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160)의 전원을 구동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구동부(150)의 회전 방향을 절환할 수 있고, 원격 조정기(172)는 원거리에서 작업자의 조작으로 릴레이(171)에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원격 조정기(172)를 이용하여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witching unit 170 may include a relay 171 and a remote controller 172, as shown in FIG. 4. The relay 171 can selectively supply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160 to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r can switc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150, and the remote controller 172 is a relay ( 171) can be applied with a control signal. Therefore, the operator can control the driving unit 150 using the remote controller 172 as needed.

또한, 릴레이(171)는 이송 몸체부(120)의 하부에 구비된 제어 박스(B10)에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lay 171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 box B10 provided under the transfer body 12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esent.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of

10: 재배 시설물 11: 천장부
G10: 지면 100: 수확물 이송 장치
110: 적재부 120: 이송 몸체부
130: 레일부 131: 좌측 레일
132: 우측 레일 140: 롤러부
150: 구동부 151: 양방향 모터
160: 전원 공급부 170: 스위칭부
171: 릴레이 172: 원격 조정기
180: 연결부 190: 고정 브라켓
10: cultivation facilities 11: ceiling
G10: ground 100: harvest transfer device
110: loading portion 120: transfer body portion
130: rail part 131: left rail
132: right rail 140: roller part
150: drive unit 151: bidirectional motor
160: power supply unit 170: switching unit
171: relay 172: remote controller
180: connection part 190: fixing bracket

Claims (3)

지면과 떨어진 상태로 수확물을 운반하기 위한 수확물 이송 장치로,
상기 수확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구비되며 상기 적재부와 함께 이송되는 이송 몸체부;
상기 지면과 높이차를 두고 구비되며 상기 이송 몸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
상기 이송 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레일부를 따라 회전되며 이동되는 롤러부;
상기 이송 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이송 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구동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구동부의 회전 방향을 절환하는 스위칭부;
를 포함하는
수확물 이송 장치.
A harvest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harvests away from the ground,
A loading part for loading the harvest;
A transfer body provided in the loading portion and transferred together with the loading portion;
A rail portion provided with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ground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body portion;
A roller part rotatably provided on the transfer body and rotated and moved along the rail part;
A driving unit provided on the transfer body and rotating the roller unit;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on the transfer body and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And
A switching unit selectively supply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driving unit or switch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Including
Harvest conveying device.
제1항에서,
상기 이송 몸체부는,
상기 적재부에 연결부를 통해 구비되되 상기 적재부와 높이차를 두고 상기 적재부 보다 위에 구비되는
수확물 이송 장치.
In claim 1,
The transfer body part,
It is provided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loading portion, and provided above the loading portion with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loading portion
Harvest conveying device.
제1항에서,
상기 수확물 이송 장치는,
재배 시설물에서 재배된 수확물을 운반할 때 사용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재배 시설물의 천장부에 고정 브라켓을 통해 구비되는
수확물 이송 장치.
In claim 1,
The harvest conveying device,
Used to transport crops grown in cultivation facilities,
The rail part,
Provided through a fixing bracket on the ceiling of the cultivation facility
Harvest conveying device.
KR1020190018049A 2019-02-15 2019-02-15 Harvest transferring apparatus KR202000998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049A KR20200099871A (en) 2019-02-15 2019-02-15 Harvest transfer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049A KR20200099871A (en) 2019-02-15 2019-02-15 Harvest transferr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871A true KR20200099871A (en) 2020-08-25

Family

ID=7229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049A KR20200099871A (en) 2019-02-15 2019-02-15 Harvest transferr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987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306B1 (en) * 2021-01-18 2022-05-02 (주)아세아엠텍 A transfering apparatus for plants growing facil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306B1 (en) * 2021-01-18 2022-05-02 (주)아세아엠텍 A transfering apparatus for plants growing fac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1191B2 (en) Work vehicle
KR101613608B1 (en) A moving apparatus capable for oriental melon harvesting robot
JP6535620B2 (en) Moving vehicle
KR101250770B1 (en) Transport equipment for vinyl greenhouse
KR101617706B1 (en) The management and carrying device for a farm products in greenhouse
US20100126423A1 (en) Feed displacement device and an assembly therewith
KR20200099871A (en) Harvest transferring apparatus
KR20140047804A (en) Grain harvest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for green house
JP6824377B2 (en) Work vehicle
KR200483458Y1 (en) Caterpillar and caterpillar capable of selectively varying the position of manure
KR101864715B1 (en) Multi-function agricultural automatic guide vehicle of wheel type
JP2016152776A (en) Tending work machine
JP2007282589A (en) Horizontal circulation system of cultivation bed
KR101468317B1 (en) Multi-purpose moving cart for a fruit farm
KR102506785B1 (en) Gantry Robot Mounting System for Horizontal Operation
CN109121507A (en) A kind of full landform multifunctional farm implements equipment
KR101707857B1 (en) Transport apparatus for vinyl house
KR102611490B1 (en) Transferring guide structure for house carriage
SK500652019U1 (en) Agricultural equipment for circular field management
KR102309951B1 (en) A gurder system for greenhouse to install gantry robot
US20230292679A1 (en) Mechanism and methods for robotic installation of stakes
KR102024031B1 (en) Apparatus for harvesting crop
CN11817592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rming agricultural use areas
KR102219838B1 (en) Transport device for harvesting of agricultural products
KR20190014879A (en) Transport apparatus for vinyl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